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06167A - 수중유 형 유화 조성물 - Google Patents

수중유 형 유화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06167A
KR20010006167A KR1019997009246A KR19997009246A KR20010006167A KR 20010006167 A KR20010006167 A KR 20010006167A KR 1019997009246 A KR1019997009246 A KR 1019997009246A KR 19997009246 A KR19997009246 A KR 19997009246A KR 20010006167 A KR20010006167 A KR 2001000616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il
emulsion composition
vitamin
fatty acid
acid es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70092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60167B1 (ko
Inventor
이노우에하루히코
오카모토도루
나카지마히데오
Original Assignee
겜마 아키라
가부시키가이샤 시세이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04448698A external-priority patent/JP4562213B2/ja
Priority claimed from JP04448598A external-priority patent/JP3634139B2/ja
Priority claimed from JP17071698A external-priority patent/JPH11349439A/ja
Application filed by 겜마 아키라, 가부시키가이샤 시세이도 filed Critical 겜마 아키라
Publication of KR200100061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061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601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60167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7Vitami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4Dispersions; Emulsions
    • A61K8/06Emulsions
    • A61K8/062Oil-in-water emuls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4Dispersions; Emulsions
    • A61K8/06Emuls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7Vitamins
    • A61K8/671Vitamin A; Derivatives thereof, e.g. ester of vitamin A acid, ester of retinol, retinol, retina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52Stabiliz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Dermatology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Cosmetics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 Colloid Chemistr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비타민 A의 지방산 에스테르의 항산화 수단과 함께 비타민 A의 지방산 에스테르의 가수분해 방지 수단을 포함하는, 비타민 A의 지방산 에스테르를 함유하는 수중유 형 유화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비타민 A의 지방산 에스테르는 안정화되어 있는 해당 조성물은 특히 외용 조성물로서 유용하다.

Description

수중유 형 유화 조성물 {Oil-in-water type emulsified compositions}
비타민 A 또는 비타민 A의 지방산 에스테르 등의 비타민 A류는 종래부터 피부각화증 등의 예방이나 치료 또는 피부노화의 방지나 회복에 유효한 성분으로서 공지되어 왔으며, 이러한 목적을 갖는 여러가지 외용 조성물에 유효 성분으로서 배합되고 있다.
그러나, 본래 이러한 비타민 A류는 극히 불안정한 성분이다. 즉, 비타민 A류는 빛, 공기, 열, 금속 이온 등의 수많은 요인에 의해 야기되는 이성화나 산화 분해 등에 의해 쉽게 변질되는 성분이다. 따라서, 이러한 비타민 A류가 배합된 외용 조성물은 경시적 안정성에 문제가 있으며, 또한 지나치게 보존에 신경을 써야 할 필요가 있는 등의 단점이 있었다.
이와 같이 불안정한 비타민 A류 중 비타민 A에 대해, 이를 외용 조성물에서 안정화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 킬레이트제나 항산화제의 사용 등의 여러가지 수단이 제안되어 있다.
비타민 A의 지방산 에스테르는 비타민 A에 비하면 산화 안정성에는 뛰어나지만, 그 구조상 가수분해를 받기 쉽다는 특징이 있다. 따라서, 현재 제안되어 있는, 상술한 방법으로 대표되는 안정화 방법은 비타민 A의 지방산 에스테르의 산화 안정성만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 문제가 되는 가수분해에 대한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없다.
따라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비타민 A의 지방산 에스테르의 가수분해에 대한 안정성을 향상시키는 수단을 제공하는 것이다.
발명의 개시
본 발명자는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수중유 형 유화 조성물에서의 비타민 A의 지방산 에스테르의 안정화 수단에 관해 예의 검토하였다. 그 결과, 비타민 A의 지방산 에스테르의 항산화 수단과 함께 비타민 A의 지방산 에스테르의 가수분해 방지 수단을 포함함으로써 이러한 과제를 해결할 수 있음을 발견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즉, 본 발명은 비타민 A의 지방산 에스테르의 항산화 수단과 함께 비타민 A의 지방산 에스테르의 가수분해 방지 수단을 포함하는, 비타민 A의 지방산 에스테르를 함유하는 수중유 형 유화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해서 설명하면, 본 발명에 관계되는 수중유 형 유화 조성물은 그 제형이 주로 엣센스계의 제형인 경우와 마찬가지로 크림계의 제형인 경우로 대별된다.
본 발명에 관계되는 수중유 형 유화 조성물이 전자의 엣센스계의 제형인 경우, 그 유상 중에 항산화제를 공존시키고, 또한 비타민 A의 지방산 에스테르의 가수분해 방지 수단으로서 친수성 비이온계 계면활성제 또는 비이온계 양친매성 물질을 특정 조건하에 배합시킴으로써 상기 과제를 해결할 수 있음을 발견하였다.
즉, 본 발명은 비타민 A의 지방산 에스테르의 항산화 수단과 함께 비타민 A의 지방산 에스테르의 가수분해 방지 수단을 포함하는 수중유 형 유화 조성물에서, 비타민 A의 지방산 에스테르의 가수분해 방지 수단으로서 친수성 비이온계 계면활성제를 배합량을 한정하여 배합하거나 분자량이 5000 이상인 비이온계 양친매성 고분자를 배합한, 주로 엣센스계의 제형의 상기 수중유 형 유화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에 관계되는 수중유 형 유화 조성물이 후자의 크림계의 제형인 경우, 상기와 같이 그 유상 중에 항산화제를 공존시킴과 동시에 비타민 A의 지방산 에스테르의 가수분해 방지 수단으로서 양친매성 물질 및 친수성 비이온계 계면활성제를 특정 조건하에 배합시킴으로써 상기 과제를 해결할 수 있음을 발견하였다.
즉, 본 발명은 비타민 A의 지방산 에스테르의 항산화 수단과 함께 비타민 A의 지방산 에스테르의 가수분해 방지 수단을 포함하는 수중유 형 유화 조성물에서, 비타민 A의 지방산 에스테르의 가수분해 방지 수단으로서,
① 배합하는 양친매성 물질-친수성 비이온계 계면활성제-수계에서 형성되는 겔의 전이 온도가 50℃ 이상이고;
② 상기 친수성 비이온계 계면활성제에 대한 상기 양친매성 물질의 양비가 중량비로 0.5 이상이며;
③ 모든 계면활성제의 배합량이 조성물 전체에 대하여 5.0중량% 이하인 조건하에 양친매성 물질 및 친수성 비이온계 계면활성제를 배합한, 특히, 크림계의 제형의 상기 수중유 형 유화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에 관계되는 수중유 형 유화 조성물의 성질을 특정하는 요소 중 하나인 ΣI.O.B.값의 기본이 되는 I.0.B.값(Inorganic Organic Balance의 약칭)은 말하자면 유분의 극성 정도를 나타내는 지표로, 무기성의 유기성에 대한 비를 나타내는 값[유분의 분자 중 탄소 원자 1개에 관해서 「유기성값」을 20으로 하고, 동일하게 수산기 1개에 관해서 「무기성값」을 100으로 하고, 이것을 기준으로 한 다른 치환기(무기성기)의 무기성값에 근거하여 산출되는 값:[참조 문헌: ① 후지다저 「유기분석」(1930년) 카니야 서점. ② 동저 「유기 화합물의 예측과 유기 개념도(화학의 영역 11-10)」(1957년) 719 내지 725페이지. ③ 후지다 및 아가츠카저 「계통적 유기 정성 분석(순수물편)」 487페이지(1970년) 가제마 서점. ④ 고다저 「유기 개념도-기초와 응용」 227 페이지(1984년) 산쿄출판, ⑤ 야구치저 「유기 개념도에 의한 유화 처방 설계」 98페이지(1985년) 일본 에멀젼 주식회사, ⑥ R. H. Ewell, J. M. Harrison, L. Berg: Ind Eng Chem 36,871(1944)]이고, 구체적으로는, I.O.B.값= 유분의 무기성값/유분의 유기성값으로 나타낸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 정의하는 ΣI.O.B.값은 유화물 중의 유상을 구성하는 각각의 유분의 I.O.B.값의 총합이다.
즉, ΣI.O.B.값= 유상의 무기성값/유상의 유기성값 [여기서, 유상의 무기성값은 A×x+B×y+C×z+···(이 때, A, B, C···는 유화물 중의 유상을 구성하는 각각의 유분의 유기 개념도상의 무기성값를 나타내고, x, y, z···는 유화물 중의 유상을 구성하는 개개의 유분 A, B, C··· 각각의 유상 중에서의 존재 비인 (x+y+z+···= 1)이다)로 나타내고, 유상의 유기성값은 A'×x+B'×y+C'×z+···(이 때, A', B', C',···는 유화물 중의 유상을 구성하는 각각의 유분의 유기 개념도상의 유기성값를 나타낸다)로 나타낸다]으로 정의된다.
ΣI.O.B.값이 큰 경우에는, 그 유상의 무기성이 높고 극성이 큰 것을 의미한다.
또한, 후술하는 바와 같이, 실리콘유는 상기의 「유상을 구성하는 각각의 유분」으로부터 제외되며, 바꿔 말하면, 유상 중에 실리콘유가 존재하는 경우에 실리콘유가 유상 중에는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간주하고 상기 ΣI.O.B.값은 계산된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량의 형태
이하,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에 관해서 설명한다.
본 발명에 관한 수중유 형 유화 조성물(이하, 본 발명 유화 조성물이라 한다)은 상술한 바와 같이, 특히 배합한 비타민 A의 지방산 에스테르를 안정화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유화 조성물이다.
A. 비타민 A의 지방산 에스테르에 대하여
즉, 본 발명 유화 조성물은 비타민 A의 지방산 에스테르를 포함하는 것을 전제로 하는 수중유 형 유화 조성물이다.
본 발명 유화 조성물에서 안정화되는 대상이 되는 비타민 A의 지방산 에스테르로는 예를 들면, 비타민 A 아세트산 에스테르, 비타민 A 팔미틴산 에스테르, 비타민 A 프로피온산 에스테르 등을 들 수 있지만, 「지방산으로 에스테르화된 비타민 A」인한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 유화 조성물에서의 안정화의 대상이 된다.
또한, 이들의 비타민 A 지방산 에스테르의 혼합물, 예를 들면, 수산동물이나 식물로부터 얻어지는 비타민 A 지방산 에스테르를 포함하는 동식물유 등을 본 발명 유화 조성물에 배합하는 경우, 이들의 동식물유에 포함되는 비타민 A 지방산 에스테르도 본 발명에서의 안정화의 대상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 유화 조성물에서의 비타민 A의 지방산 에스테르의 배합량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조성물 전체에 대하여 일반적으로 0.0001중량% 이상, 바람직하게는 0.001 내지 10.0중량% 이다.
B. 비타민 A의 지방산 에스테르의 항산화 수단에 대하여
본 발명 유화 조성물은 상술한 바와 같은 비타민 A의 지방산 에스테르의 항산화 수단을 포함하는 수중유 형 유화 조성물이다.
비타민 A의 지방산 에스테르의 항산화 수단으로는, 수중유 형 에멀젼 중에서 비타민 A의 지방산 에스테르의 산화를 막는 것이 가능한 수단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화장품 등의 외용 조성물 전반에서 범용되고 있는 항산화제를 사용할 수 있다. 특히, 비타민 A의 지방산 에스테르는 수중유 형 에멀젼에서 유상 성분이 되기 때문에, 유상 중에서 직접 비타민 A의 지방산 에스테르의 산화를 방지할 수 있는 유용성(油溶性) 항산화제」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현실적이다.
「유용성 항산화제」는 「유용성이며 항산화능을 갖는 물질」로, 그 안전성에서 외용 조성물에 배합가능한한 특별히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부틸하이드록시톨루엔(이하, BHT), 부틸하이드록시아니솔(이하, BHA), α-토코페롤, β-토코페롤, γ-토코페롤, δ-토코페롤, 노르디하이드로구아자레틴, 몰식자산프로필, 비타민 C의 지방산 에스테르 또는 소르빈산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 유화 조성물에 1종 또는 2종 이상의 유용성 항산화제를 배합할 수 있다.
본 발명 유화 조성물에서, 유용성 항산화제의 배합량은 산화 분해를 충분히 방지하기 위해 조성물 전체에 대하여 0.001중량% 이상이 바람직하고, 동일하게는 0.01중량% 이상이 더욱 바람직하다. 배합 상한이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대강 조성물 전체에 대하여 10.0중량% 이하의 범위내에서 배합된다.
또한, 본 발명은 비타민 A의 지방산 에스테르의 항산화 이외의 목적을 가지며, 예를 들면, 본 발명 유화 조성물에서의 후술되는 또 다른 일반적 성분의 항산화를 목적으로 하여, 상술된 항산화제 이외의 항산화제, 예를 들면, 아스코르빈산 등의 수용성 항산화제를 배합하는 것을 막는 것은 아니다.
C. 비타민 A의 지방산 에스테르의 가수분해 방지 수단에 대하여
본 발명 유화 조성물은 상술한 비타민 A의 지방산 에스테르의 항산화 수단과 함께 비타민 A의 지방산 에스테르의 가수분해 방지 수단을 포함하는 수중유 형 유화 조성물이다.
비타민 A의 지방산 에스테르의 가수분해 방지 수단은 본 발명 유화 조성물의 구체적인 제형에 따라서 선택된다. 즉, 본 발명 유화 조성물의 제형이 ① 엣센스계의 제형 또는 ② 크림계의 제형인가에 따라 상기 가수분해 방지 수단의 태양이 다르다.
또한, 「엣센스계의 제형」이란 점조액인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 반드시 「미용액」이라는 제품 형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또한, 본 발명 유화 조성물이 「엣센스계의 제형이다」라는 경우에는 어디까지나 「엣센스계의 제형인 것이 바람직하다」라는 의미이고, 본 발명 유화 조성물이 예를 들면, 화장수, 유액, 크림, 팩 등의 미용액 이외의 제품 형태를 채용하는 것을 막는 의미가 아니다.
또한, 「크림계의 제형」이란 특히, 제 중에 겔을 형성하는 수중유계 크림형의 제형을 원칙으로 하여 취하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다.
1. 본 발명 유화 조성물의 제형이 엣센스계의 제형인 경우의 비타민 A의 지방산 에스테르의 가수분해 방지 수단에 대하여
본 발명 유화 조성물의 제형이 엣센스계의 제형인 경우, 비타민 A의 지방산 에스테르의 가수분해 방지 수단으로서 ① 친수성 비이온계 계면활성제를 배합량을 한정하여 배합하는 경우(이 경우의 본 발명 유화 조성물을 본 발명 유화 조성물 1이라고도 한다) 및 ② 분자량이 5000 이상인 비이온계 양친매성 고분자를 배합하는 경우(이 경우의 본 발명 유화 조성물을 본 발명 유화 조성물 2라고도 한다)를 또한 선택할 수 있다.
① 비타민 A의 지방산 에스테르의 가수분해 방지 수단으로서 친수성 비이온계 계면활성제를 배합량을 한정하여 배합하는 경우(본 발명 유화 조성물 1)에 대하여
상술한 바와 같이, 주로 비타민 A의 지방산 에스테르의 가수분해를 방지하는 가수분해 방지 수단으로서 친수성 비이온계 계면활성제가 본 발명 유화 조성물 1에 배합량을 한정하여 배합시킨다.
본 발명 유화 조성물 1에 배합가능한「친수성 비이온계 계면활성제」로는 예를 들면, 폴리옥시에틸렌(이하, POE라 약기하는 것도 있다)소르비탄모노올레에이트 등의 POE 소르비탄 지방산 에스테르류; POE 소르비트모노올레에이트 등의 POE 소르비트 지방산 에스테르류: POE 글리세린모노스테알레이트, POE 글리세린모노이소스테알레이트 등의 POE 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류: POE 모노올레에이트, POE 디스테알레이트, POE 디올레에이트 등의 POE 지방산 에스테르류: POE 올레일에테르, POE 스테아릴에테르, POE 베헤닐에테르, POE 2-옥틸도데실에테르, POE 2-헥실데실에테르, POE 2-헵틸운데실에테르, POE 2-데실테트라데실에테르, POE 2-데실펜타데실에테르, POE 콜레스타놀에테르 등의 POE 알킬에테르류: POE 옥틸페닐에테르, POE 노닐페닐에테르 등의 POE 알킬페닐에테르류; 플루로닉형류: POE·POP 세틸에테르, POE·POP 2-데실테트라데실에테르 등의 POE·POP 알킬에테르류; POE 피마자유 등의 POE 피마자유·경화 피마자유 유도체: POE 소르비트밀랍 등의 POE 밀랍·라놀린 유도체; 폴리글리세린모노알킬에스테르·모노알킬에테르류; 자당 모노올레인산 에스테르 등의 자당 지방산 에스테르류; 실리콘계 계면활성제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 유화 조성물 1에 1종 또는 2종 이상의 친수성 비이온계 계면활성제를 배합할 수 있다.
본 발명 유화 조성물 1에 배합되는 친수성 비이온계 계면활성제의 친수성도의 지표로서의 하부 임계 용해 온도, 즉 운점은 3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50℃ 이상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고, 70℃ 이상인 것이 극히 바람직하다.
운점이 30℃ 미만이면, 선택되는 계면활성제에 따라 계내의 비타민 A 지방산 에스테르의 안정성이 저하하는 경향이 강하므로 바람직하지 못하다.
이러한 관점에서, 보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운점이 70℃ 이상인 POE(60) 경화 피마자유, POE(40)스테아릴에테르, POE(20)올레일에테르 등을 바람직한 친수성 비이온계 계면활성제로서 들 수 있다.
또한, 본 발명 유화 조성물 1의 유상에 대한 이들의 친수성 비이온계 계면활성제의 양비는 중량비로 0.1 이하이고, 바람직하게는 동일하게 0.05 이하이고, 동일하게 0.02 이하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유상에 대한 친수성 비이온계 계면활성제의 양비가 중량비로 0.1를 넘으면, 이로 인해 수상 중에 다량으로 형성된 미셸에 비타민 A 지방산 에스테르가 들어가 가수분해를 일으켜 비타민 A 지방산 에스테르의 안정성이 저하하는 경향이 강하므로 바람직하지 못하다.
또한, 양비가 0.001 미만에서는, 계내의 유화 상태가 불안정하게 되어 기름이 뜨는 현상 등이 생기는 경향이 강하므로 바람직하지 못하다.
또한, 이들의 친수성 비이온계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는 본 발명 유화 조성물 1에 배합되는 모든 계면활성제의 배합량은 조성물 전체에 대하여 1.0중량% 이하이고, 동일하게 0.5중량% 이하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계면활성제의 배합량이 조성물 전체의 1.0중량%를 넘으면, 조성에 따라서는 계내의 비타민 A 지방산 에스테르의 안정성이 저하할 우려가 있으므로 바람직하지 못하다.
또한, 본 발명 유화 조성물 1에 배합할 수 있는 계면활성제로서, 상기의 친수성 비이온계 계면활성제 이외에 친유성 비이온계 계면활성제를 필요에 따라 배합할 수 있다.
다른 종류의 계면활성제, 구체적으로, 양이온계 계면활성제, 음이온계 계면활성제 또는 양쪽성 계면활성제를 본 발명의 소기의 효과를 유지하면서 본 발명 유화 조성물 1에서 배합하는 것은 일반적으로는 곤란하지만, 이들의 배합을 본 발명이 막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 유화 조성물 1에서 선택하여 배합되는 유분은 유상의 ΣI.O.B.값이 0.043 이상으로 되도록 선택하여 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동일하게 0.128 이상으로 되도록 선택하여 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유상의 ΣI.O.B.값이 0.043 미만이면, 조성에 따라서는 계내의 약제의 안정성이 저하하는 경향이 있으므로 바람직하지 못하다.
ΣI.O.B.값이 커지면, 유상 전체의 극성이 커져 유상내의 비타민 A 지방산 에스테르가 수상 중 및 계면으로 이행하는 정도가 적어지므로 유상내의 비타민 A 지방산 에스테르의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 유화 조성물 1의 유분으로서, 실리콘유를 배합하는 것이 가능하지만, 실리콘유에서는 원칙적으로 분자내에 탄소 원자가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ΣI.O.B.값의 개념으로부터는 제외되지만, 이들 실리콘유는 본 발명 유화 조성물 1에서 그 배합에 의해 본 발명의 소기의 효과인 비타민 A 지방산 에스테르의 안정성에 악영향을 미치는 것은 아니고 ΣI.O.B.값을 변화시키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 유화 조성물 1에서의 상기 유분의 배합량은 조성물 전체에 대하여 동일하게는 1.0중량%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더욱이 동일하게는 3.0중량% 이상이 바람직하다. 배합량이 조성물 전체에 대하여 1.0중량% 미만이면, 본 발명 유화 조성물 1에서의 비타민 A 지방산 에스테르의 안정성이 저하하는 경향이 강하게 되어 바람직하지 못하다.
또한, 유분의 배합량이 80.0중량%를 넘으면, 안정한 수중유 형의 유화계를 유지하는 것이 곤란하게 될 우려가 있어 바람직하지 못하다.
본 발명 유화 조성물 1에서, 배합되야 되는 유분은 상기의 조건을 만족시키는한 특별히 한정되어야 되는 것은 아니고, 구체적으로는 후술하는 외용 조성물에서의 일반적인 예시 성분 등으로부터 상기의 조건을 만족하도록 적절하게 선택하여 본 발명 유화 조성물 1에 배합될 수 있다.
② 비타민 A의 지방산 에스테르의 가수분해 방지 수단으로서 분자량이 5000 이상인 비이온계 양친매성 고분자를 배합하는 경우(본 발명 유화 조성물 2)에 대하여
본 발명 유화 조성물 2에 배합되는 「분자량이 5000 이상인 비이온계 양친매성 고분자」는 「비이온성의 친수기와 소수기의 양쪽을 갖는 분자량이 5000 이상인 분자」이고, 그 안전성에서 외용 조성물에 배합가능한한 특별히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분자량이 5000 이상인 비이온계 양친매성 고분자는 주로 비타민 A 지방산 에스테르의 가수분해를 방지하는 가수분해 방지 수단으로서, 본 발명 유화 조성물 2에 배합된다.
본 발명 유화 조성물 2에 배합가능한 「분자량이 5000 이상인 비이온계 양친매성 고분자」로는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부분 비누화된 폴리비닐알콜; 메틸셀룰로스, 에틸셀룰로스, 메틸하이드록시프로필셀룰로스, 하이드록시에틸셀룰로스, 하이드록시프로필셀룰로스 등의 셀룰로스계 고분자; 상기 셀룰로스계 고분자를 탄소수 8 내지 30의 알킬기에 의해 변성시킨 셀룰로스 유도체; 폴리비닐피롤리돈과 소수기를 갖는 비닐 화합물의 공중합체; 폴리(옥시에틸렌옥시프로필렌)메틸폴리실록산 공중합체, 디메틸폴리실록산·메틸(폴리옥시에틸렌)실록산 공중합체 등의 폴리에테르 변성 실리콘; 소수기를 갖는 화합물과 폴리에틸렌글리콜의 그래프트 코폴리머; 알킬화폴리옥시에틸렌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 유화 조성물 2에는, 1종 또는 2종 이상의 분자량이 5000 이상인 비이온계 양친매성 고분자를 배합할 수 있다.
본 발명 유화 조성물 2에 배합되는 비이온계 양친매성 고분자의 분자량은 5000 이상, 바람직하게는 10000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20000 이상이다. 분자량이 5000 미만인 비이온계 양친매성 고분자를 배합하더라도, 비타민 A 지방산 에스테르의 가수분해를 충분히 막을 수 없으므로 바람직하지 못하다.
또한, 본 발명 유화 조성물 2에서, 분자량이 5000 이상인 비이온계 양친매성 고분자의 배합량은 조성물 전체에 대하여 0.01 내지 10.0중량%인 것이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0.01 내지 3.0중량%, 가장 바람직하게는 0.01 내지 1.0중량%이다. 분자량이 5000 이상인 비이온계 양친매성 고분자의 배합량이 조성물 전체에 대하여 0.01중량% 미만인 경우, 계를 유화시키기 어려우므로 바람직하지 못하고, 또한 동일하게는 10.0중량%를 넘는 경우, 비타민 A 지방산 에스테르의 안정성이 저하되는 경향이 강하므로 또한 사용성상 만족하는 조성물이 얻어지지 않아 바람직하지 못하다.
본 발명 유화 조성물 2에 분자량이 5000 이상인 비이온계 양친매성 고분자 이외에 일반의 계면활성제, 구체적으로, 비이온계 계면활성제, 양이온계 계면활성제, 음이온계 계면활성제 또는 양쪽성 계면활성제를 배합시키는 것은 본 발명의 소기의 효과를 손상시킬 가능성이 높아 본 발명의 소기의 효과를 유지하면서 배합하는 것은 일반적으로는 곤란하지만, 본 발명이 일반의 계면활성제의 배합을 막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 유화 조성물 2에서 선택하여 배합되는 유분은 유상의 ΣI.O.B.값이 0.043 이상이 되도록 1종 또는 2종 이상의 유분을 선택하여 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동일하게 0.128 이상이 되도록 선택하여 배합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유상의 ΣI.O.B.값이 0.043 미만인 경우, 조성에 따라서는 계내의 비타민 A 지방산 에스테르의 안정성이 저하되는 경향이 있으므로 바람직하지 못하다.
유상의 ΣI.O.B.값이 커질수록 유상 전체의 극성이 커져 유상내 비타민 A 지방산 에스테르가 수상 중 및 계면으로 이행하는 정도가 적어지므로, 유상내의 비타민 A 지방산 에스테르의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 유화 조성물 2의 유분으로서 실리콘유를 배합시킬 수 있지만, 실리콘유에서는 원칙적으로 분자내에 탄소 원자가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ΣI.O.B.값의 개념으로부터는 제외되지만, 이들 실리콘유는 본 발명 유화 조성물 2에서 그 배합에 의해 본 발명의 소기의 효과인 비타민 A 지방산 에스테르의 안정성에 악영향을 미치는 것은 아니고 ΣI.O.B.값을 변화시키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 유화 조성물 2에서의 상기 유분의 배합량은 조성물 전체에 대하여 동일하게는 1.0중량%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동일하게는 3.0중량% 이상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배합량이 조성물 전체에 대하여 1.0중량% 미만인 경우, 본 발명 유화 조성물 2에서의 비타민 A 지방산 에스테르의 안정성이 저하되는 경향이 강하므로 바람직하지 못하다.
또한, 유분의 배합량이 80.0중량%를 넘는 경우, 안정한 수중유 형의 유화계를 유지하는 것이 곤란하게 될 우려가 있으므로 바람직하지 못하다.
본 발명 유화 조성물 2에서 배합되어야 되는 유분은 상기의 조건을 만족하는한 특별히 한정되어야 되는 것이 아니라, 구체적으로는 후술하는 외용 조성물에서의 일반적인 예시 성분 등으로부터 상기의 조건을 만족하도록 적절하게 선택하여 본 발명 유화 조성물 2에 배합시킬 수 있다.
2. 본 발명 유화 조성물의 제형이 크림계의 제형인 경우의 비타민 A의 지방산 에스테르의 가수분해 방지 수단에 대하여
이러한 태양의 본 발명 유화 조성물(이하, 본 발명 유화 조성물 3이라고도 한다)은 상술한 본 발명 유화 조성물 1, 2와 달리, 제 중에 겔을 형성시킴으로써 비타민 A의 지방산 에스테르의 가수분해를 방지하는 수중유 형 유화 조성물이다.
본 발명 유화 조성물 3에서의 비타민 A의 지방산 에스테르의 가수분해 방지 수단은 특정한 조건의 것으로, 양친매성 물질 및 친수성 비이온계 계면활성제를 배합하는 것이다.
본 발명 유화 조성물 3에 배합될 수 있는 양친매성 물질은 계면활성을 갖지만, 그 자체가 소수성이 강하고 일반의 계면활성제일수록 계면활성을 갖지 않는 물질이다. 그리고, 양친매성 물질은 이러한 성질을 갖는한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고급 지방족 알콜, 모노글리세리드, 글리세롤모노알킬에테르 등을 예시할 수 있다. 본 발명 유화 조성물 3에 1종 또는 2종 이상의 양친매성 물질을 배합시킬 수 있다.
본 발명 유화 조성물 3에 배합가능한 「친수성 비이온계 계면활성제」로서는 예를 들면, 폴리옥시에틸렌(이하, POE라 약기하는 일도 있다)소르비탄모노올레에이트 등의 POE 소르비탄 지방산 에스테르류; POE 소르비트모노올레에이트 등의 POE 소르비트 지방산 에스테르류; POE 글리세린모노스테알레이트, POE 글리세린모노이소스테알레이트 등의 POE 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류; POE 모노올레에이트, POE 디스테알레이트, POE 디올레에이트 등의 POE 지방산 에스테르류; POE 올레일에테르, POE 스테아릴에테르, POE 베헤닐에테르, POE 2-옥틸도데실에테르, POE 2-헥실데실에테르, POE 2-헵틸운데실에테르, POE 2-데실테트라데실에테르, POE 2-데실펜타데실에테르, POE 콜레스타놀에테르 등의 POE 알킬에테르류; POE 옥틸페닐에테르, POE 노닐페닐에테르 등의 POE 알킬페닐에테르류; 플루로닉형류: POE·POP 세틸에테르, POE·POP2-데실테트라데실에테르 등의 POE·POP 알킬에테르류; POE 피마자유 등의 POE 피마자유·경화 피마자유 유도체; POE 소르비트밀랍 등의 POE 밀랍·라놀린 유도체; 폴리글리세린모노알킬에스테르·모노알킬에테르류; 자당 모노올레인산 에스테르 등의 자당 지방산 에스테르류; 실리콘계 계면활성제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 유화 조성물 3에 1종 또는 2종 이상의 친수성 비이온계 계면활성제를 배합시킬 수 있다.
본 발명 유화 조성물 3에서 상기의 양친매성 물질과 친수성 비이온계 계면활성제는 양친매성 물질-친수성 비이온계 계면활성제-수계에서 형성되는 겔의 전이 온도가 50℃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60℃ 이상인 조합인 것이 필요하다.
겔의 전이 온도가 50℃ 미만인 경우, 계 중의 비타민 A 지방산 에스테르의 안정성이 저하되므로 바람직하지 못하다.
또한, 친수성 비이온계 계면활성제에 대한 상기 양친매성 물질의 양비가 중량비로 0.5 이상인 것이 필요하고, 동일하게 0.7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또한 동일하게 1.0 이상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중량비가 0.5 미만인 경우, 계 중의 비타민 A 지방산 에스테르의 안정성이 저하되므로 바람직하지 못하다.
또한, 이들의 친수성 비이온계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는 본 발명 유화 조성물 3에 배합되는 모든 계면활성제의 배합량은 조성물 전체에 대하여 5.0중량% 이하인 것이 필요하고, 동일하게는 3.0중량%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배합량이 조성물 전체에 대하여 5.0중량%를 넘는 경우, 계 중의 비타민 A 지방산 에스테르의 안정성이 저하되므로 바람직하지 못하다.
또한, 본 발명 유화 조성물 3에 배합할 수 있는 계면활성제는 상기의 친수성 비이온계 계면활성제 이외에 친유성 비이온계 계면활성제를 필요에 따라 배합시킬 수 있다.
다른 종류의 계면활성제, 구체적으로는, 양이온계 계면활성제, 음이온계 계면활성제 또는 양쪽성 계면활성제를 본 발명의 소기의 효과를 충분히 유지하면서 배합하는 것은 일반적으로는 곤란하지만, 이들의 배합을 본 발명은 막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 유화 조성물 3에서 선택하여 배합되는 유분은 유상의 ΣI.O.B.값이 0.043 이상으로 되도록 선택하여 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동일하게 0.128 이상이 되도록 선택하여 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유상의 ΣI.O.B.값이 0.043 미만인 경우, 조성에 따라서는 계내의 약제의 안정성이 저하하는 경향이 되어 바람직하지 못하다.
ΣI.O.B.값이 커지면, 유상 전체의 극성이 커지면 유상내의 비타민 A 지방산 에스테르가 수상 중으로 이행하는 정도가 적어지므로 유상내의 비타민 A 지방산 에스테르의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 유화 조성물 3의 유분으로서 실리콘유를 배합하는 것이 가능하지만, 실리콘유에서는 원칙적으로 분자내에 탄소 원자가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ΣI.O.B.값의 개념으로부터는 제외되지만, 이들의 실리콘유는 본 발명 유화 조성물 3에서 그 배합에 의해 본 발명의 소기의 효과인 비타민 A 지방산 에스테르의 안정성의 유지에 악영향을 미치는 것은 아니고, 그 배합에 의해 유상의 ΣI.O.B.값을 변화시키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 유화 조성물 3에서의 유분의 배합량은 상기 양친매성 물질 및 친수성 비이온계 계면활성제의 총량에 대하여 중량비로 1.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동일하게는 2.0 이상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배합량이 상기 양친매성 물질 및 친수성 비이온계 계면활성제의 총량에 대하여 중량비로 1.0 미만인 경우, 본 발명 유화 조성물 3의 조성에 따라서는 계 중의 비타민 A 지방산 에스테르의 안정성이 저하하는 경향이 있으므로 바람직하지 못하다.
본 발명 유화 조성물 3에서, 비교적 다량의 친수성 비이온계 계면활성제를 배합하더라도 이것을 양친매성 물질과 공존시킴으로써 계내에 형성되는 겔로 인해 유리된 친수성 비이온계 계면활성제가 감소 또는 소멸될 수 있다고 생각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자는 이러한 현상을 비타민 A 지방산 에스테르의 안정성을 비약적으로 향상시키는 수단으로서도 사용할 수 있다고 생각하여, 본 발명 유화 조성물 3의 완성에 이른 것이다.
본 발명 유화 조성물 3에서, 배합되어야 되는 유분은 상기의 조건을 만족하는한 특별히 한정되어야 할 것은 아니고, 구체적으로는 후술하는 외용 조성물에서의 일반적인 예시 성분 등으로부터 상기의 조건을 만족하도록 적절하게 선택하여 본 발명 유화 조성물 3에 배합될 수 있다.
D. 본 발명 외용 조성물에 대하여
본 발명 유화 조성물은 어느쪽의 태양에서도 주로 화장품, 의약품, 의약 부외품 등의 외용 조성물로서 사용할 수 있는 수중유 형 유화 조성물이다[본 발명 유화 조성물이 외용 조성물인 것을 본 발명 외용 조성물이라 한다(상술한 본 발명 유화 조성물의 태양에 대응하여, 각각 본 발명 외용 조성물 1, 동일하게 2 또는 동일하게 3으로서 나타내는 경우도 있다. 특히, 단정내리지 않는 경우에는 이들 3 종류의 태양을 모두 가리키는 것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 외용 조성물의 내용에 관해서 설명한다.
본 발명 외용 조성물에서는, 외용 조성물이 구체적인 목적에 따라 상술한 비타민 A 지방산 에스테르를 안정화시킨다고 하는 본 발명의 소기의 효과를 손상시키지 않은 한에서 일반적인 약효 성분이나 기제 성분을 배합할 수 있다.
약효 성분으로는, 예를 들면, 본 발명 외용 조성물을 선케어 제품으로서 사용하는 경우, 파라아미노안식향산 등의 안식향산계 자외선 흡수제; 안트라닐산메틸 등의 안트라닐산계 자외선 흡수제; 살리실산옥틸, 살리실산페닐, 살리실산호모멘틸 등의 살리실산계 자외선 흡수제; 파라메톡시계피산 이소프로필, 파라메톡시계피산옥틸, 파라메톡시계피산-2-에틸헥실, 디파라메톡시계피산 모노-2-에틸헥산산글리세릴, [4-비스(트리메틸실록시)메틸실릴-3-메틸부틸]-3,4,5-트리메톡시계피산 에스테르 등의 계피산계 자외선 흡수제; 2,4-디하이드록시벤조페논, 2-하이드록시-4-메톡시벤조페논, 2-하이드록시-4-메톡시벤조페논-5-설폰산, 2-하이드록시-4-메톡시벤조페논-5-설폰산나트륨 등의 벤조페논계 자외선 흡수제; 울로카닌산, 울로카닌산에틸, 2-페닐-5-메틸벤조옥사졸, 2-(2'-하이드록시-5'-메틸페닐)벤조트리아졸, 4-3급-부틸-4'-메톡시디벤조일메탄 등의 자외선 흡수제를 본 발명 외용 조성물에 배합할 수 있다.
또한, 보습 효과를 본 발명 외용 조성물에 부여하기 위해, 폴리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디프로필렌글리콜, 1,3-부틸렌글리콜, 헥실렌글리콜, 글리세린, 디글리세린, 크실리톨, 말티톨, 말토스, D-만니트, 물엿, 포도당, 과당, 유당, 콘드로이친황산나트륨, 히알루론산나트륨, 아데노신인산나트륨, 유산나트륨, 담즙산염, 피롤리돈카복실산, 글루코사민, 사이클로덱스트린 등의 보습제를 배합할 수 있다.
또한 약제 성분으로서, 항산화제로서의 용도 이외로 사용할 수 있는 비타민류; 에스트라디올, 에티닐에스트라디올 등의 호르몬류; 알기닌, 아스파리긴산, 시스틴, 시스테인, 메티오닌, 세린, 류신, 트립토판 등의 아미노산류; 아란토인, 아줄렌, 글리틸레틴산 등의 항염증제; 알부틴 등의 미백제; 산화아연, 탄닌산 등의 수렴제; L-멘톨, 캠퍼 등의 청량제, 유황, 염화리소짐, 염산피리독신, γ-오리자놀 등을 배합할 수 있다.
또한, 다양한 약효를 갖는 각종의 추출물을 배합할 수 있다. 즉, 삼백초 엑스, 황벽나무 엑스, 메릴로트 엑스, 광대수염 엑스, 감초 엑스, 작약 엑스, 사본초 엑스, 수세미 엑스, 키나 엑스, 범의귀 엑스, 고삼 엑스, 개구리연 엑스, 회향 엑스, 앵초 엑스, 장미 엑스, 지황 엑스, 레몬 엑스, 자근 엑스, 알로에 엑스, 창포뿌리 엑스, 유칼리 엑스, 쇠뜨기 엑스, 세지 엑스, 타임 엑스, 차 엑스, 해초 엑스, 오이 엑스, 정향 엑스, 나무딸기 엑스, 멜릿사 엑스, 인삼 엑스, 마로니에 엑스, 복숭아 엑스, 복숭아잎 엑스, 뽕나무 엑스, 수레국화 엑스, 하마멜리스 엑스, 태반 엑스, 흉선 추출물, 실크 추출액 등을 본 발명 외용 조성물에 배합할 수 있다.
또한, 이들의 약효 성분에 본 발명 외용 조성물에 배합가능한 약효 성분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약효 성분은 단독으로 본 발명 외용 조성물에 배합하는 것 이외에, 2종류 이상을 목적에 따라 적절히 조합시켜 배합하는 것도 가능하다.
기제 성분으로는, 구체적으로 원하는 형태나 제형에 따라서 통상 공지의 기제 성분 등을 그 배합에 의해 본 발명의 소기의 효과를 손상하지 않는 범위에서(특히, 유분에 관해서는 유의하여 배합할 필요가 있다) 널리 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즉, 아마인유, 동백유, 마카데미아 너츠 기름, 옥수수유, 밍크유, 올리브유, 아보카도유, 애기동백유, 피마자유, 잇꽃유, 살구씨유, 시나몬유, 호호바유, 포도종자유, 해바라기유, 아몬드유, 유채의씨유, 참기름, 밀배아유, 쌀배아유, 쌀겨기름, 면실유, 대두유, 낙화생유, 차실유, 달맞이꽃유, 난황유, 우각유, 간유, 트리글리세린, 트리옥탄산 글리세린, 트리이소팔미틴산 글리세린 등의 액체유지; 야자유, 팜기름, 팜핵유 등의 액체 또는 고체의 유지; 카카오 유지, 소기름, 양기름, 돼지기름, 말기름, 경화유, 경화 피마자유, 목랍, 시어 버터 등의 고체유지; 밀랍, 칸델릴라 왁스, 목화 왁스, 카르나우바 왁스, 베이베리 왁스, 수랍, 고래 왁스, 몬탄 왁스, 쌀겨 왁스, 라놀린, 환원 라놀린, 경질 라놀린, 판야 왁스, 사탕수수 왁스, 호호바 왁스, 세락 왁스 등의 왁스류를 본 발명 외용 조성물에 배합할 수 있다.
또한, 옥탄산세틸 등의 옥탄산 에스테르, 트리-2-에틸헥산산 글리세린, 테트라-2-에틸헥산산펜타에리스리트 등의 이소옥탄산 에스테르, 라우린산 헥실 등의 라우린산 에스테르, 미리스틴산 이소프로필, 미리스틴산 옥틸도데실 등의 미리스틴산 에스테르, 팔미틴산 옥틸 등의 팔미틴산 에스테르, 스테아린산 이소세틸 등의 스테아린산 에스테르, 이소스테아린산 이소프로필 등의 이소스테아린산 에스테르, 이소팔미틴산 옥틸 등의 이소팔미틴산 에스테르, 올레인산 이소데실 등의 올레인산 에스테르, 아디핀산 디이소프로필 등의 아디핀산 디에스테르, 세바신산 디에틸 등의 세바신산 디에스테르, 사과산 디이소스테아릴 등의 에스테르유; 유동 파라핀, 지랍, 스쿠알란, 스쿠알렌, 프리스탄, 파라핀, 이소파라핀, 세레신, 와셀린, 마이크로크리스탈린 왁스 등의 탄화수소유를 본 발명 외용 조성물에 배합할 수 있다.
또한, 디메틸폴리실록산, 메틸페닐폴리실록산, 메틸하이드로겐폴리실록산 등의 쇄상 실리콘, 옥타메틸사이클로테트라실록산, 데카메틸사이클로펜타실록산, 도데카메틸사이클로헥사실록산 등의 환상 실리콘, 3차원 망목 구조를 갖는 실리콘 수지, 실리콘 고무 등의 실리콘을 본 발명 외용 조성물에 배합할 수 있다.
또한, 메탄올, 에탄올, 프로판올, 이소프로판올 등의 저급 알콜; 콜레스테롤, 시토스테롤, 피토스테롤, 라노스테롤 등의 스테롤류를 본 발명 외용 조성물에 배합할 수 있다.
또한, 아라비아 고무, 트라가간트검, 갈락탄, 캐럽검, 구아검, 카라야검, 카라기난, 펙틴, 한천, 퀸스시드(말멜로), 앨거 콜로이드(갈조 엑스), 전분(쌀, 옥수수, 감자, 밀) 등의 식물계 고분자, 덱스트란, 석시노글루칸, 풀루란 등의 미생물계 고분자, 카복시메틸전분, 메틸하이드록시프로필 전분 등의 전분계 고분자, 콜라겐, 카제인, 알부민, 젤라틴 등의 동물계 고분자, 메틸셀룰로스, 니트로셀룰로스, 에틸셀룰로스, 메틸하이드록시프로필셀룰로스, 하이드록시에틸셀룰로스, 셀룰로스황산나트륨, 하이드록시프로필셀룰로스, 카복시메틸셀로스나트륨, 결정 셀룰로스, 셀룰로스 분말 등의 셀룰로스계 고분자, 알긴산나트륨, 알긴산프로필렌글리콜에스테르 등의 알긴산계 고분자, 폴리비닐메틸에테르, 카복시비닐폴리머(CARBOPOL 등) 등의 비닐계 고분자, 폴리옥시에틸렌계 고분자, 폴리옥시에틸렌폴리옥시프로필렌 공중합체계 고분자, 폴리아크릴산나트륨, 폴리에틸아크릴레이트, 폴리아크릴산아미드 등의 아크릴계 고분자, 폴리에틸렌이민, 양이온 폴리머, 벤토나이트, 규산 알루미늄마그네슘, 라포나이트, 헥토라이트, 무수규산 등의 무기계 수용성 고분자 등의 수용성 고분자를 본 발명 외용 조성물에 배합할 수 있다.
또한, 알라닌, 에데트산나트륨염, 폴리인산나트륨, 메타인산나트륨, 인산 등의 금속 이온 봉쇄제; 2-아미노-2-메틸-1-프로판올, 2-아미노-2-메틸-1, 3-프로판디올, 수산화 칼륨, 수산화 나트륨, L-알기닌, L-리신, 트리에탄올아민, 탄산나트륨, 유산, 구연산, 글리콜산, 호박산, 타르타르산, dl-사과산, 탄산 칼륨, 탄산수소 나트륨, 탄산수소 암모늄 등의 pH 조정제를 본 발명 외용 조성물에 배합할 수 있다.
또한, 안식향산, 살리실산, 석탄산, 파라옥시안식향산 에스테르, 파라클로르메타크레졸, 헥사클로로펜, 염화벤잘코늄, 염산클로르헥시딘, 트리클로로카바닐리드, 감광소, 페녹시에탄올, 파라벤류 등의 항균제 등을 본 발명 외용 조성물에 배합할 수 있다.
또한, 필요에 따라 적당한 향료, 색소 등을 본 발명의 소기의 효과를 손상하지 않는 범위에서 본 발명 외용 조성물에 배합시킬 수 있다.
여기서, 상기의 기제 성분은 예시이고, 본 발명 외용 조성물에 배합가능한 기제 성분이 이러한 기제 성분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러한 기제 성분은 원하는 형태에 따른 처방에 따라 적절히 조합되어 본 발명 외용 조성물에 배합될 수 있다.
본 발명 외용 조성물의 구체적인 처방에 관해서는 후술한다.
본 발명은 주로 외용 조성물 등으로서 사용되는 수중유 형 유화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비타민 A의 지방산 에스테르가 안정화된 상기 수중유 형 유화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이하, 실시예를 사용하여 본 발명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단,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실시예에서의 배합량은 특별히 단정짓지 않는한 성분이 배합되는 계 전체에 대한 중량%이다.
비타민 A 지방산 에스테르의 안정성 평가 방법
본 실시예에서 배합한 비타민 A 지방산 에스테르의 안정성을 평가하기 위해, 제제 중의 비타민 A 지방산 에스테르의 잔존율을 그 평가 지표로서 사용하고, 알루미늄 호일로 차광하여 50℃에서 1개월 보존한 후의 비타민 A 지방산 에스테르의, 제제 중에서의 보존전에 대한 보존후의 잔존율을 고속액체 크로마토그래피로 해석함으로써 수득하고, 이를 상기 평가 지표로서의 잔존율(%)로 하였다(이하, 이렇게 수득된 잔존율을 단지 잔존율이라 하는 일도 있다).
잔존율을 구하기 위한 고속액체 크로마토그래피는 이하의 조건으로 행하였다.
컬럼: C18 컬럼(주식회사 시세이도제)
검출: UV 310nm
이동상: 72% 메탄올/10% 아세트니트릴/18% 이온교환수/
0.5% 아세트산(아세트산레티놀을 검출하는 경우)
100% 메탄올/0.5% 아세트산(팔미틴산레티놀을 검출하는 경우)
잔존율이 100%에 가까우면 가까울수록 바람직하며, 본 발명에서 80% 이상의 잔존율을 나타내는지 여부를 비타민 A 지방산 에스테르의 안정화 작용을 인정하는가 여부의 경계로 하였다.
즉, 잔존율이 80% 이상인 것을 합격으로 하고, 동일하게 80% 미만인 것을 불합격으로서 평가하였다.
ΣI.O.B. 값의 산정 방법
상술한 산정 방법에 근거하여, 각 예의 제제의 유상의 ΣI.O.B.값을 산정하였다.
A. 본 발명 유화 조성물 1 내지 본 발명 외용 조성물 1에 대하여
하기 표 A1 내지 표 A2에 기재된 처방의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상기의 검토를 행하여 본 발명에서의 효과를 검토하였다. 그 결과도 합쳐서 이들의 표에 기재한다.
또한, 각 표에서의 제제는 각각 실온의 수상에 70℃로 가온한 유상을 가하여 호모믹서로 균일하게 유화하여 실온까지 냉각하여 조제하였다.
표 A1에서, 실시예 A1 내지 실시예 A4는 허용 범위내에서 친수성 비이온계 계면활성제인 POE(20)스테아릴에테르의 배합량만을 변화시켜 비교한 예이지만, 근소하지는 하지만, 친수성 비이온계 계면활성제의 배합량이 적을수록 비타민 A 지방산 에스테르인 아세트산레티놀의 경시적 안정성이 향상되는 경향이 있는 것이 확인되었다.
실시예 A5 내지 실시예 A7은 허용 범위내에서 친수성 비이온계 계면활성제인 POE(20)스테아릴에테르의 배합량을 소량으로 억제하고(친수성 비이온계 계면활성제에 의한 비타민 A 지방산 에스테르의 안정성에 대한 영향은 최소한이다), 허용 범위내에서 유분인 테트라-2-에틸헥산산펜타에리스리트의 배합량만을 변화시켜 비교한 예이지만, 유분의 배합량이 적합한 범위의 극소치로 설정된 실시예 A7은 비타민 A 지방산 에스테르의 안정성이 허용 한계에 가까이 되는 것이 분명하게 되었다.
또한, 실시예 A8은 허용 범위내이나 적합한 범위로부터 벗어나는 예이지만, 이러한 예도 비타민 A 지방산 에스테르의 안정성이 더욱 허용 한계에 가까이 되는 것이 분명하게 되었다.
이들의 실시예에 대하여, 비교예 A1 내지 비교예 A3은 허용 범위를 벗어난 예(비교예 A1 및 비교예 A2는 친수성 비이온계 계면활성제의 배합량이 벗어나고 있고, 비교예 A3은 유용성 항산화제인 BHT를 전혀 배합하지 않은 예이다)이지만, 어느쪽의 예도 비타민 A 지방산 에스테르의 경시적 안정성이 기준치인 80을 하회하는 것이 분명하게 되었다.
이로써, 그 배합 성분을 특정량으로 한정한 본 발명 유화 조성물 1은 특정량으로부터 벗어난 것과의 비교상에 있어서 소기의 효과를 발휘할 수 있는 것이 분명하게 되었다.
실시예
A9 A10 A11 A12
(유상)아세트산레티놀BHT스쿠알렌POE(20)올레일에테르POE(10)올레일에테르POE(7)올레일에테르POE(5)올레일에테르(수상)에데트산삼나트륨카복시비닐폴리머KOH글리세린메틸파라벤이온교환수 0.20.0520.00.3---0.020.30.085.00.2잔량 0.20.0520.0-0.3--0.020.30.085.00.2잔량 0.20.0520.0--0.3-0.020.30.085.00.2잔량 0.20.0520.0---0.30.020.30.085.00.2잔량
운점 90℃ 60℃ 30℃ 25℃
ΣI.O.B. 0 0 0 0
평가아세트산레티놀 정량치(%)50℃, 1개월 90 89 85 81
표 A2에서, 실시예 A9 내지 실시예 A12는 배합하는 친수성 비이온계 계면활성제의 운점을 변경한 경우에 관해서 비교한 것이지만, 운점이 높은 친수성 비이온계 계면활성제를 배합한 것일수록 비타민 A 지방산 에스테르의 경시적 안정성이 향상하는 것이 분명하게 되었다.
또한, 실시예 A12는 배합하는 친수성 비이온계 계면활성제의 운점이 허용 범위내이나 적합한 범위내에서 벗어나는 예이지만, 이 예에서는 비타민 A 지방산 에스테르의 안정성이 허용 한계 가까이 되는 것이 분명하게 되었다.
실시예
A13 A14 A15 A16 A17 A18 A19
(유상)아세트산레티놀BHT테트라2-에틸헥산산펜타에리스리트스쿠알란2-에틸헥산산세틸트리2-에틸헥산산글리세린POE(60)경화 피마자유(수상)에데트산삼나트륨카복시비닐폴리머KOH글리세린메틸파라벤이온교환수 0.20.05-20.0--0.70.020.30.085.00.2잔량 0.20.055.015.0--0.70.020.30.085.00.2잔량 0.20.0510.010.0--0.70.020.30.085.00.2잔량 0.20.0515.05.0--0.70.020.30.085.00.2잔량 0.20.0520.0---0.70.020.30.085.00.2잔량 0.20.05--20.0-0.70.020.30.085.00.2잔량 0.20.0520.0--20.00.70.020.30.085.00.2잔량
ΣI.O.B. 0 0.088 0.177 0.265 0.353 0.128 0.353
평가아세트산레티놀 정량치(%)50℃, 1개월 81 84 88 92 94 85 93
표 A3에서, 실시예 A13 내지 실시예 A19는 유상 성분의 배합 패턴을 변경한 것을 ΣI.O.B.값을 지표로 하여 그 비타민 A 지방산 에스테르의 경시적 안정성과의 상관성에 관해서 검토한 것이다.
이들의 결과로부터 분명한 바와 같이, ΣI.O.B.값이 클수록, 즉 유상 성분의 무기성이 높고 극성이 클수록, 비타민 A 지방산 에스테르의 경시적 안정성이 향상하는 것이 분명하게 되었다.
실시예 A20 실시예 A21 비교예 A4
(유상)팔미틴산레티놀BHT테트라2-에틸헥산산펜타에리스리트호박산디2-에틸헥실POE(20)베헤닐에테르폴리옥시에틸렌(25)폴리옥시프로필렌글리콜(30)(수상)에데트산삼나트륨카복시비닐폴리머KOH글리세린메틸파라벤이온교환수 0.20.120.0-0.2-0.020.30.15.00.1잔량 0.20.1-20.0-0.50.020.30.15.00.1잔량 0.20.10.8-0.2-0.020.30.15.00.1잔량
ΣI.O.B. 0.353 0.316 0.353
평가팔미틴산레티놀 정량치(%)50℃, 1개월 90 88 35
표 A4의 실시예(A20, A21) 및 비교예 A4는 비타민 A 지방산 에스테르를 팔미틴산레티놀로 하여 검토한 결과를 나타내고 있다.
모든 배합 성분이 허용 범위내의 실시예는 비타민 A 지방산 에스테르의 경시적 안정성이 향상되었지만, 친수성 비이온계 계면활성제인 POE(20)베헤닐에테르의 유분인 테트라-2-에틸헥산산펜타에리스리트에 대한 배합량비가 중량비로 0.25이고 허용 범위인 0.1을 넘고 있는 비교예 A4에서는 비타민 A 지방산 에스테르의 안정성이 극단적으로 저하하고 있는 것이 분명하게 되었다.
그리고, 본 발명 유화 조성물 1에서는 배합하는 비타민 A 지방산 에스테르의 종류에 관계 없이 비타민 A 지방산 에스테르의 경시적 안정성이 향상하는 것이 분명하게 되었다.
또한, 본 발명 유화 조성물 1 내지 본 발명 외용 조성물 1의 대표적인 태양으로서, 하기의 처방의 미용액(실시예 A22) 및 유액(실시예 A23)을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서 제조하였다. 상기 미용액 및 유액에 관해서 상술한 안정성 시험을 행한 바, 아세트산레티놀의 잔존율은 80% 이상이고, 이들의 본 발명 유화 조성물 1 내지 본 발명 외용 조성물 1이 극히 아세트산레티놀의 경시적인 안정성이 우수한 것을 판명하였다.
[실시예 A22] 미용액
배합성분 배합량(중량%)
(유상)
아세트산레티놀 0.2
BHT 0.1
트리2-에틸헥산산글리세릴 5.0
2-에틸헥산산세틸 5.0
유동 파라핀 5.0
POE(20)베헤닐에테르 0.2
(수상)
에데트산삼나트륨 0.02
카복시비닐폴리머 0.3
KOH 0.1
글리세린 10.0
메틸파라벤 0.2
이온교환수 잔량
[실시예 A23] 유액
배합성분 배합량(중량%)
(유상)
아세트산레티놀 0.2
BHT 0.1
테트라-2-에틸헥산산펜타에리스리트 10.0
호박산디2-에틸헤키실 10.0
POE(20)베헤닐에테르 0.2
베헤닐알콜 0.2
스테아릴알콜 0.1
에틸파라벤 0.1
부틸파라벤 0.1
(수상)
에데트산삼나트륨 0.02
카복시비닐폴리머 0.2
KOH 0.05
리세린 10.0
이온교환수 잔량
B. 본 발명 유화 조성물 2 내지 본 발명 외용 조성물 2에 대하여
하기 표 B1 내지 표 B3에 기재한 처방의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상기의 검토를 행하여 본 발명에서의 효과를 검토하였다. 그 결과도 더불어 이들의 표에 기재한다.
또한, 각 표에서의 각 제제는 실온의 수상에 70℃로 가온한 유상을 가하여 호모믹서로 균일히 유화하여 실온까지 냉각하여 조제하였다.
표 B1에서, 실시예 B1 내지 실시예 B3은 허용 범위내에서 분자량이 5000 이상인 비이온계 양친매성 고분자인 PVA EG-05(일본합성화학공업제, 분자량: 30000), NATR0S0L Plus330(Hercules제, 분자량: 150만) 또는 폴리(옥시에틸렌옥시프로필렌)메틸폴리실록산 공중합체(분자량: 50000)를 배합한 예이다. 이에 대하여, 비교예 B1은 분자량이 5000 이상인 비이온계 양친매성 고분자의 대신에 비이온계 계면활성제인 폴리옥시에틸렌(표에서 POE라 약기함)(20)스테아릴에테르를 배합한 예, 비교예 B2는 유용성 항산화제인 BHT를 배합하지 않고, 또한, 비이온계 계면활성제인 폴리옥시에틸렌(표에서 POE라 약기함)(60) 경화 피마자유을 배합한 예이다.
이들의 결과로부터, 분자량이 5000 이상인 비이온계 양친매성 고분자를 배합한 실시예 B1 내지 B3에서는 비교예 B1 및 B2와 비교하여 비타민 A 지방산 에스테르인 아세트산레티놀의 경시적 안정성이 각별히 높은 것이 분명하게 되었다.
실시예
B4 B5 B6 B7 B8 B9 B10
(유상)아세트산레티놀BHT테트라2-에틸헥산산펜타에리스리트스쿠알란2-에틸헥산산세틸트리2-에틸헥산산글리세린NATROSOL Plus330(수상)에데트산삼나트륨카복시비닐폴리머KOH글리세린메틸파라벤이온교환수 0.20.05-20.0--3.00.020.30.085.00.2잔량 0.20.055.015.0--3.00.020.30.085.00.2잔량 0.20.0510.010.0--3.00.020.30.085.00.2잔량 0.20.0515.05.0--3.00.020.30.085.00.2잔량 0.20.0520.0---3.00.020.30.085.00.2잔량 0.20.05--20.0-3.00.020.30.085.00.2잔량 0.20.05---20.03.00.020.30.085.00.2잔량
ΣI.O.B.값 0.0 0.104 0.197 0.279 0.353 0.128 0.353
아세트산레티놀의 잔존율(%) 84 86 90 93 95 87 94
평가 합격 합격 합격 합격 합격 합격 합격
표 B2에서, 실시예 B4 내지 실시예 B10은 유상을 구성하는 유분의 배합 패턴을 바꾸고 ΣI.O.B.값을 변화시키고 ΣI.O.B.값과 비타민 A 지방산 에스테르의 경시적 안정성과의 상관성에 관해서 검토한 것이다.
이들의 결과로부터, ΣI.O.B.값이 클수록, 즉 유상의 무기성이 높고 극성이 클수록, 비타민 A 지방산 에스테르의 경시적 안정성이 향상하는 것이 분명하게 되었다.
실시예 B11 비교예 B3
(유상)팔미틴산레티놀BHT테트라2-에틸헥산산펜타에리스리트폴리(옥시에틸렌옥시프로필렌)메틸폴리실록산 공중합체POE(20)스릴에테르(수상)에데트산삼나트륨카복시비닐폴리머KOH글리세린메틸파라벤이온교환수 0.20.120.05.0-0.020.30.15.00.1잔량 0.20.120.0-5.00.020.30.15.00.1잔량
ΣI.O.B.값 0.353 0.353
팔미틴산레티놀의 잔존율(%) 97 75
평가 합격 불합격
표 B3에서, 실시예 B11 및 비교예 B3은 비타민 A 지방산 에스테르로서 팔미틴산레티놀을 배합한 예이다. 이들의 결과로부터, 본 발명 유화 조성물 2 내지 본 발명 외용 조성물 2에서는 배합하는 비타민 A 지방산 에스테르의 종류에 관계 없이 비타민 A 지방산 에스테르의 경시적 안정성이 향상하는 것이 분명하게 되었다.
C. 본 발명 유화 조성물 3 내지 본 발명 외용 조성물 3에 관해서
표 C1에서, 실시예 C1 내지 실시예 C3 및 비교예 C1은 친수성 비이온계 계면활성제에 대한 양친매성 물질의 양비에 관해서 비교 검토한 예이다.
양비가 허용 범위인 중량비로 0.5 이상을 만족하고 있는 실시예 C1 내지 C3은 비타민 A 지방산 에스테르인 아세트산레티놀의 경시적 안정성이 확인되었지만, 양비가 0.45인 비교예 C1에서는 이 경시적 안정성이 기준치인 80보다도 뒤떨어지는 것이 분명하게 되었다.
실시예 C4와 실시예 C5 및 비교예 C2와 비교예 C3은 배합한 계면활성제의 배합량에 관해서 검토한 예이다.
이 배합량이 기준치인 「조성물 전체에 대하여 5.0중량% 이하」를 만족한 실시예 C4와 실시예 C5에서는 비타민 A 지방산 에스테르의 경시적 안정성이 향상했었지만, 이 기준을 벗어나고 있는 비교예 C2와 비교예 C3에서는 대폭적으로 이 경시적 안정성이 저하하고 있는 것이 분명하게 되었다.
실시예 C6 내지 실시예 C9는 유분의 배합량에 관해서 검토한 예이다.
배합량이 「양친매성 물질 및 친수성 비이온계 계면활성제의 총량에 대하여, 중량비로 1.0 이상」이라고 하는 적합한 범위를 만족한 실시예 C6, C7은 비타민 A 지방산 에스테르의 경시적 안정성이 양호하지만, 이 적합한 범위를 벗어나는 실시예 C8와 실시예 C9에서의 비타민 A 지방산 에스테르의 경시적 안정성은, 한계치에 근사하여 버리는 것이 분명하게 되었다.
비교예 C4는 겔의 전이 온도가 50℃ 미만이 되도록 「양친매성 물질-친수성 비이온계 계면활성제-수계」의 배합 처방을 설정한 예이다.
이 비교예 C4에서, 상기 겔의 전이 온도가 50℃ 미만인 계는 비타민 A 지방산 에스테르의 경시적 안정성이 한계치보다도 뒤떨어지고 있었다.
실시예
C10 C11 C12 C13 C14
(유상)아세트산레티놀BHT테트라2-에틸헥산산펜타에리스리트스쿠알란베헤닐알콜에틸파라벤부틸파라벤(수상)에데트산삼나트륨글리세린POE(20)베헤닐에테르이온교환수 0.20.1-20.04.00.10.10.15.00.5잔량 0.20.15.015.04.00.10.10.15.00.5잔량 0.20.110.010.04.00.10.10.15.00.5잔량 0.20.115.05.04.00.10.10.15.00.5잔량 0.20.120.0-4.00.10.10.15.00.5잔량
ΣI.O.B. 0.039 0.113 0.187 0.261 0.332
평가아세트산레티놀 정량치(%)50℃, 1개월 83 87 90 95 97
표 C2에서, 실시예 C10 내지 실시예 C14는 배합 성분을 여러가지에 설정하고, 각각의 예에서의 비타민 A 지방산 에스테르의 안정성을 유상의 ΣI.O.B.값을 지표로 하여 검토한 예이다.
이들의 결과로부터, 유상의 ΣI.O.B.값이 높은, 즉 유상의 무기성이 높고 극성이 클수록, 비타민 A 지방산 에스테르의 경시적 안정성이 향상하는 것이 분명하게 되었다.
표 C3에서, 실시예 C15 내지 실시예 C17 및 비교예 C5 내지 비교예 C8은 상기의 실시예와 비교예와 동일한 것이 배합하는 비타민 A 지방산 에스테르를, 팔미틴산레티놀로 변경한 경우에도 가치가 있는지 여부를 검토한 예이다.
이들의 결과로부터, 배합하는 비타민 A 지방산 에스테르를 변경하더라도 본 발명 유화 조성물 3 내지 본 발명 외용 조성물 3에서는 이 비타민 A 지방산 에스테르의 경시적 안정성이 향상하는 것이 분명하게 되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해 비타민 A의 지방산 에스테르가 제제에서 안정화되어 있는, 특히 외용 조성물로서 유용한 유화 조성물이 제공된다.

Claims (12)

  1. 비타민 A의 지방산 에스테르의 항산화 수단과 함께 비타민 A의 지방산 에스테르의 가수분해 방지 수단을 포함하는, 비타민 A의 지방산 에스테르를 함유하는 수중유 형 유화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비타민 A의 지방산 에스테르의 가수분해 방지 수단으로서 친수성 비이온계 계면활성제를 배합량을 한정하여 배합하거나 분자량이 5000 이상인 비이온계 양친매성 고분자를 배합한 수중유 형 유화 조성물.
  3. 제2항에 있어서, 비타민 A의 지방산 에스테르의 가수분해 방지 수단으로서 친수성 비이온계 계면활성제를 배합량을 한정하여 배합하고, 수중유 형 유화 조성물의 유상에 대한 상기 친수성 비이온계 계면활성제의 양비가 중량비로 0.1 이하이고, 또한 모든 계면활성제의 배합량이 조성물 전체에 대하여 1.0중량% 이하인 수중유 형 유화 조성물.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친수성 비이온계 계면활성제로서 운점이 30℃ 이상인 친수성 비이온계 계면활성제를 1종 이상 포함하는 수중유 형 유화 조성물.
  5. 제2항 내지 제4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수중유 형 유화 조성물에서의 유분의 배합량이 조성물 전체에 대하여 1.0중량% 이상인 수중유 형 유화 조성물.
  6. 제2항 내지 제5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수중유 형 유화 조성물의 제형이 엣센스계의 제형인 수중유 형 유화 조성물.
  7. 제1항에 있어서, 비타민 A의 지방산 에스테르의 가수분해 방지 수단으로서,
    ① 배합하는 양친매성 물질-친수성 비이온계 계면활성제-수계에서 형성되는 겔의 전이 온도가 50℃ 이상이고;
    ② 상기 친수성 비이온계 계면활성제에 대한 상기 양친매성 물질의 양비가 중량비로 0.5 이상이며;
    ③ 모든 계면활성제의 배합량이 조성물 전체에 대하여 5.0중량% 이하인 조건하에 양친매성 물질 및 친수성 비이온계 계면활성제를 배합한 수중유 형 유화 조성물.
  8. 제7항에 있어서, 유분의 배합량이 양친매성 물질 및 친수성 비이온계 계면활성제의 총량에 대하여 중량비로 1.0 이상인 수중유 형 유화 조성물.
  9. 제7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수중유 형 유화 조성물의 제형이 크림계의 제형인 수중유 형 유화 조성물.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유상의 ΣI.O.B.값이 0.043 이상인 수중유 형 유화 조성물.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비타민 A의 지방산 에스테르의 항산화 수단으로서 유용성 항산화제를 배합한 수중유 형 유화 조성물.
  12. 제1항 내지 제11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수중유 형 유화 조성물이 외용 조성물인 수중유 형 유화 조성물.
KR1019997009246A 1998-02-10 1999-02-08 수중유형 유화 조성물 KR10076016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04448698A JP4562213B2 (ja) 1998-02-10 1998-02-10 水中油型乳化組成物
JP98-44486 1998-02-10
JP04448598A JP3634139B2 (ja) 1998-02-10 1998-02-10 水中油型乳化組成物
JP98-44485 1998-02-10
JP98-170716 1998-06-02
JP17071698A JPH11349439A (ja) 1998-06-02 1998-06-02 水中油型乳化組成物
PCT/JP1999/000526 WO1999040887A1 (fr) 1998-02-10 1999-02-08 Composition emulsionnees de type aqueux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06167A true KR20010006167A (ko) 2001-01-26
KR100760167B1 KR100760167B1 (ko) 2007-09-20

Family

ID=272919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7009246A KR100760167B1 (ko) 1998-02-10 1999-02-08 수중유형 유화 조성물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6210693B1 (ko)
EP (2) EP0985404A4 (ko)
KR (1) KR100760167B1 (ko)
CN (1) CN1149968C (ko)
TW (1) TW570807B (ko)
WO (1) WO199904088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1006993A1 (fr) 1999-07-27 2001-02-01 Shiseido Company, Ltd. Composition d'emulsion huile dans l'eau
DE19951474A1 (de) * 1999-10-26 2001-05-23 Homoeopathie Union Dhu Arzneim Celluloseether stabilisierte Öl-in-Wasser Emulsionen als Träger für homöopatische und pflanzliche Wirkstoffe
FR2809307A1 (fr) * 2000-05-23 2001-11-30 Oreal Composition, notamment cosmetique, comprenant un retinoide et de l'eugenol ou un extrait naturel en contenant
US6638915B1 (en) * 2000-06-30 2003-10-28 Harold Killam Anti-viral composition
FR2815857B1 (fr) * 2000-10-30 2003-02-14 Oreal Composition, notamment cosmetique, renfermant un retinoide et une silicone benzotriazole
US20040022820A1 (en) * 2001-11-28 2004-02-05 David Anderson Reversed liquid crystalline phases with non-paraffin hydrophobes
US20050037030A1 (en) * 2001-12-13 2005-02-17 Mukesh Kumar Stable topical formulation of clarithromycin
US20030165546A1 (en) * 2002-03-04 2003-09-04 The Procter & Gamble Company Stable personal care compositions containing a retinoid
US7416756B2 (en) * 2003-09-10 2008-08-26 Eastman Chemical Company Process for the recovery of a phytolipid composition
DE102005061239A1 (de) * 2005-12-20 2007-06-21 Cognis Ip Management Gmbh Emollient Mischung für kosmetische und pharmazeutische Formulierungen
DE102007059703A1 (de) * 2007-02-28 2008-09-04 Henkel Ag & Co. Kgaa Wirkstoff-stabiliserte O/W-Emulsionen II
KR101662331B1 (ko) * 2008-03-11 2016-10-04 가부시키가이샤 시세이도 수중유형 유화 화장료
ES2333574B1 (es) * 2008-06-23 2010-11-04 Francisco Martinez Estevez (Titular Del 50%) Compuesto para el tratamiento de las irritaciones de la piel.
JP4406035B1 (ja) * 2008-07-09 2010-01-27 株式会社資生堂 水中油型乳化皮膚化粧料
JP5368021B2 (ja) * 2008-07-16 2013-12-18 株式会社ダイセル クレンジング化粧料
FR2938757B1 (fr) * 2008-11-27 2010-12-31 Octalia Technologies Vehicule sous forme d'une emulsion huile-dans-eau notamment destine a une utilisation cosmetique ou dermatologique
JP5697198B2 (ja) * 2009-09-29 2015-04-08 株式会社 資生堂 水中油型乳化組成物
JP5584524B2 (ja) 2010-06-07 2014-09-03 花王株式会社 水中油型乳化組成物及びその製造方法
US9951233B2 (en) 2011-06-15 2018-04-24 Myriant Corporation Environmentally friendly coalescing agents
US10543167B2 (en) * 2014-09-17 2020-01-28 Alps South Europe S.R.O. Topical composition containing antioxidants
US11617724B2 (en) 2015-05-21 2023-04-04 Dermavant Sciences GmbH Topical pharmaceutical compositions
WO2016185428A1 (en) 2015-05-21 2016-11-24 Glaxosmithkline Intellectual Property Development Limited Topical pharmaceutical compositions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372843D1 (en) * 1982-05-15 1987-09-10 Beecham Group Plc Skin treatment compositions
ES2059721T3 (es) * 1988-02-25 1994-11-16 Beecham Group Plc Composicion para el tratamiento de la piel.
CH679981A5 (ko) * 1989-12-21 1992-05-29 Paul Dr Med Herzog
FI903483A0 (fi) * 1989-07-13 1990-07-10 Bristol Myers Squibb Co Tretinoin innehaollande stabila emulsionskraemformulationer.
FI904753A0 (fi) * 1989-10-02 1990-09-27 Bristol Myers Squibb Co Emulgerade tretinoinkraemkompositioner med foerbaettrad stabilitet.
FR2663850B1 (fr) * 1990-07-02 1994-01-14 Gird Galderma Composition pharmaceutique ou cosmetique contenant en association un retinouide et un sterol.
JPH0632713A (ja) 1992-07-13 1994-02-08 Shiseido Co Ltd 皮膚外用剤
JP3681200B2 (ja) 1994-09-07 2005-08-10 ジョンソン・エンド・ジョンソン株式会社 スキンケア組成物用容器
US6461622B2 (en) * 1994-09-07 2002-10-08 Johnson & Johnson Consumer Companies, Inc. Topical compositions
US5885595A (en) * 1996-05-13 1999-03-23 Elizabeth Arden Co., Division Of Conopco, Inc. Cosmetic composition with a retinol fatty acid ester
US5976556A (en) * 1996-06-13 1999-11-02 Active Organics, Inc. Combination of acid protease enzymes and acidic buffers and uses thereof
US5690947A (en) * 1996-08-30 1997-11-25 Chesebrough-Pond's Usa Co., Division Of Conopco, Inc. Borage seed oil as an anti-irritant in compositions containing hydroxy acids or retinoids
US5744148A (en) * 1996-09-20 1998-04-28 Chesebrough-Pond's Usa Co., Division Of Conopco, Inc. Stabilization of an unstable retinoid in oil-in-water emulsions for skin care compositions
US5738858A (en) * 1996-09-27 1998-04-14 Cheseborough-Pond's Usa Co., Division Of Conopco, Inc. Skin care compositions containing fatty hydroxyethyl imidazoline surfactants and retinol or retinyl ester
US5955092A (en) * 1996-09-27 1999-09-21 Elizabeth Arden Co., Division Of Conopco, Inc. Skin care compositions containing an n-substituted fatty acid amide and retinol or retinyl ester
US5855893A (en) * 1997-02-14 1999-01-05 Elizabeth Arden Co., Division Of Conopco, Inc. Trichodesma lanicum seed extract as an anti-irritant in compositions containing hydroxy acids or retinoid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987809A1 (en) 2008-11-05
EP0985404A1 (en) 2000-03-15
CN1149968C (zh) 2004-05-19
KR100760167B1 (ko) 2007-09-20
TW570807B (en) 2004-01-11
WO1999040887A1 (fr) 1999-08-19
US6210693B1 (en) 2001-04-03
CN1255846A (zh) 2000-06-07
EP0985404A4 (en) 2002-07-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60167B1 (ko) 수중유형 유화 조성물
US8673326B2 (en) Oil-in-water emulsion composition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JP4341983B2 (ja) 皮膚外用剤
JP6010418B2 (ja) 乳化組成物
JP5047369B2 (ja) O/w微細エマルション外用剤の製造方法
KR101576692B1 (ko) 수중유형 유화 조성물과 이의 제조 방법
JP3609834B2 (ja) 皮膚外用剤
EP2415459A1 (en) External preparation for skin
WO2005077322A1 (ja) 液状乳化化粧料
JP2008024630A (ja) 油中水型乳化組成物
KR100678364B1 (ko) 수중유형 유화조성물
JP2006290762A (ja) 水中油型乳化組成物
EP2692333B1 (en) Water-in-oil emulsified cosmetic
JP3829048B2 (ja) 水中油型乳化組成物
JP6133618B2 (ja) 油中水型乳化組成物
JPH07267814A (ja) 化粧水型乳化組成物
JP4562213B2 (ja) 水中油型乳化組成物
TWI507207B (zh) 油中水型乳化化妝料
JP2006241038A (ja) 乳化化粧料
JP3634139B2 (ja) 水中油型乳化組成物
JP3829049B2 (ja) 水中油型乳化組成物
JPH11349439A (ja) 水中油型乳化組成物
KR20130028480A (ko) 비중조절제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JP4589594B2 (ja) 油中水型乳化化粧料
JPH09263510A (ja) 乳化組成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060630

Effective date: 20070528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2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2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1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18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18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16

Year of fee payment: 12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