KR200468116Y1 - 포장 케이스 - Google Patents

포장 케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68116Y1
KR200468116Y1 KR2020090001632U KR20090001632U KR200468116Y1 KR 200468116 Y1 KR200468116 Y1 KR 200468116Y1 KR 2020090001632 U KR2020090001632 U KR 2020090001632U KR 20090001632 U KR20090001632 U KR 20090001632U KR 200468116 Y1 KR200468116 Y1 KR 20046811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de wall
parts
wing
case
fold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9000163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08368U (ko
Inventor
양진용
Original Assignee
양진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진용 filed Critical 양진용
Priority to KR202009000163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8116Y1/ko
Publication of KR2010000836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836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811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8116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5/00Packages comprising articles or materials partially or wholly enclosed in strips, sheets, blanks, tubes, or webs of flexible sheet material, e.g. in folded wrappers
    • B65D75/04Articles or materials wholly enclosed in single sheets or wrapper blanks
    • B65D75/14Articles or materials wholly enclosed in single sheets or wrapper blanks in sheets or blanks folded-up around all sides of the contents from a portion on which the contents are plac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203/00Decoration means, markings, information elements, contents indicators
    • B65D2203/02Lab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42Details of containers or of foldable or erectable container blanks
    • B65D5/44Integral, inserted or attached portions forming internal or external fittings
    • B65D5/52External stands or display elements for cont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1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wearing apparel, headwear or footwear

Abstract

본 고안은 포장 케이스에 관한 것으로, 일정면적을 갖는 바닥부와, 상기 바닥부의 좌우 양단에 제1,2접이선을 매개로 접이 가능하게 각각 연결되는 제1,2측벽부 및 상기 바닥부의 선,후단에 하부단 일부가 제3,4접이선을 매개로 접이 가능하게 각각 연결되어 상기 제1,2측벽부와 바닥부에 대하여 직각으로 배치되는 제1,2연결부를 갖추어 적어도하나의 물품을 수납할 수 있는 일정크기의 내부공간을 갖는 케이스 본체; 상기 제1연결부의 일측단과 제5접이선을 매개로 접이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1상면부와, 상기 제1상면부의 좌우 양단에 제 7,8접이선을 매개로 접이 가능하게 각각 연결되는 제1,2날개부 및 상기 제1,2날개부의 일측단에 외측으로 돌출되는 고정부재가 각각 구비되는 제1덮개부; 및 상기 제2연결부의 일측단과 제6접이선을 매개로 접이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상면부와, 상기 제2상면부의 좌우 양단에 제9,10접이선을 매개로 접이 가능하게 각각 연결되는 제3,4날개부가 구비되는 제2덮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3,4날개부가 상기 제1,2측벽부의 외측에 밀착되어 1차로 각각 면접하고, 상기 제1,2날개부가 상기 제1,2측벽부의 외측에 밀착되어 2차로 각각 면접하여 상기 고정부재에 의해 상기 제1,2,3,4날개부가 고정된다.
포장, 케이스, 접이선, 관통공, 날개부, 바닥부, 덮개부, 면접

Description

포장 케이스{A Packing Case}
본 고안은 포장 케이스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속옷이나 티셔츠 등과 같이 일정면적을 갖는 물품의 포장에 이용될 수 있으며, 상품의 포장과 아울러 전시가 가능하고, 미사용시 평면 적층이 가능하여 보관적재시 제한된 공간에서 차지하는 전체부피를 최소화할 수 있고, 사용시 물품을 보관할 수 있는 입체적인 케이스 형태로의 조립완성이 간편하도록 개선된 포장 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속옷이나 티셔츠 등을 포장하기 위한 포장 상자는 상, 하측 상자를 구비하고 있으며, 하측 상자에 양말 등의 상품이 수납된 별도의 상자를 2개 내지 3개 정도 담는 구조를 갖는다. 이러한 일반적인 포장 상자는 상, 하측 상자 및 하측 상자에 수용되는 별도의 상자를 복수로 제작하기 때문에 지류 등으로 이루어지는 원자재가 증가하여 원가 절감에 한계를 가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종래의 포장 상자는 다수의 상자를 이용하기 때문에 상자를 제작할 때 상자를 고정하기 위해 접착제를 사용하여 접착시키는 부위가 늘어나 생산비용을 증대시킬 뿐 아니라, 접착제 사용시 발생하는 탄소가스로 인하여 환경을 오염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그 목적은 원자재의 양을 줄여 원가를 절감시키고, 이에 따라 가격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는 포장 케이스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케이스 미사용시 펼쳐진 평면상태로 적층하여 다층으로 보관할 수 있어 제한된 공간에서 미사용 케이스를 효율적으로 보관할 수 있으며, 사용시 케이스의 입체적인 조립완성을 간편하고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는 포장 케이스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일정면적을 갖는 바닥부와, 상기 바닥부의 좌우 양단에 제1,2접이선을 매개로 접이 가능하게 각각 연결되는 제1,2측벽부 및 상기 바닥부의 선,후단에 하부단 일부가 제3,4접이선을 매개로 접이 가능하게 각각 연결되어 상기 제1,2측벽부와 바닥부에 대하여 직각으로 배치되는 제1,2연결부를 갖추어 적어도하나의 물품을 수납할 수 있는 일정크기의 내부공간을 갖는 케이스 본체; 상기 제1연결부의 일측단과 제5접이선을 매개로 접이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1상면부와, 상기 제1상면부의 좌우 양단에 제 7,8접이선을 매개로 접이 가능하게 각각 연결되는 제1,2날개부 및 상기 제1,2날개부의 일측단에 외측으로 돌출되는 고정부재가 각각 구비되는 제1덮개부; 및 상기 제2연결부의 일측단과 제6접이선을 매개로 접이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상면부와, 상기 제2상면부의 좌우 양단 에 제9,10접이선을 매개로 접이 가능하게 각각 연결되는 제3,4날개부가 구비되는 제2덮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3,4날개부가 상기 제1,2측벽부의 외측에 밀착되어 1차로 각각 면접하고, 상기 제1,2날개부가 상기 제1,2측벽부의 외측에 밀착되어 2차로 각각 면접하여 상기 고정부재에 의해 상기 제1,2,3,4날개부가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2측벽부는 그 하단에 상기 제1,2접이선을 따라 일정길이로 관통되는 제1,2슬릿이 각각 구비되어 상기 고정부재가 삽입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2측벽부는 일측 하단에 상기 제1,2슬릿과 일정거리 이격되어 상기 제1,2접이선을 따라 일정길이로 관통되는 제3,4슬릿이 각각 구비되고, 상기 제1,2날개부의 일측단에 외측으로 돌출되는 보조고정부재가 각각 구비되어 상기 제3,4슬릿에 각각 삽입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2,3,4슬릿은 상기 고정부재나 보조고정부재의 삽입이 용이하도록 그 양단에 관통공이 구비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2상면부는 상기 케이스 본체의 내부공간을 부분적으로 덮도록 구비되어 상기 내부공간에 수납되는 물품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2상면부 중 어느 하나의 일단에 광고표시부가 구비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2측벽부는 그 선후단에 접이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제1,2측벽부와 바닥부에 대하여 직각으로 배치되는 지지편이 각각 구비될 수 있 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포장 케이스는 상기 제1연결부의 하단에 걸이공이 구비된 걸이부가 제3접이선을 매개로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본 고안에 의하면, 케이스 미사용시 펼쳐진 상태로 평면적으로 다층으로 적층하여 보관할 수 있기 때문에, 제한된 공간에서 미사용 케이스를 효율적으로 보관할 수 있어 매장관리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케이스 사용시 케이스를 간편하고 신속하게 입체적인 케이스로 전환하여 조립완성할 수 있기 때문에, 작업부하를 줄이고, 매장관리업무를 신속하게 처리할 수 있는 효과가 얻어진다.
또한, 케이스 전환시 접착제를 사용하지 않고 간편하게 조립하여 물품을 거치하도록 함으로써, 접착제 사용시 발생하는 탄소가 배출되지 않아 환경오염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원자재의 양을 줄여 원가를 절감시키고, 이에 따른 가격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으며, 상품의 포장작업시 작업 공수를 줄여 생산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포장 케이스를 도시한 전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포장 케이스의 전개도이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포장 케이스(100)는 도 1과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적어도 하나의 물품을 수납할 수 있는 내부공간을 형성할 수 있도록 케이스 본체(110), 제1덮개부(120) 및 제2덮개부(130)를 포함한다.
상기 케이스 본체(110)는 적어도 하나의 물품을 수납하고, 상부가 개방된 내부공간(S)을 형성하도록 바닥부(111)와, 제1,2측벽부(113,115) 및 제1,2연결부(117,119)를 포함한다.
상기 바닥부(111)는 속옷이나 티셔츠 등과 같은 물품을 접어서 보관하는 경우, 상기 물품이 접혀져 수납되는 곳으로 일정면적을 갖는 대략 사각판상의 수평판 부재이다.
상기 제1,2측벽부(113,115)는 상기 바닥부(111)의 좌우양단에 대하여 접이 가능하게 일체로 연결되는 사각판상의 수직판 부재이다.
여기서, 상기 제1,2측벽부(113,115)는 수평한 바닥부(111)에 대하여 직각으로 접혀서 수직하게 배치될 수 있도록 제1,2접이선(151,152)을 매개로 하여 상기 바닥부(111)와 연결되며, 상기 제1,2접이선(151,152)은 상기 케이스 본체(110)의 하부모서리부를 형성하게 된다.
한편, 상기 제1,2측벽부(113,115)는 그 하단에 상기 제1,2접이선(151,152)을 따라 일정길이로 관통되는 제1,2슬릿(141,142)이 각각 구비되는데, 이는 조립시 후술할 고정부재(127)가 상기 제1,2슬릿(141,142)에 삽입되어 포장 케이스(100)의 측벽을 형성하게 되는 제1,2,3,4날개부(124,126,134,136) 및 제1,2측벽부(113,115)를 고정하게 된다.
또한, 상기 제1,2측벽부(113,115)는 그 하단에 제1,2슬릿(141,142)과 일정거리 이격되어 형성되는 제3,4슬릿(143,144)이 상기 제1,2접이선(151,152)을 따라 일정길이로 관통형성될 수도 있다. 이는 후술할 보조고정부재(129)가 삽입되어 포장 케이스(100)의 조립시 측벽을 형성하게 되는 제1,2,3,4날개부(124,126,134,136) 및 제1,2측벽부(113,115)를 상기 고정부재(127)에 의해 1차로 고정하고 보조고정부재(129)에 의하여 2차로 고정하도록 함으로써, 상기 제1,2날개부(124,126))의 전체면이 제1,2측벽부(113,115)에 밀착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상기 제1,2,3,4슬릿(141,142,143,144)은 포장 케이스(100)의 조립시 상기 제1,2,3,4슬릿(141,142,143,144)에 각각 삽입되는 고정부재(127) 및 보조고정부재(129)의 삽입이 용이하도록 그 좌우양단에 관통공(145,146)이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관통공(145,146)은 상기 고정부재(127) 및 보조고정부재(129)의 삽입 시 좌우 양단 부분에 여유공간을 확보함으로써 고정부재(127) 및 보조고정부재(129)와 바닥부(111)와의 마찰력을 줄여줌으로써 상기 고정부재(127) 및 보조고정부재(129)의 삽입을 용이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와 같이 상기 고정부재(127)가 제1,2슬롯(141,142)에 삽입되어 제1,2,3,4날개부(124,126,134,136)가 고정됨으로써, 포장 케이스(100)의 조립시 간편하고 신속하게 입체적인 케이스로 조립할 수 있기 때문에, 작업부하를 줄이고, 매장관리업무를 신속하게 처리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제1,2연결부(117,119)는 상기 바닥부(111)의 선,후단에 하부단 일부가 접이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제1,2측벽부(113,115)와 바닥부(111)에 대하여 직각으로 배치된다.
여기서, 상기 제1,2연결부(117,119)는 수평한 바닥부(111)에 대하여 직각으로 접혀서 수직하게 배치될 수 있도록 제3,4접이선(153,154)을 매개로 하여 상기 바닥부(111)와 연결되며, 상기 제3,4접이선(153,154)은 상기 케이스 본체(110)의 하부모서리부를 형성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제1,2측벽부(113,115)는 그 선후단에 수직접이선(116)을 매개로 접이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제1,2측벽부(113,115)와 바닥부(111)에 대하여 직각으로 배치되는 지지편(116a,116b,116c,116d)이 각각 구비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상기 지지편(116a,116b,116c,116d)은 포장 케이스(100)의 조립시 바닥부(111)의 내측으로 접혀져 상기 제3,4접이선(153,154) 상에 각각 위치되고, 그 외측에 상기 제1,2연결부(117,119)가 각각 밀착되어 면접함으로써, 상기 제1,2연결부(117,119)가 바닥부(111)에 대하여 수직하게 배치될 수 있도록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로 인해 제1,2측벽부(113,115) 및 제1,2연결부(117,119)가 수평한 바닥부(111)에 대하여 수직하게 배치됨으로써, 포장 케이스(100)는 상부가 개구된 내부공간(S)을 갖는 대략 직육면체를 이루게 된다.
한편, 상기 수직접이선(116)은 상기 바닥부(111)에 대하여 직각으로 배치됨 으로써, 포장 케이스(100)의 조립시 상기 케이스 본체(110)의 각 모서리부에 해당하는 수직모서리부를 형성하게 된다.
또한, 상기 케이스 본체(11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닥부(111)의 일측단에 구비된 절취선(111a)을 따라 절개되는 걸이부(112)가 구비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걸이부(112)는 포장 케이스(100)의 조립시 상기 제3접이선(153)을 매개로 수직한 제1연결부(117)에 대하여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함으로써, 내부에 관통형성된 걸이공(112a)을 상품 진열대에 구비된 고리(미도시)등에 걸어 진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상기 걸이부(112)가 제3접이선(153)을 매개로 접이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상품 진열대에 진열하지 않을 때에는 상기 절취선(111a)쪽으로 복귀시켜 바닥면이 수평되도록하여 상부로 여러개의 포장케이스를 수직하게 적재할 수도 있다.
상기 제1덮개부(120)는 포장 케이스(100)의 조립시 제1,2측벽부(113,115)와 제1,2연결부(117,119) 및 바닥부(111)에 의해 형성되는 내부공간(S)의 상부 일측을 덮을 수 있도록 구비되는 것으로, 제1상면부(122), 제1,2날개부(124,126)) 및 고정부재(127)를 포함한다.
상기 제1상면부(122)는 상기 제1연결부(117)에 대하여 접이 가능하게 일체로 연결되는 대략 사각판상의 수평판 부재이다.
이때, 상기 제1상면부(122)는 수직한 제1연결부(117)에 대하여 직각으로 접혀서 상기 바닥부(111)의 상부에 수평하게 배치될 수 있도록 제5접이선(155)을 매 개로 하여 상기 제1연결부(117)와 연결되며, 상기 제5접이선(155)은 포장 케이스(100)의 조립시 일측 상부모서리부를 형성하게 된다.
상기 제1,2날개부(124,126))는 상기 제1상면부(122)의 좌우 양단에 접이 가능하게 일체로 연결되는 대략 사각판상의 수직판 부재이다.
여기서, 상기 제1,2날개부(124,126))는 수평한 제1상면부(122)에 대하여 직각으로 접혀서 수직하게 배치될 수 있도록 제7,8접이선(157,158)을 매개로 하여 상기 제1상면부(122)와 연결되며, 상기 제7,8접이선(157,158)은 상기 포장 케이스(100)의 조립시 일측 상부모서리부를 형성하게 된다.
이와 같은 제1,2날개부(124,126))는 포장 케이스(100)의 조립시 상기 제1상면부(122)에 대해서 하부로 수직하게 접혀지고, 상기 제1,2측벽부(113,115)의 외측에 밀착되어 후술할 제3,4날개부(134,136)와 일정영역이 서로 중첩되도록 구비되며, 상기 제1,2측벽부(113,115) 및 제3,4날개부(134,136)와 더불어 포장 케이스(100)의 양 측벽을 형성하게 된다.
상기 고정부재(127)은 상기 제1,2날개부(124,126))의 일측단에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접이 가능하게 일체로 연결되는 대략 사각판상의 수직판 부재이다. 이와 같은 고정부재(127)는 상기 제1,2슬릿(141,142)의 형성길이와 동일하거나 조금 짧은 길이로 형성되고, 포장 케이스(100)의 조립시 상기 제1,2슬롯(132)에 각각 삽입되어 제1,2측벽부(113,115) 및 제1,2날개부(124,126))가 바닥부(111)에 대하여 수직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제1,2날개부(124,126))의 일측단에는 외측으로 돌출되고 접이 가 능하게 일체로 연결되는 대략 사각판상의 보조고정부재(129)가 추가로 각각 구비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보조고정부재(129)는 상술한 바와 같이 제1,2측벽부(113,115)의 일측 하단에 관통형성되는 제3,4슬릿(143,144)에 각각 삽입되어 상기 고정부재(127)와 마찬가지로 제1,2측벽부(113,115) 및 제1,2날개부(124,126))가 바닥부(111)에 대하여 수직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고정부재(127)와 보조고정부재(129)는 서로 일정거리 이격되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포장 케이스(100)의 조립시 고정부재(127)는 제1,2측벽부(113,115)의 길이 중앙영역에 배치되고 보조고정부재(129)는 제1,2측벽부(113,115)의 일측단에 배치되도록 구비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조립시 고정부재(127)가 제1,2측벽부(113,115)의 길이 중앙영역에 배치되도록 하는 것은, 제1,2슬릿(141,142)에 고정부재(127)가 삽입되면 제1,2날개부(124,126))와 후술할 제3,4날개부(134,136)가 서로 중첩되는 영역이 동시에 고정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로 인해, 제1,2날개부(124,126))의 선단은 상기 고정부재(127)에 의해 제1,2측벽부(113,115)의 외측에 밀착되고, 제1,2날개부(124,126))의 후단은 상기 보조고정부재(129)에 의해 제1,2측벽부(113,115)의 외측에 밀착됨으로써, 제1,2날개부(124,126))의 내면전체가 제1,2측벽부(113,115)의 외측에 밀착되는 것이다.
상기 제2덮개부(130)는 포장 케이스(100)의 조립시 제1,2측벽부(113,115)와 제1,2연결부(117,119) 및 바닥부(111)에 의해 형성되는 내부공간(S)의 상부 일측을 덮을 수 있도록 구비되는 것으로, 제2상면부(132) 및 제3,4날개부(134,136)를 포함한다.
상기 제2상면부(132)는 상기 제2연결부(119)에 대하여 접이 가능하게 일체로 연결되는 대략 사각판상의 수평판 부재이다.
이때, 상기 제2상면부(132)는 수직한 제2연결부(119)에 대하여 직각으로 접혀서 상기 바닥부(111)의 상부에 수평하게 배치될 수 있도록 제6접이선(156)을 매개로 하여 상기 제2연결부(119)와 연결되며, 상기 제6접이선(156)은 포장 케이스(100)의 조립시 일측 상부모서리부를 형성하게 된다.
상기 제3,4날개부(134,136)는 상기 제2상면부(132)의 좌우 양단에 접이 가능하게 일체로 연결되는 대략 사각판상의 수직판 부재이다.
여기서, 상기 제3,4날개부(134,136)는 수평한 제2상면부(132)에 대하여 직각으로 접혀서 수직하게 배치될 수 있도록 제9,10접이선(159,160)을 매개로 하여 상기 제2상면부(132)와 연결되며, 상기 제9,10접이선(159,160)은 상기 포장 케이스(100)의 조립시 일측 상부모서리부를 형성하게 된다.
이와 같은 제3,4날개부(134,136)는 포장 케이스(100)의 조립시 상기 제2상면부(132)에 대해서 하부로 수직하게 접혀지고, 상기 제1,2측벽부(113,115)의 외측에 밀착되어 상기 제1,2날개부(124,126))와 일정영역이 서로 중첩되도록 구비되며, 상기 제1,2측벽부(113,115) 및 제1,2날개부(124,126))와 더불어 포장 케이스(100)의 양 측벽을 형성하게 된다.
한편, 상기 제1,2상면부(122,132)는 조립시 개구된 케이스 본체(110)의 내부공간의 상부 전체를 덮도록 구비될 수도 있으나, 상기 내부공간의 상부를 부분적으로 덮도록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상면부(132)의 일측에 개구부(138)를 형성함으로써, 바닥부(111)에 속옷이나 티셔츠 등이 접혀져 보관될 때 상기 속옷이나 티셔츠 등에 표시되는 상표나 물품의 상태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도면과 설명에는 제2상면부(132)의 일측에 개구부(138)가 형성되는 것으로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제1상면부(122)의 일측에 개구부를 형성하여 내부공간에 보관되는 물품의 상태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할 수도 있음을 밝혀둔다.
또한, 상기 제1,2상면부(122,132)중 어느 하나의 일단에는 외측으로 돌출되는 광고표시부(121)가 구비되어 회사의 로고나 상표 등과 같은 여려가지 광고 문구가 표시되거나 부착할 수도 있다.
한편, 속옷이나 티셔츠 등과 같은 물품을 접어서 보관할 수 있도록 상기 포장 케이스(100)를 입체적으로 조립하고자 하는 경우, 도 3(a)와 같이 수평하게 펼쳐진 포장 케이스(100)를 준비한다.
그리고 도 3(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2측벽부(113,115)를 수평한 바닥부(111)에 대하여 제1,2접이선(161,162)을 기준으로 하여 수직하게 접는다.
그 후 제1,2측벽부(113,115)의 일측단에 구비된 지지편(116b,116d)을 각각 내측으로 접어 제4접이선(154)상에 배치시키고 수평한 바닥부(111)에 대하여 제4접이선(154)을 기준으로 제2연결부(119)를 상부로 수직하게 접는다. 그리고 수직한 제2연결부(119)에 대하여 제6접이선(156)을 기준으로 제2상면부(132)를 접어 수평한 바닥부(111)와 일정거리 이격되어 수평하게 배치되도록 한다.(도 3(c))
그 다음에, 수평한 제2상면부(132)에 대하여 제9,10접이선(159,160)을 기준으로 제3,4날개부(134,136)를 하부로 수직하게 접어 상기 제1,2측벽부(113,115)의 외측에 밀착시킨다.(도 3(d))
이러한 상태에서 제1,2측벽부(113,115)의 타측단에 구비된 지지편(116a,116c)을 각각 내측으로 접어 제3접이선(153)상에 배치시키고 수평한 바닥부(111)에 대하여 제3접이선(153)을 기준으로 제1연결부(117)를 상부로 수직하게 접은 후, 수직한 제1연결부(117)에 대하여 제5접이선(155)을 기준으로 제1상면부(122)가 수평한 바닥부(111)와 일정거리 이격되어 수평하게 배치되도록 접는다.(도 3(e))
연속하여, 수평한 제1상면부(122)에 대하여 제7,8접이선(157,158)을 기준으로 제1,2날개부(124,126))를 하부로 수직하게 접어 상기 제1,2측벽부(113,115)의 외측에 밀착된 제3,4날개부(134,136)와 일정영역이 중첩되도록 한 후, 제1,2날개부(124,126))의 일측단에 돌출형성된 고정부재(127)를 접어 제1,2슬릿(141,142)에 각각 삽입하여 제1,2,3,4날개부(124,126,134,136)를 고정시킨다.
그 후 제1,2날개부(124,126))의 타측단에 구비된 보조고정부재(129)를 접어 제3,4슬릿(143,144)에 각각 삽입시키면 포장 케이스(100)의 입체적 조립이 완료된 다.(도 3(f))
입체적 형상으로 조립이 완성된 포장 케이스(100)의 사용시 바닥부(110)에 속옷이나 티셔츠 등과 같은 물품을 접어서 바닥부(111)에 안착시킴으로써 상기 물품 등을 포장하여 상품진열대에 진열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케이스 사용시 케이스를 간편하고 신속하게 입체적인 케이스로 전환하여 조립완성할 수 있기 때문에, 작업부하를 줄이고, 매장관리업무를 신속하게 처리할 수 있는 효과가 얻어진다.
한편, 케이스의 미사용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포장 케이스(100)를 펼쳐진 상태로 평면적으로 다층으로 적층하여 보관할 수 있기 때문에, 제한된 공간에서 미사용 케이스를 효율적으로 보관할 수 있어 매장관리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
본 고안은 상기에서 도면을 참조하여 특정 실시예에 관련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지만 이와 같은 특정 구조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당 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고안의 기술 사상 및 권리범위를 벗어나지 않고서도 본 고안의 실시예를 다양하게 수정 또는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그와 같은 단순한 실시예의 수정 설계변형 구조들은 모두 명백하게 본 고안의 권리범위 내에 속하게 됨을 미리 밝혀 두고자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포장 케이스를 도시한 전체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포장 케이스를 도시한 전개도.
도 3(a)(b)(c)(d)(e)(f)는 본 고안의 포장 케이스의 조립과정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포장 케이스 110 : 케이스 본체
111 : 바닥부 112 : 걸이부
112a : 걸이공 113 : 제1측벽부
115 : 제2측벽부 116 : 수직접이선
116a,116b,116c,116d : 지지편
117 : 제1연결부 119 : 제2연결부
120 : 제1덮개부 121 : 광고표시부
122 : 제1상면부 124 : 제1날개부
126 : 제2날개부 127 : 고정부재
129 : 보조고정부재 130 : 제2덮개부
132 : 제2상면부 134 : 제3날개부
136 :제4날개부 138 : 개구부
141,142,143,144 : 제1,2,3,4슬릿 145,146 : 관통공
151,152,153,154,155,156,157,158,159,160 : 제1,2,3,4,5,6,7,8,9,10접이선

Claims (8)

  1. 일정면적을 갖는 바닥부와, 상기 바닥부의 좌우 양단에 제1,2접이선을 매개로 접이 가능하게 각각 연결되는 제1,2측벽부 및 상기 바닥부의 선,후단에 하부단 일부가 제3,4접이선을 매개로 접이 가능하게 각각 연결되어 상기 제1,2측벽부와 바닥부에 대하여 직각으로 배치되는 제1,2연결부를 갖추어 적어도하나의 물품을 수납할 수 있는 일정크기의 내부공간을 갖는 케이스 본체;
    상기 제1연결부의 일측단과 제5접이선을 매개로 접이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1상면부와, 상기 제1상면부의 좌우 양단에 제 7,8접이선을 매개로 접이 가능하게 각각 연결되는 제1,2날개부 및 상기 제1,2날개부의 일측단에 외측으로 돌출되는 고정부재가 각각 구비되는 제1덮개부; 및
    상기 제2연결부의 일측단과 제6접이선을 매개로 접이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상면부와, 상기 제2상면부의 좌우 양단에 제9,10접이선을 매개로 접이 가능하게 각각 연결되는 제3,4날개부가 구비되는 제2덮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3,4날개부가 상기 제1,2측벽부의 외측에 밀착되어 1차로 각각 면접하고, 상기 제1,2날개부가 상기 제1,2측벽부의 외측에 밀착되어 2차로 각각 면접하여 상기 고정부재에 의해 상기 제1,2,3,4날개부가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 케이스.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2측벽부는 그 하단에 상기 제1,2접이선을 따라 일정길이로 관통되는 제1,2슬릿이 각각 구비되어 상기 고정부재가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 케이스.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1,2측벽부는 일측 하단에 상기 제1,2슬릿과 일정거리 이격되어 상기 제1,2접이선을 따라 일정길이로 관통되는 제3,4슬릿이 각각 구비되고, 상기 제1,2날개부의 일측단에 외측으로 돌출되는 보조고정부재가 각각 구비되어 상기 제3,4슬릿에 각각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 케이스.
  4. 제 2항 또는 3항에 있어서, 상기 제1,2,3,4슬릿은 상기 고정부재나 보조고정부재의 삽입이 용이하도록 그 양단에 관통공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 케이스.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2상면부는 상기 케이스 본체의 내부공간을 부분적으로 덮도록 구비되어 상기 내부공간에 수납되는 물품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 케이스.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제1,2상면부 중 어느 하나의 일단에 광고표시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 케이스.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2측벽부는 그 선후단에 접이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제1,2측벽부와 바닥부에 대하여 직각으로 배치되는 지지편이 각각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 케이스.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포장 케이스는 상기 제1연결부의 하단에 걸이공이 구비된 걸이부가 제3접이선을 매개로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 케이스.
KR2020090001632U 2009-02-13 2009-02-13 포장 케이스 KR20046811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01632U KR200468116Y1 (ko) 2009-02-13 2009-02-13 포장 케이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01632U KR200468116Y1 (ko) 2009-02-13 2009-02-13 포장 케이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8368U KR20100008368U (ko) 2010-08-23
KR200468116Y1 true KR200468116Y1 (ko) 2013-07-29

Family

ID=444536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90001632U KR200468116Y1 (ko) 2009-02-13 2009-02-13 포장 케이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8116Y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68736U (ko) * 1998-09-08 1998-12-05 김경식 포장상자
KR100328864B1 (ko) * 1999-07-28 2002-03-14 박현주 휴대폰포장용 종이상자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68736U (ko) * 1998-09-08 1998-12-05 김경식 포장상자
KR100328864B1 (ko) * 1999-07-28 2002-03-14 박현주 휴대폰포장용 종이상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8368U (ko) 2010-08-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10295384B2 (en) Display package for a plurality of products
TW201315657A (zh) 太陽能板包裝箱
US8434288B2 (en) Product package with auxiliary compartments
KR200468116Y1 (ko) 포장 케이스
KR200468114Y1 (ko) 포장 케이스
JP3186276U (ja) 包装容器
CN214566792U (zh) 集销售展示运输于一体的产品包装箱
KR200468117Y1 (ko) 포장 케이스
KR20100008041U (ko) 포장 케이스
KR200471922Y1 (ko) 포장 케이스
KR200345356Y1 (ko) 포장용 박스 적층용 받침대
JP5935608B2 (ja) 積み重ね可能なキャリーカートン
CN112591250A (zh) 集销售展示运输于一体的产品包装箱
KR20100043649A (ko) 음식물 배달용 포장 박스
KR20080000973U (ko) 상품포장용 상자
KR20080005757U (ko) 포장용 상자
JP3236121U (ja) ハンギングバスケット持ち帰り用ホルダー
JP6549391B2 (ja) 収納箱
JPH10129769A (ja) 植物収容箱
KR200475295Y1 (ko) 피자 박스
JP3174492U (ja) 包装用箱
KR200483713Y1 (ko) 개방형 상품 진열 케이스
JP6301152B2 (ja) 紙製陳列棚
JP5623826B2 (ja) 中仕切り付き包装材
JP5621307B2 (ja) 輸送用兼展示用カートン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04

Year of fee payment: 6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