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74609A - 카본 나노 튜브를 이용한 전계 방출 어레이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카본 나노 튜브를 이용한 전계 방출 어레이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74609A
KR20000074609A KR1019990018659A KR19990018659A KR20000074609A KR 20000074609 A KR20000074609 A KR 20000074609A KR 1019990018659 A KR1019990018659 A KR 1019990018659A KR 19990018659 A KR19990018659 A KR 19990018659A KR 20000074609 A KR20000074609 A KR 2000007460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bon nanotubes
field emission
cathode
emission array
metal pow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186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원봉
Original Assignee
김순택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순택,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순택
Priority to KR10199900186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00074609A/ko
Priority to US09/570,403 priority patent/US6440761B1/en
Publication of KR200000746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74609A/ko
Priority to US10/191,492 priority patent/US20020197752A1/en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1/00Details of electrodes, of magnetic control means, of screens, or of the mounting or spacing thereof, common to two or more basic types of discharge tubes or lamps
    • H01J1/02Main electrodes
    • H01J1/30Cold cathodes, e.g. field-emissive cathode
    • H01J1/304Field-emissive catho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9/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installation, removal, maintenance of electric discharge tubes, discharge lamps, or parts thereof; Recovery of material from discharge tubes or lamps
    • H01J9/02Manufacture of electrodes or electrode systems
    • H01J9/022Manufacture of electrodes or electrode systems of cold cathodes
    • H01J9/025Manufacture of electrodes or electrode systems of cold cathodes of field emission catho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82NANOTECHNOLOGY
    • B82YSPECIFIC USES OR APPLICATIONS OF NANOSTRUCTURES; MEASUREMENT OR ANALYSIS OF NANOSTRUCTURES; MANUFACTURE OR TREATMENT OF NANOSTRUCTURES
    • B82Y10/00Nanotechnology for information processing, storage or transmission, e.g. quantum computing or single electron logic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BNON-METALLIC ELEMENTS; COMPOUNDS THEREOF; METALLOIDS OR COMPOUNDS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 C01C
    • C01B32/00Carbon; Compounds thereof
    • C01B32/05Preparation or purification of carbon not covered by groups C01B32/15, C01B32/20, C01B32/25, C01B32/30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9/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installation, removal, maintenance of electric discharge tubes, discharge lamps, or parts thereof; Recovery of material from discharge tubes or lamps
    • H01J9/02Manufacture of electrodes or electrode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82NANOTECHNOLOGY
    • B82YSPECIFIC USES OR APPLICATIONS OF NANOSTRUCTURES; MEASUREMENT OR ANALYSIS OF NANOSTRUCTURES; MANUFACTURE OR TREATMENT OF NANOSTRUCTURES
    • B82Y40/00Manufacture or treatment of nanostruc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201/00Electrodes common to discharge tubes
    • H01J2201/30Cold cathodes
    • H01J2201/304Field emission cathodes
    • H01J2201/30446Field emission cathodes characterised by the emitter material
    • H01J2201/30453Carbon types
    • H01J2201/30469Carbon nanotubes (CN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977/00Nanotechnology
    • Y10S977/70Nanostructure
    • Y10S977/734Fullerenes, i.e. graphene-based structures, such as nanohorns, nanococoons, nanoscrolls or fullerene-like structures, e.g. WS2 or MoS2 chalcogenide nanotubes, planar C3N4, etc.
    • Y10S977/742Carbon nanotubes, CNTs
    • Y10S977/743Carbon nanotubes, CNTs having specified tube end structure, e.g. close-ended shell or open-ended tub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977/00Nanotechnology
    • Y10S977/70Nanostructure
    • Y10S977/832Nanostructure having specified property, e.g. lattice-constant, thermal expansion coefficient
    • Y10S977/833Thermal property of nanomaterial, e.g. thermally conducting/insulating or exhibiting peltier or seebeck effec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977/00Nanotechnology
    • Y10S977/84Manufacture, treatment, or detection of nanostructure
    • Y10S977/842Manufacture, treatment, or detection of nanostructure for carbon nanotubes or fullere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anotechnolog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Cold Cathode And The Manufa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저 일함수, 내구성, 열적 안정성 등의 특성을 갖는 카본 나노 튜브를 이용한 전계 방출 어레이(FEA; Field Emission Array) 소자 및 그 제조 방법을 기재한다. 본 발명에 따른 카본 나노 튜부를 이용한 전계 방출 어레이는, 카본 나노 튜브를 전자 방출원으로 이용함으로써 일함수 (work function)를 낮추고 구동 전압을 떨어뜨려 소자의 저전압 구동을 가능하게 하고, 동작시 발생하는 가스 등에 의한 내구성을 향상시켜 에미터의 동작 수명을 증가시킨다. 또한, 그 제작 방법에 있어서는, 혼합 페이스트를 이용한 압착법 혹은 스크린 프린팅 후 소결함으로써 카본 나노 튜브의 배열이 일방향을 이루도록 하는 동시에 융착되게 한다.

Description

카본 나노 튜브를 이용한 전계 방출 어레이 및 그 제조 방법{Carbon nano tube field emission array and fabricat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저 일함수, 내구성, 열적 안정성 등의 특성을 갖는 카본 나노 튜브를 이용한 전계 방출 어레이(FEA; Field Emission Array) 소자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카본 나노 튜브는 1991년에 발견된 물질로서 C60(fulleren)와 유사하나 튜브 형태로 우수한 전자 방출 특성 및 화학적, 기계적 내구성을 가지고 있으므로, 그 물성 및 응용성이 꾸준히 연구되고 있다.
현재 일반적으로 전계 방출 표시장치(field emission display)용으로 사용되는 스핀드형(Spind't-type) 전계 방출 에미터는 전자가 방출되는 에미터, 전자를 용이하게 나오도록 하는 게이트 등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 에미터는 동작시 분위기 가스 및 불균일한 전장(electric field) 등의 영향으로 팁의 수명이 단축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이와 같은 기존의 금속 에미터는 구동전압을 낮추기 위하여는 일함수 (work function)를 낮추어야 하지만 그 한계가 있다. 이를 극복하기 위한 물질로서 종횡비(aspect ratio)가 극히 높고, C60와 유사한 구조를 가져 내구성이 우수하며, 전자 전도성이 뛰어난 카본 나노 튜브를 전자 방출원으로 사용하여 전자방출원을 만들고자 하는 것이다.
도 1은 Appl. Phys. Lett., Vol. 72, No. 22, 1 June 1998 에 게재된 기존의 카본 나노 튜브를 이용한 전계 방출 소자의 개략적 분리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기존의 카본 나노 튜브를 이용한 전계 방출 소자는 서로 대향하는 전면 유리 기판(1) 및 배면 기판(11)과, 이들의 대향면에 각각 서로 교차하는 방향의 스트라이프 상의 양극(2) 및 음극(12)을 구비하고 있다. 여기서, 음극(12)은 카본 나노 튜브로 형성되어 있으며, 배면 기판에 스트라이프 상의 홈들을 파고 그 속에 카본 나노 튜브와 에폭시 혼합물을 채워넣은 구조로 되어 있다. 또한, 양극(2)은 ITO 박막으로 구성되며, 그 전면에는 형광체가 코팅되어 있다.
또한, 도 2a 상기 도 1에 도시된 카본 나노 튜브를 이용한 전계 방출 소자의 배면 기판(11)에 음극(12)을 제작하는 방법을 공정 단계별로 보여주는 도면들이고, 도 2b는 도 1에 도시된 카본 나노 튜브를 이용한 전계 방출 소자의 전면 기판(1)에 양극(2)을 제작하는 방법을 공정 단계별로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먼저, 카본 나노 튜브를 이용한 음극(12)을 제작하는 방법은, 도 2a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은 유리 기판(11')에, 도 2a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트라이프 상의 홈(12a)들을 형성한 다음, 도 2a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본 나노 튜브와 에폭시의 혼합물(12)를 도포하여, 이를 도 2a의 (d)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탄화하여 전극의 모양을 갖추도록 하는 공정들로 이루어진다.
다음에, 양극(2)을 제작하는 방법은, 도 2b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은 유리 기판(1)에 ITO 박막을 도포한 다음, 도 2b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트라이프 상으로 에칭하여 양극(2)들을 형성하고, 도 2b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 스트라이프 상의 양극(2)들 상에 형광체(3)를 도포하는 공정들로 이루어진다.
그러나, 이와 같은 카본 나노 튜부를 이용하여 음극을 제작함에 있어서, 카본 나노 튜브를 일방향으로 배열하는 것은 무척 어렵고 디바이스로 만들기에는 전극과의 연결이 어렵다. 따라서, 실제 표시 소자로 응용하기 위해서는 이러한 배열의 문제를 극복하여야 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고자 창안한 것으로, 카본 나노 튜브의 배열이 용이할 뿐 만 아니라 음극에 밀착되는 카본 나노 튜브를 이용한 전계 방출 어레이 및 그 제작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기존의 카본 나노 튜브를 이용한 전계 방출 소자의 개략적 분리 사시도,
도 2a는 도 1에 도시된 카본 나노 튜브를 이용한 전계 방출 소자의 배면 기판에 음극을 제작하는 공정을 보여주는 도면,
도 2b는 도 1에 도시된 카본 나노 튜브를 이용한 전계 방출 소자의 전면 기판에 양극을 제작하는 공정을 보여주는 도면,
도 3a는 본 발명에 따른 카본 나노 튜브를 이용한 전계 방출 어레이의 평면도,
도 3b는 도 3a의 A-A'라인을 따라 절개한 부분의 단면도,
도 4a 내지 도 4d는 본 발명에 따른 카본 나노 튜브를 이용한 전계 방출 어레이의 제작 방법을 공정 단계별로 보여주는 단면도들,
도 5는 도 4a 내지 도 4d의 공정들에서 압착법을 이용하는 경우에 사용되는 카본 나노 튜브 배열용 필터를 갖춘 장치의 단면도,
도 6a 내지 도 6c는 도 5의 경우에 있어서 절연층이 형성되지 않는 경우에 세라믹(알루미나)으로 형성된 필터를 통하여 압착하는 공정들을 단계별로 보여주는 도면들,
도 7a 내지 도 7e는 도 4a 내지 도 4d의 공정들에서 스텐레스 와이어로 형성된 메쉬 스크린에 마스크가 결합된 스크린 프린터 구조를 보여주는 평면도 및 단면도들로서,
도 7a는 스크린 프린터를 음극이 형성된 배면기판 상에 올려놓고 인쇄하는 공정을 보여주는 단면도,
도 7b는 스크린 프린터에서 스텐레스 와이어로 짜여진 메쉬 스크린의 평면적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
도 7c는 도 7a와 도 7b의 "A"영역의 메쉬 구조를 확대하여 보여주는 도면,
도 7d는 도 7c의 B-B'라인을 따라 절개한 모습을 보여주는 단면도,
도 7e는 도 7a 내지 도 7d의 인쇄공정이 끝난 후 소성에 의해 카본 나노 튜브들이 음극 상에 금속 융착되고 절연층 상에 게이트가 형성되어 배면 기판의 구조가 완성도 모습을 보여주는 단면도,
도 8a는 미리 제작된 이중층 게이트판을 올려서 제작한 배면 기판의 전체적인 모습을 보여주는 단면도,
도 8b는 도 8a의 게이트판의 전체적인 모습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9는 스크린 프린팅으로 제조된 카본나노튜브의 전자방출특성을 보여주는 사진(40 x 80mm 면적),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카본나노튜브를 이용한 전계 방출 어레이의 전자방출특성을 나타내는 전류-전장 그래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카본나노튜브를 이용한 전계 방출 어레이의 전자방출 휘도 특성을 나타내는 휘도-전장 그래프,
그리고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카본나노튜브를 이용한 전계 방출 어레이의 전자 방출 사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1. 전면 기판 102. 양극
103. 형광체 111. 배면 기판
112. 음극 112a. 카본 나노 튜브
112b. 금속융착부재 112a, 112b. 혼합체
112c. 개구부(구멍) 113. 절연층
114. 게이트 120. 혼합체
130a. 필터의 구멍(홀) 130. 필터
140. 실린더 150. 피스톤
160. 스크린 프린터 160a. 메쉬 스크린
160b. 마스크 161. 경사
162. 위사 170. 게이트판(gate plate)
170a. 절연체로 형성된 기판 170b. 게이트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카본 나노 튜브를 이용한 전계 방출 어레이는, 일정한 간격을 유지한채 서로 대향하는 전면 기판 및 배면 기판; 상기 전면 기판 및 배면 기판의 대향면 상에 각각 서로 교차하는 방향의 스트라이프 상으로 형성된 양극 및 음극; 상기 두 전극들의 교차점에 대응하는 상기 음극 상에 고정된 카본 나노 튜브들; 및 상기 카본 나노 튜브들을 상기 음극 상에 고정하는 동시에 상기 음극과 카본 나노 튜브들 간에 통전 가능하도록 하는 금속 융착 부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카본 나노 튜브들 주변의 상기 음극 및 배면 기판 상에 적층된 절연층; 및 상기 절연층 상에 상기 양극들과 나란한 방향의 스트라이프 상으로 형성된 게이트;를 더 구비한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양극은 ITO 박막으로 형성되고, 이들 양극들 상에는 형광체가 도포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카본 나노 튜브를 이용한 전계 방출 어레이의 제작 방법은, (가) 배면 기판 상에 스트라이프 상의 음극들을 형성하는 단계; (나) 상기 음극들의 소정 영역들 상에 카본 나노 튜브들과 금속 분말 및 유기물 바인더를 혼합한 혼합체를 인쇄하는 단계; (다) 상기 혼합체를 소결하여 상기 유기물 바인더를 증발시키고 상기 금속 분말을 용융 또는 확산반응시켜 상기 카본 나노 튜브들을 상기 음극 상에 고착시키는 단계; 및 (라) 스트라이프 상의 양극들이 형성된 전면 기판을 상기 카본 나노 튜브가 음극에 융착된 상기 배면 기판과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도록 결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나) 단계에 앞서 상기 음극의 카본 나노 튜브가 부착될 부분을 제외한 부분의 상면 및 상기 노출된 배면 기판 상면에 절연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다) 단계 다음에 상기 절연층 상에 게이트를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 때 상기 (나) 단계에서 상기 금속 분말은 직경 0.1~10μm의 금속 입자들로 이루어진 250~400℃에서 녹거나 확산반응하는 저융점 금속 분말이고, 상기 유기 바인더는 α-terpineol, ethyl cellulose, butyl carbitol acetate 중 적어도 어느 한 물질로 이루어지며, 이 (나) 단계에서 상기 인쇄는 상기 카본 나노 튜브 배열용 필터를 이용한 압출법으로 이루어지거나 혹은 상기 카본 나노 튜브 배열용으로 패터닝된 금속 메쉬 스크린을 이용한 스크린 프린팅법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다) 단계에서 상기 소결은 200~500℃의 온도 범위에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카본 나노 튜브를 이용한 전계 방출 어레이 및 그 제작 방법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카본 나노 튜브를 이용한 전계 방출 어레이는 음극 상에 카본 나노 튜브를 금속 분말과 함께 유기물로 고착시킨 다음, 유기 물을 증발시키고 금속 분말을 녹여 카본 나노 튜브를 음극 상에 융착시킨 점에 특징이 있다. 이와 같은 전계 방출 어레이는 양극 및 음극을 갖는 2극관 구조나 양극과 음극 및 게이트를 갖는 3극관 구조 뿐 만 아니라 어떠한 다극관 구조이든 상관없이 적용할 수 있다. 다만, 음극 상에 카본 나노 튜브를 융착시켜 전자 방출을 위한 마이크로팁 대용으로 사용하는 점에 특징이 있다. 실시예로서 3극관 구조의 전계 방출 어레이를, 도 3a 및 도 3b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a는 본 발명에 따른 카본 나노 튜브를 이용한 전계 방출 어레이의 평면도이고, 도 3b는 도 3a의 A-A'라인을 따라 절개한 부분의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카본 나노 튜브를 이용한 전계 방출 어레이는 서로 대향하는 전면 기판(101) 및 배면 기판(111)과, 이들의 대향면에 각각 서로 교차하는 방향의 스트라이프 상의 양극(102) 및 음극(112)을 구비하고 있다. 특히, 이들 음극(112)들 상에는 카본 나노 튜브(112a)들이 금속융착부재(112b)로 융착된 구조를 갖는다. 카본 나노 튜브(112a)가 융착된 부분을 제외한 부분의 음극(112)들과 배면 기판(111) 상에는 절연층(113)이 구비되며, 이 절연층(113) 상에는 스트라이프 상의 게이트(114)들이 형성된다. 또한, 양극(102)은 ITO 박막으로 구성되며, 그 전면에는 형광체(103)가 코팅된다.
이러한 구조를 갖는 카본 나노 튜브를 이용한 전계 방출 어레이의 제조 방법은 다음과 같다.
먼저,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면 기판(111) 상에 스트라이프 상의 음극(112)들을 형성한다((가) 단계).
다음에,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음극(112) 상에서 카본 나노 튜브들이 부착될 부분을 제외한 부분과 노출된 배면 기판(111) 상에 절연층(113)을 형성한 다음,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음극(112) 상의 절연층(113) 개구부(112c)를 통하여 음극(112)들의 소정 영역들 상에 카본 나노 튜브들과 금속 분말 및 유기물 바인더를 혼합한 혼합체(112a, 112b)를 인쇄한다((나) 단계). 여기서, 2극관의 경우 절연층(113)을 형성하여도 무방하나 반드시 형성할 필요는 없다.
다음에, 도 4d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혼합체(112a, 112b)를 소결하여 유기물 바인더를 증발시키고 금속 분말을 용융 또는 확산 반응시켜 카본 나노 튜브(112a)들을 음극(112) 상에 고착시킨 다음((다) 단계), 스트라이프 상의 양극(102)들이 형성된 전면 기판(101)을 카본 나노 튜브(112a)가 음극(112)에 융착된 배면 기판(111)과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도록 결합하여 어레이를 완성한다((라) 단계).
이와 같은 전계 방출 소자의 제작 방법에 있어서, 특히 카본 나노 튜브는 자체 배열하는 (나) 단계의 공정을 특히 어려우므로, 이를 개선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그 배열 방법으로 두 가지 방법을 제시한다. 첫째, 도 5 혹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본 나노 튜브를 분산시킨후 유기 바인더 및 알루미늄(Aluminum), 은(Silver), 아연(Zinc), 구리(Coppor) 등의 저융점 금속 미세 분말의 혼합체(120)가 일정한 픽셀(pixel)의 크기로 배열된 절연층(113)의 구멍(112c)으로 주입되도록 유리로 형성된 필터(130)의 구멍(130a)으로 밀어넣어 배열시킨 다음, 유기 바인더를 태워 증발시키고 미세 금속분말을 녹여 카본 나노 튜브를 고정시키는 방법을 제시하고, 둘째, 도 7a 내지 도 7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본 나노 튜브를 분산시킨 후 저융점 금속 분말과 유기바인더와 혼합체를 만들고 절연체의 기판 위에 패터닝된 금속 메쉬 스크린(160a)을 이용한 스크린 프린팅법으로 전극 상에 압착시키는 방법으로 배열시키고 고정시키는 방법을 제시한다.
특히, 카본 나노 튜브 부착을 위한 인쇄용 혼합체 제조에 사용되는 금속 분말은 그 입자의 직경이 0.1~10μm 정도가 되도록 하는 것이 인쇄에 유리하다. 또한, 3극관 이상의 다극관을 제작할 경우에는 절연층의 형성이 필연적인데, 혼합체 인쇄후 소결시 절연층의 파손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금속이 저온에서 쉽게 용융되어야 하므로, 절연층 형성 온도 보다 낮은 온도에서 저융점 금속 분말을 사용하여야 한다. 절연층이 대략 450~570℃에서 형성되므로 금속 분말은 250~400℃에서 녹거나 혹은 확산반응하는 저융점 금속 분말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저융점 금속으로는 은(silver), 알루미늄(Aluminum), 구리(Cuppor), 아연(Zinc) 등이 있다.
또한, 인쇄용 혼합체 제조에 사용되는 유기 바인더로는 α-terpineol, ethyl cellulose, butyl carbitol acetate 등의 물질이 사용된다. 혼합을 시키는데 있어서, 기계적으로 그라인딩(grinding)시키면서 완전히 혼합되도록 한다.
더욱이, 카본 나노 튜브의 배열이 결정되는 인쇄 공정((나) 단계)에서, 앞서 언급한 바 있는 압출법을 적용할 경우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은, 카본 나노 튜브 배열용 필터(130)를 갖춘 장치를 이용한다. 필터(130)가 장착된 실린더(140) 내에 인쇄용 혼합체(120)를 주입하고, 피스톤(150)으로 강하게 압착하면, 혼합체(120)가 필터(130)의 홀(130a)들을 통과하면서 그 내부에 섞여있는 카본 나노 튜브들이 세로로 배열하면서 절연층(113)의 개구부(112c)에 의해 노출된 음극(112) 상으로 주입된다. 다시 말해서, 혼합된 페이스트(paste)를 화소(pixel) 크기의 구멍이난 세라믹스(혹은 글래스) 필터 사이로 압출시켜 배열을 시키고, 저온 열처리(200~500℃)를 통하여 유기 바인더를 날려보내고, 금속분말을 소결시켜 카본나노 튜부를 절연층의 구멍 내에 고정시킨다.
도 6은 도 5의 경우와 달리 절연층이 형성되지 않는 경우에 세라믹(알루미나)으로 형성된 필터를 통하여 압착하는 공정을 보여준다. 필터 구멍 사이로 배열시키며 밀어낸 카본 나노 튜브들을 패터닝된 금속막(음극) 위에 압착시키는 방법으로 배열시키고 고정시킨다. 즉, 도 6의 (a)는 세라믹(알루미나) 필터(130)의 구멍(130a)에 인쇄용 혼합체가 주입된 경우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6의 (b)는 절연층이 없는 배면기판(111)의 음극(112) 라인 상에 필터(130)의 구멍(130a)을 정렬한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며, 도 6의 (c)는 압착에 의하여 음극(112)의 소정 영역에 혼합체가 인쇄된 다음 소결되어 카본 나노 튜브(112a)들이 부착된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또한, 카본 나노 튜브의 배열이 결정되는 인쇄 공정((나) 단계)에서, 앞서 언급한 바 있는 스크린 프린팅법을 적용할 경우에는, 도 7a 내지 도 7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텐레스 와이어로 형성된 메쉬 스크린에 마스크가 결합된 스크린 프린터(160)를 이용한다. 즉,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크린 프린터(160)를 음극(112)이 형성된 배면기판(111) 상에 올려놓고, 그 위에 인쇄용 혼합체가 묻어있는 로울러(미도시)로 밀어서 인쇄한다. 이와 같이 하면, 로울러에 묻어있는 혼합체가 스크린 프린터(160)의 마스크(160b)를 통과하여 스크린(160a)을 거쳐 배면 기판상의 절연층(113)의 홀에 의해 노출된 음극(112) 상면으로 주입된다. 이와 같이 혼합체가 메쉬 스크린(160a)을 지나면서 인쇄되므로 혼합체에 섞여있는 카본 나노 튜브들은 음극면 상에 수직으로 배열하도록 주입된다. 도 7b는 스크린 프린터에서 스텐레스 와이어로 짜여진 메쉬 스크린(160a)의 평면적 모습을 보여준다. 도 7c는 도 7a와 도 7b의 "A"영역의 메쉬 구조를 확대하여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7d는 도 7c의 B-B'라인을 따라 절개한 모습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이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크린 프린터(160)는 경사(161)와 위사(162)가 메쉬(mesh) 모양으로 짜여진 스크린(160a)과 특정 영역에만 인쇄용 혼합체가 주입되도록 하는 마스크(160b)로 구성된다. 도 7e는 스크린 프린팅에 의한 혼합체 인쇄가 끝난후 소성에 의해 카본 나노 튜브(112a)들이 음극(112) 상에 금속 분말에 의해 융착되고 절연층(113) 위에 게이트(114)를 형성하여 배면 기판의 구조가 완성된 모습을 보여준다. 이 때, 게이트는 SiO2절연층(113) 위에 금속을 증착하고, 이 증착된 금속막을 포토리소그래피법 등으로 패터닝하여 형성된다. 더욱이, 스크린 프린팅후 소결이 끝난 상태에서,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은 미리 제작되어 있는 게이트판(gate plate)(170)을 올려 본딩함으로써 소자를 완성하기도 한다. 도 8b는 게이트판(170)의 전체적인 모습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이러한 게이트판(170)은 절연체로 형성된 기판(170a)에 도전체로 형성된 게이트(170b)가 증착된 구조를 갖는다.
그리고, 상기 (다) 단계의 열처리 공정에서 소결은 200~500℃의 온도 범위에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완성된 전계 방출 어레이에서 카본 나노 튜브의 기능을 다음 도면들이 실험적으로 보여준다.
도 9는 스크린 프린팅으로 제조된 카본나노튜브의 전자방출특성을 보여주는 사진(40 x 80mm 면적)이다. 도 10은 카본나노튜브의 전자방출특성을 나타내는 전류-전장 그래프이고, 도 11은 카본나노튜브의 전자 방출 휘도 특성을 나타내는 휘도-전장 그래프이며, 그리고 도 12는 카본나노튜브의 전자 방출 사진이다.
한편, 이러한 배면 기판의 제작이 끝나면, 전면 기판 상에 형광체를 도포하게 되는데, 이 형광체는 화소(pixel) 크기의 양극 상에 즉 적,녹,청색에 대응하는 양극 상에 각각 도포되고, 진공에서 패키징하여 디스플레이를 구성하도록 한다.
이와 같이 제작된 카본 나노 튜브가 융착된 음극 구조체는 초고주파 마이크로웨이브용 음극으로도 사용할 수도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카본 나노 튜부를 이용한 전계 방출 어레이는, 카본 나노 튜브를 전자 방출원으로 이용함으로써 일함수 (work function)를 낮추고 구동 전압을 떨어뜨려 소자의 저전압 구동을 가능하게하고, 동작시 발생하는 가스 등에 의한 내구성을 향상시켜 에미터의 동작 수명을 증가시키고, 구동시 발생하는 열을 획기적으로 방출시킴으로써 field emitter 의 성능을 획기적으로 개선시킬 수 있다. 또한, 초미세 전자 방출원을 이용함으로써 고밀도 전자의 방출을 가능하게 하여, 차세대 고밀도 전자 방출원으로 고주파 전자발진기, 저전압구동 디스플레이 등에 사용할 수 있는 등 그 적용 범위가 넓다.
또한, 본 발명은 전자방출원을 상온 증착법, 저온 열처리를 사용하고 디바이스 구성을 스크린 프린팅등을 사용하여 공정을 단순화시킨 기술이다.

Claims (12)

  1. 일정한 간격을 유지한채 서로 대향하는 전면 기판 및 배면 기판;
    상기 전면 기판 및 배면 기판의 대향면 상에 각각 서로 교차하는 방향의 스트라이프 상으로 형성된 양극 및 음극;
    상기 두 전극들의 교차점에 대응하는 상기 음극 상에 고정된 카본 나노 튜브들; 및
    상기 카본 나노 튜브들을 상기 음극 상에 고정하는 동시에 상기 음극과 카본 나노 튜브들 간에 통전 가능하도록 하는 금속 융착 부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본 나노 튜브를 이용한 전계 방출 어레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카본 나노 튜브들 주변의 상기 음극 및 배면 기판 상에 적층된 절연층; 및
    상기 절연층 상에 상기 양극들과 나란한 방향의 스트라이프 상으로 형성된 게이트;를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본 나노 튜브를 이용한 전계 방출 어레이.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양극은 ITO 박막으로 형성되고, 이들 양극들 상에는 형광체가 도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본 나노 튜브를 이용한 전계 방출 어레이.
  4. (가) 배면 기판 상에 스트라이프 상의 음극들을 형성하는 단계;
    (나) 상기 음극들의 소정 영역들 상에 카본 나노 튜브들과 금속 분말 및 유기물 바인더를 혼합한 혼합체를 인쇄하는 단계;
    (다) 상기 혼합체를 소결하여 상기 유기물 바인더를 증발시키고 상기 금속 분말을 용융 또는 확산 반응시켜 상기 카본 나노 튜브들을 상기 음극 상에 고착시키는 단계; 및
    (라) 스트라이프 상의 양극들이 형성된 전면 기판을 상기 카본 나노 튜브가 음극에 융착된 상기 배면 기판과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도록 결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본 나노 튜브를 이용한 전계 방출 어레이의 제작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나) 단계에 앞서 상기 음극의 카본 나노 튜브가 부착될 부분을 제외한 부분의 상면 및 상기 노출된 배면 기판 상면에 절연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다) 단계 다음에 상기 절연층 상에 게이트를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본 나노 튜브를 이용한 전계 방출 어레이의 제작 방법.
  6.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나) 단계에서 상기 금속 분말은 직경 0.1~10μm의 금속 입자들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본 나노 튜브를 이용한 전계 방출 어레이의 제작 방법.
  7.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나) 단계에서 금속 분말은 250~400℃에서 녹거나 혹은 확산반응하는 저융점 금속 분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본 나노 튜브를 이용한 전계 방출 어레이의 제작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저융점 금속 분말은 은, 알루미늄, 구리 및 아연 중 적어도 어느 한 물질의 분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본 나노 튜브를 이용한 전계 방출 어레이의 제작 방법.
  9.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나) 단계에서 상기 유기 바인더는 α-terpineol, ethyl cellulose, butyl carbitol acetate 중 적어도 어느 한 물질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본 나노 튜브를 이용한 전계 방출 어레이의 제작 방법.
  10.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나) 단계에서 상기 인쇄는 상기 카본 나노 튜브 배열용 필터를 이용한 압출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본 나노 튜브를 이용한 전계 방출 어레이의 제작 방법.
  11.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나) 단계에서 상기 인쇄는 상기 카본 나노 튜브 배열용으로 패터닝된 금속 메쉬 스크린을 이용한 스크린 프린팅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본 나노 튜브를 이용한 전계 방출 어레이의 제작 방법.
  12.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다) 단계에서 상기 소결은 200~500℃의 온도 범위에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본 나노 튜브를 이용한 전계 방출 어레이의 제작 방법.
KR1019990018659A 1999-05-24 1999-05-24 카본 나노 튜브를 이용한 전계 방출 어레이 및 그 제조방법 KR20000074609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18659A KR20000074609A (ko) 1999-05-24 1999-05-24 카본 나노 튜브를 이용한 전계 방출 어레이 및 그 제조방법
US09/570,403 US6440761B1 (en) 1999-05-24 2000-05-12 Carbon nanotube field emission array and method for fabricating the same
US10/191,492 US20020197752A1 (en) 1999-05-24 2002-07-10 Carbon nanotube field emission array and method for fabricat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18659A KR20000074609A (ko) 1999-05-24 1999-05-24 카본 나노 튜브를 이용한 전계 방출 어레이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74609A true KR20000074609A (ko) 2000-12-15

Family

ID=195873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18659A KR20000074609A (ko) 1999-05-24 1999-05-24 카본 나노 튜브를 이용한 전계 방출 어레이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2) US6440761B1 (ko)
KR (1) KR20000074609A (ko)

Cited B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71161B1 (ko) * 1999-12-18 2003-02-07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계방출소자의 제조방법
KR100416141B1 (ko) * 2001-06-22 2004-01-31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카본계 물질로 형성된 에미터를 갖는 전계 방출표시소자의 제조방법
KR100464221B1 (ko) * 2000-12-01 2004-12-31 주식회사 새 한 탄소나노튜브를 이용한 전계방출소자 및 그의 제조방법
US6858163B2 (en) 2001-09-28 2005-02-22 Samsung Sdi Co., Ltd. Electron emission source composition for flat panel display and method of producing electron emission source for flat panel display using the same
KR100508544B1 (ko) * 2002-12-14 2005-08-17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전계 방출을 위한 카본 나노튜브 에미터를 제조하는 방법
KR20070005147A (ko) * 2005-07-05 2007-01-10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카본계 물질 및 금속 나노막대를 포함한 전자 방출원, 이를포함한 전자 방출 소자 및 상기 전자 방출원 형성용조성물
KR100762590B1 (ko) * 2001-01-11 2007-10-01 엘지전자 주식회사 탄소나노튜브를 이용한 전계방출형 표시소자 및 그 제조방법
US7391144B2 (en) 2003-04-08 2008-06-24 Samsung Sdi Co., Ltd. Carbon-based composite particle for electron emission device, and method for preparing
KR100982330B1 (ko) * 2003-11-29 2010-09-15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평판 표시소자의 전자 방출원 형성용 조성물 및 그로부터제조되는 전자 방출원
KR101100817B1 (ko) * 2005-09-29 2012-01-02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카본계 물질 및 나노 사이즈를 갖는 금속 입자의 용융물을포함한 전자 방출원, 이를 포함한 전자 방출 소자 및 상기전자 방출원 형성용 조성물
CN102372256A (zh) * 2010-08-23 2012-03-14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纳米线元件的制作方法
US8148904B2 (en) 2006-09-06 2012-04-03 Hanwha Chemical Corporation Field emission apparatus and driving method thereof
US10276630B2 (en) 2016-07-21 2019-04-30 Samsung Display Co., Ltd. Light emitting device and fabricating method thereof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74609A (ko) * 1999-05-24 2000-12-15 김순택 카본 나노 튜브를 이용한 전계 방출 어레이 및 그 제조방법
KR100314094B1 (ko) * 1999-08-12 2001-11-15 김순택 전기 영동법을 이용한 카본나노튜브 필드 에미터의 제조 방법
US7336474B2 (en) * 1999-09-23 2008-02-26 Schlumberger Technology Corporation Microelectromechanical devices
KR100343205B1 (ko) * 2000-04-26 2002-07-10 김순택 카본나노튜브를 이용한 삼극 전계 방출 어레이 및 그 제작방법
US7227924B2 (en) * 2000-10-06 2007-06-05 The University Of North Carolina At Chapel Hill Computed tomography scanning system and method using a field emission x-ray source
US7082182B2 (en) * 2000-10-06 2006-07-25 The University Of North Carolina At Chapel Hill Computed tomography system for imaging of human and small animal
US6876724B2 (en) * 2000-10-06 2005-04-05 The University Of North Carolina - Chapel Hill Large-area individually addressable multi-beam x-ray system and method of forming same
US7085351B2 (en) * 2000-10-06 2006-08-01 University Of North Carolina At Chapel Hill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electron beam current
US6553096B1 (en) 2000-10-06 2003-04-22 The University Of North Carolina Chapel Hill X-ray generating mechanism using electron field emission cathode
JP4802363B2 (ja) * 2000-11-29 2011-10-26 日本電気株式会社 電界放出型冷陰極及び平面画像表示装置
KR20020049630A (ko) * 2000-12-19 2002-06-26 임지순 전계방출 에미터
EP1384322A1 (en) * 2001-03-30 2004-01-28 California Institute Of Technology Carbon nanotube array rf filter
JP2003016954A (ja) * 2001-04-25 2003-01-17 Sony Corp 電子放出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冷陰極電界電子放出素子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冷陰極電界電子放出表示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JP4207398B2 (ja) * 2001-05-21 2009-01-14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カーボンナノチューブ構造体の配線の製造方法、並びに、カーボンナノチューブ構造体の配線およびそれを用いたカーボンナノチューブデバイス
JP4830217B2 (ja) * 2001-06-18 2011-12-07 日本電気株式会社 電界放出型冷陰極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6924538B2 (en) * 2001-07-25 2005-08-02 Nantero, Inc. Devices having vertically-disposed nanofabric articles and methods of making the same
US6706402B2 (en) 2001-07-25 2004-03-16 Nantero, Inc. Nanotube films and articles
US6919592B2 (en) * 2001-07-25 2005-07-19 Nantero, Inc. Electromechanical memory array using nanotube ribbons and method for making same
TW511108B (en) * 2001-08-13 2002-11-21 Delta Optoelectronics Inc Carbon nanotube field emission display technology
TW502395B (en) * 2001-08-29 2002-09-11 Ind Tech Res Inst Manufacturing method for large-area carbon nano-tube field emission display in low cost
TW516061B (en) * 2001-09-12 2003-01-01 Ind Tech Res Inst Manufacturing method for triode-type electron emitting source
US7842522B2 (en) * 2001-10-19 2010-11-30 Applied Nanotech Holdings, Inc. Well formation
JP2003168355A (ja) * 2001-11-30 2003-06-13 Sony Corp 電子放出体の製造方法、冷陰極電界電子放出素子の製造方法、並びに、冷陰極電界電子放出表示装置の製造方法
JP2003197131A (ja) * 2001-12-26 2003-07-11 Hitachi Ltd 平面表示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7115305B2 (en) * 2002-02-01 2006-10-03 California Institute Of Technology Method of producing regular arrays of nano-scale objects using nano-structured block-copolymeric materials
US20050148174A1 (en) * 2002-05-06 2005-07-07 Infineon Technologies Ag Contact-connection of nanotubes
US6548313B1 (en) * 2002-05-31 2003-04-15 Intel Corporation Amorphous carbon insulation and carbon nanotube wires
US6998103B1 (en) 2002-11-15 2006-02-14 The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Method for producing carbon nanotubes
US7518247B2 (en) * 2002-11-29 2009-04-14 Nec Corporation Semiconductor device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TW594824B (en) * 2002-12-03 2004-06-21 Ind Tech Res Inst Triode structure of field-emission display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100493163B1 (ko) * 2002-12-10 2005-06-02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전계방출소자
US7044822B2 (en) * 2002-12-20 2006-05-16 Samsung Sdi Co., Ltd. Method of manufacturing a field emission device utilizing the sacrificial layer
US6764874B1 (en) * 2003-01-30 2004-07-20 Motorola, Inc. Method for chemical vapor deposition of single walled carbon nanotubes
US7316061B2 (en) * 2003-02-03 2008-01-08 Intel Corporation Packaging of integrated circuits with carbon nano-tube arrays to enhance heat dissipation through a thermal interface
KR100513727B1 (ko) * 2003-02-12 2005-09-08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전계방출소자의 제조방법
US7521851B2 (en) * 2003-03-24 2009-04-21 Zhidan L Tolt Electron emitting composite based on regulated nano-structures and a cold electron source using the composite
CN1287413C (zh) * 2003-03-26 2006-11-29 清华大学 一种场发射显示器
CN100463094C (zh) * 2003-03-26 2009-02-18 清华大学 一种场发射显示器的制作方法
US7682654B2 (en) * 2003-06-03 2010-03-23 Seldon Technologies, Llc Fused nanostructure material
US7202596B2 (en) * 2003-06-06 2007-04-10 Electrovac Ag Electron emitter and process of fabrication
US7157848B2 (en) * 2003-06-06 2007-01-02 Electrovac Fabrikation Elektrotechnischer Spezialartikel Gmbh Field emission backlight for liquid crystal television
US20040266063A1 (en) * 2003-06-25 2004-12-30 Montgomery Stephen W. Apparatu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rmal interface device having aligned carbon nanotubes
US7112472B2 (en) * 2003-06-25 2006-09-26 Intel Corporation Methods of fabricating a composite carbon nanotube thermal interface device
US7118941B2 (en) * 2003-06-25 2006-10-10 Intel Corporation Method of fabricating a composite carbon nanotube thermal interface device
US20050104506A1 (en) * 2003-11-18 2005-05-19 Youh Meng-Jey Triode Field Emission Cold Cathode Devices with Random Distribution and Method
US7459839B2 (en) * 2003-12-05 2008-12-02 Zhidan Li Tolt Low voltage electron source with self aligned gate apertures, and luminous display using the electron source
US20050133258A1 (en) * 2003-12-23 2005-06-23 Schlumberger Technology Corporation [nanotube electron emission thermal energy transfer devices]
KR20050079339A (ko) * 2004-02-05 2005-08-10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필드 에미터의 제조 방법
JP4448356B2 (ja) * 2004-03-26 2010-04-07 富士通株式会社 半導体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CN100543907C (zh) * 2004-04-22 2009-09-23 清华大学 一种碳纳米管场发射阴极的制备方法
KR20050104035A (ko) * 2004-04-27 2005-11-02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전계방출소자
WO2006041535A2 (en) * 2004-05-05 2006-04-20 California Institute Of Technology Capillary lithography of nanofiber arrays
KR20050106670A (ko) * 2004-05-06 2005-11-11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Cnt 전계방출소자의 제조방법
US20050255613A1 (en) * 2004-05-13 2005-11-17 Dojin Kim Manufacturing of field emission display device using carbon nanotubes
CN100407361C (zh) * 2004-05-21 2008-07-30 东元奈米应材股份有限公司 具有反射层与栅极的场致发射显示器构造
US7834530B2 (en) * 2004-05-27 2010-11-16 California Institute Of Technology Carbon nanotube high-current-density field emitters
US20060001356A1 (en) * 2004-06-30 2006-01-05 Teco Nanotech Co., Ltd. FED including gate-supporting device with gate mask having reflection layer
US20060043861A1 (en) * 2004-08-27 2006-03-02 Wei Liu Porous glass substrate for field emission device
CN100482579C (zh) * 2004-10-06 2009-04-29 清华大学 一种碳纳米管阵列处理方法
US8021967B2 (en) * 2004-11-01 2011-09-20 California Institute Of Technology Nanoscale wicking methods and devices
US7869570B2 (en) * 2004-12-09 2011-01-11 Larry Canada Electromagnetic apparatus and methods employing coulomb force oscillators
US7701128B2 (en) * 2005-02-04 2010-04-20 Industrial Technology Research Institute Planar light unit using field emitters and method for fabricating the same
US7989349B2 (en) * 2005-04-15 2011-08-02 Micron Technology, Inc. Methods of manufacturing nanotubes having controlled characteristics
KR100770258B1 (ko) * 2005-04-22 2007-10-25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유기 박막트랜지스터 및 그의 제조 방법
US8155262B2 (en) * 2005-04-25 2012-04-10 The University Of North Carolina At Chapel Hill Methods, system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s for multiplexing computed tomography
US20070006583A1 (en) * 2005-07-06 2007-01-11 Schlumberger Technology Corporation Nanotube electron emission thermal energy transfer devices
FR2891405B1 (fr) * 2005-09-26 2011-11-25 Commissariat Energie Atomique Structure conductrice d'etendue variable en fonction de la frequence
US9388047B2 (en) * 2005-12-01 2016-07-12 Northeastern University Directed assembly of carbon nanotubes and nanoparticles using nanotemplates
WO2007124477A2 (en) * 2006-04-21 2007-11-01 William Marsh Rice University Embedded arrays of vertically aligned carbon nanotube carpets and methods for making them
US8189893B2 (en) * 2006-05-19 2012-05-29 The University Of North Carolina At Chapel Hill Methods, system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s for binary multiplexing x-ray radiography
US20070290394A1 (en) * 2006-06-20 2007-12-20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ethod and structure for forming self-planarizing wiring layers in multilevel electronic devices
US7847273B2 (en) * 2007-03-30 2010-12-07 Eloret Corporation Carbon nanotube electron gun
CN101335175B (zh) * 2007-06-29 2010-05-26 清华大学 场发射像素管
CN103948395A (zh) * 2007-07-19 2014-07-30 北卡罗来纳大学查珀尔希尔分校 固定 x 射线数字化断层合成或断层摄影系统和相关方法
US8354291B2 (en) 2008-11-24 2013-01-15 University Of Southern California Integrated circuits based on aligned nanotubes
US8600003B2 (en) 2009-01-16 2013-12-03 The University Of North Carolina At Chapel Hill Compact microbeam radiation therapy systems and methods for cancer treatment and research
US8324087B2 (en) * 2009-03-19 2012-12-04 University Of Southern California Scalable light-induced metallic to semiconducting conversion of carbon nanotubes and applications to field-effect transistor devices
US20110101302A1 (en) * 2009-11-05 2011-05-05 University Of Southern California Wafer-scale fabrication of separated carbon nanotube thin-film transistors
TW201119935A (en) * 2009-12-04 2011-06-16 Univ Nat Chiao Tung Catalytic seeding control method
US8766522B1 (en) 2010-06-02 2014-07-01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Secretary Of The Air Force Carbon nanotube fiber cathode
US8358739B2 (en) 2010-09-03 2013-01-22 The University Of North Carolina At Chapel Hill Systems and methods for temporal multiplexing X-ray imaging
US8692230B2 (en) 2011-03-29 2014-04-08 University Of Southern California High performance field-effect transistors
US8860137B2 (en) 2011-06-08 2014-10-14 University Of Southern California Radio frequency devices based on carbon nanomaterials
TWI441940B (zh) * 2011-06-09 2014-06-21 Shih Hua Technology Ltd 圖案化導電元件的製備方法
KR20140112270A (ko) * 2013-03-13 2014-09-23 삼성전자주식회사 방열 블록을 포함한 엑스선 발생 장치
CN103258695B (zh) * 2013-04-19 2016-09-07 中国计量学院 一种碳纳米管冷阴极结构
US9782136B2 (en) 2014-06-17 2017-10-10 The University Of North Carolina At Chapel Hill Intraoral tomosynthesis systems, methods, and computer readable media for dental imaging
US10980494B2 (en) 2014-10-20 2021-04-20 The University Of North Carolina At Chapel Hill Systems and related methods for stationary digital chest tomosynthesis (s-DCT) imaging
US9379327B1 (en) 2014-12-16 2016-06-28 Carbonics Inc. Photolithography based fabrication of 3D structures
US10835199B2 (en) 2016-02-01 2020-11-17 The University Of North Carolina At Chapel Hill Optical geometry calibration devices, systems, and related methods for three dimensional x-ray imaging
EP3933881A1 (en) 2020-06-30 2022-01-05 VEC Imaging GmbH & Co. KG X-ray source with multiple grids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7018577A1 (en) * 1995-11-15 1997-05-22 E.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Process for making a field emitter cathode using a particulate field emitter material
WO1998011588A1 (en) * 1996-09-13 1998-03-19 The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Field emission electron source that comprises the combination of a binder material and bcn-based nanotubes
US5773834A (en) * 1996-02-13 1998-06-30 Director-General Of Agency Of Industrial Science And Technology Method of forming carbon nanotubes on a carbonaceous body, composite material obtained thereby and electron beam source element using same
US6440761B1 (en) * 1999-05-24 2002-08-27 Samsung Sdi Co., Ltd. Carbon nanotube field emission array and method for fabricating the same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4405768A1 (de) * 1994-02-23 1995-08-24 Till Keesmann Feldemissionskathodeneinrichtung und Verfahren zu ihrer Herstellung
US5780157A (en) * 1994-06-06 1998-07-14 Ultramet Composite structure
US5872422A (en) * 1995-12-20 1999-02-16 Advanced Technology Materials, Inc. Carbon fiber-based field emission devices
JP3694084B2 (ja) * 1996-02-21 2005-09-14 三菱電機株式会社 携帯端末
US5853877A (en) * 1996-05-31 1998-12-29 Hyperion Catalysis International, Inc. Method for disentangling hollow carbon microfibers, electrically conductive transparent carbon microfibers aggregation film amd coating for forming such film
KR100365444B1 (ko) * 1996-09-18 2004-01-24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진공마이크로장치와이를이용한화상표시장치
US6248248B1 (en) * 1997-07-15 2001-06-19 Silverbrook Research Pty Ltd Method of manufacture of a magnetostrictive ink jet printer
EP0905737B1 (en) * 1997-09-30 2004-04-28 Noritake Co., Ltd. Electron-emitting source
US6630772B1 (en) * 1998-09-21 2003-10-07 Agere Systems Inc. Device comprising carbon nanotube field emitter structure and process for forming device
US6250984B1 (en) * 1999-01-25 2001-06-26 Agere Systems Guardian Corp. Article comprising enhanced nanotube emitter structure and process for fabricating article
US6221154B1 (en) * 1999-02-18 2001-04-24 City University Of Hong Kong Method for growing beta-silicon carbide nanorods, and preparation of patterned field-emitters by chemical vapor depositon (CVD)
US6315956B1 (en) * 1999-03-16 2001-11-13 Pirelli Cables And Systems Llc Electrochemical sensors made from conductive polymer composite materials and methods of making same
US6299812B1 (en) * 1999-08-16 2001-10-09 The Board Of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Oklahoma Method for forming a fibers/composite material having an anisotropic structur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7018577A1 (en) * 1995-11-15 1997-05-22 E.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Process for making a field emitter cathode using a particulate field emitter material
US5773834A (en) * 1996-02-13 1998-06-30 Director-General Of Agency Of Industrial Science And Technology Method of forming carbon nanotubes on a carbonaceous body, composite material obtained thereby and electron beam source element using same
WO1998011588A1 (en) * 1996-09-13 1998-03-19 The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Field emission electron source that comprises the combination of a binder material and bcn-based nanotubes
US6440761B1 (en) * 1999-05-24 2002-08-27 Samsung Sdi Co., Ltd. Carbon nanotube field emission array and method for fabricating the same

Cited B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71161B1 (ko) * 1999-12-18 2003-02-07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계방출소자의 제조방법
KR100464221B1 (ko) * 2000-12-01 2004-12-31 주식회사 새 한 탄소나노튜브를 이용한 전계방출소자 및 그의 제조방법
KR100762590B1 (ko) * 2001-01-11 2007-10-01 엘지전자 주식회사 탄소나노튜브를 이용한 전계방출형 표시소자 및 그 제조방법
KR100416141B1 (ko) * 2001-06-22 2004-01-31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카본계 물질로 형성된 에미터를 갖는 전계 방출표시소자의 제조방법
US7372194B2 (en) 2001-09-28 2008-05-13 Samsung Sdi Co., Ltd. Electron emission source composition for flat panel display and method of producing electron emission source for flat panel display using the same
US6858163B2 (en) 2001-09-28 2005-02-22 Samsung Sdi Co., Ltd. Electron emission source composition for flat panel display and method of producing electron emission source for flat panel display using the same
KR100508544B1 (ko) * 2002-12-14 2005-08-17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전계 방출을 위한 카본 나노튜브 에미터를 제조하는 방법
US7391144B2 (en) 2003-04-08 2008-06-24 Samsung Sdi Co., Ltd. Carbon-based composite particle for electron emission device, and method for preparing
US8057596B2 (en) 2003-04-08 2011-11-15 Samsung Sdi Co., Ltd. Carbon-based composite particle for electron emission device, and method for preparing
KR100982330B1 (ko) * 2003-11-29 2010-09-15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평판 표시소자의 전자 방출원 형성용 조성물 및 그로부터제조되는 전자 방출원
KR20070005147A (ko) * 2005-07-05 2007-01-10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카본계 물질 및 금속 나노막대를 포함한 전자 방출원, 이를포함한 전자 방출 소자 및 상기 전자 방출원 형성용조성물
KR101100817B1 (ko) * 2005-09-29 2012-01-02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카본계 물질 및 나노 사이즈를 갖는 금속 입자의 용융물을포함한 전자 방출원, 이를 포함한 전자 방출 소자 및 상기전자 방출원 형성용 조성물
US8148904B2 (en) 2006-09-06 2012-04-03 Hanwha Chemical Corporation Field emission apparatus and driving method thereof
CN102372256A (zh) * 2010-08-23 2012-03-14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纳米线元件的制作方法
US10276630B2 (en) 2016-07-21 2019-04-30 Samsung Display Co., Ltd. Light emitting device and fabricating method thereof
US10497744B2 (en) 2016-07-21 2019-12-03 Samsung Display Co., Ltd. Method of fabricating light emitting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20197752A1 (en) 2002-12-26
US6440761B1 (en) 2002-08-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00074609A (ko) 카본 나노 튜브를 이용한 전계 방출 어레이 및 그 제조방법
KR100539696B1 (ko) 전자 방출원
US6359383B1 (en) Field emission display device equipped with nanotube emitters and method for fabricating
US6342276B1 (en) Method for making a field emission display
KR100879293B1 (ko) 다층 구조로 형성된 전자 방출원을 구비한 전계 방출표시장치
KR100777113B1 (ko) 미세패터닝이 가능한 고 신뢰성의 cnt 에미터 제조 방법
CN109411317B (zh) 错置相对角形弧环面阴极三曲干线弯门控结构的发光显示器
US6541906B2 (en) Field emission display panel equipped with a dual-layer cathode and an anode on the same substrate and method for fabrication
JP2002343280A (ja) 表示装置とその製造方法
KR100416141B1 (ko) 카본계 물질로 형성된 에미터를 갖는 전계 방출표시소자의 제조방법
JP3581298B2 (ja) 電界放出型電子源アレイ及びその製造方法
US6914381B2 (en) Flat panel display with nanotubes
CN109473327B (zh) 层叠双雁翅空环尖体阴极坡浪混合线门控结构的发光显示器
CN110676142A (zh) 凸斜坡连面环阴极叉分枝直曲门控结构的发光背光源
JP3674844B2 (ja) 同一基板上にカソードおよびアノードを備える電界放出型ディスプレイパネル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3554238B2 (ja) 冷陰極
JP2793702B2 (ja) 電界放出形陰極
KR100805318B1 (ko) 탄소계 물질로 형성된 에미터를 갖는 전계 방출표시소자의 제조 방법
KR20050115057A (ko) 전계 방출 소자용 장수명 이미터 및 그 제조 방법
KR20020065968A (ko) 전계 방출 디스플레이 패널용 전자 이미터 스택의 제조방법과 그 구조
JP4649739B2 (ja) 冷陰極電界電子放出素子の製造方法
KR100318392B1 (ko) 전계 방출 표시소자의 제조 방법
JP2003007232A (ja) 表示装置および表示装置の製造方法
JP4622145B2 (ja) 電子放出装置の製造方法、冷陰極電界電子放出素子の製造方法、及び、冷陰極電界電子放出表示装置の製造方法
JP4984130B2 (ja) ナノカーボンエミッタとその製造方法並びに面発光素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121 Written withdrawal of request for tri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