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00965U - 상용차용 프레임 - Google Patents

상용차용 프레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00965U
KR20010000965U KR2019990011197U KR19990011197U KR20010000965U KR 20010000965 U KR20010000965 U KR 20010000965U KR 2019990011197 U KR2019990011197 U KR 2019990011197U KR 19990011197 U KR19990011197 U KR 19990011197U KR 20010000965 U KR20010000965 U KR 20010000965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shaped steel
commercial vehicle
present
side membe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1119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성기
Original Assignee
정몽규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몽규,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정몽규
Priority to KR201999001119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0000965U/ko
Publication of KR2001000096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00965U/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1/00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 B62D21/02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comprising longitudinally or transversely arranged frame memb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프레임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1톤 트럭등과 같은 비교적 소형의 상용차용으로 사용되는 프레임에 관한 것으로서, 차량의 하중 분포등에 따라 직선상이 아닌 형태로 제작할 수 있고, 부분적으로 단면을 조절하여 강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부품 부착을 위해 볼팅이 가능하도록 구성된 상용차용 프레임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서로 대향 배치된 사이드멤버(50)를 크로스멤버(51)로 연결 고정시켜 구성한 상용차용 프레임에 있어서, 상기한 사이드멤버(2)는 ㄷ 자 형강(1) 2개를 서로 겹쳐 사각형강처럼 구성하고 ㄷ 자형강(1)을 겹합시키기 전에 소정 위치에 폭이 넓어지는 확장부(3)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상용차용 프레임{FRAME FOR AUTOMOBILE}
본 고안은 프레임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1톤 트럭등과 같은 비교적 소형의 상용차용으로 사용되는 프레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상용 차량은 차량 중량이 비교적 무거울 뿐만 아니라 화물을 적재하기 때문에 차체 강도를 유지하도록 사각형강등으로 H 형상 제작된 프레임을 사용하게 된다.
상기한 프레임은 도4와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선상으로 형성됨과 아울러 서로 평행하게 배치된 사이드멤버(50)와, 상기한 사이드멤버(50)를 연결하여 H 형태를 유지하면서 강성을 향상시키도록 설치된 크로스멤버(51)로 구성되어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한 사이드멤버(50)는 실질적으로 차체의 강도를 확보하는 구성 요소인 바, 강성 확보를 위해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각형강으로 제작하게 된다.
즉, 상기한 사이드멤버(50)에 차량 하중, 적재 화물 하중등이 실질적으로 집중되는 바, 이를 견디기 위하여 사각형강을 직선 배치하여 프레임을 구성하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한 프레임에 부품들을 설치하기 위해서는 사각형강인 사이드멤버(50)를 관통하는 구멍을 뚫어야 하는 바, 프레임의 강도 유지상 실질적으로 볼팅(BOLTING)이 어렵게 됨으로써, 부품 설치를 위해서는 별도의 브라켓(미 도시)을 사용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이 사각형강으로 프레임을 제작하게 되면 사이드멤버를 곡선상으로 제작하기가 어려울 뿐만 아니라 이로 인해 차량의 프레임 형상을 차량 설계 조건에 적합하게 제작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즉, 강도를 유지하면서 사각형강을 구부리기가 실질적으로 불가능하기 때문에, 사이드멤버를 직선상으로만 제작해야 하고, 이로 인해 차량의 하중 분포등에 따라 프레임을 적합하게 제작할 수 없는 것이다.
또한, 상기한 사이드멤버를 사각형강으로 제작하게 되면 프레임에 부품 설치를 위해 별도의 브라켓을 부착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을 뿐만 아니라 이에 따라 작업 능률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사각형강은 부분적으로 강성 향상이 필요하여도 사각형강의 단면을 증대시킬 수 없기 때문에 프레임의 강성을 최적으로 유지할 수 없게 된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차량의 하중 분포등에 따라 직선상이 아닌 형태로 제작할 수 있고, 부분적으로 단면을 조절하여 강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부품 부착을 위해 볼팅이 가능하도록 구성된 상용차용 프레임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서로 대향 배치된 사이드멤버를 크로스멤버로 연결 고정시켜 구성한 상용차용 프레임에 있어서, 상기한 사이드멤버는 ㄷ 자 형강 2개를 서로 겹쳐 사각형강처럼 구성하고 ㄷ 자형강을 겹합시키기 전에 소정 위치에 폭이 넓어지는 확장부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도1은 본 고안에 따른 상용차용 프레임을 도시한 평면도,
도2는 도1의 측면도,
도3은 사이드멤버의 단면도,
도4는 일반적인 상용차용 프레임을 도시한 평면도,
도5는 도4의 측면도,
도6은 도4에서 사이드멤버를 절단하여 도시한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ㄷ 자형강2: 사이드멤버
3: 확장부4: 볼트공
5: 너트
도1과 도2와 도3은 본 고안에 따른 상용차용 프레임을 도시한 평면도와 도1의 측면도와 사이드멤버 단면도로서, ㄷ 자형강(1) 2개를 서로 겹쳐 사각형강처럼 구성하여 사이드멤버(2)를 제작함과 아울러 상기한 ㄷ 자형강(1)을 겹치기 전에 프론트 차축(F), 리어 차축(R)의 사이에 폭이 넓은 확장부(3)가 형성되도록 구부려 사이드멤버(2)를 형성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확장부(3)가 사이드멤버(2)의 중간 부분에 형성되면, 아암(A) 회전 운동 시 비틀리도록 설치된 토션바(T)의 중심이 아암(A)의 회전 중심에 위치되어 있는 상태에서 일측만 브라켓(B)으로 지지하면 되는 바, 토션바(T)의 설치 공간 확보가 용이하고 설치 작업이 용이하게 된다.
또한, 상기한 ㄷ 자형강(1)을 제작할 때 압연등으로 제작하는 바, 제작 시 수직 방향의 하중에 따른 단면 크기를 프레임에 인가되는 하중 분포에 따라 적절하게 제작한 후, 2개의 ㄷ 자형강(1)을 용접등으로 결합시키면 상이한 하중 분포에 적절하게 강성을 유지할 수 있도록 프레임 제작이 가능하게 된다.
즉, 미리 설계된 하중 분포에 따라 ㄷ 자 형강(1)의 높이, 폭등을 조절한 상태에서 결합시키게 되면, 결합 후 프레임에 인가되는 하중 분포에 적합한 강성을 각각의 부분들이 가질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의 작용 효과를 설명하면 프레임을 제작하기 위하여, ㄷ 자 형강(1)의 중간 부분(토션바(T)가 부착되는 부분)을 구부려 확장부(3)를 형성하게 된다.
ㄷ자 형강(1)에 확장부(3)가 형성되면 2개의 ㄷ 자 형강(1)을 용접으로 결합시켜 단면이 사각형상이 되는 사이드멤버(2)를 제작하게 된다.
물론, 상기한 ㄷ 자 형강(1)의 제작 시 프레임 상부에 안착될 새시들의 중량 분포등에 따라 미리 프레임의 부분적인 두께 및 폭이 결정되어 있는 바, 이에 적합하도록 ㄷ 자 형강(1)을 굽힘 및 확장 형성하게 된다.
사이드멤버(2)가 제작되면 이를 서로 대칭되는 위치에 놓은 후 다수의 크로스멤버(51)로 연결하여 프레임을 구성하게 된다.
프레임이 구성되면 그 상부에 엔진, 캡, 적재함등과 같은 다수의 부품이 설치되는 바, 예를 들어 토션바(T)를 설치하게 되면, 확장되지 않은 프레임의 전면부에 아암(A)이 회전 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는 상태에서, 상기한 아암(A)의 회전 운동 중심에 토션바(T)를 연결하게 된다.
토션바(T)가 연결되면 차량 후방측으로 토션바(T)가 연장된 상태가 되는 바, 이때 상기한 토션바(T)와 확장부(3)의 사이에는 소정 거리 이격되어 있게 된다.
즉, 상기한 사이드멤버(2)의 확장부(3)가 아암(A)의 회전 중심에서 외측으로 D만큼 이격되어 있기 때문에 여기에 설치되는 토션바(T)가 필연적으로 사이드멤버(2)에서 이격되면서 토션바(T)의 설치가 용이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한 ㄷ 자형강(1)에 부품을 고정시키기 위해서는 ㄷ 자 형강(1) 소정 위치에 볼트공(4)을 형성한 후, 볼트공(4) 내부에 너트(5)등을 용접으로 고정하면서 ㄷ 자 형강(1) 2개를 결합시키면 되는 바, 종래와 같이 부품 장착을 위해 별도의 브라켓을 설치할 필요가 없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은 ㄷ 자 형강을 프레임에 인가되는 하중 분포에 따라 적절하게 형성한 후 2개를 용접하여 사이드멤버를 제작함으로써, 프레임 하중 분포에 따른 강성 확보가 용이할 뿐만 아니라 프레임에 다수의 부품을 장착할 때 별도의 브라켓등이 필요없게 되어, 구성이 단순하게 됨과 아울러 프레임 조립 능률이 향상되는 잇점이 있는 것이다.

Claims (3)

  1. 서로 대향 배치된 사이드멤버를 크로스멤버로 연결 고정시켜 구성한 상용차용 프레임에 있어서,
    상기한 사이드멤버는 ㄷ 자 형강 2개를 서로 겹쳐 사각형강처럼 구성하고 ㄷ 자형강을 겹합시키기 전에 소정 위치에 폭이 넓어지는 확장부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상용차용 프레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 ㄷ 자형강을 프레임에 인가되는 하중 분포에 따라 폭 및 높이를 각 부분별로 상이하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상용차용 프레임.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프레임에 장착되는 부품 위치에서 ㄷ 자형강에 볼트공을 형성하고, 상기한 볼트공 내부에 볼트와 나사 결합되는 너트를 고정시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상용차용 프레임.
KR2019990011197U 1999-06-23 1999-06-23 상용차용 프레임 KR20010000965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11197U KR20010000965U (ko) 1999-06-23 1999-06-23 상용차용 프레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11197U KR20010000965U (ko) 1999-06-23 1999-06-23 상용차용 프레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00965U true KR20010000965U (ko) 2001-01-15

Family

ID=547644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11197U KR20010000965U (ko) 1999-06-23 1999-06-23 상용차용 프레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0000965U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5013B1 (ko) * 2008-12-29 2011-02-16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평판 트레일러용 프레임 구조물
KR20220023190A (ko) * 2020-08-20 2022-03-0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체의 배터리 장착구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5013B1 (ko) * 2008-12-29 2011-02-16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평판 트레일러용 프레임 구조물
KR20220023190A (ko) * 2020-08-20 2022-03-0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체의 배터리 장착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066515B2 (en) Deformable component carrier
CN103085885B (zh) 后支柱部的加强结构
US6402172B1 (en) Suspension frame construction
US20040189043A1 (en) Low-profile high-strength vehicle door beam
JP5070010B2 (ja) 車両用のシャシフレーム構造
JP2005537967A (ja) 一体化されたトレーリングアーム及び取付ブラケットを備える自動車用リジッドアクスル
JP3404980B2 (ja) 自動車のリヤサイドメンバ構造
CN111152846B (zh) 一种汽车发动机舱连接结构
KR20010000965U (ko) 상용차용 프레임
US20050051991A1 (en) Reinforced tractor-trailer slider
CN103832480A (zh) 车体后部的上侧结构
CN206106856U (zh) 一种上摆臂安装总成
CN201998789U (zh) 一种汽车油箱安装支架总成
CN211223628U (zh) 固定支架及包含其的车辆
CN110789622A (zh) 一种轻量化铝合金双扭杆翻转支座
CN105923054A (zh) 一种天窗总成与车身的连接结构
JP4528146B2 (ja) 自動車の車体後部構造
KR200160327Y1 (ko) 차량의 리어 써스팬션 쇽업소오버의 장착구조
KR20210067572A (ko) 부품 마운팅 유닛
JP3429946B2 (ja) クロスメンバ
JP4479473B2 (ja) 自動車車体の後部構造
CN210793344U (zh) 车身骨架和具有其的车辆
KR200201350Y1 (ko) 자동차용 토션 빔 액슬용 단조 스핀들 구조
CN211076099U (zh) 一种轻量化铝合金双扭杆翻转支座
CN220483405U (zh) 一种商用车用牵引横梁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