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05741A - 소화용 스프레이 헤드에 소화액을 공급하는 구동원 - Google Patents

소화용 스프레이 헤드에 소화액을 공급하는 구동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05741A
KR20010005741A KR1019997008812A KR19997008812A KR20010005741A KR 20010005741 A KR20010005741 A KR 20010005741A KR 1019997008812 A KR1019997008812 A KR 1019997008812A KR 19997008812 A KR19997008812 A KR 19997008812A KR 20010005741 A KR20010005741 A KR 2001000574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s
liquid
cylinder
source
cha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70088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83854B1 (ko
Inventor
괴란 순트홀름
Original Assignee
괴란 순트홀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FI980232A external-priority patent/FI980232A0/fi
Priority claimed from FI980705A external-priority patent/FI980705A0/fi
Application filed by 괴란 순트홀름 filed Critical 괴란 순트홀름
Publication of KR200100057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057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838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83854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5/00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5/00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 A62C35/02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with containers for delivering the extinguishing substance
    • A62C35/023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with containers for delivering the extinguishing substance the extinguishing material being expelled by compressed gas, taken from storage tanks, or by generating a pressure gas

Landscapes

  • Public Health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Fire-Extinguishing By Fire Departments, And Fire-Extinguishing Equipment And Control Thereof (AREA)
  • Nozzles (AREA)
  • Fire-Extinguishing Compositions (AREA)
  • Control Of Combustion (AREA)
  • Medicines Containing Material From Animals Or Micro-Organisms (AREA)
  • Compounds Of Alkaline-Earth Elements, Aluminum Or Rare-Earth Metals (AREA)
  • Solid-Sorbent Or Filter-Aiding Compositions (AREA)
  • Filling Or Discharging Of Gas Storage Vessels (AREA)
  • Fluidized-Bed Combustion And Resonant Combus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액체를 포함하는 액체원(5)과 기체를 포함하는 기체원(9), 상기 액체원(5)의 액체와 기체원(9)의 기체를 혼합하는 혼합 수단 및 액체 성분과 기체 성분을 포함하는 소화액을 스프레이 헤드에 이르는 방식으로 스프레이 헤드에 액체와 기체를 나르는 이송수단을 구비하는 적어도 하나의 소화용 스프레이 헤드에 소화액을 공급하는 구동원에 관한 것이다. 상기 구동원대로 기체의 제어된 처리량이 액체와 소화과정 긴 시간동안 작은 물방울 크기를 얻을 수 있고, 상기 구동원은 상기 혼합수단이 제 1 실린더(10)에 배치된 제 1 피스톤(12)과 제 2 실린더(11)에 배치된 제 2 피스톤(13)을 포함하는 실린더 피스톤 장치(5)를 구비하며, 상기 실린더 피스톤 장치가 이송수단(1)에 액체와 기체를 동시에 제공하기 위해 각각 스트로크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소화용 스프레이 헤드에 소화액을 공급하는 구동원{DRIVE SOURCE FOR FEEDING EXTINGUISHING MEDIUM INTO SPRAY HEAD FOR EXTINGUISHING FIRE}
[발명의 배경]
본 발명은 소화용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적어도 하나의 스프레이 헤드에 소화액을 공급하는 구동원(驅動源) 또는 구동 유니트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히 말하면 본 발명은 액체를 포함하는 액체원(源) 및 기체를 포함하는 기체원(源)과, 상기 액체원의 액체와 기체 원의 기체를 혼합하는 혼합 수단, 및 기체 및 액체방울의 혼합형태로 스프레이 헤드로부터 소화액을 방출하기 위하여 액체 성분과 기체 성분을 포함하는 소화액이 스프레이 헤드로 도출되는 방식으로 스프레이 헤드에 액체와 기체를 도출하는 이송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적어도 한 개의 스프레이 헤드로 소화액을 공급하는 구동원에 관한 것이다.
물 용기로부터 소화액을 몰아내고 그 소화액을 스프레이 헤드 또는 스프링클러, 즉 해제수단을 가진 스프레이 헤드로 공급하기 위하여 가압하의 기체를 사용하는 것은 공지되어 있다. 상기 해제 수단은, 반드시 그런 것은 아니지만, 일반적으로는 파열에 의하여 열에 반응하고 그에 의하여 해제를 발생하는 유리 앰플이다.
종래의 기술 수단으로 원하는 바에 따라 정확히 액체내로의 기체공급을 제어하는 것이 가능하지는 않았다.
매우 작은 방울의 소화액은 특정형태의 스프레이 헤드들 또는 스프링클러로써 얻을 수 있다. 소화액이 물일 때는, 물안개가 얻어진다. 물안개는 소화시 효과적이고 환경친화적인 것으로 입증되었다. 매우 작은 물방울들은 효과적으로 열을 흡수하고 또한 소화효과를 가진다. 게다가 소화액 소비는 낮게 된다. 그러나, 오랜 시간 동안 충분히 작은 물방울들을 포함하는 물안개 방출이 가능한 장치인 압력 어큐뮬레이터(accumulator)를 포함하는 그러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은 기술적인 문제로 되어 왔다. 이것은 압력 어큐뮬레이터가 비워질 때 즉, 소화단계의 마지막에 압력이 감소될 때에는 물방울의 크기가 증가되기 때문에 발생한다. 이러한 문제는 국제특허출원 공개번호 WO 94/08659에서 기재된 바와 같이, 소화과정의 마지막에 기체를 혼합함으로써 부분적으로 해결된다. 그 기체는 초기에는 소화액을 방출하고 나중에는 기체를 포함하는 소화액의 액체성분을 방출하는 추진제로 사용되는 바와 같은 기체일 수 있다. 기체 혼합물에 의해 매우 작은 물방울들을 얻는 것이 가능해진다.
최종적으로 언급한 장치들에 의해 좋은 결과들이 얻어질 수는 있지만, 소화액에서 기체를 혼합할 수 있는 제어된 방식으로, 또한 방울 크기가 매우 많은 양의 소화액을 배출하는 동안 긴 시간에 걸쳐 비교적 일정하게 되는 방식의 구동원을 제조해야하는 필요가 있었다. 또한 가능한한 기체의 및 액체용기의 용적 및 수를 적게 유지하려는 요망을 포함하여 가능한한 단순한 소화용 장치를 만들 필요가 있었다.
[발명의 간략한 설명]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문제점들과 결점들을 해소하는데 있다. 이러한 목적을 위하여 본 발명은, 혼합수단이 제 1 실린더 내에 배치된 제 1 피스톤및 제 2 실린더 내에 배치된 제 2 피스톤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실린더 피스톤 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양 실린더는 제 1 및 제 2 챔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과,
기체원은 방향성 밸브가 접속되는 도관 시스템을 통하여 제 1 실린더의 제 2 챔버 또는 제 2 실린더의 제 2 챔버에 선택적으로 접속되는 것과,
방향성 밸브는, 제어장치의 수단에 의하여, 기체원과 제 1 실린더의 제 2 챔버 사이의 접속을 개방상태로, 또한 제 2 실린더의 제 2 챔버와 이송 수단의 출구관 사이의 접속을 개방상태로 유지하는 제 1 작동 위치 및 기체원과 제 2 실린더의 제 2 챔버 사이의 접속을 개방상태로, 또한 제 1 실린더의 제 2 챔버와 출구관 사이의 접속을 개방상태로 유지하는 제 2 작동 위치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 2 내지 14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구동원의 가장 큰 장점은 소화액내로의 기체의 적정량 혼합을 가능하게 하며, 소화과정동안의 긴 시간에도 균일하고, 필요하다면 매우 작은 방울크기를 얻을 수 있다는 점이다. 다른 장점은 구동원의 용량이 스프레이 헤드의 수 및 그 내부의 저항(압력의 손실)에 자동적으로 적응한다는 것이다: 실린더 피스톤 장치의 작동 속도(시간마다 스트로크)는 노즐들과 거기에 저항 수에 의존한다. 만약 노즐 수가 크고 저항이 낮으면, 실린더 피스톤 장치는 빨리 작동하고, 노즐 수가 작고 저항이 높으면 실린더 피스톤 장치는 천천히 작동한다. 이 때문에 소화용 시스템은 특정한 계산없이 설계되고 동일한 구동원이 원리적으로 크고 작은 소화용 장치들의 양자에 적합하다. 다른 장점은 수도관과 같은 낮은 압력의 액체원(예를 들면 대략 4-10 bar)도 적절하고, 심지어는 전혀 압력이 없는 액체원이라도 적절한데, 왜냐하면 구동원의 실린더 피스톤 장치는 자동흡입식(자동주입)이기 때문이다. 수도관은, 필요하다면, 다량의 소화액을 방출할 수 있다. 따라서 물 용기의 필요성이 없어진다. 다른 장점은 구동원의 매우 안전한 기능 및, 전기에 의존하지 않는 기능의 가능성이다.
[도면의 상세한 설명]
이하에서,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3개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상세히 설명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를 나타내며,
도 2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를 나타내며,
도 3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를 나타내며,
도 4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를 나타내며,
도 5는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를 나타내며,
도 6은 본 발명의 제 6 실시예를 나타내며,
도 7은 본 발명의 제 7 실시예를 나타내고,
도 8은 도 1 내지 도 7에서 구동원을 제어하는 선택적 방식을 나타낸다.
[발명의 상세한 설명]
도1은 스프레이 헤드(2,3)의 출구관(1)을 통하여 소화액을 공급하기 위한 구동원 또는 구동유니트를 나타낸다. 소화액은 액체와 기체의 혼합물이다. 물 또는 물을 기초로 한 액체가 소화액의 액체로서 사용되고, 기체는, 보다 바람직하게 불연성 기체, 예를 들면 질소를 사용한다. 예를 들어 공기와 같은 불연성 기체로 불리지 않는 기체들도 기체로서 사용될 수 있음에 유의한다. 액체는 수도관(4)을 통하여 수도본류(5)로부터 얻는다. 따라서, 수도관(5)은 상기 구동원에 액체원을 제공한다. 상기 기체는 5개의 기체 용기들이 각각 평행하게 연결되어 2 세트로 배열된 10개의 기체 용기(6)들로 구성된 기체원(9)으로부터 얻는다. 기체 용기(6)들은 질소를 담고 있으며, 부피 50 L와 압력 200 bar를 가진다. 기체 압력은 바람직하게 50-300 bar 범위 내 일 수 있다. 기체원의 구조는 기체 용기(6)의 수와 그 부피가 변하면 당연히 바뀔 수 있다. 기체 용기들의 세트수 또한 변할 수 있고, 오직 한 세트만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물에 기체 용기(6)의 기체를 혼합하기 위하여 구동원은 각각 피스톤(12) 및 (13)을 포함하여 각각의 라인에 배치된 두 개의 분리 실린더(10) 및 (11)를 구비한 실린더 피스톤 장치(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각각의 실린더(10,11)는 각각 두 개의 챔버(14,15) 및 (16,17)를 포함한다. 피스톤(12,13)들은 피스톤 로드(18)를 사용하여 함께 연결되고 피스톤(13)이 오른쪽으로 움직이면 피스톤(12) 또한 오른쪽으로 움직이는 것과 같은 방식으로 동시에 움직이며, 따라서 피스톤들은 각 실린더내의 상이한 방향으로 움직인다. 피스톤 로드 대신에, 피스톤(12,13)의 이동을 접속하기 위하여 다른 방식의 접속구가 사용될 수 있다. 참조부호 53,54는 밀봉을 나타낸다.
기체원(9)은 도관 시스템(24)을 통하여 챔버(15)와 챔버(17)에 임의적으로 접속된 방향성 밸브(19)를 포함한다. 방향성 밸브(19)의 위치는 자기적 변화에 반응하는 두 개의 검출기-신호장치(8,2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제어장치(7)에 의하여 공급되는 신호에 의해 결정된다. 피스톤(12)은 자기밴드(25) 또는 자기적 특성이 있는 다른 부품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검출기-신호장치(8,20)는 같은 방향으로 매 새로운 피스톤 스트로크에 대하여 방향성 밸브(19)에 신호를 부여하도록 자기밴드의 존재에 반응한다. 신호는 전기일 수 있다(전기 라인들은 제어 장치와 방향성 밸브 사이에 도면에서 도시하지 않았다).
제어 장치(7)와 방향성 밸브(19)에 의해 기체원(9)은 피스톤(12,13) 이 방향을 바꿀때마다 챔버(15) 및 챔버(17)에 교대로 연결된다.
방향성 밸브(19)는 챔버(15)와 기체원(9) 사이의 연결이 폐쇄되고 챔버(17)와 기체원 사이의 연결이 개방될 때 도관(27)을 통하여 출구관(1)에 챔버(15)를 연결하도록 동작한다. 챔버(15)와 기체원(9) 사이에 연결이 개방될 때는, 챔버(17)와 출구관(1) 사이의 연결이 도관(27)을 통하여 마찬가지로 개방된다.
참조부호 37은 상술한 상이한 작동 위치로 방향성 밸브(19)를 접속하는 데 필요한 작업에 제공되는 비교적 낮은 압력인 대략 6 bar까지 기체원으로부터의 압력을 감소하는 감압밸브를 나타낸다.
도 8은 제어장치(7)의 선택사양인 제어장치(7')을 나타낸다. 제어장치는 챔버(15,17)의 사이에 위치하여 돌출한 밸브장치에 의하여 유압식으로 제어된 방향성 밸브(19')를 제어한다. 유압원(pneumatic pressure source)(821)은 밸브 장치(820)에 연결된다. 유압원(821)는 기체원(9)의 기체 용기(6)의 하나로 대체될 수 있다. 밸브 장치(820)는 유압원(821)를 통하여 또한 그의 압력에 의하여 검출기-신호 장치(8,20)와 동일한 방식으로 방향성 밸브(19')의 위치를 제어한다. 그리고 방향성 밸브(19')는 방향성 밸브(19)에 행하는 바와 같은 방식으로 피스톤(12,13)의 움직임을 제어한다. 피스톤(12)이 가장 왼쪽의 위치로 움직일 때, 피스톤(13)은 밸브장치(820)에 대하여 기계적으로 압력을 가하고, 그에 의하여 밸브장치는 제 1 위치에 놓이며, 피스톤(12)이 오른쪽으로 이동하고 피스톤(13)이 가장 오른쪽 위치로 이동하면, 피스톤은 밸브장치(820)에 대하여 기계적으로 압력을 가하고, 그에 의하여 밸브장치는 제 2 위치에 놓이게 된다. 유압원(821)은 상술한 작동 위치로 방향성 밸브(19')를 위치하기 위해 필요한 힘을 제공한다. 다른 위치로 밸브 장치(820)를 위치하는 데 필요한 힘은 다른 작동 위치로 방향성 밸브(19')를 위치하는 데 필요한 힘과 비교하여 최소한이다.
제어장치(7')를 제어장치(7)에 비교할 때의 장점은 전기가 없이도(유압 기능기구의 덕분에) 작동이 가능한 것이다. 구동원은 전기 없이 작동이 가능하다; 이것은 화재 경우에 소화용 장치로 필수적인 장점이다.
참조부호 (28) 내지 (30)은 챔버(16)에 물을 공급하기 위한 도관을 나타내고 참조부호 (28),(31) 및 (32)는 챔버(14)에 물을 공급하기 위한 도관을 나타낸다. 참조부호 (42) 및 (43)과 (30) 및 (32)는 출구관(1)으로 물을 운반하기 위한 도관이다. 참조부호 (33),(34),(35),(36) 및 (38_은 체크밸브를 나타낸다. 체크밸브의 기능은 원하지 않는 방향으로 흐르는 소화매체(물 또는 기체)를 방해하는 데 있다.
참조부호 (39)는 시스템의 전체 기능을 차단하고 출구관(1)에 연결되는 밸브를 나타낸다. 참조부호 (40)및 (44)는 각각 기체 용기들의 위와 아래 세트를 연결하고 차단하는 밸브를 나타낸다.
참조부호 (45)는 출구관(1)으로 물을 운반하는 도관(43)에 조절기를 통하여 연결된 테스트 밸브를 나타낸다. 테스트 밸브(45)는 압력하에 액체 존재를 확인할 수 있다.
다음으로 구동력의 기능을 설명한다.
구동원은 화재가 탐지된 후에 시동된다. 초기에 물은 챔버(14) 및 (16)에 있고 피스톤 실린더 장치의 위치는 도1에 도시된 위치에 있다. 밸브(39-41)들은 개방상태이다. 높은 압력으로 챔버(15)에 흐르는 기체에 의하여 피스톤(12,13)들은 왼쪽으로 이동된다. 이에 의하여, 물은 챔버(14) 의 밖으로 도관(32,43)을 향하여, 또한 출구관(1)으로 압력이 가해진다. 동시에 피스톤이 왼쪽으로 움직이면서 공기가 출구관(1)으로 향하여 도관(27)을 통하여 챔버(17)로부터 주입되고 챔버(16)는 물로 채워진다. 피스톤(12)내의 자기 밴드(25)가 검출신호장치(8)에 충분히 근접하면, 방향성 밸브(19)로 신호를 공급하고, 높은 압력하의 기체가 기체원(9)으로부터 챔버(17)로 흐를수 있도록 접속하고 챔버(15)내의 높은 압력의 기체가 출구관(1)으로 도관(27)을 통하여 흐를 수 있도록 접속된다. 그후 피스톤들이 오른쪽으로 움직이고, 챔버(16)내의 물은 출구관(1)을 향하여 도관(30) 및(42)을 통하여 흐르고, 동시에 물은 챔버(14)내로 도관(31) 및 (32)을 통하여 흐른다. 피스톤(12)내의 자기밴드(25)가 검출신호장치(20)에 충분히 근접하면, 방향성 밸브(19)에 신호를 공급하고, 기체가 챔버(15)로 다시 흐를 수 있도록 접속되며, 이제부터는 공기 대신에 질소기체가 도관(27)을 통하여 출구관으로 주입되는 점을 제외하고는 상기 과정이 반복된다.
그러므로, 피스톤이 왼쪽 또는 오른쪽으로 움직일 때마다 물 및 질소 기체는 출구관(1)으로 동시에 주입된다. 피스톤은 예를 들면, 초당 한 스트로크의 속도를 가질 수 있다. 구동원은 승압기로 작용한다.
상기 작용에 의해 출구관(1)은 스프레이 헤드(2,3)로부터 방출된 매우 양호한 소화액을 형성하는 기체와 물의 혼합물로 채워진다.
상술한 구동원은 제어된 량으로 소화액내에 기체를 넣을 수 있으며 또한 단지 크기가 매우 작게 변하는, 매우 작은 물방울들을 포함하는 소화액을 1시간 정도의 긴 시간동안에 스프레이 헤드로부터 얻을수 있다. 예를 들면, 챔버(14 및 16)들의 부피에 관하여 피스톤 로드(18)의 직경 변화에 의해 챔버(15 및 17)들의 부피 변경이 가능하다. 따라서, 액체내에 혼합된 기체의 량은 다양한 기체-액체 비율을 공급받을 수 있다.
도 2는 도 1에 본 발명의 다른 변형을 나타낸다. 도2에서 도1에 일치하는 구성들은 같은 부호들을 사용한다. 도 2에서 구동원은 바람직하게 는 도관 시스템(24)에 200 bar의 높은 압력으로 기체 용기(21)에 연결되어 있는 점이 도 1의 구동원과 다르다. 기체 용기(21)는 기체 용기(6)들이 스위치 온되기 전에, 초기에 상대적으로 낮은 압력인 5-25 bar 예를 들면 16 bar 의 압력으로 물을 공급하도록 구동원의 방향밸브(19) 사이에 연결되어, 이들을 냉각한다. 조절기(51) 또는 감압밸브를 통하여 도관 시스템(24)에 연결되는 기체 용기(21)에 의해 비교적 낮은 압력이 얻어진다. 기체 용기(21)의 높은 압력 때문에 그것의 부피가 적을 수 있다. 기체 용기(21)는 각각 제 1 실린더의 제 2 챔버(15) 또는 제 2 실린더의 제 2 챔버(17)에 선택적으로 연결된 방향밸브(19)의 위치에 따른다.
도 3은 도 1에서의 본 발명의 제 3 변형을 나타낸다. 도3에서 도1에 일치하는 구성들은 같은 부호들을 사용한다. 도3에서의 구동원은 포말을 포함하는 용기가 제 1 실린더의 제 2 챔버(15) 또는 제 2 실린더의 제 2 챔버(17)로부터 선택적으로 기체 압력을 얻기 위해 기체 도관(27)에 연결되고 용기(22)가 출구관에 소화액으로 포말을 공급하기 위해 출구관(1)에 연결되는 점에서 도 1의 구동원과 다르다. 챔버(15,17)들로부터의 기체압력은 용기(22) 밖으로 포말을 밀어내기 위한 구동력으로서 작용한다. 용기(22)는 그것이 비워짐에 따라, 챔버(15,17)들이 출구관(1)으로 방출하는 기체를 비울 때 출구관(1)에서 일어나는 압력 피크를 흡수하기 위한 완충장치로 작용한다. 용기(22)에 의해, 구동원 도관(24,27,1)내의 압력부하가 감소되므로 높은 압력부하를 위한 크기로 할 필요가 없다.
도 4는 도 1에서의 본 발명의 제 4 변형예을 나타낸다. 도4에서 도1에 일치하는 구성들은 같은 부호들을 사용한다. 도4에서의 구동원은, 물 용기(23)가 제 1 실린더의 제 2 챔버(15) 또는 제 2 실린더의 제 2 챔버(17)로부터 선택적으로 기체 압력을 얻기 위한 기체 도관(27)에 연결되고, 물용기(23)는 초기에 출구관으로 물만 공급하기 위해 출구관(1)에 연결되어 점에서 도 1과 다르다. 챔버(15,17)들로부터의 기체압력은 워터 용기(23)로부터 물을 밖을 밀기 위한 구동력으로 작동한다. 구동원은 물안개를 공급하고 연기 기체들을 끌어당기는 흡인력을 이루도록 구성된 스프레이 헤드(200,300)에 파이프라인(100)을 통하여 물을 초기에 공급하도록 배치된다. 물안개는 연기 기체를 씻어내는 데 사용된다. 스프레이 헤드(200,300)는 핀랜드특허출원 PCT 97/00523에 기재된 것과 같은 파이프(400)에 배치될 수 있다. 물이 물용기(23)에서 비워진 후에 구동장치는 도1에서 설명된 것과 같이 작동하지만, 물용기(23)는 챔버(15,17)가 출구관(1)에서 방출하는 기체를 비울 때 출구관에 일어나는 압력 피크를 감소할 수 있다는 차이를 가진다. 용기(23)에 의해, 구동원 도관(24,27,1)내의 압력이 감소되므로 높은 압력부하를 위한 크기로 할 필요가 없다.
도5는 도1에서의 본 발명의 제 4 변형을 나타낸다. 도5에서 도1에 일치하는 구성들은 같은 부호들을 사용한다. 도5에서 구동원은 도관(28)에 물을 공급하기 위한 물용기(500)의 연결이라는 점이 도1과 다르다. 물용기(500)는 밸브V1 또는 V2 개방후에, 예를 들면, 연기 검출기(도시않함) 또는 다른 검출기에 신호를 기초하여 압력을 가하고 그후에 압력은 기체 용기(6)들에서 물용기(500)로 흐른다. 물용기(500)내의 압력은 전형적으로 2-12 bar 범위 내, 예를 들면, 4 bar로 할 수 있다. 물용기(500)는 기체 용기(6)들로부터 들어오는 압력을 감소하는 감압밸브를 통하여 압력을 얻는다. 물용기(500)가 비워진 후에 수도관(5)은 도관(28)과 피스톤 실린더 장치(50)에 더 많은 물을 방출하기 위해 연결될 수 있다.
도 6은 도1에서의 구동원의 변형을 나타낸다. 도6에 도시된 구동원은 도관(28)에 물을 공급하기 위해 가압하지 않은 워터 용기(501)를 제외하고는 도1에 도시된 구동원과 일치한다. 실린더 피스톤 장치는, 피스톤(12,13)이 부압에 의해 챔버(14,16)내로 물을 빨아들이므로 물용기(501)로부터 물을 흡인할 수 있다. 수도관(5)은 워터 용기(501)의 부피와 물 용량이 충분하면 조금도 필요하지 않다.
도 7은 도1에의 구동원의 변형을 나타낸다. 도7에 도시된 구동원은 출구관(1)과 스프링클러(2000,3000)들에 대기(待機) 압력을 유지하기 위해 배치된 것을 제외하고 도 1에서의 구동원과 일치한다. 이것은 도관(27)에 연결된 모터(48)와 펌프(49)를 포함하는 펌프유닛(47)에 의해 달성된다. 펌프유닛(47)은 가압된 기체 용기(39)로부터 구동력을 얻는다. 펌프유닛(47)은 4 bar에서 예를 들면 20 bar까지 워터관(5)에 압력을 증가하여 20 bar의 대기 압력으로 출구관을 유지한다. 스프링클러(2000,3000)는 출구관(1)에 연결된 스프레이 헤드 즉, 앰플과 같은 해제수단을 가진 스프레이 헤드를 구비한다. 스프링클러(2000,3000)의 구조는 대기 압력을 가진 부하를 허용할 수 있다. 스프링클러(2000,3000)는 바람직하게는 국제공개번호 92/15370 및 94/16771에 기재된 바와 같이 구성될 수 있다. 기체 용기(39)는 방향성 밸브(19)에 기체용기(39)로부터의 힘을 제공하도록 감압밸브(37)를 통하여 방향성 밸브(19)에 연결된다. 열 또는 연기, 검출기로 인한 스프링클러(2000,3000)의 해제후에, 검출기는 도관(27)내 또는 또는 출구관(1)내의 압력 손실 또는 유량손실이나 도관(27)내의 상당량의 압력손실을 검출하고, 압력 손실 또는 유량손실은 검출기가 밸브 V1 또는 V2 를 개방 하는 신호를 부여하여 구동원은 도1에서의 구동원과 같이 작동한다.
본 발명은 예에 의해 상기와 같이 예시적으로만 기재되었으며, 따라서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범위내에서 많은 방식으로 발명의 상세가 변경 가능함을 지적해둔다. 따라서, 피스톤(12,13)은 실린더(10,11) 라인에 각각 배치될 필요는 없지만, 그러한 실시가 매우 용이하고 기술적으로 실시하기가 단순하다. 제어장치(7)의 구조는 변경될 수 있다. 방향성 밸브(19) 구동력은 다양한 방식으로 이루어 질 수 있다. 구동원은 스프레이 헤드로 비교적으로 큰 물방울들 포함하는 액체와 같은 물보라를 방출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기체원은 가압된 기체 용기(6)로 구성될 필요는 없다; 예를 들면, 바람직하게 압축 공기 네트워크(도시 않함)를 대신 적용할 수 있다. 그런 압축 공기 네트워크는 높은 압력을 요구하지 않지만 6-10 bar의 낮은 압력을 가질 수 있다.

Claims (14)

  1. 액체를 포함하는 액체원(5;500;501)및 기체를 포함하는 기체원(9;900)과,
    상기 액체원(5;500;501)의 액체와 기체원(9;900)의 기체를 혼합하는 혼합 수단 및,
    액체 성분과 기체 성분을 포함하는 소화액이 기체와 액체 방울들의 혼합물의 형태로 스프레이 헤드로부터 소화액을 방출하도록 스프레이 헤드에 도출되는 방식으로 스프레이 헤드에 액체와 기체를 도출하는 이송수단을 구비하며, 소화용 스프레이 헤드(2,3; 2,3; 200,300; 2000,3000)내로 소화액을 공급하는 구동원에 있어서,
    상기 혼합수단은, 제 1 실린더(10) 내에 배치된 제 1 피스톤(12) 및 제 2 실린더(11) 내에 배치된 제 2 피스톤(13)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양 실린더들은 제 1 챔버(각각 14 및 16)및 제 2 챔버(각각 15 및 17)를 구비하는 것과,
    상기 기체원(9;900)은 방향성밸브 (19,19')가 접속되는 도관 시스템(24)을 통하여 제 1 실린더의 제 2 챔버(15) 또는 제 2 실린더의 제 2 챔버(17)에 선택적으로 연결되는 것과,
    상기 방향성 밸브(19,19')는, 제어장치(7,7')의 수단에 의하여, 기체원 (9;900)과 제 1 실린더의 제 2 챔버(15) 사이의 접속을 개방상태로, 또한 제 2 실린더의 제 2 챔버(17)와 이송 수단의 출구관(1; 1,100) 사이의 접속을 개방상태로 유지하는 제 1 작동 위치 및 기체원(9;900)과 제 2 실린더의 제 2 챔버(17) 사이의 접속을 개방상태로, 또한 제 1 실린더의 제 2 챔버(15)와 출구관(1; 1,100) 사이의 접속을 개방상태로 유지하는 제 2 작동 위치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원
  2. 제 1 항에 있어서, 피스톤(12,13)이 연결부(18)에 의해 서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원.
  3. 제 2 항에 있어서, 연결부(18)는 적어도 실질적으로는 직선인 피스톤 로드(18)이며, 실린더(10,11)는 적어도 실질적으로는 상호간에 병행하게 배치되며, 그에 의하여 피스톤(12,,13)은 각각의 실린더에 반대 방향으로 동기하여 이동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원.
  4. 제 1 항에 있어서, 제어장치(7)는 자기의 변화에 반응하는 검출기 -신호장치(8,2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제 1 실린더(10)의 피스톤(12)은 자기재료의 부품(25)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그에 의하여 검출기-신호장치는 실린더(10)내의 피스톤(12)의 움직임에 반응하도록 상기 실린더(10)에 접속되고, 동일한 방향으로의 새로운 피스톤 스트로크마다 방향성 밸브(19)에 신호를 부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원.
  5. 제 1 항에 있어서, 방향성 밸브에 기체원으로부터의 구동력을 제공하기 위하여 기체원(9;900)와 방향성 밸브(19)의 사이에 감압밸브(37)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원.
  6. 제 1 항에 있어서, 제어장치(7')는 피스톤의 운동방향이 바뀔 때 밸브장치가 상기 피스톤중의 하나로부터 다른 피스톤중의 하나로 이동하는 방식으로 피스톤(12,13)에 의해 기계적으로 제어되어 제 1 위치로부터 제 2 위치로 이동하도록 채택된 밸브장치(82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밸브장치는 그 밸브장치가 제 1 위치일 때는 압력원이 제 1 작동위치로 방향성 밸브를 움직이고, 밸브장치가 제 2 위치일 때는 제 2 위치로 방향성 밸브를 움직이는 방식으로 압력에 의해 압력원(821)을 제어하도록 채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원.
  7. 제 1 항에 있어서, 액체원(5;5,500;501)으로부터 제 1 실린더(10)의 제 1 챔버(14)로 액체를 공급하기 위해 체크밸브(36)를 포함하는 제 1 도관(31)과, 상기 액체원으로부터 제 2 실린더(11)의 제 1 챔버(16)로 액체를 공급하기 위해 체크밸브(33)를 포함하는 제 2 도관(29)과, 상기 제 1 실린더의 제 1 챔버(14)로부터 출구관(1;1,100)으로 액체를 공급하기 위해 체크밸브(35)를 포함하는 제 3 도관(43)과, 상기 제 2 실린더의 제 1 챔버(16)로부터 출구관(1;1,100)으로 액체를 공급하기 위해 체크밸브(34)를 포함하는 제 4 도관(42) 및 방향성밸브(19)로부터 출구관(1;1,100)까지의 연결을 제공하기 위해 체크밸브(38)를 포함하는 제 1 기체도관(27)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원.
  8. 제 1 항에 있어서, 기체 용기(21)가 도관 시스템(24)에 연결되며, 상기 기체용기는 기체원(9)의 압력보다 낮은 압력하에서 소화액으로 출구관(1)및 스프레이 헤드(2,3)를 냉각하기 위하여, 제 1 실린더의 제 2 챔버(15) 또는 제 2 실린더의 제 2 챔버(17)에 각각 선택적으로 통하게 하도록 기체원(9)와 방향밸브(19) 사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원.
  9. 제 1 항에 있어서, 각각 제 1 실린더의 제 2 챔버(15) 또는 제 2 실린더의 제 2 챔버(17)로부터의 기체압력을 얻기 위해 제 1 기체 도관(27)에 포말을 포함하는 용기(22)가 접속되며, 그 용기(22)는 출구관내의 소화액으로 포말을 공급하기 위해 출구관(1)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원.
  10. 제 7 항에 있어서, 물용기(23)가 각각 제 1 실린더의 제 2 챔버(15) 또는 제 2 실린더의 제 2 챔버(17)로부터의 기체압력을 얻기 위해 제 1 기체 도관(27)에 연결되며, 물용기(23)는 출구관으로 초기에 물만을 공급하기 위해 출구관(1,100)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원.
  11. 제 1 항 또는 제 7 항에 있어서, 액체원은 기체원의 압력보다 낮은 액체 용기내에서의 압력을 얻기 위하여 감압장치(3)를 통하여 기체원(900)에 연결된 액체 용기(50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원.
  12. 제 1 항 또는 제 7 항에 있어서, 액체원은 비압축 액체용기(501)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원.
  13. 제 1 항에 있어서, 스프레이 헤드는 스프링클러(2000,3000)의 스프레이 헤드이며, 모터(48)와 펌프(49)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펌프유닛(47)은 액체원의 압력보다 높은 대기 압력하에 출구관을 유지하기 위해 액체원(5)와 출구관(1)에 연결되며, 가압된 기체 용기(39)는 모터와 펌프에 구동력을 제공하기 위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원.
  14. 제 13 항에 있어서, 기체 용기(39)는 감압밸브(37)를 통하여 출구관(1)에 연결되며, 상기 감압밸브는 방향성밸브에 기체용기로부터의 구동력을 제공하기 위하여 방향성 밸브(19)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원.
KR1019997008812A 1998-02-02 1999-02-01 소화용 스프레이 헤드에 소화액을 공급하는 구동원 KR10058385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I980232 1998-02-02
FI980232A FI980232A0 (fi) 1998-02-02 1998-02-02 Drivkaella foer at mata slaeckmedium till spruthuvud foer brandslaeckning
FI980705A FI980705A0 (fi) 1998-02-02 1998-03-27 Drivkaella foer att mata skaeckmedium till spruthuvud foer brandslaeckning
FI980705 1998-03-27
FI980772A FI103017B1 (fi) 1998-02-02 1998-04-03 Käyttölähde sammutusväliaineen syöttämiseksi suihkutuspäihin tulen sammutusta varten
FI980772 1998-04-03
PCT/FI1999/000068 WO1999038573A1 (en) 1998-02-02 1999-02-01 Drive source for feeding extinguishing medium into spray head for extinguishing fir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05741A true KR20010005741A (ko) 2001-01-15
KR100583854B1 KR100583854B1 (ko) 2006-05-26

Family

ID=272417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7008812A KR100583854B1 (ko) 1998-02-02 1999-02-01 소화용 스프레이 헤드에 소화액을 공급하는 구동원

Country Status (18)

Country Link
US (1) US6164381A (ko)
EP (1) EP0979124B1 (ko)
JP (1) JP3566307B2 (ko)
KR (1) KR100583854B1 (ko)
CN (1) CN1150043C (ko)
AT (1) ATE203175T1 (ko)
AU (1) AU738299C (ko)
CA (1) CA2284572C (ko)
DE (2) DE69900183T2 (ko)
DK (2) DK0979124T3 (ko)
ES (1) ES2142786T3 (ko)
FI (1) FI103017B1 (ko)
HK (1) HK1023295A1 (ko)
MY (1) MY124639A (ko)
NO (1) NO317764B1 (ko)
RU (1) RU2215564C2 (ko)
TW (1) TW401310B (ko)
WO (1) WO199903857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422319B2 (en) * 1996-09-06 2002-07-23 Haase, Iii Franz P. Water distribution network for domestic water and fire protection application
US6725940B1 (en) 2000-05-10 2004-04-27 Pierce Manufacturing Inc. Foam additive supply system for rescue and fire fighting vehicles
ATE345850T1 (de) 2001-03-29 2006-12-15 Kidde Ip Holdings Ltd Mittel zum feuerlöschen und zur explosionsunterdrückung
SE0200425L (sv) * 2002-02-14 2003-04-15 Dafo Brand Ab Släckmedelsbehållare och system med behållare
GB2386835B (en) 2002-03-28 2005-04-27 Kidde Plc Fire and explosion suppression
US6684959B1 (en) 2002-08-02 2004-02-03 Pierce Manufacturing Inc. Foam concentrate proportioning system and methods for rescue and fire fighting vehicles
AT504360B8 (de) * 2003-03-19 2008-09-15 Siemens Transportation Systems Sprinkleranlage für schienenfahrzeuge
US20050257938A1 (en) * 2004-05-05 2005-11-24 Elsey Stephen J Sprinkler system
US20060243324A1 (en) * 2005-04-29 2006-11-02 Pierce Manufacturing Inc. Automatic start additive injection system for fire-fighting vehicles
ES1073690Y (es) * 2010-04-27 2011-04-25 L P G Tecn En Extincion De Incendios S L Disposicion de botellas contenedoras de gas extintor para instalaciones de extincion de incendios
FI125784B (fi) * 2010-11-08 2016-02-15 Marioff Corp Oy Palontorjuntajärjestelmän pumppuyksikön sähkömoottoreiden ohjaus
ES2736900A1 (es) * 2018-06-29 2020-01-08 Bayon Javier Seijas Sistema liquidador de incendios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41000A (en) * 1881-05-03 Apparatus for extinguishing fires
US3790310A (en) * 1972-05-10 1974-02-05 Gen Motors Corp Fluid powered air compressor
US3949812A (en) * 1974-11-12 1976-04-13 Hay George P Fire extinguishing system
US4178240A (en) * 1976-05-17 1979-12-11 Pinkerton Harry E Fluid handling system
US4224994A (en) * 1979-06-21 1980-09-30 Deere & Company Single control for gas actuated fire extinguishers
NO146584C (no) * 1980-08-04 1982-10-27 Standard Tel Kabelfab As Reserve pumpeanlegg for oljekabel.
US4527634A (en) * 1982-03-03 1985-07-09 Ici Americas Inc. Emergency vapor powered pump assembly
ATE142521T1 (de) * 1991-06-19 1996-09-15 Goeran Sundholm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brandbekämpfung
ATE167072T1 (de) * 1992-10-20 1998-06-15 Goeran Sundholm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brandbekämpfung
FI96176C (sv) * 1993-07-16 1996-05-27 Goeran Sundholm Förfarande och anläggning för eldsläckning
FI96177C (sv) * 1993-09-10 1996-05-27 Goeran Sundholm Förfarande för eldsläckning
FI935033A0 (fi) * 1993-11-12 1993-11-12 Goeran Sundholm Foerfarande och installation foer eldslaeckning
EP0755286B1 (en) * 1994-04-14 2000-02-23 SUNDHOLM, Göran A fire fighting installation for discharging a liquid-gas fog
FI98494C (sv) * 1994-04-14 1997-07-10 Goeran Sundholm Anordning för eldsläckning
FI98495C (sv) * 1996-03-11 1997-07-10 Goeran Sundholm Brandsläckningssystem
FI102464B (sv) * 1997-03-14 1998-12-15 Marioff Corp Oy Drivkälla för brandsläckningsanordning
US5909775A (en) * 1997-09-10 1999-06-08 Grindley; Robert M. Dual chamber foam pump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979124T1 (de) 2000-06-29
FI103017B (sv) 1999-04-15
US6164381A (en) 2000-12-26
CA2284572C (en) 2007-07-10
DE69900183T2 (de) 2001-10-31
KR100583854B1 (ko) 2006-05-26
DE69900183D1 (de) 2001-08-23
FI980772A0 (fi) 1998-04-03
ES2142786T1 (es) 2000-05-01
DK0979124T3 (da) 2001-11-05
CN1255871A (zh) 2000-06-07
EP0979124A1 (en) 2000-02-16
FI103017B1 (fi) 1999-04-15
EP0979124B1 (en) 2001-07-18
RU2215564C2 (ru) 2003-11-10
CN1150043C (zh) 2004-05-19
JP3566307B2 (ja) 2004-09-15
TW401310B (en) 2000-08-11
AU738299C (en) 2002-04-11
AU738299B2 (en) 2001-09-13
NO994769L (no) 1999-09-30
HK1023295A1 (en) 2000-09-08
DK200000094U3 (da) 2000-08-11
WO1999038573A1 (en) 1999-08-05
JP2001520563A (ja) 2001-10-30
NO994769D0 (no) 1999-09-30
ES2142786T3 (es) 2001-09-16
CA2284572A1 (en) 1999-08-05
NO317764B1 (no) 2004-12-13
ATE203175T1 (de) 2001-08-15
MY124639A (en) 2006-06-30
AU2280499A (en) 1999-08-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83854B1 (ko) 소화용 스프레이 헤드에 소화액을 공급하는 구동원
CA2327803C (en) Device for generating a gas-droplet stream and valve
JP3704361B2 (ja) 消火器
CA2401679C (en) Mixing chamber for producing compressed air foam for fire extinguishing devices
TW342434B (en) Process-gas supply device
JP2004114040A5 (ko)
AU4530200A (en) Liquid mist fire extinguisher
CN1151131A (zh) 磨料混合物供应系统
CA2231709A1 (en) Drive source for fire fighting apparatus
CA2226248A1 (en) Containment and delivery apparatus for hazardous fluids
SU1755714A3 (ru) Способ работы жидкостно-газового эжектора
JPH0994450A (ja) 流動性材料にガスを混入させる方法及び装置
EP2658615B1 (en) Fire suppression system with variable dual use of gas source
CN207221153U (zh) 一种便携式预混合压缩空气泡沫灭火装置
CN112108284B (zh) 一种压缩气体驱动的粉剂喷射器
CN115427115A (zh) 用于产生消防目的的气液混合物的设备
RU34997U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керамической наплавки
FI110067B (sv) Eldsläckningsinstallation för utmatning av vätskegasdimma
KR920016336A (ko) 가용성물질 배출에 적합한 탱크충전 및 재충전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4 Change of applicant [paten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nd registration of full transfer of righ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1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2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11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10

Year of fee payment: 13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