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12079A - 유동 아이피주소를 갖는 감시현장시스템, 이를 이용한 웹영상 감시 시스템 및 감시 방법 - Google Patents

유동 아이피주소를 갖는 감시현장시스템, 이를 이용한 웹영상 감시 시스템 및 감시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12079A
KR20020012079A KR1020000045525A KR20000045525A KR20020012079A KR 20020012079 A KR20020012079 A KR 20020012079A KR 1020000045525 A KR1020000045525 A KR 1020000045525A KR 20000045525 A KR20000045525 A KR 20000045525A KR 20020012079 A KR20020012079 A KR 2002001207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nitoring
surveillance
site
address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455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85991B1 (ko
Inventor
조영훈
강계철
김윤홍
곽강만
Original Assignee
조영훈
강계철
시큐어밸리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영훈, 강계철, 시큐어밸리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조영훈
Priority to KR10-2000-00455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85991B1/ko
Publication of KR200200120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120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859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85991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06Alarm destination chosen according to type of event, e.g. in case of fire phone the fire service, in case of medical emergency phone the ambulance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1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G08B25/08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using communication transmission lin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7/00Alarm systems in which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from a central station to a plurality of substations
    • G08B27/005Alarm systems in which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from a central station to a plurality of substations with transmission via computer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 H04N7/188Capturing isolated or intermittent images triggered by the occurrence of a predetermined event, e.g. an object reaching a predetermined position

Abstract

본 발명은 유동 IP주소를 이용한 웹 영상 감시 시스템 및 감시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 감시중앙제어시스템에 영상서버를 설치하는 방식의 감시 시스템은 감시현장의 감시정보입력장치 및 감지장치를 통해 획득한 모든 감시정보를 감시중앙제어시스템에서 수집하여 영상서버에 저장하고, 상기 영상서버에서 영상서버에 접속한 원격지의 감시시스템 사용자에게 감시정보를 분배하여 제공하는 방식으로 실시하기 때문에, 상기 감시중앙제어시스템에서 모든 감시정보를 수집하여 처리할 수 있도록 감시중앙제어시스템을 대용량으로 구축하는데 따른 비용부담이 크며, 여러 감시현장으로부터 감시정보의 데이터 흐름이 감시중앙제어시스템으로 집중되어 감시정보의 처리 효율이 급격히 저하되며, 또한 고정 IP주소를 갖는 감시현장호스트를 이용하여 감시하는 방식은 감시현장호스트로의 접속이 용이하고 신속하다는 이점은 있으나 감시현장호스트가 고정 IP주소를 사용함에 따른 비용부담이 크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감시현장에서 센서 또는 감청정보입력장치를 포함하는 감지장치에 의하여 감시현장에서 이상발생이 감지되면, 이상발생상황을 알리는 경고신호를 감시현장호스트로 송신하여 감시현장호스트와 상기 감시현장호스트에 연결된 감시카메라장치를 동작시켜 감시카메라장치로부터 입력되는 감시영상정보를 감시현장호스트에 저장하며 또한 상기 감지장치로부터입력되는 감시비영상정보를 감시현장호스트에 저장하고, 동시에 감시현장호스트는 경고신호에 의해 작동되면 IP주소제공자서버로부터 유동 IP주소를 부여받고, 감시현장 호스트는 부여받은 유동 IP주소를 감시중앙제어시스템의 중앙중계서버에 송신하여 등록함으로서, 원격지에서 감시시스템 사용자가 상기 중앙중계서버를 통하여 감시현장호스트의 유동 IP주소를 확인하여 감시현장호스트에 접속하여 감시현장호스트로부터 저장된 감시영상정보 및 감시비영상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하는 유동 아이피주소를 갖는 감시현장시스템, 이를 이용한 웹 영상 감시 시스템 및 감시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유동 아이피주소를 갖는 감시현장시스템, 이를 이용한 웹 영상 감시 시스템 및 감시 방법{A monitoring system with floating IP address, a web image monitoring system using the system and a method of the same}
본 발명은 감시현장에서 센서 또는 감청정보입력장치를 포함하는 감지장치에 의하여 감시현장에서 이상발생이 감지되면, 이상발생상황을 알리는 경고신호를 감시현장호스트로 송신하여 감시현장호스트와 상기 감시현장호스트에 연결된 감시카메라장치를 동작시켜 감시카메라장치로부터 입력되는 감시영상정보를 감시현장호스트에 저장하며 또한 상기 감지장치로부터 입력되는 감시비영상정보를 감시현장호스트에 저장하고, 동시에 감시현장호스트는 경고신호에 의해 작동되면 IP주소제공자서버로부터 유동 IP주소를 부여받고, 감시현장 호스트는 부여받은 유동 IP주소를 감시중앙제어시스템의 중앙중계서버에 송신하여 등록함으로서, 원격지에서 감시시스템 사용자가 상기 중앙중계서버를 통하여 감시현장호스트의 유동 IP주소를 확인하여 감시현장호스트에 접속하여 감시현장호스트로부터 저장된 감시영상정보 및 감시비영상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하는 유동 아이피주소를 갖는 감시현장시스템, 이를 이용한 웹 영상 감시 시스템 및 감시 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재 여러 곳에서 실제 상황, 도난, 재해 등을 감시하기 위한 보안 감시 시스템이 널리 이용되고 있다. 예를 들면, 물류 창고에서 물류의 입출고 현황이나 재해 또는 도난 감시, 생산 공장에서 작업 공정의 관리와 감시, 목장이나 과수원 등의 재해 또는 도난 감시, 금융기관에서 출입하는 사람들의 감시 및 업무 상황의 감시, 댐 상수원에서의 감시, 녹화, 폐수 처리장이나 정수장 및 도시가스 등의 감시 등을 위하여 센서, 감청정보입력장치 또는 감시카메라장치 등을 감시장소에 설치하고, 상기 센서, 감청정보입력장치 또는 감시카메라장치 등에 의해 획득된 감시정보를 통신망을 통해 감시원격지로 전송하는 방식에 의한 감시 시스템에 의해 감시를 실시하고 있다.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목적 달성을 위하여 이용되는 종래의 보안 감시시스템은 감시 현장에서 획득한 감시정보를 감시중앙제어센터에서 수집하여 이를 감시중앙제어센터에서 감시자 또는 감시시스템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방식에 의해 감시를 실시하고 있다.
현재 인터넷 기술의 발전과 인터넷 이용의 확대에 의하여 인터넷을 이용하는 감시 시스템이 점점 증가하고 있는데, 종래 인터넷을 이용하는 감시 시스템은 감시현장의 감시정보입력장치 또는 감지장치를 통해 획득한 모든 감시정보를 감시시스템 운영자의 감시중앙제어시스템에서 수집하여 영상서버에 저장하고, 영상서버에서 영상서버에 접속한 감시자 또는 감시시스템 사용자에게 감시정보를 분배하여 제공하는 방식을 이용하기 때문에, 감시중앙제어시스템에서 모든 감시정보를 수집하여 처리할 수 있도록 감시중앙제어시스템을 대용량으로 구축해야하기 때문에 비용이 많이 필요하다는 문제점이 있으며, 감시중앙제어시스템에서 모든 감시와 관련된 정보를 수집하여 처리함으로서 여러 감시현장으로부터 감시정보의 데이터 흐름이 감시중앙제어시스템으로 집중되어 감시정보의 처리 효율이 저하되고, 그로 인하여 감시에 대한 신뢰성이 저하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수집된 감시정보를 인터넷을 통하여 감시시스템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경우에 종래 방식은 감시중앙제어시스템에서 모든 감시정보를 수집한 다음 다시 이를 감시중앙제어시스템을 통하여 감시시스템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있는데, 이러한 종래 방식은 감시중앙제어시스템에 대용량의 서버기능을 설치함에 따른 경제적 부담과 관리 부담이 크다는 문제점이 있으며, 여러 감시자 또는 감시시스템 사용자가 감시중앙제어시스템에 접속한 경우에 감시정보를 제공하는 전송속도가 저하되어 감시자 또는 감시시스템 사용자가 감시정보를 신속하게 제공받을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 감시현장에 서버기능이 있는 감시현장호스트를 설치하여 감시하는 방식은 감시현장호스트가 고정 IP주소를 갖는 방식인데, 감시현장호스트가 고정 IP주소를 갖는 경우에 감시시스템 사용자는 인터넷단말기를 통하여 감시현장의 감시현장호스트에 직접 접근이 가능하다는 이점은 있으나, 감시중앙제어시스템을 통한 종합적인 감시에 관련된 정보의 전송 및 판단이 이루어지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감시현장에서 센서 또는 감청정보입력장치를 포함하는 감지장치에 의하여 감시현장에서 이상발생이 감지되면, 이상발생상황을 알리는 경고신호를 감시현장호스트로 송신하여 감시현장호스트와 상기 감시현장호스트에 연결된 감시카메라장치를 동작시켜 감시카메라장치로부터 입력되는 감시영상정보를 감시현장호스트에 저장하며 또한 상기 감지장치로부터 입력되는 감시비영상정보를 감시현장호스트에 저장하고, 동시에 감시현장호스트는 경고신호에 의해 작동되면 IP주소제공자서버로부터 유동 IP주소를 부여받고, 감시현장 호스트는 부여받은 유동 IP주소를 감시중앙제어시스템의 중앙중계서버에 송신하여 등록함으로서, 원격지에서 감시시스템 사용자가 상기 중앙중계서버를 통하여 감시현장호스트의 유동 IP주소를 확인하여 감시현장호스트에 접속하여 감시현장호스트로부터 저장된 감시영상정보 및 감시비영상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하는 유동 아이피주소를 갖는 감시현장시스템, 이를 이용한 웹 영상 감시 시스템 및 감시 방법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의 시스템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의 시스템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의 동작과정을 도시한 절차 흐름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감시현장 140 : 감시중계장치
150 : 감시현장호스트 160 ; 감시카메라장치
200 : 감시중앙제어시스템 210 : 중앙중계서버
310 : 감시시스템사용자 공중통신망 단말기
320 : 감시시스템사용자 인터넷단말기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은 복수개의 IP주소를 구비하고 상기 복수개의 IP주소 중 어느 하나를 부여하는 IP주소제공자서버와 인터넷으로 연결되고, 외부기기와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데이터송수신장치를 구비하고 제 1 외부기기가 부여받은 IP주소를 전송받아 제 2 외부기기로 상기 IP주소를 제공하는 감시중앙제어시스템과 유무선공중통신망과 인터넷으로 연결되어 감시현장에서 발생하는 감시에 필요한 정보를 처리하는 감시현장시스템으로,
감시하고자 하는 감시현장에 설치되어 감지정보를 입력받아 상기 감시현장의 정상상태 또는 이상상태 여부를 감지하는 적어도 1개 이상의 감지장치;
상기 감지장치로부터 입력된 감지정보를 통하여 감시현장의 이상상태 여부를 판단하고, 이상상태로 판단된 경우에 이상상태 발생을 알리는 경고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경고신호를 상기 유무선공중통신망을 통하여 특정목적지로 전송하는 감시중계장치;
상기 감시현장에서 발생하는 감시영상정보를 입력받는 감시카메라장치; 및
상기 감시중계장치로부터 입력되는 상기 경고신호에 의해 휴지(idle)상태에서 정상동작상태로 전환되며 동시에 감시카메라장치를 동작시키고, 인터넷을 통하여 상기 IP주소제공자서버로부터 IP주소를 부여받고, 부여받은 상기 IP주소를 상기 감시중앙제어시스템으로 전송하여 중앙중계서버에 등록하며, 상기 감시카메라장치로부터 입력되는 감시영상정보를 전송받아 저장하는 정보저장부를 구비하고, 상기 특정목적지로 인터넷을 통하여 상기 감시영상정보를 제공하는 감시현장호스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동 아이피주소를 갖는 감시현장시스템에 의해서 달성이 가능하다.
상기 감시중계장치가 상기 경고신호를 유무선공중통신망을 통하여 전송하는 특정목적지는 감시중앙제어시스템과 감시시스템 사용자의 공중통신망단말기 중의 어느 하나 또는 모두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감시현장호스트는 상기 감지장치로부터 입력되는 감시비영상정보를 전송받아 감시현장호스트의 정보저장부에 저장하는 기능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감시현장호스트가 상기 감시영상정보를 인터넷을 통하여 전송하는 특정목적지는 감시중앙제어시스템과 감시시스템 사용자의 인터넷단말기 중의 어느 하나 또는 모두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은 복수개의 IP주소를 구비하고 상기 복수개의 IP주소 중 어느 하나를 부여하는 IP주소제공자서버와, 외부기기와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데이터송수신장치를 구비하고, 인터넷을 통하여 외부기기로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는 기능이 구비된 감시중앙제어시스템과, 상기 IP주소제공자서버와 인터넷으로 연결되고 상기 감시중앙제어시스템과 유무선공중통신망 및 인터넷으로 연결되고 감시현장에서 발생하는 감시에 필요한 정보를 처리하는 감시현장시스템을 포함하여 감시현장을 감시하는 감시시스템으로,
감시하고자 하는 감시현장에 설치되어 감지정보를 입력받아 상기 감시현장의 정상상태 또는 이상상태 여부를 감지하는 적어도 1개 이상의 감지장치와, 상기 감지장치로부터 입력된 감지정보를 통하여 감시현장의 이상상태 여부를 판단하고 이상상태로 판단된 경우에 이상상태 발생을 알리는 경고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경고신호를 유무선공중통신망을 통하여 특정목적지로 전송하는 감시중계장치와, 상기 감시현장에서 발생하는 감시영상정보를 입력받는 감시카메라장치와, 상기 감시중계장치로부터 입력되는 상기 경고신호에 의해 휴지(idle)상태에서 정상동작상태로 전환되며 동시에 감시카메라장치를 동작시키고 인터넷을 통하여 IP주소제공자서버로부터 IP주소를 부여받고 부여받은 상기 IP주소를 감시중앙제어시스템으로 전송하고 상기 감시카메라장치로부터 입력되는 감시영상정보를 전송받아 저장하는 정보저장부를 구비하고 상기 특정목적지로 인터넷을 통하여 상기 감시영상정보를 제공하는 감시현장호스트를 포함하는 감시현장시스템과;
상기 감시현장시스템의 감시현장호스트로부터 상기 IP주소를 전송받아 감시시스템 사용자의 요구에 의해 상기 사용자에게 상기 IP주소를 제공하는 중앙중계서버가 구비된 감시중앙제어시스템을 포함하여 감시현장호스트의 유동적인 IP주소를 감시현장호스트로부터 전송받아 감시중앙제어시스템에서 감시시스템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감시시스템 사용자가 감시현장호스트에 접속하여 감시현장호스트로부터 감시영상정보를 제공받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동 아이피주소를 갖는 감시현장시스템을 이용한 웹 영상 감시 시스템에 의해서 달성이 가능하다.
상기 감시중앙제어시스템은 감시현장시스템의 감시현장호스트로부터 감시영상정보를 전송받아 감시영상정보를 저장할 수 있는 정보저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은 복수개의 IP주소를 구비하고 상기 복수개의 IP주소 중 어느 하나를 부여하는 IP주소제공자서버와, 외부기기와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데이터송수신장치를 구비하고, 인터넷을 통하여 외부기기로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는 기능이 구비된 감시중앙제어시스템과, 상기 IP주소제공자서버와 인터넷으로 연결되고 상기 감시중앙제어시스템과 유무선공중통신망 및 인터넷으로 연결되고 감시현장에서 발생하는 감시에 필요한 정보를 처리하는 감시현장시스템을 포함하여 감시현장을 감시하는 감시시스템에 의한 감시방법으로,
감시현장시스템의 감지장치에서 감지정보를 입력받는 제 1 단계;
감시현장시스템의 감시중계장치에서 감지정보로부터 입력된 감지정보를 통하여 감시현장의 이상상태 여부를 판단하고, 이상상태로 판단된 경우에 이상상태 발생을 알리는 경고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경고신호를 특정목적지로 전송하는 제 2 단계;
감시현장시스템의 감시카메라장치에서 감시현장에서 발생하는 감시영상정보를 입력받는 제 3 단계;
감시현장시스템의 감시현장호스트가 상기 경고신호에 의해 휴지(idle))상태에서 정상동작상태로 전환되며 동시에 감시카메라장치를 동작시키고, 인터넷을 통하여 IP주소제공자서버로부터 IP주소를 부여받고, 상기 IP주소를 감시중앙제어시스템의 중계서버로 전송하는 제 4 단계;
감시현장시스템의 감시현장호스트가 감시카메라장치로부터 감시영상정보를 전송받아 감시현장호스트의 정보저장부에 저장하는 제 5 단계;
감시현장시스템의 감시현장호스트가 상기 IP주소를 감시중앙제어시스템으로 전송하여 감시중앙제어시스템의 중계서버에 등록하는 제 6 단계;
상기 감시중앙제어시스템의 상기 중계서버에서 감시시스템 사용자의 요구에 의하여 감시현장호스트의 IP주소를 감시시스템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제 7 단계;
감시현장시스템의 감시현장호스트에서 감시시스템 사용자의 요구에 의하여 인터넷을 통하여 감시시스템 사용자의 인터넷단말기로 상기 감시영상정보를 제공하는 제 8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동 아이피주소를 갖는 감시현장시스템을 이용하는 웹 영상 감시 방법에 의해서 달성이 가능하다.
상기 제 5 단계 이후에 상기 감시현장호스트의 정보저장부에 저장된 감시영상정보를 감시중앙제어시스템에서 전송받아 감시중앙제어시스템의 정보저장부에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의 시스템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이고,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의 시스템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1 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감시현장에 형성되는 감시현장시스템(100)은 감지장치(110), 감시중계장치(120), 감시카메라장치(130) 및 감시현장호스트(140)를 포함하도록 구성이 되며, 상기 감시현장호스트(140)에는 감시에 따른 정보를 저장할 정보저장부(141)가 포함된다.
감지장치(110)는 감시하고자 하는 감시현장에 설치되어 감지정보를 입력받아 상기 감시현장의 정상상태 또는 이상상태 여부를 감지하는 장치로서, 감시의 목적에 따라서 열감지센서, 문개폐센서, 적외선센서 등의 다양한 센서장치(111) 또는 감청정보입력장치(112)가 포함된다. 상기와 같은 센서장치(111) 또는 감청정보입력장치(112)로부터 입력되는 감지정보에 의하여 감시현장에 이상상태 발생을 1차적으로 점검하여 감시현장을 감시할 수 있게 된다.
감시중계장치(120)는 감지장치(110)로부터 입력된 감지정보를 통하여 감시현장의 이상상태 여부를 판단하고, 이상상태로 판단된 경우에 이상상태 발생을 알리는 경고신호를 출력하고, 경고신호를 유무선공중통신망(400)을 통하여 특정목적지로 전송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감시중계장치(120)는 센서장치(111) 또는 감청정보입력장치(112)를 포함하는 감지장치(110)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어 감지장치(110)에 입력되는 감지정보를 감시중계장치(120)로 전송한다. 특정목적지란 감시시스템 사용자의 공중통신망단말기(310) 및/또는 감시중앙제어시스템(200)이며, 상기 감시중계장치(120)에서 감지정보를 통하여 감시현장이 이상상태가 발생했다고 판단된 경우에 감시중계장치(120)는 유무선공중통신망(400)을 통하여 감시시스템 사용자의 공중통신망단말기(310) 및/또는 감시중앙제어시스템(200)으로 이상상태가 발생했다는 경고신호를 송신하여 감시현장에 이상상태가 발생했다는 것을 알려준다. 이때, 감지장치(110)에 감청정보입력장치(112)가 포함된 경우에 감청정보입력장치(112)에 입력되는 감시현장의 감청정보를 유무선공중통신망(400)을 통하여 감시시스템 사용자의 공중통신망단말기(310) 및/또는 감시중앙제어시스템 (200)으로 전송하여 감시현장에서 발생하는 감청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공중통신망단말기(310)에는 종래 널리 이용되는 유선전화기 또는 이동통신단말기 등이 포함된다. 감시중계장치(120)에서 전송한 경고신호를 통하여 감시시스템 사용자 또는 감시 요원은 감시현장의 이상상태 발생을 파악하고, 이에 적절한 조치를 취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감시중계장치(120)는 감시현장호스트(140)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어 경고신호를 감시현장호스트(140)로 전송한다. 상기 감시현장시스템(100)에는 감시중계장치(120)를 원격으로 제어할 수 있는 원격제어기(150)가 더 포함될 수 있다.
감시카메라장치(130)는 감시현장에서 발생하는 감시영상정보를 입력받는 것으로서, 감시카메라장치(130)에 입력된 감시영상정보는 하기에서 설명하는 감시현장호스트(140)로 전송된다. 감시카메라장치(130)는 감시현장호스트가 경고신호를 수신받아서 정상동작상태로 전환될 때 동시에 동작한다.
감시현장호스트(140)는 평상시에는 휴지(idle)상태이고, 감시중계장치(120)로부터 입력되는 경고신호에 의해 휴지상태에서 정상동작상태로 전환되고 정상동작상태로 전환되면 인터넷(500)을 통하여 IP주소제공자서버(600)로부터 IP주소를 부여받고, 부여받은 상기 IP주소를 감시중앙제어시스템(200)으로 전송하며, 감시카메라장치(130)로부터 입력되는 감시영상정보를 전송받아 저장하는 정보저장부(141)를 구비하고, 특정목적지로 인터넷(500)을 통하여 감시영상정보를 제공한다.
또한, 감시현장호스트(140)는 센서(111) 또는 감청정보입력장치(112)를 포함하는 감지장치(110)로부터 입력되는 감시비영상정보를 감시중계장치(120)로부터 전송받아서 정보저장부(140)에 저장하고, 이를 감시시스템 사용자에게 인터넷(500)을 통하여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복수개의 감시카메라장치(130)에 입력되는 감시영상정보와 복수개의 감지장치(110)에 입력되는 감시비영상정보를 이용하여 감시현장에 침입자가 있는 경우에 침입경로를 추적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감시현장호스트(140)에 구비하여 감시현장호스트(140)에서 침입자의 침입경로정보를 감시비영상정보로 구분하여 감시현장호스트(140)의 정보저장부(140)에 저장하고, 저장된 감시비영상정보를 감시시스템 사용자에게 인터넷(500)을 통하여 제공할 수 있다.
IP주소제공자서버(600)는 복수개의 IP주소를 구비하고 복수개의 IP주소 중 어느 하나를 IP주소를 요청하는 외부기기에 부여한다. 감시현장호스트(140)는 인터넷(500)을 통하여 정보를 제공하는 서버기능을 구비하고 있으며, 정상동작상태로 전환과 동시에 인터넷(500)으로 연결되어 IP주소제공자서버(600)로부터 새로운 IP주소를 부여받고, 부여받은 상기 IP주소를 감시중앙제어시스템(200)으로 인터넷을 통하여 전송한다. 이때, 감시현장호스트(140)가 IP주소제공자서버(600)로부터 부여받는 IP주소는 감시현장호스트(140)가 인터넷에 연결될 때마다 유동적이며, 이처럼 유동적인 상기 IP주소를 부여받을 때마다 감시중앙제어시스템(200)으로 전송하여중앙중계서버(210)통보해준다. 감시시스템 사용자가 이용하는 인터넷단말기(320)에는 유선인터넷 또는 무선인터넷을 이용할 수 있는 모든 기기가 포함된다.
감시중앙제어시스템(200)은 데이터송수신장치(220)와 중앙중계서버(210)를 포함하고 있다.
데이터송수신장치(220)는 유무선공중통신망(400) 및 인터넷(500)을 통하여 외부기기와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는 장치이다. 감시중계장치(120)에서 유무선공중통신망(400)을 통하여 전송하는 경고신호와 감시현장호스트(140)에서 인터넷을 통하여 전송하는 감시영상정보는 데이터송수신장치(220)를 통하여 감시중앙제어시스템(200)으로 수신된다.
중앙중계서버(210)는 감시현장시스템(100)의 감시현장호스트(140)로부터 IP주소제공자서버(600)가 감시현장호스트(140)에 부여한 IP주소를 전송받아서 등록하였다가, 감시시스템 사용자의 요구에 의해 감시시스템 사용자에게 상기 감시현장호스트(140)의 IP주소를 제공한다. 감시시스템 사용자는 인터넷단말기(320)를 이용하여 감시중앙제어시스템(200)에 접속하여 중앙중계서버(210)로부터 감시현장호스트(140)의 IP주소를 제공받아서, 제공받은 IP주소를 이용하여 감시현장호스트(140)에 접속할 수 있으며, 상기 감시현장호스트(140)에 접속하여 감시현장호스트(140)로부터 감시현장호스트(140)에 저장된 감시영상정보를 인터넷(500)을 통하여 제공받아서 감시현장의 실제 모습을 확인할 수 있다. 이때, 감시중앙제어시스템(200)의 중앙중계서버(210)는 감시시스템 사용자가 감시현장호스트(140)의 접속을 요구할 때 자동으로 감시시스템 사용자의 인터넷단말기(320)를 인터넷을 통하여감시현장호스트(140)의 IP주소로 연결시켜주는 프로그램을 내장하여 감시시스템 사용자가 용이하게 감시현장호스트(140)에 접속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감시중앙제어시스템(200)에는 정보저장부(230)를 구비하여 감시현장호스트(140)에 저장되는 감시영상정보를 감시현장호스트(140)로부터 전송받아서 저장하도록 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하여 감시영상정보는 감시현장호스트(140)의 정보저장부(141)에 1차적으로 저장되고, 감시중앙제어시스템(200)의 정보저장부(230)에 2차적으로 저장됨으로서, 감시현장호스트(140) 또는 감시중앙제어시스템(200)이 사고로 인하여 저장된 정보를 소실할 경우에 감시영상정보가 완전히 소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의 동작과정을 도시한 절차 흐름도이다.
감시현장에 설치된 센서(111) 또는 감청정보입력장치(112)를 포함하는 감지장치(110)는 감시현장에서 감지정보를 입력받는다. 감지장치(110)에 입력된 감지정보는 감시중계장치(120)로 전달되고, 감시중계장치(120)는 감지장치(110)로부터 입력된 감지정보를 통하여 감시현장의 이상상태 여부를 판단하고, 이상상태로 판단된 경우에 이상상태 발생을 알리는 경고신호를 출력한다. 감시중계장치(120)는 경고신호를 감시현장호스트(140)로 전송하고, 상기 경고신호에 의하여 상기 감시현장호스트(140)는 휴지(idle)상태에서 정상동작상태로 전환되고, 또한 감시현장호스트 (140)에 연결된 감시카메라장치(130)도 정상동작하여 감시영상정보를 입력받기 시작한다. 또한, 감시중계장치(120)는 경고신호를 유무선공중통신망(400)을 통하여 감시중앙제어시스템(200) 및/또는 감시시스템사용자의 공중통신망단말기(310)로 송신한다. 상기 감시중앙제어시스템(200)은 경고신호를 수신함에 따라서 감시 담당자는 감시현장의 이상상태 발생을 파악하게 되며 이에 따른 조치를 진행할 수 있게 되며, 감시원격지(300)에 있는 감시시스템 사용자는 경고신호를 수신함에 따라서 감시현장의 이상상태 발생을 파악하게 되며 이에 따른 조치를 진행할 수 있게 된다.
이때, 감지장치(110)에 감청정보입력장치(112)가 포함되어 있으면, 감청정보입력장치(112)를 통하여 입력되는 감시현장의 감청정보를 감시중계장치(120)에서 입력받아서 유무선공중통신망(400)을 통하여 감시중앙제어시스템(200) 및/또는 감시시스템 사용자의 공중통신망단말기(310)로 전송할 수도 있다. 이때, 감시중앙제어시스템(200)은 수신받은 감청정보를 정보저장부(230)에 저장할 수도 있다.
경고신호에 의하여 휴지상태에서 정상동작상태로 전환되면 상기 감시현장호스트(140)는 인터넷(500)에 연결되어 IP주소제공자서버(600)로부터 새로운 IP주소를 부여받는다. 상기 감시현장호스트(140)가 상기 IP주소제공자서버(600)로부터 부여받는 IP주소는 인터넷(500)에 연결될 때마다 바뀌는 유동적인 IP주소이다. 상기 감시현장호스트(140)는 부여받은 IP주소를 감시중앙제어시스템(200)으로 송신하고, 상기 감시중앙제어시스템(200)은 수신받은 상기 감시현장호스트(140)의 IP주소를 중앙중계서버(210)에 등록한다. 감시현장호스트(140)는 감시카메라장치(130)로부터 감시영상정보를 전송받아서 감시현장호스트(140)의 정보저장부(141)에 저장한다. 상기 감시현장호스트(140)가 정상동작상태로 전환된 후에 인터넷(500)에 연결하여 IP주소를 부여받는 과정과 감시카메라장치(130)로부터 감시영상정보를 전송받아서 저장하는 과정은 동시에 진행된다.
감시시스템 사용자가 인터넷단말기(320)를 이용하여 상기 감시중앙제어시스템(200)에 접속하여 감시현장호스트(140)의 IP주소를 요구하면, 상기 감시중앙제어시스템(200)의 중앙중계서버(210)에서 상기 사용자에게 감시현장호스트(140)의 IP주소를 제공하고, 상기 사용자는 인터넷단말기(320)를 이용하여 인터넷(500)을 통해 감시현장호스트(140)에 접속할 수 있으며, 감시현장호스트(140)로부터 저장된 감시영상정보를 제공받게 된다. 감시시스템 사용자가 감시영상정보를 제공받는 동안 감시중앙제어시스템(200)은 감시현장호스트(140)로부터 감시영상정보를 전송받아서 감시중앙제어시스템(200)의 정보저장부(230)에 저장할 수 있다.
상기 감시중앙제어시스템(200)의 정보저장부(230)에 감시영상정보가 저장된 경우에 감시시스템 사용자는 상기 감시중앙제어시스템(200)에 접속하여 상기 정보저장부(230)에 저장된 감시영상정보를 인터넷(500)을 통해 제공받을 수도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감시현장호스트(140)에는 웹포스(POS)단말기를 연결하여 감시현장호스트(140)로부터 정보를 전송받아서 이를 이용하도록 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감시현장호스트(140)는 감시카메라장치(130)로부터 입력되는 감시영상정보를 이용하여 침입자 추적 경로 정보 등을 추출하여 종합적인 감시정보를 추출할 수 있는 기능을 더 부가하여 감시영상정보 외에 종합적인 감시정보를 감시시스템 사용자에게 제공하도록 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하여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한다.
본 발명에 의하여 서버기능이 구비되어 인터넷을 통하여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감시현장호스트를 감시현장에 설치하고, 감시중앙제어시스템에는 감시시스템 사용자에게 감시현장호스트의 유동적인 IP주소를 제공하는 소용량의 중계서버만을 설치함으로서, 감시중앙제어시스템의 구축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또한 각 감시현장호스트로부터 해당 사용자가 감시현장호스트의 IP주소를 이용하여 접속하는 방식에 의하여 감시영상정보 및 감시비영상정보를 획득함으로서 감시에 대한 정보의 흐름이 집중되는 것을 막아서 감시영상처보의 흐름이 원활하게 되어 감시시스템 사용자가 용이하게 감시영상정보 및 감시비영상를 획득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감시영상정보 및 감시비영상정보를 감시현장호스트와 감시중앙제어시스템에 각각 저장함으로서 감시영상정보의 완전한 소실을 방지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Claims (8)

  1. 복수개의 IP주소를 구비하고 상기 복수개의 IP주소 중 어느 하나를 부여하는 IP주소제공자서버와 인터넷으로 연결되고, 외부기기와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데이터송수신장치를 구비하고 제 1 외부기기가 부여받은 IP주소를 전송받아 제 2 외부기기로 상기 IP주소를 제공하는 감시중앙제어시스템과 유무선공중통신망과 인터넷으로 연결되어 감시현장에서 발생하는 감시에 필요한 정보를 처리하는 감시현장시스템으로,
    감시하고자 하는 감시현장에 설치되어 감지정보를 입력받아 상기 감시현장의 정상상태 또는 이상상태 여부를 감지하는 적어도 1개 이상의 감지장치;
    상기 감지장치로부터 입력된 감지정보를 통하여 감시현장의 이상상태 여부를 판단하고, 이상상태로 판단된 경우에 이상상태 발생을 알리는 경고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경고신호를 상기 유무선공중통신망을 통하여 특정목적지로 전송하는 감시중계장치;
    상기 감시현장에서 발생하는 감시영상정보를 입력받는 감시카메라장치; 및
    상기 감시중계장치로부터 입력되는 상기 경고신호에 의해 휴지(idle)상태에서 정상동작상태로 전환되며 동시에 감시카메라장치를 동작시키고, 인터넷을 통하여 상기 IP주소제공자서버로부터 IP주소를 부여받고, 부여받은 상기 IP주소를 상기 감시중앙제어시스템으로 전송하여 중앙중계서버에 등록하며, 상기 감시카메라장치로부터 입력되는 감시영상정보를 전송받아 저장하는 정보저장부를 구비하고, 상기특정목적지로 인터넷을 통하여 상기 감시영상정보를 제공하는 감시현장호스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동 아이피주소를 갖는 감시현장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감시중계장치가 상기 경고신호를 유무선공중통신망을 통하여 전송하는 특정목적지는 감시중앙제어시스템과 감시시스템 사용자의 공중통신망단말기 중의 어느 하나 또는 모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동 아이피주소를 갖는 감시현장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감시현장호스트는 상기 감지장치로부터 입력되는 감시비영상정보를 전송받아 감시현장호스트의 정보저장부에 저장하는 기능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동 아이피주소를 갖는 감시현장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감시현장호스트가 상기 감시영상정보를 인터넷을 통하여 전송하는 특정목적지는 감시중앙제어시스템과 감시시스템 사용자의 인터넷단말기 중의 어느 하나 또는 모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동 아이피주소를 갖는 감시현장시스템.
  5. 복수개의 IP주소를 구비하고 상기 복수개의 IP주소 중 어느 하나를 부여하는 IP주소제공자서버와, 외부기기와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데이터송수신장치를 구비하고, 인터넷을 통하여 외부기기로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는 기능이 구비된 감시중앙제어시스템과, 상기 IP주소제공자서버와 인터넷으로 연결되고 상기 감시중앙제어시스템과 유무선공중통신망 및 인터넷으로 연결되고 감시현장에서 발생하는 감시에 필요한 정보를 처리하는 감시현장시스템을 포함하여 감시현장을 감시하는 감시시스템으로,
    감시하고자 하는 감시현장에 설치되어 감지정보를 입력받아 상기 감시현장의 정상상태 또는 이상상태 여부를 감지하는 적어도 1개 이상의 감지장치와, 상기 감지장치로부터 입력된 감지정보를 통하여 감시현장의 이상상태 여부를 판단하고 이상상태로 판단된 경우에 이상상태 발생을 알리는 경고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경고신호를 유무선공중통신망을 통하여 특정목적지로 전송하는 감시중계장치와, 상기 감시현장에서 발생하는 감시영상정보를 입력받는 감시카메라장치와, 상기 감시중계장치로부터 입력되는 상기 경고신호에 의해 휴지(idle)상태에서 정상동작상태로 전환되며 동시에 감시카메라장치를 동작시키고 인터넷을 통하여 IP주소제공자서버로부터 IP주소를 부여받고 부여받은 상기 IP주소를 감시중앙제어시스템으로 전송하고 상기 감시카메라장치로부터 입력되는 감시영상정보를 전송받아 저장하는 정보저장부를 구비하고 상기 특정목적지로 인터넷을 통하여 상기 감시영상정보를 제공하는 감시현장호스트를 포함하는 감시현장시스템과;
    상기 감시현장시스템의 감시현장호스트로부터 상기 IP주소를 전송받아 감시시스템 사용자의 요구에 의해 상기 사용자에게 상기 IP주소를 제공하는 중앙중계서버가 구비된 감시중앙제어시스템을 포함하여 감시현장호스트의 유동적인 IP주소를 감시현장호스트로부터 전송받아 감시중앙제어시스템에서 감시시스템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감시시스템 사용자가 감시현장호스트에 접속하여 감시현장호스트로부터 감시영상정보를 제공받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동 아이피주소를 갖는 감시현장시스템을 이용한 웹 영상 감시 시스템.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감시중앙제어시스템은 감시현장시스템의 감시현장호스트로부터 감시영상정보를 전송받아 감시영상정보를 저장할 수 있는 정보저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동 아이피주소를 갖는 감시현장시스템을 이용한 웹 영상 감시 시스템.
  7. 복수개의 IP주소를 구비하고 상기 복수개의 IP주소 중 어느 하나를 부여하는 IP주소제공자서버와, 외부기기와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데이터송수신장치를 구비하고, 인터넷을 통하여 외부기기로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는 기능이 구비된 감시중앙제어시스템과, 상기 IP주소제공자서버와 인터넷으로 연결되고 상기 감시중앙제어시스템과 유무선공중통신망 및 인터넷으로 연결되고 감시현장에서 발생하는 감시에 필요한 정보를 처리하는 감시현장시스템을 포함하여 감시현장을 감시하는 감시시스템에 의한 감시방법으로,
    감시현장시스템의 감지장치에서 감지정보를 입력받는 제 1 단계;
    감시현장시스템의 감시중계장치에서 감지정보로부터 입력된 감지정보를 통하여 감시현장의 이상상태 여부를 판단하고, 이상상태로 판단된 경우에 이상상태 발생을 알리는 경고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경고신호를 특정목적지로 전송하는 제 2단계;
    감시현장시스템의 감시카메라장치에서 감시현장에서 발생하는 감시영상정보를 입력받는 제 3 단계;
    감시현장시스템의 감시현장호스트가 상기 경고신호에 의해 휴지(idle))상태에서 정상동작상태로 전환되며 동시에 감시카메라장치를 동작시키고, 인터넷을 통하여 IP주소제공자서버로부터 IP주소를 부여받고, 상기 IP주소를 감시중앙제어시스템의 중계서버로 전송하는 제 4 단계;
    감시현장시스템의 감시현장호스트가 감시카메라장치로부터 감시영상정보를 전송받아 감시현장호스트의 정보저장부에 저장하는 제 5 단계;
    감시현장시스템의 감시현장호스트가 상기 IP주소를 감시중앙제어시스템으로 전송하여 감시중앙제어시스템의 중계서버에 등록하는 제 6 단계;
    상기 감시중앙제어시스템의 상기 중계서버에서 감시시스템 사용자의 요구에 의하여 감시현장호스트의 IP주소를 감시시스템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제 7 단계;
    감시현장시스템의 감시현장호스트에서 감시시스템 사용자의 요구에 의하여 인터넷을 통하여 감시시스템 사용자의 인터넷단말기로 상기 감시영상정보를 제공하는 제 8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동 아이피주소를 갖는 감시현장시스템을 이용하는 웹 영상 감시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5 단계 이후에 상기 감시현장호스트의 정보저장부에 저장된 감시영상정보를 감시중앙제어시스템에서 전송받아 감시중앙제어시스템의 정보저장부에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동 아이피주소를 갖는 감시현장시스템을 이용하는 웹 영상 감시 방법.
KR10-2000-0045525A 2000-08-05 2000-08-05 유동 아이피주소를 갖는 감시현장시스템, 이를 이용한 웹영상 감시 시스템 및 감시 방법 KR1004859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45525A KR100485991B1 (ko) 2000-08-05 2000-08-05 유동 아이피주소를 갖는 감시현장시스템, 이를 이용한 웹영상 감시 시스템 및 감시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45525A KR100485991B1 (ko) 2000-08-05 2000-08-05 유동 아이피주소를 갖는 감시현장시스템, 이를 이용한 웹영상 감시 시스템 및 감시 방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22394U Division KR200225066Y1 (ko) 2000-08-05 2000-08-05 유동 아이피주소를 갖는 감시현장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12079A true KR20020012079A (ko) 2002-02-15
KR100485991B1 KR100485991B1 (ko) 2005-05-03

Family

ID=196819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45525A KR100485991B1 (ko) 2000-08-05 2000-08-05 유동 아이피주소를 갖는 감시현장시스템, 이를 이용한 웹영상 감시 시스템 및 감시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85991B1 (ko)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10888A (ko) * 2002-07-25 2004-02-05 바로비젼(주) 유동ip를 이용한 댁내 모니터링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100469807B1 (ko) * 2002-09-19 2005-02-02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인터넷을 이용한 제품 관리방법
KR100484006B1 (ko) * 2001-10-29 2005-04-20 유원근 홈 모니터링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0857073B1 (ko) * 2007-03-07 2008-09-05 용성종합경비(주) 실시간 원격 감시 시스템
KR100907741B1 (ko) * 2009-04-01 2009-07-14 (주)세이비트텔레콤 아이피 카메라를 제어하는 방법 및 그 서버
KR101078362B1 (ko) * 2004-09-03 2011-10-31 엘지전자 주식회사 유디피 브로드캐스팅을 이용한 로컬망의 자동 아이피 셋팅방법 및 시스템
KR101246199B1 (ko) * 2011-05-26 2013-03-25 (주)엠투랩 네트워크 기반 통합 led 보안시스템
KR101371561B1 (ko) * 2013-08-27 2014-03-13 (주)비엠수코리아 Bm 활성수 플랜트의 원격 관제시스템
KR101683745B1 (ko) * 2016-07-06 2016-12-07 첵트 엘엘씨 카메라 등록 및 퍼미션 관리를 위한 감시 카메라 모니터링 시스템 및 그의 제어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331825A (ja) * 1998-05-15 1999-11-30 Sharp Corp 監視装置
KR100311617B1 (ko) * 1998-06-17 2001-11-30 윤종용 웹 폰을 이용한 폐쇄 회로 텔레비젼 시스템
JP2000083290A (ja) * 1998-09-07 2000-03-21 Fujita Corp 遠隔監視システム
KR20010028278A (ko) * 1999-09-20 2001-04-06 오창섭 영상정보를 이용한 보안 시스템
KR20020001032A (ko) * 2000-06-23 2002-01-09 임수민 실시간 인터넷 화상전송 방식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84006B1 (ko) * 2001-10-29 2005-04-20 유원근 홈 모니터링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20040010888A (ko) * 2002-07-25 2004-02-05 바로비젼(주) 유동ip를 이용한 댁내 모니터링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100469807B1 (ko) * 2002-09-19 2005-02-02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인터넷을 이용한 제품 관리방법
KR101078362B1 (ko) * 2004-09-03 2011-10-31 엘지전자 주식회사 유디피 브로드캐스팅을 이용한 로컬망의 자동 아이피 셋팅방법 및 시스템
KR100857073B1 (ko) * 2007-03-07 2008-09-05 용성종합경비(주) 실시간 원격 감시 시스템
KR100907741B1 (ko) * 2009-04-01 2009-07-14 (주)세이비트텔레콤 아이피 카메라를 제어하는 방법 및 그 서버
KR101246199B1 (ko) * 2011-05-26 2013-03-25 (주)엠투랩 네트워크 기반 통합 led 보안시스템
KR101371561B1 (ko) * 2013-08-27 2014-03-13 (주)비엠수코리아 Bm 활성수 플랜트의 원격 관제시스템
KR101683745B1 (ko) * 2016-07-06 2016-12-07 첵트 엘엘씨 카메라 등록 및 퍼미션 관리를 위한 감시 카메라 모니터링 시스템 및 그의 제어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85991B1 (ko) 2005-05-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01674B1 (ko) 인터넷을 통한 무인 경비 시스템
US20130033379A1 (en) Security monitoring system
EP1210701A1 (en) Monitoring system
KR101386591B1 (ko) 감시카메라 통합관리시스템
KR100485991B1 (ko) 유동 아이피주소를 갖는 감시현장시스템, 이를 이용한 웹영상 감시 시스템 및 감시 방법
KR100980314B1 (ko) 역사내 우범 지역 감시 시스템
JP3887597B2 (ja) セキュリティシステムおよびセキュリティ方法
KR20010000186A (ko) 초고속 통신망을 이용한 무인 경비시스템
KR200225066Y1 (ko) 유동 아이피주소를 갖는 감시현장시스템
KR100343045B1 (ko) 인터넷을 이용한 방범 방법
KR20120057829A (ko) 씨씨디 카메라와 이동통신망을 이용한 주차장 모니터링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20230012086A (ko) 스마트 안부 확인 서비스 방법
JPH11234432A (ja) 警備システム
JP2003204542A (ja) 遠隔監視システム
CN111968325A (zh) 一种智慧社区安防报警方法
KR20040001725A (ko) 인터넷을 이용한 현장감시제어장치
KR100771013B1 (ko) 감시 장치 및 시스템 및 방법
JP2003195937A (ja) プラント遠隔制御システム
RU2263972C2 (ru) Система охранно-пожарной сигнализации
CN102314168A (zh) 闸道系统、中央管理系统及管制中心与信号处理方法
JP4139623B2 (ja) 警備システム
KR101131263B1 (ko) 자가 원격 자동감시 시스템
RU2694017C1 (ru) Комплекс контроля объекта недвижимости
JP3615513B2 (ja) ネットワーク監視システム、インタフェース装置および監視装置
KR102059369B1 (ko) 로라 기반의 원격 보안장비 관리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J206 Request for trial to confirm the scope of a patent right
J121 Written withdrawal of request for trial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1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20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20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17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29

Year of fee payment: 15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