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05733A - 두관을 연결하기 위한 링 클램프 - Google Patents

두관을 연결하기 위한 링 클램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05733A
KR20010005733A KR1019997008804A KR19997008804A KR20010005733A KR 20010005733 A KR20010005733 A KR 20010005733A KR 1019997008804 A KR1019997008804 A KR 1019997008804A KR 19997008804 A KR19997008804 A KR 19997008804A KR 20010005733 A KR20010005733 A KR 2001000573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ew
ring clamp
support
half angle
support p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70088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93087B1 (ko
Inventor
데따블빠스깔
앙드레미쉘
Original Assignee
니꼴 베르네드
에따블리스망 까이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꼴 베르네드, 에따블리스망 까이요 filed Critical 니꼴 베르네드
Publication of KR200100057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057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930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93087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3/00Flanged joints
    • F16L23/04Flanged joints the flanges being connected by members tensioned in the radial plane
    • F16L23/08Flanged joints the flanges being connected by members tensioned in the radial plane connection by tangentially arranged pin and nu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3/00Flanged joi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3/00Flanged joints
    • F16L23/02Flanged joints the flanges being connected by members tensioned axially
    • F16L23/024Flanged joints the flanges being connected by members tensioned axially characterised by how the flanges are joined to, or form an extension of, the pipes
    • F16L23/026Flanged joints the flanges being connected by members tensioned axially characterised by how the flanges are joined to, or form an extension of, the pipes by weld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3/00Flanged joints
    • F16L23/04Flanged joints the flanges being connected by members tensioned in the radial plan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amps And Clips (AREA)
  • Quick-Acting Or Multi-Walled Pipe Joints (AREA)
  • Mutual Connection Of Rods And Tubes (AREA)
  • Supports For Pipes And Cables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 Flanged Joints, Insulating Joints, And Other Joints (AREA)
  • Medicines Containing Antibodies Or Antigens For Use As Internal Diagnostic Ag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한 링 클램프는 두 반각(19,20)을 갖고 있고, 각 반각은 외향으로 뻗는 지지 패드(12,22)가 있는 제 1 단부를 갖고 있고, 또한 반각들의 두 제 2 단부를 분리 가능하게 연결시키는데 사용되는 연결 수단의 한 요소(14,22)가 장착된 제 2 단부를 갖고 있다. 상기 반각의 단면은 실질적으로 U 형상이고 이 "U"의 두 가지는 내측으로 뻗고 두 관의 단부들의 돌출 지지 표면과 협동 작용할 수 있다. 이 클램프는 조임 나사(30)를 포함하고, 나사의 포스트(32)는 지지 패드(12,22)의 관통 홀을 통과한다. 포스트의 길이(L)는 폐쇄되었을 때의 링 클램프의 반경(R)과 적어도 대략 같고 상기 포스트는 지지 패드의 홀 내에 느슨하게 삽입되어 있다. 상기 연결 수단의 요소들(14,24)은 제 2 반각 단부들을 결합시키기 위해 연합되도록 또는 나사의 포스트가 지지 패드의 홀 내에 제자리에 잔류하는 동안 상기 단부들을 격리 유지하기 위해 분리되도록 설계되어 있다.

Description

두 관을 연결하기 위한 링 클램프{Ring clamp for connecting two tubes}
상기와 같은 형의 링 클램프는 미국 특허 제 3 014 259 호 및 제 3 964 773 호에 의해 알려져 있다. 이들 링 클램프에 있어서는, 연결 수단은 사실상 힌지를 구성하고 그 힌지는 두 반각이 연결된 뒤에는 그것들이 영구적으로 서로 결체되어 있게 유지한다. 링 클램프를 관들의 지지 표면 주위에 위치시키기 위해 두 반각은 이들을 연결될 관의 지지 표면 주위에 배치시키기 위해 힌지를 이용하여 격리 유지되고 두 반각은 나사를 지지 패드에 있는 홀 내에 밀어 넣어 링 클램프를 조이기 전에 서로 함께 합쳐진다.
이 과정은 비교적 용이하지만, 반각이 관의 지지표면 주위에 배치된 후, 나사를 지지 패드 내에 삽입하고 너트를 나사 위에 배치한 뒤 그 너트를 조이는 것으로 되어 있는 조작을 필요로 한다. 링 클램프를 조작하는 조작자는 따라서 세 개의 별도의 부품, 즉 서로 조립되어야 될 두 반각, 나사 및 너트를 이용할 수 있어야 한다. 끝으로, 조작자는 상당한 시간 손실의 원인이 될 수 있는 세 가지 부품의 조립을 행해야 하고 그 위에 나사나 너트와 같은 비교적 크기가 작은 부품은 손으로부터 미끄러져 땅에 떨어질 우려가 있다.
더군다나, 링 클램프는 흔히 나사와 너트가 이미 제자리에 위치하는 예비 조립된 상태로 배달되어진다. 링 클램프를 설치하는 조작을 행하기 전에 너트의 나사 풀기 및/또는 지지 패드의 홀로부터 나사의 제거가 선행되어야 한다.
GB-A-2 094 385는 상기 유형의 다른 링 클램프를 보여주는데, 그 링 클램프의 두 반각 연결 수단은 슬롯이 있는 패드를 포함하고 그 슬롯 내에는 다른 패드가 맞물린다. 이 문헌에서는, 연결 수단이 링 클램프의 부품의 수를 줄이기 위한 수단으로서 제공되어 있다.
GB-A-2 094 385는 고정될 물체 주위에 링 클램프를 조립하는 모드를 규정하고 있지는 않으나 생각될 수 있는 단일의 조립 모드는 US-A-3 014 259 및 US-A-3 964 773의 링 클램프의 것과 같은 것으로 보인다.
GB-A-2 094 385의 도면은 포스트의 길이가 조여진 상태에서 링 클램프의 반경보다 약간 긴 것 같기 때문에 조임 나사가 비교적 긴 것을 보여주고 있다. 그러나 이 문제에 관해 아무런 특별한 언급도 없고 도면에 도시된 나사의 길이는 어떤 기술적 정당화 근거도 갖고 있지 않다.
본 발명은 두 관을 연결하기 위한 링 클램프에 관한 것으로서,관의 양단은 상기 관의 원통형 외표면에 대하여 돌출하는 지지 표면을 갖고 있는 두 관을 연결하기 위한 링 클램프에 관한 것이다. 링 클램프는 두 개의 반각(하프 셸)을 포함하고 있으며, 각 반각은 외향으로 뻗고 홀을 가진 지지 패드가 있는 제 1 단부 및 반각의 제 2 단부를 분리 가능한 방식으로 조립하도록 의도된 연결 수단의 한 요소가 있는 제 2 단부를 갖고 있고, 상기 반각들은 그 연속 부분 내에 그의 암이 내향으로 뻗고 두 관의 상기 지지 표면과 협동하기에 적합하게 되어 있는 사실상 U자 형태의 단면을 갖고 있고, 링 클램프는 지지 패드와 협동하기에 적합하게 되어 있는 조임 나사를 포함하고 있으며, 그 나사의 포스트는 그 홀을 통과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링 클램프의 측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화살표 Ⅱ방향의 부분도이고,
도 3은 도 1의 Ⅲ-Ⅲ선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1의 화살표 Ⅳ방향으로의 부분도이고,
도 5 내지 8은 링 클램프를 연결될 두 관의 단부에 위치시키는 4 연속 단계를 예시하고,
도 9는 링 클램프의 다른 구체형을 보여주는 도 1과 유사한 측면도이고,
도 10은 도 9의 Ⅹ-Ⅹ선 부분 단면도이고,
도 11은 도 10의 ⅩⅠ-ⅩⅠ선 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나사의 포스트가 조여진 상태에서 링 클램프의 반경과 같은 크기 정도의 길이를 갖는 상기한 종류의 링 클램프에 적용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링 클램프의 위치화를 더욱 간략하게 하고 복수개의 개별 부품들을 조작할 필요가 없도록 하는 것이다.
이 목적은, 나사의 포스트(기둥)가 지지 패드 내 홀 내에 느슨하게 장착되어 상기 포스트 주위에 있어 홀 내에 간극이 배치되고 또한 연결 수단의 요소들이 연결되어 반각의 제 2 단부를 조립할 수 있거나 또는 분리되어 나사의 포스트가 지지 패드의 홀 내 제자리에 있을 때라 할지라도 제 2 단부들을 격리시킬 수 있음으로써 달성된다.
이들 배열에 의해 링 클램프를 구성하는 여러 요소들을 전체적으로 예비조립하고, 나사의 포스트를 지지 패드 내 홀을 통과하게 하고, 너트를 단지 부분적으로 조여서 그것이 나사 포스트의 한 단부 부근에 머물게 할 수 있다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통상적으로 링 클램프는 이 예비 조립된 상태로 공급된다. 링 클램프를 제자리에 위치시키기 위해서는, 연결 수단을 풀어서 반각의 단부들을 분리하고, 나사 포스트의 길이 또한 이 포스트 주위 지지 패드의 홀에 존재하는 간극을 이용하여 두 반각을 차례로 하나씩 너트의 지지 표면 주위에 배치하고 그런 후 링 클램프를 나사와 너트를 사용하여 정상적으로 조이기 전에 반각의 제 2 단부를 조립하는 것으로 충분하다. 이들 조작은 지극히 간단하고 링 클램프를 제자리에 배치시킬 때에 링 클램프의 어떤 한 부품도 잃어버릴 우려가 없는 것이다.
나사 포스트의 길이는, 조여진 상태에서(이것은 반각의 내면으로부터 측정된 내 반경의 문제임) 링 클램프의 반경과 거의 같은 크기로 선정되며, 그런 길이는 나사 포스트와 나사가 삽입되는 홀 사이의 간극의 존재와 조합되어 나사를 제거할 필요 없이 링 클램프를 제 위치에 배치하기에 충분하다는 것이 입증되었다.
예컨대, 반경이 25 내지 40 mm이고 잔류하는 U의 암의 높이가 대략 5 mm인 링 클램프의 경우에는, 포스트가 45 mm(따라서 이 길이는 링 클램프의 반경보다는 약간 큼)인 나사가, 나사 포스트와 나사가 삽입되는 홀 사이의 간극 0.5 내지 1.5 mm를 합해, 적당할 것이다.
반경이 45 내지 50 mm로서 좀더 크고 U의 암 높이는 여전히 대략 5 mm인 링 클램프의 경우에는, 45 mm 정도의 포스트 길이(대체로 반경과 같음)가 대체로 같은 간격을 합친 것이 적합할 것이다. 사실 필요한 포스트의 길이는 링 클램프의 반경과 U의 암의 높이간의 비에 의존한다. 암의 높이가 보다 큰 통상적인 링 클램프의 경우 반경보다 약간 큰 길이가 필요할 것이다.
일반적으로, 조여진 상태에 있어서 링 클램프의 반경의 1 배 내지 2 배 내에 포함되는 포스트의 길이가 홀에 있어서 포스트의 간극인 10 분의 수 밀리미터 내지 1 또는 2 밀리미터와 합해 사용되면 나사를 제거하지 않고도 링 클램프가 제 위치에 놓여질 수 있다. 상당히 여러 바퀴를 돌려야만 하는 너트 조임을 피하려면, 포스트의 길이가 조여진 상태에서 최대 링 클램프 반경의 1.5 배 정도이면 바람직하다는 것을 유의해야 할 것이다.
연결 수단은 유리하게는 제 1 반각의 제 2 단부에 위치하는 제 1 러그를 포함하고, 이 러그는 상기 제 1 반각의 외주로부터 실질적으로 반경 방향 외향으로 돌출하고 후크를 형성하기 위해 내향으로 만곡된 자유단을 갖고 있고, 연결 수단은 제 2 반각의 제 2 단부에 위치하는 제 2 러그를 포함하고, 이 러그는 상기 제 2 반각의 외주로부터 실질적으로 외향으로 돌출하고 상기 후크와 협동하기에 적합하게 되어 있다.
그래서 연결 수단은 간단하고 경제적으로 제조된다. 더욱이, 이 수단이 링 클램프의 연속 주위에 대해 반경 방향으로 돌출하는 한, 두 반각을 상호에 대해 아주 힘주어 경사지게 하지 않더라도 그것들을 결합 또는 분리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이하 비한정적 실시예에 의해 표시된 구체형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용이하게 이해되고 그 이점이 명백해 질 것이다.
도 1의 링 클램프는 두 반각(10 및 20)을 포함하고 있는데, 그들 반각은 각각 지지 패드(12 및 14)가 구비된 제 1 단부, 및 연결 수단(14,24)이 구비된 제 2 단부를 갖고 있다. 합해서 고려하면, 요소들(14 및 24)은, 반각(10 및 20)의 두 단부가 분리 가능한 방식으로 조립될 수 있게 하는 연결 수단을 구성한다. 지지 패드(12 및 22)는 링 클램프로부터 외향으로 뻗어 있고, 즉 그것들은 링 클램프의 중심으로부터 원격한 방향으로 클램프의 계속되는 외주로부터 뻗어 있다. 두 패드(12 및 22)는 평행하고 전체적으로 링 클램프의 반경 평면에 위치해 있다. 나사(30)의 포스트(32)는 지지 패드(12 및 22) 내에서 이루어져 있는 두 정렬된 홀(12' 및 14')을 통과한다.
두 반각은 금속 밴드를 사실상 반 바퀴 감고 적당히 저온 햄머링 하여 만든다.
링 클램프를 조이기 위해서는, 반각(10 및 20)의 두 단부를 연결 수단(14 및 24)에 의해 조립하고, 나사를 조이기 위한 너트(34)를 작동하여 두 지지 패드(12 및 22)를 결합시킨다. 나사의 헤드(36)는 한 지지 패드(12)와 협동하는 한편 너트(34)는 직접 또는 간접으로 다른 지지 패드(22)와 협동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워셔(38)는 지지 패드(22)에 고정되어 있고 지지 패드(12)의 반대쪽에 있는 워셔의 단부(38a)는 조임 과정 중 너트의 정지부 역할을 한다는 것을 유의해야 한다. 이 워셔는, 이것을 단순히 패드(22)의 홀(14') 내에 맞물리고 상기 단부(38a)의 반대쪽의 단부(38b)를 변형하여 패드에 리벳으로 고정되어 있다.
연결 수단(14)은 한 반각(10)의 제 2 단부에 위치하는 제 1 러그를 형성한다. 이 제 1 러그는 이 반각의 외주로부터 링 클램프의 반경 방향 외측으로 돌출해 있고 그 자유단(14a)은 내측으로 만곡되어 후크를 형성하고 있다. 연결 수단(24)은 다른 반각(20)의 제 2 단부에 위치하는 제 2 러그를 형성하고, 그 러그는 이 제 2 반각의 외주로부터 대략 반경 방향 외측으로 돌출해 있고 후크(14a)의 중공부 내에 맞물림으로써 후크와 협동작용하기에 적합하도록 되어 있다. 두 러그(14 및 24)는 링 클램프의 전체적 둘레에 대해 반경 방향으로 뻗어 있다. 후크의 자유단으로부터 측정된 러그(24)의 높이(맞물림 높이)는 작고 보통 2 내지 5 mm 정도 되고, 그 결과 반각(10)을 반각(20)에 대해 링 클램프의 외측으로 그다지 많이 밀지 않아도 후크(14)를 러그에 맞물릴 수 있다. 더욱이 후크 바닥의 폭은 러그(24)의 두께보다 커서(대략 상기 두께의 1.5배와 같음) 두 반각을 상대적으로 경사지게 함에 의해 러그(24)는 후크(14a) 내에 용이하게 결합될 수 있다는 것을 유의해야 할 것이다. 링 클램프를 고정하려 할 때, 연결 수단은 힌지처럼 작용하고, 이 힌지 주위로 너트를 나사에 조일 때 반각들은 선회한다.
도 3의 단면도에서 볼 수 있는 것처럼, 반각의 연속 부분은 웨브(40) 및 두 암(41 및 42)을 가진 대략 U 자 형상의 단면을 나타낸다. 도 3은 또한 가는 선으로 플랜지(44a 및 46a)를 나타내는 두 관(44 및 46)의 단부를 보여주는데 그 플랜지 위에 링 클램프의 반각이 위치하고 있음을 볼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플랜지는 각각 지지 표면(44b 및 46b)을 갖고 있고 반각들의 단면에 의해 형성된 U의 암들(41 및 42)은 상기 표면들과 협동하여 관들을 상호간에 밀폐적으로 조인다.
지지 표면(44b 및 46b)은 암(41 및 42)과 마찬가지로 실제로는 유리하게도 절두 되어 있고 그 결과 링 클램프를 조이면 효과상 두 관을 서로 결합하게 된다. 반각의 단면이 전체적으로 U자 형태라고 말하면서 강조해야 할 사실은, 링 클램프는 그 둘레의 대부분에 걸쳐 두 개의 안쪽을 향한 측면 또는 벽(16 및 18)을 갖고 있으며, 이 측면들은 U 부분의 암들에 의해 그 중앙 평면(P)에 대해 전체적으로 대칭적으로 형성되어 있고 관의 양단에 형성된 플랜지의 지지면과 협동하기에 적합하게 되어 있다는 점이다. U의 기저를 형성하고 링 클램프의 외주를 한정하는 평탄부(40)는 이들 플랜지의 치수에 따라 길거나 짧을 수 있다. 그 평탄부는 아주 없을 수도 있는데, 그 경우에는 링 클램프의 단면은 V자 형태와 비슷할 것이다.
도 2의 부분도는, 러그(14 및 24)는 반각의 단부를 변형함에 의해 형성되는 것, 예컨대 스탬핑에 의해 얻어지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그들 단부는 반경 방향으로 상승되고 그래서 측벽(16 및 18)도 또한 상승되어 러그가 용이하게 형성되도록 돕는다.
극단의 경우에는, 단순한 나삿니 포스트에 의해 구성된 나사를 사용할 수도 있는데 그 때에는 지지 패드(12 및 22)의 각각과 협동하는 두 너트에 의해 나사는 죄어진다. 바람직하게는, 도 1에 표시되어 있는 것처럼, 그의 헤드(36)가 포스트와 일체로 된 나사를 사용하고, 단지 너트(34)를 조작하여 조이기만 하면 된다. 그 경우에는 나사의 헤드(36)와 협동하는 지지 패드(12)에는 바람직하게 패드의 회전 방지를 위한 수단을 장착한다.
보다 정밀하게는, 도 4에 도시한 것처럼, 나사의 헤드는 적어도 하나의 평탄 부분(36a)(단지 예시를 위해 다각형 헤드가 채택되어 있다)을 포함한다. 나사의 헤드가 협동하는 지지 패드(12)는 다른 지지 패드(22)로부터 원격하게 뻗는 플랜지(12a)를 갖고 있다. 이 플랜지는 나사의 헤드(36)를 위한 하우징(13)을 획정한다(이 플랜지는 예컨대 헤드의 두께 보다 약간 더 긴 길이에 걸쳐 뻗는다). 플랜지(12a)는 적어도 그 윤곽의 일부에 걸쳐 상기한 평탄부(36a)와 협동하기에 적합하도록 사실상 평평한 부분(13a)을 갖고 있다. 단지, 다각형 헤드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플랜지에는, 링 클램프의 연속 외주로부터 가장 원격한 부분에 유사한 다각형 형상을 배치하는데, 그 다각형의 변들은 나사의 헤드와 플랜지 사이에 작은 간극(f)을 형성하도록 나사의 변들보다는 약간 길게 한다.
이 방법에 의해, 헤드(36)는 완전히 막히지는 않고 이것은 다음에 설명할 것처럼 나사와 패드(12)의 약간의 상대적 간극을 허용하며 그렇지만 나사의 헤드는 하우징(13) 내에서 회전할 수 없다. 이 하우징 내에 헤드를 유지하기 위해, 하우징은 유리하게도 벽 요소(15)를 갖는데 이 요소는 지지 패드(22)의 반대쪽에서 하우징을 부분적으로 막는다. 예컨대 대략 직각으로 절곡된 플랜지의 연장부(12a)에 의해 구성되는 벽 요소(15)는 나사와 지지 패드(12)의 상대적 간극을 저지하지 않도록 만들어진다.
패드(12)의 플랜지(12a)는 유사한 패드(22)의 플랜지(22a)와 마찬가지로 패드들이 링 클램프를 조일 때 구부러지지 않도록 그 패드들을 강고하게 하는 수단을 또한 구성한다.
도 1에서 기호(j1)는 나사의 포스트와 패드(12)의 홀(12') 사이에 유지되는 간극을 표시하고 기호(j2)는 나사의 포스트와 워셔의 내주 사이에 배치된 간극을 표시한다. 워셔(38)가 없을 경우에는, 그런 간극(j2)은 지지 패드(22)의 홀(14')과 나사의 포스트 사이에 형성될 것임을 유의해야 할 것이다.
나사의 포스트는 홀 내에 느슨하게 장착되어 있는데, 이것은 연결 수단(14 및 24)이 분리될 때, 두 반각이 나사에 대해 도 6에 표시된 F1 및 F2의 방향으로 변위할 수 있을 만큼 간극(j1 및 j2)이 충분히 크다는 것이다. 그 이상의 변위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워셔(38)의 내주는 절두되어 그 단부(38a) 쪽으로 넓어져 있다. 결체에 필요한 화살표 F1 및 F2의 방향으로의 나사의 포스트에 대한 두 반각의 각도 간극은 U의 암(41 및 42)의 높이에 의존하고(도 3), 보다 상세하게는 암(41 및 42)과 플랜지(44a 및 46a) 사이의 중첩부의 높이에 의존한다. 그런 각도 간극은 간극(j1 및 j2)에 의해 결정된다.
도 1에서는, 나사의 포스트의 길이(L)는 결체 상태에서 적어도 대략 링 클램프의 반경과 같다는 것을 관찰할 수 있다. 이 배열에 의해, 너트가 파선으로 표시된 나사 포스트의 단부에 위치할 때, 반각(10 및 20)의 제 1 단부들은 포스트를 따라 충분한 길이(너트(34)의 두께에 의해 감소된 길이와 대략 같은)에 걸쳐 미끄러짐에 의해 상호간으로부터 격리 이동될 수 있게된다.
최초에 예비 조립되어 있는(즉 나사는 그 전에는 지지 패드의 홀 내에 수장되어 있음) 링 클램프를 제 자리에 위치시키기 위해, 반각(10 및 20)의 제 2 단부들을 먼저 서로 격리시켜 연결 수단(14 및 24)을 분리한다. 그런 후 반각의 제 1 단부들을 나사 포스트(32)를 따라 서로에 대해 이동시킴으로써 격리시킨다. 그때 너트는 최대 이동 거리를 확보하기 위해 도 1에 있어 파선으로 표시된 위치인 나사의 거의 단부에 위치되게 할 것에 유의해야 한다. 그런 후 두 반각을 나사 포스트 주위로 서로에 대해 선회시켜서 제 1 반각이 관의 지지 표면 위에 위치하게 한다. 그래서 도 5에 표시된 상황이 얻어진다. 이 경우에는, 바람직하게는 관의 플랜지 위에 놓이는 것은 러그(24)를 가진 반각(20)이며, 다른 반각(10)은 대략 직각만큼(도면의 평면에 대해 직각) 선회된다.
반각들을 격리 유지시킨 가운데, 그런 다음에는 제 2 반각(현재의 경우에는 반각(10))을 첫째(20)의 평면에 돌아갈 수 있게 아래로 돌린다. 이 경우 반각(10)의 제 2 단부는 포스트의 길이가 충분히 긴 덕택으로 어려움 없이 관과 그 플랜지에 의해 구성된 방해를 극복 통과한다. 반각(10)이 반각(20)에 대해 화살표(F2)의 반대 방향으로 약간의 각도 간극을 가진 것에서 득을 볼 수도 있을 것이다.
이 위치로부터 반각의 두 단부를 연결 수단(14 및 24)을 결합함으로써 조립한다. 이 경우 포스트의 길이와 그것이 지지 패드의 홀 내에 느슨하게 조립되어 있는 것과 관련하여 두 반각이 서로에 대해 충분히 큰 간극을 가진 것에서 또한 이득을 볼 수 있다. 더욱이 상기와 같이 연결 수단은 유리하게도 러그(14 및 24)의 형태를 갖고 있어, 이들은 반각의 제 1 단부를 아주 많이 "개방"시킬 필요 없이 서로 맞물려질 수 있다. 도 7은 화살표(F1 및 F2)의 방향으로의 간극을 이용하여 후크(14)가 러그(24) 아래로 통과하는 결체 단계를 보여준다.
끝으로, 결체 후에는, 반각의 제 1 단부들을 나사를 따라 상대적으로 이동시킴에 의해 그 단부들을 접근시키고 동시에 반각(10)을 관의 지지 표면 위에 위치시킬 수 있다. 이 상대적 직선 이동 중에는, 연결 수단이 힌지로 이용된다. 그러면 도 8에 도시된 위치가 얻어지고 그 위치에서는 너트를 나사 조여 나사에 의해 링 클램프를 조여 고정하는 것이 충분히 가능하다.
도 9 및 10에는 도 1 내지 8에서와 유사한 요소들은 100 만큼 더 증가된 같은 부재 번호를 갖고 있다.
두 반각(110 및 120)은, 반각(110)에 대해 도 11에 표시한 것처럼, 그 암이 축방향으로 뻗게 약간 상승된 에지(110a, 120a)를 가진 U 단면을 갖고 있다.
지지 패드(112 및 122)는 플랜지 또는 측벽(112a,122a)에 의해 보강되어 있고, 이 플랜지는 도 1의 플랜지(12a 및 22a)와는 반대로 암의 절곡 없이 반각의 단면에 의해 형성된 U의 암에 연속하여 연장되어 있다.
결론적으로, 도 9에서는 나사(130)의 헤드(136)가 하우징 내에 배치되어 있지 않다. 나사가 지지 패드(112)의 홀(112') 내에서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헤드(136)에 바로 인접한 나사의 포스트(132) 구역은 비원형의 네크 베어링(133)(예컨대 정방형 네크 베어링 또는 평탄부가 있는 볼)을 가졌고 홀(112')은 그 네크가 맞물려질 수 있는 형상을 가졌다. 도 10에 표시된 것처럼, 홀(112')은 네크(133) 보다 약간 더 크고 그래서 나사의 포스트와 홀(114')의 에지 사이에는 간극(j1)이 유지되어 있다.

Claims (8)

  1. 관의 양단은 이 관의 원통형 외표면에 대해 돌출하는 지지 표면(44b,46b)을 갖고 있는 두 관(44,46)을 연결하기 위한 링 클램프로서, 링 클램프는 두 개의 반각(하프 셸)(10,20;110,120)을 포함하고 있으며, 각 반각은 외향으로 뻗고 홀(12',14';112',114')을 가진 지지 패드(12,22;112,122)가 있는 제 1 단부 및 반각의 제 2 단부를 분리 가능한 방식으로 조립하도록 의도된 연결 수단의 한 요소(14,24;114,124)가 있는 제 2 단부를 갖고 있고, 상기 반각들은 그 연속 부분 내에 그의 암이 내향으로 뻗고 두 관의 상기 지지 표면과 협동하기에 적합하게 되어 있는 사실상 U자 형태의 단면을 갖고 있고, 링 클램프는 지지 패드와 협동하기에 적합하게 되어 있는 조임 나사(30;130)를 포함하고 있으며, 그 나사의 포스트(32,132)는 그 홀을 통과하고, 나사(30;130)의 포스트(32;132)는 조여진 상태에서 링 클램프의 반경(R)과 같은 크기 정도의 길이(L)를 가진 두 관을 연결하기 위한 링 클램프에 있어서,
    상기 포스트는 지지 패드의 홀(12',14';112',114') 내에 느슨하게 장착되어 있고, 나사(30;130)의 포스트(32;132) 주위에 상기 홀 내에 간극(j1,j2)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연결 수단의 요소들(14,124;114,124)은, 나사(30,130)의 포스트(32;132)가 베어링의 홀 내 제자리에 있다 할지라도, 연결되어 반각(10,20;110,120)의 제 2 단부들을 조립할 수 있고 또는 분리되어 상기 제 2 단부들을 분리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 관을 연결하기 위한 링 클램프.
  2. 제 1 항에 있어서, 연결 수단은 제 1 반각(10;110)의 제 2 단부에 위치하는 제 1 러그(14,114)를 포함하고, 이 러그는 상기 제 1 반각(10;110)의 외주로부터 실질적으로 반경 방향 외향으로 돌출하고 후크를 형성하기 위해 내향으로 만곡된 자유단(14a)을 갖고 있고, 연결 수단은 제 2 반각(20,120)의 제 2 단부에 위치하는 제 2 러그(24;124)를 포함하고, 이 러그는 상기 제 2 반각의 외주로부터 실질적으로 외향으로 돌출하고 상기 후크(14a)와 협동하기에 적합하게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 관을 연결하기 위한 링 클램프.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나사는 그의 포스트(32,132)와 일체로 형성된 헤드(36,136)를 갖고 있어, 이 나사는 나사의 헤드(36;136)가 협동하는 지지 패드(12;112)의 홀(12';12')에 대해 나사(30;130)의 회전을 방지하기 위한 수단(13a,36a;133,112')을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링 클램프.
  4. 제 3 항에 있어서, 나사의 헤드(36)는 적어도 하나의 평탄 부분(36a)을 갖고 있는데, 제 1 지지 패드(12)는 제 2 지지 패드로부터 원격하게 뻗는 플랜지(12a)를 갖고 있고, 이 플랜지는 나사(30)의 헤드(36)를 위한 하우징(13)을 획정하고 적어도 그 윤곽의 일부에 걸쳐 상기 평탄 부분과 협동하기에 적합한 실질적으로 평탄한 부분(13a)을 갖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링 클램프.
  5. 제 4 항에 있어서, 하우징(13)은, 상기 하우징을 제 2 지지 패드(20)의 반대쪽에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폐쇄하고 나사의 헤드를 그 하우징 내에 유지하는 벽 요소(15)를 갖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링 클램프.
  6. 제 3 항에 있어서, 나사(130)의 포스트(132)는 상기 나사의 헤드(136) 부근에 비원형 네크 베어링(133)을 포함하고 있으며, 나사의 헤드가 협동하는 지지 패드(112)의 홀(112')은 상기 홀(112')의 에지에 대해 네크(133)의 맞물림을 허용하는 형상을 갖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링 클램프.
  7. 제 1 항, 제 2 항, 제 4 항 내지 제 6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한 지지 패드(22)의 홀에는 워셔(38)가 장착되어 있고 그 워셔는 지지 패드에 고정되어 있고 다른 지지 패드(12)의 반대쪽에 위치하는 워셔의 단부(38a)는 나사(30)를 조이기 위한 너트(34)를 위한 정지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링 클램프.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따르는 링 클램프를 위치시키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나사(30)는 그 전에 지지 패드(12,22)의 홀 내에 배치되어 있고; 반각(10,20)의 제 2 단부들은 연결 수단을 분해하여 서로 격리시키고; 반각의 제 1 단부들을 나사의 포스트(32)를 따른 상기 제 1 단부들의 상대적 직선 이동에 의해 서로 격리시키고; 두 반각을 나사의 포스트 주위에 서로에 대해 선회시키고; 반각들을 격리 유지시킨 채 제 1 반각(20)을 관의 지지 표면 위에 배치하고; 제 2 반각(10)을 돌려 제 1 반각의 평면에 복귀시키고; 반각들의 두 단부(14,24)를 조립하고; 나사의 포스트(32)를 따라 상대적 직선 이동시킴에 의해 반각의 제 1 단부들을 접근시켜 제 2 반각이 관의 지지 표면 위에 배치되게 하고; 나사를 사용하여 링 클램프를 조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링 클램프를 위치시키기 위한 방법.
KR10-1999-7008804A 1997-03-26 1998-03-26 두관을 연결하기 위한 링 클램프 KR10039308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9703674 1997-03-26
FR9703674A FR2761452B1 (fr) 1997-03-26 1997-03-26 Collier de serrage pour le raccordement de deux tubes
PCT/FR1998/000613 WO1998043010A1 (fr) 1997-03-26 1998-03-26 Collier de serrage pour le raccordement de deux tube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05733A true KR20010005733A (ko) 2001-01-15
KR100393087B1 KR100393087B1 (ko) 2003-07-31

Family

ID=95051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7008804A KR100393087B1 (ko) 1997-03-26 1998-03-26 두관을 연결하기 위한 링 클램프

Country Status (15)

Country Link
JP (1) JP2001519016A (ko)
KR (1) KR100393087B1 (ko)
AR (1) AR012180A1 (ko)
AU (1) AU7051698A (ko)
BR (1) BR9808091A (ko)
CA (1) CA2284861A1 (ko)
DE (1) DE19882234T1 (ko)
ES (1) ES2172374B1 (ko)
FR (1) FR2761452B1 (ko)
GB (1) GB2338526B (ko)
HU (1) HUP0002340A2 (ko)
PL (1) PL186329B1 (ko)
SE (1) SE519025C2 (ko)
TW (1) TW432177B (ko)
WO (1) WO1998043010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383022A (zh) * 2012-05-02 2013-11-06 诺马德国有限责任公司 异形夹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UPP863899A0 (en) * 1999-02-12 1999-03-11 Mining Supplies Australia Pty Ltd Interlocking pipe coupling
GB2367871B (en) * 2000-09-15 2004-06-23 Andre Smith Clamp
SE0100143L (sv) 2001-01-17 2002-07-18 Lindab Ab Kopplingsring samt anordning och förfarande för användning av denna
FR2842276B1 (fr) 2002-07-15 2004-09-24 Caillau Ets Collier de serrage
FR2863335B1 (fr) * 2003-12-04 2007-11-02 Caillau Ets Collier de serrage
US20070052239A1 (en) * 2005-08-24 2007-03-08 Victaulic Company Of America Stop assembly for pipe couplings
US8282136B2 (en) 2008-06-30 2012-10-09 Mueller International, Llc Slip on groove coupling with multiple sealing gasket
FR2967230B1 (fr) * 2010-11-05 2013-08-30 Caillau Ets Collier de serrage articule
FR2974878A1 (fr) * 2011-05-05 2012-11-09 Caillau Ets Collier de serrage a charniere
DE102011117753B4 (de) 2011-11-05 2013-09-12 Norma Germany Gmbh Profilschelle
US9039046B2 (en) 2012-01-20 2015-05-26 Mueller International, Llc Coupling with tongue and groove
US9194516B2 (en) 2012-01-20 2015-11-24 Mueller International, Llc Slip-on coupling
US9534715B2 (en) 2012-01-20 2017-01-03 Mueller International, Llc Coupling gasket with multiple sealing surfaces
US9500307B2 (en) 2012-01-20 2016-11-22 Mueller International, Llc Slip-on coupling gasket
HUE030583T2 (en) 2012-06-14 2017-05-29 Norma Germany Gmbh profile Clamp
US9168585B2 (en) 2012-11-02 2015-10-27 Mueller International, Llc Coupling with extending parting line
CN105402519A (zh) * 2015-12-08 2016-03-16 天津市凯诺实业有限公司 一种新型v形卡箍
CN106402103B (zh) * 2016-12-07 2018-10-23 上海宇航系统工程研究所 一种快速拆装装置
DE102018114087A1 (de) 2018-06-13 2019-12-19 Norma Germany Gmbh Profilschelle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432189A (en) * 1966-03-21 1969-03-11 Aeroquip Corp Flexmaster end restraint
US3567258A (en) * 1969-03-10 1971-03-02 Domer Scaramucci Seal assembly
US3964773A (en) * 1974-09-13 1976-06-22 Mercury Metal Products, Inc. Anti-emission exhaust pipe joint and clamp therefor
GB2094385A (en) * 1981-03-05 1982-09-15 Terry Herbert & Sons Ltd Exhaust clamp
DE3874604T2 (de) * 1987-05-14 1993-02-11 Dorbyl Light & Gen Eng Rohrverbindung.
DE8814193U1 (ko) * 1988-11-12 1989-01-26 Jeschke, Immanuel, 3203 Sarstedt, De
US5509702A (en) * 1994-08-23 1996-04-23 Eg&G Pressure Science, Inc. Low distortion pipe coupling devic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383022A (zh) * 2012-05-02 2013-11-06 诺马德国有限责任公司 异形夹
US9651179B2 (en) 2012-05-02 2017-05-16 Norma Germany Gmbh Profile clamp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FR2761452A1 (fr) 1998-10-02
AU7051698A (en) 1998-10-20
GB9922329D0 (en) 1999-11-17
GB2338526B (en) 2001-11-14
ES2172374B1 (es) 2003-11-01
KR100393087B1 (ko) 2003-07-31
CA2284861A1 (en) 1998-10-01
PL186329B1 (pl) 2003-12-31
HUP0002340A2 (hu) 2000-11-28
FR2761452B1 (fr) 1999-06-11
JP2001519016A (ja) 2001-10-16
PL335977A1 (en) 2000-06-05
BR9808091A (pt) 2000-03-08
WO1998043010A1 (fr) 1998-10-01
SE9903458D0 (sv) 1999-09-24
GB2338526A (en) 1999-12-22
DE19882234T1 (de) 2000-03-23
ES2172374A1 (es) 2002-09-16
TW432177B (en) 2001-05-01
AR012180A1 (es) 2000-09-27
SE519025C2 (sv) 2002-12-23
SE9903458L (sv) 1999-1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10005733A (ko) 두관을 연결하기 위한 링 클램프
US5820168A (en) Fastener device for holding a tube junction member to a plate through which it passes via an associated opening
US5071177A (en) Locking device for the positive holding of a cover or grate in a frame
KR102451029B1 (ko) 2개의 튜브를 함께 연결하기 위한 조절식 각도 위치결정부를 갖춘 클램핑 시스템
US5314215A (en) Flange ring
KR102048264B1 (ko) 풀림방지 너트
US5213006A (en) Bicycle stem mechanism having internal rigidifying washer
FR2636734A1 (fr) Dispositif pour fixer un compteur d'eau sur une embase et procede s'y rapportant
US4624429A (en) Hose fixture
US4691889A (en) Joint construction and overhead hanger
NL1001709C2 (nl) Inrichting voor het bevestigen van een voorwerp, meer in het bijzonder van een leiding, aan een wand.
EP1744068A1 (en) Fastener retention mechanism
KR101071491B1 (ko) 클램핑 링
KR200141960Y1 (ko) 리벳없는 너트판과 체결구
EP0661466B1 (en) Bolt-tightened type coupling
US6905145B2 (en) Connection of a hose clamp and a hose for pre-positioning the hose clamp
JPH04316783A (ja) 管支え
JP4603137B2 (ja) 管離脱防止装置
JP2006000629A (ja) 少なくとも2個のブレスレット用リンクを取り付けるヒンジ装置
US4528769A (en) Casting handle for fishing rod
JP3927896B2 (ja) 継手金具
EP0971137A1 (en) Self-restraining captive nut
EP0687820B1 (fr) Cheville à expansion avec bague de liaison d'une douille et d'un cÔne d'expansion
JPH0338920Y2 (ko)
JP2557387B2 (ja) 波形管接続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0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12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12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09

Year of fee payment: 14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