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00427U - 영상표시기기의 프론트 커버와 브라운관과의 결합구조 - Google Patents

영상표시기기의 프론트 커버와 브라운관과의 결합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00427U
KR20010000427U KR2019990010296U KR19990010296U KR20010000427U KR 20010000427 U KR20010000427 U KR 20010000427U KR 2019990010296 U KR2019990010296 U KR 2019990010296U KR 19990010296 U KR19990010296 U KR 19990010296U KR 20010000427 U KR20010000427 U KR 20010000427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rt
front cover
latch
pressing piece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1029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45563Y1 (ko
Inventor
권오관
Original Assignee
구자홍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자홍,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구자홍
Priority to KR201999001029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45563Y1/ko
Publication of KR2001000042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0042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4556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45563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017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with operator interface units
    • H05K5/0018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with operator interface units having an electronic display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2Details
    • H05K5/0217Mechanical details of casings
    • H05K5/0221Locks; Latch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Vessels, Lead-In Wires, Accessory Apparatuses For Cathode-Ray Tub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프론트 커버와 브라운관과의 결합구조를 개선하여, 프론트 커버와 브라운관 결합을 위한 조립시의 작업성 및 조립후의 기기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고안은 보강밴드(2)가 전방 외측면을 감싸도록 구비된 브라운관(1)과, 상기 브라운관(1) 전방에 위치하며 상기 브라운관(1)의 전면 가장자리에 밀착되는 누름편(300)을 구비한 프론트 커버(3)에 있어서; 상기 프론트 커버(3)의 누름편(300)과 커버 테두리 사이에, 상기 브라운관(1)의 보강밴드(2) 뒤쪽에 걸리게 되는 래치부(301)가 형성되어, 상기 누름편(300)이 브라운관(1)의 전면 가장자리에 압착됨과 동시에 상기 래치부(301)가 브라운관(1)의 보강밴드(2) 뒤쪽에 걸림에 따라 브라운관(1)이 프론트 커버(3)에 결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기기의 프론트 커버와 브라운관과의 결합구조가 제공된다.

Description

영상표시기기의 프론트 커버와 브라운관과의 결합구조{structure for combining front cover with Braun tube in video display appliance}
본 고안은 영상표시기기의 프론트 커버와 브라운관과의 결합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영상표시기기에 있어서 프론트 커버와 브라운관과의 결합구조를 개선하여 조립시의 작업성 및 조립후의 기기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종래 영상표시기기의 프론트 커버와 브라운관과의 결합구조를 개략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종래에는 영상표시기기를 구성하는 브라운관(1)의 전방외주면에 보강밴드(2)가 결합되고, 상기 보강밴드(2)의 모서리 부분에는 나사체결공(400)이 형성된 러그(4)(lug)가 스폿용접(spot welding)에 의해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브라운관(1) 전방에 위치하는 탄성 재질의 프론트 커버(3)에는 상기 러그(4)의 나사체결공(400)을 통과한 고정나사(5)가 체결되는 나사체결공(302a)이 내부에 형성된 체결보스(302) 및, 브라운관(1)의 전면 가장자리에 접한 상태에서 나사체결시 견고히 밀착되는 누름편(300)이 구비된다.
한편, 종래의 영상표시기기는 브라운관(1)과 프론트 커버(3)와의 결합시, 상기 프론트 커버(3) 후방에 브라운관(1)을 위치시킨 상태에서, 상기 브라운관(1)을 프론트 커버(3)에 나사체결하여 고정시키게 된다.
즉, 프론트 커버(3)에 브라운관(1)을 갖다 대어, 상기 프론트 커버(3)의 체결보스(302)에 형성된 나사체결공(302a)과 상기 브라운관(1) 외주면의 보강밴드(2)에 구비된 러그(4)의 나사체결공(400)을 일치시킨 상태에서, 상기 나사체결공(400)(302a)을 통해 도 2 및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고정나사(5)를 체결하여 브라운관(1)을 프론트 커버(3)에 결합시키게 된다.
이와 같이 조립시, 상기 고정나사(5)의 조임력이 작용함에 따라, 고정나사(5)를 체결전에는 브라운관(1)의 전면 가장자리에 단순히 접하고 있던 프론트 커버(3)의 누름편(300)은 탄성에 기인하여 브라운관(1)의 전면 가장자리에 견고히 밀착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 영상표시기기의 브라운관과 프론트 커버와의 체결구조는, 다음과 같은 여러 가지 문제점이 있었다.
먼저, 브라운관(1)의 네모서리에 차례로 고정나사(5)를 체결해야하므로 나사체결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어 조립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보강밴드(2)의 네모서리에 차례로 러그(4)를 스폿용접해야 하고, 상기 러그(4) 및 프론트 커버(3)의 체결보스(302)에 나사체결공(400)(302a)을 형성해야 하므로 인해, 부품 제작에도 많은 시간 및 공정이 수반되므로 생산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뿐만 아니라, 고정나사(5)를 체결하는 구조로서, 고정나사(5)가 체결되는 위치가 브라운관(1)의 모서리 부분에만 있으므로, 체결력이 모서리부분에만 집중되므로써 체결력의 전달이 미비한 중심부에서 브라운관(1)의 누름편(300)과 브라운관(1) 사이에 갭(gap)이 발생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고정나사(5) 체결시, 나사가 체결되어감에 따라 조립 공차가 누적되어 중심부에서의 갭이 커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상기한 브라운관(1) 중심부에서의 갭 발생을 막기 위해 중심부에도 나사체결이 가능하도록 할 경우에는 부품수가 늘어나게 되고, 조립성이 더욱 나빠지게 된다.
본 고안은 상기한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프론트 커버와 브라운관의 결합구조를 개선하여, 상기 프론트 커버와 브라운관간의 결합을 위한 조립시의 작업성 및 조립후의 기기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영상표시기기의 프론트 커버와 브라운관과의 결합구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기술장치를 나타낸 것으로서, 브라운관이 프론트 커버에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도 2는 도 1의 A부 확대상세도
도 3은 도 1의 배면도
도 4는 도 3의 B부 확대상세도
도 5a 및 도 5b는 본 고안에 따른 기술장치를 나타낸 것으로서,
도 5a는 브라운관이 프론트 커버에 단순히 밀착된 상태를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도 5b는 브라운관이 프론트 커버에 완전히 결합된 후의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도 6a는 도 5a의 C부 확대상세도
도 6b는 도 5b의 D부 확대상세도
도 7은 도 5의 배면도
도 8은 도 7의 Ⅰ-Ⅰ선을 나타낸 횡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브라운관 2:보강밴드
3:프론트 커버 300:누름편
301:래치부 301a:걸림턱
302:체결보스 303:보강리브
304:리브 4:러그
400:나사체결공 5:고정나사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보강밴드가 전방 외측면을 감싸도록 구비된 브라운관과, 상기 브라운관 전방에 위치하며 상기 브라운관의 전면 가장자리에 밀착되는 누름편을 구비한 프론트 커버에 있어서; 상기 프론트 커버의 누름편과 커버 테두리 사이에, 상기 브라운관의 보강밴드 뒤쪽에 걸리게 되는 래치부가 형성되어, 상기 누름편이 브라운관의 전면 가장자리에 압착됨과 동시에 상기 래치부가 브라운관의 보강밴드 뒤쪽에 걸림에 따라 브라운관이 프론트 커버에 결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기기의 프론트 커버와 브라운관과의 결합구조가 제공된다.
이하, 본 고안의 일실시예를 첨부도면 도 5a 내지 도 8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5a 및 도 5b는 본 고안에 따른 기술장치를 나타낸 것으로서, 도 5a는 브라운관이 프론트 커버에 단순히 밀착된 상태를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고, 도 5b는 브라운관이 프론트 커버에 완전히 결합된 후의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그리고, 도 6a는 도 5a의 C부 확대상세도이고, 도 6b는 도 5b의 D부 확대상세도이며, 도 7은 도 5a의 배면도이고, 도 8은 도 7의 Ⅰ-Ⅰ선을 나타낸 횡단면도이다.
본 고안은 보강밴드(2)가 전방 외측면을 감싸도록 구비된 브라운관(1)과, 상기 브라운관(1) 전방에 위치하며 상기 브라운관(1)의 전면 가장자리에 밀착되는 누름편(300)을 구비한 프론트 커버(3)에 있어서; 상기 프론트 커버(3)의 누름편(300)과 커버 테두리 사이에, 상기 브라운관(1)의 보강밴드(2) 뒤쪽에 걸리게 되는 래치부(301)(latch portion)가 형성되어, 상기 누름편(300)이 브라운관(1)의 전면 가장자리에 압착됨과 동시에 상기 래치부(301)가 브라운관(1)의 보강밴드(2) 뒤쪽에 걸림에 따라 브라운관(1)이 프론트 커버(3)에 결합되도록 구성한 것이다.
한편, 상기 래치부(301)는 프론트 커버(3)의 상·하부와 좌·우측에 각각 2개 이상 형성됨과 더불어, 각각 일정 간격 이격되어 대향하도록 형성된다.
이 때, 상기 래치부(301) 선단의 걸림턱(301a) 이면에는 래치부(301)의 강도를 보강하기 위한 보강리브(303)가 래치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다.
또한, 상기 프론트 커버(3)에 있어서, 프론트 커버(3)의 상·하부에 형성된 래치부(301) 와 좌·우측에 형성되는 래치부(301) 사이에는, 조립시 브라운관(1)의 위치를 잡아주어 유동을 방지하는 가이드 역할과 누름편(300)의 강도를 높이는 역할을 겸하는 리브(304)가 각각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영상표시기기는 프론트 커버(3)와 브라운관(1)의 조립시, 프론트 커버(3) 후방에 브라운관(1)을 밀착시킨 상태에서, 프론트 커버(3)에 형성된 래치부(301)를 이용하여 브라운관(1)을 프론트 커버(3)에 결합시키게 되며, 이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프론트 커버(3) 후방에 브라운관(1)을 갖다 대어, 도 5a 및 도 6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프론트 커버(3)의 누름편(300)이 브라운관(1)의 전면 가장자리에 단순히 접함과 동시에 상기 프론트 커버(3)의 래치부(301)가 브라운관(1)의 보강밴드(2) 상면에 접하도록 한다.
이 상태에서 도 5a에 나타낸 바와 같이 브라운관(1)에 소정의 힘(F)을 가함에 따라 브라운관(1)이 상기 프론트 커버(3) 쪽으로 전진하면, 프론트 커버(3)의 재질 특성상 브라운관(1)의 전면 가장자리에 접한 누름편(300)과 보강밴드(2)에 접한 상태인 래치부(301)는 탄성 변형되어 점점 그 사이각(α)이 커지는 방향으로 벌어지게 된다.
이 때, 상기 프론트 커버(3)의 누름편(300)은 브라운관(1)의 전면 가장자리에 밀착되어 그 위치가 고정된 상태이므로 래치부(301)가 상대적으로 브라운관(1) 뒤쪽으로 후퇴하게 되며, 후퇴하던 래치부(301)는 브라운관(1)의 보강밴드(2)를 타고 넘어가 도 5b 및 도 6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보강밴드(2) 뒤쪽에 걸리게 된다.
이에 따라, 브라운관(1)은 그 사이가 벌어진 누름편(300)과 래치부(301)의 탄성복원 작용에 기인한 조임력을 받아 프론트 커버(3)에 견고히 결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한편, 본 고안의 래치부(301)는 걸림턱(301a)이 형성된 이면에 래치부(301)의 길이 방향을 따라 보강리브(303)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조립시 휨에 의한 소성변형 및 파손이 효과적으로 방지된다.
그리고, 본 고안의 영상표시기기는 래치부(301)가 프론트 커버(3)의 상·하부와 좌·우측에 각각 2개 이상씩 형성되고, 상기 프론트 커버(3)에 있어서 커버의 상·하부와 좌·우측에 형성되는 래치부(301) 사이에는 조립시에 브라운관(1)의 위치를 잡아주어 브라운관(1)의 유동을 방지함과 더불어 누름편(300)의 강도를 높이는 리브(304)가 구비되므로 인해, 종래와는 달리 프론트 커버(3) 중앙부에서의 갭 발생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고안의 영상표시기기는 프론트 커버(3)와 브라운관(1)의 조립시 압착력이 가해짐에 따라 프론트 커버(3)에 형성된 각 래치부(301)가 동시에 브라운관(1)의 보강밴드(2)에 걸리게 되므로 작업성 및 신뢰성이 현저히 향상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의 영상표시기기는 나사체결 방식이 아닌, 일종의 스냅 피팅(snap fitting)방식에 의해 브라운관이 프론트 커버에 결합되도록 한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에서는 종래기술과는 달리 고정나사 및 러그를 생략하여 부품수를 줄일 수 있으며, 나사체결 작업 및 스폿용접 작업을 생략하여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고정나사 체결시 발생하는 누적공차를 줄일 수 있게 된다.
즉, 본 고안은 프론트 커버와 브라운관의 조립시, 프론트 커버와 브라운관에 압착력이 가해짐에 따라 상기 프론트 커버에 형성된 각 래치부가 동시에 브라운관의 보강밴드에 걸리게 되므로, 일일이 차례로 나사체결하던 종래와는 달리 작업성이 현저히 향상된다.
또한, 본 고안은 체결력이 프론트 커버와 브라운관의 모서리 부분에 집중되지 않고 고르게 분포되므로써, 프론트 커버와 브라운관 중앙부에서의 갭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가져오게 된다.

Claims (4)

  1. 보강밴드가 전방 외측면을 감싸도록 구비된 브라운관과, 상기 브라운관 전방에 위치하며 상기 브라운관의 전면 가장자리에 밀착되는 누름편을 구비한 프론트 커버에 있어서;
    상기 프론트 커버의 누름편과 커버 테두리 사이에, 상기 브라운관의 보강밴드 뒤쪽에 걸리게 되는 래치부가 형성되어, 상기 누름편이 브라운관의 전면 가장자리에 압착됨과 동시에 상기 래치부가 브라운관의 보강밴드 뒤쪽에 걸림에 따라 브라운관이 프론트 커버에 결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기기의 프론트 커버와 브라운관과의 결합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래치부는 프론트 커버의 상·하부와 좌·우측에 각각 2개 이상 형성되며, 서로 일정 간격 이격되어 대향하는 구조를 이루게 됨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기기의 프론트 커버와 브라운관과의 결합구조.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래치부 선단의 걸림턱 이면에는 래치부의 강도를 보강하기 위한 보강리브가 래치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기기의 프론트 커버와 브라운관과의 결합구조.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론트 커버의 상·하부에 형성되는 래치부 사이 및 좌·우측에 형성되는 래치부 사이에,
    상기 프론트 커버와 브라운관의 조립시, 브라운관의 위치를 잡아주어 유동을 방지하는 가이드 역할과 누름편의 강도를 높이는 역할을 겸하는 리브가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기기의 프론트 커버와 브라운관과의 결합구조.
KR2019990010296U 1999-06-10 1999-06-10 영상표시기기의 프론트 커버와 브라운관과의 결합구조 KR20024556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10296U KR200245563Y1 (ko) 1999-06-10 1999-06-10 영상표시기기의 프론트 커버와 브라운관과의 결합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10296U KR200245563Y1 (ko) 1999-06-10 1999-06-10 영상표시기기의 프론트 커버와 브라운관과의 결합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00427U true KR20010000427U (ko) 2001-01-05
KR200245563Y1 KR200245563Y1 (ko) 2001-09-29

Family

ID=547639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10296U KR200245563Y1 (ko) 1999-06-10 1999-06-10 영상표시기기의 프론트 커버와 브라운관과의 결합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45563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22479A (ko) * 2001-09-10 2003-03-17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음극선관을 이용한 화상 표시장치
KR100386195B1 (ko) * 2001-03-15 2003-06-02 이미지퀘스트(주) 브라운관 고정용 리브를 가지는 모니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9821B1 (ko) 2005-12-30 2008-01-02 엘지전자 주식회사 벽면 밀착수단을 구비한 영상 표시기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86195B1 (ko) * 2001-03-15 2003-06-02 이미지퀘스트(주) 브라운관 고정용 리브를 가지는 모니터
KR20030022479A (ko) * 2001-09-10 2003-03-17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음극선관을 이용한 화상 표시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45563Y1 (ko) 2001-09-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245563Y1 (ko) 영상표시기기의 프론트 커버와 브라운관과의 결합구조
JPH07263043A (ja) アース端子の共締め構造
US5191683A (en) Hose band
JP3768114B2 (ja) 圧縮機の電装部品
KR200277850Y1 (ko) 씨알티 소켓
JPH08287996A (ja) コネクタ
KR100323914B1 (ko) 차량의 프론트 도어트림 장착구조
KR200194111Y1 (ko) 차량의 루프 패널 조립구조
JP2000253516A (ja) ブラインドキャップ
KR200144632Y1 (ko) 전자총의 조립부 널링구조
JPH06300031A (ja) コントロールケーブルの取付け方法
KR930002870Y1 (ko) 브라운관 설치용 와셔
KR200159845Y1 (ko) 칼라음극선관의 인너실드(inner shield)
JPH11205716A (ja) 画像表示装置
KR200164968Y1 (ko) 모니터의 커버 체결 구조
JPH0810535Y2 (ja) 車両用ドアトリムのインナーシール取付構造
KR200165106Y1 (ko) 음극선관(crt) 고정용 프레임
JP2599245Y2 (ja) ガラス位置決め用スペーサ
JPH078688U (ja) ホースバンド
JP4091688B2 (ja) ブーツ締付け構造
KR200175688Y1 (ko) 스크류 취출이 용이한 모니터의 음극선관구조
JPH06298268A (ja) オープン缶の蓋締付バンド
KR200335223Y1 (ko) 디스플레이장치
JP2512663Y2 (ja) 釣 竿
KR0121459Y1 (ko) 모니터의 커버필터 결착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718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