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75695A - 잔디 입히는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잔디 입히는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75695A
KR20000075695A KR1019997007762A KR19997007762A KR20000075695A KR 20000075695 A KR20000075695 A KR 20000075695A KR 1019997007762 A KR1019997007762 A KR 1019997007762A KR 19997007762 A KR19997007762 A KR 19997007762A KR 20000075695 A KR20000075695 A KR 2000007569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ass
restraint
frame
fastener
fasten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70077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후스카로날드엘
Original Assignee
찰스 알. 호지
클라크 이큅먼트 컴파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찰스 알. 호지, 클라크 이큅먼트 컴파니 filed Critical 찰스 알. 호지
Publication of KR200000756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75695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0/00Cultivation of turf, lawn or the like;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 A01G20/10Pre-cultivated sod or turf; Apparatus therefor
    • A01G20/12Apparatus for cutting sods or turf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11/00Transplanting machin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0/00Cultivation of turf, lawn or the like;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 A01G20/10Pre-cultivated sod or turf; Apparatus therefor
    • A01G20/18Apparatus for laying sods or turf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14/00Material or article handling
    • Y10S414/124Roll handler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Soil Sciences (AREA)
  • Protection Of Plants (AREA)
  • Transplanting Machines (AREA)
  • Soil Working Implements (AREA)
  • Handcart (AREA)
  • Harvester Element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Medicines Containing Material From Animals Or Micro-Org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잔디 입히는 장치(20)는 자체 추진식 차량(24)과 함께 사용된다. 상기 차량은 부착구를 해제 가능하게 맞물기 위한 부착구 체결 부재(30)를 갖는 전단부 장착 기구(28)를 구비한다. 상기 부착구 체결 부재(30)는 그 체결 부재가 부착구를 작동시키기 적합한 위치에 부착구를 지지하는 방식으로 위치되는 부착구 체결 위치와 상기 부착구 체결 부재(30)가 부착구로부터 용이하게 분리되도록 위치된 부착구 분리 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다. 잔디 입히는 장치(20)는 지지 기구(38)와 그 지지 기구에 연결된 잔디 구속 기구(44,46)를 갖는 잔디 전개 유닛(22)을 구비한다. 잔디 구속 기구(44,46)는 두루마리 잔디(25)가 지지 기구(38)에 대해 용이하게 회전되도록 하는 방식으로 두루마리 잔디(25)를 구속하도록 되어 있다. 지지 기구(38)는 부착구 체결 부재(30)가 체결 위치에 있을 때 부착구 체결 부재에 의해 해제 가능하게 맞물리고 지지되며, 또 부착구 체결 부재가 분리 위치에 있을 때에는 부착구 체결 부재(30)로부터 분리되도록 되어 있다.

Description

잔디 입히는 장치 및 방법{SOD LAYING APPARATUS AND METHOD}
종래의 잔디 입히는 장치는 큰 덩어리의 두루마리 잔디(sod roll)를 펼쳐서 잔디밭을 만드는데 사용되었다. 그러한 장치는 일반적으로 두루마리 잔디를 파지하는 두루마리 잔디 유지부와, 그 유지부를 추진시키는 동력 트레인(train)을 구비한다. 이러한 잔디 입히는 장치는 잔디를 입히거나 거두어 들이는 데에만 유용한 전용 장치로서, 동력 트레인을 갖추어야 하므로 고가의 장치이다.
대부분의 잔디 입히는 장치는 두루마리 잔디를 지표면 위로 들어올릴 수 있어서, 작업자가 잔디를 입히고자 하는 위치로 잔디를 운반할 때 잔디가 지표면에 끌리지 않는다. 그러나, 이들 장치중 적어도 일부의 경우, 두루마리 잔디가 상승 위치에 있을 때 펼쳐질려는 경향이 있어서 잔디를 입히는 위치를 조정하기가 곤란하다.
종래의 잔디 입히는 장치에 관련된 다른 문제점은 두루마리 잔디가 장치에 대해 단지 한쪽의 측방 위치에만 유지된다고 하는 점이다. 이 때문에, 벽이나 담장을 따라 잔디를 입히는 데 장치를 사용하기가 어려운 경우가 많다.
본 발명은 잔디를 입히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다목적의 자체 추진식 차량에 부착된 잔디 전개 유닛을 구비한 본 발명의 잔디 입히는 장치의 측면도.
도 2는 도 1의 잔디 입히는 장치의 확대 측면도.
도 3은 프레임과, 프레임의 전방으로 돌출하는 한 쌍의 아암과, 아암의 전방 단부에 작동적으로 연결된 한 쌍의 잔디 구속 부재를 구비하는 도 1 및 도 2의 잔디 전개 유닛의 정면도.
도 4는 도 3과 유사하지만, 아암중 하나가 측방으로 이동되어 있고 두루마리 잔디는 가상선으로 도시되어 있는 정면도.
도 5는 도 1-3에 도시된 잔디 구속 부재중 하나와 잔디 전개 유닛중 하나를 도시한 도면으로, 잔디 구속 부재중 일부는 잠금 위치에 있는 로킹 기구를 도시하기 위해 절결된 상태로 도시되어 있으며, 로킹 기구는 잔디 구속 부재가 아암에 대해 회전되지 않도록 구성된 것을 도시한 확대 부분 입면도.
도 6은 도 5와 유사하지만, 로킹 기구가 해제 위치에 있고 두루마리 잔디가 가상선으로 도시되어 있는 확대 부분 입면도.
도 7은 도 1-3의 잔디 전개 유닛의 후방 입면도.
도 8은 도 7의 선8-8의 평면을 따라 취한 단면도로서, 도 1의 차량의 부착구 체결 부재가 잔디 전개 유닛의 프레임의 지지 소켓으로부터 떨어져 있는 것을 도시한 확대 부분 단면도.
도 9는 도 8과 유사하지만, 부착구 체결 부재가 소켓내에 삽입되어 있는 것을 도시한 확대 부분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잔디 입히는 장치는 자체 추진식 차량과 함께 사용된다. 차량은 전단부 장착 기구와 동력 기구를 구비한다. 전단부 장착 기구는 부착구를 해제 가능하게 체결시키는데 사용되는 부착구 체결 부재를 구비한다. 동력 기구는 부착구 체결 부재를, 그 부재가 부착구를 작동시키기 적합한 위치에 부착구를 지지하는 방식으로 위치되는 부착구 체결 위치와, 부착구 체결 부재가 부착구로부터 용이하게 체결 해제되는 위치에 자리하고 있는 부착구 해제 위치 사이에서 이동시키는데 사용된다. 잔디 입히는 장치는 지지 기구와 그 지지 기구에 연결된 잔디 구속 기구를 구비한 잔디 전개 유닛(sod unrolling unit)을 포함한다. 잔디 구속 기구는 두루마리 잔디가 지지 기구에 대하여 용이하게 회전되도록 하는 방식으로 두루마리 잔디를 구속시키는데 사용된다. 지지 기구는 부착구 체결 부재가 구속 위치에 있을 때 부착구 체결 부재에 의해 해제 가능하게 구속되고 또 지지되도록 하며, 그리고 부착구 체결 부재가 분리 위치에 있을 때에는 부착구 체결 부재로부터 분리되도록 하는데 사용된다.
소정 표면에 두루마리 잔디를 전개하는데 사용되는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잔디 입히는 장치는, 잠금 위치에 있을 때 잔디 구속 부재의 회전을 방지하며 해제 위치에 있을 때에는 잔디 구속 부재의 회전을 허용하는 로킹 기구를 포함한다. 잔디 구속 부재상에 가해지는 하향력으로 인해 로킹 기구는 잠금 상태가 해제되며, 다른 한편으로 상향력으로 인해서는 로킹 기구가 잠금 상태로 된다.
두루마리 잔디의 전개를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잔디 입히는 장치는 잔디 절단날을 포함한다. 잔디 절단날은 잔디 구속 부재가 두루마리 잔디의 감겨진 부분을 지지할 때 나머지 감겨지지 않은 부분을 절단하는데 사용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잔디 입히는 장치는 두루마리 잔디를 지지하는 한편 프레임에 대해 종방향 경로에 가로놓여진 경로를 따라 이동 가능한 한 쌍의 아암을 구비한다. 상기 아암은 액츄에이터에 의해 이동된다.
본 발명의 또다른 측면은 잔디 전개 유닛을 구비한 잔디 입히는 장치를 사용하여 두루마리 잔디를 전개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 방법은, 두루마리 잔디를 수송하는 차량을, 차량의 부착구 체결 부재가 잔디 전개 유닛의 지지 기구와 간격을 두고 있는 그러한 초기 위치로부터 부착구 체결 부재가 지지 기구에 정렬되어 근접되어 있는 그러한 정렬 위치로까지 전진시키는 단계; 부착구 체결 부재가 지지 기구와 연동 결합되도록 하여 그 체결 부재에 의해 잔디 전개 유닛이 들어 올려지도록 하는 방식으로 부착구 체결 부재를 상승시키는 단계; 두루마리 잔디가 지지 기구에 대해 쉽게 회전되도록 하는 방식으로 두루마리 잔디를 잔디 구속 기구로 구속하는 단계; 두루마리 잔디가 종방향 경로를 따라 전개되도록 하는 방식으로 차량, 잔디 전개 유닛 및 두루마리 잔디를 전진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대응하는 도면 부호는 여러 도면에 걸쳐 대응하는 부분을 지시한다.
이제 도면중 특히 도 1-4를 더 참조하면, 본 발명의 잔디 입히는 장치 전체가 도면 부호 20으로 지시되고 있다. 도 1에 도시된 잔디 입히는 장치(20)는 대략 도면 부호 24로 지시된 다목적의 자체 추진식 차량에 부착된 대략 도면 부호 22로 지시된 잔디 전개 유닛을 구비한다. 차량(24)은 스키드 스티어 로더(skid steer loader) 또는 3-점 히치(hitch) 이음 구조의 트랙터와 같은 소정의 적절한 차량일 수 있다. 잔디 입히는 장치(20)의 1차적인 목적은 두루마리 잔디(25)를 전개하여 잔디밭을 만드는 것이다. 두루마리 잔디(25)는 지저분한 뿌리측이 바깥쪽을 향하고 잔디측이 안쪽을 향하도록 둥글게 말아져서 원통형을 이루는 나선형의 말아진 잔디 롤로 이해될 수 있다. 이후 보다 세세하게 후술되겠지만, 잔디 입히는 장치(20)는 두루마리 잔디(25)를 [지표면(G)과 같은]소정 표면 위로 하강시키고 그 두루마리 잔디를 전방으로(즉, 도 1에서 보았을 때 우측에서 좌측으로) 전진시킴으로써, 두루마리 잔디가 지표면과 접촉되는 것에 기인하여 그 두루마리 잔디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면서 그 전개되는 부분이 본질적으로 차량에 선행하는 종방향 경로를 따라 놓여지도록 두루마리 잔디가 전개되어진다.
차량(24)은 동력 기구(26)와 전단부 장착 기구(28)를 구비한다. 전단부 장착 기구(28)는 차대(34)에 선회 가능하게 연결된 붐(boom)(32)의 전방 단부에 부착된 한 쌍의 부착구 체결 부재(이하 '가지부'로도 지칭함)(30)[도 1에는 그중 하나 만이 도시되어 있음.]를 구비한다. 상기 가지부 또는 부착구 체결 부재(30)는 차량과 관련하여 특정 기능을 수행하는 데 사용되는 소정의 기구와 같은 부착구를 해제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데 사용된다. 동력 기구(26)는 차대(34)에 대해 붐(32)을 선회시키는 한 쌍의 선형 액츄에이터(36)를 구비하며, 붐의 선회에 의해 가지부(30)는 상승 위치(즉, 부착구가 작동하기에 적절한 위치에 자리하도록 부착구를 지지하는 방식으로 가지부가 배치된 위치)와 하강 위치(즉, 가지부의 위치가 부착구로부터 분리되기 용이하게 되어 있는 부착구 분리 위치) 사이에서 이동되어진다.
잔디 전개 유닛(22)은 대략 도면 부호 38로 지시된 프레임(또는 지지 기구)과, 제1(좌측) 및 제2(우측) 전방 돌출 아암(40)(42)과, 두루마리 잔디(25)의 양측면을 파지하도록 구성된 내측으로 연장하는 제1(좌측) 및 제2(우측) 잔디 구속 부재(44)(46)를 구비한다. 제1 및 제2 아암(40)(42)은 상부 및 하부 가이드 로드(rod)(48)(50)를 통해 프레임(38)에 연결되며, 상기 가이드 로드는 그 단부들이 프레임에 고정되어 있다. 가이드 로드(48)(50)는 대략 수평을 취하여 횡방향(즉, 종방향 경로를 가로지른 방향)으로 연장한다. 아암(40,42)은 측방 내측 위치와 측방 외측 위치 사이에서 로드를 따라 아암을 이동시키기 위한 적절한 베어링 블록을 통해 로드(48)(50)상에 미끄럼 가능하게 지지된다. 도 3에서, 아암(40)(42)은 내측 위치(즉, 프레임에 중심에 비교적 근접한 위치)에 있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도 4에서, 우측 아암(42)은 프레임(38)의 우측 단부(54)에 인접한 외측 위치에 있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좌측 아암(40)은 그 외측 위치에 있을 때 프레임(38)의 좌측 단부(56)에 인접함을 이해할 것이다. 프레임(38)은 상부 및 하부 가이드 로드(48)(50)의 중앙 영역을 지지하는 상부 및 하부 브레이스(brace)(58)(60)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좌측 아암(40)은 제1 선형 액츄에이터(62)에 의해 내측 위치와 외측 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며, 우측 아암(42)은 제2 선형 액츄에이터(64)에 의해 내측 위치와 외측 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다. 선형 액츄에이터(62)(64)는 공기압 실린더인 것이 바람직하다. 아암들이 선형 액츄에이터에 의해 내측 위치와 외측 위치 사이에서 이동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본 발명의 범주내에서 기어 방식의 기구와 같은 다른 기구를 사용할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좌측 아암(40)의 전방 영역에는 도면 부호 68의 위치(도 2 참조)에서 좌측 피봇 부재(바아)(66)의 후단부가 선회 가능하게 연결된다. 우측 아암(42)의 전방 영역에는 도면 부호 72의 위치(도 5,6 참조)에서 우측 피봇 부재(바아)(70)의 후단부가 선회 가능하게 연결된다. 좌측 잔디 구속 부재(44)는 그 잔디 구속 부재가 수평의 횡방향으로 연장하는 축(X)(도 3,4 참조)을 중심으로 좌측 아암(40)에 대해 회전되도록 좌측 베어링(76)을 통해 좌측 피봇 바아(66)의 전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샤프트(74)를 구비한다. 우측 잔디 구속 부재(46)는 그 잔디 구속 부재가 축(X)을 중심으로 좌측 아암(42)에 대해 회전되도록 우측 베어링(80)을 통해 우측 피봇 바아(70)의 전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샤프트(78)를 구비한다.
잔디 전개 유닛(22)은 대략 도면 부호 82로 지시된 좌측 로킹 기구와, 대략 도면 부호 84로 지시된 우측 로킹 기구를 더 포함한다. 좌측 로킹 기구(82)는 좌측 로킹 휠(86)과 좌측 핀(88)을 포함한다. 좌측 로킹 휠(86)은 좌측 잔디 구속 부재(44)의 샤프트(74)에 고정되고 그와 함께 회전 가능하며, 좌측 핀(88)은 좌측 아암(40)의 전단부에 고정되고 그로부터 내측으로 연장되어 있다. 우측 로킹 기구(84)는 우측 로킹 휠(90)과 우측 핀(92)을 포함한다. 우측 로킹 휠(90)은 우측 잔디 구속 부재(46)의 샤프트(78)에 고정되고 그와 함께 회전 가능하며, 우측 핀(92)은 우측 아암(42)의 전단부에 고정되고 그로부터 내측으로 연장되어 있다. 각각의 로킹 휠(86)(90)은 실질적으로 기어 형태를 취하며, 반경 방향으로 돌출된 다수의 기어 이빨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5,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우측 로킹 휠(90)은 하부 위치(잠금 위치)(도 5 참조)와 상부 위치(해제 위치)(도 6 참조) 사이에서 우측 아암(42) 대해 이동 가능하다. 우측 로킹 휠(90)이 잠금 위치에 있을 때 우측 핀(92)은 우측 로킹 휠(90)의 이빨을 맞물어 휠과 우측 잔디 구속 부재(86)가 핀에 대해 회전되지 않도록 한다. 우측 로킹 휠(90)이 해제 위치에 있을 때 그 휠은 우측 핀(92) 위로 간격을 두어 위치되어 있기 때문에 우측 핀(92)은 축(X)을 중심으로 한 휠과 우측 잔디 구속 부재(86)의 회전을 방해하지 않게 된다. 특정하여 설명하지는 않았지만, 좌측 로킹 기구(82)는 우측 로킹 기구(84)와 동일한 방식으로 작동함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러한 구성으로 인해, 잔디 입히는 장치(20)가 두루마리 잔디(25)를 지지하고 있어서 두루마리 잔디가 지상으로부터 떨어져 있을 때(도 1 참조), 두루마리 잔디의 무게와 잔디 구속 부재(44,46)의 무게에 의해 피봇 바아(66,70)는 로킹 기구(82)의 하부 잠금 위치쪽으로 하방 선회하게 된다. 차량(24)의 붐(32)이 하강되어 두루마리 잔디(25)를 지표면(G)에 대해 누르게 되면, 두루마리 잔디에는 잔디 구속 부재(44,46)에 대해 상방으로 향하는 힘이 생기게 되어 피봇 바아(66,70)를 로킹 기구(82,84)의 상승된 해제 위치쪽으로 상방 선회시키게 된다. 전방으로 돌출하는 제동 블록(94)은 로킹 휠이 상승 위치(도 6 참조)에 있을 때 피봇 바아(66,70)에 결합될 수 있고 아암(40,42)에 고정되어, 잔디 구속 부재(44,46)가 아암에 대해 상방 이동되는 것을 제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4,7을 참조하면, 잔디 전개 유닛(22)은 대략 도면 부호 100으로 지시된 잔디 절단 기구를 더 포함한다. 잔디 절단 기구(100)는 블레이드 지지판(102)과 그 지지판에 해제 가능하게 고정된 절단날(104)을 포함한다. 블레이드 지지판(102)은 프레임(38)에 고정된 가이드 튜브(108)를 통해 상방으로 돌출되어 있는 2개의 수직 바아(106)의 하단부에 고정된다. 상기 바아(106)와 튜브(108)는 바아들이 튜브를 통해 상하로 활주되도록 하는 크기와 구성을 취함으로써 블레이드 지지판(102)을 프레임(38)에 대해 수평의 횡방향으로 유지시킨다. 절단날(104)과 블레이드 지지판(102)은 선형 액츄에이터(110)와 같은 적절한 구동 기구에 의해 수직으로 이동 가능하다. 선형 액츄에니터(110)는 수직을 향하는 공기압 실린더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선형 액츄에이터(110)는 절단날이 지표면(G)상에서 떨어져 있고 또 두루마리 잔디의 어떠한 펼쳐진 부분 위로도 간격이 떨어져 있는 상승 위치(도 3,4 참조)와, 절단날의 바닥 연부가 적어도 부분적으로 지표면(G) 내로 돌출되어, 지표면상에 놓여지고 또 그 절단날 아래에 위치된 잔디의 펼쳐진 부분을 절단하게 되는 하강 위치(도 7 참조) 사이로 절단날(104)을 이동시키게 된다. 절단날(104)은 적어도 두루마리 잔디의 폭과 같은 길이로 되어 있으며, 두루마리 잔디가 잔디 구속 부재(44,46)에 의해 지지되어 있을 때 두루마리 잔디의 전폭에 걸쳐 연장되도록 위치되어 있기 때문에, 절단날을 상승 위치로부터 하강 위치로까지 단 한차례 이동시키는 것으로도 잔디를 완전히 절단할 수 있다. 절단날(104)(도 7에서 실선으로 도시됨)은 비교적 길이가 짧기 때문에 비교적 협소한 두루마리 잔디에 사용되도록 의도된 것이다. 잔디 입히는 장치(20)를 보다 넓은 두루마리 잔디를 입히는데 사용하는 경우, 보다 긴 대체용 절단날(112)(도 7에서 가상선으로 도시됨)을 채용할 수 있다. 잔디 입히는 장치(20)에 의해 잔디가 펼쳐지면, 프레임(38), 절단날(104) 및 차량(24)이 잔디의 펼쳐진 부분 위를 통과한다. 작업자가 잔디의 펼쳐진 부분을 절단하고자 하면, 작업자는 차량을 원하는 위치에 멈춰놓게 하여 절단날(104)이 원하는 영역 위에 위치되게 한다. 그런 다음, 사용자는 선형 액츄에이터(110)를 작동시켜 절단날(104)을 하부 위치로 이동시킴으로써 잔디 부분을 완전히 절단하게 된다.
도 7-9를 참조하면, 프레임(38)은 2개의 서로 떨어진 충격판(112)과, 경사지고 수평으로 연장하는 슬랫(slat)(114)을 더 포함한다. 충격판(112)은 가이드 튜브(108)에 수직 방향으로 용접되거나 그렇지 않으면 고정된다. 상기 슬랫(114)은 충격판(112)에 고정되고 충격판의 후방면에 가로놓여 배치된다. 슬랫(114)은 충격판(1120에 대해 경사지게 배치되어 슬랫의 아래쪽과 충격판의 후방면은 예각을 형성한다(도 8,9 참조). 슬랫(114)과 충격판(112)은 차량(24)의 가지부(30)를 수용하는 가지부 수용 소켓(116)(도 8 참조)을 형성한다.
작동시, 잔디 전개 유닛(22)을 차량(24)에 부착하기 위해서 작업자는 붐(32)의 전방 단부에서 가지부(30)가 충격판(112)의 후방면에 결합되기까지 차량을 잔디 전개 유닛을 향해 구동시키거나 전진시킨다. 그런 다음, 작업자는 큰 선형 액츄에이터(36)를 작동시켜 붐(32)의 전단부를 상승시킨다. 붐(32)의 상승에 의해 가지부(30)는 가지부 수용 소켓(116) 안으로 연장되어 슬랫(114)과 충격판(112) 사이에 끼이게 된다. 그러한 끼임 작동(wedging action)은 가지부(30)를 프레임(38)에 해제 가능하게 결합시키게 된다. 가지부 수용 소켓(116)의 형상 때문에, 붐(32)이 추가로 상방 이동됨에 따라 잔디 전개 유닛(22)은 지표면 위로 들어 올려진다. 소켓(116)에 기인하여, 가지부(30)는 붐(32)이 하부 위치로부터 상부 위치로 이동될 때 잔디 전개 유닛(22)을 지지하게 되는 방식으로 자동적으로 소켓에 결합된다. 그와 유사하게, 소켓의 위치, 형상 및 방향 때문에, 가지부(30)는 붐(32)이 상승 위치로부터 하강 위치로 이동될 때 자동적으로 소켓으로부터 분리되어진다. 차량은 가지부(30)를 슬랫(116)에 체결하기 위한 부착구 체결 기구(도시 생략)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작업자는 차량(24)에서 하차하지 않고 부착구 체결 기구를 통해 가지부(30)를 슬랫(116)에 일반적인 방법으로 체결할 수 있다. 잔디 전개 유닛(22)을 차량(24)에 고정적으로 부착시킨 후, 작업자는 차량으로부터의 유체 공급 라인(도시 생략)을 잔디 전개 유닛(22)의 유체 공급 라인(도시 생략)에 연결하여 작업자가 잔디 전개 유닛의 3개의 선형 액츄에이터(62,64,100)를 작동시킬 수 있게 한다.
그런 다음, 작업자는 제1 및 제2 선형 액츄에이터(62)(64)를 작동시켜 아암(40,42) 및 관련 잔디 구속 부재(44,46)가 그 외측 위치로 이동되도록 한다. 그런 다음, 작업자는 차량(24)을 운전하여 잔디 구속 부재(44,46)가 두루마리 잔디의 회전축에 정렬되는 위치로 이동시킨다. 이 위치에 있을 때, 선형 액츄에이터(62,64)는 잔디 구속 부재(44,46)가 두루마리 잔디의 측면내로 연장되기까지 아암(40,42)을 그 내측 위치로 이동시키도록 작동된다. 그런 다음, 작업자는 붐(32)을 상승시켜 두루마리 잔디 전체가 지표면(G) 위로 들어올려지도록 한다. 선형 액츄에이터(62,64)의 유체 제어는 작업자가 그 선형 액츄에이터를 독립적으로 또는 연계하여 선택적으로 작동시킬 수 있게 구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액츄에이터는 잔디 구속 부재(44,46)를 측방으로(도 3,4에서 보았을 때 우측 또는 좌측으로) 이동시킬 수 있게 작동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잔디 전개 유닛(22)은 프레임(38)에 대해 측방으로 편의된 방향으로 두루마리 잔디(25)를 지지한다. 두루마리 잔디를 프레임에 대해 측방으로 이동 또는 편의시킴으로 인해, 펼쳐진 잔디의 프레임에 대한 종방향 경로의 위치를 조정할 수 있다. 두루마리 잔디를 차량의 측면을 따라 펼쳐놓고자 할 때(예컨대, 잔디를 벽(또는 담장)에 인접하게 입히고자 할 때), 작업자는 액츄에이터(62,64)를 작동시켜 두루마리 잔디가 그러한 측면쪽으로 이동되도록 할 수 있다.
로킹 기구(82,84)로 인해, 두루마리 잔디는 회전될 수 없으며, 그에 따라 두루마리 잔디가 지표면상에서 떨어져 있을 때 펼쳐져 전개될 수 없다. 두루마리 잔디가 지표면 위에 지지된 상태에서, 작업자는 차량(24)과 그에 부착된 잔디 전개 유닛(22)을 작업자가 잔디를 입히고자 하는 위치로 이동시킨다. 그런 다음, 작업자는 붐(32)을 하강시켜 두루마리 잔디가 지표면에 대해 눌려져서 로킹 휠(86,90)이 핀(88,92)으로부터 분리되도록 함으로써 두루마리 잔디가 지표면(G)을 따라 굴려질 수 있게 된다. 붐이 그렇게 위치된 상태에서, 작업자는 차량(24)을 앞으로 진행시켜 두루마리 잔디가 종방향 경로를 따라 펼쳐지게 한다.
차량(24)이 앞으로 진행될 때, 절단날(104)은 종방향 경로를 따라 그리고 펼쳐진 잔디 위를 통과하게 된다. 두루마리 잔디로부터 잔디가 원하는 길이 만큼 펼쳐지고 나면, 작업자는 절단날 액츄에이터(110)를 작동시켜 절단날(104)이 잔디의 펼쳐진 부분 사이로 눌려져서 잔디가 절단되도록 한다.
이상으로부터, 본 발명의 다양한 목적을 달성할 수 있고 기타 유익한 장점들이 얻어짐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전술한 구성과 방법에 대해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여러가지 변형이 가능하기 때문에, 전술한 설명에 포함되고 또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모든 대상(matter)은 한정의 의미로서가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써 해석되도록 의도된 것이다.

Claims (14)

  1. 전단부 장착 기구와 동력 기구를 구비하고, 상기 전단부 장착 기구는 부착구를 해제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데 사용되는 부착구 체결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동력 기구는 상기 부착구 체결 부재가 부착구를 작동시키기 적합한 위치에 부착구를 지지하는 방식으로 위치되어 있는 부착구 체결 위치와 상기 부착구 체결 부재가 부착 상태로부터 용이하게 분리되도록 위치되어 있는 부착구 분리 위치 사이에서 부착구 체결 부재를 이동시키는 데 사용되는 그러한 자체 추진식 차량과 함께 사용되는 잔디 입히는 장치로서,
    지지 기구와 그 지지 기구에 연결된 잔디 구속 기구를 구비하고 있는 잔디 전개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잔디 구속 기구는 두루마리 잔디가 지지 기구에 대해 용이하게 회전되도록 하는 방식으로 두루마리 잔디를 구속하는 데 사용되며, 상기 지지 기구는 부착구 체결 부재가 체결 위치에 있을 때 부착구 체결 부재에 의해 해제 가능하게 맞물리고 지지되며, 그리고 상기 부착구 체결 부재가 분리 위치에 있을 때 부착구 체결 부재로부터 분리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잔디 입히는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기구는 상기 부착구 체결 부재를 해제 가능하게 수용할 수 있는 크기와 구성의 소켓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잔디 입히는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부착구 체결 위치는 부착구 체결 부재의 상승 위치를 구성하며, 상기 부착구 분리 위치는 부착구 체결 부재의 하강 위치를 구성하며, 상기 소켓은 부착구 체결 부재가 상승 위치로부터 하강 위치로 이동될 때 부착구 체결 부재가 자동적으로 소켓으로부터 분리되어지는 크기와 방향을 갖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잔디 입히는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소켓은 부착구 체결 부재가 하강 위치로부터 상승 위치로 이동될 때 부착구 체결 부재가 잔디 전개 유닛을 지지하게 되는 방식으로 자동적으로 소켓과 결합되는 크기와 방향을 갖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잔디 입히는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잔디 입히는 장치는 두루마리 잔디를 종방향 경로를 따라 전개시키도록(unrolling)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지지 기구는 프레임을 구비하고, 상기 잔디 구속 기구는 한 쌍의 아암, 한 쌍의 잔디 구속 부재 및 액츄에이터 기구를 구비하며, 상기 아암은 상기 종방향 경로에 가로놓여진 경로를 따라 프레임에 대해 이동 가능하며, 상기 잔디 구속 부재는 상기 아암에 작동적으로 연결되고 또 두루마리 잔디를 지지 및 가이드하는 방식으로 두루마리 잔디의 양단부를 구속하며, 상기 액츄에이터 기구는 상기 아암을 상기 경로로 이동시키는 방식으로 아암에 작동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액츄에이터 기구와 아암은 한 쌍의 잔디 구속 부재를 측방 이동시켜 프레임에 대한 두루마리 잔디의 측방 위치 설정을 용이하게 하여 종방향 경로가 프레임에 대해 측방향으로 조정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잔디 입히는 장치.
  6. 두루마리 잔디를 소정 표면에 전개시키는 잔디 입히는 장치로서,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에 작동적으로 연결되어 그 프레임에 대해 회전되는 부재로서, 그 해당 부재는 두루마리 잔디와 맞물려서 그 두루마리 잔디와 함께 회전되고 또 해당 부재가 상기 표면 위로 충분히 떨어져 있는 상태에서 상기 표면 위로 간격을 두고 있는 두루마리 잔디를 지지하게 되는 그러한 하나 이상의 잔디 구속 부재와;
    잠금 위치와 해제 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한 기구로서, 그 해당 기구는 상기 잠금 위치에 있을 때 잔디 구속 부재가 프레임에 대해 회전되지 않게 하며, 해제 위치에 있을 때는 상기 잔디 구속 부재가 프레임에 대해 회전되도록 하며, 잔디 구속 부재상에 하방을 향하는 힘이 가해질 때 해제 위치로부터 잠금 위치로 이동되어지며, 상기 잔디 구속 부재상에 상방을 향하는 힘이 가해질 때에는 잠금 위치로부터 해제 위치로 이동되어지는 그러한 로킹 기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잔디 입히는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하방을 향하는 힘은 상기 잔디 구속 부재가 상기 표면 위로 간격을 두고 있는 두루마리 잔디를 지지하는 것에 의해 상기 잔디 구속 부재에 작용하게 되는 중력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로킹 기구는 상기 잔디 구속 부재가 상시 표면 위로 간격을 두고 있는 두루마리 잔디를 지지할 때 잠금 위치에 있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잔디 입히는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프레임에 대해 이동 가능한 한 쌍의 아암을 더 구비하며, 상기 하나 이상의 잔디 구속 부재는 아암에 작동적으로 연결되고 또 두루마리 잔디의 양단부를 구속하도록 된 한 쌍의 잔디 구속 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잔디 입히는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로킹 기구는 제1 로킹 부재와 제2 로킹 부재를 구비하며, 상기 제1 로킹 부재는 상기 잔디 구속 부재중 하나에 연결되고 그 구속 부재와 함께 회전 가능하며, 상기 제2 로킹 부재는 아암중 하나에 연결되며, 상기 로킹 기구는 로킹 기구가 해제 위치에 있을 때 제2 로킹 부재가 제1 로킹 부재로부터 간격을 두고 위치되며 또 상기 로킹 기구가 잠금 위치에 있을 때에는 제1 로킹 부재와 결합되어 제1 로킹 부재가 제2 로킹 부재에 대해 회전되지 않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잔디 입히는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피봇 부재를 더 구비하며, 상기 제1 로킹 부재와 상기 잔디 구속 부재중 하나는 상기 피봇 부재에 연결되어 그 피봇 부재에 대해 회전되며, 상기 피봇 부재는 상기 아암중 하나에 선회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승 위치와 하강 위치 사이에서 선회되며, 상기 제1 로킹 부재는 상기 피봇 부재가 상승 위치로 선회될 때 상기 제2 로킹 부재 위로 간격을 두어 떨어져 배치되고, 또 상기 피봇 부재가 하강 위치로 선회될 때에는 제2 로킹 부재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잔디 입히는 장치.
  11. 두루마리 잔디를 종방향 경로를 따라 소정 표면에 전개시키는 잔디 입히는 장치로서,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에 작동적으로 연결되어 그 프레임에 대해 회전되는 부재로서, 그 해당 부재는 두루마리 잔디와 맞물려서 그 두루마리 잔디를 지지하게 되며, 상기 해당 부재는 프레임이 종방향 경로 위로 통과될 때 상기 프레임과 함께 작용하여 상기 두루마리 잔디를 상기 경로를 따라 용이하게 전개하도록 되어 있는 그러한 하나 이상의 잔디 구속 부재와;
    잔디 구속 부재가 두루마리 잔디의 말아진 부분(rolled portion)을 지지할 때 두루마리 잔디의 펼쳐진 부분(unrolled portion)을 절단하는 부재로서, 그 해당 부재는 프레임에 작동적으로 연결되어 해당 부재가 프레임에 대해 상승 위치와 하강 위치 사이에서 이동되도록 되어 있고, 실질적으로 두루마리 잔디의 폭 이상의 길이를 가지며, 두루마리 잔디가 잔디 구속 부재에 의해 지지될 때 두루마리 잔디의 전폭에 걸쳐 연장되도록 위치되어 있는 그러한 부재인 절단날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잔디 입히는 장치.
  12. 두루마리 잔디를 종방향 경로를 따라 전개시키는 잔디 입히는 장치로서,
    프레임과;
    상기 종방향 경로에 가로 놓여진 경로를 따라 상기 프레임에 대해 이동 가능한 한 쌍의 아암과;
    상기 아암에 작동적으로 연결되며, 두루마리 잔디를 지지 및 가이드하는 방식으로 두루마리 잔디의 양단부를 구속하도록 되어 있는 한 쌍의 잔디 구속 부재와;
    상기 아암을 상기 경로에서 이동시키는 방식으로 상기 아암에 작동적으로 연결된 액츄에이터 기구
    를 포함하며,
    상기 액츄에이터 기구와 상기 아암은 상기 잔디 구속 기구 쌍을 측방으로 이동시켜 프레임에 대한 두루마리 잔디의 측방 위치 설정을 용이하게 하여 상기 프레임에 대한 종방향 경로를 측방으로 조정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잔디 입히는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경로는 직선 경로이며, 상기 아암의 쌍은 상기 경로를 따라 프레임에 대해 직선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잔디 입히는 장치.
  14. 부착구 체결 부재를 갖는 전단부 장착 기구와 동력 기구를 구비한 자체 추진식 차량과, 지지 기구와 그 지지 기구에 연결된 잔디 구속 기구를 구비한 잔디 전개 유닛을 포함하는 잔디 입히는 장치를 사용하여 두루마리 잔디를 전개시키는 방법으로서,
    상기 차량의 부착구 체결 부재가 상기 잔디 전개 유닛의 지지 기구와 간격을 두고 떨어져 있는 초기 위치로부터 상기 부착구 체결 부재가 상기 지지 기구에 정렬되고 또 인접하게 배치되어 있는 정렬 위치로 상기 차량을 진행시키는 단계와;
    상기 부착구 체결 부재를 상승시켜, 그 체결 부재가 상기 지지 기구에 연동되도록 하여 잔디 전개 유닛을 상승시키는 단계와;
    두루마리 잔디를 잔디 구속 기구에 구속시켜, 그 두루마리 잔디가 지지 기구에 대해 용이하게 회전되도록 하는 단계와;
    차량, 잔디 전개 유닛 및 두루마리 잔디를 진행시켜, 두루마리 잔디가 종방향 경로를 따라 전개되도록 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두루마리 잔디의 전개 방법.
KR1019997007762A 1997-12-29 1998-12-23 잔디 입히는 장치 및 방법 KR2000007569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8/998,794 1997-12-29
US08/998,794 US6131668A (en) 1997-12-29 1997-12-29 Sod laying apparatus and method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75695A true KR20000075695A (ko) 2000-12-26

Family

ID=255455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7007762A KR20000075695A (ko) 1997-12-29 1998-12-23 잔디 입히는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6131668A (ko)
EP (1) EP0991311A1 (ko)
JP (1) JP2002512532A (ko)
KR (1) KR20000075695A (ko)
AU (1) AU738876C (ko)
BR (1) BR9807635A (ko)
CA (1) CA2280536A1 (ko)
WO (1) WO1999033330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951816B1 (de) * 1998-04-24 2003-03-05 Roberine BV Grundstückspflegefahrzeug mit einem Arbeitsgerät
US6550406B2 (en) 2001-03-21 2003-04-22 Anthony C. Bass Sod roll installation device
US7673697B2 (en) * 2002-01-23 2010-03-09 Jonathan Michael Peterson Sod laying machine
US6663324B2 (en) 2002-04-18 2003-12-16 Thomas H. Nordloh Erosion blanket installation device
US20050167540A1 (en) * 2004-01-09 2005-08-04 M J K Turf Contractors, Inc. Apparatus for laying a length of material on a surface
US7188447B2 (en) * 2004-03-15 2007-03-13 Sherron & Rose, Llc Machine for laying ground cover on seeded areas
US7824133B1 (en) * 2005-03-22 2010-11-02 Joseph Lazaro Artificial ground cover and system of installation
US7350738B1 (en) 2005-08-25 2008-04-01 Himmelberg Wayne F Sod unrolling machine
US8308413B2 (en) * 2009-09-29 2012-11-13 Anthony Ford Sod roll dispenser
US8974311B2 (en) * 2010-08-10 2015-03-10 Technology Licensing Corp. Method and device for installing synthetic turf
DE202012012727U1 (de) * 2011-04-14 2013-09-23 Technology Licensing Corp. Vorrichtung zum Aufrollen von Kunstrasen
US9028199B2 (en) 2012-01-25 2015-05-12 Lawns Keeper Inc. Sod positioning machine
US10117386B1 (en) * 2013-06-20 2018-11-06 Troy Wilson Synthetic turf removal skid steer attachment assembly
US9908264B2 (en) * 2013-12-16 2018-03-06 Re-Gen Enterprises, Llc Methods and apparatus for recycling deployed sheet material
US11805738B2 (en) * 2020-04-24 2023-11-07 Paul E. Schmelz Sod roller terminal attachment for excavator

Family Cites Families (2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285625A (en) * 1964-12-29 1966-11-15 Wausau Iron Works Quick coupler
US3509944A (en) * 1966-06-27 1970-05-05 Gerardus Johannes Brouwer Sod cutting apparatus
US3812918A (en) * 1971-06-03 1974-05-28 M Beck Ganged sod harvesting apparatus
US3968940A (en) * 1974-07-10 1976-07-13 Godbersen Byron L Apparatus for handling bales
US3982711A (en) * 1975-04-09 1976-09-28 Bradley Frank M Sod laying machine
US3997069A (en) * 1975-07-28 1976-12-14 Hesston Corporation Round bale hauler and unroller
US4044963A (en) * 1976-09-22 1977-08-30 Deweze Mfg., Inc. Round bale loader, unloader and unroller
US4148399A (en) * 1976-12-20 1979-04-10 Carter Jackie L Bale handling apparatus
AU532915B2 (en) * 1979-08-24 1983-10-20 Maarten Hengst Three point quick release coupling
US4280777A (en) * 1980-01-24 1981-07-28 Gray Thomas C Baled hay handling apparatus
US4354556A (en) * 1980-11-10 1982-10-19 Evans Mervyn L Turf cutting and rolling apparatus
US4538948A (en) * 1983-05-09 1985-09-03 Melton Brothers Equipment, Inc. Hydraulic round bale handling system
CA1267324A (en) * 1984-09-17 1990-04-03 Gerardus J. Brouwer Sod laying machine with sod roll speed control
US4796826A (en) * 1985-03-04 1989-01-10 Pierce Wayne M Method of stringing cable from a spool mounted on a wheeled vehicle and a system for performing the method
FR2597701B1 (fr) * 1986-04-25 1989-03-24 Gabard Raymond Machine pour derouler, assembler et plaquer sur le sol des rouleaux de gazon precultive.
DE69006671T2 (de) * 1989-09-29 1994-09-22 Turfgrass Services Int Vorrichtung zur Verarbeitung von Grassoden.
CA2005958C (en) * 1989-12-19 1993-11-30 William Gary Walt Bale handler
US5082413A (en) * 1990-02-27 1992-01-21 Clifford C. Grosz Bale carrying apparatus
US5215278A (en) * 1991-12-02 1993-06-01 Hess Douglas S Apparatus for laying turf
US5437528A (en) * 1992-03-27 1995-08-01 Buckeye Bluegrass Farms Device for harvesting and loading or unloading and installing large rolls of sod
US5454433A (en) * 1992-07-31 1995-10-03 Turfco Manufacturing, Incorporated High frequency, low amplitude, sod harvesting apparatus
GB9224431D0 (en) * 1992-11-21 1993-01-13 Rolawn Limited Turf laying apparatus
US5307880A (en) * 1993-03-12 1994-05-03 Woerner Edward E Sod roll-out machine with endless tracks
NL9301218A (nl) * 1993-07-12 1995-02-01 Vuuren Johannes Van Inrichting voor het snijden van één of meer graszoden en werkwijze voor het stapelen daarvan.
FR2730125B1 (fr) * 1995-02-07 1997-04-04 Belle Jacques Dispositif pour derouler au sol au moins un rouleau de gazon
US5626195A (en) * 1995-07-10 1997-05-06 Bucyrus Equipment Co.. Inc. Sod harvesting system
NL1001102C2 (nl) * 1995-08-31 1997-03-03 Leonardus Lambertus Van Loen Inrichting voor het uitleggen van een tot een rol gewikkeld produkt.
US5697452A (en) * 1995-12-05 1997-12-16 American Roller Bushing Corporation Sod roll laying apparatus and method
US5775436A (en) * 1996-07-26 1998-07-07 Steiner Turf Equipment, Inc. Sod harvester with pivotable roll-forming uni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2280536A1 (en) 1999-07-08
BR9807635A (pt) 2000-05-16
WO1999033330A2 (en) 1999-07-08
EP0991311A1 (en) 2000-04-12
US6131668A (en) 2000-10-17
AU2093199A (en) 1999-07-19
WO1999033330A3 (en) 2000-08-03
AU738876B2 (en) 2001-09-27
AU738876C (en) 2002-09-19
JP2002512532A (ja) 2002-04-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00075695A (ko) 잔디 입히는 장치 및 방법
US5992759A (en) Material spreader attachment for mounting on a tractor
US4354556A (en) Turf cutting and rolling apparatus
US5927606A (en) Agricultural boom with a retractable tip portion
DE202012012727U1 (de) Vorrichtung zum Aufrollen von Kunstrasen
CA2635377A1 (en) A land roller
US5029757A (en) Auto-fold sprayer
US3960221A (en) Tillage tool transport arrangement
CA2287747A1 (en) Attachment for an all terrain vehicle
US6796747B1 (en) Apparatus for installing a silt fence and support posts
CA2229152C (en) Material spreader attachment for mounting on a tractor
US5975804A (en) Tile plow
FR2483731A2 (fr) Machine agricole a structure repliable
US7476059B1 (en) Erosion control and stabilization blanket stapling apparatus
US4897010A (en) Hay bale handling implement
US9901032B2 (en) Harvesting header transport
JP3889850B2 (ja) 畦塗り機
DE202007002922U1 (de) Trailerbühne
US5542478A (en) Combination sloper and tailgrader attachment for vehicles
US4650206A (en) Locking hitch assembly
JPH10290601A (ja) 畦塗り機
MXPA99008013A (en) Sod laying apparatus and method
EP1249158A1 (fr) Machine agricole pour la pose mécanique d'une nappe sur le sol apte à la récupérer mécaniquement et à l'enrouler sur une bobine
US4329791A (en) Plow caddy
CA2212220A1 (en) Agricultural boom with a retractable tip por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