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69481A - 투여하는 장치 및 방법과 밸브 - Google Patents

투여하는 장치 및 방법과 밸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69481A
KR20000069481A KR1019997005325A KR19997005325A KR20000069481A KR 20000069481 A KR20000069481 A KR 20000069481A KR 1019997005325 A KR1019997005325 A KR 1019997005325A KR 19997005325 A KR19997005325 A KR 19997005325A KR 20000069481 A KR20000069481 A KR 2000006948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quid
flow
flowable material
outlet
recei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70053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분 레이 폴 네오
Original Assignee
네오 분 라이
칼파르메(싱가포르) 피티이.엘티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네오 분 라이, 칼파르메(싱가포르) 피티이.엘티디. filed Critical 네오 분 라이
Publication of KR200000694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69481A/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9/00Sanitary or other accessories for lavatories ; Devices for cleaning or disinfecting the toilet room or the toilet bowl; Devices for eliminating smells
    • E03D9/02Devices adding a disinfecting, deodorising, or cleaning agent to the water while flushing
    • E03D9/03Devices adding a disinfecting, deodorising, or cleaning agent to the water while flushing consisting of a separate container with an outlet through which the agent is introduced into the flushing water, e.g. by suction ; Devices for agents in direct contact with flushing water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9/00Sanitary or other accessories for lavatories ; Devices for cleaning or disinfecting the toilet room or the toilet bowl; Devices for eliminating smells
    • E03D9/02Devices adding a disinfecting, deodorising, or cleaning agent to the water while flushing
    • E03D9/03Devices adding a disinfecting, deodorising, or cleaning agent to the water while flushing consisting of a separate container with an outlet through which the agent is introduced into the flushing water, e.g. by suction ; Devices for agents in direct contact with flushing water
    • E03D9/033Devices placed inside or dispensing into the cistern
    • E03D9/038Passive dispensers, i.e. without moving part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9/00Sanitary or other accessories for lavatories ; Devices for cleaning or disinfecting the toilet room or the toilet bowl; Devices for eliminating smells
    • E03D9/02Devices adding a disinfecting, deodorising, or cleaning agent to the water while flushing
    • E03D9/03Devices adding a disinfecting, deodorising, or cleaning agent to the water while flushing consisting of a separate container with an outlet through which the agent is introduced into the flushing water, e.g. by suction ; Devices for agents in direct contact with flushing water
    • E03D9/031Devices connected to or dispensing into the flushing pip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37/00Fluid handling
    • Y10T137/2931Diverse fluid containing pressure systems
    • Y10T137/3112Main line flow displaces additive from shunt reservoi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37/00Fluid handling
    • Y10T137/2931Diverse fluid containing pressure systems
    • Y10T137/3115Gas pressure storage over or displacement of liquid
    • Y10T137/3127With gas maintenance or application
    • Y10T137/313Gas carried by or evolved from liquid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AREA)
  • Feeding, Discharge, Calcimining, Fusing, And Gas-Generation Devices (AREA)
  • Slot Machines And Peripheral Devices (AREA)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 Bidet-Like Cleaning Device And Other Flush Toilet Accessories (AREA)

Abstract

유동가능한 물질을 투여하는 장치는 이 유동가능한 물질을 저장하는 수용기 (5)를 구비하는 바, 이 수용기(5)는 위생설비의 분출하는 흐름통로에 연결될 수 있는 용기(40,41)나 분출하는 장치의 물탱크인 외부수용기내에 위치될 수 있는 아래로 향한 하부유출구(510)를 갖추며, 이 수용기(5)내의 유동가능한 물질의 일부가 위생설비의 각각의 분출작동 동안 방출된다.

Description

투여하는 장치 및 방법과 밸브{Dispenser and Method and Valve}
물이 위생설비를 통해 흘러갈 때, 소독제나, 세정제, 방취제, 세척제, 또는 이와 유사한 물질을 물에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종래에는 물이 위생설비로부터 소독물질을 수용하는 수용기내로 전달되었고, 물은 소독물질과 혼합되었으며, 희석된 소독물질의 일부는 주요 위생설비로 되돌려 보내어졌다.
롯티(Lotti)의 국제출원 PCT/GB82/00341호와 같은 다른 공지된 장치에서, 소독물질은 물에 투여되었다. 물은 소독물질의 저장기내로 들어가지 않았다. 이 종래기술의 문제점은 소독물질을 물에 투여하는 데에 필요한 장치가 복잡한 형상으로 되어 있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공지된 장치보다 제조하기에 값싸고 쉬운 소독물질을 투여하는 장치와 방법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은 한정되지 않으나 욕실과 화장실 및 이와 유사한 장소의 위생설비로 유동가능한 물질을 투여하는 장치와 방법에 관한 것이며, 추가로 유동가능한 물질을 투여하는 장치내에 사용되는 밸브기구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구성된 소독액을 투여하는 장치를 도시한 것으로, 위생설비의 수위선(A-A) 위에 위치된 장치의 단면도이고,
도 2는 위생설비의 수위선(A-A) 아래에 부분적으로 위치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장치의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구성된 소독액을 투여하는 장치의 단면도(명확히 하기 위해서, 도 1과, 도 3,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된 수용기는 유사하고, 동일한 부분에 대해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나, 이는 실시예들이 동일함을 의미하지는 않음),
도 3a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공기 또는 액체가 위생설비로부터 전달될 때 장치의 형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3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공기 또는 액체가 장치로부터 멀리 배수될 때 장치의 형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소독액을 투여하는 장치의 여러 부품들을 도시한 개략도,
도 5는 도 3의 장치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가 장착될 수 있는 위생설비의 한 예를 도시한 정면도,
도 6은 저장기 또는 저장탱크를 구비한 위생설비에 사용된 또 다른 실시예의 단면도이다.
제 1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위생설비와 함께 사용되는 유동가능한 물질을 투여하는 장치를 제공하는 바, 이 투여장치는 유동가능한 물질을 보유하면서 적어도 하나의 제한된 유출구를 갖춘 수용기를 구비하는데, 상기 제한된 유출구는 이 제한된 유출구의 유동가능한 물질이 공기흐름 또는 위생설비의 액체와 연통되지 않을 때 유동가능한 물질의 아래쪽으로의 흐름을 방지하는 한편, 상기 제한된 유출구의 유동가능한 물질이 공기흐름 또는 위생설비의 액체와 연통될 때 이 제한된 유출구를 통해 유동가능한 물질이 아래쪽으로 흐를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다. 바람직하기로, 상기 장치는 장착수단을 구비하는데, 이에 의해 수용기는 상기 제한된 유출구가 아래쪽을 향하여 위치되도록 위생설비에 장착되어서, 제한된 유출구에 대한 위쪽으로의 공기흐름 또는 위생설비의 액체를 받아들이게 된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유동가능한 물질을 위생설비의 액체에 투여하도록 된 유동가능한 물질을 투여하는 장치도 제공하는 바, 이 장치는 액체를 보유하도록 되어 있으면서 제 1수용기로 액체의 흐름을 받아들이는 입구수단과 제 1수용기의 외부로 액체의 흐름을 허용하는 출구수단을 갖춘 제 1수용기와, 이 제 1수용기내에 위치되어 유동가능한 물질을 보유하도록 되어 있으면서 아래쪽을 향한 적어도 하나의 제한된 유출구를 갖춘 제 2수용기를 구비하는데, 상기 제한된 유출구는 이 제한된 유출구의 유동가능한 물질이 상기 제 1수용기의 공기흐름조건에 노출되지 않고 액체와 연통되지 않을 때 유동가능한 물질의 아래쪽으로의 흐름을 방지하는 한편, 상기 제한된 유출구의 유동가능한 물질이 상기 제 1수용기의 공기흐름조건에 노출되고 액체와 연통될 때 이 제한된 유출구를 통해 유동가능한 물질이 아래쪽으로 흐를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물질을 위생설비의 액체에 투여하도록 된 유동가능한 물질을 투여하는 장치도 제공하는 바, 이 장치는 액체를 보유하도록 되어 있으면서 제 1수용기로 액체의 흐름을 받아들이는 입구수단과 제 1수용기의 외부로 액체의 흐름을 허용하는 출구수단을 갖춘 제 1수용기와, 이 제 1수용기내에 위치되어 유동가능한 물질을 보유하도록 되어 있으면서, 아래쪽을 향하되 유동가능한 물질이 평형상태에 있을 때 유동가능한 물질의 아래쪽으로의 흐름을 방지하도록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제한된 유출구를 갖춘 제 2수용기 및, 상기 제한된 유출구에서 흐름조건을 제공하여서 저압의 한정된 영역이 형성되어 제한된 유출구를 통해 유동가능한 물질의 흐름을 돕게 되는 공기 또는 액체흐름의 발생수단을 구비한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수용기로부터 위샐설비로 유동가능한 물질을 투여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바, 이 방법은 유동가능한 물질을 수용기로부터 내보내는 일반적으로 아래로 향한 적어도 하나의 개구부를 갖춘 수용기내에 유동가능한 물질을 넣어, 평형상태에서 수용기내의 상기 물질이 대체로 그 안에 머무르게 하는 단계와; 상기 개구부에 인접한 공기 또는 액체의 흐름을 발생시켜 유동가능한 물질을 상기 흐름에 상응하여 개구부를 통해 수용기로부터 방출시켜서, 상기 물질이 액체에 의해 위생설비로 이동시키는 단계로 이루어진다.
추가적인 실시예에서, 본 발명은 유동가능한 물질을 위생설비로 투여하도록 된 유동가능한 물질을 투여하는 장치를 제공하는 바, 이 장치는 위생설비로부터 공기 또는 액체의 흐름을 받아들이는 입구수단을 갖춘 제 1수용기와; 이 제 1수용기의 외부로 공기 또는 액체의 흐름을 허용하는 출구수단 및; 상기 유동가능한 물질을 보유하도록 되어 있으면서 적어도 하나의 제한된 유출구를 갖추는 제 1수용기내의 제 2수용기를 구비하는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한된 유출구는 이 제한된 유출구에 인접한 공기 또는 액체흐름조건에 상응하여 유동가능한 물질을 흐를 수 있게 하는 한편,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한된 유출구에 인접한 흐름조건이 없을 때에는 유동가능한 재료의 흐름을 방지하도록 되어 있다.
바람직하기로, 상기 공기 또는 액체흐름 발생수단은 위생설비와 입구수단 사이의 유체전달을 제공하는 흐름통로와, 이 흐름통로를 따라 유체전달을 대체로 차단할 수 있으면서 흐름통로를 따라 자유로이 미끄럼이동할 수 있는 흐름통로내의 유지되는 적어도 하나의 활주부재를 구비하는데, 사용시에 위생설비로부터의 공기 또는 액체는 상기 흐름통로를 따라 활주부재를 구동시켜 공기 또는 액체가 적어도 하나의 제한된 유출구에 인접한 공기 또는 액체흐름조건을 발생시키도록 입구수단을 통해 힘을 받게 된다.
바람직하기로, 상기 공기 또는 액체가 위생설비내로 다시 배수될 때, 적어도 하나의 활주부재는 이 활주부재와 출구수단 사이에 저압영역을 일으키는 위생설비쪽으로 흐름통로를 따라 당겨져서 유동가능한 물질을 제 1수용기로부터 흐름통로로 밀어내게 된다.
바람직하기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활주부재는 플라스틱 구형체이다.
본 발명의 더욱 추가적인 실시예는 위생설비에 연결될 수 있는 소독물질을 투여하는 장치에 사용되기에 적합한 밸브를 구비하는 바, 이 밸브는 내부덕트를 갖추며, 이 덕트의 단면은 직경가변구조에 의해 변경될 수 있는데, 이 기구를 조정함으로써 상기 밸브를 통해 투여장치로 들어가는 액체의 양을 제어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위생설비와 함께 사용되는 유동가능한 물질을 투여하는 장치를 제공하는 바, 이 투여장치는 유동가능한 물질을 보유하면서 적어도 하나의 제한된 유출구를 갖춘 수용기를 구비하는데, 상기 제한된 유출구는 이 제한된 유출구의 유동가능한 물질이 위생설비의 액체와 연통되지 않을 때 유동가능한 물질의 아래쪽으로의 흐름을 방지하는 한편, 상기 제한된 유출구의 유동가능한 물질이 위생설비의 액체와 연통될 때 이 제한된 유출구를 통해 유동가능한 물질이 아래쪽으로 흐를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다.
상기 유동가능한 물질을 투여하는 장치는 추가로 장착수단을 구비하는데, 이에 의해 수용기는 상기 제한된 유출구가 아래쪽을 향하여 위치되도록 위생설비에 장착되어서, 제한된 유출구에 대한 위쪽으로의 위생설비의 액체의 흐름을 받아들이게 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유동가능한 물질을 위생설비의 액체에 투여하도록 된 유동가능한 물질을 투여하는 장치를 제공하는 바, 이 장치는 액체를 보유하도록 되어 있으면서 제 1수용기로 액체의 흐름을 받아들이는 입구수단과 제 1수용기의 외부로 액체의 흐름을 허용하는 출구수단을 갖춘 제 1수용기와, 이 제 1수용기내에 위치되어 유동가능한 물질을 보유하도록 되어 있으면서 아래쪽을 향한 적어도 하나의 제한된 유출구를 갖춘 제 2수용기를 구비하는데, 상기 제한된 유출구는 이 제한된 유출구의 유동가능한 물질이 상기 제 1수용기의 액체와 연통되지 않을 때 유동가능한 물질의 아래쪽으로의 흐름을 방지하는 한편, 상기 제한된 유출구의 유동가능한 물질이 상기 제 1수용기의 액체와 연통될 때 이 제한된 유출구를 통해 유동가능한 물질이 아래쪽으로 흐를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특징은 첨부된 청구범위로 명확하게 되고, 이들 청구범위에 종속되는 내용은 이 명세서에 포함될 것이다.
본 발명을 더욱 완전히 이해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실시예가 첨부도면을 참조로 하여 단지 예로써 설명될 것이다.
도면을 참조로 하면, 도 1은 위생설비와 함께 사용되는 투여하는 장치를 도시한 것으로, 이 장치는 수용기(5)를 구비하며, 이 도면의 하부는 부분적으로 단면도이다.
상기 수용기(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화장실의 급수설비인 위생설비에 사용된다. 이 실시예에서, 상기 수용기는 물탱크에서 화장실로의 주요 덕트와 직접 유체연결되도록 위치된다. 이 수용기(5)는 위생설비에 사용되는 소독제나, 세정제, 방취제, 또는 다른 물질과 같은 유동가능한 물질로 채워져 있다. 수용기(5)내의 유동가능한 물질은 통상 액체이나, 젤(gel)과 같은 다른 유동가능한 물질이 사용될 수 있다. 위생설비가 사용 될 때, 물탱크내의 물은 화장실로 흘러 나온다. 물의 일부는 개구부를 덮고 있는 표면장력의 막을 깨뜨리는 수용기의 개구부로 전달된다. 그 후에, 상기 수용기내 유동가능한 물질의 정수압 때문에 소량의 소독물질이 전달된 물로 배출된다. 난류와 확산이 전달된 물과 함께 소독물질을 혼합하는데 도움이 되며, 이후에 물은 물탱크로부터 주요 덕트와 유동가능한 물질의 특성에 따라 세척과 소독 및 방취작용을 할 수 있는 화장실로 배수된다.
일단 전달된 물과 소독물질이 개구부로부터 멀리 배수되면, 표면장력막은 다음에 위생설비가 사용될 때까지 임의의 추가적인 소독물질의 배출을 대체로 방지하도록 곧 재형성된다.
상기 수용기는 바람직하기로 이 수용기(5)내의 가장 큰 정수압점에 있을 때 그 최하점에 위치되는 아래로 향한 개구부(510)를 갖추고 있다. 그러므로, 유동가능한 물질의 배출은 이 지점에서 가장 크게 된다. 상기 수용기(5)의 설치 동안 이 개구부(510)를 통한 액체의 최초 흐름이 있게 된다. 짧은 시간 후에, 액체의 흐름을 정지시키는 평형상태에 도달된다. 이 흐름의 정지는 개구부(510)를 가로지르는 표면장력에 의한 것이다.
표면장력을 깨뜨림은 유체를 개구부(510)와 접촉시키게 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이 유체는 정지한 액체나, 안정상태 또는 난류흐름의 공기 및 액체이다.
도 2에 도시된 바람직한 실시예에 관하여, 수용기는 물탱크(도시되지 않음)내에 위치되는데, 개구부(510)는 물탱크의 수위선 A-A의 표면 아래에 있다. 개구부(510)와 물의 접촉은 표면장력의 막을 깨뜨리고, 소독물질이 개구부(510)에서의 정수압 때문에 물탱크로 흐르게 된다. 수용기로부의 물질의 흐름은 수용기(5)의 개구부(510)에서의 압력이 물탱크내의 물이 개구부(510)에 가하는 압력과 같게 될 때까지 수용기내의 압력을 감소시킨다. 이 단계에서, 수용기로부터의 물질의 흐름은 확산에 의해 누출되는 무시해도 되는 양을 제외하고 정지하게 된다.
위생설비가 다음에 사용될 때, 이제 소량의 소독물질과 혼합되어진 물탱크내의 물은 세척과 소독 및 방취를 위해 화장실내로 흘러가게 된다. 한편, 수용기(5)의 개구부(510)는 노출되고, 소량의 공기가 수용기(5)내로 끌어당겨져 수용기 상부에서의 공기내의 압력을 대기압으로 되게 한다. 다음으로, 표면장력의 막이 개구부를 가로질러 형성되어, 물탱크가 다시 채워지고 물이 다시 개구부(510)와 접촉할 때까지 수용기(5)로부터 소독재료의 추가적인 유출을 방지하게 된다. 이때, 다른 양의 물질은 수용기(5)내의 압력감소가 흐름을 다시 막을 때까지 물탱크내로 투여된다. 이후에, 이 과정은 위생설비의 각각의 사용과 함께 되풀이된다.
장치에 의해 투여된 소독물질의 양은, 예컨대 출구통로(520,530)의 길이와 개구부(510)의 단면적과 같은 개구부(510)의 물리적인 크기로 결정된다. 따라서, 수용기로부터의 투여된 양은 다른 개구부의 사용으로 제어되거나 변경될 수 있다.
바람직하기로, 투여장치는 개구부(510)의 물리적 크기를 변경시키는 수단을 구비하고 있다. 이 실시예에서, 이 변경수단은 마개(51)내의 통로(520,530)로 형성된 개구부(510)의 형태로 될 수 있다. 상기 마개부(52,53)는 차레로 포개어질 수 있는 2개의 마개부(52,53)를 구비한다. 이들 마개부(52,53)는 단일 또는 복합적으로 사용될 수 있어 통로의 길이가 조절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마개부들은 다른 직경을 갖게 되어서(도시되지 않음), 필요한 직경은 적당한 마개부를 선택함으로써 얻어질 수 있다. 수용기(5)의 개구부(510)의 길이와 직경은 이 개구부를 통한 액체나 물질의 흐름률에 영향을 미친다. 그러므로, 개구부의 크기가 변경되어 수용기를 나오는 소독물질의 양을 조절하게 된다. 개구부(510)의 물리적인 크기를 변경시키는 수단은 전술한 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여러 실시예들이 개구부를 수축시키고 크기를 변경시키는 기능을 성취하도록 제안될 수 있다. 예컨대, 다른 실시예에서, 구멍(도시되지 않음)형상의 개구부가 제공되는데, 그 직경은 구멍을 통해 송곳을 밀어넣음으로써 확장될 수 있다.
위생설비가 사용되지 않을 때, 다수의 개구부가 조합된 영향으로 일단 평형상태에 도달하여 소독물질이 대체로 수용기내에 남아있게 됨을 여전히 확실히 하게 되면 하나 이상의 개구부가 사용될 수 있다. 다수의 개구부의 제공은 수용기로부터 소독물질의 더 많은 양을 처리할 수 있게 한다.
이 실시예의 장점은 투여하는 간단한 수용기가 위생설비에 위치될 수 있다는 것으로, 소독물질의 양은 위생설비를 통해 흐르는 액체와의 접촉을 통해 간단히 투여될 수 있다. 생각건대, 이러한 장치는 액체와의 접촉이 가능한 위생설비내의 영역내에 편리하게 위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가 도 3과 도 4에 도시되어 있다. 이 추가적인 실시예의 설명에서, 도 1과 도 3에 도시된 수용기의 도면은 유사하고, 명확히 하기 위해 유사한 형태에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사용한다. 이는 두 실시예가 동일함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도 3을 참조하면, 수용기(5)는 용기(40,41)내에 수용된다. 이 수용기(5)는 유동가능한 소독물질을 보유하는 데에 사용되며, 아래쪽을 향한 개구부(51)도 구비하고 있다. 도 1과 도 2의 전술한 실시예에서 설명한 압력의 다른 효과를 이용하는 수요기로부터 소독물질을 추출하는 동일한 원리가 도 3의 추가적인 실시예에서도 이용된다.
도 3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위생설비로부터의 유체는 흐름통로(B)를 통해 전달되어 즉시 인접한 수용기(5)의 개구부(510)로 흐르게 된다. 이 실시에의 흐름통로는 다음과 같은 바, 유체가 파이프(2)를 통해 용기(40,41)로 들어가는데, 이 파이프(2)는 각이 진 나사밸브의 형태인 조절가능한 제어밸브(3)에 의해 용기(40, 41)에 연결되어 있다. 파이프로부터(2)의 유체는 개구부(510)에 인접한 용기내 공간(500)으로 들어간다. 상기 각이 진 나사밸브(3)는 용기(40)의 기저부의 구멍(400 )을 통해 고정되며, 육각너트(42)로 고정되어 있다. 파이프(2)가 개구부(520)에 인접한 용기(40,41)에 연결되어 있지만, 유체가 개구부(510) 아래의 용기로 바로 들어갈 필요는 없다. 유체가 개구부(510)와 접촉하기만 하면 된다. 그러나, 수용기내의 소독물질이 점차적으로 희석되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유체는 수용기(5)내로 직접 흐르지 말아야 한다.
위생설비가 사용될 때 유체는 파이프(2)를 통해 공간(500)으로 전달되고, 개구부(510)를 가로지르는 표면장력의 막을 깨뜨려 수용기(5)로부터 소독물질의 흐름을 시작하게 된다. 유체와 투여되는 소독물질은 용기(40,41)의 기저부에서 혼합되고 수집된다. 일단 위생설비로부터의 유체의 유입이 정지되면, 유체와 소독물질의 혼합은 용기(40,41)로부터 화장실로 배출된다. 이는 개구부(510)을 다시 공기에 노출시킨 채로 남겨두어서, 표면장력의 막이 재형성되어 위생설비가 다음에 사용될 때까지 수용기(5)로부터의 소독물질의 흐름을 멈추게 할 수 있다.
위생설비로부터의 유체는 일반적으로 공기와 액체의 난류혼합물이다. 주파이프(610)의 압력이 높으면, 전달된 유체는 액체가 투여장치로부터 넘치게 될 정도의 힘에 의해 용기(40,41)로 들어가게 된다. 이는 조절가능한 제어밸브(3)로 방지되어서 흐름통로가 수축되면서 용기(40,41)로의 흐름을 추가로 저지하게 된다. 그러나, 이는 용기로부터의 소독물질의 흐름을 심하게 수축시키기도 한다. 이러한 관점에서, 도 3a와 도 3b에 도시된 실시예는 흐름통로(B)내에 플라스틱 구형체(501)와 같은 하나 이상의 활주부재가 위치된다. 이 구형체(501)는 통로(B)내에 적합하게 되어 통로가 대체로 차단되는 한편, 충분한 틈새가 있어 구형체(501)가 자유로이 미끄럼 이동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위생설비가 분출될 때, 주파이프(610)로부터 전달된 유체는 통로(B)를 따라 급속히 흘러서 그 앞의 구형체(501)를 밀어내게 된다. 이는 차례로 통로(B)를 따라 용기(40,41)까지 밀어 넣어지는 공기 피스톤을 창출한다. 이는 표면장력의 막을 깨뜨리고 소독물질의 흐름을 시작하도록 작용하는 수용기(5)의 개구부(510)에서의 흐름조건을 창출한다. 이 흐름조건은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구형체가 통로 (B)의 끝에서 머무르게 될 때 위생설비로부터의 모든 액체가 용기(40,41)로 흘러가는 것이 방해되지 않는다면, 최대한으로 단지 공기 또는 공기와 소량의 액체로 될 수 있다. 따라서, 용기(40,41)로부터의 액체의 넘침은 방지된다.
더구나, 상기 유체가 위생설비로 다시 배출될 때, 구형체(501)는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로를 따라 끌어당겨질 것이다. 이는 액체가 위생설비로 배출될 때 소독물질이 액체와 혼합되는 통로(B)내로 조절가능한 제어밸브(3)를 통해 소독물질의 방출에 도움이 되는 용기(40,41)와 구형체(501) 사이에 저압력의 영역을 창출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가 연결될 수 있는 소변기(600) 형태인 위생설비의 한 예가 도시되어 있다. 주파이프(610)으로부터 물은 분출과정 동안 소변기로 흐른다. 주파이프로부터의 물의 일부는 B방향쪽으로 파이프(2)를 따라 전달된다. B방향으로의 물의 흐름은 도 3에 도시되어 부품들의 상호관계를 보여주고 있다. 도 5의 소변기는 단지 예로서 제공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세면기나 변기 또는 위와 유사한 다른 형태의 위생설비에 연결될 수도 있음은 명확하다.
추가적인 실시예의 다른 예에서,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여러 부품들을 도시한 사시도로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용기(5)는 기저부(40)와 미끄럼이동 가능한 덮개(41)를 갖춘 두 부분의 용기(40,41) 내부에 수용된다. 이 수용기(5)는 기저부(40)내에 분리가능하게 위치되고, 덮개(41)는 기저부(40)상에서 미끄럼이동하여 그 안의 수용기를 둘러싸게 된다. 기저부(40)의 뒤쪽 지지판은 구멍(45)을 갖추어 용기가 예컨대 벽에 장착되도록 되어 있다. 이 실시예에서, 기밀밀봉이 없으며, 용기(40,41)의 내부는 대기압에 개방되어 있다.
상기 용기(40,41)의 내부(40,41)가 통풍구멍(45) 형태인 구멍을 갖추고 대기압에 개방되어 있기 때문에, 용기내의 소독물질의 냄새는 대기로 확산되어 상쾌한 공기정화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위생설비를 분출시키도록 투여장치를 결국 떠나게 되는 물안의 소독물질의 마지막 부분은 두가지 요인에 따르게 되는 바, 즉 파이프(2)를 통해 투여하는 장치로 들어가는 물이나 유체의 양과, 이 물로 투여되는 소독물질의 양에 따르게 된다.
이 실시예에서, 투여장치로 드러가는 물이나 유체의 양은 바람직하기로 직경가변구조를 갖춘 밸브(3)로 제어된다. 이 밸브(3)는 물이 흐를 수 있는 내부덕트를 구비한다. 물은 파이프(2)로 들어가고, 밸브의 덕트를 통해 용기(40)의 기저부내로 흐르게 된다. 상기 밸브(3)의 내부덕트는 내부적으로 암나사가 형성된 나사이다. 중공의 슬리이브(31)는 보조적인 숫나사가 형성되어 있다. 내부덕트내의 슬리이브 (31)의 위치는 슬리이브(31)를 회전시킴으로써 조정될 수 있다. 슬리이브(31)의 바닥부(32)는 승하강하여 물이 흘러야 하는 구멍(35)의 단면적을 증감시킬 수 있다. 실제로, 덕트의 단면적은 덕트내 슬리이브(31)의 가변적인 위치에 의해 변경될 수 있다. 밸브(3)의 구조는 슬리이브가 덕트의 분기부를 폐쇄 또는 정도를 변화시키도록 사용함으로써 생기게 된다. 이 실시예에서, 상기 분기부는 비선형부분도 굽어져 있을 수 있지만, 밸브(3)내에 직각인 연결부로 형성된다.
중공의 슬리이브의 상부림(rim)은 슬리이브를 나사드라이버로 ㄹ회전시킬 수 있는 홈이나 만입부를 갖추고 있다. 구멍(35)의 크기는 슬리이브(31)의 바닥부(310 )의 위치를 변경시킴으로써 변화하게 된다. 구멍(35)의 크기는 적당한 양의 액체가 용기(40)의 기저부로 들어갈 수 있도록 선택된다.
나사밸브(3)는 한정된 분출시간을 갖는 위생설비에 사용될 때 특히 바람직하다. 상기 나사밸브는 물이 연속으로 흘러가는 설비용으로는 바람직하지 않은데, 이는 나사밸브가 미리 결정된 양으로 물의 흐름을 중단시킬 수 없기 때문이다. 대신에, 물이 한정된 시간동안 흐른다는 전제하에 가변적인 구멍이 한정된 분출시간 동안 밸브를 통과하는 물의 양에 영향을 끼치게 된다. 한 예로, 도 5의 소변기는 몇 초의 분출시간을 갖는다. 이 분출시간 동안, 물의 일부는 각이 진 나사밸브(3)를 통헤 파이프(2)를 따라 전달된다. 그러므로, 구멍의 크기를 변화시키도록 중공의 슬리이브(31)를 조절하는 것은 한정된 분출시간 동안 용기로 들어가는 물의 양을 결정한다. 용기로 들어가는 물의 양은 소변기로 복귀되는 소독물질의 희석정도를 결정한다.
변동의 올바른 조화를 성취하기 위해 실험이 필요한데, 위생설비의 물안의 소독물질의 필요한 희석을 생성하게 된다. 이들의 변동들은 용기로 들어가는 물의 양과, 물로 투여되는 소독물질의 양, 수용기(5)의 개구부(510)의 물리적인 크기 및, 소독물질의 점도를 포함한다. 더구나, 소독물질을 추출하는 수용기(5)의 개구부에서의 상이한 압력은 직경가변구조에 의해 기저부(40)로 들어갈 수 있게 된 물의 양에 의해 영향을 받을 수 있다.
상기 직경가변구조는 구멍(35)을 변화시키기 위해 나삿니와는 다른 기구를 사용할 수 있다. 예컨대, 내부슬리이브는 마찰 또는 압착고정으로 내부덕트내에 미끄럼이동 가능하게 위치된다. 바람직하기로, 직경가변구조는 사진렌즈의 구멍에서 발견되는 것과 유사한 조리개구조를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다수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밸브(3)의 직경을 변화시키는 작용을 성취하도록 제안될 수 있다. 본질적으로, 직경가변구조는 나사밸브로 이루어질 필요는 없으나, 구멍의 크기를 변화시킬 수 있는 다수의 바람직한 구조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직경가변구조를 갖춘 밸브의 실시예는 다른 유형의 소독물질을 투여하는 장치에 사용될 수 있다. 예컨대, 직경가변구조를 갖춘 밸브의 실시예는 롯티(Lotti)의 국제출원 제 PCT/GB82/00341호의 구멍(종래기술의 내용은 본 명세서에 병합되지 않음)에 사용될 수 있다. 롯티의 특허출원의 플로우트 밸브(float valve)의 단점은 챔버로 들어가는 물을 위한 흐름통로를 제한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플로우트 밸브는 물의 흐름통로에 방해물로 작용하여, 이에 의해 챔버내의 난류가 최소화된다. 이 실시예에는 물이 파이프(2)와 밸브(3)를 통해 들어가는 전용유동채널이 있다. 이 전용유동채널은 용기내의 난류의 가능성을 증가시킨다. 난류의 양은 수용기(5)의 개구부를 통과한 유체의 흐름을 창출하는 데에 도움이 되어 소독물질의 추출이 개구부의 외부에서 쉽게 이동하는 유체의 정압을 낮추도록 작용하는 벤츄리(Venturi)효과에 의해 향상된다. 난류는 물안에서 소독물질을 혼합하는 데에 도움이 되기도 한다. 더구나, 종래기술에 사용된 플로우트 밸브는 단지 미리 예정된 양의 물이 챔버로 들어가게 할 수 있는 한편, 직경가변구조는 용기로 들어가는 물의 양을 변결시킬 수 있게 되어 있다. 상기 수용기내의 소독물질의 유형이나 농도에 따라 물의 양을 변경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 농축된 물질은 용기로 들어가는 데에 많은 양의 물을 필요로 하여 더욱 묽은 희석정도를 제공한다.
투여하는 장치의 추가적인 실시예가 도 6에 도시되어 있는데, 이는 도 3의 실시예와 유사하다. 그러나, 주파이프나 다른 액체유동채널에서 위생설비에 연결되는 장치(4) 대신에, 이 실시예는 저장기나 저장탱크를 구비한 위생설비에 사용되도록 적합하게 되어 있다.상기 저장기는 각 분출로 투여되는 액체의 양을 저장하고, 이 저장기의 액체수위는 수위선(A-A)로 도 6에 도시되어 있다.
상기 장치(4)는 투여하는 튜브(2A)를 갖추고 있다. 이 튜브(2A)는 저장기(A-A)의 액체내에 잠겨있을 수 있다. 물탱크나 저장기의 액체수위가 올라가고 각 분출로 떨어지며 다시 채우는 순환을 이룰 때, 튜브(2A)내의 액체수위는 세로로 상승한다. 튜브(2A)내의 액체수위가 단지 물탱크내의 액체수위 만큼 높게 올라갈 수 있기 때문에, 튜브(2A)내의 액체수위는 결코 밸브(3)만큼 높이 도달하지 못한다. 하지만, 튜브(2A)내 액체의 승하강은 밸브(3)내에 공기흐름을 창출한다. 저장기의 분출동안 튜브(2A)내의 액체수위가 떨어지면서, 용기(40,41)로부터의 공기가 수용기의 개구부(510)를 지나 밸브(3)와 튜브(2A)내로 흘러서, 튜브내에서 수축하는 액체에 의해 창출된 공간을 채우게 된다. 이 공기흐름은 전술된 방식으로 수용기(5)로부터 소량의 소독재료를 끌어당기기에 충분하다.
추가적인 실시예에서, 개구부(510)에 인접한 용기(40,41)내에 제한된 저압영역을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벤츄리 효과를 성취하도록 그 근처에 액체의 흐름을 제공함으로써 이루어진다.
전술한 실시예에서, 용기(40,41)와 수용기(5) 및 마개(51)의 부품들은 플라스틱 재료로 만들어지며, 상기 마개부(52,53)는 탄력있는 플라스틱 재료로 만들어진다. 각이 진 나사밸브(3)는 플라스틱 재료를 사출성형하여 제조되며, 중공의 슬리이브(31)는 금속으로 만들어진다. 중요하기로, 본 발명의 부품들은 각 부붚들의 기능을 이행하도록 작용하는 임의의 재료로 만들어질 수 있다.
위생설비를 통해 흐르는 액체는 통상 물이나, 본 발명은 다른 유형의 액체를 사용하는 위생설비에 사용될 수 있다. 광범위한 특징의 본 발명은 특정한 유형의 액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실시예들은 단지 예로서 설명되었으며, 첨부된 청구범위의 정신과 범주내에서 변형이 가능하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공지된 장치보다 제조하기에 값싸고 쉬운 소독물질을 투여하는 장치와 방법을 제공하게 된다.

Claims (31)

  1. 적어도 하나의 제한된 유출구를 구비하고 유동가능한 물질을 수용하는 수용기를 포함하되, 상기 제한된 유출구에서 유동가능한 물질이 위생설비의 공기흐름 또는 액체와 연통되지 않을 때는, 상기 제한된 유출구는 유동가능한 물질이 아랫방향으로 흐르는 것이 방지되는 형상으로 되어 있고, 상기 제한된 유출구에서 상기 유동가능한 물질이 위생설비의 공기흐름 또는 액체와 연통되고 있을 때는 상기 유동가능한 물질이 상기 제한된 유출구를 통해 아래로 흐를 수 있는 형상으로 된 위생설비에 사용되기 위한 유동가능한 물질을 투여하는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기가 상기 위생설비에 장착될 장착수단을 추가로 구비하되, 상기 위생설비의 공기흐름 또는 액체가 이 제한된 유출구에 대해 위쪽으로 흐르는 것을 받아들이는 위치에서 상기 제한된 유출구는 아래쪽으로 향하도록 배치된 위생설비에 사용되기 위한 유동가능한 물질을 투여하는 장치.
  3. 액체를 수용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액체를 받아들이는 입구수단과 상기 액체를 흘러나가게 하는 출구수단을 구비한 제1수용기와, 상기 제1수용기내에 위치되고, 유동가능한 물질을 수용하도록 되며, 아래쪽으로 향한 적어도 하나의 제한된 유출구를 구비한 제2수용기를 포함하되, 상기 제한된 유출구에서 유동가능한 물질이 상기 액체에 접촉하지 않거나 상기 제1수용기에서 공기흐름에 노출되지 않은 때는, 상기 제한된 유출구는 유동가능한 물질이 아랫방향으로 흐르는 것이 방지되는 형상으로 되어 있고, 상기 제한된 유출구에서 상기 유동가능한 물질이 상기 제1수용기에서 액체와 연통하거나 공기흐름에 노출된 때에는 상기 유동가능한 물질이 상기 제한된 유출구를 통해 아래로 흐를 수 있는 형상으로 된 위생설비의 액체속으로 유동가능한 물질을 투여하는 장치.
  4. 액체를 수용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액체를 받아들이는 입구수단과 상기 액체로 흘러나가게 하는 출구수단을 구비한 제1수용기와, 상기 제1수용기내에 위치되고, 유동가능한 물질을 수용하도록 되며, 아래쪽으로 향한 적어도 하나의 제한된 유출구를 구비한 제2수용기를 포함하되, 상기 유동가능한 물질이 평형상태에 있을 때 상기 제한된 유출구는 유동가능한 물질이 아래쪽으로 흐르는 것을 방지하는 형상으로 되어 있으며, 상기 제한된 유출구를 통한 유동가능한 물질의 흐름을 도우기 위해 저압의 국부영역이 형성되도록 상기 제한된 유출구에서 유동상태를 제공하는 공기나 액체유동발생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위생설비의 액체속으로 유동가능한 물질을 투여하는 장치.
  5. 제 3항 또는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1수용기는 위생세척액체를 보유하는 용기에 의해 형성되고, 상기 액체를 보유하는 용기에 수용된 액체는 세척액으로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동가능한 물질을 투여하는 장치.
  6. 제 3항 또는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1수용기와 제2수용기는 소조립체(sub assembly)를 형성하고, 상기 제1수용기에 대한 상기 입구수단은 위생세척설비에서 액체 유동로에 연결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유동로에서 액체는 상기 제1수용기로 흘러들어갈 수 있게 된 유동가능한 물질을 투여하는 장치.
  7. 제 3항 내지 제 6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입구수단은 상기 출구수단에서 분리되어 있는 유동가능한 물질을 투여하는 장치.
  8. 제 3항 내지 제 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입구수단과 상기 출구수단은 공통유동통로로 형성된 유동가능한 물질을 투여하는 장치.
  9. 제 3항에 있어서, 공기나 액체 흐름 발생수단이 상기 제1수용기안으로 공기나 액체 흐름을 발생시키기 위해 형성되어 있되, 상기 흐름 발생수단은 상기 공기나 액체가 상기 제한된 유출구 바로 옆으로 흐르도록 하는 유동통로에 의해 형성된 유동가능한 물질을 투여하는 장치.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액체흐름으로 뽑아낼 수 있는 유동가능한 물질의 양은 부분적으로는 상기 제한된 유출구의 물리적인 크기에 의해 결정되는 유동가능한 물질을 투여하는 장치.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에는 상기 제한된 유출구의 물리적인 크기를 변경시키는 수단이 설치된 유동가능한 물질을 투여하는 장치.
  12. 제 3항에 있어서, 국부영역의 저압은 상기 제한된 유출구의 외면에 인접하게 형성되어 상기 국부영역의 저압에 대한 상기 유동가능한 물질의 흐름이 촉진되도록 된 유동가능한 물질을 투여하는 장치.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국부저압영역은 상기 제1수용기에서 상기 공기나 액체의 흐름으로부터 벤츄리효과에 의해 형성되는 유동가능한 물질을 투여하는 장치.
  14. 제 3항 내지 제 13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상기 제1수용기로 흐르는 상기 공기나 액체의 양을 제어하는 밸브를 구비하는 유동가능한 물질을 투여하는 장치.
  15.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에는 그 속을 관통하는 내부덕트가 구비되어 있되, 상기 내부덕트의 단면은 가변구조의 직경으로 변경될 수 있게 된 유동가능한 물질을 투여하는 장치.
  16.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덕트는 제1부분과 이 제1부분에 비스듬히 연결되어 서로 유체가 흐를 수 있게 된 제2부분으로 이루어져 있되, 상기 직경가변구조는 상기 제1부분내에 중공의 슬리브를 구비하고, 상기 슬리브는 제1 및 제2부분 사이의 유체 흐름이 변화될 수 있도록 선택적으로 이동될 수 있게 된 유동가능한 물질을 투여하는 장치.
  17. 유동가능한 물질이 수용기로부터 나갈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일반적으로 아래로 향한 유출구가 구비된 수용기에 유동가능한 물질을 넣어, 평행 상태에서, 상기 수용기에 든 상기 물질이 상기 수용기에 남아 있도록 하는 단계; 상기 유출구 가까이에 공기나 액체의 흐름을 생성시켜 유동가능한 물질의 양이 상기 흐름에 대응하여 상기 유출구를 통해 상기 수용기로부터 빠져나오게 하여, 상기 유동가능한 물질이 상기 액체에 의해 위생설비로 이송될 수 있게 된 상기 수용기로부터 위생설비로 유동가능한 물질을 투여하는 방법.
  18.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흐름은, 상기 유동가능한 물질의 흐름을 촉진하기 위해 상기 유출구 가까이에 국부저압영역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동가능한 물질을 투여하는 방법.
  19.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저압국부영역은 벤츄리효과에 의해 형성되는 유동가능한 물질을 투여하는 방법.
  20. 제17항 내지 제1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유출구 바로 가까운 위치로 상기 공기나 액체의 흐름을 생성하기 위해 유동통로를 형성시킨 수용기로부터 위생설비로 유동가능한 물질을 투여하는 방법.
  21. 위생설비로부터 공기 및 또는 액체의 흐름을 받아들이는 입구수단을 구비한 제1 수용기,
    상기 제1 수용기에서 공기나 액체가 흘러나오게 하는출구수단,
    상기 제1 수용기 내에서 상기 유동가능한 물질을 보유하도록 되어 있고, 적어도 하나의 제한된 유출구를 구비하고 있는 제2 수용기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한된 유출구는 이 제한된 유출구 가까이에서 공기나 액체의 유동상태에 따라 유동가능한 물질을 흐르게 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한된 유출구는 이 제한된 유출구 가까이에서 유동상태가 없는 경우에는 상기 유동가능한 물질이 흐르지 않도록 하는 위생설비로 유동가능한 물질을 투여하는 장치.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나 액체유동 발생수단은 위생설비와 상기 입구수단 사이에 유체 이동을 제공하는 유동통로와, 이 유동통로를 따라 자유로이 미끄러질 수 있고 상기 유동통로를 따라 유체이동을 실질적으로 막을 수 있는, 유동통로내에 설치된 적어도 하나의 활주부재를 구비하되, 상기 위생설비로부터 나온 공기나 액체는 상기 유동통로를 따라 상기 활주부재를 구동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한된 유출구 가까이에서 공기나 액체의 유동상태를 발생시키기 위해 일단의 공기나 액체가 상기 입구수단을 강제적으로 통하도록 되어 있는 위생설비로 유동가능한 물질을 투여하는 장치.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나 액체가 상기 위생설비로 되돌려 유입될 때, 상기 적어도 하나의 활주부재는 상기 유동통로를 따라 상기 위생설비 쪽으로 이끌려져 상기 적어도 하나의 활주부재와 상기 출구수단 사이에 저압영역을 생성시켜 유동가능한 물질의 흐름을 상기 제1 수용기로부터 상기 유동통로로 촉진시키도록 된 위생설비로 유동가능한 물질을 투여하는 장치.
  24. 제22항 또는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활주부재는 플라스틱 구형체로 된 위생설비로 유동가능한 물질을 투여하는 장치.
  25. 위생설비에 연결될 수 있고, 안쪽에 내부 덕트가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내부 덕트의 단면은 직경 가변구조에 의해 변경될 수 있고, 상기 가변구조의 조정은 위생물질 투여장치로 들어가는 액체의 양을 조절하도록 된 위생물질 투여장치에 사용될 밸브.
  26.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직경 가변구조는 상기 덕트내에 삽입될 수 있는 중공의 슬리브를 포함하되, 상기 슬리브는 상기 덕트의 비선형부분에 대해 변경되어 조정될 수 있도록 되어, 상기 덕트의 유동영역이 상기 슬리브에 의해 변화될 수 있도록 된 위생물질 투여장치에 사용될 밸브.
  27.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슬리브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어서 상기 덕트내에서 조정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게 된 위생물질 투여장치에 사용될 밸브.
  28. 유동가능한 물질을 수용하고 적어도 하나의 제한된 유출구를 갖춘 수용기를 구비하되, 상기 제한된 유출구는 이 제한된 유출구에서 유동가능한 물질이 상기 위생설비의 액체와 연통되지 않을 때 유동가능한 물질의 아래쪽으로의 흐름을 방지하도록 되어 있는 한편, 상기 제한된 유출구에서 유동가능한 물질이 위생설비의 액체와 연통될 때 상기 제한된 유출구를 통해 유동가능한 물질이 아래쪽으로 흐를 수 있도록 형성된 위생설비에 사용될 유동가능한 물질 투여장치.
  29.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기가 상기 위생설비에 장착될 장착수단을 추가로 구비하되, 상기 위생설비 액체가 이 제한된 유출구에 대해 위쪽으로 흐르는 것을 받아들이는 위치에서 상기 제한된 유출구는 아래쪽으로 향하도록 배치된 위생설비에 사용될 유동가능한 물질 투여장치.
  30. 액체를 수용하도록 되어 있으면서 상기 액체의 흐름을 받아들이는 입구수단과 액체가 흘러나오게 하는 출구수단을 구비한 제1 수용기와, 상기 제1 수용기 내에 위치되어 유동가능한 물질을 수용하면서 아래쪽으로 향한 적어도 하나의 제한된 유출구를 갖춘 제2 수용기를 구비하되, 상기 제한된 유출구는 이 제한된 유출구에서 유동가능한 물질이 상기 제1 수용기의 액체와 연통되지 않을 때 유동가능한 물질이 아래쪽으로 흐르는 것을 방지하도록 되어 있는 한편, 상기 제한된 유출구에서 유동가능한 물질이 상기 제1 수용기의 액체와 연통될 때 이 제한된 유출구를 통해 유동가능한 물질이 아래쪽으로 흐를 수 있도록 형성된 위생설비의 액체로 유동가능한 물질을 투여하는 투여장치.
  31.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수용기쪽으로 액체흐름을 발생시키는 액체흐름 발생수단이 구비되어 있되, 상기 흐름발생수단은 상기 액체를 상기 제한된 유출구 바로 가까이에서 흐르게 하는 유동통로로 형성되어 있는 위생설비의 액체로 유동가능한 물질을 투여하는 투여장치.
KR1019997005325A 1996-12-14 1997-12-13 투여하는 장치 및 방법과 밸브 KR2000006948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SG9611883 1996-12-14
SG9611883-1 1996-12-14
US5319397P 1997-07-21 1997-07-21
US60/053,193 1997-07-21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69481A true KR20000069481A (ko) 2000-11-25

Family

ID=266651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7005325A KR20000069481A (ko) 1996-12-14 1997-12-13 투여하는 장치 및 방법과 밸브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1) US6530094B1 (ko)
EP (1) EP0944763B1 (ko)
JP (1) JP2001506332A (ko)
KR (1) KR20000069481A (ko)
CN (1) CN1182307C (ko)
AR (1) AR017249A1 (ko)
AU (1) AU748938C (ko)
CA (1) CA2275233A1 (ko)
DE (1) DE69728558D1 (ko)
ID (1) ID19143A (ko)
WO (1) WO1998027288A2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51648A (ko) * 2017-11-07 2019-05-15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싱크대의 배수관 세정 방법 및 이를 위한 세정 용기
KR20200060336A (ko) * 2020-05-25 2020-05-29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싱크대의 배수관 세정 방법 및 이를 위한 세정 용기
US11268268B2 (en) 2017-11-06 2022-03-08 Lg Household & Health Care Ltd. Method for cleaning drain pipe of sink and cleaning container therefor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175152B2 (en) * 2003-07-11 2007-02-13 Csav, Inc. Display mounting device
SG147295A1 (en) * 2004-05-07 2008-11-28 Calfarme Singapore Pte Ltd Flowable material dispensing apparatus
US20090151061A1 (en) * 2007-12-12 2009-06-18 Cheng-Chang Chen Urinal assembly
KR200456056Y1 (ko) * 2008-12-26 2011-10-11 주식회사 노비타 비데의 노즐 세척유닛
KR200455430Y1 (ko) 2009-01-05 2011-09-05 주식회사 중일테크 변기용 세정제 자동공급장치
JP5749110B2 (ja) * 2011-07-28 2015-07-15 株式会社吉野工業所 薬液注出器
MX2016005486A (es) 2013-11-07 2016-08-03 Colgate Palmolive Co Dispositivo dispensador de liquido rellenable.
US9869080B2 (en) * 2015-11-05 2018-01-16 Doron Shoval Cleaning liquid dispenser
US11261591B1 (en) * 2018-04-13 2022-03-01 Robin SIM Toilet bowl formula dispensing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447289A (en) * 1923-03-06 And the like
GB692495A (en) * 1950-08-18 1953-06-10 Clerk Robert Cecil Deodorant and detergent dispensing device for use in flushing systems
CH371403A (de) * 1959-09-18 1963-08-15 Maarten Komter Jan Apparat zum Zusetzen einer Menge einer Flüssigkeit zu einer zweiten Flüssigkeit
US3002197A (en) * 1959-12-14 1961-10-03 Wayne H Baker Dispensing mechanism for liquid deodorants
DE2100795C3 (de) * 1971-01-08 1974-02-07 Hans Grohe Kg, 7622 Schiltach Vorrichtung zum dosierten Zuführen eines flüssigen Zugabemittels in ein Spülklosett
GB1462201A (en) * 1974-01-21 1977-01-19 Braun Co W Liquid dispensing device
US3964108A (en) * 1974-11-20 1976-06-22 Sloan Valve Company Deoseptic assembly for bedpan rinser
IT1172134B (it) * 1981-12-04 1987-06-18 Wellcome Italia Perfezionamento nei dosatori di liquido di trattamento per impianti igienico - sanitari
AU575896B2 (en) * 1984-01-03 1988-08-11 Tanbeau Pty Limited Dispenser for toilets
US5377363A (en) * 1994-03-09 1995-01-03 Shieh; Snoopy Automatic lavatory detergent and perfume dispenser
DE9411912U1 (de) * 1994-07-07 1994-09-29 Fzb Biotechnik Gmbh, 12489 Berlin Anordnung zum Zudosieren von Flüssigkeiten zu strömenden Fluiden
GB2319456B (en) * 1996-11-26 1999-08-25 Alliance Pet Supply Company Li An animal habitat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268268B2 (en) 2017-11-06 2022-03-08 Lg Household & Health Care Ltd. Method for cleaning drain pipe of sink and cleaning container therefor
KR20190051648A (ko) * 2017-11-07 2019-05-15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싱크대의 배수관 세정 방법 및 이를 위한 세정 용기
KR20200060336A (ko) * 2020-05-25 2020-05-29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싱크대의 배수관 세정 방법 및 이를 위한 세정 용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5893898A (en) 1998-07-15
AR017249A1 (es) 2001-09-05
DE69728558D1 (de) 2004-05-13
US6530094B1 (en) 2003-03-11
CN1182307C (zh) 2004-12-29
AU748938C (en) 2004-03-04
ID19143A (id) 1998-06-18
CA2275233A1 (en) 1998-06-25
WO1998027288A3 (en) 1998-10-15
WO1998027288A2 (en) 1998-06-25
EP0944763A2 (en) 1999-09-29
JP2001506332A (ja) 2001-05-15
AU748938B2 (en) 2002-06-13
EP0944763B1 (en) 2004-04-07
CN1242814A (zh) 2000-01-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358056A (en) Shower dispenser
KR20000069481A (ko) 투여하는 장치 및 방법과 밸브
US20080301866A1 (en) Cleaning Agent Dispenser for a Flushing Tank
CA1239757A (en) Automatic dispenser for disinfectant and bowl cleaning fluid
US2967310A (en) Liquid dispensing apparatus
US11773577B2 (en) Additive dispenser
US10947712B2 (en) Device for delaying introduction of agents to a cistern
US5353957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ed dispensing of a liquid
US5815850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hemical dispensing into toilet bowl
JPS59185237A (ja) タツプ
US6820287B2 (en) Down-stroke dispenser
AU660792B2 (en) Liquid dispensing apparatus and method
US3019451A (en) Dispenser for disinfectant and the like
PT1287211E (pt) Distribuidor de líquido para a manutenção de bacias sanitárias.
US2888685A (en) Toilet deodorizing device
US1107393A (en) Liquid-dispensing apparatus.
US4131958A (en) Dispensation of concentrated solution into toilet flush tank
US11668083B2 (en) System and method for automatic dispensing of a liquid
JPS625108Y2 (ko)
IL168413A (en) Method and system comprising a refillable reservoir for adding solid or liquid chemicals into the toilet flushing water
GB2373257A (en) Lavatory apparatus having cleaning fluid dispensing assembly actuated by toilet lid
AU2002257264A1 (en) Down-stroke dispens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