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07017A - 키 스위치 장치 - Google Patents

키 스위치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07017A
KR20010007017A KR1020000021690A KR20000021690A KR20010007017A KR 20010007017 A KR20010007017 A KR 20010007017A KR 1020000021690 A KR1020000021690 A KR 1020000021690A KR 20000021690 A KR20000021690 A KR 20000021690A KR 20010007017 A KR20010007017 A KR 2001000701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ey top
link member
pair
link
ke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216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21263B1 (ko
Inventor
나까이다까시
Original Assignee
가타오카 마사타카
알프스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타오카 마사타카, 알프스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가타오카 마사타카
Publication of KR200100070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070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212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21263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00Mechanisms for operating contacts
    • H01H3/02Operating parts, i.e. for operating driving mechanism by a mechanical force external to the switch
    • H01H3/12Push-buttons
    • H01H3/122Push-buttons with enlarged actuating area, e.g. of the elongated bar-type; Stabilising means therefor
    • H01H3/125Push-buttons with enlarged actuating area, e.g. of the elongated bar-type; Stabilising means therefor using a scissor mechanism as stabilis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ush-Button Switches (AREA)
  • Input From Keyboards Or The Like (AREA)

Abstract

안내지지부재의 강성을 향상시켜 키 톱의 원활한 안내지지를 가능하게 하는 박형의 키 스위치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키 톱 (1) 을 안내지지하는 안내지지부재 (8) 는 선재로 구성된 제 1 링크부재 (9) 및 제 2 링크부재 (12) 를 구비하여 이루어지고, 제 1 링크부재 (9) 의 한쌍의 아암부 (11) 의 안쪽에 제 2 링크부재 (12) 의 한쌍의 아암부 (14) 를 위치시켜 제 1 링크부재 (9) 의 한쌍의 아암부 (11) 와 제 2 링크부재 (12) 의 한쌍의 아암부 (14) 를 교차시키고, 이 교차부 (15) 에서 제 1 링크부재 (9) 와 제 2 링크부재 (12) 를 회전운동가능하게 한다.

Description

키 스위치 장치{key switch apparatus}
본 발명은 퍼스널 컴퓨터 및 워드 프로세서 등의 각종 입력장치로서 사용되는 키보드에 사용하기에 바람직한 키 스위치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상승위치와 강하위치 사이에서 키 톱을 안내지지하는 안내지지기구에 관한 것이다.
도 6 내지 도 8 은 이러한 종류의 키 스위치 장치의 종래기술을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이 키 스위치 장치는 ABS 수지 등의 합성수지로 성형가공된 키 톱 (41) 과, 이 키 톱 (41) 의 하방에 배치된 홀더부재 (52) 와, 이 홀더부재 (52) 에서 이간된 상승위치와 홀더부재 (52) 에 근접한 강하위치 사이에서 키 톱 (41) 을 안내지지하는 안내지지부재 (44) 와, 홀더부재 (52) 의 상면에 부착된 스위치부재 (57) 와, 키 톱 (41) 과 스위치부재 (57) 사이에 설치된 러버 스프링 (58) 으로 구성되어 있다.
키 톱 (41) 은 그 상면에 알파벳 등의 문자 (도시하지 않음) 가 인쇄에 의해 형성되고, 도 6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키 톱 (41) 의 하면으로부터는 걸림부로서의 회전운동걸림부 (42) 및 슬라이딩걸림부 (43) 가 하방을 향해 키 톱 (41) 과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회전운동걸림부 (42) 에는 걸림구멍 (42a) 이 형성되어 있고, 또한 슬라이딩걸림부 (43) 에는 걸림구멍 (43a) 이 형성되어 있다.
안내지지부재 (44) 는 합성수지재료를 성형가공하여 이루어지는 제 1, 제 2 링크부재 (45,48) 로 구성되어 있고, 도 7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링크부재 (45) 는 서로 평행한 한쌍의 아암부 (46) 와, 이 한쌍의 아암부 (46) 를 일체로 연결하는 연결부 (47) 로 대략 U 자형으로 형성되고, 각 아암부 (46) 의 양단부에는 각각 걸림핀 (46a) 및 걸림돌기 (46b) 가 바깥쪽으로 돌출하여 형성되어 있음과 동시에 각 아암부 (46) 의 중간부에는 축구멍 (46c) 이 대향하여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 2 링크부재 (48) 는 원형의 구멍 (49a) 을 갖는 기부 (49) 와, 이 기부 (49) 의 일단부에 연이어 형성된 서로 평행한 한쌍의 아암부 (50) 를 구비하고, 각 아암부 (50) 의 선단부에는 걸림돌기 (50a) 가 안쪽으로 돌출하여 형성되어 있고, 또한 기부 (49) 의 타단부에는 한쌍의 걸림핀 (49b) 이 바깥쪽으로 돌출하여 형성되어 있음과 동시에 기부 (49) 의 양측부에는 축 (49c) 이 바깥쪽으로 돌출하여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들 제 1, 제 2 링크부재 (45,48) 는 제 1 링크부재 (45) 의 한쌍의 아암부 (46) 의 안쪽에 제 2 링크부재 (48) 의 기부 (49) 를 위치시켜 한쌍의 아암부 (46) 의 축구멍 (46c) 에 기부 (49) 의 축 (49c) 을 끼워넣음으로써 도 6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측면에서 봤을 때 X 자형으로 교차하여 설치되고, 축 (49c) 과 축구멍 (46c) 으로 이루어지는 교차부 (51) 에서 상호 회전운동가능하게 되어 있으며, 제 1 링크부재 (45) 의 걸림돌기 (46b) 가 키 톱 (41) 의 걸림구멍 (43a) 에 슬라이딩가능하게 걸리게 되고, 제 2 링크부재 (48) 의 걸림핀 (49b) 이 키 톱 (41) 의 걸림구멍 (42a) 에 회전운동가능하게 걸려 있다.
홀더부재 (52) 는 금속제의 평판으로 이루어지고, 도 7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것에 장공형의 한쌍의 슬릿 (53a,53b) 을 평행하게 대향시켜 형성하고, 이 한쌍의 슬릿 (53a,53b) 사이의 평판부분을 하방에서 상방으로 돌출시킴으로써 걸림구멍 (54a) 을 갖는 걸림부로서의 슬라이딩걸림부 (54) 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홀더부재 (52) 에는 상기 한쌍의 슬릿 (53a,53b) 의 길이방향으로 이간된 위치에 이것과 평행한 한쌍의 슬릿 (55a,55b) 이 2 세트 간격을 두고 형성되며, 각 세트 마다 한쌍의 슬릿 (55a,55b) 사이의 평판부분을 하방에서 상방으로 돌출시킴으로써 걸림구멍 (56a) 을 갖는 걸림부로서의 회전운동걸림부 (56) 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회전운동걸림부 (56) 의 걸림구멍 (56a) 에 각각 제 1 링크부재 (45) 의 걸림핀 (46a) 이 회전운동가능하게 걸리고, 슬라이딩걸림부 (54) 의 걸림구멍 (54a) 에 제 2 링크부재 (48) 의 걸림돌기 (50a) 가 슬라이딩가능하게 걸리게 되어, 제 1 링크부재 (45) 에 의해 홀더부재 (52) 의 회전운동걸림부 (56) 가 키 톱 (41) 의 슬라이딩걸림부 (43) 와 대응되고, 제 2 링크부재 (48) 에 의해 홀더부재 (52) 의 슬라이딩걸림부 (54) 가 키 톱 (41) 의 회전운동걸림부 (42) 와 대응되어 있다.
스위치부재 (57) 는 도시를 생략한 상부시트, 스페이서 및 하부시트를 순차적으로 이 순서로 적층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상부시트의 하면 및 하부시트의 상면에는 각각 접점전극이 형성되며, 이들 접점전극은 상기 스페이서에 의해 소정 간격을 두고 대향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이 스위치부재 (57) 는 하부시트의 하면을 홀더부재 (52) 의 상면과 맞닿게 하여 접착 등의 적절한 수단에 의해 홀더부재 (52) 에 부착되어 있다.
러버 스프링 (58) 은 고무재료로 유발(鉢) 을 뒤집어 놓은 형상으로 형성되고, 도 6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환상저부 (58a) 가 두께가 얇은 탄성벽부 (58b) 를 통해 정부 (58c) 를 지지하고 있고, 정부 (58c) 의 하면에는 구동돌기 (58d) 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러버 스프링 (58) 은 환상저부 (58a) 를 스위치부재 (57) 의 상부시트에 고착시켜 키 톱 (41) 과 스위치부재 (57) 사이에 설치되고, 정부 (58c) 가 제 2 링크부재 (48) 의 구멍 (49a) 에 삽입관통되어 키 톱 (41) 의 하면과 맞닿고, 안내지지부재 (44) 와 협력하여 키 톱 (41) 을 홀더부재 (52) 로부터 이간된 상승위치에 지지함과 동시에 구동돌기 (58d) 가 스위치부재 (57) 의 접점전극의 형성위치에서 상부시트의 상면과 대향한 상태로 되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키 스위치 장치는 조작자가 키 톱 (41) 의 상면을 가압하면 키 톱 (41) 이 강하함에 따라 제 1 링크부재 (45) 의 걸림돌기 (46b) 가 슬라이딩걸림부 (43) 의 걸림구멍 (43a) 안을 화살표 (G) 방향으로 슬라이딩하고, 제 2 링크부재 (48) 의 걸림핀 (49b) 이 회전운동걸림부 (42) 의 걸림구멍 (42a) 안을 회전운동함과 함께 이와 동시에 제 1 링크부재 (45) 의 걸림핀 (46a) 이 회전운동걸림부 (56) 의 걸림구멍 (56a) 안을 회전운동하고, 제 2 링크부재 (48) 의 걸림돌기 (50a) 가 슬라이딩걸림부 (54) 의 걸림구멍 (54a) 안을 화살표 (G) 방향으로 슬라이딩한다.
그럼으로써 제 1, 제 2 링크부재 (45,48) 가 교차부 (51) 를 지점으로 하여 회전운동하면서 쓰러지고, 키 톱 (41) 이 제 1, 제 2 링크부재 (45,48) 에 안내되어 교차부 (51) 와 함께 강하한다. 그리하여 러버 스프링 (58) 이 키 톱 (41) 에 의해 하방으로 눌려져서 탄성벽부 (58b) 가 좌굴하여 클릭감이 생기되고, 그 직후에 도 8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키 톱 (41) 이 홀더부재 (52) 에 근접한 강하위치에 위치하고, 구동돌기 (58d) 가 스위치부재 (57) 의 상부시트를 가압하여 이것을 휘어지게 하므로 상부시트의 접점전극이 하부시트의 접점전극에 접촉하여 이들 접점전극이 도통되는 스위치 ON 상태가 된다.
또한 이 상태에서 키 톱 (41) 의 상면에 대한 가압조작력을 해제하면 러버 스프링 (58) 은 탄성벽부 (58b) 의 탄발력으로 본래의 유발을 뒤집어 놓은 형상으로 복귀하므로, 상승하는 정부 (58c) 에 키 톱 (41) 이 눌려올려져서 제 1 링크부재 (45) 의 걸림돌기 (46b) 가 슬라이딩걸림부 (43) 의 걸림구멍 (43a) 안을 화살표 (H) 방향으로 슬라이딩하고, 제 2 링크부재 (48) 의 걸림핀 (49b) 이 회전운동걸림부 (42) 의 걸림구멍 (42a) 안을 회전운동함과 함께 이와 동시에 제 1 링크부재 (45) 의 걸림핀 (46a) 이 회전운동걸림부 (56) 의 걸림구멍 (56a) 안을 회전운동하고, 제 2 링크부재 (48) 의 걸림돌기 (50a) 가 슬라이딩걸림부 (54) 의 걸림구멍 (54a) 안을 화살표 (H) 방향으로 슬라이딩한다.
그럼으로써 제 1, 제 2 링크부재 (45,48) 가 교차부 (51) 를 지점으로 하여 회전운동하면서 일어나고, 키 톱 (41) 이 제 1, 제 2 링크부재 (45,48) 에 안내되어 교차부 (51) 와 함께 상승하여 본래의 상승위치로 복귀한다. 그리고, 정부 (58c) 의 상승에 수반하여 구동돌기 (58c) 에 의한 스위치부재 (57) 의 상부시트의 휨이 자신의 가요성에 의해 해소됨으로써 상부시트의 접점전극이 하부시트의 접점전극에서 이간되어 이들 접점전극의 도통이 해제된 스위치 OFF 상태가 된다.
상술한 종래의 키 스위치 장치에 있어서는 제 1 링크부재 (45) 에는 걸림돌기 (46b) 의 하부에 두께 X 가 형성되고, 또한 제 2 링크부재 (48) 에는 걸림돌기 (50a) 의 상부에 두께 Y 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그 두께 X, Y 만큼 상하방향으로 높이가 높은 것으로 되어 있으며, 결국에는 이 키 스위치 장치를 사용하는 키보드 자체가 두꺼운 것으로 되어 있었다. 그러나, 제 1, 제 2 링크부재 (45,48) 에서 두께 X, Y 를 제거하면서 러버 스프링 (58) 을 상하방향으로 소형화하여 그 소형화한 만큼 박형화를 도모하고자 하면 제 1, 제 2 링크부재 (45,48) 는 합성수지재료를 성형가공하여 이루어진 것이기 때문에 강도적으로 강성이 부족하여 키 톱 (41) 의 가압조작력에 의해 변형이나 파손을 발생시켜 키 톱 (41) 의 원활한 안내지지가 불가능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기술의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그 목적은 안내지지부재의 강성을 향상시켜 키 톱의 원활한 안내지지를 가능하도록 하는 박형의 키 스위치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 은 본 발명의 키 스위치 장치의 분해사시도.
도 2 는 본 발명의 키 스위치 장치의 키 톱이 상승위치에 위치할 때의 평면도.
도 3 은 도 2 의 단면도.
도 4 는 본 발명의 키 스위치 장치의 키 톱이 강하위치에 위치할 때의 단면도.
도 5 는 본 발명의 키 스위치 장치에 관한 스위치부재의 단면도.
도 6 은 종래의 키 스위치 장치의 키 톱이 상승위치에 위치할 때의 단면도.
도 7 은 도 6 의 7-7 선을 따른 단면도.
도 8 은 종래의 키 스위치 장치의 키 톱이 강하위치에 위치할 때의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키 톱 2 : 지지돌기
3 : 회전운동걸림부 4 : 슬라이딩걸림부
5 : 걸림돌기 5a : 홈
6 : 걸림돌기 7 : 걸림돌기
7a : 걸림 절결부 8 : 안내지지부재
9 : 제 1 링크부재 10 : 기단부
11 : 한쌍의 아암부 11a : 제 1 걸어맞춤부
11b : 절곡부 12 : 제 2 링크부재
13 : 기단부 14 : 한쌍의 아암부
14a : 제 2 걸어맞춤부 14b : 절곡부
15 : 교차부 16 : 홀더부재
17 : 회전운동걸림부 18 : 걸림돌기
18a : 걸림 절결부 19 : 슬라이딩걸림부
20 : 걸림돌기 20a : 걸림구멍
21 : 스위치부재 22 : 상부시트
23 : 스페이서 24 : 하부시트
25 : 스위치부 26 : 지지판
27 : 한쌍의 노치구멍 28 : 클릭스프링
28a : 플랜지부 28b : 정부 (頂部)
29 : 링테이프 30 : 스템
본 발명의 키 스위치 장치는 키 톱과, 상기 키 톱의 하방에 배치되어 걸림부가 형성된 홀더부재와, 상기 키 톱을 지지하고, 상기 홀더부재의 상기 걸림부에 걸리게 되어 상기 홀더부재에서 이간된 상승위치와 상기 홀더부재에 근접한 강하위치 사이에서 상기 키 톱을 안내지지하는 안내지지부재와, 상기 키 톱의 승강운동에 따라 스위칭동작을 실시하는 스위치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안내지지부재는 상기 걸림부에 걸리게 되는 기단부와, 상기 기단부로부터 연장된 아암부로 이루어지는 링크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링크부재가 금속재를 절곡하여 형성되고, 절곡에 의해 간단하게 제조되며, 강성도 높은 안내지지부재가 얻어지고, 박형으로 키 톱의 원활한 안내지지를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키 스위치 장치는 하면에 걸림부가 형성된 키 톱과, 이 키 톱의 하방에 배치되어 상기 키 톱의 걸림부에 대응하는 걸림부가 형성된 홀더부재와, 상기 키 톱 및 홀더부재의 각 걸림부에 연결걸림되어 상기 홀더부재에서 이간된 상승위치와 상기 홀더부재에 근접한 강하위치 사이에서 상기 키 톱을 안내지지하는 안내지지부재와, 상기 키 톱의 승강운동에 수반하여 스위칭동작을 실시하는 스위치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안내지지부재는 기단부와, 이 기단부의 양단부에서 절곡형성된 서로 평행한 한쌍의 아암부를 갖는 선재로 구성된 제 1 링크부재 및 제 2 링크부재를 구비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제 1 링크부재의 한쌍의 아암부의 안쪽에 상기 제 2 링크부재의 한쌍의 아암부를 위치시켜 상기 제 1 링크부재의 한쌍의 아암부와 상기 제 2 링크부재의 한쌍의 아암부를 교차시키고, 이 교차부에서 상기 제 1 링크부재와 상기 제 2 링크부재를 회전운동가능하게 하는 것을 가장 주요한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구성에 있어서, 상기 제 1 링크부재의 한쌍의 아암부의 각각에 안쪽으로 만곡하는 제 1 걸어맞춤부를 형성함과 동시에 상기 제 2 링크부재의 한쌍의 아암부의 각각에는 바깥쪽으로 만곡하는 제 2 걸어맞춤부를 형성하고, 상기 제 1 걸어맞춤부의 바깥쪽에 상기 제 2 걸어맞춤부가 위치하도록 상기 제 1 걸어맞춤부와 상기 제 2 걸어맞춤부를 걸어맞춰 상기 교차부를 구성한다.
또한 상기 구성에 있어서, 상기 키 톱의 가압조작에 수반하여 상기 제 1, 제 2 링크부재가 회전운동하면서 쓰러지고, 상기 키 톱이 상기 강하위치에 도달하였을 때에 상기 제 1, 제 2 링크부재의 한쌍의 아암부는 상기 키 톱측이 상기 교차부를 지점으로 하여 하방으로 휘어져서 상기 키 톱을 상방으로 탄발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구성에 있어서, 상기 키 톱이 가압조작되어 강하할 때에 상기 제 1, 제 2 링크부재의 회전운동에 연동하여 상기 제 1, 제 2 걸어맞춤부가 서로 슬라이딩함으로써 상기 제 1 걸어맞춤부가 상기 제 2 링크부재의 한쌍의 아암부를 바깥쪽으로 벌리는 듯이 휘어지게 함과 동시에 상기 제 2 걸어맞춤부가 상기 제 1 링크부재의 한쌍의 아암부를 안쪽으로 좁히는 듯이 휘어지게 하고, 상기 키 톱의 가압조작력이 해제되었을 때에 상기 제 1, 제 2 링크부재의 한쌍의 아암부의 탄성복귀력에 의해 상기 제 1, 제 2 링크부재가 상기 제 1, 제 2 걸어맞춤부를 서로 슬라이딩시키면서 회전운동하여 일어나서 상기 키 톱을 상승시키도록 한다.
또한 상기 구성에 있어서, 상기 홀더부재의 상기 걸림부를 상기 키 톱의 하면과 대향시켜 형성하고, 상기 제 1 링크부재의 한쌍의 아암부에는 그 선단부를 바깥쪽으로 절곡하여 피걸림부를 형성하고, 이 피걸림부를 상기 홀더부재의 상기 걸림부에 걸리게 한다.
이하, 본 발명의 키 스위치 장치의 일실시형태를 도 1 내지 도 5 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이 키 스위치 장치는 ABS 수지 등의 합성수지로 성형가공된 키 톱 (1) 과, 이 키 톱 (1) 의 하방에 배치된 홀더부재 (16) 와, 이 홀더부재 (16) 에서 이간된 상승위치와 홀더부재 (16) 에 근접한 강하위치 사이에서 키 톱 (1) 을 안내지지하는 안내지지부재 (8) 와, 홀더부재 (16) 의 상면에 부착된 스위치부재 (21) 와, 이 스위치부재 (21) 에 부착된 클릭스프링 (28) 과, 이 클릭스프링 (28) 을 반전동작시키는 스템 (30) 으로 구성되어 있다.
키 톱 (1) 은 그 상면에 알파벳 등의 문자 (도시하지 않음) 가 인쇄에 의해 형성되고, 도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키 톱 (1) 의 하면으로부터는 아치형의 한쌍의 지지돌기 (2) 와, 걸림부로서의 회전운동걸림부 (3) 및 슬라이딩걸림부 (4) 가 하방을 향해 키 톱 (1) 과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회전운동걸림부 (3) 는 원호형의 홈 (5a) 을 갖는 2 개의 걸림돌기 (5) 와, 이들 걸림돌기 (5) 사이에 형성된 1 개의 걸림돌기 (6) 로 이루어지며, 또한 슬라이딩걸림부 (4) 는 걸림 절결부 (7a) 를 갖는 한쌍의 L 자형의 걸림돌기 (7) 로 구성되어 있다.
안내지지부재 (8) 는 금속제의 선스프링재를 절곡가공하여 이루어지는 제 1, 제 2 링크부재 (9,12) 로 구성되어 있고, 도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링크부재 (9) 는 기단부 (10) 와, 이 기단부 (10) 의 양단부로부터 절곡형성된 서로 평행한 한쌍의 아암부 (11) 를 일련적으로 가지고, 이 한쌍의 아암부 (11) 의 각각에는 그 중앙부에 안쪽으로 만곡하는 제 1 걸어맞춤부 (11a) 가 형성되어 있음과 동시에 각 아암부 (11) 의 선단부를 바깥쪽으로 절곡하여 피걸림부로서의 절곡부 (11b) 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 2 링크부재 (12) 는 기단부 (13) 와, 이 기단부 (13) 의 양단부로부터 절곡형성된 서로 평행한 한쌍의 아암부 (14) 를 일련적으로 가지고, 이 한쌍의 아암부 (14) 의 각각에는 그 중앙부에 바깥쪽으로 만곡하는 제 2 걸어맞춤부 (14a) 가 형성되어 있음과 동시에 각 아암부 (14) 의 안쪽으로 절곡하여 절곡부 (14b) 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들 제 1, 제 2 링크부재 (9,12) 는 제 1 걸어맞춤부 (11a) 의 바깥쪽에 제 2 걸어맞춤부 (14a) 가 위치하도록 제 1 링크부재 (9) 의 한쌍의 아암부 (11) 의 안쪽에 제 2 링크부재 (12) 의 한쌍의 아암부 (14) 를 위치시키고, 제 1 걸어맞춤부 (11a) 와 제 2 걸어맞춤부 (14a) 를 걸어맞춤으로써 도 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측면에서 봤을 때 X 자형으로 교차하여 설치되고, 제 1, 제 2 걸어맞춤부 (11a,14a) 로 이루어지는 교차부 (15) 에서 상호 회전운동가능하게 되어 있으며, 제 1 링크부재 (9) 의 기단부 (10) 가 키 톱 (1) 의 걸림 절결부 (7a) 에 슬라이딩가능하게 걸리게 되고, 제 2 링크부재 (12) 의 기단부 (13) 가 키 톱 (1) 의 걸림돌기 (5,6) 사이에 끼워져서 홈 (5a) 에 회전운동가능하게 걸리게 되어 있다.
홀더부재 (16) 는 금속제의 평판으로 이루어지고, 도 1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 홀더부재 (16) 에는 잘라세움으로써 걸림부로서의 회전운동걸림부 (17) 및 슬라이딩걸림부 (19) 가 상방을 향해 일체형성되어 있으며, 회전운동걸림부 (17) 는 걸림 절결부 (18a) 가 형성된 한쌍의 걸림돌기 (18) 로 이루어지고, 슬라이딩걸림부 (19) 는 걸림구멍 (20a) 이 형성된 한쌍의 걸림돌기 (20) 로 이루어져 있다.
그리고, 도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회전운동걸림부 (17) 의 한쌍의 걸림돌기 (18) 가 제 1 링크부재 (9) 의 바깥쪽에 위치하고, 슬라이딩걸림부 (19) 의 한쌍의 걸림돌기 (20) 가 제 2 링크부재 (12) 의 안쪽에 위치하여 이들 회전운동걸림부 (17) 및 슬라이딩걸림부 (19) 는 함께 키 톱 (1) 의 하면과 대향하여 형성되어 있으며, 도 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회전운동걸림부 (17) 의 걸림 절결부 (18a) 에 각각 제 1 링크부재 (9) 의 절곡부 (11b) 가 회전운동가능하게 걸리게 되고, 슬라이딩걸림부 (19) 의 걸림구멍 (20a) 에 각각 제 2 링크부재 (12) 의 절곡부 (14b) 가 슬라이딩가능하게 걸려 있다. 그럼으로써 제 1, 제 2 링크부재 (9,12) 가 키 톱 (1) 을 홀더부재 (16) 로부터 이간된 상승위치에 지지하여 제 1 링크부재 (9) 가 홀더부재 (16) 의 회전운동걸림부 (17) 와 키 톱 (1) 의 슬라이딩걸림부 (4) 를 대응시키고, 제 2 링크부재 (12) 가 홀더부재 (16) 의 슬라이딩걸림부 (19) 와 키 톱 (1) 의 회전운동걸림부 (3) 를 대응시킨 상태로 되어 있다.
스위치부재 (21) 는 도 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부시트 (22), 스페이서 (23) 및 하부시트 (24) 를 순차적으로 이 순서로 적층하여 이루어지는 스위치부 (25) 를 지지판 (26) 의 상면에 접착고정하여 구성되고, 상부시트 (22) 의 하면 및 하부시트 (24) 의 상면에는 각각 접점전극 (22a,24a) 이 형성되고, 이들 접점전극 (22a,24a) 은 스페이서 (23) 에 의해 소정간격을 두고 대향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도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 스위치부재 (21) 는 그의 L 자형의 한쌍의 노치구멍 (27) 에 홀더부재 (16) 의 회전운동걸림부 (17) 및 슬라이딩걸림부 (17) 를 삽입관통시켜 지지판 (26) 의 하면을 홀더부재 (16) 의 상면과 맞닿게 하여 접착 등의 적절한 수단으로 홀더부재 (16) 에 부착되어 있다.
클릭스프링 (28) 은 스테인리스 등의 금속제의 박판으로 돔형으로 형성되고, 그 주연부에는 플랜지부 (28a) 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클릭스프링 (28) 은 플랜지부 (28a) 를 투명한 링테이프 (29) 로 스위치부재 (21) 의 상부시트 (22) 의 상면에 고착시켜 키 톱 (1) 과 스위치부재 (21) 사이에 형성되고, 정부 (28b) 가 스위치부재 (21) 의 접점전극 (22a,24a) 의 형성위치에서 상부시트 (22) 의 상면과 대향한 상태로 되어 있다.
스템 (30) 은 고무 등의 탄성재에 의해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그 상부를 키 톱 (1) 의 한쌍의 지지돌기 (2) 사이에 끼워맞춰서 키 톱 (1) 의 하면에 지지되어 있다. 그리고, 이 스템 (30) 은 그 하면을 클릭스프링 (28) 의 정부 (28b) 와 맞닿게 하여 키 톱 (1) 이 상승위치에 위치한 상태에 있어서, 클릭스프링 (28) 을 약간 가압한 상태로 되어 있다.
이어서, 이 같이 구성된 키 스위치 장치의 조립방법을 설명하면 먼저 제 2 링크부재 (12) 의 제 2 걸어맞춤부 (14a) 사이에 제 1 링크부재 (9) 를 그 기단부 (10) 측에서 삽입하면 기단부 (10) 가 제 2 걸어맞춤부 (14a) 와 부딪친 상태가 되고, 이 상태에서 제 1 링크부재 (9) 를 더욱 밀어넣으면 제 2 링크부재 (12) 의 한쌍의 아암부 (14) 가 바깥쪽으로 휘어지고, 제 1 링크부재 (9) 의 제 1 걸어맞춤부 (11a) 가 제 2 링크부재 (12) 의 제 2 걸어맞춤부 (14a) 에 위치하였을 때에 제 2 링크부재 (12) 의 한쌍의 아암부 (14) 는 본래의 상태로 복원되고, 제 1, 제 2 걸어맞춤부 (11a,14a) 끼리가 걸어맞춤하여 제 1 링크부재 (9) 가 제 2 링크부재 (12) 에 장착된다.
이어서, 홀더부재 (16) 의 회전운동걸림부 (17) 및 슬라이딩걸림부 (19) 에 스위치부재 (21) 의 한쌍의 노치구멍 (27) 을 대응시켜 홀더부재 (16) 의 상면에 스위치부재 (21) 를 올려놓고 이것을 접착 등의 적절한 수단으로 고정시킨다. 이어서, 클릭스프링 (28) 의 정부 (28b) 를 스위치부재 (21) 의 접점전극 (22a,24a) 에 대응시킨 상태에서 링테이프 (29) 를 이용하여 클릭스프링 (29) 을 스위치부재 (21) 에 고착시킨다. 이어서, 제 2 링크부재 (12) 의 한쌍의 아암부 (14) 의 선단측을 약간 바깥쪽으로 밀어서 벌리면서 그 절곡부 (14b) 를 홀더부재 (16) 의 슬라이딩걸림부 (19) 의 걸림구멍 (20a) 에 삽입관통시키고, 제 2 링크부재 (12) 를 홀더부재 (16) 의 슬라이딩걸림부 (19) 에 연결걸림하고, 이어서 제 1 링크부재 (9) 의 한쌍의 아암부 (11) 의 선단측을 약간 안쪽으로 휘어지게하면서 그 절곡부 (11b) 를 홀더부재 (16) 의 회전운동걸림부 (17) 의 걸림 절결부 (18a) 에 삽입관통시키고, 제 1 링크부재 (9) 를 홀더부재 (16) 의 회전운동걸림부 (17) 에 연결걸림한다.
이어서, 스템 (30) 의 상부를 키 톱 (1) 의 한쌍의 지지돌기 (2) 사이에 끼워맞춰서 스템 (30) 을 키 톱 (1) 에 지지시키고, 이어서 슬라이딩걸림부 (4) 의 걸림 절결부 (7a) 에 제 1 링크부재 (9) 의 기단부 (10) 를 끼워넣고, 제 1 링크부재 (9) 를 키 톱 (1) 의 슬라이딩걸림부 (4) 에 연결걸림하고, 이 상태에서 키 톱 (1) 을 하방으로 밀어넣으면 제 2 링크부재 (12) 의 기단부 (13) 가 키 톱 (1) 의 걸림돌기 (5,6) 사이에 끼워넣어져서 홈 (5a) 에 걸리고, 제 2 링크부재 (12) 가 키 톱 (1) 의 회전운동계지부 (3) 에 연결걸림된다.
이 같은 방법으로 키 스위치 장치의 조립은 완료되는데, 조립후에는 제 1 링크부재 (9) 의 한쌍의 아암부 (11) 의 안쪽에 제 2 링크부재 (12) 의 한쌍의 아암부 (14) 가 위치함과 동시에 제 1 걸어맞춤부 (11a) 의 바깥쪽에서 제 2 걸어맞춤부 (14a) 가 제 1 걸어맞춤부 (11a) 와 걸어맞춤하여 제 1, 제 2 링크부재 (9,12) 가 측면에서 봤을 때 X 자형으로 교차하여 설치되고, 키 톱 (1) 을 홀더부재 (16) 에서 이간시킨 상승위치에 지지하고 있다. 또한, 도 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스템 (30) 의 하면이 클릭스프링 (28) 의 정부 (28a) 와 맞닿고, 홀더부재 (16) 의 슬라이딩걸림부 (19) 의 걸림구멍 (20a) 과 제 2 링크부재 (12) 의 절곡부 (14b) 사이에는 클리어런스 (t1) 가 형성되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조립된 키 스위치 장치는 조작자가 키 톱 (1) 의 상면을 가압하면 키 톱 (1) 이 강하하는데 수반하여 제 1 링크부재 (9) 의 기단부 (10) 가 슬라이딩걸림부 (4) 의 걸림 절결부 (7a) 안을 화살표 (A) 방향으로 슬라이딩하고, 제 2 링크부재 (12) 의 기단부 (13) 가 회전운동걸림부 (3) 의 홈 (5a) 안에서 회전운동함과 함께 이와 동시에 제 1 링크부재 (9) 의 절곡부 (11b) 가 회전운동걸림부 (17) 의 걸림절결부 (18a) 안에서 회전운동하고, 제 2 링크부재 (12) 의 절곡부 (14b) 가 슬라이딩걸림부 (19) 의 걸림구멍 (20a) 안을 화살표 (A) 방향으로 슬라이딩한다.
그럼으로써 제 1, 제 2 링크부재 (9,12) 가 교차부 (15) 를 지점으로 하여 회전운동하면서 쓰러지고, 키 톱 (1) 이 제 1, 제 2 링크부재 (9,12) 에 안내되어 교차부 (15) 와 함께 홀더부재 (16) 에 대하여 평행하게 강하한다. 이 키 톱 (1) 의 강하시에 제 1, 제 2 링크부재 (9,12) 의 회전운동에 연동하여 제 1, 제 2 걸어맞춤부 (11a,14a) 가 서로 슬라이딩함으로써 제 1 링크부재 (9) 와 홀더부재 (16) 의 회전운동걸림부 (17) 와의 연결걸림 및 제 2 링크부재 (12) 와 홀더부재 (16) 의 슬라이딩걸림부 (19) 와의 연결걸림을 유지한 상태에서, 제 1 걸어맞춤부 (11a) 가 제 2 링크부재 (12) 의 한쌍의 아암부 (14) 를 절곡부 (14b) 와 일체로 각각 바깥쪽 (화살표 B,C 방향) 으로 벌리는 듯이 휘어지게 함과 동시에 제 2 걸어맞춤부 (14a) 가 제 1 링크부재 (9) 의 한쌍의 아암부 (11) 를 절곡부 (11b) 와 일체로 각각 안쪽 (화살표 D,E 방향) 으로 좁히는 듯이 휘어지게 한다.
그리고, 스템 (30) 이 키 톱 (1) 에 의해 하방으로 눌려지면서 클릭스프링 (28) 의 정부 (28b) 를 밀어넣고, 클릭스프링 (28) 이 반전동작하여 클릭감이 생기되며, 그 직후에 도 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키 톱 (1) 이 홀더부재 (16) 에 근접한 강하위치에 위치하여 한쌍의 아암부 (11,14) 의 키 톱 (1) 측 (기단부 10, 13 측) 이 교차부 (15) 를 지점으로 하여 하방으로 휘어지는 듯이 약간 휘어지고, 반전한 클릭스프링 (28) 의 정부 (28b) 가 스위치부재 (21) 의 상부시트 (22) 를 가압하여 이것을 휘어지게 하므로, 상부시트 (22) 의 접점전극 (22a) 이 하부시트 (24) 의 접점전극 (24a) 에 접촉하여 이들 접점전극 (22a,24a) 이 도통되는 스위치 ON 상태가 된다. 이 때, 제 1 링크부재 (9) 의 기단부 (10) 와 슬라이딩걸림부 (4) 의 걸림 절결부 (7a) 사이, 및 제 2 링크부재 (12) 의 절곡부 (14b) 와 슬라이딩걸림부 (19) 의 걸림구멍 (20a) 사이에는 각각 클리어런스 (t2) 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이 상태에서 키 톱 (1) 의 상면에 대한 가압조작력을 해제하면 제 1, 제 2 링크부재 (9,12) 의 한쌍의 아암부 (11,14) 가 자신의 탄성복귀력에 의해 본래의 형상으로 복귀하므로, 이들 한쌍의 아암부 (11,14) 의 키 톱 (1) 측 (기단부 10,13 측) 이 교차부 (15) 를 지점으로 하여 키 톱 (1) 을 상방으로 탄발함과 동시에 상기 탄성복귀력에 의해 제 1, 제 2 링크부재 (9,12) 가 제 1, 제 2 걸어맞춤부 (11a,14a) 를 서로 슬라이딩시키면서 교차부 (15) 를 지점으로 하여 회전운동하여 일어나고, 제 1 링크부재 (9) 의 기단부 (10) 가 슬라이딩걸림부 (4) 의 걸림 절결부 (7a) 안을 화살표 (F) 방향으로 슬라이딩하고, 제 2 링크부재 (12) 의 기단부 (13) 가 회전운동걸림부 (3) 의 홈 (5a) 안에서 회전운동함과 함께, 이와 동시에 제 1 링크부재 (9) 의 절곡부 (11b) 가 회전운동걸림부 (17) 의 걸림 절결부 (18a) 안을 회전운동하고, 제 2 링크부재 (12) 의 절곡부 (14b) 가 슬라이딩걸림부 (19) 의 걸림구멍 (20a) 안을 화살표 (F) 방향으로 슬라이딩한다.
그럼으로써 제 1, 제 2 링크부재 (9,12) 가 키 톱 (1) 을 탄발하면서 밀어올려서 키 톱 (1) 이 제 1, 제 2 링크부재 (9,12) 에 안내되어 교차부 (15) 와 함께 상승하여 본래의 상승위치로 복귀한다. 그리고, 키 톱 (1) 의 상승에 수반하여 스텝 (30) 및 클릭스프링 (28) 이 본래의 상태로 탄성복귀하고, 클릭스프링 (28) 에 의한 스위치부재 (21) 의 상부시트 (22) 의 휨이 자신의 가요성에 의해 해소되고, 따라서 상부시트 (22) 의 접점전극 (22a) 이 하부시트 (24) 의 접점전극 (24a) 에서 이간되어 이들 접점전극 (22a,24a) 의 도통이 해제된 스위치 OFF 상태가 된다. 이 때, 스템 (30) 및 클릭스프링 (28) 의 탄성복귀력이 키 톱 (1) 에 작용하여 키 톱 (1) 의 상승을 도와준다.
그리고, 이 실시형태에서는 스템 (30) 및 클릭스프링 (28) 을 사용하여 스위치부재 (21) 를 키 톱 (1) 의 승강운동에 따라 스위칭 동작시키는 구성으로 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키 톱 (1) 의 지지돌기 (2) 의 형상·배치위치를 변경함으로써 지지돌기 (2) 에 의해 스위치부재 (21) 를 직접 가압하도록 해도 되고, 이 경우 스텝 (30) 및 클릭스프링 (28) 을 필요없게 하여 키 스위치 장치의 부품점수를 줄일 수 있다.
또한, 제 1 링크부재 (9) 는 한쌍의 아암부 (11) 의 선단측을 바깥쪽으로 여는 기분으로, 또 제 2 링크부재 (12) 는 한쌍의 아암부 (14) 의 선단측을 안쪽으로 닫는 기분으로 가공하면 제 1, 제 2 링크부재 (9,12) 의 제 1, 제 2 걸어맞춤부 (11a,14a) 에 있어서의 유극·덜컥거림을 해소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형태로 실시되며 다음에 기재된 바와 같은 효과를 발휘한다.
하면에 걸림부가 형성된 키 톱과 이 키 톱의 하방에 배치되어 상기 키 톱의 걸림부에 대응하는 걸림부가 형성된 홀더부재와, 상기 키 톱 및 홀더부재의 각 걸림부에 연결걸림되어 상기 홀더부재에서 이간된 상승위치와 상기 홀더부재에 근접한 강하위치 사이에서 상기 키 톱을 안내지지하는 안내지지부재와, 상기 키 톱의 승강운동에 수반하여 스위칭동작을 실시하는 스위치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안내지지부재는 기단부와, 이 기단부의 양단부로부터 절곡형성된 서로 평행한 한쌍의 아암부를 갖는 선재로 구성된 제 1 링크부재 및 제 2 링크부재를 구비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제 1 링크부재의 한쌍의 아암부의 안쪽에 상기 제 2 링크부재의 한쌍의 아암부를 위치시키고, 상기 제 1 링크부재의 한쌍의 아암부와 상기 제 2 링크부재의 한쌍의 아암부를 교차시켜 이 교차부에서 상기 제 1 링크부재와 상기 제 2 링크부재를 회전운동가능하게 하였으므로, 상기 안내지지부재의 강성을 향상시키고, 상기 키 톱의 원활한 안내지지를 가능하게 하는 박형의 키 스위치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링크부재의 한쌍의 아암부의 각각에 안쪽으로 만곡하는 제 1 걸어맞춤부를 형성함과 동시에 상기 제 2 링크부재의 한쌍의 아암부의 각각에는 바깥쪽으로 만곡하는 제 2 걸어맞춤부를 형성하고, 상기 제 1 걸어맞춤부의 바깥쪽에 상기 제 2 걸어맞춤부가 위치하도록 상기 제 1 걸어맞춤부와 상기 제 2 걸어맞춤부를 걸어맞춰 상기 교차부를 구성하였으므로, 상기 교차부의 구성의 간소화와 상기 교차부의 조립의 간소화를 도모할 수 있어서 보다 저렴한 키 스위치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키 톱의 가압조작에 수반하여 상기 제 1, 제 2 링크부재가 회전운동하면서 쓰러지고, 상기 키 톱이 상기 강하위치에 도달하였을 때에 상기 제 1, 제 2 링크부재의 한쌍의 아암부는 상기 키 톱측이 상기 교차부를 지점으로 하여 하방으로 휘어져서 상기 키 톱을 상방으로 탄발하도록 하였으므로, 특별한 부품을 필요로 하지 않고 상기 키 톱에 상기 상방위치로의 복귀력을 부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키 톱이 가압조작되어 강하할 때에 상기 제 1, 제 2 링크부재의 회전운동에 연동하여 상기 제 1, 제 2 걸어맞춤부가 서로 슬라이딩함으로써 상기 제 1 걸어맞춤부가 상기 제 2 링크부재의 한쌍의 아암부를 바깥쪽으로 벌리는 듯이 휘어지게 함과 동시에 상기 제 2 걸어맞춤부가 상기 제 1 링크부재의 한쌍의 아암부를 안쪽으로 좁히는 듯이 휘어지게 하고, 상기 키 톱의 가압조작력이 해제되었을 때에 상기 제 1, 제 2 링크부재의 한쌍의 아암부의 탄성복귀력에 의해 상기 제 1, 제 2 링크부재가 상기 제1, 제 2 걸어맞춤부를 서로 슬라이딩시키면서 회전운동하여 일어나서 상기 키 톱을 상승시키도록 하였으므로, 종래기술에서 나타낸 바와 같은 러버스프링을 필요없게 하며 상기 키 톱을 상기 상승위치로 확실하게 복귀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홀더부재의 걸림부를 상기 키 톱의 하면과 대향시켜 형성하고, 상기 제 1 링크부재의 한쌍의 아암부에는 그 선단부를 바깥쪽으로 절곡하여 피걸림부를 형성하고, 이 피걸림부를 상기 홀더부재의 상기 걸림부에 걸림하였으므로, 상기 키 톱의 하면과 상기 홀더부재와의 대향영역과, 상기 피걸림부가 상기 제 1 링크부재의 한쌍의 아암부의 휨에 의해 동작하는 영역을 오버랩시킬 수 있으므로 키 스위치 장치의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Claims (6)

  1. 키 톱과, 상기 키 톱의 하방에 배치되어 걸림부가 형성된 홀더부재와, 상기 키 톱을 지지하고, 상기 홀더부재의 상기 걸림부에 걸리게 되어 상기 홀더부재에서 이간된 상승위치와 상기 홀더부재에 근접한 강하위치 사이에서 상기 키 톱을 안내지지하는 안내지지부재와, 상기 키 톱의 승강운동에 따라 스위칭동작을 실시하는 스위치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안내지지부재는 상기 걸림부에 걸리게 되는 기단부와, 상기 기단부로부터 연장된 아암부로 이루어지는 링크부재로서, 상기 링크부재가 금속재를 절곡하여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 스위치 장치.
  2. 하면에 걸림부가 형성된 키 톱과, 이 키 톱의 하방에 배치되어 상기 키 톱의 걸림부에 대응하는 걸림부가 형성된 홀더부재와, 상기 키 톱 및 홀더부재의 각 걸림부에 연결걸림되어 상기 홀더부재에서 이간된 상승위치와 상기 홀더부재에 근접한 강하위치 사이에서 상기 키 톱을 안내지지하는 안내지지부재와, 상기 키 톱의 승강운동에 수반하여 스위칭동작을 실시하는 스위치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안내지지부재는 기단부와, 이 기단부의 양단부에서 절곡형성된 서로 평행한 한쌍의 아암부를 갖는 선재로 구성된 제 1 링크부재 및 제 2 링크부재를 구비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제 1 링크부재의 한쌍의 아암부의 안쪽에 상기 제 2 링크부재의 한쌍의 아암부를 위치시켜 상기 제 1 링크부재의 한쌍의 아암부와 상기 제 2 링크부재의 한쌍의 아암부를 교차시키고, 이 교차부에서 상기 제 1 링크부재와 상기 제 2 링크부재를 회전운동가능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 스위치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링크부재의 한쌍의 아암부의 각각에 안쪽으로 만곡하는 제 1 걸어맞춤부를 형성함과 동시에 상기 제 2 링크부재의 한쌍의 아암부의 각각에는 바깥쪽으로 만곡하는 제 2 걸어맞춤부를 형성하고, 상기 제 1 걸어맞춤부의 바깥쪽에 상기 제 2 걸어맞춤부가 위치하도록 상기 제 1 걸어맞춤부와 상기 제 2 걸어맞춤부를 걸어맞춰 상기 교차부를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 스위치 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키 톱의 가압조작에 수반하여 상기 제 1, 제 2 링크부재가 회전운동하면서 쓰러지고, 상기 키 톱이 상기 강하위치에 도달하였을 때에 상기 제 1, 제 2 링크부재의 한쌍의 아암부는 상기 키 톱측이 상기 교차부를 지점으로 하여 하방으로 휘어져서 상기 키 톱을 상방으로 탄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 스위치 장치.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키 톱이 가압조작되어 강하할 때에 상기 제 1, 제 2 링크부재의 회전운동에 연동하여 상기 제 1, 제 2 걸어맞춤부가 서로 슬라이딩함으로써 상기 제 1 걸어맞춤부가 상기 제 2 링크부재의 한쌍의 아암부를 바깥쪽으로 벌리는 듯이 휘어지게 함과 동시에 상기 제 2 걸어맞춤부가 상기 제 1 링크부재의 한쌍의 아암부를 안쪽으로 좁히는 듯이 휘어지게 하고, 상기 키 톱의 가압조작력이 해제되었을 때에 상기 제 1, 제 2 링크부재의 한쌍의 아암부의 탄성복귀력에 의해 상기 제 1, 제 2 링크부재가 상기 제 1, 제 2 걸어맞춤부를 서로 슬라이딩시키면서 회전운동하여 일어나서 상기 키 톱을 상승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 스위치 장치.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부재의 상기 걸림부를 상기 키 톱의 하면과 대향시켜 형성하고, 상기 제 1 링크부재의 한쌍의 아암부에는 그 선단부를 바깥쪽으로 절곡하여 피걸림부를 형성하고, 이 피걸림부를 상기 홀더부재의 상기 걸림부에 걸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 스위치 장치.
KR10-2000-0021690A 1999-04-26 2000-04-24 키 스위치 장치 KR10042126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9-118223 1999-04-26
JP11118223A JP2000311543A (ja) 1999-04-26 1999-04-26 キースイッチ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07017A true KR20010007017A (ko) 2001-01-26
KR100421263B1 KR100421263B1 (ko) 2004-03-10

Family

ID=147312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21690A KR100421263B1 (ko) 1999-04-26 2000-04-24 키 스위치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6268578B1 (ko)
EP (1) EP1049119A3 (ko)
JP (1) JP2000311543A (ko)
KR (1) KR100421263B1 (ko)
CN (1) CN1145181C (ko)
TW (1) TW466435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9940051C1 (de) * 1999-08-24 2000-11-16 Siemens Pc Systeme Gmbh & Co K Tastaturgehäuse für ein Tastenfeld einer Drucktasten-Tastatur
US6781077B2 (en) 2000-12-14 2004-08-24 Think Outside, Inc. Keyswitch and actuator structure
US7075520B2 (en) * 2001-12-12 2006-07-11 Zi Technology Corporation Ltd Key press disambiguation using a keypad of multidirectional keys
US6642466B1 (en) * 2002-02-21 2003-11-04 Shin Jiuh Corp. Bridge structure for keyboards
JP2003297177A (ja) * 2002-04-04 2003-10-17 Minebea Co Ltd 薄型キースイッチ構造
US20040153975A1 (en) * 2003-02-05 2004-08-05 Williams Roland E. Text entry mechanism for small keypads
US20040153963A1 (en) * 2003-02-05 2004-08-05 Simpson Todd G. Information entry mechanism for small keypads
US7252444B2 (en) * 2004-04-08 2007-08-07 Research In Motion Limited Switch configuration
TW200802457A (en) * 2006-06-01 2008-01-01 Darfon Electronics Corp Key structure
TWI382437B (zh) * 2008-12-01 2013-01-11 Chicony Electronic Co Ltd Input device
TWI442434B (zh) * 2011-11-30 2014-06-21 Wistron Corp 按鍵結構及應用其之鍵盤結構
CN103383899A (zh) * 2012-05-03 2013-11-06 尼得科电机有限公司 具有均匀触觉的防水开关
CN106783328B (zh) * 2017-03-15 2019-01-25 江苏传艺科技股份有限公司 用于键盘按键的剪刀结构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453063A (en) * 1983-08-03 1984-06-05 Illinois Tool Works Inc. Keyswitch configuration with torque rod holder
DE3329698A1 (de) * 1983-08-17 1985-03-07 Preh, Elektrofeinmechanische Werke Jakob Preh Nachf. Gmbh & Co, 8740 Bad Neustadt Drucktaste
DE3405654C2 (de) * 1984-02-17 1996-02-29 Asea Brown Boveri Betätigungsvorrichtung für Schalteinrichtungen
US4771146A (en) * 1985-08-19 1988-09-13 Alps Electric Co., Ltd. Keyboard key top mounting structure
DE8708373U1 (ko) * 1987-06-13 1987-08-13 Preh, Elektrofeinmechanische Werke Jakob Preh Nachf. Gmbh & Co, 8740 Bad Neustadt, De
US5504283A (en) * 1992-10-28 1996-04-02 Brother Kogyo Kabushiki Kaisha Key switch device
US5769210A (en) * 1997-02-11 1998-06-23 Chicony Electronics Co., Ltd. Scissors-type key switch
JP3456111B2 (ja) * 1997-05-29 2003-10-14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押釦スイッチおよびその製造方法
TW346213U (en) * 1997-08-01 1998-11-21 Acer Peripherals Inc Improvement for multiple pushing key
US5994655A (en) * 1998-02-26 1999-11-30 Tsai; Huo-Lu Key switch assembly for a computer keyboar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45181C (zh) 2004-04-07
US6268578B1 (en) 2001-07-31
JP2000311543A (ja) 2000-11-07
CN1271956A (zh) 2000-11-01
KR100421263B1 (ko) 2004-03-10
TW466435B (en) 2001-12-01
EP1049119A3 (en) 2002-03-20
EP1049119A2 (en) 2000-11-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21263B1 (ko) 키 스위치 장치
US5635928A (en) Data processing device with a keyboard having pop-up keys
JP6651580B2 (ja) 低進行照明キー機構
US6706985B2 (en) Key switch
US9412535B2 (en) Keyswitch structure
JPH1153983A (ja) 多幅キー用のキースイッチ組立体
US11189442B2 (en) Keyswitch structure
JP2022116382A (ja) プッシュスイッチ
US5012055A (en) Spring loaded push-button switch having predictable switching time despite varying spring characteristics
US11373819B2 (en) Key structure and keycap assembly thereof
JP2002216575A (ja) キーボード装置
JPH05298000A (ja) キ−ボ−ド装置
JP2000348562A (ja) キースイッチ装置
US4354074A (en) Alternate action mechanism
JP4342063B2 (ja) キースイッチ装置及びキーボード
KR920010443B1 (ko) 클릭부착 키이보오드 스위치
JP2001250448A (ja) キースイッチ
JPH0528669Y2 (ko)
JP4000483B2 (ja) 押し釦装置
JPH06230869A (ja) キースイッチ
KR100874648B1 (ko) 조그 다이얼 장치 및 이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
CN114446693A (zh) 按键结构及其键帽组件
JPH0660769A (ja) 押釦スイッチ
JP2005190812A (ja) 二段押圧スイッチ
JPH0684425A (ja) 押釦スイッ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125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