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48518B1 - 직선누빔과 곡선누빔을 동시에 하도록 구성한 복합누비기계 - Google Patents

직선누빔과 곡선누빔을 동시에 하도록 구성한 복합누비기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48518B1
KR100248518B1 KR1019980013700A KR19980013700A KR100248518B1 KR 100248518 B1 KR100248518 B1 KR 100248518B1 KR 1019980013700 A KR1019980013700 A KR 1019980013700A KR 19980013700 A KR19980013700 A KR 19980013700A KR 100248518 B1 KR100248518 B1 KR 1002485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quilting
transfer
quilted
head
fix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137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25361A (ko
Inventor
심운섭
Original Assignee
이상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상준 filed Critical 이상준
Priority to KR10199800137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48518B1/ko
Publication of KR199800253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253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485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48518B1/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11/00Machines for sewing quilts or mattresse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29/00Pressers; Presser feet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35/00Work-feeding or -handl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5B35/02Work-feeding or -handl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cilitating seaming; Hem-turning elements; Hemmer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75/00Frames, stands, tables, or other furniture adapted to carry sewing machi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Sewing Machines And Sewing (AREA)
  • Treatment Of Fiber Materials (AREA)

Abstract

(1)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
직선누빔과 곡선누빔을 동시에 하도록 구성한 복합누비기계에 관한분야.
(2) 발명이 해결하려고 하는 기술적과제
종래에는 누비기가 균일한 간격의 직선누빔밖에 할수없는 구성이어서 원단에 곡선누빔과 직선누빔을 동시에 행할수 없었기에 누빔원단의 다양화를 꾀할수 없었다.
따라서 이를 해결하기 위한 것이다.
(3) 발명의 해결방법의 요지
본 발명은 누비기의 조방과 헤드부분을 3등분하여 가운데에 위치한 조방과 헤드를 크랭크로 연결시켜 일정거리만큼 왕복요동시키고, 유니버셜조인트나 유니버셜베어링등을 이용하여 요동하는 조방의 헤드와 북에 동력을 공급시킴으로써, 직선누빔과 곡선누빔이 동시에 이루어지는 복합누비기를 구성하려는 발명의 요지가 있음.
(4) 발명의 중요한 용도
직선누빔과 곡선누빔을 동시에 행할수 있는 복합누비기로 사용됨.

Description

직선누빔과 곡선누빔을 동시에 하도록 구성한 복합누비기계
본 발명은 직선누빔과 곡선누빔을 동시에 하도록 구성한 복합누비기계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일반 직선누빔만을 할수 있도록 된 통상의 누비기에 있어서, 조방 및 헤드부분의 프레임을 3등분(2이상 5, 6등분도 가능하지만, 여러등분할 경우는 통상 대형누비기일 경우에 가능함)하여, 이들중 한부분, 또는 두부분을 일정한 거리만큼 전·후 왕복이송시킴으로서, 요동하는 부분에 의해 곡선누빔이 가능케 하여, 결국 직선누빔과 곡선누빔이 동시에 이루어지도록 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같이 누비기는 저면에 일정한 간격으로 북을 다수 설치하여서 구동시키는 조방과 북과 같은 간격으로 헤드를 다수 설치한 헤드프레임으로 구성되며, 북과 헤드가 대각선방향으로 설치됨으로써 원단을 이송시켰을때 일정한 간격으로 직선누빔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한편, 원단(특히 침구용 원단이나 포대기, 직물 카페트등과 같이 내부에 스폰지나 솜등을 넣은것을 말함)을 누비는 이유를 살펴보면, 원단을 매우 견고하게 봉재 접합시키면서, 모양도 좋게하기 위함이며, 따라서 직선누빔과 곡선누빔을 같은 원단에 동시에 행할수 있게 되면 직선누빔의 단조로움을 예방하면서, 보다 나은 봉재무늬를 형성시킬수 있게 되는 것이다.
물론, 종래에도 직선누빔과 곡선누빔이 혼합되어진 복합누빔원단이 없는 것은 아니지만, 이는 직선누빔원단을 통상의 누비기를 통하여 제조하고 곡선누빔원단은 퀼팅기(QWuilting m/c)를 통하여 제조한후, 두가지 누빔원단을 맞대어 봉재연결시킨 것이기에 그 만큼 더 제조원가가 높아지게 되고 사용과정에서 봉재부위가 튿어지면 보기싫은 폐단이 따르기에 본 발명에서와 같은 복합누비기의 필요성이 더욱더 제기 되었던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의 제반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발명한 것으로, 특히 통상의 누비기에 있어서, 하부에 일정간격으로 다수의 북이 설치된 조방과, 상기 북과 같은 위치와 간격으로 다수 헤드를 설치한 헤드프레임을 3등분(또는 2이상 5, 6등분도 가능함)하여 이들중 하나 또는 두개를 크랭크등을 이용하여 연속적으로 전·후 왕복이송시킴으로써 직선누빔과 곡선누빔이 복합적으로 이루어질수 있도록 하는 복합누비기계를 제공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제1도는 본 발명의 복합누비기계 평면도.
제2도는 본 발명의 복합누비기계 정면도.
제3도는 제1도의 A에서본 요부사시도.
제4도는 본 발명의 복합누비기계의 헤드구동부 사시도.
제5도는 본 발명의 이송누빔장치에 대한 일 실시예를 나타낸 요부정면예시도.
제6도는 본 발명의 복합누비기계를 통하여 누벼진 원단의 평면예시도.
제7(a)~(c)도는 원단의 여러실시예를 나타낸 것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하부프레임 2 : 북
3 : 조방 4 : 헤드
5 : 헤드프레임 6 : 구멍
7 : 원단누름판 8,8′: 고정누빔장치
8a : 이송누빔장치 9 : L.M베어링
10 : L.M가이드 11 : 주동력모타
12 : 요동장치 13 : 편심캠
14 : 요동레바 15,15′,15″,16,16′,16″: 구동축
17 : 유니버셜조인트 18 : 레일
18′: 마찰면 19 : 레일부시
20 : 고정레일 21,22 : 브라켓
21′: 안내돌부 22′: 안내요부
하부프레임(1) 위에 일정간격으로 다수의 북(2)을 설치하여서 된 조방(3)과 상기 조방(3) 위에 다수의 헤드(4)를 북과같은 위치와 간격으로 설치한 헤드프레임(5)과, 그리고 상기 조방(3) 위에 일정한 간격으로 다수의 구멍(6)을 형성하여서된 원단누름판(7)으로 구성된 통상의 누비기에 있어서, 조방(3)과 헤드프레임(5) 및 헤드(4)를 구동시키는 축과 북(2)을 구동시키는 축을 3등분하여 좌·우측은 종래와 동일하게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는 고정누빔장치(8)(8′)로 구성하고, 중앙부에는 전·후로 왕복이송되는 이송누빔장치(8a)로 구성하는데, 상기 이송누빔장치(8a)는 이송조방(3a) 저면 좌·우측에 L.M베어링(9)을 고정설치하고, 이송조방(3a) 하부에 하부프레임(1) 위에는 상기 L.M베어링(9)이 유설되어 부드럽게 이송될수 있도록 L.M가이드(10)를 설치하며, 상기 이송누빔장치(8a) 후방에는 주동력모타(11)의 동력을 전달받아 이송누빔장치(8a)를 왕복이송시켜줄수 있는 통상의 요동장치(12)를 설치하여, 상기 요동장치(12)의 편심캠(13)과 요동레바(14)에 의해 이송누빔장치(8a)가 일정한 거리만큼 왕복이송할수 있게 하였다.
또, 상기 이송누빔장치(8a)의 헤드(4)와 북(2)에 동력을 전달하기 위하여 헤드(4) 상부와 북(2) 하측(구체적으로는 하부프레임 내부하측)에 별도로 3등분 된 구동축 (15)(15′)(15″)과 (16)(16′)(16″)를 설치하고, 각각의 3등분 된 구동축들을 유니버셜조인트(17)나 유니버셜베어링등으로써 연결구동시킴으로써, 이송누빔장치(8a)에 원활하게 동력전달이 이루어지도록 하였다.
한편 전술한 요동장치(12)는 주동력모타(11)의 동력을 그대로 이용하여 이송누빔장치(8a)를 전·후이송시켜주는 장치로서 매우 일반화된 구성을 취하고 있으며, 본 발명에서는 이와같은 일반화된 구성의 요동장치(12)외에도 어떤 구성이라고, 이송누빔장치(8a)를 전·후이송시킬수 있는 구성이라면 모두 이용할수 있다.
또한 상기 요동장치(12)의 작동을 주동력모타(11)를 사용하지 않고, 회전속도 조절이 가능한 소형모타를 별도로 설치하여 사용하여도 되며, 이경우 곡선무늬를 매우 다양하게 형성시킬수 있는 잇점도 따른다.
그리고 이송누빔장치(8a)의 전·후이송은 상기 L.M베어링(9)과 L.M가이드(10)가 아니더라도 구성가능한데, 예를 들면 제5도에서 보는바와 같이 이송조방(3a) 저면 좌·우측에 마찰면(18′)이 경사진 레일(18)을 설치하고 하부프레임(1) 위에는 상기 경사진 레일(18)의 마찰면(18′)과 마찰되도록 레일부시(19)를 고정시킨 고정레일(20)을 설치하며, 이송누빔장치(8a)의 프레임 상부 좌·우측과 고정누빔장치(8)(8′) 상측에 각각 안내돌부(21′)를 가진 브라켓(21)과 안내요부(22′)를 가진 브라켓(22)을 고정설치하여 이송누빔장치(8a)가 안정적으로 이송되게 하면 된다. 미설명 부호 24는 장공, 25는 헤드구동축, 26,27,28,29,29′,29″타이밍벨트, 30은 요동레바이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주동력모타(11)를 구동시켰을때, 후미에 설치된 요동장치(15)와 연결설치된 편심캠(13)과 요동레바(14)에 의해 편심캠(13)의 요동량 만큼 이송누빔장치(8a)가 전·후이송되게 되고, 또 이송누빔장치(8a)에 설치된헤드(3)와 북(2)의 구동을 별도 설치된 헤드구동축(16a) 및 북구동축(17a)으로 회전되게 하되, 주동력모타(11)로부터 원활하게 동력을 전달받을수 있도록 고정누빔장치(7)(7′)에 설치된 헤드구동축(16)(16′) 및 북구동축(17)(17′)과 유니버셜조인트(18) 또는 유니버셜베어링으로 연결시킴으로써 이송누빔장치(8a)가 요동장치(15)에 의해 전·후이송하는 과정에서도 동력전달이 매우 원활하게 이루어질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 위와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의해 누빔 봉재된 원단은 고정누빔장치(7)(7′)를 통과하는 부분이 직선누빔으로 되고, 이송누빔장치(8a)를 통과하는 부분에서는 파형무늬 즉 곡선무늬로 봉재됨으로써, 제6도에서 보는바와 같은 누빔무늬로 형성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이송누빔장치(8a)는 반드시 누비기를 3등분하여 중앙부가 전·후이송되게 하여야만 하는 것은 아니며, 경우에 따라 4등분 또는 5등분하여 등분된 것들중 적절한 위치의 것을 1~2 또는 3부분이 이송하게 하여도 되며, 이경우에 이송누빔장치의 구성은 전술한 바와같은 구성이면서도 더욱 다양한 누빔원단을 얻을수 있게 된다. (제7(a)~(c)도 참조)
또한 누빔원단의 누빔무늬를 더욱 다양하게 할수도 있는데, 이때는 이송누빔장치(8a)의 이송거리, 속도를 조절한다거나 또는 원단의 이송속도를 조절하면 제6도와 제7(a)~(c)도에 도시된것 이외에도 매우 다양한 무늬를 얻을수 있게 된다.
상술한 바와같이 본 발명은 통상의 누비기 구성을 3등분(2~5등분하여도 됨)하여 가운데의 것을 이송누빔장치(8a)를 구성하거나 또는 양측부분에 위치한 것을 이송누빔장치를 구성하여 원단에 직선누빔과 곡선누빔을 동시에 행할수 있도록 한 것으로, 누빔원단을 더욱 다양하게 하여 소비자의 선택폭을 넓혀주고 종래 누비기의 한계를 뛰어넘어 업계의 발전을 크게 유도할수 있게 되는 매우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Claims (4)

  1. 하부프레임(1) 위에 일정간격으로 다수의 북(2)을 설치하여서 된 조방(3)과, 상기 조방(3) 위에 다수의 헤드(4)를 북과 같은 위치와 간격으로 다수의 구멍(6)을 형성하여서 된 원단누름판(7)으로 구성된 통상의 누비기에 있어서, 조방(3)과 헤드프레임(5) 및 헤드(4)를 구동시키는 축과 북(2)을 구동시키는 축을 3등분하여 좌·우측은 종래와 동일하게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는 고정누빔장치(8)(8′)로 구성하고, 중앙부에는 통상의 요동장치(12)에 의해 전·후로 왕복이송되는 이송누빔장치(8a)로 구성하되, 상기 이송누빔장치(8a)의 헤드(4)와 북(2)에 동력을 전달하기 위하여 헤드(4) 상측과 북(2) 하측에 별도로 3등분된 구동축 (15)(15′)(15″)과 (16)(16′)(16″)를 설치하고, 각각의 구동축들을 유니버셜조인트(17)나 유니버셜베어링으로 연결구성하여 원단누빔시 이송누빔장치(8a)가 전·후이송됨으로써 원단에 직선누빔과 곡선누빔을 동시에 할수 있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누비기계.
  2. 제1항에 있어서, 이송누빔장치(8a)는 이송조방(3a) 저면 좌·우측에 L.M베어링(9)을 고정설치하고, 이송조방(3a) 하부에 위치한 하부프레임(1) 위에는 상기 L.M베어링(9)이 유설되어 부드럽게 이송될수 있도록 L.M가이드(10)를 설치하여 이송누빔장치(8a)를 전·후 왕복이송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누비기계.
  3. 제2항에 있어서, 이송조방(3a) 저면 좌·우측에 마찰면(18′)의 경사진 레일(18)을 설치하과, 하부프레임(1) 위에도 상기 경사진 레일(18)의 마찰면(18′)과, 마찰되도록 레일부시(19)를 고정시킨 고정레일(20)을 설치하며, 이송누빔장치(8a)의 프레임 상부 좌·우측과 고정누빔장치(8)(8′) 상측에 각각 안내돌부(21′)를 가진 브라켓(21)과 안내돌부(22′)를 가진 브라켓(22)을 고정설치하여 이송누빔장치(8a)가 안정적으로 이송되게 함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누비기계.
  4. 제1항에 있어서, 누비기를 2~5등분하여 1~3부분을 이송누빔장치(8a)로 구성함을 특징으로하는 직선누빔과 곡선누빔을 동시에 할수 있도록 구성한 복합누비기계.
KR1019980013700A 1998-04-11 1998-04-11 직선누빔과 곡선누빔을 동시에 하도록 구성한 복합누비기계 KR1002485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13700A KR100248518B1 (ko) 1998-04-11 1998-04-11 직선누빔과 곡선누빔을 동시에 하도록 구성한 복합누비기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13700A KR100248518B1 (ko) 1998-04-11 1998-04-11 직선누빔과 곡선누빔을 동시에 하도록 구성한 복합누비기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25361A KR19980025361A (ko) 1998-07-06
KR100248518B1 true KR100248518B1 (ko) 2000-04-01

Family

ID=195363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13700A KR100248518B1 (ko) 1998-04-11 1998-04-11 직선누빔과 곡선누빔을 동시에 하도록 구성한 복합누비기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4851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56292B1 (ko) * 2002-05-14 2004-11-09 이상준 복합무늬 누비용 누비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09198B1 (ko) * 1999-08-11 2001-09-26 김규봉 누비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56292B1 (ko) * 2002-05-14 2004-11-09 이상준 복합무늬 누비용 누비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25361A (ko) 1998-07-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509365A (en) Multi-needle quilter with component drive assemblies
US2687703A (en) Apparatus in a multiple-needle automatic quilting machine
CN103025943B (zh) 多针绗缝机,用于其的针及钩圈驱动机构以及操作其的方法
KR100248518B1 (ko) 직선누빔과 곡선누빔을 동시에 하도록 구성한 복합누비기계
CN203683871U (zh) 一种电子花样缝纫机
CN1861874B (zh) 纽扣搬送装置
KR200174073Y1 (ko) 복합누비기계
US2386660A (en) Feeding mechanism for sewing machines
JP2002028388A (ja) 縫製装置
JPH0744305Y2 (ja) ボタン穴かがり用サイクルミシン
KR890004809B1 (ko) 퀼팅 머시인(Quilting Machine)에 있어서의 직물 이송장치
KR890016240A (ko) 프레임에 지지되어 있는 바늘대를 가진 재봉기
US378915A (en) Quilting machine
KR100456292B1 (ko) 복합무늬 누비용 누비기
JPS61389A (ja) キルテイングマシン
CN210712040U (zh) 一种针杆摆动传动机构
KR100309198B1 (ko) 누비기
KR20000071991A (ko) 복합 누비장치
CN201722507U (zh) 针板
CN101205661A (zh) 针进给缝纫机
JP2006346135A (ja) 二重環縫いミシンにおけるスパンコール縫付け方法
US4641593A (en) Zigzag and transport device for sewing machines
US3791325A (en) Sewing machine
US3361099A (en) Sewing machine for sewing buttons
JPH11235492A (ja) 筒型ミシン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1218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