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75582A - 텍스타일의 염색 - Google Patents

텍스타일의 염색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75582A
KR20000075582A KR1019997007642A KR19997007642A KR20000075582A KR 20000075582 A KR20000075582 A KR 20000075582A KR 1019997007642 A KR1019997007642 A KR 1019997007642A KR 19997007642 A KR19997007642 A KR 19997007642A KR 20000075582 A KR20000075582 A KR 2000007558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tionic
nucleophilic
reactive
dye
dye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70076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제프리 윌리암 콜린스
스티븐 마틴 버킨쇼
로이 고든
Original Assignee
앤쥼 쉐이크 바쉬어
임페리알 케미칼 인더스트리즈 피엘씨
마틴 험프리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앤쥼 쉐이크 바쉬어, 임페리알 케미칼 인더스트리즈 피엘씨, 마틴 험프리스 filed Critical 앤쥼 쉐이크 바쉬어
Publication of KR200000755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75582A/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PDYEING OR PRINTING TEXTILES; DYEING LEATHER, FURS OR SOLID MACROMOLECULAR SUBSTANCES IN ANY FORM
    • D06P5/00Other features in dyeing or printing textiles, or dyeing leather, furs, or solid macromolecular substances in any form
    • D06P5/02After-treatment
    • D06P5/04After-treatment with organic compounds
    • D06P5/08After-treatment with organic compounds macromolecular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PDYEING OR PRINTING TEXTILES; DYEING LEATHER, FURS OR SOLID MACROMOLECULAR SUBSTANCES IN ANY FORM
    • D06P1/00General processes of dyeing or printing textiles, or general processes of dyeing leather, furs, or solid macromolecular substances in any form, classified according to the dyes, pigments, or auxiliary substances employed
    • D06P1/44General processes of dyeing or printing textiles, or general processes of dyeing leather, furs, or solid macromolecular substances in any form, classified according to the dyes, pigments, or auxiliary substances employed using insoluble pigments or auxiliary substances, e.g. binders
    • D06P1/52General processes of dyeing or printing textiles, or general processes of dyeing leather, furs, or solid macromolecular substances in any form, classified according to the dyes, pigments, or auxiliary substances employed using insoluble pigments or auxiliary substances, e.g. binders using compositions containing synthetic macromolecular substance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PDYEING OR PRINTING TEXTILES; DYEING LEATHER, FURS OR SOLID MACROMOLECULAR SUBSTANCES IN ANY FORM
    • D06P1/00General processes of dyeing or printing textiles, or general processes of dyeing leather, furs, or solid macromolecular substances in any form, classified according to the dyes, pigments, or auxiliary substances employed
    • D06P1/44General processes of dyeing or printing textiles, or general processes of dyeing leather, furs, or solid macromolecular substances in any form, classified according to the dyes, pigments, or auxiliary substances employed using insoluble pigments or auxiliary substances, e.g. binders
    • D06P1/52General processes of dyeing or printing textiles, or general processes of dyeing leather, furs, or solid macromolecular substances in any form, classified according to the dyes, pigments, or auxiliary substances employed using insoluble pigments or auxiliary substances, e.g. binders using compositions containing synthetic macromolecular substances
    • D06P1/5207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involving only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D06P1/5214Polymers of unsaturated compounds containing no COOH groups or functional derivatives thereof
    • D06P1/5242Polymers of unsaturated N-containing compound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PDYEING OR PRINTING TEXTILES; DYEING LEATHER, FURS OR SOLID MACROMOLECULAR SUBSTANCES IN ANY FORM
    • D06P5/00Other features in dyeing or printing textiles, or dyeing leather, furs, or solid macromolecular substances in any form
    • D06P5/22Effecting variation of dye affinity on textile material by chemical means that react with the fibre
    • D06P5/225Aminalization of cellulose; introducing aminogroups into cellulose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PDYEING OR PRINTING TEXTILES; DYEING LEATHER, FURS OR SOLID MACROMOLECULAR SUBSTANCES IN ANY FORM
    • D06P3/00Special processes of dyeing or printing textiles, or dyeing leather, furs, or solid macromolecular substances in any form, classified according to the material treated
    • D06P3/58Material containing hydroxyl groups
    • D06P3/60Natural or regenerated cellulose
    • D06P3/66Natural or regenerated cellulose using reactive dy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loring (AREA)
  • Treatments For Attaching Organic Compounds To Fibrous Goods (AREA)

Abstract

셀룰로오스계 재료는 바람직하게는 또한 다친핵성이기도 한 다양이온성 중합체 제제로 직물을 전처리함으로써 반응 염료에 의해 염색된다. 그 제제는 폴리4급 아민 재료, 특히 폴리(DADMAC) 또는 폴리비닐피리딘, 특히 제1 아미노기와 같은 친핵성 부위를 포함하는 것, 예를 들면 폴리알릴아민/DADMAC 공중합체, 및 ω-아미노알킬기로 4급화된 폴리비닐피리딘일 수 있다. 이 염료는 그 친핵성 중심과 반응할 수 있으므로 염조의 완전한 염착은 바탕재에 대한 직접 염색성 보다는 염료 고착에 의해 유도될 수 있다. 직접 염색성을 유도하기 위한 염의 사용은 필요하지 않을 수 있으며, 미반응된/가수분해된 염료를 제거하기 위한 염색 후 세척은 훨씬 간소화될 수 있다. 이 방법에 의해 염색된 재료는 반응 염료를 사용하여 염색된 재료의 양호한 세탁 견뢰도 특성을 갖는다. 리오셀 섬유 재료 및 폴리아미드와의 혼방/교직 재료를 포함하는 각종 셀룰로오스계 바탕재가 염색될 수 있다.

Description

텍스타일의 염색{Dyeing of Textiles}
본 발명은 텍스타일의 염색, 특히 반응 염료를 사용한 전처리된 셀룰로오스계 텍스타일의 염색에 관한 것이다.
셀룰로오스계 텍스타일이 반응 염료로 염색될 수 있다는 것은 널리 공지된 사실이다. 반응 염료는 셀룰로오스 분자와 공유 결합을 형성하는 기를 갖는다. 셀룰로오스계 텍스타일에 반응 염료를 사용하는데 있어서의 큰 어려움은 반응 염료가 셀룰로오스에 본래 강하게 직접 염색성이 되지 않으므로 다량의 염, 예를 들면 NaCl이 텍스타일 상으로의 염료의 침착을 돕는데 사용된다는 것이다. 염의 사용에도 불구하고, 염조 (dyebath)의 완전한 염착은 이루어지지 않으므로 실질적인 양의 염료가 염조에 남아있게 되고, 따라서 강하게 착색되고 고전해질 부하를 갖는 유출액이 생성된다.
본 발명은 셀룰로오스계 섬유가 적합한 전처리에 의해 변형되어 염조로의 전해질 첨가 없이 반응 염료가 셀룰로오스에 대해 직접 염색성이 된다는 발견에 기초한 것이다. 또한, 잔류 반응 염료 및 가수분해된 염료 (셀룰로오스계 바탕재에 대한 많은 반응 염료의 경우, 염색이 알칼리 조건하에서 수행되므로 종종 형성됨)는 종종 장기간의 복잡한 세척 절차에 의해 염색 후에 직물로부터 제거될 필요가 있다. 이러한 염색 후 철저한 세척의 실패는 일반적으로 통상적인 사용에서의 세탁 중에 열등한 세탁 견뢰도 및 인접 직물 오염을 유도한다. 이러한 전처리는 레이온 및 리오셀 재료와 같은 재생 셀룰로오스계 재료를 포함하는, 면 및 유사한 셀룰로오스계 바탕재에 가해져 통상적인 사용시의 세탁 중에 우수한 세탁 견뢰도를 가지며 인접 직물로의 오염도가 양호한 (낮은) 잘 염색된 제품을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다음 단계를 포함하는, 염색된 셀룰로오스계 섬유상 텍스타일 재료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1) 셀룰로오스계 섬유상 텍스타일 재료를 복수의 양이온 중심 및 바람직하게는 또한 복수의 친핵성 중심을 갖는 중합체 전처리제로 처리하는 단계;
(2) 재료를 반응 염료로 염색하는 단계; 및
(3) 임의로 재료를 양이온성 중합체로 처리하는 단계.
본 발명에서 처리된 바탕재는 섬유상 셀룰로오스계 텍스타일 재료로서 기재된다. 이에 의해, 바탕재는 셀룰로오스이거나, 또는 전형적으로 30 내지 100%의 셀룰로오스계 섬유 재료를 함유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직물에 포함될 수 있는 전형적인 셀룰로오스계 섬유 재료는 천연 셀룰로오스계 섬유상 재료, 예를 들면 면, 아마, 황마, 대마 및 모시, 및 합성 또는 재생 셀룰로오스계 섬유상 재료, 예를 들면 레이온, 특히 비스코스 및 아세테이트 레이온 및 용매 방사 재료, 특히 용매가 N-메틸모르폴린 옥사이드 (NMMO)일 때 종종 리오셀 재료로서 불리우는 것, 특히 코토울즈 (Courtaulds) 리오셀 섬유 및 코토울즈에서 상품명 '텐셀 (Tencel)'로 판매되는 그러한 섬유로부터 제조된 직물을 들 수가 있다. 셀룰로오스계 섬유 재료는 한가지 유형 이상의 셀룰로오스계 섬유의 혼방 섬유 또는 셀룰로오스계 섬유와 비셀룰로오스계 재료의 혼방 섬유일 수 있으며, 특히 셀룰로오스계 섬유, 특히 면, 레이온, 및 특히 리오셀 섬유와 폴리에스테르, 특히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중합체 또는 관련 공중합체 섬유와의, 또는 폴리아미드 섬유, 예를 들면 양모, 실크 및 합성 폴리아미드, 예를 들면 나일론과의 혼합 섬유 재료일 수 있다. 텍스타일은 직물 (편물을 포함함) 부직포일 수 있지만, 일반적으로 피복용 텍스타일 재료일 것이다.
본 발명에 사용된 중합체 전처리제는 양이온성이며 그러한 재료는 양이온성 중합체 전처리제로서 칭해진다. 양이온성 중합체 전처리제는 복수의 양이온성 중심을 포함하는 중합체이며 일반적으로 양이온성인 또는 잠재적으로 양이온성인 중심을 갖는 단량체의 중합에 의해 제조된다. 바람직하게는, 양이온성 중심은 지방족 제4 암모늄기일 수 있는 제4 질소 중심 또는 제4 방향족 질소 중심이다. 제4 질소 중심은 중합체 제제에서 그대로 존재할 수 있거나 또는 사용 조건하에서 존재할 수 있거나 또는 텍스타일에 사용한 후에 현장에서 생성될 수 있다. 중합체 전처리제에 존재할 수 있는 양이온성 제4 질소 중심의 예로는 -N+(R)3(여기서, R은 각각 알킬기, 특히 C1내지 C4알킬, 예를 들면 메틸기이긴 하지만, R기 중의 하나 이상은 더욱 장쇄인 알킬기, 예를 들면 C6내지 C18알킬기일 수 있거나, 또는 R기 중 2개는 이들을 가지는 질소 원자와 함께 복소환식 고리, 특히 5원 또는 6원 고리를 형성하며, 그것은 이종 원자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예컨대 N-알킬, 예를 들면 메틸에 의해 더 치환될 수 있는, 피페리딘, 테트라히드로피롤, 피페라진 및 모르폴린 고리, 또는 피페라진 고리이거나, 또는 R기 중의 하나는 중합체 중의 또다른 부위, 일반적으로 질소에 또는 다른 중합체 쇄에 연결되는 기, 전형적으로는 알킬렌기일 수 있음) 또는 -N+(R')2- (여기서, R'기는 상기 R에 대해 정의된 바와 같고, 다른 결합은 임의로 고리, 일반적으로 5- 또는 6-원 고리를 통해 중합체 쇄에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연결됨) 및 피리디늄과 같은 방향족 제4 질소 중심을 들 수가 있다.
양이온성도 (분자량 단위 당 양이온성 중심으로서 표시됨)는 일반적으로 1500 달톤 (D) 당 1 이상의 양이온성, 특히 제4 질소 중심, 바람직하게는 1000 D 당 1 이상의 양이온성 중심, 더욱 일반적으로는 750 D 당 1 이상의 양이온성 중심이며, 본 발명자들이 시험한 가장 효과적인 양이온성도는 500 D 당 1 이상의 양이온성 중심이다. 양이온성 중심의 최대 농도는 120D 당 약 1, 바람직하게는 150D 당 약 1 이하이다.
중합체 중의 단량체 잔기 당 양이온성 중심으로서 표시하면, 중합체는 전형적으로 중합체 중의 20 단량체 잔기 당 약 1 이상의 양이온성 중심, 더욱 일반적으로 10 단량체 잔기 당 약 1 이상의 양이온성 중심 및 바람직하게는 5 단량체 잔기 당 약 1 이상의 양이온성 중심을 갖는다. 양이온성이지만 친핵성이 아닌 중합체의 경우, 상한치는 전형적으로 단량체 잔기 당 1 양이온성 중심이다.
양이온성 중합체 전처리제의 예로는 아이씨아이 써퍽턴츠 (ICI Surfactants)로부터 마텍실 에프씨-이알 (Matexil FC-ER)이라는 상품명으로 시판되는 것과 같은, 편리하게 약어 폴리-DADMAC (디알릴디메틸암모늄 클로라이드)로서 불리우는 디알릴디메틸암모늄 클로라이드 (중합하여 디메틸 암모늄기를 포함하는 환식, 5- 및(또는) 6-원 고리를 포함하는 반복 단위를 제공함)의 중합체, 비닐피리딘의 4급화된 (공-)중합체, 예컨대 4-비닐피리딘, 아이씨아이 써퍽턴츠로부터 픽소겐 씨엑스에프 (Fixogene CXF)라는 상품명으로 시판되는 것과 같은 디메틸 아민 및 epi-클로로히드린의 공중합체 및 디알릴디메틸암모늄 및 디알릴-N-2-히드록시-3-클로로-프로필아민 (또는 그의 양성자 첨가된 암모늄 유도체)의 공중합체 및 디알릴메틸아민 (또는 그의 양성자 첨가된 암모늄 유도체) 및 디알릴-N-메틸-N-2-히드록시-3-클로로프로필암모늄의 반복 단위를 갖는 공중합체를 들 수가 있다. 제4 암모늄기에 대한 전하 균형 음이온은 전형적으로 할라이드, 특히 클로라이드 이온이다. 이들 후자의 2개의 공중합체는 프로필기 및 다른 질소 중심 상의 클로라이드 치환체를 포함하는 가교결합 또는 유사한 반응일 수 있다.
양이온성 중합체 전처리제의 사용은 그들이 셀룰로오스계 섬유에 대해 강한 직접 염색성이고, 따라서 텍스타일에 쉽게 가해지고, 전형적인 반응 염료가 처리된 셀룰로오스계 텍스타일 재료에 대해 직접 염색성이 되는 잇점을 갖는다. 이것은 셀룰로오스계 텍스타일 재료에 대한 염료의 사용을 실질적으로 용이하게 할 수 있고, 예를 들면 직접 염색성을 강화시키기 위한 염 사용의 필요성을 감소시키거나 또는 없애고 고도의 염료 용액 염착을 일으키는 것을 가능케 한다. 그러나, 양이온성 중합체 전처리제가 일반적으로 염료에 대해 더욱 반응성인 셀룰로오스계 텍스타일 재료를 제조하지 않으므로 셀룰로오스와 염료 사이의 반응 조건은 셀룰로오스에 대한 각각의 반응 염료에 전형적으로 사용되는 것일 것이며 미반응 및(또는) 가수분해된 반응 염료를 제거하기 위한 염색된 직물의 철저한 세척의 필요성이 남아있게 된다.
중합체 전처리제는 바람직하게는 복수의 양이온성 중심 및 복수의 친핵성 중심을 둘다 가지며, 그러한 재료는 양이온성 친핵성 중합체 전처리제로서 알려져 있다. 전형적으로, 양이온성 친핵성 중합체 전처리제는 1개 이상의 양이온성 (또는 잠재적으로 양이온성) 중심을 함유하며 1개의 친핵성기를 함유하는 단량체의 중합체일 것이다. 양이온성 중심 및 친핵성기는 동일하거나 또는 상이한 단량체 단위 안에 있을 수 있다. 또다른 단량체, 예를 들면 실질적으로 불활성인 단량체가 양이온성 친핵성 중합체 전처리제의 양이온성도 및(또는) 친핵성도를 조절하기 위해 포함될 수 있다.
친핵성 중심은 그 자체로 강한 친핵성인 기 또는 자체로는 비교적 약한 친핵성 중심이지만 전처리제 상의 다른 기에 의해 친핵성이 촉진되는 기일 수 있다. 친핵성 중심은 바람직하게는 반응 염료와 쉽게 반응하는 비교적 강한 친핵체이다. 이후에 설명되는 바와 같이, 친핵성 중심은 바람직하게는 중성 또는 비교적 약알칼리 수용액 조건, 예를 들면 pH 6 내지 9, 특히 6 내지 7.5에서 비교적 강한 친핵체이므로 친핵성 중심의 포함은 덜 강력한 염색 조건의 사용을 가능하게 한다. 비교적 강한 친핵성 중심의 예로는 제1 아미노기, 특히 방향족 제1 아미노기 보다 반응성이 더 큰 제1 지방족 아미노기, 제2 지방족 아미노기 및 티올기를 들 수가 있다. 전처리제 상의 다른 기에 의해 촉진될 수 있는 비교적 약한 친핵성 중심의 예로는 활성화된 히드록실기, 특히 제1 지방족 히드록실기, 히드록실기를 활성화시키는 베타 내지는 제4 암모늄기, 예를 들면 2-히드록시에틸(4급)암모늄기를 들 수가 있다.
양이온성 친핵성 중합체 전처리제의 양이온성도는 전형적으로 상기한 바와 같은 양이온성 중합체 전처리제의 것과 유사하다. 그러나, 친핵성 중심의 포함이 양이온성 중심 당 분자량을 증가시키기 때문에 최대 양이온성도는 일반적으로 다소 더 낮다. 양이온성도 (분자량 단위 당 양이온성 중심으로서 표시됨)는 일반적으로 1500D 당 1 이상의 양이온성, 특히 제4 질소 중심, 바람직하게는 1000D 당 1 이상의 양이온성 중심, 더욱 일반적으로는 750D 당 1 이상의 양이온성 중심이며, 본 발명자들이 시험한 가장 효과적인 중합체는 500D 당 1 이상의 양이온성 중심을 갖는 것이다. 양이온성 중심의 최대 농도는 전형적으로 180D 당 약 1, 더욱 일반적으로 200D 당 약 1이다.
중합체 중의 단량체 잔기 당 양이온성 중심으로서 표시하면, 중합체는 전형적으로 중합체 중의 20 단량체 잔기 당 약 1 이상의 양이온성 중심, 더욱 일반적으로 10 단량체 잔기 당 약 1이상의 양이온성 중심 및 바람직하게는 5 단량체 잔기 당 약 1 이상의 양이온성 중심을 갖는다. 양이온성이지만 친핵성이 아닌 중합체의 경우, 실제 상한치는 전형적으로 단량체 잔기 당 1 양이온성 중심이지만, 더욱 일반적으로 양이온성도는 이보다 더 낮을 것이며, 예를 들면 4급화된 비닐 피리딘에서와 같이 4 단량체 잔기 당 3 양이온성 중심 및 등몰 비율의 양이온성 및 친핵성 단량체로부터 제조된 중합체에서와 같이 2 단량체 잔기 당 1 양이온성 중심일 것이다.
중합체 중의 친핵성 중심의 농도 (분자량 단위 당 친핵성 중심으로서 표시됨)는 일반적으로 1500D 당 1 이상의 친핵성 중심, 바람직하게는 1000D 당 1 이상의 친핵성 중심, 더욱 일반적으로 750D 당 1 이상의 친핵성 중심이며, 본 발명자들이 시험한 가장 효과적인 중합체는 500D 당 1 이상의 친핵성 중심을 갖는 것이다. 친핵성 중심의 최대 농도는 60D 당 약 1, 더욱 일반적으로 70D 당 약 1, 가장 일반적으로 100D 당 약 1이다. 중합체 중의 단량체 잔기 당 친핵성 중심으로서 표시하면, 그 중합체는 전형적으로 중합체 중의 20 단량체 잔기 당 약 1 이상의 친핵성 중심, 더욱 일반적으로 10 단량체 잔기 당 약 1 이상의 친핵성 중심, 및 바람직하게는 5 단량체 잔기 당 약 1 이상의 친핵성 중심을 갖는다. 실제 상한치는 전형적으로 단량체 잔기, 예를 들면 친핵성 및 양이온성 중심 모두를 갖는 단량체 잔기 당 1 친핵성 중심이지만, 더욱 일반적으로 중합체는 종종 다른 단량체의 잔기 상에 양이온성 및 친핵성 중심을 가질 것이므로, 이 경우에 친핵성 중심의 최대 수는 이 보다 더 낮을 것이며, 예를 들면 10 단량체 잔기 당 9 친핵성 중심, 더욱 일반적으로는 8 친핵성 중심이다.
양이온성 친핵성 중합체 전처리제의 사용은, 셀룰로오스계 섬유에 강한 직접 염색성이며, 따라서 셀룰로오스계 텍스타일 재료에 쉽게 가해질 수 있는 양이온성 중합체 전처리제의 잇점을 공유한다. 또한, 이러한 전처리제 내의 친핵성 중심의 존재는 셀룰로오스계 바탕재에 대한 반응성이 가장 큰 염료에 대해 통상적으로 가능한 조건 보다 더 약한 조건에서 처리된 셀룰로오스계 텍스타일 재료와 반응 염료 사이의 반응 (전처리제 및 반응 염료 상의 친핵성 중심 사이의 반응인 것으로 생각됨)을 가능하게 한다. 사실상, 친핵성 중심 자체가 반응 염료에 대해 고반응성인 경우, 특히 친핵성 중심이 지방족 제1 아미노기이거나 또는 그것을 포함하는 경우, 염료와 처리된 셀룰로오스계 텍스타일 재료 사이의 반응의 용이함은 반응 염료 자체가 처리된 셀룰로오스계 텍스타일 재료에 대해 강한 직접 염색성이 아닌 경우에도 염료의 직물상으로의 염착을 유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사용된 양이온성 중합체 전처리제 및 양이온성 친핵성 중합체 전처리제는 전형적으로 5 내지 50 kD (킬로달톤) 및 더욱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30 kD의 분자량을 갖는다.
양이온성 친핵성 중합체 전처리제는 각종 단량체 단위로부터 제조될 수 있다. 양이온성 부위는 양이온성 중심, 예를 들면 제4 질소 원자, 또는 제4 질소 원자로 전환될 수 있는 중심, 예를 들면 4급화될 수 있는 제1, 제2 또는 제3 아미노기, 또는 제4 질소 원자로 (직접적으로 또는 간접적으로) 대체될 수 있는 할로겐 원자를 함유하는 에틸렌적으로 불포화된 단량체에 의해 제공될 수 있다. 친핵성 부위는 친핵성 중심, 예를 들면 특히 제1 또는 제2 아미노기, 티올기 또는 활성화 히드록실기, 특히 지방족 히드록실기 베타 내지 제4 암모늄기를 함유하는 에틸렌적으로 불포화된 단량체에 의해 제공될 수 있다.
양이온성 친핵성 중합체 전처리제의 예로는 알릴아민 (3-아미노프로프-1-엔)과 같은 제1 아미노기를 함유하는 에틸렌적으로 불포화된 단량체 및 DADMAC의 공중합체; 폴리(N-메틸-N-(아미노알킬)-디알릴암모늄 (여기서, 아미노알킬기는 예를 들면 2-아미노에틸 또는 3-아미노프로필임); 제1 아미노기를 함유하는 기, 특히 알킬기로 4급화된, 예를 들면 2-아미노에틸기로 4급화된, 4-비닐피리딘과 같은 비닐피리딘의 중합체, 사실상 비닐피리딘 및 4급화된 비닐피리딘의 공중합체; 및 디알릴메틸아민 (또는 그의 양성자 첨가된 암모늄 유도체) 및 디알릴-2-히드록시-3-클로로프로필 아민 (또는 그의 양성자 첨가된 암모늄 유도체)의 반복 단위를 갖는 공중합체를 포함한다.
4-비닐피리딘과 같은 비닐피리딘의 4급화는 통상의 기술을 사용하여 시판되는 방향족 질소 약 75%의 범위로 실시될 수 있다. 4급화는 친핵성 부위에 대한 양이온성 부위의 비를 변화시키기 위해 혼합된 기, 예를 들면 알킬기 및 아미노알킬기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그러나, 4급화제가 복수의 친핵성 부위를 갖지 않으면, 각 4급화 반응에 대해 하나의 양이온성 부위가 형성되므로, 친핵성 부위에 대한 양이온성 부위의 비는 일반적으로 1을 초과하지 않을 것이다.
제4 질소 원자를 함유하는 에틸렌적으로 불포화된 단량체, 예를 들면 DADMAC 및 제1 아미노기를 함유하는 에틸렌적으로 불포화된 단량체, 예를 들면 알릴아민의 공중합체는 출발 단량체의 비율을 변화시켜 친핵성 부위에 대한 양이온성 부위의 비를 변화시켜 형성될 수 있다. 그러한 공중합체에서, 본 발명자들은 친핵성 중심: 양이온성 중심의 비가 1:1 이상, 특히 1:1 내지 5:1, 예를 들면 약 3:1일 때의 성능이 일반적으로 더 양호하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특히, 본 발명자들은 그러한 재료를 사용하여, 셀룰로오스계 텍스타일 재료 상으로의 염료의 염착이 염료의 고착 (주로 양이온성 친핵성 중합체 전처리제에 대한 것으로 추측됨)에 의해 유도되는 것처럼 생각되므로 섬유 상에 미반응된 형태로 남아있는 염료는 단지 상대적으로 거의 없다는 것을 관찰하였다. 이것은 염색 후 세척을 더욱 간단하게 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제4 질소 원자를 함유하는 에틸렌적으로 불포화된 단량체 및 제1 아미노기를 함유하는 에틸렌적으로 불포화된 단량체의 공중합체, 특히 알릴아민 및 DADMAC의 공중합체 및 유사한 중합체는 매우 바람직한 전처리제이다.
중합체 전처리제에 의한 직물의 전처리는 약 130 ℃ 이하, 예를 들면 약 100 ℃ 이하, 특히 20 내지 80 ℃의 온도에서 2시간 이하, 특히 15분 내지 1시간, 예를 들면 20 내지 30분 동안 전처리제의 수용액 또는 분산액에 직물을 침지시킴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더 고온이 사용될 수 있긴 하지만, 면 및 유사한 천연 셀룰로오스계 재료에 대해 약 40 ℃의 온도가 특히 적절하다. 더 고온이 사용될 수 있긴 하지만, 중합체가 일반적으로 천연 셀룰로오스계 재료 보다 더 결정성이기 때문에 약 60 ℃ 내지 약 80 ℃의 온도가 레이온 및 리오셀 재료와 같은 합성 셀룰로오스계 재료에 대해 특히 적합하다.
처리 조내의 전처리제의 농도는 바람직하게는 전처리되는 직물의 건조 중량을 기준으로 100% 활성 전처리제 0.1 내지 3 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0.25 내지 2 중량%, 특히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1 중량%이다. (주: 전처리제는 통상적으로 30 내지 35% 활성 수용액으로서 공급되며 이것은 사용된 특정 제품의 양을 결정하는데 참작될 것이다). 전처리를 위한 액비 (liquor ratio) (건조 직물 중량에 대한 사용된 처리/염료 용액의 비)는 통상적으로 5 내지 25, 바람직하게는 약 10이다. 전처리 용액의 pH는 전형적으로 거의 중성 pH, 일반적으로 6 내지 약 8이다. 더욱 산성인 처리 용액은 전처리제 중의 양이온성기가 양이온성인 것을 확실하게 할 필요가 있을 때, 예를 들면 그것이 산성 매체로부터의 양성자로 '4급화된' 아미노기일 때 적절할 수 있다.
전처리는 또한 상기한 바와 유사한 농도 및 pH 값을 사용하여 주위 온도에서 패딩시켜 패딩된 건조 섬유 중량을 기준으로 약 70 내지 150 중량%의 함침률을 제공하고, 이어서 전형적으로 약 80 내지 약 150 ℃에서, 더욱 일반적으로 약 80 내지 약 120 ℃에서 건조시킴으로써 실시될 수도 있다.
반응 염료는 친핵성기 (통상적으로, 염색될 직물의 재료 상에 있음)와 반응하여 섬유에 대해 염료를 강하게 결합시키는 공유 결합을 형성할 반응성 중심을 포함하는 염료이다. 반응성 중심은 종종 양호한 이탈기와 결합되는 친전자성 중심이며, 또한 종종 그것에 결합되는 이탈기, 예를 들면 염소 또는 불소와 같은 할로겐 원자를 갖는 활성화 탄소 원자, 또는 활성화된 이중 결합 중의 탄소 원자이다. 그 예로는 염소 및(또는) 불소와 같은 할로겐 치환체와 같은 이탈기, 또는 다른 이탈기, 예를 들면 N-결합된 니코틴산, 염소 및(또는) 불소와 같은 할로겐 치환된 피리미딘기, 및 활성화된 에틸렌성 이중 결합, 예를 들면 β-술파토비닐 술폰기에서와 같은 비닐 술폰기, 및 아크릴기, 예를 들면 아크릴아미도기, 특히 브롬과 같은 할로겐 치환된 아크릴아미도기를 갖는 트리아진 잔기 (2,4,6-트리할로-sym-트리아지닐)을 들 수가 있다. 반응 염료는 하나를 초과하는 그러한 기를 포함할 수 있으며, 하나를 초과하는 그러한 유형의 기를 가질 수 있다.
이러한 종류의 염료의 예로는 다음과 같은 것을 들 수가 있다:
프로시온 P 염료 (모노-모노클로로트리아진 염료)와 같은 하나의 잔류 염소 원자를 가질 수 있는 시아누릴 클로라이드 잔기를 포함하는 프로시온 타입 염료:
예를 들면, 하나의 잔류 염소 원자를 갖는 하나의 시아누릴 클로라이드 잔기 (한 염료 기)를 갖는 칼라 인덱스 (CI) 리액티브 (Reactive) 레드 3:1:
CI 리액티브 오렌지 12, 네이비 P-2R, 스칼렛 P-2R, CI 리액티브 블루 49, CI 리액티브 블루 71, 블랙 P-2R 및 CI 리액티브 오렌지 13;
각각 하나의 잔류 염소 원자를 갖는 2개의 시아누릴 클로라이드 잔기를 갖는 프로시온 H-EXL 타입 염료:
예를 들면, 프로시온 H-EXL 블루, 옐로우 및 크림슨 및 CI 리액티브 레드 120:
(CI 리액티브 레드 120은 CI 리액티브 레드 3:1의 유사-이량체로서 간주될 수 있음);
프로시온 MX 타입과 같은 2개의 잔류 염소 원자를 갖는 시아누릴 클로라이드 잔기를 포함하는 염료:
예를 들면, CI 리액티브 블루 163, CI 리액티브 옐로우 22 및 CI 리액티브 레드 11;
드리마렌/드리말란 타입 염료와 같은 할로-피리미딘 잔기를 포함하는 염료:
예를 들면, 드리말란 블루 FG;
레마졸 타입 염료와 같은 β-술파토비닐 술폰기를 함유하는 염료:
그러한 기를 하나 함유하는 염료:
및 그러한 기를 2개 함유하는 염료:
예를 들면, 레마졸 레드 RR, 옐로우 RR, 블루 RR 및 CI 리액티브 블랙 5;
수미픽스 수프라 타입 염료와 같은 시아누릴 클로라이드 및 β-술파토비닐 술폰기 둘다를 함유하는 염료:
예를 들면, 수미픽스 수프라 옐로우 3RF, 브릴리언트 레드 3BF 및 블루 BRF 및 요라크론 옐로우 BF-3R, 레드 BF-3B 및 블루 BF-R;
카야셀론 타입 염료와 같은 N-결합된 니코틴산 치환된 2,4,6-트리클로로-sym-트리아지닐 잔기를 함유하는 염료:
예를 들면, 카야셀론 블루 CN-BL, 골든 옐로우 CN-GL 및 CI 리액티브 레드 221;
및 라나솔 타입과 같은 할로아크릴 잔기를 포함하는 염료:
예를 들면, CI 리액티브 옐로우 39, CI 리액티브 블루 69 및 CI 리액티브 레드 84.
아크릴아미도기: -NH.C(O)CH=CH2를 포함하는 2:1 대칭 반응성 산 염료와 같은 반응성 예비 금속화된 염료는 예를 들면 CI 리액티브 레드 169이다.
상기 제공된 염료의 화학식에서, "염료"로 표시된 기는 전형적으로 술폰산염 또는 다른 음이온성 중심을 포함하는 발색 염료 잔기이다. 반응성기 및 "염료"기에 그것을 결합시키는 기는 전형적으로 염료 발색단에 의해 형성되는 색을 거의 간섭하지 않도록 선택된다.
염색 조건은 셀룰로오스계 텍스타일 재료에 가해진 전처리 및 반응 염료의 성질에 좌우될 것이다. 전처리제가 양이온성 중합체 전처리제인 경우, 염색 조건은 셀룰로오스에 대한 각각의 반응 염료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것일 것이다. 이 경우에, 염료 중의 반응성기가 할로트리아진 잔기, 할로피리미딘 잔기 또는 비닐 술폰기인 경우, 염색 조건은 강 알칼리 (전형적으로, pH 10.8 내지 11.2)일 것이며, 염색 온도는 전형적으로 60 ℃ 이상일 것이다. 그러나, 염료 중의 반응성기가 N-결합된 니코틴산 치환된 트리아진 잔기인 경우, 염색 조건은 거의 중성일 수 있다.
전처리제가 양이온성 친핵성 중합체 전처리제인 경우, 염색은 더 알칼리 조건이 사용될 수 있긴 하지만, 전형적으로 거의 중성인 pH, 예를 들면 약 pH 6 내지 약 8에서 실시될 것이다. 온도는 반응 염료 유형에 적절할 것이며 전형적으로 약 60 ℃ 내지 약 130 ℃, 예를 들면 약 60 ℃ 내지 약 100 ℃일 것이다. 거의 중성인 pH 조건의 사용은 반응 염료의 가수분해가 최소한으로 유지되는 주요 잇점을 갖는다. 실제적으로, 본 발명자들은 실질적으로 반응 염료의 가수분해가 일어나지 않게 작업할 수가 있었다. 염조는 전형적으로 전처리된 셀룰로오스계 텍스타일 재료에 대한 직접 염색성을 유도하는데 상당량의 전해질이 필요하지 않기 때문에 상당량의 전해질을 함유하지 않을 것이다. 따라서, 전형적으로 염조는 염료의 수용액이며 염색 후에 상당량의 가수분해된 염료 또는 전해질 없이 잔류 반응 염료를 함유하며 따라서 쉽게 재사용될 수 있다.
사용된 염료의 양, 염조 중의 염료의 농도 및 텍스타일에 가해진 양은 염료 자체 및 원하는 염색의 강도에 따라 변화될 것이다.
통상적으로, 반응 염료에 의한 셀룰로오스계 텍스타일 재료의 염색 후에, 셀룰로오스계 텍스타일 재료로부터 임의의 비결합된, 예를 들면 미반응된 또는 가수분해된 반응 염료를 제거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에서, 양이온성 중합체 전처리제를 사용하여 전처리를 실시한 경우, 이러한 염색 후 세척은 일반적으로 통상적이고 철저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사실상, 염료가 처리된 셀룰로오스계 텍스타일 재료에 대해 직접 염색성일 수 있기 때문에, 통상의 시스템에서 보다 더 철저할 필요가 있을 수 있다. 그러나, 양이온성 친핵성 중합체 전처리제를 사용하여 전처리를 실시하는 경우, 본 발명자들은 처리된 셀룰로오스계 텍스타일 재료에 약한 직접 염색성인 염료를 성공적으로 사용하는 본 발명의 방법의 능력이 활용되어 임의의 잔류 염료가 세척에 의해 쉽게 제거될 수 있는 경우 훨씬 더 약한 염색 후 세척 조건이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이 경우에, 특히 염색 후 세척의 필요성은 셀룰로오스계 텍스타일 재료에 대한 통상의 반응 염료에 의한 필요성 보다 훨씬 더 적다. 사실상, 염색 후 세척은 중온, 예를 들면 50 내지 100 ℃, 특히 70 내지 85 ℃에서 세제를 포함할 수 있는 비교적 약 알칼리, 예를 들면 pH 7 내지 10.5 수용액 또는 물 중에서의 예를 들면, 10 내지 30분, 특히 15 내지 20분 동안의 비교적 간단하고 짧은 헹굼일 수 있다. 이러한 약한 염색 후 세척은 셀룰로오스계 텍스타일 재료에 대한 통상의 반응성 염색 과정에서의 전형적인 염색 후 세척과 크게 비교된다.
염색 후, 셀룰로오스계 텍스타일 재료는 양이온성 중합체로 더 처리될 수 있다. 그러한 후처리에 사용되는 양이온성 중합체는 일반적으로 상기한 바와 같은 양이온성 중합체 전처리제 또는 양이온성 친핵성 중합체 전처리제와 동일한 유형일 것이며, 본 명세서에서 양이온성 중합체 후처리제로서 불리운다. 마찬가지로, 처리 조건, 농도 및 양은 양이온성 중합체 전처리제에 대해 상기 설정한 일반적 및 특정의 범위내에 든다. 양이온성 중합체 후처리제는 셀룰로오스계 텍스타일 재료에 대해 직접 염색성이며 본 발명자들은 그것이 (셀룰로오스계 텍스타일 재료에 또는 양이온성 친핵성 중합체 전처리제에 화학적으로 결합되든 또는 비결합되든) 셀룰로오스계 텍스타일 재료 상의 염료 상에 코팅 또는 층을 형성하고 이것이 염색의 세탁 견뢰도를 더 개선시키고 세탁 시에 다른 동시 세탁되는 재료 상으로의 반응 염료의 이행 경향을 감소시킬 수 있는 것으로 생각한다. 양이온성 중합체 후처리제에 의한 처리는 전형적으로 미반응된 또는 가수분해된 염료가 셀룰로오스계 텍스타일 재료 상으로 트랩핑되는 것을 피하기 위해 염색 후 세척 후에 실시될 것이다. 양이온성 중합체 후처리제의 다른 부분에 대해 또는 양이온성 중합체 후처리제 또는 양이온성 친핵성 중합체 후처리제에 대해 반응성인 기를 포함하는 양이온성 중합체 후처리제가 사용되는 경우, 연결, 가교결합 및 중합에 의한 고분자량 종을 발생시킬 수 있다. 이것은 염색된 직물의 세탁 견뢰도를 더 증가시킬 수 있다. 그러한 반응성 양이온성 중합체 후처리제의 예로는 디알릴메틸아민 (또는 그의 양성자 첨가된 암모늄 유도체) 및 디알릴-2-히드록시-3-클로로프로필 아민 (또는 그의 양성자 첨가된 암모늄 유도체)의 반복 단위를 갖는 공중합체이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최적의 전처리 및 염색이 사용되는 경우에는, 염색의 세탁 견뢰도를 개선시키기 위해 후처리가 필요하지 않다.
본 발명에 따른 전처리 단계를 사용하여, 본 발명자들은 통상의 반응성 염색된 셀룰로오스계 텍스타일 재료에 비해 통상의 사용 중에 세탁시에 우수한 세탁 견뢰도 및 인접 직물의 오염성을 양호하게 염색된 제품을 성공적으로 얻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전처리 단계가 양이온성 친핵성 중합체 전처리제를 사용하는 경우, 셀룰로오스계 텍스타일 재료에 대한 통상의 반응성 염색 시스템에 비해 갖는 장점은 염착을 유도하기 위한 염의 사용없이 직물 상으로의 양호한 염착, 광범위한 반응 염료에 대한 비교적 약한 염색 및 고착 조건, 할로아크릴아미드 유형 반응 염료와 같은 셀룰로오스계 재료에 대해서 통상적으로 사용가능하지 않은 반응 염료를 사용하는 능력, 및 미반응된/가수분해된 염료를 제거하기 위한 염색 후 세척에 대한 훨씬 감소된 필요성을 포함할 수 있다. 전처리 단계가 양이온성 중합체 전처리제를 사용하는 경우, 염색 및 고착 단계가 셀룰로오스계 텍스타일 재료에 대한 반응 염료의 광범위하게 통상적인 조건하에서 실시되고 일반적으로 전처리 단계가 양이온성 친핵성 중합체 전처리제를 사용하는 경우에서 보다 염색 후 세척에 대한 필요성이 더 커질 것이다.
본 발명에서 얻어진 셀룰로오스계 텍스타일 재료에 대한 반응 염료의 개선된 염색은 통상의 방법에 의해 가능한 광범위한 반응 염료에 의해 훨씬 더 간단하게 혼합 또는 혼방된 직물을 염색할 수 있게 한다. 반응 염료의 선택은 혼합된 다른 섬유 재료에 대해 반응성인 염료의 선택에 의해 부자연스러울 수 있지만, 당업자에게 그것이 문제가 될 것으로는 생각하지 않는다. 특히, 전처리는 셀룰로오스계 섬유, 특히 면, 나일론, 및 리오셀 재료와 폴리아미드 섬유, 예를 들면 양모, 실크 및 나일론과의 교직 직물이 비교적 쉽고 균일하게 염색될 수 있게 한다. 따라서, 양모/면 교직 직물은 예를 들면 할로아크릴아미드, 할로피리미딘 및 비닐 술폰 유형 반응 염료를 사용하여 본 발명에 따라서 균일하게 염색될 수 있다. 이들 가능성은 다음 단계를 포함하는, 셀룰로오스계 섬유, 특히 면, 나일론, 또는 리오셀 및 폴리아미드 섬유, 특히 양모, 실크 또는 나일론을 함유하는 혼방 또는 교직 직물을 염색하는 방법을 포함하는 본 발명의 특정 면을 형성한다:
1. 재료를 복수의 양이온성 중심 및 바람직하게는 또한 복수의 친핵성 중심을 갖는 중합체 전처리제로 처리하는 단계;
2. 재료를 반응 염료로 염색하는 단계; 및
3. 임의로 재료를 양이온성 중합체로 처리하는 단계.
다음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며, 모든 부 및 백분률은 달리 명시하지 않으면 중량을 기준으로 한 것이다.
재료
프로시온 (Procion) P BASF 제조
프로시온 레드 P-4BN CI 리액티브 레드 3:1
프로시온 옐로우 P-3R CI 리액티브 오렌지 12
프로시온 네이비 P-2R
프로시온 스칼렛 P-2R
프로시온 블루 P-3R CI 리액티브 블루 49
프로시온 터쿼이스 P-A CI 리액티브 블루 71
프로시온 블랙 P-2R
프로시온 오렌지 P-2R CI 리액티브 오렌지 13
프로시온 H-EXL 타입 BASF 제조
프로시온 블루 H-EXL CI 리액티브 블루 198
프로시온 옐로우 H-EXL CI 리액티브 옐로우 138
프로시온 크림슨 H-EXL CI 리액티브 레드 231
프로시온 레드 HE-3B CI 리액티브 레드 120
프로시온 MX 타입 BASF 제조
프로시온 블루 MX-G CI 리액티브 블루 163
프로시온 옐로우 MX-4G CI 리액티브 옐로우 22
프로시온 레드 MX-8B CI 리액티브 레드 11
드리말란 (Drimalan) 타입 클라리언트 (Clariant) 제조
드리말란 블루 FB
드리말란 브릴리언트 레드 FB CI 리액티브 레드 147
드리말란 옐로우 F-3RL CI 리액티브 옐로우 125
레마졸 (Remazol) 타입 염료 다이스타 (Dystar) (이전에는 훽스트 (Hoechst)
제조
레마졸 레드 RR
레마졸 옐로우 RR
레마졸 블루 RR
레마졸 블랙 B CI 리액티브 블랙 5
레마졸 딥 블랙 N
수미픽스 수프라 (Sumifix Supra) 타입 수미픽스 수프라는 스미또모 (Sumitomo)
제조, 요라크론 (Yoracron)은 요크셔 케
미칼스 (Yorkshire Chmicals) 제조
수미픽스 수프라 옐로우 3RF, 요라크론 옐로우 BF-3R
CI 리액티브 옐로우 145
수미픽스 수프라 브릴리언트 레드 3BF, 요라크론 레드 BF-3B
CI 리액티브 레드 195
수미픽스 수프라 블루 BRF, 요라크론 블루 BF-R
CI 리액티브 블루 221
카야셀론 (Kayacelon) 타입 니뽄 가야꾸 (Nippon Kayaku) 제조
카야셀론 블루 CN-BL CI 리액티브 블루 216
카야셀론 골든 옐로우 CN-GL CI 리액티브 옐로우 178
카야셀론 레드 CN-3B CI 리액티브 레드 221
라나솔 (Lanasol) 타입 시바 (Ciba) 제조
라나솔 옐로우 4G CI 리액티브 옐로우 39
라나솔 블루 3G CI 리액티브 블루 69
라나솔 레드 8G CI 리액티브 레드 84
시바크론 (Cibachron) 타입 시바 제조
시바크론 옐로우 C-2R
시바크론 레드 C-2G
시바크론 블루 C-R
시바크론 옐로우 F-3R
시바크론 레드 F-B
시바크론 블루 F-R
전처리제:
PT1 알릴아민 및 DADMAC의 공중합체(몰비 1:1)
PT2 알릴아민 및 DADMAC의 공중합체(몰비 3:1)
PT3 2-아미노에틸기로 4급화된(약 75%) 폴리-(4-비닐피리딘)
<실험>
<전처리>
면을 40 내지 50℃에서 30분 동안 10:1의 액비로 건조 섬유 중량을 기준으로 2%의 전처리제 (제공된 처리제) 수용액으로 전처리하고, 이어서 흐르는 냉수로 헹구었다. 전처리된 직물을 이후의 사용을 위해 건조시키거나 또는 더 처리하지 않고 염색시켰다.
리오셀 재료, 예를 들면 '텐셀' 직물 (코토울즈에 의해 제조된 리오셀 섬유를 사용하여 제조됨)의 경우, 60℃에서 30분 동안 10:1의 액비 L:R로 1 g/ℓ Na2CO3을 더 함유하는, 건조 직물 중량을 기준으로 2%의 전처리제 (제공된 전처리제) 수용액 중에 '텐셀' 직물 (190 g.m-2)의 샘플을 침지시켜 전처리를 실시하였다. 리오셀 섬유의 고유의 더욱 치밀하게 충진된 구조의 침투를 돕기 위하여 더욱 고온 및 알칼리가 사용되었다.
양모/면 혼방 (실시예 12에 사용됨)의 경우, 약 7의 pH에서 50℃에서 30분 동안 10:1의 액비 L:R로 건조 직물 중량을 기준으로 2%의 전처리제 (제공된 전처리제) 수용액 중에 직물 샘플을 침지시켜 전처리를 실시하였다.
다른 혼방 직물 (실시예 13에 사용됨)의 경우, 약 7의 pH에서 50℃에서 30분 동안 10:1의 액비 L:R로 건조 직물 중량을 기준으로 2%의 전처리제 (제공된 전처리제) 수용액 중에 직물 샘플을 침지시켜 전처리를 실시하였다.
<염색>
다음의 일반적인 방법이 사용되었다.
습윤 전처리된 면 (전처리 단계로부터 얻거나 또는 건조시키고 이후에 물로 재습윤시킨 미리 전처리된 재료로부터 얻음)을 실온에서 건조 직물 중량을 기준으로 2%의 염료 (제공된 바와 같음)를 함유하는 염조에 놓았다. 온도를 원하는 염색 온도 (일반적으로, 비등시에, 공칭 98 ℃)로 상승시키고 이 온도로 60분 동안 유지하였다. 염조 자체는 물 (약 6의 pH를 제공함)이거나 또는 혼합된 인산염 완충액으로 pH 7.4로 완충되었다 (매우 유사한 결과가 얻어짐). 사용된 반응 염료 유형에 따라 변화되는 염색 온도는 실시예에 논의하였다. 염색 후에, 면을 흐르는 냉수에 헹구고 건조시켰다.
몇몇 경우에, 표준의 추천된 방법에 의한 염색을 비교용으로 실시하였다.
<세척>
세척은 다음과 같이 실시하였다:
(i) 흐르는 냉수에 헹구고;
(ii) 10:1의 액비로 70 ℃에서 10분 동안 물에서 헹구고;
(iii) 20:1의 액비로 10분 동안 80 내지 85 ℃ Na2CO3용액(1 또는 2 g/ℓ)에서 헹구거나; 또는
(iv) 20:1의 액비로 10분 동안 80 내지 85 ℃ NaHCO3용액 (5 g/ℓ)에서 헹군다.
<시험 방법>
<NB>
"표준 염색"에 대한 실시예에서의 NB 부호는 셀룰로오스계 바탕재에 대한 염료 유형의 통상의 염색 조건을 사용하고 동일 유형의 바탕 천 (처리되지 않음)에 대해 동일 유형의 반응 염료를 사용한 염색에 관한 것이다.
<세탁 견뢰도>
건조된 샘플의 세탁 견뢰도를 평가하기 위해 ISOC06/C2 (60 ℃)를 사용하여 세탁 견뢰도를 시험하였다. 수치상의 등급 결과는 세탁 후의 중간 등급 변색 및 시험 세탁에서의 인접한 다른 직물의 오염에 대해 나타낸 것이다.
<실시예 1>
프로시온 H-EXL 타입 염료: 프로시온 블루 H-EXL, 프로시온 옐로우 H-EXL, 프로시온 크림슨 H-EXL, 프로시온 레드 HE-3B. 이들은 비스-모노클로로트리아진 염료이며, 면 및 다른 셀룰로오스계 섬유 및 그의 혼합 섬유에 대한 가장 대중적이고 널리 보급되어 있는 반응 염료이다. 이들 염료에 대한 통상의 염색 온도는 알칼리 pH, 전형적으로 pH 10.8 내지 11.2에서 약 80 ℃이며, 이 실시예에서 염색 온도는 pH 7.4에서 98 ℃이었다.
이들 염료에 의한 면에 대한 표준 염색 보다 더 낮은 색 농도를 가지며 가벼운 변색을 나타내긴 하지만, 염색은 고르게 되었으며 양호한 색조를 나타내었다. 전처리된 면에 대한 염색의 견뢰도는 양호하였으며, 염색 후 세척과 같은 간단한 헹굼에 의해서도 비세척 표준 염색에서 보다 훨씬 더 양호하였다. 간단한 세척은 (통상적으로) 완전 세척 표준 염색에 대해서와 같은 양호한 세탁 견뢰도 결과를 제공하지는 않았으나, 고온 또는 고온 탄산염 용액에서의 세척은 전처리된 염색의 견뢰도를 더 개선시켰다. 흥미롭게, PT2로 전처리되었던 샘플은 PT1로 전처리된 것 보다 더 높은 색 농도를 나타내었다. 이것은 PT1이 더 많은 양이온성 성분을 갖는다는 것을 가정하다면 놀라운 사실이다. 이것은 염료의 고착이 염착을 유도하고 있다는 것을 암시한다.
<실시예 2>
프로시온 MX 타입 염료: 프로시온 블루 MX-G, 프로시온 옐로우 MX-4G, 프로시온 레드 MX-8B. 이것은, 낮은 pH (약 10), 고온 (80℃)을 포함하는 각종 방법이 제안되긴 하지만, 통상적으로 pH>11, 30 ℃에서 사용되는 저온, 고반응성 디클로로트리아진 염료이다. 이것은 직물 상으로의 염료의 염착을 유도하기 위해 염조에 순차적으로 첨가되는 전해질을 최대 90 g/ℓ까지 요구하는 전형적으로 적은 더 낮은 직접 염색성 염료이다.
이 실시예에서는, 40 및 98 ℃의 염색 온도 및 pH 7.4에서 염료 전처리된 면을 사용하였다. 모든 염색에 대한 견뢰도가 매우 양호하였지만, 더 높은 염색 온도에서 약간 더 높은 색 농도 및 견뢰도를 얻었다. 이것은 표준 염색과 잘 비교되며, 물 헹굼만 한 경우에는 블루 MX-G의 견뢰도가 특히 불량하였다. 색조 및 명도에서는 약간의 변화만 일어났다.
<실시예 3>
프로시온 P 타입 염료: 프로시온 옐로우 P-3R, 프로시온 레드 P-4BN, 프로시온 네이비 P-2R, 프로시온 스칼렛 P-2R, 프로시온 블루 P-3R, 프로시온 터쿼이스 P-A, 프로시온 블랙 P-2R, 프로시온 오렌지 P-2R. 이들은 본질적으로 낮은 직접 염색성을 가지며 인쇄에서는 사용되고 통상의 긴 액체 염출 염색 과정에서는 사용되지 않도록 고안된 모노-모노클로로트리아진 염료이다. 이 실시예에서는, PT2 전처리된 면에 대해 98 ℃에서 프로시온 P 염료를 사용하여 염색을 실시하였다. 비교용 표준 염색은 실시할 수 없었지만, 염료 공급업자의 패턴 카드 안의 샘플에 의한 비교는 그것이 약간 광택이 없고 덜 선명하긴 하지만 색조는 비교할만 하다는 것을 나타내었다. 시험한 샘플의 경우, 염색 후에 단지 냉수 헹굼 만으로도 견뢰도는 우수하였다.
CI 리액티브 레드 3:1 및 CI 리액티브 레드 120을 사용하여 이루어진 염색 사이에 흥미로운 비교를 할 수 있었다. 분자적으로, 레드 3:1은 사실상 "하프" 레드 120이다. 두 염료가 동일한 발색단을 기초로 한 것이기 때문에, 발색된 색조는 동일해야 한다. 그러나, 본 발명자들은 각각의 염색 사이의 차이를 발견하였다. 레드 3:1로 형성된 색은 염색 후의 간단한 냉수 헹굼에 이후에 변색이 덜 일어나고 우수한 견뢰도를 가졌다. 이로부터의 결론은 본 발명의 방법에 더 적은 덜 직접 염색성인 염료를 사용함으로써 (상기 프로시온 MX 염료에 의한 것으로 나타남) 전해질 또는 알칼리 없이 만족스러운 염색을 실시할 수 있다는 것이다. 또한, 염착이 전처리된 직물 상로의 염료의 고착에 의해 유도되고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더 적은 덜 직접 염색성인 염료는 훨씬 더 용이하게 세척되어 우수한 견뢰도를 유도할 수 있다. 더 적은 염료에 대해 부여된 변색은 더 적으며, 그것은 섬유 중의 덜 직접 염색성인 염료의 약간 다른 팩킹 배열에 의한 것으로 추정된다.
<실시예 4>
레마졸 타입 염료: 레마졸 레드 RR, 레마졸 옐로우 RR, 레마졸 블루 RR, 레마졸 블랙 B. 이것은 트리아진 기재 염료에 이어 두번째로 중요한 종류의 반응 염료이다. 이것은 통상적으로 pH>11에서 60 ℃의 염색 온도에서 사용된다. RR 염료는 이 범위에서 최신 제품이며 블랙 B는 전세계에서 가장 많이 팔리는 반응 염료이다. 이 실시예에서, 염료들은 98 ℃의 염색 온도에서 사용되며 블랙 B는 60 ℃에서 사용되었다.
이 결과는 색조가 약간 흐리고 그의 통상적으로 적용된 상대 보다 색 농도가 약간 낮긴 하지만, 이루어진 염색이 고르고 짙다는 점에서 프로시온 H-EXL 타입 염료에 의해서 얻어진 염색과 유사하다. 블랙 B에 의해 염색된 전처리된 샘플의 견뢰도는 염색 후에 냉수 헹굼 만으로도 우수하였다. 전처리에 의해 부여된 약간의 변색은 더 어두운 색에 대해서는 덜 두드러진다. 블랙 B에 대한 두 온도에서의 염색에서 약간의 차이가 있었다: 더 높은 온도를 사용한 결과 약간 더 높은 색 농도 및 육안으로 개선된 견뢰도를 얻었다.
<실시예 5>
라나솔 타입 염료: 라나솔 옐로우 4G, 라나솔 블루 3G, 라나솔 레드 6G. 반응 염료의 라나솔 종류는 작지만 특별히 양모 염색에서는 성공적인 범위이다. 통상적으로, 그것은 셀룰로오스계 섬유에 대해 실제적으로 직접 염색성을 갖지 않으므로 면에 대해서는 사용되지 않는다. 그것은 염료 가수분해를 겪지 않고 80, 98 또는 105 ℃에서 양모에 사용될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 그것은 98 ℃에서 PT2 전처리된 면에 2% omf로 사용되었다. 이루어진 염색은 색 짙기 및 명도 면에서 우수하였다. 견뢰도는 또한 매우 양호 내지 우수하였다; 블루 3G 및 레드 6G의 견뢰도를 최대화하기 위해서는 70 ℃에서의 수 헹굼 또는 1 g/ℓ Na2CO3용액이 필요하였다.
<실시예 6>
드리마렌/드리말란 타입 염료: 드리말란 블루 FB, 드리말란 브릴리언트 레드 FB, 드리말란 옐로우 F-3RL. 드리마렌 및 드리말란 염료는 각각 셀룰로오스 및 양모 반응 염색을 위해 판매된다. 그것은 본질적으로는 클로로디플루오로피리미딘 반응성기를 기재로 하여 화학적으로 동일하다 (일부는 약간 더 낮은 반응성을 가진 트리클로로피리미딘임). 이들 염료는 디클로로- 및 모노클로로트리아진 타입에 대한 반응성에 있어서 중간 정도이다. 이 실시예에서, 드리말란 블루 FB는 PT1 전처리된 면에 대해 60 ℃에서 사용되고, 3가지 모든 드리말란 타입 염료는 PT2 전처리된 면에 대해서 98 ℃에서 사용되었다. 이루어진 염색은 고르고 우수한 견뢰도를 갖고 양호한 색 농도를 나타내었다.
<실시예 7>
카야셀론 리액트 타입 염료: 카야셀론 블루 CN-BL, 카야셀론 레드 CN-3B = CI 리액티브 레드 221, 카야셀론 골든 옐로우 CN-GL. 카야셀론 리액트는 모노클로로트리아진 염료의 니코틴산 유도체이다. 종래의 셀룰로오스계 반응 염료에 비해 갖는 그의 주요 장점은 그것이 98 ℃에서 pH 7.4 완충액 (또는 6 내지 8 범위의 다른 pH에서)에서 통상적으로 전해질과 함께 사용될 때 중간 고착되는 것이다. 이 실시예에서, 염료는 PT2 전처리된 면에 대해 비등점에서 사용되었다. 이루어진 염색은 변색이 있긴 하지만, 고르고, 표준 염색과 유사한 색 농도를 나타내었다.
<실시예 8>
수미픽스 수프라 타입 염료: 요라크론 옐로우 BF-3R, 요라크론 레드 BF-3B, 요라크론 블루 BF-R. 이 염료는 헤테로-이작용기성 반응 염료이며, 실제적으로 비닐 술폰 전구체에 의해 유도된 디클로로트리아진 염료이다. 이것은 모노-비닐술폰 및 모노클로로트리아진 반응성기를 포함하며 전형적인 pH>11에서 60 ℃ 이상의 온도에서 사용될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 이 염료는 PT2 전처리된 면에 대해 98 ℃에서 사용되었다. 발색된 색조는 짙고 고르지만 표준 염색에 비해 약간의 색조 변화가 있고 광택이 없었다.
<실시예 9>
사용된 전처리제가 PT3이고 사용된 염색 온도가 98 ℃인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을 반복하여 CI 리액티브 레드 120 염색을 실시하였다. 표준 염색 보다 더 흐리고, 더 광택이 없고 덜 선명하긴 하지만, 짙고 고른 염색이 이루어졌다. 견뢰도는 냉수 헹굼 만으로도 매우 양호하였으며, 이것은 염료와 중합체 사이에 반응이 일어났음을 의미하는 것이다.
<실시예 10>
사용된 전처리제가 PT3이고 사용된 염색 온도가 98 ℃인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4를 반복하여 CI 리액티브 블랙 5 염색을 실시하였다. 원래 보다 약간 더 흐리긴 하지만, 우수한 견뢰도를 갖고 짙고, 고른 염색이 이루어졌다. 어두운 색의 염료의 경우이므로 변색이 그다지 두드러지지 않았다.
<실시예 11>
사용된 염료가 프로시온 옐로우 MX-3R = CI 리액티브 오렌지 86이고, 사용된 전처리제가 PT3이고 사용된 염색 온도가 98 ℃인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2를 반복하였다. 이루어진 염색은 우수한 견뢰도를 갖고 짙고 고른 것이었다. 통상적으로 사용되었을 때 염료 자체는 오렌지 색조를 띠는 노란색이었다. 전처리되고 염색된 샘플은 색조의 암색화로 인해 더욱 오렌지색으로 보였다. 일반적으로, PT3 전처리된 면에 대한 염색은 PT1 및 PT2로 처리된 것 보다 더 많은 변색이 일어났고 더 흐렸다.
<실시예 12>
이 실시예는 PT1에 의한 전처리 후에 반응성 예비 금속화된 염료인 CI 리액티브 레드 169를 사용한 셀룰로오스계 섬유/양모 혼합 섬유 (리오셀/양모 혼합 섬유)의 염색을 예시한다. 하기 표 1은 염색된 직물에 대한 비색 및 세탁 견뢰도 데이타를 나타낸다.
샘플 전처리 비색 데이타 세탁 견뢰도
변색 인접 오염
재료 % L* a* b* K/S 나일론
12C - - 40.34 28.27 -5.49 5.46 4/5 4/5 5
12.1 PT1 2 35.41 30.43 -5.51 8.39 4/5 4-4/5 4/5-5
이 데이타는 전처리의 효과를 나타내며, 상세하게는 전처리하지 않은 샘플에서는 양모 부분이 성공적으로 염색된 반면, 리오셀은 오염만 되고 결과의 염색은 분명히 얼룩진 것이었으며; 전처리되었던 샘플은 훨씬 더 균일하게 더 짙게 착색되었다. 염색 후에 세척되지 않았던 염색에 대해서 측정하였지만, 염색의 세탁 견뢰도 등급은 양호하였다. 예를 들면, 80 내지 85 ℃에서 NaHCO3(5 g/ℓ) 수용액에 의한 세척은 세탁 견뢰도를 우수한 것으로 개선시켰을 것이다. 전처리된 샘플에 대한 감소된 수치의 견뢰도 등급의 상황은 이 샘플 중의 혼합물의 셀룰로오스 부분에 대해서 얻은 훨씬 더 짙은 색에서 나온 것이다. (양모 부분 만이 염색되었던, 표의 처리되지 않은 샘플 견뢰도에 대한 데이타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예비 금속화된 염료가 양모에 대해 높은 견뢰도를 갖는다는 것은 잘 알려져 있다.)
<실시예 13>
섬유 혼방 직물에 대한 실시예 12의 염색을 다른 직물 및 다른 염료에 대해서도 실시하였다. 섬유 혼방 직물은 다음 재료로 이루어졌다: 벨루어 (나일론/면), 면/실크, 린넨/실크 및 대마/면/양모. 직물을 상기한 바와 같이 PT1로 전처리하고 이어서 샘플을 라나솔 레드 6G, 라나솔 옐로우 4G 및 라나솔 블루 3G로 염색하였다. 온도를 2 ℃.분-1의 속도로 98 ℃로 상승시키고 98 ℃에서 60분 동안 유지하고 염색된 것을 80 내지 85 ℃에서 NaHCO3(5 g/ℓ) 수용액으로 세척하는 것을 염색 조건으로 하였다. 전처리된 직물의 염색은 전처리되지 않은 대조용 보다 더 짙은 색의 균일한 염색을 제공하였다. 처음 3가지 혼합 섬유 직물의 경우에, 섬유 혼합물은 충분히 친밀하므로, 대조 염색이 균일하게 보이기 하였지만, 전처리된 직물에 대한 염색은 훨씬 더 짙은 색조를 나타내었다. 대마/면/양모 혼방 직물의 경우, 대조 염색은 얼룩지게 보인 반면, 전처리된 직물에 대한 염색은 균일하고 훨씬 더 짙은 색조를 나타내었다. 세탁 견뢰도 시험은 실시예 12에 설명된 비스코스/양모 및 리오셀/양모 혼합물에 대한 것과 유사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실시예 14>
실시예 13을 다른 염료 타입에 대해 실시하였다:
프로시온 P: 프로시온 옐로우 P-3R, 프로시온 레드 P-4BN 및 프로시온 네이비 P-2R
수미픽스 수프라: 요라크론 옐로우 BF-3R, 요라크론 레드 BF-3B 및 요라크론 블루 BF-R
실시예 13에서와 같이 염색을 실시하고 색의 짙기 및 세탁 견뢰도 면에서 유사한 결과를 얻었다.
<실시예 15>
또다른 직물, 면 및 면/양모 및 면/나일론 벨루어를 전처리제 PT2를 사용하였지만 실시예 12에 설명한 일반적인 방법으로 염색하였다. 처리된 직물을 그 범위의 반응 염료로 염색하고 직물을 세척하였다. 면 및 벨루어 샘플에 대해서는 세척 경로 (iii) (상기 방법 부분 참조)을 사용하되 15 내지 20분 동안 세척을 실시하였고, 면/양모 혼방 샘플에 대해서는 세척 경로 (iv) (상기 방법 부분 참조)를 사용하되 15 내지 20분 동안 세척을 실시하였다. 모든 전처리된 샘플은 양호한 견뢰도의 염색을 제공하였다. 이들 샘플에 대한 비색 및 세탁 시험 데이타를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작업번호 염료 비색 데이타 세탁 견뢰도
변색 오염
L* a* b* K/S 나일론
파트 A - 면 바탕재
14.1 프로시온 옐로우 P-3R 72.1 28.6 59.9 4.7 5 5 5
14.2 프로시온 레드 P-4BN 50.6 52.1 -2.0 5.4 5 5 5
14.3 프로시온 네이비 P-2R 39.2 -2.1 -15.0 5.3 5 5 5
14.4 프로시온 옐로우 H-EXL 66.6 35.0 52.0 4.7 5 5 5
14.5 프로시온 브릴리언트 레드 H-EXGL 50.1 49.3 -0.2 5.2 5 5 5
14.6 프로시온 블루 H-EXL 45.9 -2.3 -33.5 5.0 5 5 5
14.7 프로시온 옐로우 MX-4G 82.4 6.1 70.2 4.3 5 5 5
14.8 프로시온 레드 MX-8B 40.3 45.0 -8.7 8.4 5 5 5
14.9 프로시온 블루 MX-G 38.6 -6.9 -29.5 9.6 5 5 5
14.10 드리말란 옐로우 F-3RL 67.2 29.6 57.9 6.2 5 4/5 5
14.11 드리말란 브릴리언트 레드 FB 47.6 48.4 -5.2 5.8 5 5 5
14.12 드리말란 블루 FB 46.5 -4.4 -29.2 4.5 5 5 4/5
14.13 레마졸 딥 블랙 N 23.3 -0.1 -5.0 7.2 5 5 5
14.14 레마졸 옐로우 RR 71.5 30.2 62.9 5.5 5 5 5
14.15 레마졸 레드 RR 45.3 54.6 1.7 9.5 5 5 5
14.16 레마졸 블루 RR 36.5 -6.7 -18.7 8.7 5 5 5
14.17 수미픽스 수프라 옐로우 3RF 67.3 34.4 55.0 5.1 5 5 5
14.18 수미픽스 수프라 레드 3BF 42.8 43.2 -1.6 7.3 5 5 5
14.19 수미픽스 수프라 블루 BRF 34.3 -2.7 -15.0 7.8 5 5 5
14.20 카야셀론 골든 옐로우 CN-GL 66.7 33.3 54.0 5.2 4/5 4 5
14.21 카야셀론 레드 CN-3B 48.5 48.7 0.0 5.7 5 4/5 5
14.22 카야셀론 블루 CN-BL 46.8 -0.8 -27.1 4.1 4/5 4/5 5
14.23 라나솔 옐로우 4G 85.6 -2.1 68.3 4.7 5 5 5
14.24 라나솔 레드 8G 52.0 45.2 23.9 6.3 5 5 5
14.25 라나솔 블루 3G 45.1 -9.9 -23.7 5.3 5 5 5
14.26 시바크론 옐로우 C-2R 69.9 31.8 57.6 4.9 5 5 5
14.27 시바크론 레드 C-2G 42.8 44.5 -0.4 7.8 5 5 5
14.28 시바크론 블루 C-R 41.6 1.0 -27.4 5.5 4/5 5 5
14.29 시바크론 옐로우 F-3R 72.5 28.4 58.8 4.4 5 5 5
14.30 시바크론 레드 F-B 46.4 46.8 -8.3 5.9 5 5 5
14.31 시바크론 블루 F-R 47.4 -0.5 -27.3 3.9 5 5 5
파트 B - 면/양모 바탕재
14.32 프로시온 옐로우 P-3R 67.5 28.5 60.1 6.6 5 4/5 5
14.33 프로시온 레드 P-4BN 44.9 53.3 2.5 9.1 5 5 5
14.34 프로시온 네이비 P-2R 39.2 2.1 -15.7 4.5 5 5 5
14.35 드리말란 옐로우 F-3RL 64.8 32.2 66.2 10.7 5 4 5
14.36 드리말란 브릴리언트 레드 FB 46.6 45.3 -2.4 5.7 5 5 5
14.37 드리말란 블루 FB 35.4 -2.0 -32.2 10.8 5 5 4/5
작업 염료 비색 데이타 세탁 견뢰도
변색 오염
L* a* b* K/S 나일론
14.38 레마졸 딥 블랙 N 23.6 2.4 -2.1 12.5 5 5 5
14.39 레마졸 옐로우 RR 63.3 34.6 58.9 8.2 5 4/5 5
14.40 레마졸 레드 RR 39.5 45.0 -0.4 10.0 5 5 5
14.41 레마졸 블루 RR 27.5 -2.6 -15.4 13.6 5 5 5
14.42 수미픽스 수프라 옐로우 3RF 63.9 32.7 57.8 7.4 5 4/5 5
14.43 수미픽스 수프라 레드 3BF 40.3 44.7 -0.8 9.2 5 5 5
14.44 수미픽스 수프라 블루 BRF 29.4 -3.1 -15.2 11.7 5 5 5
14.45 라나솔 옐로우 4G 80.7 -0.6 73.6 7.7 5 5 5
14.46 라나솔 레드 8G 46.5 48.4 28.1 11.2 5 5 5
14.47 라나솔 블루 3G 37.2 -9.5 -25.7 9.9 5 5 5
14.48 시바크론 옐로우 C-2R 68.7 23.8 45.1 3.2 5 5 5
14.49 시바크론 레드 C-2G 39.9 45.9 0.7 10.3 5 5 5
14.50 시바크론 블루 C-R 42.2 -0.2 -24.2 5.1 4/5 4/5 5
14.51 시바크론 옐로우 F-3R 69.6 26.2 55.9 4.8 5 5 4/5
14.52 시바크론 레드 F-B 46.0 40.6 -5.5 5.2 5 5 4/5
14.53 시바크론 블루 F-R 48.3 -1.5 -20.2 3.1 5 5 4/5
파트 C - 면/나일론 바탕재
14.54 프로시온 옐로우 P-3R 72.6 23.8 54.9 3.8 5 4/5 5
14.55 프로시온 레드 P-4BN 50.1 52.6 -0.8 5.9 4/5 5 5
14.56 프로시온 네이비 P-2R 41.9 -2.4 -15.0 4.5 5 5 5
14.57 드리말란 옐로우 F-3RL 67.3 31.0 66.5 9.1 5 4/5 5
14.58 드리말란 브릴리언트 레드 FB 48.2 50.8 -4.2 6.1 4/5 5 4/5
14.59 드리말란 블루 FB 44.7 -5.3 -29.9 5.4 5 5 5
14.60 레마졸 딥 블랙 N 22.6 -1.1 -6.9 12.1 5 5 5
14.61 레마졸 옐로우 RR 65.3 34.4 56.8 6.4 5 4/5 5
14.62 레마졸 레드 RR 42.0 45.8 -1.8 8.3 5 5 5
14.63 레마졸 블루 RR 33.9 -4.2 -16.0 8.8 5 5 5
14.64 수미픽스 수프라 옐로우 3RF 65.6 34.0 57.7 6.6 5 4/5 5
14.65 수미픽스 수프라 레드 3BF 41.0 45.7 -1.6 8.9 5 5 5
14.66 수미픽스 수프라 블루 BRF 28.9 -3.9 -16.1 13.2 5 5 5
14.67 라나솔 옐로우 4G 81.5 -1.2 74.4 6.9 5 5 5
14.68 라나솔 레드 8G 48.5 49.2 26.6 9.6 5 5 5
14.69 라나솔 블루 3G 42.6 -10.6 -25.0 6.8 5 5 5
14.70 시바크론 옐로우 F-3R 73.2 24.6 59.8 4.4 5 5 4/5
14.71 시바크론 레드 F-B 46.2 46.0 -7.6 6.0 5 5 4/5
14.72 시바크론 블루 F-R 48.5 -1.6 -26.1 3.6 4/5 5 5

Claims (15)

  1. 염색된 셀룰로오스계 섬유상 텍스타일 재료를 복수의 양이온성 중심 및 임의로 또한 복수의 친핵성 중심을 갖는 중합체 전처리제로 처리하는 단계;
    재료를 반응 염료로 염색하는 단계; 및
    임의로 재료를 양이온성 중합체로 처리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염색된 셀룰로오스계 섬유상 텍스타일 재료의 제조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셀룰로오스계 섬유상 재료가 30 내지 100%의 천연, 합성 또는 재생 셀룰로오스계 섬유 또는 그러한 재료의 혼방물을 함유하는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천연 셀룰로오스계 섬유상 재료가 면, 아마, 황마, 대마 및(또는) 모시이고, 합성 또는 재생 셀룰로오스계 섬유상 재료가 레이온 및(또는) 리오셀 재료인 방법.
  4. 제1 내지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섬유상 재료가 1종 이상의 셀룰로오스계 섬유와 비셀룰로오스계 섬유상 재료의 혼방물인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섬유상 비셀룰로오스계 재료가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중합체 또는 관련 공중합체, 및(또는) 양모, 실크 및(또는) 합성 폴리아미드 섬유인 방법.
  6. 제1 내지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섬유상 재료가 면, 레이온 및(또는) 리오셀 재료와, 양모, 실크 및(또는) 나일론 폴리아미드 섬유와의 교직 직물인 방법.
  7. 제1 내지 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중합체 전처리제가 복수의 양이온성 중심 및 복수의 친핵성 중심을 포함하며, 친핵성 중심이 제1 지방족 아미노기 및(또는) 제2 지방족 아미노기를 포함하는 방법.
  8. 제1 내지 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중합체 전처리제가 복수의 양이온성 중심 및 복수의 친핵성 중심을 포함하며, 60 달톤 당 1 친핵성 중심 내지 1500 달톤 당 1 친핵성 중심의 친핵성 중심 농도 (분자량 단위 당 친핵성 중심으로서 표시됨)를 갖는 방법.
  9. 제1 내지 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중합체 전처리제가 화학식 -N+(R)3(여기서, R은 각각 알킬기이거나 또는 R기 중 2개는 이들을 가지는 질소 원자와 함께 5원 또는 6원 복소환식 고리를 형성함) 또는 -N+(R')2- (여기서, R'기는 상기 R에 대해 정의된 바와 같고, 다른 결합은 임의로 5- 또는 6-원 고리를 통해 중합체 쇄에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연결됨)인 폴리-제4 질소 중심 및(또는) 방향족 제4 질소 중심을 포함하는 방법.
  10. 제1 내지 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중합체 전처리제가 180 달톤 당 1 양이온성 중심 내지 1500 달톤 당 1 양이온성 중심의 양이온성도 (분자량 단위 당 양이온성 중심으로서 표시됨)를 갖는 방법.
  11. 제1 내지 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중합체 전처리제가 100 달톤 당 1 친핵성 중심 내지 1000 달톤 당 1 친핵성 중심의 친핵성 중심의 농도 (분자량 단위 당 친핵성 중심으로서 표시됨)로 복수의 제1 지방족 아미노 친핵성 중심을 포함하고, 200 달톤 당 1 양이온성 중심 내지 1000 달톤 당 1 양이온성 중심의 양이온성 중심의 농도 (분자량 단위 당 양이온성 중심으로서 표시됨)로 복수의 제4 아미노 양이온성 중심을 포함하는 방법.
  12. 제1 내지 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중합체 전처리제가 5 내지 50 kD의 분자량을 갖는 방법.
  13. 제1 내지 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중합체 전처리제가 제1 아미노기를 함유하는 에틸렌적으로 불포화된 단량체 및 디알릴디메틸암모늄 클로라이드의 공중합체; 폴리(N-메틸-N-(아미노알킬)-디알릴암모늄 (여기서, 아미노알킬기는 2-아미노에틸 또는 3-아미노프로필임); 제1 아미노기를 함유하는, 알킬기로 4급화된 비닐피리딘의 중합체; 및 디알릴메틸아민 (또는 그의 양성자 첨가된 암모늄 유도체) 및 디알릴-2-히드록실-3-클로로프로필 아민 (또는 그의 양성자 첨가된 암모늄 유도체)의 반복 단위를 갖는 공중합체인 방법.
  14. 제1 내지 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반응 염료가 1개 이상의 할로겐 및(또는) 1개 이상의 N-결합된 니코틴산 이탈기를 갖는 트리아진 잔기; 할로겐 치환된 피리미딘기; 비닐 술폰기; 및 할로겐 치환된 아크릴아미도기로부터 선택된 1개 이상의 반응성기 또는 잔기를 포함하는 1종 이상의 염료인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염료 중의 반응성기(들) 또는 잔기(들)이 1 또는 2개의 모노-클로로 시아누릴 클로라이드 잔기(들); 디플루오로-클로로피리미딘 잔기; 1 또는 2개의 β-술파토비닐 술폰기(들); 모노-클로로 시아누릴 클로라이드 잔기 및 β-술파토비닐 술폰기; 1 또는 2개의 N-결합된 니코틴산 치환된 2,4,6-트리클로로-sym-트리아지닐 잔기(들); 또는 a-브로모아크릴아미도기인 방법.
KR1019997007642A 1997-02-24 1998-02-18 텍스타일의 염색 KR2000007558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GBGB9703813.7A GB9703813D0 (en) 1997-02-24 1997-02-24 Dyeing of textiles
GB9703813.7 1997-02-24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75582A true KR20000075582A (ko) 2000-12-15

Family

ID=108082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7007642A KR20000075582A (ko) 1997-02-24 1998-02-18 텍스타일의 염색

Country Status (20)

Country Link
US (1) US20010054209A1 (ko)
EP (1) EP0960233A1 (ko)
JP (1) JP2001512536A (ko)
KR (1) KR20000075582A (ko)
CN (1) CN1248304A (ko)
AR (1) AR011162A1 (ko)
AU (1) AU741470B2 (ko)
BG (1) BG103676A (ko)
BR (1) BR9807719A (ko)
CA (1) CA2280766A1 (ko)
GB (1) GB9703813D0 (ko)
HU (1) HUP0000806A3 (ko)
ID (1) ID22768A (ko)
IL (1) IL131359A0 (ko)
NZ (1) NZ337177A (ko)
PL (1) PL335299A1 (ko)
TR (1) TR199902011T2 (ko)
TW (1) TW510936B (ko)
WO (1) WO1998037270A1 (ko)
ZA (1) ZA981351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01747A (ko) * 2018-06-28 2020-01-07 (주)오렌지다이텍 실크-셀룰로오스 직물의 염색방법 및 상기 염색방법으로 염색된 실크-셀룰로오스 직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82254A (ja) * 2001-09-17 2003-03-19 Yamada Chem Co Ltd 紺色反応性染料組成物及びこれを使用した天然タンパク質繊維又はその混紡物の染色方法
AT413825B (de) * 2003-03-13 2006-06-15 Chemiefaser Lenzing Ag Verfahren zum färben einer mischung aus zwei oder mehr unterschiedlichen fasertypen
DE10344127A1 (de) * 2003-09-24 2005-04-21 Dystar Textilfarben Gmbh & Co Verfahren zum Mono, Di- oder Trichromie-Färben oder -Bedrucken von natürlichen oder synthetischen Polyamidfasermaterialien
GB201006076D0 (en) 2010-04-12 2010-05-26 Xeros Ltd Novel cleaning apparatus and method
GB201015277D0 (en) 2010-09-14 2010-10-27 Xeros Ltd Novel cleaning method
GB201100627D0 (en) 2011-01-14 2011-03-02 Xeros Ltd Improved cleaning method
GB201100918D0 (en) * 2011-01-19 2011-03-02 Xeros Ltd Improved drying method
GB201212098D0 (en) 2012-07-06 2012-08-22 Xeros Ltd New cleaning material
GB201319782D0 (en) 2013-11-08 2013-12-25 Xeros Ltd Cleaning method and apparatus
GB201320784D0 (en) 2013-11-25 2014-01-08 Xeros Ltd Improved cleaning Apparatus and method
EP3467163A1 (en) 2017-10-06 2019-04-10 Lenzing Aktiengesellschaft Lyocell filament lining fabric
US20210140103A1 (en) * 2019-09-18 2021-05-13 Duncan Enterprises Method and kit for tie-dyeing
US11377789B2 (en) * 2019-10-25 2022-07-05 Green Theme Technologies Inc. Water-free fabric dyeing process and dye compositions
CN111593586A (zh) * 2020-05-07 2020-08-28 宁波大千纺织品有限公司 一种高耐水洗牢度吸水速干尼龙-棉交织针织物的染色工艺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231283A (ja) * 1985-04-01 1986-10-15 日東紡績株式会社 染色堅牢度向上法
EP0232519B1 (de) * 1986-01-10 1990-08-29 CASSELLA Aktiengesellschaft Copolymerisat, Verfahren zu seiner Herstellung und Verwendung
DE3720508A1 (de) * 1986-07-02 1988-01-07 Sandoz Ag Wasserloesliche polymer von diallylamin
DE3703293A1 (de) * 1987-02-04 1988-08-18 Cassella Ag Nassechtheitsverbesserung von schwefelfarbstoff-faerbungen
JP2778036B2 (ja) * 1988-04-25 1998-07-23 日東紡績株式会社 塩素堅牢度向上剤
EP0447352B1 (de) * 1990-03-15 1994-12-21 Ciba-Geigy Ag Verfahren zur Verbesserung der Ausbeute und der Nassechtheiten von mit anionischen Farbstoffen auf Cellulosefasermaterial erzeugten Färbungen oder Druck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01747A (ko) * 2018-06-28 2020-01-07 (주)오렌지다이텍 실크-셀룰로오스 직물의 염색방법 및 상기 염색방법으로 염색된 실크-셀룰로오스 직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248304A (zh) 2000-03-22
BR9807719A (pt) 2000-02-15
WO1998037270A1 (en) 1998-08-27
GB9703813D0 (en) 1997-04-16
NZ337177A (en) 2001-06-29
HUP0000806A3 (en) 2003-06-30
AR011162A1 (es) 2000-08-02
ID22768A (id) 1999-12-09
EP0960233A1 (en) 1999-12-01
AU6107398A (en) 1998-09-09
JP2001512536A (ja) 2001-08-21
AU741470B2 (en) 2001-11-29
ZA981351B (en) 1998-08-24
IL131359A0 (en) 2001-01-28
PL335299A1 (en) 2000-04-10
US20010054209A1 (en) 2001-12-27
TR199902011T2 (xx) 1999-12-21
BG103676A (en) 2000-02-29
HUP0000806A2 (en) 2000-07-28
TW510936B (en) 2002-11-21
CA2280766A1 (en) 1998-08-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00075582A (ko) 텍스타일의 염색
Lewis Developments in the chemistry of reactive dyes and their application processes
US4981488A (en) Nomex printing
JPH05117970A (ja) 溶剤紡糸セルロース繊維の処理法
US4599087A (en) Treatment of textile materials to improve the fastness of dyeings made thereon
US5275627A (en) Process for dyeing or printing/flame retarding aramids
WO2005085368A1 (ja) 反応染料組成物及びそれを用いる染色法
US6200354B1 (en) Dyeing of textiles
US5006129A (en) Dyeing textile material with pigment dyes: pre-treatment with quaternary ally ammonium salt polymer
KR890002223B1 (ko) 염색 견뢰도 향상법
Lewis The dyeing of wool with reactive dyes
US4622045A (en) Method of dyeing wool with acid dyestuffs
JPS62299589A (ja) 染色されたセルロ−ス繊維材料の後処理方法
EP0286597B1 (en) Dyeing and printing fibres
KR100743079B1 (ko) 폴리아릴렌-1,3,4-옥사디아졸 섬유의 염색방법
WO2013148295A2 (en) Disperse dyeing of textile fibers
MXPA99007781A (es) Teñido de textiles
JP2787459B2 (ja) 芳香族ポリアミド繊維の染色方法
Ahmad et al. A study of physico-chemical properties, exhaust dyeing of cotton with synthesized azo-reactive dyes and their printing applications
JP3956501B2 (ja) ポリアミド系繊維の染色方法およびその染色物
CZ298199A3 (cs) Barvení textilií
KR20000075922A (ko) 텍스타일 처리제
MXPA99007779A (en) Dyeing of textiles
JPS648757B2 (ko)
JPH11181684A (ja) ポリアミド系繊維構造物の染色方法およびその染色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