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68797A - 세파로스포린 결정 및 그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세파로스포린 결정 및 그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68797A
KR20000068797A KR1019997003429A KR19997003429A KR20000068797A KR 20000068797 A KR20000068797 A KR 20000068797A KR 1019997003429 A KR1019997003429 A KR 1019997003429A KR 19997003429 A KR19997003429 A KR 19997003429A KR 20000068797 A KR20000068797 A KR 2000006879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ephalosporin
crystals
alcohol
oily substance
prepa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70034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67564B1 (ko
Inventor
가메야마유타카
시로이다카시
Original Assignee
오츠카 유지로
오츠카 가가쿠 가부시키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16871973&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20000068797(A)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오츠카 유지로, 오츠카 가가쿠 가부시키 가이샤 filed Critical 오츠카 유지로
Publication of KR200000687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687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675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67564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501/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5-thia-1-azabicyclo [4.2.0] octane ring systems, i.e. compounds containing a ring system of the formula:, e.g. cephalosporins; Such ring systems being further condensed, e.g. 2,3-condensed with an oxygen-, nitrogen- or sulfur-containing hetero ring
    • C07D501/14Compounds having a nitrogen atom directly attached in position 7
    • C07D501/16Compounds having a nitrogen atom directly attached in position 7 with a double bond between positions 2 and 3
    • C07D501/207-Acylaminocephalosporanic or substituted 7-acylaminocephalosporanic acids in which the acyl radicals are derived from carboxylic acids
    • C07D501/247-Acylaminocephalosporanic or substituted 7-acylaminocephalosporanic acids in which the acyl radicals are derived from carboxylic acids with hydrocarbon radicals, substituted by hetero atoms or hetero rings, attached in position 3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501/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5-thia-1-azabicyclo [4.2.0] octane ring systems, i.e. compounds containing a ring system of the formula:, e.g. cephalosporins; Such ring systems being further condensed, e.g. 2,3-condensed with an oxygen-, nitrogen- or sulfur-containing hetero ring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ephalosporin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장기간, 경제적인 보존 조건하에서 고도로 안정화된 세파로스포린 결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세파로스포린 결정은 세파로스포린의 오일상 물질을 알콜을 함유하는 용매 중에서 결정화시키는 것에 의하여 얻어진다.

Description

세파로스포린 결정 및 그의 제조방법{CEPHALOSPORIN CRYSTALS AND PROCESS FOR PRODUCING THE SAME}
[식중, R은 p-메톡시벤질기 또는 디페닐메틸기를 나타낸다.]
으로 표시되는 세파로스포린(cephalosporin)은 세파조린(cefazolin) 등의 각종 항생물질을 합성하기 위한 중요한 중간체로서 공지된 화합물이다.
세파조린은
으로 표시되고, 오늘날 넓게 이용되고 있는 항생물질이다(최신항생물질요람, 카츠하루 사카이(酒井克治) 저, p. 59 참조).
종래,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세파로스포린은, 예를 들면, 일본 특공평1-41153호 공보에 기재된 방법으로 제조되고 있다. 이 방법으로는, 실리카 겔 컬럼에 의해 정제를 행하고 있지만, 목적으로 하는 세파로스포린 화합물은 오일상 물질의 형태로 얻어질 뿐이다.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세파로스포린은, 분자내에 반응활성인 염소원자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오일상 물질의 상태로는 불안정하고, 예를 들어, 실온에서 보관하면 염산을 방출하여 자기분해를 촉진하여, 품질의 저하를 일으킨다. 그렇기 때문에, 온화한 조건에서 비교적 장기간 안정하게 취급할 수 있는 형상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세파로스포린 결정 및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하나의 목적은 장기간, 경제적인 보존조건하에서 고도로 안정화된 세파로스포린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온화한 조건에서 장기간 안정하게 취급할 수 있는 결정 형태의 세파로스포린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이러한 세파로스포린 결정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그 밖의 특징은 이하의 기재에 의하여 명확하게 될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여러 가지 연구를 거듭한 결과, 오일상 물질 형태의 세파로스포린을 알콜을 함유한 용매 중에서 결정화시키는 것에 의하여, 안정한 결정 형태의 세파로스포린이 얻어지는 것을 발견하였다. 본 발명은 이러한 지식에 기초하여 완성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세파로스포린 결정이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화학식 1
[식중, R은 상기와 동일함.]
으로 표시되는 세파로스포린의 오일상 물질을 알콜을 함유하는 용매중에서 결정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파로스포린 결정의 제조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세파로스포린 결정은 실온에서 장기간에 걸쳐 보관하여도 염산을 방출하여 자기분해를 촉진하는 일은 없고, 품질의 저하를 일으키는 일은 없다. 따라서, 본 발명의 세파로스포린 결정은 장기간, 경제적인 보존조건하에서 고도로 안정화된 것이고, 온화한 조건에서 장기간 안정하게 취급될 수 있는 화합물로 된다.
본 발명의 세파로스포린 결정은 구체적으로는
로 표시되는 세파로스포린 결정 및
로 표시되는 세파로스포린 결정이다.
화학식 (1a)의 세파로스포린 결정은 모노크로메이터 실크 필터 (monochromator silk filter)를 통한 λ=1.5418 옹그스트롬의 구리 방사선으로 얻어지는 하기 표 1에 나타낸 X선 분말 회절 패턴에 의해 특징지워지는 백색 결정이다.
d I/Io
12.94 - 12.9611.67 - 11.699.90 - 9.926.46 - 6.486.32 - 6.345.80 - 5.824.95 - 4.974.72 - 4.744.65 - 4.674.50 - 4.524.43 - 4.454.28 - 4.304.16 - 4.184.04 - 4.063.97 - 3.993.85 - 3.873.77 - 3.793.69 - 3.713.55 - 3.573.53 - 3.543.44 - 3.463.36 - 3.383.28 - 3.303.21 - 3.233.19 - 3.213.15 - 3.173.08 - 3.102.89 - 2.912.84 - 2.862.67 - 2.692.59 - 2.612.57 - 2.592.49 - 2.512.48 - 2.50 0.55 - 0.670.46 - 0.560.09 - 0.110.57 - 0.690.22 - 0.260.56 - 0.680.42 - 0.520.63 - 0.770.65 - 0.790.60 - 0.740.28 - 0.340.50 - 0.621.000.23 - 0.280.15 - 0.190.67 - 0.810.42 - 0.520.13 - 0.150.06 - 0.080.05 - 0.070.49 - 0.590.18 - 0.220.13 - 0.150.18 - 0.220.14 - 0.170.18 - 0.220.16 - 0.200.20 - 0.240.09 - 0.110.13 - 0.150.14 - 0.180.10 - 0.120.09 - 0.110.12 - 0.14
(d는 격자면 간격, I/Io는 상대 강도를 나타낸다.)
화학식 (1b)의 세파로스포린 결정은 모노크로메이터 실크 필터 (monochromator silk filter)를 통한 λ=1.5418 옹그스트롬의 구리 방사선으로 얻어지는 하기 표 2에 나타낸 X선 분말 회절 패턴에 의해 특징지워지는 백색 결정이다.
d I/Io
14.86 - 14.88 1.00
13.45 - 13.47 0.49 - 0.59
8.67 - 8.69 0.09 - 0.11
8.44 - 8.46 0.09 - 0.11
8.01 - 8.03 0.10 - 0.12
7.75 - 7.77 0.28 - 0.34
7.07 - 7.09 0.32 - 0.39
6.75 - 6.77 0.23 - 0.28
5.88 - 5.90 0.11 - 0.13
5.59 - 5.61 0.84 - 0.99
5.44 - 5.46 0.30 - 0.36
5.30 - 5.32 0.48 - 0.58
5.03 - 5.05 0.59 - 0.72
4.96 - 4.98 0.18 - 0.22
4.86 - 4.88 0.50 - 0.62
4.74 - 4.76 0.62 - 0.76
4.63 - 4.65 0.32 - 0.39
4.58 - 4.60 0.40 - 0.48
4.47 - 4.49 0.39 - 0.47
4.42 - 4.44 0.54 - 0.66
4.34 - 4.36 0.27 - 0.33
4.20 - 4.22 0.70 - 0.86
4.15 - 4.17 0.35 - 0.43
4.09 - 4.11 0.48 - 0.58
3.93 - 3.95 0.86 - 0.99
3.74 - 3.76 0.34 - 0.42
3.69 - 3.71 0.54 - 0.66
3.65 - 3.67 0.20 - 0.24
3.62 - 3.64 0.14 - 0.18
3.73 - 3.75 0.20 - 0.24
3.52 - 3.54 0.35 - 0.43
3.45 - 3.47 0.44 - 0.54
3.38 - 3.40 0.23 - 0.28
3.31 - 3.33 0.19 - 0.23
3.24 - 3.26 0.14 - 0.17
3.22 - 3.24 0.27 - 0.33
3.20 - 3.22 0.36 - 0.44
3.11 - 3.13 0.14 - 0.17
3.05 - 3.07 0.22 - 0.26
2.92 - 2.94 0.10 - 0.12
2.89 - 2.91 0.12 - 0.14
2.79 - 2.81 0.22 - 0.26
2.68 - 2.70 0.19 - 0.23
(d는 격자면 간격, I/Io는 상대 강도를 나타낸다.)
본 발명에 의하면, 본 발명의 세파로스포린 결정은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세파로스포린의 오일상 물질을 알콜을 함유하는 용매중에서 결정화시키는 것에 의해 얻어진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세파로스포린의 오일상 물질을 용제에 용해하고, 다음으로 이 용액을 알콜 중에 첨가하여 세파로스포린 결정을 석출시키면 좋다.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세파로스포린의 오일상 물질의 용제로서는 당해 오일상 물질을 용해하고 또 알콜과 상용성이 있는 용제인 한, 종래 공지의 것을 넓게 사용할 수 있고, 예를 들면, 디메틸포름아미드, N-메틸피롤리돈 등의 아미드계 용제, 디옥산, 테트라히드로퓨란 등의 에테르계 용제 등을 들 수 있다. 이러한 용제에 용해시켜야 할 상기 세파로스포린의 오일상 물질의 양은 특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알콜로서는 여러 가지의 알콜을 사용할 수 있지만, 이러한 것 중에도 지방족 포화 저급 알콜이 바람직하고, 메탄올,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등이 특히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는, 알콜에는 물이 함유되어 있어도 좋다. 물의 함유량은 물 및 알콜의 총량 중에서 통상 50% 이하, 바람직하게는 30% 이하가 좋다.
세파로스포린의 오일상 물질을 용제에 용해한 용액을 알콜중에 첨가할 적에 양자의 비율은 세파로스포린의 결정이 석출되는 한, 특히 한정되지 않지만, 통상 상기 용제 100 중량부에 대하여 알콜을 100~10000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200~3000 중량부, 특히 바람직하게는 400~1000 중량부로 하는 것이 좋다.
상기의 용액을 알콜 중에 첨가할 때에는, 알콜을 미리 냉각하여 두는 것이 좋다. 냉각된 알콜의 온도는 통상 -20~15℃ 정도, 바람직하게는 0~5℃ 정도로 하는 것이 좋다. 냉각되지 않은 알콜 중에 상기 용액을 첨가하는 경우에는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세파로스포린의 3'자리의 염소 원자가 알콜과 반응하여 알콕시기로 치환된 고극성 성분 및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세파로스포린의 락탐 환이 개환되는 여러 가지 분해물이 생성되고, 그 결과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세파로스포린의 결정을 고수율로 얻기 어렵게 된다. 한편, 냉각된 알콜 중에 상기 용액을 첨가하는 경우에는,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세파로스포린의 3' 자리의 염소 원자가 알콜과 반응하여 알콕시기로 치환된 고극성 성분 및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세파로스포린의 락탐 환이 개환되는 여러 가지 분해물의 생성이 대폭 억제되고, 그 결과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세파로스포린의 결정이 고수율로 얻어진다고 하는 각별하게 현저한 효과가 발휘된다. 이것은 예를 들면, 하기 비교시험예 1 및 비교시험예 2로부터 명확하게 될 것이다.
이렇게 하여 얻어진 본 발명의 세파로스포린 결정은 종래 공지의 관용 수단에 따라, 단리, 정제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여과에 의하여 세파로스포린 결정을 단리하고, 건조시키면 좋다. 여과 및 건조 수단은 특히 제한되지 않고, 종래 공지의 수단을 넓게 적용할 수 있다. 여과수단으로서는, 예를 들면, 자연여과, 가압여과, 원심분리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건조수단으로서는, 통풍건조, 붕단건조(tray drying), 감압건조 등을 들 수 있다. 건조 온도는 통상 15~60℃이지만, 약 25~45℃의 온도에서 감압건조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세파로스포린 결정은 예를 들면, 하기 반응식 1에 표시하는 방법에 따라, 항생물질로서 유용한 세파조린으로 유도될 수 있다.
이하에서 실시예, 비교시험예 및 참고예를 개시하여, 본 발명을 보다 명확하게 설명한다.
실시예 1
1 리터의 나스형 플라스크(egg plant-type flask)에 메탄올 600 ml을 넣고, 미리 3℃로 냉각하였다. 이것과는 별개로 7-페닐아세트아미도-3-클로로메틸-세펨-4-카르본 산 p-메톡시벤질 에스테르 (7-phenylacetoamido-3-chloromethyl-cephem-4-carboxylic acid p-methoxybenzyl ester) 오일상 물질 120g의 디메틸포름아미드 120 ml의 용액을 조제하였다. 충분히 냉각한 메탄올 중에 상기 디메틸포름아미드 용액을 적하하고, 30분 교반하면 7-페닐아세트아미도-3-클로로메틸-세펨-4-카르본 산 p-메톡시벤질 에스테르가 결정체로서 석출하였다. 이것을 감압 여과, 메탄올 세정을 행한 후, 감압하에서 건조를 행하면, 7-페닐아세트아미도-3-클로로메틸-세펨-4-카르본 산 p-메톡시벤질 에스테르 (화합물 (1a))의 결정이 102g 얻어졌다.
얻어진 결정의 NMR 스펙트럼 및 모노크로메이터 실크 필터를 통한 λ=1.5418 옹그스트롬의 구리 방사선으로 얻어지는 X선 분말 회절 패턴은 이하에 나타내었다.
1H-NMR (CDCl3) δ ppm;
3.41 (d, J=18Hz, 1H),
3.60 (d, J=18Hz, 1H),
3.60 (d, J=16Hz, 1H),
3.67 (d, J=16Hz, 1H),
3.80 (s, 3H),
4.39 (d, J=12Hz, 1H),
4.50 (d, J=12Hz, 1H),
4.92 (d, J=5Hz, 1H),
5.20 (d, 2H),
5.82 (dd, J=5Hz, J=9Hz, 1H),
6.08 (d, J=9Hz, 1H),
6.86-7.40 (m, 9H)
X-선 분말 회절 패턴;
d I/Io
12.95 0.61
11.68 0.51
9.91 0.10
6.47 0.63
6.33 0.24
5.81 0.62
4.96 0.47
4.73 0.70
4.66 0.72
4.51 0.67
4.44 0.31
4.29 0.56
4.17 1.00
4.05 0.25
3.98 0.17
3.86 0.74
3.78 0.47
3.70 0.14
3.56 0.07
3.54 0.06
3.45 0.54
3.37 0.20
3.29 0.14
3.22 0.20
3.20 0.15
3.16 0.20
3.09 0.18
2.90 0.22
2.85 0.10
2.68 0.14
2.60 0.16
2.58 0.11
2.50 0.10
2.49 0.13
(d는 격자면 간격, I/Io는 상대 강도를 나타낸다.)
실시예 2
1 리터의 나스형 플라스크에 메탄올 600 ml 및 물 90 ml을 넣고, 미리 3℃로 냉각하였다. 이것과는 별개로 7-페닐아세트아미도-3-클로로메틸-세펨-4-카르본 산 디페닐메틸 에스테르 오일상 물질 120 g의 디메틸포름아미드 120 ml의 용액을 조제하였다. 충분히 냉각한 메탄올-물 혼합물 중에 상기 디메틸포름아미드 용액을 적하하고, 30분 교반하면 7-페닐아세트아미도-3-클로로메틸-세펨-4-카르본 산 디페닐메틸 에스테르가 결정체로서 석출하였다. 이것을 감압 여과, 메탄올 세정을 행한 후에, 감압하에서 건조를 행하면, 7-페닐아세트아미도-3-클로로메틸-세펨-4-카르본 산 디페닐메틸 에스테르의 결정이 96 g 얻어졌다.
얻어진 결정의 NMR 스펙트럼 및 모노크로메이터 실크 필터를 통한 λ=1.5418 옹그스트롬의 구리 방사선으로 얻어지는 X선 분말 회절 패턴은 이하에 나타내었다.
1H-NMR (CDCl3) δ ppm;
3.40 (d, J=18Hz, 1H),
3.55 (d, J=18Hz, 1H),
3.59 (d, J=16Hz, 1H),
3.66 (d, J=16Hz, 1H),
4.36 (s, 12H),
4.95 (d, J=5Hz, 1H),
5.85 (dd, J=5Hz, J=9Hz, 1H),
6.34 (d, J=9Hz, 1H),
6.95 (s, 1H),
7.23-7.44 (m, 15H)
X-선 분말 회절 패턴;
d I/Io
14.87 1.00
13.46 0.54
8.68 0.10
8.45 0.10
8.02 0.11
7.76 0.31
7.08 0.35
6.76 0.25
5.89 0.12
5.60 0.93
5.45 0.33
5.31 0.53
5.04 0.65
4.97 0.20
4.87 0.56
4.75 0.69
4.64 0.35
4.59 0.44
4.48 0.43
4.43 0.60
4.35 0.30
4.21 0.78
4.16 0.39
4.10 0.53
3.94 0.96
3.75 0.38
3.70 0.60
3.66 0.22
3.63 0.16
3.74 0.22
3.53 0.39
3.46 0.49
3.39 0.25
3.32 0.21
3.25 0.15
3.23 0.30
3.21 0.40
3.12 0.15
3.06 0.24
2.93 0.11
2.90 0.13
2.80 0.24
2.69 0.21
(d는 격자면 간격, I/Io는 상대 강도를 나타낸다.)
다음에, 화합물 (1a)의 결정화 조건하에서의 안정성을 조사하였다. 결과를 비교시험예 1 및 비교시험예 2로서 이하에 나타내었다.
비교시험예 1
7-페닐아세트아미도-3-클로로메틸-세펨-4-카르본 산 p-메톡시벤질 에스테르 오일상 물질 200 mg을 디메틸포름아미드 0.2 ml에 용해하고, 다음으로 3℃로 냉각한 메탄올 1ml 중에 부어, 결정을 석출시켰다. 이것을 3~5℃의 온도에서 20시간 교반하였다. 다음으로 이것에 에틸 아세테이트-물을 가하여 용해한 후, 추출을 행하고, 유기층을 황산 나트륨으로 건조시켰다. 이 용액을 여과하고, 여액을 감압 농축하고, 잔사를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와코 겔 C-200, 벤젠/에틸 아세테이트=4/1)에 의해 정제를 행하면, 7-페닐아세트아미도-3-클로로메틸-세펨-4-카르본 산 p-메톡시벤질 에스테르의 오일상 물질이 197 mg 얻어졌다(수율 99%).
비교시험예 2
7-페닐아세트아미도-3-클로로메틸-세펨-4-카르본 산 p-메톡시벤질 에스테르 오일상 물질 200 mg을 디메틸포름아미드 0.2 ml에 용해하고, 다음으로 메탄올 1 ml 중에 부어 결정을 석출시켰다. 이것을 30~35℃의 온도에서 20시간 교반하였다. 다음으로 이것에 에틸 아세테이트-물을 가하여 용해한 후에, 추출을 행하고, 유기층을 황산 나트륨으로 건조시켰다. 이 용액을 여과하고, 여액을 감압 농축하여, 얻어진 생성물에 대해 박층 크로마토그래피(Thin Layer Chromatograghy)에 의한 분석 및 NMR 스펙트럼 분석을 행하면, 목적하는 7-페닐아세트아미도-3-클로로메틸-세펨-4-카르본 산 p-메톡시벤질 에스테르 이외에 여러 가지의 화합물의 생성이 확인되었다.
예를 들면, 박층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한 분석(분석조건 : Merk Pre-Coated TLC Plates SILICA GEL 60F254(Merk), 벤젠/에틸 아세테이트=4/1)으로는, 7-페닐아세트아미도-3-클로로메틸-세펨-4-카르본 산 p-메톡시벤질 에스테르(화합물 (1a)) (Rf=0.46), 7-페닐아세트아미도-3-메톡시메틸-세펨-4-카르본 산 p-메톡시벤질 에스테르 (화합물 A) (Rf=0.33) 및 화합물 (1a)의 분해물 (Rf≒0 원점 부분)에서 발색을 가지고, 상기 화합물 (1a), 화합물 A 및 화합물 (1a)의 분해물의 3가지의 존재가 확인되었다.
그래서, 상기 여액을 감압 농축한 후에,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와코-겔 C-200, 벤젠/에틸 아세테이트=4/1)에 의해 정제를 행하면, 화합물 (1a)의 결정이 141mg 얻어지는(수율 71%) 것과 함께, 고극성 성분인 화합물 A가 17 mg(수율 9%) 얻어졌다.
더구나, 화합물 (1a)의 분해물의 생성도 확인되었다. 그 분해물에 대해 NMR 스펙트럼 분석을 행한 결과, 락탐환에 상당하는 피크가 소실하고 있기 때문에, 그 분해물은 화합물 (1a)의 락탐환이 개환된 여러 가지 화합물의 혼합물인 것이 확인되었다.
게다가, 본 발명의 세파로스포린 결정 (7-페닐아세트아미도-3-클로로메틸-세펨-4-카르본 산 p-메톡시벤질 에스테르 결정)으로부터 세파조린을 합성하는 예를 참고예로서 개시한다.
참고예 1
7-페닐아세트아미도-3-(2-메틸-1,3,4-티아디아졸-5-일)티오메틸-3-세펨-4-카르본 산 p-메톡시벤질 에스테르 [화합물 (3)]의 조제
200 ml의 4개구 플라스크(four-necked flask)에 7-페닐아세트아미도-3-클로로메틸-세펨-4-카르본 산 p-메톡시벤질 에스테르 결정 [화합물 (1a)] 10g 및 아세톤 100ml을 넣고, 교반하면서 35℃까지 가온하였다. 그 때, 상기 결정의 대부분은 용해되지 않고 슬러리 상으로 되었다. 5-메틸-2-메르캅토-1,3,4-티아디아졸 3.3g을 1N-수산화 나트륨 수용액 22.6 ml에 용해시킨 용액을 미리 조제하여 두고, 20~30분 동안 적하하였다. 적하 종료시에 반응액은 균일 용액으로 되지만, 수분후에 또 결정이 석출하였다. 적하 종료 10분 후에 0.5N-염산 4.2 ml을 반응액에 가하고 10분간 교반하였다. 이 반응 혼합액에 물 89ml을 적하하면서 5℃ 이하로 냉각하고, 1시간 교반 숙성하였다. 숙성후에, 7-페닐아세트아미도-3-(2-메틸-1,3,4-티아디아졸-5-일)티오메틸-3-세펨-4-카르본 산 p-메톡시벤질 에스테르 [화합물 (3)]의 결정을 흡입 여과하고, 얻어진 결정을 차가운 아세톤 10ml로 세정하였다. 당해 결정을 감압하에서 건조하면, 표기 화합물 11.4g(수율 95%)이 얻어졌다.
참고예 2
7-아미노-3-(2-메틸-1,3,4-티아디아졸-5-일)티오메틸-3-세펨-4-카르본 산 [화합물 (5)]의 조제
200 ml의 4개구의 플라스크에 m-크레졸 60 ml 및 농황산 0.24 ml을 넣고, 35℃로 가온한 후에 화합물 (3)의 결정 10g을 넣고 반응시켰다. 반응온도를 30~40℃로 유지하고, 반응을 모니터하면서 행하였다(반응시간은 약 2~3시간). 반응종료후, 부틸 아세테이트 200 ml을 반응액에 가하고, 5℃ 이하로 냉각하였다. 냉각후의 반응혼합액에 4% 중조수(나트륨 바이카보네이트) 65 ml을 가하고, 7-페닐아세트아미도-3-(2-메틸-1,3,4-티아디아졸-5-일)티오메틸-3-세펨-4-카르본 산 [화합물 (4)]을 수층에 추출하였다. 같은 방법으로 물 10 ml을 부틸 아세테이트/m-크레졸 액에 가하여, 다시 한번 화합물 (4)을 수층에 추출하였다. 2개의 화합물 (4) 추출수용액을 합치고, 그 혼합액에 부틸 아세테이트 300ml을 가하여, 화합물 (4) 추출 수용액을 세정 분액하였다. 화합물 (4) 추출 혼합액을 흡착 수지 컬럼(암버라이트 AXT-33 수지 25ml)으로 통액처리하였다. 통액후, 흡착 수지 컬럼을 물 75ml로 세정하였다. 화합물 (4)의 처리용액과 컬럼 세정수액을 합친 용액을 효소(베링거인겔하임사 제조 PGA-450) 4g이 들어가 있는 효소 반응기에 넣고, 반응온도를 28℃, pH를 7.7~8.1로 유지하여 반응을 행하였다. 암모니아의 소비가 없게 되었을 경우에 반응 종점을 확인하고, 효소를 여과 제거하고, 세정하였다. 얻어진 7-아미노-3-(2-메틸-1,3,4-티아디아졸-5-일)티오메틸-3-세펨-4-카르본 산 [화합물 (5)] 용액을 5℃ 이하로 냉각하고, 3N-염산으로 pH를 3.8로 조정하였다. pH 조정후, 5℃ 이하에서 1시간 숙성하고, 화합물 (5)의 결정을 여과하였다. 화합물 (5)의 결정을 20 ml의 냉수로 세정하고 계속해서 아세톤 20 ml로 세정하였다. 당해 결정을 감압하에서 건조하면, 표기 화합물 5.2g이 얻어졌다. (화합물 (3)으로부터의 수율 88%).
참고예 3
세파조린의 합성
(1) 혼합 산 무수물의 조제
100 ml의 4개구의 플라스크에 1H-테트라졸-1-아세트 산 3.72 g 및 염화 메틸렌 40 ml을 넣었다. 이 염화 메틸렌(methylene chloride) 용액에 트리에틸아민 2.94g을 넣고, -10℃로 냉각하였다. -10℃ 이하로 피바린 산 클로라이드(pivalic acid chloride) 3.32 g을 가하였다. 반응액의 온도를 0℃로 조정하고, 그 온도에서 1시간 숙성하였다.
(2) 화합물 (5)의 염화메틸렌 용액의 조제
100 ml의 4개구의 플라스크에 디이소프로필아민 4.3g 및 염화메틸렌 30 ml을 넣었다. 이 염화 메틸렌 용액에 화합물 (5) 2.94g을 넣고, 용해후 -20℃ 이하로 냉각하였다.
(3)세파조린화 반응
미리 조제한 혼합 산 무수물 조제용액에 화합물 (5)의 염화메틸렌 용액을 20~30분 동안 -20℃ 이하에서 적하하였다. 적하후에는, 냉각을 중지하고 실온에서 30분 교반하였다. 반응종점 확인후에 물 60 ml을 가하고, 세파조린을 물로 추출하였다. 같은 방법으로 염화메틸렌 층에 물 40 ml을 가하여, 다시 한번 세파조린을 물로 추출하였다. 2개의 세파조린 추출액을 합치고 수용액의 pH를 4.5로 조정하였다. 그 용액에 염화메틸렌 30 ml을 첨가하고, 세파조린 추출수용액을 세정 분액하였다. 그 세파조린 수용액에 활성탄 1.5g을 넣고, 15분간 교반하고, 활성탄을 여과 제거하였다. 여액에 3N-염산용액을 가하여, pH를 2로 조정하여 결정을 석출시키고, 5℃ 이하에서 1시간 숙성시켰다. 숙성후 세파조린 결정을 여과하고, 결정을 20 ml의 냉수로 세정하였다. 세파조린 결정을 감압하에서 건조하면 세파조린 결정이 5.92g (수율 90%) 얻어졌다.
본 발명의 세파로스포린 결정은 실온에서 장기간에 걸쳐 보관하여도 염산을 방출하여 자기분해를 촉진하는 일은 없고, 품질의 저하를 일으키는 일은 없다. 따라서, 본 발명의 세파로스포린 결정은 장기간, 경제적인 보존조건하에서 고도로 안정화된 것이고, 온화한 조건에서 장기간 안정하게 취급될 수 있는 화합물이다.

Claims (14)

  1. 화학식 1
    [식중, R은 p-메톡시벤질기 또는 디페닐메틸기를 나타낸다.]
    로 표시되는 세파로스포린 결정.
  2. 제1항에 있어서,
    R이 p-메톡시벤질기인
    세파로스포린 결정.
  3. 제2항에 있어서,
    모노크로메이터 실크 필터를 통한 λ=1.5418 옹그스트롬의 구리 방사선으로 얻어지는 이하의 X선 분말 회절 패턴을 가지는
    세파로스포린 결정.
    d I/Io 12.94 - 12.9611.67 - 11.699.90 - 9.926.46 - 6.486.32 - 6.345.80 - 5.824.95 - 4.974.72 - 4.744.65 - 4.674.50 - 4.524.43 - 4.454.28 - 4.304.16 - 4.184.04 - 4.063.97 - 3.993.85 - 3.873.77 - 3.793.69 - 3.713.55 - 3.573.53 - 3.543.44 - 3.463.36 - 3.383.28 - 3.303.21 - 3.233.19 - 3.213.15 - 3.173.08 - 3.102.89 - 2.912.84 - 2.862.67 - 2.692.59 - 2.612.57 - 2.592.49 - 2.512.48 - 2.50 0.55 - 0.670.46 - 0.560.09 - 0.110.57 - 0.690.22 - 0.260.56 - 0.680.42 - 0.520.63 - 0.770.65 - 0.790.60 - 0.740.28 - 0.340.50 - 0.621.000.23 - 0.280.15 - 0.190.67 - 0.810.42 - 0.520.13 - 0.150.06 - 0.080.05 - 0.070.49 - 0.590.18 - 0.220.13 - 0.150.18 - 0.220.14 - 0.170.18 - 0.220.16 - 0.200.20 - 0.240.09 - 0.110.13 - 0.150.14 - 0.180.10 - 0.120.09 - 0.110.12 - 0.14
    (d는 격자면 간격, I/Io는 상대 강도를 나타낸다.)
  4. 제1항에 있어서,
    R이 디페닐메틸기인
    세파로스포린 결정.
  5. 제4항에 있어서,
    모노크로메이터 실크 필터를 통한 λ=1.5418 옹그스트롬의 구리 방사선으로 얻어지는 이하의 X선 분말 회절 패턴을 가지는
    세파로스포린 결정.
    d I/Io 14.86 - 14.88 1.00 13.45 - 13.47 0.49 - 0.59 8.67 - 8.69 0.09 - 0.11 8.44 - 8.46 0.09 - 0.11 8.01 - 8.03 0.10 - 0.12 7.75 - 7.77 0.28 - 0.34 7.07 - 7.09 0.32 - 0.39 6.75 - 6.77 0.23 - 0.28 5.88 - 5.90 0.11 - 0.13 5.59 - 5.61 0.84 - 0.99 5.44 - 5.46 0.30 - 0.36 5.30 - 5.32 0.48 - 0.58 5.03 - 5.05 0.59 - 0.72 4.96 - 4.98 0.18 - 0.22 4.86 - 4.88 0.50 - 0.62 4.74 - 4.76 0.62 - 0.76 4.63 - 4.65 0.32 - 0.39 4.58 - 4.60 0.40 - 0.48 4.47 - 4.49 0.39 - 0.47 4.42 - 4.44 0.54 - 0.66 4.34 - 4.36 0.27 - 0.33 4.20 - 4.22 0.70 - 0.86 4.15 - 4.17 0.35 - 0.43 4.09 - 4.11 0.48 - 0.58 3.93 - 3.95 0.86 - 0.99 3.74 - 3.76 0.34 - 0.42 3.69 - 3.71 0.54 - 0.66 3.65 - 3.67 0.20 - 0.24 3.62 - 3.64 0.14 - 0.18 3.73 - 3.75 0.20 - 0.24 3.52 - 3.54 0.35 - 0.43 3.45 - 3.47 0.44 - 0.54 3.38 - 3.40 0.23 - 0.28 3.31 - 3.33 0.19 - 0.23 3.24 - 3.26 0.14 - 0.17 3.22 - 3.24 0.27 - 0.33 3.20 - 3.22 0.36 - 0.44 3.11 - 3.13 0.14 - 0.17 3.05 - 3.07 0.22 - 0.26 2.92 - 2.94 0.10 - 0.12 2.89 - 2.91 0.12 - 0.14 2.79 - 2.81 0.22 - 0.26 2.68 - 2.70 0.19 - 0.23
    (d는 격자면 간격, I/Io는 상대 강도를 나타낸다.)
  6. 화학식 1
    [식중, R은 p-메톡시벤질기 또는 디페닐메틸기를 나타낸다.]
    로 표시되는 세파로스포린의 오일상 물질을 알콜을 함유하는 용매 중에서 결정화시키는 것에 의해,
    화학식 1
    [식중, R은 상기와 동일함]
    로 표시되는 세파로스포린 결정을 얻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파로스포린 결정의 제조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알콜이 지방족 포화 저급 알콜인
    세파로스포린 결정의 제조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지방족 포화 저급 알콜이 메탄올, 에탄올 및 이소프로판올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인
    세파로스포린 결정의 제조방법.
  9. 제6항에 있어서,
    세파로스포린의 오일상 물질을 용제에 용해한 용액을 냉각된 알콜 중에 첨가하여, 세파로스포린의 결정을 석출시키는
    세파로스포린 결정의 제조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냉각된 알콜의 온도가 -20~15℃인
    세파로스포린 결정의 제조방법.
  11. 제9항에 있어서,
    냉각된 알콜의 온도가 0~5℃인
    세파로스포린 결정의 제조방법.
  12. 제9항에 있어서,
    세파로스포린의 오일상 물질을 용해한 용제와 알콜과의 비율이, 전자 : 후자= 100 : 100 ~ 10000 (중량비)인
    세파로스포린 결정의 제조방법.
  13. 제9항에 있어서,
    세파로스포린의 오일상 물질을 용해한 용제와 알콜과의 비율이, 전자 : 후자= 100 : 200 ~ 3000 (중량비)인
    세파로스포린 결정의 제조방법.
  14. 제9항에 있어서,
    세파로스포린의 오일상 물질을 용해한 용제와 알콜과의 비율이, 전자 : 후자= 100 : 400~1000 (중량비)인
    세파로스포린 결정의 제조방법.
KR10-1999-7003429A 1997-08-25 1998-08-19 세파로스포린 결정 및 그의 제조방법 KR10036756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28147/1997 1997-08-25
JP22814797 1997-08-2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68797A true KR20000068797A (ko) 2000-11-25
KR100367564B1 KR100367564B1 (ko) 2003-01-14

Family

ID=168719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7003429A KR100367564B1 (ko) 1997-08-25 1998-08-19 세파로스포린 결정 및 그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20020099206A1 (ko)
EP (1) EP0963989A4 (ko)
KR (1) KR100367564B1 (ko)
CN (1) CN1090635C (ko)
AU (1) AU728627B2 (ko)
CA (1) CA2269286A1 (ko)
HK (1) HK1025951A1 (ko)
IL (1) IL129408A (ko)
WO (1) WO199901035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953501B2 (ja) * 1999-09-30 2012-06-13 大塚化学株式会社 3−セフェム誘導体結晶の製造方法
CN100398547C (zh) 2003-09-09 2008-07-02 日本化学工业株式会社 3-氯甲基-3-头孢烯衍生物的制造方法
US7157574B2 (en) 2004-03-25 2007-01-02 Nippon Chemical Industrial Co., Ltd. Process for preparing crystalline 3-chloromethyl-3-cephem derivatives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176216A5 (ko) * 1972-03-14 1973-10-26 Glaenzer Spicer Sa
JPS5874689A (ja) * 1981-10-29 1983-05-06 Otsuka Chem Co Ltd 3−クロロメチル−3−セフエム誘導体の製造法
IT1214587B (it) * 1986-12-23 1990-01-18 Giovanni Bonfanti Metodo per la produzione diprodotti cristallini puri.
JP2750355B2 (ja) * 1988-05-11 1998-05-13 大塚化学株式会社 3−エキソメチレンセファム誘導体の製造法
IT1251999B (it) * 1991-11-11 1995-05-27 Opos Biochimica Srl Forma cristallina di un antibiotico cefalosporinic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1999010352A1 (fr) 1999-03-04
AU728627B2 (en) 2001-01-11
CA2269286A1 (en) 1999-03-04
CN1237181A (zh) 1999-12-01
KR100367564B1 (ko) 2003-01-14
EP0963989A4 (en) 2000-10-25
EP0963989A1 (en) 1999-12-15
CN1090635C (zh) 2002-09-11
IL129408A0 (en) 2000-02-17
IL129408A (en) 2004-01-04
US20020099206A1 (en) 2002-07-25
AU8746898A (en) 1999-03-16
HK1025951A1 (en) 2000-1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126709B1 (de)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optisch aktiven Azetidinonen
JP5010279B2 (ja) ジメトキシドセタキセル・アセトン溶媒和物およびその製造方法
DK156069B (da) Anvendelse af tert.butylaminsaltet af clavulansyre som mellemprodukt ved fremstillingen af clavulansyre og farmaceutisk tolerable salte og estere deraf
CZ125495A3 (en) Process for preparing clavulanic acid and salt thereof
EP3050883A1 (en) Production method for diazabicyclooctane derivative and intermediary body thereof
US5831086A (en) Production of cefotaxime and new sodium salts
KR100367564B1 (ko) 세파로스포린 결정 및 그의 제조방법
CH688319A5 (fr) Procédé pour la préparation du céfixime trihydraté.
JPS63152383A (ja) 2−オキサ−イソセフエム誘導体
KR100527648B1 (ko) N-(1(s)-에톡시카르보닐-3-페닐프로필)-l-알라닌n-카르복시무수물의 결정화 방법
EP1730153B1 (en) Isopropanol water solvate of olanzapine
US8232389B2 (en) Method for crystallization of azetidinonecarboxylic acid
RU2130456C1 (ru)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Я КРИСТАЛЛИЧЕСКОЙ МОНОГИДРАТНОЙ ФОРМЫ β-ЛАКТАМА
FR2576596A1 (fr) Procede de preparation de 4,4-dialkyl-2-azetidinones, et composes nouveaux ainsi prepares
IE50092B1 (en) Tetrahydro furanone derivatives
EP4112612A1 (en) Intermediate useful for synthesis of sglt inhibitor and method for preparing sglt inhibitor using same
KR960011778B1 (ko) 신규한 결정성 세팔로스포린 유도체의 제조방법
IT8322323A1 (it) Procedimento per la preparazione di un acido amminolattoncarbossilico
KR20000013423A (ko) 무정형 세푸록심 악세틸의 합성방법
JPH01242589A (ja) セフエム化合物
JPH039115B2 (ko)
FR2511372A1 (fr) Nouveaux derives de la cephalosporine et leur preparation
NO905385L (no) Tiazolderivater egnet som mellomprodukter ved fremstilling av terapeutisk aktive monosulfaktamer.
JPH06287197A (ja) キラル1−β−メチルカルバペネム中間体
HU191497B (en) Process for preparing dihydro-4,4-dimethyl-2,3-furane-dio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14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25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05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30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9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19

Year of fee payment: 16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