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66060A - 전동랙 입출고 시스템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전동랙 입출고 시스템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66060A
KR20000066060A KR1019990012905A KR19990012905A KR20000066060A KR 20000066060 A KR20000066060 A KR 20000066060A KR 1019990012905 A KR1019990012905 A KR 1019990012905A KR 19990012905 A KR19990012905 A KR 19990012905A KR 20000066060 A KR20000066060 A KR 2000006606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ck
stacker crane
goods
horizontal
rack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129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22498B1 (ko
Inventor
손정보
Original Assignee
손정보
주식회사 한국 오에프에이시스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손정보, 주식회사 한국 오에프에이시스템 filed Critical 손정보
Priority to KR10199900129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22498B1/ko
Publication of KR200000660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660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224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22498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00Storing articles, individually or in orderly arrangement, in warehouses or magazines
    • B65G1/02Storage devices
    • B65G1/04Storage devices mechanical
    • B65G1/10Storage devices mechanical with relatively movable racks to facilitate insertion or removal of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00Storing articles, individually or in orderly arrangement, in warehouses or magazines
    • B65G1/02Storage devices
    • B65G1/04Storage devices mechanical
    • B65G1/0407Storage devices mechanical using stacker cranes
    • B65G1/0421Storage devices mechanical using stacker cranes with control for stacker crane oper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00Storing articles, individually or in orderly arrangement, in warehouses or magazines
    • B65G1/02Storage devices
    • B65G1/04Storage devices mechanical
    • B65G1/0407Storage devices mechanical using stacker cranes
    • B65G1/0428Transfer means for the stacker crane between the alle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00Storing articles, individually or in orderly arrangement, in warehouses or magazines
    • B65G1/02Storage devices
    • B65G1/04Storage devices mechanical
    • B65G1/137Storage devices mechanical with arrangements or automatic control means for selecting which articles are to be remov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3/00Control devices, e.g. for safety, warning or fault-correc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arehouses Or Storage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동랙 입출고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그 시스템은 각종 물품을 수납하는 랙을 복수개 구비하고, 각 랙의 상부에는 주행레일을 구비하고, 각 랙의 하부 좌우에는 가이드 레일을 구비하며, 전동랙 구동신호에 의해 입고 또는 출고가 지정된 열의 좌우랙 사이의 통로를 개방하기 위한 전동랙; 상부 주행대와 하부 가이드대를 구비하고, 스태킹 구동신호에 의해 상기 입고대의 물품을 싣거나 출고대에 물품을 내려 놓으며, 상기 지정된 열의 입구에서 입고 또는 출고 위치의 랙셀로 이동하되, 상기 상부 주행대는 상기 좌우랙의 주행레일을 통해 이동하고, 상기 하부 가이드대는 상기 좌우랙의 가이드 레일을 통해 이동하여 상기 적재한 물품을 지정된 랙셀로 입고 또는 상기 랙셀로부터 출고를 수행하기 위한 스태커 크레인; 상기 스태커 크레인을 탑재하고, 횡형 구동신호에 의해 입출고대 및 입고 또는 출고가 지정된 열로 이동하기 위한 횡형기; 및 물품의 입고 또는 출고 명령에 응답하여, 입고 또는 출고가 전동식으로 수행되도록 상기 전동랙과, 횡형기 및 스태커 크레인을 각각 구동하기 위한 주제어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스태커 크레인이 이동하기 위해 바닥에 주행레일을 깔 필요가 없으므로 일반 지게차도 랙 사이로 들어와서 작업할 수 있으며, 전동랙이 이동하는 레일과의 마찰 문제가 발생할 소지가 없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전동랙 입출고 시스템 및 그 방법{System and method for loading and unloading goods by electric mobile rack}
본 발명은 전동랙 입출고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전동 모빌랙(Electric Mobile Rack)과 스태커 크레인(Stacker Crane)을 결합하되, 상기 스태커 크레인이 각 랙의 상부에 설치된 주행레일과 각 랙의 하부 좌우에 설치된 가이드 레일을 따라 상기 랙 사이를 이동하도록 함으로써 대형 창고 등에서 물품의 전체 입출고 과정을 자동화한 전동랙 입출고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동 모빌랙(이하, 전동랙이라 한다)은 기존 고정랙으로 설치된 창고에서 랙과 랙 사이에 제품을 반출입할 수 있는 지게차 통로를 없애고 통로 1개만을 가변하여 사용함으로써 고정랙의 2배 이상의 물품을 보관할 수 있는 장치이다. 스태커 크레인은 랙과 랙 사이의 통로에 진입하여 입출고할 제품을 포크(Fork)에 싣고 지정된 돌리(Dolley)나 컨베이어(Conveyor)까지 이동시키는 장치이다.
한편, 최근 전동랙과 스태커 크레인을 결합함으로써 제품의 입출고를 자동화한 전동랙 입출고 시스템이 일본에서 개발중인 것으로 알고 있다. 그러나, 상기 시스템은 스태커 크레인이 제품의 입출고를 수행하기 위해 랙과 랙 사이의 통로안으로 움직일 때 바닥에 설치된 주행레일을 타고 이동하게 된다. 즉, 바닥에 주행레일을 깔아야 하므로 일반 지게차가 들어가서 작업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고, 전동랙 이동 레일과의 마찰 문제 등으로 인한 전체 시스템이 불안정해질 수 있는 위험이 있다. 또한, 전동랙 철거후에도 스태커 크레인의 주행레일이 깔려져 있으므로 공간을 재활용하기가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전동랙과 스태커 크레인을 결합하되, 상기 스태커 크레인이 각 랙의 상부에 설치된 주행레일과 각 랙의 하부 좌우에 설치된 가이드 레일을 따라 상기 랙 사이를 이동하도록 함으로써 대형 창고 등에서 물품의 전체 입출고 과정을 자동화한 전동랙 입출고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시스템에서의 입출고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동랙 입출고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2a-2c는 도 1에 도시된 시스템의 전동랙 입출고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전동랙 입출고 방법에서 입고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전동랙 입출고 방법에서 출고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각종 물품을 수납하는 랙을 복수개 구비하고, 각 랙의 상부에는 주행레일을 구비하고, 각 랙의 하부 좌우에는 가이드 레일을 구비하며, 전동랙 구동신호에 의해 입고 또는 출고가 지정된 열의 좌우랙 사이의 통로를 개방하기 위한 전동랙; 상부 주행대와 하부 가이드대를 구비하고, 스태킹 구동신호에 의해 입고전 입고대의 물품을 싣거나, 출고후 출고대에 물품을 내려놓으며, 상기 지정된 열의 입구에서 입고 또는 출고 위치의 랙셀로 이동하되, 상기 상부 주행대는 상기 좌우랙의 주행레일을 통해 이동하고, 상기 하부 가이드대는 상기 좌우랙의 가이드 레일을 통해 이동하여 상기 적재한 물품을 지정된 랙셀로 입고 또는 상기 랙셀로부터 출고를 수행하기 위한 스태커 크레인; 상기 스태커 크레인을 탑재하고, 횡형 구동신호에 의해 입출고대 및 입고 또는 출고가 지정된 열로 이동하기 위한 횡형기; 및 물품의 입고 또는 출고 명령에 응답하여, 입고 또는 출고가 전동식으로 수행되도록 상기 전동랙과, 상기 횡형기 및 상기 스태커 크레인을 각각 구동하기 위한 전동랙 구동신호, 횡형 구동신호 및 스태킹 구동신호를 발생하여 상기 전동랙, 상기 횡형기 및 상기 스태커 크레인으로 전송하기 위한 제어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랙 입출고 시스템이 제공된다.
상기의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각종 물품을 수납하는 랙을 복수개 구비하고, 각 랙의 상부에는 주행레일을 구비하고, 각 랙의 하부 좌우에는 가이드 레일을 구비한 전동랙; 입고전 입고대의 물품을 싣거나, 출고후 출고대에 물품을 내려놓으며, 상기 랙으로 입고 또는 상기 랙으로부터 출고를 수행하기 위한 스태커 크레인; 상기 스태커 크레인을 탑재하고 입고할 물품이 위치한 장소 또는 물품을 출고할 장소 및 입출고가 지정된 열로 이동하기 위한 횡형기를 구비한 전동랙 입출고 시스템의 구동방법에 있어서,
입고 명령에 응답하여 입고할 물품을 실은 상태에서 상기 스태커 크레인을 탑재한 횡형기를 상기 전동랙의 입고 열로 이동시킴과 동시에, 상기 전동랙의 복수개 랙 중 입고하고자 하는 열의 좌우랙 사이의 통로를 개방시키는 제1단계; 상기 입고할 열의 입구에서 상기 스태커 크레인을 상기 횡형기로부터 분리시킨 후 그 상부는 상기 좌우랙의 주행레일을 통해 이동시키고, 그 하부는 상기 좌우랙의 가이드 레일을 통해 지정 랙셀로 이동시킨 후 물품을 입고하는 제2단계; 상기 스태커 크레인을 통로밖으로 이동시켜 상기 횡형기와 결합시키고 다른 입고 명령을 기다리도록 하는 제3단계; 출고 명령에 응답하여 상기 전동랙의 복수개 랙 중 출고할 열의 좌우랙 사이의 통로를 개방시킴과 동시에 상기 스태커 크레인을 탑재한 횡형기를 상기 전동랙의 출고 열로 이동시키는 제4단계; 상기 출고할 열의 입구에서 상기 스태커 크레인을 상기 횡형기로부터 분리시켜 그 상부는 상기 좌우랙의 주행레일을 통해 이동시키고, 그 하부는 상기 좌우랙의 가이드 레일을 통해 지정 랙셀로 이동시킨 후 입고 되어 있는 물품을 싣는 제5단계; 및 상기 스태커 크레인을 출고할 물품을 싣고 상기 지정된 열 밖으로 이동하여 상기 횡형기와 결합하면, 출고대로 이동시켜 물품을 적재하는 제6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랙 입출고 방법이 제공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동랙 입출고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호스트 컴퓨터(미도시)는 사용자가 입출고 명령을 인가하는 곳으로서, 중앙 관제소의 기능을 한다. 예컨대, 입고대(156)에 올려진 제품을 몇 번째 랙의 어느 셀에 입고하고, 랙의 어느 셀에 입고되어 있는 제품을 출고해서 출고대(158)에 올려놓으라는 명령을 인가한다.
Inventory 컴퓨터(미도시)는 제품의 입출고 관리를 수행하며, 호스트 컴퓨터로부터의 입출고 명령을 주제어부(140)에 전달한다. 이는 선택적으로 설치되는 블록이다. 즉, 호스트 컴퓨터에서 바로 주제어부(140)로 사용자의 명령을 인가할 수도 있다.
여기서, 호스트 컴퓨터 또는 Inventory 컴퓨터와 주제어부(140)사이의 통신은 유선이나 무선 등 여러가지 방법으로 수행할 수 있다.
주제어부(140)는 리모트 컨트롤 기능의 팬티엄 PC 기종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호스트 컴퓨터에서 받은 모든 명령을 실행시킨다. 즉, 재고관리, 출고지시, 입고지시 및 시스템의 이상상태 파악 등 시스템의 모든 기능을 지시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구체적으로는, 호스트 컴퓨터 또는 Inventory 컴퓨터로부터의 물품의 입고 또는 출고 명령에 응답하여, 입고 또는 출고가 전동식으로 수행되도록 전동랙(144)과, 횡형기(152) 및 스태커 크레인(148)을 각각 구동하기 위한 전동랙 구동신호, 횡형 구동신호 및 스태킹 구동신호를 발생하여 전동랙 구동부(142), 횡형기 구동부(미도시) 및 스태커 크레인 구동부(146)로 전송한다.
한편, 입출고대(156)는 움직이지 않고 일정 위치에 고정되어 있을 수도 있고, 주제어부(140)의 제어에 따라 전동식으로 구동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편의상 고정되어 있는 것으로 설명한다.
주제어부(140)로부터의 각 구동부들로의 구동신호의 전송은 광모뎀(미도시)을 통해 전송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동랙 구동부(142), 스태커 크레인 구동부(146) 및 횡형기 구동부(미도시)는 주제어부(140)로부터의 전송된 구동신호들에 의해 각각 전동랙(144), 스태커 크레인(148) 및 횡형기(152)를 구동한다.
전동랙(144)은 평상시에는 랙을 한쪽으로 밀착시켜 놓았다가 작업이 필요로 할 때만 입고 또는 출고가 지정된 통로랙을 이동시켜 스태커 크레인(148)이 진입할 수 있도록 통로를 개방한다. 따라서, 기존 고정랙에 비해서 2배 이상의 물품을 보관할 수 있다. 또한, 전동랙(144)는 각종 물품을 수납하는 랙을 복수개 구비하고, 각 랙의 상부에는 스태커 크레인(148)이 "주행통로"로 주행할 수 있도록 하는 주행레일(162)을 구비하고, 각 랙의 하부 좌우에는 상기 "주행통로"로 주행시 스태커 크레인을 가이드하기 위한 가이드 레일(164)을 구비한다. 그리고, 전동랙 구동부(142)에 의해 입고 또는 출고가 지정된 열의 좌우랙 사이의 통로를 전동으로 개방한다. 이러한 주행레일들은 랙 마다 설치되며, 스태커 크레인이 최대한의 물품을 싣고 이동하는 경우에도 그 하중을 견딜 수 있도록 견고하게 설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양쪽 랙에서 하중을 균등하게 받아 전체적인 하중이 최소가 되는 위치, 예컨대 랙 상부의 중앙 부분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물품을 랙으로 또는 랙으로부터 물품을 입출고하는데에 지장이 없도록 랙의 상부에 위치한 물품 보다 높게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전동랙(144)은 마이크로프로세서에 의한 제어방식으로 랙에 대한 기계 및 전기적인 고장 상태, 랙 제어에 대한 종합상태를 자기진단하고 스스로 처리 하여 운영자에게 통보 및 디스플레이한다. 특히, 인버터(Inverter; 미도시)에 의한 속도제어를 통해 Slow Start 및 Slow Stop을 구현함으로써 급출발 및 급제동에 따른 보관물품의 추락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광센서(미도시)에 의한 통로 출입감지 등 각 부분마다 안전 센서를 부착하여 작업시 안전을 고려한다.
스태커 크레인(148)은 자동창고와 동일하며, 전동랙의 개방된 통로를 따라 진입하며, 호스트 컴퓨터에서 지시 받은 랙셀 번지의 물품을 두 종류의 다른 속도로 움직이는 Two Speed Fork의 작동으로 정교하게 인출하여 홈포지션(지정열의 입구)으로 이동한다. 즉, 횡형기(152)에 탑재된 상태에서 스태커 크레인 구동부(146)에 의해 구동되어, 상기 입고 또는 출고할 물품을 적재한 후, 상기 지정된 열의 입구로 "횡형이동"한다. 그리고, 지정된 열의 입구에서 횡형기(152)로부터 분리되어 "주행통로" 를 통해 입고 또는 출고 위치의 랙셀(Rack cell)로 이동한다. 이때, 스태커 크레인의 상부는 상부 주행대(150)에 의해 양쪽 랙의 주행레일(162)을 타고 이동하게 되며, 하부는 하부 가이드대(154)에 의해 랙의 양쪽에 위치한 가이드 레일(164)을 통해 이동하게 된다. 상부 주행대(150)나 하부 가이드대(154)는 주행레일이나 가이드 레일을 부드럽게 타고 이동하기 위하여 여러 개의 바퀴를 구비하게 된다.
지정 랙셀의 위치에 도달한 후, 스태커 크레인은 자체적인 "승강"을 통해 적재한 물품을 랙으로 입고 또는 상기 랙으로부터 출고를 수행한다.
횡형기(Traverser; 152)는 오토카(Autocar)라고도 하며, 전동랙(144)과 직교방향으로 설치된다. 스태커 크레인(148)을 탑재한 상태에서 횡형기 구동부(미도시)에 의해 구동되어 입출고대(156, 158) 및 입고 또는 출고가 지정된 열로 "횡형이동"한다.
입출고대(156, 158)는 각각 상기 전동랙(144)으로 입고할 물품 및 그로부터 출고된 물품을 적재한다.
도 2a-2c는 도 1에 도시된 시스템의 전동 입출고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여기서, 도 1과 동일한 부분은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한다.
도 2a는 스태커 크레인(148)을 탑재한 횡형기(152)가 횡형이동하여 지정된 열의 입구에 위치한 것을 위에서 내려다 본 것으로서, 스태커 크레인(148)이 횡형기(152)로부터 분리되기 직전의 모습을 나타낸다.
도 2b는 스태커 크레인(148)이 횡형기(152)에서 분리되어 랙과 랙 사이의 "주행통로"로 랙의 상부에 설치된 주행레일(162)과 하부 좌우에 설치된 가이드 레일(164)을 타고 이동 중인 모습을 랙의 앞에서 본 것이다. 도 2b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스태커 크레인(148)은 "주행통로"로 이동시 지면에서 어느 정도 뜬 상태에서 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전동랙의 이동에 필요한 레일과 충돌하는 일이 없으며, 일반 지게차도 들어가서 작업을 할 수 있게 된다.
도 2c는 스태커 크레인(148)이 지정된 랙셀로 이동후 승강을 통해 입고 동작을 수행하는 것을 랙의 옆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이는 물품을 싣고 있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전동식 입출고 방법에서 입고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입고대의 화물을 적재한다.(302 단계)
입고 위치 정보(랙셀 번지) 입력 및 입고 명령을 인가한다. 이는 호스트 컴퓨터에서 사용자가 화물을 입고할 위치를 정하고 입고 명령을 인가하는 것이다.
스태커 크레인을 탑재한 횡형기가 입고대의 화물을 싣는다.(306 단계) 횡형기가 입고대까지 횡형 이동하면, 스태커 크레인이 입고대에 적재된 화물을 싣는다.
횡형기가 입고가 지정된 열의 입구로 이동함과 동시에 전동랙은 지정열을 개방한다.(308 단계) 스태커 크레인이 이동할 수 있도록 입고가 지정된 열의 좌우에 위치한 두 랙을 좌우로 개방한다.
스태커 크레인이 횡형기에서 분리되어 주행 레일 및 가이드 레일을 통해 지정 랙셀로 이동한다.(310 단계) 입고할 화물을 실은 스태커 크레인은 지정열의 입구에서 횡형기로부터 분리되며, 스태커 크레인의 상부 주행대는 좌우랙의 상부에 위치한 주행레일을 타고 하부는 랙의 하부 좌우에 위치한 가이드 레일을 타고 지정랙셀까지 이동하게 된다.
지정랙셀에 화물을 언로딩한다.(312 단계) 스태커 크레인에 부착된 Two Speed Fork를 이용하여 화물을 지정된 위치에 내려 놓는다.
스태커 크레인이 주행레일 및 가이드 레일을 통해 지정열의 입구쪽으로 이동하여 횡형기와 결합한다.(314 단계)
주제어부로 상태를 전송한다.(316 단계) 이는 주제어부가 동작상황을 파악하고, 이상이 있는 경우 적절한 조치를 취하기 위함이다.
다른 입고 명령이 있는지를 판단하여 있으면, 302 단계 이하를 수행하고, 없으면 흐름도를 끝낸다.(318 단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전동식 입출고 방법에서 출고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사용자가 호스트 컴퓨터에서 출고 위치 정보 입력 및 출고 명령을 인가한다.(402 단계)
횡형기가 출고가 지정된 열의 입구로 이동함과 동시에 전동랙은 지정열을 개방한다.(404 단계)
스태커 크레인이 횡형기에서 분리되어 주행 레일 및 가이드 레일을 통해 지정 랙셀로 이동한다.(406 단계)
지정랙셀로부터 화물을 로딩한다.(408 단계) 스태커 크레인에 부착된 Two Speed Fork를 이용하여 랙셀에 놓여 있는 화물을 스태커 크레인에 싣는다.
스태커 크레인이 주행레일 및 가이드 레일을 통해 지정열의 입구쪽으로 이동하여 횡형기와 결합한다.(410 단계)
횡형기가 횡형 이동한 후, 출고대에 화물을 내려 놓는다.(412 단계)
주제어부로 상태를 전송한다.(414 단계)
다른 출고 명령이 있는지를 판단하여 있으면, 402 단계 이하를 수행하고, 없으면 흐름도를 끝낸다.(416 단계)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시스템은 공장내 자재창고에 설치함으로써 부품의 전산재고관리에 의한 입출고를 실행하여 현장 조립 라인까지 자동으로 연결시킬 수 있다. 그리고, 완제품 창고에 설치하여 적재될 물품의 자동 입고 및 출고될 물품의 자동출고를 수행함으로써 입출고장까지 물품을 자동운반한다. 특히, 냉동창고에 탁월한 효율을 지닌 전동모빌랙에 입출고를 자동으로 하게 됨으로써 창고관리에 높은 효율을 가져올 수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을 해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당업자에 의한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권리를 청구하는 범위는 상세한 설명의 범위내로 정해지는 것이 아니라 후술하는 청구범위로 한정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전동 모빌랙에 스태커 크레인을 결합하고, 상기 스태커 크레인이 전동 모빌랙 상부 좌우랙에 설치된 주행레일과 랙의 하부 좌우에 설치된 가이드 레일을 따라 이동하도록 함으로써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즉, 스태커 크레인이 이동하기 위해 바닥에 주행레일을 깔 필요가 없으므로 일반 지게차도 랙 사이로 들어와서 작업할 수 있으며, 전동랙이 이동하는 레일과의 마찰 문제가 발생할 소지가 없으므로 전체 제어 시스템이 안정하게 된다. 또한, 전동랙 철거후에 공간을 재활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Claims (3)

  1. 각종 물품을 수납하는 랙을 복수개 구비하고, 각 랙의 상부에는 주행레일을 구비하고, 각 랙의 하부 좌우에는 가이드 레일을 구비하며, 전동랙 구동신호에 의해 입고 또는 출고가 지정된 열의 좌우랙 사이의 통로를 개방하기 위한 전동랙;
    상부 주행대와 하부 가이드대를 구비하고, 스태킹 구동신호에 의해 입고전 입고대의 물품을 싣거나, 출고후 출고대에 물품을 내려놓으며, 상기 지정된 열의 입구에서 입고 또는 출고 위치의 랙셀로 이동하되, 상기 상부 주행대는 상기 좌우랙의 주행레일을 통해 이동하고, 상기 하부 가이드대는 상기 좌우랙의 가이드 레일을 통해 이동하여 상기 적재한 물품을 지정된 랙셀로 입고 또는 상기 랙셀로부터 출고를 수행하기 위한 스태커 크레인;
    상기 스태커 크레인을 탑재하고, 횡형 구동신호에 의해 입출고대 및 입고 또는 출고가 지정된 열로 이동하기 위한 횡형기; 및
    물품의 입고 또는 출고 명령에 응답하여, 입고 또는 출고가 전동식으로 수행되도록 상기 전동랙과, 상기 횡형기 및 상기 스태커 크레인을 각각 구동하기 위한 전동랙 구동신호, 횡형 구동신호 및 스태킹 구동신호를 발생하여 상기 전동랙, 상기 횡형기 및 상기 스태커 크레인으로 전송하기 위한 제어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랙 입출고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동랙의 주행레일은
    랙 상부 중 스태커 크레인이 지정 랙셀로 이동시 하중을 최소화할 수 있는 위치에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랙 입출고 시스템.
  3. 각종 물품을 수납하는 랙을 복수개 구비하고, 각 랙의 상부에는 주행레일을 구비하고, 각 랙의 하부 좌우에는 가이드 레일을 구비한 전동랙; 입고전 입고대의 물품을 싣거나, 출고후 출고대에 물품을 내려놓으며, 상기 랙으로 입고 또는 상기 랙으로부터 출고를 수행하기 위한 스태커 크레인; 상기 스태커 크레인을 탑재하고 입고할 물품이 위치한 장소 또는 물품을 출고할 장소 및 입출고가 지정된 열로 이동하기 위한 횡형기를 구비한 전동랙 입출고 시스템의 구동방법에 있어서,
    입고 명령에 응답하여 입고할 물품을 실은 상태에서 상기 스태커 크레인을 탑재한 횡형기를 상기 전동랙의 입고 열로 이동시킴과 동시에, 상기 전동랙의 복수개 랙 중 입고하고자 하는 열의 좌우랙 사이의 통로를 개방시키는 제1단계;
    상기 입고할 열의 입구에서 상기 스태커 크레인을 상기 횡형기로부터 분리시킨 후 그 상부는 상기 좌우랙의 주행레일을 통해 이동시키고, 그 하부는 상기 좌우랙의 가이드 레일을 통해 지정 랙셀로 이동시킨 후 물품을 입고하는 제2단계;
    상기 스태커 크레인을 통로밖으로 이동시켜 상기 횡형기와 결합시키고 다른 입고 명령을 기다리도록 하는 제3단계;
    출고 명령에 응답하여 상기 전동랙의 복수개 랙 중 출고할 열의 좌우랙 사이의 통로를 개방시킴과 동시에 상기 스태커 크레인을 탑재한 횡형기를 상기 전동랙의 출고 열로 이동시키는 제4단계;
    상기 출고할 열의 입구에서 상기 스태커 크레인을 상기 횡형기로부터 분리시켜 그 상부는 상기 좌우랙의 주행레일을 통해 이동시키고, 그 하부는 상기 좌우랙의 가이드 레일을 통해 지정 랙셀로 이동시킨 후 입고 되어 있는 물품을 싣는 제5단계; 및
    상기 스태커 크레인을 출고할 물품을 싣고 상기 지정된 열 밖으로 이동하여 상기 횡형기와 결합하면, 출고대로 이동시켜 물품을 적재하는 제6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랙 입출고 방법.
KR1019990012905A 1999-04-13 1999-04-13 전동랙 입출고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3224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12905A KR100322498B1 (ko) 1999-04-13 1999-04-13 전동랙 입출고 시스템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12905A KR100322498B1 (ko) 1999-04-13 1999-04-13 전동랙 입출고 시스템 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66060A true KR20000066060A (ko) 2000-11-15
KR100322498B1 KR100322498B1 (ko) 2002-02-07

Family

ID=195796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12905A KR100322498B1 (ko) 1999-04-13 1999-04-13 전동랙 입출고 시스템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22498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35656B1 (ko) * 2001-07-10 2004-06-1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 조립라인의 팔레트 로딩장치
KR100517377B1 (ko) * 2000-11-09 2005-09-27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스태커 크레인의 포크 장치
CN111605953A (zh) * 2020-06-16 2020-09-01 南京泰治自动化技术有限公司 堆垛led灯珠料盒存取装置及工作方法
CN114988001A (zh) * 2022-06-29 2022-09-02 佛山市砚青智能装备有限公司 一种模具仓系统及其二次定位存取模具的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23728A (ko) 2015-04-17 2016-10-26 주식회사 티에스피지 셔틀랙 자동창고시스템의 운영방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17377B1 (ko) * 2000-11-09 2005-09-27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스태커 크레인의 포크 장치
KR100435656B1 (ko) * 2001-07-10 2004-06-1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 조립라인의 팔레트 로딩장치
CN111605953A (zh) * 2020-06-16 2020-09-01 南京泰治自动化技术有限公司 堆垛led灯珠料盒存取装置及工作方法
CN114988001A (zh) * 2022-06-29 2022-09-02 佛山市砚青智能装备有限公司 一种模具仓系统及其二次定位存取模具的方法
CN114988001B (zh) * 2022-06-29 2024-04-02 佛山市砚青智能装备有限公司 一种模具仓系统及其二次定位存取模具的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322498B1 (ko) 2002-0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30293B1 (ko) 물품 반송 장치
KR101259966B1 (ko) 물품 수납 설비
KR101519870B1 (ko) 물품 수납 설비와 그 제어 방법
JP2007314262A (ja) 物品処理設備
JPH0571483B2 (ko)
KR101884232B1 (ko) 자율주행대차 및 대차승강시스템을 구비하는 물류시스템
KR100322498B1 (ko) 전동랙 입출고 시스템 및 그 방법
JPH028106A (ja) 自動保管検索装置
CN115676228A (zh) 货物存取方法、系统及电子设备
JPH05201503A (ja) 自動倉庫の入出庫管理方法
CN116199155A (zh) 托盘升降货架和托盘搬运系统
JP3941216B2 (ja) 物流システムの入出庫制御方法及び入出庫制御装置
CN111977239A (zh) 一种箱式复合提升机运行系统及控制方法
KR100751567B1 (ko) 전동랙 및 스태커 크레인을 이용한 입출고 장치 및 방법
JP2017039597A (ja) 自動倉庫システム
JP4666224B2 (ja) 物品搬送設備
JPH01247305A (ja) 自動化動的倉庫
JPH0826415A (ja) 自動倉庫の物品管理方法及びその装置
JPH10218307A (ja) 物品搬送装置
JP2913492B2 (ja) 棚設備
CN115848930A (zh) 仓储系统及光纤成品生产线
JPH07257707A (ja) 自動倉庫における物品搬出方法
JPS6210881B2 (ko)
JP2002265022A (ja) 棚設備
JP2023115982A (ja) 自動倉庫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17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17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19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18

Year of fee payment: 1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