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10965A - Ⅲ-ⅴ족 반도체 레이저 다이오드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Ⅲ-ⅴ족 반도체 레이저 다이오드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10965A
KR20010010965A KR1019990030129A KR19990030129A KR20010010965A KR 20010010965 A KR20010010965 A KR 20010010965A KR 1019990030129 A KR1019990030129 A KR 1019990030129A KR 19990030129 A KR19990030129 A KR 19990030129A KR 20010010965 A KR20010010965 A KR 2001001096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ii
group
type
gan
manufactu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301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진교
유태경
Original Assignee
구자홍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자홍,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구자홍
Priority to KR10199900301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0010965A/ko
Publication of KR200100109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10965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SDEVICES USING THE PROCESS OF LIGHT AMPLIFICATION BY STIMULATED EMISSION OF RADIATION [LASER] TO AMPLIFY OR GENERATE LIGHT; DEVICES USING STIMULATED EMISSION OF ELECTROMAGNETIC RADIATION IN WAVE RANGES OTHER THAN OPTICAL
    • H01S5/00Semiconductor lasers
    • H01S5/30Structure or shape of the active region; Materials used for the active region
    • H01S5/32Structure or shape of the active region; Materials used for the active region comprising PN junctions, e.g. hetero- or double- heterostructures
    • H01S5/323Structure or shape of the active region; Materials used for the active region comprising PN junctions, e.g. hetero- or double- heterostructures in AIIIBV compounds, e.g. AlGaAs-laser, InP-based laser
    • H01S5/32308Structure or shape of the active region; Materials used for the active region comprising PN junctions, e.g. hetero- or double- heterostructures in AIIIBV compounds, e.g. AlGaAs-laser, InP-based laser emitting light at a wavelength less than 900 nm
    • H01S5/32341Structure or shape of the active region; Materials used for the active region comprising PN junctions, e.g. hetero- or double- heterostructures in AIIIBV compounds, e.g. AlGaAs-laser, InP-based laser emitting light at a wavelength less than 900 nm blue laser based on GaN or GaP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104Forming layers
    • H01L21/02365Forming inorganic semiconducting materials on a substrate
    • H01L21/02518Deposited layers
    • H01L21/02521Materials
    • H01L21/02538Group 13/15 materials
    • H01L21/0254Nitri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SDEVICES USING THE PROCESS OF LIGHT AMPLIFICATION BY STIMULATED EMISSION OF RADIATION [LASER] TO AMPLIFY OR GENERATE LIGHT; DEVICES USING STIMULATED EMISSION OF ELECTROMAGNETIC RADIATION IN WAVE RANGES OTHER THAN OPTICAL
    • H01S5/00Semiconductor lasers
    • H01S5/20Structure or shape of the semiconductor body to guide the optical wave ; Confining structures perpendicular to the optical axis, e.g. index or gain guiding, stripe geometry, broad area lasers, gain tailoring, transverse or lateral reflectors, special cladding structures, MQW barrier reflection layers
    • H01S5/22Structure or shape of the semiconductor body to guide the optical wave ; Confining structures perpendicular to the optical axis, e.g. index or gain guiding, stripe geometry, broad area lasers, gain tailoring, transverse or lateral reflectors, special cladding structures, MQW barrier reflection layers having a ridge or stripe structure
    • H01S5/2205Structure or shape of the semiconductor body to guide the optical wave ; Confining structures perpendicular to the optical axis, e.g. index or gain guiding, stripe geometry, broad area lasers, gain tailoring, transverse or lateral reflectors, special cladding structures, MQW barrier reflection layers having a ridge or stripe structure comprising special burying or current confinement layers
    • H01S5/2206Structure or shape of the semiconductor body to guide the optical wave ; Confining structures perpendicular to the optical axis, e.g. index or gain guiding, stripe geometry, broad area lasers, gain tailoring, transverse or lateral reflectors, special cladding structures, MQW barrier reflection layers having a ridge or stripe structure comprising special burying or current confinement layers based on III-V material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Geometry (AREA)
  • Semiconductor Lasers (AREA)

Abstract

질화갈륨(GaN) 반도체 소자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p형의 질화갈륨(GaN)박막을 성장시킬 때 캐리어 가스(Carrier Gas)로 기존의 수소 대신 불활성 가스를 사용함으로써 도핑 물질과의 반응을 억제하여 높은 정공 농도를 갖게 하고 박막 성장후 후열처리 공정을 생략할 수가 있어 소자의 특성을 향상시키고 제조 단가를 낮출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Ⅲ-Ⅴ족 반도체 레이저 다이오드 제조방법{The manufacturing method of Ⅲ-Ⅴgroup compound semiconductor device}
본 발명은 화합물 반도체 소자에 관한 것으로, 특히 Ⅲ-Ⅴ족 질화갈륨(GaN) 반도체 레이저에 대한 것이다.
최근, 광 기록 매체의 기록 밀도를 높이기 위한 방법의 일환으로 단파장 레이저 다이오드에 대한 요구가 높아지고 있으며, 이러한 요구에 부응하여 실용화 단계에 가장 근접해 있는 레이저 다이오드 물질로 Ⅲ-Ⅴ족 화합물 반도체, 그 중에서도 질화갈륨(GaN)을 들 수 있는데 그 이유는 질화갈륨(GaN)이 안정된 열,화학적 특성 및 높은 광효율을 나타내기 때문이다.
그 동안 질화갈륨(GaN) 반도체에 대한 많은 연구가 진행되어 초기 연구 단계에 비해 비약적인 광특성의 향상을 이룩하였으나, 좀 더 안정되고 높은 신뢰성을 갖는 고품질의 광소자 제작을 위해서는 넘어야 할 기술적인 과제들이 산적해 있는 상황이다.
그 중 가장 큰 문제의 하나는 높은 정공농도(hole concentration)을 갖는 p형 질화갈륨(GaN)막을 제조하기가 쉽지 않다는 것이다. p형 질화갈륨(GaN)막 제조를 위해 사용되는 도핑물질(dopant)인 마그네슘(Mg)은 활성화 에너지가 높기 때문에 질화갈륨(GaN)막 내부에 많은 양을 도핑(doping)시켜도 도핑된 Mg과 동일한 농도의 정공농도(hole concentration)를 얻을 수 없는 것이 보통이다. 이처럼 Mg의 활성화 에너지가 높은 이유는 Mg이 캐리어 가스(Carrier gas)로 사용되는 수소(H2)와 결합하여 매우 안정된 복합체(complex)를 형성하기 때문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와 같이 기존의 소자 제조용 박막 성장에 많이 사용되는 MOCVD(Metal Organic Chemical Vapor Deposition)방법은 소스 물질(Source material)을 공급하는 캐리어 가스(Carrier gas)로 고순도이면서 화학적으로 안정된 수소(H2)를 주로 사용한다. 이 때 사용되는 수소(H2)는 막의 오염을 최소화시키고 소스물질과 불필요한 반응을 억제하는 장점이 있는 반면, 도핑 물질인 마그네슘(Mg)과 결합하여 복합체(complex)인 Mg-H를 형성하기 때문에 이러한 Mg-H 복합체의 결합을 제거하기 위해 막 성장이 끝난 후 활성화(activation) 과정이 필수적으로 필요하게 되며 이러한 활성화 과정을 거치더라도 높은 정공농도(hole concentration)를 얻기가 쉽지 않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캐리어 가스로 비활성 가스를 도입하여 도핑 물질인 마그네슘(Mg)과의 복합체 형성을 억제하여 p형 질화갈륨(GaN)막의 높은 정공농도를 얻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질화갈륨(GaN) 반도체 레이저 다이오드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질화갈륨(GaN)박막 성장시 일어나는 도핑 물질과 캐리어 가스와의 운동을 나타내는 도면
본 발명에 따른 Ⅲ-Ⅴ족 질화갈륨(GaN) 반도체 소자는 MOCVD(Metal Organic Chemical Vapor Deposition)법을 이용하여 질화갈륨(GaN)막을 성막할 때 사용되는 캐리어 가스로 비활성 가스인 질소(N2)를 도입함으로써 도핑 물질인 마그네슘(Mg)과 의 복합체 형성 반응을 최대한 억제하여 질화 갈륨(GaN)막이 높은 정공농도(hole concentration)를 갖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특징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질화갈륨(GaN) 반도체 소자의 제조 공정은 다음에서 상세히 기술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서 언급하는 Ⅲ-Ⅴ족 반도체 소자는 2원계 합금(binary alloy)인 질화갈륨(GaN)뿐 아니라 3원계 합금(ternary alloy)인 알루미늄 질화갈륨(AlGaN)도 포함하는 개념이며 주기율표상에서 Ⅲ족 원소와 Ⅴ족 원소가 최소한 하나 이상씩 포함되어 있는 화합물 형태의 반도체 물질이면 어느 것이든 적용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 말하는 Ⅲ-Ⅴ족 반도체 소자란 Ⅲ-Ⅴ족 반도체 막을 이용하는 레이저 다이오드, 발광 다이오드 등을 모두 포괄하는 개념이다.
여기서, 질화갈륨(GaN) 반도체 레이저 다이오드를 일 실시예로 하여 설명하면, 질화갈륨(GaN) 반도체 레이저 다이오드의 경우 도 1과 같이 사파이어(Al2O3) 기판 또는 실리콘 카바이드(SiC)기판위에 n형 GaN 전극층, n형 AlGaN/GaN 클래드층, 활성층, p형 AlGaN/GaN 클래드층, p형 GaN 전극층으로 이루어지게 되며 본 발명에서는 p형 GaN층 또는 p형 AlGaN층을 성막하는 공정에서 p형 도핑 물질인 마그네슘(Mg) 과 캐리어 가스(Carrier gas)와의 복합체 형성을 억제하기 위해 캐리어 가스(Carrier gas)로 불활성 가스(inert gas)인 질소(N2)를 사용한다. 여기서 캐리어 가스는 질소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고 불활성 가스라면 어느 것을 사용해도 관계없다. 도 2를 보면 본 발명에서 사용한 캐리어 가스(Carrier gas)인 질소(N2)의경우 일부는 마그네슘(Mg)과 질소 복합체(Mg-N)를 형성하지만 상당수는 반응하지 않고, 질소 복합체(Mg-N)의 경우에도 수소 복합체(Mg-H)에 비해 불안정하므로 질소와 마그네슘으로 다시 분리되기 쉽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해 성막된 p형 GaN층 또는 p형 AlGaN층의 경우 도핑 물질인 마그네슘(Mg)의 농도와 거의 동일한 농도의 정공 농도(hole concentration)을 얻을 수가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해 성막된 p형 GaN층 또는 p형 AlGaN층의 경우 높은 정공 농도를 얻을 수가 있으므로 별도의 후열처리 공정이 필요없게 된다.
즉, 위에서 언급한 종래 기술처럼 캐리어 가스로 수소를 사용할 경우 p형 GaN층 또는 p형 AlGaN층의 정공 농도를 얻기 어려워 성막후에 별도의 후열처리 공정에 의해 정공 농도를 높여주는 추가 공정이 필요했으나 본 발명의 경우 p형 GaN층 또는 p형 AlGaN층의 정공 농도가 충분히 높아 별도의 후열처리 공정이 필요없게 된다.
본 발명에 의해 성막된 p형 GaN층 또는 p형 AlGaN층의 경우 높은 정공 농도를 얻을 수가 있고 이에 따라 후열처리 공정이 필요없게 된다.
따라서, 제조 공정이 한층 간단해질 뿐 아니라 제조 단가도 낮출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기판 위에 n형 Ⅲ-Ⅴ족 화합물 반도체층과 p형 Ⅲ-Ⅴ족 화합물 반도체층을 포함하여 형성되는 Ⅲ-Ⅴ족 화합물 반도체 소자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상기 p형 Ⅲ-Ⅴ족 화합물 반도체층 형성시 소스 물질에 대한 캐리어 가스(carrier gas)로 비활성 가스(inert gas)를 사용함을 특징으로 하는 Ⅲ-Ⅴ족 화합물 반도체 소자의 제조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비활성 가스는 질소(N2)임을 특징으로 하는 Ⅲ-Ⅴ족 화합물 반도체 소자의 제조 방법
KR1019990030129A 1999-07-24 1999-07-24 Ⅲ-ⅴ족 반도체 레이저 다이오드 제조방법 KR2001001096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30129A KR20010010965A (ko) 1999-07-24 1999-07-24 Ⅲ-ⅴ족 반도체 레이저 다이오드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30129A KR20010010965A (ko) 1999-07-24 1999-07-24 Ⅲ-ⅴ족 반도체 레이저 다이오드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10965A true KR20010010965A (ko) 2001-02-15

Family

ID=196042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30129A KR20010010965A (ko) 1999-07-24 1999-07-24 Ⅲ-ⅴ족 반도체 레이저 다이오드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0010965A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96757A (ja) * 1992-06-10 1994-07-15 Nichia Chem Ind Ltd 窒化インジウムガリウム半導体の成長方法
JPH10150219A (ja) * 1996-11-15 1998-06-02 Toyoda Gosei Co Ltd 3族窒化物半導体レーザ素子
JPH10290048A (ja) * 1997-04-15 1998-10-27 Hitachi Ltd 化合物半導体の形成方法及び半導体装置
JPH11135885A (ja) * 1997-10-30 1999-05-2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半導体の製造方法及び半導体レーザ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96757A (ja) * 1992-06-10 1994-07-15 Nichia Chem Ind Ltd 窒化インジウムガリウム半導体の成長方法
JPH10150219A (ja) * 1996-11-15 1998-06-02 Toyoda Gosei Co Ltd 3族窒化物半導体レーザ素子
JPH10290048A (ja) * 1997-04-15 1998-10-27 Hitachi Ltd 化合物半導体の形成方法及び半導体装置
JPH11135885A (ja) * 1997-10-30 1999-05-2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半導体の製造方法及び半導体レーザ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875534B2 (en) Realizing N-face III-nitride semiconductors by nitridation treatment
US5432808A (en) Compound semicondutor light-emitting device
US6720570B2 (en) Gallium nitride-based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
JPH09199758A (ja) 低抵抗p型窒化ガリウム系化合物半導体の気相成長方法
JP2001230447A (ja) Iii族窒化物系化合物半導体素子の製造方法
US7863178B2 (en) Method for manufacturing a GaN based optical device
JP4345626B2 (ja) 半導体素子及びその製造方法。
JP3244980B2 (ja) 半導体素子の製造方法
US8154038B2 (en) Group-III nitride for reducing stress caused by metal nitride reflector
US20070015306A1 (en) Manufacturing method of P type group III nitride semiconductor layer and light emitting device
JP2003023179A (ja) p型III族窒化物半導体およびその作製方法および半導体装置およびその作製方法
JP3522610B2 (ja) p型窒化物半導体の製造方法
JPH03211888A (ja) 半導体発光素子及びその製造方法
KR20080070656A (ko) 실리콘 기판상에 고품질 반도체 발광 장치를 제조하는 방법
KR100664039B1 (ko) 질화물 반도체 소자 제조 방법
JP3176975B2 (ja) 薄膜の製造方法
JP2010093031A (ja) p型窒化ガリウム系半導体を作製する方法、窒化物系半導体素子を作製する方法、及びエピタキシャルウエハを作製する方法
JPH09186363A (ja) 半導体発光素子及びその製造方法
KR20010010965A (ko) Ⅲ-ⅴ족 반도체 레이저 다이오드 제조방법
JP2004193616A (ja) アンモニア前駆体を触媒と共に用いてGaAsN合金を含む化合物をMOCVD成長させるための方法と装置
JP4137223B2 (ja) 化合物半導体の製造方法
KR100519641B1 (ko) InAlGaN계 p-n 다이오드의 제조 방법
CN111128689B (zh) 极性控制方法、氮化物薄膜制备方法和氮化物薄膜
US6432847B1 (en) Method of activating P-type compound semiconductor by using lasers for reducing the resistivity thereof
KR20080062548A (ko) p형 ZnO층을 구비하는 발광다이오드 및 그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