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01921A - 인터넷을 이용한 감시시스템 - Google Patents

인터넷을 이용한 감시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01921A
KR20010001921A KR1019990021418A KR19990021418A KR20010001921A KR 20010001921 A KR20010001921 A KR 20010001921A KR 1019990021418 A KR1019990021418 A KR 1019990021418A KR 19990021418 A KR19990021418 A KR 19990021418A KR 20010001921 A KR20010001921 A KR 2001000192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internet
camera
computer
field compu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214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판기
Original Assignee
윤판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판기 filed Critical 윤판기
Priority to KR10199900214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0001921A/ko
Publication of KR200100019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01921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17/00Containers specially constructed to be opened by cutting, piercing or tearing of wall portions, e.g. preserving cans or tins
    • B65D2517/0001Details
    • B65D2517/001Action for opening container
    • B65D2517/0013Action for opening container pull-out tear panel, e.g. by means of a tear-tab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17/00Containers specially constructed to be opened by cutting, piercing or tearing of wall portions, e.g. preserving cans or tins
    • B65D2517/0001Details
    • B65D2517/0098Means for preventing dust contacting pouring opening, e.g. a cover over the tear panel

Abstract

본 발명은 인터넷을 이용한 감시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감시용 카메라와 연결되어 이들의 작동을 제어하는 현장 컴퓨터와,
상기 현장 컴퓨터의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연결되어 전화선과 같은 인터넷망을 경유한 통신이 가능하도록 하는 중계기와,
상기의 인터넷망에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접속되어 인터넷 홈페이지를 통하여 상기 현장 컴퓨터와의 통신을 수행하면서 상기의 감시용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영상신호를 전달받는 사용자 컴퓨터들로 구성하여 현장 컴퓨터에 접속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감시용 카메라를 작동시키면서 이를 통하여 촬영된 화상을 인터넷망으로 전송할 수 있도록 하여 임의의 사용자 컴퓨터를 통해 감시용 카메라가 설치된 현장의 상황을 원하는 시간과 장소에서 확인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적은 비용으로 효율적인 감시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인터넷을 이용한 감시시스템{The observation system which makes use of internet}
본 발명은 인터넷을 이용한 감시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컴퓨터에 접속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감시용 카메라를 작동시키면서 이를 통하여 촬영된 화상을 인터넷망으로 전송하도록 하여 임의의 컴퓨터에서 원하는 장소에서 확인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적은 비용으로 효율적인 감시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 인터넷을 이용한 감시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감시용 카메라를 이용한 감시시스템은 감시용 카메라를 가옥이나 주요 건물의 출입이 가능한 곳 또는 사고의 발생 가능성이 높은 곳에 설치하여 전방을 촬영하도록 하고, 촬영된 영상 신호를 모니터로 직접 살펴보거나 비디오 테이프 레코더를 통하여 기록하도록 함으로써 외인이 출입하는 상태는 물론, 사고의 발생에 따른 영상신호를 관리자가 정확하게 감시하거나 기록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한 것임은 이미 잘 알려진 사실이다.
그리고 종래의 일반적인 감시용 카메라는 제 1 도에 도시한 것과 같이, 카메라(1)를 통하여 입력되는 전방의 피사체에 의한 신호는 프리즘(2)을 통과하도록 하고,
상기의 프리즘(2)을 통과한 신호는 R의 색신호를 검출하기 위한 제1 CCD(3), G의 색신호를 검출하기 위한 제2 CCD(4) 및 B의 색신호를 검출하기 위한 제3 CCD(5)를 동시에 경유하도록 하고,
상기의 제1 내지 제3 CCD(3),(4),(5)에서 각각 검출된 R의 색신호와 G의 색신호 및 B의 색신호는 전치 증폭기(6)를 거치면서 충분히 증폭되도록 하고,
그리고 상기의 전치 증폭기(6)에서 증폭된 R의 색신호와 G의 색신호 및 B의 색신호는 전치 처리기(7)로 입력되어 게인 업(Gain Up), 플레어(Flare), 감마(Gamma) 및 색 매트릭스(Color Matrix) 등의 상태가 조절되도록 하고,
상기의 전치 처리기(7)에서 전처리된 R의 색신호와 G의 색신호 및 B의 색신호는 처리기(Processor)(8)로 입력되어 오토 니이(Auto Knee), 디테일(Detail), 필터링(Filtering), 휘도 및 색차신호로의 색신호 처리, 색조(Shading)의 보정과 아이리스(Iris)의 보정을 위한 블럭 데이터 생성, 엔코더 등을 수행하도록 하고,
상기의 처리기(8)로부터 휘도신호(Y), 색차신호(R-Y),(B-Y), 윤곽 보정신호(YM), 크로마신호(Croma) 및 변조신호(Enc)들의 디지탈신호를 입력받은 디지탈/아날로그 변환기(9)에서는 디지털신호를 아날로그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도록 하고,
상기의 디지탈/아날로그 변환기(9)에서 휘도신호(Y), 색차신호(R-Y) ,(B-Y) 및 윤곽 보정신호(YM)를 입력받는 비디오 테이프 레코더(10)와 같은 영상기록장치를 통하여 카세트 테이프에 저장하도록 하고,
사용자의 선택 사양을 입력받는 콘트롤러(11)에서는 카메라(1)로 오토 아이리스 데이터(Auto Iris Data)를 출력하면서 전치 처리기(7)로는 게인 업 데이터(Gain-Up Data)와 오토 색조 데이터(Auto Shading Data)를 출력하는 동시에 처리기(8)로는 기능 콘트롤신호를 출력하여 전체적인 기능을 제어하도록 하였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감시용 카메라에 의하여서는 가옥이나 주요 건물의 출입이 가능한 위치 또는 사고의 발생 염려가 많은 곳 등에서 외부로부터의 침입자의 유무는 물론, 사고의 발생 여부에 따른 영상신호를 관리자가 모니터를 통하여 감시하거나, 비디오 테이프 레코더(10)와 같은 영상녹화 재생기기를 통하여 저장하도록 하였으므로 카세트 테이프에 녹화할 때 화질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음은 물론, 카세트 테이프에 녹화된 정보를 나중에 다시 살펴보고자 할 때 비디오 테이프 레코더(10)와 같은 영상 재생기기를 이용하여야 하므로 검색이 용이하지 못할 뿐 아니라 관리자가 모니터를 볼 수 있는 위치에 항상 있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현장에서 발생되는 사고를 즉각적으로 인식할 수 없게 되는 단점이 있었다.
그리고 감시용 카메라를 설치한 상태에서 별도의 경비를 위한 인력을 사용해야 하는 경비의 지출이 부담되는 작은 규모에서는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컴퓨터에 접속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감시용 카메라를 작동시키면서 이를 통하여 촬영된 화상을 인터넷망으로 전송할 수 있도록 하여 임의의 컴퓨터를 통해 원하는 시간과 장소에서 확인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적은 비용으로 효율적인 감시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 인터넷을 이용한 감시시스템을 제공함을 그 목적으로 한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감시용 카메라와 연결되어 이들의 작동을 제어하는 현장 컴퓨터와,
상기 현장 컴퓨터의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연결되어 전화선과 같은 인터넷망을 경유한 통신이 가능하도록 하는 중계기와,
상기의 인터넷망에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접속되어 인터넷 홈페이지를 통하여 상기 현장 컴퓨터와의 통신을 수행하면서 상기의 감시용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영상신호를 전달받는 사용자 컴퓨터들로 구성하여 현장 컴퓨터에 접속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감시용 카메라를 작동시키면서 이를 통하여 촬영된 화상을 인터넷망으로 전송할 수 있도록 하여 임의의 사용자 컴퓨터를 통해 감시용 카메라가 설치된 현장의 상황을 원하는 시간과 장소에서 확인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적은 비용으로 효율적인 감시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도 1은 종래 감시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럭도.
도 2는 본 발명의 전체적인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럭도.
도 3은 본 발명의 감시용 카메라의 구성을 나타낸 블럭도.
도 4는 본 발명의 컴퓨터의 구성을 나타낸 블럭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
21, 21a, 21n : 감시용 카메라
22 : 현장 컴퓨터 23, 27 : 통신 인터페이스
24 : 인터넷망 25 : 중계기
26 : 사용자 컴퓨터
이하 본 발명을 첨부 도면에 의거 상세히 기술하여 보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의 전체적인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으로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감시용 카메라(21)...(21n)와 연결되어 이들의 작동을 제어하는 현장 컴퓨터(22)와,
상기 현장 컴퓨터(22)의 통신 인터페이스(23)를 통하여 연결되어 전화선과 같은 인터넷망(24)을 경유한 통신이 가능하도록 하는 중계기(25)와,
상기의 인터넷망(24)에 통신 인터페이스(27)를 통하여 접속되어 인터넷 홈페이지를 통하여 상기 현장 컴퓨터(22)와의 통신을 수행하면서 상기의 감시용 카메라(21)...(21n)에 의해 촬영된 영상신호를 전달받는 사용자 컴퓨터(26)들로 구성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감시용 카메라의 구성을 나타낸 것으로서,
카메라(31)를 통하여 입력되는 전방의 피사체에 의한 신호는 프리즘(32)을 통과하도록 하고,
상기의 프리즘(32)을 통과한 신호는 R의 색신호를 검출하기 위한 제1 CCD(33), G의 색신호를 검출하기 위한 제2 CCD(34) 및 B의 색신호를 검출하기 위한 제3 CCD(35)를 동시에 경유하도록 하고,
상기의 제1 내지 제3 CCD(33),(34),(35)에서 각각 검출된 R의 색신호와 G의 색신호 및 B의 색신호는 전치 증폭기(36)를 거치면서 충분히 증폭되도록 하고,
그리고 상기의 전치 증폭기(36)에서 증폭된 R의 색신호와 G의 색신호 및 B의 색신호는 전치 처리기(37)로 입력되어 게인 업(Gain Up), 플레어(Flare), 감마(Gamma) 및 색 매트릭스(Color Matrix) 등의 상태가 조절되도록 하고,
상기의 전치 처리기(37)에서 전 처리된 R의 색신호와 G의 색신호 및 B의 색신호는 처리기(38)로 입력되어 오토 니이(Auto Knee), 디테일(Detail), 필터링(Filtering), 휘도 및 색차 신호로의 색신호 처리, 색조(Shading)의 보정과 아이리스(Iris)의 보정을 위한 블럭 데이터 생성, 엔코더 등을 수행하도록 하고,
상기의 처리기(38)로부터 휘도신호(Y), 색차신호(R-Y),(B-Y), 윤곽 보정신호(YM), 크로마신호(Croma) 및 변조신호(Enc)들의 디지털의 화상신호는 출력 인터페이스(39)를 통해 외부의 현장 컴퓨터(22)에 전달되도록 하고,
상기의 현장 컴퓨터(22)에 입,출력 인터페이스(40)를 통하여 연결되어 제어를 받는 콘트롤러(41)에서는 카메라(31)로 오토 아이리스 데이터(Auto Iris Data)를 출력하면서 팬 구동부(42)와 틸트 구동부(43)를 통하여 카메라(31)의 회전과 경사를 조절하여 원하는 장소를 감시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의 콘트롤러(41)에서는 전치 처리기(37)로는 게인 업 데이터(Gain-Up Data)와 오토 색조 데이터(Auto Shading Data)를 출력하면서 처리기(38)로는 기능 콘트롤신호를 출력하도록 한 것이다.
도 4는 현장용 컴퓨터 및 사용자 컴퓨터의 개략적인 내부 구성을 나타낸 것으로서,
크리스탈 발진기(51)로부터 클럭펄스를 입력받아 소정주기의 클럭신호를 발진 출력하는 오실레이터(52)와,
상기 오실레이터(52)로부터의 클럭신호를 분주하여 동작주기를 나타내는 클럭 및 시간계시용 클럭으로 출력하는 분배기(53)와,
상기 분배기(53)로부터 클럭은 물론 외부로부터 리세트신호를 입력받으며 전체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데이터신호를 내부 데이터 버스를 통해 입력받고 출력하는 마이크로 프로세서(54)와,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54)의 내부에 위치하며 산술 또는 비산술 연산의 오퍼랜드 및 결과를 일시 저장하는 어큐물레이터(Accumulator; ACC), 오퍼랜드의 내용을 변경하기 위한 수치를 기억하는 인덱스 레지스터(Index Register;INDEX), 다음에 사용될 주기억장치의 위치를 지정하는 스택 포인터(Stack Pointer;SP), 다음 수행할 명령이 저장되어 있는 메모리 번지를 기억하며 하나의 명령을 수행할 때마다 하나씩 증가하는 프로그램 카운터(Program Counter;PC)등으로 이루어진 레지스터(55)와,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54)의 내부에 위치하며 상기의 레지스터(55)간의 가감승제의 계산, 시프트, 논리연산 등의 연산을 행하는 ALU (Arithmetic Logic Unit)(56)와,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54)의 내부에 위치하며 명령어를 기억하는 인스트럭션 레지스터(Instruction Register), 명령을 해석하여 내부를 제어하는 인스트럭션 디코우더, 동작의 순서를 동기시키는 타이밍 발생기 등으로 이루어진 CPU(57)와,
명령이나 변환정보를 처리하는 방법에 관한 사항의 프로그램을 변경하거나 지울 수 있도록 저장하여 마이크로 프로세서(54)로 전하는 EP ROM(58)과,
명령이나 변환정보를 처리하는 방법에 관한 사항의 프로그램을 반영구적으로 저장하여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54)에 전하는 ROM(59)과,
상기 EP ROM(58) 및 ROM(59)의 프로그램 또는 기타 데이터를 읽거나 쓰며 변경 가능하게 저장하는 RAM(60)과,
내부 데이터 버스를 통해 시간에 따른 정보를 출력하는 리얼 타임 클럭(Real Time Clock) (61)과,
상기 감시용 카메라(21)∼(21n)의 처리기(38)로부터 휘도신호(Y), 색차신호(R-Y),(B-Y) 및 윤곽 보정신호(YM)의 촬영신호에 해당하는 디지털의 화상신호를 입.출력 인터페이스(62)와 내부 데이터 버스(64)를 통하여 전달받으면 중계기(25)를 거쳐 사용자 컴퓨터(26)로 출력하도록 하는 통신 인터페이스(23)와,
상기의 입.출력 인터페이스(62)와 내부 데이터 버스(64)를 통하여 전달되는 디지털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는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63)와,
상기의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63)에서 출력되는 휘도신호(Y), 색차신호(B-Y)(B-Y), 윤곽 보정신호(YM)의 아날로그의 화상신호를 마이크로 프로세서(56)의 제어에 의해 하드디스크(66)에 지장하는 하드디스크 드라이버(65)와,
상기의 중계기(25) 및 통신 인터페이스(27)를 통하여 전달되는 촬영신호의 디지털신호가 상기의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63)를 통하여 아날로그신호로 전달되면 이를 모니터(68)에 표시하여 관리자가 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CRT 구동부(67)들로 구성한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한 본 발명은 사용자가 현장 컴퓨터(22)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감시용 카메라(21)...(21n)를 연결하여 이들의 동작을 제어하도록 한 상태에서 감시용 카메라가 설치된 현장이 상황이 궁금한 경우에는 인터넷을 이용할 수 있는 임의의 사용자 컴퓨터(26)를 작동시켜 중계기(25)와 인터넷망(24)을 경유하여 현장 컴퓨터(22)와 통신을 수행한다.
즉, 사용자가 사용자 컴퓨터(26)를 통하여 감시용 카메라(21)∼(21n)를 작동시키면서 현장의 상태를 확인하고자 하여 인터넷망(24)을 연결하면 중계기(25)를 통하여 현장 컴퓨터(22)로 그에 따른 정보를 출력하게 된다.
그러므로 현장 컴퓨터(22)에 입,출력 인터페이스(40)를 통하여 연결되어 제어를 받는 콘트롤러(41)에서는 카메라(31)로 출력하면서 팬 구동부(42)와 틸트 구동부(43)를 통하여 카메라(31)의 회전과 경사를 조절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장소를 촬영도록 한다.
상기의 카메라(31)를 통하여 입력되는 전방의 피사체에 의한 신호는 프리즘(32)을 통과하여 R의 색신호를 검출하기 위한 제1 CCD(33), G의 색신호를 검출하기 위한 제2 CCD(34) 및 B의 색신호를 검출하기 위한 제3 CCD(35)를 동시에 경유하고 전치 증폭기(36)를 거치면서 충분히 증폭된다.
상기의 전치 증폭기(36)에서 증폭된 R의 색신호와 G의 색신호 및 B의 색신호는 전치 처리기(37)로 입력되어 게인 업, 플레어, 감마 및 색 매트릭스 등의 상태가 조절된 후 처리기(38)로 입력되어 오토 니이, 디테일, 필터링, 휘도 및 색차 신호로의 색신호 처리, 색조의 보정과 아이리스의 보정을 위한 블럭 데이터 생성, 엔코더 등을 수행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의 처리기(38)로부터의 휘도신호, 색차신호 및 윤곽 보정신호의 디지털의 화상신호는 출력 인터페이스(39)를 통해 외부의 현장 컴퓨터(22)에 전달된다.
상기의 디지털 화상신호를 전달받는 현장 컴퓨터(22)에서는 내부의 마이크로 프로세서(54)에 의해 자체적인 신호처리의 루틴을 수행하는 동시에 디지털의 화상신호를 입.출력 인터페이스(62)와 내부 데이터 버스(64)를 통하여 통신 인터페이스(23)에 전달하여 인터넷망(24)과 중계기(25)를 거쳐 사용자 컴퓨터(26)로 출력하도록 한다.
그러면 상기의 디지털 화상신호를 인터넷망(24)과 중계기(25) 및 통신 인터페이스(27)를 통하여 전달받는 사용자 컴퓨터(26)에서는 내부의 마이크로 프로세서(54)에 의해 자체적인 신호처리의 루틴을 수행하는 동시에 이를 내부 데이터 버스(64)를 통하여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63)로 출력하여 디지털 신호에서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한다.
그리고 상기의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63)에서 출력되는 아날로그의 화상신호를 마이크로 프로세서(56)의 제어를 받는 하드디스크 드라이버(65)에 출력하여 하드디스크(66)에 저장하도록 한다.
동시에 상기의 상기의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63)를 통하여 아날로그신호로 전달되면 이를 CRT 구동부(67)로 출력하여 모니터(68)에 표시하여 관리자가 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의 감시용 카메라(21)∼(21n)를 임의로 선택하면서 원하는 현장을 살펴보거나 카메라(31)의 경사각(틸트) 및/또는 방향(팬)을 임의로 선택할 수 있으므로 원거리에서도 현장의 감시가 가능하게 된다.
또한 카메라(31)를 줌기능이 있는 경우에는 부분적으로 확대하거나 보다 넓은 범위를 살펴볼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인터넷을 이용한 감시시스템에 의하여서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감시용 카메라와 연결되어 이들의 작동을 제어하는 현장 컴퓨터와,
상기 현장 컴퓨터의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연결되어 전화선과 같은 인터넷망을 경유한 통신이 가능하도록 하는 중계기와,
상기의 인터넷망에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접속되어 인터넷 홈페이지를 통하여 상기 현장 컴퓨터와의 통신을 수행하면서 상기의 감시용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영상신호를 전달받는 사용자 컴퓨터들로 구성하여 현장 컴퓨터에 접속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감시용 카메라를 작동시키면서 이를 통하여 촬영된 화상을 인터넷망으로 전송할 수 있도록 하여 임의의 사용자 컴퓨터를 통해 감시용 카메라가 설치된 현장의 상황을 원하는 시간과 장소에서 확인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적은 비용으로 효율적인 감시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Claims (2)

  1.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감시용 카메라(21)...(21n)와 연결되어 이들의 작동을 제어하는 현장 컴퓨터(22)와,
    상기 현장 컴퓨터(22)의 통신 인터페이스(23)를 통하여 연결되어 전화선과 같은 인터넷망(24)을 경유한 통신이 가능하도록 하는 중계기(25)와,
    상기의 인터넷망(24)에 통신 인터페이스(27)를 통하여 접속되어 인터넷 홈페이지를 통하여 상기 현장 컴퓨터(22)와의 통신을 수행하면서 상기의 감시용 카메라(21)...(21n)에 의해 촬영된 영상신호를 전달받는 사용자 컴퓨터(26)들로 구성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을 이용한 감시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감시용 카메라는 카메라(31)에서 촬영된 피사체에 의한 신호는 프리즘(32)과, 제1 내지 제 3 CCD(33)(34)(35)와, 전치 증폭기(36)와, 전치 처리기(37)를 거쳐 처리기(38)로 전달되도록 하여 디지털의 화상신호가 출력 인터페이스(39)를 통해 외부의 현장 컴퓨터(22)에 전달되도록 하고,
    상기의 현장 컴퓨터(22)에 입,출력 인터페이스(40)를 통하여 연결된 콘트롤러(41)는 카메라(31)로 오토 아이리스 데이터를 출력하면서 팬 구동부(42)와 틸트 구동부(43)를 통하여 카메라(31)의 회전과 경사를 조절하여 원하는 장소를 감시할 수 있도록 한 인터넷을 이용한 감시시스템.
KR1019990021418A 1999-06-09 1999-06-09 인터넷을 이용한 감시시스템 KR2001000192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21418A KR20010001921A (ko) 1999-06-09 1999-06-09 인터넷을 이용한 감시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21418A KR20010001921A (ko) 1999-06-09 1999-06-09 인터넷을 이용한 감시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01921A true KR20010001921A (ko) 2001-01-05

Family

ID=195911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21418A KR20010001921A (ko) 1999-06-09 1999-06-09 인터넷을 이용한 감시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0001921A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94577A (ko) * 2001-06-12 2002-12-18 (주)혁성정보시스템 전화망을 이용한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 중계 시스템 및방법
KR20030013839A (ko) * 2001-08-09 2003-02-15 쌍용정보통신 주식회사 그룹웨어를 이용한 보안 시스템
KR20030081547A (ko) * 2002-04-11 2003-10-22 박수복 웹카메라의 선택적 이용에 의한 모니터링 방법
KR20040010888A (ko) * 2002-07-25 2004-02-05 바로비젼(주) 유동ip를 이용한 댁내 모니터링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100484006B1 (ko) * 2001-10-29 2005-04-20 유원근 홈 모니터링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0675780B1 (ko) * 2005-04-11 2007-02-02 (주)실비토스 사생활 보호기능을 갖는 원격감시 시스템 및 방법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94577A (ko) * 2001-06-12 2002-12-18 (주)혁성정보시스템 전화망을 이용한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 중계 시스템 및방법
KR20030013839A (ko) * 2001-08-09 2003-02-15 쌍용정보통신 주식회사 그룹웨어를 이용한 보안 시스템
KR100484006B1 (ko) * 2001-10-29 2005-04-20 유원근 홈 모니터링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20030081547A (ko) * 2002-04-11 2003-10-22 박수복 웹카메라의 선택적 이용에 의한 모니터링 방법
KR20040010888A (ko) * 2002-07-25 2004-02-05 바로비젼(주) 유동ip를 이용한 댁내 모니터링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100675780B1 (ko) * 2005-04-11 2007-02-02 (주)실비토스 사생활 보호기능을 갖는 원격감시 시스템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120791B2 (en) Image synthesizing apparatus
US6603508B1 (en) Method, system, and computer readable medium for controlling a digital camera to avoid blurring of a photograph
US20070177048A1 (en) Long exposure images using electronic or rolling shutter
JPH11161773A (ja) 画像処理方法及び画像入力装置
US5202767A (en) Multimode computerized multicolor camera and method therefor
KR20010001921A (ko) 인터넷을 이용한 감시시스템
US6603509B1 (en) Digital camera controllable by a program
JP2001203919A (ja) デジタルカメラ
US20050128194A1 (en) Terminal control apparatus, terminal control method, terminal control program and storage medium
JP4948011B2 (ja) 撮像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及び記憶媒体
JP4046244B2 (ja) 電子スチルカメラ
KR100195112B1 (ko) 윈도우 기능을 갖는 디지털 캠코더
JP4511109B2 (ja) 操作案内システム及び操作案内方法、並びにデジタルカメラ
KR980007698A (ko) 디지털 다중 화상 감시 시스템
JP2728896B2 (ja) 交換レンズ及び交換レンズシステム
JP2008066910A (ja)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EP0964579A1 (en) Door camera unit having a video memory
JP2009124350A (ja) 撮像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00333059A (ja) カメラ
JP2000032308A (ja) 撮像システム及びその制御方法及び撮像ユニット及び情報処理装置及び記憶媒体
KR100263055B1 (ko) 디지털 카메라의 바코드 판독 장치
EP3672218A1 (en) Imaging apparatus
JP2000270338A (ja) 画像補正装置及び電子撮像装置
JP3101390B2 (ja) 撮像装置
JPH11177890A (ja) 撮像装置および撮像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