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10550A - 휴대폰의 보조 표시부 구동 제어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휴대폰의 보조 표시부 구동 제어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10550A
KR20010010550A KR1019990029508A KR19990029508A KR20010010550A KR 20010010550 A KR20010010550 A KR 20010010550A KR 1019990029508 A KR1019990029508 A KR 1019990029508A KR 19990029508 A KR19990029508 A KR 19990029508A KR 20010010550 A KR20010010550 A KR 2001001055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unit
driving
mobile phone
call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295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05876B1 (ko
Inventor
박전만
허종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10199900295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05876B1/ko
Publication of KR200100105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105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058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05876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7/00Hinges or pivots of special construction
    • E05D7/04Hinges adjustable relative to the wing or the fram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3/00Hinges with pins
    • E05D3/02Hinges with pins with one pi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7/00Hinges or pivots of special construction
    • E05D7/0009Adjustable hinges
    • E05D7/0018Adjustable hinges at the hinge axi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RELATING TO HINGES OR OTHE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AND 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AND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Y2800/00Details, accessories and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5Y2800/40Protection
    • E05Y2800/404Protection against component faults or failure

Abstract

휴대폰의 보조 표시부를 통해 메시지 착신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휴대폰의 보조 표시부 구동 제어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 휴대폰의 보조 표시부 구동 제어장치는 상기 휴대폰의 소정의 위치에 장착되어 상기 휴대폰의 각종 동작상태를 나타내는 문자와 화상을 디스플레이하는 주 표시부와, 상기 휴대폰의 주 표시부와는 다른 위치에 장착되어 상기 주 표시부에 표시되는 각종 문자와 화상을 디스플레이하는 보조 표시부와, 상기 주 표시부와 보조 표시부로 각각 공급되는 표시부 구동 제어신호를 스위칭하는 표시부 스위칭부와, 상기 휴대폰에 메시지가 수신되는 상태라고 판단되면 상기 주 표시부와 보조 표시부에 디스플레이되는 정보를 미리 설정된 메시지 수신상태에 따라 선택하여 표시하도록 상기 표시부 스위칭부로 구동 제어신호를 공급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한다.

Description

휴대폰의 보조 표시부 구동 제어장치 및 방법{SUB-DISPLAY TASKING CONTROL DEVICE OF MOBILE PHONE AND METHOD THEREOF}
본 고안은 휴대폰에 관한 것으로, 특히 휴대폰의 보조 표시부를 통해 메시지 착신상태와 전화를 건 상대방의 전화번호를 확인할 수 있는 휴대폰의 보조 표시부 구동 제어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휴대폰은 일반 가입자간 양방향 전화통신을 제공하는 장치로 일반적으로 사용자가 휴대하고 다니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이와 같은 이유로 휴대폰은 사용자가 휴대하기 편리하도록 그 크기가 계속적으로 소형화되고 있는 추세이다. 따라서 많은 사용자들은 휴대폰을 사용자의 상의에 있는 주머니에 보관하거나 허리띠에 차고 다니는 경우가 많다.
휴대폰을 포함하는 무선단말기는 착신상태를 사용자에게 통보하는 방법으로, 진동모드일 경우, 바이브레이터를 이용하여 휴대폰에 진동이 가해져서 사용자가 진동을 촉각적인 느낌으로서 착신상태를 감지하거나, 알람모드일 경우, 알람장치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착신상태를 청각적으로 용이하게 알 수 있는 구성으로 되어 있었다.
그런데 상기한 바와 같이 종래의 기술에 따른 휴대폰은 사용자가 휴대폰을 사용자의 상의 주머니나 허리띠 등에 착용한 상태에서 휴대폰으로 착신된 메시지를 와 전화를 건 상대방의 전화번호를 확인하기 위하여 휴대폰을 상의 주머니나 허리띠 등으로부터 탈착하여 착신된 메시지를 확인하여야 하는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휴대폰을 사용자의 상의 주머니나 허리띠 등에 착용한 상태에서 휴대폰으로 착신된 메시지와 전화를 건 상대방의 전화번호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는 휴대폰의 보조 표시부 구동 제어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휴대폰의 보조 표시부 구동 제어장치에 있어서, 상기 휴대폰의 소정의 위치에 장착되어 상기 휴대폰의 각종 동작상태를 나타내는 문자와 화상을 디스플레이하는 주 표시부와, 상기 휴대폰의 주 표시부와는 다른 위치에 장착되어 상기 주 표시부에 표시되는 각종 문자와 화상을 디스플레이하는 보조 표시부와, 상기 주 표시부와 보조 표시부로 각각 공급되는 표시부 구동 제어신호를 스위칭하는 표시부 스위칭부와, 상기 휴대폰에 메시지가 수신되는 상태라고 판단되면 상기 주 표시부와 보조 표시부에 디스플레이되는 정보를 미리 설정된 메시지 수신상태에 따라 선택하여 표시하도록 상기 표시부 스위칭부로 구동 제어신호를 공급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가 적용되는 휴대폰의 블록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휴대폰의 보조 표시부 구동 제어 흐름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휴대폰의 보조 표시부 구동 제어 흐름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휴대폰의 보조 표시부에 메시지 정보가 표시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휴대폰의 사시도.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동일한 부호가 사용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흩트리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생략됨을 유의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가 적용되는 휴대폰(200)의 블록 구성도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도 1을 참조하면, 제어부(112)는 상기 휴대폰(2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듀플렉서(100)는 안테나(ANT)로부터 수신되는 무선신호를 수신하여 무선수신부(102)로 출력하며, 무선송신부(108)로부터 수신되는 송신 신호를 상기 안테나를 통해 출력한다. 상기 무선수신부(102)는 데이터 수신시 이를 제어부(112)로 출력하고, 통화모드시 수신되는 무선 음성신호를 음성처리부(104)로 출력한다. 주파수 합성부(106)는 상기 제어부(112)의 제어에 의해 수신 채널에 대응하여 수신 캐리어 신호를 제거하기 위한 캐리어 제거신호를 발생하여 상기 제어부(112)로 출력하며, 송신 캐리어 신호를 발생하여 상기 무선송신부(108)로 출력한다. 상기 무선송신부(108)는 통화모드시 상기 제어부(112)의 제어에 의해 상기 음성처리부(104)로부터 수신되는 음성신호와 상기 주파수 합성부(106)로부터 수신되는 캐리어 신호를 합성하여 상기 듀플렉서(100)로 출력한다. 상기 음성처리부(104)는 상기 무선수신부(102)로부터 수신되는 코드화된 음성을 복조하여 스피커폰부(107)를 통해 스피커폰 스피커(SPK)로 출력하며, 마이크(MIC)에 의해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된 사용자로부터의 음성신호를 상기 스피커폰부(107)를 통해 수신하고, 이를 코드화하여 상기 무선송신부(108)로 출력한다. 신호레벨검출부(105)는 발신측으로부터 수신되는 음성신호의 세기 및 착신측 가입자의 음성신호 세기를 검출하여 제어부(112)에 공급한다. 링신호 발생부(114)는 상기 제어부(112)의 제어에 의해 링신호 수신시 링거음을 출력한다. 메모리부(110)는 상기 제어부(112)의 제어시 필요한 제어 데이터를 저장하고 있는 프로그램이 내장되어 있는 롬과, 각종 전화번호 및 이름 등을 저장하는 불휘발성 메모리와, 상기 프로그램 제어시 발생되는 데이터를 임시로 저장하여 처리하는 램으로 구성된다. 키입력부(122)는 착신을 수행하여 통화를 시작하기 위한 통화 형성키, 통화를 종료하기 위한 통화 종료키 및 다이얼링을 위한 기능키 등을 구비하며, 사용자가 입력하는 키에 대응하는 키입력 신호를 발생하여 상기 제어부(112)로 출력한다. 표시부 스위칭부(116)는 제어부(112)로부터 공급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주 표시부(118)와 보조 표시부(120)로 공급되는 제어신호를 스위칭한다. 상기 주 표시부(118)는 상기 제어부(112)의 제어에 따라 상기 휴대폰(200)의 각종 동작상태 등을 나타내는 문자 또는 화상을 LCD(Liquid Crystal Display)로 표시한다. 상기 보조 표시부(120)의 구동에 따라 디스플레이되는 과정은 상기 주 표시부(118)의 디스플레이되는 과정과 같다. 즉, 상기 보조 표시부(120)는 상기 제어부(112)의 제어에 따라 상기 휴대폰(200)의 각종 동작상태 등을 나타내는 문자 또는 화상을 LCD(Liquid Crystal Display)로 표시한다. 여기서 상기 보조 표시부(120)를 통해 디스플레이되는 정보는 상기 주 표시부(118)에 표시되는 정보가운데 전부 또는 일부를 선택하여 표시할 수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상기 보조 표시부(12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폰(200)의 상단에 형성시킬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휴대폰(200)의 하단에 형성시킬 수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상기 보조 표시부(120)의 화면은 휴대폰(200)의 형상과 크기에 따라 다양한 설계변경이 가능함에 유의해야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휴대폰(200)의 보조 표시부(120) 구동 제어를 위한 휴대폰(200)에서의 동작제어 흐름도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도 2의 흐름도에 따른 동작은 상기 도 1의 제어부(112)에 의해 수행되도록 메모리부(110)에 프로그램한다. 이하 상기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휴대폰(200)의 전원이 "온"된 상태에서 휴대폰(200)의 제어부(112)는 상기 도 2의 (201)단계에서 무선 수신부(102)를 통해 휴대폰(200)의 호출상태를 판단한다. 상기 제어부(112)는 (201)단계에서 휴대폰의 호출된 상태라고 판단되면 (202)단계로 진행하여 호출종류를 검사한다. 이어 제어부(112)는 (203)단계에서 메시지 호출일 경우라고 판단되면 (204)단계로 진행하여 표시부 스위칭부(116)로 구동 제어신호를 공급한다. 이때 주 표시부(118)와 보조 표시부(120)는 상기 표시부 스위칭부(116)를 통해 공급되는 구동 제어신호에 따라 구동"온"된다. 상기와 같은 동작에 따라 (105)단계에서 주 표시부(118)와 보조 표시부(120)에 메시지 호출에 따른 정보가 디스플레이된다. 상기 제어부(112)는 (106)단계에서 키입력부(122)를 통해 메시지 호출 확인 완료 여부를 판단하며, 메시지 호출 확인 완료된 상태라고 판단되면, (207)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제어부(112)는 (207)단계에서 표시부 스위칭부(116)로 구동 제어신호를 공급한다. 이때 주 표시부(118)와 보조 표시부(120)는 상기 표시부 스위칭부(116)를 통해 공급되는 구동 제어신호에 따라 각각 구동"온"상태와 구동 "오프"상태로 전환된다. 상기 제어부(112)는 전술한 (206)단계에서 메시지 호출 확인 완료가 안된 상태라고 판단되면 (205)단계로 점프하여 전술한 일련의 과정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12)는 (208)단계에서 통화 호출일 경우라고 판단되면 (209)단계로 진행하여 표시부 스위칭부(116)로 구동 제어신호를 공급한다. 이때 주 표시부(118)와 보조 표시부(120)는 상기 표시부 스위칭부(116)를 통해 공급되는 구동 제어신호에 따라 각각 구동"온"상태와 구동"오프"상태로 된다. 상기와 같은 동작에 따라 (210)단계에서 주 표시부(118)에만 통화 호출에 따른 정보가 디스플레이된다. 예를 들면, 메시지의 착신상태와 착신되는 메시지의 종류 및 전화를 건 상대방의 전화번호 등의 정보가 디스플레이된다. 상기 제어부(112)는 (211)단계에서 키입력부(122)를 통해 통화 종료 여부를 판단하며, 통화 종료된 상태라고 판단되면, 대기 모드상태로 전환된다. 상기 제어부(112)는 전술한 (211)단계에서 통화 종료가 안된 상태라고 판단되면 (210)단계로 점프하여 전술한 일련의 과정을 수행한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제1실시예에 관해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설계변경이 가능함은 당해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자명하다 할 것이다.
상기한 제1실시예에서는 휴대폰(200)에 호출이 있는 경우 휴대폰(200)의 보조 표시부(120)를 통해 메시지 착신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휴대폰(200)의 보조 표시부(120) 구동 제어방법에 관한 것을 설명하였으나, 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사용자가 메모리부(110)에 저장된 보조 표시부 구동 설정 모드를 별도로 부가된 보조 표시부 제어기능키를 선택하여 보조 표시부(120)의 구동 제어기능을 선택할 수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여기서 도 1과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제어부(112)는 (301)단계에서 보조 표시부 제어기능키를 통해 보조 표시부 제어기능이 선택되었다고 판단되면, (302)단계로 진행하여 보조 표시부 구동 설정모드 선택 여부를 판단한다. 상기 제어부(112)는 (302)단계에서 보조 표시부 구동 설정모드로 선택되었다고 판단되면 (303)단계로 진행하여 표시부 스위칭부(116)로 구동 제어신호를 공급한다. 이때 보조 표시부(120)는 상기 표시부 스위칭부(116)를 통해 공급되는 구동 제어신호에 따라 구동"온"상태로 된다. 상기와 같은 동작에 따라 보조 표시부(120)에는 통화 호출에 따른 정보가 디스플레이된다. 또한 상기 제어부(112)는 (302)단계에서 보조 표시부 구동 설정모드로 선택되지 않았다고 판단되면 (304)단계로 진행하여 보조 표시부 구동 해제모드 선택 여부를 판단한다. 상기 제어부(112)는 (304)단계에서 보조 표시부 구동 해제모드로 선택되었다고 판단되면 (305)단계로 진행하여 표시부 스위칭부(116)로 구동 제어신호를 공급한다. 이때 보조 표시부(120)는 상기 표시부 스위칭부(116)를 통해 공급되는 구동 제어신호에 따라 구동"오프"상태로 되며, 대기 모드상태로 전환된다. 상기 제어부(112)는 전술한 (304)단계에서 보조 표시부 구동 해제모드가 선택되지 않았다고 판단되면 (302)단계로 점프하여 전술한 일련의 과정을 수행한다.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기술적 구성 및 방법의 구현 예까지를 청구범위로 할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폰의 보조 표시부 구동 제어장치 및 방법은 보조 표시부를 통해 휴대폰으로 착신되는 메시지와 전화를 건 상대방의 전화번호를 용이하게 확인 할 수 있으며, 특히 사용자가 휴대폰을 사용자의 상의 주머니나 허리띠 등에 착용한 상태에서 휴대폰으로 착신된 메시지를 보조 표시부를 통해 표시함으로써 사용자가 보다 용이하게 착신된 메시지를 확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8)

  1. 휴대폰의 보조 표시부 구동 제어장치에 있어서,
    상기 휴대폰의 소정의 위치에 장착되어 상기 휴대폰의 각종 동작상태를 나타내는 문자와 화상을 디스플레이하는 주 표시부와,
    상기 휴대폰의 주 표시부와는 다른 위치에 장착되어 상기 주 표시부에 표시되는 각종 문자와 화상을 디스플레이하는 보조 표시부와,
    상기 주 표시부와 보조 표시부로 각각 공급되는 표시부 구동 제어신호를 스위칭하는 표시부 스위칭부와,
    상기 휴대폰에 메시지가 수신되는 상태라고 판단되면 상기 주 표시부와 보조 표시부에 디스플레이되는 정보를 미리 설정된 메시지 수신상태에 따라 선택하여 표시하도록 상기 표시부 스위칭부로 구동 제어신호를 공급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의 보조 표시부 구동 제어장치.
  2. 상기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표시부의 구동 제어기능을 선택하여 상기 보조 표시부에 디스플레이되는 정보의 표시 유무를 선택하기 위한 선택키 신호를 상기 제어부로 공급하는 보조 표시부 제어기능키를 더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의 보조 표시부 구동 제어장치.
  3. 주 표시부, 보조 표시부를 가지는 휴대폰의 보조 표시부 구동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휴대폰의 호출상태를 판단하여 메시지 호출과 통화 호출종류를 검사하는 과정과,
    상기 검출된 호출종류에 따라 상기 주 표시부와 보조 표시부에 디스플레이되는 정보를 미리 설정된 메시지 수신상태에 따라 선택하여 표시하도록 상기 주 표시부 또는 상기 보조 표시부의 구동을 선택하여 제어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의 보조 표시부 구동 제어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된 호출종류가 메시지 호출일 경우라고 판단되면 상기 주 표시부와 보조 표시부로 각각의 구동 제어신호를 공급하여 상기 주 표시부와 보조 표시부에 정보를 표시하도록 구동"온"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의 표시부 구동 제어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된 메시지 호출의 확인이 완료된 상태라고 판단되면 상기 주 표시부와 보조 표시부로 각각의 구동 제어신호를 선택적으로 공급하여 상기 주 표시부에만 정보를 표시하도록 상기 주 표시부와 보조 표시부의 구동상태를 각각 구동"온"상태와 구동 "오프"상태로 전환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의 표시부 구동 제어방법.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된 호출종류가 통화 호출일 경우라고 판단되면 주 표시부와 보조 표시부로 각각의 구동 제어신호를 공급하여 상기 주 표시부에만 통화 호출에 따른 정보가 디스플레이되도록 상기 주 표시부를 구동"온"상태로 하며, 보조 표시부는 구동"오프"상태로 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의 표시부 구동 제어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된 통화 호출이 종료된 상태라고 판단되면 표시부 스위칭부로 구동 제어신호를 공급하여 상기 주 표시부에만 정보가 디스플레이되도록 상기 주 표시부와 보조 표시부의 구동상태를 각각 구동"온"상태와 구동 "오프"상태로 전환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의 표시부 구동 제어방법.
  8. 주 표시부, 보조 표시부, 표시부 스위칭부, 보조 표시부 제어기능키를 가지는 휴대폰의 보조 표시부 구동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보조 표시부 제어기능키를 통해 보조 표시부 구동 설정모드와 보조 표시부 구동 해제모드의 제어기능을 선택하는 과정과,
    상기 휴대폰의 호출상태를 판단하여 메시지 호출과 통화 호출종류를 검사하는 과정과,
    상기 검출된 보조 표시부 구동모드와 호출종류에 따라 상기 보조 표시부 구동이 설정된 상태에서 검출되는 호출종류에 따라 상기 표시부 스위칭부로 구동 제어신호를 공급하여 상기 주 표시부와 보조 표시부의 구동을 선택 제어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의 보조 표시부 구동 제어방법.
KR1019990029508A 1999-07-21 1999-07-21 휴대폰의 보조 표시부 구동 제어장치 및 방법 KR1006058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29508A KR100605876B1 (ko) 1999-07-21 1999-07-21 휴대폰의 보조 표시부 구동 제어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29508A KR100605876B1 (ko) 1999-07-21 1999-07-21 휴대폰의 보조 표시부 구동 제어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10550A true KR20010010550A (ko) 2001-02-15
KR100605876B1 KR100605876B1 (ko) 2006-08-01

Family

ID=196032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29508A KR100605876B1 (ko) 1999-07-21 1999-07-21 휴대폰의 보조 표시부 구동 제어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05876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35403A (ko) * 2001-02-10 2001-05-07 양준영 휴대용 무선통신기기 폴더형의 보조 표시창.
KR100365852B1 (ko) * 2000-08-17 2002-12-26 삼성전자 주식회사 듀얼 엘씨디를 가진 휴대 전화기
KR100438010B1 (ko) * 2000-09-25 2004-07-01 산요덴키가부시키가이샤 폴더식 통신단말장치 및 정보표시방법
KR100789801B1 (ko) * 2001-07-07 2007-12-28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의 이미지 표시 방법 및 이를 위한 이동통신 단말기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65852B1 (ko) * 2000-08-17 2002-12-26 삼성전자 주식회사 듀얼 엘씨디를 가진 휴대 전화기
KR100438010B1 (ko) * 2000-09-25 2004-07-01 산요덴키가부시키가이샤 폴더식 통신단말장치 및 정보표시방법
KR20010035403A (ko) * 2001-02-10 2001-05-07 양준영 휴대용 무선통신기기 폴더형의 보조 표시창.
KR100789801B1 (ko) * 2001-07-07 2007-12-28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의 이미지 표시 방법 및 이를 위한 이동통신 단말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05876B1 (ko) 2006-08-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933783A (en) Portable terminal
US6547620B1 (en) Communication apparatus, memory medium and method
KR20000062086A (ko) 휴대폰에서 스피커폰 모드시 음성신호의 송/수신 상태 표시방법
JPH09191491A (ja) セルラー/phs携帯電話装置
KR100605876B1 (ko) 휴대폰의 보조 표시부 구동 제어장치 및 방법
JPH07143555A (ja) 無線選択呼出機能付き携帯電話機
KR100594015B1 (ko) 휴대폰의 보조 표시부 구동 제어장치 및 방법
KR20010010775A (ko) 휴대폰의 진동모드 제어방법
KR100506246B1 (ko) 통신단말기의발신자이름을포함한발신자정보표시방법
KR20010017204A (ko) 휴대폰의 착신음 음량 레벨 제어방법
JPH10285258A (ja) 携帯電話端末
JPH08204811A (ja) 携帯電話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GB2340338A (en) A telephone arranged to generate a waiting message
KR100584362B1 (ko) 무선통신 단말기에서 수신상태 뮤트방법
JP4152873B2 (ja) 携帯電話機
KR20040080650A (ko) 휴대폰
KR100360897B1 (ko) 메모리응답기능을 이용한 무음통화 이동전화기
KR100834624B1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숫자/문자 변환키 이용 방법
KR200193130Y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호출신호 수신장치
JP3296778B2 (ja) 電話機
KR20040093315A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자동 긴급수신모드 구현 방법
KR101176661B1 (ko) 이어폰 키를 이용한 호 발신 제어 장치 및 방법
KR20020011723A (ko) 이동 통신 단말의 키입력 제어방법
JPH11168531A (ja) 簡易型携帯電話機とその着信表示方法
KR19980073394A (ko) 무선전화기에서 사용 상태 표시 회로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2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29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