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08523A - 반도체장치의 금속 콘택 형성 방법 - Google Patents

반도체장치의 금속 콘택 형성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08523A
KR20010008523A KR1019990026399A KR19990026399A KR20010008523A KR 20010008523 A KR20010008523 A KR 20010008523A KR 1019990026399 A KR1019990026399 A KR 1019990026399A KR 19990026399 A KR19990026399 A KR 19990026399A KR 20010008523 A KR20010008523 A KR 2001000852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tal
layer
silicide
forming
heat treat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263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22886B1 (ko
Inventor
김남식
Original Assignee
김영환
현대전자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환, 현대전자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영환
Priority to KR10199900263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22886B1/ko
Publication of KR200100085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085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228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22886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4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 H01L21/18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the devices having semiconductor bodies comprising elements of Group IV of the Periodic Table or AIIIBV compounds with or without impurities, e.g. doping materials
    • H01L21/28Manufacture of electrodes on semiconductor bodies using processe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1L21/20 - H01L21/268
    • H01L21/283Deposition of conductive or insulating materials for electrodes conducting electric current
    • H01L21/285Deposition of conductive or insulating materials for electrodes conducting electric current from a gas or vapour, e.g. condensation
    • H01L21/28506Deposition of conductive or insulating materials for electrodes conducting electric current from a gas or vapour, e.g. condensation of conductive layers
    • H01L21/28512Deposition of conductive or insulating materials for electrodes conducting electric current from a gas or vapour, e.g. condensation of conductive layers on semiconductor bodies comprising elements of Group IV of the Periodic Table
    • H01L21/28518Deposition of conductive or insulating materials for electrodes conducting electric current from a gas or vapour, e.g. condensation of conductive layers on semiconductor bodies comprising elements of Group IV of the Periodic Table the conductive layers comprising silici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4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 H01L21/18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the devices having semiconductor bodies comprising elements of Group IV of the Periodic Table or AIIIBV compounds with or without impurities, e.g. doping materials
    • H01L21/28Manufacture of electrodes on semiconductor bodies using processe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1L21/20 - H01L21/268
    • H01L21/28008Making conductor-insulator-semiconductor electrodes
    • H01L21/28017Making conductor-insulator-semiconductor electrodes the insulator being formed after the semiconductor body, the semiconductor being silicon
    • H01L21/28026Making conductor-insulator-semiconductor electrodes the insulator being formed after the semiconductor body, the semiconductor being silicon characterised by the conductor
    • H01L21/28035Making conductor-insulator-semiconductor electrodes the insulator being formed after the semiconductor body, the semiconductor being silicon characterised by the conductor the final conductor layer next to the insulator being silicon, e.g. polysilicon, with or without impurities
    • H01L21/28044Making conductor-insulator-semiconductor electrodes the insulator being formed after the semiconductor body, the semiconductor being silicon characterised by the conductor the final conductor layer next to the insulator being silicon, e.g. polysilicon, with or without impurities the conductor comprising at least another non-silicon conductive layer
    • H01L21/28061Making conductor-insulator-semiconductor electrodes the insulator being formed after the semiconductor body, the semiconductor being silicon characterised by the conductor the final conductor layer next to the insulator being silicon, e.g. polysilicon, with or without impurities the conductor comprising at least another non-silicon conductive layer the conductor comprising a metal or metal silicide formed by deposition, e.g. sputter deposition, i.e. without a silicidation reac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4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 H01L21/18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the devices having semiconductor bodies comprising elements of Group IV of the Periodic Table or AIIIBV compounds with or without impurities, e.g. doping materials
    • H01L21/30Treatment of semiconductor bodies using processe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1L21/20 - H01L21/26
    • H01L21/31Treatment of semiconductor bodies using processe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1L21/20 - H01L21/26 to form insulating layers thereon, e.g. for masking or by using photolithographic techniques; After treatment of these lay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se layers
    • H01L21/3205Deposition of non-insulating-, e.g. conductive- or resistive-, layers on insulating layers; After-treatment of these layers
    • H01L21/321After treatment
    • H01L21/3213Physical or chemical etching of the layers, e.g. to produce a patterned layer from a pre-deposited extensive layer
    • H01L21/32133Physical or chemical etching of the layers, e.g. to produce a patterned layer from a pre-deposited extensive layer by chemical means only
    • H01L21/32134Physical or chemical etching of the layers, e.g. to produce a patterned layer from a pre-deposited extensive layer by chemical means only by liquid etching onl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70Manufacture or treatment of 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olid 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or of parts thereof; Manufacture of integrated circuit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71Manufacture of specific parts of devices defined in group H01L21/70
    • H01L21/768Applying interconnections to be used for carrying current between separate components within a device comprising conductors and dielectrics
    • H01L21/76801Applying interconnections to be used for carrying current between separate components within a device comprising conductors and dielectrics characterised by the formation and the after-treatment of the dielectrics, e.g. smoothing
    • H01L21/76802Applying interconnections to be used for carrying current between separate components within a device comprising conductors and dielectrics characterised by the formation and the after-treatment of the dielectrics, e.g. smoothing by forming openings in dielectric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70Manufacture or treatment of 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olid 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or of parts thereof; Manufacture of integrated circuit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71Manufacture of specific parts of devices defined in group H01L21/70
    • H01L21/768Applying interconnections to be used for carrying current between separate components within a device comprising conductors and dielectrics
    • H01L21/76801Applying interconnections to be used for carrying current between separate components within a device comprising conductors and dielectrics characterised by the formation and the after-treatment of the dielectrics, e.g. smoothing
    • H01L21/76829Applying interconnections to be used for carrying current between separate components within a device comprising conductors and dielectrics characterised by the formation and the after-treatment of the dielectrics, e.g. smoothing characterised by the formation of thin functional dielectric layers, e.g. dielectric etch-stop, barrier, capping or liner lay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lectrodes Of Semiconduc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콘택홀의 확산층에 스텝커버리지가 우수한 CVD법으로 선택적으로 확산층에만 열처리 없이 티타늄 실리사이드를 형성하여 애스팩트율이 큰 작은 콘택홀에서도 낮은 접촉저항의 금속배선을 가능하게 한 금속 콘택을 형성하는 반도체장치의 금속 콘택 형성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반도체 기판(10) 위에 게이트산화막(30)과 폴리실리콘층(40)을 증착하여 게이트전극을 형성하고 스페이서(50)와 확산층(60)을 형성하는 단계와, 결과물에서 실리사이드를 형성시키지 않을 부분에 실리사이드형성을 막기 위한 장벽산화막(70)을 증착하는 단계와, 결과물 전면에 실리사이드 형성을 위한 금속층(80)을 형성하고 제 1차 열처리를 수행하여 제 1금속 실리사이드층(90)을 형성한 후 선택적 습식 에치를 통해 금속층(80)을 제거하고 제 2차 열처리를 하는 단계와, 결과물위로 층간절연막(100)을 증착하고 평탄화한 후 콘택홀(110)을 패터닝하는 단계와, 콘택홀(110) 하부면에 선택적으로 제 2금속 실리사이드층(95)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고집적 소자에서 누설전류가 낮고 안정적인 소자 제조를 가능하다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반도체장치의 금속 콘택 형성 방법 {METHOD FOR FORMING METAL CONTACT OF A SEMICONDUCTOR DEVICE}
본 발명은 반도체장치의 금속 콘택 형성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금속배선을 위한 콘택홀의 확산층에 스텝커버리지가 우수한 CVD법으로 선택적으로 확산층에만 열처리 없이 티타늄 실리사이드를 바로 형성하여 애스팩트율이 큰 작은 콘택홀에서도 낮은 접촉저항의 금속배선을 가능하게 한 금속 콘택을 형성하는 반도체장치의 금속 콘택 형성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반도체 디자인 룰이 점점 미세화됨에 따라 반도체 소자를 다층배선 형태로 제조하고 있어 다층 금속배선간을 연결하기 위한 콘택이 매우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게 되었다.
즉, 콘택을 통해 금속배선간의 신호전달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접촉상태와 접촉저항에 따라 신호의 전달특성이 좌우되기 때문에 소자의 특성향상에 중요한 요인이된다.
종래의 금속 콘택 접촉은 스퍼터링에 의한 티타늄이나 화학증착법에 의한 티타늄질화막을 증착한 후 열처리를 진행하고, 텅스텐을 증착하는 순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열처리는 금속실리사이드가 형성되지 않은 부분의 접촉저항을 낮추기 위해 확산층과 티타늄을 반응시켜 금속실리사이드를 형성시켜 접촉저항을 낮추기 위한 방법으로 티타늄 증착후나 티타늄 질화막 증착후 이루어졌다.
하지만 소자가 점점 고집적화됨에 따라 콘택홀이 작아져 콘택홀의 지름에 대한 높이의 애스팩트율이 점점 커져 보통의 스퍼터링법에 의해서는 증착이 힘들어 collimator 법이나 금속이온화법(IMP)을 사용하나 이는 증착속도도 낮고 어디까지나 콘택홀의 증착에 한계를 갖게 된다. 그리고 불균질한 증착은 열처리후 누설전류의 원인이 되기도한다.
따라서 0.25㎛이하의 고집적 소자에서는 스텝커버리지(측면 도포성)이 우수한 CVD법이 필요하게 되었다. CVD티타늄/CVD티타늄질화막 구조도 연구되고 있으나 추가 열처리가 필요하고 CVD티타늄증착시 산소함유 농도 등 문제점이 발생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작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콘택홀의 확산층에 스텝커버리지가 우수한 CVD법으로 선택적으로 확산층에만 열처리 없이 티타늄 실리사이드를 바로 형성하여 애스팩트율이 큰 작은 금속 콘택홀에서 낮은 접촉 저항의 금속배선을 가능하게 하여 신뢰성이 있는 소자 제조할 수 있도록 한 반도체장치의 금속 콘택 형성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도 1내지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반도체장치의 금속 콘택 형성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단면도들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기판 20 : 필드산화막
30 : 게이트산화막 40 : 폴리실리콘층
50 : 스페이서 60 : 확산층
70 : 장벽산화막 80 : 금속층
90 : 제 1금속 실리사이드층 95 : 제 2금속 실리사이드층
100 : 층간절연막 110 : 콘택홀
상기와 같은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은 반도체 기판위에 게이트산화막과 폴리실리콘층을 증착하여 게이트 전극을 형성하고 스페이서와 확산층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결과물에서 실리사이드를 형성시키지 않을 부분에 실리사이드형성을 막기 위한 장벽산화막을 증착하는 단계와, 상기 결과물 전면에 실리사이드 형성을 위한 금속층을 형성하고 제 1차 열처리를 수행하여 제 1금속 실리사이드층을 형성한 후 선택적 습식 에치를 통해 금속층을 제거하고 제 2차 열처리를 하는 단계와, 상기 결과물위로 층간절연막을 증착하고 평탄화한 후 콘택홀을 패터닝하는 단계와, 상기 콘택홀 하부면에 선택적으로 제 2금속 실리사이드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에 의하면 금속실리사이드가 형성되지 않은 애스팩트율이 큰 작은 콘택홀 내에서도 CVD법에 의해 금속실리사이드를 형성함으로써 배선용 금속과의 접촉저항이 낮고 누설전류가 작은 고집적 소자 제조가 가능하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또한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단지 예시로 제시된 것이며 종래 구성과 동일한 부분은 동일한 부호 및 명칭을 사용한다.
도 1내지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반도체장치의 금속 콘택 형성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단면도들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리콘 기판(10) 위로 절연용 필드산화막(20)을 형성하고, 게이트산화막(30), 폴리실리콘층(40)을 증착한 후 패터닝공정을 통해 게이트전극을 형성한 후 LDD영역과 절연용 스페이서(50)를 형성하고 소오스/드레인 확산층(60)을 형성한다.
그리고,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결과물위에 실리사이드형성을 막기 위한 장벽산화막(70)을 500∼1000Å의 두께로 증착하고 패터닝공정을 통해 특정부분에만 남긴다. 그리고 그 위에 금속실리사이드 형성을 위한 티타늄이나 코발트로 이루어진 금속층(80)을 증착한다.
그런다음,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결과물에 실리사이드형성을 위한 제 1차 열처리를 급속열처리 장비로 650℃∼750℃에서 질소 또는 아르곤 분위기에서 수십초간 진행하고 미반응 금속인 금속층(80)을 제거한다. 이때 금속층(80)이 티타늄인 경우에는 NH4OH : H2O2: H2O = 1:1:5 혼합액에서 에치하고 코발트인 경우에는 H2SO4: H2O2= 4 : 1 혼합액에서 에치한다. 이와 같이 습식 에치를 행한 후 2차열처리를 800℃∼900℃에서 질소 또는 아르곤 분위기에서 수십초 진행하면 실리사이드 형성을 막기 위한 장벽산화막(70)이 없는 쪽에만 제 1금속 실리사이드층(90)이 형성된다.
도 4와 같이 소자와의 절연을 위한 층간절연막(100)을 증착한 후, 평탄화공정을 거친후 콘택홀(110)을 위한 패터닝 공정을 행하여 콘택홀(110)을 형성한다. 콘택홀(110)을 형성한 다음 선택적인 CVD법으로 티타늄실리사이드를 핵생성시키면 실리콘이 노출되어 있는 콘택홀(110) 하부에만 제 2금속 실리사이드층(95)이 선택적으로 확산층(60)의 실리콘을 소모시키면서 증착된다.
이때 선택적 제 2금속 실리사이드층(95)인 티타늄실리사이드(TiSi2)형성 반응은 다음과 같다.
핵생성 : TiCl4+ 3Si(S) → TiSi2(S) + SiCl4(g) or
TiCl4+ 4Si(S) → TiSi2(S) + 2SiCl4(g)
증 착 : TiCl4+ 4SiH2Cl4→ TiSi2+ 4HCl(g) + 2SiCl4(g) + 2H2
여기에 환원성 분위기를 유지하기 위하여 H2기체를 추가할 수도 있다.
위의 반응에 의해 산화막 위에는 제 2금속 실리사이드층(95)인 티타늄실리사이드(TiSi2)가 형성되지 않으면서 실리콘기판(10) 위에서만 티타늄실리사이드(TiSi2)가 선택적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CVD티타늄질화물, 텅스텐을 증착한 후 평탄화 공정을 거쳐 텅스텐 플러그를 형성하고 후속 금속배선 공정을 진행한다.
이상의 공정을 통해 콘택홀이 작은 고집적 소자에서 실리사이드층이 형성되지 않은 확산층에 콘택이 접촉되는 부분에 선택적인 티타늄실리사이드층을 형성함으로써 소자의 저항을 낮춤으로써 고속도의 고집적 소자를 제조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콘택홀의 크기가 작아 애스팩트율이 큰 고집적 소자에서 스텝커버리지가 우수한 CVD법을 이용해 선택적으로 확산 영역의 실리콘이 노출된 접촉영역에만 티타늄실리사이드를 형성함으로써 기존의 방법보다 작은 콘택홀에서도 균일하게 콘택형성이 가능하여 불균일한 증착에 의한 열처리로부터 생기는 누설전류를 줄일 수 있고 단순한 공정을 적용함으로써 고집적 소자에서 누설전류가 낮고 안정적인 소자 제조를 가능하다는 이점이 있다.

Claims (9)

  1. 반도체 기판위에 게이트산화막과 폴리실리콘층을 증착하여 게이트 전극을 형성하고 스페이서와 확산층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결과물에서 실리사이드를 형성시키지 않을 부분에 실리사이드형성을 막기 위한 장벽산화막을 증착하는 단계와,
    상기 결과물 전면에 실리사이드 형성을 위한 금속층을 형성하고 제 1차 열처리를 수행하여 제 1금속 실리사이드층을 형성한 후 선택적 습식 에치를 통해 금속층을 제거하고 제 2차 열처리를 하는 단계와,
    상기 결과물위로 층간절연막을 증착하고 평탄화한 후 콘택홀을 패터닝하는 단계와,
    상기 콘택홀 하부면에 선택적으로 제 2금속 실리사이드층을 형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장치의 금속 콘택 형성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장벽산화막은 500∼1000Å의 두께로 증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장치의 금속 콘택 형성 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층은 티타늄이나 코발트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장치의 금속 콘택 형성 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차 열처리는 급속열처리 장비로 650℃∼750℃에서 질소 또는 아르곤 분위기에서 수십초가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장치의 금속 콘택 형성 방법.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차 열처리는 800℃∼900℃에서 질소 또는 아르곤 분위기에서 수십초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장치의 금속 콘택 형성 방법.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적 습식 에치시 상기 금속층이 티타늄인 경우 NH4OH : H2O2: H2O = 1 : 1 : 5 혼합액에서 에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장치의 금속 콘택 형성 방법.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적 습식 에치시 상기 금속층이 코발트인 경우 H2SO4: H2O2= 4 : 1 혼합액에서 에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장치의 금속 콘택 형성 방법.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금속 실리사이드막은 PECVD법을 이용하여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장치의 금속 콘택 형성 방법.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PECVD법에 의해 상기 제 2금속 실리사이드막을 증착시 TiCl4와 H2반응기체를 이용하여 핵생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장치의 금속 콘택 형성 방법.
KR1019990026399A 1999-07-01 1999-07-01 반도체장치의 금속 콘택 형성 방법 KR1003228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26399A KR100322886B1 (ko) 1999-07-01 1999-07-01 반도체장치의 금속 콘택 형성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26399A KR100322886B1 (ko) 1999-07-01 1999-07-01 반도체장치의 금속 콘택 형성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08523A true KR20010008523A (ko) 2001-02-05
KR100322886B1 KR100322886B1 (ko) 2002-02-09

Family

ID=195986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26399A KR100322886B1 (ko) 1999-07-01 1999-07-01 반도체장치의 금속 콘택 형성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22886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59930B1 (ko) * 2002-07-19 2004-12-03 동부전자 주식회사 부분적으로 셀프 얼라인 된 살리사이드 콘택 형성 방법
KR100763898B1 (ko) * 2003-08-02 2007-10-05 삼성전자주식회사 반도체 소자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하여 제조된 반도체 소자
US8530303B2 (en) 2011-01-05 2013-09-10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of fabricating semiconductor device
US8563383B2 (en) 2010-11-11 2013-10-22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of manufacturing a semiconductor device
KR20220135781A (ko) 2021-03-31 2022-10-07 주식회사 미소진 유의 종 근원 판별용 바이오 마커 및 이의 용도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67021B1 (ko) * 2002-08-20 2005-01-24 삼성전자주식회사 반도체 소자의 콘택 구조체 및 그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536683A (en) * 1995-06-15 1996-07-16 United Microelectronics Corporation Method for interconnecting semiconductor devices
JPH1168103A (ja) * 1997-08-22 1999-03-09 Mitsubishi Electric Corp 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59930B1 (ko) * 2002-07-19 2004-12-03 동부전자 주식회사 부분적으로 셀프 얼라인 된 살리사이드 콘택 형성 방법
KR100763898B1 (ko) * 2003-08-02 2007-10-05 삼성전자주식회사 반도체 소자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하여 제조된 반도체 소자
US8563383B2 (en) 2010-11-11 2013-10-22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of manufacturing a semiconductor device
US8530303B2 (en) 2011-01-05 2013-09-10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of fabricating semiconductor device
KR20220135781A (ko) 2021-03-31 2022-10-07 주식회사 미소진 유의 종 근원 판별용 바이오 마커 및 이의 용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322886B1 (ko) 2002-02-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835995B2 (en) Low dielectric constant material for integrated circuit fabrication
KR100546943B1 (ko) 반도체장치형성방법
KR100360396B1 (ko) 반도체소자의 콘택 구조체 형성방법
US6372643B1 (en) Method for forming a selective contact and local interconnect in situ and semiconductor devices carrying the same
US5672901A (en) Structure for interconnecting different polysilicon zones on semiconductor substrates for integrated circuits
US6696368B2 (en) Titanium boronitride layer for high aspect ratio semiconductor devices
US6746952B2 (en) Diffusion barrier layer for semiconductor wafer fabrication
KR0158441B1 (ko) 반도체 소자 제조 방법
KR100322886B1 (ko) 반도체장치의 금속 콘택 형성 방법
KR100234379B1 (ko) 비트라인의 산화를 방지하기 위한 반도체 메모리장치의 제조방법
US6245620B1 (en) Method for foaming MOS transistor having bi-layered spacer
US6433434B1 (en) Apparatus having a titanium alloy layer
KR100290467B1 (ko) 반도체소자의확산방지막형성방법
KR100402428B1 (ko) 반도체 소자의 금속 배선 형성 방법
KR100706823B1 (ko) 티타늄나이트라이드막을 이용한 확산방지막과오믹콘택층의 동시 형성 방법
KR100265357B1 (ko) 반도체장치의콘택홀형성방법
KR100451493B1 (ko) 반도체소자의금속배선형성방법
US7858518B2 (en) Method for forming a selective contact and local interconnect in situ
KR100414229B1 (ko) 티타늄나이트라이드막을 이용한 확산방지막과오믹콘택층의 동시 형성 방법
KR100691935B1 (ko) 반도체 소자의 금속배선 형성방법
KR20010059542A (ko) 반도체 소자의 금속배선 형성방법
KR100197666B1 (ko) 반도체 소자 및 그 제조방법
KR20020028329A (ko) 반도체 소자의 콘택홀 형성 방법
KR100503963B1 (ko) 반도체 소자의 캐패시터 제조 방법
KR100231732B1 (ko) 반도체 소자의 전하저장전극 형성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10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17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22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17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0

Year of fee payment: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18

Year of fee payment: 1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