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00883A - 인터넷 상에서 지능형 문제 선택 및 문장형 주관식 문제에의한 일반학습방법 - Google Patents

인터넷 상에서 지능형 문제 선택 및 문장형 주관식 문제에의한 일반학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00883A
KR20010000883A KR1020000062853A KR20000062853A KR20010000883A KR 20010000883 A KR20010000883 A KR 20010000883A KR 1020000062853 A KR1020000062853 A KR 1020000062853A KR 20000062853 A KR20000062853 A KR 20000062853A KR 20010000883 A KR20010000883 A KR 2001000088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answer
read
sentence
stor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628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상우
박병운
윤석규
Original Assignee
윤상우
드림네비게이트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상우, 드림네비게이트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상우
Priority to KR10200000628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0000883A/ko
Publication of KR200100008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00883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0Edu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7/00Electrically-operated teaching apparatus or devices working with questions and answers
    • G09B7/02Electrically-operated teaching apparatus or devices working with questions and answers of the type wherein the student is expected to construct an answer to the question which is presented or wherein the machine gives an answer to the question presented by a student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Marketing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lectrically Operated Instructional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터넷 상에서 지능형 문제 선택 및 문장형 주관식 문제에 의한 일반학습방법에 관한 것이다. 특히, 사용자에게 문제정보를 전송시, HTML코드의 생성에 의한 효율적인 데이터베이스 관리 및 문장형 주관식 문제 출제에 의해 사용자에게 학습에 관련하여 다양한 문제들을 제공하는 인터넷 상에서의 학습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인터넷 상에서 사용자에게 문제정보를 전송시, 상기 문제정보를 포함한 모든 정보에에는 하이퍼링크가 가능하도록 고유한 요청코드(HTML코드)가 포함되어 있어, 데이터베이스에 관리상의 문제가 있어고, 또한 서술형으로 기재되는 문장형 주관식 문제를 출제하지 못한 반면에 본 발명은 문제출제시스템, 해답체크시스템, 문제정보 DB를 구비하므로써 사용자의 문제정보 요청시, 사용자가 학습할 해당 학습지의 문제정보를 포함하는 모든 정보의 요청코드를 생성하고, 상기 문제정보 DB에 저장된 해답정보에 연산처리가 가능한 심볼을 해답정보의 핵심어에 표현하므로써, 상기 연산처리된 해답정보와 사용자의 문장형 주관식 정보를 매칭하므로써, 서술형으로 기재되는 문장형 주관식 문제를 출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인터넷 상에서 지능형 문제 선택 및 문장형 주관식 문제에 의한 일반학습방법{Methods for general education by the intelligent composition choice and a literary composition type at internet}
본 발명은 인터넷 상에서 지능형 문제 선택 및 문장형 주관식 문제에 의한 일반학습방법이다.
특히, 사용자에게 문제정보를 전송시, HTML코드의 생성에 의한 효율적인 데이터베이스 관리 및 문장형 주관식 문제 출제에 의해 사용자에게 학습에 관련하여 다양한 문제들을 제공하는 인터넷 상에서의 학습방법에 관한 것이다.
인터넷망을 이용하는 사용자가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면서, 학습지를 이용한 사설교육방법도 기존의 학습지 시장에서 문제시 되어 왔던 학습지 교사의 관리, 학습지에 새로운 내용이 첨가될 경우, 다시 학습지를 제작하므로써, 발생하는 높은 유지비용상의 문제 때문에 대부분의 학습지 운영자가 인터넷 시장으로 옮겨가고 있는 추세이다.
종래의 인터넷 상에서 사용되는 학습용 콘텐츠의 제작방법은 학습지 관계자가 구축한 관리자서버와, 상기 관리자서버가 운영하는 문제정보 및 해답정보등이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베이스를 구비한다.
또한 사용자가 문제와 관련된 정보를 관리자서버에 요청하면, 상기 요청을 받은 관리자서버는 사용자가 요청한 정보를 검출할 수 있도록,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 있는 개개의 문제 정보 및 해답정보를 하이퍼링크(Hyper Link)가 가능하도록 요청코드를 포함하는 HTML(Hyper Text Markup Language)문서로 저장을 하거나, 또는 HTML을 생성하는 CGI(Common Gateway Interface)프로그램을 구비하므로써 사용자의 웹브라우저로 전송을 한다.
이 때, 사용자가 요청하는 정보가 많을 경우, 상기 요청된 개개의 정보에는 관리자서버가 검출할 수 있도록, 별도의 HTML로 제작된 요청코드를 포함고 있어야 하며, 또한, 상기 사용자가 요청한 개개의 정보에 링크(Link)되는 이미지, 또는 동영상 등의 정보가 있을 경우, 상기 이미지, 또는 동영상등의 정보에도 별도의 요청코드가 포함되어 있어야 한다.
또한, 상기 관리자서버는 개개의 정보에 부여된 요청코드의 지속적인 관리(만약에 CGI프로그램일 경우, 개개의 정보에 요청코드 부여)가 요구되어진다.
또한, 사용자가 작성한 문제정보의 답안을 채점할 경우, 사용자가 요청한 문제정보에 부여된 개개의 요청코드를 인지하고 있어야 한다.
왜냐하면, 관리자서버에서 사용자가 입력한 답안정보를 획득하기 위해서는 상기 사용자의 웹브라우저로 전송한 개개의 정보에 삽입이 된 개개의 요청코드를 이용하기 때문이다.
또한 상기 관리자서버에서 인지한 개개의 요청코드와 상기 개개의 요청코드와 매칭되는 개개의 해답정보에 포함이 되는 요청코드를 제작하기 위해, 상기 개개의 해답정보마다 별도의 CGI프로그램이 요구되어진다.
또한 상기와 같이 정답을 체크하는 경우 이외에도, 개개의 CGI프로그램내에 텍스트로 명기하거나, 또는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한 해답정보와 매칭하므로써, 정답처리가 가능하다.
또한 출제되어지는 문제는 선다형문제 및 간단한 단답형 문제만이 제공되어 오프라인 상에서 제공되어졌던 서술형 주관식 문제의 출제도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종래의 인터넷 상에서 학습용 콘텐츠의 제작 및 문제출제 방법에서 데이터베이스에 저장이 된 개개의 문제정보 및 상기 문제정보에 링크되는 이미지정보, 동영상정보 및 상기 문제정보와 매칭되는 해답정보에 하이퍼링크가 가능한 HTML문서, 또는 HTML을 생성하는 CGI프로그램에 의해 생성되는 고유한 요청코드의 부여 및 관리가 필요한 문제점이 있다.
또한, 서술형 주관식 문제를 체크하는 정답체크시스템의 부재로 인터넷 상에서 서술형 주관식 문제를 출제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본 시스템의 문제출제시스템, 해답체크시스템, 문제정보 DB를 구비하고, 사용자의 문제정보 요청시, 사용자가 학습할 해당 학습지의 문제의 HTML코드를 생성하고, 또한 사용자에게 전송되는 해답 및 모범답안이 기재된 문제에도 HTML코드를 생성하므로써, 따로 고유한 요청코드의 부여가 필요 없어 관리면에서 효율적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본 시스템의 문제정보 DB에 저장된 해답정보에 연산처리를 수행하는 심볼를 해답정보의 핵심어에 표현하고, 상기 심볼이 입력된 해답정보를 연산처리하여, 상기 연산처리된 해답정보와 사용자의 문장형 주관식 정보를 매칭하므로써, 서술형으로 기재되는 문장형 주관식 문제를 출제하는데 있다.
상기 본 발명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인 사상으로, 로그인창, 개인학습창과 같은 각종 서식정보(웹페이지)를 포함하는 웹정보 DB와, 사용자의 ID, 패스워드, 성함, 은행계좌번호 등의 신상정보, 환급금액(Cash-Back)정보, 학습단계정보 등을 포함하는 회원정보 DB와, 학습문제가 범주(Category)별로 저장이 된 문제정보, 상기 문제정보의 해답정보, 상기 문제의 해설 및 설명정보, 상기 문제정보에 이미지정보가 포함이 될 경우, 상기 이미지정보를 연동시켜 주도록 하는 이미지정보 요청코드를 포함하는 문제정보 DB와, 각 학습지의 내용강의 동영상정보와 같은 각종 동영상정보 및 각 학습지에 삽입되어지는 이미지와 애니메이션, 소리등의 조합으로 구성된 멀티미디어정보를 포함하는 이미지정보 DB와, 사용자가 학습할 학습지의 문제정보 및 이미지정보를 생성하는 문제출제시스템과, 사용자가 작성한 문제답안의 정답 및 오답을 체크하여 주는 해답체크시스템과, 상기 웹정보 DB, 회원정보 DB, 문제정보 DB, 이미지정보 DB, 문제출제시스템, 해답체크시스템을 운영하는 관리자서버가 인터넷망을 통하여 접속이 된 사용자단말기로 구성된 인터넷시스템에서,
사용자가 인터넷 상에서 지능형 문제에 의해 출제된 문장형 주관식 문제를 풀기 위해 웹사이트에 접속하는 S1000단계와,
로그인을 하는 S1010단계와,
상기 로그인을 하여 출력된 개인학습창에서 해당학습지 번호를 클릭하여 관리자서버에 포함된 문제출제시스템에 문제출제 요청을 하는 S1020단계와,
상기 전송된 해당 학습지번호에 해당하는 문제를 역순으로 읽는 S1030단계와,
상기 학습지번호에 해당하는 문제를 다 읽었는지 확인하는 S1040단계와,
상기 학습지번호에 해당하는 문제를 다 읽었을 경우, 문제출제시스템에 의해 HTML코드로 변환된 모든 문제정보 및 이미지 정보를 사용자단말기에 구비된 웹브라우저상의 개인학습창으로 전송하는 S1120단계와,
상기 개인학습창으로 전송된 이미지정보 및 문제정보에 의해 학습 습득 및 문제의 답안을 입력양식에 맞게 작성한 후, 해답체크메뉴를 클릭하여 답안이 입력된 문제정보를 관리자서버에 포함된 해답체크시스템에 전송하는 S1130단계와,
상기 해답체크시스템에 전송된 답안이 입력된 문제정보를 이용하여 정답을 체크하는 S1140와,
상기 해답체크시스템에서 정답이 체크된 답안정보의 점수에 의해 계산된 환급금액정보 및 사용자가 학습한 학습지번호정보를 회원정보 DB에 저장하는 S1150단계와,
상기 정답이 체크된 답안정보를 사용자단말기의 웹브라우저상에 구비된 개인학습창으로 전송하는 S1160단계와,
상기 개인학습창으로 전송된 정답을 확인하는 S1170를 제시한다.
도 1은 인터넷 상에서 지능형 문제 선택에 의해 출제된 문장형 주관식 문제를 풀기 위해 필요한 개략적인 시스템도이다.
도 2는 사용자가 인터넷 상에서 지능형 문제에 의해 출제된 문장형 주관식 문제를 풀기 위해 필요한 단계를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3은 상기 도 2의 상기 해답체크시스템에 전송된 답안이 입력된 문제정보를 이용하여 정답을 체크하는 S1140단계를 세세하게 나타낸 상세순서도이다.
도 4a 부터 도 4e 까지는 상기 도 3의 문장형 정답체크시스템을 호출하여 답안체크 및 모범답안을 생성하는 S2280단계를 세세하게 나타낸 상세구성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00 : 관리자서버 110 : 문제출제시스템
120 : 해답체크시스템 200 : 회원정보 DB
210 : 문제정보 DB 220 : 이미지정보 DB
300 : 인터넷망 400 : 사용자단말기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구성 및 작용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인터넷 상에서 지능형 문제 선택에 의해 출제된 문장형 주관식 문제를 풀기 위해 필요한 개략적인 시스템도이다.
도 1에 도시한 것처럼, 로그인창, 개인학습창과 같은 각종 서식정보(웹페이지)를 포함하는 웹정보 DB(200)와, 사용자의 ID, 패스워드, 성함, 은행계좌번호 등의 신상정보, 환급금액(Cash-Back)정보, 학습단계정보 등을 포함하는 회원정보 DB(210)와, 학습문제가 범주(Category)별로 저장이 된 문제정보, 상기 문제정보의 해답정보, 상기 문제의 해설 및 설명정보, 상기 문제정보에 이미지정보가 포함이 될 경우, 상기 이미지정보를 연동시켜 주도록 하는 이미지정보 요청코드를 포함하는 문제정보 DB(220)와, 각 학습지의 내용강의 동영상정보와 같은 각종 동영상정보 및 각 학습지에 삽입되어지는 이미지와 애니메이션, 소리등의 조합으로 구성된 멀티미디어정보를 포함하는 이미지정보 DB(230)와, 사용자가 학습할 학습지의 문제정보 및 이미지정보를 생성하는 문제출제시스템(110)과, 사용자가 작성한 문제답안의 정답 및 오답을 체크하여 주는 해답체크시스템(120)과, 상기 웹정보 DB(200), 회원정보 DB(210), 문제정보 DB(220), 이미지정보 DB(230), 문제출제시스템(110), 해답체크시스템(120)을 운영하는 관리자서버(100)가 인터넷망(300)을 통하여 접속이 된 사용자단말기(400)로 구성된다.
상기 회원정보 DB(210)에는 사용자가 전단계까지 학습한 학습지 번호가 저장되어 있어, 사용자가 로그인시, 상기 전단계에 학습한 학습지 번호정보 및 학습성적정보를 읽어 사용자가 현단계에 학습할 학습지 및 학습보충지를 문제정보 DB(220)에 요청하여 사용자단말기(400)로 전송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사용자의 학습성적에 따라 학습보충지의 난이도와 학습양이 결정되어진다.
또한 일정금액 이상 환급금액이 누적되면, 사용자에게 환급할 수 있도록, 사용자의 환급금액정보와 은행계좌번호정보가 저장되어진다.
상기 문제정보 DB(220)에는 학습문제가 학년, 학기, 학습지 번호, 보충지 번호, 문제번호와 같이 범주(Category)별로 구분하여 저장한다.
또한 상기 문제정보 DB(220)에 저장되어 있는 문제에 멀티미디어정보, 또는 동영상정보가 첨가되는 경우, 상기 첨가되는 멀티미디어정보, 또는 동영상정보를 요청할 수 있는 ##3(여기서 "##" 으로 표현되는 심볼은 이미지를 요청하는 요청코드를 표기할 때 사용하며, 3은 해당학습지의 학습문제번호를 나타냄)이라는 이미지 요청코드가 사전에 저장되어진다.
상기 이미지정보 DB(230)에는 사용자가 풀어야할 학습문제가 난이도가 높은 문제일 경우, 사용자의 이해를 쉽게 할 수 있도록, 상기 난이도가 높은 학습문제의 풀이과정을 음성정보, 동영상정보 등으로 저장한다.
즉, 사용자가 학습하는 학습지가 4학년 2학기 47번 학습지에 있는 세번째 문제에 동영상정보가 첨부될 경우, 4-2-047-00-03.mpg와 같은 이름으로 상기 이미지정보 DB(230)에 저장되어진다.
상기 문제출제시스템(110)은 사용자가 학습문제를 요청시, 상기 사용자의 회원정보에 저장된 전단계의 학습지 번호정보를 참조하여, 문제정보 DB(220)에서 저장된 해당 문제정보를 추출하며, 상기 추출된 문제를 역으로 읽으면서 HTML코드로 변환을 시킨다.
상기 해답체크시스템(120)은 사용자가 작성한 모든 학습지 문제유형의 답안을 채점하며, 상기 채점하여 얻어진 점수별 등급에 따라 현금을 사용자에게 환급을 하기 위해, 환급금액(Cash Back)을 계산하고, 상기 계산된 환급금액정보는 회원정보 DB(210)에 저장되어진다.
또한, 사용자가 마지막으로 학습한 학습지의 번호정보도 같이 저장이 되도록 구성되어진다.
상기 문장형 정답체크시스템(125)은 상기 사용자단말기(400)에서 전송되는 답안이 기재되어진 문장형 주관식 답안정보의 채점, 연산처리에 의한 모범답안 작성, 연산처리하여 얻어진 해답정보와 사용자의 문장형 주관식 답안정보를 매칭하여 정답 및 오답을 체크를 한다.
또한 상기 문장형 정답체크시스템(125)은 상기 문제정보 DB(220)에서 문장형 주관식 해답정보를 확보하고, 상기 확보된 문장형 주관식 해답정보를 연산처리하여 얻어진 핵심어와 사용자가 입력한 문장형 주관식 답안 정보와 매칭하여 정답을 판단할 수 있도록, 상기 문제정보 DB(220)에서 확보한 문장형 주관식 해답정보에 연산처리가 가능한 심볼(Simbol)을 핵심적인 단어(이하 핵심어라 표기, 심볼표시코드라고도 함)에 표현이 되도록 구성되어진다.
상기 핵심어에 삽입되어지는 심볼은 하기 표1에 표기하였다.
@A 반드시 있어야 하는 A라는 핵심어가 있어야 할 경우
@!B B라는 핵심어가 있어서는 안돼는 경우
@(A∥B∥...) 반드시 있어야 하는 핵심어가 다양하게 표기되는 경우 상기 표기된 다수개의 핵심어 중, 한개만 존재하면 답으로 인정
@[A,B,|] 핵심어 A 와 B는 A(또는 B, 논리합으로 표현가능)를 전후하여 |의 글자수 내에 존재해야만 정답일 경우,
#(A)# 해답과는 무관하나 모범답안 표기시에는 기재
A∥B A 또는 B, 모범답안 표기시에는 둘 다 기재
AIIIB 모범답안이 두개의 문장으로 표기될 경우,
상기 문장형 정답체크시스템(125)에서 모범답안 생성 및 표현 방법을 상기 표 1에 도시되어진 심볼을 이용하여 나타내면 하기와 같다.
예를 들어, "문제 : 3 + 4 〉 5를 문장으로 나타내어라." 라는 문제가 출제 되면 사용자가 입력하는 해답의 경우의 수는 여러 가지로 표현되어진다.
즉, 사용자가 3 + 4 〉 5를 문장으로 표현할 때, 핵심어인 3이라는 숫자는 "3 또는 삼 또는 셋" 등의 표현으로 기재 할 수 있으며, 핵심어인 +는 "더하기 또는 크다(큰수) 또는 많다" 등의 표현으로 기재 할 수 있다.
또한 핵심어인 4라는 숫자는 "4 또는 사 또는 넷", 또한 핵심어인 〉이라는 부등호는 "크다", 또한 핵심어인 5라는 숫자는 "5 또는 오 또는 다섯" 등의 표현으로 기재 할 수 있다.
즉, 상기 사용자들이 기재한 개개의 핵심어의 조합으로 표현되어질 수 있는 정답을 문장형 정답체크시스템(125)에서 연산처리 하면, 다수개의 정답이 표현되어질 수 있으나, 가장 표준적인 답안(이하 모범답안이라 표기)만이 생성되어진다.
여기서는 "3 더하기 4는 5보다 크다" 및 "5는 3더하기 4보다 작다" 라는 두개의 문장으로 표현되는 모범답안이 생성되어진다.
그리고 상기 획득되어진 모범답안을 제 7심볼(이하부터 "lll"로 표기)을 이용하여 표현하면 "3 더하기 4는 5보다 크다 lll 5는 3더하기 4보다 작다" 로 표현되어진다.
또한 상기 획득되어진 모범답안 중, "3 더하기 4는 5보다 크다" 를 심볼을 이용하여 표기하면 먼저, 핵심어인 3은 제 4심볼(이하부터 "@(A∥B∥C)" 로 표기하며, 여기서 A,B,C는 핵심어를 나타냄)인 "@(3∥삼∥셋)" 으로 표현되어지며, 상기 논리합으로 연결된 세개의 핵심어 중, 하나라도 입력되어 있다면 이 조건은 참으로 통과하게 된다.
허나, 문장형 주관식의 답안에 사용자가 삼 또는 셋으로 입력을 하였다 할 지라도, 모범답안으로 표현되는 것은 상기 세개의 핵심어 중, 처음에 기재되어지는 3만 표현이 되며, 상기 "@(3∥삼∥셋)" 이 문제정보 DB(220)에 저장되어 진다.
여기서 제 3심볼은 상기 제 4심볼 중, 하나의 논리합연산자 만으로 표현되어질 경우이며, 상기 제 3심볼(이하부터 "A∥B"로 표기하며, 여기서 A,B는 핵심어임)의 표현은 "A∥B"로 표현되어진다.
또한 핵심어인 〉(부등호)는 "크다" 라고 표현되어지며, 상기 "〉"를 대체하는 단어가 없을 경우, 제 1심볼(이하부터 "@A" 로 표기하며, 여기서 A는 핵심어를 나타냄)인 "@크다" 로 문제정보 DB(220)에 저장되어 진다.
이 때, "크다" 이외에 "같다" 또는 "작다" 라는 글자가 사용자의 문장형 주관식 답안에 기재되어 있으면 오답으로 처리되며, 상기 오답 핵심어는 제 2심볼(이하부터 "@!A"로 표기하며, 여기서 A는 핵심어임)인 "@!같다" 와 "@!작다" 로 문제정보 DB(220)에 저장되어 진다.
또한 상기 오답 핵심어는 모범답안에 표현되어 지지는 않는다.
그리고 핵심어인 +는 "3 더하기 4는 5보다 크다" 외에도 "3에 4를 더한 것은 5보다 크다" 라는 해답(사전에 문제은행 DB에 저장되어 있는 해답정보)으로 나올 수 가 있으므로, "더하기", 또는 "더한" 으로 표현되어지며, 이를 심볼을 이용하여 표기하면 "@(더∥크∥많∥큰∥덧)#(하기)#" 로 문제정보 DB(220)에 저장되어 진다.
여기서 제 6심볼(이하부터 #(A)# 로 표기하며, 여기서 A는 핵심어임)인 상기 #(하기)# 는 정답체크에는 영향을 주지 않는 비핵심어 이지만 모범답안에는 표현되어진다.
또한 상기 논리합으로 연결된 더, 크, 많, 큰, 덧의 표기되는 다섯개의 핵심어 중, 하나라도 사용자의 문장형 주관식 답안에 게재되어 있다면 이 조건은 참으로 통과하게 된다.
또한, 상기 "3 더하기 4는 5보다 크다" 의 모범답안 중에서, 3으로 표기되는 핵심어와 4로 표기되는 핵심어는 인접해야 한다.
즉, 상기에서 표현된 4는 3의 전후 10글자(Character) 내에 존재할 경우, 참으로 통과하게 된다.
또한, 상기 3과 4는 각각 논리합표현이 가능하며, 이를 제 5심볼(이하부터 "@[3,4,10]" 로 표기하며, 여기서 A,B는 핵심어 이고, I는 B의 전후에 A가 위치해야할 글자수를 나타냄)를 이용하여 표기하면 "@[3,4,10]" 로 문제정보 DB(220)에 저장되어 진다.
상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입력할 수 있는 다수개의 문장형 주관식 문장의 경우의 수를 토대로 작성된 정답들을 문제정보 DB(220)에 저장이 되고, 상기 저장된 다수개의 문장형 주관식 정답정보들과 입력된 사용자의 문장형 주관식 답안을 매칭하여 채점하도록 구성되어진다.
여기서 본 발명에 속하는 당업자라면 상기 핵심어에 삽입되어지는 심볼은 다르게 표현되어질 수 있음은 자명한 것이라 할 수 있겠다.
예를 들어, 상기 핵심어에 표현되어지는 !→$, @→% #→* 등으로 대체되어 표현되어질 수 있다.
또한 모범답안 중, 상술된 "3 더하기 4는 5보다 크다"의 심볼표기 이외의 모범답안인 "5는 3더하기 4보다 작다" 의 심볼표기방법은 상술된 "3 더하기 4는 5보다 크다"의 심볼표기 방법과 동일하므로 여기서는 생략하기로 한다.
도 2는 사용자가 인터넷 상에서 지능형 문제에 의해 출제된 문장형 주관식 문제를 풀기 위해 필요한 단계를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인터넷 상에서 지능형 문제에 의해 출제된 문장형 주관식 문제를 풀기 위해 웹사이트에 접속하는 단계(S1000)와,
로그인을 하는 단계(S1010)와,
상기 로그인을 하여 출력된 개인학습창(도면없음)에서 해당학습지 번호를 클릭하여 관리자서버에 포함된 문제출제시스템에 문제출제 요청을 하는 단계(S1020)와,
상기 전송된 해당 학습지번호에 해당하는 문제를 단계(S1030)와,
상기 학습지번호에 해당하는 해당하는 문제를 다 읽었는지 확인하는 단계(S1040)와,
상기 학습지번호에 해당하는 문제를 다 읽었을 경우, 문제출제시스템에 의해 HTML코드로 변환된 모든 문제정보 및 이미지 정보를 사용자단말기에 구비된 웹브라우저상의 개인학습창으로 전송하는 단계(S1120)와,
상기 개인학습창으로 전송된 이미지정보 및 문제정보에 의해 학습 습득 및 문제의 답안을 입력양식에 맞게 작성한 후, 해답체크메뉴를 클릭하여 답안이 입력된 문제정보를 관리자서버에 포함된 해답체크시스템에 전송하는 단계(S1130)와,
상기 해답체크시스템에 전송된 답안이 입력된 문제정보를 이용하여 정답을 체크하는 단계(S1140)와,
상기 해답체크시스템에서 정답이 체크된 답안정보의 점수에 의해 계산된 환급금액정보 및 사용자가 학습한 학습지번호정보를 회원정보 DB에 저장하는 단계(S1150)와,
상기 정답이 체크된 답안정보를 사용자단말기의 웹브라우저상에 구비된 개인학습창으로 전송하는 단계(S1160)와,
상기 개인학습창으로 전송된 정답을 확인하는 단계(S117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S1040단계에서 상기 학습지번호에 해당하는 문제를 다 읽지않았을 경우, 상기 읽혀진 학습지 문제의 주관식입력부를 HTML코드로 변환하는 단계(S1050)와,
상기 읽혀진 학습지 문제에 이미지가 포함되는 있는지 확인하는 단계(S1060)와,
상기 읽혀진 학습지 문제에 이미지가 포함되어 있을 경우, 상기 읽혀진 학습지문제에 포함되는 이미지를 HTML코드로 변환하는 단계(S1070)와,
상기 읽혀진 학습지문제가 예시된 보기들 중, 임의의 몇개를 선택하는 문제인지 확인하는 단계(S1080)와,
상기 읽혀진 학습지문제가 예시된 보기들 중, 임의의 몇개를 선택하는 문제일 경우, 상기 읽혀진 예시된 보기들 중, 임의의 몇개를 선택하는 문제에 해답인 예시된 보기들을 HTML로 변환하는 단계(S1090)와,
상기 읽혀진 학습지문제가 선다형인지 묻는 단계(S1100)와,
상기 읽혀진 학습지문제가 선다형일 경우, 상기 읽혀진 선다형문제에 예시된 보기를 HTML로 변환하는 단계(S1110)에서 상기 전송된 해당 학습지번호에 해당하는 문제를 읽는 S1030단계로 돌아간다.
상기 S1060단계에서 상기 읽혀진 학습지 문제에 포함되는 이미지가 없을 경우, S1080단계로 진입한다.
상기 S1080단계에서 상기 읽혀진 학습지문제가 예시된 보기중, 임의의 몇개를 선택하는 문제가 아닌 경우, S1100단계로 진입한다.
상기 S1100단계에서 상기 읽혀진 학습지문제가 선다형이 아닌경우, S1030단계로 돌아간다.
상기 S1000단계에 있어서, 사용자가 인터넷 상에서 지능형 문제에 의해 출제된 문장형 주관식 문제를 풀기 위해 사용자단말기(400)의 웹브라우저상에 구비된 URL(Uniform Resource Locator)입력부에 본 발명의 웹사이트주소를 입력하여 관리자서버(100)에 정보(여기서는 웹사이트에 접속하기 위한 로그인창)를 요청하면, 상기 요청을 받은 관리자서버(100)는 웹정보 DB(200)에 저장이 된 로그인창을 사용자단말기(400)의 웹브라우저 상으로 전송한다.
여기서 URL입력부에 입력되는 웹사이트주소는 통상 "http://www.000.com/" 등과 같이 입력이 되며, 상기 웹브라우저상의 URL입력부에 구비된 http(Hyper Text Transfer Protocol)는 월드와이드웹 (World Wide Web)에서 취급되는 하이퍼텍스트 문서들을 다른 곳으로 전송하는데 적용되는 통식규약이다.
상기 S1010단계에 있어서, 웹사이트접속에 의해 출력된 로그인창(도면없음)에 구비된 사용자 ID입력부 및 패스워드 입력부에 입력양식에 맞게 입력한 후, 전송메뉴를 클릭하여 관리자서버(100)로 전송한다.
상기 사용자의 ID 및 패스워드를 전송받은 관리자서버(100)는 웹정보 DB(200)와 회원정보 DB(210)를 연동하여, 회원정보 DB(200)에 저장된 사용자가 학습한 학습지의 번호 정보를 읽어 마지막으로 학습한 학습지번호정보의 다음 학습지번호정보를 판단하여 현단계에 사용자가 학습할 해당 학습지번호메뉴를 생성하고, 웹정보 DB(200)에 저장된 개인학습창(도면없음)에 상기 하이퍼링크가 가능한 해당 학습지번호메뉴(HTML로 제작)를 삽입하여 사용자단말기(400)의 웹브라우저상으로 전송한다.
상기 S1020단계에 있어서, 사용단말기(400)의 웹브라우저상에 출력이 된 개인학습창에는 사용자가 현단계에 학습을 할 학습정보를 링크시켜 주는 해당 학습지번호메뉴가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해당 학습지번호메뉴를 클릭하여 관리자서버(400)로 전송하면 상기 관리자서버(400)는 전송받은 해당 학습지번호메뉴를 문제출제시스템(110)으로 전송한다.
상기 S1030단계에 있어서, 문제출제시스템(110)은 상기 전송된 해당 학습지 번호를 이용하여 문제정보 DB(220)에 문제정보를 찾아내고, 상기 문제정보에 저장되어 있는 문제들을 읽도록 구성되어진다.
또한, 학습보충지도 사용자가 학습지를 푼 점수에 의해 학습성과를 평가하여 매 단원이 끝날 때 상기와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도록 한다.
상기 S1050단계에 있어서, 상기 읽혀진 학습지 문제정보 중, 예를 들어, "@@AB" 인 심볼표시코드는 "〈input type=text class=solid name=4-2-047-00-03-A size=B〉" 와 같은 HTML코드로 변환되어 진다.
여기서 "@@" 으로 표현되는 심볼은 주관식 문장의 답안입력부를 나타내는 주관식해답표시코드를 표현할 때 사용되며, "AB" 중, A는 4학년 2학기 47번째 학습지에 입력되어 있는 3번 문제에서 입력되는 주관식입력부가 다수개일 경우, A번째 주관식입력부를 뜻하며, B는 길이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입력되는 글자칸의 수를 나타낸다.
즉, B가 5라 표기되어 있으면 예제의 길이는 다섯칸이라는 뜻으로 나타내어진다.
상기 S1070단계에 있어서, 상기 읽혀진 이미지가, 예를 들어, ##3이면 "〈img src = /images/math/4/2/4-2-047-00-03-3.gif〉" 와 같은 HTML코드로 변환되어 진다.
여기서 "##" 으로 표현되는 심볼은 이미지를 요청하는 요청코드를 표기할 때 사용하며, "3" 의 의미는 4학년 2학기 47번째 학습지에 입력되어 있는 3번 문제에 예시된 보기중, 3번째 이미지를 나타낸다.
또한 상기 입력되는 이미지정보 중, 동영상 정보 및 음성정보도 동일한 과정으로 HTML코드로 변환되어진다.
상기 S1090단계에 있어서, 상기 읽혀진 예시된 보기들 중, 임의의 몇개를 선택하는 문제에 해답인 임의의 하나의 예시된 보기가, 예를 들어, "〈chk#A〉" 이면, "〈input type=checkbox class=solid name=4-2-047-00-03-1〉" 와 같은 HTML코드로 변환되어 진다.
여기서 "#A" 로 표현되는 심볼은 예시되는 보기 중, A번째 보기를 나타낸다.
상기 S1110단계에 있어서, 상기 읽혀진 선다형 문제에 예시된 보기가, 예를 들어, 1번이라 하면, "〈sup〉①〈/sup〉"〈INPUT TYPE=radio CLASS=solid NAME=4-2-047-00-03 VALUE=1〉" 와 같은 HTML코드로 변환되어 진다.
여기서 "VALUE" 는 예시되는 보기의 순번을 나타낸다.
상기 S1120단계에 있어서, 문제출제시스템(110)에서 HTML코드로 변환이 된 모든 문제정보 및 이미지정보의 마지막 부분에 하이퍼링크가 가능한 해답체크메뉴가 삽입이 되어진다.
상기 S1130단계에 있어서, 개인학습창에 구비된 학습문제정보를 입력양식에 맞게 입력한 후, 해답체크메뉴를 클릭하여 관리자서버(100)에 요청하면, 상기 요청을 받은 관리자서버(100)는 해답체크시스템(120)으로 답안이 입력된 학습문제정보를 전송한다.
상기 S1160단계에 있어서, 상기 정답이 체크된 학습문제정보를 사용자에게 보여주기 위해, 상기 1140단계에서 HTML코드를 이용하여 새롭게 생성되어진 것이다.
또한, 상기 새롭게 생성된 정답 및 모범답안이 체크된 학습문제정보를 사용자단말기(400)의 웹브라우저상에 구비된 개인학습창으로 전송되어진다.
상기 S1170단계에 있어서, 난이도 높은 학습문제일 경우, 사용자의 이해를 높이도록, 상기 난이도가 높은 학습문제의 풀이과정을 동영상정보로 제공을 하며, 사용자가 상기 동영상정보로 제공이 되는 학습문제를 시청할 수 있도록, 상기 S1160단계에서 난이도가 높은 학습문제에는 [〈a href="/경로/파일명.asf〉] 해설 강의〈/a〉]와 같은 문제해설코드가 삽입이 되어진다.
상기 삽입되어진 문제해설코드를 사용자가 클릭하여 관리자서버(100)에 요청하면, 상기 요청을 받은 관리자서버(100)는 상기 문제해설코드에 대응되는 동영상정보를 이미지정보 DB(230)에서 추출하여 사용자단말기(400)의 웹브라우저상으로 전송을 한다.
상기 사용자단말기(400)로 전송되어진 문제해설 동영상정보는 사용자의 컴퓨터에 구비된 응용프로그램과 연결되어 사용자가 시청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진다.
도 3은 상기 도 2의 상기 해답체크시스템에 전송된 답안이 입력된 문제정보를 이용하여 정답을 체크하는 S1140단계를 세세하게 나타낸 상세순서도이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해답체크시스템에 전송된 각종 문제정보의 정답을 체크하기 위해서, 답안이 입력된 문제정보를 순차적으로 읽는 단계(S2000)와,
상기 S2000단계에서 읽혀진 문제정보에 포함되는 답안정보와 매칭되는 해답정보가 문제정보 DB에 있는지 확인하는 단계(S2010)와,
상기 읽혀진 문제정보에 포함되는 답안정보와 매칭되는 해답정보가 문제정보 DB에 있을 경우, 상기 문제정보에 매칭되는 해답정보를 문제정보 DB에서 찾아 관리자서버의 메모리에 저장하는 단계(S2020)와,
문항의 개수를 파악하기 위해 상기 문제정보와 매칭되는 해답정보의 개수를 제 10임시저장소에 저장하는 단계(S2030)와,
상기 S2000단계에서 읽혀진 본 시스템상에서 심볼로 표시되어 사용되는 심볼표시코드로 표현된 사용자의 문제정보를 HTML코드로 변환하는 단계(S2040)와,
상기 HTML코드로 변환된 문제정보가 선다형 문제유형인지 확인하는 단계(S2050)와,
상기 HTML코드로 변환된 문제정보가 선다형 문제유형이 아닐경우, 상기 HTML코드로 변환된 문제정보가 예시된 보기중, 임의의 몇개의 보기를 선택하는 문제유형인지 확인하는 단계(S2130)와,
상기 HTML코드로 변환된 문제정보가 예시된 보기중, 임의의 몇개의 보기를 선택하는 문제유형이 아닐 경우, 상기 HTML코드로 변환된 주관식 문제정보의 답안 정보를 순번대로 읽는 단계(S2220)와,
상기 읽혀진 주관식 답안정보에 기재된 순번이 제 10임시저장소의 값보다 큰지 확인하는 단계(S2230)와,
상기 읽혀진 주관식 답안정보에 기재된 순번이 제 10임시저장소의 값보다 큰
경우, 상기 테이블-B에서 HTML코드로 변환되어 저장된 답안정보를 순차적으로 읽는 단계(S2250)와,
상기 읽혀진 답안정보가 테이블-B에 있는지 확인하는 단계(S2260)와,
상기 테이블-B에서 읽혀진 답안정보가 있는 경우, 상기 읽혀진 답안정보의 공백을 제거하는 단계(S2270)와,
상기 읽혀진 답안정보가 문장형 주관식 문제인지 확인하는 단계(S2280)와,
상기 읽혀진 답안정보가 문장형 주관식 문제일 경우, 문장형 정답체크시스템을 호출하여 답안체크 및 모범답안을 생성하는 단계(S2290)와,
상기 문장형 정답체크시스템에서 체크된 답안을 참조하여 정답 및 오답체크 및 채점된 문제를 누적시키는 단계(S2300)에서 S2250단계로 돌아간다.
상기 S2280단계에서 상기 읽혀진 답안정보가 문장형 주관식 문제가 아닐 경우, 관리자서버의 메모리에 저장된 값과 상기 테이블-B에 저장된 값을 매칭하여 정답 및 오답체크 및 채점된 문제를 누적시키는 단계(S2310)에서 S2250단계로 돌아간다.
상기 S2010단계에서 상기 읽혀진 문제정보에 포함되는 답안정보와 매칭되는 해답정보가 문제정보 DB에 없을 경우, 종료하도록 구성되어진다.
상기 S2050단계에서 상기 사용자의 답안정보를 읽어 상기 사용자가 예시된 보기에 표기한 번호정보를 제 11임시저장소에 저장하는 단계(S2060)와,
상기 제 11임시저장소에 저장된 답안정보인 예시된 보기를 번호순으로 읽는 단계(S2070)와,
상기 문제정보 DB에서 읽혀지는 예시된 보기를 다 읽었는지 확인하는 단계(S2080)와,
상기 문제정보 DB에서 읽혀지는 예시된 보기를 다 읽지 않은 경우, 상기 제 11임시저장소에 저장된 번호정보와 문제정보 DB(220)에서 읽혀진 예시된 번호정보가 일치하는지 확인하는 단계(S2100)와,
상기 제 11임시저장소에 저장된 번호정보와 문제정보 DB에서 읽혀진 예시된 번호정보가 일치하지 않는 경우, 사용자에게 예시된 보기를 보여주기 위해 문제정보 DB에서 읽혀진 예시된 번호정보를 HTML코드로 생성하는 단계(S2120)에서 S2070단계로 돌아간다.
상기 S2080단계에서 상기 문제정보 DB에서 읽혀지는 예시된 보기를 다 읽은 경우, 관리자서버의 메모리에 저장된 해답정보와 제 11임시저장소에 저장된 답안을 매칭하여 정답 및 오답체크 및 채점된 문제를 누적시키는 단계(S2090)에서 S2070단계로 돌아간다.
상기 S2100단계에서 상기 제 11임시저장소에 저장된 번호정보와 문제정보 DB에서 읽혀진 예시된 번호정보가 일치한 경우, 사용자가 표기한 예시된 보기를 보여주기 위해 문제정보 DB에서 읽혀진 예시된 번호정보를 HTML코드로 생성하는 단계(S2110)에서 S2070단계로 돌아간다.
상기 S2130단계에서 상기 HTML로 변환된 문제정보가 예시된 보기중, 임의의 몇개의 보기를 선택하는 문제유형일 경우, 상기 예시된 보기중, 임의의 몇 개를 선택하는 문제정보에 포함된 다수개의 예시된 보기를 순차적으로 읽는 단계(S2140)와,
상기 읽혀진 하나의 예시된 보기의 나열된 순서번호가 제 10임시저장소에 저장된 예시된 보기의 순서번호보다 큰지 확인하는 단계(S2150)와,
상기 읽혀진 하나의 예시된 보기의 나열된 순서번호가 제 10임시저장소에 저장된 예시된 보기의 순서번호보다 큰 경우, 테이블-A의 값을 순차적으로 읽는 단계(S2190)와,
상기 테이블-A에서 읽혀진 값이 있는지 확인하는 단계(S2200)와,
상기 테이블-A에서 읽혀진 값이 있을 경우, 관리자서버의 메모리에 저장된 값과 상기 테이블-A에 저장된 값을 매칭하여 정답 및 오답체크 및 채점된 문제를 누적시키는 단계(S2210)에서 S2200단계로 돌아간다.
상기 S2200단계에서 상기 테이블-A에서 읽혀진 값이 없을 경우, S2000단계로 돌아간다.
상기 S2150단계에서 상기 읽혀진 하나의 예시된 보기의 나열된 순서번호가 제 10임시저장소에 저장된 예시된 보기의 문항의 순서번호보다 작거나 같은 경우, 사용자의 입력값을 읽어 테이블-A에 저장하는 단계(S2160)와,
상기 읽혀진 하나의 예시된 보기정보에 사용자가 표기를 하였는지 확인하는 단계(S2170)와,
상기 읽혀진 하나의 예시된 보기에 사용자가 표기를 한 경우, 상기 읽혀진 하나의 예시된 보기를 나타내는 HTML코드를 수정하는 단계(S2180)에서 S2150단계로 돌아간다.
상기 S2170단계에서 상기 읽혀진 하나의 예시된 보기에 사용자가 표기를 하지 않은 경우, S2150단계로 돌아간다.
상기 S2230단계에서 상기 읽혀진 주관식 답안정보에 기재된 순번이 제 10임시저장소의 값보다 작거나 같은 경우, 상기 읽혀진 주관식 답안정보를 테이블-B에 저장하는 단계(S2240)에서 S2220단계로 돌아간다.
상기 S2260단계에서 상기 테이블-B에서 읽혀진 답안정보가 없는 경우, S2000단계로 돌아간다.
상기 S2010단계에 있어서, 상기 읽혀진 문제정보에 포함되는 답안정보는 순번이 기재된 예시된 보기(예를 들어, 사지선다형으로 예시된 보기들)중 하나를 선택하는 답안과, 예시된 보기중 임의의 몇개의 보기를 선택하는 답안과, 단답식답안과 문장형 주관식답안과 같은 주관식답안의 답안정보가 포함되어진다.
또한, 상기 주관식답안중 단답식답안에는 해답체크시스템이 올바르게 채점할 수 있도록, 단답식 입력부가 1개 이상일 경우, 각각의 단답식 입렵부에 규칙성있게 이름을 부여하기 위해, 이름을 학습지번호와 순번이 결합되어 지도록 구성되어진다.
상기 S2040단계에 있어서, 사용자의 문제정보에 포함된 선다형문제의 답안정보인 예시된 보기를 HTML코드로 변환할 경우, 변환되는 예시문의 HTML 표현 방법(예제문의 이름)이 동일하기 때문에, 상기 선다형문제의 문제정보를 나타내는 심볼표시코드는 HTML코드로 변환하지 않고, S2100단계와 S2110단계에서 변환이 되도록 구성되어진다.
상기 S2110단계에 있어서, 사용자가 표기한 예시된 보기란, 사용자가 다수개의 예시된 보기중, 임의의 하나의 보기에 사용자가 마우스커서를 클릭하여 점과 같은 이미지로 표시한 상태를 나타낸다.
상기 S2090단계와 S2100단계에 있어서, 관리자서버(100)의 메모리에 저장된 값과 제 11임시저장소에 저장된 답안정보를 매칭하여 사용자가 체크한 예시된 보기 및 사용자가 표기를 하지 않은 나머지 예시된 보기를 인지할 수 있도록, 상기 읽혀지는 모든 예시된 보기는 HTML코드를 생성하도록 구성되어진다.
상기 S2090단계에 있어서, 체크되어진 오답 및 정답의 각각의 개수 및 채점되는 모든 문제의 총개수를 파악하기 위해, 상기 정답 및 오답체크가 수행되어질 때마다 제 12임시저장소에 정답일 경우, 정답의 개수가 저장되는 열의 부분에 1을 더하고, 오답일 경우에는 오답의 개수가 저장되는 열의 부분에 1를 더하며, 정답 및 오답에 상관없이 한문제의 답안을 체크할 때 마다 체크되는 총문제의 개수가 저장되는 열의 부분에 1씩 더해지도록 구성되어진다.
상기 S2120단계에 있어서, 생성되어지는 HTML코드는 다음과 같다.
"〈input type=radio class=solid name=4-2-047-00-03 chked〉"
즉, 문제번호를 나타내는 이름(name) 뒤에 "chked" 라는 단어가 더 참가되어지도록 구성되어진다.
상기 S2210단계에 있어서, 정답 및 오답체크 및 채점된 문제를 누적시키는 방법은 상기 S2090단계와 동일하지만, 상기 S2210단계에서는 사용자가 테이블-A에 저장된 값인 사용자가 마우스커서를 이용하여 클릭한 답안정보가 정답인지, 아니면 클릭하지 않은 답안정보가 정답인지를 구분하여 정답체크를 하도록 구성되어진다.
도 4a는 문장형 정답체크시스템에서 문장형 주관식 답안을 체크하는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4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문장형 정답체크시스템 상에서 문장형 주관식 답안정보를 해답체크시스템으로부터 전송받는 단계(S100)와,
상기 전송된 문장형 주관식 문제에 포함된 문장형 주관식 해답코드와 매칭되는 문장형 주관식 해답정보를 문제정보 DB에서 획득하는 단계(S110)와,
상기 획득된 문장형 주관식 해답정보를 테이블-A에 “III”로 분리하여 순차적으로 저장하는 단계(S120)와,
상기 테이블-A에 저장된 다수개의 문장형 주관식 해답정보를 순차적으로 읽는 단계(S130)와,
저장된 문장형 주관식 해답정보를 제 N번째 까지 다 읽었는지 확인하는 단계(S140)와,
저장된 문장형 주관식 해답정보를 제 N번째 까지 다 읽었을 경우, 오답으로 처리하는 단계(S150)를 포함하도록 구성되어진다.
상기 S140단계에서 저장된 문장형 주관식 해답정보를 제 N번째 까지 다 읽지 않은 경우, 순차적으로 읽혀진 문장형 주관식 해답정보를 이용하여 정답을 체크하는 단계(S145)에서 S130단계로 돌아가도록 구성되어진다.
상기 S120단계에 있어서, 다수개의 문장형 주관식 해답정보는 개개의 문장형 주관식 해답을 논리합연산자를 표현하는 심볼인 “III”로 표현되어 지며, 상기 구분되는 다수개의 문장형 주관식 해답정보는 하나의 해답 문장마다 구분하여 저장되어 지도록 구성되어진다.
상기 S140단계에 있어서, 문장형 주관식 해답정보가 N번째 까지 있을 경우, 상기 문장형 주관식 해답정보와 사용자의 문장형 주관식 답안정보와 매칭을 하며, 매칭되는 정보가 없으면 N번째 까지 매칭하여 정답체크를 할 수 있도록, 순차적으로 피드백되어 테이블-A에 저장된 N번째 까지의 문장형 주관식 해답정보를 읽도록 구성되어진다.
도 4b는 상기 도 4a의 문장형 답안을 체크하는 단계 중, 순차적으로 읽혀진 문장형 주관식 해답정보를 이용하여 정답체크 하는 단계를 세세하게 나타낸 상세구성도이다.
도 4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순차적으로 읽혀진 하나의 문장형 주관식 해답정보와 사용자의 문장형 주관식 답안정보를 매칭하여 정답체크를 하기 위해, 테이블-A에서 읽혀진 문장형 주관식 문장, 하나의 원소를 한글자씩 순차적으로 읽는 단계(S200)와,
테이블-A에서 읽혀지는 문장형 주관식 문장의 글자를 다 읽었는지 확인하는 단계(S210)와,
테이블-A에서 읽혀지는 문장형 주관식 문장의 글자를 다 읽었을 경우, 제 1임시저장소에 저장된 글자를 테이블-B로 이동하여 저장하는 단계(S220)
상기 테이블-B에 저장된 글자를 순차적으로 읽는 단계(S230)와,
상기 테이블-B에 저장된 문장형 주관식 문장의 글자를 다 읽었는지 확인하는 단계(S240)와,
상기 테이블-B에 저장된 문장형 주관식 문장의 글자를 다 읽었을 경우, 사용자에게 보여줄 모범답안을 제 2임시저장소에 저장하는 단계(S250)와,
상기 테이블-D에 저장되어진 핵심어중, "#" 심볼로 표현되어지는 핵심어를 제거하는 단계(S260)와,
상기 테이블-C에 저장된 핵심어인 글자를 순차적으로 읽는 단계(S270)와,
테이블-C에 저장된 핵심어인 글자를 다 읽었는지 확인하는 단계(S280)와,
테이블-C에 저장된 핵심어인 글자를 다 읽었을 경우, 상기 테이블-D에 저장된 핵심어인 글자를 순차적으로 읽는 단계(S290)와,
테이블-D에 저장된 핵심어인 글자를 다 읽었는지 확인하는 단계(S300)와,
테이블-D에 저장된 핵심어인 글자를 다 읽지않았을 경우, 상기 테이블-D에 "[" 의 심볼이 있는지 확인하는 단계(S310)와,
테이블-D에 "[" 의 심볼이 없을 경우, 테이블-D에 논리합 연산자인 "∥" 의 심볼이 있는지 확인하는 단계(S330)와,
테이블-D에 논리합 연산자인 "∥" 심볼이 없을 경우, 사용자의 문장형 주관식 답안에 상기 테이블-D에 저장된 핵심어가 있는지 확인하는 단계(S350)와,
사용자의 문장형 주관식 답안에 상기 테이블-D에 저장된 핵심어가 있을 경우, S290단계로 돌아가는 것을 포함한다.
상기 S210단계에서 상기 테이블-A에서 읽혀지는 문장형 주관식 문장의 글자를 다 읽지 않았을 경우, 상기 읽혀지는 문장형 주관식 문장의 글자에 심볼 "@"이 있는지 확인하는 단계(S211)와,
상기 읽혀지는 문장형 주관식 문장의 글자에 심볼 "@" 이 없을 경우, 제 1임시저장소에 저장하는 단계(S212)에서 S200단계로 돌아간다.
상기 S211단계에서 상기 읽혀지는 문장형 주관식 문장의 글자에 심볼 "@" 이 있을 경우, 제 1임시저장소에 저장된 글자를 테이블-B에 저장하는 단계(S213)에서 S200단계로 돌아간다.
상기 S240단계에 있어서, 상기 테이블-B에서 읽혀지는 문장형 주관식 문장의 글자를 다 읽지 않았을 경우, 상기 테이블-B에 저장된 글자에 심볼 "!" 가 있는지 확인하는 단계(S241)와,
상기 읽혀지는 문장형 주관식 문장의 글자에 심볼 "!" 가 없을 경우, 테이블-D에 저장하는 단계(S242)에서 S230단계로 진입한다.
상기 S241단계에서 상기 읽혀지는 문장형 주관식 문장의 글자에 심볼 "!" 가 있을 경우, 테이블-C에 저장하는 단계(S243)에서 S230단계로 진입한다.
상기 S280단계에서 테이블-C에 저장된 핵심어인 글자를 다 읽지 않았을 경우, 사용자의 문장형 주관식 답안에 상기 테이블-C에 저장된 핵심어가 있는지 확인하는 단계(S281)와,
사용자의 문장형 주관식 답안에 상기 테이블-C에 저장된 핵심어가 없을 경우, S270단계로 돌아간다.
상기 S281단계에서 사용자의 문장형 주관식 답안에 상기 테이블-C에 저장된 핵심어가 있을 경우, S130단계로 돌아간다.
상기 S300단계에서 테이블-D에 저장된 핵심어인 글자를 다 읽었을 경우, 사용자의 문장형 주관식 답안정보를 정답으로 판단하여 출력하는 단계(S301)를 포함한다.
상기 S310단계에서 테이블-D에 "[" 심볼이 있을 경우, 상기 심볼에 삽입이 된 앞의 두개의 핵심어가 뒤의 하나의 핵심어에 숫자로 표시된 거리 안에 있는지 확인하는 단계(S320)와,
상기 "[" 심볼에 삽입이 된 앞의 두개의 핵심어가 뒤의 하나의 핵심어에 표시된 거리 안에 있을 경우, S290단계로 돌아간다.
상기 S320단계에서 상기 "[" 심볼에 삽입이 된 앞의 두개의 핵심어가 뒤의 하나의 핵심어에 숫자로 표시된 거리 안에 없을 경우, S130단계로 돌아간다.
상기 S330단계에서 테이블-D에 논리합 연산자인 "∥" 심볼이 있을 경우, 연산처리하여 얻어진 글자가 저장된 테이블-E값에 사용자의 답안에 있는지 확인하는 단계(S340)와,
"∥" 로 연산처리하여 얻어진 글자가 저장된 테이블-E값이 답안에 있는 경우, S290단계로 돌아간다.
상기 S340단계에서 "∥"로 연산처리하여 얻어진 글자가 저장된 테이블-E값이 답안에 없는 경우, S130단계로 돌아간다.
상기 S350단계에서 사용자의 문장형 주관식 답안에 상기 테이블-D에 저장된 핵심어가 없을 경우, S130단계로 돌아간다.
상기 S250단계에 있어서, 제 2임시저장소에 저장되는 모범답안은 상기 S242단계의 테이블-D에 저장되어진 각각의 심볼로 표현되어지는 핵심어의 조합으로 다수개의 정답이 작성되어지며, 상기 작성되어진 다수개의 정답 중, 가장 표준적인 답안이 모범답안으로 채택되어진다.
즉, 상기 각각의 심볼로 표현되어지는 핵심어 중, 논리합연산자인 "∥" 심볼로 표현되어지는 핵심어들은 최초로 기재되어지는 핵심어가 모범답안으로 채택되도록 구성되어진다.
예를 들어, "∥" 심볼로 표현되어지는 "@(A∥B∥C)"와 같은 핵심어들이 표현되어진 경우, 단지 A만이 모범답안에 기재되어 지도록 구성되어진다. (또한 정답이 출력되는것과 동시에 출력이 되도록 구성되어진다.)
상기 S260단계에 있어서, 상기 S250단계에서 이미 모범답안이 작성되었으므로 필요가 없는 데이터인 "#" 심볼로 표현되어지는 핵심어는 삭제가 되어진다.
즉, 사용자의 문장형 주관식 답안정보의 정답을 맞추기 위해 필요한 핵심어 들중, "#" 심볼로 표현되어지는 핵심어는 필요가 없기 때문이다.
상기 S281단계에 있어서, 문장형 정답체크시스템(125)의 메모리에 상주해 있는 사용자의 문장형 주관식 답안정보와 테이블-C에 저장된 핵심어들을 매칭하며, 상기 사용자의 문장형 주관식 답안정보와 테이블-C에 저장된 핵심어를 매칭하여 동일한 단어가 발견될 경우, 오답처리가 된다.
또한 상기 문장형 정답체크시스템(125)은 오답처리가 되는 것과 동시에 테이블-A에 저장된 그 다음번째 문장형 주관식 해답정보를 읽도록 구성되어진다.
도 4C는 상기 도 4b의 S320단계에서 테이블-D에 "[" 인 심볼의 부분이 있을 경우, 사용자의 문장형 주관식 답안정보와 매칭(Matching)이 된 상기 심볼의 부분인 "["의 처음에 삽입이 된 첫번째 핵심어를 기준으로 하고, 상기 기준이 된 첫번째 핵심어의 앞, 뒤로 세번째 핵심어가 표현하는 글자숫자내에 두번째 핵심어의 존재가 사용자의 문장형 주관식 답안정보에도 위치하는지 확인하는 단계를 세세하게 나타낸 상세구성도이다.
도 4c에 도시한 바와 같이, 테이블-D에 저장된 심볼의 부분인 "["내에 삽입이 된 핵심어를 연산처리 하기 위해, 테이블-D에 저장된 핵심어를 다시 한글자씩 순차적으로 읽는 단계(S400)와,
상기 테이블-D에서 읽혀지는 핵심어인 글자에 심볼의 부분인 "]"이 있는지 확인하는 단계(S410)와,
상기 테이블-D에서 읽혀지는 핵심어인 글자에 심볼의 부분인 "]"이 있을 경우, 제 3임시저장소에 저장되어진 핵심어를 테이블-F로 이동하여 저장하는 단계(S420)와,
상기 테이블-F에 저장되어진 핵심어 중, 제 1행을 다시 순차적으로 읽는 단계(S430)와,
상기 테이블-F에서 읽혀진 제 1행에 논리합 연산자인 심볼 "∥" 이 있는지 확인하는 단계(S440)와,
상기 테이블-F의 제 1행에서 읽혀진 글자에서 논리합 연산자인 심볼 "∥" 이 없을 경우, 상기 테이블-F에서 읽혀진 핵심어가 사용자의 문장형 주관식 답안정보에 있는지 확인하는 단계(S460)와,
상기 테이블-F에서 읽혀진 핵심어가 사용자의 문장형 주관식 답안정보에 있을 경우, 상기 테이블-F에 저장된 첫번째 핵심어(예를 들어 "[A,B,I]" 중, A)와 동일한 글자가 저장된 사용자의 문장형 주관식 답안정보에서 상기 테이블-F에 저장되어진 글자수를 나타내는 세번째 핵심어(예를 들어 "[A,B,I]" 중, I)의 글자수 만큼 발췌하여 제 4임시저장소에 저장하는 단계(S470)와,
상기 테이블-F에 저장된 핵심어 중, 두번째 핵심어(예를 들어 "[A,B,I]" 중, B)를 나타내는 제 2행을 읽는 단계(S480)와,
상기 테이블-F에서 읽혀진 제 2행에 논리합 연산자인 심볼 "∥" 이 있는지 확인하는 단계(S490)와,
상기 테이블-F에서 읽혀진 제 2행에 논리합 연산자인 심볼 "∥" 이 없을 경우, 상기 테이블-F에 저장된 두번째 핵심어가 세번째 핵심어에 의해 발췌되어 상기 제 4임시저장소에 저장된 사용자의 문장형 주관식 답안정보에 있는지 확인하는 단계(S510)와,
상기 연산처리하여 얻어지는 핵심어들이 세번째 핵심어에 의해 발췌되어 상기 제 4임시저장소에 저장된 사용자의 문장형 주관식 답안정보에 없을 경우, S130단계로 돌아가는 것을 포함한다.
상기 S410단계에서 테이블-D에서 읽혀지는 핵심어인 글자에 심볼의 부분인 "]"이 없을 경우, 상기 테이블-D에서 읽혀진 글자에 ","("콤마")가 있는지 확인하는 단계(S411)와,
상기 테이블-D에서 읽혀진 글자에 ","("콤마")가 없을 경우, 제 3임시저장소에 저장하는 단계(S412)에서 S400단계로 돌아간다.
상기 S411단계에서 상기 테이블-D에서 읽혀진 글자에 ","("콤마")가 있을 경우, 상기 제 3임시저장소에 저장되어진 핵심어를 테이블-F로 이동하여 저장하는 단계(S413)에서 S400단계로 돌아간다.
상기 S440단계에서 상기 테이블-F에서 읽혀진 글자가 논리합 연산자인 심볼 "∥" 이 있을 경우, 연산처리하여 얻어지는 핵심어들과 사용자의 문장형 주관식 답안정보와 매칭하여 상기 사용자의 문장형 주관식 답안정보에 핵심어들이 있는지 확인하는 단계(S450)와,
상기 테이블-E에 저장된 핵심어들과 사용자의 문장형 주관식 답안정보와 매칭하여 상기 사용자의 문장형 주관식 답안정보에 핵심어들이 있을 경우, S470단계로 진입한다.
상기 S450단계에서 상기 테이블-E에 저장된 핵심어들과 사용자의 문장형 주관식 답안정보와 매칭하여 상기 사용자의 문장형 주관식 답안정보에 핵심어들이 없을 경우, S130단계로 돌아간다.
상기 S460단계에서 상기 테이블-F에서 읽혀진 핵심어가 사용자의 문장형 주관식 답안정보에 없을 경우, S130단계로 돌아간다.
상기 S490단계에서 상기 테이블-F에서 읽혀진 제 2행에 논리합 연산자인 심볼 "∥" 이 있을 경우, 연산처리하여 얻어지는 핵심어들이 세번째 핵심어에 의해 발췌되어 상기 제 4임시저장소에 저장된 사용자의 문장형 주관식 답안정보에 있는지 확인하는 단계(S500)와,
상기 연산처리하여 얻어지는 핵심어들이 세번째 핵심어에 의해 발췌되어 상기 제 4임시저장소에 저장된 사용자의 문장형 주관식 답안정보에 있는 경우, 상기 테이블-D에 저장된 핵심어인 글자를 순차적으로 읽는 S290단계로 돌아간다.
상기 S500단계에서 상기 연산처리하여 얻어지는 핵심어들이 세번째 핵심어에 의해 발췌되어 상기 제 4임시저장소에 저장된 사용자의 문장형 주관식 답안정보에 없을 경우, 상기 테이블-A에 저장된 다수개의 문장형 주관식 해답정보를 순차적으로 읽는 S130단계로 돌아간다.
상기 S510단계에서 상기 연산처리하여 얻어지는 핵심어들이 세번째 핵심어에 의해 발췌되어 상기 제 4임시저장소에 저장된 사용자의 문장형 주관식 답안정보에 있을 경우, S290단계로 돌아간다.
상기 S460단계에 있어서, 메모리에 상주한 사용자의 문장형 주관식 답안 정보와 상기 테이블-F에 저장된 핵심어와 매칭하여 사용자의 문장형 주관식 답안 정보에 상기 테이블-F에 저장되어 있는 핵심어들이 있는지 확인을 한다.
또한, 테이블-F에 저장된 심볼 "[]" 내에 심볼 "∥" 가 있는 것을, 예를 들어, 표현하면 "[(A∥B),(C∥D),I]" 와 같이 표현되며, 사용자의 답안에 A와 B중 어느 하나, 또 C와 D중 어느 하나만 있으면 참으로 통하도록 구성되어진다.
또한 여기서는 문장형 주관식 정답 체크시, 요구되어지는 심볼 "[" 을 이용한 연산처리는 행해지지 않는다.
상기 S413단계에 있어서, 테이블-F에 저장되어지는 핵심어의 배열은 "," 로 끝어져서 배열이 되어진다.
예를 들어, 논리합연산자가 있을 경우, (A∥B) 이란 핵심어 후에 "," 가 있을 경우, 상기 (A∥B)가 제 1행으로 배열되어지고, 그 다음에 (C∥D) 란 핵심어 후에 ","가 있을 경우, (C∥D)가 제 2행으로 배열되어 지도록 구성되어진다.
또한, 상기 행으로 배열되어진 개개의 핵심어에서 논리합연산자인 "∥" 의 연산처리는 연속적으로 행해지는 것이 아니라 제 1행이 연산처리되면 제 4임시저장소에 저장되어지고, 다시 제 2행이 연산처리 되도록 구성되어진다.
즉, 논리합연산은 단계적으로 연산처리되도록 구성되어진다.
도 4d은 상기 도 4c의 S450단계에서 상기 테이블-F의 제 1행에서 읽혀진 글자가 논리합 연산자인 심볼 "∥" 이 있을 경우, 연산처리하여 얻어지는 핵심어들과 사용자의 문장형 주관식 답안정보와 매칭하여 상기 사용자의 문장형 주관식 답안정보에 핵심어들이 있는지 확인하는 단계를 세세하게 나타낸 상세구성도이다.
도 4d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테이블-F에 저장된 핵심어 중, 제 1행에 심볼 "∥" 이 있을 경우, 논리합 연산처리를 하기 위해, 테이블-F에 저장된 핵심어들을 다시 한글자씩 순차적으로 읽는 단계(S600)와,
상기 테이블-F에서 읽혀지는 핵심어중, 제 1행을 다 읽었는지 확인하는 단계(S610)와,
상기 테이블-F에서 읽혀지는 핵심어중, 제 1행을 다 읽었을 경우, 제 5임시저장소에 저장된 핵심어를 테이블-E로 이동하여 저장하는 단계(S620)와,
상기 테이블-E에 저장된 핵심어인 글자를 다시 순차적으로 읽는 단계(S630)와,
상기 테이블-E에 저장된 핵심어인 글자를 다 읽었는지 확인하는 단계(S640)와,
상기 테이블-E에 저장된 핵심어인 글자를 다 읽었을 경우, S130단계로 돌아가는 것을 포함한다.
상기 S610단계에서 상기 테이블-F에서 읽혀지는 핵심어중, 제 1행을 다 읽지 않았을 경우, 상기 테이블-F에서 읽혀진 글자가 논리합 연산자인 심볼 "∥" 인지 확인하는 단계(S611)와,
상기 테이블-F에서 읽혀진 글자가 논리합 연산자인 심볼 "∥" 이 아닐 경우, 제 6임시저장소에 저장하는 단계(S612)에서 S600단계로 돌아간다.
상기 S611단계에서 상기 테이블-F에서 읽혀진 글자가 논리합 연산자인 심볼 "∥" 일 경우, 제 ?임시저장소에 저장된 핵심어를 테이블-E로 이동하여 저장하는 단계(S613)에서 S600단계로 돌아간다.
상기 S640단계에서 상기 테이블-E에 저장된 핵심어인 글자를 다 읽지 않았을 경우, 상기 테이블-E에서 읽혀진 핵심어가 사용자의 문장형 주관식 답안정보에 있는지 확인하는 단계(S650)와,
상기 테이블-E에서 읽혀진 핵심어가 사용자의 문장형 주관식 답안정보에 없을 경우, S630단계로 돌아간다.
상기 S650단계에서 상기 테이블-E에서 읽혀진 핵심어가 사용자의 문장형 주관식 답안정보에 있을 경우, S290단계로 돌아간다.
도 4e은 상기 도 4d의 S500단계에서 상기 테이블-F의 제 2행에서 읽혀진 핵심어인 글자에 논리합 연산자인 심볼 "∥" 가 있을 경우, 사용자의 주관식 답안정보에서 발췌되어 제 4임시저장소에 저장된 답안정보와 상기 테이블-F에 저장된 제 2행를 연산처리를 실행하므로써, 상기 제 4임시저장소에 상기 제 2행에 포함된 핵심어가 있는지 확인하는 단계를 세세하게 나타낸 상세구성도이다.
도 4e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테이블-F에 저장된 핵심어 중, 제 2행에 심볼 "∥" 이 있을 경우, 논리합 연산처리를 하기 위해, 테이블-F의 제 2행에 저장된 핵심어들을 다시 한글자씩 순차적으로 읽는 단계(S700)와,
상기 테이블-F에서 읽혀지는 핵심어중, 제 2행을 다 읽었는지 확인하는 단계(S710)와,
상기 테이블-F에서 읽혀지는 핵심어중, 제 2행을 다 읽었을 경우, 제 6임시저장소에 저장된 핵심어를 테이블-E로 이동하여 저장하는 단계(S720)와,
상기 테이블-E에 저장된 핵심어인 글자를 다시 순차적으로 읽는 단계(S730)와,
상기 테이블-E에 저장된 글자를 다 읽었는지 확인하는 단계(S740)와,
상기 테이블-E에 저장된 글자를 다 읽었을 경우, S130단계로 돌아가는 것을 포함한다.
상기 S710단계에서 상기 테이블-F에서 읽혀지는 핵심어중, 제 2행을 다 읽지 않았을 경우, 상기 테이블-F에서 읽혀진 글자가 논리합 연산자인 심볼 "∥" 인지 확인하는 단계(S711)와,
상기 테이블-F에서 읽혀진 글자가 논리합 연산자인 심볼 "∥" 이 아닐 경우, 제 6임시저장소에 저장하는 단계(S712)에서 S700단계로 돌아간다.
상기 S711단계에서 상기 테이블-F에서 읽혀진 글자가 논리합 연산자인 심볼 "∥" 일 경우, 제 6임시저장소에 저장된 핵심어를 테이블-E로 이동하여 저장하는 단계(S713)에서 S700단계로 돌아간다.
상기 S740단계에서 상기 테이블-E에 저장된 핵심어중, 제 2행을 다 읽지 않았을 경우, 상기 테이블-E에서 읽혀진 핵심어가 사용자의 주관식 답안정보에서 발췌되어 제 4임시저장소에 저장된 답안정보에 있는지 확인하는 단계(S750)단계와,
상기 테이블-E에서 읽혀진 핵심어가 사용자의 주관식 답안정보에서 발췌되어 제 4임시저장소에 저장된 답안정보에 없을 경우, S730단계로 돌아간다.
상기 S750단계에서 상기 테이블-E에서 읽혀진 핵심어가 사용자의 주관식 답안정보에서 발췌되어 제 4임시저장소에 저장된 답안정보에 있을 경우, S290단계로 돌아간다.
도 4f는 상기 도 4b의 S340단계에서 테이블-D에 논리합 연산자인 "∥" 심볼이 있을 경우, 연산처리하여 얻어진 글자가 저장된 테이블-E값에 답안이 있는지 확인하는 단계를 세세하게 나타낸 상세 구성도이다.
도 4f에 도시한 바와 같이, 테이블-D에 저장된 논리합 연산자인 "∥" 연산처리를 하기 위해, 테이블-D에 저장된 핵심어들을 다시 한글자씩 순차적으로 읽는 단계(S800)와,
테이블-D에서 읽혀지는 핵심어인 글자를 다 읽었는지 확인하는 단계(S810)와,
테이블-D에서 읽혀지는 핵심어인 글자를 다 읽었을 경우, 제 7임시저장소에 저장되어진 핵심어를 테이블-E로 이동하여 저장하는 단계(S820)와,
상기 테이블-E에 저장되어진 핵심어인 글자를 순차적으로 읽는 단계(S830)와,
상기 테이블-E에 저장된 핵심어인 글자를 다 읽었는지 확인하는 단계(S840)와,
상기 테이블-E에 저장된 핵심어인 글자를 다 읽었을 경우, S130단계로 돌아가는 것을 포함한다.
상기 S810단계에서 테이블-D에서 읽혀지는 핵심어인 글자를 다 읽지않았을 경우, 상기 테이블-D에서 읽혀진 글자가 논리합 연산자인 심볼 "∥" 인지 확인하는 단계(S811)와,
상기 테이블-D에서 읽혀진 글자가 논리합 연산자인 심볼 "∥" 이 아닐 경우, 제 7임시저장소에 저장하는 단계(S812)에서 S800단계로 돌아간다.
상기 S811단계에서 상기 테이블-D에서 읽혀진 글자가 논리합 연산자인 심볼 "∥" 일 경우, 제 7임시저장소에 저장되어진 핵심어를 테이블-E로 이동하여 저장하는 단계(S813)에서 S800단계로 돌아간다.
상기 S840단계에서 상기 테이블-E에 저장된 핵심어인 글자를 다 읽지않았을 경우, 상기 테이블-E에서 읽혀진 핵심어가 사용자의 문장형 주관식답안 정보에 있는지 확인하는 단계(S850)와,
상기 테이블-E에서 읽혀진 핵심어가 사용자의 문장형 주관식답안 정보에 없을 경우, S830단계로 돌아간다.
상기 S850단계에서 상기 테이블-E에서 읽혀진 핵심어가 사용자의 문장형 주관식답안 정보에 있을 경우, S290단계로 돌아간다.
상기 S820단계에 있어서, 테이블-E에 저장되어지는 핵심어의 값은 한열에 모두가 배열이 되도록 구성되어진다.
즉, 상기 테이블-E에 저장되어 있는 모든 핵심어를 연산처리 하도록 구성되어진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종래의 로컬 컴퓨터에 저장된 학습프로그램 및 인터넷망을 이용한 학습방법에서 제공하지 못했던 서술형식으로 입력하는 문장형 주관식 문제의 출제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종래에 문제정보를 사용자에게 전송시, 상기 개개의 모든 문제정보 및 상기 문제정보에 링크되는 모든 이미지정보, 모든 동영상정보 및 상기 문제정보와 매칭되는 모든 해답정보에 하이퍼링크가 가능한 고유한 요청코드의 부여 및 관리가 필요한 반면에 본 발명은 따로 고유한 요청코드의 부여가 필요 없어 바로 본 발명의 시스템에서 요청코드를 생성하므로써, 데이터베이스 관리면에서 효율적이다.

Claims (16)

  1. 각종 서식정보를 포함하는 웹정보 DB와, 사용자의 신상정보, 환급금액정보, 학습단계정보 등을 포함하는 회원정보 DB와, 학습문제가 범주별로 저장이 된 문제정보 및 해답정보, 상기 문제정보에 이미지정보가 포함이 될 경우, 상기 이미지정보를 연동시켜 주는 이미지정보 요청코드를 포함하는 문제정보 DB와, 각 학습지의 내용강의 동영상정보등을 포함하는 이미지정보 DB와, 문제정보 및 이미지정보의 HTML코드를 생성하는 문제출제시스템과, 문제정보의 정답 및 오답을 체크하는 해답체크시스템과, 상기 웹정보 DB, 회원정보 DB, 문제정보 DB, 이미지정보 DB, 문제출제시스템, 해답체크시스템을 운영하는 관리자서버가 인터넷망을 통하여 접속이 된 사용자단말기로 구성된 인터넷시스템에서,
    사용자가 인터넷 상에서 지능형 문제에 의해 출제된 문장형 주관식 문제를 풀기 위해 웹사이트에 접속하는 S1000단계와,
    로그인을 하는 S1010단계와,
    상기 로그인을 하여 출력된 개인학습창에서 해당학습지 번호를 클릭하여 관리자서버에 포함된 문제출제시스템에 문제출제 요청을 하는 S1020단계와,
    상기 전송된 해당 학습지번호에 해당하는 문제를 읽는 S1030단계와,
    상기 학습지번호에 해당하는 문제를 다 읽었는지 확인하는 S1040단계와,
    상기 학습지번호에 해당하는 문제를 다 읽었을 경우, 문제출제시스템에 의해 HTML코드로 변환된 모든 문제정보 및 이미지 정보를 사용자단말기에 구비된 웹브라우저상의 개인학습창으로 전송하는 S1120단계와,
    상기 개인학습창으로 전송된 이미지정보 및 문제정보에 의해 학습 습득 및 문제의 답안을 입력양식에 맞게 작성한 후, 해답체크메뉴를 클릭하여 답안이 입력된 문제정보를 관리자서버에 포함된 해답체크시스템에 전송하는 S1130단계와,
    상기 해답체크시스템에 전송된 답안이 입력된 문제정보를 이용하여 정답을 체크하는 S1140와,
    상기 해답체크시스템에서 정답이 체크된 답안정보의 점수에 의해 계산된 환급금액정보 및 사용자가 학습한 학습지번호정보를 회원정보 DB에 저장하는 S1150단계와,
    상기 정답이 체크된 답안정보를 사용자단말기의 웹브라우저상에 구비된 개인학습창으로 전송하는 S1160단계와,
    상기 개인학습창으로 전송된 정답을 확인하는 S1170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 상에서 지능형 문제 선택 및 문장형 주관식 문제에 의한 일반학습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학습지번호에 해당하는 문제를 다 읽었는지 확인하는 S1040단계에서,
    상기 학습지번호에 해당하는 문제를 다 읽지않았을 경우, 상기 읽혀진 학습지 문제의 주관식입력부를 HTML코드로 변환하는 S1050단계와,
    상기 읽혀진 학습지 문제에 이미지가 포함되는 있는지 확인하는 S1060단계와,
    상기 읽혀진 학습지 문제에 이미지가 포함되어 있을 경우, 상기 읽혀진 학습지문제에 포함되는 이미지를 HTML코드로 변환하는 S1070단계와,
    상기 읽혀진 학습지문제가 예시된 보기들 중, 임의의 몇개를 선택하는 문제인지 확인하는 S1080단계와,
    상기 읽혀진 학습지문제가 예시된 보기들 중, 임의의 몇개를 선택하는 문제일 경우, 상기 읽혀진 예시된 보기들 중, 임의의 몇개를 선택하는 문제에 해답인 예시된 보기들을 HTML로 변환하는 S1090단계와,
    상기 읽혀진 학습지문제가 선다형인지 묻는 S1100단계와,
    상기 읽혀진 학습지문제가 선다형일 경우, 상기 읽혀진 선다형문제에 예시된 보기를 HTML로 변환하는 S1110단계에서, 상기 전송된 해당 학습지번호에 해당하는 문제를 읽는 S1030단계로 돌아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 상에서 지능형 문제 선택 및 문장형 주관식 문제에 의한 일반학습방법.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해답체크시스템에 전송된 답안이 입력된 문제정보를 이용하여 정답을 체크하는 S1140단계에는,
    해답체크시스템에 전송된 각종 문제정보의 정답을 체크하기 위해서, 답안이 입력된 문제정보를 순차적으로 읽는 S2000단계와,
    상기 S2000단계에서 읽혀진 문제정보에 포함되는 답안정보와 매칭되는 해답정보가 문제정보 DB에 있는지 확인하는 S2010단계와,
    상기 읽혀진 문제정보에 포함되는 답안정보와 매칭되는 해답정보가 문제정보 DB에 있을 경우, 상기 문제정보에 매칭되는 해답정보를 문제정보 DB에서 찾아 관리자서버의 메모리에 저장하는 S2020단계와,
    문항의 개수를 파악하기 위해 상기 문제정보와 매칭되는 해답정보의 개수를 제 10임시저장소에 저장하는 S2030단계와,
    상기 S2000단계에서 읽혀진 본 시스템상에서 심볼로 표시되어 사용되는 심볼표시코드로 표현된 사용자의 문제정보를 HTML코드로 변환하는 S2040단계와,
    상기 HTML코드로 변환된 문제정보가 선다형 문제유형인지 확인하는 S2050단계와,
    상기 HTML코드로 변환된 문제정보가 선다형 문제유형이 아닐경우, 상기 HTML코드로 변환된 문제정보가 예시된 보기중, 임의의 몇개의 보기를 선택하는 문제유형인지 확인하는 S2130단계와,
    상기 HTML코드로 변환된 문제정보가 예시된 보기중, 임의의 몇개의 보기를 선택하는 문제유형이 아닐 경우, 상기 HTML코드로 변환된 주관식 문제정보의 답안 정보를 순번대로 읽는 S2220단계와,
    상기 읽혀진 주관식 답안정보에 기재된 순번이 제 10임시저장소의 값보다 큰지 확인하는 S2230단계와,
    상기 읽혀진 주관식 답안정보에 기재된 순번이 제 10임시저장소의 값보다 큰
    경우, 상기 테이블-B에서 HTML코드로 변환되어 저장된 답안정보를 순차적으로 읽는 S2250단계와,
    상기 읽혀진 답안정보가 테이블-B에 있는지 확인하는 S2260단계와,
    상기 테이블-B에서 읽혀진 답안정보가 있는 경우, 상기 읽혀진 답안정보의 공백을 제거하는 S2270단계와,
    상기 읽혀진 답안정보가 문장형 주관식 문제인지 확인하는 S2280단계와,
    상기 읽혀진 답안정보가 문장형 주관식 문제일 경우, 문장형 정답체크시스템을 호출하여 답안체크 및 모범답안을 생성하는 S2290단계와,
    상기 문장형 정답체크시스템에서 체크된 답안을 참조하여 정답 및 오답체크 및 채점된 문제를 누적시키는 단계(S2300)에서 상기 테이블-B에서 HTML코드로 변환되어 저장된 답안정보를 순차적으로 읽는 S2250단계로 돌아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 상에서 지능형 문제 선택 및 문장형 주관식 문제에 의한 일반학습방법.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읽혀진 주관식 답안정보에 기재된 순번이 제 10임시저장소의 값보다 큰지 확인하는 S2230단계에서,
    상기 읽혀진 주관식 답안정보에 기재된 순번이 제 10임시저장소의 값보다 작거나 같은 경우, 상기 읽혀진 주관식 답안정보를 테이블-B에 저장하는 S2240단계에서, 상기 HTML코드로 변환된 주관식 문제정보의 답안 정보를 순번대로 읽는 S2220단계로 돌아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 상에서 지능형 문제 선택 및 문장형 주관식 문제에 의한 일반학습방법.
  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HTML코드로 변환된 문제정보가 선다형 문제유형인지 확인하는 S2050단계에서,
    상기 사용자의 답안정보를 읽어 상기 사용자가 예시된 보기에 표기한 번호정보를 제 11임시저장소에 저장하는 S2060단계와,
    상기 제 11임시저장소에 저장된 답안정보인 예시된 보기를 번호순으로 읽는 S2070단계와,
    상기 문제정보 DB에서 읽혀지는 예시된 보기를 다 읽었는지 확인하는 S2080단계와,
    상기 문제정보 DB에서 읽혀지는 예시된 보기를 다 읽었을 경우, 상기 제 11임시저장소에 저장된 번호정보와 문제정보 DB에서 읽혀진 예시된 번호정보가 일치하는지 확인하는 S2100단계와,
    상기 제 11임시저장소에 저장된 번호정보와 문제정보 DB에서 읽혀진 예시된 번호정보가 일치하지 않는 경우, 사용자에게 예시된 보기를 보여주기 위해 문제정보 DB에서 읽혀진 예시된 번호정보를 HTML코드로 생성하는 S2120단계에서, 상기 제 11임시저장소에 저장된 답안정보인 예시된 보기를 번호순으로 읽는 S2070단계로 돌아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 상에서 지능형 문제 선택 및 문장형 주관식 문제에 의한 일반학습방법.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문제정보 DB에서 읽혀지는 예시된 보기를 다 읽었는지 확인하는 S2080단계에서,
    상기 문제정보 DB에서 읽혀지는 예시된 보기를 다 읽지 않은 경우, 관리자서버의 메모리에 저장된 해답정보와 제 11임시저장소에 저장된 답안을 매칭하여 정답 및 오답체크 및 채점된 문제를 누적시키는 단계(S2090)에서, 상기 제 11임시저장소에 저장된 답안정보인 예시된 보기를 번호순으로 읽는 S2070단계로 돌아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 상에서 지능형 문제 선택 및 문장형 주관식 문제에 의한 일반학습방법.
  7.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제 11임시저장소에 저장된 번호정보와 문제정보 DB에서 읽혀진 예시된 번호정보가 일치하는지 확인하는 S2100단계에서,
    상기 제 11임시저장소에 저장된 번호정보와 문제정보 DB에서 읽혀진 예시된 번호정보가 일치한 경우, 사용자가 표기한 예시된 보기를 보여주기 위해 문제정보 DB에서 읽혀진 예시된 번호정보를 HTML코드로 생성하는 S2110단계에서 상기 제 11임시저장소에 저장된 답안정보인 예시된 보기를 번호순으로 읽는 S2070단계로 돌아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 상에서 지능형 문제 선택 및 문장형 주관식 문제에 의한 일반학습방법.
  8.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HTML코드로 변환된 문제정보가 예시된 보기중, 임의의 몇개의 보기를 선택하는 문제유형인지 확인하는 S2130단계에서,
    상기 HTML로 변환된 문제정보가 예시된 보기중, 임의의 몇개의 보기를 선택하는 문제유형일 경우, 상기 예시된 보기중, 임의의 몇 개를 선택하는 문제정보에 포함된 다수개의 예시된 보기를 순차적으로 읽는 S2140단계와,
    상기 읽혀진 하나의 예시된 보기의 나열된 순서번호가 제 10임시저장소에 저장된 예시된 보기의 순서번호보다 큰지 확인하는 S2150단계와,
    상기 읽혀진 하나의 예시된 보기의 나열된 순서번호가 제 10임시저장소에 저장된 예시된 보기의 순서번호보다 큰 경우, 테이블-A의 값을 순차적으로 읽는 S2190단계와,
    상기 테이블-A에서 읽혀진 값이 있는지 확인하는 S2200단계와,
    상기 테이블-A에서 읽혀진 값이 있을 경우, 관리자서버의 메모리에 저장된 값과 상기 테이블-A에 저장된 값을 매칭하여 정답 및 오답체크 및 채점된 문제를 누적시키는 S2210단계에서 상기 테이블-A에서 읽혀진 값이 있는지 확인하는 S2200단계로 돌아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 상에서 지능형 문제 선택 및 문장형 주관식 문제에 의한 일반학습방법.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읽혀진 하나의 예시된 보기의 나열된 순서번호가 제 10임시저장소에 저장된 예시된 보기의 순서번호 큰지 확인하는 S2150단계에서,
    상기 읽혀진 하나의 예시된 보기의 나열된 순서번호가 제 10임시저장소에 저장된 예시된 보기의 문항의 순서번호보다 작거나 같은 경우, 사용자의 입력값을 읽어 테이블-A에 저장하는 S2160단계와,
    상기 읽혀진 하나의 예시된 보기정보에 사용자가 표기를 하였는지 확인하는 S2170단계와,
    상기 읽혀진 하나의 예시된 보기에 사용자가 표기를 한 경우, 상기 읽혀진 하나의 예시된 보기를 나타내는 HTML코드를 수정하는 S2180단계에서, 상기 읽혀진 하나의 예시된 보기의 나열된 순서번호가 제 10임시저장소에 저장된 예시된 보기의 순서번호보다 큰지 확인하는 S2150단계로 돌아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 상에서 지능형 문제 선택 및 문장형 주관식 문제에 의한 일반학습방법.
  10.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읽혀진 답안정보가 문장형 주관식 문제인지 확인하는 S2280단계에서,
    상기 읽혀진 답안정보가 문장형 주관식 문제가 아닐 경우, 관리자서버의 메모리에 저장된 값과 상기 테이블-B에 저장된 값을 매칭하여 정답 및 오답체크 및 채점된 문제를 누적시키는 S2310에서, 상기 테이블-B에서 HTML코드로 변환되어 저장된 답안정보를 순차적으로 읽는 S2250단계로 돌아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 상에서 지능형 문제 선택 및 문장형 주관식 문제에 의한 일반학습방법.
  11.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문장형 정답체크시스템을 호출하여 답안체크 및 모범답안을 생성하는 S2290단계에는,
    문장형 정답체크시스템 상에서 문장형 주관식 답안정보를 해답체크시스템으로부터 전송받는 S100단계와,
    상기 전송된 문장형 주관식 문제에 포함된 문장형 주관식 해답코드와 매칭되는 문장형 주관식 해답정보를 문제정보 DB에서 획득하는 S110단계와,
    상기 획득된 문장형 주관식 해답정보를 테이블-A에 “III”로 분리하여 순차적으로 저장하는 S120단계와,
    상기 테이블-A에 저장된 다수개의 문장형 주관식 해답정보를 순차적으로 읽는 단계S130단계와,
    저장된 문장형 주관식 해답정보를 제 N번째 까지 다 읽었는지 확인하는 S140단계와,
    저장된 문장형 주관식 해답정보를 제 N번째 까지 다 읽었을 경우, 오답으로 처리하는 S150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 상에서 지능형 문제 선택 및 문장형 주관식 문제에 의한 일반학습방법.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저장된 문장형 주관식 해답정보를 제 N번째 까지 다 읽었는지 확인하는 S140단계에서,
    저장된 문장형 주관식 해답정보를 제 N번째 까지 다 읽지 않은 경우, 순차적으로 읽혀진 문장형 주관식 해답정보를 이용하여 정답을 체크하는 S145단계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 상에서 지능형 문제 선택 및 문장형 주관식 문제에 의한 일반학습방법.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순차적으로 읽혀진 문장형 주관식 해답정보를 이용하여 정답을 체크하는 S145단계에는,
    테이블-A에서 읽혀진 문장형 주관식 문장, 하나의 원소를 한글자씩 순차적으로 읽는 S200단계와,
    테이블-A에서 읽혀지는 문장형 주관식 문장의 글자를 다 읽었는지 확인하는 S210단계와,
    테이블-A에서 읽혀지는 문장형 주관식 문장의 글자를 다 읽었을 경우, 제 1임시저장소에 저장된 글자를 테이블-B로 이동하여 저장하는 S220단계와,
    상기 테이블-B에 저장된 글자를 순차적으로 읽는 S230단계와,
    상기 테이블-B에 저장된 문장형 주관식 문장의 글자를 다 읽었는지 확인하는 S240단계와,
    상기 테이블-B에 저장된 문장형 주관식 문장의 글자를 다 읽었을 경우, 사용자에게 보여줄 모범답안을 제 2임시저장소에 저장하는 S250단계와,
    상기 테이블-D에 저장되어진 핵심어중, 제 6심볼로 표현되어지는 핵심어를 제거하는 S260단계와,
    상기 테이블-C에 저장된 핵심어인 글자를 순차적으로 읽는 S270단계와,
    테이블-C에 저장된 핵심어인 글자를 다 읽었는지 확인하는 S280단계와,
    테이블-C에 저장된 핵심어인 글자를 다 읽었을 경우, 상기 테이블-D에 저장된 핵심어인 글자를 순차적으로 읽는 S290단계와,
    테이블-D에 저장된 핵심어인 글자를 다 읽었는지 확인하는 S300단계와,
    테이블-D에 저장된 핵심어인 글자를 다 읽지않았을 경우, 상기 테이블-D에 제 5심볼의 부분이 있는지 확인하는 S310단계와,
    테이블-D에 제 5심볼의 부분이 없을 경우, 테이블-D에 논리합 연산자인 제 3심볼이 있는지 확인하는 S330단계와,
    테이블-D에 논리합 연산자인 제 3심볼이 없을 경우, 사용자의 문장형 주관식 답안에 상기 테이블-D에 저장된 핵심어가 있는지 확인하는 S350단계와,
    사용자의 문장형 주관식 답안에 상기 테이블-D에 저장된 핵심어가 있을 경우, 상기 테이블-D에 저장된 핵심어인 글자를 순차적으로 읽는 S290단계로 돌아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 상에서 지능형 문제 선택 및 문장형 주관식 문제에 의한 일반학습방법.
  14.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테이블-D에 제 5심볼의 부분이 있는지 확인하는 S310단계에서,
    상기 테이블-D에 제 5심볼의 부분이 있을 경우, 상기 제 5심볼의 부분에 삽입이 된 앞의 두개의 핵심어가 뒤의 하나의 핵심어에 숫자로 표시된 거리 안에 있는지 확인하는 S320단계와,
    상기 제 5심볼의 부분에 삽입이 된 앞의 두개의 핵심어가 뒤의 하나의 핵심어에 표시된 거리 안에 있을 경우, 상기 테이블-D에 저장된 핵심어인 글자를 순차적으로 읽는 S290단계로 돌아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 상에서 지능형 문제 선택 및 문장형 주관식 문제에 의한 일반학습방법.
  15.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테이블-D에 제 5심볼의 부분이 있는지 확인하는 S310단계에서,
    상기 테이블-D에 제 5심볼의 부분이 있을 경우, 상기 제 5심볼의 부분에 삽입이 된 앞의 두개의 핵심어가 뒤의 하나의 핵심어에 숫자로 표시된 거리 안에 있는지 확인하는 S320단계와,
    상기 제 5심볼의 부분에 삽입이 된 앞의 두개의 핵심어가 뒤의 하나의 핵심어에 표시된 거리 안에 있을 경우, 상기 테이블-D에 저장된 핵심어인 글자를 순차적으로 읽는 S290단계로 돌아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 상에서 지능형 문제 선택 및 문장형 주관식 문제에 의한 일반학습방법.
  16.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심볼에 삽입이 된 앞의 두개의 핵심어가 뒤의 하나의 핵심어에 숫자로 표시된 거리 안에 있는지 확인하는 S320단계에는,
    테이블-D에 저장된 핵심어를 한글자씩 순차적으로 읽는 S400단계와,
    상기 테이블-D에서 읽혀지는 핵심어인 글자에 제 5심볼의 부분이 있는지 확인하는 S410단계와,
    상기 테이블-D에서 읽혀지는 핵심어인 글자에 제 5심볼의 부분이 있을 경우, 제 3임시저장소에 저장되어진 핵심어를 테이블-F로 이동하여 저장하는 S420단계와,
    상기 테이블-F에 저장되어진 핵심어 중, 제 1행을 다시 순차적으로 읽는 단계S430단계와,
    상기 테이블-F에서 읽혀진 제 1행에 논리합 연산자인 제 3심볼이 있는지 확인하는 S440단계와,
    상기 테이블-F의 제 1행에서 읽혀진 글자에서 논리합 연산자인 제 3심볼이 없을 경우, 상기 테이블-F에서 읽혀진 핵심어가 사용자의 문장형 주관식 답안정보에 있는지 확인하는 S460단계와,
    상기 테이블-F에서 읽혀진 핵심어가 사용자의 문장형 주관식 답안정보에 있을 경우, 상기 테이블-F에 저장된 첫번째 핵심어와 동일한 글자가 저장된 사용자의 문장형 주관식 답안정보에서 상기 테이블-F에 저장되어진 글자수를 나타내는 세번째 핵심어의 글자수 만큼 발췌하여 제 4임시저장소에 저장하는 S470단계와,
    상기 테이블-F에 저장된 핵심어 중, 두번째 핵심어를 나타내는 제 2행을 읽는 S480단계와,
    상기 테이블-F에서 읽혀진 제 2행에 논리합 연산자인 제 3심볼이 있는지 확인하는 S490단계와,
    상기 테이블-F에서 읽혀진 제 2행에 논리합 연산자인 제 3심볼이 없을 경우, 상기 테이블-F에 저장된 두번째 핵심어가 세번째 핵심어에 의해 발췌되어 상기 제 4임시저장소에 저장된 사용자의 문장형 주관식 답안정보에 있는지 확인하는 S510와,
    상기 연산처리하여 얻어지는 핵심어들이 세번째 핵심어에 의해 발췌되어 상기 제 4임시저장소에 저장된 사용자의 문장형 주관식 답안정보에 없을 경우, S130단계로 돌아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 상에서 지능형 문제 선택 및 문장형 주관식 문제에 의한 일반학습방법.
KR1020000062853A 2000-10-25 2000-10-25 인터넷 상에서 지능형 문제 선택 및 문장형 주관식 문제에의한 일반학습방법 KR2001000088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62853A KR20010000883A (ko) 2000-10-25 2000-10-25 인터넷 상에서 지능형 문제 선택 및 문장형 주관식 문제에의한 일반학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62853A KR20010000883A (ko) 2000-10-25 2000-10-25 인터넷 상에서 지능형 문제 선택 및 문장형 주관식 문제에의한 일반학습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00883A true KR20010000883A (ko) 2001-01-05

Family

ID=196953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62853A KR20010000883A (ko) 2000-10-25 2000-10-25 인터넷 상에서 지능형 문제 선택 및 문장형 주관식 문제에의한 일반학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0000883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25708A (ko) * 2001-01-19 2001-04-06 이호상 실시간 프로그램 채점 방법 및 시스템
KR100711614B1 (ko) * 2002-02-13 2007-04-27 실버브룩 리서치 피티와이 리미티드 차량 디스플레이 캡쳐 장치
KR102584794B1 (ko) 2023-02-06 2023-10-05 이래에이엠에스 주식회사 등속조인트에 페이스 스플라인을 형성하는 방법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95583A (ja) * 1992-09-09 1994-04-08 Brother Ind Ltd 学習支援装置
KR19990021990U (ko) * 1999-02-09 1999-06-25 이용수 인터넷인공지능학습프로그램
JPH11282826A (ja) * 1998-03-31 1999-10-15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インターネットを利用した電子教育システム
JP2000098867A (ja) * 1998-09-28 2000-04-07 Gakken Co Ltd レベル変動型学習システム
KR20000054682A (ko) * 2000-04-15 2000-09-05 허원 통신을 통한 문제출제 서비스방법
KR20000054227A (ko) * 2000-05-27 2000-09-05 이우식 인공지능을 이용한 인터넷 문제은행
KR20010104048A (ko) * 2000-05-12 2001-11-24 김민윤 인터넷망을 이용한 학습문제 제공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10108995A (ko) * 2000-06-01 2001-12-08 박종섭 반도체 메모리 소자의 캐패시터 제조방법
KR20020011295A (ko) * 2000-08-01 2002-02-08 최규완 인터넷상에서 맞춤 시험 방법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95583A (ja) * 1992-09-09 1994-04-08 Brother Ind Ltd 学習支援装置
JPH11282826A (ja) * 1998-03-31 1999-10-15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インターネットを利用した電子教育システム
JP2000098867A (ja) * 1998-09-28 2000-04-07 Gakken Co Ltd レベル変動型学習システム
KR19990021990U (ko) * 1999-02-09 1999-06-25 이용수 인터넷인공지능학습프로그램
KR20000054682A (ko) * 2000-04-15 2000-09-05 허원 통신을 통한 문제출제 서비스방법
KR20010104048A (ko) * 2000-05-12 2001-11-24 김민윤 인터넷망을 이용한 학습문제 제공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00054227A (ko) * 2000-05-27 2000-09-05 이우식 인공지능을 이용한 인터넷 문제은행
KR20010108995A (ko) * 2000-06-01 2001-12-08 박종섭 반도체 메모리 소자의 캐패시터 제조방법
KR20020011295A (ko) * 2000-08-01 2002-02-08 최규완 인터넷상에서 맞춤 시험 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25708A (ko) * 2001-01-19 2001-04-06 이호상 실시간 프로그램 채점 방법 및 시스템
KR100711614B1 (ko) * 2002-02-13 2007-04-27 실버브룩 리서치 피티와이 리미티드 차량 디스플레이 캡쳐 장치
KR102584794B1 (ko) 2023-02-06 2023-10-05 이래에이엠에스 주식회사 등속조인트에 페이스 스플라인을 형성하는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Buszard-Welcher Can the web help save my language?
US6498921B1 (en) Method and system to answer a natural-language question
US6301554B1 (en) Language translation using a constrained grammar in the form of structured sentences formed according to pre-defined grammar templates
US7197462B2 (en) System and method for information access
US7958059B2 (en) System and method for interactively entering data into a database
US7088949B2 (en) Automated essay scoring
JP3959180B2 (ja) 通信翻訳装置
US8589785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contextual mark-up of formatted documents
US20070112554A1 (en) System of interactive dictionary
JP2003529845A (ja) ネットワーク経由の多言語翻訳を提供する方法と装置
JP2006092473A (ja) 回答支援システムおよび装置、回答支援プログラム
KR101452664B1 (ko) 문서 분석 시스템 및 방법
US20050125219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semantic stenography
JP4558680B2 (ja) 出願文書情報作成装置、説明情報抽出装置、出願文書情報作成方法、説明情報抽出方法
KR20010000883A (ko) 인터넷 상에서 지능형 문제 선택 및 문장형 주관식 문제에의한 일반학습방법
JP2002258738A (ja) 語学学習支援システム
JPH10268743A (ja) ネットワーク型教育システム
CN114385924A (zh) 一种教师教研知识推荐方法及系统
KR100457735B1 (ko) 학습과정을 통한 개인 맞춤교재 제작 방법
JP7084003B1 (ja) 英作文添削結果分析システム
Tharp et al. Using computers in a natural language mode for elementary education
Potter et al. Information & Technology Literacy Standards Matrix.
Di Martino et al. International Journal of Language Studies
KR20010000882A (ko) 문장형 주관식 답안을 체크하기 위한 방법
JP2005258213A (ja) 自動採点テストの作成方法およびこれを用いたテスト自動採点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