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10484A - 영상표시기기의 수평·수직크기·위치 자동 조절 장치 및 그방법 - Google Patents

영상표시기기의 수평·수직크기·위치 자동 조절 장치 및 그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10484A
KR20010010484A KR1019990029388A KR19990029388A KR20010010484A KR 20010010484 A KR20010010484 A KR 20010010484A KR 1019990029388 A KR1019990029388 A KR 1019990029388A KR 19990029388 A KR19990029388 A KR 19990029388A KR 20010010484 A KR20010010484 A KR 2001001048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rizontal
size
vertical
input
optic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293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88138B1 (ko
Inventor
김국원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10199900293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88138B1/ko
Publication of KR200100104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104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881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88138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3/00Scanning 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Combination thereof with generation of supply voltages
    • H04N3/10Scanning 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Combination thereof with generation of supply voltages by means not exclusively optical-mechanical
    • H04N3/16Scanning 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Combination thereof with generation of supply voltages by means not exclusively optical-mechanical by deflecting electron beam in cathode-ray tube, e.g. scanning corrections
    • H04N3/22Circuits for controlling dimensions, shape or centering of picture on scree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01Conversion of standards, e.g. involving analogue television standards or digital television standards processed at pixel level
    • H04N7/0117Conversion of standards, e.g. involving analogue television standards or digital television standards processed at pixel level involving conversion of the spatial resolution of the incoming video signal
    • H04N7/0122Conversion of standards, e.g. involving analogue television standards or digital television standards processed at pixel level involving conversion of the spatial resolution of the incoming video signal the input and the output signals having different aspect ratio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영상표시기기의 수평·수직 크기·위치 자동 조절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화면상에 풀화이트 패턴을 표시하는 준비과정(S10) ; 영상표시영역 대각선 모서리 부분에 풀화이트 화면이 표시되는가를 감지하기 위해 설치된 두개의 광센서(Sensor1, Sensor2)로부터 광신호가 입력되는가를 판단하는 감지과정(S20) ; 수직크기를 최대로 키운 상태에서 수평크기 및 수평위치를 단계적으로 가변시켜, 상기 광신호의 입력/비입력 경계점을 탐색하는 수평경계점 탐색과정(S30) ; 수평크기를 최대로 키운 상태에서 수직크기 및 수직위치를 단계적으로 가변시켜, 상기 광신호의 입력/비입력 경계점을 탐색하는 수직경계점 탐색과정(S40) ; 상기 수평경계점 탐색과정(S30) 및 수직경계점 탐색과정(S40)에서 탐색된 수평크기의 경계점와, 수평위치의 경계점, 수직크기의 경계점, 및 수직위치의 경계점이 적용된 화면을 표시하는 표시과정(S50)으로 제어되어,
영상표시기기 모서리 부분에 부착된 광센서의 광신호에 의해 제어수단이 수평·수직크기 및 위치을 자동 조절하므로써, 비디오카드로부터 어떠한 영상신호가 입력되더러도 사용자가 바르게 조정된 영상을 볼 수 있다는 데 그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영상표시기기의 수평·수직 크기·위치 자동 조절 장치 및 그 방법{Apparatus and method of autometically controling hotizontal·vertical size·position of a display system}
본 발명은 영상표시기기의 수평·수직 크기·위치 자동 조절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감지수단을 통해 수평크기와, 수평위치, 수직크기 및 수직위치가 화면상에 제대로 표시되는지를 감지하여 제어수단이 자동으로 조절하도록 하는 영상표시기기의 수평·수직 크기·위치 자동 조절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영상표시기기에 사용되는 음극선관(CRT)은 영상신호의 세기에 따라 각기 다른 양의 전자 빔이 모니터의 표면에 입혀진 단색 또는 R·G·B(적·녹·청)의 형광 물질을 때려 각기 다른 밝기나 색깔의 빛을 내게 만드는 원리를 이용한 것으로서, 가격이나 표시 성능면에서 우수하기 때문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즉, 음극선관(CRT) 영상표시기기는 컴퓨터 시스템의 비디오카드로부터 수신되는 R·G·B 영상신호의 이득을 가변하여 화이트 밸런스(White Balance)를 조절하고, 화면의 밝은 면과 어두운 면의 대비가 명확하게 나타나도록 명암(Contrast)을 조절하며, 화상에 대한 밝기 정보를 나타내는 밝기(Brightness)를 조절하여, 전자총을 통해 나오는 전자빔을 음극선관(CRT) 면상의 형광체에 주사하여 발광시키므로써 영상을 재현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이다.
이때 상기 비디오카드에서 지원하는 모드에 따라 수평 주파수와 수직 주파수가 다른데, 특히 다양한 모드를 지원하는 비디오카드(예컨데 VGA 와 SVGA 및 고해상도 전용 모드를 지원하는 비디오카드)를 모니터에 탑재한다면, 각 모드의 수평 주파수가 갖는 범위는 약 30∼100KHz 정도가 된다.
이에 따라 영상표시기기는 컴퓨터 시스템으로부터 수신된 수평·수직 동기신호의 주파수에 따라 모드를 절환하여 비디오카드로부터 수신된 영상신호를 화면상에 디스플레이한다.
그러나 생상 공정에서 수평크기, 수평위치, 수직크기, 수직위치가 정확히 조절된 영상표시기기라 할지라도 비디오카드로부터 수신되는 영상신호의 정보에 따라 영상신호의 크기나 모양이 틀어질 수 있다.
따라서 종래의 음극선관 영상표시기기는 사용자의 키입력에 따라 수평크기와 수평위치, 수지크기, 및 수직위치를 조절하도록 되어 있다.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중모드 영상표시기기에서는 파라미터 조정이 대부분 제어수단(40)에 의해 제어되는데, 즉 사용자가 키입력수단(30)을 통해 파라미터를 선택하여 변환값을 입력하면, 상기 제어수단(40)은 이를 감지하여 각 회로에 해당 제어신호를 출력한다.
예컨데, 사용자가 수평크기를 조절하기 위해 키입력을 하면, 제어수단(40)이 이를 감지하여 수평크기 제어신호를 수평편향회로(10)에 출력하고, 상기 수평편향회로(10)는 수평크기 제어신호에 의해 수평편향코일에 흐르는 톱니파전류의 크기 및 방향을 변화시켜 수평크기를 조절한다.
이에 따라 수평크기와 수평위치, 수직크기 및 수직위치가 조절된 음극선관(CRT) 화면상 영상이 재현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종래의 다중모드 영상표시기기는 사용자의 키입력에 의해 제어수단(40)이 수평크기, 수평위치, 수직크기, 수직위치를 조정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수평·수직 편향회로에 공급하는 바, 파라미터 조정이 번거로울 뿐만 아니라 조정 시간이 많이 소요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감지수단을 통해 수평크기와, 수평위치, 수직크기 및 수직위치가 화면상에 제대로 표시되는지를 감지하여 제어수단이 자동으로 조절하도록 하는 영상표시기기의 수평·수직 크기·위치 자동 조절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영상표시기기의 수평·수직 크기·위치 자동 조절장치는,
수평크기 제어신호와 수평위치 제어신호에 의해 수평편향코일에 흐르는 톱니파전류의 크기 및 방향을 가변시켜 수평크기와 수평위치를 조절하는 수평편향회로 ;
수직크기 제어신호와 수직위치 제어신호에 의해 수직편향코일에 흐르는 톱니파전류의 크기 및 방향을 가변시켜 수직크기와 수직위치를 조절하는 수직편향회로 ;
화면의 수평크기와, 수평위치, 수직크기 및 수직위치가 화면상에 제대로 표시되는지를 감지하는 감지수단 ;
상기 감지수단에 의해 감지된 정보에 의해 상기 수평편향회로 또는 수직편향회로에 수평크기 제어신호와, 수평위치 제어신호, 수직크기 제어신호, 및 수직위치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수단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영상표시기기의 수평·수직 크기·위치 자동 조절방법은,
화면상에 풀화이트 패턴을 표시하는 준비과정 ;
영상표시영역 대각선 모서리 부분에 풀화이트 화면이 표시되는가를 감지하기 위해 설치된 두개의 광센서로부터 광신호가 입력되는가를 판단하는 감지과정 ;
수직크기를 최대로 키운 상태에서 수평크기 및 수평위치를 단계적으로 가변시켜, 상기 광신호의 입력/비입력 경계점을 탐색하는 수평경계점 탐색과정 ;
수평크기를 최대로 키운 상태에서 수직크기 및 수직위치를 단계적으로 가변시켜, 상기 광신호의 입력/비입력 경계점을 탐색하는 수직경계점 탐색과정 ;
상기 수평경계점 탐색과정 및 수직경계점 탐색과정에서 탐색된 수평크기의 경계점와, 수평위치의 경계점, 수직크기의 경계점, 및 수직위치의 경계점이 적용된 화면을 표시하는 표시과정으로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 은 일반적인 음극선관 영상표시기기를 도시한 블럭도,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영상표시기기의 수평·수직 크기·위치 자동 조절장치를 도시한 블럭도,
도 3 은 화면 표시 영역의 대각선 모서리 부분에 광센서가 부착된 본 발명에 따른 영상표시기기를 도시한 도면,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영상표시기기의 수평·수직 크기·위치 자동 조절방법을 도시한 흐름도,
도 5 는 본 발명의 방법에 따라 수평크기, 수평위치, 수직크기, 및 수직위치가 화면상에 표시되는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명칭 *
10 : 수평편향회로 20 : 수직편향회로
30 : 감지수단 40 : 제어수단
50 : 비디오카드 60 : 비디오앰프
70 : 비디오출력앰프 Sensor1, Sensor2 : 광센서1, 광센서2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영상표시기기의 수평·수직 크기·위치 자동 조절장치 및 그 방법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영상표시기기의 수평·수직 크기·위치 자동 조절장치를 도시한 블럭도이고,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영상표시기기의 수평·수직 크기·위치 자동 조절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영상표시기기의 수평·수직 크기·위치 자동 조절장치는, 수평크기 제어신호와 수평위치 제어신호에 의해 수평편향코일에 흐르는 톱니파전류의 크기 및 방향을 가변시켜 수평크기와 수평위치를 조절하는 수평편향회로 (10) ; 수직크기 제어신호와 수직위치 제어신호에 의해 수직편향코일에 흐르는 톱니파전류의 크기 및 방향을 가변시켜 수직크기와 수직위치를 조절하는 수직편향회로(20) ; 화면의 수평크기와, 수평위치, 수직크기 및 수직위치가 화면상에 제대로 표시되는지를 감지하는 감지수단(30) ; 상기 감지수단(30)에 의해 감지된 정보에 의해 상기 수평편향회로 또는 수직편향회로에 수평크기 제어신호와, 수평위치 제어신호, 수직크기 제어신호, 및 수직위치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수단(40)으로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감지수단(30)은, 영상표시영역의 대각선 모서리 부분에 부착된 두개의 광센서(sensor1, sensor2)로 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영상표시기기의 수평·수직 크기·위치 자동 조절방법은, 화면상에 풀화이트 패턴을 표시하는 준비과정(S10) ; 영상표시영역 대각선 모서리 부분에 풀화이트 화면이 표시되는가를 감지하기 위해 설치된 두개의 광센서(Sensor1, Sensor2)로부터 광신호가 입력되는가를 판단하는 감지과정(S20) ; 수직크기를 최대로 키운 상태에서 수평크기 및 수평위치를 단계적으로 가변시켜, 상기 광신호의 입력/비입력 경계점을 탐색하는 수평경계점 탐색과정(S30) ; 수평크기를 최대로 키운 상태에서 수직크기 및 수직위치를 단계적으로 가변시켜, 상기 광신호의 입력/비입력 경계점을 탐색하는 수직경계점 탐색과정(S40) ; 상기 수평경계점 탐색과정(S30) 및 수직경계점 탐색과정(S40)에서 탐색된 수평크기의 경계점와, 수평위치의 경계점, 수직크기의 경계점, 및 수직위치의 경계점이 적용된 화면을 표시하는 표시과정(S50)으로 제어된다.
여기서 상기 수평경계점 탐색과정(30)은, 수직 크기를 최대로 키우는 수평탐색 준비과정(S31) ; 상기 두개의 광센서로부터 광신호가 입력되가를 판단하는 수평탐색 감지과정(S32) ; 상기 수평탐색 감지과정(S32)에서 두개의 광센서로부터 광신호가 모두 입력되지 않았으면, 한개의 광센서로부터 광신호가 입력되거나 또는 두개의 광센서로부터 광신호가 모두 입력될 때까지 수평크기를 한단계씩 증가시키는 수평크기 증가과정(S33) ; 상기 수평크기 증가과정(S33)에서 한개의 광센서로부터 광신호가 입력되었으면, 다른 광센서의 설치 방향으로 수평위치를 한단계 이동시키고 상기 수평크기 증가과정(S33)으로 분기하는 수평위치 조절과정(S34) ; 상기 수평크기 증가과정(S33)에서 두개의 광센서로부터 광신호가 모두 입력되었으면, 이 상태에서의 수평크기와 수평위치를 경계점으로 설정하는 수평경계점 설정과정(S35) ; 상기 수평탐색 감지과정(S32)에서 두개의 광센서로부터 광신호가 모두 입력되었으면, 두개의 광센서로부터 광신호가 모두 입력되지 않거나 또는 한개의 광센서로부터 광신호가 입력될 때까지 수평크기를 한단계씩 감소시키는 수평크기 감소과정(36) ; 상기 수평크기 감소과정(S36)에서 한개의 광센서로부터 광신호가 입력되었으면, 다른 광센서의 설치 방향으로 수평위치를 한단계 이동시키고 상기 수평크기 감소과정(S36)으로 분기하는 수평위치 조절과정(S37) ; 상기 수평크기 감소과정(S36)에서 두개의 광센서로부터 광신호가 모두 입력되지 않았으면, 수평크기를 한단계 증가시키고 이 상태에서의 수평크기와 수평위치를 경계점으로 설정하는 수평경계점 설정과정(S38) ; 상기 수평탐색 감지과정(S32)에서 한개의 광센서로부터 광신호가 입력되었으면, 두개의 광센서로부터 광신호가 모두 입력되지 않거나 또는 모두 입력될 때까지 다른 광센서의 설치 방향으로 수평위치를 한단계씩 이동시켜, 두개의 광센서로부터 광신호가 모두 입력되지 않으면 상기 수평크기 증가과정(S33)으로 분기하고, 두개의 광센서로부터 광신호가 모두 입력되면 수평크기 감소과정(S36)으로 분기하는 수평위치 조절과정(S39)으로 제어된다.
먼저, 비디오카드(50)로부터 영상신호가 수신되면 제어수단(40)은 풀화이트(Full-White) 패턴을 화면에 표시한다(S10).
이때 영상표시영역 대각선 모서리 부분에 풀화이트 화면이 표시되는가를 감지하기 위해,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영상표시영역의 대각선 모서리 부분에 각각 광센서(Sensor1, Sensor2)가 부착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제어수단(40)은 상기 광센서(Sensor1, Sensor2)로부터 광신호가 입력되었는가를 감지한다(S20).
도 5a, 5b, 5c, 5d 를 참조하여 상기 광센서(Sensor1, Sensor2)의 입력상태 즉, 영상표시영역에 표시되는 풀화이트 패턴 상태에 따라 본발명의 수평경계점 탐색과정(S30)을 자세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상태 a.
도 5a(가)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영상표시영역에 풀화이트 패턴이 표시되면(S10), (나)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 크기를 최대로 키우고(S31), 두개의 광센서(Sensor1, Sensor2)로부터 광신호가 입력되는가를 판단한다(S32).
이때 (나)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개의 광센서(Sensor1, Sensor2)로부터 광신호가 모두 입력되지 않으므로, 한개의 광센서로부터 광신호가 입력되거나 또는 두개의 광센서로부터 광신호가 모두 입력될 때까지 수평크기를 한단계씩 증가시킨다(S33).
수평크기가 (다)에 도시된 바와 같이 증가하여 한개의 광센서(Sensor1)로부터 광신호가 입력되면, (라)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른 광센서(Sensor2)의 설치 방향으로 수평위치를 한단계 이동시키고, 상기 수평크기 증가과정(S33)으로 분기한다(S34).
이때 한개의 광센서로부터 광신호가 입력되거나 또는 두개의 광센서로부터 광신호가 모두 입력될 때까지 수평크기를 한단계씩 증가시키는데(S33), 수평크기가 (마)에 도시된 바와 같이 증가하여 두개의 광센서(Sensor1, Sensor2)로부터 광신호가 모두 입력되면, 이 상태에서의 수평크기와 수평위치를 경계점으로 설정한다(S35).
상태 b.
도 5b(가)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영상표시영역에 풀화이트 패턴이 표시되면(S10), (나)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크기를 최대로 증가시키고(S31), 두개의 광센서(Sensor1, Sensor2)로부터 광신호가 입력되는가를 판단한다(S32).
이때 (나)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개의 광센서(Sensor1, Sensor2)로부터 광신호가 모두 입력되므로, 두개의 광센서로부터 광신호가 모두 입력되지 않거나 또는 한개의 광센서로부터 광신호가 입력될 때까지 수평크기를 한단계씩 감소시킨다(S36).
이에 따라 수평크기가 (다)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감소하여 한개의 광센서(Sensor1)로부터 광신호가 입력되면, (라)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른 광센서(Sensor2)의 설치 방향으로 수평위치를 한단계 이동시키고 상기 수평크기 감소과정(S36)으로 분기한다(S37).
이때 두개의 광센서로부터 광신호가 모두 입력되지 않거나 또는 한개의 광센서로부터 광신호가 입력될 때까지 수평크기를 한단계씩 감소시키는데(S36), 이때 수평크기가 (마)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감소하여 두개의 광센서(Sensor1, Sensor2)로부터 광신호가 모두 입력되지 않았으면, (바)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크기를 한단계 증가시키고 이 상태에서의 수평크기와 수평위치를 경계점으로 설정한다(S38).
상태 c.
도 5c(가)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영상표시영역에 풀화이트 패턴이 표시되면(S10), (나)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크기를 최대로 증가시키고(S31), 두개의 광센서(Sensor1, Sensor2)로부터 광신호가 입력되는가를 판단한다(S32).
이때 (나)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개의 광센서(Sensor1)로부터 광신호가 입력되므로, 두개의 광센서로부터 광신호가 모두 입력되지 않거나 또는 두개의 광센서로부터 광신호가 모두입력될 때까지 다른 광센서(Sensor2)의 설치 방향으로 수평위치를 한단계씩 이동시키다.
수평위치가 (다)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하여 두개의 광센서(Sensor1, Sensor2)로부터 광신호가 모두 입력되지 않으면 상기 수평크기 증가과정(S33)으로 분기한다(S39).
이에 따라 한개의 광센서로부터 광신호가 입력되거나 또는 두개의 광센서로부터 광신호가 모두 입력될 때까지 수평크기를 한단계씩 증가시키는데(S33), 수평크기가 (라)에 도시된 바와 같이 증가하여 한개의 광센서(Sensor1)로부터 광신호가 입력되면, (마)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른 광센서(Sensor2)의 설치 방향으로 수평위치를 한단계 이동시키고, 상기 수평크기 증가과정(S33)으로 분기한다(S34).
이때 한개의 광센서로부터 광신호가 입력되거나 또는 두개의 광센서로부터 광신호가 모두 입력될 때까지 수평크기를 한단계씩 증가시키는데(S33), 수평크기가 (바)에 도시된 바와 같이 증가하여 두개의 광센서(Sensor1, Sensor2)로부터 광신호가 모두 입력되면, 이 상태에서의 수평크기와 수평위치를 경계점으로 설정한다(S35).
상태 d.
도 5d(가)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영상표시영역에 풀화이트 패턴이 표시되면(S10), (나)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크기를 최대로 증가시키고(S31), 두개의 광센서(Sensor1, Sensor2)로부터 광신호가 입력되는가를 판단한다(S32).
이때 (나)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개의 광센서(Sensor1)로부터 광신호가 입력되면, 두개의 광센서로부터 광신호가 모두 입력되지 않거나 또는 두개의 광센서로부터 광신호가 모두 입력될 때까지 다른 광센서(Sensor2)의 설치 방향으로 수평위치를 한단계씩 이동시킨다.
수평위치가 (다)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하여 두개의 광센서(Sensor1, Sensor2)로부터 광신호가 모두 입력되면 상기 수평크기 감소과정(S36)으로 분기한다(S39).
이에 따라 두개의 광센서로부터 광신호가 모두 입력되지 않거나 또는 한개의 광센서로부터 광신호가 입력될 때까지 수평크기를 한단계씩 감소시키는데(S36), 수평크기가 (라)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감소하여 한개의 광센서(Sensor1)로부터 광신호가 입력되면, (마)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른 광센서(Sensor2)의 설치 방향으로 수평위치를 한단계 이동시키고 상기 수평크기 감소과정(S36)으로 분기한다(S37).
이때 수평크기가 (바)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감소하여 두개의 광센서(Sensor1, Sensor2)로부터 광신호가 모두 입력되지 않으면, (사)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크기를 한단계 증가시키고 이 상태에서의 수평크기와 수평위치를 경계점으로 설정한다(S38).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수평경계점 탐색과정(S30)이 완료되면 수직경계점 탐색과정(S40)에 들어가는데, 상기 수평경계점 탐색과정(S30)과 동일한 방법으로 수직크기와 수직위치를 탐색한다.
이에 따라 상기 수평경계점 탐색과정(S30) 및 수직경계점 탐색과정(S40)에서 수평크기의 경계점와, 수평위치의 경계점, 수직크기의 경계점, 및 수직위치의 경계점이 설정되면, 풀화이트 패턴을 지운 후 상기 경계점들이 적용된 화면에 비디오카드(50)로부터 수신되는 영상신호를 화면에 디스플레이한다.
즉, 제어수단(40)이 수평크기와 수평위치의 경계점을 탐색하여 수평크기 제어신호와 수평위치 제어신호를 수평편향회로(10)에 출력하면, 상기 수평편향회로(10)는 수평편향코일에 흐르는 톱니파전류의 크기 및 방향을 변화시켜 수평크기 및 수직위치를 조절한다.
또한, 제어수단(40)이 수직크기와 수직위치의 경계점을 탐색하여 수직크기 제어신호와 수직위치 제어신호를 수직편향회로(20)에 출력하면, 상기 수직편향회로(20)는 수직편향코일에 흐르는 톱니파전류의 크기 및 방향을 변화시켜 수직크기 및 수직위치를 조절한다.
이에 따라 수평크기와 수평위치, 수직크기 및 수직위치가 조절된 음극선관(CRT) 화면상 영상이 재현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영상표시기기 모서리 부분에 부착된 광센서(Sensor1, Sensor2)의 광신호에 의해 제어수단이 수평·수직크기 및 위치을 자동 조절하므로써, 비디오카드로부터 어떠한 영상신호가 입력되더러도 사용자가 바르게 조정된 영상을 볼 수 있다는 데 그 효과가 있다.

Claims (4)

  1. 수평크기 제어신호와 수평위치 제어신호에 의해 수평편향코일에 흐르는 톱니파전류의 크기 및 방향을 가변시켜 수평크기와 수평위치를 조절하는 수평편향회로 ;
    수직크기 제어신호와 수직위치 제어신호에 의해 수직편향코일에 흐르는 톱니파전류의 크기 및 방향을 가변시켜 수직크기와 수직위치를 조절하는 수직편향회로 ;
    화면의 수평크기와, 수평위치, 수직크기 및 수직위치가 화면상에 제대로 표시되는지를 감지하는 감지수단 ;
    상기 감지수단에 의해 감지된 정보에 의해 상기 수평편향회로 또는 수직편향회로에 수평크기 제어신호와, 수평위치 제어신호, 수직크기 제어신호, 및 수직위치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수단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기기의 수평·수직 크기·위치 자동 조절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수단은,
    영상표시영역의 대각선 모서리 부분에 부착된 두개의 광센서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기기의 수평·수직 크기·위치 자동 조절장치.
  3. 화면상에 풀화이트 패턴을 표시하는 준비과정 ;
    영상표시영역 대각선 모서리 부분에 풀화이트 화면이 표시되는가를 감지하기 위해 설치된 두개의 광센서로부터 광신호가 입력되는가를 판단하는 감지과정 ;
    수직크기를 최대로 키운 상태에서 수평크기 및 수평위치를 단계적으로 가변시켜, 상기 광신호의 입력/비입력 경계점을 탐색하는 수평경계점 탐색과정 ;
    수평크기를 최대로 키운 상태에서 수직크기 및 수직위치를 단계적으로 가변시켜, 상기 광신호의 입력/비입력 경계점을 탐색하는 수직경계점 탐색과정 ;
    상기 수평경계점 탐색과정 및 수직경계점 탐색과정에서 탐색된 수평크기의 경계점와, 수평위치의 경계점, 수직크기의 경계점, 및 수직위치의 경계점이 적용된 화면을 표시하는 표시과정으로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기기의 수평·수직 크기·위치 자동 조절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경계점 탐색과정은,
    수직 크기를 최대로 키우는 수평탐색 준비과정 ;
    상기 두개의 광센서로부터 광신호가 입력되가를 판단하는 수평탐색 감지과정 ;
    상기 수평탐색 감지과정에서 두개의 광센서로부터 광신호가 모두 입력되지 않았으면, 한개의 광센서로부터 광신호가 입력되거나 또는 두개의 광센서로부터 광신호가 모두 입력될 때까지 수평크기를 한단계씩 증가시키는 수평크기 증가과정 ;
    상기 수평크기 증가과정에서 한개의 광센서로부터 광신호가 입력되었으면, 다른 광센서의 설치 방향으로 수평위치를 한단계 이동시키고 상기 수평크기 증가과정으로 분기하는 수평위치 조절과정 ;
    상기 수평크기 증가과정에서 두개의 광센서로부터 광신호가 모두 입력되었으면, 이 상태에서의 수평크기와 수평위치를 경계점으로 설정하는 수평경계점 설정과정 ;
    상기 수평탐색 감지과정에서 두개의 광센서로부터 광신호가 모두 입력되었으면, 두개의 광센서로부터 광신호가 모두 입력되지 않거나 또는 한개의 광센서로부터 광신호가 입력될 때까지 수평크기를 한단계씩 감소시키는 수평크기 감소과정 ;
    상기 수평크기 감소과정에서 한개의 광센서로부터 광신호가 입력되었으면, 다른 광센서의 설치 방향으로 수평위치를 한단계 이동시키고 상기 수평크기 감소과정으로 분기하는 수평위치 조절과정 ;
    상기 수평크기 감소과정에서 두개의 광센서로부터 광신호가 모두 입력되지 않았으면, 수평크기를 한단계 증가시키고 이 상태에서의 수평크기와 수평위치를 경계점으로 설정하는 수평경계점 설정과정 ;
    상기 수평탐색 감지과정에서 한개의 광센서로부터 광신호가 입력되었으면, 두개의 광센서로부터 광신호가 모두 입력되지 않거나 또는 모두 입력될 때까지 다른 광센서의 설치 방향으로 수평위치를 한단계씩 이동시켜, 두개의 광센서로부터 광신호가 모두 입력되지 않으면 상기 수평크기 증가과정으로 분기하고, 두개의 광센서로부터 광신호가 모두 입력되면 수평크기 감소과정으로 분기하는 수평위치 조절과정으로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기기의 수평·수직 크기·위치 자동 조절방법.
KR1019990029388A 1999-07-20 1999-07-20 영상표시기기의 수평·수직크기·위치 자동 조절 장치 및 그방법 KR1005881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29388A KR100588138B1 (ko) 1999-07-20 1999-07-20 영상표시기기의 수평·수직크기·위치 자동 조절 장치 및 그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29388A KR100588138B1 (ko) 1999-07-20 1999-07-20 영상표시기기의 수평·수직크기·위치 자동 조절 장치 및 그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10484A true KR20010010484A (ko) 2001-02-15
KR100588138B1 KR100588138B1 (ko) 2006-06-09

Family

ID=196030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29388A KR100588138B1 (ko) 1999-07-20 1999-07-20 영상표시기기의 수평·수직크기·위치 자동 조절 장치 및 그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8813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01310B1 (ko) * 2020-05-20 2021-09-14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72986A (ja) * 1991-09-12 1993-03-2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マルチモードタイプのcrtデイスプレイモニタの自動調整回路
JPH05344372A (ja) * 1992-06-05 1993-12-24 Sharp Corp 画面センター位置調整回路
KR970056818A (ko) * 1995-12-30 1997-07-31 배순훈 시청각 적응형 텔레비전 화면의 수직사이즈 제어장치
KR980013246A (ko) * 1996-07-31 1998-04-30 배순훈 텔레비전 수상기에 있어 화면크기 조절 이동장치 및 방법
JPH10210319A (ja) 1997-01-17 1998-08-07 Sony Corp ラスターセンタリング位置調整回路および画サイズ調整回路
KR19990003589A (ko) * 1997-06-26 1999-01-15 김영귀 차량용 컵홀더 어셈블리
KR100228182B1 (ko) * 1997-08-29 1999-11-01 이형도 디와이 화면 검사장치
KR19990047985A (ko) * 1997-12-08 1999-07-05 윤종용 음극선관 디스플레이장치의 수직화면크기 보정장치 및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01310B1 (ko) * 2020-05-20 2021-09-14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88138B1 (ko) 2006-06-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002386A (en) Automatic contrast control of display device
US6061102A (en) Automatic shading in an LCLV projector
US20050087671A1 (en) Display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0416256B1 (ko) 프로젝션 텔레비젼의 컨버젼스 제어 장치 및 제어 방법
KR100440611B1 (ko) 온-스크린디스플레이를갖춘영상표시장치및그휘도제어방법
US20030030757A1 (en) Convergence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for compensating for angular error of reference pattern
JPH0764522A (ja) マルチディスプレイ装置の自動調整システム
KR100588138B1 (ko) 영상표시기기의 수평·수직크기·위치 자동 조절 장치 및 그방법
US20030076450A1 (en) Projection television and convergence control method thereof
JPH07184231A (ja) マルチディスプレイ装置の自動調整装置
KR20010002554A (ko)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의 이득 및 오프셋 설정방법
JP2003029239A (ja) 液晶表示装置とその自動調光制御方法
KR100517309B1 (ko) 자동 휘도 조정 기능을 갖는 투사형 영상 표시 시스템 및그 방법
US20020113910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convergence in projection television
KR100429799B1 (ko) 디스플레이 장치에서의 투사 광의 세기 제어 장치 및 방법
KR100545391B1 (ko) 멀티모드 프로젝션 텔레비젼의 컨버젼스 보상장치 및 그의 보상방법
KR19990040249A (ko) 자동컨버전스조정장치
JP2805793B2 (ja) コンバーゼンス測定装置
JP2950163B2 (ja) ワイドテレビジョン受像機
KR100655005B1 (ko) 프로젝션 티브이의 컨버전스 조정장치 및 방법
KR100698285B1 (ko) 프로젝션 텔레비젼의 컨버젼스 보상장치 및 보상방법
KR100303656B1 (ko) 프로젝션 텔레비전의 컨버젼스 보정 방법 및 그 장치
JPH06105346A (ja) ユニフォミティー補正方法およびディスプレイ装置
KR19990030304U (ko) 칼라 표시관의 컨버젼스 조정 장치
KR100285900B1 (ko) 지자계 편향 자동 보정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