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76911A - 턱부를 개폐가능하게 한 풀 훼이스 헬멧 - Google Patents

턱부를 개폐가능하게 한 풀 훼이스 헬멧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76911A
KR20000076911A KR1020000013845A KR20000013845A KR20000076911A KR 20000076911 A KR20000076911 A KR 20000076911A KR 1020000013845 A KR1020000013845 A KR 1020000013845A KR 20000013845 A KR20000013845 A KR 20000013845A KR 20000076911 A KR20000076911 A KR 2000007691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jaw
helmet
main body
connecting portion
pivo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138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수안
Original Assignee
박수안
주식회사 한국 오.지.케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수안, 주식회사 한국 오.지.케이 filed Critical 박수안
Priority to KR10200000138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00076911A/ko
Publication of KR200000769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76911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3/00Helmets; Helmet covers ; Other protective head coverings
    • A42B3/32Collapsible helmets; Helmets made of separable parts ; Helmets with movable parts, e.g. adjustable
    • A42B3/326Helmets with movable or separable chin or jaw guard

Landscapes

  • Helmets And Other Head Cover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착용자의 턱 및 입주위를 보호하는 턱부가 구성되어 있는 풀 훼이스 헬멧을 착용한 상태, 즉 풀 훼이스 헬멧을 벗지 않은 상태에서도 오토바이를 정지한 상태에서 대화를 하거나 음료수를 마시거나 담배를 피울 수 있도록 헬멧의 턱부를 개폐가능하게 한 풀 훼이스 헬멧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헬멧은 착용자의 턱 및 입주위를 감싸는 헬멧의 턱부(14)를 본체(12)에 대하여 헬멧 양측의 피봇(13)을 중심으로 하여 회동가능하게 하여 턱부(14)를 필요에 따라 개폐가능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턱부를 개폐가능하게 한 풀 훼이스 헬멧{FULL FACE HELMET WITH THE OPENABLE AND CLOSABLE JAW PART}
본 발명은 오토바이 등을 탈 때 오토바이 운전자가 착용하는 풀 훼이스 헬멧(full face helmet)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전방을 완전히 덮는 풀 훼이스 헬멧을 착용한 상태, 즉 풀 훼이스 헬멧을 벗지 않은 상태에서도 오토바이를 정지한 상태에서 이야기를 하거나 음료수를 마시거나 담배를 피울 수 있도록 헬멧의 턱부를 개폐가능하게 한 풀 훼이스 헬멧에 관한 것이다.
헬멧은 오토바이 등을 탈 때 오토바이 운전자의 머리를 보호하기 위하여 쓰는 것으로서 여러 형태의 것이 있는데 그 중에서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오토바이를 타고 달릴 때 전방으로부터 바람, 비, 눈, 이물체 등이 얼굴에 부딪히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전방에 훼이스 실드(face shield)(1)가 구성되어 있고 착용자의 턱 및 입주위를 보호하는 풀 훼이스 헬멧이 종래 알려져 있다.
훼이스 실드(1)는 헬멧의 본체(2)에 양측면의 피봇(3)을 중심으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착용자가 필요시에 훼이스 실드(1)를 아래로 내려서 안면을 보호할수도 있고, 훼이스 실드(1)를 위로 올려서 안면을 외부에 노출시킬수도 있다.
또한 풀 훼이스 헬멧에는 안전을 위하여 착용자의 턱 및 입의 주위를 감싸는 턱부(4)가 구성되는데 종래에는 상기 턱부(4)가 본체(2)와 일체로 형성되어 고정되어 있었다.
따라서 종래의 풀 훼이스 헬멧은 헬멧을 착용한 상태에서는 입부분이 가려 있기 때문에 옆사람과 대화를 하거나 음료수를 마시거나 담배를 피울 수 없으며, 이와 같은 행동을 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헬멧을 벗어야 하는 불편이 따르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안출된 것으로서, 턱부가 있는 풀 훼이스 헬멧을 착용한 상태에서도 옆사람과 대화를 하거나 음료수를 마시거나 담배를 피우는 등의 행동을 할 수 있는 풀 훼이스 헬멧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풀 훼이스 헬멧은 헬멧의 턱부를 본체에 대하여 헬멧 양측의 피봇을 중심으로 하여 회동가능하게 하여 턱부를 필요에 따라 용이하게 개폐가능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턱부가 본체에 일체로 형성되어 고정되어 있는 종래 풀 훼이스 헬멧의 측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턱부를 개폐가능하게 한 풀 훼이스 헬멧으로서 턱부가 닫혀 있는 상태의 측면도,
도 3은 도 2의 풀 훼이스 헬멧으로서 턱부가 개방되어 있는 상태의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헬멧의 턱부와 본체의 연결부분의 구조의 한 실시예를 나타내기 위한 도 2의 A-A'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
도 5는 도 4에 도시한 본 발명에 따른 헬멧의 턱부와 본체의 연결부분의 구조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11: 훼이스 실드 2, 12: 본체
3, 13, 13': 피봇 4, 14: 턱부
15: 스냅링
12a: 내측 연결부 12aa: 돌기
13'a: 머리부 13'b: 나선부
14a: 외측연결부 14aa: 홈
이하 본 발명을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턱부를 개폐가능하게 한 풀 훼이스 헬멧으로서 턱부가 닫혀 있는 상태의 측면도이고, 도 3은 도 2의 풀 훼이스 헬멧으로서 턱부가 개방되어 있는 상태의 측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헬멧의 턱부와 본체의 연결부분의 구조의 한 실시예를 나타내기 위한 도 2의 A-A'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헬멧의 턱부와 본체의 연결부분의 구조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풀 훼이스 헬멧은 헬멧의 본체(12)의 전방개구부에 훼이스 실드(11)가 양측면의 피봇(13)을 중심으로 회동가능하게 되어 있고 또한 안전을 위하여 착용자의 턱 및 입주위를 감싸는 턱부(14)가 구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턱부(14)는 본체(12)에 대하여 회동가능하게 되어 있는데, 턱부(14)가 회동가능하게 하게 위하여 본 발명은 도 4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본체(12)의 하부 전방부에 반쪽 두께의 내측 연결부(12a)가 형성되어 있고 턱부(14)의 후방부에 반쪽 두께의 외측 연결부(14a)가 형성되어 내측 연결부(12a)와 외측 연결부(14a)가 서로 겹치도록 되어 있다.
또한 본체(12)의 내측 연결부(12a)와 턱부(14)의 외측 연결부(14a)는 피봇(13)에 의하여 회동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피봇(13)은 본체(12)의 내측 연결부(12a)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피봇(13)의 끝단은 턱부(14)의 외측 연결부(14a)를 관통하여 외부로 돌출되어 있는데 스냅링(15)에 의하여 턱부(14)의 외측 연결부(14a)가 이탈하지 않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턱부(14)는 본체(12)에 대하여 회동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본체(12)의 내측 연결부(12a)와 턱부(14)의 외측 연결부(14a)의 접촉면에는 각각 턱부(14)에 일정이상의 외력을 가하는 경우에만 턱부(14)가 회동하도록 다수의 돌기(12aa) 또는 홈(14aa)이 형성되어 있다.
즉 본체(12)의 내측 연결부(12a)의 접촉면에 돌기(12aa)를 형성하는 경우에는 턱부(14)의 외측 연결부(14a)의 접촉면에 홈(14aa)을 형성하고, 내측 연결부(12a)의 접촉면에 홈을 형성하는 경우에는 턱부(14)의 외측 연결부(14a)의 접촉면에 돌기를 형성한다.
상기 돌기(12aa)와 홈(14aa)이 스냅식으로 결합함으로써 턱부(14)는 일정이상의 외력이 가해 지는 경우에만 회동을 하게 된다.
전술한 본체(12)의 내측 연결부(12a)와 턱부(14)의 외측 연결부(14a)가 피봇(13)에 의하여 회동가능하게 연결하는 구조는 다른 구조로도 구성할수 있음은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는 자명하다.
예를 들어 피봇을 본체(12)의 내측 연결부(12a)에 고정시키는 대신에 도 5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피봇(13')을 독립구성품으로 하고 피봇(13')의 외측 끝단에 머리부(13'a)를 형성하고 내측 끝단에 나선부(13'b)를 형성하여 피봇(13')을 외측에서 턱부(14)의 외측 연결부(14a)를 관통시킨 후 본체(12)의 내측 연결부(12a)에 나사결합하도록 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턱부를 개폐가능하게 한 풀 훼이스 헬멧은 다음과 같이 작용한다.
착용자가 통상적으로 오토바이를 타고 달릴 때에는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턱부(14)를 정상적으로 위치시켜 착용자의 턱 및 입주위를 감싸게 한다. 이 상태에서는 본체(12)의 내측 연결부(12a)와 턱부(14)의 외측 연결부(14a)의 접촉면이 스냅식으로 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턱부(14)는 일정이상의 외력을 가하지 않는한 하부로 회동하여 개방되지 않는다.
턱부(14)가 닫혀져 있는 상태에서 착용자가 대화를 하거나 음료수를 마시거나 담배를 피우는 등 입주위를 개방시킬 필요가 있을 때에는 손으로 턱부(14)에 아랫방향으로 일정이상의 외력을 가하여 턱부(14)를 도 3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개방시킨다.
본체(12)의 내측 연결부(12a)와 턱부(14)의 외측 연결부(14a)의 접촉면에는 다수의 돌기(12aa) 또는 홈(14aa)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턱부(14)는 원하는 만큼의 각도로 개방할수 있다.
본 발명의 풀 훼이스 헬멧은 전술한 바와 같이 턱부(14)를 손으로 하향 또는 상향으로 회동시키는 것만으로 용이하게 개폐할수 있기 때문에 착용자가 필요한 경우에 오토바이를 정지한 상태에서 턱부(14)를 아래로 내려 대화를 하거나 음료수를 마시거나 담배를 피우는 등의 행동을 할 수 있고 오토바이를 타고 달리는 등의 통상적인 경우에는 턱부(14)를 위로 올려 착용자의 턱 및 입 주위를 감싸게 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기재된 구체예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내에서 다양하게 변경 또는 변형할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에게는 명백한 것이며, 따라서 그러한 변경 또는 변형은 첨부된 특허청구의 범위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이다.

Claims (3)

  1. 착용자의 턱 및 입주위를 감싸는 헬멧의 턱부(14)를 본체(12)에 대하여 헬멧 양측의 피봇(13)을 중심으로 하여 회동가능하게 하여 턱부(14)를 필요에 따라 개폐가능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풀 훼이스 헬멧.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턱부(14)가 본체(12)에 회동가능하게 하게 위하여 본체(12)의 하부 전방부에 반쪽 두께의 내측 연결부(12a)가 형성되어 있고 턱부(14)의 후방부에 반쪽 두께의 외측 연결부(14a)가 형성되어 내측 연결부(12a)와 외측 연결부(14a)가 서로 겹치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턱부(14)의 외측 연결부(14a)는 피봇(13)에 의하여 본체(12)의 내측 연결부(12a)에 대하여 회동가능하게 연결되어 있고, 그리고 본체(12)의 내측 연결부(12a)와 턱부(14)의 외측 연결부(14a)의 접촉면에는 각각 턱부(14)에 일정이상의 외력을 가하는 경우에만 턱부(14)가 회동하도록 다수의 돌기(12aa) 또는 홈(14aa)이 형성되어 상기 접촉면이 스냅식으로 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풀 훼이스 헬멧.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피봇(13)은 본체(12)의 내측 연결부(12a)와 일체로 형성되어 그 끝단이 턱부(14)의 외측 연결부(14a)를 관통하여 외부로 돌출되어 있고 스냅링(15)에 의하여 턱부(14)의 외측 연결부(14a)가 이탈하지 않도록 되어 있거나, 피봇(13')을 독립구성품으로 하고 피봇(13')의 외측 끝단에 머리부(13'a)를 형성하고 내측 끝단에 나선부(13'b)를 형성하여 피봇(13')을 외측에서 턱부(14)의 외측 연결부(14a)를 관통시킨 후 본체(12)의 내측 연결부(12a)에 나사결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풀 훼이스 헬멧.
KR1020000013845A 2000-03-18 2000-03-18 턱부를 개폐가능하게 한 풀 훼이스 헬멧 KR2000007691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13845A KR20000076911A (ko) 2000-03-18 2000-03-18 턱부를 개폐가능하게 한 풀 훼이스 헬멧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13845A KR20000076911A (ko) 2000-03-18 2000-03-18 턱부를 개폐가능하게 한 풀 훼이스 헬멧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28962U Division KR200183586Y1 (ko) 1999-05-10 1999-12-21 턱부를 개폐가능하게 한 풀 훼이스 헬멧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76911A true KR20000076911A (ko) 2000-12-26

Family

ID=196564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13845A KR20000076911A (ko) 2000-03-18 2000-03-18 턱부를 개폐가능하게 한 풀 훼이스 헬멧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00076911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04449B1 (ko) * 2011-09-29 2012-01-12 박창응 쿨링 용접 헬멧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689836A (en) * 1985-11-05 1987-09-01 Vitaloni Group S.P.A. Headgear for motorcycling and similar activities, with a movable visor and chin guard
KR880003588A (ko) * 1986-09-02 1988-05-28 키안파넬리 마르코 전방 이동 및 회전 이동에 의해 상방으로 올려질 수 있는 턱받이가 장착된 일체 헬멧
EP0334773A1 (fr) * 1988-03-03 1989-09-27 François CHAISE Casque de protection sans jugulaire et système d'amortissement des mouvements du dispositif d'assujettissement des casques sans jugulaire
JPH0314607A (ja) * 1989-05-05 1991-01-23 Agv Spa モータサイクリスト用ヘルメット帽
EP0476591A2 (de) * 1990-09-18 1992-03-25 RÖMER HELME UND SCHUTZAUSRÜSTUNGEN GmbH Schutzhelm
KR930000360A (ko) * 1991-06-26 1993-01-15 다까다 요시유끼 진공 이송장치
JPH0734310A (ja) * 1993-07-19 1995-02-03 Shoei Kako Kk 乗車用ヘルメット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689836A (en) * 1985-11-05 1987-09-01 Vitaloni Group S.P.A. Headgear for motorcycling and similar activities, with a movable visor and chin guard
KR880003588A (ko) * 1986-09-02 1988-05-28 키안파넬리 마르코 전방 이동 및 회전 이동에 의해 상방으로 올려질 수 있는 턱받이가 장착된 일체 헬멧
EP0334773A1 (fr) * 1988-03-03 1989-09-27 François CHAISE Casque de protection sans jugulaire et système d'amortissement des mouvements du dispositif d'assujettissement des casques sans jugulaire
JPH0314607A (ja) * 1989-05-05 1991-01-23 Agv Spa モータサイクリスト用ヘルメット帽
EP0476591A2 (de) * 1990-09-18 1992-03-25 RÖMER HELME UND SCHUTZAUSRÜSTUNGEN GmbH Schutzhelm
KR930000360A (ko) * 1991-06-26 1993-01-15 다까다 요시유끼 진공 이송장치
JPH0734310A (ja) * 1993-07-19 1995-02-03 Shoei Kako Kk 乗車用ヘルメット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04449B1 (ko) * 2011-09-29 2012-01-12 박창응 쿨링 용접 헬멧
CN103027787A (zh) * 2011-09-29 2013-04-10 朴汉喆 冷却焊接头盔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00989B1 (ko) 용접 마스크용 공기 공급장치
JPS6024201B2 (ja) 安全ヘルメツト
AU4547799A (en) Closure with dual hinge means
WO2003010061A3 (en) Hinged tamper evident closure
BR9709609A (pt) Mascara facial com proteção de apoio contra a inalação de fumaça e método de operação
KR0135894B1 (ko) 귀덮개와 입부분 개폐수단을 구비한 마스크
WO2004017776A3 (en) Hat with rotatable brim
JP2501415B2 (ja) ヘルメット
CN110740653A (zh) 头盔
KR200183586Y1 (ko) 턱부를 개폐가능하게 한 풀 훼이스 헬멧
KR20000076911A (ko) 턱부를 개폐가능하게 한 풀 훼이스 헬멧
JP2005292750A (ja) 遮光用インナーフレーム付き眼鏡及びサングラス
JP2000336516A (ja) フルフェースヘルメット
ITMI20000190A1 (it) Casco integrale apribile
US6253378B1 (en) Headwear for team water sports
JP2000033965A (ja) 不正開封防止ヒンジキャップ
US20050268364A1 (en) Sun hat with an enlarged visor
KR100972613B1 (ko) 용접마스크겸용 안면보호구
JP4029418B2 (ja) ヘルメット
KR200362475Y1 (ko) 방한용 귀마개
KR200295966Y1 (ko) 고글 부착형 모자
JP2006055658A (ja) 口呼吸防止具
KR830002316Y1 (ko) 귀마개를 가진 오오토바이용헬멧
JPH0740367Y2 (ja) 保護カバー付き鋏
KR200404751Y1 (ko) 오디오 플레이어(mp3) 기능이 장착이된 오토바이 뮤직 헬멧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8 Du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