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01470A - 열풍을 이용한 살균 기능을 가지는 세로형 진공청소기 - Google Patents

열풍을 이용한 살균 기능을 가지는 세로형 진공청소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01470A
KR20010001470A KR1019990020700A KR19990020700A KR20010001470A KR 20010001470 A KR20010001470 A KR 20010001470A KR 1019990020700 A KR1019990020700 A KR 1019990020700A KR 19990020700 A KR19990020700 A KR 19990020700A KR 20010001470 A KR20010001470 A KR 2001000147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shutter member
dust collecting
chamber
collecting cha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207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17118B1 (ko
Inventor
박중선
Original Assignee
배길성
삼성광주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배길성, 삼성광주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배길성
Priority to KR10199900207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17118B1/ko
Priority to GB0006841A priority patent/GB2350553B/en
Priority to US09/552,682 priority patent/US6295695B1/en
Publication of KR200100014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014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171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17118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28Installation of the electric equipment, e.g. adaptation or attachment to the suction cleaner; Controlling suction cleaners by electric means
    • A47L9/2889Safety or protection devices or systems, e.g. for prevention of motor over-heating or for protection of the use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7/00Suction cleaners adapted for additional purposes; Tables with suction openings for cleaning purposes; Containers for cleaning articles by suction; Suction cleaners adapted to cleaning of brushes; Suction cleaners adapted to taking-up liquids
    • A47L7/04Suction cleaners adapted for additional purposes; Tables with suction openings for cleaning purposes; Containers for cleaning articles by suction; Suction cleaners adapted to cleaning of brushes; Suction cleaners adapted to taking-up liquids for using the exhaust air for other purposes, e.g. for distribution of chemicals in a room, for sterilisation of the ai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5/00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 A47L5/12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with power-driven air-pumps or air-compressors, e.g. driven by motor vehicle engine vacuum
    • A47L5/22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with power-driven air-pumps or air-compressors, e.g. driven by motor vehicle engine vacuum with rotary fans
    • A47L5/28Suction cleaners with handles and nozzles fixed on the casings, e.g. wheeled suction cleaners with steering handle
    • A47L5/32Suction cleaners with handles and nozzles fixed on the casings, e.g. wheeled suction cleaners with steering handle with means for connecting a hos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24Hoses or pipes; Hose or pipe couplings
    • A47L9/242Hose or pipe coupling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28Installation of the electric equipment, e.g. adaptation or attachment to the suction cleaner; Controlling suction cleaners by electric means
    • A47L9/2805Parameters or conditions being sensed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28Installation of the electric equipment, e.g. adaptation or attachment to the suction cleaner; Controlling suction cleaners by electric means
    • A47L9/2836Installation of the electric equipment, e.g. adaptation or attachment to the suction cleaner; Controlling suction cleaners by electric means characterised by the parts which are controlled
    • A47L9/2842Suction motors or blow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lectric Suction Cleaners (AREA)
  • Electric Vacuum Cleaner (AREA)

Abstract

집진실로 흡입된 공기 중에 포함된 세균이나 벌레를 살균할 수 있는 살균부를 포함하는 세로형 진공청소기가 개시되어 있다. 살균부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팬모터를 구동시키는 작동 스위치; 프론트 바디의 후면에 설치되어 배출구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공기 중 일부를 수용실로부터 집진실로 안내하는 열풍순환 덕트; 살균 기능의 작동시 외부의 공기가 흡기구를 통해 집진실로 흡입되는 것을 차단하여, 집진실의 공기가 바디 조립체 내부에서 순횐되도록 하는 셔터부; 및 열풍순환 덕트를 통해 집진실로 안내되는 공기의 온도를 감지하여 그 온도가 소정치 이상인 경우 팬모터의 구동을 정지시키는 온도 감지센서를 가진다. 셔터부는 슬라이드 이동에 의해 흡기구를 개폐하는 셔터 부재와 사용자가 파지하여 셔터 부재를 슬라이드 이동시킬 수 있도록 셔터 부재의 일측에 형성된 조작 레버를 가지며, 조작 스위치는 셔터 부재의 슬라이드 이동에 의해 그 접점이 개폐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이에 따르면, 배출구로 배출되는 공기가 열풍순환덕트를 통해 집진실로 재순환되면서 모터에서 발열된 열로 뜨거워지는 것에 의해 공기중의 세균이나 벌레가 살균된다.

Description

열풍을 이용한 살균 기능을 가지는 세로형 진공청소기{Upright type vacuum cleaner}
본 발명은 팬모터에 의해 뜨거워진 배출 공기의 일부를 집진실로 재순환시켜 집진실 내부의 세균 또는 벌레를 살균할 수 있는 세로형 진공청소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진공청소기는 팬모터의 흡입력을 이용하여 외부 공기를 흡입하고, 흡입된 외부 공기에 포함된 이물질을 필터를 이용하여 걸르는 것에 의해 청소를 행한다.
이중에서도, 세로형 진공청소기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디 조립체(10)의 하단에 흡입 브러시(20)가 직접 결합되어 있는 형태의 것이다.
이러한 세로형 진공청소기는 바디 조립체(10)의 상측에 먼지 필터(미도시)가 장착된 집진실(12)이 형성되어 있고, 바디 조립체(10)의 하측에 흡입력을 발생시키는 팬모터가 장착된 수용실(미도시)이 형성되어 있다. 수용실의 전방에는 흡입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배기공(14)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흡입 브러시(20)에 의해 흡입된 공기를 집진실(12)로 안내하는 흡입 호스(미도시)는 바디 조립체(10)의 후측에 형성된 흡기구(16)를 통해 집진실(12)과 연결되어 있다. 도면에서 미설명 부호 18은 바디 조립체(10)의 전면에 장착되어 집진실(12)을 형성하는 커버다.
이와 같은 세로형 진공청소기는 바디 조립체(10)와 흡입 브러시(20)가 일체로 결합되어 있고, 또 바디 조립체(10)와 흡입 브러시(20)를 연결하는 흡입 호스의 길이가 짧기 때문에 보관 및 이동이 편리한 장점이 있다.
따라서, 최근에는 진공청소기를 사용하여 실내를 청소하는 경우가 크게 늘어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진공청소기는 먼지 등과 같은 이물질을 제거하는데는 매우 효과적이나 세균 또는 벌레를 제거할 수는 없어, 담요나 카펫 등과 같이 세균이나 벌레 등이 서식하기 용이한 물품들의 관리시 진공청소기로 이물질을 제거하는 것과는 별도로 햇볕으로 소독하는 등의 절차를 거쳐야 한다. 그렇지만 통상적으로 바쁘고 시간 여유가 없는 현대 생활에서 이는 매우 번거롭고 불편한 일로서, 이를 소홀히 하게 되어 위생환경이 저하될 우려가 높았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집진실로 흡입된 공기 중에 포함된 세균이나 벌레를 살균할 수 있어, 위생 환경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는 세로형 진공청소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세로형 진공청소기의 일 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로형 진공청소기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2에서 본 발명의 주요부인 열풍 순환 덕트를 확대하여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도 2에서 본 발명의 또다른 주요부인 셔터부재와 작동스위치를 확대하여 보인 것으로 흡기구가 개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도 2에서 본 발명의 또다른 주요부인 셔터부재와 작동스위치를 확대하여 보인 것으로 흡기구가 폐쇄되어 살균기능이 선택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0 ; 바디 조립체 112 ; 프론트 바디
113 ; 수용실 114 ; 리어 바디
115 ; 흡기구 116 ; 안내장공
120 ; 흡입 브러시 130 ; 흡입 호스
142 ; 덕트홈부 144 ; 덕트 커버
145 ; 안내관 146 ; 셔터 부재
147 ; 조작 레버 148 ; 작동 스위치
149 ; 온도 감지센서
상기와 같은 목적은, 이물질을 거르기 위한 필터가 장착된 집진실과 필터에 의해 걸러진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구를 가지는 프론트 바디와, 프론트 바디와의 사이에 팬모터가 장착되고 집진실 및 배출구와 소통된 장착실을 형성하며, 외부 공기를 집진실로 안내하기 위한 흡기구를 가지는 리어 바디로 구성된 바디 조립체; 바디 조립체의 하단에 결합되어, 외부 공기를 흡입하는 흡입 브러시; 흡입 브러시에 의해 흡입된 공기를 흡기구로 안내하며, 그 일측단이 흡기구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 흡입 호스; 및 흡입 브러시와 흡입 호스를 통해 집진실로 흡입된 공기 중의 세균과 벌레 등을 살균하기 위한 살균부;를 포함하는 본 발명에 따른 세로형 진공청소기에 의해 달성된다.
살균부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팬모터를 구동시키는 작동 스위치; 프론트 바디의 후면에 설치되어 배출구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공기 중 일부를 수용실로부터 집진실로 안내하는 열풍순환 덕트; 살균 기능의 작동시 외부의 공기가 흡기구를 통해 집진실로 흡입되는 것을 차단하여, 집진실의 공기가 바디 조립체 내부에서 순횐되도록 하는 셔터부; 및 열풍순환 덕트를 통해 집진실로 안내되는 공기의 온도를 감지하여 그 온도가 소정치 이상인 경우 팬모터의 구동을 정지시키는 온도 감지센서를 가진다.
셔터부는 슬라이드 이동에 의해 흡기구를 개폐하는 셔터 부재와 사용자가 파지하여 셔터 부재를 슬라이드 이동시킬 수 있도록 셔터 부재의 일측에 형성된 조작 레버를 가지며, 조작 스위치는 셔터 부재의 슬라이드 이동에 의해 그 접점이 개폐되도록 설치되어 사용자가 셔터 부재를 슬라이드 이동시키는 것에 의해 조작 스위치가 사용자의 조작을 받아들이도록 되어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셔터 부재와 조작 스위치는 리어 바디의 내측면에 설치되며, 조작 레버는 셔터 부재의 일측으로부터 셔터 부재가 슬라이드 이동되는 방향을 따라 리어 바디에 형성된 안내장공을 통해 리어 바디의 외측으로 연장되어 있다. 또한, 열풍순환 덕트는 리어 바디의 흡기구와 프론트 바디의 후면에 형성되어 집진실과 소통된 소통공 사이에 개재된 안내관; 프론트 바디의 후면을 따라 수용실로부터 소통공까지 오목하게 형성된 덕트홈부; 및 덕트홈부를 덮어 수용실로부터 집진실까지 소정의 공기 유로를 형성하며, 그 상단이 안내관에 일체로 고정된 덕트 커버를 가진다. 그리고, 온도 감지센서가 팬모터의 구동을 정지시키는 소정 온도는 63~67℃다.
배출구로 배출되는 공기를 열풍순환덕트를 통해 집진실로 재순환시키는 것에 의해 모터에서 발열된 열을 이용하여 공기중의 세균이나 벌레를 살균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싱예에 따른 진공청소기의 분해 사시도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공청소기는 바디 조립체(110)와, 흡입 브러시(120)와, 흡입 호스(130)와, 살균부를 포함하고 있다.
바디 조립체(110)는 프론트 바디(112)와 리어 바디(114)로 구성되어 있고, 살균부는 이 바디 조립체(110)에 설치되어 있다. 프론트 바디(112)의 전면에 커버에 의해 밀폐된 집진실(미도시, 도 1 참조)이 형성되어 있고, 이 집진실에 먼지 필터가 장착되어 있다. 프론트 바디(112)와 리어 바디(114)의 하부는 결합에 의해 수용실(113)을 형성하고 이 수용실(113)에 흡입력을 발생시키는 팬모터(미도시)가 장착되어 있다. 수용실(113)과 집진실은 소통되어 있으며, 프론트 바디(112)의 전면에는 수용실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배기구(미도시)가 형성되어 있다.
리어 바디(114)의 후면에는 흡기구(도4의 115)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 흡기구(115)는 프론트 바디(112)의 후면에 형성된 소통공(111)과, 후술할 살균부의 안내관(145)을 통해 집진실과 연결되어 있다.
흡입 브러시(120)는 바디 조립체(110)의 하측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있고, 흡입 호스(130)는 흡입 브러시(120)에 의해 흡입된 공기를 리어 바디(114)의 흡기구(111)로 안내한다. 흡입 호스(130)의 상단은 클램퍼(132)에 의해 흡기구(115)에 대해 분리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흡입 호스(130)의 하단도 리어 바디(114)의 하측에 설치되어 흡입 브러시(120)와 소통된 연결관(116)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따라서, 필요에 따라 흡입 호스(130)의 하단을 분리하고 여기에 다양한 액세서리(134)(136)를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주요부인 살균부는 열풍순환 덕트와, 셔터부재(146)와, 작동 스위치(148)와, 온도감지센서(149)로 구성되어 있다.
열풍순환 덕트는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론트 바디(112)의 후면에 형성된 덕트홈부(142)와, 이 덕트홈부(142)를 덮는 덕트 커버(144)와, 덕트 커버(144)의 일측단에 일체로 형성된 안내관(145)으로 이루어져 있다. 덕트홈부(142)는 수용실(113)로부터 집진실의 소통공(115)까지 오목하게 형성되어 있고, 덕트 커버(144)에 의해 씌워져 소정의 공기 유로를 형성한다. 안내관(145)은 프론트 바디(112)의 소통공(111)과 리어 바디(114)의 흡기구(115) 사이에 개재되어 흡기구(115)와 집진실을 소통시킨다. 이때, 안내관(145)의 리어 바디측은 리어 바디(114)의 전면과 소정의 간격을 두고 이격되어 있다. 이는 후술된 셔터 부재(146)의 이동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함이며, 흡입 호스(130)의 클램퍼(132)가 흡기구(115)에 결합되면 클램퍼(132)의 끝단이 이 안내관(145)에 삽입된다. 이에 따라 집진실과 수용실(113)은 프론트 바디(112)의 후면을 통해서도 서로 소통된다.
또한, 안내관(146)을 통해 집진실로 안내되는 공기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 감지센서(149)가 소통공(111)의 내주면 일측에 설치되어 있다. 이 온도 감지센서(149)는 전선을 통해 수용실(113)의 팬모터에 연결되어 있으며, 감지된 온도가 미리 설정된 온도 이상일 경우 팬모터의 작동을 중지시킨다. 미리 설정된 온도는 대략 63~67℃, 바람직하게는 65℃다.
셔터 부재(146)는 도 4 및 도 5에 보다 상세하게 도시된 바와 같이, 흡기구(115)를 개폐할 수 있도록 리어 바디(114)의 전면에 수평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리어 바디(114)의 흡입구(115) 상측에는 소정의 안내장공(116)이 수평방향으로 형성되어 있고, 이 안내장공(116)을 통해 셔터 부재(146)의 일측으로부터 조작 레버(147)가 리어 바디(114)의 후측으로 연장되어 있다. 이 조작 레버(147)는 안내장공(116)을 따라 이동되며, 조작 레버(147)의 이동에 따라 셔터 부재(146)도 슬라이드 이동된다. 도면 부호 118은 셔터 부재(146)를 지지하며, 셔터 부재(146)의 슬라이드 이동을 안내하는 안내 부재이다.
또한, 작동 스위치(148)는 리어 바디(114)의 전면에 셔터 부재(146)와 흡기구(115)를 사이에 두고 대향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이 작동 스위치(148)는 셔터 부재(146)의 슬라이드 이동에 의해 그 접점이 개폐되는 마이크로 스위치다. 즉, 도 4와 같이 셔터 부재(146)가 흡기구(115)를 차단하고 있지 않은 경우 작동 스위치(148)의 접점은 개방되고, 도 5와 같이 셔터 부재(146)가 흡기구(115)를 폐쇄하도록 이동되면 셔터 부재(146)의 일측단에 작동 스위치(148)의 접점이 눌러져 폐쇄된다. 이 작동 스위치(148)는 수용실에 수용된 팬모터에 연결되어 있으며, 그 접접이 눌러지면 팬모터가 작동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로형 진공청소기는 평소에는 종래의 세로형 진공청소기와 동일한 작용을 수행한다. 즉, 팬모터가 작동되면, 흡입 브러시(120)를 통해 외부 공기가 흡입되고, 외부 공기는 흡입 호스(130), 흡입구(115), 안내관(145), 소통공(111)을 통해 집진실로 흡입된다. 집진실로 흡입된 공기는 먼지 필터를 통과한 다음 수용실(113)의 팬모터를 거쳐 배출구로 배출된다. 공기가 먼지 필터를 통과할 때, 공기중의 이물질이 먼지 필터에 걸러지게 된다.
한편, 살균 기능을 수행하고자 할 경우에는 흡입 호스(130)의 호스 클램퍼(132)를 흡입구(115)로부터 분리한다. 그리고 나서, 조작 레버(147)를 안내장공(116)을 따라 이동시키면 셔터 부재(146)도 조작 레버(147)와 함께 수평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된다. 셔터 부재(146)가 완전히 이동되면 도 5와 같이 흡입구(115)가 폐쇄되고, 셔터 부재(146)의 일측단이 작동 스위치(148)의 접점을 누르는 것에 의해 팬모터가 작동된다.
팬모터가 작동되면 집진실의 공기가 수용실(113)의 팬모터로 흡입된다. 그런데, 셔터 부재(146)에 의해 흡입구(115)가 폐쇄되어 있기 때문에, 외부 공기가 집진실로 흡입되지 못한다. 따라서, 집진실에는 배출구 외부의 대기압에 비해 크게 낮은 부압이 작용되고, 수용실(113)의 팬모터로 흡입된 공기는 거의 대부분이 배출공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지 않고 열풍순환덕트를 통해 집진실로 다시 재순환된다. 이와 같이 집진실의 공기가 바디 조립체(110) 내부에서 계속 순환되는 동안 순환되는 공기는 팬모터에서 발생되는 열에 의해 가열된다. 공기가 가열되어 그 온도가 대략 55℃ 이상이 되면 공기중 또는 먼지 필터에 포집된 먼지나 이물질에 섞여 있는 세균이나 벌레 등이 살균된다. 이러한 과정이 대략 3~4분간 지속되면 공기의 온도는 온도 감지센서(149)의 설정온도 이상으로 상승된다. 그러면 온도 감지센서(149)는 팬모터의 작동을 중지시킨다. 이에 따라 살균 기능의 수행이 완료된다.
상기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세로형 진공청소기는, 배출구로 배출되는 공기가 열풍순환덕트를 통해 집진실로 재순환되면서 모터에서 발열된 열에 의해 뜨거워지는 것에 으해 공기중의 세균이나 벌레가 살균된다. 따라서, 종래와 같이 햇볕에 소독하는 등의 번거로운 과정을 거치지 않고도 진공청소기를 이용한 청소 도중에 카펫이나 담요에 서식하고 있는 세균이나 벌레를 용이하게 살균할 수 있으므로 위생환경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상기된 실시예에만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한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얼마든지 다양하게 변경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6)

  1. 이물질을 거르기 위한 필터가 장착된 집진실과 상기 필터에 의해 걸러진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구를 가지는 프론트 바디와, 상기 프론트 바디와의 사이에 팬모터가 장착되고 상기 집진실 및 배출구와 소통된 장착실을 형성하며, 외부 공기를 상기 집진실로 안내하기 위한 흡기구를 가지는 리어 바디로 구성된 바디 조립체;
    상기 바디 조립체의 하단에 결합되어, 외부 공기를 흡입하는 흡입 브러시;
    상기 흡입 브러시에 의해 흡입된 공기를 상기 흡기구로 안내하며, 그 일측단이 상기 흡기구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 흡입 호스; 및
    상기 흡입 브러시와 흡입 호스를 통해 상기 집진실로 흡입된 공기 중의 세균과 벌레 등을 살균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로형 진공청소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살균 수단은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팬모터를 구동시키는 작동 스위치;
    상기 프론트 바디의 후면에 설치되어 상기 배출구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공기 중 일부를 상기 수용실로부터 상기 집진실로 안내하는 열풍순환 덕트;
    살균 기능의 작동시 외부의 공기가 상기 흡기구를 통해 상기 집진실로 흡입되는 것을 차단하여, 집진실의 공기가 바디 조립체 내부에서 순횐되도록 하는 셔터부; 및
    상기 열풍순환 덕트를 통해 집진실로 안내되는 공기의 온도를 감지하여 그 온도가 소정치 이상인 경우 상기 팬모터의 구동을 정지시키는 온도 감지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로형 진공청소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셔터부는 슬라이드 이동에 의해 상기 흡기구를 개폐하는 셔터 부재와 사용자가 파지하여 상기 셔터 부재를 슬라이드 이동시킬 수 있도록 상기 셔터 부재의 일측에 형성된 조작 레버를 가지며, 상기 조작 스위치는 상기 셔터 부재의 슬라이드 이동에 의해 그 접점이 개폐되도록 설치되어 사용자가 상기 셔터 부재를 슬라이드 이동시키는 것에 의해 상기 조작 스위치가 사용자의 조작을 받아들이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로형 진공청소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셔터 부재와 상기 조작 스위치는 리어 바디의 내측면에 설치되며, 상기 조작 레버는 상기 셔터 부재의 일측으로부터 상기 셔터 부재가 슬라이드 이동되는 방향을 따라 상기 리어 바디에 형성된 안내장공을 통해 상기 리어 바디의 외측으로 연장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로형 진공청소기.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열풍순환 덕트는
    상기 리어 바디의 흡기구와 상기 프론트 바디의 후면에 형성되어 집진실과 소통된 소통공 사이에 개재된 안내관;
    상기 프론트 바디의 후면을 따라 상기 수용실로부터 상기 소통공까지 오목하게 형성된 덕트홈부; 및
    상기 덕트홈부를 덮어 상기 수용실로부터 집진실까지 소정의 공기 유로를 형성하며, 그 상단이 상기 안내관에 일체로 고정된 덕트 커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로형 진공청소기.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 온도는 63~67℃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로형 진공청소기.
KR1019990020700A 1999-06-04 1999-06-04 열풍을 이용한 살균 기능을 가지는 세로형 진공청소기 KR1003171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20700A KR100317118B1 (ko) 1999-06-04 1999-06-04 열풍을 이용한 살균 기능을 가지는 세로형 진공청소기
GB0006841A GB2350553B (en) 1999-06-04 2000-03-21 Vacuum cleaner
US09/552,682 US6295695B1 (en) 1999-06-04 2000-04-19 Vacuum clean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20700A KR100317118B1 (ko) 1999-06-04 1999-06-04 열풍을 이용한 살균 기능을 가지는 세로형 진공청소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01470A true KR20010001470A (ko) 2001-01-05
KR100317118B1 KR100317118B1 (ko) 2001-12-22

Family

ID=195901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20700A KR100317118B1 (ko) 1999-06-04 1999-06-04 열풍을 이용한 살균 기능을 가지는 세로형 진공청소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6295695B1 (ko)
KR (1) KR100317118B1 (ko)
GB (1) GB2350553B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33411B1 (ko) * 2002-03-21 2004-05-31 삼성광주전자 주식회사 업라이트형 진공청소기의 배기덕트
WO2012031116A1 (en) * 2010-09-01 2012-03-08 Techtronic Floor Care Technology Limited Tank tray for an extractor cleaning machine
KR101245431B1 (ko) * 2012-04-23 2013-03-25 전완기 진공청소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5523B1 (ko) * 2005-04-11 2007-06-08 삼성광주전자 주식회사 진공 청소기
US20090031520A1 (en) * 2007-08-02 2009-02-05 Samsung Gwangju Electronics Co., Ltd. Upright vacuum cleaner
DE102007040952A1 (de) 2007-08-30 2009-03-05 Miele & Cie. Kg Upright-Staubsauger
DE102007040957A1 (de) * 2007-08-30 2009-03-05 Miele & Cie. Kg Upright-Staubsauger
US20110307107A1 (en) * 2010-06-11 2011-12-15 Howard Jay Frantz Temperature-dependent controller for controlling a sanitizing devise
CN110840324B (zh) * 2019-11-19 2024-01-16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吸尘器及其控制方法
US20230043567A1 (en) 2021-08-03 2023-02-09 Sharkninja Operating Llc Surface cleaning device with odor management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852208A (en) * 1987-10-08 1989-08-01 Sanyo Electric Co., Ltd. Vacuum cleaner
JPH0197426A (ja) * 1987-10-08 1989-04-14 Sanyo Electric Co Ltd 電気掃除機
DE3803825A1 (de) * 1988-02-09 1989-08-17 Gerhard Kurz Vorrichtung zur entkeimung von raeumen und bodenbelaegen
US5075922A (en) * 1988-12-28 1991-12-31 Sanyo Electric Co., Ltd. Vacuum cleaner
JPH03168112A (ja) * 1989-11-28 1991-07-19 Tokyo Electric Co Ltd 電気掃除機
GB2243994B (en) * 1990-05-16 1994-02-16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ic vacuum cleaner with an ozonizer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33411B1 (ko) * 2002-03-21 2004-05-31 삼성광주전자 주식회사 업라이트형 진공청소기의 배기덕트
WO2012031116A1 (en) * 2010-09-01 2012-03-08 Techtronic Floor Care Technology Limited Tank tray for an extractor cleaning machine
GB2496340A (en) * 2010-09-01 2013-05-08 Techtronic Floor Care Tech Ltd Tank tray for an extractor cleaning machine
GB2496340B (en) * 2010-09-01 2015-07-15 Techtronic Floor Care Tech Ltd Tank tray for an extractor cleaning machine
KR101245431B1 (ko) * 2012-04-23 2013-03-25 전완기 진공청소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GB0006841D0 (en) 2000-05-10
GB2350553B (en) 2001-10-17
GB2350553A (en) 2000-12-06
US6295695B1 (en) 2001-10-02
KR100317118B1 (ko) 2001-12-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960446A (en) Vacuum cleaner dirt receptacle
KR100317118B1 (ko) 열풍을 이용한 살균 기능을 가지는 세로형 진공청소기
RU2577732C2 (ru) Электрический вакуумный пылесос
KR910001226B1 (ko) 전기청소기
KR100814003B1 (ko) 진공청소기
KR102485200B1 (ko) 이오나이저를 구비한 핸디형 진공청소기
US20220313040A1 (en) Cleaning device including vacuum cleaner and dust collecting station
KR20090017374A (ko) 업라이트형 진공청소기
JP2013135814A (ja) 電気掃除機
JP2683353B2 (ja) 電気掃除機
KR100373453B1 (ko) 진공청소기
KR200254938Y1 (ko) 집진기능을 갖는 애완동물 미용 테이블
JP2004097741A (ja) 手指乾燥装置
JPH0373119A (ja) 電気掃除機
JP2683434B2 (ja) 電気掃除機
JPH07284465A (ja) 電気掃除機
JP2001346725A (ja) 電気掃除機
KR20000075318A (ko) 진공청소기용 흡입구체의 보관장치
KR200148060Y1 (ko) 청소기
KR200307002Y1 (ko) 진공청소기용 브러시의 살균램프 커버장치
KR20010076699A (ko) 배기 환류식 업라이트 청소기
KR20220081490A (ko) 네일아트용 테이블
JPH02289214A (ja) 電気掃除機
JPH01265922A (ja) 電気掃除機のホース格納装置
JP3828696B2 (ja) 電気掃除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930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