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07246A - 광픽업장치 - Google Patents

광픽업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07246A
KR20010007246A KR1020000030795A KR20000030795A KR20010007246A KR 20010007246 A KR20010007246 A KR 20010007246A KR 1020000030795 A KR1020000030795 A KR 1020000030795A KR 20000030795 A KR20000030795 A KR 20000030795A KR 20010007246 A KR20010007246 A KR 2001000724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beam splitter
light source
sub
ma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307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99809B1 (ko
Inventor
김종렬
김건수
최명수
오형택
유종화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10200000307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99809B1/ko
Priority to DE60041167T priority patent/DE60041167D1/de
Priority to EP00304854A priority patent/EP1073045B1/en
Priority to MYPI20002624 priority patent/MY125092A/en
Priority to JP2000174138A priority patent/JP2001023222A/ja
Priority to CNB001201689A priority patent/CN1168079C/zh
Priority to US09/592,433 priority patent/US6507548B1/en
Publication of KR200100072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072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998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99809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12Heads, e.g. forming of the optical beam spot or modulation of the optical beam
    • G11B7/135Means for guiding the beam from the source to the record carrier or from the record carrier to the detector
    • G11B7/1372Lenses
    • G11B7/1376Collimator lense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12Heads, e.g. forming of the optical beam spot or modulation of the optical beam
    • G11B7/125Optical beam sources therefor, e.g. laser control circuitry specially adapted for optical storage devices; Modulators, e.g. means for controlling the size or intensity of optical spots or optical traces
    • G11B7/126Circuits, methods or arrangements for laser control or stabilisation
    • G11B7/1263Power control during transducing, e.g. by monitoring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Optical Head (AREA)

Abstract

광을 조사하는 광원; 광원에서 조사된 광경로 상에 설치되어 조사된 광을 분기시키는 빔스프리터; 빔스프리터에서 분기된 메인광을 광기록매체에 집속시키기 위한 대물렌즈; 빔스프리터에서 분기된 서브광을 수광하여 광원의 출사광량을 모니터링하는 모니터용 광검출기; 광원에서 조사되고 광기록매체에서 반사된 후 빔스프리터를 경유하여 입사된 광을 수광하여 오차신호와 정보신호를 검출하는 메인 광검출기; 및 빔스프리터에서 분기되는 메인광 및 서브광 모두를 소정 각도로 집속시키도록 광원과 빔스프리터 사이의 광경로 상에 설치되는 콜리메이팅 렌즈;를 포함하여, 모니터용 광검출기에서의 수광량이 많아지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픽업장치가 개시된다.

Description

광픽업장치{Optical pickup apparatus}
본 발명은 광기록매체에 광을 조사하여 정보를 기록하거나 기록된 정보를 재생하기 위한 광픽업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광픽업장치는 컴팩트 디스크 플레이어(C에), CD-ROM 드라이버, 디지털 다기능 디스크 플레이어(DVDP), DVD-ROM 드라이버 등에 채용되며, 비접촉식으로 광기록매체에 정보를 기록/재생한다.
도 1은 종래 기술의 일 예로서 일본 소니(Sony) 사의 광픽업장치의 광학적 배치를 나타낸 것이다.
도 1에 도시된 광픽업장치는 광원(10)과, 이 광원(10)으로부터 조사되어 빔스프리터(11)에서 일방향으로 분기된 메인광을 광디스크(1)에 맺히도록 집속시키는 대물렌즈(13)와, 상기 광디스크(1)에서 반사되고 빔스프리터(11)를 경유한 광을 수광하는 메인 광검출기(15) 및 상기 빔스프리터(11)에서 다른 방향으로 분기된 서브광을 수광하기 위한 모니터용 광검출기(17)를 구비한다. 상기 빔스프리터(11)와 대물렌즈(13) 사이의 광경로상에는 입사광을 집속시키는 콜리메이팅 렌즈(12)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빔스프리터(11)와 메인 광검출기(15) 사이의 광경로상에는 입사광을 회절 투과시키는 홀로그램소자(14)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메인 광검출기(15)에서는 입사된 광을 신호로 재생한다. 재생되는 신호의 품질은 광원(10)에서의 출사광량의 변화량에 비례하여 결정된다. 따라서, 고품질의 재생신호를 얻기 위해서는 상기 출사광량을 일정하게 유지시켜주어야 한다. 이를 위해 상기 모니터용 광검출기(17)에서는 빔스프리터(11)에서 반사되지 않고 그대로 투과한 서브광의 광량을 검출한다. 그리고, 검출된 서브광량에 대한 정보는 광원(10)의 광출력량을 제어하는데 사용된다.
그런데, 종래 기술의 광픽업장치는 광원(10)에서 출사된 광이 빔스프리터(11)에서 분기된 후에도 소정각도로 확산되는 반면에, 이 확산광을 검출하는 모니터용 광검출기(17)의 광검출 유효면적이 한정되어 있다. 따라서, 모니터용 광검출기(17)에서는 광원(10)의 광출력을 효과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정보를 얻을 만큼 충분한 서브광을 검출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 광원에서 출사된 광을 집속시켜 모니터용 광검출기로 향하도록 구조가 개선된 광픽업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광픽업장치의 광학적 배치를 나타내 보인 개략적인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픽업장치의 광학적 배치를 나타내 보인 개략적인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픽업장치의 모니터용 광검출기의 감도를 종래기술과 비교해 보인 그래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광픽업장치의 광학적 배치를 나타내 보인 개략적인 구성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광디스크 20..광원
21,61,62..빔스프리터 23,63..대물렌즈
25,64..메인 광검출기 26..홀로그램소자
27,65..모니터용 광검출기 29,66,67..콜리메이팅 렌즈
30..광출력 제어회로 40,50..제1 및 제2광원모듈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광픽업장치는, 광을 조사하는 광원; 상기 광원에서 조사된 광경로 상에 설치되어 조사된 광을 분기시키는 빔스프리터; 상기 빔스프리터에서 분기된 메인광을 광기록매체에 집속시키기 위한 대물렌즈; 상기 빔스프리터에서 분기된 서브광을 수광하여 상기 광원의 출사광량을 모니터링하는 모니터용 광검출기; 상기 광원에서 조사되고 상기 광기록매체에서 반사된 후 상기 빔스프리터를 경유하여 입사된 광을 수광하여 오차신호와 정보신호를 검출하는 메인 광검출기; 및 상기 빔스프리터에서 분기되는 메인광 및 서브광 모두를 소정 각도로 집속시키도록 상기 광원과 상기 빔스프리터 사이의 광경로 상에 설치되는 콜리메이팅 렌즈;를 포함하여, 상기 모니터용 광검출기에서의 수광량이 많아지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광픽업장치는, 소정 파장을 갖는 제1광을 조사하는 제1광원모듈과; 상기 제1광과는 다른 파장을 갖는 제2광을 조사하는 제2광원모듈과; 상기 제1광원모듈에서 조사된 제1광의 진행경로를 변경하는 제1빔스프리터와; 상기 제2광원모듈에서 조사된 제2광을 메인광과 서브광으로 분기시키고, 상기 제1광은 투과시키는 제2빔스프리터와; 상기 제2빔스프리터에서 분기된 메인광과 상기 제1광을 광기록매체에 집속시키기 위한 대물렌즈와; 상기 각 광원모듈에서 조사되고 상기 광기록매체에서 반사된 후 상기 각 빔스프리터를 경유하여 입사된 광을 수광하여 오차신호와 정보신호를 검출하는 메인 광검출기와; 상기 제2빔스프리터에서 분기된 서브광을 수광하여 상기 제2광원모듈의 출사광량을 모니터링하는 모니터용 광검출기; 및 상기 제2빔스프리터에서 분기되는 메인광 및 서브광 모두를 소정 각도로 집속시키도록 상기 제2광원모듈과 상기 제2빔스프리터 사이의 광경로 상에 설치되는 제1콜리메이팅 렌즈;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픽업장치를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픽업장치는, 광을 조사하는 광원(20)과, 상기 광원(20)에서 조사된 광을 분기시키는 빔스프리터(21)와, 상기 빔스프리터(21)에서 분기된 메인광(L1)을 광디스크(1)에 맺히도록 집속시키는 대물렌즈(23)와, 상기 광디스크(1)에서 반사된 광을 수광하여 검출하는 메인 광검출기(25)와, 상기 빔스프리터(21)에서 분기된 서브광(L2)을 수광하는 모니터용 광검출기(FPD; Front photo-detector, 27) 및, 상기 광원(20)에서 조사되어 확산되는 광을 집속시키는 콜리메이팅렌즈(CL;Collimating-lens,29)를 구비한다.
상기 빔스프리터(21)는 광원(20)과 상기 모니터용 광검출기(27) 사이의 광경로 상에 설치된다. 이 빔스프리터(21)는 광원(20)에서 조사된 광을 대물렌즈(23)로 향하는 메인광(L1)과, 모니터용 광검출기(27)로 향하는 서브광(L2)으로 분기시킨다. 상기 대물렌즈(23)는 빔스프리터(21)와 광디스크(1) 사이의 광경로 상에 설치된다. 이 대물렌즈(23)는 광디스크(10)의 소정위치에 광을 포커싱할 수 있도록 소정 액츄에이터(미도시)에 의해 제어된다.
상기 메인 광검출기(25)는 광디스크(1)에서 반사되어 다시 빔스프리터(21)를 경유한 메인광(l1)을 수광한다. 그리고, 메인 광검출기(25)는 상기 수광된 광으로부터 정보신호와 오차신호를 검출한다. 상기 홀로그램소자(26)는 메인 광검출기(25)와 빔스프리터(21) 사이의 광경로 상에 설치된다. 이 홀로그램소자(26)는 광검출기(25)로 수광될 광을 회절 투과시킨다.
상기 모니터용 광검출기(27)는 광원(20)에서 조사된 후 빔스프리터(21)를 그대로 투과하는 서브광(L2)의 광경로상에 설치된다. 이 모니터용 광검출기(27)는 수 ㎟의 유효면적을 구비하며, 그 유효면적으로 입사하는 서브광(L2)의 광량을 검출한다.
상기 콜리메이팅 렌즈(29)는 메인광(L1)과 서브광(L2) 모두를 집속시키도록 광원(20)과 빔스프리터(21) 사이에 설치된다. 따라서, 모니터용 광검출기(27)로 향하는 서브광(L2)은 종래와 같이 광원으로부터 확산된 상태로 진행되지 않고, 소정 방사각으로 집속되어 진행하게 된다. 여기서, 바람직하게는 콜리메이팅 렌즈(29)는 광원(20)으로부터 광원(20) 고유의 발산각으로 조사되는 광을 약 4 ∼ 6도 사이의 방사각을 갖도록 집속시키는 것이 좋다. 이와 같이, 서브광(L2)이 집속되면, 모니터용 광검출기(27)의 유효면적을 넓히지 않고 한정된 유효면적으로 종래보다 많은 서브광(L2)을 검출할 수 있다. 특히, 콜리메이팅 렌즈(29)에서의 광의 방사각을 약 5도가 되도록 집속시킬 경우, 콜리메이팅 렌즈(29)를 설치하지 않았을 때 보다 모니터용 광검출기(27)에서 검출되는 서브광량을 약 50%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이와 같이 모니터용 광검출기(27)에서 검출된 서브광량에 대한 정보는 소정 광출력 제어회로(30)로 전달된다. 그리고, 광출력 제어회로(30)는 전달된 서브광량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여 광원(20)에서 일정한 광을 출사하도록 그 광원(20)을 제어한다. 이 때, 모니터용 광검출기(27)에서 검출되는 서브광량이 많을수록 광원(20)에서의 광출력량을 제어하는데 필요한 정보의 신뢰성이 높아지는 특성을 감안하면, 광출력 제어회로(30)에서는 종래보다 신뢰성이 놓은 정보를 이용하여 광원(20)의 광출력량을 보다 정확하게 제어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광디스크(1)에 기록되거나 재생되는 정보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의 따른 광픽업장치와 도 1에 도시된 종래 광픽업장치 각각의 감도를 실험을 통해 비교해 보이고자 한다.
도 3은 일본의 하마마쯔사 S3321-04 모델의 모니터용 광검출기를 이용하여, 종래 소니사 광픽업장치와 본 실시예에 따른 광픽업장치의 감도(모니터용 광검출기의 전류치/대물렌즈의 출사광)를 실험을 통해 비교해 보인 그래프이다.
도면에서 알 수 있듯이, 종래기술에서의 감도(A1)는 약 0.075mA/mW의 값을 갖는 반면에, 본 발명에서의 감도(A2)는 약 0.02mA/mW의 값을 가짐으로써 상기 감도(A2)보다 현저히 높아졌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결과를 더 자세히 알아보기 위해서, 각 광원(도1의 10)(20)의 방사각을 1O도 및 24도로 하는 동일한 조건으로 하고, 각 광원(10)(20)에서의 전체 출사광량을 단순비교수치로서 약 2054로 유지시킨 상태에서, 모니터용 광검출기의 유효면적에서 검출되는 서브광량을 조사해 보았다. 그 결과값을 나타내보인 표 1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구분 광원의 출사광량 광원에서의 방사각 CL Lense FPD 종류 FPD에서 검출된 서브광량 FPD 서브광량 비율
실시예 2054 10도, 24도 하마마쯔사 S3321-04 934 45.5%(934/2054)
비교예(소니사) 2054 10도, 24도 하마마쯔사 S3321-04 385 18.7%(385/2054)
상기 표 1을 통해 알 수 있듯이, 각 모니터용 광검출기에서 측정된 서브광량은 비교예에서 385인 반면에, 본 실시예서는 934이었다. 따라서, 비교예에서의 서브광량 검출비율(B1)은 18.7%(385/2054)이고, 본 실시예에서의 서브광량 검출비율(B2)은 45.5%(934/2054)이고, 상기 B1 : B2의 비율은 18.7 : 45.5 = 1 : 2.4임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의 서브광량 검출감도가 비교예보다 약 2.4배 높으므로, 상기 광출력 제어회로(30)에서는 보다 신뢰성 있는 광출력 제어정보를 얻어낼 수 있다.
또한, 실질적으로 상기 홀로그램소자(26)의 광 투과효율은 약 0.85이다. 따라서, 이러한 홀로그램소자(26)의 광 투과효율이 1이 되도록 보상하기 위해서, 상기 광원(20)에서는 약 1.18배로 광출력을 높여주게 된다. 따라서, 실제로는 모니터용 광검출기(27)에서의 최종적인 검출광량은 B2 ×1.18 = 2.8로서, 비교예에 비해 약 2.8배 높아짐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이, 콜리메이팅 렌즈(29)를 설치하여 서브광의 검출량을 높임으로써, 모니터용 광검출기(27)의 위치설계가 종래에 비해 자유롭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서브광의 검출량은, 광원(20)을 약 0.5mm 이상 이동시켰을 때나 콜리메이팅렌즈(20)를 약 1mm이상 이동시켰을 때 심하게 변하게 된다. 따라서, 각 광학기기들의 조립공차가 있는 것을 감안할 경우, 본 발명에 따른 광픽업장치는 종래 기술의 광픽업장치에 비해 보다 나은 서브광 검출효율을 얻을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당연히 광원의 광출력을 효과적으로 제어하여, 재생 또는 기록되는 정보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광픽업장치의 광학적 구성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광픽업장치는 서로 다른 파장의 광을 조사하는 제1 및 제2광원모듈(40)(50)과, 상기 각 광원모듈(40)(50)에서 조사된 광의 진행경로를 변환하기 위한 제1 및 제2빔스프리터(61)(62)와, 입사광을 디스크(1)에 집속시키기 위한 대물렌즈(63)와, 상기 디스크(1)에서 반사되고 상기 제2빔스프리터(62) 및 제1빔스프리터(61)를 경유하여 입사된 광을 수광하는 메인 광검출기(64)와, 상기 제2광원모듈(50)에서 조사된 후 제2빔스프리터(62)에서 분기된 서브광(L2)을 검출하는 모니터용 광검출기(65)와, 제2광원모듈(50)에서 조사된 광을 1차로 집속시키는 제1콜리메이팅렌즈(66)와, 상기 대물렌즈(63)로 입사되는 광을 집속시키는 제2콜리메이팅렌즈(67)를 구비한다.
상기 제1광원모듈(40)은 두께가 상대적으로 얇은 디스크(1a) 예컨대 DVD용으로서, 약 650nm 파장의 광을 조사한다. 상기 제2광원모듈(50)은 두께가 상대적으로 두꺼운 디스크(1b) 예컨대, CD 패밀리용으로서 약 780nm 파장의 광을 조사한다.
상기 제1광원모듈(40)은 도시되지 않은 소정 광원과, 이 광원의 후면에 설치되어 조사된 광을 수광함으로써 광원의 광출력을 모니터링하는 모니터용 광검출기 등을 구비한다. 이러한 제1광원모듈(40)의 구성은 일반적으로 알려진 공지의 기술이므로 더 이상의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제2광원모듈(50)은 제1광원모듈(40)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을 가진다. 다만, 제2광원모듈(50)의 광출력을 모니터링하기 위한 모니터용 광검출기(65)가 상기 서브광(L2)의 광경로상에 위치해 있다는 점과, 조사되는 광의 파장이 다른점에서 제1광원모듈(40)과 구별된다.
상기 제1빔스프리터(61)는 평판형 구조이며, 제1광원모듈(40)에서 조사된 광을 반사시켜 제2빔스프리터(62)로 향하도록 한다. 제2빔스프리터(62)는 입사광을 투과 또는 반사시키도록 된 경면을 가지는 큐빅형 구조이다.
따라서, 상기 제1광원모듈(40)에서 조사된 광은 제1빔스프리터(61)에서 반사된 후 제2빔스프리터(62)를 투과하여 광디스크(1) 쪽으로 향한다. 그리고, 제2광원모듈(50)에서 조사된 광은 제2빔스프리터(62)에서 반사되어 대물렌즈(63)로 향하는 메인광(L1)과, 그대로 투과하여 상기 모니터용 광검출기(65)로 향하는 서브광(L2)으로 분기된다. 상기 메인광(L1)은 대물렌즈(63)에서 집속되어 광디스크(1)에 맺힌다.
여기서, 상기 제2광원모듈(50)과 제2빔스프리터(62) 사이의 광경로상에는 입사광을 회절시키는 그레이팅(grating, 68)과, 상기 제1콜리메이팅렌즈(66)가 설치된다. 상기 제1콜리메이팅렌즈(66)는 모니터용 광검출기(65)의 유효면적에서 검출되는 서브광량을 증대시키기 위해, 제2광원모듈(50)에서 조사되는 광을 소정 방사각으로 집속시킨다. 또한, 제1콜리메이팅렌즈(66)는 상기 제2콜리메이팅렌즈(67)에서의 2차 광집속을 감안하여 입사된 광을 약 5도 정도의 방사각으로 집속시키는 것이 좋다.
상기 모니터용 광검출기(65)는 제2광원모듈(50)의 광출력을 제어하기 위한 정보를 얻어내기 위해, 상기 서브광(L2)을 검출한다. 이 때, 상기 모니터용 광검출기(65)는 제1콜리메이팅렌즈(66)에서 소정 방사각으로 집속된 제2광원모듈(50)의 서브광(L2)을 검출하게 되므로, 일정한 유효면적으로 제1콜리메이팅렌즈(66)가 없을 때보다 많은 광검출량을 얻을 수 있게 된다.
또한, 제2빔스프리터(62)와 대물렌즈(63) 사이의 광경로상에는 광학적 배치를 고려하여 입사광을 반사시키는 반사미러(69)와, 상기 제2콜리메이팅렌즈(67)가 설치된다. 상기 제2콜리메이팅렌즈(67)는 각 광원모듈(40)(50) 각각에서 조사된 광을 대략 평행광으로 집속하여 대물렌즈(63)로 향하도록 한다. 즉, 상기 제2콜리메이팅렌즈(67)는 제1콜리메이팅렌즈(66)에서 1차로 집속된 후 상기 제2빔스프리터(62)에서 분기된 메인광(L1)을 평행광이 되도록 2차로 집속한다.
상기 메인 광검출기(64)는 제1광원모듈(40)과 제2광원모듈(50) 각각에서 조사된 광 중에서 디스크(1)에서 반사된 광을 수광하여, 재생신호(Radio Frequency 신호)와 오차신호를 검출한다. 또한, 메인 광검출기(64)와 제1빔스프리터(61) 사이의 광경로상에는 센서렌즈(70)가 더 설치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광픽업장치는, 서로 다른 파장의 광을 출력하는 두 개의 광원모듈을 구비하여 포맷이 다른 기록매체를 호환 채용할 수 있다. 특히, 도 2에 도시된 광픽업장치와 마찬가지로, 제2광원모듈(50)에서 조사된 후 모니터용 광검출기(65)로 향하는 광을 집속시킴으로서, 모니터용 광검출기(65)의 광검출감도를 현저하게 높일 수 있게된다. 따라서, 제2광원모듈(50)의 광출력을 일정하게 제어하는데 필요한 정보를 쉽고 정확하게 얻을 수 있다. 또한, 모니터용 광검출기(65)와 제2광원모듈(50)의 설치오차에 대한 허용범위를 확대할 수 있어서 제품의 불량률을 낮출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광픽업장치에 따르면, 광원과 빔스프리터 사이에 콜리메이팅렌즈를 설치함으로서, 모니터용 광검출기에서 검출되는 서브광량이 증대된다. 따라서, 광원이 일정한 광출력을 갖도록 효과적으로 제어될 수 있기 때문에, 기록/재생되는 정보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모니터용 광검출기에서의 서브광량 검출량이 증대되므로, 광원 및 모니터용 광검출기의 설치오차에 따른 서브광량의 변동을 보상할 수 있기 때문에 제품의 불량률을 낮출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Claims (7)

  1. 광을 조사하는 광원;
    상기 광원에서 조사된 광경로 상에 설치되어 조사된 광을 분기시키는 빔스프리터;
    상기 빔스프리터에서 분기된 메인광을 광기록매체에 집속시키기 위한 대물렌즈;
    상기 빔스프리터에서 분기된 서브광을 수광하여 상기 광원의 출사광량을 모니터링하는 모니터용 광검출기;
    상기 광원에서 조사되고 상기 광기록매체에서 반사된 후 상기 빔스프리터를 경유하여 입사된 광을 수광하여 오차신호와 정보신호를 검출하는 메인 광검출기; 및
    상기 빔스프리터에서 분기되는 메인광 및 서브광 모두를 소정 각도로 집속시키도록 상기 광원과 상기 빔스프리터 사이의 광경로 상에 설치되는 콜리메이팅 렌즈;를 포함하여, 상기 모니터용 광검출기에서의 수광량이 많아지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픽업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콜리메이팅렌즈를 경유하는 메인광 및 서브광의 방사각은 4∼6도 사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픽업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콜리메이팅렌즈를 경유하는 메인광 및 서브광의 방사각은 5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픽업장치.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빔스프리터와 상기 광기록매체 사이에는 상기 빔스프리터를 통과한 메인광을 집속시키는 콜리메이팅렌즈가 더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픽업장치.
  5. 소정 파장을 갖는 제1광을 조사하는 제1광원모듈과;
    상기 제1광과는 다른 파장을 갖는 제2광을 조사하는 제2광원모듈과;
    상기 제1광원모듈에서 조사된 제1광의 진행경로를 변경하는 제1빔스프리터와;
    상기 제2광원모듈에서 조사된 제2광을 메인광과 서브광으로 분기시키고, 상기 제1광은 투과시키는 제2빔스프리터와;
    상기 제2빔스프리터에서 분기된 메인광과 상기 제1광을 광기록매체에 집속시키기 위한 대물렌즈와;
    상기 각 광원모듈에서 조사되고 상기 광기록매체에서 반사된 후 상기 각 빔스프리터를 경유하여 입사된 광을 수광하여 오차신호와 정보신호를 검출하는 메인 광검출기와;
    상기 제2빔스프리터에서 분기된 서브광을 수광하여 상기 제2광원모듈의 출사광량을 모니터링하는 모니터용 광검출기; 및
    상기 제2빔스프리터에서 분기되는 메인광 및 서브광 모두를 소정 각도로 집속시키도록 상기 제2광원모듈과 상기 제2빔스프리터 사이의 광경로 상에 설치되는 제1콜리메이팅 렌즈;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픽업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빔스프리터와 상기 대물렌즈 사이의 광경로 상에 설치되며, 상기 대물렌즈로 향하는 메인광과 제1광을 집속시키는 제2콜리메이팅렌즈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픽업장치.
  7.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콜리메이팅렌즈는 입사된 제2광을 약 5도의 방사각이 되도록 집속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픽업장치.
KR1020000030795A 1999-06-10 2000-06-05 광픽업장치 KR1006998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30795A KR100699809B1 (ko) 1999-06-10 2000-06-05 광픽업장치
DE60041167T DE60041167D1 (de) 1999-06-10 2000-06-08 Optisches Abtastgerät
EP00304854A EP1073045B1 (en) 1999-06-10 2000-06-08 Optical pickup device
MYPI20002624 MY125092A (en) 1999-06-10 2000-06-09 Optical pickup device
JP2000174138A JP2001023222A (ja) 1999-06-10 2000-06-09 光ピックアップ装置
CNB001201689A CN1168079C (zh) 1999-06-10 2000-06-10 光拾取装置
US09/592,433 US6507548B1 (en) 1999-06-10 2000-06-12 Optical pickup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21553 1999-06-10
KR19990021553 1999-06-10
KR1020000030795A KR100699809B1 (ko) 1999-06-10 2000-06-05 광픽업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07246A true KR20010007246A (ko) 2001-01-26
KR100699809B1 KR100699809B1 (ko) 2007-03-27

Family

ID=266353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30795A KR100699809B1 (ko) 1999-06-10 2000-06-05 광픽업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6507548B1 (ko)
EP (1) EP1073045B1 (ko)
JP (1) JP2001023222A (ko)
KR (1) KR100699809B1 (ko)
CN (1) CN1168079C (ko)
DE (1) DE60041167D1 (ko)
MY (1) MY125092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56666A (ja) * 2000-03-09 2001-09-21 Ricoh Co Ltd 光ピックアップ装置
JP2002100068A (ja) * 2000-09-26 2002-04-05 Pioneer Electronic Corp 光ピックアップ装置
JP2004005944A (ja) 2002-04-30 2004-01-08 Samsung Electronics Co Ltd 光ピックアップ及びくさび型ビームスプリッタ
KR100480623B1 (ko) * 2002-10-18 2005-03-31 삼성전자주식회사 광 노이즈를 차단한 광픽업 장치 및 이를 채용한 광기록및/또는 재생장치
US7175087B2 (en) * 2003-07-25 2007-02-13 Nidec Sankyo Corporation Method of analyzing astigmatic difference and method of correcting the spot diameters for an optical device and spot analysis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67117A (en) * 1988-10-28 1991-11-19 Fuji Electric Co., Ltd. Output stabilizing apparatus for an optical head
TW218427B (ko) 1991-06-04 1994-01-01 Ibm
JPH05314529A (ja) * 1992-05-14 1993-11-26 Ricoh Co Ltd 光ピックアップ装置
JPH0726912A (ja) 1993-07-12 1995-01-27 Toyota Motor Corp 内燃機関の吸排気用バルブ駆動装置
JPH0765400A (ja) 1993-08-20 1995-03-10 Ricoh Co Ltd 光情報記録再生装置の光ピックアップ
JPH07169090A (ja) * 1993-12-13 1995-07-04 Ricoh Co Ltd 光情報並列記録再生装置
JPH07230628A (ja) * 1994-02-16 1995-08-29 Ricoh Co Ltd マルチビーム光ピックアップ装置
JPH08153336A (ja) 1994-11-29 1996-06-11 Nec Corp 光ヘッド装置
JPH09306009A (ja) * 1996-05-14 1997-11-28 Sony Corp 光学ピックアップ及び光ディスク装置
JP3622373B2 (ja) * 1996-10-18 2005-02-23 ソニー株式会社 光ディスクプレーヤ
JPH10289461A (ja) * 1997-04-15 1998-10-27 Hitachi Ltd 情報記録再生装置及び情報記録方法
JPH11213429A (ja) * 1998-01-30 1999-08-06 Sony Corp 相変化型光ディスクの記録装置及び記録方法
JPH10247335A (ja) * 1998-04-16 1998-09-14 Olympus Optical Co Ltd 光学ヘッド
KR100604788B1 (ko) * 1998-10-23 2006-07-26 삼성전자주식회사 호환형 광픽업장치
KR100315637B1 (ko) * 1999-03-31 2001-12-12 윤종용 씨디-알더블유의 재생/기록이 가능한 디브이디-롬 광학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60041167D1 (de) 2009-02-05
US6507548B1 (en) 2003-01-14
MY125092A (en) 2006-07-31
CN1168079C (zh) 2004-09-22
KR100699809B1 (ko) 2007-03-27
CN1277431A (zh) 2000-12-20
EP1073045A3 (en) 2003-01-08
EP1073045A2 (en) 2001-01-31
EP1073045B1 (en) 2008-12-24
JP2001023222A (ja) 2001-01-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15637B1 (ko) 씨디-알더블유의 재생/기록이 가능한 디브이디-롬 광학계
JP2006024333A (ja) 光ピックアップ装置、記録及び/又は再生装置
EP1156483B1 (en) Compatible optical disk player and data recording and reproducing method
KR100694029B1 (ko) 고밀도 기록/재생용 호환형 광픽업장치
JPH1055567A (ja) 光ピックアップシステム
US7251209B2 (en) Optical pickup and a wedge beam splitter
KR100716938B1 (ko) 광픽업장치
KR100699809B1 (ko) 광픽업장치
KR100294886B1 (ko) 호환형 광픽업장치
KR100492995B1 (ko) 호환형광픽업장치
JP3455675B2 (ja) 光ピックアップ装置
CN1321414C (zh) 光拾取器和使用它的光学记录和/或再现装置
KR100281880B1 (ko) 호환형광픽업장치
US20040095871A1 (en) Optical pickup device
KR0144874B1 (ko) 광픽업장치
KR0155089B1 (ko) 나이프 에지를 이용한 광픽업 장치
JP2002319699A (ja) 光学装置
KR20010029131A (ko) 광픽업장치
KR100215455B1 (ko) 포커스에러를 검출하는 dvd/cd겸용 광픽업시스템
JP3608046B2 (ja) 光ディスク装置
KR20000066585A (ko) 광출력모듈 및 이를 채용한 호환형 광픽업장치
KR0176590B1 (ko) 기록 재생 겸용 광픽업장치
KR100234313B1 (ko) 광픽업 장치
KR100423853B1 (ko) 광디스크재생장치
KR100486291B1 (ko) 호환형 광픽업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315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