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10888A - 유동ip를 이용한 댁내 모니터링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유동ip를 이용한 댁내 모니터링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10888A
KR20040010888A KR1020020043920A KR20020043920A KR20040010888A KR 20040010888 A KR20040010888 A KR 20040010888A KR 1020020043920 A KR1020020043920 A KR 1020020043920A KR 20020043920 A KR20020043920 A KR 20020043920A KR 20040010888 A KR20040010888 A KR 2004001088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address
indoor
remote
flo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439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진
Original Assignee
바로비젼(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바로비젼(주) filed Critical 바로비젼(주)
Priority to KR10200200439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010888A/ko
Publication of KR200400108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10888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12/2816Controlling appliance services of a home automation network by calling their functionalit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2Messaging; Mailboxes; Announcements

Abstract

본 발명은 카메라와 연결되는 댁내유선단말기와 원격지 단말기에 설치되어 댁내유선단말기와 원격지 단말기의 유동IP주소를 전송하는 프로그램을 제공하여 댁내 또는 회사의 영상을 사용자의 원격지 단말기를 통해 모니터링할 수 있도록 하는 댁내 모니터링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댁내 모니터링 서비스 시스템은 회원인지 아닌지의 여부를 확인하는 인증수단; 사용자에게 유동IP주소를 제공하는 IP주소제공수단; 사용자에게 모니터링 하기 위해 필요한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프로그램제공수단; 전체 시스템을 제어하는 제어수단; 및 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여 사용자가 외출이나 여행 할 때에도 댁내 또는 회사에 있는 단말기 유동IP주소를 제공받아 원하는 장소를 모니터링할 수 있다.

Description

유동IP를 이용한 댁내 모니터링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System and Method for Home Monitoring Service Using Dynamic IP}
본 발명은 댁내 모니터링 서비스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외출 또는 여행 시 자신의 집 유선 단말기의 유동IP주소를 수신하여 원격지의 무선 단말기 또는 유선단말기에서 집안을 모니터링할 수 있는 댁내 모니터링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사람들의 활동범위가 넓어짐에 따라, 출장 또는 여행 등의 이유로 집이나 회사를 비우는 경우가 잦아지고 있는데 이때에 집이나 회사에 침입자가 들어오는 경우가 많이지고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다수의 사람들이 경비업체 또는 경찰서와 바로 연결되는 센서를 현관문이나 회사의 출입구에 설치하는 모니터링시스템을 사용한다. 그러나 이러한 모니터링시스템은 사람들로 하여금 실시간으로 그때의 상황을 동영상으로 직접 제공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에는 외출 이나 여행 시 카메라와 연결된 댁내단말기에 접속하여 집안의 영상을 보려해도 댁내단말기의 IP주소가 변경되어 모르기 때문에 집안의 영상을 확인하지 못하는 불편함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카메라와 연결되어 영상을 전송하는 댁내유선단말기에 프로그램을 설치하고, 원격지 사용자에게 댁내유선단말기의 유동IP주소를 제공하여 댁내 또는 회사의 영상을 원격지 사용자의 원격지 단말기를 통해 모니터링할 수 있도록 하는 댁내 모니터링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 다른 본 발명의 목적은 센서가 부착된 카메라와 연결된 단말기로부터 침입자를 감시하고 침입자정보가 있을 경우 비상연락처로 신호를 전송하는 댁내 모니터링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댁내 모니터링 서비스 시스템과 통신망의 접속예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에 의한 댁내 모니터링 서비스 시스템의 전체 구성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본 발명에 의한 댁내 모니터링 서비스 시스템의 데이터베이스를 상세하게 나타낸 구성도,
도 4는 도 2에 도시된 본 발명에 의한 댁내 모니터링 서비스 시스템의 동작예를 나타낸 흐름도,
도 5는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에 의한 댁내 모니터링 서비스 시스템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전체 구성도,
도 6은 도 5에 도시된 댁내 모니터링 서비스 시스템의 데이터베이스를 상세하게 나타낸 구성도,
도 7은 도 5에 도시된 본 발명에 의한 댁내 모니터링 서비스 시스템의 동작예를 나타낸 흐름도,
도 8은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에 의한 댁내 모니터링 서비스 시스템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구성도,
도 9는 도 8에 도시된 본 발명에 의한 댁내 모니터링 서비스 시스템의 데이터베이스를 상세하게 나타낸 구성도,
도 10은 도 8에 도시된 댁내 모니터링 서비스 시스템의 동작예를 나타낸 흐름도,
도 11은 도 8에 도시된 댁내 모니터링 서비스 시스템의 다른 동작예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카메라200 : 댁내유선단말기
300 : 인터넷400 : 댁내 모니터링 서비스 시스템
410 : 인증수단420 : 영상전송수단
430 : IP주소제공수단440 : 프로그램제공수단
450 : 제어수단460 : 데이터베이스
461 : 회원정보 데이터베이스462 : 서버 접속키 데이터베이스
463 : 원격지 단말기 접속키 데이터베이스
464 : 영상정보 데이터베이스465 : IP주소 데이터베이스
467 : 프로그램 데이터베이스 469 : 경고알림 데이터베이스
470 : 경찰서연락처471 : 경비업체연락처
472 : 사용자의 연락처473 : 녹화 데이터베이스
480 : 표시수단490 : 침입감지작동수단
500 : 센싱수단510 : 경고알림수단
520 : 녹화수단600 : 무선망 사업자
700 : 원격지 유선단말기800 : 원격지 무선단말기
본 발명은 카메라와 연결되는 댁내유선단말기와 무선망 또는 인터넷으로 연결되는 원격지 단말기를 통해 댁내 또는 회사의 영상을 모니터링할 수 있도록 하는 댁내 모니터링 서비스 시스템에 있어서,
댁내단말기와 원격지 단말기로부터 변경된 유동IP주소를 수신하여 저장하고 원격지 사용자가 유동IP주소를 요청하는 경우 원격지 단말기로 유동IP주소를 제공하는 IP주소제공수단; IP주소제공수단과 연결되어 댁내단말기와 원격지 단말기에서 제공하는 유동IP주소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 전체 시스템을 제어하는 제어수단을 포함한다.
또한, 카메라와 연결되는 댁내유선단말기와 무선망 또는 인터넷으로 연결되는 원격지 무선단말기를 통해 댁내 또는 회사의 영상을 모니터링할 수 있도록 하는 댁내 모니터링 서비스 방법에 있어서,
댁내유선단말기의 IP주소의 등록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댁내유선단말기와 댁내 모니터링 서비스 시스템에 접속하기 위해 필요한 서버 접속키와 원격지 단말기 접속키를 상기 댁내유선단말기에 전송하는 단계; 댁내유선단말기와 원격지 단말기로부터 등록된 IP주소가 변경될 때마다 변경된 유동IP주소를 수신하고 변경된 유동IP주소를 저장하는 단계; 댁내유선단말기에 접속하여 댁내 또는 회사의 영상을 보기 위하여 필요한 프로그램을 원격지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 원격지 사용자로부터 댁내유선단말기의 유동IP주소를 요청하고, 유동IP주소를 원격지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원격지 단말기가 댁내단말기의 유동IP주소를 이용하여 댁내유선단말기에 접속할 수 있도록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사용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댁내 모니터링 서비스 시스템(400)과 통신망의 접속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댁내 모니터링 서비스 시스템(400)은 카메라(100)와 연결된 댁내유선단말기(200), 원격지 유선단말기(700), 원격지 무선단말기(800)가 인터넷(300) 또는 무선망 사업자(600)와 연결되어 동작한다.
카메라(100)는 집안 또는 사무실 등에 설치되어 실내 곳곳을 촬영하여 사용자가 원격지에서도 볼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카메라(100)에는 센서가 부착되어 있어서, 댁내유선단말기(200)에 저장된 설정에 따라 집안이나 댁내 모니터링 서비스 시스템(400)과 연결된 카메라(100)가 설치된 곳이면 어디든지 침입자를 감지할 수 있다. 댁내유선단말기(200)는 컴퓨터와 같이 인터넷(300)을 경유하여 송수신하는 단말기로서, 댁내 모니터링 서비스 시스템(400)이 제공하는 프로그램이 설치된 후 카메라(100)에서 촬영하는 집안 또는 회사의 영상을 인터넷(300) 또는 무선망 사업자(600)를 경유하여 댁내 모니터링 서비스 시스템(400) 또는 원격지 유선단말기(700), 원격지 무선단말기(800)로 전송한다. 상기 댁내유선단말기(200)는 카메라(100)와 연결되어 영상을 전송할 수 있는 무선단말기로도 대체 가능하다. 원격지 유선단말기(700)와 원격지 무선단말기(800)는 원격지에서 집이나 회사 등과 같이 카메라(100)와 연결된 댁내유선단말기(200)가 설치되어 있는 곳을 모니터링하는데 사용하는 단말기로서, 핸드폰, PDA, 비디오폰, 노트북, 컴퓨터와 같은 화상을 표시할 수 있는 단말기이다. 원격지 유선단말기(700)와 원격지 무선단말기(800)는 댁내 모니터링 서비스 시스템(400)에서 제공하는 프로그램이 설치된 후 댁내 모니터링 서비스 시스템(400)에서 제공하는 댁내유선단말기(200)의 유동IP주소를 이용하여 댁내유선단말기(200)와 직접 연결되어 송수신한다. 또한, 원격지 단말기(700, 800)는 댁내 모니터링 서비스 시스템(400)으로 원격지 단말기(700, 800)의 유동IP주소를 주기적으로 전송하여 댁내 모니터링 서비스 시스템(400)이 원격지 단말기(700, 800)로 메시지를 전송하려 할 때(예를 들어, 침입자가 있다는 메시지 전송) 이용하도록 한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에 의한 댁내 모니터링 서비스 시스템(400)의 전체 구성도이다.
댁내 모니터링 서비스 시스템(400)은 인증수단(410), IP주소제공수단(430), 프로그램제공수단(440), 제어수단(450), 데이터베이스(460)로 구성된다.
인증수단(410)은 사용자 또는 원격지 사용자가 댁내 모니터링 서비스 시스템(400)에 접속하였을 때 가입회원인지 아닌지의 여부를 확인하고 이미 가입한 사용자일 경우 회원정보를 수신받아 저장되어 있는 회원의 정보와 사용자의 정보가 동일한지 확인하여 인증한다. 또한, 인증수단(410)은 사용자 또는 원격지 사용자의 정보와 회원의 정보가 동일한 것을 확인한 후, 서버 접속키와 원격지 단말기 접속키를 생성하여 데이터베이스(460)에 저장하고 서버 접속키와 원격지 단말기 접속키를 댁내유선단말기(200) 또는 원격지 단말기(700, 800)로 전송한다. IP주소제공수단(430)은 댁내유선단말기(200)와 원격지 단말기(700, 800)에 설치되어 있는 프로그램으로부터 변경된 IP주소를 수신하여 데이터베이스(460)에 저장하고, 원격지 단말기(700, 800)로부터 댁내유선단말기(200)의 IP주소요청을 수신하는 경우 데이터베이스(460)에 저장되어 있는 댁내유선단말기(200)의 최근 IP주소를 원격지 단말기(700, 800)로 전송한다.
프로그램제공수단(440)은 카메라(100)와 연결된 댁내유선단말기(200)에 설치되어 카메라(100)에서 촬영되는 집안 또는 회사의 영상을 원격지 단말기(700, 800) 또는 댁내 모니터링 서비스 시스템(400)으로 전송하는 프로그램을 제공한다. 또한, 프로그램제공수단(400)은 댁내유선단말기(200)뿐만 아니라 원격지 단말기(700,800)에 다운로드되어 설치된 후 카메라(100)와 연결된 댁내유선단말기(200)가 설치된 곳을 모니터링하기 위해 필요한 프로그램(예컨대 플러긴)을 제공한다. 상기 프로그램제공수단(440)에서 제공하는 프로그램은 댁내유선단말기(200)와 원격지 단말기(700, 800)에 설치되어 IP주소가 변경되었을 경우 댁내 모니터링 서비스 시스템(400)으로 변경된 IP주소를 전송한다. 제어수단(450)은 댁내 모니터링 서비스 시스템(400)을 전체적으로 제어한다. 예를 들어, 단말기(200, 700, 800)사용자가 댁내 모니터링 서비스 시스템(400)에 접속하는 경우 인증수단(410)으로 신호를 전송하여 데이터베이스(460)에 저장되어 있는 회원정보와 단말기(200, 700, 800)사용자의 정보가 동일한지 확인하도록 하고, IP주소제공수단(430)이 댁내유선단말기(200)와 원격지 단말기(700, 800)에 설치되어 있는 프로그램으로부터 변경된 IP주소를 수신하여 제어수단(450)으로 신호를 전송하면 변경된 IP주소를 데이터베이스(460)에 저장하도록 한다. 데이터베이스(460)는 인증수단(410), IP주소제공수단(430), 프로그램제공수단(440), 제어수단(450)과 연결되어 정보를 저장한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본 발명에 의한 댁내 모니터링 서비스 시스템(400)의 데이터베이스(460)를 상세하게 나타낸 구성도이다.
데이터베이스(460)는 회원정보 데이터베이스(461), 서버 접속키 데이터베이스(462), 원격지 단말기 접속키 데이터베이스(463), IP주소 데이터베이스(465), 프로그램 데이터베이스(467)로 구성된다.
회원정보 데이터베이스(461)는 인증수단(410)과 연결되어 회원의 아이디와패스워드 등 회원을 인증하는데 필요한 개인정보를 저장한다. 서버 접속키 데이터베이스(462)는 댁내 모니터링 서비스 시스템(400)에 접속한 단말기(200, 700, 800)사용자를 인증하는 단계에서 단말기(200, 700, 800)사용자의 정보와 회원의 정보가 일치하는 경우 생성된 서버 접속키를 저장한다. 원격지 단말기 접속키 데이터베이스(463)는 원격지 단말기(700, 800)가 댁내유선단말기(200)에 접속하기 위한 접속키를 저장한다. IP주소 데이터베이스(465)는 IP주소제공수단(430)과 연동하여 IP주소제공수단(430)에서 수신한 댁내유선단말기(200)와 원격지 단말기(700, 800)의 IP주소를 저장한다. 프로그램 데이터베이스(467)는 카메라(100)에서 촬영한 영상을 댁내유선단말기(200)를 통해 댁내 모니터링 서비스 시스템(400) 또는 원격지 단말기(700, 800)로 전송하도록 설치하는 프로그램을 저장한다. 상기 구성 중 프로그램제공수단(440)에서 제공하는 프로그램은 CD 나 플로피디스크 등의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로 대체 가능하며, 이러한 경우 프로그램제공수단(440)과 프로그램 데이터베이스(467)는 상기 댁내 모니터링 서비스 시스템(400)을 구성하는 수단에서 삭제 가능하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본 발명에 의한 댁내 모니터링 서비스 시스템(400)의 동작예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인증수단(410)은 댁내유선단말기(200)가 댁내 모니터링 서비스 시스템(400)에 접속하면 가입회원인지의 여부를 확인하고, 가입회원인 경우 댁내유선단말기(200)로부터 아이디와 패스워드를 수신하여 회원정보 데이터베이스(461)에 저장되어 있는 회원정보와 비교하여 확인한다(S101). 이어서, 프로그램제공수단(440)은 카메라(100)와 연결된 댁내유선단말기(200)에 설치되어 카메라(100)에서 촬영되는 집안 또는 회사의 영상을 원격지 단말기(700, 800) 또는 댁내 모니터링 서비스 시스템(400)으로 전송하도록 하는 프로그램을 제공한다(S103). 단계(S103)은 가입회원인 경우나 또는 댁내유선단말기(200)에 이미 프로그램이 설치되어 있는 경우에는 수행하지 않는다. IP주소제공수단(430)은 댁내유선단말기(200)로부터 댁내유선단말기(200)의 IP주소의 등록정보를 수신한다(S105). 인증수단(410)은 댁내유선단말기(200)를 인증한 후, 생성되어 서버 접속키 데이터베이스(462)와 원격지 단말기 접속키 데이터베이스(463)에 저장되는 서버 접속키와 원격지 단말기 접속키를 댁내유선단말기(200)로 전송한다(S107). IP주소제공수단(430)은 댁내유선단말기(200)에 설치되어 있는 프로그램으로부터 IP주소가 변경될 때마다 변경된 IP주소를 수신하고 변경된 IP주소를 IP주소 데이터베이스(465)에 저장한다(S109).
인증수단(410)은 원격지 사용자가 댁내 모니터링 서비스 시스템(400)에 접속하면 회원가입을 하였는지의 여부를 확인하고, 가입회원인 경우 원격지 단말기(700, 800)로부터 아이디와 패스워드를 수신하여 회원정보 데이터베이스(461)에 저장되어 있는 회원정보와 비교하여 확인한다(S111). 프로그램제공수단(440)은 카메라(100)와 연결된 댁내유선단말기(200)로부터 전송된 집안 또는 회사의 영상을 모니터링하기 위해서 원격지 단말기(700, 800)에 다운로드 후 설치하는 프로그램을 전송한다(S113). 댁내 모니터링 서비스 시스템(400)은 원격지 단말기(700, 800)로부터 댁내유선단말기(200)의 IP주소 요청과 원격지단말기(700, 800)의 IP주소를 수신한다(S115). 인증수단(410)은 IP주소 데이터베이스(465)에 저장되어 있는 댁내유선단말기(200)의 최근 IP주소를 IP주소 데이터베이스(465)에 저장되어 있는 최근 원격지 단말기(700, 800)의 유동IP주소를 이용하여 원격지 단말기(700, 800)로 전송한다(S117). 원격지 단말기(700, 800)는 상기 댁내유선단말기(200)의 최근 IP주소를 이용하여 카메라(100)와 연결된 댁내유선단말기(200)에 접속하여 집안 또는 회사의 영상을 모니터링 한다(S119, S121). 상기 원격지 단말기(700, 800)는 인터넷(300) 또는 무선망 사업자(600)를 경유하여 송수신하는 노트북, 컴퓨터, 핸드폰, PDA 등과 같은 유무선단말기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에 의한 댁내 모니터링 서비스 시스템(400)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전체 구성도이다.
댁내 모니터링 서비스 시스템(400)은 인증수단(410), 영상전송수단(420), IP주소제공수단(430), 프로그램제공수단(440), 제어수단(450), 데이터베이스(460), 표시수단(480)으로 구성된다.
인증수단(410)은 단말기(200, 700, 800)가 댁내 모니터링 서비스 시스템(400)에 접속하였을 때 가입회원인지 아닌지의 여부를 확인하고 이미 가입한 사용자일 경우 단말기(200, 700, 800)로부터 아이디와 패스워드를 수신하여 저장되어 있는 회원의 정보와 단말기(200, 700, 800)사용자의 정보가 동일한지 확인한다. 또한, 인증수단(410)은 단말기(200, 700, 800)사용자의 정보와 회원의 정보가 동일한 것을 확인한 후 데이터베이스(460)에 저장되어 있는 서버 접속키와 원격지 단말기 접속키를 댁내유선단말기(200) 또는 원격지 단말기(700, 800)로 전송한다. 이때, 서버 접속키와 원격지 단말기 접속키는 단말기(200, 700, 800)가 접속하여 인증이 성공한 순간에 랜덤하게 생성되는 접속키이다. 프로그램제공수단(440)은 카메라(100)와 연결된 댁내유선단말기(200)에 설치되어 카메라(100)에서 촬영되는 집안 또는 회사의 영상을 원격지 단말기(700, 800) 또는 댁내 모니터링 서비스 시스템(400)으로 전송하는 프로그램을 제공한다. 또한, 프로그램제공수단(440)은 원격지 단말기(700, 800)에 다운로드되어 설치된 후 카메라(100)와 연결된 댁내유선단말기(200)가 설치된 곳을 모니터링하기 위해 필요한 프로그램을 제공한다. 상기 프로그램제공수단(440)에서 제공하는 프로그램은 댁내 모니터링 서비스 시스템(400)에 등록되어 있는 댁내유선단말기(200)와 원격지 단말기(700, 800)의 IP주소가 변경되었을 경우 댁내 모니터링 서비스 시스템(400)으로 변경된 IP주소를 전송한다.
영상전송수단(420)은 원격지 사용자가 프로그램을 설치하기 어려운 PC방 등의 공공장소 단말기를 이용하여 집안 또는 회사의 영상정보를 요청하는 경우 원격지 단말기(700, 800)의 IP주소를 이용하여 원격지 사용자에게 영상을 전송하는 수단으로서, 댁내유선단말기(200)에 설치되어 있는 프로그램으로부터 수신된 댁내 또는 회사의 영상정보를 데이터베이스(460)에 저장한다. IP주소제공수단(430)은 댁내유선단말기(200)와 원격지 단말기(700, 800)에 설치되어 있는 프로그램으로부터 변경된 IP주소를 수신하여 데이터베이스(460)에 저장하고, 원격지 단말기(700, 800)로부터 댁내유선단말기(200)의 IP주소요청을 수신하는 경우 데이터베이스(460)에 저장되어 있는 댁내유선단말기(200)의 최근 IP주소를 원격지 단말기(700, 800)로 전송한다. 이때, IP주소제공수단(430)은 IP주소 데이터베이스(465)에 저장되어 있는 최근 원격지 단말기(700, 800)의 IP주소를 이용하여 댁내유선단말기(200)의 IP주소를 전송한다.
제어수단(450)은 댁내 모니터링 서비스 시스템(400)을 전체적으로 제어한다. 예를 들어, 단말기(200, 700, 800)가 댁내 모니터링 서비스 시스템(400)에 접속하는 경우 인증수단(410)으로 신호를 전송하여 데이터베이스(460)에 저장되어 있는 회원정보와 단말기(200, 700, 800)사용자의 정보가 동일한지 확인하도록 하고, IP주소제공수단(430)이 댁내유선단말기(200)와 원격지 단말기(700, 800)에 설치되어 있는 프로그램으로부터 변경된 IP주소를 수신하여 제어수단(450)으로 신호를 전송하면 변경된 IP주소를 데이터베이스(460)에 저장하도록 한다. 데이터베이스(460)는 인증수단(410), 영상전송수단(420), IP주소제공수단(430), 프로그램제공수단(440), 제어수단(450)과 연결되어 정보를 저장한다. 표시수단(480)은 댁내 모니터링 서비스 시스템(400)에 저장된 영상정보를 원격지 단말기(700, 800)로 전송하는 수단으로서, 원격지 단말기(700, 800)로부터 프로그램을 설치하지 않았다는 정보와 영상정보요청을 수신하는 경우 상기 영상전송수단(420)과 제어수단(450)에 연결되어 댁내 모니터링 서비스 시스템(400)의 웹 상에서 프로그램을 설치하지 않은 상태 그대로 댁내 또는 회사의 영상을 표시한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댁내 모니터링 서비스 시스템(400)의 데이터베이스(460)를 상세하게 나타낸 구성도이다.
데이터베이스(460)는 회원 정보데이터베이스(461), 서버 접속키 데이터베이스(462), 원격지 단말기 접속키 데이터베이스(463), 영상정보 데이터베이스(464), IP주소 데이터베이스(465), 프로그램 데이터베이스(467)로 구성된다.
회원정보 데이터베이스(461)는 인증수단(410)과 연결되어 회원의 아이디와 패스워드 등 회원을 인증하는데 필요한 개인정보를 저장한다. 서버 접속키 데이터베이스(462)는 댁내 모니터링 서비스 시스템(400)에 접속한 사용자를 인증하는 단계에서 사용자의 정보와 회원의 정보가 일치하는 경우 사용자를 승인하는 과정에서 생성되어 댁내유선단말기(200)로 전송하는 서버 접속키를 저장한다. 원격지 단말기 접속키 데이터베이스(463)는 원격지 단말기(700, 800)가 댁내유선단말기(200)에 접속하기 위한 접속키를 저장한다. 영상정보 데이터베이스(464)는 영상전송수단(420)과 연결되어 댁내유선단말기(200)로부터 수신한 댁내 또는 회사 등의 영상을 저장한다. 상기 영상정보 데이터베이스(464)에 저장되어 있는 영상정보는 댁내유선단말기(200)에 저장되어 있는 설정기간이나 댁내 모니터링 서비스 시스템(400)상의 설정기간에 따라 주기적으로 삭제 가능하다. IP주소 데이터베이스(465)는 IP주소제공수단(430)과 연결되어 IP주소제공수단(430)에 댁내유선단말기(200)와 원격지 단말기(700, 800)에 설치된 프로그램으로부터 수신된 유동 IP주소를 저장한다. 프로그램 데이터베이스(467)는 카메라(100)에서 촬영한 영상을 댁내유선단말기(200)를 통해 댁내 모니터링 서비스 시스템(400)으로 전송하도록 설치하는 프로그램을 저장한다. 상기 구성 중 프로그램제공수단(440)에서 제공하는 프로그램은 CD 나 플로피디스크 등의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로 대체가능하며 이러한 경우 프로그램제공수단(440)과 프로그램 데이터베이스(467)는 상기 댁내 모니터링 서비스 시스템(400)을 구성하는 수단에서 삭제 가능하다.
도 7은 도 5에 도시된 본 발명에 의한 댁내 모니터링 서비스 시스템(400)의 동작예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인증수단(410)은 사용자가 댁내 모니터링 서비스 시스템(400)에 접속하면 가입회원인지의 여부를 확인하고, 가입회원인 경우 사용자에게 아이디와 패스워드를 입력하도록 하여 회원정보 데이터베이스(461)에 저장되어 있는 회원정보와 비교하여 확인한다(S201). 이어서, 프로그램제공수단(440)은 카메라(100)와 연결된 댁내유선단말기(200)에 설치되어 카메라(100)에서 촬영되는 집안 또는 회사의 영상을 원격지 단말기(700, 800) 또는 댁내 모니터링 서비스 시스템(400)으로 전송하는 프로그램을 제공한다(S203). 이때, 단말기(200, 700, 800)에 프로그램이 이미 설치되어 있다면 단계(S201)을 수행한 이후에 바로 단계(S205)의 과정을 수행한다. IP주소제공수단(430)은 사용자가 입력한 댁내유선단말기(200)의 IP주소의 등록정보를 수신한다(S205). 인증수단(410)은 서버 접속키 데이터베이스(462)와 원격지 단말기 접속키 데이터베이스(463)에 저장되어 있는 서버 접속키와 원격지 단말기 접속키를 댁내유선단말기(200)로 전송한다(S207). IP주소제공수단(430)은 댁내유선단말기(200)에 설치되어 있는 프로그램으로부터 IP주소가 변경될 때마다 변경된 IP주소를 수신하고 변경된 IP주소를 IP주소 데이터베이스(465)에 저장한다(S209).
인증수단(410)은 원격지 단말기(700, 800)가 댁내 모니터링 서비스 시스템(400)에 접속하면 가입회원인지의 여부를 확인하고, 가입회원인 경우 원격지단말기(700, 800)로부터 아이디와 패스워드를 수신하여 회원정보 데이터베이스(461)에 저장되어 있는 회원정보와 비교하여 확인한 후, 인증수단(410)은 원격지 단말기(700, 800)의 IP주소를 수신한다(S211). 인증수단(410)은 단계S211에서 인증한 결과를 원격지 단말기(700, 800)로 전송한다(S213). IP주소제공수단(430)은 원격지 사용자에게서 프로그램 미 설치정보를 수신하고 댁내유선단말기(200)의 IP주소를 요청하는 정보를 수신한다(S215). 상기 프로그램 미 설치정보는 원격지 사용자가 프로그램을 설치하기 어려운 PC방 등의 공공장소 단말기를 이용하여 집안 또는 회사의 영상을 요청할 때 댁내 모니터링 서비스 시스템(400)에 입력하는 정보이다. 인증수단(410)과 IP주소제공수단(430)은 데이터베이스(460)에 저장되어 있는 원격지 단말기 접속키와 댁내유선단말기(200)의 최근 IP주소를 원격지 단말기(700, 800)로 전송한다(S217). 이때, IP주소제공수단(430)은 원격지 단말기(700, 800)가 접속 시 입력한 IP주소를 이용하여 댁내유선단말기(200)의 최근 IP주소를 원격지 단말기(700, 800)로 전송한다. 댁내 모니터링 서비스 시스템(400)은 원격지 단말기(700, 800)가 다시 입력한 댁내유선단말기(200)의 IP주소를 수신하고(S219), 수신한 댁내유선단말기(200)의 IP주소를 이용하여 댁내유선단말기(200)에 연결하여 집안 또는 회사 등의 영상정보를 요청한다(S221). 영상전송수단(420)은 댁내유선단말기(200)로부터 전송된 집안 또는 회사 등의 영상정보를 수신하고(S223), 수신한 영상정보를 그대로 웹 상에서 표시한다(S225). 상기 원격지 단말기(700, 800)는 인터넷(300) 또는 무선망 사업자(600)를 경유하여 송수신하는 노트북, 컴퓨터,핸드폰, PDA 등과 같은 유무선단말기이다.
도 8은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에 의한 댁내 모니터링 서비스 시스템(400)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구성도이다.
댁내 모니터링 서비스 시스템(400)은 인증수단(410), IP주소제공수단(430), 프로그램제공수단(440), 제어수단(450), 데이터베이스(460), 침입감지작동수단(490), 센싱수단(500), 경고알림수단(510), 녹화수단(520)으로 구성된다.
상기 인증수단(410), IP주소제공수단(430), 제어수단(450), 데이터베이스(460)는 도2에 기재한 댁내 모니터링 서비스 시스템(400)의 내용과 유사하며, 이에 더하여 프로그램제공수단(440), 침입감지작동수단(490), 센싱수단(500), 경고알림수단(510), 녹화수단(520)을 더 구비하고 있다.
프로그램제공수단(440)은 카메라(100)와 연결된 댁내유선단말기(200)에 설치되어 카메라(100)에서 촬영되는 집안 또는 회사의 영상을 원격지 단말기(700, 800) 또는 댁내 모니터링 서비스 시스템(400)으로 전송하는 프로그램을 제공한다. 또한, 프로그램제공수단(400)은 원격지 단말기(700, 800)에 다운로드되어 설치된 후 카메라(100)와 연결된 댁내유선단말기(200)가 설치된 곳을 모니터링하기 위해 필요한 프로그램을 제공한다. 상기 프로그램제공수단(440)에서 제공하는 프로그램은 댁내 모니터링 서비스 시스템(400)에 등록되어 있는 댁내유선단말기(200)와 원격지 단말기(700, 800)의 IP주소가 변경되었을 경우 댁내 모니터링 서비스 시스템(400)으로 변경된 IP주소를 전송한다. 이에 더하여, 상기 프로그램은 카메라(100)에 부착되어 있는 센서로부터 침입자가 있다는 정보를 수신하면 침입자 영상정보를 저장하고 댁내 모니터링 서비스 시스템(400)으로 신호를 전송한다.
침입감지작동수단(490)은 사용자가 외출이나 여행을 갈 경우 댁내 모니터링 서비스 시스템(400)에 접속하여 침입감지작동을 요청하면 카메라(100)에 부착되어 있는 센서를 통해 침입자를 감시하도록 댁내유선단말기(200)의 프로그램으로 신호를 전송한다. 또한, 상기 침입감지작동요청은 댁내유선단말기(200)에 침입감지작동요청을 설정해 두면 댁내유선단말기(200)가 댁내 모니터링 서비스 시스템(400)에 접속하여 인증하는 순간 자동으로 침입감지작동수단(490)에 설정되는 것으로 대체 가능하다. 센싱수단(500)은 침입감지작동수단(490)과 연동되어 침입자감지작동수단(490)으로부터 침입감지작동요청을 수신하고, 댁내유선단말기(200)의 프로그램으로부터 침입자가 있다는 신호를 수신하면 경고알림수단(510)과 녹화수단(520)으로 침입자감지정보를 전송한다. 경고알림수단(510)은 센싱수단(500)으로부터 침입자정보를 수신하면 사용자가 미리 설정해 둔 SMS, 이메일, 일반전화와 같은 사용자, 경비업체, 경찰서 등의 비상연락처로 연락한다. 녹화수단(520)은 상기 센싱수단(500)으로부터 침입자정보를 수신하면 댁내유선단말기(200)의 프로그램으로부터 전송되는 침입자영상정보를 녹화한다.
도 9는 도 8에 도시된 본 발명에 의한 댁내 모니터링 서비스 시스템(400)의 데이터베이스를 상세하게 나타낸 구성도이다.
데이터베이스(460)는 회원정보 데이터베이스(461), 서버 접속키 데이터베이스(462), 원격지 단말기 접속키 데이터베이스(463), IP주소 데이터베이스(465), 프로그램 데이터베이스(467), 경고알림 데이터베이스(469), 녹화 데이터베이스(473)로 구성된다.
상기 회원정보 데이터베이스(461)는 인증수단(410)과 연결되어 회원의 아이디와 패스워드 등 회원을 인증하는데 필요한 개인정보를 저장한다. 서버 접속키 데이터베이스(462)는 댁내 모니터링 서비스 시스템(400)에 접속한 사용자의 정보와 회원의 정보가 일치하는 경우 사용자를 승인하는 단계에서 생성되어 댁내유선단말기(200)로 전송하는 서버 접속키를 저장한다. 원격지 단말기 접속키 데이터베이스(463)는 원격지 단말기(700, 800)가 댁내유선단말기(200)에 접속하기 위해 필요한 접속키를 저장한다. IP주소 데이터베이스(465)는 IP주소제공수단(430)과 연동하여 IP주소제공수단(430)이 댁내유선단말기(200)와 원격지 단말기(700, 800)의 프로그램으로부터 수신한 변경된 유동IP주소를 저장한다. 프로그램 데이터베이스(467)는 프로그램제공수단(440)에서 제공하는 프로그램을 저장한다. 경고알림 데이터베이스(469)는 경고알림수단(510)의 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로서 경찰서(470), 경비업체(471), 사용자의 연락처(472), 원격지 단말기(700, 800)의 유동IP주소를 저장한다. 경고알림 데이터베이스(469)에 저장하는 비상연락처는 비상시 연락 가능한 다른 연락처로 대체 가능하다. 녹화 데이터베이스(473)는 녹화수단(520)과 연결되어 녹화수단(520)에서 수신한 침입자 영상정보를 저장한다.
도 10은 도 8에 도시된 댁내 모니터링 서비스 시스템(400)의 동작예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인증수단(410)은 댁내유선단말기(200)가 댁내 모니터링 서비스 시스템(400)에 접속하면 회원가입을 하였는지의 여부와 가입회원일 경우 회원정보 데이터베이스(461)에 저장되어 있는 회원정보와 사용자의 아이디와 패스워드가 일치하는지의 여부를 확인한다(S301). 이어서, 침입감지작동수단(490)은 댁내유선단말기(200)로부터 침입감지작동요청을 수신하고 댁내유선단말기(200)에 설치된 프로그램으로 침입자를 감지하도록 하는 신호를 전송한다(S303). 단계(S303)에서 댁내유선단말기(200)로부터 수신한 침입감지작동요청은 사용자가 댁내유선단말기(200)에 설정해 둔 정보이거나 댁내 모니터링 서비스 시스템(400)에 접속하여 직접 설정하는 정보이다. 센싱수단(500)은 사용자가 입력한 침입감지작동요청을 침입감지작동수단(490)으로부터 수신한다(S305). 센싱수단(500)은 댁내유선단말기(200)에 설치되어 있는 프로그램으로부터 침입자가 있다는 정보를 수신하고, 경고알림수단(510)과 녹화수단(520)으로 침입자정보를 전송한다(S307). 경고알림수단(510)은 센싱수단(500)으로부터 침입자정보를 수신하면 경고알림 데이터베이스(469)에 저장되어 있는 비상연락처로 침입자가 있다는 메시지를 전송한다(S309). 녹화수단(520)은 상기 센싱수단(500)으로부터 침입자정보를 수신하면 댁내유선단말기(200)에 설치된 프로그램으로부터 전송된 침입자 영상정보를 수신하고 저장한다(S311). 댁내 모니터링 서비스 시스템(400)은 원격지 사용자가 입력한 침입자 영상정보 요청을 수신한다(S313). 댁내 모니터링 서비스 시스템(400)내의 녹화수단(520)은 녹화 데이터베이스(473)에 저장되어 있는 침입자 영상정보를 원격지 단말기(700, 800)로 전송한다(S315). 이때, 녹화수단(520)은IP주소 데이터베이스(465)에 저장되어 있는 원격지 단말기(700, 800)의 최근 IP주소를 이용하여 침입자 영상정보를 원격지 단말기(700, 800)로 전송한다.
또한, 원격지 사용자가 댁내 모니터링 서비스 시스템(400)에서 제공하는 댁내유선단말기(200)의 최근 IP주소를 이용하여 댁내유선단말기(200)로 바로 접속하여 댁내유선단말기(200)로부터 침입자 영상을 볼 수 있다.
도 11은 도 8에 도시된 댁내 모니터링 서비스 시스템(400)의 다른 동작예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인증수단(410)은 댁내유선단말기(200)가 댁내 모니터링 서비스 시스템(400)에 접속하면 회원가입을 하였는지의 여부와 가입회원일 경우 회원정보 데이터베이스(461)에 저장되어 있는 회원정보와 댁내유선단말기(200)의 아이디와 패스워드가 일치하는지의 여부를 확인한다(S401). 이어서, 침입감지작동수단(490)은 댁내유선단말기(200)로부터 침입감지작동요청을 수신하고 댁내유선단말기(200)에 설치된 프로그램으로 침입을 감지하도록 하는 신호를 전송한다(S403). 센싱수단(500)은 사용자가 입력한 침입감지작동요청을 침입감지작동수단(490)으로부터 수신한다(S405). 센싱수단(500)은 댁내유선단말기(200)에 설치되어 있는 프로그램으로부터 침입자가 있다는 정보를 수신하고, 경고알림수단(510)과 녹화수단(520)으로 침입자정보를 전송한다(S407). 경고알림수단(510)은 센싱수단(500)으로부터 침입자정보를 수신하면 경고알림 데이터베이스(469)에 저장되어 있는 비상연락처를 이용하여 원격지 사용자에게 침입자가 있다는 메시지 정보와 침입자 영상정보를 전송한다(S409). 녹화수단(520)은 상기 센싱수단(500)으로부터 침입자정보를 수신하면 댁내유선단말기(200)의 프로그램으로부터 전송된 침입자 영상정보를 수신하고 저장한다(S411). 상기 실시예에서는 댁내단말기가 유선인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지만, 댁내단말기는 유선단말기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무선망을 경유하여 통신을 수행하는 무선단말기로 구현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사용자가 외출이나 여행 시 자신이 모니터링하고 싶은 장소에 카메라와 연결된 단말기에 프로그램을 설치하여 집안 또는 회사의 단말기 IP주소정보를 제공받아 모니터링하는 댁내 모니터링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원격지에서도 자신의 집 또는 회사의 변경된 유동IP주소정보를 제공받아 원하는 장소를 모니터링할 수 있다.
또한, 댁내 모니터링 서비스 시스템과 연결된 카메라의 센서를 통해 침입자를 감시하고 침입자가 있을 경우 비상연락처로 신호를 전송하기 때문에 보안효과를 누릴 수 있다.

Claims (21)

  1. 카메라와 연결되는 댁내단말기와 무선망 또는 인터넷으로 연결되는 원격지 단말기를 통해 댁내 또는 회사의 영상을 모니터링할 수 있도록 하는 댁내 모니터링 서비스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댁내단말기와 상기 원격지 단말기로부터 변경된 유동IP주소를 수신하여 저장하고 상기 원격지 사용자가 상기 댁내단말기 유동IP주소를 요청하는 경우 상기 원격지 단말기로 상기 댁내단말기 유동IP주소를 제공하는 IP주소제공수단;
    상기 IP주소제공수단과 연결되어 상기 댁내단말기와 상기 원격지 단말기에서 제공하는 상기 유동IP주소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 및
    상기 IP주소제공수단과 상기 데이터베이스와 연결되어 상기 댁내단말기와 상기 원격지 단말기로부터 전송된 유동IP주소를 저장하거나 원격지 사용자가 유동IP주소를 요청하는 경우 상기 원격지 단말기로 상기 댁내단말기 유동IP주소를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제어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댁내 모니터링 서비스 시스템.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댁내 모니터링 서비스 시스템은 상기 카메라와 연결된 상기 댁내단말기에 설치되어 상기 카메라에 의해 촬영되는 상기 댁내 또는 회사의 영상과 상기 댁내단말기와 상기 원격지 단말기의 유동IP주소를 전송하는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프로그램제공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댁내 모니터링 서비스 시스템.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댁내 모니터링 서비스 시스템은 사용자 또는 상기 원격지 사용자가 가입회원이지의 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댁내 모니터링 서비스 시스템과 상기 댁내단말기에 접속할 때 필요한 서버 접속키와 원격지 단말기 접속키를 제공하는 인증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댁내 모니터링 서비스 시스템.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댁내단말기와 원격지 단말기는 인터넷 또는 무선망으로 연결되는 컴퓨터, PDA, 비디오폰, 핸드폰, 노트북중의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댁내 모니티링 서비스 시스템.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IP주소제공수단은 상기 댁내단말기와 상기 원격지 단말기로부터 변경된 유동IP주소를 수신할 때마다 수신된 유동IP주소를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댁내 모니터링 서비스 시스템.
  6. 카메라와 연결되는 댁내단말기와 무선망 또는 인터넷으로 연결되는 원격지 무선단말기를 통해 댁내 또는 회사의 영상을 모니터링할 수 있도록 하는 댁내 모니터링 서비스 방법에 있어서,
    상기 댁내단말기의 IP주소의 등록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댁내단말기와 상기 댁내 모니터링 서비스 시스템에 접속하기 위해 필요한 서버 접속키와 원격지 단말기 접속키를 상기 댁내단말기에 전송하는 단계;
    상기 댁내단말기로부터 상기 등록된 IP주소가 변경될 때마다 변경된 상기 유동IP주소를 수신하고 변경된 유동IP주소를 저장하는 단계;
    상기 원격지 사용자로부터 댁내단말기의 유동IP주소를 요청하는 신호와 원격지 단말기의 IP주소를 수신하고, 상기 댁내단말기의 유동IP주소를 상기 원격지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상기 원격지 단말기가 상기 유동IP주소를 이용하여 상기 댁내단말기에 접속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댁내 모니터링 서비스 방법.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원격지 사용자로부터 댁내단말기의 유동IP주소를 요청하는 신호와 원격지 단말기의 IP주소를 수신하고, 상기 댁내단말기의 유동IP주소를 상기 원격지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댁내단말기에 접속하여 상기 댁내 또는 회사의 영상을 보기 위하여 필요한 상기 프로그램을 원격지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댁내 모니터링 서비스 방법.
  8.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댁내단말기의 IP주소의 등록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댁내단말기에 상기 댁내 또는 회사의 영상을 전송하는 프로그램이 설치되도록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댁내 모니터링 서비스 방법.
  9.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유동IP주소를 원격지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유동IP주소 중 가장 최근 유동IP주소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댁내 모니터링 서비스 방법.
  10. 카메라와 연결되는 댁내단말기와 무선망 또는 인터넷으로 연결되는 원격지 단말기를 통해 댁내 또는 회사의 영상을 모니터링할 수 있도록 하는 댁내 모니터링 서비스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댁내단말기와 상기 원격지 단말기로부터 변경된 상기 유동IP주소를 수신하여 저장하고 상기 원격지 사용자가 상기 유동IP주소를 요청하는 경우 상기 원격지 단말기로 상기 유동IP주소를 제공하는 IP주소제공수단;
    상기 댁내단말기로부터 댁내 또는 회사의 영상을 수신하고 원격지 사용자가 댁내 또는 회사의 영상을 요청하는 경우 상기 영상을 상기 원격지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영상전송수단;
    상기 IP주소제공수단과 상기 영상전송수단에 연결되어 상기 댁내단말기와 상기 원격지 단말기에서 제공하는 상기 유동IP주소와 영상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
    상기 IP주소제공수단과 상기 영상전송수단, 상기 데이터베이스와 연결되어 상기 댁내단말기로부터 전송되는 유동IP주소와 영상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원격지 사용자가 요청하는 경우 상기 원격지 단말기로 상기 댁내단말기의 유동IP주소 및 영상정보를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제어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댁내 모니터링 서비스 시스템.
  11.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댁내 모니터링 서비스 시스템은 상기 카메라와 연결된 상기 댁내단말기에 설치되어 상기 카메라에 의해 촬영되는 상기 댁내 또는 회사의 영상과 댁내단말기와 원격지 단말기의 유동IP주소를 전송하도록 하는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프로그램제공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댁내 모니터링 서비스 시스템.
  12. 카메라와 연결되는 댁내단말기와 무선망 또는 인터넷으로 연결되는 원격지 단말기를 통해 댁내 또는 회사의 영상을 모니터링할 수 있도록 하는 댁내 모니터링 서비스 방법에 있어서,
    상기 댁내단말기의 IP주소의 등록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댁내단말기와 상기 댁내 모니터링 서비스 시스템에 접속하기 위해 필요한 서버 접속키와 원격지 단말기 접속키를 상기 댁내단말기에 전송하는 단계;
    상기 댁내단말기로부터 상기 등록된 IP주소가 변경될 때마다 변경된 유동IP주소를 수신하고 상기 유동IP주소를 저장하는 단계;
    상기 원격지 사용자가 입력한 상기 댁내단말기의 유동IP주소를 요청하는 신호와 원격지 단말기의 IP주소를 수신하고, 댁내단말기의 유동IP주소를 상기 원격지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댁내단말기의 유동IP주소를 이용하여 상기 댁내단말기에 접속하여 댁내 또는 회사의 영상을 요청하는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댁내단말기가 전송한 댁내 또는 회사의 영상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댁내 또는 회사의 영상을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댁내 모니터링 서비스 방법.
  13.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댁내단말기의 IP주소의 등록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댁내단말기에 설치되어 상기 댁내 또는 회사의 영상을 전송하도록 하는 프로그램을 상기 댁내단말기에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댁내 모니터링 서비스 방법.
  14.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단말기와 상기 사용자의 원격지 단말기는 상기 인터넷 또는 상기 무선망으로 연결되는 컴퓨터, PDA, 비디오폰, 핸드폰, 노트북중의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댁내 모니티링 서비스 시스템.
  15. 침입자 감지 센서가 부착된 카메라와 연결되는 댁내단말기와 무선망 또는 인터넷으로 연결되는 원격지 단말기를 통해 댁내 또는 회사의 침입자 영상을 모니터링할 수 있도록 하는 댁내 모니터링 서비스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댁내단말기와 상기 원격지 단말기로부터 변경된 상기 유동IP주소를 수신하여 저장하고 상기 원격지 사용자가 상기 유동IP주소를 요청하는 경우 상기 원격지 단말기로 상기 유동IP주소를 제공하는 IP주소제공수단;
    상기 사용자가 상기 댁내 모니터링 서비스 시스템에 접속하여 침입감지작동을 요청하면 상기 카메라에 부착되어 있는 센서를 통해 침입자를 감시하도록 상기 수신된 유동IP주소를 이용하여 댁내단말기로 신호를 전송하는 침입감지작동수단;
    상기 댁내단말기로부터 침입자가 있다는 신호를 수신하면 침입자감지정보를 전송하는 센싱수단;
    상기 센싱수단으로부터 침입자정보를 수신하면 상기 사용자가 미리 설정해 둔 비상연락처로 신호를 전송하는 경고알림수단;
    상기 센싱수단으로부터 침입자정보를 수신하면 상기 댁내단말기로부터 전송되는 상기 침입자영상정보를 저장하는 녹화수단; 및
    상기 IP주소제공수단, 상기 침입감지작동수단, 상기 경고알림수단, 상기 녹화수단과 연결되어 상기 댁내단말기로부터 전송되는 유동IP주소, 침입자 영상정보를 저장하고 침입자 정보를 알릴 원격지 사용자의 비상연락처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댁내 모니터링 서비스 시스템.
  16. 제15 항에 있어서,
    상기 댁내 모니터링 서비스 시스템은 상기 카메라와 연결된 상기 댁내단말기에 설치되어 상기 카메라에 의해 촬영되는 댁내 또는 회사에 침입한 침입자의 영상정보와 변경된 댁내단말기와 원격지 단말기의 유동IP주소를 전송하도록 하는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프로그램제공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댁내 모니터링 서비스 시스템.
  17. 제15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단말기와 상기 사용자의 원격지 단말기는 상기 인터넷 또는 상기 무선망으로 연결되는 컴퓨터, PDA, 비디오폰, 핸드폰, 노트북중의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댁내 모니티링 서비스 시스템.
  18. 침입자 감지 센서가 부착된 카메라와 연결되어 댁내 또는 회사의 영상을 전송하는 댁내단말기와 무선망 또는 인터넷으로 연결되어 원격지 사용자에게 유동IP주소를 제공하여 원격지 단말기를 통해 댁내 또는 회사의 침입자 영상을 모니터링할 수 있도록 하는 댁내 모니터링 서비스 방법에 있어서,
    상기 댁내단말기로부터 상기 유동IP주소가 변경될 때마다 변경된 상기 유동IP주소를 수신하고 유동IP주소를 저장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가 입력한 침입감지작동요청을 수신하고 상기 저장된 유동IP주소를 이용하여 상기 댁내단말기로 침입을 감지하도록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댁내단말기로부터 침입자가 있다는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전송되는 침입자 정보를 상기 원격지 사용자에게 알리는 단계;
    상기 원격지 사용자가 입력한 상기 원격지 단말기로부터의 침입자 녹화영상정보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원격지 단말기로 상기 침입자 녹화영상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댁내 모니터링 서비스 방법.
  19. 제18 항에 있어서,
    상기 댁내단말기로부터 침입자가 있다는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댁내단말기로부터 침입자 영상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침입자 영상정보를 녹화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댁내 모니터링 서비스 방법.
  20. 제18 항에 있어서,
    상기 침입자 정보를 상기 원격지 사용자에게 알리는 단계는 ARS전화, 이메일, SMS, 원격지 단말기 IP주소 중 어느 하나로 메시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댁내 모니터링 서비스 방법.
  21. 침입자 감지 센서가 부착된 카메라와 연결되는 댁내단말기와 무선망 또는 인터넷으로 연결되는 원격지 단말기를 통해 댁내 또는 회사의 침입자 영상을 모니터링할 수 있도록 하는 댁내 모니터링 서비스 방법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가 입력한 침입감지작동요청을 수신하고 상기 댁내단말기로 침입을 감지하도록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댁내단말기로부터 침입자가 있다는 정보와 상기 침입자의 영상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침입자 정보를 상기 사용자 또는 상기 원격지 사용자가 미리 설정해 둔 연락처를 이용하여 침입자영상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댁내단말기로부터 전송되는 침입자 영상정보를 녹화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댁내 모니터링 서비스 방법.
KR1020020043920A 2002-07-25 2002-07-25 유동ip를 이용한 댁내 모니터링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2004001088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43920A KR20040010888A (ko) 2002-07-25 2002-07-25 유동ip를 이용한 댁내 모니터링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43920A KR20040010888A (ko) 2002-07-25 2002-07-25 유동ip를 이용한 댁내 모니터링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10888A true KR20040010888A (ko) 2004-02-05

Family

ID=373192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43920A KR20040010888A (ko) 2002-07-25 2002-07-25 유동ip를 이용한 댁내 모니터링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010888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6423B1 (ko) * 2005-03-10 2007-05-08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통신망을 이용한 원격 감시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857073B1 (ko) * 2007-03-07 2008-09-05 용성종합경비(주) 실시간 원격 감시 시스템
KR101105951B1 (ko) * 2005-11-08 2012-01-18 주식회사 케이티 영상단말기를 이용한 감시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113541B1 (ko) * 2009-12-18 2012-02-29 주식회사 케이티 UPnP 장치 정보 중계 방법 및 시스템
KR101323139B1 (ko) * 2011-05-09 2013-10-30 김병두 원격감시시스템 및 방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7726A (ja) * 1997-06-26 1999-01-22 Hitachi Ltd Dns機能を内蔵したipネットワークの結合制御装置
KR20000058486A (ko) * 2000-06-02 2000-10-05 안태균 유동적인 IP Address을 고정적인 IPAddress로 변환하여 사용자간의 정보 공유 및인터넷 접속 시스템
KR20010001921A (ko) * 1999-06-09 2001-01-05 윤판기 인터넷을 이용한 감시시스템
KR20020012079A (ko) * 2000-08-05 2002-02-15 조영훈 유동 아이피주소를 갖는 감시현장시스템, 이를 이용한 웹영상 감시 시스템 및 감시 방법
KR20030071903A (ko) * 2002-03-02 2003-09-13 이경목 인터넷을 이용한 홈 네트워크 시스템 관리 서버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7726A (ja) * 1997-06-26 1999-01-22 Hitachi Ltd Dns機能を内蔵したipネットワークの結合制御装置
KR20010001921A (ko) * 1999-06-09 2001-01-05 윤판기 인터넷을 이용한 감시시스템
KR20000058486A (ko) * 2000-06-02 2000-10-05 안태균 유동적인 IP Address을 고정적인 IPAddress로 변환하여 사용자간의 정보 공유 및인터넷 접속 시스템
KR20020012079A (ko) * 2000-08-05 2002-02-15 조영훈 유동 아이피주소를 갖는 감시현장시스템, 이를 이용한 웹영상 감시 시스템 및 감시 방법
KR20030071903A (ko) * 2002-03-02 2003-09-13 이경목 인터넷을 이용한 홈 네트워크 시스템 관리 서버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6423B1 (ko) * 2005-03-10 2007-05-08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통신망을 이용한 원격 감시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105951B1 (ko) * 2005-11-08 2012-01-18 주식회사 케이티 영상단말기를 이용한 감시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857073B1 (ko) * 2007-03-07 2008-09-05 용성종합경비(주) 실시간 원격 감시 시스템
KR101113541B1 (ko) * 2009-12-18 2012-02-29 주식회사 케이티 UPnP 장치 정보 중계 방법 및 시스템
KR101323139B1 (ko) * 2011-05-09 2013-10-30 김병두 원격감시시스템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410535B1 (en) Monitoring system control technology using multiple sensors, cameras, lighting devices, and a thermostat
US20220108593A1 (en) Automated, remotely-verified alarm system with intrusion and video surveillance and digital video recording
US8791817B2 (en) System and method for monitoring a location
JP4699939B2 (ja) アクセス制御方式
CN101427538A (zh) 高价值资产的监管
CN1973513A (zh) 通信设备、无线网络、程序及存储介质
JP2009505568A (ja) 制限的な環境において無線周波数伝送を禁止すること
US20030061325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nterconnectivity between legacy security systems and networked multimedia security surveillance system
JP2014044542A (ja) 監視システム、画像形成装置、監視方法、及び監視プログラム
KR20020000473A (ko) 인터넷을 이용한 안전 경비 시스템
CN105809440A (zh) 在线支付方法及装置
KR20040010888A (ko) 유동ip를 이용한 댁내 모니터링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101186635B1 (ko) 방범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KR20120064414A (ko) 보안 이벤트 모니터링 장치 및 그 방법
KR101680746B1 (ko) 씨씨티브이 시스템
KR20050005151A (ko) 로봇을 이용한 홈 시큐리티 서비스 방법 및 그 로봇
JP2006331402A (ja) オンライン・セキュリティ管理システム
KR101314822B1 (ko) 모바일 오피스 시스템 및 그 방법, 및 기록 매체
JP4564180B2 (ja) 監視システム
JP2009278265A (ja) 移動体通信システム
KR20100012156A (ko) 생체인식 기반 출입자 확인, 정보 전송 시스템
KR20160033390A (ko) 방범방재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
KR20040050687A (ko) 휴대폰을 이용하여 원격지의 컴퓨터를 제어하는 실시간관리 시스템
KR200203248Y1 (ko) 인터넷을 이용한 안전 경비 시스템
KR102492758B1 (ko) 이동감지센서가 내장된 도난 감시용 부속품 및 이를 적용한 랩톱 pc 도난 감시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