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76836A - 음극선관 내파 방지 접착 망사 테이프 및 그의 용도 - Google Patents

음극선관 내파 방지 접착 망사 테이프 및 그의 용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76836A
KR20000076836A KR1020000012446A KR20000012446A KR20000076836A KR 20000076836 A KR20000076836 A KR 20000076836A KR 1020000012446 A KR1020000012446 A KR 1020000012446A KR 20000012446 A KR20000012446 A KR 20000012446A KR 20000076836 A KR20000076836 A KR 2000007683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dhesive
cathode ray
ray tube
tape
hot mel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124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95645B1 (ko
Inventor
가와구치다케오
시오노오사무
담보가즈히코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데라오카 세이사쿠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데라오카 세이사쿠쇼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데라오카 세이사쿠쇼
Publication of KR200000768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768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956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95645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9/00Details of cathode-ray tubes or of electron-beam tubes of the types covered by group H01J31/00
    • H01J29/86Vessels; Containers; Vacuum locks
    • H01J29/87Arrangements for preventing or limiting effects of implosion of vessels or contain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2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ir carriers
    • C09J7/21Paper; Textile fabric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3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 adhesive composition
    • C09J7/35Heat-activated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3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 adhesive composition
    • C09J7/38Pressure-sensitive adhesives [PSA]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400/00Presence of inorganic and organic materials
    • C09J2400/20Presence of organic materials
    • C09J2400/26Presence of textile or fabric
    • C09J2400/263Presence of textile or fabric in the substrat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229/00Details of cathode ray tubes or electron beam tubes
    • H01J2229/87Means for avoiding vessel implosion
    • H01J2229/875Means substantially covering the output face, e.g. resin layers, protective pane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8Web or sheet containing structurally defined element or component and having an adhesive outermost layer
    • Y10T428/2848Three or more lay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42/00Fabric [woven, knitted, or nonwoven textile or cloth, etc.]
    • Y10T442/10Scrim [e.g., open net or mesh, gauze, loose or open weave or knit, etc.]
    • Y10T442/102Woven scrim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42/00Fabric [woven, knitted, or nonwoven textile or cloth, etc.]
    • Y10T442/10Scrim [e.g., open net or mesh, gauze, loose or open weave or knit, etc.]
    • Y10T442/102Woven scrim
    • Y10T442/133Inorganic fiber-containing scrim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42/00Fabric [woven, knitted, or nonwoven textile or cloth, etc.]
    • Y10T442/10Scrim [e.g., open net or mesh, gauze, loose or open weave or knit, etc.]
    • Y10T442/102Woven scrim
    • Y10T442/172Coated or impregnated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42/00Fabric [woven, knitted, or nonwoven textile or cloth, etc.]
    • Y10T442/10Scrim [e.g., open net or mesh, gauze, loose or open weave or knit, etc.]
    • Y10T442/102Woven scrim
    • Y10T442/172Coated or impregnated
    • Y10T442/176Three or more lay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42/00Fabric [woven, knitted, or nonwoven textile or cloth, etc.]
    • Y10T442/10Scrim [e.g., open net or mesh, gauze, loose or open weave or knit, etc.]
    • Y10T442/184Nonwoven scrim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42/00Fabric [woven, knitted, or nonwoven textile or cloth, etc.]
    • Y10T442/10Scrim [e.g., open net or mesh, gauze, loose or open weave or knit, etc.]
    • Y10T442/184Nonwoven scrim
    • Y10T442/198Coated or impregnated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42/00Fabric [woven, knitted, or nonwoven textile or cloth, etc.]
    • Y10T442/20Coated or impregnated woven, knit, or nonwoven fabric which is not [a] associated with another preformed layer or fiber layer or, [b] with respect to woven and knit, characterized, respectively, by a particular or differential weave or knit, wherein the coating or impregnation is neither a foamed material nor a free metal or alloy layer
    • Y10T442/2041Two or more non-extruded coatings or impregnat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42/00Fabric [woven, knitted, or nonwoven textile or cloth, etc.]
    • Y10T442/20Coated or impregnated woven, knit, or nonwoven fabric which is not [a] associated with another preformed layer or fiber layer or, [b] with respect to woven and knit, characterized, respectively, by a particular or differential weave or knit, wherein the coating or impregnation is neither a foamed material nor a free metal or alloy layer
    • Y10T442/2041Two or more non-extruded coatings or impregnations
    • Y10T442/2049Each major face of the fabric has at least one coating or impregna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42/00Fabric [woven, knitted, or nonwoven textile or cloth, etc.]
    • Y10T442/20Coated or impregnated woven, knit, or nonwoven fabric which is not [a] associated with another preformed layer or fiber layer or, [b] with respect to woven and knit, characterized, respectively, by a particular or differential weave or knit, wherein the coating or impregnation is neither a foamed material nor a free metal or alloy layer
    • Y10T442/2041Two or more non-extruded coatings or impregnations
    • Y10T442/2049Each major face of the fabric has at least one coating or impregnation
    • Y10T442/2057At least two coatings or impregnations of different chemical composi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42/00Fabric [woven, knitted, or nonwoven textile or cloth, etc.]
    • Y10T442/20Coated or impregnated woven, knit, or nonwoven fabric which is not [a] associated with another preformed layer or fiber layer or, [b] with respect to woven and knit, characterized, respectively, by a particular or differential weave or knit, wherein the coating or impregnation is neither a foamed material nor a free metal or alloy layer
    • Y10T442/2738Coating or impregnation intended to function as an adhesive to solid surfaces subsequently associated therewith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42/00Fabric [woven, knitted, or nonwoven textile or cloth, etc.]
    • Y10T442/20Coated or impregnated woven, knit, or nonwoven fabric which is not [a] associated with another preformed layer or fiber layer or, [b] with respect to woven and knit, characterized, respectively, by a particular or differential weave or knit, wherein the coating or impregnation is neither a foamed material nor a free metal or alloy layer
    • Y10T442/2738Coating or impregnation intended to function as an adhesive to solid surfaces subsequently associated therewith
    • Y10T442/2754Pressure-sensitive adhesiv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42/00Fabric [woven, knitted, or nonwoven textile or cloth, etc.]
    • Y10T442/20Coated or impregnated woven, knit, or nonwoven fabric which is not [a] associated with another preformed layer or fiber layer or, [b] with respect to woven and knit, characterized, respectively, by a particular or differential weave or knit, wherein the coating or impregnation is neither a foamed material nor a free metal or alloy layer
    • Y10T442/2926Coated or impregnated inorganic fiber fabric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42/00Fabric [woven, knitted, or nonwoven textile or cloth, etc.]
    • Y10T442/20Coated or impregnated woven, knit, or nonwoven fabric which is not [a] associated with another preformed layer or fiber layer or, [b] with respect to woven and knit, characterized, respectively, by a particular or differential weave or knit, wherein the coating or impregnation is neither a foamed material nor a free metal or alloy layer
    • Y10T442/2926Coated or impregnated inorganic fiber fabric
    • Y10T442/2992Coated or impregnated glass fiber fabric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Vessels, Lead-In Wires, Accessory Apparatuses For Cathode-Ray Tubes (AREA)
  • Adhesive Tapes (AREA)
  • Adhesives Or Adhesive Processes (AREA)
  • Joining Of Glass To Other Materials (AREA)

Abstract

내파 방지 망사 테이프는 열 용융 접착제를 가진 망사형 편물 메트릭스의 표면을 덮고 및 그 후 누르기만 해도 잘 붙는 접착제로 코팅하므로써 구성된다. 그것에 의하여 상기는 섬유 메트릭스의 표면들이 금속 죔 밴드와 유리 패널과의 직접적인 접촉으로 내파 방지 구조를 가진 음극선관을 얻는 것이 가능하다.

Description

음극선관 내파 방지 접착 망사 테이프 및 그의 용도{CATHODE-RAY TUBE IMPLOSION-PROOF ADHESIVE MESH TAPE AND USES THEREFOR}
본 발명은 음극선관(이하, "CRT"라 함)의 내파를 방지하기 위한 접착 망사 테이프와 내파 방지 방법 및 내파 방지 음극선관에 관한 것이다.
변형이 관(tube) 내측에서 유지된 극도의 진공상태로 균일한 형상을 가진 음극선관의 벽에서 발생되기 때문에, 역변형은 음극선관의 전방에서 충격으로 인하여 발생되고, 극단적인 경우에 상기는 음극선관 외부 표면의 팽창 및 결국 파괴를 일으킨다. 텔레비젼 수상기에서 사용된 음극선관용 전류 내파 방지 시스템들은 관의 외부 표면위에 금속 죔쇠 밴드(band)를 사용하므로써 강화를 이룰 수 있다.
그러한 시스템에서, 상기는 음극선관의 표면에 효율적으로 이송될 죔쇠 밴드의 죔 강도를 위해 필요하고, 및 효율적이고 강한 접착 부재의 상기 목적을 위해 죔 밴드의 내측과 음극선관의 표면 사이에 놓여야 한다. 그러한 효율적인 접착 부재의 준비 없이, 밴드의 죔은 음극선관 표면의 만곡(彎曲)으로 인하여 밴드의 미끄러짐을 초래하고, 따라서 강화 효과를 떨어뜨리고, 또는 음극선관 표면과 밴드의 직접 접촉이 표면에 국부 마모 부분을 일으켜 손상을 입히고, 또는 전체 팽창으로 신장이 받침대와 같은 코너를 가진 음극선관의 외부 표면에서 발생하고, 따라서 만족스러운 내파 방지 기능이 더 이상 나타나지 않은 단점을 보일 것이다.
한편, 만약 효과적인 접착 부재가 존재한다면, 음극선관 전방에서 크랙의 발생은 충격을 받을 때에도 방지된다. 설령 크랙이 상기 부분에서 발생되더라도, 크랙과 함께 발생되는 외부 표면에서 팽창은 크랙 주변의 단지 매우 국한된 부분에서 밴드를 연장하는 힘에 의해 제한을 받고, 및 따라서 크랙은 죔 밴드하에 직접적으로 중지되고 및 파괴는 또한 방지된다. 설령 음극선관이 파괴될 지라도, 파편들이 죔 밴드와 접착하여 매달려, 파괴된 유리 조각들의 흩어짐은 완전 무결하게 최소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내파 방지 접착제로써, 본 발명은(테라오까 세이사꾸쇼 케이.케이) 이미 개발되었고 및 규정된 강도를 가진 베이스(base)의 일 측위에 열 용융 접착제을 사용하고 및 다른 측부 위에 누르기만 해도 잘 붙는 접착제를 사용하므로써 준비된 접착 테이프를 나타내었다(일본 특허 공개평(고고꾸) 제 63-24291호). 또한 상기 발명은 열 용융 레진(resin)으로 만들어진 테이프 메트릭스(tape matrix)의 양 측위에 제공된 누르기만 해도 잘 붙는 접착 층으로 규정된 입자 크기의 무기물 과립상을 채우므로써 준비된 접착 테이프를 나타내고 있다(일본 특허 공개평(고고꾸) 제 1-43791호). 추가로 상기 발명은 천연 또는 뒤틀림 구성 성분으로써 인조 섬유 및 직물 구성 성분으로써 유리 필라멘트(glass filament)를 사용한 단일 편물인 베이스(base) 메트릭스의 일 측위에 열 용융 접착 층을 및 다른 측 위에 누르기만 해도 잘 붙는 접착 층을 형성하므로써 준비된 접착 테이프를 나타내었다(일본 특허 공개평 제 5,478,639호).
상기 내파 방지 테이프가 음극선관의 내파를 방지하기 위해 현재 폭 넓게 사용될 지라도, 그들 모두는 열 용융 접착 층 또는 연속 레진 필름의 베이스로 만들어진 전체 표면 위로 누르기만 해도 잘 붙는 접착 층을 사용하므로써 준비된 보통 접착 테이프들(또는 점착성 또는 누르기만 해도 잘 붙는 접착 테이프들)이다.
도 1은 상기 형태의 내파 방지 접착 테이프를 사용하여 내파 방지된 음극선관의 일례를 나타내었다. 금속 죔 밴드(3)는 접착 테이프(2)를 거쳐 유리 음극선관 (1)의 측벽의 원주 둘레에 수축하여 맞추어져 있다. 상기 음극선관은 금속 죔 밴드 (3) 위에 장착된 피팅 피이스(fitting piece)(4)에 의해 텔레비젼 수상기 또는 모니터 케이싱(미도시)내에 장착되어 있다. 도 2는 더욱 상세한 종래 음극선관의 일례에 대한 외부 도면을 나타내었다. 상기 음극선관은 깔때기 유리(5)와 백옥유 유리(7)를 가진 유리 패널(panel)(6)을 서로 결합하므로써 형성된다. 상기 금속 죔 밴드(3)는 팽창 및 삽입을 위해 항복점 근처까지 가열하므로써 스텝 둘레에 맞춰지고 및 그 후 강화를 제공하기 위해 수축 력으로 죄기 위한 냉각을 허용한다.
음극선관 크기 증가와 최근에 디스플레이의 폭 넓은 사용으로, 일반적인 보통 음극선관의 구형 표면 패널 형상은 거의 평평한 만곡을 가진 패널을 사용하는 완전히 평평한 표면 형상 또는 평평한 표면 형태 음극선관들로 점차적으로 대체되어지고 있다. 그러한 평평한 패널들은 외부 반사가 없고 및 정전기를 제거하기 위한 전기전도 작업 또는 반섬광 작업과 같은 용이한 표면 작업을 허용하는 장점을 가지며, 따라서 그들의 제품은 큰 사이즈의 관 및 디스플레이 관을 위해 증가되고 있다.
평평한 패널들은 그들의 패널 구조 때문에 종래 패널보다 더 높은 외측 표면을 가지며, 예를 들면, 정점과 같은 표면 방향을 가진 스퀘어 피라미드와 같을 정도로 패널 제품은 종래 1°내지 5°에서 외부 원주 측 각에 대해 증가를 필요로한다.
종래 패널에 관계하여 패널 외측의 증가된 높이로 인하여, 음극선관 캐비닛 위의 돌출부 장착 위치는 종래 구형 음극선관보다 훨씬 앞쪽이어야 하고, 및 돌출부가 금속 죔 벤드에 용접되기 때문에, 상기는 전술된 주형 정합 라인에서 처럼 임의의 그러한 체결 포인트 없이 및 큰 각을 가진 패널 외측 표면의 전방 근처 부분에서 효과적인 내파 방지 강화에 필수이다.
종래 접착 층을 가진 내파 방지 테이프가 상기 부분에 적용될 때, 상당한 미끄러짐이 가열에 의해 팽창되어진 죔 밴드의 냉각 수축에 의해 발생된 죔 힘으로 인하여, 및 그의 용융시 내파 방지 테이프 접착의 유동으로 인하여 발생하고, 격심한 경우, 강화 밴드가 부자유스럽게 내파 방지 테이프와 함께 떨어진다.
본 발명은, 상기 기술된 문제들을 극복하기 위한 성실한 연구와 음극선관을 위한 내파 방지 테이프의 특성의 고찰의 결과로써, 음극선관 내파 방지 테이프에 적합한 필수적인 필수불가결한 요소들을 구성하므로써 경제적이고, 및 개선된 슬립특성을 제공하는 완전히 새로운 구조를 구비한 음극선관 내파 방지 테이프의 연속적인 개발을 염두해 두고 있다.
따라서 불필요한 구성 요소없이 단지 음극선관 내파 방지에 적합한 필수적인 필수불가결한 요소들을 구성하는 경제적인 음극선관 내파 방지 테이프, 및 우수한 슬립(slip) 특성을 가진 필수 접착 특성 뿐만 아니라 내파 방지 방법 및 상기 테이프를 사용한 내파 방지 음극선관을 제공하는 것이 본 발명의 목적이다.
상기 목적을 성취하기 위한 많은 성실한 연구의 결과로써, 본 발명가들은 다음과 같은 발견으로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금속 죔 밴드와 음극선관사이의 미끄러짐 원인은 음극선관의 유리와 함께 결합하는 열 용융 접착제와 금속 죔 밴드, 음극선관에 내파 방지 테이프의 부착을 위한 누르기만 해도 잘 붙는 접착 층, 또는 열 용융 접착제로 덮혀있는 테이프 물질이 연속적으로 층을 이루고 있는 사실이다. 적은 양의 열 용융 접착제는 금속 죔 밴드와 음극선관을 서로 결합하기에 충분하고, 및 따라서 불필요한 양의 연속 필름 같은 접착 테이프가 종래 기술에 따라서 사용되었다. 비연속 분산 상태의 과립상 대신 적당한 편물형 베이스 메트릭스는 금속 죔 밴드와 음극선관사이에 미끄러짐 및 음극선관 표면에 대한 손상을 방지하기에 적당하다. 또한, 상기는 만약 음극선관 내파 방지 망사 테이프가 테이프 물질과 같은 망사형 편물을 사용하고 또는 망사형 물질에 단지 절대적으로 최소 필요한 양의 열 용융 접착제 및 누르기만 해도 잘 붙는 접착제를 붙이고 적용시키므로써 구축된다면, 음극선 내파 방지 테이프는 단지 절대 최소 필요한 요소를 구성할 것이며, 따라서 불필요한 재료의 제거로 비용 절감과 무게 경량화뿐만 아니라 더욱 우수한 수행을 위한 상기 여분의 구성물에 의해 다른 기능의 억제를 피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다음을 제공한다.
(1) 첫 번째 및 두 번째 주요 표면을 가진 망사 형태인 방사(紡絲) 편물,
상기 편물의 모든 또는 일부 표면위에 제공된 열 용융 레진, 및
상기 편물의 상기 첫 번째 주요 표면위에 배치된 누르기만 해도 잘 붙는 접착제를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극선관의 내파 방지를 위한 접착 망사 테이프.
(2) (1)에 있어서, 상기 열 용융 레진과 상기 누르기만 해도 잘 붙는 접착제의 전체 부피는 상기 편물의 개방 공간의 부피보다 적으므로, 모든 상기 열 용융 레진과 상기 누르기만 해도 잘 붙는 접착제가 상기 접착 망사 테이프가 음극선관과 금속 죔 밴드사이에 죄어질 때 상기 편물의 상기 개방 공간에 결합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착 망사 테이프.
(3) (2)에 있어서, 상기 열 용융 레진과 상기 누르기만 해도 잘 붙는 접착제의 전체 부피는 상기 편물의 개방 공간의 4분의 3 부피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착 망사 테이프.
(4) (3)에 있어서, 상기 열 용융 레진과 상기 누르기만 해도 잘 붙는 접착제의 전체 부피는 상기 편물의 개방 공간의 2분의 1 부피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착 망사 테이프.
(5) (1)-(4)에 있어서, 상기 편물의 씨실은 적어도 유리 방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착 망사 테이프.
(6) (1)-(5)에 있어서, 상기 편물의 최소한의 부분이 검은색으로 채색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착 망사 테이프.
(7) (1)-(6)에 있어서, 상기 편물은 압축 파괴 강도가 5kgf/cm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착 망사 테이프.
(8) (1)-(7)에 있어서, 상기 편물은 25mm 당 5 내지 50 방사의 범위인 밀도로 씨실과 날실을 구성하고 및 상기 방사는 50 내지 1300 데니어인 두께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착 망사 테이프.
(9) (1)-(8)에 있어서, 상기 열 용융 레진은 5 내지 40 g/m2의 양으로 상기 편물위에 코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착 망사 테이프.
(10) 내파를 방지하기 위해 음극선관을 강화하기 위한 방법으로, 상기 방법은,
투명 전기 전도 필름으로 덮어 씌워지고 및 주변부를 구비한 음극선관을 준비하고,
음극선관의 주변 부 위의 전체 또는 일부를 청구항 1에 따른 접착 테이프로 감고, 및
60℃ 이상의 온도로 금속 죔 밴드를 가열하고 및 접착 테이프 둘레 금속 죔 밴드를 놓고 및 그 후 금속 죔 밴드에 의해 관의 주변 부에 접착 테이프를 고정하기 위한 금속 죔 밴드를 냉각시키므로써 관의 주변 부 둘레에 및 접착 테이프 최상부 위에 금속 죔 밴드를 가진 음극선관을 죄는 방법을 구성하였다.
(11) (10)에 있어서, 상기 음극선관은 평평한 전방 표면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2) (11)에 있어서, 상기 음극선관의 주변 부는 5°이상의 경사각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3) 투명 전기 전도 필름으로 덮어 씌워지고 및 주변 유리 부분을 구비한 음극선관 본체,
상기 관의 주변 부 둘레에 감긴 금속 죔 밴드, 및
거의 모든 상기 편물의 방사가 상기 관의 유리 표면 및/또는 상기 금속 죔 밴드의 금속 표면과 직접 접촉한 상태이고 및 상기 관의 유리 표면과 상기 금속 죔 밴드는 상기 편물 방사 사이를 관통하거나 관통하지 않은 열 용융 레진으로 서로 결합된 것으로, 상기 음극선관과 상기 금속 죔 밴드사이에 놓인 제 1에 따른 접착 망사 테이프를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극선관.
(14) (13)에 있어서, 상기 음극선관은 평평한 전방 표면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극선관.
(15) (14)에 있어서, 상기 음극선관의 주변 부는 5°이상의 경사각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극선관.
도 1은 종래 음극선관의 내파 방지 강화에 대한 개략적인 설명도이고,
도 2는 종래 음극선관의 내파 방지 강화에 대한 외부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망사형 섬유 편물 메트릭스를 구비하고, 평평한 표면 관을 위한 내파 방지 접착 테이프의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평평한 표면에 적합한 내파 방지 강화에 대한 외부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평평한 표면에 적합한 내파 방지 강화에 대한 부분 확대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내파 방지 강화에 적합한 구조의 확대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음극선관 내파 방지 망사 테이프를 위해 사용된 기질(基質) 또는 뒷받침은 망사형 편물이다. 만약 일본 특허 공개평 제 1-43791에 나타내어진 것과 같은 무기물 과립상이 금속 죔 밴드와 음극선관 유리사이의 미끄러짐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된다면, 거기에는 음극선관의 측벽과 상당한 각을 이루어 미끄러짐으로 인한 유리의 손상 위험이 있고, 및 과립상은 테이프가 열 용융 접착제(레진 필름)의 연속 층 없이 구축될 수 없기 때문에 본 발명의 테이프를 위해 바람직하지 않다. 바람직하게 편물은 짜여진 편물이지만, 상기는 한 개일 동안은 짜여지지 않은 편물일 수 있다.
기질을 구성하는 편물은 금속 죔 밴드와 음극선관사이의 압력과 온도에 견딜 수 있는 한 특별하게 제약받지 않는다. 특히, 금속 죔 밴드가 수축하여 맞추어질 때, 상기는 수 초 내지 수 분동안, 5-40 kgf/cm2의 압력 및 일반적으로 200℃ 이상, 및 보통 450-650℃의 열에 영향을 받는다. 따라서 상기는 만약 편물이 금속 죔 밴드와 음극선관 사이의 직접 접촉을 방지하고 및 유지하기 위해 그러한 압력과 열을 견딜 수 있다면 충분하다. 예를 들면, 사용된 편물의 방사는 단일 필라멘트 또는 다중 필라멘트의 유리 섬유, 레이온 섬유, 폴리에스테르 섬유, 비뇬 섬유, 아세테이트 섬유, 아크릴 섬유등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음극선관 내파 방지 망사 테이프는 금속 죔 밴드가 장착된 패널의 외부 주변 측이 상기에 기술된 평평한 패널형 음극선관과 같이 평평한 경우에 사용되고, 또는 상기는 종래 음극선관과 같이 음극선관의 주형 정합(整合) 라인(돌출부) 위에서 사용될 수 있다. 후자의 경우에, 15 kgf/cm2이상의 압력이 모서리 부분에서 30 kgf/cm2이상의 압력과 함께, 및 또한 밴드 용접 부 또는 손잡이 장착 부위에 상당한 응축 응력이 보통 적용되기 때문에, 상기는 수축 맞춤동안 상기에 언급된 것 처럼, 단계 부분이 압력과 열에 영향을 받은 후 파괴에 저항할 편물을 위해 요구된다. 상기 목적을 위해, 압축 파괴 강도 값은 바람직하게 5 kgf/cm 이상이다.
본 발명에 따라서, 내파 방지 접착 테이프의 "측면 압축 파괴 강도"는 아래에 기술된 측정 방법을 통해 접착 테이프를 위해 측정된 것으로써 0.5mm 및 20 kgf/cm2x 10초의 선상 단계의 조건하에 압력 적용 후 씨실 방향에서 인장강도로써 정의되었다. 상기 "측면 압축 파괴 강도"는 JIS Z 0237(6. 인장강도 및 연신율)에 따라서, 10 mm 폭 x 150mm 길이 시험편을 준비하였고, 대용 선상 단계에서와 같이 0.5mm의 게이지와 10mm의 길이를 가진 피아노 선을 사용하고, 시험편의 날실 방향에 평행한 피아노 선을 설정하고, 시험편 측에서 20 kgf/cm2x 10초의 조건하에 하중 또는 대기압을 가진 압력을 적용하고, 10mm x 10mm 평방 접촉 팁을 가진 피스톤을 구비하고, 및 압력 적용 후 시험 편의 씨실 방향에서 인장강도를 측정하여, 세로 방향과 같이 씨실 방향으로 측정되었다.
짜여진 편물의 경우에서, 편물 기질의 밀도는 날실 및 씨실이 25mm 당 5 내지 50 가닥의 범위이고, 및 짜기는 평직 짜기 또는 면직물 짜기와 같은 천 개구들을 유지하는 짜는 방법에 의해 바람직하게 이루어진다. 5 가닥 이하의 밀도는 방사 닳아 해어짐 또는 직물의 손실을 초래하고, 및 상기는 음극선관의 내파에 대항한 충분한 강도를 얻는 것을 불가능하게 한다. 반대로, 50 가닥 이상에서는, 방사를 덮는 레진이 레진 또는 누르기만 해도 잘 붙는 접착제를 덮는 부근으로부터 충분하게 분리되지 않을 것이고 및 금속 죔 밴드와 죄어질 때 보다 큰 보통 온도 유동성을 초래하고, 상기는 의도된 미끄럼 방지 효과를 달성하고 및 감소된 강화 효과로 인하여 바람직한 죔 위치에서 강화를 방지하는 것을 불가능하게 만드는 층을 형성할 것이다. 또한 상응한 무게(기본 중량)는 짜이지 않은 편물에 대해서 적당하다.
짜여진 편물의 경우에서, 날실/씨실 가닥의 두께는 50-1300 데니어의 범위가 적절하다. 두께가 1300 데니어을 초과한다면, 편물의 두께는 증가하고, 필요 이상의 증가로 수축 맞춤시 금속 죔 밴드의 내부 주변 길이를 위해 상기를 필요하게 만들고, 및 가능한 상기는 효과적인 죔 력을 이루는 것을 불가능하게 만든다. 50 데니어 이하에서, 상기는 충분한 미끄럼 방지 특성, 압축 파괴 강도 또는 쿠션 효과를 얻는 것을 불가능하게 한다.
금속 강화 밴드와 CRT 패널을 결합하기 위해 사용된 열 용융 접착제는 먼지 접착과 같은 외형의 문제를 방지하는 관점에서 40℃까지의 온도에서 조차 점착성이 없는 것들, 및 덮는 접착제들이 연질이고 및 용융되고, 금속 죔 밴드의 위치 치환 및 접착을 방지하는 관점에서, 450-650℃에서 가열 팽창되고 및 그 후 수축을 위해 냉각을 허용하는 금속 죔 밴드가 접착제와 접촉할 때 접착성을 나타내는 것들 중에서 선택된다. 비록 거기에는 그러한 수행을 나타내는 열 용융 레진 층을 제공하는 한 그의 재료에 있어서 특별한 제약은 없고, 상기는 바람직하게 50-300℃의 범위에서 융점을 가진 열 용융 레진이고, 및 특히 거기에는 언급된 폴리올레핀기, 폴리스티렌기,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기, 폴리우레탄기 및 폴리에스테르기 샘플, 혼합된 또는 공중합체 레진일 수 있고, 만약 혼합물로써 필요하다면 부가 레진 또는 다양한 산화 방지제, 채색제 또는 충진제가 첨가된다.
만약 열 용융 레진의 융점이 50℃ 이하이면, 상기는 미끄럼 방지 특성이 적당하게 나타나지 않는 보통 온도에서 조차도 유동체가 될 것이다. 만약 융점이 300℃ 이상이다면, 열 용융 레진은 가열된 밴드의 온도가 300℃ 아래로 즉시 떨어지는 것 처럼 충분한 용융 속도를 갖지 못할 것이고, 및 상기는 패널과 밴드사이의 부적절한 접착을 이루게한다.
편물 기질을 덮고 있는 열 용융 접착제(레진)의 범위는 바람직하게 5 g/m2내지 40g/m2의 범위이고, 및 상기 범위는 더욱 바람직하게 15g/m2이다. 만약 상기 범위가 5 g/m2이하이면, 금속 죔 밴드를 가진 접착 력은 음극선관 내파의 경우에 유리 필라멘트를 유지하기 위한 부족한 능력으로 낮은 결과를 초래할 것이고, 및 만약 상기가 40 g/m2이상이다면, 미끄럼 방지 효과는 편물의 밀도가 날실과 씨실이 50 가닥을 초과하는 경우의 발생으로 감소될 것이고, 및 상기는 죔 또는 강화 효과를 감소시킨다.
편물 기질을 덮는 열 용융 접착제가 수축 맞춤시 용융으로 유동화가 되기 때문에, 상기는 열 용융 접착제가 방사에 부착되는 것이 충분하고 및 방사의 전체 표면을 덮을 필요가 없고 단지 부분으로 그들을 덮고, 한편 덮는 위치는 편물의 주요 표면 위(금속 죔 밴드와 접촉하는 표면)에 있어서 필수적으로 필요하지 않고 제한되지 않는다. 추가로, 상기는 모든 편물 요소를 동일한 방법으로 덮을 필요가 없고, 및 예를 들면, 접착제는 단지 결합 편물의 씨실을 덮는다. 그러나, 대부분의 경우에서, 상기는 덮히게 될 방사의 전체 표면에 대해서, 또는 덮히게 될 금속 죔 밴드와 접촉하는 편물의 측부 위의 표면에 대해서 바람직하다.
패널 위로 처음 부착을 위해 사용된 누르기만 해도 잘 붙는 접착제는 보통 온도(10-40℃)에서접착을 나타내고, 및 그의 둘레를 감쌀 때 음극선관의 외부 주변에 쉽게 부착하고, 및 상기는 모서리 부분 또는 단부 결합부에서 조차도 벗겨짐 또는 거품이 발생되지 않는다. 상기 특성들은 비용, 결합 및 접착의 관점에서, 및 또한 열 용융 접착제를 덮는 표면과 망사형 편물 기질의 탄성계수와 균형을 고려하여, 결합 레진 또는 교차 결합제등으로 결합이 필요할 때, 고무기, 아크릴기 및 실리콘기 레진 접착제 중에서 선택되어진다.
누르기만 해도 잘 붙는 접착제가 금속 죔 밴드의 수축 맞춤전 음극선관에 테이프의 누르기만 해도 잘 붙는 접착을 위해 사용되기 때문에, 상기는 음극선관을 접촉하는 테이프 기질의 측부 위에 나타내어져야 한다. 또한 상기는 음극선관을 접촉하는 측 반대 측 위에 나타낼 수 있지만, 이것은 필요하지 않고 및 상기는 테이프가 음극선관 패널의 외부 주변 둘레에 감싸진 후 오물 부착과 같은 문제를 발생시키는 위험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본 발명의 음극선관 내파 방지 망사 테이프에서, 망사형 기질의 양 표면들 사이에 개구의 공간 부피에 대한 열 용융 접착과 누르기만 해도 잘 붙는 접착의 전체 덮는 부피의 비율은 1 보다 적고, 및 만약 가능하다면 3/4 이하이고, 더욱 바람직하게 2/3 이하이고, 및 특히 1/2 이하이다. 만약 상기 비율이 적당하게 낮다면, 열 용융 접착제 및 누르기만 해도 잘 붙는 접착제는 금속 죔 밴드를 가진 수축 맞춤시 망사형 기질의 개구부로 결합될 것이며, 따라서 금속 죔 밴드의 미끄러짐 방지를 가능하게 만들 것이다. 상기 비율은 바람직하게 망사형 기질의 개구 내부로 열 용융 접착제 또는/및 누르기만 해도 잘 붙는 접착제의 더욱 좋고 더욱 신뢰할 만한 결합을 허용하기 위해서, 또는 편물이 압축 변형을 받을 경우 더 작아야 한다. 그러나, 만약 상기 비율이 낮고 및 열 용융 접착제의 양이 너무 작다면, 금속 죔 밴드와 음극선관의 결합력은 약할 것이며, 및 따라서 더 큰 비율이 열 용융 접착제와 누르기만 해도 잘 붙는 접착제가 망사형 기질의 개구부 내로 결합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바람직할 수 있다. 따라서, 실제 사용을 위해, 상기는 적절한 것으로써 선택되는 비율이 바람직하다. 음극선관 패널의 외측의 경사각이 크지 않을 때, 내파 방지 테이프와 같은 적당한 기능은 설령 비율이 1 이상이었더라도 얻어질 것이다.
비율은 망사형 편물 기질의 개구부 크기 또는 편물의 밀도, 및 레진의 범위등에 의해 용이하게 조절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내파 방지 망사 테이프를 구성하는 메트릭스 섬유, 열 용융 접착제 및 누르기만 해도 잘 붙는 접착제는 바람직하게 검게 채색되었다. 상기는 음극선관 패널의 외부 주변 부를 통하여 들어오는 빛을 차단할 것이고, 및 음극선관 패널의 주변 둘레 불충분한 외형을 제거할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음극선관 내파 방지 망사 테이프의 실시예에 대한 도시학적 설명도이다. 기질은 날실(11, 12)과 씨실(13)로 단일 편물을 구성하고, 여기에서 상기 날실(11, 12)들은 씨실(13)들 사이로 얽히게 된다. 상기 씨실은 전체 표면이 열 용융 접착 층(15)으로 덮혀 있는 단일 필라멘트 또는 스펀 얀(14)이고, 편물의 하부 표면은 누르기만 해도 잘 붙는 접착제(16)로 덮혀있다. 도 3의 설명에서, 열 용융 접착제 및 누르기만 해도 잘 붙는 접착제는 단지 씨실에 부착되지만, 실제 사용에 있어서 그들은 날실에 부착될 수 있고, 및 더욱 특별하게, 보통 형태는 씨실과 날실로 짜여진 편물을 형성한 후 전체 표면을 덮는 열 용융 접착제를 구비하며, 누르기만 해도 잘 붙는 접착제는 짜여진 편물 주요 표면의 하나에 부착된다.
도면에서 나타낸 것 처럼, 망사형 테이프 개구부의 크기가 충분하게 크기때문에, 열 용융 레진 및 누르기만 해도 잘 붙는 접착제는 편물 기질의 표면이 금속 죔 밴드와 음극선관 유리와 직접 접촉하여 노출되도록 둘 다 가열된 금속 죔 밴드와 수축 맞춤시 즉시 용융되고 및 개구부 내로 이동하고, 따라서 레진으로 인하여 금속 죔 밴드의 미끄러짐이 방지된다.
거기에는 본 발명의 내파 방지 접착 테이프의 제조 방법에 대한 특별한 제약은 없고, 및 예를 들면, 편물의 코팅은 에어 닥터(air doctor), 블래드 코팅기, 주입, 리버스 코팅기, 그라비어 코팅기, 키스 코팅기, 스프레이 코팅, 슬롯 오리피스 코팅기, 압출 코팅기 등을 사용하여 실행할 수 있고, 및 바람직하게 망사형 편물은 솔밴트내에 용해된 전술한 열 용융 접착제 용액내에 담김으로써 코팅되고, 누르기만 해도 잘 붙는 접착제는 그라비어 롤 등으로 편물의 일 측위에 적용되고, 및 그 후 채워지고 및 요구된 폭으로 절단된다. 다른 방편으로, 편물 요소는 열 용융 접착제로 첫 번째 코팅되고, 및 그 후 짜여진 편물로 준비되고, 누르기만 해도 잘 붙는 접착제로 코팅되어진다. 만약 필요하다면, 또한 실리콘기 또는 비 실리콘기 릴리스제가 누르기만 해도 잘 붙는 접착제 측으로부터 반대 측 위에 코팅된다.
얻어진 내파 방지 접착 테이프는 롤 위로 감기고 및 사용을 위해 공급된다.
본 발명의 내파 방지 접착 망사 테이프는 누르기만 해도 잘 붙는 접착제를 가진 음극선관 패널의 외측에 부착되고, 및 열 팽창된 금속 죔 밴드는 뒷 측위의 열 용융 접착제 위로 맞추어지고 및 그 후 냉각되고 및 내파 방지와 안전한 맞춤을 이루도록 수축 맞춤을 위해 수축된다.
상기에 설명된 것 처럼, 금속 죔 밴드가 본 발명에 따른 내파 방지 접착 망사 테이프를 통하여 상기 방법으로 수축 맞추어지는 음극선관에서, 열 용융 접착제와 누르기만 해도 잘 붙는 접착제의 전체 양이 규정된 양 이하일 때, 편물 기질의 표면이 금속 죔 밴드와 음극선관 유리와 직접 접촉하는 미끄럼 방지 구조를 가진 내파 방지 음극선관을 제조하기 위해 그들은 망사형 편물 기질의 개구부 공간내로 결합된다. 편물 기질의 전체 표면 또는 대부분(대부분:절반 이상)의 표면이 금속 죔 밴드와 유리 표면과 직접 접촉하는 구조는 종래 내파 방지 테이프로 이루어질 수 없다. 여기에서, 직접 접촉 수단은 열 용융 접착제가 사이에 놓인 종래 기술에 따른 것 보다 더 좋은 미끄럼 방지 효과를 나타내었다.
그러나, 본 발명의 내파 방지 망사 테이프는 평평한 패널 뿐만 아니라 종래 굽어진 패널에도 적용될 수 있다. 특히 돌출 부분에 적용될 때, 약간의 경우에서, 거의 모든 편물 기질 표면은 금속 죔 밴드 또는 유리 표면에 직접 접촉되지 않는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평평한 표면 음극선관의 내파 방지 강화의 외부 도면이고, 및 도 5는 그의 부분 확대 도면이다. 상기 설명에 있어서, 도 2에 일치한 부분들이 동일한 인용 부호로 지시되었다. 도 4는 패널(6)의 전방 측이 평평하고, 금속 죔 밴드(3)가 주형 정합 라인(8) 위가 아닌 패널(6)의 평평한 외측위에 장착되고, 및 평평한 패널의 외측 경사각(α)이 종래 구형 패널(약 1°)의 경우 보다 큰(약 5°)점에서 도 2와 구별된다.
도 5는 맞추어지기 바로 전 금속 죔 밴드(3)의 상태에 대한 도시학적 설명도이다. 본 발명의 내파 방지 망사 테이프(10)는 편물 기질(14), 열 용융 접착제(15) 및 그의 표면을 덮는 누르기만 해도 잘 붙는 접착제(16)를 구성한다.
도 6은 금속 죔 밴드가 내파 방지 망사 테이프를 통하여 수축 맞추어진 후 구조를 나타낸 도시학적 설명도이다. 도 6에서 금속 죔 밴드(3)와 유리 패널(4)은 서로 직접 접촉한 상태인 내파 방지 망사 테이프(10)의 기질을 형성하는 편물(14)의 방사를 끼우고, 및 열 용융 접착제(15)와 누르기만 해도 잘 붙는 접착제(16)는 사이에 놓인 편물 기질과 함께 또는 상관 없이, 망사 기질의 개구부 내부로 결합하고 및 금속 죔 밴드(3)와 유리 패널사이에 결합을 형성하는 완전체 레진(17)을 형성한다.
본 발명에 따라서, 본 발명의 음극선관 내파 방지 접착 테이프가 음극선관의 외측 둘레에 감길 때, 상기는 덮는 접착 층의 일 측에 적용된 접착제로 음극선관 패널의 외 측에 첫 번째 부착된다. 그 후 가열된 금속 죔 밴드는 음극선관 내파 방지 접착 테이프의 뒷 측 위로 맞추어지고 및 단단한 맞춤으로 수축하기 위해 냉각된다. 망사형 편물의 표면을 덮는 열 용융 레진은 녹고 및 밴드의 압력 및 열로 인하여 상기 시간에서 유동하고, 및 편물의 방사들은 유리 패널과 금속 죔 밴드 사이의 증가된 마찰력의 결과로 인하여 부분적으로 노출되고, 열 용융 레진이 유리 패널과 금속 죔 밴드 사이의 상당한 접착을 제공하여 패널 표면의 방향에서 밴드의 잠재적인 미끄러짐을 방지하고, 따라서 강화 효과를 강화한다. 설령 음극선관이 외부 힘에 의해 파괴되었을 지라도, 유리 파편은 그들의 흩어짐을 방지하는 효과를 위해 열 용융 레진의 강한 접착력으로 지지될 것이다.
본 발명의 미끄럼 방지 효과에 관하여, 망사형 편물을 구성하는 날실 및 씨실과 같은 방사 표면을 덮는 열 용융 레진은 필름으로 형성된 레진보다 완전한 범위가 적고, 거기에는 단지 레진의 용융으로 약간의 유동 거리가 있으며, 접착 층이 메시(mesh)로 형성되기 때문에, 미끄러짐을 가속하는 레진 구성 성분이 용융된 레진이 캡슐에 넣어진 공간의 내부 압력에 의해 고정되는 망사의 공간으로 벗어나고, 따라서 용융으로 인한 유동 상태는 필름형 접착 층과 근본적으로 다르고, 및 우수한 미끄럼 방지 효과는 망사형 편물 기질의 물리적인 마찰효과에 부가적으로 금속과 유리사이에서 나타난다. 여기에서, 미끄럼 효과는 테이퍼 차단 시험에 의해 평가될 수 있고, 및 상기 사용을 위해 상기는 바람직하게 200℃에서 200초 이상 가열하는 값을 나타낸다.
본 발명은 종래 음극선관 내파 방지 접착 테이프 보다 더 적은 열 용융 레진과 누르기만 해도 잘 붙는 접착제를 사용하여 효과를 나타내므로써, 및 망사형 편물의 낮은 밀도를 가지므로써 낮은 비용의 장점을 가진다. 또한 경량의 테이프는 실질적으로 유용한 효과가 있다.
높은 접착력에도 불구하고, 본 발명은 접착 영역이 작아 사용된 음극선관을 다시 회수할 때 테이프를 용이하게 벗겨내는 것을 허용하고, 및 따라서 상기는 분리 및 회수(폐물 이용)를 위한 부가적인 장점을 제공한다.
실시예
본 발명은 실시예의 방법을 통해 더욱 상세히 설명될 것이지만, 그러나, 본 발명을 제약하는 의도된 방법은 없다. 아래에 주어진 "파트"는 중량을 의미한 파트로 언급되었다.
다음 시험 방법들이 아래 기술된 실시예에서 사용되었다.
(1) 압축 파괴 강도
0.5mm 강선이 날실 방향에 평행하게 시험 테이프의 접착 측에 부착되었고, 20 kg/cm2의 압력이 10초 동안 테이프에 적용되었고, 및 그 후 씨실 방향내 테이프의 인장강도가 측정되었다.
(2) 테이퍼 블럭 시험(Taper block test)
25mm x 25mm 시험 테이프 시편이 5°의 경사각을 가진 상부 및 하부, 두 개의 철 사각형 막대 블럭들 결합의 하부 경사진 표면 위에 부착되었다.
상기 상부 블럭은 200℃ 또는 300℃로 예열되었고, 및 그 후 하부 블럭은 머리 부분에 직각으로 1.2 kgf/cm2의 압력을 받고, 및 10mm 이동을 위해 하부 블럭에 요구된 시간은 변환 측정 기구로 측정되었다.
(3) 밴드(금속 죔 밴드) 이동
내파 방지 처리 : 평평한 음극선관의 외부 주변 측을 따라 시험 테이프로 한 회전 감은 후, 450℃로 가열된 금속 밴드 링은 내파 방지 처리를 위해 그 위에 맞추어졌다. 상기 시간동안 상기는 맞추어지는 인장력에 의해 시험 테이프 층으로부터 밴드가 미끄러지는 지를 관찰하였다.
가열 사이클 후 : 내파 방지 처리된 시험 샘플은 -45℃에서 5 시간부터 +80℃에서 5 시간 까지 10 사이클로 가열이 이루어진 후, 그의 미끄러짐이 관찰되었다.
(4) 회수 후 접착제 잔류물
내파 방지 처리된 평평한 음극선관은 40℃의 더운 물에서 10분동한 담궈지고, 및 밴드가 절단되고 및 접착제 잔류물의 정도가 조사되었다.
(5) 미사일 시험(missile test)
500 g의 무게를 가진 강 구체(球體)가 내파 방지 처리된 평평한 음극선관의 패널 측 위의 위치 1.5m의 높이에서 떨어졌고, 및 밴드를 통하여 일어나는 크랙의 수가 조사되었다.
(6) 유리 파편 유지 비율
음극선관을 파괴하기 위해 아래로 향하여 패널 측을 가진 1.5m의 높이에서 내파 방지 처리된 평평한 음극선관을 떨어뜨린 후, 밴드에 부착된 유리 파편들의 유지 비율로 계산되었다(전체 밴드의 영역에 관계하여 부착된 유리 파편들의 영역에 대해 시각적 조사에 의해 판단됨).
실시예 1
망사형 짜여진 편물 처럼 거기에는 0.12mm의 두께, 날실 방향에서 10+10/25 mm(실 크기 : 300 데니어) 및 씨실 방향에서 10/25mm(실 크기 : 600 데니어)의 짜는 밀도를 가진 얇은 면직물(leno) 짜여진 유리 천이 사용되었고, 및 검게 만드는 비닐 염화물을 가진 크기 처리에 영향을 받는다. 날실 방향에서 "10+10/25mm"의 짜는 밀도는 25mm 당 10의 공간으로 두 개의 날실로 짜는 얇은 면직물을 나타낸다(아래에 동일함).
유리 천은 100 파트의 톨루엔에서 120℃의 연한 부분을 가진 포화된 공중합체 폴리에스테르 레진의 30 파트를 용해하므로써 준비된 혼합 용액으로 포화되고, 및 그 후 당겨지고, 망사의 차단을 피하고, 및 15g/m2의 건조 범위를 가진 망사처럼 짜여진 편물로 덮혀진 열 용융 레진을 제조하기 위해 건조되었다.
그라비어 코팅기는 덮혀진 섬유 편물의 일 측위에 톨루엔의 1000 파트내 천연 고무의 100 파트를 가진 오일의 10 파트 및 누르기만 해도 잘 붙는 접착제 레진의 100 파트를 용해하므로써 준비된 접착제 용액을 적용하고 및 건조시키기 위해 사용되었고, 및 상기는 0.24mm의 최종 두께를 가진 내파 방지 접착 테이프를 준비하기 위해 판지(cardboard) 관위에 감긴다.
상기 내파 방지 접착 테이프는 접착 테이프 특성 및 포장 테스트를 위해, 규정된 폭으로 절단되었고, 및 29 인치 평평한 음극선관의 포장을 위해 사용되었다. 평평한 음극선관 패널 외측의 경삭각은 5°이다.
결과들이 표 1에 나타내어졌다.
실시예 1 에서, 테이프는 적당한 압축 파괴 강도와 미끄럼 방지 특성을 가지 (테이퍼 블럭 시험, 밴드 이동)는 것으로 테이핑 기계로 사용될 때 문제가 없는 누르기만 해도 잘 붙는 특성을 가지며, 따라서 상기 테이프는 절대적인 이동 없이 충분한 내파 방지 특성을 나타냄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2
그라비어 코팅기는 15g/m2의 건조 범위에 대하여 실시예 1에서 처럼 동일한 망사형 편물의 일 측 위에 실시예 1 에서 처럼 동일한 포화된 공중합체 폴리에스테르 레진의 혼합 용액을 코팅하고 및 건조하기 위해 사용되었고, 한편으로 그라비어 코팅기는 0.24mm의 최종 두께를 가진 내파 방지 접착 테이프를 준비하기 위해, 반대 측 위에 실시예 1 에서 처럼 동일한 누르기만 해도 잘 붙는 접착제를 코팅하고 및 건조하기 위해 사용되었고, 동일한 평가의 결과가 표 1에 나타내어졌다.
동등한 만족스러운 실행이 실시예 1 에서 처럼 이루어졌다.
실시예 3
동일한 시스템이 0.24mm의 두께를 가진 단일 편물 및 검게 하는 레이온 섬유를 가진 날실 방향(실 크기 : 20 데니어)에서 16+16/25mm와 유리 섬유를 가진 씨실 방향(실 크기 : 600 데니어)에서 16/25mm의 짜여진 밀도인 망사형 짜여진 편물의 표면 위로 실시예 1에서 처럼 동일한 열 용융 레진(적용 범위 : 15g/m2) 및 누르기만 해도 잘 붙는 접착제의 포화 및 코팅을 위해 사용되었고, 동등한 평가의 결과가 표 1에 나타내어졌다.
동등한 만족스러운 실행이 실시예 1 에서 처럼 이루어졌다.
비교 실시예 1
성형기가 60g/m2의 범위를 위해 실시예 1에서 처럼 동일한 망사형 짜여진 편물의 일 측 위에 85℃의 연화 점을 가진 폴리오레핀계 열 용융 레진의 적층 작업을 위해 사용되었고, 실시예 1 에서 처럼 동일한 누르기만 해도 잘 붙는 접착제가 비교 접착 테이프의 준비를 위해 0.24mm의 최종 두께로 롤 코팅기를 가진 반대 측에 적용되었고,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평가되었고, 및 표 1에 그 결과를 나타내었다. 상기 구조는 밴드의 이동을 초래하는 단점이 있다.
비교 실시예 2
실시예 3과 같은 동일한 망사 편물위에 비교 실시예 1과 같은 동일한 적층 작업 후, 실시예 1과 같은 동일한 누르기만 해도 잘 붙는 접착제가 비교 접착 테이프의 준비를 위해 0.36mm의 최종 두께로 롤 코팅기를 가진 반대 측에 적용되었고,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평가되었고, 및 표 1에 그 결과를 나타내었다. 상기 구조는 비교 실시예 1과 유사한 결과를 초래하는 단점이 있다.
비교 실시예 3
롤 코팅기를 사용하여 0.015mm의 두께로 실시예 1과 같은 동일한 누르기만 해도 잘 붙는 접착제를 가진 0.009mm 두께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일 측을 코팅한 후, 실시예 1 과 같은 동일한 망사형 짜여진 편물이 점착성 측 위에 부착되었고, 및 추가로 실시예 1과 같은 동일한 누르기만 해도 잘 붙는 접착제가 비교 접착 테이프를 준비하기 위해 0.24mm의 최종 두께로 그 위에 코팅되었고 및 건조되었고, 그 후 실시예 1과 같은 동일한 방법으로 평가되었고, 그 결과를 표 2에 나타내었다. 결과는 비교 실시예 1과 유사한 단점이 있었다.
비교 실시예 4
0.075mm 두께의 폴리에스테르 필름이 0.050mm의 모드(mode) 입자 크기(최대 내용물을 가진 입자 크기)와 0.125mm의 최대 입자 크기를 가진 실리콘 산화물의 10 파트를 구성하는 누르기만 해도 잘 붙는 접착제 구성 성분으로 코팅되었고, 0.24mm의 최종 두께를 가진 비교 접착 테이프를 준비하기 위해 실시예 1과 같은 동일한 누르기만 해도 잘 붙는 접착제의 고체 부분의 용어로 100 파트와 결합되었고, 그 후 비교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평가되었고, 그 결과를 표 2에 나타내었다. 거기에서는 미사일 시험에서 관찰된 상당히 많은 크랙과 상당한 이동을 포함하여 미끄러짐 방지 특성 및 내파 방지 효과에 관계된 문제가 있었다.
비교 실시예 5
망사처럼 짜여진 편물과 같이 거기에는 0.12mm의 두께, 날실 방향에서 53/25 mm(실 크기 : 300 데니어) 및 씨실 방향에서 57/25mm(실 크기 : 600 데니어)의 짜는 밀도를 가진 검게하는 크기가 처리된 평직(平織)의 짜여진 유리 천이 사용되었고, 15g/m2의 범위로 실시예 1과 같이 동일한 재료의 포화된 공중합체 폴리에스테르레진을 구비하고 및 동일한 방법으로 덮히고, 한편 반대 측에 대해서, 거기에는 0.24mm의 최종 두께를 가진 비교 접착 테이프를 준비하기 위해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예 1과 같이 동일한 재료로 코팅되고 건조되었고, 그 후 실시예 1과 같은 동일한 방법으로 평가되었고, 그 결과를 표 2에 나타내었다. 상기 결과는 비교 실시예 1과 유사한 단점이 있다.
비교 실시예 6
그라비어 코팅기는 0.24mm의 최종 두께를 가진 비교 접착 테이프를 준비하기 위해 단지 망사 편물 실 위에, 비교 실시예 1과 같이 동일한 적층 망사형 편물의 적층에 반대하는 측부 위에 실시예 1과 같이 동일한 누르기만 해도 잘 붙는 접착제를 코팅하기 위해 사용되었고, 그 후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평가되었고, 그 결과를 표 2에 나타내었다. 상기 결과는 비교 실시예 1과 유사한 단점이 있다.
접착 특성 및 미끄럼 특성, 압축/전단 접착력 및 접착 테이프를 위한 포장 시험 결과
변 수 실시예1 실시예2 실시예 3 비교 실시예 1 비교 실시예 2
최종 두께 (mm) 0.24 0.24 0.36 0.24 0.36
압축 파괴 강도 (kgf/cm) 17.5 17.4 23.0 19.0 24.8
SUS 판위의 접착력 180°릴리스 힘(gf/cm) 150 160 250 630 660
전단 접착력(kgf/cm2) 14.2 14.0 17.3 15.8 19.2
유리 판위의 접착력 180°릴리스 힘(gf/cm) 140 140 230 600 590
전단 접착력(kgf/cm2) 12.3 12.1 15.5 13.9 16.9
테이퍼 블럭 시험(sec) 200℃ 이동없음 이동없음 이동 없음 182 133
300℃ 이동없음 이동없음 이동 없음 66 42
포 장 시 험 밴드 이동 내파 방지 처리 × ×
가열 사이클 후 × ×
회수 후 접착제 잔류물
미사일 시험 (수) 4 4 3 4 3
유리 파편 유지 비율(%) 90 90 90 95 95
변 수 비교 실시예 3 비교실시예 4 비교실시예 5 비교 실시예 6
최종 두께 (mm) 0.24 0.24 0.24 0.24
압축 파괴 강도 (kgf/cm) 18.8 12.5 42.3 16.3
SUS 판위의 접착력 180°릴리스 힘(gf/cm) 680 680 490 520
전단 접착력(kgf/cm2) 15.0 16.0 23.7 11.3
유리 판위의 접착력 180°릴리스 힘(gf/cm) 690 650 460 510
전단 접착력(kgf/cm2) 13.1 13.0 26.0 10.2
테이퍼 블럭 시험(sec) 200℃ 이동없음 이동없음 105 121
300℃ 76 57 42 56
포 장 시 험 밴드 이동 내파 방지 처리 × × × ×
가열 사이클 후 × × × ×
회수 후 접착제 잔류물
미사일 시험 (수) 5 9 2 4
유리 파편 유지 비율(%) 95 80 95 95
본 발명의 내파 방지 접착 테이프는 내파 방지 접착을 위한 최소 필수 성분을 구성하고 및 불필요한 구성 성분 없이 사용되기 때문에 경제적이고 및 경량화뿐만 아니라, 미끄러짐 없이 우수한 실행을 나타내고 및 따라서 경사진 패널 외측 표면위에서도 금속 밴드와 유리 사이에 강력한 접착의 효과 및 높은 미끄러짐 방지 특성을 나타내는 장점이 있고, 및 평평한 표면 음극선관을 위한 내파 방지 강화의 우수한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추가로, 접착 층이 단지 부분적이므로, 상기는 회수에 가장 적합하고 및 음극선관의 회수 및 분리에 있어서 높은 유용성의 장점을 제공한다.

Claims (15)

  1. 첫 번째 및 두 번째 주요 표면을 구비한 망사 형태인 방사(紡絲) 편물,
    상기 편물의 모든 또는 일부 표면위에 제공된 열 용융 레진, 및
    상기 편물의 상기 첫 번째 주요 표면위에 배치된 누르기만 해도 잘 붙는 접착제를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극선관의 내파 방지를 위한 접착 망사 테이프.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열 용융 레진과 상기 누르기만 해도 잘 붙는 접착제의 전체 부피는 상기 편물의 개방 공간의 부피보다 적으므로, 모든 상기 열 용융 레진과 상기 누르기만 해도 잘 붙는 접착제가 상기 접착 망사 테이프가 음극선관과 금속 죔 밴드사이에 죄어질 때 상기 편물의 상기 개방 공간으로 결합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착 망사 테이프.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열 용융 레진과 상기 누르기만 해도 잘 붙는 접착제의 전체 부피는 상기 편물의 개방 공간의 4분의 3 부피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착 망사 테이프.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열 용융 레진과 상기 누르기만 해도 잘 붙는 접착제의 전체 부피는 상기 편물의 개방 공간의 2분의 1 부피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착 망사 테이프.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편물의 씨실은 유리 방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착 망사 테이프.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편물의 일부분 이상이 검은색으로 채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착 망사 테이프.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편물은 5kgf/cm 이상의 압축 파괴 강도를 구비하는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착 망사 테이프.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편물은 25mm 당 5 내지 50 방사의 범위인 밀도로 씨실과 날실을 구성하고 및 상기 방사는 50 내지 1300 데니어(denier)인 두께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착 망사 테이프.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열 용융 레진은 5 내지 40 g/m2의 양으로 상기 편물위에 코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착 망사 테이프.
  10. 투명 전기 전도 필름으로 덮어 씌워지고 및 주변부를 구비한 음극선관을 준비하고,
    음극선관의 주변 부 위의 전체 또는 일부를 청구항 1에 따른 접착 테이프로 감고, 및
    60℃ 이상의 온도로 금속 죔 밴드를 가열하고 및 접착 테이프 둘레 금속 죔 밴드를 놓고 및 그 후 금속 죔 밴드에 의해 관의 주변 부에 접착 테이프를 고정하기 위한 금속 죔 밴드를 냉각시키므로써 관의 주변 부 둘레에 및 접착 테이프 최상부 위에 금속 죔 밴드를 가진 음극선관을 죄는 방법을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파를 방지하기 위해 음극선관을 강화하기 위한 방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음극선관은 평평한 전방 표면으로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음극선관의 주변 부는 5°이상의 경사각으로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3. 투명 전기 전도 필름으로 덮어 씌워지고 및 주변 유리 부분을 구비한 음극선관 본체,
    상기 관의 주변 부 둘레에 감긴 금속 죔 밴드, 및
    거의 모든 상기 편물의 방사가 상기 관의 유리 표면 및 상기 금속 죔 밴드의 금속 표면과 직접 접촉한 상태이고 및 상기 관의 유리 표면과 상기 금속 죔 밴드는 상기 편물 방사 사이를 관통하거나 관통하지 않은 열 용융 레진으로 서로 결합된 것으로, 상기 음극선관과 상기 금속 죔 밴드사이에 놓인 청구항 1에 따른 접착 망사 테이프를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극선관.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음극선관은 평평한 전방 표면으로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극선관.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음극선관의 주변 부는 5°이상의 경사각으로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극선관.
KR10-2000-0012446A 1999-03-15 2000-03-13 브라운관 방폭용 접착 망사 테이프 및 그의 용도 KR10039564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68061/1999 1999-03-15
JP06806199A JP3423242B2 (ja) 1999-03-15 1999-03-15 ブラウン管防爆用粘接着メッシュテープ及びその用途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76836A true KR20000076836A (ko) 2000-12-26
KR100395645B1 KR100395645B1 (ko) 2003-08-25

Family

ID=133629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12446A KR100395645B1 (ko) 1999-03-15 2000-03-13 브라운관 방폭용 접착 망사 테이프 및 그의 용도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6699801B1 (ko)
JP (1) JP3423242B2 (ko)
KR (1) KR100395645B1 (ko)
CN (1) CN1156883C (ko)
HK (1) HK1031271A1 (ko)
TW (1) TW486510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846537B2 (en) * 2000-12-13 2005-01-25 Donald G. Wheatley Carbon fiber reinforcement material
KR100459755B1 (ko) * 2002-10-30 2004-12-03 신화인터텍 주식회사 브라운관 고정용 점착테이프
US7786026B2 (en) * 2003-12-19 2010-08-31 Saint-Gobain Technical Fabrics America, Inc. Enhanced thickness fabric and method of making same
US7823354B2 (en) 2004-04-26 2010-11-02 Wheatley Donald E Structure reinforcement system
US7743585B2 (en) 2004-04-26 2010-06-29 Donald E Wheatley Structure reinforcement system
BRPI0503709A (pt) * 2005-08-31 2007-05-15 3M Innovative Properties Co fita adesiva para um tubo de raios catódicos e processo para reforçar um tubo de raios catódicos
US20090081913A1 (en) 2007-09-20 2009-03-26 Fortress Stabilization Systems Woven Fiber Reinforcement Material
US8367569B2 (en) 2006-05-26 2013-02-05 Fortress Stabilization Systems Carbon reinforced concrete
US10858850B2 (en) 2007-09-18 2020-12-08 Fortress Stabilization Systems Wall reinforcement system and method
US8227064B2 (en) * 2009-03-06 2012-07-24 Milliken & Company Pressure-sensitive adhesive tape with monofilament warp yarns
US8227065B2 (en) * 2010-02-08 2012-07-24 Milliken & Company Adhesive tape
US8221863B2 (en) * 2010-02-08 2012-07-17 Milliken & Company Adhesive tape
CN202499836U (zh) * 2012-02-13 2012-10-24 兴远企业有限公司 防滑贴和带防滑贴的电子产品
JP6029177B2 (ja) * 2013-04-19 2016-11-24 株式会社ヒガシ化学 非自己接着再剥離性両面粘着シート
BE1021857B1 (nl) * 2014-05-22 2016-01-22 Lampe Textiles Transparant weefsel met zelfklevende eigenschappen
EP2946954A1 (en) * 2014-05-22 2015-11-25 Lampe Textiles Transparent textile with self-adhesive properties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107456A (en) 1980-01-30 1981-08-26 Teraoka Seisakusho:Kk Reinforcement method of cathode-ray tube using adhesive tape
JPS584248A (ja) * 1981-06-30 1983-01-11 Matsushita Electronics Corp 防爆形陰極線管
JPS5834881A (ja) 1981-08-24 1983-03-01 Teraoka Seisakusho:Kk 抗剪断性大なる接着テ−プによるブラウン管の防爆方法
JP2584655B2 (ja) * 1988-04-18 1997-02-26 株式会社寺岡製作所 ブラウン管用防爆テープ及びブラウン管の静電気除去回路を形成する方法
CN1040567A (zh) 1988-08-23 1990-03-21 中国科学院山西煤炭化学研究所 电镀含铬废水、废渣的处理方法
US5478639A (en) * 1993-05-12 1995-12-26 Teraoka Seisakusho Co., Ltd. Adhesive tape for preventing implosion of cathode ray tube
JP2802879B2 (ja) * 1993-05-12 1998-09-24 株式会社寺岡製作所 交織布基材防爆用粘接着テープ
JPH08203455A (ja) * 1995-01-26 1996-08-09 Nitto Denko Corp ブラウン管用接着テープ
JPH10144240A (ja) * 1996-11-08 1998-05-29 Nitto Denko Corp ブラウン管防爆用テ−プ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486510B (en) 2002-05-11
US6699801B1 (en) 2004-03-02
CN1156883C (zh) 2004-07-07
HK1031271A1 (en) 2001-08-03
JP2000265141A (ja) 2000-09-26
JP3423242B2 (ja) 2003-07-07
CN1267081A (zh) 2000-09-20
KR100395645B1 (ko) 2003-08-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00076836A (ko) 음극선관 내파 방지 접착 망사 테이프 및 그의 용도
KR101300855B1 (ko) 시일링 테이프 및 이것을 이용한 섬유 제품
US7582345B2 (en) Hinge apparatus
EP2460653A1 (en) Layered product
WO2010035453A1 (ja) 耐衝撃性積層成形体およびその製造方法、ならびに耐衝撃材
US5520995A (en) Strong flexible pre-impregnation of fiber reinforced thermoplastic resin free from a void in matrix
US5478639A (en) Adhesive tape for preventing implosion of cathode ray tube
CN104471008A (zh) 防水带及其制造方法
US5368923A (en) Laminated composite with adhesive carrier element
JP2802879B2 (ja) 交織布基材防爆用粘接着テープ
JPH06139962A (ja) 爆縮防止用粘着性テープ
JP2802878B2 (ja) 交織布基材防爆用粘接着テープ
JP2584655B2 (ja) ブラウン管用防爆テープ及びブラウン管の静電気除去回路を形成する方法
KR20080049721A (ko) 음극선관의 내부 파열 방지용 접착 테이프 및 음극선관의보강 방법
KR20000009012A (ko) 브라운관 방폭용 점착테이프
KR100314897B1 (ko) 브라운관의 브라켓 접착용 방폭 테이프
KR950006910B1 (ko) 점, 접착성(粘,接着性) 테이프
JPH08203455A (ja) ブラウン管用接着テープ
KR970000184B1 (ko) 브라운관 고정용 단면 점착테이프
JPH0574373A (ja) 静電気除去用接着性テープ
KR100427230B1 (ko) 브라운관용 방폭 보강 테이프
RU2089967C1 (ru) Затяжной бандаж для электронно-лучевой трубки и электронно-лучевая трубка
JPS584248A (ja) 防爆形陰極線管
JPS61138651A (ja) 変形導電性複合体
KR960007185B1 (ko) 도전성 점착테이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702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