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71991A - 복합 누비장치 - Google Patents

복합 누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71991A
KR20000071991A KR1020000031225A KR20000031225A KR20000071991A KR 20000071991 A KR20000071991 A KR 20000071991A KR 1020000031225 A KR1020000031225 A KR 1020000031225A KR 20000031225 A KR20000031225 A KR 20000031225A KR 20000071991 A KR20000071991 A KR 2000007199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quilting
small
quilting machine
machine
r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312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심운섭
Original Assignee
심운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심운섭 filed Critical 심운섭
Priority to KR10200000312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00071991A/ko
Publication of KR200000719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71991A/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11/00Machines for sewing quilts or mattresse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3/00Sewing apparatus or machines with mechanism for lateral movement of the needle or the work or both for making ornamental pattern seams, for sewing buttonholes, for reinforcing openings, or for fastening articles, e.g. buttons, by sewing
    • D05B3/02Sewing apparatus or machines with mechanism for lateral movement of the needle or the work or both for making ornamental pattern seams, for sewing buttonholes, for reinforcing openings, or for fastening articles, e.g. buttons, by sewing with mechanisms for needle-bar movement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55/00Needle holders; Needle bars
    • D05B55/10Needle bars for multiple-needle sewing machines
    • D05B55/12Needle bars for multiple-needle sewing machines with provision for varying the distance between the needle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55/00Needle holders; Needle bars
    • D05B55/14Needle-bar drive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CFINISHING, DRESSING, TENTERING OR STRETCHING TEXTILE FABRICS
    • D06C23/00Making patterns or designs on fabrics
    • D06C23/04Making patterns or designs on fabrics by shrinking, embossing, moiréing, or crêp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Sewing Machines And Sew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직선누빔과 곡선누빔을 동시에 행할 수 있도록 한 복합누비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일반 직선누빔만을 할 수 있도록 된 통상의 누비기의 원단 도입부 또는 원단 배출부에 길이가 짧은 소형누비기를 설치하되, 바늘각도가 직각이 되도록 설치하고, 더불어 상기 소형누비기가 전후로 왕복 이송되게 함으로써 직선 누빔뿐만 아니라 다양한 모양의 파형 무늬도 형성할 수 있도록 하여 누비원단의 다양화를 꾀할 수 있게 한 것임.

Description

복합 누비장치{A complex quilting machine}
본 발명은 직선 누빔과 곡선 누빔을 동시에 할 수 있도록 한 복합누비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일반 직선누빔만을 할 수 있도록 된 통상의 누비기의 원단 도입부 또는 원단 배출부에 길이가 짧은 소형 누비기를 설치하되, 누비기각도가 직각이 되도록 설치하고, 더불어 상기 소형 누비기가 전후로 왕복 이송되게 함으로써 직선 누빔뿐만 아니라 다양한 모양의 파형 무늬도 형성할 수 있도록 하여 누비무늬의 다양화를 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누비기는 저면에 일정한 간격으로 북을 다수 설치하여 구동시키는 조방과 북과 같은 간격으로 헤드를 다수 설치한 헤드프레임으로 구성되며, 북과 헤드가 대각선 방향으로 설치됨으로써 원단을 이송시켰을 때 일정한 간격으로 직선누빔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한편, 원단(특히 침구용 원단이나 포대기, 직물 카페트등과 같이 내부에 스폰지나 솜등을 넣은 것을 말함)을 누비는 이유를 살펴보면, 원단을 매우 견고하게 봉재 접합시키면서 모양도 좋게 하기 위함이며, 따라서 직선 누빔과 곡선 누빔을 같은 원단에 동시에 행할 수 있게 되면 직선 누빔의 단조로움을 예방하면서, 보다 나은 봉재 무늬를 형성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물론, 종래에도 직선누빔과 곡선누빔이 혼합되어진 복합누비원단이 없는 것은 아니지만, 이는 직선누빔 원단을 통상의 누비기를 통하여 제조하고, 곡선누빔 원단은 퀼팅머신을 통하여 제조한 후, 두가지 누빔원단을 맞대어 봉재 연결시킨 것이기에 그만큼 더 제조원가가 높아지게 되고 사용과정에서 봉재부위가 틀어지면 보기 싫은 폐단이 따르기에 본 발명에서와 같은 복합누비기의 필요성이 더욱더 제기 되었던 것이다.
한편, 직선누빔무늬와 곡선누빔무늬를 한 원단에 형성할 수 있게 한 복합누비장치도 있는데, 이는 특허 제 248518호에 명확하게 기재되어 있다.
상기 발명특허는 통상의 누비기에 있어서 다수의 북이 설치된 조방과, 상기 북과 같은 위치와 간격으로 다수 헤드를 설치한 헤드프레임을 3등분이상으로 분할하여 이들중 하나 또는 2개 이상을 크랭크 등을 이용하여 연속적으로 전후 왕복시킴으로써 직선누빔과 곡선누빔이 복합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전술한 선 발명특허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따를 수밖에 없었다.
즉, 한 대의 누비기를 구성함에 있어 3등분 또는 3등분이상 분할한 후 이들 중 하나 또는 두 대의 분할부분을 크랭크 등으로 연속적으로 반복 요동시키도록 구성하였으므로 기계구성이 매우 복잡하고, 생산성이 떨어지며 한 대의 누비기를 여러 등분함에 따라 사용중 진동이 심하게 발생하여 누비기의 내구성이 크게 떨어지는 등의 폐단이 따랐던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특히 길이가 제법 긴 통상의 누비기(이하 '대형누비기'라 함)의 원단 도입부나 또는 원단 배출부에 길이가 짧고 누비바늘의 개수 또한 적은 소형 누비기를 설치하되, 대형누비기와 바늘각도가 직각을 이루도록 구성하고, 상기 소형 누비기가 전후 왕복 요동할 수 있게 구성하여 직선누빔과 곡선누빔이 동시에 이루어지게 하며 더불어 종래 복합누비기에 비하여 생산성이 극대화되면서 구성 또한 매우 간단하게 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를 나타낸 정면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를 나타낸 평면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를 나타낸 요부사시도로서 소형 누비기를 왕복요동 시키는 부분을 나타낸 것임
도 4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를 나타낸 평면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졔3 실시예를 나타낸 평면예시도
도 6는 종래 누비기로 제조한 누비원단의 예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복합 누비기로 제조한 누비원단의 예시도
도 1은 본 발명의 정면 예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평면 예시도이며, 도 3은 소형 누비기를 왕복요동시키는 구성을 나타낸 작용 상태도이다.
상기 도 1-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통상의 구조로 된 대형 누비기(1)와 통상의 구조로 된 소형 누비기(2)로 구성하되, 대형 누비기(1)의 후미에 직각으로 소형 누비기(2)를 배치하고, 상기 소형 누비기(2)에는 대형 누비기(1)와 직각 방향으로 왕복요동 할 수 있도록 대형누비기(1)와 연결 설치된 동력전달 축(11) 끝에 편심캠(12)을 설치하고, 편심캠(12)에는 로드(13)와, 상기 로드(13)에 의해 왕복 요동하는 레버(14), 그리고 상기 레버(14)에 의해 상하 왕복 요동하면서 일정한 각도만큼 회전 요동하는 축(15), 상기 축 끝단에 설치되는 편심캠(16), 상기 편심캠(16)과 연결된 로드(17)로 구성하여 상기 로드(17) 끝이 소형 누비기(2)와 연결 설치되게 하며, 소형누비기(2)의 조방(21)하부에 LM베어링(22)과 LM 가이드(23)를 설치하여 대형누비기(1)의 동력에 의해 소형누비기(2)의 왕복요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게 구성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로서, 이는 소형누비기(2)에 별도의 모타(3)와 감속기(4), 그리고 편심캠(5)과 로드(6)롤 연결 설치하여 상기 모타(3)에 의해 소형누비기(2)가 왕복요동 하게끔 구성한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3실시예로서, 이는 소형누비기(2)를 대형누비기(1)의 원단 도입부위치에 설치 구성하여, 소형누비기(2)가 왕복요동 하게끔 한 것이다.
한편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서 제3실시예는 원단 인출롤러(7)가 대형 누비기(1) 끝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지만 상기 인출롤러(7)는 반드시 대형누비기(1) 끝에만 설치될 수 있는 것은 아니며, 따라서 상기 인출롤러(7)가 소형누비기(2) 끝에 설치되는 구성 역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 하겠다.
또한 인출롤러(7)가 소형누비기(2) 끝에 설치될 경우는 소형누비기(2) 자체의 왕복운동과는 달리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누비바늘의 승강작동은 대형누비기(1)와 소형누비기(2)가 서로 연동되게끔 연결 구성하거나 또는 각각 구동되게끔 구성하여도 되며 이러한 누비바늘의 작용의 변화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단순한 설계변경이라 할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이 작용하게 된다.
즉, 누비고자 하는 원단(8)을 대형누비기(1)의 원단 도입부를 통하여 공급시키면 원단이 먼저 대형누비기(1)를 통과하면서 일직선상의 직선누빔이 이루어지게 되고, 이어서 소형누비기(2)를 통과하면서 곡선누빔이 이루어지게 되기 때문에 직선과 곡선이 어우러지는 복합 누비무늬를 형성하게 된다는 것이다.
그러나 여기서 짚고 넘어가야 할 중요한 일점은 복합무늬를 형성함에 있어서, 형성하고자 하는 무늬에 따라 누비바늘의 간격을 적절히 조율해주거나 또는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여 부분부분 바늘을 빼 주어야 하는 것이다.
또한 소형누비기의 요동폭을 조절해 주는 것도 다양한 모양의 복합누비무늬를 얻을 수 있다.
다시 말하면 통상의 누비기로 제조된 누비무늬는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단순히 일정한 간격(누빔간격은 바늘 간격에 따라 조절됨)으로 된 줄 누비무늬밖에는 형성되지 않지만, 본 발명에서는 도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줄 누비무늬와 파형 또는 곡선 누비무늬를 복합적으로 형성할 수 있어 매우 다양한 무늬를 얻을 수 있게 된다는 것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을 통상의 대형 누비기와 소형 누비기를 연결 설치하여 복합누비무늬를 형성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구성이 지극히 간단하여 제작이 손쉽고 다양한 복합무늬를 얻기 용이한 것으로 누비직물의 다양화를 이룰 수 있는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Claims (3)

  1. 복합 누비직물을 형성하는 통상의 복합누비기에 있어서,
    통상의 구조로 된 대형누비기(1)와 통상의 구조로 된 소형 누비기(2)로 구성하되, 대형누비기(1)의 후미에 직각으로 소형누비기(2)를 배치하고, 상기 소형누비기(2)에는 대형누비기(1)와 직각방향으로 왕복요동할 수 있도록, 대형누비기(1)와 연결 설치된 동력전달축(11) 끝에 편심캠(12)을 설치하고, 편심캠(12)에는 로드(13)와, 상기 로드에 의해 왕복 요동하는 레버(14), 그리고 상기 레버(14)에 의해 상하 왕복 요동하면서 일정한 각도만큼 회전 요동하는 축(15), 상기 축 끝단에 설치되는 캠(16), 상기 편심캠(16)과 연결된 로드(17)로 구성하여, 상기 로드(17) 끝이 소형누비기(2)와 연결 설치 되게 하며, 소형누비기(2)의 조방(21) 하부에 LM베어링(22)과 LM가이드(23)를 설치하여 대형 누비기(1)의 동력에 의해 소형 누비기(2)가 왕복 요동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누비기.
  2. 1항에 있어서,
    소형누비기(2)에 별도의 모타(3)와 감속기(4) 그리고 편심캠(5)과 로드(6)를 설치하여 소형누비기(1)를 왕복 요동시킬 수 있도록 구성하고 원단 인출롤러(7)를 소형 누비기(2) 끝에 설치함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누비기
  3. 1항에 있어서,
    소형 누비기(2)를 대형누비기(1)의 원단 도입부에 설치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누비기
KR1020000031225A 2000-06-03 2000-06-03 복합 누비장치 KR2000007199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31225A KR20000071991A (ko) 2000-06-03 2000-06-03 복합 누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31225A KR20000071991A (ko) 2000-06-03 2000-06-03 복합 누비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71991A true KR20000071991A (ko) 2000-12-05

Family

ID=196713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31225A KR20000071991A (ko) 2000-06-03 2000-06-03 복합 누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00071991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56292B1 (ko) * 2002-05-14 2004-11-09 이상준 복합무늬 누비용 누비기
KR101337739B1 (ko) * 2012-07-20 2013-12-06 정미수 3디 매트에 카바를 누비는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56292B1 (ko) * 2002-05-14 2004-11-09 이상준 복합무늬 누비용 누비기
KR101337739B1 (ko) * 2012-07-20 2013-12-06 정미수 3디 매트에 카바를 누비는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Z54299A3 (cs) Šicí stroj pro obšívání knoflíkových dírek s očkem
US5509365A (en) Multi-needle quilter with component drive assemblies
US5193472A (en) Dual sliding needle bar tufting apparatus
JP4261698B2 (ja) ミシンの布送り機構
US8677916B2 (en) Multi-needle quilting machine and needle and looper drive mechanism therefor and method of operating same
KR920004632A (ko) 요동싱카와 프렛셔바아를 가지는 횡편기
KR20000071991A (ko) 복합 누비장치
US2369183A (en) Multiple needle stitching mechanism
US6615757B2 (en) Over lock sewing machine
KR200243114Y1 (ko) 누비기
KR100309198B1 (ko) 누비기
JPH0770903A (ja) 刺繍ミシン
CN219603883U (zh) 缝纫机
KR100248518B1 (ko) 직선누빔과 곡선누빔을 동시에 하도록 구성한 복합누비기계
CN214400960U (zh) 稳定型立体褶皱绣成型机构
JPH0559757B2 (ko)
CN112877928B (zh) 缝纫机结构
EP0132466B1 (en) Apparatus for producing a seam
JP2821852B2 (ja) ミシンの針棒揺動案内装置
CN1090690C (zh) 筒式底板型缝纫机
JPH0727016Y2 (ja) 二重環縫いミシン
JPH07331578A (ja) タフテッドカーペット、その製造方法及びタフティング装置
KR200230416Y1 (ko) 누비기능과 자수기능이 복합된 미싱기계의 구동장치
JPH04347192A (ja) 刺繍ミシン
TWI220678B (en) Weaving regulating mechanism for a knitting machi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