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67488A - 자동차용 오일팬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오일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67488A
KR20000067488A KR1019990015345A KR19990015345A KR20000067488A KR 20000067488 A KR20000067488 A KR 20000067488A KR 1019990015345 A KR1019990015345 A KR 1019990015345A KR 19990015345 A KR19990015345 A KR 19990015345A KR 20000067488 A KR20000067488 A KR 2000006748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il
oil pan
baffle plate
engine
pa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153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광원
Original Assignee
이관기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국민차사업부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관기,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국민차사업부문 filed Critical 이관기
Priority to KR10199900153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00067488A/ko
Publication of KR200000674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67488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01R13/70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switch
    • H01R13/701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switch the switch being actuated by an accessory, e.g. cover, locking memb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12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01H13/14Operating parts, e.g. push-butt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31/00Coupling parts supported only by co-operation with counterpart
    • H01R31/06Intermediate parts for linking two coupling parts, e.g. adapt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35/00Flexible or turnable line connectors, i.e. the rotation angle being limited
    • H01R35/04Turnable line connectors with limited rotation angle with frictional contact memb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103/00Two pol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 H02J7/0044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specially adapted for holding portable devices containing batteries

Landscapes

  • Lubrication Details And Ventilation Of Internal Combustion Engines (AREA)
  • Lubrication Of Internal Combustion Eng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용 오일팬에 관한 것으로 오일팬의 외형치수는 동일하게 유지하면서 열교환면적은 최대화하여 오일의 점도유지 및 수명연장을 이루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
상기 오일팬(4)은 내방으로 그 단면형상이 개략 '∩'형의 배플플레이트(40)를 구비하고,
상기 배플플레이트(40)는 평면일측으로 오일스트레이너(41)의 조립을 위한 조립공(42)과 양측 가장자리 선단에는 일정한 각도나 라운드형상의 절곡부위(43)를 구비하며,
상기 배플플레이트(40)는 오일팬(4)의 외벽(4')과 절곡부위(43)를 이용하여 오일의 유동을 위한 통로(44)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오일팬은;
엔진오일의 냉각성능향상과 이로 인한 적정점도유지가 가능하여 엔진구동부품의 내구성증대 및 엔진오일의 수명연장을 이룰 수 있는 유용한 발명이다.

Description

자동차용 오일팬{Oil pan for vehicle}
본 발명은 자동차용 오일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오일팬의 내방에 수용되어 자동차의 급정지, 급선회등으로 인한 엔진오일의 급유동을 방지하는 오일팬 배플의 형상을 개선하여 엔진오일의 냉각성능향상과 수명연장등을 이루기 위함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는 원동기에 의해 육상에서 이동할 목적으로 제작한 용구를 말하며, 섀시(chassis)와 바디(body)로 구성된다.
그 중 섀시는 엔진을 비롯하여 자동차의 구동에 필요한 동력전달장치, 차축 및 현가장치, 조향장치 및 브레이크장치로 이루어지고,
바디는 섀시를 차체와 체결하기위한 프레임과 승객의 탑승이 이루어지는 외장을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자동차는 엔진의 열에너지를 기계적에너지로 전환하여 그 진행이 가능한데,
이러한 자동차 엔진(1)은;
내부에 실린더(10)가 구비되는 실린더블럭(11)과 상기 실린더블럭(11)의 상측에 결합되는 실린더헤더(12) 및 실린더블럭(11)의 하측에 결합되는 오일팬(13)으로 크게 구성된다.
상기 실린더블럭(11)의 내부에 형성되는 실린더(10)에는 실린더(10)의 상,하방향으로 왕복운동하면서 흡입, 압축, 폭발, 배기행정을 수행하기 위한 피스톤(14)이 내장된다.
상기 피스톤(14)은 실린더블럭(11)의 하방에 위치하여 피스톤(14)의 왕복직선운동을 회전운동으로 전환하여 크랭크샤프트(15)로 전달하기 위한 커넥팅로드(16)가 구비된다.
상기 실린더블럭(11)의 상부에 결합되는 실린더헤더(12)에는 에어클리너(17)와 스로틀밸브(18)를 통과한 공기와 연료가 혼합된 혼합기를 흡입하기 위한 흡입밸브(19)와 압축된 혼합기가 폭발할 수 있도록 하기위한 점화플러그, 폭발된 연소가스를 배출하기 위한 배기밸브(20)등으로 구성된 밸브기구를 구성한다.
상기와 같이 혼합기를 흡입, 압축, 폭발, 배기행정을 통하여 피스톤(14)은 실린더(10)의 상,하방향으로 왕복운동을 하고,
이 왕복운동이 커넥팅로드(16)를 통하여 크랭크샤프트(15)로 전달됨으로서 크랭크샤프트(15)가 회전운동으로 전환하여 변속기로 전달하여 자동차가 주행할 수 있는 추진력을 얻게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실린더내방에서 왕복운동하는 피스톤(14)은 실린더(10)와의 마찰계수를 저하시키기위해 실린더블럭(11) 하단에 구비된 오일팬(13)을 이용하여 윤활 및 냉각작용을 동시에 수행하고,
이러한 엔진오일은 피스톤(14)과 실린더(10)상간의 윤활작용이외에도 크랭크샤프트(15)등 모든 엔진내부 구성품의 윤활작용에 관여한다.
상기와 같이 엔진내부의 각 구동부를 윤활한 엔진오일은 최종적으로 오일팬(13)의 상측방에 형성된 배플플레이트(baffle plate;21)상에 낙하하고,
낙하된 엔진오일은 배플플레이트(21)의 경사면을 따라 오일팬(13)내방으로 집적되어 저장된다.
상기 오일팬(13)내방에 형성된 배플플레이트(21)는 도 2 및 도 3에서와 오일팬(13)의 개방된 상측에 구비되는 것으로,
상기 배플플레이트(21)는 자동차의 급발진, 급정지, 급선회등과 같이 비정상적인 주행에서 유발되는 자동차의 각종 유동으로부터 엔진오일이 급격하게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도 3에서와 같이 중앙부위(p)에서 가장자리(p')로 진행할 수록 완만한 경사를 형성하기위해 구배를 구비하여 낙하한 엔진오일이 원활하게 오일팬(13)내로 집적될 수 있도록 구성한다.
상기와 같은 오일팬(13)은 엔진오일의 저장과 공급이외에도 윤활작용을 마친 오일의 냉각작용도 동시에 수행하는데,
이는 오일팬(13)의 외벽(13')과 외기의 접촉을 통한 열교환을 이루어 그 내방에 저장된 엔진오일을 냉각하여 점도유지와 수명연장을 꾀한다.
이를 위해서는 오일팬규격을 엔진룸내에서 허용된 범위내에서 최대화하여 외벽과 외기의 접촉면적을 극대화하여야만 원활한 오일냉각이 가능하다.
하지만, 근자에 들어 자동차 엔진룸내의 기타 구성품의 증가로 오일팬의 소형화가 이루어지고,
이로 인하여 엔진오일의 충분한 냉각이 이루어지지않아 일정점도의 유지가 난이하여 윤활성능이 저하됨은 물론 오일수명을 단축시켜 경제적인 불이익과 환경오염유발등 많은 문제점을 안고 있었다.
또한 상기와 같이 오일팬에서의 충분한 오일냉각이 불가능하므로 인해 별도의 오일쿨러등을 구비하여야 하므로 구성의 복잡성과 추가비용부담의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상기한 여러 가지 문제점을 해결하기위해 창출된 것으로 오일팬의 외형치수는 동일하게 유지하면서 열교환면적은 최대화하여 오일의 점도유지 및 수명연장을 이룰 수 있는 것으로,
이를 위해서는 오일팬 상측에 형성되는 배플플레이트의 형상을 개선하여 낙하된 오일이 오일팬외벽과의 접촉할 수 있는 시간을 연장시켜 원활한 냉각이 가능하도록 함을 그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통상적인 자동차용 엔진을 도시한 간략 단면도,
도 2는 종래 기술이 적용된 자동차용 오일팬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종래 기술이 적용된 자동차용 엔진 오일팬을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이 적용된 자동차용 엔진 오일팬내방에 수용되는 배플플레이트와 오일팬을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이 적용된 자동차용 엔진 오일팬의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사용된 부호의 설명*
4;오일팬
4';오일팬 외벽
40;배플플레이트
43;절곡부위
44;통로
이하 첨부되는 도면과 관련하여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는 본 발명이 적용된 자동차용 엔진 오일팬내방에 수용되는 배플플레이트와 오일팬을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이 적용된 자동차용 엔진 오일팬의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로서 함께 설명한다.
자동차 엔진을 구성하는 각 구동부의 윤활과 냉각작용을 수행하는 엔진오일의 저장 및 분배를 위해 실린더블럭 하단에 오일팬을 구비한다.
상기 오일팬(4)은 도 4 및 도 5에서와 같이 그 내방으로 단면형상이 개략 '∩'형의 배플플레이트(40)를 구비하고,
상기 배플플레이트(40)는 평면일측으로 오일스트레이너(41)의 조립을 위한 조립공(42)이 형성되며, 오일팬(4)의 외벽(4')과 일정한 공간의 통로(44)형성을 위해 양측 가장자리 선단에 절곡부위(43)를 구비한다.
상기 배플플레이트(40)는 오일팬(4)의 외벽(4')과 절곡부위(43)를 이용하여 용접등을 통한 고정상태를 이루며,
상기 배플플레이트(40)의 절곡부위(43)로 인해 생성되는 통로(44)는 엔진의 배기량에 따른 오일량에 적절히 대응하여 그 규격을 결정한다.
상기와 같은 배플플레이트(40)는 엔진 각 구동부의 윤활작업을 수행한 오일이 최정적으로 낙하하여 오일팬(4)에 저장되는 곳으로,
낙하한 오일의 원활한 유동을 위하여 전체적으로 완만한 구배를 형성하여 자동차의 직립상태에서 오일팬(4)으로의 이송이 용이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인 자동차용 오일팬의 작용상태를 종래 구성의 문제점과 비교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자동차 엔진의 기동과 동시에 오일팬(4)에 저장된 엔진오일은 오일펌프의 흡입력으로 오일스트레이너(41)를 통하여 흡입되고, 흡입된 엔진오일은 오일필터를 거쳐 실린더블럭에 형성된 오일통로를 통하여 각 구동부에 윤활작용을 수행한다.
상기와 같이 윤활작용을 수행한 엔진오일은 오일팬(4)의 상단에 형성된 배플플레이트(40)상에 낙하하고,
상기 엔진오일은 배플플레이트(40)에 형성된 경사면을 따라 배플플레이트(40)의 양측 가장자리의 절곡부위(43)와 오일팬(4)외벽(4')과의 상간에 형성된 통로(44)로 서서히 유입된다.
상기와 같이 유입된 엔진오일은 외기와 열교환을 이루는 오일팬(4)외벽(4')과의 접촉면적과 시간이 증가하고,
이는 종래 구성에서의 문제점인 평판형 배플플레이트와 오일팬의 소형화에서 기인한 엔진오일의 냉각성 저하를 개선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배플플레이트(40)와 오일팬 외벽상간에 형성된 통로(44)로 유입된 엔진오일은 서서히 이동하면서 오일팬(4)의 섬프부(45)로 집적된다.
상기와 같은 오일팬은 그 외형치수의 변형은 없이 열교환을 위한 단면적을 극대화하여 한정된 엔진룸내에서의 공간활용성을 향상시킬수 있는 장점을 지닌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인 자동차용 오일팬은 엔진오일의 냉각성능향상과 이로 인한 적정점도유지가 가능하여 엔진구동부품의 내구성증대 및 엔진오일의 수명연장을 이룰 수 있는 유용한 발명이다.

Claims (1)

  1. 자동차 엔진을 구성하는 각 구동부의 윤활과 냉각작용을 수행하는 엔진오일의 저장 및 분배를 위한 자동차용 오일팬을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 오일팬(4)은 내방으로 그 단면형상이 개략 '∩'형의 배플플레이트(40)를 구비하고,
    상기 배플플레이트(40)는 평면일측으로 오일스트레이너(41)의 조립을 위한 조립공(42)과 양측 가장자리 선단에는 일정한 각도나 라운드형상의 절곡부위(43)를 포함하고;
    상기 배플플레이트(40)는 오일팬(4)의 외벽(4')과 절곡부위(43)를 이용하여 오일의 유동을 위한 통로(44)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오일팬.
KR1019990015345A 1999-04-29 1999-04-29 자동차용 오일팬 KR2000006748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15345A KR20000067488A (ko) 1999-04-29 1999-04-29 자동차용 오일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15345A KR20000067488A (ko) 1999-04-29 1999-04-29 자동차용 오일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67488A true KR20000067488A (ko) 2000-11-15

Family

ID=195828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15345A KR20000067488A (ko) 1999-04-29 1999-04-29 자동차용 오일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00067488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835987B1 (en) Lubricating system in 4-cycle engine
EP1092845B1 (en) Lubricating system in a 4-cycle engine
CA2071458C (en) 4-cycle engine
KR100376061B1 (ko) 핸드헬드형 4사이클 엔진
CN110392772B (zh) 内燃发动机
US6715461B2 (en) System for lubricating valve-operating mechanism in engine
US6659051B2 (en) Oil-cooled engine assembly
JP3111402B2 (ja) 四サイクルエンジンの潤滑装置
JP3209486B2 (ja) 四サイクルエンジンの潤滑装置
KR20000067488A (ko) 자동차용 오일팬
KR20000067485A (ko) 자동차용 오일팬
JPH0472973B2 (ko)
JPH08189417A (ja) 車両の4サイクルエンジン
JP3159296B2 (ja) 四サイクルエンジンの潤滑装置
CN100427746C (zh) 四冲程发动机
CN216642289U (zh) 发动机
CN2229528Y (zh) 针杯内燃机
JP3111403B2 (ja) 空冷四サイクルエンジンの潤滑装置
KR100240723B1 (ko) 자동차용 엔진의 피스톤
JP3566836B2 (ja) 車両用内燃機関
KR20030075027A (ko) 자동차용 오일팬
JPH1191375A (ja) エンジンの動力伝達装置
KR20000067486A (ko) 자동차용 엔진오일쿨러
CN117365779A (zh) 一种卧式风冷柴油机结构
JP3127352B2 (ja) 四サイクルエンジンの潤滑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