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68754A - 비디오 기록물의 서로 다른 플레이백 품질에 적응가능한 플레이백 신호 처리수단을 구비한 비디오 레코더 - Google Patents

비디오 기록물의 서로 다른 플레이백 품질에 적응가능한 플레이백 신호 처리수단을 구비한 비디오 레코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68754A
KR20000068754A KR1019997003167A KR19997003167A KR20000068754A KR 20000068754 A KR20000068754 A KR 20000068754A KR 1019997003167 A KR1019997003167 A KR 1019997003167A KR 19997003167 A KR19997003167 A KR 19997003167A KR 20000068754 A KR20000068754 A KR 2000006875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yback
stage
signal
video
video recor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70031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프리드라이히빌리발트
Original Assignee
요트.게.아. 롤페즈
코닌클리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요트.게.아. 롤페즈, 코닌클리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filed Critical 요트.게.아. 롤페즈
Publication of KR200000687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68754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91Television signal processing therefor
    • H04N5/911Television signal processing therefor for the suppression of nois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79Processing of colour television signals in connection with recording
    • H04N9/80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 H04N9/82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the individual colour picture signal components being recorded simultaneously only
    • H04N9/83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the individual colour picture signal components being recorded simultaneously only the recorded chrominance signal occupying a frequency band under the frequency band of the recorded brightness sig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91Television signal processing therefor
    • H04N5/92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 H04N5/923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using preemphasis of the signal before modulation and deemphasis of the signal after demodul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79Processing of colour television signals in connection with recording
    • H04N9/7908Suppression of interfering signals at the reproducing side, e.g. nois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79Processing of colour television signals in connection with recording
    • H04N9/7921Processing of colour television signals in connection with recording for more than one processing mod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79Processing of colour television signals in connection with recording
    • H04N9/87Regeneration of colour television sign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vision Signal Processing For Recording (AREA)
  • 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And Reproducing (AREA)
  • Signal Processing For Digital Recording And Reproducing (AREA)

Abstract

자기 테이프(2) 상에 기록되고 서로 다른 플레이백 품질을 갖고 사용가능한 비디오 기록물을 재생하는 비디오 레코더(1)는, 자기 테이프(2)를 주사하여 플레이백 신호(PS)를 공급하는 재생수단(3)과, 상기 플레이백 신호(PS)를 신호처리하며 플레이백 신호(PS)의 적어도 한 개의 성분(휘도 성분 Y)에 제어가능하게 영향을 미치는 적어도 한 개의 제어가능한 신호 감응 스테이지(26, 29, 30, 31, 32)를 포함하는 플레이백 신호 처리수단(17)과, 상기 비디오 레코더(1)와 협력하며 비디오 기록물의 서로 다른 플레이백 품질을 특정하는 특징 정보(KI1, KI2, KI3, KI4)를 입력할 수 있도록 하는 입력수단(46)을 구비하고, 상기 비디오 레코더(1)는 상기 특징 정보(KI1, KI2, KI3, KI4)에 대응하는 제어 정보(SI1, SI2, SI3, SI4)를 발생하도록 구성된 제어수단(36)을 구비하며, 상기 적어도 한 개의 제어가능한 신호 감응 스테이지(26, 29, 30, 31, 32)는 상기 제어 정보(SI1, SI2, SI3, SI4)에 의존하여 제어될 수 있다.

Description

비디오 기록물의 서로 다른 플레이백 품질에 적응가능한 플레이백 신호 처리수단을 구비한 비디오 레코더{VIDEO RECORDER HAVING PLAYBACK-SIGNAL PROCESSING MEANS ADAPTABLE TO DIFFERENT PLAYBACK QUALITIES OF VIDEO RECORDINGS}
본 발명은, 자기 테이프 상에 기록되고 서로 다른 플레이백(playback) 품질을 갖고 사용가능한 비디오 기록물을 재생하며, 자기 테이프를 주사하여 비디오 기록물을 나타내는 플레이백 신호를 공급하는 재생수단과, 상기 플레이백 신호를 신호처리하며 플레이백 신호의 적어도 한 개의 성분에 제어가능하게 영향을 미치는 적어도 한 개의 제어가능한 신호 감응(signal-influencing) 스테이지를 포함하는 플레이백 신호 처리수단을 구비한 비디오 레코더에 관한 것이다.
서두에 기재된 형태와 같은 비디오 레코더는, 예를 들어 문헌 EP 0 464 772 B1에 공지되어 있다. 이와 같은 종래의 비디오 레코더에 있어서는, FM 등화기 스테이지, 피킹(peaking) 스테이지, 수형 잡음소거 스테이지 및 수직 잡음소거 스테이지와 같은 다수의 신호 감응 스테이지를 구비하며, 이들은 그것들의 신호 감응 품질을 변화시키기 위해 제어수단의 도움으로 제어가능하고, 상기 제어수단은 서로 다른 자기 테이프의 특성값에 의존하여 상기 복수의 스테이지를 제어함으로써, 서로 다른 특성을 갖는 자기 테이프에 대해 이루어진 비디오 기록물의 최적의 재생을 얻기 위해 서로 다른 자기 테이프의 서로 다른 특징값 또는 특성에 맞추어 상기 복수의 스테이지가 적응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은 종래의 비디오 레코더를 사용함으로써, 서로 다른 특징값 또는 특성을 갖는 자기 테이프로부터 비디오 기록물의 정확한 재생을 달성할 수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이점에도 불구하고, 이러한 종래의 비디오 레코더는 한계를 갖고 있어, 그 결과 몇몇 경우에 완전히 만족스러운 비디오 기록물의 재생이 보장되지 않는다는 문제점을 갖고 있었다.
결국, 본 발명의 목적은, 전술한 한계를 극복하여, 서두에서 규정된 형태의 개량된 비디오 레코더를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본 발명에 따르면, 서두에서 규정된 형태의 비디오 레코더는, 비디오 레코더와 협력하며 비디오 기록물의 서로 다른 플레이백 품질을 특정하는 특징 정보를 입력하도록 구성된 입력수단이 설치되고, 상기 비디오 레코더는 상기 특징 정보를 수신하여 이 특징 정보에 대응하는 제어 정보를 발생하도록 구성된 제어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적어도 한 개의 제어가능한 신호 감응 스테이지는, 상기 제어수단에 의해 발생된 제어 정보에 의존하여 상기 플레이백 신호의 적어도 한 개의 성분의 제어가능한 감응에 대해서 제어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플레이백 신호에 제어가능하게 영향을 미치는 적어도 한 개의 제어가능한 신호 감응 스테이지가, 상기 스테이지를 포함하는 플레이백 신호 처리수단에 의해 간단하면서도 비디오 레코더의 사용자의 소망과 요구사항에 따라 비디오 기록물의 서로 다른 플레이백 품질에 맞추어 간단한 수단을 사용하면서 매우 적은 추가 비용으로 적응될 수 있게 된다. 원리상으로는, 비디오 기록물의 서로 다른 플레이백 품질, 즉 그것이 이전에 재생된 적이 없는 비디오 기록물인지, 또는 예를 들어 대여 카셋트와 같이 매우 빈번하게 재생되는 비디오 기록물인지, 또는 애니메이션 만화의 형태를 갖는 비디오 기록물인지, 또는 고품질의 비디오 카메라를 사용하여 스튜디오에서 제작한 스튜디오 품질의 비디오 기록물인지, 또는 휴대용 카메라를 사용하여 제작한 낮은 품질이지만 매우 최신인 리포터의 비디오 기록물인지, 또는 스포츠 비디오 기록물인지는 관련된 프로그램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위해 카셋트 내에 수납된 자기 테이프를 사용자가 본 발명에 따른 비디오 레코더 내부에 삽입하면, 사용자는 실제로 삽입된 자기 테이프 상에 이루어진 비디오 기록물의 플레이백 품질을 항상 파악할 수 있으므로, 그 결과 사용자는 입력수단의 도움으로 플레이백 신호 처리수단의 적어도 한 개의 제어가능한 신호 감응 스테이지에 대한 이러한 플레이백 품질에 해당하는 설정을 선택할 수 있으며, 그후 상기 비디오 레코더 내부에 포함된 상기 제어수단은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플레이백 신호 처리수단의 적어도 한 개의 제어가능한 신호 감응 스테이지를 자동적으로 제어한다.
독립항인 청구항 1에 기재된 특징부를 갖는 본 발명에 따른 비디오 레코더에 있어서는, 추가로 종속항인 청구항 2에 기재된 구성이 취해지는 경우에 유리한 것으로 판명되었다. 이에 따르면, 입력수단의 도움으로 단순히 특징 정보를 입력하게 되면, 비디오 레코더의 사용자는 주어진 플레이백 품질을 갖는 비디오 기록물의 최적의 재생을 위해 간단하면서 특히 신뢰할 수 있게 복수의 신호 감응 스테이지를 제어할 수 있으며, 이들 스테이지를 가장 가능한 감응 모드로 설정할 수 있다.
종속항인 청구항 2에 기재된 특징부를 갖는 본 발명에 따른 비디오 레코더에 있어서는, 추가로 종속항인 청구항 3에 기재된 구성이 취해지는 경우에 매우 유리한 것으로 판명되었다. 실험에 따르면, 이와 같은 실시예는 복수의 신호 감응 스테이지를 가능한 한 간단하면서도 신뢰할 수 있게 제어하는데 특이 유리한 것으로 밝혀졌다.
종속항인 청구항 3에 기재된 특징부를 갖는 본 발명에 따른 비디오 레코더에 있어서는, 추가로 종속항인 청구항 4에 기재된 구성이 취해지는 경우에 매우 바람직한 것으로 밝혀졌다. 이와 같은 실시예를 사용하면, 플레이백 신호 처리수단 내부의 신호 감응 스테이지가 비디오 기록물의 서로 다른 플레이백 품질에 맞추어 매우 적합하면서도 차별화된 방법으로 적응될 수 있다.
종속항인 청구항 4에 기재된 특징부를 갖는 본 발명에 따른 비디오 레코더에 있어서는, 추가로 종속항인 청구항 5에 기재된 구성이 취해지는 경우에 매우 바람직한 것으로 판명되었다. 이와 같은 구성은, 제어가능한 신호 감응 스테이지의 간단한 구성과 단순하면서도 장애없는 제어를 위해 특히 바람직하다.
독립항인 청구항 1에 기재된 특징부를 갖는 본 발명에 따른 비디오 레코더에 있어서는, 추가로 종속항인 청구항 6에 기재된 구성이 취해지는 경우에 매우 바람직한 것으로 더 판명되었다. 이에 따르면, 사용자는, 처음으로 재생되는 비디오 기록물 또는 매우 작은 회수만큼 재생된 비디오 기록물의 플레이백 품질 뿐만 아니라, 예를 들어 소위 대여 카셋트의 자기 테이프 상에 기록된 것과 같이 이미 여러번 재생된 비디오 기록물의 플레이백 품질에 맞추어 플레이백 신호 처리수단 내부의 적어도 한 개의 제어가능한 신호 감응 스테이지를 간단히 적응할 수 있다. 이때, 종속항인 청구항 6에 개재된 구성은, 종속항인 청구항 2, 청구항 3, 청구항 4 및 청구항 5에 기재된 특징부를 갖는 본 발명에 따른 비디오 레코더에도 유리하게 적용될 수 있다는 점에 주목해야 한다.
종속항인 청구항 6에 기재된 특징부를 갖는 본 발명에 따른 비디오 레코더에 있어서는, 추가로 종속항인 청구항 7에 기재된 구성이 취해지는 경우에 매우 바람직한 것으로 밝혀졌다. 이와 같은 실시예는, 플레이백 신호 처리수단에 있는 적어도 한 개의 제어가능한 신호 감응 스테이지가 트릭(trick) 필름을 나타내는 비디오 기록물의 플레이백 품질에 맞추어 추가로 적응될 수 있도록 한다.
종속항인 청구항 7에 기재된 특징부를 갖는 본 발명에 따른 비디오 레코더에 있어서는, 추가로 종속항인 청구항 8에 기재된 구성이 취해지는 경우에 매우 바람직한 것으로 밝혀졌다. 이에 따르면, 플레이백 신호 처리수단 내부의 적어도 한 개의 제어가능한 신호 감응 스테이지가 추가로 비디오 기록물의 적어도 한 개의 또 다른 플레이백 품질에 맞추어 적응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전술한 발명내용과 또 다른 발명내용은,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로부터 명확해질 것이며 이 실시예에 근거하여 명백해질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은 다음의 첨부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이러한 실시예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비디오 기록물의 서로 다른 플레이백 품질을 특정하는 특징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입력수단과 협력하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디오 레코더의 관련된 부분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로서, 이때 상기한 특징 정보는 복수의 신호 감응 스테이지를 제어하기 위해 비디오 레코더의 제어수단의 도움으로 제어 정보로 변환될 수 있다.
도 1은 자기 테이프 상에 비디오 신호를 기록하며 자기 테이프로부터 기록된 비디오 신호를 재생하도록 구성된 비디오 레코더(1)를 나타낸 것으로,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자기 테이프 상에 이루어진 비디오 기록물의 재생을 위해 적합한 이 비디오 레코더의 부분만을 나타내었다.
자기 테이프 상에 기록되고 서로 다른 플레이백 품질을 갖고 사용가능한 비디오 기록물의 재생을 위해, 상기한 비디오 레코더(1)는 자기 테이프(2)를 주사하여 비디오 기록물을 나타내는 플레이백 신호 PS를 공급하는 재생수단(3)을 구비한다. 본 경우에 있어서, 재생수단(3)은 자기 테이프(2)가 180°보다 약간 큰 각도에 걸쳐 둘러싸인 드럼 형태의 주사장치(4)를 포함하는데, 이때 이것은 복수개의 가동 테이프 가이드(5, 6, 7, 8)에 의해 달성된다. 공지된 방법으로, 상기한 자기 테이프(2)는 나선형 경로를 따라 드럼 형태의 주사장치(4)를 둘러싸게 되며, 재생 중에 자기 테이프는 미도시된 테이프 구동수단에 의해 화살표 9로 나타낸 이송 방향으로 구동될 수 있는데, 이때 이 방향은 소위 정규 순방향 모드에 대응한다.
상기한 드럼 형태의 주사장치(4)는, 도 1에는 미도시된 정지 하부 드럼부와, 미도시된 구동수단에 구동되어 드럼 축(10)을 중심으로 화살표 11로 표시된 방향으로 회전가능한 상부 드럼부(12)를 구비한다. 상기한 상부 드럼부(12)는, 재생 모드에서 회전 구동가능한 상부 드럼부(12)를 사용하여 화살표 11의 방향으로 나타낸 것과 같이 구동되는 2개의 자기 헤드(13, 14)를 갖고, 상기 자기 헤드는 인접한 경사 트랙을 따라 자기 테이프(2)를 주사하여, 자기 테이프(2) 상에 기록되고 비디오 기록물을 나타내는 비디오 신호를 재생한다. 이때, 비디오 신호와 관련된 오디오 신호의 재생은 본 발명내용에서는 적합하기 않기 때문에 본 명세서에서는 설명하지 않는다.
상기 재생수단(3)은, 그것의 입력이 자기 헤드(13)에 접속되고 그것의 출력이 재생수단(3)의 플레이백 신호 전치증폭기(16)에 접속된 헤드 스위칭 스테이지(15)를 더 구비한다. 이 헤드 스위치 스테이지(15)를 사용하여, 2개의 자기 헤드(13, 14)에 의해 주사된 비디오 신호 부분이 사이클식으로 연속하여 플레이백 신호 전치증폭기(16)로 인가될 수 있다. 플레이백 신호 전치증폭기(16)는 그것의 출력에서 비디오 기록물을 나타내는 플레이백 신호 PS를 발생한다. 이때, 2개의 자기 헤드(13, 14)의 각각의 다음에 별도의 플레이백 신호 전치증폭기를 배치하고 2개의 전치증폭기 다음에 한 개의 헤드 스위칭 스테이지를 배치한 다음, 비디오 기록물을 나타내는 플레이백 신호 PS가 이 헤드 스위칭 스테이지의 출력에 재생되도록 하는 것은 이미 오래 전부터 공지되어 있으며 본 발명의 비디오 레코더(1)에 있어서도 가능하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상기한 비디오 레코더(1)는, 플레이백 신호 전치증폭기(16)에 의해 공급된 플레이백 신호 PS를 신호처리하는 플레이백 신호 처리수단(17)을 더 구비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플레이백 신호 처리수단(17)은 집적장치, 즉 IC(17)로 형성된다. 이와 같은 IC는, 예를 들면 Sanyo로부터 모델번호 LA 71525 하에서 상업적으로 입수가능하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플레이백 신호 처리수단(17)의 관련된 회로 구성요소만을 개략적으로 나타내었다. 상기한 플레이백 신호 처리수단(17)은, 플레이백 신호 전치증폭기(16)로부터의 플레이백 신호 PS가 주어지는 저역통과 필터 스테이지(18)와 고역통과 필터 스테이지(19)를 구비한다. 저역통과 필터 스테이지(18)는 그것에 주어진 플레이백 신호 PS로부터 칼라신호 C를 추출한다. 또한, 고역통과 필터 스테이지(19)는, 그것에 주어진 플레이백 신호 PS로부터 휘도 신호 Y를 추출한다.
저역통과 필터 스테이지(18)를 사용하여 추출된 칼라신호 C를 신호처리하기 위해, 플레이백 신호 처리수단(17)은 저역통과 필터 스테이지(18) 다음에 배치된 칼라신호 처리수단(20)을 구비하는데, 이 수단은 재생되고 추출된 칼라신호 C를 수신하여 그것에 인가된 칼라신호 C를 신호처리한 다음, 이 신호처리된 칼라신호 Cp는 믹싱 스테이지(21)로 공급 및 인가된다.
상기한 고역통과 필터 스테이지(19)를 사용하여 추출된 휘도신호 Y를 신호처리하기 위해, 플레이백 신호 처리수단(17)은, 고역통과 필터 스테이지(19) 다음에 배치되고 도 1에 일점쇄선으로 개략적으로 나타낸 휘도신호 처리수단(22)을 구비한다. 휘도신호 처리수단(22)은, 인가된 재생된 휘도신호 Y를 신호처리한 다음, 휘도신호 처리수단은 마찬가지로 믹싱 스테이지(21)로 주어지는 신호처리된 휘도신호 Yp를 공급한다.
믹싱 스테이지(21)에서는 신호처리된 휘도신호 Yp와 신호처리된 칼라신호 Cp가 합성되어 합계신호 S를 형성하며, 이 신호는 믹싱 스테이지(21)로부터 플레이백 신호 처리수단(17)의 출력을 통해, 즉 IC(17)의 출력을 통해 비디오 레코더(1) 내부의 출력 스테이지(23)로 주어진다. 출력 스테이지(23)는 이 합계신호 S를 신호처리한 다음, 신호처리된 합계신호 Sp가 얻어지고, 이 신호는 비디오 레코더(1)의 출력(24)으로 인가되며, 이 출력으로부터 신호처리된 합계신호 Sp가 예를 들면 미도시된 TV 수상기(TV)로 주어질 수 있다.
상기한 플레이백 신호 처리수단(17)의 휘도신호 처리수단(22)은, 플레이백 신호 PS의 적어도 한 개의 구성성분에 제어가능하게 영향을 미치는,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플레이백 신호 PS의 휘도신호 Y에 제어가능하게 영향을 미치는 적어도 한 개의 제어가능한 신호 감응 스테이지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플레이백 신호처리수단(17)의 휘도신호 처리수단(22)은, 후술하는 것과 같이, 복수의 이와 같은 제어가능한 신호 감응 스테이지, 즉 총 5개의 이와 같은 제어가능한 신호 감응 스테이지를 포함한다.
상기한 플레이백 신호 처리수단(17)은, 신호 흐름의 방향에서 볼 때 순차적으로 다음과 같은 스테이지를 포함한다:
1. FM-AGC 스테이지(25), 즉 주파수 변조된 휘도신호 Y의 자동 이득제어를 위한 제어가능한 증폭기 스테이지.
2. 기본적으로는 FM 캐리어에 대해 하측파대의 레벨 독립적인 부스팅(boosting)을 위한 회로, 즉 주파수 응답 및 엔벨로프 지연 등화를 위한 회로인 FM 등화기 스테이지(26). 이 FM 등화기 스테이지(26)는, 휘도신호 Y에 제어가능하게 영향을 미치는 제 1 제어가능한 신호 감응 스테이지를 나타낸다.
3. 상기 주파수 변조된 휘도신호 Y를 복조하기 위한 복조회로인 FM 복조기 스테이지(27).
4. 기본적으로 고정 주파수 응답 부스트를 실현하기 위한 회로인 주파수 응답 부스팅 스테이지(28). 전문가 사이에서는, 상기한 주파수 응답 부스팅 스테이지(28)는 피킹회로라고도 불린다.
5. 기본적으로 휘도신호 Y의 주파수 신호 성분의 레벨 의존적인 감쇠를 위한 회로인 수직 잡음소거 스테이지(29). 이 수직 잡음소거 스테이지(29)는, 휘도신호 Y에 제어가능하게 영향을 미치는 제 2 제어가능한 신호 감응 스테이지를 형성한다.
6. 기본적으로는 휘도신호 Y의 고주파 신호성분의 레벨 의존적인 감쇠를 위한 회로이며, 잡음 신호성분을 줄일 수 있도록 하는 제 1 수평 잡음소거 스테이지(30). 이 제 1 수평 잡음소거 스테이지(30)는, 휘도신호 Y에 제어가능하게 영향을 미치는 제 3 제어가능한 신호 감응 스테이지를 형성한다.
7. 기본적으로는 고주파 신호성분의 레벨 의존적인 감쇠를 위한 회로인 제 2 수평 잡음소거 스테이지(31). 이 제 2 수평 잡음소거 스테이지(31)는, 휘도신호 Y에 제어가능하게 영향을 미치는 제 4 제어가능한 신호 감응 스테이지를 형성한다.
8. 중간 주파수 내지 고주파 범위에 있는, 즉 대략 2.0MHz 부근의 주파수 범위를 갖는 신호성분의 레벨 독립적인 부스팅을 위한 회로인 화상 첨예도(picture-sharpness) 제어 스테이지(32). 이 화상 첨예도 제어 스테이지(32)는, 휘도신호 Y에 제어가능하게 영향을 미치는 제 5 제어가능한 신호 감응 스테이지에 해당한다.
이때, 비록 도 1에는 명시적으로 나타내지는 않았지만. 전술한 스테이지(25∼31)의 일부는 주파수 결정 성분으로서 IC의 외부에 배치된 코일 및/또는 적어도 한 개의 커패시터를 구비한다는 점에 주목해야 한다. 또한, 상기한 스테이지(25∼32)의 적어도 일부는 이와 다른 순서로 배치될 수도 있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상기한 플레이백 신호 처리수단(17), 즉 IC(17)는, IC 내부에 버스 라인(33)을 포함하는데, 이 버스 라인은 버스 인터페이스 장치(34)에 접속된 일단과, 휘도신호 처리수단(22)의 5개의 제어가능한 신호 감응 스테이지(26, 29, 30, 31, 32)에 접속된 타단을 갖는다. 내부 버스 라인(33)은, 버스 인터페이스 장치(34)를 통해 IC의 외부에 있는 버스 라인(35)과 통신한다.
상기한 비디오 레코더(1)는, 기본적으로 마이크로컴퓨터에 의해 이루어지는 제어수단(36)을 더 구비한다. 제어수단(36)은 버스 단자(37)를 통해 외부 버스 라인(35)에 접속되어, 제어수단이 버스 라인(35)을 통해 플레이백 신호 처리수단(17)의 버스 인터페이스 장치(34)에 접속된다.
도 1에는, 비디오 레코더(1)의 다양한 동작 모드와 제어 가능을 원격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원격 제어장치(38)가 더 도시되어 있다. 이 원격 제어장치(38)는, 다양한 명령 또는 기타 정보를 입력할 수 있도록 하는 키보드(39)를 갖는다. 원격 제어장치(38)는, 명령과 기타 정보가 도 1에 일점쇄선으로 나타낸 것과 같은 전송 경로를 통해 비디오 레코더(1)의 적외선 수신장치(42)로 전송될 수 있도록 하는 적외선 전송장치(40)를 더 구비한다. 비디오 레코더(1)의 명령 변환기(43)가 적외선 수신장치(42)에 접속되어, 근본적으로 디지탈 데이터 워드로 이루어지고 원격 제어장치(38)에 의해 발생된 명령과 기타 정보 등에 대응하는 특징 정보 KI를 발생할 수 있다. 이 특징 정보 KI는 명령 변환기(43)로부터 라인(44)을 통해 제어수단(36)으로 인가될 수 있다.
상기한 키보드(39)에 덧붙여, 원격 제어장치(38)는, 예를 들면 명칭 "메뉴 제어된 화상" 또는 명칭 "스마트 화상"이 주어질 수 있는 특수 키(45)를 갖는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한 키(45)는, 그 각각이 비디오 기록물의 주어진 플레이백 품질에 대응하는 총 4개의 특징값을 입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그러나, 이와 같은 키(45)는 단지 2개 또는 3개, 또는 역으로 4개 이상, 즉 5개 또는 6개의 특징값을 입력하도록 제공될 수도 있다. 전체 4개의 특징값을 갖는 본 실시예의 경우에 있어서, 이들은 특징값 "선명함(Sharp)", 특징값 "대여(Rental)", 특징값 "만화(Cartoon)"와 특징값 "보통(Usual)"을 포함한다. 마찬가지로, 이들 특징값은 "명확함(Distinct)", "부드러움(Soft)", "선명함(Sharp)" 및 "자연스러움(Natural)"이 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비디오 레코더(1)의 사용자를 위해 모든 4개의 특징값을 디스플레이 상에 시각적으로 표시하고, 사용자는 커서를 사용하여 한 개의 특징값을 선택한 다음, 키(45)를 구동함으로써 선택된 특징값을 확인하여 그것을 비디오 레코더(1)에 입력시킴으로써, 이들 특징값을 키(45)를 사용하여 입력시킬 수 있다. 그러나, 전술한 특징값의 입력은, 예를 들어 상기한 키(45)의 서로 다른 수의 구동에 의해 이루어질 수도 있다. 더구나, 상기한 키(45)를 사용하여 전술한 특징값을 입력하기 위한 또 다른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적외선 전송장치(40), 전송 경로(41)와 비디오 레코더(1)의 적외선 수신장치(42)를 통해, 상기한 원격 제어장치(38)는 키(465)를 사용하여 입력된 상기한 4개의 특징값 중에서 한 개에 해당하는 정보를 명령 변환기(43)로 전송한다. 그후, 명령 변환기는 키(45)를 사용하여 입력된 특징값에 대응하는 특징값 정보 KI를 발생한다. 이것은, 명령 변환기가 전술한 4가지 특징값에 해당하는 4가지 형태의 특징값 정보 KI1, KI2, KI3 및 KI4를 발생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전술한 것과 같이, 4개의 특징값 "선명함", "대여", "만화" 및 "보통"의 각각은 비디오 기록물의 일정한 플레이백 품질을 나타낸다. 특징값 "선명함"은, 예를 들어 우수한 해상도와 많은 상세내용을 갖는 비디오 기록물을 특정한다. 특징값 "대여"는 비교적 심각한 노이즈와 돌발적인 티어링(tearing)을 겪는 비디오 기록물 특정한다. 또한, 특징값 "만화"는 비교적 적은 상세내용, 날카로운 전이와 비교적 큰 영역의 부분을 갖는 비디오 기록물을 특정한다. 특징값 "보통"은 비교적 평균적인 화상 구성을 갖는 비디오 기록물을 특정한다.
전술한 특징값을 입력하기 위한 원격 제어장치(38), 즉 특히 그것의 키(45) 뿐만 아니라, 적외선 수신장치(42)와 비디오 레코더(1)의 명령 변환기(43)는, 비디오 레코더(1)와 협력하며 비디오 기록물의 서로 다른 플레이백 품질을 특정하는 특징 정보 KI - 즉, KI1, KI2, KI3 및 KI4를 입력하도록 구성된 입력수단(46)을 구성한다.
이에 따라, 상기한 입력수단(46)은, 처음으로 재생되거나 매우 작은 회수 만큼 재생된 비디오 기록물의 플레이백 품질을 특정하는 제 1 특징 정보 KI1을 입력하도록 구성되고, 이미 여러번 재생된 적이 있는 비디오 기록물의 플레이백 품질을 특정하는 제 2 특징 정보 KI2를 입력하도록 구성되며, 애니메이션 영화를 나타내는 비디오 기록물의 플레이백 품질을 특정하는 제 3 특징 정보 KI3를 입력하도록 구성되고, 더구나 평균적인 보통의 비디오 기록물의 플레이백 품질을 특정하는 제 4 특징 정보 KI4를 입력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제 1 특징 정보 KI1은 키(45)를 사용하여 특징값 "선명함"을 입력할 때 발생된다. 제 2 특징 정보 KI2는 키(45)를 사용하여 특징값 "대여"를 입력할 때 발생된다. 또한, 제 3 특징 정보 KI3는 키(45)를 사용하여 특징값 "만화"를 입력할 때 발생된다. 제 4 특징 정보 KI4는 키(45)를 사용하여 특징값 "보통"을 입력할 때 발생된다.
위에서 설명한 것과 같이, 비디오 레코더(1)는 마이크로컴퓨터에 의해 구성된 제어수단(36)을 구비한다. 상기한 특징 정보 KI는 라인(44)을 통해 제어수단(36)으로 주어질 수 있다. 제어수단(36)에 의해 실현된 변환장치(47)의 도움으로, 제어수단은 특징 정보 KI를 제어 정보 SI로 변환할 수 있으므로, 제어수단(36)은 특징 정보 KI에 대응하는 제어 정보 SI를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특징 정보 KI1, KI2, KI3 및 KI4에 대응하는 4가지 형태의 제어 정보 SI1, SI2, SI3 및 SI4가 변환수단(47)의 도움으로, 결국 제어수단(36)의 도움으로 발생될 수 있다. 상기한 제어수단(36)의 도움으로 발생된 제어 정보 SI에 의존하여, 모든 제어가능한 신호 감응 스테이지(26, 28, 29, 31, 32)는 전술한 것과 같이 제어되어, 플레이백 신호 PS의 휘도신호 Y에 제어가능한 방식으로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제어수단(36)에 의해 발생될 수 있는 제어 정보 SI는, 외부 버스 라인(35)을 통해 IC(17), 즉 플레이백 신호 처리수단(17) 내부에 있는 버스 인터페이스 장치(34)로 주어질 수 있다. 버스 인터페이스 장치(34)는, 이 제어 정보 SI로부터 해당하는 스테이지 제어 정보 SSI를 도출할 수 있는 구성을 갖는다. 이와 같이 도출된 스테이지 제어 정보 SSI는 내부 버스 라인(33)을 통해 5개의 제어가능한 신호 감응 스테이지(26, 29, 30, 31, 32)로 인가되어, 그것들이 플레이백 신호 PS의 휘도신호 Y에 영향을 미치는 방식을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한 외부 버스 라인(35)과 IC(17)의 버스 인터페이스 장치(34) 뿐만 아니라 내부 버스 라인(33)은, 제어수단(36)에 의해 발생된 제어 정보 SI가 인가되고, 제어 정보 SI에 대응하는 스테이지 제어 정보 SSI를 상기한 제어 정보 SI로부터 도출될 수 있도록 하며, 신호 감응 스테이지가 플레이백 신호 PS의 휘도신호 Y에 영향을 미치는 방식을 제어하기 위해 스테이지 제어 정보 SSI가 신호 감응 스테이지(26, 29, 30, 31, 32)에 인가될 수 있도록 하는 통로를 제공하는 입력수단(48)을 구성한다고 말할 수 있다. 5개의 신호 감응 스테이지(26, 29, 30, 31, 32) 각각은 상기한 입력수단(48)을 통해 제어수단(36)에 접속되고, 이들 5개의 신호 감응 스테이지(26, 28, 30, 31, 32) 각각은, 입력수단(48)을 통해 스테이지 제어 정보 SSI를 수신하도록 배치되는데, 즉 재 1 스테이지 제어 정보 SSI1은 FM 등화기 스테이지(26)에 대응하고, 제 2 스테이지 제어 정보 SSI2는 수직 잡음소거 스테이지(29)에 대응하며, 제 3 스테이지 제어 정보 SSI3는 제 1 수평 잡음소거 스테이지(30)에 대응하고, 제 4 스테이지 제어 정보 SSI4는 제 2 수평 잡음소거 스테이지(31)에 대응하며, 제 5 스테이지 제어 정보 SSI5는 화상 첨예도 제어 스테이지(32)에 대응한다.
비디오 레코더(1)에 대해, 키(45)를 사용하여 특징값 "선명함"이 입력되고, 이에 따라 입력수단(46)이 특징 정보 KI1을 비디오 레코더(1)에 입력하면, 제어수단(36)은 제어 정보 SI1을 발생하고, 이것으로부터 버스 인터페이스 장치(34)의 도움으로 5가지 형태의 스테이지 제어 정보 SSI1 내지 SSI5가 발생하며, 이것들은 신호 감응 스테이지가 플레이백 신호 PS의 휘도신호 Y에 영향을 미치는 방식을 제어하기 위해 5개의 신호 감응 스테이지(26, 29, 30, 31, 32)에 인가되어, 이들 5개의 신호 감응 스테이지(26, 29, 30, 31, 32) 내부에 다음과 같은 영향을 미치는 작용을 한다:
1. FM 등화기 스테이지: 강한 부스트
2. 수직 잡음소거 스테이지: 동작하지 않음
3. 제 1 수평 잡음소거 스테이지: 약한 감쇠
4. 제 2 수평 잡음소거 스테이지: 약한 감쇠
5. 화상 첨예도 제어 스테이지: 평균 내지는 다소 강한 부스트.
비디오 레코더(1)에 대해 키(45)를 사용하여 특징값 "대여"가 입력되면, 이것은 마찬가지로 5개의 신호 감응 스테이지(26, 29, 30, 31, 32)에 다음과 같은 효과를 일으킨다:
1. FM 등화기 스테이지: 약한 부스트
2. 수직 잡음소거 스테이지: 강한 감쇠
3. 제 1 수평 잡음소거 스테이지: 강한 감쇠
4. 제 2 수평 잡음소거 스테이지: 약한 감쇠
5. 화상 첨예도 제어 스테이지: 평균 내지는 다소 약한 부스트.
비디오 레코더(1)에 대해 키(45)를 사용하여 특징값 "만화"가 입력되면, 이것은 마찬가지로 5개의 신호 감응 스테이지(26, 29, 30, 31, 32)에 다음과 같은 효과를 일으킨다:
1. FM 등화기 스테이지: 강한 부스트
2. 수직 잡음소거 스테이지: 평균적인 감쇠
3. 제 1 수평 잡음소거 스테이지: 약한 감쇠
4. 제 2 수평 잡음소거 스테이지: 약한 감쇠
5. 화상 첨예도 제어 스테이지: 강한 부스트.
비디오 레코더(1)에 대해 키(45)를 사용하여 특징값 "보통"이 입력되면, 이것은 마찬가지로 5개의 신호 감응 스테이지(26, 29, 30, 31, 32)에 다음과 같은 효과를 일으킨다:
1. FM 등화기 스테이지: 평균적인 부스트
2. 수직 잡음소거 스테이지: 평균적인 감쇠
3. 제 1 수평 잡음소거 스테이지: 평균적인 감쇠
4. 제 2 수평 잡음소거 스테이지: 약한 감쇠
5. 화상 첨예도 제어 스테이지: 약한 부스트.
이때, 물론, 5개의 신호 감응 스테이지(26, 29, 30, 31, 32)에 있어서 효과의 다음 조합이 선택될 수도 있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비디오 레코더(1)의 기본적인 이점은, 비디오 레코더(1)의 사용자가 단순히 비디오 기록물의 플레이백 품질에 대한 알기 쉬운 특징값을 선택함으로써, 5개의 신호 감응 스테이지 각각에 대한 선택된 특징값에 대해 최적인 플레이백 신호 PS의 휘도신호 Y의 응답 또는 적응을 선택할 수 있으므로, 서로 다른 플레이백 품질에서 사용가능한 비디오 기록물의 최적의 재생을 얻을 수 있다는 것이다.
도 1에 일점쇄선으로 나타낸 것과 같이, 원격 제어장치(38) 상의 키(45) 대신에 키(45A)가 도 1에 도시된 비디오 레코더(1)에 직접 설치될 수 있다. 이 키(45A)는 상기한 키(45)와 동일한 기능을 수행한다.
본 발명은 예를 들기 위해 전술한 비디오 레코더의 실시예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비디오 레코더의 다른 실시예는, 플레이백 신호의 적어도 한가지 성분을 최적화하기 위해 특징값 또는 특징 정보를 비디오 레코더 내부에 입력하여 그 각각이 제어될 수 있는 5개 미만 또는 5개보다 많은 신호 감응 스테이지를 구비할 수 있다. 더구나, 본 발명에 따른 구성은 플레이백 신호 PS의 휘도신호에 영향을 미치는 것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범주 내에서, 비디오 레코더 내부의 플레이백 신호의 칼라 신호를 처리하는 역할을 하는 회로 스테이지에 영향을 미칠 수도 있다.

Claims (8)

  1. 자기 테이프(2) 상에 기록되고 서로 다른 플레이백 품질을 갖고 사용가능한 비디오 기록물을 재생하며,
    자기 테이프(2)를 주사하여 비디오 기록물을 나타내는 플레이백 신호(PS)를 공급하는 재생수단(3)과,
    상기 플레이백 신호(PS)를 신호처리하며 플레이백 신호(PS)의 적어도 한 개의 성분(Y)에 제어가능하게 영향을 미치는 적어도 한 개의 제어가능한 신호 감응 스테이지(26, 29, 30, 31, 32)를 포함하는 플레이백 신호 처리수단(17)을 구비한 비디오 레코더(1)에 있어서,
    상기 비디오 레코더(1)와 협력하며 비디오 기록물의 서로 다른 플레이백 품질을 특정하는 특징 정보(KI)를 입력하도록 구성된 입력수단(46)이 설치되고,
    상기 비디오 레코더(1)는 상기 특징 정보(KI)를 수신하여 이 특징 정보(KI)에 대응하는 제어 정보(SI)를 발생하도록 구성된 제어수단(36)을 구비하며,
    상기 적어도 한 개의 제어가능한 신호 감응 스테이지(26, 29, 30, 31, 32)는, 상기 제어수단(36)에 의해 발생된 제어 정보(SI)에 의존하여 상기 플레이백 신호(PS)의 적어도 한 개의 성분(Y)의 제어가능한 감응에 대해서 제어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디오 레코더(1).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백 신호 처리수단(17)은, 상기 플레이백 신호(PS)의 적어도 한 개의 성분(Y)에 제어가능하게 영향을 미치는 복수의 제어가능한 신호 감응 스테이지(26, 29, 30, 31, 32)를 포함하고, 모든 제어가능한 신호 감응 스테이지(26, 29, 30, 31, 32)는 상기 제어수단(36)에 의해 발생된 제어 정보(SI)에 의존하여 제어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디오 레코더(1).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36)에 의해 발생된 제어 정보(SI)를 수신하도록 배치되고, 이 제어 정보(SI)로부터 제어 정보(SI)에 대응하는 스테이지 제어 정보(SSI1, SSI2, SSI3, SSI4, SSI5)를 도출하도록 구성되며, 신호 감응 스테이지가 플레이백 신호(PS)의 적어도 한 개의 성분(Y)에 영향을 미치는 방식을 제어하기 위해 상기 스테이지 제어 정보(SSI1, SSI2, SSI3, SSI4, SSI5)가 상기 신호 감응 스테이지(26, 29, 30, 31, 32)에 인가될 수 있는 통로를 제공하는 입력수단(48)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디오 레코더(1).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백 신호 처리수단(17)은, FM 등화기 스테이지(26), 수직 잡음소거 스테이지(29), 제 1 수평 잡음소거 스테이지(30), 제 2 수평 잡음소거 스테이지(31) 및 화상 첨예도 제어 스테이지(32)를 구비하고, 이들 5개의 신호 감응 스테이지(26, 29, 30, 31, 32) 각각은 상기 입력수단(48)을 통해 스테이지 제어 정보(SSI1, SSI2, SSI3, SSI4, SSI5)를 수신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디오 레코더(1).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5개의 신호 감응 스테이지(26, 29, 30, 31, 32)는 집적 장치로 실현되고, 이 집적 장치는 상기 입력수단(48)의 일부를 구성하는 버스 라인(35)을 통해 상기 제어수단(36)에 접속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디오 레코더(1).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수단(46)은, 처음으로 재생되거나 매우 작은 회수 만큼 재생된 비디오 기록물의 플레이백 품질을 특정하는 제 1 특징 정보(KI1)와, 이미 여러번 재생된 적인 있는 비디오 기록물의 플레이백 품질을 특정하는 제 2 특징 정보(KI2)를 입력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디오 레코더(1).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수단(46)은, 애니메이션 영화를 나타내는 비디오 기록물의 플레이백 품질을 표시하는 제 3 특징 정보(KI3)를 추가로 입력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디오 레코더(1).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수단(46)은, 적어도 한 개의 또 다른 항목의 특징 정보(KI4)를 추가로 입력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디오 레코더(1).
KR1019997003167A 1997-08-14 1998-07-16 비디오 기록물의 서로 다른 플레이백 품질에 적응가능한 플레이백 신호 처리수단을 구비한 비디오 레코더 KR2000006875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97890162.7 1997-08-14
EP97890162 1997-08-14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68754A true KR20000068754A (ko) 2000-11-25

Family

ID=82311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7003167A KR20000068754A (ko) 1997-08-14 1998-07-16 비디오 기록물의 서로 다른 플레이백 품질에 적응가능한 플레이백 신호 처리수단을 구비한 비디오 레코더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6496645B1 (ko)
EP (1) EP0934655A1 (ko)
JP (1) JP2001504313A (ko)
KR (1) KR20000068754A (ko)
TW (1) TW401696B (ko)
WO (1) WO1999009740A2 (ko)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63186A (en) * 1984-04-09 1988-08-09 Corporate Communications Consultants, Inc. Color correction system with monitor for use in recalling color corrections and corresponding method
KR950003021B1 (ko) * 1989-06-26 1995-03-29 주식회사 금성사 브이씨알의 리모콘에 의한 해상도 업/다운 회로 및 그 제어방법
JP2822258B2 (ja) * 1990-03-02 1998-11-11 ソニー株式会社 テレビジョン受像機
JP2800373B2 (ja) * 1990-05-31 1998-09-21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磁気録画再生装置の自動画質調整装置
US5257109A (en) 1990-07-02 1993-10-26 Akai Electric Co., Ltd. Magnetic recording and reproducing apparatus
US5249064A (en) 1990-07-02 1993-09-28 Akai Electric Co., Ltd. Noise canceller for use in a magnetic reproducing apparatus
JP2783696B2 (ja) * 1991-05-31 1998-08-06 シャープ株式会社 画質補正装置
KR930001678A (ko) * 1991-06-13 1993-01-16 강진구 영상 신호에 있어서의 잡음 검출 알고리즘
JPH05151705A (ja) * 1991-11-27 1993-06-18 Hitachi Ltd ビデオ信号処理装置および信号処理回路
JP3134434B2 (ja) * 1991-12-26 2001-02-13 ソニー株式会社 記録再生装置
EP0579198B1 (en) * 1992-07-17 1998-12-23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Magnetic recording control device
US5298982A (en) * 1992-09-16 1994-03-29 Lagoni William A Television receiver with switchable chrominance signal filter
US5579119A (en) * 1992-10-19 1996-11-26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Recording signal control apparatus capable of optimizing recording conditions for magnetic recording medium
JP3190194B2 (ja) * 1993-08-19 2001-07-23 三菱電機株式会社 磁気記録方法および装置
DE4341623A1 (de) * 1993-12-07 1995-06-08 Mb Video Gmbh Verfahren zur Rauschunterdrückung und Rauschunterdrückungsschaltung für Videorecord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6496645B1 (en) 2002-12-17
TW401696B (en) 2000-08-11
EP0934655A1 (en) 1999-08-11
WO1999009740A2 (en) 1999-02-25
WO1999009740A3 (en) 1999-05-06
JP2001504313A (ja) 2001-03-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141004A (en) Method for playing menu in digital video disc player
KR20000068754A (ko) 비디오 기록물의 서로 다른 플레이백 품질에 적응가능한 플레이백 신호 처리수단을 구비한 비디오 레코더
US5396338A (en) Recording and reproducing system
US7418196B2 (en) Video signal recording apparatus
US20060159425A1 (en) Hybrid video device capable of copying part of original title and method for copying part of original title in the same
US20040013402A1 (en) Video recording and reproducing apparatus
KR0145581B1 (ko) 복합형 영상재생시스템의 모드절환제어방법
KR100245122B1 (ko) 비디오 자막 제어장치 및 방법
JP4135157B2 (ja) データ放送番組記録再生装置
KR100395563B1 (ko) 오디오더빙이 가능한 콤비네이션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오디오더빙방법
KR100207182B1 (ko) 텔레비디오의 fbt발진음 출력방지장치
JP4045655B2 (ja) 遠隔操作システム及び記録再生装置、並びに入力操作装置
KR100247346B1 (ko) 비디오 카셋트테이프 레코더를 이용한 퍼스널컴퓨터 데이터 저장 및 재생 제어장치
KR100207382B1 (ko) 브이씨알의 방송 신호 녹화 및 재생 장치
KR100669018B1 (ko) 디지털 복합 시스템
KR0139686B1 (ko) 씨디-롬 드라이버 일체형 브이씨알 및 그 브이씨알의 모드 설정방법
JP3500160B2 (ja) 画像記録装置
KR100273403B1 (ko) 브이씨알의영상및음성재생장치
JP2692866B2 (ja) 再生装置
JPH0869682A (ja) 編集機能付vtr
JPH06225251A (ja) 磁気記録再生装置
JPH0766591B2 (ja) インデツクス信号記録装置
JPS61136389A (ja) インサ−ト機能付き磁気記録再生装置
KR20040058871A (ko) 콤비네이션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9990043800A (ko) 방송 프로그램 녹화시 콘트라스 상태의 기록 방법 및 그에 따른표출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