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01802A - 상용차량의 캡 - Google Patents

상용차량의 캡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01802A
KR20010001802A KR1019990021250A KR19990021250A KR20010001802A KR 20010001802 A KR20010001802 A KR 20010001802A KR 1019990021250 A KR1019990021250 A KR 1019990021250A KR 19990021250 A KR19990021250 A KR 19990021250A KR 20010001802 A KR20010001802 A KR 2001000180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de cap
pair
movable
cylinders
ca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212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준현
Original Assignee
김명한
삼성상용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명한, 삼성상용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명한
Priority to KR10199900212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0001802A/ko
Publication of KR200100018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01802A/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00Lift valves or globe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ure members having at least a component of their opening and closing motion perpendicular to the closing faces
    • F16K1/02Lift valves or globe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ure members having at least a component of their opening and closing motion perpendicular to the closing faces with screw-spindle
    • F16K1/06Special arrangements for improving the flow, e.g. special shape of passages or casings
    • F16K1/10Special arrangements for improving the flow, e.g. special shape of passages or casings in which the spindle is inclined to the general direction of flow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27/00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F16K27/02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of lift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51/00Other details not peculiar to particular types of valves or cut-off apparatu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AREA)

Abstract

개시된 내용은 화물량과 탑승인원의 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처할 수 있고, 많은 인원이 편안한 착좌상태로 탑승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실현시키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사이드패널(8)과 프론트패널(12) 및 루프패널(14)로 구성된 고정측캡부(4); 상기 고정측캡부(4)의 후방에 배치되는 가동측캡부(2); 상기 고정측캡부(4)와 가동측캡부(2)의 사이에 양단부가 연장된 자바라식 밀폐막(20); 상기 가동측캡부(2)에 연장된 가동장치부(22); 상기 고정측캡부(4)에 의해 조성된 차실내공간으로 설치되는 프론트시이트(82)(84); 가동측캡부(2)의 이동에 따라 조성되는 확장 공간으로 착좌 가능하게 배치되는 리어시이트(86)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상용차량의 캡이 제공된다.

Description

상용차량의 캡{Cap of commercial vehicle}
본 발명은 상용차량의 캡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탑승상태와 적재상태에 따라 차실내 공간 및 화물칸을 넓히거나 좁혀 사용할 수 있게 된 상용차량의 캡에 관한 것이다.
차량은 크게 바디와 섀시로 구분될 수 있는데, 특히 화물의 운송을 주 목적으로 하는 상용차량의 바디는,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물을 실을 수 있게 된 적재함(102)과, 탑승 가능한 캡(104)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캡(104)은 사이드도어(106)에 의해 여닫히는 개구부가 형성된 사이드패널(108)과, 윈드쉴드글래스(110)가 장착되는 프론트 패널(112), 사이드패널(108)의 후부에 연장되는 리어패널(도시생략), 그리고 사이드패널(108) 및 리어패널에 연장되는 루프패널(114)로 구성되어 있다.
또, 이와 같은 다수의 패널(108)(112)(114)들은 인너패널과 아우터패널이 상자 모양으로 접합되어 있고, 사이드패널(108)의 사이드도어(106)와 리어패널에는 사이드글래스(116) 및 백글래스(도시생략)가 각각 장착되어 있다.
한편, 도 1에서와 같은 롱캡(104) 내부의 차실내 공간으로는 운전석시이트(120)와 조수석시이트(122)가 1열로 설치되어 있으며, 도 2에서와 같은 더블캡(104) 내부의 차실내 공간으로는 1열의 운전석시이트(120)와 조수석시이트(122) 및 다른열의 리어시이트(124)가 설치되어 있다.
즉, 도 2에서의 더블캡(104)은 적재함(102) 공간이 작아진 대신 차실내 공간이 확장되고, 확장된 부분의 공간으로 리어시이트(124)가 설치됨으로써, 탑승인원수를 늘릴 수 있게 된 것이다.
이와 같은 구조에 따라 적재할 화물이 크거나 많은 양의 화물을 탑재해야만 할 경우에는 도 1에서와 같은 롱캡(104)이 채용된 차량을, 그리고 탑승할 인원이 비교적 많을 경우에는 도 2에서와 같은 더블캡(104)이 채용된 차량을 선택하여 운행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상용차량의 캡은 그 용적의 변화가 가능하기 때문에 탑승상태나 화물의 적재상태에 따라 차실내 용적이 다른 별도의 차량을 운행할 수밖에 없다. 즉, 도 1에서와 같이 운전석시이트(120)와 조수석시이트(122)만을 갖는 차량을 구비하고 있을 경우, 화물이 적고 탑승인원이 많은 상황에 대처할 수 없고, 반대로 도 2에서와 같이 운전석시이트(120)와 조수석시이트(122) 및 리어시이트(124)를 갖는 차량을 구비하고 있을 경우, 화물이 많고 탑승인원이 적은 상황에 대처하지 못하게 된다는 단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단점들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탑승상태와 적재상태에 따라 차실내 공간 및 화물칸을 넓히거나 좁혀 사용할 수 있게 됨으로써, 탑승인원이 많거나 적은 상황, 그리고 화물량이 많거나 적은 상황에 능동적으로 대처할 수 있게 된 상용차량의 캡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상용차량의 종래 캡에 대한 일예를 나타내기 위한 사시도,
도 2는 상용차량의 종래 캡에 대한 다른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a와 도 3b는 본 발명에 의한 상용차량의 캡 외관을 나타내는 각 사용상태의 사시도,
도 4a와 도 4b는 본 발명에 의한 상용차량의 캡으로 구성된 가동장치부의 일 실시예에 대한 구조 및 작용상태를 나타내기 위한 분해 사시도,
도 5a와 도 5b는 본 발명에 의한 상용차량의 캡으로 구성된 가동장치부의 다른 실시예에 대한 구조 및 작용상태를 나타내기 위한 일측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 : 가동측캡부 4 : 고정측캡부
20 : 자바라식 밀폐막 22 : 가동장치부
24 : 회전부재 26, 28 : 암나사부재
30, 32 : 링크 34, 36 : 가이드링
38 : 가이드봉 50, 52 : 제1 실린더
54, 56 : 제2 실린더 66 : 연장편
70 : 공압라인 72 : 공압발생부
74 : 공압제어부 76, 78 : 센서
82, 84 : 프론트시이트 86 : 리어시이트
이를 실현시키기 위하여 본 발명은, 사이드도어를 갖는 사이드패널과 윈드쉴드글래스가 장착된 프론트패널 및 루프패널로 구성된 고정측캡부와, 상기 고정측캡부로부터 선택적으로 이격되어 차실내 공간을 확장 및 축소시킬 수 있도록 상기 고정측캡부의 후방에 배치되는 가동측캡부와, 신축됨으로써 차실내공간을 외부와 차폐시킬 수 있도록 상기 고정측캡부와 가동측캡부의 사이에 양단부가 연장된 자바라식 밀폐막과, 상기 가동측캡부를 고정측캡부로부터 이격시키거나 근접시킬 수 있도록 고정측캡부와 가동측캡부에 연장된 가동장치부와, 상기 가동장치부에 의한 가동측캡부의 움직임을 안내할 수 있도록 고정측캡부로 드나들 수 있게 결합되고 가동측캡부에 연장된 가이드와, 상기 고정측캡부에 의해 조성된 차실내공간으로 설치되는 프론트시이트와, 고정측캡부로부터 가동측캡부가 이격됨으로써 조성되는 확장 공간으로 착좌 가능하게 배치되는 리어시이트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상용차량의 캡을 제공한다.
상기한 가동장치부는, 고정측캡부의 하측 모서리부위로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고, 소정 공구가 세레이션 결합될 수 있도록 그 일단이 내접기어단으로 형성되며, 고정측캡부의 일측면에서 개구부위가 노출되도록 장착됨과 아울러, 반대방향의 나사산이 반분된 구간에 각각 형성된 회전부재와, 상기 회전부재와의 대우작용에 따라 서로 근접되거나 이격되도록 상기 회전부재의 각 나사부에 교합되게 구비되는 한 쌍의 암나사부재와, 상기 한 쌍의 암나사부재의 외측으로 각각 그 일측단이 힌지 결합되어 차량의 플로어상에서 교차되도록 배치되며 교차부분이 힌지 결합되는 한 쌍의 링크와, 상기 한 쌍의 링크 타측단과 힌지 결합되도록 구비되는 한 쌍의 가이드링과, 상기 한 쌍의 가이드링이 미끄러져 움직이도록 결합되며, 그 양단이 상기 회전부재와 평행하게 배치되는 상태로 가동측캡부에 고정되는 가이드봉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한 가동장치부가, 고정측캡부의 개구측 내측벽에 그 로드들이 각각 상,하측으로 향하도록 장착된 한 쌍의 제1 실린더와, 상기한 한 쌍의 제1 실린더의 각 로드에 그 실린더벽체가 힌지 결합되고 그 로드 단부들이 가동측캡부의 개구부위 양측벽으로 연장된 연장편의 장공에 미끄러져 움직이도록 결합된 한 쌍의 제2 실린더와, 상기 한 쌍의 제1 실린더 및 한 쌍의 제2 실린더에 작동력을 공급할 수 있도록 제1,2 실린더들과 공압라인으로 연결된 공압발생부와, 전기적인 작동제어신호에 따라 여닫혀 공압발생부로부터 각 실린더에 공급되는 공기의 공급을 단속할 수 있도록 상기 공압라인에 설치된 공압제어부와, 상기 한 쌍의 제2 실린더 로드에 의해 온/오프되어 상기한 제1 실린더들을 선택적으로 작동시키기 위한 전기적인 신호를 발하도록 상기한 가동측캡부의 연장편 양단 부위에 설치되고 상기 공압제어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한 쌍의 센서를 포함하여 구성된 상용차량의 캡이 제공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따라서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는 도 3a 및 도 3b에서와 같이 가동측캡부(2)를 고정측캡부(4)로부터 선택적으로 이격시켜 차실내공간을 확장 및 축소시킬 수 있게 된 상용차량의 캡에 관련된다.
즉, 고정측캡부(4)는 사이드도어(6)를 갖는 사이드패널(8)과 윈드쉴드글래스(10)가 장착된 프론트패널(12) 및 루프패널(14)로 구성되어 있으며, 가동측캡부(2)는 상기 고정측캡부(4)로부터 선택적으로 이격되어 차실내 공간을 확장 및 축소시킬 수 있도록 상기 고정측캡부(4)의 개구된 후방에 상기 가동측캡부(2)가 배치되는 구조인 것이다.
또, 고정측캡부(4)와 가동측캡부(2) 사이로 자바라식 밀폐막(20)이 배치되어 있는데, 이러한 자바라식 밀폐막(20)을 신축시키게 됨으로써 차실내공간을 외부와 차폐상태로 확장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 가동측캡부(2)를 고정측캡부(4)로부터 이격시키거나 근접시킬 수 있도록 고정측캡부(4)와 가동측캡부(2)에 가동장치부(22)가 연장된 형태로 구성되어 있는데, 이러한 가동장치부(22)는, 도 4a와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부재(24)와 암나사부재(26)(28) 및 링크(30)(32)와 가이드링(34)(36), 그리고 가이드봉(38)으로 구성되어 있다.
즉, 가동장치부(22)를 구성하는 회전부재(24)가 고정측캡부(4)의 하측 모서리부위로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고(도 3a 및 도 3b 참조), 그 일단은 내접기어단(40)으로 형성되어 고정측캡부(4)의 일측면에서 소정 공구(42)가 세레이션 결합될 수 있도록 하고 있으며, 반대방향의 나사산이 반분된 구간에 각각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회전부재(24)의 각 나사부(54)(56)에 한 쌍의 암나사부재(26)(28)가 교합되어 회전부재(24)와 암나사부재(26)(28)와의 대우작용에 따라 한 쌍의 암나사부재(26)(28)가 서로 근접되거나 이격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 한 쌍의 암나사부재(26)(28)와 힌지 결합되는 한 쌍의 링크(30)(32)는 차량의 플로어상에서 교차되도록 배치되고, 교차부분이 힌지 결합되며, 이러한 한 쌍의 링크(30)(32) 타측단으로 한 쌍의 가이드링(34)(36)이 힌지 결합되어 있다.
이러한 한 쌍의 가이드링(34)(36)은 회전부재(24)와 평행하게 배치되는 가이드봉(38)에 미끄러져 움직이도록 결합되어 있으며, 가이드봉(38)은 그 양단이 가동측캡부(2) 양측벽에 고정되어 있다(도 3a 및 도 3b 참조).
한편, 도 5a와 도 5b는, 공압이나 유압으로 작동하는 실린더(50)(52)(54) (56)에 의해 상기 가동측캡부(2)를 고정측캡부(4)로부터 이격시키거나(도 3b 참조) 근접시키도록(도 3a 참조) 구성된 가동장치부(22)의 다른 실시예에 관한 것이다.
즉, 고정측캡부(4)의 개구측 내측벽에 그 로드(58)(60)들이 각각 상,하측으로 향하도록 한 쌍의 제1 실린더(50)(52)가 일직선상으로 장착되어 있고, 이러한 한 쌍의 제1 실린더(50)(52)의 각 로드(58)(60)에 제2 실린더(54)(56)의 벽체를 힌지 결합시키고 있으며, 이러한 제2 실린더(54)(56)의 로드(62)(64) 단부들을 가동측캡부(2)의 개구부위 양측벽으로 연장된 연장편(66)의 장공(68)에 미끄러져 움직이도록 결합시킨 구조로 된 것이다.
또, 한 쌍의 제1,2 실린더(50)(52)(54)(56)들은 공압라인(70)에 의해 공압발생부(72)와 연결됨으로써, 공압발생부(72)로부터 공급되는 공압에 의해 작동되며, 공압 대신 유압이 사용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또, 공압라인(70)에는 솔레노이드밸브같은 공압제어부(74)가 구성되어 있어 공압라인(70)을 통하여 공압발생부(72)로부터 다수 실린더(50)(52)(54)(56)로 공급되는 공압을 단속할 수 있게 되어 있으며, 이와 같은 공압제어부(74)에는 제2 실린더(54)(56)의 로드(62)(64)에 의해 눌려 온작동되는 센서(76)(78)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즉, 한 쌍의 센서(76)(78)가 가동측캡부(2)의 연장편(66) 양단 부위로 제2 실린더(54)(56)의 로드(62)(64)에 눌리도록 설치되고, 공압제어부(74)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것이다.
이에 따라서, 한 쌍의 제2 실린더(54)(56) 로드(62)(64)가 가동측캡부(2)의 연장편(66) 양단부에 위치되었음이 센서(76)(78)에 의해 감지되고, 이에 상응하는 전기적신호가 공압제어부(74)로 인가되며, 이로써 제1,2 실린더(50)(52)(54)(56)들의 작동상태를 제어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3b에서와 같이 봉재로 된 가이드(80)의 일측 단부를 고정측캡부(4)의 상부 후측에서 미끄러져 움직일 수 있고, 이러한 가이드(80)의 타측 단부를 가동측캡부(2)의 상부에 결합시켜 가동장치부(22)에 의한 가동측캡부(2)의 움직임이 안내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고정측캡부(4)에 의해 조성된 차실내공간으로 운전석과 조수석으로 이루어지는 프론트시이트(82)(84)가 설치되며, 고정측캡부(4)로부터 가동측캡부(2)가 이격됨으로써 조성되는 확장 공간으로 착좌 가능한 리어시이트(86)가 접히거나 펴질 수 있는 구조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한 리어시이트(86)는 도 5b에서와 같이 그 시이트쿠션(90) 부분이 가동측캡부(2)에 결합된 시이트백(92)에 힌지 결합되어 있고, 시이트쿠션(90)의 전단부 양측으로 가이드빔(94)이 각각 힌지 결합되어 있으며, 이러한 가이드빔(94)들이 고정측캡부(4)로부터 연장된 가이드바(96)에 각각 미끄러져 움직이도록 결합되어 있어 리어시이트(86)가 흔들림 없이 회동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의한 상용차량의 캡은 도 3a에서와 같이 가동측캡부(2)가 고정측캡부(4)에 근접된 상태에서 가동장치부(22)를 작동시킴에 따라 도 3b에서와 같은 상태로 이격되며 이로써, 차실내공간이 넓어지고 리어시이트(86)가 착좌 가능한 상태로 펴지게 된다.
즉,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은 가동장치부(22)가, 소정공구(42)에 의해 회전부재(24)가 회전되도록 함으로써 암나사부재(26)(28)가 서로 근접되면서(도 4a 참조) 링크(30)(32)를 회동시키게 되며, 이에 따라 가이드링(34)(36)이 가이드봉(38)에 미끄러져 움직이게 되므로 도 4a에서와 같은 상태로부터 도 4b에서와 같은 상태로 가동측캡부(2)가 고정측캡부(4)로부터 이격된다.
이때, 고정측캡부(4)와 가동측캡부(2) 사이의 확장 공간은 자바라식 밀폐막(20)에 의해 차폐되며, 가동측캡부(2)의 후방 벽체에 접혀 있던 리어시이트(86)를 펴서 착좌 가능한 상태로 만들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가동장치부(22)는 도 5a에서와 같이 제1 실린더(50)(52)들의 로드(58)(60)가 신장되어 있는 상태에서 공압발생부(72)로부터의 공압이 제2 실린더(54)(56)에 공급되도록 공압제어부(74)를 조작함에 따라 제2 실린더(54)(56)들의 로드(62)(64)가 신장되는데, 이와 같은 제2 실린더(54)(56)들의 로드(62)(64)는 가동측캡부(2)의 연장편(66)에 미끄러져 움직일 수 있게 결합되어 있으므로 결국 가동측캡부(2)를 밀어내어 고정측캡부(4)로부터 도 5b에서와 같이 이격시키게 되는 것이다.
이때 가동측캡부(2)의 연장편(66) 양단부위로 위치되는 제2 실린더(54)(56)의 로드(62)(64)들에 의해 센서(76)(78)가 눌려 온되고, 이러한 상태에 따르는 전기적인 신호를 공압제어부(74)로 인가하게 됨으로써 공압제어부(74)는 제1 실린더(50)(52)들의 로드(58)(60)를 축소시키도록 공압 공급상태를 제어하여 가동측캡부(2)를 고정측캡부(4)로부터 최대한 밀어 이격시키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상용차량의 캡은 화물이 적고 탑승인원이 많은 상황이나 반대로 화물이 많고 탑승인원이 적은 상황에 능동적으로 대처할 수 있고, 많은 인원이 편안한 착좌상태로 탑승할 수 있도록 한다는데 그 이점이 있다.

Claims (3)

  1. 상기 고정측캡부에 의해 조성된 차실내공간으로 설치되는 운전석 및 조수석으로 이루어지는 프론트시이트가 구비된 상용차량의 캡에 있어서,
    사이드패널과 프론트패널 및 루프패널로 구성된 고정측캡부;
    상기 고정측캡부의 후방에 배치되는 가동측캡부;
    상기 고정측캡부와 가동측캡부의 사이에 양단부가 연장된 자바라식 밀폐막;
    상기 가동측캡부에 연장된 가동장치부;
    가동측캡부의 이동에 따라 조성되는 확장 공간으로 착좌 가능하게 배치되는 리어시이트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상용차량의 캡.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한 가동장치부는,
    고정측캡부의 하측 모서리부위의 외측에서 소정 공구에 의해 회전될 수 있도록 장착되고, 반대방향의 나사산이 반분된 구간에 각각 형성된 회전부재;
    상기 회전부재의 각 나사부에 교합되도록 구비되는 한 쌍의 암나사부재;
    상기 한 쌍의 암나사부재의 외측으로 각각 그 일측단이 힌지 결합되어 차량의 플로어상에서 교차되도록 배치되며 교차부분이 힌지 결합되는 한 쌍의 링크;
    상기 한 쌍의 링크 타측단과 힌지 결합되도록 구비되는 한 쌍의 가이드링;
    상기 한 쌍의 가이드링이 미끄러져 움직이도록 결합되며, 그 양단이 상기 회전부재와 평행하게 배치되는 상태로 가동측캡부에 고정되는 가이드봉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상용차량의 캡.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한 가동장치부가,
    고정측캡부의 개구측 내측벽에 그 로드들이 각각 상,하측으로 향하도록 장착된 한 쌍의 제1 실린더;
    상기한 한 쌍의 제1 실린더의 각 로드에 그 실린더벽체가 힌지 결합되고 그 로드 단부들이 가동측캡부의 개구부위 양측벽으로 연장된 연장편의 장공에 미끄러져 움직이도록 결합된 한 쌍의 제2 실린더;
    상기 한 쌍의 제1 실린더 및 한 쌍의 제2 실린더에 작동력을 공급할 수 있도록 제1,2 실린더들과 공압라인으로 연결된 공압발생부;
    전기적인 작동제어신호에 따라 여닫혀 공압발생부로부터 각 실린더에 공급되는 공기의 공급을 단속할 수 있도록 상기 공압라인에 설치된 공압제어부;
    상기 한 쌍의 제2 실린더 로드에 의해 온/오프되어 상기한 제1 실린더들을 선택적으로 작동시키기 위한 전기적은 신호를 발하도록 상기한 가동측캡부의 연장편 양단 부위에 설치되고 상기 공압제어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한 쌍의 센서를 포함하여 구성된 상용차량의 캡.
KR1019990021250A 1999-06-08 1999-06-08 상용차량의 캡 KR2001000180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21250A KR20010001802A (ko) 1999-06-08 1999-06-08 상용차량의 캡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21250A KR20010001802A (ko) 1999-06-08 1999-06-08 상용차량의 캡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01802A true KR20010001802A (ko) 2001-01-05

Family

ID=195909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21250A KR20010001802A (ko) 1999-06-08 1999-06-08 상용차량의 캡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0001802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260916B1 (en) Vehicle body panel and window system
CN207345942U (zh) 中门组件和机动车辆
ITRM970521A1 (it) Struttura di tettuccio per veicolo decappottabile
ITRM980099A1 (it) Hardtop-capote per veicolo cabriolet
US6540280B2 (en) Structure for storing roof and rear pillar of convertible hardtop
US7434873B2 (en) Pop top trailer
JP2003048434A (ja) ルーフ機構格納部のカバー装置
US6059346A (en) Device for opening and closing trunk lid
KR20010001802A (ko) 상용차량의 캡
JPH08324459A (ja) 自動車の車体構造
DE102005029693A1 (de) Cabrioletfahreug mit einer Trennwand
JP4055078B2 (ja) コンバーチブル車のリヤトランク用の照明装置
JP2007168464A (ja) 長物荷物収納車両
US2580487A (en) Foldable top for vehicle bodies
KR0136128B1 (ko) 승합차의 루프 높이조절장치
KR200210038Y1 (ko) 자동차용 트렁크 리드 개폐장치
KR20070087992A (ko) 승합차량의 폴드 앤 다이브 시트 구조
KR20230109439A (ko) 차량의 도어 암레스트 구조
KR19980050986U (ko) 버스의 하물칸 개폐구조
KR0158813B1 (ko) 버스 화물칸 도어개폐장치
JPH08324458A (ja) 自動車の車体構造
KR100427633B1 (ko) 자동차의 트렁크 구조
JPH08324455A (ja) 自動車の車体構造
JPH08268346A (ja) 自動車の車体構造
KR200162106Y1 (ko) 버스의 도어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