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66042A - 분리형 신축이음장치 및 그 시공법 - Google Patents

분리형 신축이음장치 및 그 시공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66042A
KR20000066042A KR1019990012870A KR19990012870A KR20000066042A KR 20000066042 A KR20000066042 A KR 20000066042A KR 1019990012870 A KR1019990012870 A KR 1019990012870A KR 19990012870 A KR19990012870 A KR 19990012870A KR 20000066042 A KR20000066042 A KR 2000006604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gle
joint
anchor
opening
concre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128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11950B1 (ko
Inventor
김기중
Original Assignee
김기중
주식회사 케이.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기중, 주식회사 케이.알 filed Critical 김기중
Priority to KR10199900128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11950B1/ko
Publication of KR200000660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660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119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11950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06Arrangement, construction or bridging of expansion joint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1/00Details of pavings
    • E01C11/02Arrangement or construction of joints; Methods of making joints; Packing for joint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7/00Coherent pavings made in situ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oad Paving Structures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로나 교량 등의 시공시 그 연결되는 부분에 설치되어 그 위를 주행하는 차량등에 안락한 주행을 허여하면서 도로나 교량 등의 신축·이완에 적응할 수 있도록 하는 신축이음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신축이음장치를 상하로 분리시켜서 견고하고도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도록 하는 분리형 신축이음장치 및 그 시공법에 관한 발명이다.
본 발명은 종래의 신축이음장치에 있어서, 분해부분만을 분리하고, 그 하부에 앵글과 앵글서포터로 된 마감앵글을 장설하고, 상기 본체를 지지하는 마감앵글을 설치하고, 본체와 마감앵글사이에 실링라버를 개장시켜서 이루어지는 신축이음장치 및 그 시공법으로, 분리형 신축이음장치와 그 시공법을 제공하고자 개발된 것으로, 어느 형태의 조인트(신축이음장치)라도 적용이 가능하며, 특히 본체의 지지력을 향상시켜 내구성을 높이며, 설치도 손쉬워 공기의 단축 및 설치경제를 도모할 수 있는 유용하고도 효과적인 발명이다.

Description

분리형 신축이음장치 및 그 시공법{Separable jointless joint device and institut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도로나 교량 등의 시공시 그 연결되는 부분에 설치되어 그 위를 주행하는 차량등에 안락한 주행을 허여하면서 도로나 교량 등의 신축·이완에 적응할 수 있도록 하는 신축이음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신축이음장치를 상하로 분리시켜서 견고하고도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도록 하는 분리형 신축이음장치 및 그 시공법에 관한 발명이다.
도로 또는 교량등에 있어서는 그 접속부분인 연결부에 신축이 자재한 신축이음장치를 설치함이 통례인데, 이는 하루의 일교차 또는 동하절기의 온도차에 따른 도로 또는 교량(상판의 슬라브)등이 열 팽창·수축이 있으므로 이를 흡수하기 위함이며, 이러한 신축이음장치(Expansion Joint) 또는 본체의 일부도 콘크리트에 매입되는 에이엘 조인트(AL Joint)와 다수의 빔(Beam)을 가지는 케이에스비 조인트(KSB Joint)와 신축폴리머(Elastomeric Polymer)로 충진되는 죠인레스조인트(Joinless Joint)와 고무재내에 금속 인서트를 가지는 본체를 사용하는 엔비조인트(NB Joint)와 본체 전체를 하나로 형성하는 모노 셀 조인트(Mono cell Joint)와 엔비조인트와 유사하나 신축방향을 자재롭게한 트랜스플렉스 조인트(Transflex Joint; TF조인트) 및 손가락 형상을 깍지끼듯이 맞끼운 핑거조인트(Finger Joint)등 여러 가지가 개발되고 있으며, 현재 사용되는 신축이음장치는 상기한 형상에 관계없이 팽창·수축의 흡수와 더불어 이음장치위를 고속으로 주행하는 주행차량이 안락하게 주행되도록 쿠션을 가질 것도 요구되며, 보다 진보된 이음장치는 도로 또는 교량 등의 연결부위인 시공종단(Edge)이 파손되는 것까지 방지하는 구조를 제공하도록 요구되는 실정이다.
따라서, 상기한 요구에 부응하고자 여러가지 유형의 이음장치가 연구·개발되고 있는데, 예컨데 본인의 특허등록인 특허 제135948호의 "도로이음매의 신축이음장치 및 그 설치방법"과 보다 개량된 본인의 등록고안인 실용신안등록 제140845호의 "도로이음매의 신축이음장치"가 그것이며, 이중 후자는 크랭크형의 한쌍의 플레이트를 대향시키고 상기 플레이트 사이에는 입체구조의 실링고무를 개장하여 형성하고 이를 적의 지지되도록 설치하는 구조를 제공하고 있으며, 또한 미국특허 제4,359,295호에서는 가장 고전적인 신축이음장치를 개재하였고, 일본국 실개소51-74321호에서는 특히 상기 플레이트쌍의 사이에 개장되는 실링고무(신축고무재)의 특정 형상을 기재하고 있는나, 이들은 상술한 바와같이 모두 일체형으로 이루어지는 신축이음장치로서 본 발명이 이루고자하는 목적과는 상이하므로 구체적인 기술은 생략하며, 또한 본인의 고안인 실용신안등록출원 제97-26882호인 "신축이음부의 콘크리트 강화구조"에서는 신축이음장치를 지지하는 앵커의 측면에 타설되는 무수축 모르타르내에 특수한 장치를 추가하여 지지력을 향상시키도록 한 것이고, 본인의 특허사정된 특허출원 제95-5049호의 "죠인레스죠인트의 시공방법 및 죠인트용 앵커" 및 본인의 또다른 실용신안등록출원 제98-21365호의 "신축이음장치의 앵커 고정구조"에서는 앵커를 특이 형상으로 하여 서로 손쉽게 연결되도록 하여 콘크리트내에 입체적으로 매입되도록 하여 지지력의 향상을 도모하는 것으로, 상기 발명 및 고안은 본 발명과는 엄밀한 의미에서 상이한 것이며, 본 발명과 그 목적을 같이하는 것으로는 본인의 실용신안등록출원 제99-3812호(출원일 1999년 3월 10일)의 "개량된 티에프 조인트"가 있는데, 이는 도 6에 사시상태로 도시하고 도 7에 단면상태로 도시한 바와같이, 신축성이 뛰어난 고무로 되어 상하면에 소정의 연신용 요홈이 형성되는 고무판(11)과, 상기 고무판(11)의 상면 및 측하면에 각각 금속재의 보강철판(12)이 인서트(insert)되어 이루어지는 조인트 본체(1); 조인트가 설치되는 교량등의 연결부로서 소정규격 절취된 개구부(61)의 상기 조인트 본체(1) 하단에서 콘크리트(6)와 강하게 결착되는 마감앵글(3); 상기 조인트 본체(1)와 마감앵글(3)사이 전구간을 일체로 개입 장설되는 고무재의 실링라버(2); 로 구성되고, 상기 조인트 본체(1)의 보강철판(12) 소정개소에서 상기 마감앵글(3)측으로 삽통되어 연결된 체결볼트(13)로 이루어진 것이다.
따라서, 고무판(11)은 로면 역할을 하여 주행차량에 안락한 주행을 보장하며, 게다가 고무판(11)은 보강철판(12)으로 보강되므로 주행차량의 충격적인 하중을 지지하여 고무판(11)의 파손을 막아주므로서 그 내구성을 보장하며, 개구부(61)에 타설되어 재양생되는 콘크리트(6)가 그 측상단에 마감앵글(3)로 마감되어 가장 취약한 모서리부위가 마감앵글(3)이라는 금속으로 보강된 구조를 이루므로 콘크리트(6)의 파괴·탈락등이 쉽게 되지 않으며, 보강철판(12)에서 배력철근(5)으로 연결되는 구조를 "L"자상의 앵커볼트(41)를 사용하지 않고, 보강철판(12)과의 연결도 용접등의 방법을 채용하지 않고 짧은 체결볼트(13)로 직결시키므로, 고무판(11)이나 보강철판(12) 등에 열변형을 방지할 수 있고, 게다가 용접 접합시에는 열변형 방지를 위하여 그 접합강도도 가접합 수준에 지나지 않았음에 비해 결착력도 공고히 할 수 있으며, 특히 "L"자상의 앵커볼트(41)가 아니므로 모멘트가 없어서 조인트가 외부하중에 의해 손쉽게 내려 앉지 않게 되며, 게다가 마감앵글(3)은 개구부(61)의 전길이에 걸쳐 삽설되어 지지하중에 따라 체결볼트(13)의 수량을 얼마든지 조절할 수 있으므로 지지력도 월등 우월하게 된다.
그러나, 상술한 종래의 고안은 트랜스플렉션형 조인트라는 특정 형상의 조인트에만 적용 가능한 전용타입으로서, 예컨데 본체의 하면이 콘크리트와 아스팔트의 경계선과 일치하여야 설치가 용이하므로, 그 하면이 일직선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며, 만약 본체의 하면이 경사지거나 특수한 형상을 포함하면 하부에 위치되는 마감앵글의 형상 변환 및 이에따른 설치시방의 변경등이 손쉽지 않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연구·개선한 것으로, 어떠한 형태의 조인트라도 손쉽게 적용이 되면서 공고한 지지력을 확보하며, 게다가 설치도 손쉬워서 공기의 단축 및 설치경비의 절약을 도모하고자 완성된 발명으로 이를 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설치상태 일부 절개도,
도 2는 도 1의 A-A선 단면 확대도,
도 3은 본 발명의 요부의 발췌상태 확대도,
도 4는 본 발명의 공정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또다른 설치상태 단면도,
도 6은 종래발명의 설치상태 일부 절개도,
도 7은 도 6의 B-B선 단면 확대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조인트 본체
11 --- 고무판 12 --- 보강철판
13 --- 체결볼트
2 --- 실링라버(Sealing lubber)
3 --- 마감앵글
31 --- 앵글 32 --- 앵글서포터
33 --- 볼트홀
4 --- 앵커지지체
41 --- 앵커볼트 42 --- 통관
43 --- 앵커플레이트 44 --- 탭홀
45 --- 연결홀 46 --- 연결로드
5 --- 배력철근
6 --- 콘크리트
61 --- 개구부
7 --- 아스콘(아스팔트)
71 --- 불투수커버 72 --- 드레인(배수구)
도 1은 본 발명의 일예인 엔비조인트의 설치상태로서 그 전면을 절개하여 요부인 내부까지 보일 수 있도록 도시한 설치상태도이고, 도 2는 도 1의 A-A선에서 끊어서 확대도시한 단면확대도이고, 도 4b는 본 발명의 공정도로서 개구부(61)에 마감앵글(3)과 앵커지지체(4)만을 설치한 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도로 또는 교량등의 연결부를 연결하면서 완충 로면으로 기능하는 다양한 형상의 신축이음장치의 조인트 본체(1), 일단은 로면에서 끝나며 타단은 연결부의 도로종단의 소정깊이까지 이어지는 크랭크상으로 다수의 앵글홀(도시 생략)과 볼트홀(33)이 천공되어 상기 조인트 본체(1)의 하면과 일치되는 앵글(31)과, 상기 앵글(31)의 2개소 이상에서 부착되어 배력철근(5)에 지지되는 다수의 앵글서포터(32)로 되는 마감앵글(3), 상기 조인트 본체(1)와 상기 마감앵글(3)의 앵글(31)사이 전구간을 일체로서 개입 장설되는 실링라버(2), 콘크리트(6)내에 매입되는 것으로 중앙에 앵커볼트(41)가 나합되는 탭홀(44)이 천공되는 앵커플레이트(43)와, 상기 앵커플레이트(43)의 탭홀(44)에서 상기 마감앵글(3)의 볼트홀(34)까지 연결되는 파이프상의 통관(42)과, 상기 조인트 본체(1)의 소정위치에서 본체(1)를 관통하여 통관(42)을 거쳐 상기 앵커플레이트(43)의 탭홀(44)에 체결되는 앵커지지체(4)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신축이음장치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요부인 앵커지지체(4)만을 발췌한 것으로, 특히 주변의 다른 앵커지지체와의 연결인 또 다른 발췌상태 확대도이다.
상기한 구성에 있어서, 상기 앵커플레이트(43)가 소정두께의 마름모상으로 되어 그 대각선의 교점에 상기 앵커볼트(41)가 나합되는 탭홀(44)이 천공되고, 그 예각 모서리측에 각각 천공된 연결홀(45)에 연결로드(46)가 삽지되어 그 옆에 설치되는 앵커플레이트(43)들과 연결되어 이루어진 것임을 특징으로 하면 바람직하다.
도 4는 본 발명의 조인트를 도로등의 종단 연결부에 설치되는 시방을 공정에 따라 그 단면으로 도시한 공정단면도로서, a는 개구부(61)내에 마감앵글(3)만을 설치한 상태이고, b는 앵커지지체(4)를 추가 설치한 상태이고, c는 실링라버(2)와 콘크리트(6) 타설까지 한 상태이고, d는 조인트본체(1)까지 설치한 상태이다.
본 발명은 신축이음장치가 설치될 수 있도록 소정의 개구부(61)를 형성한 도로등의 연결부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61)에 노출되는 배력철근(5)에 앵글서포터(32)가 적의 지지되도록 하면서 앵글(31)이 콘크리트(6) 재타설부위의 위치에 설치되도록 하는 마감앵글(3) 설치공정(도 4a 참조); 앵커플레이트(43)가 소정위치에 지지되고, 상기 앵커플레이트(43)의 탭홀(44)과 상기 앵글(31)의 앵글홀(33) 사이를 직립으로 통관(42)이 개장되도록 설치되는 앵커지지체(4) 설치공정(도 4b 참조); 상기 개구부(61)내의 앵글(31)면까지 콘크리트(6)를 주입하여 양생시키는 콘크리트 타설 공정; 상기 개구부(61) 일단의 로면에서부터 타단의 로면까지 일체로 된 실링라버(2)를 깔아주는 실링공정(도 4c 참조); 상기 실링라버(2)의 위인 소정위치에 조인트 본체(1)를 안착하고 상기 앵커볼트(41)로 상기 조인트 본체(1)측에서 상기 통관(42)을 관통하여 상기 앵커플레이트(43)의 탭홀(44)에 나합시키는 결착공정(도 4d 참조); 상기 개구부(61)의 콘크리트(6) 타설부 위에서 상기 조인트 본체(1)와 로면간의 간극에 아스콘(7)을 타설하는 아스콘타설 공정(도 2 참조); 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신축이음장치의 시공법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다른 구성을 단면으로 도시한 설치상태 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구성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61)가 아스콘(7) 타설부위에서 보다 넓게 개구되도록 하고, 상기 아스콘 타설 공정전에 상기 개구부(61)의 양측 하단에 로폭측으로 각각 드레인(72)을 설치하고, 개구부(61)의 경계면에 불투수커버(71)를 설치한 후 아스콘(7) 타설을 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이 작용된다.
청구범위 제 1항에 기재한 발명에 있어서, 본 발명은 도로 또는 교량등의 연결부를 연결하면서 완충 로면으로 기능하는 다양한 형상의 신축이음장치의 조인트 본체(1)로 되어 상술한 다양한 타입의 조인트를 모두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일단은 로면에서 끝나며 타단은 연결부의 도로종단의 소정깊이까지 이어지는 크랭크상으로 다수의 앵글홀과 볼트홀(33)이 천공되어 상기 조인트 본체(1)의 하면과 일치되는 앵글(31)과, 상기 앵글(31)의 2개소 이상에서 부착되어 배력철근(5)에 지지되는 다수의 앵글서포터(32)로 되는 마감앵글(3)을 사용하므로 크랭크상의 앵글(31)의 일단은 로면과 일치하고 타단은 콘크리트(6)가 재타설되는 부위에서 끝나게 되어 재타설되는 콘크리트(6)와 아스콘(7)을 견고히 지지할 수 있고, 이는 그 내구수명을 보장할 수 있으며, 특히 앵글(31)의 양단사이는 수평부{조인트 본체(1)가 일정 경사를 이루거나 이형상으로 되어 있으면 이에 맞춘 형상으로 함이 바람직함}를 이루는데, 이 수평부가 재타설되는 콘크리트(6)의 상면에 면접되므로, 결국 콘크리트(6)의 상면과 종단의 측면이 앵글(31)로 마감되어 그 내구력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게다가, 앵글(31)의 수평부에는 다수의 앵글홀{볼트홀(33)이 뚫리는 위치에서 벗어나서 볼트홀(33)보다 큰 직경으로 천공되는 홀}이 천공되어 재타설되는 콘크리트(6)가 마감부인 앵글(31)에 막혀서 공백이 생기는 경우 이 앵글홀을 통하여 콘크리트(6)를 더 주입하므로서 공동부가 생기지 않게 콘크리트(6) 타설을 할 수 있도록 하며, 또, 앵글홀내에 주입된 콘크리트(6)는 앵글(31)과 콘크리트(6)간의 결합력을 향상시키는 효과도 가지게 된다.
게다가, 상기 조인트 본체(1)와 상기 마감앵글(3)의 앵글(31)사이 전구간을 일체로서 개입 장설되는 실링라버(2)를 사용하므로, 조인트 본체(1)의 하부에 위치하는 콘크리트(6)와 앵커지지체(4) 및 배력철근(5)측으로 빗물등이 스며들지 않게 하여 내구수명을 보장하며, 또 실링라버(2)는 조인트 본체(1)측에 작용되는 충격력을 어느정도 흡수 할 수 있어서 신축이음장치의 기능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물론, 이때 사용되는 실링라버(2)가 두꺼우면 두꺼울수록 신축이음장치의 완충능력을 향상시키게 되나 경제성을 도모하고자 소정두께로 제한하여 사용함이 현실이며, 또한 완충능력을 담당하는 주 구성부는 조인트 본체(1)이므로 실링라버(2)가 얇아도 그 기능에는 문제가 없다.
또한, 도로나 교량등의 대향되는 각각의 종단부에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같이 실링라버(2)를 하단으로 소정깊이 늘어지게 설치하는데, 이렇게 늘어진 부분에 의하여 도로나 교량등의 간격이 넓어지거나 좁아지더라도 실링라버(2)에 인장/수축력이 작용되지 않도록 하여 내구성을 향상시키게 되며, 특히 이렇게 늘어지는 부분의 실링라버(2)는 신축이음장치의 외부에 노출되는 부위이므로 이부분의 두께를 다른 부분보다 두껍게 하면 경제성에 문제가 없으면서도 내구성을 함께 이룩할 수 있게 된다.
더구나, 앵커지지체(4)는 콘크리트(6)내에 매입되는 것으로 중앙에 앵커볼트(41)가 나합되는 탭홀(44)이 천공되는 앵커플레이트(43)와, 상기 앵커플레이트(43)의 탭홀(44)에서 상기 마감앵글(3)의 볼트홀(34)까지 연결되는 파이프상의 통관(42)과, 상기 조인트 본체(1)의 소정위치에서 본체(1)를 관통하여 통관(42)을 거쳐 상기 앵커플레이트(43)의 탭홀(44)에 체결되게 구성되는데, 이는 콘크리트(6)내에 매입되는 앵커플레이트(43)에 앵커볼트(41)가 나착되므로 조인트 본체(1)의 지지력을 종래의 신축이음장치보다 큰 힘으로 지지할 수 있게 되며, 상기 통관(42)은 앵커볼트(41)가 조인트 본체(1)에서 앵커플레이트(43)로 나착될 때 재타설되는 콘크리트(6)에 의하여 진입로가 매꾸어지지 않도록 설치되는 것으로, 금속이나 수지재의 파이프를 소정길이로 끊어서 삽장하는 것이며, 특히 이는 콘크리트(6)에 매입되는 것이므로 콘크리트(6)와의 접합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주름관을 사용하면 접촉면적이 넓어져 보다 바람직한데, 이러한 변형이라도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를 벗어나는 것이 아님은 명백하다.
청구범위 제 2항에 기재된 발명에 있어서, 본 발명은 상기한 구성에 있어서, 상기 앵커플레이트(43)가 소정두께의 마름모상으로 되어 그 대각선의 교점에 상기 앵커볼트(41)가 나합되는 탭홀(44)이 천공되고, 그 예각 모서리측에 각각 천공된 연결홀(45)에 연결로드(46)가 삽지되어 그 옆에 설치되는 앵커플레이트(43)들과 연결되어 이루어진 것이어서, 다수 설치되는 앵커플레이트(43, 43 …)들간에 철근등을 휘어서 간단히 만들어지는 연결로드(46)를 연결시키므로서 앵커플레이트(43, 43 …)들이 전체로서 연결되어 콘크리트(6)내에 매입되는 거대한 구축물이 되므로 조인트 본체(1)의 지지력 향상을 극대화시킬 수 있게 된다.
청구범위 제 3항에 기재된 발명에 있어서, 본 발명은 신축이음장치가 설치될 수 있도록 소정의 개구부(61)를 형성한 도로등의 연결부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61)에 노출되는 배력철근(5)에 앵글서포터(32)가 적의 지지되도록 하면서 앵글(31)이 콘크리트(6) 재타설부위의 위치에 설치되도록 하는 마감앵글(3) 설치공정에 의하여, 마감앵글(3)이 적절히 설치되게 되는데, 이때 개구부(61)는 도로나 교량등의 설치시 최초 설계에 반영하여 개구부(61)를 가지고 설치되거나, 미반영되어 도로나 교량등의 종단을 절개(Block-out)하여 형성하여도 무방하며, 상기 어느 경우에도 개구부(61)에 노출되는 배력철근(5)이 절단되지 않도록 하여야 신축이음장치의 지지력뿐만 아니라 도로나 교량등의 설계하중유지에도 문제가 없음은 주지의 사실이며, 배력철근(5)이 노출되지 않는 경우에는 개구부(61)내에 다수의 철근을 직립으로 심어서 배력철근(5)의 대용으로 이용할 수도 있으며, 배력철근(5)과 앵글서포터(32)만의 연결은 용접이나 철사등으로 묶어주는 방법등이 현장맞춤으로 애용되고 있다.
또한, 앵커플레이트(43)가 소정위치에 지지되고, 상기 앵커플레이트(43)의 탭홀(44)과 상기 앵글(31)의 앵글홀(33) 사이를 직립으로 통관(42)이 개장되도록 설치되는 앵커지지체(4) 설치공정을 구성하여 재타설되는 콘크리트(6)내에 매입되는 앵커플레이트(43)와 조인트 본체(1)간을 앵커볼트(41)가 손쉽고도 견고히 나착될 수 있도록 하였다.
게다가, 상기 개구부(61)내의 앵글(31)면까지 콘크리트(6)를 주입하여 양생시키는 콘크리트 타설 공정; 상기 개구부(61) 일단의 로면에서부터 타단의 로면까지 일체로 된 실링라버(2)를 깔아주는 실링공정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실링라버(2)의 위인 소정위치에 조인트 본체(1)를 안착하고 상기 앵커볼트(41)로 상기 조인트 본체(1)측에서 상기 통관(42)을 관통하여 상기 앵커플레이트(43)의 탭홀(44)에 나합시키는 결착공정으로 이루어져서 시공이 간편하고 공기도 단축되게 되며, 상기 개구부(61)의 콘크리트(6) 타설부 위에서 상기 조인트 본체(1)와 로면간의 간극에 아스콘(7)을 타설하는 아스콘타설 공정으로 마감되는데 시공완료 후는 신축이음장치가 도면과 일체화되어 제기능을 충실히 발휘하게 된다.
청구범위 제 4항에 기재된 발명에 있어서, 본 발명은 상기한 구성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61)가 아스콘(7) 타설부위에서 보다 넓게 개구되도록 하고, 상기 아스콘 타설 공정전에 상기 개구부(61)의 양측 하단에 로폭측으로 각각 드레인(72)을 설치하고, 개구부(61)의 경계면에 불투수커버(71)를 설치한 후 아스콘(7) 타설을 하는 것으로서, 아스콘(7)은 콘크리트(6)에 비하여 빗물등이 잘 투과되므로, 시공 후 대개는 아스콘(7)을 통과한 빗물이 아스콘(7)과 콘크리트(6)사이에 누적되게 되며, 이러한 빗물은 콘크리트(6)를 백화시키고 신축이음장치뿐만아니라 교좌장치에까지 침투하여 이들을 부식시키므로 이들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시공법으로 사용되는 것이며, 이는 개구부(61)중 아스콘(7) 타설부위를 키우고{개구부(61)를 2단으로 아스콘(7)타설 부위를 더 넓게 함} 종래의 아스콘(7) 타설부위(개구하지 않은 부위)와 재타설부위간에 불투수커버(71)를 경계로 하고 그 내에 드레인(72)을 설치하여 빗물등이 불투수커버(71)에 의해 재타설된 개구부(61)측으로 유입되지 않도록 하였다. 이때, 불투수커버(71)는 그 일단이 로면에서 시작되어 콘크리트(6) 재타설되는 소정위치까지 삽입되도록 하면 빗물등의 침투방지에 효과적이며, 드레인(72)은 특수한 구조를 사용할 수도 있으나, 아스콘(7)내에 매입되어 드레인(72)으로 기능하는 것이라면 어떠한 구조라도 사용될수 있으며, 예컨데 촘촘한 코일스프링을 절개된 로폭측으로 깔아주거나 그물눈 구조의 매쉬를 원통상으로 말아서 설치하므로서 그 위에 타설되는 입자가 큰 아스콘(7)이 스프링의 링사이나 그물눈사이를 통과하여 내부로 침입되지 않게 하면서 어느 위치에서건 빗물이 침입하면 상기 망상 또는 코일상의 드레인(72)내부로 쉽게 유도되며, 도로의 로견측이 중앙부보다 구배가 낮으므로 자연히 도로의 양측으로 흘러서 빠질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분리형 신축이음장치와 그 시공법을 제공하고자 개발된 것으로, 어느 형태의 조인트(신축이음장치)라도 적용이 가능하며, 특히 본체의 지지력을 향상시켜 내구성을 높이며, 설치도 손쉬워 공기의 단축 및 설치경제를 도모할 수 있는 유용하고도 효과적인 발명이다.

Claims (4)

  1. 도로 또는 교량등의 연결부를 연결하면서 완충 로면으로 기능하는 다양한 형상의 신축이음장치의 조인트 본체(1),
    일단은 로면에서 끝나며 타단은 연결부의 도로종단의 소정깊이까지 이어지는 크랭크상으로 다수의 앵글홀과 볼트홀(33)이 천공되어 상기 조인트 본체(1)의 하면과 일치되는 앵글(31)과, 상기 앵글(31)의 2개소 이상에서 부착되어 배력철근(5)에 지지되는 다수의 앵글서포터(32)로 되는 마감앵글(3),
    상기 조인트 본체(1)와 상기 마감앵글(3)의 앵글(31)사이 전구간을 일체로서 개입 장설되는 실링라버(2),
    콘크리트(6)내에 매입되는 것으로 중앙에 앵커볼트(41)가 나합되는 탭홀(44)이 천공되는 앵커플레이트(43)와, 상기 앵커플레이트(43)의 탭홀(44)에서 상기 마감앵글(3)의 볼트홀(34)까지 연결되는 파이프상의 통관(42)과, 상기 조인트 본체(1)의 소정위치에서 본체(1)를 관통하여 통관(42)을 거쳐 상기 앵커플레이트(43)의 탭홀(44)에 체결되는 앵커지지체(4)
    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신축이음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앵커플레이트(43)가 소정두께의 마름모상으로 되어 그 대각선의 교점에 상기 앵커볼트(41)가 나합되는 탭홀(44)이 천공되고, 그 예각 모서리측에 각각 천공된 연결홀(45)에 연결로드(46)가 삽지되어 그 옆에 설치되는 앵커플레이트(43)들과 연결되어 이루어진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신축이음장치.
  3. 신축이음장치가 설치될 수 있도록 소정의 개구부(61)를 형성한 도로등의 연결부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61)에 노출되는 배력철근(5)에 앵글서포터(32)가 적의 지지되도록 하면서 앵글(31)이 콘크리트(6) 재타설부위의 위치에 설치되도록 하는 마감앵글(3) 설치공정;
    앵커플레이트(43)가 소정위치에 지지되고, 상기 앵커플레이트(43)의 탭홀(44)과 상기 앵글(31)의 앵글홀(33) 사이를 직립으로 통관(42)이 개장되도록 설치되는 앵커지지체(4) 설치공정;
    상기 개구부(61)내의 앵글(31)면까지 콘크리트(6)를 주입하여 양생시키는 콘크리트 타설 공정;
    상기 개구부(61) 일단의 로면에서부터 타단의 로면까지 일체로 된 실링라버(2)를 깔아주는 실링공정;
    상기 실링라버(2)의 위인 소정위치에 조인트 본체(1)를 안착하고 상기 앵커볼트(41)로 상기 조인트 본체(1)측에서 상기 통관(42)을 관통하여 상기 앵커플레이트(43)의 탭홀(44)에 나합시키는 결착공정;
    상기 개구부(61)의 콘크리트(6) 타설부 위에서 상기 조인트 본체(1)와 로면간의 간극에 아스콘(7)을 타설하는 아스콘타설 공정;
    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신축이음장치의 시공법.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61)가 아스콘(7) 타설부위에서 보다 넓게 개구되도록 하고, 상기 아스콘 타설 공정전에 상기 개구부(61)의 양측 하단에 로폭측으로 각각 드레인(72)을 설치하고, 개구부(61)의 경계면에 불투수커버(71)를 설치한 후 아스콘(7) 타설을 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신축이음장치의 시공법.
KR1019990012870A 1999-04-12 1999-04-12 분리형 신축이음장치 및 그 시공법 KR1003119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12870A KR100311950B1 (ko) 1999-04-12 1999-04-12 분리형 신축이음장치 및 그 시공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12870A KR100311950B1 (ko) 1999-04-12 1999-04-12 분리형 신축이음장치 및 그 시공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66042A true KR20000066042A (ko) 2000-11-15
KR100311950B1 KR100311950B1 (ko) 2001-11-02

Family

ID=195795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12870A KR100311950B1 (ko) 1999-04-12 1999-04-12 분리형 신축이음장치 및 그 시공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11950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5501B1 (ko) * 2007-12-06 2009-05-06 고삼석 교량용 신축이음장치 및 그 시공방법
CN102086627A (zh) * 2010-12-10 2011-06-08 黄容 跨岸支承式施工缝装置
CN107386103A (zh) * 2017-07-27 2017-11-24 北京欧亚机械设备股份有限公司 桥梁伸缩缝及其施工工艺
CN108149566A (zh) * 2018-01-30 2018-06-12 陕西省通达公路建设集团有限责任公司 一种公路桥梁伸缩缝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7696B1 (ko) 2008-04-30 2010-05-12 김성길 후타재가 필요없는 교량용 핑거 조인트 결합 구조물
KR101423242B1 (ko) * 2013-04-03 2014-07-24 씨엘(주) 도로시설물 주변의 건식마감 설치구조 및 이를 적용한 도로시설물의 교체방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5501B1 (ko) * 2007-12-06 2009-05-06 고삼석 교량용 신축이음장치 및 그 시공방법
CN102086627A (zh) * 2010-12-10 2011-06-08 黄容 跨岸支承式施工缝装置
CN102086627B (zh) * 2010-12-10 2016-02-10 黄容 跨岸支承式施工缝装置
CN107386103A (zh) * 2017-07-27 2017-11-24 北京欧亚机械设备股份有限公司 桥梁伸缩缝及其施工工艺
CN108149566A (zh) * 2018-01-30 2018-06-12 陕西省通达公路建设集团有限责任公司 一种公路桥梁伸缩缝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311950B1 (ko) 2001-11-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088937B (zh) 铰缝有相对凹槽的空心板桥及其建造方法
CN105970803B (zh) 装配式桥墩的抗剪耗能装置及施工方法
KR100311950B1 (ko) 분리형 신축이음장치 및 그 시공법
CN108331181A (zh) 预制混凝土梁湿接缝连接结构
CN205662838U (zh) 预制节段拼装桥墩的预应力连接构造
CN209114299U (zh) 一种单箱多室箱梁桥
CN110042770A (zh) 一种采用纵横体外预应力钢束拓宽原有桥梁的方法
KR100462966B1 (ko) 합성형 거더교의 단면형상을 개선한 p.s.c u-거더
JP3997448B2 (ja) プレキャストコンクリート暗渠側溝
CN110185180A (zh) 一种部分预制装配蜂窝型钢混凝土梁-板结构体系
CN215211802U (zh) 一种新型预制楼板及其连接结构
KR102249354B1 (ko) 분할타설된 하부콘크리트 구조로 제작된 이중합성 강박스 거더 및 그 시공방법
CN210712549U (zh) 桥梁护栏预制单元及桥梁
CN211286164U (zh) 一种自密实再生块体混凝土叠合剪力墙
KR101342894B1 (ko) 트러스형 프리스트레스 콘크리트 거더, 그 제작 방법 및 연속화 교량의 제작 방법
CN208280414U (zh) 一种钢骨架空心预制板
CN208415089U (zh) 一种型钢-格室桥梁伸缩缝
JP3751849B2 (ja) 軽量盛土工法におけるコンクリート床版とアンカーとの固定構造
KR100631760B1 (ko) 금속판아치형구조물용복합콘크리트금속내장형스티프너
JPH0320410Y2 (ko)
CN220013258U (zh) 一种钢筋复合式新旧路面搭接结构
JP2873780B2 (ja) 水路用ブロック
KR930007155B1 (ko) U자형 p.c빔의 연속가설 연결공법
JP5572360B2 (ja) 側溝蓋体用床版型枠、側溝蓋体用床版及び側溝蓋体用床版の形成方法
KR200249034Y1 (ko) 개량된 티에프 조인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03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14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06

Year of fee payment: 1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