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06148A - 과부하 계전기를 위한 트립 기구 - Google Patents

과부하 계전기를 위한 트립 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06148A
KR20010006148A KR1019997009227A KR19997009227A KR20010006148A KR 20010006148 A KR20010006148 A KR 20010006148A KR 1019997009227 A KR1019997009227 A KR 1019997009227A KR 19997009227 A KR19997009227 A KR 19997009227A KR 20010006148 A KR20010006148 A KR 2001000614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mature
housing
latch
contact
pushbutt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70092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78299B1 (ko
Inventor
패쏘우크리스챤핸리
Original Assignee
린다 유 퓨스
지멘스 에너지 앤드 오토메이션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린다 유 퓨스, 지멘스 에너지 앤드 오토메이션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린다 유 퓨스
Publication of KR200100061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061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782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78299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51/00Electromagnetic relays
    • H01H51/22Polarised relays
    • H01H51/2227Polarised relays in which the movable part comprises at least one permanent magnet, sandwiched between pole-plates, each forming an active air-gap with parts of the stationary magnetic circui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71/00Details of the protective switches or relays covered by groups H01H73/00 - H01H83/00
    • H01H71/10Operating or release mechanism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71/00Details of the protective switches or relays covered by groups H01H73/00 - H01H83/00
    • H01H71/10Operating or release mechanisms
    • H01H71/66Power reset mechanisms
    • H01H71/68Power reset mechanisms actuated by electromagne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00Contacts
    • H01H1/12Contact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in which co-operating contacts engage
    • H01H1/14Contact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in which co-operating contacts engage by abutting
    • H01H1/18Contact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in which co-operating contacts engage by abutting with subsequent slid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00Contacts
    • H01H1/12Contact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in which co-operating contacts engage
    • H01H1/14Contact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in which co-operating contacts engage by abutting
    • H01H1/20Bridging contac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Breakers (AREA)

Abstract

본 발명에서는 2 개의 안정된 위치 사이에서의 이동을 위한 피벗 상에 장착된 쌍안정성 아마추어를 수용하고 있는 하우징을 포함하는 구조의 과부하 계전기를 위한 트립 기구에서 간소화와 신뢰성이 성취된다. 고정 접점은 하우징 내에 위치되어 있고 이동 가능한 접점은 2 개의 안정된 위치들 중 하나를 위한 고정 접점과의 접촉 위치를 위한 이동 그리고 2 개의 안정된 위치들 중 다른 하나를 위한 고정 접점과 관련된 차단 위치로의 이동을 위하여 아마추어에 의해 수용되어 있다. 래치 아암은 래치면을 가지고 있으며 아마추어에 의해 수용되어 있다. 토션 스프링은 하우징 상에 장착되어 있고 래치면을 맞물림하여 2 개의 위치들 중 하나에 아마추어를 유지하기 위한 래치 핑거를 가지고 있다. 래치 핑거를 작동해제하기 위하여 푸시버튼이 제공되어 있다.

Description

과부하 계전기를 위한 트립 기구{Trip Mechanism for an Overload Relay}
과부하 계전기는 통상적으로 산업 시설에서 과도한 전류의 흐름으로 인하여 발생하는 과열에 의한 손상으로부터 전기 장비를 보호하도록 채용되는 전기적인 스위치이다. 통상적인 경우에서, 전기 장비는 3 단계 모터로서 일반적으로 콘택터라 하는 또 하나의 계전기를 통하여 전원에 연결된다. 통상적인 콘택터는 3 단계 전원에 연결된 각각의 회로를 연결 및 차단하기 위한 3 개의 개폐된 전원 경로를 가진 대용량 계전기이다. 접점을 연결 및 차단하는데 요구되는 동작은 코일을 통하여 흐르는 전원에 의해 자기적으로 제공되는데, 이 코일에는 통상적으로 떨어져서 위치된 또 하나의 스위치에 의해 흐름이 제어되는 전류에 의해 전압이 가해진다.
종래의 배열에서는, 과부하 계전기가 콘택터의 코일용 제어 스위치와 직렬로 연결된다. 과부하 계전기에 의해 과부하 상태가 감지될 때, 이것이 콘택터 코일로의 전원을 차단하여서, 콘택터가 차단됨으로써 전원으로부터 콘택터에 의해 제어되는 전기 장비를 연결해제 할 수 있게 하여 전기 장비의 손상을 방지하도록 한다.
과거에는, 과부하 계전기가 각각의 단계에 대해, 스위치를 제어하게 되는 바이메탈 요소와 열전달 상태에 있는 저항 히터를 활용했다. 과부하가 감지되면, 예를 들어, 저항 히터로부터 바이메탈 요소로의 충분한 열 공급이 있을 때, 바이메탈 요소는 콘택터 코일의 전원을 차단시키고 해당 전기 장비를 전원으로부터 연결해제하도록 이의 해당 스위치를 개방한다.
보다 최근에는, 저항 히터-바이메탈 요소 타입 계전기가 전기 과부하 계전기에 의해 대체되었다. 예를 들어, 참조로서 여기에 설명되며, 주줄리(Zuzuly)에게 1993년 1월 12일부로 발행된 미국합중국 특허 5,179,495 호를 보면 알 수 있다. 이러한 회로구성의 출력은 통상적으로 비교적 저전압이며 결과적으로, 출력이 콘택터 코일 전류를 제어하기 위해서는 솔리드 스테이트 스위치가 요구될 수도 있다.
어떠한 경우에서, 과부하 계전기가 트립되면, 차단 상태를 유지하여, 콘텍터로의 전류의 흐름을 방지하며, 수동으로 리셋되어야 한다. 통상적으로, 푸시버튼이 채용되어 장비를 조작하는 조작자가 푸시버튼을 눌러서 시스템을 리셋시킴으로써, 과부하 계전기의 접점을 접속시켜서 다시 콘텍터 코일로 전류를 흐르게 하여, 콘택터 접점을 접속시키며 전기 장비로 전류를 제공한다.
동시에, 해당 규정은 리셋을 목적으로 푸시버튼이 누러졌을지라도 과부하 존재 시 과부하 계전기의 접점을 차단하도록 된 푸시버튼 및 해당 기계요소의 구조를 요구하고 있다. 이것이 전기 장비의 손상을 방지할 것이지만, 과부하 계전기를 리셋하는 과정에서 과부하 상태가 발생 또는 지속되면, 규정의 목적은 푸시버튼을 리셋 위치에 누르고 있거나 고정시키는 것에 의해 정복되지 않는 과부하 계전기 구조를 요구하는 데에 있다. 이러한 특징을 가진 계전기는 "자유 트립" 과부하 계전기로서 알려져 있다.
어떤 경우에서는, 시간의 경과에 따라 사전에 트립을 행하게 한 과부하 상태가 완화되었다는 가정 하에서, 과부하 계전기가 자동 리셋하도록 하는 수단을 제공하는 것이 또한 바람직하다. 이러한 경우에서는, 트립 기구가 주기적으로 제어 회로망으로부터 리셋 신호를 받을 것이며 기계적인 구조는 리셋 푸시버튼 등의 조작 없이 리셋이 자동적으로 이루어지도록 되어야 한다.
점검을 목적으로, 계전기의 상태가 수동으로 개폐될 수 있는 수단을 과부하 계전기에 제공하는 것 또한 바람직하다. 따라서, 과부하 계전기가 리셋 버튼을 조작하거나 또는 실제로 과부하를 경험하지 않고 수동적으로 리셋 또는 트립되는 것이 가능해야 될 것이다.
많은 경우에서, 과부하 계전기에 의해 감지되고 있는 전기 장비로의 전원의 흐름을 일시적으로 차단하도록 사용될 수 있는 수단을 과부하 계전기에 제공하는 것 또한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경제적으로 제작할 수 있는 신뢰성 있는 기계적인 트립 기구에 있어서의 상기된 기능과 특성 및 다른 요소들을 가진 과부하 계전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본 발명은 전기 계전기에 관한 것이며, 보다 상세하게는 과부하 계전기를 위한 트립 기구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자동 리셋 모드에 상응하는 구성으로 요소들이 있는 본 발명에 따라 만들어진 트립 기구에 대한 부분적인 개략 입면도;
도 2는 명확성을 위하여 부품이 분해된 도 1의 유사도;
도 3은 요소들이 자동 리셋 모드에 있는 상태에서 과부하 계전기가 트립하는 동안의 요소들에 대한 도면;
도 4는 자동 리셋 모드에 있는 동안 트립이 발생한 후의 요소 구성을 예시한 도면;
도 5는 수동 리셋 모드에 있는 동안 기구가 리셋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의 요소 구성을 예시한 도면;
도 6은 수동 리셋 모드에서 트립된 상태의 요소에 대한 도면;
도 7은 자동 리셋을 시도하는 동안의 요소 구성을 예시한 도면;
도 8은 수동 리셋 작업 시의 요소 구성을 예시한 도면;
도 9는 수동 리셋이 거의 완료된 상태에서의 요소 구성을 예시한 도면;
도 10은 트립 후에 리셋 푸시버튼이 눌러진 상태에서 요소 구성을 예시한 도면;
도 11은 과부하 계전기에 의해 감지되고 있는 전기 장비의 일시적인 전원차단을 발생하게 하는 작업 시의 요소 구성을 예시한 도면;
도 12는 점검을 목적으로 계전기가 셋 또는 리셋될 때의 요소 구성을 예시한 도면; 그리고
도 13은 계전기를 한 안정된 상태에서 다른 안정된 상태로 전환하는 과정에 수반된 스프링 탄성력을 예시한 그래프이다.
과부하 계전기를 위한 신규의 향상된 트립 기구를 제공하는 것이 주 발명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발명의 목적은 수동 또는 자동 리셋 모드를 통하여 리셋될 수 있으며 당해 분야에 잘 알려진 용어인 "자유 트립"인 기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하나의 목적은 점검의 목적을 위하여 트립 또는 리셋될 수 있으며 수동 조작을 통해 전기 장비로의 전원이 임시적으로 차단될 수 있는 과부하 계전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면에 있어서, 하우징을 포함하는 과부하 계전기용 트립 기구가 제공되는데, 이 하우징은 하우징 내에 2 개의 안정된 위치 사이에서의 피벗 운동을 위하여 피벗에 장착된 쌍안정성 아마추어를 가지고 있다. 고정 접점은 하우징 내에 위치되어 있으며 이동 가능한 접점은 2 개의 안정된 위치들 중 하나를 위한 고정된 접점과 접속되는 위치 그리고 2 개의 안정된 위치들 중 다른 하나를 위한 고정 접점과 상대적인 차단 위치로의 운동을 위하여 아마추어에 의해 수용된다. 래치면을 가지고 있는 래치 아암은 아마추어에 의해 수용된다. 스프링이 하우징 상에 장착되며 래치면과 맞물려서 아마추어를 2 개의 위치들 중 하나에 유지시키기 위한 래치 핑거를 가지고 있다. 래치 핑거를 선택적으로 작동해제하기 위한 수단이 제공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작동해제 수단은 더욱 바람직하게 래치 아암을 향하는 그리고 벗어나는 운동을 위하여 하우징에 왕복운동 가능하게 장착된 푸시버튼의 형태인 수동 조작기를 포함하고 있다.
일 실시예에서는, 멈춤쇠가 하우징에 위치되며 푸시버튼에 의해 선택적으로 맞물림 가능하여 래치 핑거를 작동해제시키는 위치에 푸시버튼을 고정할 수 있게 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추가적인 스프링은 래치 아암에 의해 수용되며 아마추어가 이에 대한 하나의 위치에 있을 때 푸시버튼의 왕복운동 경로 내로 이동 가능한 리셋 핑거를 가지고 있다. 푸시버튼은 더하여, 리셋 핑거를 바라보는 멈춤면을 포함하고 있으며, 리셋의 목적을 위하여 핑거로 하여금 아마추어와 래치 아암을 2 개의 위치들 중 다른 하나로 밀도록 푸시버튼이 왕복 운동될 때 리셋 핑거에 의해 멈춤면은 맞물림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에 따라, 하우징, 하우징에서 2 개의 위치 사이에서의 피벗 운동을 위하여 피벗 상에 있는 길다란 아마추어 그리고 피벗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에서 아마추어의 한 쪽으로부터 뻗어 있는 포스트를 포함한 과부하 계전기를 위한 트립 기구가 제공된다. 포스트 상에는 지점부가 위치되고 길다란 접촉바아가 접촉바아의 단부들 중간지점에서 장착된다. 스프링이 아마추어에 의해 수용되어 접촉바아를 지점부에 대항하여 가압 하는 한편 하우징에는 2 개의 위치들 중 하나를 위하여 접촉바아에 의해 브리지되는 위치로 그리고 2 개의 위치들 중 다른 하나를 위하여 접촉바아로부터 이격되게 서로 떨어진 고정 접점의 한 쌍이 장착된다. 이러한 구성은 접점의 차단과 접속이 접점의 와이핑 작용을 결과하는데, 이것은 저전압 그리고/또는 저전류 값에서의 원활한 전도를 성취하기에 특히 바람직하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접촉 레벨링 리브는 아마추어가 2 개 위치의 다른 위치에 있을 때 접촉바아를 접촉하기 위하여 그리고 접촉바아를 고정 접점과 평행하게 유지하기 위하여 하우징 상에 위치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면에 따라, 하우징, 하우징에서 2 개의 위치 사이에서의 이동을 위하여 장착된 아마추어, 하우징 상의 고정 접점, 고정 접점을 향하는 그리고 벗어나는 이동을 위해 아마추어에 의해 수용되는 이동 가능한 접점을 포함한 과부하 계전기를 위한 트립 기구가 제공된다. 이동 가능한 레버가 아마추어와 연관되어 아마추어를 적어도 2 개 위치들 중 하나로부터 2 개 위치의 다른 하나로 이동하게 하도록 조작할 수 있다. 레버를 향하게 그리고 벗어나게 이동 가능한 요소를 포함하고 있는 조작기가 레버를 위하여 제공된다. 스프링 핑거가 레버 또는 조작기 중 하나에 의해 수용되어 그 곳으로부터 예리한 각도로 또 하나의 레버 그리고 조작기를 향하여 뻗는다. 멈춤면이 또 하나의 레버 그리고 조작기 상에 위치되며 아마추어가 하나의 위치에 있고 조작기가 레버를 향하여 이동되었을 때 스프링 핑거에 의해 맞물림되도록 멈춤면은 위치 결정된다. 멈춤면은 아마추어가 2 개의 위치들 중 다른 위치로 이동되었을 때 스프링 핑거를 맞물림 해제하고 풀어준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스프링은, 포스트에 코일이 장착되어 코일로부터 스프링 핑거가 뻗고 있는 토션 스프링이다.
매우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포스트는 레버 상에 있고 멈춤면은 조작기 상에 있는데, 이것은 수동 조작기인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수동 조작기가 하우징에 왕복운동 가능하게 장착된 푸시버튼이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푸시버튼은 추가적으로 하우징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고 더하여 자동 리셋 모드에 영향을 미치도록 레버에 대하여 바람직한 위치에 푸시버튼을 고정하기 위하여 이를 회전시킴으로써 맞물림 가능한 멈춤쇠를 포함하고 있다.
매우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래치면이 레버 상에 위치되고 제 2 토션 스프링은 하우징 상에 장착된 코일을 가지고 있는데, 이 코일은 아마추어가 하나의 위치에 있을 때 래치면을 걸리게 맞물림하도록 래치면을 향하여 코일로부터 뻗은 래치 핑거를 가지고 있다. 푸시버튼이 레버를 향하여 이동될 때와 스프링 핑거가 멈춤면에 접촉되기 전에 래치면으로부터 래치 핑거를 맞물림 해제하기 위하여 푸시버튼은 배치되어 있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목적과 장점은 하기될 설명에 제시될 것이며, 이것은 설명에 의해 분명해지거나 본 발명의 실제를 통하여 습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과 장점은 첨부된 청구의 범위에서 상세히 강조된 유용한 수단과 결합의 수단으로 인정될 수 있으며 얻어질 수 있다.
상세 설명에 포함되며 이를 부분적으로 구성하는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현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고 있으며, 상기된 전체적인 설명과 하기될 바람직한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원리를 설명하는 역할을 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과부하 계전기는 리셋 위치로 도시되는데, 이 과부하 계전기는, 전체적으로 12로 지정되며 통상 차단된 제 1 세트의 고정 접점과 전체적으로 14로 지정되며 통상 접속된 세트의 고정 접점을 장착하고 있는 전체적으로 10으로 지정된 하우징을 포함하고 있다. 하우징은 전체적으로 18로 지정된 길다란 쌍안정성 아마추어가 그 위에서 피벗 운동을 하게 하는 피벗 핀(16)을 포함하고 있다. 아마추어(18)는, 각각이 고정 접점(12,14)과 상호작용하는 전체적으로 20으로 지정된 제 1 세트의 이동 가능한 접점과 전체적으로 22로 지정된 제 2 세트의 이동 가능한 접점을 수용하고 있다.
전체적으로 24로 지정된 래치 레버는 아마추어(18)와 함께 이동 가능하도록 연결되어서 이에 따라 아마추어(18)의 2 개 안정된 위치 사이를 피벗(16)에 대하여 요동한다.
하우징은 전체적으로 26으로 지정된 수동 조작기를 장착하는데, 이 수동 조작기는 푸시버튼(28)과 종속하는 섕크(30)를 포함한다. 이것은 하우징(10) 내에서 통상적으로 래치 레버(24)를 향하는 그리고 벗어나는 왕복 운동을 위하여 장착된다. 전체적으로 32로 지정된 수동 멈춤 조작기는 또한 하우징(10) 내에 왕복 운동하도록 장착되며 특정한 조건하에서 통상 접속된 접점(14,22)을 차단하도록 조작 가능한 상부 푸시버튼(34)과 하부 섕크(36)를 포함한다.
고정 접점(12)은 2 개의 전기적 그리고 물리적으로 이격된 접점(38,40)을 포함하고 있다. 접점(38,40)은 길다란 접촉바아(42)에 의해 브리지되기에 적합하게 되어 있다. 접촉바아(42)는 아마추어(18)와 동일한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으며 중간지점에서 느슨하게 포스트(44) 상에 장착되어 있는데, 이 포스트(44)는 아마추어(18)의 연장 방향으로부터 횡단 방향 그리고 피벗(16)의 한 쪽으로 뻗고 있다. 포스트(44)는 이의 상단부에 인접하게 접촉바아(42)를 위한 지점부의 역할을 하는 크로스 부재(46)를 포함한다. 아마추어(18)에 의해 수용된 스프링(48)은 지점부(46)를 대항하여 접촉바아(42)를 가압되게 한다.
통상 접속된 접점(14,22)은, 전기적 그리고 물리적으로 이격된 고정 접점(52,54) 한 쌍을 브리지하기에 적합하게 된 길다란 접촉바아(50)를 포함한 동일 요소를 포함한다. 접촉바아(50)는 아마추어(18) 상에서 포스트(56)에 의해 수용되며 크로스 부재(50)를 위한 지점부를 또한 구획형성하는 크로스 맴버(60)에 대항하여 스프링(58)에 의해 가압되게 된다. 크로스 부재(46,60)는 이들 각각의 접점(42,50)을 접점(42,50)들의 중앙 지점에서 접촉하는 것을 볼 수 있을 것이다.
아마추어(18)는 제 1 자극편(62)과 평행하며 이격된 제 2 자극편(64)을 포함한다. 자극편(62,64)은 피벗(16)과 2 개의 영구자석(66)을 샌드위치한다. 영구자석(66)은 단일 구조일 수도 있다. 편리상, 이것은 피벗(16)을 수용하기 위한 2 개의 별개의 자석으로 도시되어 있다.
하우징(10)은 자극편(62,64) 사이에 위치된 레그(72,74)를 가진 납작한 U자형 요크 또는 자극편(70)을 장착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빈(76)은 자극편(70)의 중간지점(78)에 주위에 배치되어 있고 전기 코일을 형성하기 위하여 여기에 전도체(80)가 감겨진다. 어떤 경우에서는, 보빈(76)에 단일 코일이 감겨지는 한편, 다른 경우에서는, 2 개의 별도의 전기 코일이 하나가 다른 하나의 위에 놓여져서 감겨진다. 특정한 배열은 전자회로구성의 제어 모드에 따른다. 제어 모드가 계전기의 상태를 다른 상태로 전환하기 위하여 코일(80)을 통한 전류의 흐름을 역전하면, 단일 코일의 사용이 필요하다. 반대로, 제어 모드가 전류의 흐름을 역전하지 않고, 한 코일에서 다른 코일로 전환한다면, 서로 반대로 감긴 2 개의 코일이 전도체(80)로 채용될 것이다.
래치 레버(24)는 도 1 및 도 4에서 도시된 위치 사이에 있는 아마추어(18)와 함께 하우징 내에서 이동 가능하다. 이의 상단부에는, 하우징(10)에 있는 개구(도시되지 않음)의 틀을 잡는 길다란 노치(82)를 포함하고 있다. 드라이버의 끝날과 같은 공구가 개구를 통하여 맞춤 되어 노치(82)내로 삽입될 수 있어서 점검을 목적으로 수동적으로 레버(24)를 도 1 및 도 4에 도시된 위치 사이에서 이동시키기 위한 인력을 가할 수 있다.
노치(82)의 바로 밑에는, 2 개의 인접하는 면(84,86)에 의해 구획형성되는 래치면이 제공된다. 래치면(84,86)의 기반에는 스프링 걸이 핑거(88)가 있는데, 이 핑거(88)는 하기될 특정한 조건하에서 래치면(84,86)의 표면(86)을 수용하기에 적합하게된 위로 굽은 단부(90)를 가지고 있다. 래치 핑거(88)는 하우징(10) 내의 포켓 내에 있거나 포스트(96) 상에 장착되며 전체적으로 94로 지정된 토션 스프링의 코일(92)로부터 뻗고 있다. 대안적으로, 스프링(94)은 래치 레버 상에 그리고 하우징(10) 상에 위치된 래치면(84,86) 상에 장착될 수도 있다.
래치 핑거(88)와 마주하는 코일(92)의 단부(98)는 하우징(10)에 대항하여 접하고 있어서 포스트(96) 상에 있는 코일(92)의 회전을 방지한다. 래치 핑거(88)는 아마추어(18)의 2 개 안정된 위치들 중 하나에서 래치 레버(24)를 걸고 있을 수 있다. 이러한 현상은 예를 들어 도 6 및 도 7에 예시되어 있다.
래치 레버(24)는 또한 피벗(16)과 평행한 포스트(102)에 인접한 납작한 대각 돌출부(100)를 수용하고 있다. 전체적으로 104로 지정된 제 2 토션 스프링이 포스트(102) 상에 장착되며 포스트(102)에 대한 토션 스프링 코일(108)의 회전을 방지하도록 돌출부(100)에 고정된 한 개의 단부(106)를 포함하고 있다. 토션 스프링(104)의 반대 쪽 단부(110)는 리셋 핑거의 역할을 하며 푸시버튼(26)의 방향으로 돌출부(100)의 단부를 지나 예각으로 대각으로 뻗고 있다. 이러한 연결에 있어서, 푸시버튼(26)의 섕크(30)는 노치(112)를 포함하고 있는데, 이 노치(112)는 멈춤면의 역할을 하며 리셋 핑거(110)와 상호작용하여서 래치 레버(24)를 도 4에 예시된 위치에서, 즉 트립된 위치에서 도 1에 예시된 리셋 위치로 이동시킨다.
푸시버튼(26)의 하단부는 가압 스프링(116)이 접하고 있는 렛지(114)를 포함하고 있다. 가압 스프링(116)은 상향 가압을 제공하여서 푸시버튼(26)을 예를 들어 도 5에 예시된 위치로 가압되게 한다.
섕크(30)의 바로 위에 위치한 조작기(26)의 푸시버튼(28)은 도 2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바깥쪽으로 뻗고 있는 돌출부인 렛지(120)를 포함한다. 동시에, 하우징(10)은 유지면(122)을 가진 제 1 노치와 멈춤면(124)을 가진 제 2 노치를 포함하고 있다. 도 2에 예시된 바와 같이, 유지면(122)은 멈춤면(124)보다 위 그리고 앞쪽으로 있다. 예를 들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렛지(120)는 하우징(10) 내에 수동 조작기(26)를 고정시키기 위하여 유지면(122)을 접하고 있을 수 있다.
바람직하게, 렛지(120)를 제외하고, 조작기(26)는 원통형으로 만들어져서 하우징(10) 내에서 회전 및 왕복 운동 가능하게 된다. 결과적으로, 조작기(26)가 도 1에 예시된 위치로 눌러졌을 때, 예를 들어 조작기(26)는 멈춤면(124)을 받치고 있게 되는 상태로 렛지(120)를 가져오도록 회전될 수 있다. 이러한 위치에서, 조작기(26)는 이의 최하단 위치에 유지되며, 이것은 자동 리셋 모드에 상응한다.
특별히 관찰될 바는, 예를 들어 도 1 및 도 2에 도시되는, 자동 리셋 모드에 있어서, 렛지(120)는 래치 핑거(88)의 상단부(90)를 맞닿음 하고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것은 래치 핑거(88)를 래치 아암(24) 상에 있는 래치면(84)과 맞물림 상태에서 해제되도록 고정하고 있다.
멈춤 조작기(32)는, 상기된 바와 같이, 하우징(10)으로부터 뻗고 있는 푸시버튼(34) 그리고 이에 종속하고 있으며 접촉바아(50)의 단부 위쪽으로 있는 하단부(130)를 가진 섕크(36)를 포함하고 있다. 가압 스프링(132)이 멈춤 조작기(32)를 도 1에 도시된 위치로 가압되게 한다. 하지만, 통상 접속된 접점(14,22) 세트의 접촉바아(50)와 맞닿음 상태로 단부(130)에 가져와서 스프링(132)에 의해 제공되는 강압과 대항하도록 푸시버튼(34)이 억압될 수 있는 것이 인정될 것이다. 이것이 발생하면, 접촉바아(50)는 접점(54)과 분리될 수 있어서 해당 회로를 단절시킬 수 있다. 이러한 것이 발생할 때의 요소들의 물리적인 배열은 도 11에 예시되어 있다.
조립체의 물리적인 구조는 각각의 접촉바아(42,50)에 대한 제 1 및 제 2 접촉 레벨링 리브(134,136)에 의해 완성된다. 레벨링 리브(134)는 하우징(10)에 배치되어 아마추어(18)를 향하여 안쪽으로 뻗고 있어서, 피벗(16)으로부터 가장 멀리 떨어진 해당 접촉바아(42)의 단부의 기반을 이룬다. 레벨링 리브(134,136)는, 이들의 대응하는 접촉바아(42,50)가 해당 고정 접점(12,14) 세트에 대하여 차단 위치에 있을 때, 접촉바아(42) 또는 접촉바아(50)가 차단 위치에서 2 개 접점(접점 12의 경우에서는 38,40 그리고 접점 14의 경우에서는 52,54) 사이의 가상선과 평행하게 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이러한 관계는 예를 들어, 접촉바아(42)에 대하여 도 1에 도시되어 있고 접촉바아(50)에 대하여 도 4에 도시되어 있다. 이러한 구조의 목적과 얻어지는 장점은 하기에 설명될 것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기구는 자동 리셋 모드로 설정된 상태로 리셋 위치에서 도시되고 있다. 접촉바아(50)가 통상 접촉된 고정 접점(52,54)을 브리지한 상태에서 아마추어(18)는 안정된 2 개 위치들 중 하나(제 1 위치)에 위치하고 있다. 통상적으로, 고정 접점(52,54)은 과부하 계전기에 의해 감지될 전기 장비를 제어하는 콘택터와 직렬로 위치될 것이다.
현재의 상태에서는, 접촉바아(42)가 고정 접점 조립체(12)의 접점(38,40)으로부터 이격되어 있다. 이러한 접점의 세트는, 접촉바아(42)가 트립 위치에 상응하는 아마추어(18)의 또 다른 안정된 위치(제 2 위치)를 위한 접점(38,40)을 브리지할 것이기 때문에, 예를 들어, 계전기가 트립되었다는 것을 알리기 위한 지시등 따위를 작동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도 3은 자동 리셋 모드로 구성되었을 때, 트립하는 과정에서의 요소 구성을 예시하고 있다. 쉽게 인정될 바와 같이, 아마추어는 불안정 모드에 있는데, 이 모드는 아마추어가 이의 2 개 안정된 위치 사이의 중간에 위치 즉, 자극편(62,64)이 요크(70)의 레그로부터 동등하게 이격된 위치에 있는 것이다. 이러한 상태는 아마추어(18)를 도 1 및 도 2에 예시된 위치에서 도 4에 예시된 위치로 전환할 수 있게 하는 자기력을 요크(70)에 생성하도록 전도체(80)에 위치되는 제어 신호에 의해 발생된다.
따라서, 도 4는 기구가 트립된 상태에서의 요소 구성을 도시하고 있다. 이러한 경우에서, 기구는 자동 리셋 모드 상태에 있도록 구성된 것이다.
접촉바아(50)는 더 이상 접점(52,54)을 브리지하고 있지 않아서, 계전기에 의해 감지되는 전기 장비를 위한 콘택터의 제어 회로가 전원 차단 상태로 되는 것을 가능하게 하여, 이에 따라 전원의 흐름을 차단할 수 있다. 동시에, 접촉바아(42)는 접점(38,40)에 대항하여 접속되어 있어서, 상기된 바와 같이 과부하 계전기가 트립되었다는 것을 나타내는 지시등 따위를 위한 회로를 완성하도록 사용될 수 있다. 현재 상태에서 특별히 관찰되는 바는, 푸시버튼 조작기(26) 상의 돌출부(120)가 래치 아암(24) 상의 래치면(84,86)과의 접속 상태로 이동하는 것으로부터 래치 핑거(88)의 상단부(90)를 막고 있다. 결과적으로, 처음에 요크(70)에 적용된 자기장을 역전하기 위하여 리셋 펄스 신호가 코일(80)에 작용되면, 래치 핑거(88)는, 결과적인 자기력이 도 1에 예시된 구성으로 요소들을 복귀시키는 것을 방지하지 않을 것이며 이러한 구성은 리셋 위치라 재명명될 것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수동 리셋 모드를 위한 여러 가지 요소들의 리셋 위치가 예시되어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는, 푸시버튼 조작기(26)가 회전되어서 조작기 상에 있는 돌출부(120)가 멈춤면(124) 밑에 있지 않고 유지면(122) 위에 놓이게 된다. 래치 핑거의 상단부(88)는 래치면(84,86)의 일부분을 형성하는 면(84)과 맞닿음 상태에 있다. 아마추어(18)를 피벗(16)에 대하여 시계 방향으로 구동하도록 트립 신호가 전도체(80)로 제공되면(도 2), 래치 아암(24)은 시계 방향으로 요동할 것이고 래치 핑거(88)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래치면(84,86)을 대항하여 걸어서 아마추어(18)를 트립된 위치에 고정시킬 것이다. 현재의 상태에서 전도체(80)로 리셋 펄스 신호가 작용하는 경우(도 2)에는, 리셋을 시도하는 것은 래치 핑거(88)가 반시계 방향으로의 래치 아암(24) 이동을 방지하고 있다는 사실에 의해 실패한다. 도 6과 도 7의 비교로 알 수 있듯이 아마추어(18)가 안정된 트립 위치로부터 조금 움직일 수는 있지만 래치 핑거(88)에 의해 제공되는 억제력 때문에 더 이상 움직일 수 없게 된다. 이것이 이루어지는 동안, 접점의 상태는 변하지 않는다. 결과적으로, 전도체(80)로부터 자동 리셋 펄스 신호가 제거될 때, 영구 자석(66)에 의해 생기는 자기장은 요소들로 하여금 도 6에 예시된 위치로 복귀하게 한다.
도 8은 수동 리셋 작업을 예시하고 있다. 여기에서, 래치 핑거(88)의 상단부(90)는 횡방향 연장부(도시되지 않음)를 포함하여서, 래치 핑거(88)가 래치면(86)과 맞물릴 뿐만 아니라, 상기된 바와 같이 렛지(120)의 기반이 되기 위해서 래치면(86)을 지나서 뻗을 수도 있다. 결과적으로, 푸시버튼 조작기(26)에 가해지는 누르는 힘은 일차적으로 래치 핑거(88)로 하여금 도 8에 예시된 위치 즉, 래치면(84,86)으로부터 걸림 해제된 위치로 이동하게 한다. 배열은, 래치 핑거(84,86)가 래치면(84,86)에 걸림 해제되는 순간, 푸시버튼 조작기(26)의 섕크(30)에 있는 노치(112)가 토션 스프링(104)의 리셋 핑거(110)와 맞물리도록 되는 방식으로 되어 있다. 계속되는 푸시버튼 조작기(26)의 눌림은 아마추어(18)가 도 9에 예시된 위치로 요소들을 이동하도록 하는데, 여기에서 아마추어(18)는 리셋 상태에 상응하는 안정된 위치를 향하여 중간 지점을 너머 이동된 상태이다. 이 때, 영구 자석(66)에 의해 제공된 자기력은 아마추어(18)를 안정된 리셋 위치로 이동시키기에 충분하다.
이것은 리셋 핑거(110)가 푸시버튼(26)을 비스듬하게 향하여 상향으로 뻗고 있다는 사실 때문에, 노치(112)와 리셋 핑거(110)의 맞물림의 결과에 의하여 발생하는 것으로 관찰된다. 특히, 푸시버튼(26)이 하향으로 이동됨에 따라, 리셋 핑거(110)는 포스트(102)에 대하여 시계방향으로 움직이면서 이의 유효한 길이를 증가시킨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푸시버튼 조작기(26)가 고정된 수직 경로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리셋 핑거(110)의 유효 길이를 증가시키는 것은 래치 아암(24)을 피벗(16)에 대하여 반시계방향으로 움직이게 하는 역할을 할 수 밖에 없으므로, 이에 의해 아마추어(18)를 중앙을 지나 이의 2 개 안정된 위치들 중 하나인 리셋 위치을 향하여 이동시킨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아마추어(18)는 이의 안정된 리셋 위치에 끝까지 도달하지 못한 상태이다. 하지만, 자석(66)이 인계 받아 아마추어(18)를 계속 해당 방향으로 이동시킴에 따라, 래치 아암(24)이 계속 포스트(102)와 더불어 반시계방향으로 이동할 것이라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이것은 결과적으로 토션 스프링(104)을 반시계 방향으로 이동시킬 것이며, 결국 리셋 핑거(112)가 노치(112)에서 빠지게 되는 것을 초래한다. 현재의 상태에서, 리셋 핑거(112)는 상향으로 빠르게 움직여 돌출부(100)에 대항하게 멈출 수 있으며 요소들은 전체적으로 도 5의 구성을 취할 것이다.
트립 기구의 자유 트립 모드의 조작을 예시하기 위한 도 5 및 도 6을 참조한다. 푸시버튼(26)이 기구를 정복하기 위한 목적으로 누른 상태로 유지되거나 고정되면, 아마추어(18)가 안정된 리셋 위치에 있을 때, 섕크(30) 상에 있는 멈춤면을 구획형성하는 노치(112)가 리셋 핑거(110)의 단부 밑에 있게 하는 상태로 푸시버튼(26)이 이동된다. 결과적으로, 전도체(80)(도 2)에 트립 펄스 신호가 제공되면, 리셋 핑거(110)는 노치(112)와 맞물릴 수 없고 단지 도 10에 예시된 바와 같이 섕크(30)의 측면에 기대어 놓이게 되는데, 이 때의 상태는, 모두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아마추어(18)가 통상 접속된 고정 접점(14)을 차단하고 통상 차단된 접점(12)을 접속시킴으로써 트립을 야기하도록 충분히 이동한 상태이다. 이 때, 150으로 지시된 바와 같이, 섕크(30)와 리셋 핑거(110) 사이에서의 방해로 인하여 원하는 목적지에 모자라게 멈춤 되지 않는 트립된 위치로의 래치 아암(24) 이동을 보장하기 위하여 섕크(30)의 측면에 작은 언더컷을 위치시키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상기된 바와 같이, 멈춤 조작기(32)는, 이의 하단부(130)를 계전기의 통상 접속된 회로의 일부를 형성하고 있는 접촉바아(50)와 접촉 상태로 되게 하여서 잠시 이를 차단하도록 수동으로 억압될 수 있다. 이것은 도 11에 예시되어 있다.
도 1 및 도 12를 참조하면, 노치(82)에 위치시킨 공구의 사용을 통해서, 자석(66)에 의해 제공되는 자기력을 제외하고는 래치 아암(24)의 시계방향 운동을 저항하는 어떠한 것도 없을 때, 기구는 도 1에 예시된 리셋 위치로부터 트립된 위치로 전환될 수 있는 것이 쉽게 인정될 것이다. 반대로, 점검의 목적으로 아마추어(18)를 안정된 위치에서 리셋 위치를 향한 트립된 위치로 이동시킬 때에는, 래치 핑거(88)가 래치면(84,86)과 맞물려 있는 것의 결과로 저항이 발생될 수 있다. 하지만, 래치 핑거(88)가 일부인 토션 스프링(94)이, 반도체 제어 회로구성에 의해 기구를 위한 저전류, 저전압 펄스 신호가 작용될 때에는 전환을 저항할 만큼 강한 한편, 드라이버의 끝날 등에 의하여 노치(82)에 작용하는 수동적으로 가하진 힘을 저항할 만큼 충분하지 않다는 것이 인정될 것이다. 따라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프링 핑거(88)는 이러한 힘에 반응하여 굽을 수 있고 아마추어(18)로 하여금 리셋 위치로 복귀할 수 있도록 래치면(86,88)에서 미끄러져 나올 수 있다.
상기된 바로부터 다수의 기능이 얻어진다. 그 중 하나는, 조작에 있어서의 바람직한 수동 리셋, 자동 리셋 그리고 자유 트립 모드들이 계전기에 의해 제공된다. 추가적으로, 계전기는 스프링 핑거(88)의 존재에도 불구하고, 아마추어(18)를 이의 2 개 안정된 위치 사이에서 이동시킴으로써 수동으로 계전기를 점검하는 수단과 더불어 멈춤 기능을 제공한다.
중요하게, 회전운동 가능하게 장착된 아마추어(18) 그리고 크로스 부재(46,60)에 의해 구획형성된 지점부와 연결된 접촉바아(42,50)의 특유한 배열은, 접점이 서로에 대해 멀고 가까워짐으로써 차단과 접속을 행하게 할뿐만 아니라 차단과 접속시 접촉바아(42,50)의 접점이 고정 접점의 한 쌍(12,14)에 대하여 횡단 이동을 할 때, 와이핑 작용을 제공한다. 이것은 저전압, 저전류 상황에서도 양호한 전기 접촉을 보장한다.
더하여, 접촉바아(42,50) 그리고 각각의 포스트(44,46)와 더불어 가압 스프링(48,58)의 특유한 구성은 아마추어(18)를 이의 2 개 안정된 위치 사이에서 이동시키는데 요구되는 전력을 감소시킨다. 보다 상세하게, 접속된 접점의 세트에서의 스프링 탄성력은 계전기를 한 안정된 위치에서 다른 안정된 위치로 전환하도록 전도체(80)(도 2)에 의해 제공되는 힘에 추가적인 힘을 제공한다. 또한, 차단된 접촉바아(42 또는 50)가 해당 레벨링 리브(134,136)에 대하여 대항하게 밑으로 밀쳐졌을 때, 이의 스프링 탄성력도 역시 요구되는 전력을 감소시키도록 코일(80)을 통하여 흐르는 전류에 의해 제공되는 자기력을 돕는다.
도 13은 접점과 레벨링 리브의 특유한 구성의 장점을 예시하는 힘 다이어그램이다. 선(200)은 중앙 위치에 대한 아마추어의 각도에 따라 아마추어(18)를 이의 2 개 안정된 위치에서 다른 위치로 이동시키는데 요구되는 자기력을 그리고 있다. 중앙 위치에서는 요구되는 토크가 영이다.
선(202)은 해당 지점부을 향하여 접촉바아들 중 하나를 가압 하는 스프링의 압축에서 결과되는 자기력과 대항하여 작용하는 힘을 그리고 있다. 예를 들어, 도 1을 참고하면, 선(202)은 접촉바아(50)에 대항한 코일 스프링(58)의 압축에 의해 시스템에 가해지는 힘을 도시하고 있다.
또 하나의 선(204)은 해당 레벨링 리브에 대항하여 위치를 잡는 차단된 접촉바아에서 결과하는 자기력과 대항하고 있는 힘의 작용을 예시하고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이것은 접촉바아(44)와 레벨링 리브(134)의 접촉일 것이다.
선(200,202,204)에 의해 상징되는 합력은 206에서 도시되고 있다. 합력이 시스템의 자기력을 이겨내는데 요구되는 힘보다 두드러지게 작은 것이 쉽게 인정될 것이다. 이것은 수반된 유일한 힘이 시스템의 자기력에 관한 부분만일 때의 경우보다 시스템을 운영하는데 있어서의 두드러지게 낮은 전력의 요구로 해석된다. 이것은, 상기 주줄리(Zuzuly)에게 주어진 특허에서 개시된 것과 같은 자체전원 과부하 계전기 시스템에서는 축전기 등에 전력을 축적할 기회가 희박한 때인 작동개시에서도, 상기 특유한 구성으로 인한 매우 낮은 전원 요구조건 때문에 계전기를 트립할 충분한 전력이 있을 것을 의미한다. 당해 분야의 종사자는 이것이 중요한 특징이라는 것을 쉽게 인정할 것인데, 이것은, 특히 감지되는 전기 장비가 모터일 경우에 그러한데, 모터가 작동개시에서 움직이지 못하도록 되어 있어서 전기 장비의 작동 순서의 초기부터 바람직하지 않은 과부하가 자주 존재할 것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전기 장비를 위한 보호가 최대화 되어서, 작동개시에서의 과부하에 대해서도 적절한 보호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장점과 변경은 당해 분야의 종사자에게 쉽게 나타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광대한 양태는 설명되고 도시된 상세 설명과 상징적인 기구에 제한되어 있지 않다. 따라서, 첨부된 청구의 범위에 의해 정의된 전체적인 발명의 개념의 정신 또는 범주로부터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양한 변경들이 이루어질 수 있다.

Claims (28)

  1. 과부하 계전기를 위한 트립 기구에 있어서,
    하우징;
    2 개의 안정된 위치 사이에서의 피벗 운동을 위해 상기 하우징에서 피벗부 상에 장착되어 있는 쌍안정성 아마추어;
    하우징 내에 있는 고정 접점;
    상기 2 개의 안정된 위치들 중 하나를 위한 상기 고정 접점과 접속되는 위치로의 이동을 위하여 그리고 상기 2 개의 안정된 위치들 중 다른 하나를 위한 상기 고정 접점과 관련된 차단 위치로의 이동을 위하여 상기 아마추어에 의해 수용된 이동 가능한 접점;
    상기 아마추어와 상기 하우징 중 하나에 의해 수용되는 래치면; 그리고
    상기 아마추어와 상기 하우징 중 다른 하나 상에 장착되고 그리고 상기 래치면과 맞물려서 상기 아마추어를 상기 2 개의 위치 중 하나에 유지시키기 위한 래치 핑거를 가진 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립 기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래치면이 상기 아마추어에 의해 수용된 래치 아암 상에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립 기구.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래치 아암을 작동 해제시키는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립 기구.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 해제 수단이 수동 조작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립 기구.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수동 조작기가 상기 래치 아암을 향하는 그리고 상기 래치 아암에서 떨어지는 이동을 위하여 상기 하우징 상에 왕복운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푸시버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립 기구.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푸시버튼에 의해 선택적으로 맞물림 가능하여서 상기 래치 핑거를 작동해제시키는 위치에 상기 푸시버튼을 유지시키는 상기 하우징의 멈춤쇠, 그리고 상기 푸시버튼을 상기 작동해제 위치로부터 떨어지게 가압 하는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립 기구.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푸시버튼이 추가적으로 회전 가능하게 상기 하우징에 의해 장착되어 상기 멈춤쇠와 맞물리도록 그리고 맞물림해제 되도록 회전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립 기구.
  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래치 아암에 의해 수용되며 상기 아마추어가 상기 하나의 위치에 있을 때 상기 푸시버튼의 왕복운동의 경로 내로 이동 가능한 리셋 핑거를 가진 추가적인 스프링을 더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푸시버튼이 왕복운동될 때 상기 핑거로 하여금 상기 래치 아암과 상기 아마추어를 상기 2 개의 위치들 중 다른 하나의 위치로 밀도록 상기 리셋 핑거에 의해 맞물림되고 그리고 면하고 있는 멈춤면을 상기 푸시버튼이 더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립 기구.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래치 아암이 상기 피벗과 전체적으로 평행하지만 상기 피벗과 이격되어 있는 포스트를 수용하고 그리고 상기 추가적인 스프링이 상기 포스트에 배치된 코일을 포함하는 토션 스프링이며, 상기 핑거가 상기 푸시버튼의 왕복운동의 경로에 대한 예각으로 상기 코일로부터 상기 푸시버튼을 향하여 뻗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립 기구.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푸시버튼이 길다란 섕크를 포함하며 상기 멈춤면이 상기 섕크 내에 있는 노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립 기구.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아마추어가 길다란 형상이며 상기 아마추어의 연장방향에 횡단방향으로 뻗어 있는 길다란 접점장착용 포스트, 상기 아마추어와 평행한 길다란 접촉바아를 포함하는 상기 이동 가능한 접점, 상기 포스트 상의 지점부 그리고 상기 아마추어에 의해 수용되어 상기 지점부과 맞물림 상태로 상기 접촉바아를 고정하는 가압 스프링을 포함하고 있으며, 이로 인해 상기 고정 그리고 이동 가능한 접점들 사이의 상대 운동이 와이핑 작용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립 기구.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접점이 상기 접촉바아에 의해 브리지되기에 적합하게 된 2 개의 이격된 접점을 포함하고 있으며, 그리고 상기 하우징 상에 장착되어 상기 고정 접점으로부터 떨어지게 상기 접촉바아를 이동시키도록 상기 아마추어가 피벗 운동을 할 때 이동을 제한하기 위하여 상기 접촉바아의 단부에 의해 접촉되기에 적합하게 된 접촉 레벨링 리브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립 기구.
  13. 과부하 계전기를 위한 트립 기구에 있어서,
    하우징;
    2 개의 위치 사이의 피벗 운동을 위하여 상기 하우징의 피벗 상에 있는 길다란 아마추어;
    상기 피벗으로부터 이격되어 있는 위치에서 상기 아마추어의 한 쪽으로부터 뻗고 있는 포스트;
    상기 포스트 상에 있는 지점부;
    상기 포스트 상에 중간지점에서 장착되는 길다란 접촉바아;
    상기 아마추어에 의해 수용되고 상기 접촉바아를 상기 지점부에 대항하도록 가압하는 스프링;
    상기 하우징에 장착되며 상기 2 개 위치들 중 하나를 위하여 상기 접촉바아에 의해 브리지되도록 그리고 상기 2 개 위치들 중 다른 한 위치를 위하여 상기 접촉바아로부터 이격되도록 위치 결정되는 한 쌍의 이격된 고정 접점; 그리고
    상기 하우징에 있으며 상기 아마추어가 상기 2 개 위치들 중 상기 다른 한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접촉바아를 접촉하기 위한 접촉 레벨링 리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트립 기구.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레벨링 리브는 접촉바아의 측면에서 상기 피벗으로부터 멀리 있는 지점부 쪽으로 접촉바아를 접촉하도록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립 기구.
  15.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레벨링 리브가 상기 접촉바아와 상기 아마추어 사이에 위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립 기구.
  16.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아마추어가 이의 중간지점에서 피벗 되며 2 개의 상기 포스트 및 지점부가 상기 피벗의 각각의 측에 1 개씩 있으며; 2 개의 상기 접촉바아가 각각의 포스트를 위하여 1 개씩 있으며; 2 개의 상기 가압하는 스프링이 각각의 접촉바아를 위하여 1 개씩 있으며; 2 개의 상기 고정 접점의 한 쌍이 각각의 접촉바아를 위하여 1 개씩 있으며; 그리고 2 개의 상기 레벨링 리브가 각각의 접촉바아를 위하여 1 개씩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립 기구.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아마추어가 쌍안정성 자기 아마추어이며, 그리고 래치면을 가지고 있고 상기 피벗에 대한 요동 운동을 위하여 상기 아마추어에 의해 수용되는 래치 아암; 상기 하우징 상에 장착되고 상기 2 개 위치들 중 하나에 상기 아마추어를 유지하고 상기 래치면을 맞물기 위한 래치 핑거를 가지고 있는 토션 스프링; 상기 래치 핑거를 작동 해제하기 위한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립 기구.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래치 아암이 상기 2 개 위치들 사이로 상기 아마추어를 이동시키는 수동적으로 가해진 힘을 받기 위하여 작용력 수용면을 가지고 있으며, 상기 래치 핑거가 상기 래치 아암을 풀도록 수동적으로 가해진 힘에 의해 쉽게 극복될 수 있도록 상기 토션 스프링이 충분히 약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립 기구.
  19. 과부하 계전기를 위한 트립 기구에 있어서,
    하우징;
    2 개의 안정된 위치들 사이의 피벗 운동을 위하여 상기 하우징에 있는 피벗 상에 장착되는 쌍안정성 아마추어;
    상기 하우징 내에 있는 고정 접점;
    상기 2 개 안정된 위치들 중 하나를 위한 상기 고정 접점과의 접촉된 위치로의 이동을 위하여 그리고 상기 2 개 안정된 위치들 중 다른 하나를 위한 상기 고정 접점과 관련된 차단 위치로의 이동을 위하여 상기 아마추어에 의해 수용되는 이동 가능한 접점;
    상기 아마추어와 상기 하우징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수용되는 래치면;
    상기 아마추어와 상기 하우징 중 다른 하나에 장착되어 상기 래치면을 맞물림하고 상기 아마추어를 상기 2 개 위치들 중 하나에 유지하기 위한 래치 핑거를 가진 토션 스프링; 그리고
    상기 래치 핑거와 맞물리고 그리고 상기 래치 핑거와 맞물림 해제되는 운동을 위하여 상기 하우징에 왕복운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푸시버튼으로서, 상기 래치 핑거와 맞물림 상태로 눌러질 때 상기 래치 아암을 풀도록 상기 래치면으로부터 상기 래치 핑거를 제거하는 상기 푸시버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립 기구.
  20. 과부하 계전기를 위한 트립 기구에 있어서,
    하우징;
    2 개 위치 사이에서의 이동을 위하여 상기 하우징에 장착된 아마추어;
    상기 하우징에 있는 고정 접점;
    상기 고정 접점을 향한 그리고 상기 고정 접점에서 떨어지는 이동을 위하여 상기 아마추어에 의해 수용되는 이동 가능한 접점;
    상기 아마추어에 해당되고 상기 2 개 위치들 중 하나에서 상기 2 개 위치들 중 다른 하나로 상기 아마추어를 이동시키도록 작동할 수 있는 이동 가능한 레버;
    상기 레버를 위한 것이며 상기 레버를 향하고 상기 레버에서 떨어질 수 있는 요소를 포함한 조작기;
    상기 조작기와 상기 레버 중 하나에 의해 수용되며 그것으로부터 상기 레버와 상기 조작기 중 다른 하나를 향하여 예리한 각도로 뻗고 있는 스프링 핑거; 그리고
    상기 레버와 상기 조작기 중 다른 하나 상에 있으며, 상기 아마추어가 상기 하나의 위치에 있고 상기 조작기가 상기 레버를 향하여 이동될 때 상기 스프링 핑거와 맞물리도록 그리고 상기 아마추어가 상기 2 개 위치의 또 하나의 위치로 이동되었을 때 스프링 핑거를 맞물림 해제하여 풀도록 위치 결정되는 멈춤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트립 기구.
  21.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이 포스트에 장착된 코일을 가지고 있으며 상기 코일로부터 상기 스프링 핑거가 뻗고 있는 토션 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립 기구.
  22.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포스트가 상기 레버 상에 있으며 상기 멈춤면이 상기 조작기 상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립 기구.
  23.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기가 수동 조작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립 기구.
  24.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기가 상기 하우징에 왕복운동 가능하게 장착된 푸시버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립 기구.
  25.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푸시버튼이 상기 하우징에 추가적으로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고, 그리고 상기 레버에 대하여 바람직한 위치에 상기 푸시버튼을 고정시키기 위하여 상기 푸시버튼을 회전시킴으로써 맞물리게 할 수 있는 멈춤쇠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립 기구.
  26.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레버 상에 있는 래치면 그리고 상기 하우징 상에 장착되어 상기 아마추어가 상기 하나의 위치에 있을 때 상기 래치면을 걸리게 맞물림하도록 상기 래치면을 향하여 뻗고 있는 래치 핑거를 가진 코일을 가지고 있는 제 2 토션 스프링을 더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푸시버튼이 상기 레버를 향하여 이동될 때와 상기 스프링 핑거가 상기 멈춤면을 맞물기 전에 상기 래치면으로부터 상기 래치 핑거를 맞물림 해제하도록 상기 푸시버튼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립 기구.
  27.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아마추어가 영구 자석을 샌드위치하고 있는 이격된 자극들의 한 쌍과; 상기 자극들 사이에 배치된 요크와 코일 조립체를 포함하고 있는 자기, 쌍안정성 아마추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립 기구.
  28. 과부하 계전기를 위한 트립 기구에 있어서,
    하우징;
    제 1 위치와 제 2 위치 사이에서의 피벗 운동을 위하여 상기 하우징의 피벗 상에 있는 아마추어;
    상기 피벗으로부터 이격되어 있는 위치에서 상기 아마추어의 한 쪽으로부터 뻗고 있는 포스트;
    상기 포스트 상에 탄력 있게 장착된 제 1 접점; 그리고
    상기 하우징에 장착되고 상기 아마추어가 상기 제 1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제 1 접점에 의해 접촉되고 그리고 상기 아마추어가 제 2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제 1 접점으로부터 이격되게 위치 결정되는 제 2 접점을 포함하며;
    상기 아마추어의 상기 제 1 위치에서 상기 제 2 위치로의 이동 또는 역방향 이동이 상기 고정 그리고 이동 가능한 접점 사이에서의 와이핑 작용을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립 기구.
KR10-1999-7009227A 1997-04-11 1998-03-30 과부하 계전기를 위한 트립 기구 KR10047829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08/838,904 US6025766A (en) 1997-04-11 1997-04-11 Trip mechanism for an overload relay
US08/838,904 1997-04-11
PCT/US1998/006200 WO1998047164A1 (en) 1997-04-11 1998-03-30 Trip mechanism for an overload relay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06148A true KR20010006148A (ko) 2001-01-26
KR100478299B1 KR100478299B1 (ko) 2005-03-24

Family

ID=252783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7009227A KR100478299B1 (ko) 1997-04-11 1998-03-30 과부하 계전기를 위한 트립 기구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2) US6025766A (ko)
EP (1) EP0974155B1 (ko)
JP (1) JP4365457B2 (ko)
KR (1) KR100478299B1 (ko)
CN (1) CN1252163A (ko)
DE (1) DE69808446T2 (ko)
ES (1) ES2185158T3 (ko)
WO (1) WO1998047164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183898B2 (en) 2006-06-09 2012-05-22 Hynix Semiconductor Apparatus for supplying voltage free noise and method of operation the sam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959518A (en) * 1998-05-15 1999-09-28 Siemens Energy & Automation, Inc. Contact mechanism for electronic overload relays
DE29917174U1 (de) * 1999-09-30 2000-01-13 Abb Patent Gmbh, 68309 Mannheim Elektronisches Überlastrelais
DE10249697B3 (de) * 2002-10-25 2004-04-15 Gruner Ag Prellreduziertes Relais
US6949997B2 (en) * 2003-09-26 2005-09-27 Rockwell Automation Technologies, Inc. Bi-stable trip-free relay configuration
US7161104B2 (en) * 2003-09-26 2007-01-09 Rockwell Automation Technologies, Inc. Trip-free PCB mountable relay configuration and method
CN1310268C (zh) * 2004-07-14 2007-04-11 浙江正泰电器股份有限公司 双稳态的过载继电器的操作机构
TWM285793U (en) * 2005-01-14 2006-01-11 Teco Elec & Machinery Co Ltd Electronic protective relay
WO2006114870A1 (ja) * 2005-04-20 2006-11-02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過電流継電器
JP4424260B2 (ja) * 2005-06-07 2010-03-03 オムロン株式会社 電磁リレー
US7297021B1 (en) * 2006-08-31 2007-11-20 Siemens Energy & Automation, Inc. Devices, systems, and methods for bypassing an electrical meter
DE112007003451T5 (de) 2007-04-27 2010-02-18 Mitsubishi Electric Corp. Elektronisches Überlastrelais
US7659800B2 (en) * 2007-08-01 2010-02-09 Philipp Gruner Electromagnetic relay assembly
US7710224B2 (en) * 2007-08-01 2010-05-04 Clodi, L.L.C. Electromagnetic relay assembly
US20110037543A1 (en) * 2007-10-11 2011-02-17 Dale Walter Lange Electrical switching device
US7772945B2 (en) * 2007-10-11 2010-08-10 Jackson Edmonds, Llc Electrical switching device
US7889032B2 (en) 2008-07-16 2011-02-15 Tyco Electronics Corporation Electromagnetic relay
US8203403B2 (en) * 2009-08-27 2012-06-19 Tyco Electronics Corporation Electrical switching devices having moveable terminals
US8222982B2 (en) * 2009-12-28 2012-07-17 Schneider Electric USA, Inc. Overload relay trip mechanism
US8410875B2 (en) * 2010-06-30 2013-04-02 Eaton Corporation Overload relay switch without springs
JPWO2012073780A1 (ja) * 2010-11-30 2014-05-19 富士電機機器制御株式会社 ラッチングリレー
US8564386B2 (en) 2011-01-18 2013-10-22 Tyco Electronics Corporation Electrical switching device
US8222981B1 (en) * 2011-01-18 2012-07-17 Tyco Electronics Corporation Electrical switching device
US8514040B2 (en) 2011-02-11 2013-08-20 Clodi, L.L.C. Bi-stable electromagnetic relay with x-drive motor
CN202650990U (zh) * 2012-07-02 2013-01-02 宁波福特继电器有限公司 一种小型大功率磁保持继电器
SG2012068896A (en) * 2012-09-17 2014-04-28 Schneider Electric South East Asia Hq Pte Ltd Tool and method for switching an electromagnetic relay
JP6393025B2 (ja) * 2013-07-01 2018-09-19 富士通コンポーネント株式会社 電磁継電器
EP2940708A1 (en) * 2014-04-30 2015-11-04 Abb Ag Tripping mechanism and electrical installation device
CN104576224B (zh) * 2014-12-29 2016-08-24 温州大学 带脱扣保险装置的永磁式接触器操动机构
KR101951428B1 (ko) * 2015-07-15 2019-02-22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래치 릴레이
JP6414019B2 (ja) * 2015-10-29 2018-10-31 オムロン株式会社 リレー
JP6471678B2 (ja) 2015-10-29 2019-02-20 オムロン株式会社 接触片ユニット及びリレー
JP6458705B2 (ja) 2015-10-29 2019-01-30 オムロン株式会社 リレー
EP3185273A1 (en) 2015-12-22 2017-06-28 ABB Schweiz AG Bi-stable relay
CN106356259B (zh) * 2016-08-29 2018-09-28 天津市百利电气有限公司 电子式过载继电器
EP3706152B1 (en) * 2017-11-01 2023-06-14 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Management Co., Ltd. Electromagnetic relay
CN111448731B (zh) 2017-11-08 2023-06-30 伊顿智能动力有限公司 用于电动移动应用的电源分配单元和熔断器管理
US11368031B2 (en) 2017-11-08 2022-06-21 Eaton Intelligent Power Limited Power distribution and circuit protection for a mobile application having a high efficiency inverter
US11108225B2 (en) 2017-11-08 2021-08-31 Eaton Intelligent Power Limited System, method, and apparatus for power distribution in an electric mobile application using a combined breaker and relay
US11070049B2 (en) 2017-11-08 2021-07-20 Eaton Intelligent Power Limited System, method, and apparatus for power distribution in an electric mobile application using a combined breaker and relay
US10957507B2 (en) 2018-06-27 2021-03-23 Appleton Grp Llc Mechanism for indirect access to an actuator on an apparatus disposed within a housing
US11670937B2 (en) 2019-02-22 2023-06-06 Eaton Intelligent Power Limited Coolant connector having a chamfered lip and fir tree axially aligned with at least one o-ring
CN114175444A (zh) 2019-07-15 2022-03-11 伊顿智能动力有限公司 具有高效逆变器的移动应用的电源分配和电路保护
JP7280848B2 (ja) * 2020-03-18 2023-05-24 ボーンズ株式会社 ブレーカー、安全回路及び2次電池パック
CN113948341A (zh) * 2020-07-16 2022-01-18 施耐德电器工业公司 用于双稳态继电器的机械操作组件和双稳态继电器组件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839095A (en) * 1930-02-19 1931-12-29 Gen Electric Detachable contact
US2283795A (en) * 1938-04-08 1942-05-19 Arrow Hart & Hegeman Electric Electric switch construction
US2616010A (en) * 1948-01-20 1952-10-28 Ward Leonard Electric Co Electromagnetic switch
US3597562A (en) * 1969-07-23 1971-08-03 Square D Co Movable contact structure for an electric switch
US3655934A (en) * 1969-07-23 1972-04-11 Square D Co Movable contact structure for an electric switch
US3614684A (en) * 1970-02-26 1971-10-19 Guardian Electric Co Relay with lock-in and manual reset
US3813579A (en) * 1970-11-09 1974-05-28 Rucker Co Electric receptacle assembly with ground fault protection
US3728510A (en) * 1972-07-14 1973-04-17 Singer Co Electrical contact retaining device
DE2454967C3 (de) * 1974-05-15 1981-12-24 Hans 8024 Deisenhofen Sauer Gepoltes elektromagnetisches Relais
US3925742A (en) * 1974-06-25 1975-12-09 Fasco Industries Mechanical latch relay
US4087770A (en) * 1976-06-29 1978-05-02 Allen-Bradley Company Industrial relay
US4181907A (en) * 1978-05-22 1980-01-01 Robertshaw Controls Company Electrical switch construction having armature latch
DE2830390C2 (de) * 1978-07-11 1985-01-03 W. Gruner GmbH & Co Relaisfabrik, KG, 7209 Wehingen Relais
DE2914775B1 (de) * 1979-04-11 1980-07-17 Siemens Ag Einrichtung zum Umstellen einer Umschaltkontaktanordnung
DE3006948A1 (de) * 1980-02-25 1981-09-10 Siemens AG, 1000 Berlin und 8000 München Polarisiertes magnetsystem
US4378543A (en) * 1981-11-18 1983-03-29 Gulf & Western Manufacturing Company Latch relay with manual reset and test
US4616202A (en) * 1984-11-20 1986-10-07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Electromagnetic contactor
DE3645337C2 (de) * 1986-07-22 1997-08-14 Bach & Co Relais
US5179495A (en) * 1990-08-02 1993-01-12 Furnas Electric Company Solid state overload relay
DE4122704C2 (de) * 1991-07-09 1993-12-16 Siemens Ag Elektromagnetisches Relais
US5570262A (en) * 1994-02-25 1996-10-29 Siemens Energy & Automation, Inc. Hybrid overload relay
US5910759A (en) * 1998-05-15 1999-06-08 Siemens Energy & Automation, Inc. Contact mechanism for electronic overload relay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183898B2 (en) 2006-06-09 2012-05-22 Hynix Semiconductor Apparatus for supplying voltage free noise and method of operation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S2185158T3 (es) 2003-04-16
JP4365457B2 (ja) 2009-11-18
EP0974155A1 (en) 2000-01-26
DE69808446T2 (de) 2003-03-20
EP0974155B1 (en) 2002-10-02
WO1998047164A1 (en) 1998-10-22
KR100478299B1 (ko) 2005-03-24
US6020801A (en) 2000-02-01
US6025766A (en) 2000-02-15
CN1252163A (zh) 2000-05-03
JP2001520795A (ja) 2001-10-30
DE69808446D1 (de) 2002-11-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78299B1 (ko) 과부하 계전기를 위한 트립 기구
EP1209710B1 (en) Contact mechanism for electric overload relay
CN111712897B (zh) 断路器
JPH09223447A (ja) 保護スイッチ機器用制御・発信装置
US4947145A (en) Remote-controlled circuit breaker
JP4127967B2 (ja) 電子式過負荷継電器のための接点機構
US20020105771A1 (en) Circuit breaker
EP0364950B1 (en) Remote-controlled circuit breaker
KR970004581B1 (ko) 제어모듀울 및/또는 신호모듀울에 결합가능한 보호장치
JP4311879B2 (ja) 電子式過負荷継電器のための接点機構
JP4333060B2 (ja) 保護開閉器
JP3874168B2 (ja) 保護開閉器
AU2002226629A1 (en) Circuit break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215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