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64996A - 코팅및구조재료와그용도 - Google Patents

코팅및구조재료와그용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64996A
KR20000064996A KR1019980708511A KR19980708511A KR20000064996A KR 20000064996 A KR20000064996 A KR 20000064996A KR 1019980708511 A KR1019980708511 A KR 1019980708511A KR 19980708511 A KR19980708511 A KR 19980708511A KR 20000064996 A KR20000064996 A KR 2000006499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x
coating
materials
granular
particl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7085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프레드 소렌센
Original Assignee
프레드 소렌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프레드 소렌센 filed Critical 프레드 소렌센
Publication of KR200000649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64996A/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91/00Compositions of oils, fats or waxe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thereof
    • C08L91/06Waxes
    • C08L91/08Mineral wax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91/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oils, fats or waxes;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thereof
    • C09D191/06Waxes
    • C09D191/08Mineral wax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5/00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nature or the effects produced; Filling pastes
    • C09D5/03Powdery paints
    • C09D5/033Powdery paints characterised by the additives
    • C09D5/035Coloring agents, e.g. pigm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5/00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nature or the effects produced; Filling pastes
    • C09D5/08Anti-corrosive paint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 Paints Or Removers (AREA)
  • Fertilizers (AREA)
  • Polyurethanes Or Polyureas (AREA)
  • Agricultural Chemicals And Associated Chemicals (AREA)
  • Materials For Medical Uses (AREA)
  • Floor Finish (AREA)

Abstract

지금까지 실행된 것보다 현저히 높은 경도와 높은 용융점을 갖는 왁스 재료를 제조하는 것이 기술적으로 복잡하다고 간주되어 왔으며, 특히 이러한 재료가 전적으로 환경 친화적인 제품이라는 점에서 여러 가지의 신규하고 장점이 있는 용도가 열려있다. 다양한 용도들은 개시되며, 충전재와 함께 또는 충전재가 없이 몰딩된 제품의 용도, 부식 방지 코팅의 용도, 활성재료의 지연적인 유리(遊離)를 이루기 위하여 비료와 같은 특정 재료의 막 코팅용, 및 다른 목적들의 다양한 용도들이 개시된다.

Description

코팅 및 구조 재료와 그 용도
본 발명은 새로운 종류의 재료 및 이것의 다른 용도, 다시 말해서 특정 품질을 갖는 왁스 재료에 관한 것이다.
왁스는 순수한 천연 재료인, 예컨데 밀납(bee's wax)으로 알려져 있지만, 다량의 기술적 적용에 있어서는 천연의 광물유로부터 얻어지고 파라핀 왁스로 잘 알려진 인조산 왁스에 의존할 필요가 있다. 파라핀 왁스는, 48-62 ℃ 범위의 용융점을 갖는 충분히 정제된 파라핀 왁스로 이루어진 양초용으로 넓게 사용된다. 이러한 왁스는 비교적 연질이며; 그 경도는 전형적으로 '침투치' 라는 용어로 표현되며, 이는 재료 내로의 측정 바늘의 침투 깊이이고, ASTM 표준 D 1321 에 따른 당해 관계에서, 파라핀 왁스의 침투치는 30 내지 60 범위 안에 있으며 재료가 연성일수록 더 커진다. 왁스는 자연에서 완전히 분해 가능할 뿐만 아니라 내화학성과 방수성이 있으며, 또한 왁스는 예컨데, 종이 및 로프의 다양한 함침(impregnation)용으로 사용되며, 왁스는 또한 특정 윤활 효과를 갖는다. 그러나, 그것의 연성과 저 융점 때문에, 왁스는 공업적 용도에서 한정된 가능성만을 갖는다.
그러나, 이러한 왁스에 다양한 폴리머와 다른 재료를 혼합한 경우에, 이러한 '개량 왁스'가 추가의 용도, 즉, 외부로부터의 산소의 유입과 내부로부터의 수분의 방출을 방지하기 위한 코팅재로서, 대개 소위 식료품 상자 상의 고온 용융 코팅재로 사용할 수 있는 정도로 왁스의 경도와 융점을 증가시킬 수 있으며, 또한 그 제품은 충분히 환경 친화적이라는 것을 발견하였다. 상승된 왁스 용융점을 갖는, 예컨데, 음식물 상자는 상자에서 왁스 코팅의 흐름이 없이 햇빛에 일시적으로 방치될 수도 있다. 또한, 왁스는 증가된 경도를 나타내어, 통상적으로 단지 8-15 의 매우 낮은 침투치를 가져서, 덜 유연하긴 하지만, 여전히 용이하게 구부러질 수 있다. 다공성 표면과 관련하여 여전히 함침에 사용할 수 있지만, 이러한 개량 왁스는 상기 상자 코팅재 이외에 다른 기술 분야에서의 넓은 용도를 찾지 못했다.
본 발명과 관련하여 0.5-6 의 침투치 범위에 있는 추가의 높아진 경도를 얻기 위해서 왁스 재료를 더욱 더 개선시키는 것이 가능하며, 이는 대응하여 증가된 용융점과 관련하여, 주위 온도 및 그 이상의 온도에서 '경질' 이며 내마모성을 나타나는 재료로서의 추가의 다양한 사용 가능성을 나타내게 하는 것임을 발견하였다. 그리고, 이 재료는 더 취성이 있지만, 이는 여기서 '경질 왁스' 라 지칭한 개량 재료의 다음의 더욱 상세한 설명을 참조하면 더 장점이 될 수 있다.
통상의 온도에서 이러한 경질 왁스는 어떠한 종래의 왁스 특성도 나타내지 않으며, 상기 경질 왁스는 저가이고, 환경 친화적이며, 부식 저항을 갖고 가공성이 좋은 중성의 경질 고체이며, 또한 양호한 내마모성을 갖는다. 특히, 100-200 ℃ 의 온도 범위에서 저 점성(low viscid) 액체로서 주조될 수 있기 때문에, 형성 장비에 대하여 과도한 필요성이 없이 고도의 정밀성을 갖는 주조물을 형성하는데 잘 적용된다. 사용 가능성이 너무 많아서 여기에 더 이상 언급하지 않겠다. 박막 쉘(shell)로 주조된 경우 상기 재료는 질기고 탄력 있게 구부러질 수 있다. 예를 들면, 약 1mm 의 벽 두께를 갖는 주조된 음료수 컵의 입구는 재료의 파단없이 서로 가압될 수도 있고, 이 입구는 원래의 형상으로 저절로 돌아간다. 상기 왁스는 필요에 따라 착색될 수도 있고, 또한 추가의 작업을 위해서 플레이트나 블록(block)으로 선택적으로 주조될 수도 있다. 작업중 나오는 모든 폐기물은 완전하게 재생 가능하다. 상기 작업은 종래의 방식에서뿐만 아니라, 예컨데 백열 와이어(glowing wire)로 부터의 열을 사용하여 작업할 수도 있다. 이 재료에서, 사실상 그것의 연성(침투)보다 경도(쇼아;Shore)를 평가하는 것이 더 적절하다.
놀랍게도, 본 발명과 관련하여, 왁스의 개량도를 종래 기술에서의 레벨보다 현저하게 추가로 증가시키는데는 아주 충분한 이유가 있다. 소망하는 결과가, 반 경질 왁스의 제조에 이미 사용되는 주로 폴리머 재료의 증가된 혼합에 의해서 이미 달성될 수 있는 한, 이렇게 하는데 특별하거나 주요한 어려움은 없다. 관련 기술 분야에서 전문가들은 예컨데 왁스를 다른 사용 목적에 적용하기 위한 다른 첨가제의 효과에 대해서 많은 지식을 가지고 있으며, 물론 경질 왁스의 형성을 위해서 개발된 특별히 아주 적합한 첨가제가 있을 수 있고, 또한 경질 왁스가 다른 용도를 위해서 개량될 수 있다는 것을 배제할 수는 없다. 그러나, 이와 관련하여, 명백히 전문 지식에 관한 문제이지만 상세하게 이를 설명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한다.
본 발명에서 공지된 원리에 기초하여 경질 왁스를 제조하는 것이 사실상 가능하며, 100 % 환경 친화적이라는 것을 이해할 필요가 있다.
경질 왁스 자체가 많은 종류의 제품의 광범위한 용도에 사용될 수도 있고, 다음에 추가로 설명하는 다른 방식에 고도의 적용성을 또한 가질 수 있다.
필수적인 용도는, 소위 고온 용융 코팅, 즉, 다양한 여러 종류의 표면상에 보호 및 부분적인 함침 코팅을 하는 것이다. 사실, 본 발명의 개시점은 콘크리트 표면을 보호하는 것인데, 이는 많은 장소에서 콘크리트 표면의 부식 특히, 하수 파이프에서의 산성 수분과 산성비와 같은 산 매체의 작용에 의한 부식으로 문제가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표면은 특정 코팅 재료를 도포하여 어느 정도 보호되나, 더욱 중요한 것은 도포, 사용 및 제거하는 동안에 이러한 재료는 명백히 환경친화적이지 않으며, 게다가 비교적 비싸다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경질 왁스는 이러한 도포에 매우 적합하고, 적절한 가열이 있는 한 콘크리트 표면에 도포하는 것이 용이하며, 여기서 왁스는 콘크리트 표면의 미세 균열 및 포어(pore) 안으로 용이하게 침투할 것이고, 그후, 냉각 조건에서, 거의 돌의 경도 및 내마모성 코팅이 일어나, 전적으로 방수성이 되고 이와 함께 그의 내화학성 때문에 부식 보호재가 된다.
본 발명의 추가의 실험에서, 경질 왁스는 또한, 예컨데 주철의 금속 표면뿐만 아니라 일반적으로 철 및 강 표면상의 내마모 및 내부식 코팅으로 적절하다는 것을 알아냈다. 왁스가 소망하는 대로 착색될 수도 있어서, 그러므로 하나의 작업에서 부식 방지 주입 및 표면의 최종 페인팅을 수행하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 그렇지만, 예컨데 자동차 산업에서 공지된 바와 같은 "금속" 타입의 페인트 코팅을 경질 왁스층에 최종적으로 처리하는 것이 여전히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경질왁스는 예컨데, 외부 도어와 같은 목재 표면상에 내마모 및 내기후성 코팅재로 사용될 수도 있다. 스크래치와 같은 국부적인 손상은 해당 영역의 왁스층을 고온 공기 송풍기나 블로우램프(blowlamp) 에 의해서 단지 가열하면 왁스 재료가 스크래치부 위에서 원할하게 흐르기 때문에 수선될 수 있다.
왁스의 도포를 위해서는, 처리될 표면은 수분이 없어야 하는데,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비등이 일어나 왁스의 양호한 결합을 악화시킬 것이다. 실제로 이는 처리될 임의 표면이 도포 전에 모든 수분이 증발할 정도로 가열되어야만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예컨데, 고온 공기 송풍기 또는 블로우램프를 이용한 이러한 가열은, 저 점성 왁스가 매끄러운 금속 표면을 포함하는 모든 타입의 표면에 있는 포어 안으로 주입되는 것을 보장하기 위해서, 표면 온도가 왁스의 용융 온도에 접근하는 정도로 이루어져야 한다. 동시에 상기 표면이 도포 전에 탈지되는 것이 보장될 것이다.
이미 필요한 높은 온도를 갖는 물품의 코팅을 위해서, 왁스는 분무된 냉각 상태에서, 선택적으로는 심지어 수성 왁스 에멀젼(aqueous wax emulsion)으로 도포될 수도 있다. 저온 또는 반 고온(semi warm) 물품을 충전 재료가 있거나 또는 없이 끈적끈적한 점까지 가열된 왁스 파우더나 과립으로 코팅하는 것이 추가로 가능하고, 그후 왁스층은 공지된 파우더 래커링(lacquering)에서와 같이 함께 유동하게 된다.
표면 코팅 목적을 위해서, 왁스는 그라파이트 또는 철 산화물 및, 선택적으로는 광물 안료(earth colour) 또는 지방성 안료(fat colour)로 유리하게 혼합될 수 있어서, 특히 양호한 내구성과 안정된 착색을 이룰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경질 왁스의 다른 적용 분야는 혼합된 보강제용 결합재 또는 충전 재료로서의 용도이다.
따라서, 경질 왁스는 전형적으로 폴리에스테르가 강도 부여 필라멘트(strength giving filament), 특히 유리 파이버 재료의 결합을 위해 사용되는 모든 가능한 파이버 광물성 제품과 관련하여 환경적으로는 매우 유리한 재료이다. 경질 왁스는 많은 부분에서 폴리에스테르를 대체할 수도 있는 매우 효과적인 결합재이고, 이에 의해서, 환기 또는 호흡 보호에 특별한 요구 사항이 없다는 점에서 이미 제조 단계에서 재료의 환경 특성이 양호하다는 것이 입증된다. 다른 적용에 있어서, 물론 약 100 ℃ 이상의 온도로 가열되는 경우 그 결과의 재료가 불안정할 것이라는 것을 수용해야만 하지만, 이는 많은 실제적인 사용 가능성이 있다.
경질 왁스가 모래와 같은 과립 충전재와 혼합되어 몰딩 또는 코팅 재료로서 잘 적용될 수 있다는 점은 역시 중요하고, 이는 저렴한 제조비와 필요한 곳의 특별한 경도 및 내마모성에 분명히 기여할 것이다. 또한 경량 또는 절단성과 같은 다른 특성들도 추구할 수 있으며, 가해진 추가의 재료에 의해 크게 영향을 받는다.
어떤 부분에서 재료의 형상이 통상의 주변 온도 이상에서 안정되지 않는다는 것은 부적격이지만, 이것이 바로 이점이 되는 경우가 있다. 예를 들면, 금속 주조 기술과 이와 관련된 주조 몰드의 용도 및 소위 주조 코어의 경우가 있으며, 특히 주조 코어는 관련 단조에서 매우 효율적인 배기 시스템과 같은 높은 안전 대책을 필요로하는 위험한 결합재와 직접 혼합한 주물사로 제조된다. 개개의 몰드 또는 코어는 한번만 사용될 수 있고, 위험한 재료를 함유하기 때문에 이것들은 각각의 주조 후에 상당히 많은 양의 위험한 폐기물 때문에 특별한 저장 지역으로 이송되어야만 한다.
본 발명은 이러한 상황에 현저한 변화를 제공할 것이고, 본 발명에 따른 환경적으로 중성인 왁스 재료만을 사용하여 결합된 모래 재료의 코어/몰드를 제조하는 것이 가능할 수도 있다. 처음에, 이러한 재료 혼합물은 임의의 모델 몰드에서 적절한 반 고온에 의해서 원하는 대로 성형할 수 있고, 그 후 실온에서 강성 상태로 경화한다.
작업시 동일한 코어 또는 몰드 본체가 주조 금속의 현저히 높은 온도에 노출되는 경우, 물론 왁스는 그 용융점 이상으로 가열될 것이지만, 왁스가 열적으로 불안한 상태에 도달하기 전에, 코어/몰드와의 표면 접촉에 의해서 주조 금속이 고화하는 조건까지 표면 접촉이 충분히 빠르게 이루어질 수 있는가가 중요하다. 많은 예에서 본 발명에 따라서 제조된 코어/몰드를 사용할 수 있음을 발견하였고, 가장 중요한 결과는, 동일한 코어 또는 몰드가 사용될 때, 어떤 저장 장소로 이송되지 않고 그리고 어떠한 종류의 내재하는 환경 문제 없이 직접 재사용을 위해서 용융될 수 있다는 것이다.
예컨데, 모래와 같은 충전 재료를 경질 왁스로 코팅하여 몰딩 재료(moulding material)를 준비하는 것이 가능할 것이고, 그 후 이러한 재료는 소망하는 몰드에 채워질 것이고 서로 유동되도록 가열될 것이다.
따라서, 이러한 재료는 다른 몰딩 목적, 예컨데 우물형 프레임 본체의 상승과 관련하여 남겨진 공동의 지지식 충전을 위하여 사용될 수 있다. 이 재료의 점도는 가열 온도에 따라서 모두 변할 뿐만 아니라, 과립 상태의 순수한 왁스뿐만 아니라 코팅된 루스(loose) 재료에 피복되어 상기 재료는 모든 통상의 날씨 조건하에 루스하게 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재료의 추가의 용도 가능성을 위한 기반으로서, 반쯤 큰 입자만, 예컨데 모래보다 큰 입자의 왁스 코팅재를 함께 용융시킴에 의해서, 다공성 타입의 블록 또는 플레이트 본체를 제조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는 공기의 관통흐름을 허여하지만, 약간의 표면 장력에 의해서 발생하는 물의 유입을 저지한다. 이는 다른 목적, 예컨데, 식물 성장을 소망하지 않는 장소에서의 흙 덮개와 필터 재료로 사용 가능할 것이다.
경질 왁스는 종래의 왁스보다 상당히 높은 용융점을 갖는데, 예컨데 100 ℃ 대 50 ℃ 이다. 이는 왁스에의 통상의 기후 영향과 관련하여 중요하고, 본 발명에 따른 경질 왁스에 있어서는 일반적으로 기후 영향에 대해서 충분히 저항적이지만, 통상의 왁스에 있어서는 그렇지 않다. 설명예는, 본 발명이 특수 환경에 있는 쓰레기통을 밀폐시키는 화재 안전 장치와 관련하여 흥미로운점이 발견되었다는 것인데, 여기서 통 위의 캐리어 프레임은 피벗 리드를 고정하고, 이 리드는 왁스 부착 방식에 의해서 그 개방 위치에 고정된다. 화재시, 왁스는 바로 용융되어 리드가 하방으로 떨어지게 하지만, 문제는 이것이 무더운 날의 순수한 기후 영향 또는 직사광선에 의해서도 역시 일어날 수도 있다는 것이다. 예컨데, 80 내지 110 ℃ 의 용융 온도를 갖는 개량 왁스를 사용하는 경우 파이어 릴리스(fire release)는 실질적으로 효과적으로 일어나게 되지만, 문제가 되는 우연한 릴리스(release)는 전적으로 피할 수 있다.
비교적 높은 용융 온도는 일반적으로 주조 제품에서 바인더로서의 개량 왁스의 적용성에 또한 중요하게 될 것이고, 충분히 내 기후성일 것이다. 이 왁스는 주조 공정에 필요한, 예컨데 약 150 ℃ 에 견딜 수 있는 모든 가능한 충전 재료를 결합하는데 사용될 수도 있다. 돌의 충전 재료의 용도에서, 다양한 목적, 예컨데 동물의 배설물에 견딜 수 있는 동물 축사의 바닥 구성 요소나 바닥재 주조물에 사용가능한 "왁스 콘크리트를" 제조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후, 본 발명의 특별하고 역시 중요한 양상, 다시 말해서 주변으로 전달되는 것이 지연적이어야 하는 재료 입자들의 일시적인 표면 코팅용 경질 왁스의 용도를 설명한다. 생각컨대, 종래의 왁스 재료는 이러한 목적에 적절하지 않을 것인데, 이는 왁스층 자체가 예컨데, 땅속 박테리아의 영향에 의해서 열화될때까지, 활성 재료를 주위로부터 전적으로 격리되게 한다는 취지로 활성 재료를 캡슐화하기 때문이다. 본 발명과 관련하여 비료 입자를 경질의 매우 저렴한 왁스 재료로 처리한 경우, 즉 입자들을 용융된 왁스와 간단히 접촉하게 하면, 지면에 뿌려지는 비료는 그 활성 재료를 매우 느리게 또는 긴 기간의 효과를 가지고 전달하는 효과가 달성된다. 이 비료는 소나기와 관련하여 빠르게 씻겨지지 않고, 오랫동안 충분히 활성 효과를 유지하여, 농업에서의 과중한 경제적 및 환경적 문제의 해결책을 제시한다.
이러한 효과에 대한 이유는 아직까지 충분히 뚜렷하지 않으나, 적격한 제안은, 입자 둘레의 경질의 얇은 왁스막에서 균열 형성이 일어날 것이고, 심한 소나기가 이러한 형상을 두드러지게 변화시킴이 없이, 수용액에서 활성 재료의 느린 전달을 가능하게 한다는 것이다.
다른 중요한 조사 결과는, 시간이 지나면 땅속 박테리아가 비독성 왁스 재료를 완전히 분해하여서, 수년 후, 토양에 이물질이 축적되지 않을 것이라는 것이다.
최근에 폭넓게 논의되는 바와 같이 이는 비료 사용의 현저한 감소와 씻김의 현저한 감소 또는 완전한 제거를 의미한다.
동일한 방식으로, 토양에서 씻김의 큰 감소와 장기간 효과를 이루기 위하여 제초제 과립상을 캡슐화하는 것은 이점이 있다.
따뜻한 공기 중에 사용되는 이러한 왁스 코팅된 재료의 경우에, 햇볕에 노출된 자루에서 끈적끈적함이나 베이킹(baking)이 함께 일어날 수 없게 하기 위해서 상기 왁스가 비교적 높은 온도, 바람직하기로는 70 ℃ 이상의 용융점을 가져야만 한다는 것은 장점이 되거나 단순한 조건이 된다. 다른 중요한 장점은, 경질 왁스가 부착성이 없어서, 과립상 재료는 살포기 등에서 사용할 때 '자유로이 움직일 수 있는' 특성을 유지한다는 것이다.
또한, 왁스 캡슐화는 이러한 재료들이 어디에 재 적재되거나 이동되더라도 먼지가 묻지 않도록 해준다.
입자의 코팅은 과립화된 재료와 용융된 왁스를 간단히 서로 모음으로서 이루어질 수도 있는데, 그 후 얇은 왁스막이 접착성을 갖지 않을 정도로 충분히 냉각될때까지 재료는 공기 중에서, 바람직하게는 저온 공기중에서 빠르게 움직이게 하거나 회전 드럼에 의해 격렬하게 혼합된다. 또한 과립의 낙하류(falling flow)를 미립화된 저 점성 왁스의 분사류(injected flow)에 가함으로써 왁스를 인가할 수도 있다. 특정 용도에서는, 과립이 왁스에 의해서 완전히 둘러 싸여지지 않을 수도 있는 것이 허용 가능하거나 심지어 바람직한 결과일 수도 있다.
경질 왁스 코팅의 대응하는 바람직한 효과가 발견된 다른 분야는, 도로염(road salt)에 의한 빙판의 미끄러운 도로의 대처에 관한 것이다. 경질 왁스막으로 코팅된 염을 사용하면 그 염의 효과가 현저히 길어지게 된다. 약간의 왁스 잔여물은 길에 남을 것이고, 분해되는데 약간의 시간이 걸리지만, 이러한 잔여물은 도로 표면의 작은 공동안으로 모아져서, 이 잔여물은 염의 침입에 대하여 공동을 보호할 것이다. 코팅된 염은 갱도, 자전거 도로 및 주차장에 바로 적용할 수 있다. 또한 다른 과립 재료는 예컨데, 세척 파우더에 적절할 수도 있다.
이 왁스 재료는 전혀 해롭지 않은 재료이므로 "푸드 그레이드(food-grade)" 재료로서 인정될 수 있으며, 따라서, 소화기로 투여된 의약품의 도달의 지연을 가져오고 또는 예를 들어 물고기 먹이의 변질을 지연시키기 위하여, 인체용 또는 동물용의 의료 건조 조제약의 코팅재료로서 각각 적용될 수도 있다.
이와 동일한 배경에서, 이 재료는 음식물을 포장하기 위한 모든 적합한 종류의 재료에 적용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재료는, 적절한 충전재와 함께, 주조 및 작업과 관련하여 조각 목적에 매우 적절할 것인데, 이는 한편으로는 제품이 내 기후성을 갖게 되기 때문이며 또 한편으로는 작업시 존재하는 표면부에 재료를 용융시켜 첨가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이 왁스 재료 자체는, 열전도성이 우수하지 않으나, 열전도성을 증대시키는 알루미늄 칩과 같은 분자들을 혼합시켜 열전도도를 증가시킬 수 있어서, 예컨데 가구 산업에서, 예를 들어 금속 지지대상의 왁스로 충만된 표면층이 어떠한 왁스 끈적거림도 없이, "따뜻함" 과 부드러운 촉감을 부여한다는 점을 이용하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 이는 가구 산업에서 새롭고 이익성 있는 제작 가능성을 열어보인 것으로 생각되며, 또한 다른 많은 기술분야에서도 흥미로운 점을 일으키고 있다.
모든 용도에서 공통적인 것은 최종 결과물이 자연에 아무런 손상을 가하지 않고 자연적으로 완전히 분해가능한 이로운 제품이며 땅속 분해 박테리아나 고온을 피할 수 있는 한 매우 저항성이 강하다는 것이다. 이는, 수 천년을 통하여 사용된 또 다른 건축재료, 다시 말해서 현재로는 몰딩가능한 함침 재료로서만 나타나고 있는 목재의 사용조건에 광범위하게 부합된다.
환경적으로 중성인 광물 안료와 지방성 안료에 의하여 염색될 수도 있으며, 그 지방성 안료는 모든 가능한 경우에 사용 가능하다. 예컨데, 테니스장 또는 다른 장소에 착색된 상태에서 깔려질 모래 또는 다른 과립상의 코팅재로서 왁스를 사용하는 유용성이 있으며, 여기서 착색층은 완전히 무해하며 경질 왁스는 그 영역에 물이 침투 못하게 보장할 것이다.
고온 물체의 코팅을 위한 수성 에멀젼(aqueous emulsion) 에서도 왁스가 사용될 수 있음을 간단히 언급하였다. 그러나, 에멀젼 상태의 재료는 또 다른 가능한 용도에 맞춰 조절됨을 이해해야 한다.
비투멘 (bitumen) 에멀젼에 대한 기술은 이미 매우 발달되어 있으며, 왁스는 관련 재료이므로, 예를 들어 파단 제어 (breaking control)에 관한 응용지식은 이미 이용하고 있음이 예상된다.
본 발명에 기초한 왁스 재료는, 주조강의 코팅에 대한 진보된 실험에 기초하여 생산되었다. "볼코플라스트 (Volcoplast) 8524" 로 명명된 모빌 오일 덴마크 A/S (Mobile Oil Denmark A/S) 에 의해 생산된 재료는 기재된 용도 이외에서도 사용되어 우수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중요한 재료 데이터는 다음과 같다.
연화점 (softening point) : 100-110 ℃ ASTM E 28
침투치, 1/10 ㎜ 25 ℃ : 2- 6 ASTM D 1321
점성, mPA.S 130 ℃ : 280-380 ASTM D 3236
컬러 : L 0.5 ASTM D 1500
그러나, 본 발명은 단지 이 재료의 사용에만 제한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Claims (16)

  1. 바람직하게는 폴리머의 혼합에 의해서 천연 왁스보다 증가된 경도 및 높은 용융점을 나타내는 파라핀 왁스에 기초한 "개량 왁스" 타입의 구조 재료, 몰딩 재료나 코팅 재료 및/또는 함침 재료에 있어서, 상기 왁스 재료는 환경적으로 중성인 첨가재에 의해서 크게 개량되어 경질 재료가 되며, ASTM 표준 D 1321 에 따라서 6 이하,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4 의 침투치 또는, 70 ℃ 이상, 바람직하게는 80 내지 120 ℃ 의 용융점을 갖거나 또는 이들을 각각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료.
  2. 제 1 항에 있어서, 왁스 재료는 실용 물건으로 추가로 가공하기 위한 플레이트 또는 블록 재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료
  3. 제 1 항에 있어서, 선택적으로 충전 재료와 혼합하여 실용 제품으로서 성형된 제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료.
  4. 제 1 항에 있어서, 콘크리트, 금속 또는 목재와 같은 다른 재료 표면상의 내부식 코팅 재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료.
  5. 제 1 항에 있어서, 충전 재료가 결합되거나 또는 결합됨이 없이, 몰딩하거나 또는 설비하기 위한 과립상 재료인 것을 특징으로 재료.
  6. 제 1 항에 있어서, 활성 재료를 지연된 방식으로 전달하는 것이 바람직한 다른 재료의 입자를 전체적으로 또는 부분적으로 둘러싸는 막 코팅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료.
  7. 제 6 항에 있어서, 장기간의 효과가 바람직한 인공 비료, 세척 입자, 도로염 또는 다른 재료와 같은 과립 재료의 코팅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료.
  8. 제 1 항에 있어서, 화재나 과열과 관련한 용융 퓨즈 재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료.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왁스가 용융하도록 가열함으로써 서로 결합되는 입자 상의 코팅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료.
  10. 제 1 항에 있어서, 충전 재료와 관련하여 표면 장력으로 물의 침입에 대항하는 공기 투과성, 다공성 베리어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료.
  11. 제 1 항에 있어서, 흑연이나 철 산화물과 함께 혼합하며, 선택적으로는 광물 안료나 지방 안료와 함께 혼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료.
  12. 제 1 항에 있어서, 파우더 또는 수성 에멀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료.
  13. 제 2 항 내지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술된 목적과 방식으로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 1 항에 따른 재료의 용도.
  14. 제 6 항에 따른 상기 재료는 과립 비료, 제초제, 도로염, 세척 입자 또는 약제의 전체적이거나 부분적인 캡슐화에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 12 항에 따른 용도.
  15. 주물사 또는 추가의 충전재와 혼합한 재료가 금속 주조에 사용하는 몰드 또는 코어 구성 요소를 제조하는데 사용되며, 사용후 이러한 구성 요소는 재사용을 위해 상기 왁스를 재용융시킴에 의해 사용후 재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 1 항에 따른 재료의 용도.
  16. 테니스 코트 또는 다른 관련 지역, 선택적으로는 화분에 사용되는 모래 또는 다른 과립상 재료의 코팅을 위해서 제 11 항에 따른 재료가 소정의 색으로 착색되어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 13 항에 따른 용도.
KR1019980708511A 1996-04-25 1997-04-28 코팅및구조재료와그용도 KR2000006499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K498/96 1996-04-25
DK49896 1996-04-25
DK19397 1997-02-21
DK193/97 1997-02-21
PCT/DK1997/000193 WO1997041175A1 (en) 1996-04-25 1997-04-28 Coating and construction material and applications thereof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64996A true KR20000064996A (ko) 2000-11-06

Family

ID=260635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708511A KR20000064996A (ko) 1996-04-25 1997-04-28 코팅및구조재료와그용도

Country Status (23)

Country Link
EP (1) EP0895528B1 (ko)
JP (1) JP2000510170A (ko)
KR (1) KR20000064996A (ko)
CN (1) CN1216563A (ko)
AT (1) ATE226971T1 (ko)
AU (1) AU737496B2 (ko)
BG (1) BG102800A (ko)
BR (1) BR9709741A (ko)
CA (1) CA2250477A1 (ko)
CZ (1) CZ336298A3 (ko)
DE (1) DE69716723T2 (ko)
DK (1) DK0895528T3 (ko)
EA (1) EA000547B1 (ko)
EE (1) EE9800347A (ko)
ES (1) ES2185928T3 (ko)
IL (1) IL126721A0 (ko)
NO (1) NO984962L (ko)
NZ (1) NZ332584A (ko)
PL (1) PL329503A1 (ko)
PT (1) PT895528E (ko)
SK (1) SK146098A3 (ko)
WO (1) WO1997041175A1 (ko)
YU (1) YU46398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99149A (ko) * 2001-09-05 2001-11-09 서영철 방수전용 파라핀 왁스와 색상 및 그 제조 방법
KR20020023980A (ko) * 2001-12-29 2002-03-29 서영철 방수 및 몰탈의 파라핀 왁스 제조 방법
US8547365B2 (en) 2008-12-18 2013-10-01 Anapass Inc.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outputting parallel data signals at different application starting time points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395345B1 (en) 1997-11-13 2002-05-28 Soerensen Frede Coating material and application methods therefor
WO2001039917A2 (en) * 1999-12-02 2001-06-07 Soerensen Frede Oil based treating or impregnation agent containing wax, and applications thereof
JP4739505B2 (ja) * 2000-11-24 2011-08-03 ジェイカムアグリ株式会社 被覆生物活性粒状物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8309259B2 (en) 2008-05-19 2012-11-13 Arizona Board Of Regents For And On Behalf Of Arizona State University Electrochemical cell, and particularly a cell with electrodeposited fuel
CN102634244B (zh) * 2012-04-23 2013-10-23 通化耐博新材料股份有限公司 一种环保型防钢构件热膨胀涂料
DE102014017539B4 (de) 2014-11-21 2019-01-17 Hartmut Sassowsky Fugensanierungsmaschine und Verfahren zur deren Betrieb sowie deren Verwendung
CN109478643B (zh) 2016-07-22 2022-03-15 南特能源公司 电化学电池中的水分和二氧化碳管理系统
US11251476B2 (en) 2019-05-10 2022-02-15 Form Energy, Inc. Nested annular metal-air cell and systems containing same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BE621408A (ko) * 1961-08-30
US3440194A (en) * 1964-10-20 1969-04-22 Mobil Oil Corp Wax composition containing ethylene vinyl acetate or ethylene ethyl acrylate and a graft copolymer of ethylene with maleic acid
GB1245761A (en) * 1968-09-24 1971-09-08 Hydrierwerk Zeits Veb Wax compositions for coating and impregnation
JPS6460659A (en) * 1987-08-31 1989-03-07 Nippon Seiro Kk Base wax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99149A (ko) * 2001-09-05 2001-11-09 서영철 방수전용 파라핀 왁스와 색상 및 그 제조 방법
KR20020023980A (ko) * 2001-12-29 2002-03-29 서영철 방수 및 몰탈의 파라핀 왁스 제조 방법
US8547365B2 (en) 2008-12-18 2013-10-01 Anapass Inc.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outputting parallel data signals at different application starting time point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NO984962D0 (no) 1998-10-23
EA000547B1 (ru) 1999-10-28
EA199800945A1 (ru) 1999-06-24
JP2000510170A (ja) 2000-08-08
BR9709741A (pt) 1999-08-10
CA2250477A1 (en) 1997-11-06
PL329503A1 (en) 1999-03-29
CN1216563A (zh) 1999-05-12
BG102800A (en) 1999-05-31
SK146098A3 (en) 1999-05-07
PT895528E (pt) 2003-03-31
AU2634997A (en) 1997-11-19
AU737496B2 (en) 2001-08-23
ES2185928T3 (es) 2003-05-01
CZ336298A3 (cs) 1999-01-13
DE69716723D1 (de) 2002-12-05
NZ332584A (en) 2000-04-28
NO984962L (no) 1998-10-23
WO1997041175A1 (en) 1997-11-06
EP0895528A1 (en) 1999-02-10
YU46398A (sh) 1999-09-27
DK0895528T3 (da) 2003-03-10
IL126721A0 (en) 1999-08-17
DE69716723T2 (de) 2003-06-12
EE9800347A (et) 1999-04-15
ATE226971T1 (de) 2002-11-15
EP0895528B1 (en) 2002-10-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00064996A (ko) 코팅및구조재료와그용도
JP5081909B2 (ja) モルタルおよびコンクリート表面の凝結を遅延させる方法
EP3227361B1 (de) Verwendung eines thermoplastischen gussmaterials für die herstellung von behältnissen und verpackungsmitteln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behältnisses
US2851330A (en) Method of treating molds
CN1864973A (zh) 一种内含玻璃纤维的化工合成固化废物处理与利用办法
US10308816B2 (en) Coatings for pelletized thermoplastic pavement marking compositions
JPH07315975A (ja) 粒状物質の被覆方法
US20020025437A1 (en) Coating and construction material and applications thererof
US7144454B2 (en) Efflorescence control with wax
JP2018030902A (ja) コーティング用ワックス及びその製造方法、被覆花卉
AU2018225296A1 (en) Improved coatings for pelletized thermoplastic pavement marking compositions
WO2017030335A1 (ko) 기능성 표면을 갖는 물품의 회전성형방법 및 이 방법에 의해 성형된 물품
JPH0388888A (ja) 人工雪及びその製造方法
US10556368B1 (en) Thermoplastic pavement marking flake, method of manufacturing thermoplastic pavement marking flake and its application
US1909819A (en) Coating for molds and method of coating molds therewith
DE102005010122B4 (de) Verfahren zur Erhöhung der thermischen Wärmekapazität für den Wurzelraum und die Substratoberfläche von Pflanzen sowie dazu geeignete Vorrichtung
US2058335A (en) Surface dressing composition for tennis courts
US1901124A (en) Process and product for coating molds and cores
EP1339651B1 (en) Method for manufacturing containers for growing plants and container produced with such method
US1912142A (en) Bituminous article of manufacture
KR20110069650A (ko) 이형효과가 우수한 고형물을 제조하여 불법 광고물 부착 방지제 제조방법
SE123697C1 (ko)
JPS5998136A (ja) 粉末の着色方法
JPH06191981A (ja) 肥料被覆用組成物および被覆粒状肥料およびその製造法
JPS5711747A (en) Mol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