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66897A - 공기입 타이어 - Google Patents

공기입 타이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66897A
KR20000066897A KR1019990014292A KR19990014292A KR20000066897A KR 20000066897 A KR20000066897 A KR 20000066897A KR 1019990014292 A KR1019990014292 A KR 1019990014292A KR 19990014292 A KR19990014292 A KR 19990014292A KR 20000066897 A KR20000066897 A KR 2000006689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ross
tire
side wall
vehicle
h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142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98015B1 (ko
Inventor
홍영수
Original Assignee
조충환
한국타이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충환, 한국타이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조충환
Priority to KR10-1999-00142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98015B1/ko
Publication of KR200000668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668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980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98015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3/00Tyres characterised by the transverse section
    • B60C3/06Tyres characterised by the transverse section asymmetr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BVEHICLE WHEELS; CASTORS; AXLES FOR WHEELS OR CASTORS; INCREASING WHEEL ADHESION
    • B60B21/00Rims
    • B60B21/02Rims characterised by transverse section
    • B60B21/023Rims characterised by transverse section the transverse section being non-symmetric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13/00Tyre sidewalls; Protecting, decorating, marking, or the like, there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ire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타이어의 좌우 측의 단면 높이를 다르게 형성시켜 조종 안정성과 승차감을 동시에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공기입 타이어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공기입 타이어는 타이어의 좌우의 사이드월(20)(21) 길이가 서로 대칭을 이루는 것으로, 이와 같은 타이어는 차량의 코너링 동작시 차량의 내측부분과 차량의 외측 부분의 변형 량이 크게 다르게 되어 조종 안정성이 저하되는 문제점 발생됨과 동시에 노면과 직접 마찰되는 트래드(1)의 좌우 마모 속도가 현저한 차이를 보이는 편 마모가 발생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던 바, 본 발명은
타이어 양측의 사이드 월부(20)(21) 단면 높이를 서로 다르게 형성시켜 타이어의 좌우 측이 비대칭을 이루도록 구성되는 것으로, 차량의 내측에 위치하는 사이드 월부(21)의 단면 높이(H2)는 높게 형성시키고, 차량의 외측에 위치하는 사이드 월부(20)의 단면 높이(H1)는 상대적으로 낮게 형성시킴으로써, 저 편평비 타이어의 우수성과 고 편평비에서의 승차 감을 동시에 확보할 수 있으며, 고속 주행 시에 보다 안정적인 주행 성능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임.

Description

공기입 타이어 { Pneumatic tire }
본 발명은 공기입 타이어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타이어의 좌우 측의 단면 높이를 다르게 형성시켜 조종 안정성과 승차 감을 동시에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공기입 타이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타이어의 편평 비가 높은 타이어는 사이드 월부의 길이가 길어져 노면으로부터 전달되는 충격을 흡수 완충시켜 승차 감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되나, 사이드 월의 강성이 작아 조종 안정성이 저하되는 결점이 있는 것이다.
또한 편평 비가 낮은 타이어는 사이드 월부의 길이가 짧아져 조종 안정성 확보에는 유리하나, 노면으로부터 전달되는 충격을 그대로 림에 전달시킴에 따라 승차 감이 저하되는 결점이 있는 것이다.
첨부된 도면 도 1 은 종래의 공기입 타이어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 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종래의 공기입 타이어는 타이어의 좌우의 사이드월(20)(21) 길이가 서로 대칭을 이루는 것으로, 이와 같은 타이어는 차량의 코너링 동작시 차량의 내측부분과 차량의 외측 부분의 변형 량이 크게 다르게 된다.
이와 같이 잦은 코너링동작에 의한 타이어 내외 측의 변형 량이 크게 되면 조종 안정성이 저하되는 문제점 발생됨과 동시에 노면과 직접 마찰되는 트래드(1)의 좌우 마모 속도가 현저한 차이를 보이는 편 마모가 발생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조종 안정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타이어의 단면 높이에 대비하여 타이어의 폭을 크게 설정시키는 방법이 시도되고 있으나, 이와 같은 경우에는 타이어의 조종 안정성은 향상되지만 이의 반대급부로 승차 감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은 타이어의 조종 안정성과 승차 감을 동시에 만족시킬 수 있도록 하는 공기입 타이어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즉, 타이어 양측의 사이드월 단면 높이를 서로 다르게 형성시켜 구성되는 것으로, 차량의 내측에 위치하는 사이드 월부의 단면 높이는 높게 형성시키고, 차량의 외측에 위치하는 사이드 월부의 단면 높이는 상대적으로 낮게 형성시킴으로써, 차량의 코너링동작시 큰 변형을 이루는 외측은 강성을 크게 발휘할 수 있게 하고, 비교적 작은 변형을 이루는 내측은 외측에 비하여 작은 강성을 가짐에 따라 승차 감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것에 특징을 둔 것이다.
도 1 은 종래의 공기입 타이어를 도시한 단면도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입 타이어를 도시한 단면도
도 3 은 본 발명의 타이어가 림에 취부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트래드 20,21. 사이드월
3. 림
이하에서는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입 타이어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3 은 본 발명의 타이어가 림에 취부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 및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타이어 양측의 사이드 월부(20)(21) 단면 높이를 서로 다르게 형성시켜 타이어의 좌우 측이 비대칭을 이루도록 구성되는 것으로, 차량의 내측에 위치하는 사이드 월부(21)의 단면 높이(H2)는 높게 형성시키고, 차량의 외측에 위치하는 사이드 월부(20)의 단면 높이(H1)는 상대적으로 낮게 형성시킴으로써, 차량의 코너링동작시 큰 변형을 이루는 외측은 강성을 크게 발휘할 수 있게 하고, 비교적 작은 변형을 이루는 내측은 외측에 비하여 작은 강성을 가짐에 따라 승차 감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이다.
이때 양측 사이드 월부(20)(21)의 단면 높이 차는 0.5 내지 1인치(inch)의 차이를 가지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와 같은 본 발명의 타이어가 취부되는 림(3)의 직경(D1,D2) 또한 좌우의 높이가 1인치 이하의 차이를 이루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은 단면 높이가 작은 쪽은 사이드 월부(20)의 강성이 높아져 저편평비 타이어의 성능을 만족시키면서 고속 주행 시의 조종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는 장점이 가진다.
또한 단면 높이가 높은 쪽의 사이드 월부(21)는 상대적으로 강성이 약하여 고 편평비로 승차 감을 확보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차량의 코너링 동작시 타이어 좌우의 강성 차이에 의해 안정적인 조정 성능을 확보 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은 타이어를 림(3)에 취부시에는 단면 높이가 낮은 사이드 월부(20)를 차량의 외측에 위치되게 하고, 단면 높이가 높은 사이드 월부(21)는 차량의 내측에 위치하도록 취부한다.
차량의 내측에 위치하는 높은 단면 높이(H2)의 사이드월(21)은 노면으로부터 전달되는 충격 전달 거리가 길어져 노면으로부터 전달되는 충격을 흡수 완충하는데 유리하여 승차 감이 향상되고, 차량의 외측에 위치하는 작은 단면 높이(H1)의 사이드월(20)은 큰 강성을 발휘하여 동력 전달 및 조종 안정성에 유리하게 작용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 예에 국한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이 허용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가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타이어의 양측의 사이드 월의 단면 높이가 서로 비대칭을 이루게 하고, 이와 같은 타이어가 취부되는 림의 직경 또한 좌우비대칭되게 하여 타이어의 편평비를 다르게 함으로써, 저 편평비 타이어의 우수성과 고 편평비에서의 승차 감을 동시에 확보할 수 있으며, 고속 주행 시에 보다 안정적인 주행 성능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3)

  1. 타이어 양측의 사이드 월부(20)(21) 단면 높이를 서로 다르게 형성시켜 타이어의 좌우 측이 비대칭을 이루도록 구성되는 것으로, 차량의 내측에 위치하는 사이드 월부(21)의 단면 높이(H2)는 높게 형성시키고, 차량의 외측에 위치하는 사이드 월부(20)의 단면 높이(H1)는 상대적으로 낮게 형성시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입 타이어.
  2. 제 1 항에 있어서, 양측 사이드 월부(20)(21)의 단면 높이 차는 0.5 내지 1인치(inch)의 차이를 가지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입 타이어.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타이어가 취부되는 림(3)의 직경(D1,D2) 또한 좌우의 높이가 1인치 이하의 차이를 이루도록 형성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입 타이어.
KR10-1999-0014292A 1999-04-21 1999-04-21 공기입 타이어 KR1004980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14292A KR100498015B1 (ko) 1999-04-21 1999-04-21 공기입 타이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14292A KR100498015B1 (ko) 1999-04-21 1999-04-21 공기입 타이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66897A true KR20000066897A (ko) 2000-11-15
KR100498015B1 KR100498015B1 (ko) 2005-07-01

Family

ID=195814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14292A KR100498015B1 (ko) 1999-04-21 1999-04-21 공기입 타이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9801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24142A (ko) * 2003-09-05 2005-03-10 금호타이어 주식회사 유니포미티가 향상된 비대칭 사이드월 구조를 가지는공기입 타이어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187707U (ko) * 1985-05-15 1986-11-22
JPS62289403A (ja) * 1986-06-06 1987-12-16 Fujio Inoue 車輌用タイア
JPH04201604A (ja) * 1990-11-29 1992-07-22 Minoru Kakizoe 自動車用タイヤ及び、それに使用するホィール
US5301728A (en) * 1993-01-19 1994-04-12 The Goodyear Tire & Rubber Company Dual bead diameter tire
KR100258737B1 (ko) * 1997-05-16 2000-08-01 홍건희 승차감과 핸드링성능을 향상시킨 공기입 타이어
KR101115834B1 (ko) * 2009-09-09 2012-03-09 엘지전자 주식회사 물 공급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24142A (ko) * 2003-09-05 2005-03-10 금호타이어 주식회사 유니포미티가 향상된 비대칭 사이드월 구조를 가지는공기입 타이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98015B1 (ko) 2005-07-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11057141A (ja) 空気入りタイヤ
JP5030753B2 (ja) 空気入りタイヤ
KR100498015B1 (ko) 공기입 타이어
JPH0314704A (ja) 空気入りタイヤ
JP4290806B2 (ja) 空気入りタイヤ
CN2878109Y (zh) 一种防爆轮胎及轮毂
KR100329994B1 (ko) 승차감과 조종 안정성을 향상시킨 승용차용 타이어
KR100539149B1 (ko) 승차감과고속주행성능을향상시킨승용차용타이어
JP4241366B2 (ja) 車両用タイヤ
KR100258737B1 (ko) 승차감과 핸드링성능을 향상시킨 공기입 타이어
KR100406052B1 (ko) 오리피스가 형성된 충격완화용 타이어
JP3104040B2 (ja) 空気入りタイヤ
US11884108B2 (en) Tire
JPS6320201A (ja) 車輌用タイア
US11780271B2 (en) Tire
JPH10244815A (ja) 空気入りタイヤ
KR100496187B1 (ko) 다중 고무층으로 이루어진 인너라이너층이 구현된공기입타이어
JPS62289403A (ja) 車輌用タイア
JPH10100608A (ja) 自動二輪車用タイヤとリムの組立体
KR200192837Y1 (ko) 자동차용 타이어
KR100462206B1 (ko) 조종 안정성을 향상시킨 공기입 타이어.
CN109795266A (zh) 一种内置空心几何体垫圈防爆轮胎
KR20020004498A (ko) 내마모성을 향상시킨 승용차용 공기입 타이어
JP2020111244A (ja) タイヤ
KR19990047863A (ko) 승차감을 향상시킨 공기입 래디알 타이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52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30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