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08326A - 인터넷을 이용한 통화시스템 - Google Patents

인터넷을 이용한 통화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08326A
KR20010008326A KR1020000070046A KR20000070046A KR20010008326A KR 20010008326 A KR20010008326 A KR 20010008326A KR 1020000070046 A KR1020000070046 A KR 1020000070046A KR 20000070046 A KR20000070046 A KR 20000070046A KR 20010008326 A KR20010008326 A KR 2001000832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internet
terminal
internet terminal
c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700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부섭
Original Assignee
이부섭
주식회사 한국전산개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20000057584A external-priority patent/KR20000072831A/ko
Application filed by 이부섭, 주식회사 한국전산개발 filed Critical 이부섭
Priority to KR10200000700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0008326A/ko
Publication of KR200100083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08326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5/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supporting real-time applications in data packet communication
    • H04L65/1066Session management
    • H04L65/1073Registration or de-registr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5/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supporting real-time applications in data packet communication
    • H04L65/1066Session management
    • H04L65/1069Session establishment or de-establish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5/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supporting real-time applications in data packet communication
    • H04L65/1066Session management
    • H04L65/1096Supplementary features, e.g. call forwarding or call hold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저가 컴퓨터단말기를 이용하여 전화를 거는 것과 같이, 손쉽게 상대를 호출하여 통화할 수 있도록 된 새로운 개념의 인터넷을 이용한 통화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유저에게 통화서비스를 제공하는 인터넷사이트(2)가 로딩되며 유저가 접속할 수 있도록 된 인터넷서버(4)와, 인터넷에 연결되며 음성이나 화상을 입력 및 출력하여 통화할 수 있도록 된 인터넷단말기(6)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각 유저에는 숫자 또는 문자로 구성된 별도의 전화번호가 부여되고, 상기 인터넷서버(4)에는 각 유저에게 부여된 전화번호와 해당 유저가 사용하는 인터넷단말기(6)의 IP주소가 저장된 데이터베이스(8)가 구축되어, 통화를 신청하는 제1 유저가 상기 인터넷단말기(6)를 이용하여 인터넷서버(4)에 접속하여, 자신이 통화하고자 하는 제2 유저의 전화번호를 입력하면, 상기 인터넷서버(4)는 입력된 전화번호에 해당되는 제2 유저의 IP주소를 서치하여, 해당 IP주소의 인터넷단말기(6)를 호출하여 연결하므로써, 제1 유저가 상기 인터넷서버(4)에 접속되지 않은 제2 유저와 상호 통화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을 이용한 통화시스템이 제공된다.

Description

인터넷을 이용한 통화시스템{communication system using internet}
본 발명은 인터넷을 이용한 통화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유저가 컴퓨터단말기를 이용하여 전화를 거는 것과 같이, 손쉽게 상대를 호출하여 통화할 수 있도록 된 새로운 개념의 인터넷을 이용한 통화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들어, 인터넷이 상용화되어감에 따라, 유저가 PC 등과 같은 인터넷단말기를 이용하여, 인터넷을 통해 음성 또는 화상통화를 할 수 있도록 된 통화시스템이 개발되었다.
이와같이, 각 유저가 인터넷을 통해 상호 통화를 할 수 있도록 된 인터넷통화시스템은 통화서비스를 제공하는 인터넷사이트를 인터넷서버에 로딩시켜 구성된다. 이 인터넷서버에는 동시에 복수의 유저가 접속할 수 있도록 된 채널이 다수개 구비되어, PC 등과 같은 인터넷단말기를 이용하여, 다수의 유저가 동시에 접속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인터넷단말기에는 마이크와 카메라, 모니터, 스피커 등이 구비되어, 고객의 음성이나 영상을 상기 인터넷서버로 전송하거나, 인터넷서버에서 전송된 음성과 영상신호를 재생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인터넷서버에는 인터넷단말기에서 입력된 신호를 다른 인터넷단말기로 전송하는 중계시스템이 구축된다. 이 중계시스템은 한 채널에 접속한 인터넷단말기 간의 신호를 중계하는 것으로, 유저가 상기 인터넷단말기를 이용하여 서버로 전송한 음성신호나 영상신호는 상기 중계시스템을 통해, 같은 채널에 접속한 다른 유저의 인터넷단말기로 전송되어, 같은 채널에 접속한 유저간에 상호 통화를 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인터넷을 이용한 통화시스템은 상기 인터넷서버에 접속을 한 유저만을 호출하여 상호 통화를 할 수 있으므로, 상호 통화를 하고자 하는 유저는 상기 인터넷서버에 동시에 접속하고 있어야만 통화를 할 수 있다. 따라서, 상호 통화를 하고자 하는 유저가 상호 시간약속을 하여 동시에 인터넷서버에 접속하여야 하므로, 사용이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이러한 통화시스템의 경우, 상기 서버에 구비된 중계시스템을 이용하여, 각 유저간의 음성신호나 영상신호를 중계하므로, 접속자의 수가 많을 경우 인터넷서버에 부하가 걸려 통신장애가 발생되거나, 서버가 다운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각 유저가 손쉽게 다른 유저를 호출하여 상호 통화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인터넷서버에 부하가 걸려 통신장애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된 새로운 개념의 인터넷을 이용한 통화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인터넷을 이용한 통화시스템을 도시한 구성도
도 2는 상기 통화시스템의 클라이언트프로그램의 인터페이스를 예시한 예시도
도 3은 상기 통화시스템의 플로우차트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인터넷사이트 4. 인터넷서버
6. 인터넷단말기 8. 데이터베이스
본 발명에 따르면, 유저에게 통화서비스를 제공하는 인터넷사이트(2)가 로딩되며 유저가 접속할 수 있도록 된 인터넷서버(4)와, 인터넷에 연결되며 음성이나 화상을 입력 및 출력하여 통화할 수 있도록 된 인터넷단말기(6)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각 유저에는 숫자 또는 문자로 구성된 별도의 전화번호가 부여되고, 상기 인터넷서버(4)에는 각 유저에게 부여된 전화번호와 해당 유저가 사용하는 인터넷단말기(6)의 IP주소가 저장된 데이터베이스(8)가 구축되어, 통화를 신청하는 제1 유저가 상기 인터넷단말기(6)를 이용하여 인터넷서버(4)에 접속하여, 자신이 통화하고자 하는 제2 유저의 전화번호를 입력하면, 상기 인터넷서버(4)는 입력된 전화번호에 해당되는 제2 유저의 IP주소를 서치하여, 해당 IP주소의 인터넷단말기(6)를 호출하여 연결하므로써, 제1 유저가 상기 인터넷서버(4)에 접속되지 않은 제2 유저와 상호 통화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을 이용한 통화시스템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인터넷서버(4)는 제1 유저의 호출에 제2 유저가 응답을 하여, 제1 유저와 제2 유저의 인터넷단말기(6)가 상호 연결되면, 제1 유저의 인터넷단말기(6) 또는 제2 유저의 인터넷단말기(6)의 IP주소를 다른쪽의 인터넷단말기(6)에 전송하여, 상기 인터넷서버(4)를 제1 유저의 인터넷단말기(6)와 제2 유저의 인터넷단말기(6)가 상호 직접 연결되어, 상호 통화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을 이용한 통화시스템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다른 특징에 따르면, 유저에게 통화서비스를 제공하는 인터넷사이트(2)가 로딩되며 유저가 접속할 수 있도록 된 인터넷서버(4)와, 인터넷에 연결되며 음성이나 화상을 입력 및 출력하여 통화할 수 있도록 된 인터넷단말기(6)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각 유저에는 숫자 또는 문자로 구성된 별도의 전화번호가 부여되고, 상기 인터넷서버(4)에는 각 유저에게 부여된 전화번호와 유저가 사용하는 인터넷단말기(6)의 IP주소가 저장된 데이터베이스(8)가 구축되어, 통화를 신청하는 제1 유저가 상기 인터넷단말기(6)를 이용하여 인터넷서버(4)에 접속한 후, 자신이 통화하고자 하는 제2 유저의 전화번호를 입력하면, 상기 인터넷서버(4)는 입력된 전화번호에 해당되는 제2 유저의 IP주소를 서치하여, 해당 IP주소를 제1 유저의 인터넷단말기(6)에 전송하여, 제1유저가 제2 유저의 IP주소에 직접 접속할 수 있도록 하므로써, 제1 유저가 인터넷서버(4)를 거치지 않고, 인터넷서버(4)에 접속되지 않은 제2 유저를 직접 호출하여 상호 통화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을 이용한 통화시스템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제1 유저 또는 제2 유저의 인터넷단말기(6)에는 유저가 통화를 할 때 사용하는 클라이언트프로그램(7)이 구비되며, 이 클라이언트프로그램(7)은 인터넷서버(4)와 주기적으로 통신을 하여 클라이언트프로그램(7)에 입력된 유저의 ID와, 클라이언트프로그램(7)이 인스톨된 인터넷단말기(6)의 IP주소를 인터넷서버(4)에 전송하는 데이터전송기능과, 고객이 통화를 할 때, 인터넷단말기(6)에 수신된 음성과 영상신호를 재생하는 미디어플레이어기능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을 이용한 통화시스템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클라이언트프로그램(7)은 제2 유저의 제어에 따라, 제3 유저의 전화번호를 상기 제1 유저의 인터넷단말기(6)에 전송하여, 제1 유저의 인터넷단말기(6)가 제3 유저의 인터넷단말기(6)에 직접 접속하도록 하므로써, 제1 유저와 제3 유저가 상호 통화를 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을 이용한 통화시스템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클라이언트프로그램(7)은 인터넷단말기(6)와 LAN 등으로 연결된 다른 컴퓨터에 장착된 클라이언트프로그램(7)과 상호 데이터통신 가능하게 구성되어, 인터넷에 연결되지 않은 컴퓨터를 이용하는 제3 사용자가 상기 인터넷단말기(6)를 통해 제1 유저와 상호 통화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을 이용한 통화시스템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클라이언트프로그램(7)은 제2 유저가 자신이 전화를 받고자 하는 다른 인터넷단말기(6)의 전화번호인 제3의 전화번호를 미리 저장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제1 유저가 제2 유저를 호출하면, 상기 클라이언트프로그램(7)이 제2 유저가 입력한 제3의 전화번호를 제1 유저의 인터넷단말기(6)에 전송하여, 제1 유저의 인터넷단말기(6)가 제2 유저가 입력한 제3의 전화번호의 인터넷단말기(6)에 자동으로 접속하여, 통화를 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을 이용한 통화시스템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클라이언트프로그램(7)은 제2 유저가 자신이 전화를 받고자 하는 다른 인터넷단말기(6)의 전화번호인 제3의 전화번호를 상기 인터넷서버(4)에 전송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인터넷서버(4)는 상기 제2 유저가 입력한 제3의 전화번호를 저장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제1 유저가 제2 유저를 호출하면, 상기 인터넷서버(4)는 제2 유저가 입력한 제3의 전화번호에 해당되는 인터넷단말기(6)의 IP주소를 제1 유저의 인터넷단말기(6)에 전송하여, 제1 유저의 인터넷단말기(6)가 제3의 전화번호에 해당되는 인터넷단말기(6)에 접속하여, 통화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을 이용한 통화시스템이 제공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인터넷을 이용한 통화시스템을 도시한 것으로, 이 통화시스템은 제1 유저가 동일한 인터넷서버에 접속하지 않은 제2 유저를 강제로 호출하여 통화를 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 인터넷을 이용한 통화시스템은 유저에게 통화서비스를 제공하는 인터넷사이트(2)가 로딩되며 유저가 접속할 수 있도록 된 인터넷서버(4)와, 인터넷에 연결되며 음성이나 화상을 입력 및 출력하여 통화할 수 있도록 된 인터넷단말기(6)로 구성된다. 또한, 각 유저에게는 숫자나 문자로 구성된 별도의 전화번호가 부여되며, 상기 인터넷서버(4)에는 각 유저에게 부여된 전화번호와 유저가 사용하는 인터넷단말기(6)의 IP주소가 저장된 데이터베이스(8)가 구축되며, 각 인터넷단말기(6)에는 각 유저가 전화를 걸거나 받을 때 사용하는 클라이언트프로그램(7)이 구비된다. 이때, 상기 전화번호는 전술한 바와 같이, 숫자나 문자 이외에, 기호나 부호, 또는 전세계에서 통용되는 모든 종류의 문자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상호나 이름 등을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전화번호는 유저가 오프라인에서 사용하는 전화번호와 동일한 번호를 부여받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인터넷서버(4)는 인터넷단말기(6)를 이용하여 인터넷서버(4)에 접속한 제1 유저가, 자신이 통화하고자 하는 제2 유저의 전화번호를 입력하면, 데이터베이스(8)를 서치하여, 전화번호에 해당되는 제2 유저의 IP주소를 확인하여 해당 IP주소의 인터넷단말기(6)를 호출한 후, 제2 유저가 호출에 응답을 하면, 제 1유저와 제2 유저의 인터넷단말기(6)를 상호 연결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인터넷서버(4)는 이와같이, 제1 유저와 제2 유저의 인터넷단말기(6)를 상호 연결한 후, 제1 및 제2 유저의 IP주소를 상대방의 인터넷단말기(6)에 전송하여, 상기 제1 유저의 인터넷단말기(6)와 제2 유저의 인터넷단말기(6)가 직접 접속하므로써, 인터넷서버(4)를 경유하지 않고, 상호 직접 통화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인터넷단말기(6)는 마이크와 카메라, 스피커, 모니터 등이 구비된 일반적인 PC를 이용하여, 음성이나 화상신호를 입력 및 출력하거나, 인터넷을 통해 음성이나 화상신호를 인터넷을 통해 송수신하여, 음성이나 화상통화를 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으로, 상기 스피커와 마이크는 도시한 바와 같이, 통상적인 헤드셋(16)을 이용할 수 있다.
상기 클라이언트프로그램(7)은 오프라인상의 전화기와 같이, 다른 유저를 호출하거나, 다른 유저의 호출에 응답할 때 이용하는 것으로, 유저의 로딩시 또는 상기 인터넷서버(4)의 호출시 자동으로 활성화되어 화면의 일부분을 점유하도록 구성된다. 이 클라이언트프로그램(7)은 각 유저가 상기 인터넷사이트(2)에 접속하여 자신의 ID와 패스워드 등을 결정하여 회원으로 가입한 후, 다운받아 자신의 인터넷단말기(6)에 인스톨할 수 있으며, 인스톨할 때 유저가 자신의 ID와 패스워드를 입력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이 클라이언트프로그램(7)은 상기 인터넷서버(4)와 주기적으로 통신을 하여 클라이언트프로그램(7)에 입력된 유저의 ID와, 클라이언트프로그램(7)이 인스톨된 인터넷단말기(6)의 IP주소를 인터넷서버(4)에 전송하는 데이터전송기능과, 고객이 통화를 할 때, 인터넷단말기(6)에 수신된 음성과 영상신호를 재생하는 미디어플레이어기능을 하는 것으로, 이 프로그램이 인스톨된 후 인터넷단말기(6)가 인터넷에 접속되면,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은 자동으로 상기 인터넷서버(4)와 통신을 하여, 유저의 ID 및 해당 유저가 사용하는 인터넷단말기(6)의 IP주소를 상기 인터넷서버(4)에 전송한다.
도 2는 상기 클라이언트프로그램(7)의 인터페이스를 도시한 것으로, 인터넷단말기(6)에 수신된 영상신호를 디스플레이하는 영상디스플레이부(10)와, 유저가 자신이 통화하고자 하는 제2 유저의 전화번호를 입력하는 코드입력창(12) 및 통화버튼(14)이 구비되어, 유저가 이 클라이언트프로그램(7)을 이용하여 상기 인터넷서버(4)에 접속한 후, 인터넷서버(4)를 통해, 제2 유저를 호출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 유저는 상기 인터넷사이트(2)에 접속하여 회원으로 가입한 후(A단계), 자신의 ID와 패스워드 및 전화번호를 신청하여 부여받은 후, 클라이언트프로그램(7)을 다운받아 자신의 인터넷단말기(6)에 인스톨하며(B단계), 이때, 유저는 클라이언트프로그램(7)에 자신의 ID와 패스워드를 입력한다. 그리고, 제1 유저가 제2 유저와 통화를 하고자 할 때는, 상기 클라이언트프로그램(7)을 활성화시켜, 클라이언트프로그램(7)의 코드입력창(12)에 제2 유저의 전화번호를 입력한 후(C단계), 통화버튼(14)을 클릭하면, 클라이언트프로그램(7)은 제1 유저의 ID와 IP주소 및 제2 유저의 전화번호를 상기 인터넷서버(4)에 전송하며(D단계), 인터넷서버(4)는 상기 데이터베이스(8)를 서치하여, 수신된 전화번호에 해당되는 제2 유저의 IP주소를 확인한 후, 해당 IP주소의 인터넷단말기(6)를 호출한다(E단계). 따라서, 제2 유저의 인터넷단말기(6)에 인스톨된 클라이언트프로그램(7)이 활성화되며, 제2 유저는 클라이언트프로그램(7)을 이용하여 제1 유저의 호출에 응답을 하므로써, 클라이언트프로그램(7)을 이용하여 제1유저와 통화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인터넷서버(4)는 제1 유저와 제2 유저의 인터넷단말기(6)를 직접 연결시켜, 인터넷서버(4)를 경유하지 않고, 제1유저와 제2 유저가 직접통화를 하도록 한다(F단계).
또한, 상기 클라이언트프로그램(7)에는 전화를 받은 제2 유저가 제3의 유저를 호출하여 제1 유저가 제3의 유저와 상호 통화할 수 있도록 연결하여 주는 키폰기능과, 제2 유저가 자신이 미리 설정한 다른 인터넷단말기(6)를 이용하여 전화를 받을 수 있도록 하는 착신 전환기능이 구비된다.
상기 키폰기능은 제3 유저의 전화번호 또는 IP주소를 전화를 건 제1 유저의 인터넷단말기(6)에 전송하는 기능과, 일반적인 키폰의 후크기능과 같이 통화를 일시 정지시키는 기능, 그리고, 전화를 돌려줄 다른 인터넷단말기(6)의 전화번호나, 해당 인터넷단말기(6)의 단축번호를 입력하는 기능을 클라이언트프로그램(7)에 부가하므로써 가능해 진다.
따라서, 제1 유저가 제2 유저에 전화를 하여, 제3 유저와의 통화연결을 요청할 경우, 제2 유저가 상기 클라이언트프로그램(7)을 이용하여 제3 유저의 전화번호나 단축번호를 입력하면, 제2 유저의 인터넷단말기(6)는 제1 유저의 인터넷단말기(6)에 제3 유저의 전화번호를 전송하며, 제1 유저의 인터넷단말기(6)는 수신된 전화번호에 해당되는 제3 유저의 인터넷단말기(6)에 접속하여 상호 통화하게 된다. 이때, 제3 유저 역시, 상기 인터넷사이트(2)에 회원으로 가입되어 별도의 전화번호를 부여받아야 하며, 제1 유저의 인터넷단말기(6)는 상기 인터넷서버(4)를 통해 제3 유저의 IP주소를 알아내어, 제3 유저의 인터넷단말기(6)에 접속하게 된다.
이와같은 키폰기능을 이용하면, 상기 제2 유저는 전화번호를 부여받은 사람이면 장소나 지역에 구애받지 않고 누구나 호출하여, 제1 유저와 상호 통화하도록 연결하여 줄 수 있다.
또한, 상기 클라이언트프로그램(7)은 제2 유저의 인터넷단말기(6)와 LAN으로 연결된 다른 컴퓨터에 장착된 클라이언트프로그램(7)과 상호 데이터통신 가능하게 구성되어, 인터넷에 직접 연결되지 않은 컴퓨터를 이용하는 제3 사용자가 제2 유저의 인터넷단말기(6)를 통해, 제1 유저와 상호 통화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제1 유저가 제3 유저가 사용하는 단말기가 인터넷에 연결되지 않고, 단순히 제2 유저의 인터넷단말기(6)에 LAN 등으로 연결되었을 경우, 상기 제2 유저의 인터넷단말기(6)는 제1 유저의 인터넷단말기(6)와 제3 유저의 컴퓨터단말기 사이의 중계역활을 하므로써, 인터넷에 접속되지 않은 컴퓨터단말기를 이용하는 제3 유저도, 제1 유저와 통화를 할 수 있다. 또한, 이와같은 시스템을 이용하면, 인터넷에 접속되지 않은 컴퓨터단말기를 이용하는 제3 유저가 상기 제2 유저의 인터넷단말기(6)를 통해 다른 유저의 인터넷단말기(6)를 호출하여, 상호 통화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착신전환기능은 제2 유저가 자리를 비울 때, 상기 클라이언트프로그램(7)을 이용하여 자신이 전화를 받고자 하는 제3의 인터넷단말기(6)의 전화번호를 입력하여, 착신전환을 요청한 상태에서, 제1 유저가 제2 유저의 전화번호에 전화를 걸때, 자동으로 제2 유저가 지정한 제3의 인터넷단말기(6)에 전화를 연결하도록 하는 것으로, 이를 위하여, 상기 클라이언트프로그램(7)은 제2 유저가 미리 입력한 제3의 전화번호를 제2 유저의 인터넷단말기(6)에 저장할 수 있도록 구성됨과 동시에, 제1 유저가 제2 유저의 인터넷단말기(6)를 호출하면, 미리 입력된 제3의 전화번호를 제1 유저의 인터넷단말기(6)에 전송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제2 유저가 착신전환기능을 ON시킨 상태에서, 제1 유저가 제2 유저를 호출하면, 제2 유저의 인터넷단말기(6)에 구비된 클라이언트프로그램(7)은 고객이 입력한 제2의 전화번호를 제1 유저의 인터넷단말기(6)에 전송하여, 제1 유저의 인터넷단말기(6)가 제2 유저가 입력한 제3의 전화번호의 인터넷단말기(6)에 자동으로 접속하여, 상호 통화를 할 수 있다.
또한, 이와같은 착신전환기능을 구현하기 위한 다른 방법으로, 클라이언트프로그램(7)은 제2 유저가 입력한 제3의 전화번호를 상기 인터넷서버(4)에 전송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인터넷서버(4)는 상기 제2 유저가 입력한 제3의 전화번호를 저장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고객이 착신전환신청을 한 상태에서, 제1 유저가 상기 인터넷서버(4)를 통해 제2 유저를 호출하면, 상기 인터넷서버(4)가 제1 유저의 인터넷단말기(6)에 제3의 전화번호에 해당되는 인터넷단말기(6)의 IP주소를 전송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따라서, 제1 유저의 인터넷단말기(6) 상기 인터넷서버(4)에서 전송된 제3의 전화번호에 해당되는 인터넷단말기(6)에 바로 접속하여 제2 유저와 상호 통화할 수 있다. 이와같이, 상기 인터넷서버(4)에 제3의 전화번호를 저장하여, 제2 유저의 인터넷단말기(6)를 거치지 않고 바로 제3의 전화번호에 해당되는 인터넷단말기(6)에 접속할 수 있도록 하면, 제2 유저의 인터넷단말기(6)를 켜놓아야 하는 제1 실시예와는 달리, 제2 유저가 자신의 인터넷단말기(6)를 켜놓을 필요가 없는 장점이 있다. 이때, 이와같은 착신전환기능은 유저가 상기 클라이언트프로그램(7)에 구비된 ON-OFF단추를 이용하여 손쉽게 ON-OFF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같이 구성된 인터넷을 이용한 통화시스템은 각 유저의 IP주소를 이용하여, 제1 유저가 상기 인터넷서버(4)에 접속하지 않은 제2 유저를 호출하여 통화를 할 수 있으므로, 제1 유저와 제2 유저가 동시에 인터넷서버(4)에 접속을 하고 있어야하는 종래의 통화시스템에 비해 사용이 편리한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유저는 상기 클라이언트프로그램(7)을 이용하여 제2 유저의 전화번호를 입력한 후, 통화버튼(14)을 클릭하여, 제2 유저와 통화할 수 있는데, 이러한 사용법은 종래의 전화를 거는 방식과 매우 유사하므로, 유저가 거부감을 느끼지 않고, 손쉽게 사용활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특히, 상기 클라이언트프로그램(7)은 주기적으로 상기 인터넷서버(4)와 통신을 하여, 유저의 IP주소를 전송하므로, 모뎀이나, 유동식 IP주소를 이용하는 통신라인을 이용하여 IP주소가 수시로 바뀌는 유저 역시, 이용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인터넷서버(4)는 제2 유저가 호출에 응답을 하면, 제1 유저와 제2 유저의 인터넷단말기(6)를 직접 연결하여, 인터넷서버(4)를 통하지 않고 직접 통화하도록 하므로, 인터넷서버(4)가 모든 통화자의 신호를 중계하는 종래의 시스템과는 달리, 통화자의 수가 늘어나도 서버에는 부하가 걸리지 않는 장점이 있다.
또한, 이 통화시스템은 키폰기능과 착신전환기능이 구비되어, 종래의 키폰과 같이, 통화중에 다른 사람을 연결시켜 줄 수 있을 뿐 아니라, 사용자가 자리를 옮길 때, 다른 인터넷단말기(6)를 이용하여 자신에게 걸려온 전화를 받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특히, 종래의 전화기에 이용되는 키폰은 일정한 구역 내에서 상호 연결된 전화를 이용하는 사람들 사이에서만 전화를 연결하여줄 수 있는 반면, 본 발명의 통화시스템에 따른 키폰기능은 전화번호를 부여받은 사람이면, 누구나 연결시켜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때, 상기 클라이언트프로그램(7)에는 종래의 전화벨소리와 같은 WAV파일을 포함시켜, 호출시 전화벨소리를 출력하도록 하므로써, 종래의 전화기와 같은 느낌을 줄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인터넷서버(4)에는 별도의 저장장치를 구비하여, 제1 유저가 입력한 음성매일이나 화상매일을 일차로 저장한 후, 제2 유저에게 전송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며, 필요에 따라, 상기 클라이언트프로그램(7)에 입력된 ID와 패스워드를 변경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 다른 유저가 클라이언트프로그램(7)을 이용하여 통화를 할 수 있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클라이언트프로그램(7)에 녹화기능을 부가하여, 제1 유저와 제2 유저의 통화를 녹화하여 인터넷단말기(6)에 저장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고객이 상기 클라이언트프로그램(7)을 이용하지 않고, 인터넷사이트(2)에 접속하여, 인터넷사이트 상에서 자신의 ID와 패스워드를 입력한 후, 전화통화를 할 수 있도록 구성하므로써, 제1 유저가 클라이언트프로그램(7)구비되지 않은 인터넷단말기(6)를 이용하여 통화할 수 있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인터넷서버(4)는 제1 유저의 요청시 제2 유저의 인터넷단말기(6)를 호출하여, 제2 유저가 호출에 응답을 하면, 제1 유저와 제2 유저의 인터넷단말기(6)를 상호 연결하도록 하였으나, 제1 유저의 요청시 상기 데이터베이스(8)를 서치하여, 제2 유저의 IP주소를 제1 유저의 인터넷단말기(6)에 전송하므로써, 인터넷서버(4)가 제2 유저를 호출하지 않고, 제1 유저의 인터넷단말기(6)가 직접 제2 유저의 인터넷단말기(6)에 접속하여, 상호 통화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와같이 구성된 통화시스템을 이용하면, 상기 제1 유저의 인터넷단말기(6)는 상기 인터넷서버(4)가 데이터베이스(8)를 서치하여 제2 유저의 IP주소를 제1 유저의 인터넷단말기(6)에 전송하는 시간만큼만 인터넷서버(4)에 접속하면 되므로, 인터넷서버(4)가 제2 유저의 인터넷단말기(6)에 호출신호를 보내 응답을 기다리는 동안에도, 제1 유저의 인터넷단말기(6)가 인터넷서버(4)에 접속하는 제1 실시예에 비해, 인터넷서버(4)의 접속부하를 더욱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경우, 음성과 영상을 이용하여 통화를 하는 것을 인터넷통신시스템을 예시하였으나, 이 인터넷통화시스템은 음성과 영상 이외에, 문자통신에도 이용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각 유저에게 각기 다른 별도의 전화번호를 부여하고, 인터넷서버(4)에 각 유저의 IP주소가 저장된 데이터베이스(8)를 구축하여, 제1 유저가 제2 유저를 호출하여 통화할 수 있도록 구성하므로써, 각 유저가 손쉽게 다른 유저를 호출하여 상호 통화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인터넷서버(4)에 부하가 걸려 통신장애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된 새로운 개념의 인터넷을 이용한 통화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Claims (8)

  1. 유저에게 통화서비스를 제공하는 인터넷사이트(2)가 로딩되며 유저가 접속할 수 있도록 된 인터넷서버(4)와, 인터넷에 연결되며 음성이나 화상을 입력 및 출력하여 통화할 수 있도록 된 인터넷단말기(6)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각 유저에는 숫자 또는 문자로 구성된 별도의 전화번호가 부여되고, 상기 인터넷서버(4)에는 각 유저에게 부여된 전화번호와 해당 유저가 사용하는 인터넷단말기(6)의 IP주소가 저장된 데이터베이스(8)가 구축되어, 통화를 신청하는 제1 유저가 상기 인터넷단말기(6)를 이용하여 인터넷서버(4)에 접속하여, 자신이 통화하고자 하는 제2 유저의 전화번호를 입력하면, 상기 인터넷서버(4)는 입력된 전화번호에 해당되는 제2 유저의 IP주소를 서치하여, 해당 IP주소의 인터넷단말기(6)를 호출하여 연결하므로써, 제1 유저가 상기 인터넷서버(4)에 접속되지 않은 제2 유저와 상호 통화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을 이용한 통화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넷서버(4)는 제1 유저와 제2 유저의 인터넷단말기(6)가 상호 연결되면, 제1 유저의 인터넷단말기(6) 또는 제2 유저의 인터넷단말기(6)의 IP주소를 다른쪽의 인터넷단말기(6)에 전송하여, 제1 유저의 인터넷단말기(6)와 제2 유저의 인터넷단말기(6)가 상호 직접 연결되어, 상호 통화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을 이용한 통화시스템.
  3. 유저에게 통화서비스를 제공하는 인터넷사이트(2)가 로딩되며 유저가 접속할 수 있도록 된 인터넷서버(4)와, 인터넷에 연결되며 음성이나 화상을 입력 및 출력하여 통화할 수 있도록 된 인터넷단말기(6)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각 유저에는 숫자 또는 문자로 구성된 별도의 전화번호가 부여되고, 상기 인터넷서버(4)에는 각 유저에게 부여된 전화번호와 유저가 사용하는 인터넷단말기(6)의 IP주소가 저장된 데이터베이스(8)가 구축되어, 통화를 신청하는 제1 유저가 상기 인터넷단말기(6)를 이용하여 인터넷서버(4)에 접속한 후, 자신이 통화하고자 하는 제2 유저의 전화번호를 입력하면, 상기 인터넷서버(4)는 입력된 전화번호에 해당되는 제2 유저의 IP주소를 서치하여, 해당 IP주소를 제1 유저의 인터넷단말기(6)에 전송하여, 제1유저가 제2 유저의 IP주소에 직접 접속할 수 있도록 하므로써, 제1 유저가 인터넷서버(4)를 거치지 않고, 인터넷서버(4)에 접속되지 않은 제2 유저를 직접 호출하여 상호 통화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을 이용한 통화시스템.
  4. 제 1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유저 또는 제2 유저의 인터넷단말기(6)에는 유저가 통화를 할 때 사용하는 클라이언트프로그램(7)이 구비되며, 이 클라이언트프로그램(7)은 인터넷서버(4)와 주기적으로 통신을 하여 클라이언트프로그램(7)에 입력된 유저의 ID와, 클라이언트프로그램(7)이 인스톨된 인터넷단말기(6)의 IP주소를 인터넷서버(4)에 전송하는 데이터전송기능과, 고객이 통화를 할 때, 인터넷단말기(6)에 수신된 음성과 영상신호를 재생하는 미디어플레이어기능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을 이용한 통화시스템.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클라이언트프로그램(7)은 제2 유저의 제어에 따라, 제3 유저의 전화번호를 상기 제1 유저의 인터넷단말기(6)에 전송하여, 제1 유저의 인터넷단말기(6)가 제3 유저의 인터넷단말기(6)에 직접 접속하도록 하므로써, 제1 유저와 제3 유저가 상호 통화를 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을 이용한 통화시스템.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클라이언트프로그램(7)은 인터넷단말기(6)와 LAN 등으로 연결된 다른 컴퓨터에 장착된 클라이언트프로그램(7)과 상호 데이터통신 가능하게 구성되어, 인터넷에 연결되지 않은 컴퓨터를 이용하는 제3 사용자가 상기 인터넷단말기(6)를 통해 제1 유저와 상호 통화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을 이용한 통화시스템.
  7.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클라이언트프로그램(7)은 제2 유저가 자신이 전화를 받고자 하는 다른 인터넷단말기(6)의 전화번호인 제3의 전화번호를 저장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제1 유저가 제2 유저를 호출하면, 상기 클라이언트프로그램(7)은 제2 유저가 입력한 제3의 전화번호를 제1 유저의 인터넷단말기(6)에 전송하여, 제1 유저의 인터넷단말기(6)가 제2 유저가 입력한 제3의 전화번호의 인터넷단말기(6)에 접속하여, 통화를 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을 이용한 통화시스템.
  8. 제 4항에 있어서, 클라이언트프로그램(7)은 제2 유저가 자신이 전화를 받고자 하는 다른 인터넷단말기(6)의 전화번호인 제3의 전화번호를 상기 인터넷서버(4)에 전송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인터넷서버(4)는 상기 제2 유저가 입력한 제3의 전화번호를 저장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제1 유저가 제2 유저를 호출하면, 상기 인터넷서버(4)는 제2 유저가 입력한 제3의 전화번호에 해당되는 인터넷단말기(6)의 IP주소를 제1 유저의 인터넷단말기(6)에 전송하여, 제1 유저의 인터넷단말기(6)가 제3의 전화번호에 해당되는 인터넷단말기(6)에 접속하여, 통화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을 이용한 통화시스템.
KR1020000070046A 2000-09-30 2000-11-23 인터넷을 이용한 통화시스템 KR2001000832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70046A KR20010008326A (ko) 2000-09-30 2000-11-23 인터넷을 이용한 통화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57584A KR20000072831A (ko) 2000-09-30 2000-09-30 인터넷을 이용한 통화시스템
KR1020000057584 2000-09-30
KR1020000070046A KR20010008326A (ko) 2000-09-30 2000-11-23 인터넷을 이용한 통화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08326A true KR20010008326A (ko) 2001-02-05

Family

ID=266384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70046A KR20010008326A (ko) 2000-09-30 2000-11-23 인터넷을 이용한 통화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0008326A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22388A (ja) * 1997-10-17 1999-04-30 Nec Corp インターネット電話システムと接続方法
KR20000037170A (ko) * 2000-04-10 2000-07-05 박영애 인터넷폰 네이밍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10097290A (ko) * 2000-04-21 2001-11-08 이병두 인터넷 폰의 수신 전화번호 부여방법 및 수신자 부재 시인터넷 폰 콜 처리 서비스 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22388A (ja) * 1997-10-17 1999-04-30 Nec Corp インターネット電話システムと接続方法
KR20000037170A (ko) * 2000-04-10 2000-07-05 박영애 인터넷폰 네이밍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10097290A (ko) * 2000-04-21 2001-11-08 이병두 인터넷 폰의 수신 전화번호 부여방법 및 수신자 부재 시인터넷 폰 콜 처리 서비스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106851B2 (en) System and method for connecting pending and preset telephone calls to facilitate transitioning to a phone call
KR100331784B1 (ko) 인터넷 폰, 일반 전화 및 게이트웨이 기능을 포함한 통합다기능 전화기 및 통신 방법
BRPI0618318A2 (pt) interface de serviço para telefonia
US20080182546A1 (en) Mobile phone capable of making internet calls, system and method using the same
JP3917067B2 (ja) Web提供システム、Web提供方法、これらに用いる端末、及び、端末制御プログラム
KR100368114B1 (ko) 인터넷을 이용한 전화 시스템
JP3501623B2 (ja) 送信装置
US20040165578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elephony endpoints
KR20010008326A (ko) 인터넷을 이용한 통화시스템
KR20000072831A (ko) 인터넷을 이용한 통화시스템
JP3378564B2 (ja) 留守番電話メッセージ提供システム
JP4100081B2 (ja) 中継装置
JP3337952B2 (ja) 発信番号非通知呼応答方式及び方法
JP2002152406A (ja) 電話通信方法、電話通信システム、ウェブサーバ及びプログラム記録媒体
JP4466527B2 (ja) ボタン電話システム
JP3245787B2 (ja) 電話接続システム
KR100570816B1 (ko) 컴퓨터전화통합 프로그램을 이용한 호처리 장치 및 방법
KR100406964B1 (ko) 사용자상태 표시기능이 구비된 인터넷폰 및 그 제어방법
KR20040069354A (ko) 무선망에 연결된 무선 디바이스를 사용하는 호출 정보 및메시지의 원격 액세스
KR101003789B1 (ko) VoIP 기반의 IVR 시스템에서의 고객 담당자 직접 통화연결 서비스 방법
KR100624684B1 (ko) 컴퓨터전화통합 프로그램을 이용한 호처리 장치 및 방법
KR20010017324A (ko) 자동 인터넷 폰 접속 기능을 갖는 컴퓨터 및 자동 인터넷 폰 접속 방법
JP2002152384A (ja) キャラクターデータ配信支援システム、ユーザー端末、ネットワークサービスサーバー及びキャラクターデータ配信方法
JP2003174507A (ja) インターネットテレビ電話システム
JP2001339503A (ja) インターネット電話装置及び電子名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