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76710A - 데이터 전송 장치 및 방법, 기록 장치 및 기록 및 재생 장치 - Google Patents

데이터 전송 장치 및 방법, 기록 장치 및 기록 및 재생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76710A
KR20000076710A KR1020000008710A KR20000008710A KR20000076710A KR 20000076710 A KR20000076710 A KR 20000076710A KR 1020000008710 A KR1020000008710 A KR 1020000008710A KR 20000008710 A KR20000008710 A KR 20000008710A KR 20000076710 A KR20000076710 A KR 2000007671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recording
recording medium
video data
video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087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19780B1 (ko
Inventor
스기야마아키라
Original Assignee
이데이 노부유끼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데이 노부유끼,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filed Critical 이데이 노부유끼
Publication of KR200000767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767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197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19780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79Processing of colour television signals in connection with recording
    • H04N9/80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 H04N9/804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involving pulse code modulation of the colour picture signal components
    • H04N9/8042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involving pulse code modulation of the colour picture signal components involving data reduction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BSHIRTS; UNDERWEAR; BABY LINEN; HANDKERCHIEFS
    • A41B1/00Shirt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BSHIRTS; UNDERWEAR; BABY LINEN; HANDKERCHIEFS
    • A41B1/00Shirts
    • A41B1/08Detail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BSHIRTS; UNDERWEAR; BABY LINEN; HANDKERCHIEFS
    • A41B3/00Collar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BSHIRTS; UNDERWEAR; BABY LINEN; HANDKERCHIEFS
    • A41B7/00Cuff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78Television signal recording using magnetic recording
    • H04N5/782Television signal recording using magnetic recording on tape
    • H04N5/783Adaptations for reproducing at a rate different from the recording rat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79Processing of colour television signals in connection with recording
    • H04N9/7921Processing of colour television signals in connection with recording for more than one processing mod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79Processing of colour television signals in connection with recording
    • H04N9/80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 H04N9/804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involving pulse code modulation of the colour picture signal components
    • H04N9/8042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involving pulse code modulation of the colour picture signal components involving data reduction
    • H04N9/8047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involving pulse code modulation of the colour picture signal components involving data reduction using transform cod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79Processing of colour television signals in connection with recording
    • H04N9/80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 H04N9/804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involving pulse code modulation of the colour picture signal components
    • H04N9/806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involving pulse code modulation of the colour picture signal components with processing of the sound signal
    • H04N9/8063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involving pulse code modulation of the colour picture signal components with processing of the sound signal using time division multiplex of the PCM audio and PCM video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79Processing of colour television signals in connection with recording
    • H04N9/87Regeneration of colour television signals
    • H04N9/877Regeneration of colour television signals by assembling picture element blocks in an intermediate memor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79Processing of colour television signals in connection with recording
    • H04N9/87Regeneration of colour television signals
    • H04N9/88Signal drop-out compensation
    • H04N9/888Signal drop-out compensation for signals recorded by pulse code modul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ignal Processing For Digital Recording And Reproducing (AREA)
  • Compression Or Coding Systems Of Tv Signals (AREA)
  • Television Signal Processing For Recording (AREA)

Abstract

압축 부호화된 영상 데이터를 전송하는 데이터 전송 장치가 개시되어 있고, 이 데이터 전송 장치는 영상 데이터가 기록되는 기록 매체와, 영상 데이터가 기록되는 시간 축상의 방향과는 다른 방향에서 기록 매체로부터 영상 데이터를 판독하는 재생 수단과, 상기 영상 데이터가 상기 재생 수단에 의해 상기 기록 매체로부터 상기 다른 방향에서 판독될 때 상기 다른 방향에서 상기 기록 매체로부터 상기 영상 데이터가 판독된 것을 나타내는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정보를 상기 영상 데이터의 데이터 스트림에 배치하고, 그 결과로 얻어진 데이터 스트림을 전송하는 전송 수단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데이터 전송 장치 및 방법, 기록 장치 및 기록 및 재생 장치{Data transmitting apparatus and method thereof, recording apparatus, and recording and reproducing apparatus}
본 발명은 데이터 전송 장치, 그 방법, 기록 장치, 및 기록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MPEG2(Moving Picture Experts Group 2)가 영상 데이터 압축 부호화 방법의 주류(mainstream)로 사용된다. MPEG2에 따르면, 인터레이스 영상 데이터의 각 필드 또는 각 프레임은 DCT(Discrete Cosine Transform)에 기초하여 부호화된다. 또한, 필드 사이 또는 프레임 사이에서, 움직임 보상 예측 부호화 처리가 행해진다.
압축 부호화된 영상 데이터는 예를 들면 자기 테이프에 기록된다. 영상 데이터는 소정 속도로 회전되는 회전 헤드에 의해 자기 테이프상에 헬리컬 트랙으로서 기록된다. 영상 데이터의 하나의 프레임은 복수의 연속 트랙위에 기록된다. 하나의 프레임을 구성하는 2개의 필드는 복수의 트랙위에 분산되어 있다. 즉, 필드는 인터리브된다. 영상 데이터는 복수의 트랙으로부터 동시에 재생된다. 따라서, 각 프레임의 분산된 필드가 복원된다.
이하, MPEG2에 따라 압축 부호화되고 특정 기록 매체위에 기록되는 영상 데이터가 재생되고 외부 기기로 전송되는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 통상적으로, MPEG2에 따라 압축 부호화된 영상 데이터는 원래의 영상 데이터로 일단 부호화된다. 원래의 영상 데이터는 외부 기기에 전송된다. 외부 기기는 수신된 영상 데이터에 대한 편집 처리를 행하고, 편집된 영상 데이터에 대해 압축 부호화 처리를 행하고, 부호화된 데이터를 소정 기록 매체에 기록한다.
압축 부호화된 영상 데이터가 일단 부호화되고, 전송되고, 압축 부호화되고, 이후 기록될 경우, 영상 데이터의 화질이 신호의 열화에 따라 열화한다. 또한, 복호화된 영상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해, 전송 경로의 주파수 밴드는 넓어져야 한다. 따라서, 압축 부호화된 영상 데이터를 전송할 필요가 있다.
통상적으로, VCR(Video Cassette Recorder)에서는, 압축 부호화된 영상 데이터가 기록 동작시와는 반대의 시간축상의 방향에서 재생되는 역전 재생 동작이 수행될 때, 필드의 표시 순서를 변경하기 위한 프레임 메모리가 사용된다. 즉, 복호화된 영상 데이터는 프레임 메모리에 저장된다. 제 1 필드(시간축상의 탑 필드(top field)와 제 2 필드(시간축상의 바틈 필드(bottom field))는 역순으로 판독된다. 따라서, 역전 재생 동작이 수행될 때, 영상 데이터는 매끄럽고 자연스럽게 표시된다.
한편, 압축 부호화된 영상 데이터가 역전 재생되어 외부 기기에 전송되고, 외부 기기에 의해 복호화되고, 이후 모니터에 표시될 때, 영상 데이터가 역방향으로 재생되는 외부 기기에 알릴 필요가 있다. 이것은 외부 기기는 영상 데이터가 역방향으로 재생되는지의 여부를 판정할 수 없기 때문이다.
즉, 상기한 바와 같이, 압축 부호화된 영상 데이터는 필드 인터리브되고 프레임마다 자기 테이프에 기록된다. 영상 데이터가 역전 재생될 때, 프레임의 순서는 기록 동작시와는 다르다. 그러나, 필드의 순서는 기록 동작시와 동일하다. 그 결과, 필드는 프레임과는 다른 방향에서 재생되기 때문에, 그 결과로 얻어진 화면은 자연스럽지 않게 표시된다.
따라서, MPEG2에 따라 압축 부호화되고 기록 매체상에 기록된 영상 데이터가 전송 경로를 통해 외부 기기에 전송되고 이후 외부 기기에 의해 복호화되고 재생될 때, 영상 데이터가 역전 재생되는 것을 알려야 한다.
특히, 압축 부호화된 영상 데이터가 정방향 재생 데이터와 역방향 재생 데이터를 포함하면, 프레임과 정방향/역방향 재생 동작간의 관계를 나타내는 정보가 필요로 된다. 한편, 수신 영상 데이터의 탑 필드와 바틈 필드의 표시 순서는 프레임 메모리를 이용하여 실시간에 기초하여 변경할 수 없다.
본 발명의 목적은 압축 부호화되고 역전 재생되는 영상 데이터가 역방향으로 자연스럽게 재생될 수 있게 하는 데이터 전송 장치, 그 방법, 기록 장치, 및 기록 및 재생 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기록 및 재생 장치의 기록측의 구조를 나타낸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기록 및 재생 장치의 재생측의 구조를 나타낸 블록도.
도 3은 트랙 포맷의 일예를 나타낸 개략도.
도 4의 (a), 도 4의 (b) 및 도 4의 (c)는 트랙 포맷의 다른 예를 나타낸 개략도.
도 5의 (a), 도 5의 (b), 도 5의 (c), 도 5의 (d) 및 도 5의 (e)는 싱크 블록의 구조의 복수 예를 나타낸 개략도.
도 6의 (a), 도 6의 (b), 및 도 6의 (c)는 싱크 블록에 부가되는 ID 및 DID의 내용을 나타낸 개략도.
도 7의 (a) 및 도 7의 (b)는 비디오 엔코더의 출력 방법과 가변 길이 부호 부호화 처리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도 8의 (a) 및 도 8의 (b)는 비디오 엔코더의 출력 데이터의 재정렬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도 9의 (a) 및 도 9의 (b)는 재정렬된 데이터를 싱크 블록에 패킹하기 위한 처리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도 10의 (a) 및 도 10의 (b)는 영상 데이터 및 음성 데이터에 대한 에러 정정 코드 부호화 처리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도 11의 (a), 도 11의 (b), 도 11의 (c) 및 도 11의 (d)는 기록 동작시와 같은 시간 축상의 방향에서 인터레이스 영상 데이터가 재생되는 예를 나타낸 개략도.
도 12의 (a), 도 12의 (b), 도 12의 (c) 및 도 12의 (d)는 종래의 제어 방법에 따라 기록 동작시와 다른 시간 축상의 방향에서 인터레이스 영상 데이터가 재생되는 예를 나타낸 개략도.
도 13의 (a), 도 13의 (b), 도 13의 (c) 및 도 13의 (d)는 본 발명의 제어 방법에 따라 인터레이스 영상 데이터가 역방향으로 재생되는 예를 나타낸 개략도.
도 1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다른 VCR 구조의 일예를 나타낸 블록도.
도 15의 (a) 및 도 15의 (b)는 MPEG 비트 스트림의 헤더 구조의 일부를 나타낸 개략도.
도 16는 플랙 TFF을 추출하기 위한 구조를 나타낸 블록도.
도 17은 플랙 TFF을 추출 및 반전시키기 위한 프로세스의 일예를 나타낸 플로챠트.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32 : MPEG 엔코더 34 : M_NX 회로
35 : ECC 엔코더 39 : 회전 드럼
40 : 자기 데이프 41 : 시스템 컨트롤러
42 : 서보 44 : ECC 디코더
45 : 재생성 회로 46 : NX_M 회로
48 : MPEG 디코더 62 : PSC 검출회로
63 : ESC 검출회로 64 : ESCI 검출회로
65 : 타이밍 발생기 67 : 인버터
68 : 스위치 회로
본 발명의 제 1 특징은 압축 부호화된 영상 데이터를 전송하는 데이터 전송 장치에 있어서, 상기 영상 데이터가 기록되는 기록 매체와, 상기 영상 데이터가 기록되는 방향과는 다른 시간 축 상의 방향에서 상기 기록 매체로부터 상기 영상 데이터를 판독하는 재생 수단과, 상기 영상 데이터가 상기 재생 수단에 의해 상기 기록 매체로부터 상기 다른 방향에서 판독될 때 상기 다른 방향에서 상기 기록 매체로부터 상기 영상 데이터가 판독된 것을 나타내는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정보를 상기 영상 데이터의 데이터 스트림에 배치하고, 그 결과로 얻어진 데이터 스트림을 전송하는 전송 수단을 포함하는 데이터 전송 장치이다.
본 발명의 제 2 특징은 기록 매체에 압축 부호화된 영상 데이터를 기록하는 기록 장치에 있어서, 상기 영상 데이터의 데이터 스트림을 수신하는 수신 수단과, 상기 데이터 스트림에 배치되어 있고 상기 영상 데이터 필드의 표시 순서를 나타내는 플랙을 반전시키는 반전수단, 및 상기 기록 매체에 상기 반전된 플랙을 갖는 데이터 스트림을 기록하는 기록 수단을 포함하는 기록 장치이다.
본 발명의 제 3 특징은 기록 매체에 압축 부호화된 영상 데이터를 기록하고 상기 영상 데이터를 상기 기록 매체로부터 재생하는 기록 및 재생 장치에 있어서, 상기 영상 데이터를 상기 기록 매체에 기록하는 기록 수단과, 상기 영상 데이터가 기록되는 방향과는 다른 상기 시간 축 상의 방향에서 상기 기록 매체로부터 상기 영상 데이터를 재생하는 재생 수단, 및 상기 영상 데이터가 상기 재생 수단에 의해 상기 기록 매체로부터 상기 다른 방향에서 판독될 때 상기 다른 방향에서 상기 기록 매체로부터 상기 영상 데이터가 판독된 것을 나타내는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정보를 상기 영상 데이터의 데이터 스트림에 배치하고, 그 결과로 얻어진 데이터 스트림을 전송하는 전송수단을 포함하는 기록 및 재생 장치이다.
본 발명의 제 4 특징은 압축 부호화된 영상 데이터를 전송하는 데이터 전송 방법에 있어서, (a) 상기 영상 데이터를 기록 매체에 기록하는 단계와, (b) 상기 영상 데이터가 기록되는 방향과는 다른 상기 시간 축상의 방향에서 상기 기록 매체로부터 상기 영상 데이터를 재생하는 단계, 및 (c) 상기 영상 데이터가 단계(b)에서 상기 기록 매체로부터 다른 방향에서 판독될 때 상기 다른 방향에서 상기 기록 매체로부터 상기 영상 데이터가 판독된 것을 나타내는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정보를 상기 영상 데이터의 데이터 스트림에 배치하고, 그 결과로 얻어진 데이터 스트림을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데이터 전송 방법이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설명한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 영상 데이터는 MPEG2의 규정에 따라 압축 부호화된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 영상 데이터가 역전 재생될 때마다 MPEG2 부호화된 데이터에 포함되는 플랙 "top_field_first"(이하 플랙 TFF라 함)은 영상 데이터가 역전 재생되는 외부 기기를 알리기 위해 반전된다. 플랙 TFF은 MPEG2의 데이터 구조의 "picture_coding_extension"에 포함된다.
MPEG2에 따르면, 플랙 TFF은 1비트 데이터이고 각 프레임의 최초의 필드가 상위 필드(top field) 인가 또는 하위 필드(bottom field)인가를 나타낸다. 즉, 플랙 TFF은 복호화 처리에서 최초로 출력되는 재생 필드가 상위 필드 또는 하위 필드인가를 나타낸다. 프레임 구조에 있어서, 플랙 TFF이 [1]로 설정되면, 재생 프레임의 상위 필드는 복호화 처리에서 최초로 출력되는 필드인 것을 나타낸다. 필드 구조에 있어서, 플랙 TFF은 항상 [0]으로 설정되어 있다.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먼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기록 및 재생 장치를 설명한다. 이 실시예에 따른 기록 및 재생 장치는 방송국 환경에 사용하기 적합하다. 디지털 VCR은 복수의 포맷으로 비디오 신호를 기록 및 재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디지털 VCR은 NTSC 방식에 기초한 인터레이스 주사로 유효 라인 수가 480개인 신호(이하 480i 신호라 함) 및 PAL 방식에 기초한 인터레이스 주사로 유효 라인 수가 576개인 신호(이하 576i 신호라 함)를 하드웨어의 변경없이 기록 및 재생할 수 있다. 또한, 디지털 VCR은 인터레이스 주사로 라인수가 1080개인 신호(이하 1080i 신호라 함), 프로그레시브 난인터레이스(progressive noninterace) 주사로 라인수가 720개인 신호(이하 480p 신호라 함), 프로그레시브 난인터레이스 주사로 라인수가 720개인 신호(이하 720p라 함), 프로그레시브 난인터레이스 주사로 라인수가 1080개인 신호(이하 1080p 신호라 함)를 기록 및 재생할 수 있다.
기록 및 재생 장치에 있어서, 비디오 신호는 MPEG2 표준에 기초하여 압축 부호화된다. 주지와 같이, MPEG2 표준은 움직임 보상 예측 부호화 처리와 DCT 압축 부호화 처리의 조합이다. MPEG2 표준의 데이터 구조는 블록층(최하위층), 매크로 블록층, 슬라이스층, 픽쳐층(picture layer), GOP층 및 시퀀스층(최하위층)을 갖는 계층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블록층은 DCT 블록으로 구성된다. DCT 처리는 DCT 블록마다 행해진다. 매크로 블록층은 복수의 DCT 블록으로 구성된다. 슬라이스층은 헤더부와 2개의 라인이 아닌 하나의 라인상에 배치된 임의의 수의 매크로 블록으로 구성된다. 픽쳐층은 헤더부와 복수의 슬라이스로 구성된다. 하나의 픽쳐는 하나의 화면(screen)에 대응한다. GOP(Gruop Of Picture) 층은 헤더부, I 픽쳐(프레임내 부호화 픽쳐로서), P 픽쳐(예측 부호화 픽쳐로서), B 픽쳐(양방향 예측 부호화 픽쳐)로 구성된다.
I 픽쳐가 부호화된 경우, 그 정보만이 사용된다. 따라서, I 픽쳐는 그 정보와 함께 복호화된다. P 픽쳐는 차이(difference)를 얻기 위한 기준 픽쳐인 예측 픽쳐로서 복호화되는 I 픽쳐 또는 P 픽쳐를 사용한다. P 픽쳐와 움직임 보상 예측 픽쳐 사이의 차이가 부호화된다. 다른 방법으로는, P 픽쳐가 부호화된다. 이들 방법 중 하나가 각 매크로 블록에 대해 유효한 것이면 선택된다. B 픽쳐는 예측 픽쳐로서 3가지 형태의 픽쳐를 사용한다. 여기서 3가지 형태의 픽쳐는 I 픽쳐 또는 B 픽쳐 전에 복호화되는 P 픽쳐, I 픽쳐 또는 B 픽쳐 후에 복호화되는 P 픽쳐 및 이들 2개의 픽쳐에 의해 생성되는 보간 픽쳐(interpolated picture)이다. B 픽쳐와 움직임 보상된 3가지 형태의 각 픽쳐 사이의 차이는 부호화된다. 다른 방법으로는, B 픽쳐는 인트러 부호화(intra-encoded)된다. 이들 방법 중 하나가 각 매크로 블록에 대해 유효한 것이면 선택된다.
따라서, 프레임내 부호화 매크로 블록, 정방향(forward) 프레임내 예측 매크로 블록(미래 매크로 블록은 과거 매크로 블록으로 예측됨), 역방향 프레임내 예측 매크로 블록(과거매크로 블록은 미래 매크로 블록으로 예측됨), 양방향 매크로 블록(현재 매크로 블록은 정방향 및 역방향 모두에서 예측됨)의 4가지의 형태의 매크로 블록이다. I 픽쳐의 모든 매크로 블록은 프레임내 부호화 매크로 블록이다. P 픽쳐는 프레임내 부호화 매크로 블록과 정방향 프레임내 예측 매크로 블록을 포함한다. B 픽쳐는 4가지 형태의 매크로 블록 모두를 포함한다.
각 GOP는 적어도 하나의 I 픽쳐를 포함한다. 즉, 각 GOP는 P 픽쳐 및/또는 B 픽쳐를 포함하지 않는다. 시퀀스 층(최하위 층인)은 헤더부와 복수의 GOP로 구성된다.
MPEG 포맷에 있어서, 슬라이스가 가변 길이 부호 계열(variable length code sequence)이다. 가변 길이 부호 계열은 데이터의 경계가 가변 길이 부호가 복호화되지 않으면 검출될 수 없는 계열이다.
계열 층, GOP 층, 픽쳐 층 및 슬라이스 층의 선두에는, 각각 바이트 단위로 소정 비트 패턴을 가진 식별 코드가 배치되어 있다. 식별 코드는 스타트 코드(start code)라 한다. 각 층의 헤더부는 헤더, 확장 데이터 또는 사용자 데이터를 포함한다. 계열층의 헤더는 픽쳐의 사이즈(수직 방향 및 수평 방향의 화소 수)를 포함한다. GOP 층의 헤더는 타임 코드(time code)와 현 GOP의 픽쳐 수를 포함한다.
슬라이스 층에 포함된 매크로 블록은 각각 복수의 DCT 블록 세트이다. DCT 블록의 부호화된 계열은 양자화된 DCT 계수의 계열이 0계수의 수와 0이 아닌(non-0) 계수의 세트로서 부호화된다. 1바이트 단위로 배열된 식별 코드는 각 매크로 블록 및 각 매크로 블록의 각 DCT 블록에 부가되지 않는다. 즉, 각 매크로 블록과 각 DCT 블록은 가변 길이 부호 계열이 아니다.
매크로 블록은 화면을 16화소× 16라인의 격자상으로 분할한 소자이다. 슬라이스는 수평으로 접속되어 있는 매크로 블록으로 구성된다. 2개의 연속하는 슬라이스의 제 1의 슬라이스의 최후 매크로 블록과 그 제 2 슬라이스의 선두(top) 매크로 블록은 연속하고 있다. 2개의 연속하는 슬라이스 사이에서 중첩하는 매크로 블록은 허용되지 않는다. 매크로 블록의 수는 화면의 사이즈에 의존한다.
복호화 처리 또는 부호화 처리에서 신호가 열화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부호화된 데이터를 편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때, P 픽쳐는 P 픽쳐에 의해 시간적으로 선행되는 픽쳐를 필요로 한다. 한편, B 픽쳐는 B 픽쳐에 의해 시간적으로 선행되는 픽쳐와 B 픽쳐가 시간적으로 뒤따르는 픽쳐를 필요로 한다. 따라서, 데이터는 프레임 단위로 편집될 수 없다.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기록 및 재생 장치에 있어서, 하나의 GOP는 하나의 I 픽쳐로 구성된다.
하나의 프레임을 위한 기록 데이터의 기록 영역은 미리 정해진다. MPEG2에 있어서, 가변 길이 부호 부호화 처리가 사용되므로, 하나의 프레임을 위한 데이터 량은 하나의 프레임 기간에 발생된 데이터가 소정 기록 영역에 기록되도록 제어된다. 또, 기록 및 재생 장치에 있어서, 하나의 슬라이스는 매크로 블록으로 구성된다. 또한, 하나의 매크로 블록은 데이터가 자기 테이프에 적절하게 기록될 수 있도록 소정 길이를 갖는 고정 영역(fixed area)에 배치된다.
도 1은 기록 및 재생 장치의 기록측 구조의 일예를 나타낸다. 데이터가 기록 될 때, 디지털 비디오 신호는 단자(101)로부터 소정 인터페이스의 수신부를 통해, 예를 들면 SDI(Serial Data Interface)를 통해 입력된다. SDI는 SMPTE에 의해 정의된 인터페이스이다. SDI에 의해, (4:2:2) 컴포넌트(component) 비디오 신호, 디지털 오디오 비디오 신호 및 부가적 데이터가 전송된다. 입력 비디오 신호는 비디오 엔코더(102)로 전송된다. 비디오 엔코더(102)는 비디오 신호에 대해 DCT(Discrete Cosine Transform) 처리를 행하여 비디오 신호를 계수 데이터로 및 계수 데이터를 가변 길이 부호(VLC) 데이터로 변환한다. 비디오 엔코더(102)로부터 입력된 가변 길이 부호 데이터는 MPEG2 표준에 대응하는 엘레먼터리 스트림(elementary stream)이다. 가변 길이 부호 데이터는 선택기(103)의 한쪽 입력 단자에 공급된다.
또, ANSI/SMPTE 305M으로 정의된 인터페이스인 SDTI(Seriel Data Transform Interface) 데이터는 입력 단자(104)를 통해 입력된다. 이 신호는 SDTI 수신부(105)로 동기 검출된다. 이 신호는 버퍼에 임시 저장된다. 버퍼에서는 엘레먼터리 스트림이 신호로부터 추출된다. 추출된 엘레먼터리 스트림은 선택기(103)의 다른 쪽의 입력 단자에 공급된다.
선택기(103)에 의해 선택된 엘레먼터리 스트림은 스트림 컨버터(106)에 공급된다. 스트림 컨버터(106)는 개개의 주파수 성분에 대응하는 복수의 DCT블록의 DCT 계수를 배열하고 그 결과로 얻어진 주파수 성분을 재배열한다. 재배열된 엘레먼터리 스트림은 패킹 및 셔플링부(107)에 공급된다.
엘레먼터리 스트림의 영상 데이터가 가변 길이 부호로 부호화되어 있기 때문에, 매크로 블록의 길이는 상이하다. 패킹 및 셔플링부(107)는 고정 영역에 각 매크로 블록을 패킹한다. 이 때, 고정 영역에 패킹되지 않은 부분은 고정 영역의 사이즈에 대해 블랭크(blank) 부분에 연속적으로 패킹된다. 타임 코드(time code) 등의 시스템 데이터는 입력 단자(108)로부터 패킹 및 셔플링부(107)에 공급된다. 픽쳐 데이터와 같이, 패킹 및 셔플링부(107)는 시스템 데이터의 기록 처리를 행한다. 패킹 및 셔플링부(107)는 주사 순서로 취해진 하나의 프레임의 매크로 블록을 재배열하고 자기 테이프에 기록된 매크로 블록을 셔플링한다. 셔플링 처리는 변속 재생 모드로 부분 재생되는 데이터의 갱신율이 향상되게 한다.
영상 데이터와 시스템 데이터(이하의 설명에서, 특히 필요한 경우를 제외하고, 영상 데이터는 영상 데이터와 시스템 데이터 모두를 의미함)는 패킹 및 셔플링부(107)로부터 외부호 엔코더(109)에 공급된다. 외부호 엔코더(109)는 적(product)부호를 영상 데이터와 음성 데이터에 대한 에러 정정 부호로서 사용한다. 적부호에 의해, 영상 데이터 또는 음성 데이터의 2차원 매트릭스는 수직 방향의 외부호 및 수평 방향의 내부호로 부호화된다. 따라서, 데이터 심볼(data symbol)은 2중으로 부호화된다. 외부호 및 내부호로서, 리드-솔로몬 코드(Reed-Solomon code)가 사용될 수 있다.
외부호 엔코더(109)의 출력 데이터는 셔플링부(110)에 공급된다. 셔플링부(110)는 ECC(error correction code) 블록의 싱크 블록을 셔플링한다. 따라서, 에러가 특정 ECC 블록에 집중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셔플링부(110)에 의해 행해지는 셔플링 처리를 인터리빙 처리라 하는 것도 있다. 셔플링부(110)의 출력 데이터는 혼합부(111)에 공급된다. 혼합부(111)는 셔플링부(110)의 출력 데이터를 음성 데이터와 혼합한다. 나중에 설명되는 것과 같이, 혼합부(111)는 메인 메모리(main memory)로 구성된다.
음성 데이터는 입력 단자(112)로부터 수신된다. 기록 및 재생 장치에 있어서, 비압축 디지털 오디오 신호가 취급된다. 디지털 오디오 신호는 입력측의 SDTI수신부(도시하지 않음) 또는 SDTI 수신부(105)에 의해 분리된다. 다른 방법으로는, 디지털 오디오 신호는 오디오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된다. 입력 디지털 오디오 신호는 지연부(113)를 통해 AUX 부가부(114)에 공급된다. 지연부(113)는 오디오 신호의 위상과 비디오 신호의 위상을 일치시킨다. 입력 단자로부터 수신된 오디오 AUX는 샘플링 주파수 등의 음성 데이터와 관련된 정보를 갖는 보조적 데이터이다. AUX 부가부(114)는 오디오 AUX를 음성 데이터에 부가한다. 오디오 AUX는 음성 데이터와 같은 방식으로 취급된다.
음성 데이터와 AUX 데이터(이하의 설명에서, 특히 필요한 경우를 제외하고, 음성 데이터는 음성 데이터와 AUX 데이터 모두를 의미함)는 외부호 엔코더(116)로 공급된다. 외부호 엔코더(116)는 음성 데이터를 외부호로 부호화한다. 외부호 엔코더(116)의 출력 데이터는 셔플링부(117)에 공급된다. 셔플링부(117)는 외부호 엔코더(116)의 출력 데이터를 셔플링한다. 셔플링부(117)는 각 싱크 블록 또는 각 채널에 대해 음성 데이터를 셔플링한다.
셔플링부(117)이 출력 데이터는 혼합부(111)에 공급된다. 혼합부(111)는 영상 데이터와 음성 데이터를 하나의 채널 데이터와 혼합한다. 혼합부(111)의 출력 데이터는 ID 부가부(118)에 공급된다. ID 부가부(118)는 혼합부(111)의 출력 데이터에 대한 싱크 블록 수를 나타낸다. ID 부가부(118)의 출력 데이터는 내부호 엔코더(119)에 공급된다. 내부호 엔코더(119)는 ID 부가부(118)의 출력 데이터를 내부호로 부호화한다. 내부호 엔코더(119)의 출력 데이터는 동기 부가부(120)에 공급된다. 동기 부가부(120)는 동기 신호를 각 싱크 블록에 부가한다. 따라서 싱크 블록은 연속 기록 데이터로서 구성된다. 기록 데이터는 기록 증폭기(121)를 통해 회전 헤드(122)에 공급되고 자기 테이프(123)에 기록된다. 실제로, 회전 헤드(122)는 상이한 아지머스(azimuth)를 갖는 복수의 자기 헤드와 자기 헤드가 배치되는 회전 드럼으로 구성된다.
필요에 따라서는, 기록 데이터에 대해 스크램블 처리가 행해져도 된다. 또한, 데이터 기록시에는 디지털 변조되어도 된다. 또한, 파셜 리스펀스 클래스 4(partial response class 4)와 비터비(Viterbi) 부호화 처리가 사용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기록 및 재생 장치의 재생측 구성의 일례를 나타낸다. 회전 헤드(122)에 의해 자기 테이프(123)로부터 재생된 신호는 재생 증폭기(131)를 통해 동기 검출부(132)에 공급된다. 등화(equalizing) 처리와 파형 정형 처리가 재생 신호에 대해 행해진다. 필요에 따라서는, 디지털 변조 처리 및 비터비 복호화 처리가 행해진다. 동기 검출부(132)는 동기 블록의 선두에서 동기 신호를 검출하여 싱크 블록을 추출한다.
동기 검출부(132)의 출력 데이터는 내부호 디코더(133)에 공급된다. 내부호 디코더(113)는 동기 검출부(132)의 출력 데이터의 에러를 내부호로 보정한다. 내부호 디코더(133)의 출력 데이터는 ID 보간부(134)에 공급된다. ID 보간부(134)는 에러가 내부 블록으로 검출되는 싱크 블록의 ID(예를 들면, 싱크 블록 번호)를 보간한다. ID 보간부(134)의 출력 데이터는 분리부(135)에 공급된다. 분리부(135)는 ID 보간부(134)의 출력 데이터를 영상 데이터 및 음성 데이터로 분리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영상 데이터는 MPEG 인트러 부호화 처리에서 발생된 DCT 계수 데이터와 시스템 데이터를 포함한다. 마찬가지로, 음성 데이터는 PCM(Pulse Code Modulation) 데이터와 AUX 데이터를 포함한다.
디셔플링부(136)는 분리부(135)에서 수신된 영상 데이터를 디셔플링한다. 딧플링부(136)는 기록측상에서 셔플링부(110)에 의해 셔플링된 셔플 싱크 블록을 원래의 싱크 블록으로 복원시킨다. 디셔플링부(136)의 출력 데이터는 외부호 디코더(137)에 공급된다. 외부호 디코더는 디셔플링부(136)의 출력 데이터의 에러를 외부호로 보정한다. 데이터의 에러가 보정될 수 없을 경우, 에러 플랙이 거기에 배치된다.
외부호 디코더(137)의 출력 데이터는 디셔플링 및 디패킹부(138)에 공급된다. 디셔플링 및 디패킹부(138)는 기록층상에서 패킹 및 셔플링부에 의해 셔플링된 매크로 블록을 디셔플링한다. 또한, 디셔플링 및 디패킹부(138)는 기록측상에서 패킹된 데이터에 대한 디패킹 처리를 행한다. 즉, 디셔플링 및 디패킹부(138)는 고정 길이 매크로 블록을 원래의 가변 길이 부호로 복원시킨다. 또, 디셔플링 및 디패킹부(138)는 시스템 데이터를 외부호 디코더(137)의 출력 데이터로부터 분리한다. 이 시스템 데이터는 출력 단자(139)로부터 얻어진다.
디셔플링 및 디패킹부(138)의 출력 데이터는 보간부(140)에 공급된다. 보간부(140)는 에러 플랙을 가진 데이터를 보정한다. 매크로 블록이 에러를 가진 경우, 매크로 블록의 레스트의 주파수 성분의 DCT 계수는 복원될 수 없다. 이 경우, 에러를 가진 데이터는 EOB(End Of Block)으로 치환된다. 대부분의 주파수 성분의 DCT 계수는 0으로 설정된다. 마찬가지로, 고속 재생시에 있어서, 싱크 블록의 길이에 대응하는 DCT 계수만이 복원된다. 싱크 블록뒤의 DCT 계수는 제로(zero) 데이터로 치환된다. 영상 데이터의 선두에 있는 헤더(시퀀스 헤더, GOP 헤더, 픽쳐 헤더, 사용자 데이터 등)가 에러를 가질 경우, 보간부(140)는 헤더를 복원한다.
복수의 DCT 블록의 DCT 계수는 DC 성분 및 최저 주파수 성분으로부터 최고 주파수 성분의 순서로 배열되므로, 특정 위치뒤의 DCT 계수가 무시되어도, DC 성분 및 저주파수 성분의 DCT 계수는 매크로 블록을 구성하는 DCT 블록마다에 놓일 수 있다.
보간부(140)의 출력 데이터는 스트림 컨버터(141)에 공급된다. 스트림 컨버터(141)는 기록측상에서 스트림 컨버터(106)의 처리와는 역의 처리를 행한다. 즉, 스트림 컨버터(141)는 DCT 블록의 순서로 DCT 계수까지 DCT 블록의 주파수 성분의 순서로 배열된다. 따라서, 재생 신호는 MPEG2 표준에 대응하는 엘레먼터리 스트림으로 변환된다.
스트림 컨버터(141)의 입력 신호 및 출력 신호는 매크로 블록의 최대 길이에 대응하는 충분한 전송 레이트(밴드 폭)를 가진다. 매크로 블록의 길이를 제한하지 않는 경우, 화소 레이트(pixel rate)보다 3배 큰 밴드 폭을 확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스트림 컨버터(141)의 출력 데이터는 비디오 디코더(142)에 공급된다. 비디오 디코더(142)는 엘레먼터리 스트림을 복호화하여 영상 데이터를 출력한다.
즉, 비디오 디코더(142)는 역양자화 처리 및 역 DCT 처리가 행해진다. 복호화된 영상 데이터는 출력 단자(143)로부터 얻어진다. 장치 외부로의 인터페이스로서 예를 들면 S야가 사용된다. 또, 스트림 컨버터(141)도 엘레먼터리 스트림을 SDTI 전송부(144)에 공급한다. 시스템 데이터, 재생 음성 데이터 및 AUX 데이터도 관련 경로(도시하지 않음)를 통해 SDTI 전송부(144)에 공급된다. SDTI 전송부(144)는 이들 신호를 SDTI 포맷 스트림으로 변환한다. 이 스트림은 SDTI 전송부(144)로부터 장치의 외부로 출력 단자(145)를 통해 공급된다.
분리부(135)에 의해 분리된 음성 데이터는 디셔플링부(151)에 공급된다. 디셔플링부(151)는 기록측상에서 셔플링부(117)의 역처리를 행한다. 디셔플링부(117)의 출력 데이터는 외부호 디코더(152)에 공급된다. 외부호 디코더(152)는 외부호로 디셔플링부(117)의 출력 신호의 에러를 보정한다. 외부호 디코더(152)는 에러가 보정된 음성 데이터를 출력한다. 음성 데이터의 에러가 보정될 수 없을 경우, 에러 플랙이 거기에 세트된다.
외부호 디코더(152)이 출력 데이터는 AUX 분리부(153)에 공급된다. AUX 분리부(153)는 오디오 AUX를 외부호 디코더(152)의 출력 데이터와 분리한다. 분리된 오디오 AUX는 출력 단자(154)로부터 얻어진다. 분리된 음성 데이터는 보간부(155)에 공급된다. 보간부(155)는 에러를 가진 샘플을 보간한다. 보간 방법으로서, 특정 샘플이 특정 샘플이 추종되는 정확한 샘플 및 특정 샘플이 선행되는 정확한 샘플의 평균치로 보간되는 평균치 보간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다른 방법으로는, 선행하는 정확한 샘플값이 홀드되는 전치 홀딩 방법(preceding value holding method)이 사용될 수 있다. 보간부(155)의 출력 데이터는 출력부(156)에 공급된다. 출력부(156)는 뮤트 처리(mute process), 지연량 조정 처리 등을 행한다. 뮤트 처리에 있어서는, 보간할 수 없는 에러를 가진 오디오 신호가 출력되는 것을 금지한다. 지연량 조정 처리에 있어서는, 오디오 신호의 위상이 비디오 신호의 위상과 일치한다. 출력부(156)는 재생 오디오 신호를 출력 단자(157)에 공급한다.
또, 재생측은 타이밍 발생부, 시스템 컨트롤러(마이크로 컴퓨터임) 등(이들은 도 1 및 도 2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음)을 가진다. 타이밍 발생부는 입력 데이터와 동기한 타이밍 신호를 발생한다. 시스템 컨트롤러는 기록 및 재생 장치의 전체 동작을 제어한다.
기록 및 재생 장치에 있어서, 신호는 헬리컬 스캔 방법(helical scan method)에 의해 자기 테이프상에 기록된다. 헬리컬 주사 방법에 있어서, 경상 트랙은 회전 헤드상에 배치된 자기 헤드에 의해 형성된다. 복수의 헤드는 회전 드럼상의 대향 위치에 배치된다. 자기 테이프는 약 180°의 와인딩 각으로 회전 헤드에 감길 경우, 동시에 복수개의 트랙을 형성할 수 있다. 상이한 아지머스(azimuth)를 갖는 2개의 자기 헤드는 인접하는 트랙이 상이한 아지머스를 갖도록 회전 드럼상에 하나의 세트로서 배치된다.
도 3은 상기한 회전 헤드에 의해 자기 테이프상에 형성된 트랙 포맷의 일예를 나타낸다. 이 예에 있어서, 1비트당의 영상 데이터와 음성 데이터는 8개의 트랙으로 기록된다. 예를 들면, 프레임 주파수가 29.97Hz, 데이터 레이트가 50Mbps, 유효 라인 수가 480 및 유효 수평 화소의 수가 720인 480i 비디오 신호가 오디오 신호와 함께 기록된다. 또, 프레임 주파수가 25Hz, 데이터 레이트가 50Mbps, 유효 라인수가 576, 유효 수평 라인 수가 k720인 576i 비디오 신호가 도 3에 도시된 테이프 포맷으로 오디오 신호와 함께 기록될 수 있다.
하나의 세그먼트는 상이한 아지머스로 2개의 트랙을 형성한다. 즉, 8개의 트랙은 4개의 세그먼트로 구성된다. 세그먼트를 형성하는 한 쌍의 트랙은 아지머스에 대응하는 트랙 번호[0]과 트랙 번호[1]이 지정된다. 도 3에 도시된 예에 있어서, 전반 8개의 트랙의 트랙 번호는 후반 8개 트랙의 트랙 번호와 상이하다. 독특한 트랙 시퀀스가 각 프레임에 할당된다. 따라서, 한 쌍의 자기 헤드 중 하나가 막힘(clogging) 등으로 인해 신호를 판독할 수 없을 때에도, 선행 프레임의 데이터가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에러의 영향을 작게 할 수 있다.
비디오 섹터는 각 트랙의 길이방향에서 양 에지측에 형성된다. 음성 데이터를 위한 오디오 섹터가 비디오 섹터 사이에 형성된다. 또한, 도 3 및 도 4는 테이프상에서의 오디오 섹터의 위치를 나타낸다.
도 3에 도시된 트랙 포맷에 있어서, 8채널의 음성 데이터를 취급한다. 도 3에 있어서, A1 내지 A8은 각각 채널 1 내지 8의 음성 데이터의 섹터를 나타낸다. 개개의 채널의 음성 데이터 위치는 세그먼트 단위로 변경된다. 음성 데이터에 있어서, 하나의 필드 기간에 발생된 오디오 샘플(샘플링 주파수가 48kHz인 경우 800 샘플 또는 801 샘플)은 기수번호의 샘플 및 우수번호의 샘플로 분리된다. 이들 샘플 군과 AUX 데이터는 적부호의 1 ECC 블록을 구성한다.
도 3에서는 1필드의 데이터가 4개의 트랙에 기록된다. 따라서, 음성 데이터 채널 당 2개의 ECC 블록이 4개의 트랙에 기록된다. 2개의 ECC 블록의 데이터(외부호 패리티를 포함)는 4개의 섹터로 분할된다.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이, 분할 된 데이터는 4개의 트랙에 분산되어 기록된다. 2개의 ECC 블록에 포함된 분할된 복수의 싱크 블록은 셔플링된다. 예를 들면, 예로서 참조번호 A1가 붙은 4개의 섹터는 채널 1의 2 ECC 블록을 형성한다.
이 예에 있어서, 트랙 당 4개의 ECC 블록의 데이터가 셔플링(인터리브)되어 상측 섹터 및 하측 섹터에 기록된다. 시스템 에어리어는 각각의 하측 비디오 섹터의 소정 위치에 형성된다.
도 3에 있어서, SAT1(Tm) 및 SAT2(Tr)은 서보 로크 신호를 위한 영역이다. 각각 소정 사이즈를 갖는 갭(Vg1, Sg1, Ag, Sg2, Sg3, Vg2)이 인정하는 기록 영역 사이에 형성된다.
도 3에 있어서, 1 프레임의 데이터가 8 트랙에 기록된다. 그러나, 기록 데이터 또는 재생 데이터의 포맷에 따라, 1 프레임의 데이터가 4개의 트랙 또는 6개의 트랙에 기록될 수 있다. 도 4의 (a)는 프레임 당 6 트랙의 포맷을 나타낸다. 이 예에 있어서, 트랙 시퀀스는 단지 [0]이다.
도 4의 (b)에 도시된 것과 같이, 테이프상에 기록된 데이터는 등간격으로 분할된 복수의 블록으로 구성된다. 이 블록은 싱크 블록이라고 한다. 도 4의 (c)는 하나의 싱크 블록의 개략 구조를 나타낸다. 나중에 설명되는 것과 같이, 하나의 싱크 블록은 싱크 패턴, ID, DID, 데이터 패킷 및 에러 정정 내부호 패리티로 구성된다. ID는 현 싱크 블록을 식별한다. DID는 후속하는 데이터의 내용을 나타낸다. 따라서, 데이터는 패킷으로서 싱크 블록을 구성한다. 즉, 기록 및 재생되는 최소 데이터 유닛은 하나의 싱크 블록이다. 싱크 블록의 시퀀스(도 4의 (b) 참조)는 예를 들면 비디오 섹터(도 4의 (a) 참조)를 형성한다.
도 5는 영상 데이터의 싱크 블록의 데이터 구조를 나타낸다. 상기한 바와 같이, 하나의 싱크 블록은 기록 및 재생되는 최소 데이터 유닛이다. 기록 및 재생 장치에 있어서, 기록되는 영상 데이터의 포맷에 대응하는 하나의 싱크 블록은 하나 또는 2개의 매크로 블록(VLC 데이터)의 데이터를 포함한다. 하나의 싱크 블록의 사이즈는 사용되는 비디오 신호의 포맷에 의존한다. 도 5의 (a)에 도시된 것과 같이, 하나의 싱크 블록은 2바이트의 싱크 패턴, 2바이트의 ID, 1바이트의 양, 112바이트 내지 206 바이트 범위의 데이터 영역 및 연속적으로 배열된 12 바이트의 패리티(내부호 패리티임)로 구성된다. 데이터 영역은 페이로드(payload)라고도 불리운다.
2바이트의 싱크 패턴은 동기를 검출하기 위해 사용된다. 싱크 패턴은 소정 비트 패턴을 가진다. 소정 패턴에 대응하는 싱크 패턴을 검출함으로써, 동기가 검출된다.
도 6의 (a)는 ID0 및 ID1의 비트 할당 예를 나타낸다. IDQ은 현 싱크 블록에 고유인 중요한 정보를 포함하고 있다. ID0와 ID1 각각의 데이터 사이즈는 1바이트이다. ID0는 1트랙에서 싱크 블록을 식별하기 위한 식별 정보(싱크 ID임)를 포함한다. 싱크 ID는 섹터의 싱크 블록내의 일련 번호이다. 싱크 ID는 8비트로 구성된다. 영상 데이터의 싱크 블록과 음성 데이터의 싱크 블록은 상이한 싱크 ID가 붙혀진다.
ID1은 현 싱크 블록에 트랙 정보를 포함한다. MSB측과 LSB측이 각각 비트 7과 비트 0인 경우, 비트 7은 현 싱크 블록이 트랙의 위쪽 또는 아랫쪽에 있는지의 여부를 나타낸다. 비트 5 내지 2는 트랙상의 세크먼트를 나타낸다. 비트 1은 트랙 아지머스에 대응하는 트랙 번호를 나타낸다. 비트 0은 현 싱크 블록이 영상 데이터 또는 음성 데이터인가를 나타낸다.
도 6의 (b)는 현 싱크 블록의 데이터 영역이 영상 데이터인 경우의 DID 비트 할당 예를 나타낸다. DID는 현 싱크 블록의 페이로드 정보를 포함한다. DID의 내용은 ID1의 비트 값에 의존한다. ID1의 비트 1이 영상 데이터를 나타낼 경우, DID의 비트 7내지 4가 미정의로 되어 있다. DID의 비트 3과 비트 2는 페이로드의 모드를 나타낸다. 이 모드는 예를 들면 페이로드의 형태이다. DID의 비트 3과 비트 2는 보조 정보를 나타낸다. DID의 비트 1은 페이로드가 하나 또는 2개의 매크로 블록을 저장하는지의 여부를 나타낸다. DID의 비트 0은 페이로드에 저장되어 있는 영상 데이터가 외부호 패리티인가의 여부를 나타낸다.
도 6의 (c)는 현 싱크 블록의 데이터 영역이 음성 데이터인 경우 DID 할당 비트의 예를 나타낸다. DID의 비트 7 내지 4는 미정의로 되어 있다. DID의 비트 3은 현 싱크 블록의 페이로드에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가 음성 데이터 또는 일반적인 데이터인가의 여부를 나타낸다. 페이로드가 압축 부호화된 음성 데이터를 저장한 경우, DID의 비트 3은 데이터를 나타낸다. DID의 비트 2 내지 0는 NTSC의 5필드 시퀀스를저장한다. 즉, NTSC 표준에 있어서, 샘플링 주파수가 48kHz인 경우, 비디오 신호의 하나의 필드는 오디오 신호의 800샘플 또는 801샘플과 같다. 이러한 시퀀스는 5필드마다 완료된다. DID의 비트 2 내지 0은 시퀀스의 위치를 나타낸다.
도 5의 (b) 내지 도 5의 (e)는 페이로드의 일예를 나타낸다. 도 5의 (b) 및 도 5의 (c)에 있어서, 페이로드는 하나 또는 2개의 매크로 블록(가변 길이 부호화된 데이터로서)을 각각 저장한다. 도 5의 (b)에 있어서, 페이로드는 하나의 매크로 블록을 저장한다. 이 경우에, 페이로드의 전반 3바이트는 후속하는 매크로 블록의 길이를 나타내는 길이 정보 LT를 포함한다. 길이 정보 LT는 그 길이를 포함하거나 포함하지 않아도 된다. 도 5의 (c)에 있어서, 페이로드는 2개의 매크로 블록을 저장한다. 이 경우에, 첫 번째 매크로 블록의 길이 정보 LT, 첫 번째 매크로 블록, 두 번째 매크로 블록의 길이 정보 LT, 및 두 번째 매크로 블록은 연속하여 배치된다. 길이 정보 LT는 매크로 블록을 디패킹하기 위해 필요로 된다.
도 5의 (d)는 페이로드가 비디오 AUX(auxiliary) 데이터를 저장한 경우를 나타낸다. 도 5의 (d)에 있어서, 페이로드의 선두에는 길이 정보 LT가 배치된다. 길이 정보 LT는 비디오 AUX 데이터의 길이를 나타낸다. 길이 정보 LT 다음에는 5바이트, 12 바이트의 PICT 정보 및 92바이트의 사용자 정보가 추종된다. 페이로드의 나머지 영역은 미정의로 되어 있다.
도 5의 (e)는 페이로드가 음성 데이터를 저장한 경우를 나타낸다. 음성 데이터는 페이로드의 전길이에 걸쳐 채워될 수 있다. 오디오 신호는 예를 들면 압축되지 않은 PCM 신호이다. 다른 방법으로서는, 오디오 신호는 특정 방법에 따라 압축 부호화된다.
기록 및 재생 장치에 있어서, 각 싱크 블록의 데이터 저장 영역인 페이로드이 길이는 싱크 블록이 비디오 싱크 블록 또는 오디오 싱크 블록인지의 여부에 따라 최적화된다. 따라서, 각 비디오 싱크 블록의 페이로드의 길이는 각 오디오 싱크 블록의 길이와 동일하지 않다. 또한, 각 비디오 싱크 블록의 길이 및 각 오디오 싱크 블록의 길이는 사용하는 신호 포맷에 따라 최적으로 설정된다. 따라서, 복수의 상이한 신호 포맷이 통합적으로 취급될 수 있다.
도 7의 (a)는 MPEG 엔코더의 DCT 회로로부터 출력되는 영상 데이터의 DCT 계수의 순서를 나타낸다. DCT 블록에 있어서 좌상 위치의 DC 성분으로부터 개시하여, 수평/수직 주파수 성분이 높아지는 순서로, DCT 계수가 지그재그 스캐닝 방법(zigzag scanning method)으로 출력된다. 따라서, 도 7의 (b)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전부 64개의 DCT 계수(8화소 x 8라인)가 주파수 성분 순서로 얻어진다.
DCT 계수는 MPEG 엔코더의 VLC 부분에 의해 가변 길이 코드로 부호화된다. 즉, 최초의 계수는 고정 성분인 DC 성분이다. 다음 성분(AC 성분)은 제로 런(zero-runs)과 그것에 이어지는 레벨에 대응하는 부호가 할당된다. 따라서, AC 성분의 계수 데이터에 대한 가변 길이 부호화된 출력 데이터는 가장 낮은 주파수 성분(저차 계수)으로부터 가장 높은 성분(고차 계수)으로 예를 들면 AC1, AC2, AC3,...로 배열된다. 엘레먼터리 스트림은 가변 길이 부호로 부호화된 DCT 계수를 포함한다.
스트림 컨버터(106)는 수신된 신호의 DCT 계수를 재배열한다. 즉, 스트림 컨버터(106)는 각 DCT 블록내의 주파수 성분 순서로 배열된 DCT 계수를 매크로 블록의 모든 DCT 블록의 주파수 성분의 순서로 재배열한다.
도 8은 스트림 컨버터(106)에 의해 재배열된 DCT 계수를 나타낸다. (4:2:2) 성분 신호의 경우에 있어서, 하나의 매크로 블록은 휘도 신호 Y의 4개의 DCT 블록(Y1, Y2, Y3, 및 Y4), 색도 신호 Cb의 2개의 DCT 블록(Cb1및 Cb2), 및 색도 신호 Cr의 2개의 DCT 블록(Cr1 및 Cr2)로 구성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비디오 엔코더(102)는 도 8의 (a)에 도시된 것과 같이 MPEG2에 대응하는 각 DCT 블록에 대해 DCT 성분으로부터 고주파수 성분의 순서로 DCT 계수를 지그재그 주사한다. 비디오 엔코더(102)는 하나의 DCT 블록에 대해 DCT 계수를 지그재그 주사한 후, 비디오 엔코더(102)는 DCT 계수를 배열하기 위해 다음의 DCT 블록에 대해 DCT 계수를 지그재그 주사한다.
즉, 매크로 블록내의 DCT 블록 Y1, Y2, Y3, Y4및 DCT 블록 Cb1, Cr1,Cb2, Cr2각각의 DCT 계수는 DC 성분으로부터 보다 높은 주파수 성분의 순서로 배열된다. 가변 길이 부호화 처리는 부호가 런 및 후속하는 레벨의 세트(예를 들면, DC, AC1, AC2, AC3, ...)로 지정되도록 행해진다.
스트림 컨버터(106)는 DCT 계수의 가변 길이 부호를 인터럽트하고, 개개의 계수의 종단을 검출하고, 매크로 블록의 DCT 블록의 개별 주파수 성분에 대응하는 게수를 배열한다. 도 8의 (b)는 이와 같은 재배열 처리를 나타낸다. 우선, 매크로 블록의 8 DCT 블록의 DC 성분이 수집된다. 다음에, 매크로 블록의 8 DCT 블록의 최하위 주파수 AC 계수 성분이 수집된다. 이후, 매크로 블록의 8 DCT 블록의 후속 최하위 주파수 AC 계수 성분이 수집된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계수 데이터가 8DCT 블록에 대해 재배열되므로 개개의 순서에 대응하는 AC 계수가 수집된다.
재배열된 계수는 DC(Y1), DC(Y2), DC(Y3), DC(Y4), DC(Cb1), DC(Cr1), DC(Cb2), DC(Cr2), AC1(Y1), AC1(Y2), AC1(Y3), AC1(Y4), AC1(Cb1), AC1(Cr1), AC1(Cb2), AC1(Cr2), ...이다(여기서 DC, AC1, AC2, ...는 도 7에 도시된 것과 같이 후속하는 런 및 레벨의 가변 길이 부호 심볼 지정 세트를 나타낸다).
계수 데이터가 스트림 컨버터(106)에 의해 재배열된 변환된 엘레먼터리 스트림이 패킹 및 셔플링부에 공급된다. 변환된 엘레먼터리 스트림의 매크로 블록 데이터의 길이는 변환되지 않은 엘레먼터리 스트림의 매크로 블록의 길이와 동일하다. 비디오 엔코더(102)에 있어서, 각 GOP(1프레임)의 길이가 비트 레이트 제어 동작에 의해 고정되어도, 각 매크로 블록의 길이는 변한다. 패킹 및 셔플링부(107)는 매크로 블록의 데이터를 고정 영역에 채운다.
도 9는 패킹 및 셔플링부(107)에 의해 행해진 매크로 블록에 대한 패킹 처리를 나타낸다. 매크로 블록은 소정 데이터 길이를 가진 고정 영역에 채워진다. 고정 영역의 데이터 길이는 기록 및 재생되는 데이터의 최소 단위인 하나의 싱크 블록의 길이와 일치한다. 따라서, 셔플링 처리 및 에러 정정 부화화 처리가 단순하게 될 수 있다. 도 9에 있어서, 1프레임에는 8개의 매크로 블록이 포함되는 것으로 한다.
도 9의 (a)에 나타낸 것과 같이, 가변 길이 부호화 처리에 있어서, 개개의 매크로 블록의 길이는 서로 다르다. 이 예에 있어서, 매크로 블록#1의 데이터, 매크로 블록#3의 데이터, 매크로 블록#6의 데이터 각각의 길이는 고정 영역으로서의 하나의 싱크 블록의 길이보다 크다. 한편, 매크로 블록#2의 데이터, 매크로 블록#5의 데이터, 매크로 블록#7의 데이터 및 매크로 블록#8의 데이터 각각의 길이는 하나의 싱크 블록의 길이보다 작다. 매크로 블록#4의 데이터 길이는 하나의 싱크 블록의 데이터 길이와 거의 같다.
패킹 처리에 있어서, 각 매크로 블록은 하나의 싱크 블록의 길이로 고정 영역에 채워진다. 이것은 하나의 프레임 기간에서 발생된 데이터 양이 고정 량으로 제어되기 때문이다. 도 9의 (b)에 도시된 것과 같이, 싱크 블록보다 긴 매크로 블록은 하나의 싱크 블록의 길이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분할된다. 하나의 싱크 블록의 길이에 대한 매크로 블록의 오버플로 부분(overflow portion)은 각각이 하나의 매크로 블록의 길이보다 짧은 다른 매크로 블록의 후방 블랭크 부분에 채워진다.
도 9의 (b)에 도시된 예에 있어서, 하나의 싱크 블록의 길이에 대한 매크로 블록#1의 오버플로 부분은 매크로 블록#2의 후방 블랭크 부분에 채워진다. 매크로 블록#2의 길이와 매크로 블록#1의 오버플로 부분이 하나의 싱크 블록의 길이를 초과할 경우, 매크로 블록#1의 나머지 오버플로 부분은 매크로 블록#5의 후방 블랭크 부분에 채워진다. 다음에, 매크로 블록#3의 오버플로 부분은 매크로 블록#7의 후방 블랭크 부분에 채워진다. 또한, 매크로 블록#6의 오버플로 부분은 매크로 블록#7의 후방 블랭크 부분에 채워진다. 매크로 블록#6의 다른 오버플로 부분은 매크로 블록#8의 후방 블랭크 부분에 채워진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개개의 매크로 블록은 하나의 싱크 블록의 길이로 고정 영역에 채워진다.
스트림 컨버터(106)는 각 매크로 블록의 길이를 미리 결정할 수 있다. 따라서, 패킹부(107)는 VLC 데이터를 복호화하고 그 내용을 검토할 필요 없이 각 매크로 블록 데이터의 최후단을 검출할 수 있다.
도 10의 (a) 및 도 10의 (b)는 기록 및 재생 장치에 사용되는 에러 정정 부호의 예를 나타낸다. 도 10의 (a)는 영상 데이터용 에러 정정 부호의 하나의 에러 정정 블록을 나타낸다. 도 10의 (b)는 음성 데이터용 에러 정정 부호의 하나의 에러 정정 블록을 나타낸다. 도 10의 (a)에 있어서, VLC 데이터는 패킹 및 셔플링부(107)로부터 수신된 데이터이다. SYNC 패턴, ID 및 DID는 VLC 데이터의 각 라인에 부가된다. 또한, 내부호 패리티는 VLC 데이터이 각 라인에 부가된다. 따라서, 하나의 싱크 블록이 형성된다.
즉, 10 바이트 외부호 패리티가 VLC 데이터의 수직 방향으로 배열된 소정 수의 심볼(바이트)로 구성된다. 내부호 패리티는 외부호 패리티의 수평 방향으로 배열된, ID, DID 및 VLC 데이터(또는 외부 패리티)로 구성된다. 도 10의 (a)에 도시된 예에 있어서, 10 외부호 패리티 심볼과 12 내부호 패리티 심볼이 부가된다. 구체적 에러 정정 부호로서는, 리드 솔로몬 데이터가 사용된다. 도 10의 (a)에 있어서, 하나의 싱크 블록내의 VLC 데이터의 길이는 영상 데이터의 프레임 주파수가 59.94 Hz, 25Hz, 및 23.976Hz로 변하기 때문에 변한다.
영상 데이터와 같이, 도 10의 (b)에 도시된 것과 같이, 음성 데이터용 적부호가 사용되어 10 외부호 패리티 심볼 및 12 내부호 패리티 심볼을 생성한다. 음성 데이터의 경우에는, 샘플링 주파수는 예를 들면 48 kHz이다. 하나의 샘플은 16비트로 양자화된다. 다른 방법으로서는, 하나의 샘플은 16비트 이상(예를 들면 24비트)으로 양자화될 수 있다. 프레임 주파수에 대응하여, 하나의 싱크 블록내의 음성 데이터의 데이터 양이 변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채널 당 하나의 필드분의 음성 데이터는 2개의 에러 정정 블록을 구성한다. 하나의 에러 정정 블록은 기수번째 또는 우수번째의 오디오 샘플 및 오디오 AUX를 포함한다.
도 11의 (a) 내지 도 11의 (d), 도 12의 (a) 내지 도 12의 (d) 및 도 13의 (a) 내지 도 13의 (d)는 본 발명에 따른 플랙 TFF에 기초하여 표시되는 영상 데이터의 예를 나타낸다. 도 11의 (a), 도 11의 (b), 도 11의 (c) 및 도 11의 (d)는 인터레이스 영상 데이터가 기록 동작시와 같은 시간 축상에서 동일 방향에서 재생되는 예를 나타낸다. 도 12의 (a), 도 12의 (b), 도 12의 (c) 및 도 12의 (d)는 도 11의 (a), 도 11의 (b), 도 11의 (c) 및 도 11의 (d)에 도시된 인터레이스 영상 데이터가 종래의 제어 처리에 따른 기록 동작시와는 다른 시간축상의 방향에서 재생되는 일예를 나타낸다. 도 13의 (a), 도 13의 (b), 도 13의 (c) 및 도 13의 (d)는 인터레이스 영상 데이터가 본 발명의 제어 처리에 따른 기록 동작시와는 다른 시간 축상의 방향에서 재생되는 예를 나타낸다. 이하의 설명에서, 기록 영상 데이터가 기록 동작시와는 다른 시간축상의 방향에서 재생되는 재생 동작은 "역전 재생 동작(reverse reproducing operation)"이라 한다. 따라서, 기록 영상 데이터가 기록 동작시와 같은 시간축상의 방향에서 재생되는 재생 동작은 "정방향 재생(forward reproducing operation)"이라 한다.
영상 데이터가 정방향으로 재생되는 일예를 나타낸 도 11의 (a) 내지 도 11의 (d)에 있어서, 플랙 TFF은 [1]로 설정된다. 도 11의 (a)에 도시된 것과 같이, 프레임 픽쳐(10)는 탑(top) 필드 픽쳐(10A)와 바틈(bottom) 필드 픽쳐로 구성된다. 프레임 픽쳐(10)에 의해 시간적으로 진행되는 프레임 픽쳐(11)는 탑 필드 픽쳐(11A)와 바틈 필드 픽쳐(11B)로 구성된다. 마찬가지로, 프레임 픽쳐(11)에 의해 시간적으로 진행되는 프레임 픽쳐(12)는 탑 필드 픽쳐(12A)와 바틈 필드 픽쳐(12B)로 구성된다.
따라서, 플랙 TFF의 값이 [1]로 설정되는 예에 있어서, MPEG2 복호화 처리결과로서, 필드 픽쳐(10A, 10B, 11A, 11B, 12A, 12B)가 연속적으로 출력된다. 도 11의 (b)에 도시된 것과 같이, 프레임 픽쳐(10C, 11C, 12C)와 같이, 좌하로부터 우상으로 이동하는 비행기가 표시된다. 도 11의 (c)는 각 프레임 필드의 표시 순서를 나타낸다. 따라서, 결과적으로, 도 11의 (d)에 도시된 픽쳐(13)와 같이, 좌하에서 우상으로 이동하는 비행기가 표시된다.
도 2에 도시된 구성에 있어서, MPEG2 복호화 처리가 비디오 디코더(142)에 의해 행해진다.
상기한 바와 같이, 도 12의 (a) 내지 도 12의 (d)에 도시된 예에 있어서, 플랙 TFF에 의해 제어 처리가 이용되지 않는다. 도 12의 (a)는 각 프레임의 탑 필드와 바틈 필드의 구성을 나타낸다. 종래에서는, 영상 데이터가 자기 테이프상에 MPEG2로 기록되지 않는다. 따라서, 플랙 TFF은 역전 재생 동작에 사용되어 왔다. 그 결과, 도 12의 (a) 내지 도 12에 도시된 예에 있어서, 플랙 TFF은 [1]로 설정된다.
도 12의 (a) 내지 도 12의 (d)에 도시된 예에 있어서, 역전 재생 동작이 행해지므로, 프레임 화상은 도 11의 (a) 내지 도 11의 (d)에 도시된 프레임 화상과는 역의 순서로 재생된다. 즉, 도 12의 (b)에 도시된 예에 있어서, 프레임 화상(16)은 프레임 화상(15)에 의해 추종된다. 프레임 화상(15)은 프레임 화상(14)에 의해 추종된다.
한편, 플랙 TFF의 값이 [1]이므로, 필드 화상은 정방향 재생 동작과 같은 순서로 재생된다. 도 12의 (c)는 각 프레임 필드의 표시 순서를 나타낸다. 프레임 화상(16)에 있어서, 탑 필드 화상(16A)은 바틈 필드 화상(16B)에 의해 추종된다. 마찬가지로, 프레임 화상(15)에 있어서, 탑 필드 화상(15A)은 바틈 필드 화상(15B)에 의해 추종된다. 프레임 화상(14)에 있어서, 탐 필드 화상(14A)은 바틈 필드 화상(14B)에 의해 추종된다.
따라서, 도 12의 (b)에 나타낸 프레임 화상(16C, 15C, 14C)과 같이, 좌하로부터 우상으로 이동하는 비행기가 표시된다. 그 결과, 도 12의 (d)에 나타낸 것과 같이, 프레임 화상(17)에 의해, 우상에서 좌하로 이동하는 비행기가 표시된다.
각 프레임에 있어서, 좌하에서 우상으로 이동하는 비행기가 표시된다/ 따라서, 비행기는 부자연스럽게 표시된다.
이와 같은 문제를 예방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르면, 역전 재생 동작이 행해질 때, 플랙 TFF의 값은 [0]으로 변경된다.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이, MPEG2 복호화 처리로 출력된 필드 화상은 바틈 필드가 탑 필드에 의해 추종되도록 표시된다.
따라서, 도 13의 (b)에 도시된 것과 같이, 역전 재생 동작이 행해지므로, 프레임 화상(20)은 최초로 표시된다. 프레임 화상(20)은 프레임 화상(19)에 의해 추종된다. 프레임 화상(19)은 프레임 화상(18)에 의해 추종된다. 프레임화상(20, 19, 18)의 각각에 있어서, 바틈 필드 화상은 탑 필드 화상에 의해 추종된다. 즉, 도 13의 (c)에 나타낸 것과 같이, 프레임 화상(20)에 있어서, 바틈 필드 화상(20b)은 탑 필드 화상(20A)에 의해 추종된다. 프레임 화상(19)에 있어서, 바틈 필드 화상(18B)은 탑 필드 화상(18A)에 의해 추종된다.
도 13의 (c)에 나타낸 프레임 화상(20C, 19C, 18C)과 같이, 우상에서 좌하로 이동하는 비행기가 표시된다. 그 결과, 도 13의 (d)에 나타낸 화상과 같이, 우상에서 좌하로 이동하는 비행기가 표시된다. 따라서, 영상 데이터는 역전 재생 동작에서 매끄럽게(smoothly) 표시된다.
상기한 설명에 있어서, 역전 재생 동작이 행해질 경우, 플랙 TFF은 [0]으로 세트된다. 그러나, 실제로 역전 재생 동작이 행해질 경우라도, 플랙 TFF의 값은 반전된다. 즉, 플랙 TFF=[1]인 영상 데이터가 역방향에서 재생될 때, 플랙 TFF의 값은 [0]으로 변경된다. 플랙 TFF=[0]인 비디오데이터가 역방향에서 재생될 경우, 플랙 TFF의 값은 [1]로 변경된다.
예를 들면, 정방향에서 기록되는 영상 데이터는 외부 VCR 등에 의해 역방향에서 재생된다. 압축 부호화된 역방향에서 재생되는 영상 데이터의 비트 스트림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VCR에 공급된다. 이러한 점에서 플랙 TFF의 값은 [0]이다. VCR에 있어서, 압축 부호화된 비트 스트림은 자기 테이프에 기록된다. 물론, 비트 스트림은 정방향으로 이동하는 자기 테이프상에 기록된다. 이러한 점에서, 플랙 TFF의 값은 [0]이다. 영상 데이터가 정방향에서 테이프로부터 재생되고 각 프레임이 바틈 필드 및 탑 필드의 순서로 표시될 경우, 영상 데이터는 역방향으로 매끄럽게 표시된다.
영상 데이터가 역방향에서 테이프로부터 재생될 경우, 플랙 TFF은 한번 더 반전된다. 따라서, 플랙 TFF의 값은 [0]에서 [1]로 변경된다. 그 결과, 각 프레임에 있어서, 영상 데이터는 탑 필드 및 바틈 필드의 순서로 표시된다. 따라서, 영상 데이터는 정방향에서 정상적으로 표시된다.
역방향 재생 동작이 플랙 TFF의 값[0]과 상호 관련되어 있을 경우, 역방향으로 테이프로의 재생 및 기록된 영상 데이터가 역방향에서 그로부터 재생되면, 플랙 TFF의 값은 [0]으로 된다. 따라서, 각 프레임에 있어서, 바틈 필드는 탑 필드에 의해 추종된다. 그 결과, 영상 데이터는 부자연스럽게 재생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역전 재생 동작이 행해질 때, MPEG2 비트 스트림의 "picture_coding_extension"에 포함된 "top_field_first"는 반전되고 MPEG2 디코더는 그 결과로 얻어진 플랙을 알린다. "top_field_first"의 정보에 따라, MPEG2 디코더는 탑 필드와 바틈 필드의 표시 순서를 변경한다.
MPEG2 디코더는 프레임내 부호화된 영상 데이터를 복호화하기 위한 프레임 메모리를 가진다. 표시 순서는 프레임 메모리를 갖는 플랙 TFF에 따라 변경된다.
즉, 본 발명에 따르면, MPEG2로 정의된 하나의 비트의 플랙 TFF에 의해, 필드의 표시 순서는 각 프레임(각 화상)을 위한 정방향 재생 동작 및 역방향 재생 동작에서 적절하게 제어된다.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플랙 TFF을 처리하는 VCR 1의 구성의 일예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VCR 1의 기록부에 있어서, 예를 들면 SDI(Serial Digital Interface) 전송 포맷의 영상 데이터와 음성 데이터는 단자(30)에 입력된다. 냥 포맷은 영상 데이터와 음성 데이터가 다중화되고 직렬로 전송되는 전송 포맷이다. SDI 포맷은 방송국 등을 위한 SMPTE-259M으로 정의된다. 단자(30)로부터 입력되는 데이터는 입력 회로(31)에 공급된다. 입력 회로(31)는 직렬 데이터를 데이터 폭이 8비트 인 병렬 데이터로 변환한다. 입력 회로(31)는 병렬 데이터를 영상 데이터와 음성 데이터로 분리한다. 또한, 입력 회로(31)는 입력 데이터로부터 위상 기준인 동기 신호를 추출한다.
영상 데이터는 MPEG 엔코더(32)에 공급된다. 음성 데이터는 지연 회로(33)에 공급된다. 지연 회로(33)는 음성 데이터를 소정 기간 동안 지연하고 그 결과로 얻어진 음성 데이터를 ECC 엔코더(35)에 공급한다. 동기 신호는 타이밍 발생기(37)에 공급된다.
외부 기준 신호 REFSMS 단자(36)로부터 입력된다. 신호 REF는 타이밍 발생기(37)에 공급된다. 타이밍 발생기(37)는 동기 신호의 지정 신호와 입력 회로(31)로부터 수신된 신호 REF에 동기하여 타이밍 펄스로서 VCR 1에 필요한 타이밍 신호를 출력한다. 타이밍 펄스 TP는 VCR 1의 각 부분에 공급된다.
MPEG 엔코더(32)는 입력부(31)로부터 수신된 영상 데이터에 대해 DCT 처리, 양자화 처리, 및 압축 부호화 처리를 행한다. 또한, MPEG 엔코더(32)는 MPEG 헤더 정보를 합성 영상 데이터에 부가하고 MPEG 비트 스트림을 출력한다. 이러한 점에서, 플랙 TFF의 값은 [1]이다. 플랙 TFF은 MPEG 비트 스트림 구조의 "picture_coding_extension"(이하, PCE라 함)의 소정 위치에 배치된다. MPEG 비트 스트림내의 플랙 TFF의 위치는 나중에 설명한다.
다음의 설명에서, 소정 헤더 정보가 MPEG에 따라 압축 부호화된 영상 데이터에 부가되는 비트 스트림은 MPEG 비트 스트림이라 한다.
비트 스트림은 M_NX 회로(34)에 공급된다. M_NX 회로(34)는 도 8의 (a) 및 도 8의 (b)에서 설명된 것과 같이 낮은 주파수 성분의 순서로 수신된 데이터의 DCT 계수를 재배열한다. MPEG의 DCT 계수가 재배열된 합성 비트 스트림은 변환된 비트 스트림(converted bit stream)이라 한다. M-NX 회로(34)로부터 출력된 변환 비트 스트림은 ECC 엔코더(35)에 공급된다.
변환 비트 스트림외에, 지연 회로(33)에 의해 표시되는 음성 데이터는 ECC 엔코더(35)에 공급된다. VCR 1에 있어서, 음성 데이터는 비압축 데이터로서 취급된다. 지연 회로(35)는 MPEG 엔코더(32)가 영상 데이터를 지연하는 것처럼 음성 데이터를 지연하여 변환 비트 스트림이 타이밍이 음성 데이터의 타이밍과 일치하도록 한다.
ECC 엔코더(35)는 리드 솔로몬 코드 등의 적부호로 변환된 비트 스트림 및 음성 데이터에 대해 에러 정정 부호화를 시행한다. 따라서, ECC 엔코더(35)는 도 10의 (a) 및 도 10의 (b)에 기재된 것과 같은 ECC 블록을 발생한다. 그 결과로 얻어진 데이터는 기록 데이터로서 이퀄라이저(38)에 공급된다.
이퀄라이저(38)는 기록 데이터에 대해 기록 부호화 처리를 시행하여 기록 데이터가 기록될 수 있도록 한다. 그 결과로 얻어진 기록 데이터는 회전 드럼(39)에 배치된 기록 헤드(도시하지 않음)에 공급된다. 기록 헤드는 자기 테이프(40)상에 기록 데이터에 대응하는 헬리컬 트랙을 형성한다. 기록 데이터는 자기 테이프(40)위에 도 3 및 도 4의 (a) 내지 도 4의 (c)에 도시된 트랙 포맷으로 기록된다.
시스템 컨트롤러(이하 시스-콘(sys-con)이라 함)(41)는 마이크로프로세서, 메모리, 주변 회로 등으로 구성된다. 시스-콘(41)은 VCR 1의 각 부분과 송수신한다. 서보(42)는 예를 들면 캡스턴 모터(도시하지 않음)를 구동하고 자기 테이프(40)의 주행 동작을 제어한다. 서보(42)와 시스-콘(41)은 신호 SY_SV를 사용하여 서로 송수신한다. 서보(42)와 시스-콘(41)은 신호 SERVO_IO 및 SY_IO를 사용하여 VCR 1의 각 부분과 송수신하고, VCR 1을 최적으로 제어한다.
예를 들면, VCR 1의 조작 패널로부터, 정방향 재생 명령 또는 역방향 재생 명령이 시스-콘(41)으로 보낸진다. 수신 명령에 따라, 시스-콘(41은 신호 SY_SU를 사용하여 서보(42)와 송수신한다. 따라서, 수신된 명령이 역방향 재생 명령일 때, 시스-콘(41)은 기록 동작와는 다른 방향으로(즉, 역방향으로) 자기 테이프(40)가 이동하도록 서보(42)를 구동 제어한다. 역방향 재생 동작으로, 시스-콘(41)은 플랙 TFF을 NX_M 회로(46)(이하에서 설명됨)로 반전시키는 명령을 출력한다.
다음에, VCR Q의 재생부에 대해 설명한다.
시스-콘(41)으로부터 수신된 명령에 대응하여, 서보(42)는 자기 테이프(40)를 구동하여 소정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정방향 재생 명령이 시스-콘(41)으로부터 수신될 때, 서보(42)는 자기 테이프(40)를 구동하여 기록 동작시와 같은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마찬가지로, 역전 재생 명령이 시스-콘(41)으로부터 수신될 때, 서보(42)는 자기 테이프(40)를 구동하여 기록 동작시와는 다른 방향(즉, 역방향)으로 주행시킨다. 회전 드럼(39)상에 배치된 재생 헤드(도시하지 않음)는 자기 테이프(40)상에 형성된 헬리컬 트랙을 추적한다 재생 신호는 재생 이퀄라이저(43)에 공급된다. 재생 이퀄라이저(43)는 재생 신호의 위상을 이퀄라이징하고 재생 신호를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한다. 재생 데이터는 ECC 디코더(44)에 공급된다.
ECC 디코더(44)는 에러 정정 코드로 부호화된 재생 데이터의 각 ECC 블록을 복호화한다. 복호화된 데이터의 영상 데이터는 ECT 계수가 낮은 주파수 성분 순서로 재배열되는 변환 비트 스트림이다. 한편, 복호화된 데이터의 음악 데이터는 비압축 데이터이다. 변환된 비트 스트림은 재생성 회로(45)에 공급된다. 변환된 비트 스트림이 에러 정정 코드로 보정되지 않은 에러를 포함할 때, 에러를 포함하는 데이터 블록을 나타내는 신호 ERR이 출력된다. 신호 ERR은 재생성 회로(45)에 공급된다.
재생성 회로(45)가 재생 데이터가 에러를 가지고 있지 않다는 것을 나타내는 신호 ERR을 수신했을 때, 재생성 회로(45)는 변환 비트 스트림의 각 프레임으로부터 헤더 정보를 얻는다. 재생성 회로(45)가 재생 데이터가 에러를 가지고 있다는 것을 나타내는 신호 ERR을 수신했을 때, 재생성 회로(45)는 재생성 회로(45)가 바로 전에 얻어진 정보를 사용하여 헤더 정보를 재구축한다. 재생성 회로(45)는 각 프레임의 정보를 유지한다. 재생 데이터가 에러를 가질 경우, 재생성 회로(45)는 선행 프레임을 사용하여 MPEG 비트 스트림의 에러 부분을 정정한다. 재생성 회로(45)에 의해 정정된 변환 비트 스트림은 NX_M 회로(46)에 공급된다.
NX_M 회로(46)는 변환 비트 스트림의 DCT 계수를 MPEG 비트 스트림으로 재배열한다. 이 때, NX_M 회로(46)는 변환 비트 스트림으로부터 플랙 TFF을 추출한다. 도한, 역전 재생 동작이 행해질 때, NX_M 회로(46)는 플랙 TFF을 반전시키고 반전된 플랙을 변환 비트 스트림에 배치한다. NX_M 회로(46)에 의해 행해지는 플랙 TFF 추출 방법은 이하에 설명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시스-콘(41)이 서보(42)로 하여금 역전 재생 동작을 시행하도록 했을 때, 시스-콘(41)은 플랙 TFF을 반전시키기 위한 명령을 NX_M 회로(46)에 공급한다. 역방향으로 재생되는 변환 비트 스트림이 NX_M 회로(46)에 공급되는 타이밍에 맞추어서, 명령이 지연되고 NX_M 회로(46)에 공급된다. 명령에 따라, NX_M 회로(46)는 변환 비트 스트림의 소정 위치에 놓인 플랙 TFF을 반전시킨다.
NX_M 회로(46)로부터 출력되는 MPEG 비트 스트림은 SDTI 출력부(51)와 MPEG 디코더(48)에 공급된다. MPEG 디코더(48)는 수신된 MPEF 비트 스트림을 복호화 및 확장하여 비압축 영상 데이터를 출력한다. 이 때, MPEG 비트 스트림에 놓인 플랙 TFF의 값에 따라, 탑 필드 및 바틈 필들의 출력 순서로 각 프레임을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제어 동작은 MPEG 디코더(48)의 프레임 메모리를 사용하여 행해질 수 있다. 프레임 메모리가 움직임 보상 예측 부호화 처리로 부호화된 디데오 데이터를 복호화하기 위해 사용되지만, 프레임 메모??는 필드의 판독 순서를 Q USRUD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잇다. MPEG 디코더(48)의 출력 신호는 SDI 출력부(49)에 공급된다.
한편, ECC 디코더(44)에 의해 복호화된 음성 데이터는 지연 회로(47)에 공급된다. 지연 회로(47)는 소정 기간동안 음성 데이터를 지연시킨다. 지연된 음성 데이터는 SDI 출력부(49) 및 SDTI 출력부(51)에 공급된다. 지연 회로(47)는 재생 회로(45), NX_M 회로(46) 및 MPEG 디코더(48)내의 영상 데이터의 처리 시간에 대응하는 기간동안 SDI 출력부(49)에 공급된다. 또한, 지연 회로(4K7)는 재생성 회로(45)와 NX_M 회로(46)내의 영상 데이터가 처리 시간에 따른 기간 동안 SDTI 출력부(51)에 공급된다.
SDI 출력부(49)는 수신된 영상 데이터와 음성 데이터를 SDI 전송 데이터로서 포맷하고, 병렬 데이터를 직렬 데이터로 변환하고, 직렬 데이터를 출력 단자(50)에 출력한다.
마찬가지로, SDTI 출력부(51)는 수신된 MPEG 비트 스트림과 음성 데이터를 SDTI(Serial Data Transform Interface) 전송 데이터로서 포맷하고, 병렬 데이터를 직렬 데이터로 변환하고, 직렬 데이터를 출력 단자(52)로 출력한다. SDTI 출력부(51)에 공급된 MPEG 비트 스트림이 플랙 TFF을 포함하기 때문에, 수신 장치는 플랙 TFF의 값에 대응하는 각 프레임의 탑 필드와 바틈 필드의 재생 순서를 제어할 수 있다.
SDTI 전송 포맷은 방송국 등을 위한 SMPTE-305M으로 정의된 전송 포맷이다.
다음에, MPEG 데이터 스트림내에 플랙 TFF을 배치하는 처리 및 그로부터 플랙 TFF를 추출하는 처리에 대해 기술한다. 플랙 TFF 추출 처리는 NX_M 회로(48)에 의해 행해진다. 도 15의 (a)는 8비트 버스(즉, 데이터 폭이 8비트임)인 경우의 PCE의 구조를 나타낸다. 도 15의 (a)에는 PCE내의 플랙 TFF(top_field_first)의 위치가 나타내어져 있다. 도 15의 (a)에 도시된 것과 같이, "picture_start_code"(이하 PSC라 함)는 각 프레임의 선두에 놓인 부호이다. PSC의 값은 [32'h00000100]이다. PSC 뒤에는 "extension_start_code"(이하, ESC라 함)와 "extension_start_code_identifier"(이하 ESCI라 함)가 있다. ESC의 값과 ESCI의 값이 각각 [32' h0000001B5]와 [4' b1000]일 경우, ESCI 뒤에는 PCE가 있는 것으로 인식된다. ESCI의 마지막 세번째의 3바이트의 MSB의 1비트에 있어서, 플랙 TFF이 놓인다.
상기 설명에 있어서, [32' h]는 16진 표기로 32 비트 코드를 나타내고, 한편 [4' h]는 2진 표기로 4비트 코드를 나타낸다.
도 16은 도 14에 나타낸 NX_M 회로(46)의 구조를 나타낸 예이다. 도 16에 있어서, DCT 계수를 재배열하는 재열 회로가 생략되어 있다. 재배열 회로(도시하지 않음)는 변환 비트 스트림의 DCT 계수를 재배열하고 MPEG에 대응하는 비트 스트림(이하 MPEG 비트 스트림이라고 함)을 출력한다. 8비트 병렬 MPEG 비트 스트림은 지연부(61)에 공급된다. 또한, MPEG 비트 스트림은 PSC 검출 회로(62), ESC 검출 회로(63), 및 ESCI 검출 회로(64)에 공급된다.
지연부(61)는 검출 회로(62, 63, 64)의 처리 시간에 대응하는 기간 동안 입력 비트 스트림을 지연시킨다.
PSC 검출 회로(62)의 검출 결과는 타이밍 발생기(65)에 공급된다. ESC 검출 회로(K63)의 검출 결과는 ESCI 검출 회로(64)에 공급된다. ESCI 검출 회로(64)는 ESC 검출회로(63)의 검출 결과에 대응하는 ESCI를 검출한다. ESCI 검출 회로(64)의 검출 결과는 타이밍 발생기(65)에 공급된다. 도 15의 (b)에 도시된 것과 같이, 타이밍 발생기(65)는 PSC 검출 회로(62)와 ESCI 검출 회로(64)의 검출 결과에 대응하는 타이밍 신호 "top_field_first_tim"(이한 TFFT라 함)를 발생한다. 신호 TFFT와 함께, 플랙 TFF는 MPEG 비트 스트림으로부터 추출될 수 있다.
도 17은 플랙 TFF을 추출 및 반전시키기 위한 처리의 일예를 나타낸 플로챠트이다. VCR이 역전 재생 명령에 대응하는 역전 재생 모드(단계 S10)에서 동작될 때, PSC 검출 회로(62)는 PSC를 검출한다(단계 S11). 예를 들면, PSC 검출 회로(K62)는 8비트 병렬 MPEG 비트 스트림의 4바이트(32 비트)를 동시에 검사하고 PSC를 나타내는 값[32' H00000100]을 검출한다. PSC의 검출된 값은 타이밍 발생기(85)에 공급된다.
PSC가 검출된 후, 그 흐름은 단계 S12로 진행한다. 단계S12에서, ESC 검출 회로(63)는 ESC를 검출한다. PSC 검출 회로(62)에서와 같이, ESC 검출 회로(K63)는 8비트 병렬 MPEG 비트 스트림의 4바이트를 동시에 검사하고, ESC를 나타내는 값 [32' h000001B5]을 검출한다. 검출된 결과는 ESCI 검출 회로(64)에 공급된다.
ESC 검출 회로(63)가 ESC의 검출된 결과를 ESCI 검출 회로(64)에 공급할 때, 그 흐름은 단계 S13으로 진행한다. 단계 S13에서, ESCI 검출 회로(64)는 ESCI를 검출한다. 예를 들면, ESCI 검출 회로(64)는 8비트 병렬 MPEG 비트 스트림의 상위 4비트를 검사하고 ESCI를 나타내는 값 [4' b0001]을 검출하고 esci의 검출된 결과를 타이밍 발생기(65)에 공급한다.
타이밍 발생기(65)는 MPEG 비트 스트림의 각 바이트에 대응하여 카운트 업(count up)하는 카운터를 가진다. ESCI 검출 회로(64)가 ESCI의 검출된 결과를 타이밍 발생기(65)에 공급했을 경우, 흐름은 단계 S14로 진행한다. 단계 S14에서, 카운터는 S15로 MPEG 비트 스트림의 각 바이트에 대응하여 카운트 업한다.
도 15의 (a)에 도시된 것과 같이, 플랙 TFF은 ESCI의 최후 세 번째 바이트의 MSB에 위치된다. 따라서, ESCI의 최후 3번째 바이트가 카운트될 때, 도 15의 (b)에 나타낸 신호 TFFT가 출력된다(단계 S16). 도 15의 (b)에 나타낸 것과 같이, 신호 TFFT의 신호 레벨은 플랙 TFF의 위치에 대응하는 타이밍에서 높게 된다.
신호 TFFT가 출력되는 타이밍은 MPEG 비트가 전송되는 버스의 폭에 기초한다. 버스 폭이 8비트인 예에서, 신호 TFFT는 ESC의 최후 4번째 클록 펄스에서 출력된다.
한편, 시TM-콘(41)과 NX_M 회로(46)간의 인터페이스인 시스-콘 I/F(69)은 신호 SY_IO를 사용하여 단자(71)를 통해 시스-콘(41)과 송수신한다. VCR 1이 역전 재생 동작을 행하고 시스-콘(41)이 플랙 TFF 반전 명령을 출력할 때, 시스-콘 I/F(69)는 플랙 TFF의 비트 값을 반전시키는 플랙 반전 신호를 출력한다. 플랙 TFF 반전 신호의 신호 레벨이 높아지면, 비트 반전 명령이 내려진다.
AND 회로(66)는 타이밍 발생기(65)로부터 수신된 플랙 TFF과 시스-콘 I/F(69)로부터 수신된 플랙 TFF 반전 신호를 앤드(AND)한다. 따라서, 신호 TFFT의 신호 레벨과 플랙 TFF 반전 신호 양자가 높을 때, 앤드된 결과는 AND 회로(66)로부터 반전 TFF 선택 신호로서 출력된다.
스위치 회로(68)는 반전 TFF 선택 신호에 대응하는 2개의 입력 단자 중 하나를 선택한다. 지연부(61)로부터 출력된 MPEG 비트 스트림은 스위치 회로(68)의 제 1 입력 단자에 공급된다. 지연부(61)로부터 인버터(67)를 통해 출력된 비트 스트림은 스위치 회로(68)의 제 2 입력 단자에 공급된다. 인버터(67)는 예를 8비트의 병렬 데이터를 입력한다. 인버터(67)는 플랙 TFF의 비트 위치에 대응하는 비트만의 값을 반전시킨다. 8비트 버스의 예에서는, MSB 비트 값만이 반전된다. 반전된 TFF 선택 신호의 신호 레벨이 높을 때, 인버터(67)의 출력이 선택된다. 따라서, MPEG 비트 스트림에 있어서, 플랙 TFF만이 반전된다(단계 S17).
스위치 회로(68)로부터 출력된 비트 스트림은 단자(70)로부터 추출된다. 비트 스트림은 SDTI 출력부(51)와 MPEG 디코더(48)에 단자(70)를 통해 공급된다.
도 17에 도시된 플로 챠트를 다시 참조하면, 단계 S17에서, MSB 반전 제어 신호가 출력된다. 이후, 단계 S18에서, 다음 프레임이 처리된다.
상기 예에 있어서, 역전 재생 동작을 위한 플랙 TFF 반전 처리는 NX_M 회로(46)의 하드웨어에 의해 행해진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대신에, 플랙 TFF 반전 처리는 도 17에 나타낸 플로 챠트에 대응하는 CPU(Central Processing Unit)에서 동작하는 소프트웨어에 의해 행해질 수 있다.
상기 예에 있어서, MPEG 비트 스트림을 기록하기 위한 기록 매체로서, 자기 테이프가 사용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라는 것에 유의해야 한다. MPEG 비트 스트림이 기록될 수 있고 데이터가 프레임마다 재생될 수 있는 것이면, 어떠한 기록 매체라도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하드 디스크, 반도체 메모리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한 실시예에 있어서, 영상 데이터는 MPEG2 규격에 기초하여 압축 부호화되고 MPEG 비트 스트림은 전송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대신에, 본 발명은 압축 부호화된 데이터가 기록 및 재생될 수 있게 하는 다른 압축 부호화 방법에 응용될 수 있다.
상기한 예에 있어서, 기록 매체로부터 역방향으로 재생된 압축 영상 데이터에 있어서, 플랙 TFF이 반전된다. 상기 예의 변형예로서, 외부 기기에 의해 역전 재생되고 압축 영상 데이터로서 전송되는 데이터가 기록되는 경우에 대해 다음에 설명한다. 외부 기기가 종래의 기기이고 플랙 TFF의 값이 역전 재생 동작이 행해질 때에도 [1]일 때, VCR 1은 플랙 TFF의 값을 반전시키고 이후 영상 데이터를 기록한다.
이 경우에, 영상 데이터가 정방향에서 기록 매체로부터 재생될 때, 플랙 TFF의 값은 [0]이므로, 각 프레임은 바틈 필드와 탑 필드의 순서로 표시된다. 즉, 영상 데이터는 역전 재생 동작으로 정상적으로 표시된다.
한편, 영상 데이터가 역전 재생 동작에서 기록 매체로부터 재생될 때, 탑 필드와 바틈 필드는 정방향 재생 동작에서의 것과 같은 순서로 표시되어야 한다. 즉, 각 프레임은 탑 필드와 바틈 필드의 순서로 표시되어야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구조에 있어서, 영상 데이터가 기록 매체로부터 역방향으로 재생될 때, 플랙 TFF의 값이 반전되므로, 이 예에서는 플랙 TFF의 값이 [0]에서 [1]로 반전된다. 따라서, 각 프레임은 탑 필드와 바틈 필드의 순서로 표시된다. 그 결과, 영상 데이터가 기대했던 것과 같이 표시된다.
영상 데이터가 기록될 때, 플랙 TFF 반전 처리가 도 14에 나타낸 R조의 기록부의 SDTI 입력부에 의해 행해진다. MPEG 비트 스트림은 SDTI 입력부로부터 M_NX 회로(34)에 공급된다. M_NX 회로(34)의 구조는 도 16에 나타낸 것과 같다. 따라서, 입력 비트 스트림의 소정 위치에 배치된 플랙 TFF이 반전된다. 반전된 플랙 TFF을 갖는 비트 스트림은 ECC 엔코더(35)에 공급된다. ECC 엔코더(35)는 비트 스트림을 에러 정정 코드로 부호화한다. 그 결과로 얻어진 데이터는 자기 테이프(40)위에 드럼(39)의 기록 헤드에 의해 이퀄라이저(38)를 통해 기록된다.
이상, 본 발명의 최선의 실시예에 대해 설명하였지만, 이 기술분야에서 숙련된 사람은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이탈하지 않고 상기 및 여러 가지 다른 변경, 생략, 및 그 형태 및 세부 요소의 추가가 이루어질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Claims (11)

  1. 압축 부호화된 영상 데이터를 전송하는 데이터 전송 장치에 있어서,
    상기 영상 데이터가 기록되는 기록 매체와,
    상기 영상 데이터가 기록되는 방향과는 다른 시간 축 상의 방향에서 상기 기록 매체로부터 상기 영상 데이터를 판독하는 재생 수단과,
    상기 영상 데이터가 상기 재생 수단에 의해 상기 기록 매체로부터 상기 다른 방향에서 판독될 때 상기 다른 방향에서 상기 기록 매체로부터 상기 영상 데이터가 판독된 것을 나타내는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정보를 상기 영상 데이터의 데이터 스트림에 배치하고, 그 결과로 얻어진 데이터 스트림을 전송하는 전송 수단을 포함하는 데이터 전송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 수단은 상기 영상 데이터의 각 프레임에 대응하는 데이터 스트림에 상기 정보를 배치하는 데이터 전송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 수단은,
    상기 영상 데이터가 상기 기록 매체로부터 상기 다른 방향에서 판독될 때 상기 데이터 스트림의 상기 영상 데이터 필드의 상기 표시 순서를 나타내는 플랙을 반전시키는 반전 수단을 가지는 데이터 전송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반전 수단은 상기 영상 데이터의 각 프레임에 대응하는 상기 플랙을 반전시키는 데이터 전송 장치.
  5. 기록 매체에 압축 부호화된 영상 데이터를 기록하는 기록 장치에 있어서,
    상기 영상 데이터의 데이터 스트림을 수신하는 수신 수단과,
    상기 데이터 스트림에 배치되어 있고 상기 영상 데이터 필드의 표시 순서를 나타내는 플랙을 반전시키는 반전수단, 및
    상기 기록 매체에 상기 반전된 플랙을 갖는 데이터 스트림을 기록하는 기록 수단을 포함하는 기록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 수단에 공급된 상기 데이터 스트림이 역으로 재생되고 상기 데이터 스트림에 배치된 상기 플랙이 상기 역방향에서 재생되는 상기 영상 데이터를 나타내지 않을 때 상기 반전 수단은 상기 플랙을 반전시키는 기록 장치.
  7. 기록 매체에 압축 부호화된 영상 데이터를 기록하고 상기 영상 데이터를 상기 기록 매체로부터 재생하는 기록 및 재생 장치에 있어서,
    상기 영상 데이터를 상기 기록 매체에 기록하는 기록 수단과,
    상기 영상 데이터가 기록되는 방향과는 다른 상기 시간 축 상의 방향에서 상기 기록 매체로부터 상기 영상 데이터를 재생하는 재생 수단, 및
    상기 영상 데이터가 상기 재생 수단에 의해 상기 기록 매체로부터 상기 다른 방향에서 판독될 때 상기 다른 방향에서 상기 기록 매체로부터 상기 영상 데이터가 판독된 것을 나타내는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정보를 상기 영상 데이터의 데이터 스트림에 배치하고, 그 결과로 얻어진 데이터 스트림을 전송하는 전송수단을 포함하는 기록 및 재생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 수단은 상기 영상 데이터의 각 프레임에 대응하는 상기 데이터 스트림에 상기 정보를 배치하는 기록 및 재생 장치.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 수단은,
    상기 영상 데이터가 상기 기록 매체로부터 상기 다른 방향에서 판독될 때 상기 데이터 스트림의 상기 영상 데이터 필드의 상기 표시 순서를 나타내는 플랙을 반전시키는 반전 수단을 가지는 기록 및 재생 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반전 수단은 상기 영상 데이터의 각 프레임에 대응하는 상기 플랙을 반전시키는 기록 및 재생 장치.
  11. 압축 부호화된 영상 데이터를 전송하는 데이터 전송 방법에 있어서,
    (a) 상기 영상 데이터를 기록 매체에 기록하는 단계와,
    (b) 상기 영상 데이터가 기록되는 방향과는 다른 상기 시간 축상의 방향에서 상기 기록 매체로부터 상기 영상 데이터를 재생하는 단계, 및
    (c) 상기 영상 데이터가 단계(b)에서 상기 기록 매체로부터 다른 방향에서 판독될 때 상기 다른 방향에서 상기 기록 매체로부터 상기 영상 데이터가 판독된 것을 나타내는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정보를 상기 영상 데이터의 데이터 스트림에 배치하고, 그 결과로 얻어진 데이터 스트림을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데이터 전송 방법.
KR1020000008710A 1999-02-26 2000-02-23 데이터 전송 장치 및 방법, 기록 장치 및 기록 및 재생 장치 KR10071978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5159699 1999-02-26
JP99-51596 1999-02-2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76710A true KR20000076710A (ko) 2000-12-26
KR100719780B1 KR100719780B1 (ko) 2007-05-21

Family

ID=128913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08710A KR100719780B1 (ko) 1999-02-26 2000-02-23 데이터 전송 장치 및 방법, 기록 장치 및 기록 및 재생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6741793B1 (ko)
EP (1) EP1032203A3 (ko)
KR (1) KR100719780B1 (ko)
CN (1) CN1192630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327791B1 (en) * 1999-02-22 2008-02-05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Video decoding method performing selective error concealment and resynchronization
US7647555B1 (en) * 2000-04-13 2010-01-12 Fuji Xerox Co., Ltd. System and method for video access from notes or summaries
JP4107544B2 (ja) * 2000-10-23 2008-06-25 三菱電機株式会社 画像信号の再符号化装置
WO2002045420A1 (en) * 2000-11-29 2002-06-06 Sony Corporation Stream processor
US7188298B2 (en) * 2001-03-14 2007-03-06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Error correction encoding and decoding methods and apparatuses for DVI audio data
JP4458714B2 (ja) * 2001-06-20 2010-04-28 富士通マイクロエレクトロニクス株式会社 画像復号装置、画像復号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WO2003073426A1 (ja) * 2002-02-28 2005-06-23 ソニー株式会社 データ処理装置、その方法およびそのプログラム
DE602004027799D1 (de) 2003-04-10 2010-08-05 Panasonic Corp Informationsaufzeichnungsmedium, einrichtung und verfahren zum aufzeichnen von informationen in einem informationsaufzeichnungsmedium
KR101050282B1 (ko) 2010-10-29 2011-07-19 한화에스앤씨주식회사 멀티 프로토콜 어댑터 시스템 및 멀티 프로토콜 어댑터 시스템에서의 데이터 변환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06133A (en) * 1982-04-15 1987-11-10 Discovision Associates Method and apparatus for recovering information from a videodisc
US5621578A (en) * 1992-02-06 1997-04-15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Method of transmitting digital video and audio signals between bit rate reduction encoded signal recording and reproducing systems
EP0498617B1 (en) * 1991-02-07 1998-05-06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Digital signal transmitting and reproducing method and apparatus therefor
US5377051A (en) * 1993-01-13 1994-12-27 Hitachi America, Ltd. Digital video recorder compatible receiver with trick play image enhancement
JPH077715A (ja) * 1993-01-29 1995-01-10 Immix A Division Of Carton Internatl Corp ディスクからのビデオ信号の記憶及び引き出し方法
GB2330476B (en) * 1994-09-26 1999-06-02 Mitsubishi Electric Corp Digital video signal recording and playback device
JP3381105B2 (ja) * 1994-10-05 2003-02-24 ソニー株式会社 映像信号処理装置
KR0183759B1 (ko) * 1995-11-24 1999-05-01 김광호 영상복호화기에 있어서 고속재생시 화면떨림 방지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032203A2 (en) 2000-08-30
KR100719780B1 (ko) 2007-05-21
CN1192630C (zh) 2005-03-09
EP1032203A3 (en) 2002-11-06
CN1266336A (zh) 2000-09-13
US6741793B1 (en) 2004-05-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54072B1 (ko) 데이터 기록 장치, 데이터 기록 방법, 데이터 기록 및재생 장치, 데이터 기록 및 재생 방법, 데이터 재생 장치,데이터 재생 방법, 데이터 기록 매체, 디지털 데이터 재생장치, 디지털 데이터 재생 방법, 동기 검출 장치, 및 동기검출 방법
KR100676093B1 (ko) 비디오 데이터 기록 장치, 비디오 데이터 기록 방법,비디오 데이터 재생 장치, 비디오 데이터 재생 방법,비디오 데이터 기록 및 재생 장치, 및 비디오 데이터 기록및 재생 방법
JPH089319A (ja) ディジタルビデオ信号の記録方法、記録装置及び再生装置
KR100668993B1 (ko) 신호 처리 장치와 방법, 기록 장치, 재생 장치, 기록 및 재생 장치, 및 스트림 처리 장치와 방법
KR100642532B1 (ko) 데이터 처리 장치 및 데이터 기록 장치
JP4610680B2 (ja) 信号処理装置および方法、記録装置、再生装置、記録再生装置、ならびに、映像信号記録再生装置
KR20010033438A (ko) 데이터 처리 장치 및 방법과 기록 장치 및 방법
KR100719780B1 (ko) 데이터 전송 장치 및 방법, 기록 장치 및 기록 및 재생 장치
KR100739262B1 (ko) 기록 장치 및 기록 방법과, 재생 장치 및 재생 방법
KR100721267B1 (ko) 데이터 기록 장치, 데이터 기록/재생 장치, 데이터 기록방법, 및 데이터 기록/재생 방법
JP4099556B2 (ja) 記録装置および方法、再生装置および方法、ならびに、記録再生装置および方法
JP4010067B2 (ja) 同期検出装置および方法、ならびに、再生装置
KR20010101937A (ko) 기록 장치 및 방법
JP2000149455A (ja) データ記録装置および記録方法、データ記録再生装置および記録再生方法、並びにデータ記録媒体
JP2000132914A (ja) データ処理装置およびデータ記録装置
JP2000312341A (ja) データ伝送装置および方法、記録装置、ならびに、記録再生装置
JP3956510B2 (ja) 同期検出装置および方法、ならびに、再生装置
JP3978903B2 (ja) データ記録装置、データ記録方法、データ処理装置、およびデータ処理方法
JP2000156052A (ja) 記録装置および方法、再生装置および方法、記録再生装置、ならびに、映像信号記録再生装置
JP2000152177A (ja) データ処理装置および方法、ならびに、データ再生装置
JP2000152174A (ja) 画像データ処理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画像データ記録装置
JP2001338467A (ja) 信号記録装置および方法、信号再生装置および方法、ならびに、信号記録再生装置および方法
JPH089323A (ja) ディジタルビデオ信号の記録方法、記録装置、記録媒体、再生装置及び記録再生装置
JP2000149441A (ja) データ処理装置、データ処理方法およびデータ再生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