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75551A - 실링 코팅된 액체 장벽을 포함하는 흡수용품 - Google Patents

실링 코팅된 액체 장벽을 포함하는 흡수용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75551A
KR20000075551A KR1019997007611A KR19997007611A KR20000075551A KR 20000075551 A KR20000075551 A KR 20000075551A KR 1019997007611 A KR1019997007611 A KR 1019997007611A KR 19997007611 A KR19997007611 A KR 19997007611A KR 20000075551 A KR20000075551 A KR 2000007555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quid
wearer
article
sheet
barri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70076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피터 뢴베르크
에바 시몬스
앤더스 구스타프손
보 루네만
Original Assignee
에스체아 히기에너 프로덕츠 악티에볼라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20405947&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20000075551(A)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체아 히기에너 프로덕츠 악티에볼라그 filed Critical 에스체아 히기에너 프로덕츠 악티에볼라그
Publication of KR200000755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75551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9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 A61F13/494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characterised by edge leakage prevention means
    • A61F13/49406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characterised by edge leakage prevention means the edge leakage prevention means being at the crotch region
    • A61F13/49413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characterised by edge leakage prevention means the edge leakage prevention means being at the crotch region the edge leakage prevention means being an upstanding barri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9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 A61F13/495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with faecal cavity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 Absorbent Articles And Supports Therefor (AREA)

Abstract

액체 불투과성 바닥 시트, 상부 액체 투과성 시트 및 이 시트사이에 배치된 흡수체, 및 상부 시트의 길이방향 중앙선의 양면에 고정되지 않은 에지와 착용자와의 접촉면 사이에 형성된 미세구를 부분적으로 막고 및/또는 용품을 착용했을때 상기 접촉면주위에서 피부에 대한 액체의 습윤각을 증가시키는 비 접착성 실링 물질로 처리된 적어도 고정되지 않은 에지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길이방향 탄성 액체배리어를 포함하는 사각형의 흡수용품. 상부의 액체 투과성 시트와 액체 불투과성 시트로 둘러쌓인 흠수체 위에 필수적으로 액체 불투과성 상부 시트를 포함하고, 상부 시트는 용품을 착용자의 몸에 맞추는 탄성 부재를 구비하고, 사용시 착용자의 항문과 요도에 대응하게 의도된 개구를 포함하고, 개구 주위에 탄성적으로 주름진 실링 에지가 배치되고, 적어도 하나의 실링에지가 실링 물질로 코팅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용품

Description

실링 코팅된 액체 장벽을 포함하는 흡수용품{AN ABSORBENT ARTICLE INCORPORATING LIQUID BARRIER WITH SEALING COATING}
현재 사용되는 흡수용품은 매우 높은 흡수성을 갖고 또한 압력하에서도 액체를 보유할 수 있다. 가장 심각한 문제는 액체가 빠르게 방출되는 경우에 발생한다. 이런 경우에, 대량의 액체가 우선 상부의 액체투과성 시트를 통과하여 흡수체에 흡수되고 분산되는 것이 필요하다. 이것은 동시에 일어나지 않는다. 액체가 상부층을 통과하는데 약 1내지 2분의 시간이 걸리고, 이 동안에 액체가 용품의 에지 밖으로 흘러가고, 여기에서 새게된다. 이런 문제는 소위 액체 장벽 또는 액체가 빠르게 방출되는 경우에 액체가 새는 것을 방지하도록 의도된 내부 커프(inner cuff) 또는 측면 플랩의 도움을 받아 해결된다. 처음에 사용된 커프는 주로 고형 배설물을 보유하도록 의도되었고, 탄성사 주위로 액체 투과성 상부시트의 일부를 접어서 형성했다. 최근에, 제조자들은 액체 또한 보유하기 위하여 액체 불투과성 재료로 커프를 제조하기 시작했다.
흡수용품의 다리 탄성부가 늘어나서 용품이 착용자에게 고정됐을 때, 액체 장벽의 탄성 부재도 또한 늘어날 것이고, 이에 의하여 장벽을 세울 것이다. 장벽의 탄성 부재는 착용자가 누르는 압력하에서 장벽 에지를 유지할 것이다. 이어서 직립형 액체 장벽은 급속하게 방출된 다량의 뇨가 상부의 액체투과성 시트를 통과하는데 필요한 시간동안 액체를 수용할 수 있는 "홈통"을 착용자의 밑에 형성한다. 현재까지는 이런 액체 장벽의 효율을 개선하기 위한 시도가 빽빽한 재료 또는 충분히 큰 크기의 플랩을 겨냥해 왔다.
그러나, 방출된 액체의 양이 너무 많거나 또는 착용자가 앉거나 누워서 직립형 액체 장벽 사이에 공간을 누르면 액체가 장벽의 언저리로 올라와 누출된다는 것이 한가지 결점이다.
따라서, 기저귀나 요실금 보호대 같이 현재 사용되는 흡수용품은 용품의 길이방향의 외부 에지를 따라서 착용자의 허벅지주의에 타이트하게 위치하고 용품의 형상을 착용자의 몸에 맞추게 의도된 실링 에지를 포함할 수 있고, 또한 길이방향의 외부 에지 안쪽에 위치하고 상기 용품의 흡수체에 의하여 즉시 흡수되지 않는 급속히 방출된 액체에 대하여 불투과성 장벽을 형성하도록 의도된 한 쌍의 내부 커프 또는 액체 장벽을 포함 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런 내부 커프는 몇 분 정도의 한정된 시간동안 비교적 높은 액체 압력을 견딜 수 있다. 이 시간이 지나면 액체는 흡수체에 의해 흡수될 것이다. 측면 커프는 또한 예를들면 생리대에 사용될 수도 있다. 또한 흡수체의 가로 에지를 봉하는 가로 커프를 포함하는 용품도 사용 가능하다.
상기한 내부 액체 장벽이 없는 흡수용품도 또한 이용 가능하다. 이런 경우에, 길이방향의 외부 실링 에지는 흡수체의 유일한 액체 장벽을 형성한다.
또한 사용시 착용자쪽에 위치하도록 의도되고, 용품의 형상을 착용자의 체형에 맞추는 탄성사를 포함한 액체 불투과성 시트를 포함한 흡수용품도 또한 이용 가능하다. 이 액체 불투과성 시트는 용품을 착용했을 때 착용자의 항문 및 요도에 맞춘 적어도 한 개의 개구를 포함한다. 탄성 부재는 개구 또는 개구들의 적어도 일부 주위에 설치되어 개구의 에지를 착용자의 몸에 맞추고 밀착시킨다. 액체 투과성 시트와 액체 불투과성 시트로 둘러쌓인 흡수체가 액체 불투과성 시트아래에 위치하고, 흡수체는 착용자 밑에 액체 불투과성 시트가 착용자 반대쪽으로 위치해서 매달리게 될 것이다.
내부 커프는 필수적으로 액체 불투과성이며 비 탄성 재료, 예를 들면 부직포 재료,의 얇은 장벽 시트 및 착용자에 기댄 액체 장벽의 에지를 구겨서 주름잡는 탄성 디바이스로 부분적으로 이루어진다. 복원력이 없는 비 탄성재료은 길이방향 에지를 따라 상부 액체 투과성 시트에 고정되어 어떤 액체도 이 두 시트를 통과하지 못하게 하거나, 용품의 측면 에지를 따라 바닥 액체 불투과성 시트에 고정된다. 탄성 디바이스는 복원력이 없는 재료의 다른 쪽 에지를 따라 액체 장벽이 구겨져서 주름잡힌 에지를 형성하도록 고정되고, 이것은 용품을 착용했을 때 부분적으로 뻗치거나 늘어난다. 에지의 주름은 보통 비 탄성 재료의 홈에 넣은 탄성사로 이루어지고, 상기 홈은 재료의 한쪽 에지를 접어 단접함으로써 형성된다. 흡수용품을 착용했을 때, 에지의 주름은 부분적으로 늘어날 것이고, 이 늘어나는 정도는 착용자의 크기와 착용방법에 의존한다. 탄성필름으로 이루어진 탄성 부재를 사용하는 것도 또한 가능하다. 이 경우에, 탄성 부재는 홈안에 들어있지 않고, 미리 늘어난 형태로, 복원력이 없는 재료의 측면 에지에 첫째 길이방향 측면 에지를 따라 고정될 것이고, 부재의 둘째 측면 에지는 고정되지 않으며, 용품을 착용했을 때 착용자와 접할 것이다. 더욱이, 탄성 필름의 첫째 길이방향 측면 에지는, 미리 늘어진 상태로, 상부 액체 투과성 시트 또는 바닥 액체 불투과성 시트에 직접 고정될 수 있다. 이 경우에, 장벽은 탄성필름 단독으로 구성될 것이다.
본 발명은 당해 분야에서 공지된 용품보다 더 효과적으로 착용자에게 밀착하는 기저귀나 요실금 보호대(incontinence guard)같은 흡수용품에 관련된다.
본 발명과 관련된 분야의 흡수용품은 사용시 착용자 반대쪽에 위치하게 의도된 액체 불투과성 시트, 흡수체 및 사용시 착용자 쪽에 위치하게 의도된 상부 액체 투과성 시트를 포함한다. 흡수용품이 기저귀 또는 요실금 보호대인 경우, 이것은 또한 양 측면에 흡수체의 바깥쪽으로 측면으로 뻗는 가요성의 측면 플랩(flap) 또는 날개(wing), 그리고 적어도 사용시 용품의 가랑이 부위를 형성하도록 의도된 부분 안쪽에는 측면 플랩의 고정되지 않은 측면 에지를 따라 길이방향으로 뻗은 탄성 부재를 포함할 것이고, 상기 측면 플랩과 탄성 부재는 흡수용품을 착용자에게 맞추는 기능을 한다. 이런 탄성 부재는 용품을 착용했을 때, 다리 탄성부(leg elastic)로서 작용한다. 따라서, 용품을 착용했을 때, 탄성 부재가 늘어나서 측면 플랩을 착용자에게 꼭 붙게 할 것이다.
여기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한다.
도 1a, b는 늘어난 상태에서 각각 재료를 가할 때 또는 재료를 가하지 않을 때, 누출 압력 또는 관통 압력을 결정하는데 사용된 측정수단을 도시하며, 도 1c는 누출압력이 결정되는 방법의 이론적 도시이다.
도 2a, b는 액체장벽 내의 미세구 및 가중 평균치 cosθm의 결정 및 반지름 r을 결정하는 원리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3a, b는 직립형 액체장벽을 갖는 종래의 기저귀 또는 요실금 보호대를 도시한다.
도 4a, b는 유효 신도 또는 스트레치가 계산되는 원리를 도시한다.
도 5a는 3개의 다른 액체 장벽에 대한 관통압력의 측정치를 보이는 그래프 도시이다.
도 5b는 다른 정도의 유효신도 또는 스트레치에서, 도 5a의 최적의 액체 장벽에 대한 관통압력의 계산 및 측정치를 각각 도시하는 비교 개략도이다.
도 6은 종래의 직립형 액체장벽 및 본 발명의 두 구체예의 관통압력 측정치를 도시한다.
도 7은 도 6에 보인 본 발명의 한 구체예에 대한 여러 유효신도에서의 관통압력의 측정 및 계산치를 도시하는 비교 개략도이다.
도 8-13은 전자 현미경으로 찍은 여러 유효신도에서 여러 액체장벽의 사진의 사본이다.
도 8a-12a는 도 8-12의 사진 사본에 대응하는 도면이다.
기저귀 같은 흡수용품은 여러 크기의 사람들에게 사용될 수 있도록 제조된다. 이것은 탄성 부재의 도움으로 액체장벽 및 측면 에지를 구기거나, 주름을 잡아서 달성된다. 이런 액체장벽 및 측면 에지는 착용자의 크기에 따라 다른 정도로 늘어날 것이고, 장벽 에지 주위의 장력은 따라서 착용자의 크기에 의존하여 변화할 것이다.
장벽 탄성 부재의 장력은 액체 장벽의 실링 특성에 대한 연구에서 중요성을 가지는 것으로 기대되고, 결과적으로 장벽이 늘어나는 정도가 또한 중요할 것이다.
유효신도 또는 스트레치이라는 용어는 액체 장벽이 늘어난 정도를 고려할 때 사용될 수 있다.
예를들어, 기저기같은 흡수용품의 제조에 있어서, 일정한 정도의 늘어남을 갖는 탄성재료는 다른 비탄성 재료, 보통 부직포에 고정되고 단단하게 " 맞물린다". 용품의 제조 중에 탄성 재료가 늘어나는 정도는 탄성재료가 늘어나지 않는 재료에 단단히 맞붙어 있기 때문에, 용품을 착용했을 때 한도를 넘지 않는다. 이것은 도 4a에 보였다. 탄성 재료는 이 점에서 길이 L을 갖는다.
기저귀는 착용자의 몸에 두를 때 어느 정도 구겨진다. 탄성 재료는 길이 Lx로 수축된다.
유효 스트레치 또는 신도 X는 재료가 사용상태로부터 용품의 최대한 늘어난 상태로 늘어날 수 있는 정도이다. 이것은 식 L=Lx((X/100)+1)에 의하여 표현되고, 여기서 X는 유효 스트레치 또는 신도신도분율이다.
액체 장벽 또는 다른 주름진 장벽과 착용자의 피부사이에 달성되는 실링 효과를 연구하고자 테스트 장치를 구성했다. 이 장치를 도 1a, 1b 및 1c에 보였고, 베이스 플레이트(a) 및 수직지지 플레이트(b)를 포함하는 플레시글라스 스탠드(Plexiglas stand)를 포함한다. 우선 위쪽이 개방된, 반원통형 부재(1)가 수직지지 플레이트(b)에 수평으로 고정되고, 표면에 유효 신도 또는 스트레치를 표시하는 눈금을 갖는다. 반원통형 부재의 한쪽 단부는 지지 플레이트에 고정되 있고, 다른 단부는 단부 벽(1')을 갖는다. 반원통형 부재(1)의 바닥에는 수직으로 서있는 충전 튜부(3) 및 기울어진 측정 튜부(4)가 수직으로 연결되는 개구(2)가 설치되고, 상기 튜부 모두는 mm 수(水)로 표시된 눈금을 갖는다. 장치는 또한 지름이 첫째 원통형 부재(1)의 지름보다 약간 큰, 헐거운 둘째 원통형 부재(5)를 갖고, 이것은 개방된 한쪽 측면과 반대측면에 단부벽(5')을 갖는다.
도 1b에 보인바와 같이, 측정 작업은 액체 장벽을 첫째 반원통 부재의 외주둘레에 고정시키고 상부 에지 둘레에 상기 장벽을 고정하는 것에 의하여 수행된다. 탄성부(7)는 반원통 부재와 지지판(b)의 부착면을 향하고, 액체장벽 재료는 반대측면에 제1의 반 원통형 부재(1)의 단부벽(1')을 따라 접힌다. 탄성부는 유효 신도 또는 스트레치를 판독하기 위하여 반 원통형 부재상에 눈금을 따라 고정된다. 둘쩨 반 원통형 부재(5)의 단부벽(5')은 제1의 반원통 수단의 단부벽(1')을 등지고 위치하며, 상기 접히지 않은 상기 장벽 재료의 부분이 그 사이에 위치하고, 클램프(10)로 이를 압박하여 원통형 벽 사이에 작은 틈(9)을 얻었다. 합성 뇨를 수직 튜부(3)을 통하여 주입한다. 액체 장벽이 먼저 가중되어 반원통 부재사이의 틈이 채워진다. 다음에 액체 칼럼이 튜부(3,4)에 형성됨과 동시에 액체 압력이 탄성 부재의 에지(7)에 대해서 증가하고, 여기서 압력을 판독할 수 있다. 화살표B에서 누출이 발생할 때까지, 액체를 주입하고, 이때의 압력이 관통 압력이다.
2가지 형태의 현재 판매되는 액체장벽인, 하기스 스탠딩 개더(Huggies standing gather) 및 팜퍼스 스탠딩 개더(Pampers standing gather)와 아직 생산되고 있지 않은 슈도스 레그 일래스틱(Peaudouce leg elastic)을 이 장치로 검토했고, 여러 유효 신도로 늘려 고정시킨 탄성 부재로 누출 경향을 측정했다. 일정한 정도로 늘인 장벽,즉 일정한 유효 신도 또는 스트레치를 갖는 장벽에 대하여 누설이 발생할 액체 압력을 테스트 장치로 결정했고, 주름지거나 구겨진 에지가가 늘어난 정도에 의존하여 변한다는 것이 발견됐다. 측정치를 도 5a의 개략도에 보였다. 도면으로부터 명백한 것과 같이, 그러나, 다른 장벽은 동일한 유효 신도 또는 스트레치에서 다른 관통 압력을 보였다. 따라서 실링 효과는 탄성 재료에서 장력 단독보다는 다른 인자들에 의하여 영향을 받는 것으로 보인다.
본 발명은 탄성 부재의 장력보다는 다른 인자에 기초한 개선된 실링 효과를 제공하려는 시도를 출발점으로 하고 있다.
누설은 단지 장벽재료의 탄성 부재가 착용자 피부와 접촉을 약하게 한다는 이유만 아니라, 주로 장벽 물질의 구겨지고 주름진 에지의 접힘과 착용자 피부와의 사이에 형성된 투과 미세구(through-penetrating pores) 또는 홈(channel)을 통하여 발생한다는 이론에 근거하여, 누설압력을 이론적으로 결정할 수 있는 모델을 만들고자 하는 노력을 행했고, 이에 의하여 개선된 실링 효과를 달성하는데 영향을 주는 변수들을 알게 되었다.
다공성 구조의 미세구의 모세관 압력은 라플라스 식(Laplace equation)으로 계산할 수 있다.
라플라스에 따르면, 모세관 압력 ΔP=2γcosθ/r이고, 여기서 γ는 액체의 표면 장력, θ는 모세관 벽의 재료에 대한 액체의 습윤각 및 r은 모세관의 반경이다. θ가 90°보다 크면, cosθ는 음의 값이고, 따라서 ΔP도 음이다. 모세관 벽은 소수성이고, 구해진 압력 ΔP는 관통압력, 즉 모세관 또는 미세구가 견딜 수 있는 최대 압력을 설명한다고 말할 수 있다. θ가 90°보다 작으면, 모세관 벽은 친수성이고 ΔP 및 cosθ는 양의 값이다. 이러면 액체는 미세구내로 "빨아들여"진다.
피부와 액체장벽의 접힘 사이에 형성된 미세구와 같이 벽이 다양한 재료로 구성된 모세관 또는 미세구 내의 압력을 연구할 때, 각 재료의 원주비는 cosθ의 평균치를 제공하기 위하여 함께 측정되어야 하고, 이하 cosθm으로 나타낸다. 관통 압력은 ΔP=2γcosθm/r이 될 것이다.
본 경우에서는, 미세구의 벽은 일부분은 친수성 재료, 즉 90°미만의 습윤각을 갖는 피부 및 일부분은 90°초과의 습윤각을 갖는 액체장벽의 소수성재료로 이루어진다. Cosθm은 미세구 벽의 cosθ값들의 가중 표준치이고 도 2a에 도시된 방식으로 계산되고, 여기서 A는 소수성 벽의 원주비를 나타내고, B는 친수성 벽의 원주비를 나타내며 A+B=1이다. Cosθm은 여기서 Acosθfob+Bcosθfil과 같다.
이하에 기술하는 바와 같이, 상기된 모델이 관통압력을 결정할 수 있는 기준으로 사용할 수 있는지를 점검하고자 하는 실험을 수행했다.
피부의 습윤각은 피부의 상태, 즉 예를들면 피부의 청결상태에 따라서 변한다. 피부의 습윤각의 평균치(약 74°)에 가까운 77°의 습윤각을 갖는 플렉시글라스로 이루어진 측정 장치를 비교목적으로 사용하였다. 도 5a에 따라서 최적 실링 결과를 산출하는 상업적 액체 장벽, 즉 120°의 습윤각을 갖는 하기스 스탠딩 개더 상에서 측정을 수행했다. 사용된 액체는 합성 뇨였다. γ는 합성뇨의 표면 장력, 즉 0.06N/m이다.
측정 장치와 액체 장벽의 접촉부를 130배 확대의 전자 현미경으로 여러 유효 신도에서 검사했고, 도 8-12 및 도 8a-12a에 도시했다. 도면으로부터 명백한 것과 같이, 장벽 재료의 실 또는 섬유와 테스트 장치의 플렉시글라스 벽사이에 투과 미세구가 형성된다. 이 미세구는 모세관 기능을 하는 것으로 추정되고, 도 2b에서 명백한 것과 같이, 여기서 r은 홈에 포함될 수 있는 최대 원의 반지름이다.
투과 미세구를 도 8a-12a에 나타냈다. 이하의 미세구 반지름값을 도면에 보이는 것처럼, 여러 유효 신도에서 얻었다.
유효 신도 미세구 반경
10% 0.0208mm
20% 0.0812mm
30% 0.1208mm
40% 0.1458mm
50% 0.1458mm
주: 10%의 유효신도에서는 사진상으로 미세구 반경을 측정하는 것이 어려웠고, 따라서 얻은 값은 신뢰성이 없을 수 있다.
도 8a-12a에 보인 십자가는 미세구 원주의 소수성 및 친수성 부분을 계산하기 위한 미세구의 측면 종결점를 나타낸다. 여러 유효 신도에서 미세구내의 소수성 및 친수성 표면사이의 길이비를 다음 표에서 보였다.
유효 신도 친수성 표면 소수성 표면
10% 39% 61%
20% 39% 61%
30% 32% 68%
40% 39% 61%
50% 50% 50%
도 5b는 테스트 장치로 측정된 관통압력과 상기 식으로 계산된 관통압력의 비교를 보인다.
관통 압력의 측정치와 계산치가 일치했음으로, 착용자의 피부에 대한 용품의 실링 효과는 따라서 |ΔP|,즉 |2γcosθm/r| 에 영향을 줌으로써, 즉 이 값을 증가시켜서 개선시킬 수 있다. 이 관점에 대한 한가지 가정은 탄성 부재의 장력이 탄성 부재의 완화의 결과로 인한 낮은 압력에서 액체가 새는 것을 허용하거나. 장벽을 누르는 액체 기둥에 의해 배리어가 착용자로부터 쉽게 떨어지는 것을 허용하는 것을 방지하기에 충분할 것 이라는 것이다.
|ΔP|는 |2γcosθm/r|을 증가시킴에 의하여 증가시킬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착용자의 피부에 개선된 실링을 갖는 흡수용품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 목적은 사용시 착용자의 반대쪽에 위치하게 의도된 액체 불투과성 시트, 사용시 착용자 쪽으로 위치하게 의도된 상부 액체 투과성 시트, 상기 시트사이에 배치된 흡수체 및 길이방향으로 뻗은 액체 투과성 시트의 중앙선의 양 측면에 적어도 하나의 필수적으로 액체 불투과성 재료로 이루어지는 길이방향 탄성 액체장벽을 포함하는 기저귀 또는 요실금 보호대 같은 흡수용품에 의하여 달성되고, 여기서 한쪽의 길이방향 에지는 고정되어 있지 않고 착용자와 대면하고, 다른쪽 길이방향 에지는 용품의 길이방향 에지를 따라 상부 액체 투과성 시트 또는 상기 용품의 길이방향 에지에 액체 불투과성 시트에 고정되고, 여기서 흡수체 중앙선의 양 측면 상에 적어도 하나의 액체장벽의 적어도 하나의 고정되지 않은 에지가 비 접착성 실링 물질로 처리되고, 사용시, 액체장벽의 고정되지 않은 에지와 사용자 접촉면 사이에 형성된 투과 미세구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막고, 및/또는 용품을 착용했을 때, 접촉부 표면에 번지고 이에 의하여 피부에 대한 액체의 습윤각을 증가시킨다.
본 발명의 목적은 또한 사용시 착용자 쪽에 위치하게 의도된, 용품을 착용자의 몸에 맞추는 탄성 부재를 포함하는 필수적으로 액체 불투과성 시트를 포함하는 흡수용품으로 달성되며, 상기 시트는 착용자의 항문과 요도에 대응하는 개구를 포함하고, 탄성적으로 구겨진 실링 에지가 필수적으로 액체 불투과성 시트의 상기 개구주위에 배치되며, 흡수체는 사용시 착용자 반대쪽에 위치하는 실질적인 액체 불투과성 시트의 측면 상에 배치되고, 흡수체는 착용자쪽 측면상의 액체 투과성 시트와 액체 불투과성 시트로 둘러쌓이고, 적어도 하나의 실링 에지가 비 접착성 실링 물질로 처리되서, 사용시, 고정되지 않은 실링 에지와 착용자의 접촉면 사이에 형성된 투과 미세구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막고, 및/또는 용품을 착용했을 때, 상기 접촉면에 번져서 이에 의하여 피부에 대한 액체의 습윤각을 증가시킨다.
비-접촉 실링 물질이 미세구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막을 때, 미세구 반경은 감소할 것이고, |2γcosθm/r|은 증가 할 것이다. 습윤각의 증가가 달성될 때에도 동일하게 적용된다.
액체 장벽의 에지 또는 실링 에지는 편의에 따라 미세구를 부분적으로 막고, 즉 미세구 반경을 줄이고 착용자의 피부에 번지는데 충분한 양의 딱딱으로 코팅할 수 있다.
실링 물질은 용품을 착용했을 때 착용자의 피부로 옮겨가게 하기 위해서, 매우 얇은 층으로 적용될 수 있다. 그러나, 실링 물질은 미세구 반경을 감소시키고 착용자의 피부에 바르는데 충분한 양으로 알맞게 적용될 것이다. 실링 물질은 0.1-100g/m2, 적당하게는 1-30 g/m2, 특히 2-20 g/m2및 바람직하게는 3-10 g/m2에 해당하는 양으로 적용될 것이다. 예를들면, 실링물질은 약 20g/m2에 해당하는 양으로 적용될 수 있다.
피부는 친수성이고 약 74°의 평균 습윤각을 갖기 때문에, 실링 수단이 적어도 이 습윤각을 약 90°로 증가시켜서 피부가 소수성이 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실링 물질은 바람직하게는 약 95°이상, 특히 그 다음에는 적어도 100°의 습윤각을 가질 것이다.
실링 물질은 바람직하게는 실온에서 본래 딱딱하거나 점성인 유동학적 성질을 가질 것이고, 체온에서 착용자의 피부에 바르기에 충분히 유동적일 것이다. 실링 물질은 체온에서 착용자의 피부에서 흘러 착용자의 의복을 더럽힐 만큼 유동적이어서는 안된다. 실링 물질은 또한 실온에서 과도하게 딱딱해서는 안되는데, 왜냐하면 액체 장벽 또는 실링 에지에서 떨어져 덩어리 또는 "부스러기"로 될 수 있기 때문이다. 당업자는 실험 테스트 후에 적당한 유동학적 성질을 갖는 실링 물질을 결정할 수 있을 것이다.
미세구를 채우는데 요구되는 정확한 점성과 유동학적 성질을 갖는 것과, 액체 장벽 기능을 위한 정확한 표면 에너지를 갖는 것을 필요로 하는 실링 물질에 더불어서, 이것은 또한 바람직하게는 피부를 투과하지 못하거나, 해로운 재료를 방출하지 않거나, 피부의 정상기능에 부정적 영향을 주지 않을 것이다. 실링 물질의 성질도 시간의 경과에 따라 변하지 않을 것이다.
실링 물질은 또한 바람직하게는 피부와의 마찰 및/또는 피부의 마멸을 감소하는데 공헌할 수 있다.
이 목적을 위하여, 동식물 또는 석유화학 기원의 지방/기름을 포함하는 연고가 사용될 수도 있다. 이런 연고의 예는 실론살바(Perstorp Pharma), 탄화수소(Vaseline )이다.
소수성인 w/o 형 유제를 사용하는 것도 또한 가능하다.
기타 사용가능한 실링 물질은 예를 들면, 20℃에서 반고형 또는 고형이고 20℃에서 소성 및 유동성 조도를 갖는 10-95%의 폴리실록산 가소제 및 장벽상에서 가소제를 고화시키는 5-90%, 바람직하게는 5-50%의 시약을 포함하는 제제이고, 상기시약은 35℃,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40℃의 용융점을 가지며, 몇몇 수산화기를 갖는 지방산 에스테르 또는 지방산 아미드, 14-22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지방 알콜 및 12-22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지방산, 12-22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지방 알콜 에톡실레이트 또는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다. 적당한 실링 물질은 WO 96/16681에 기술되어 있다.
사용되는 실링 물질은 피부학적으로 허용가능해야 하고, 염증이나 알러지 반응을 일으켜서는 안된다.
본 발명 용품의 하나의 이점은 착용자의 피부에 대하여 더욱 수월하게 미끌어진다는 것이고 이것은 본 분야의 종래 용품들보다 자극을 덜 일으킨다는 것이다.
본 발명은 여기에 이것의 특정 구체예 및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더욱 자세히 기술될 것이다.
실시예
도 3a는 액체 투과성 상부 시트(22), 흡수 시트(23) 및 액체 불투과성 바닥 시트(21)를 포함하는 종래의 기저귀 또는 요실금 보호대(20)를 나타내고, 상기 시트는 2개의 가로 에지(24, 25) 및 2개의 길이방향 에지(26, 27)에 의하여 경계가 정해진다. 도시된 용품은 또한 길이방향으로길이방향으로방향으로 다리 탄성부(28) 및 직립형 액체 장벽(29)을 길이방향 중앙선의 양 측면에 포함한다. 도 3b는 액체 불투과성 시트(12)로 구성된, 고정되지 않은 에지가 2개의 스트레치된 탄성사 주위로 굽혀있는 직립형 액체 장벽의 구성을 보이는 단면도이다. 탄성사(13)는 시트(12)를 주름잡는 기능을 한다.
두 테스트에서 습윤각을 변화시켰다. 첫째 테스트에서는, 97.5°의 습윤각을 갖는 플라스틱 필름을 첫째 반원통형 플레시글라스 표면위로 늘렸다. 이것은 착용자의 피부가 높은 습윤각을 얻을 수 있게 장벽을 처리하는 것과 같다. 이것은 정상 피부의 평균 습윤각이 약 74°인 것과 구별되어 소수성이다. 도 6에서, 습윤각(가운데 곡선)을 변화시킨 결과를 직립형 액체 장벽인 하기스 스탠딩 개더개더 곡선)로 달성된 실링 효과와 비교했다. 측정치가 보이는 것과 마찬가지로, 이런 방식으로 개선된 실링 효과가 달성된다.
도 6의 가장 위의 곡선은 바셀린처리된 액체 장벽으로 얻은 측정을 나타낸다. 바셀린은 100°의 습윤각을 갖는다. 바셀린은 부분적으로 미세구를 막고, 즉 미세구의 반경을 감소시키고, 착용자의 피부에 번져서 피부의 습윤각을 증가시킨다. 도 6a에서 보이는 개략도에서 명백한 것과 같이, 바셀린을 액체 장벽에 발라서 이것의 습윤각을 120°에서 100°로 감소시킴에 의하여 장벽의 습윤각의 감소롤 얻었음에도 불구하고, 동시에 단지 피부의 습윤각만을 변화시켜서 달성한 개선을 초과하는 현저한 개선을 얻었다.
도 7은 습윤각을 바꿨을 때 얻은 계산 및 측정된 실링 값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측정치는 플레시글라스를 상기한 플라스틱 필름으로 덮어서 얻었고, 도 6에 나타낸 개략도에서 가운데 곡선에 해당한다. 계산 및 측정값에서 양호한 일치를 얻었다.
도 13은 30%의 유효 신도 또는 스트레치을 갖는 액체 장벽의 전자 현미경 사진의 사본이며, 장벽 재료는 바셀린으로 코팅됐다. 이 실링 물질은 도 6의 개략도에 보인 실링 특성을 갖는다. 장벽 재료의 섬유는 섬유의 지름을 증가시키는 두꺼운 코팅을 갖고 이에 의하여 투과 미세구의 크기를 감소시키는 것이 사진으로부터 명백하다.
본 발명은 특정적, 구체적이고, 한정하지 않는 실시예를 참고하여 기술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하의 청구범위의 범위 내에서 변형될 수 있음을 이해하게 될 것이다. 특히 내부 액체 장벽을 갖지 않는 용품의 외부 장벽, 즉 다리 탄성부는 실링 물질로 처리될 수 있다. 내부 및 외부 장벽 양자 모두 본 발명에 따라 처리될 수 있다. 특정 예에서는, 용품이 내부 액체 장벽을 포함할 때라도 외부 장벽만 처리하는 것이 이로울 수 있다. 가로 액체 장벽도 또한 실링 물질로 처리될 수 있다.

Claims (7)

  1. 사용시 착용자 반대쪽에 위치하게 의도된 액체 불투과성 시트(21), 사용시 착용자쪽에 위치하게 의도된 상부 액체 투과성 시트(22), 이 시트사이에 배치된 흡수체(23), 여기서 통상 2개의 가로 에지(24, 25)와 통상 2개의 길이방향 에지(26, 27)로 경계가 정해지고, 액체 투과성 시트의 길이방향 중앙선의 양 측면에 필수적으로 액체 불투과성 재료(12)로 이루어지는 적어도 하나의 길이방향 탄성 액체 장벽(29)을 포함하고, 여기서 한쪽의 길이방향 에지는 고정되지 않고 착용자와 대면하고, 다른 쪽의 길이방향 에지에 용품의 길이방향 에지(26, 27)에 따라 상부 액체 투과성 시트(22) 또는 상기 용품의 길이방향을 따라 액체 불투과성 시트(21)에 고정되는 흡수용품에 있어서, 흡수체의 길이방향 중앙선의 양 측면에 적어도 하나의 액체 장벽(29)의 고정되지 않은 적어도 하나의 에지를 사용시에 착용자의 접촉부와 액체 장벽의 고정되지 않은 에지사이에 형성된 투과 미세구를 부분적으로 막고, 및/또는 용품을 착용했을 때, 상기 접촉부에 번져서, 이에 의하여 피부에 대한 액체의 습윤각을 증가시키는 비-접착성 실링 물질로 처리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용품.
  2. 사용시 착용자쪽에 위치하게 의도되고, 착용자의 몸에 용품을 맞추는 탄성 부재가 구비된 필수적으로 액체 불투과성 시트를 포함하며, 상기 시트는 사용시 착용자의 항문과 요도에 대응하게 의도된 개구를 포함하고, 탄성적으로 주름잡힌 실링 에지가 상기 개구 주위에 필수적으로 액체 불투과성 시트내에 배치되고, 흡수체는 사용시 착용자의 반대쪽에 위치하는 필수적으로 액체 불투과성 시트 측면에 배치되고, 상기 흡수체는 사용시 착용자쪽의 액체 투과시트와 액체 불투과성 시트사이에 둘러쌓인 흡수용품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실링 에지가 사용시에 고정되지 않은 실링 물질과 착용자의 접촉부사이에 형성된 투과 미세구를 부분적으로 채우고, 및/또는 용품을 착용했을 때, 상기 접촉부에 번져서 이에 의하여 피부에 대한 액체의 습윤각을 증가시키는 비 접착성 실링 물질로 코팅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용품.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액체 장벽 에지 또는 실링 에지가 미세구를 부분적으로 막고, 착용자의 피부에 번지기에 충분한 양의 실링 물질로 코팅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용품.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실링 물질을 0.1-100 g/m2, 적당하게는 1-30g/m2, 특히 2-20 g/m2및 바람직하게는 3-10 g/m2에 해당하는 양으로 적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용품.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실링 물질이 90°이상, 바람직하게는 95°이상, 더욱 특별히는 적어도 100°의 습윤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용품.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실링 물질의 유동학적 성질이 상기 부재가 실온에서 필수적으로 딱딱하고 점성이 있고, 체온에서는 착용자의 피부에 번질만큼 충분히 유동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용품.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실링 물질이 동물, 식물 또는 석유화학 기원의 지방 또는 기름, 또는 유중수형(w/o) 유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용품.
KR1019997007611A 1997-02-26 1998-02-25 실링 코팅된 액체 장벽을 포함하는 흡수용품 KR2000007555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SE9700696A SE512826C2 (sv) 1997-02-26 1997-02-26 Absorberande alster med vätskebarriär med tätande beläggning
SE9700696-9 1997-02-26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75551A true KR20000075551A (ko) 2000-12-15

Family

ID=204059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7007611A KR20000075551A (ko) 1997-02-26 1998-02-25 실링 코팅된 액체 장벽을 포함하는 흡수용품

Country Status (14)

Country Link
US (1) US6817993B1 (ko)
EP (1) EP1005309B1 (ko)
JP (1) JP4211949B2 (ko)
KR (1) KR20000075551A (ko)
AU (1) AU730098C (ko)
CA (1) CA2282487A1 (ko)
CO (1) CO5050360A1 (ko)
DE (1) DE69806940T2 (ko)
DK (1) DK1005309T3 (ko)
ES (1) ES2182275T3 (ko)
PL (1) PL193232B1 (ko)
SE (1) SE512826C2 (ko)
WO (1) WO1998037841A1 (ko)
ZA (1) ZA981581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9781B1 (ko) * 2006-07-31 2007-11-27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코팅 적층물을 갖는 stl콘의 제조 및 이를 포함하는lng 선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SE512826C2 (sv) 1997-02-26 2000-05-22 Sca Hygiene Prod Ab Absorberande alster med vätskebarriär med tätande beläggning
US6018093A (en) * 1998-06-29 2000-01-25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article including a calcium-based feces modification agent
US5998695A (en) * 1998-06-29 1999-12-07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article including ionic complexing agent for feces
ID27386A (id) 1998-06-29 2001-04-05 Procter & Gamble Benda penyerap yang mencakup suatu zat pereduksi untuk feces
US6627786B2 (en) * 2001-11-26 2003-09-30 The Procter & Gamble Company Wearable article having a wetness sensation member
US7736350B2 (en) * 2002-12-30 2010-06-15 Kimberly-Clark Worldwide, Inc. Absorbent article with improved containment flaps
US7314967B2 (en) 2004-05-26 2008-01-01 The Procter & Gamble Company Moisture responsive sealing members in disposable absorbent articles
US20170246052A1 (en) 2016-02-25 2017-08-31 The Procter & Gamble Company Configurable absorbent articles
WO2017151712A1 (en) 2016-03-01 2017-09-08 The Procter & Gamble Company Diaper product adapted for collection of urine sample from an infant
WO2017151710A1 (en) 2016-03-01 2017-09-08 The Procter & Gamble Company Diaper adapted for collection of uncontaminated and intact stool sample from an infant
JP7486317B2 (ja) 2017-06-05 2024-05-17 ザ プロクター アンド ギャンブル カンパニー 排泄物の可視化が改善された構成可能な吸収性物品
WO2019005650A1 (en) 2017-06-27 2019-01-03 The Procter & Gamble Company LAYER PRODUCT FOR COLLECTING A SAMPLE OF INFANT EXUDATE
EP3644923A1 (en) 2017-06-27 2020-05-06 The Procter and Gamble Company Configurable absorbent articles having improved bodily exudate separation and sampling
US11399992B2 (en) 2017-08-24 2022-08-02 The Procter & Gamble Company Configurable absorbent articles having removable fastening members
CN113412105B (zh) 2019-02-21 2023-01-20 宝洁公司 具有完全可移除紧固构件的吸收制品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06951A (en) 1974-08-05 1975-09-23 Squibb & Sons Inc Stomal device including means to prolong attachment of flange
CA1290501C (en) * 1986-10-10 1991-10-15 Jerry Layne Dragoo Absorbent article having leakage resistant dual cuffs
JPH0231756A (ja) 1988-07-22 1990-02-01 Kiyoko Iwasaki 大便がでん部に付着しないための用品とその使用方法
CA1332860C (en) 1988-12-21 1994-11-08 Bret Alan Sims Absorbent article having inflected barrier cuffs
JPH084020Y2 (ja) * 1991-04-10 1996-02-07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使い捨てオムツ
JP3084121B2 (ja) * 1992-04-06 2000-09-04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使い捨てオムツ
JP3130367B2 (ja) * 1992-04-17 2001-01-31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使い捨てオムツの肌当て上面シートに弾性開口部を形成する方法
JP3130365B2 (ja) 1992-04-30 2001-01-31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肌当て上面シートに弾性開口部を有する使い捨てオムツ及びその弾性開口部を形成する方法
JP2559057Y2 (ja) * 1993-08-06 1998-01-14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生理用ナプキン
CA2122660A1 (en) 1993-12-14 1995-06-15 John Philip Vukos Absorbent article having a body adhesive
SE502549C2 (sv) * 1994-03-18 1995-11-13 Moelnlycke Ab Absorberande artikel, såsom en blöja, innefattande ett öppningsförsett toppskikt
US6156024A (en) * 1996-12-03 2000-12-05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articles having lotioned leg cuffs
US5635191A (en) 1994-11-28 1997-06-03 The Procter & Gamble Company Diaper having a lotioned topsheet containing a polysiloxane emollient
JPH08322877A (ja) 1995-05-30 1996-12-10 Uni Charm Corp 使い捨て体液吸収性着用物品
US5607760A (en) 1995-08-03 1997-03-04 The Procter & Gamble Company Disposable absorbent article having a lotioned topsheet containing an emollient and a polyol polyester immobilizing agent
US5669902A (en) * 1996-06-24 1997-09-23 Humanicare International, Inc. Incontinence garment in the form of boxer shorts
SE512826C2 (sv) 1997-02-26 2000-05-22 Sca Hygiene Prod Ab Absorberande alster med vätskebarriär med tätande beläggning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9781B1 (ko) * 2006-07-31 2007-11-27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코팅 적층물을 갖는 stl콘의 제조 및 이를 포함하는lng 선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4211949B2 (ja) 2009-01-21
SE9700696D0 (sv) 1997-02-26
AU730098C (en) 2002-02-07
DE69806940T2 (de) 2003-02-06
ES2182275T3 (es) 2003-03-01
JP2001513671A (ja) 2001-09-04
CA2282487A1 (en) 1998-09-03
DE69806940D1 (de) 2002-09-05
DK1005309T3 (da) 2002-11-25
EP1005309A1 (en) 2000-06-07
WO1998037841A1 (en) 1998-09-03
SE9700696L (sv) 1998-08-27
EP1005309B1 (en) 2002-07-31
SE512826C2 (sv) 2000-05-22
US6817993B1 (en) 2004-11-16
CO5050360A1 (es) 2001-06-27
PL193232B1 (pl) 2007-01-31
PL335255A1 (en) 2000-04-10
AU6315698A (en) 1998-09-18
AU730098B2 (en) 2001-02-22
ZA981581B (en) 1998-09-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00075551A (ko) 실링 코팅된 액체 장벽을 포함하는 흡수용품
KR100275664B1 (ko) 부직 웨브 및 그 성형 방법
JP3272730B2 (ja) 界面エネルギー勾配を提供する不織布ウエブの選択的開口方法及びこの方法に従い作られた不織布ウェブ
JP3192140B2 (ja) 生理用ナプキンまたは失禁防護帯
EP2226046B1 (en) Absorbent article
PT101743B (pt) Artigo absorvente com abas laterais elasticas
US20080195070A1 (en) Elasticated Absorbent Article
JPH05261126A (ja) 高吸収性能の吸収性物品
CZ287152B6 (en) Absorption article
HU222768B1 (hu) Folyadékszállító szövedék felületi energiagradienssel, eljárás előállítására és ezt tartalmazó abszorbens cikk
JPH04126145A (ja) 吸収性物品
TW201909863A (zh) 吸收性物品
BR112017013070B1 (pt) Produto absorvente e uso de um material não tecido
BR112016006662B1 (pt) Método para produção de um tecido não tecido compreendendo fibras termoplásticas
JP4031037B2 (ja) 二重層トップシートを備えた生理用製品
EP3545923A1 (en) Trunks type disposable diaper
EP3545922A1 (en) Trunks type disposable diaper
RU2652055C1 (ru) Абсорбирующее изделие, включающее нетканый материал
WO2019235243A1 (ja) パンツタイプ使い捨ておむつ
RU2204977C2 (ru) Впитывающее изделие, которое включает барьер для жидкости с улучшенной герметизацией
US20240033137A1 (en) Disposable wearing articl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JP2001514536A (ja) 吸収物品において液体バリヤーとして使用するために意図されるウエブ状要素
RU2359650C2 (ru) Поглощающее изделие
CN113423372A (zh) 吸收体以及设置有吸收体的吸收性物品
MXPA99007459A (en) An absorbent article that includes a liquid barrier with improved seal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