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64864A - 차량 제동 유니트 및 그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차량 제동 유니트 및 그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64864A
KR20000064864A KR1019980707963A KR19980707963A KR20000064864A KR 20000064864 A KR20000064864 A KR 20000064864A KR 1019980707963 A KR1019980707963 A KR 1019980707963A KR 19980707963 A KR19980707963 A KR 19980707963A KR 20000064864 A KR20000064864 A KR 2000006486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
porous concrete
slurry
braking unit
foa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7079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74571B1 (ko
Inventor
리차드 디. 앙리
마이클 에스. 시에지엘스키
크리스토퍼 티. 다이얼
피터 티. 마할
Original Assignee
피터 티. 마할
엔지니어드 어레스팅 시스템즈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피터 티. 마할, 엔지니어드 어레스팅 시스템즈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피터 티. 마할
Publication of KR200000648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648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745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74571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9/00Special pavings; Pavings for special parts of roads or airfiel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FGROUND OR AIRCRAFT-CARRIER-DECK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AIRCRAFT; DESIGNING, MANUFACTURING, ASSEMBLING, CLEANING, MAINTAINING OR REPAIRING 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HANDLING, TRANSPORTING, TESTING OR INSPECTING AIRCRAFT COMPON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4F1/00Ground or aircraft-carrier-deck installations
    • B64F1/02Ground or aircraft-carrier-deck installations for arresting aircraft, e.g. nets or cables
    • B64F1/025Ground or aircraft-carrier-deck installations for arresting aircraft, e.g. nets or cables using decelerating or arresting bed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9/00Special pavings; Pavings for special parts of roads or airfields
    • E01C9/007Vehicle decelerating or arresting surfacings or surface arrangements, e.g. arrester beds ; Escape roads, e.g. for steep descents, for sharp ben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Road Paving Structures (AREA)
  • Preparation Of Clay, And Manufacture Of Mixtures Containing Clay Or Cement (AREA)
  • Automobile Manufacture Line, Endless Track Vehicle, Trailer (AREA)
  • Braking Arrangements (AREA)
  • Manufacture Of Porous Articles, And Recovery And Treatment Of Waste Products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 On-Site Construction Work That Accompanies The Preparation And Application Of Concrete (AREA)
  • Turning (AREA)

Abstract

다공질 콘크리트(70)의 차량 제동 블록은 물체를 안전하게 저속 주행시키기 위해 사용가능하고 비행기 활주로 끝에서 비행기 제동 베드를 구성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다공질 콘크리트 블록(70)이 물체에 대해 충분하지만 지나치지 않는 감속력을 제공하기 위해 소정치의 압축 구배 강도를 나타낼 수 있도록 제조되어야 한다. 재료의 균일성은 허용가능한 제동력 변화를 피할 수 있도록 부합되어야 하므로 제동 블록은 바람직하게는 블록 두께의 10 내지 60퍼센트의 침투 깊이에 대해 소정 압축 구배 강도(예를 들면 60/80 CGS)를 나타낸다. 60/80CGS는 이와 같은 침투 깊이에 대해 매 평방 인치 당 70 파운드의 평균 압축 강도를 통상 나타낸다. 통상적으로 최소 강도치와 일치하는 종래의 다공질 콘크리트 제품 및 그 제조 방법은 제동 블록에 필요로 되는 균일성 또는 압축 구배 강도 예측성을 만족시키지 못하고 있다. 상기 방법은 비행기 및 다른 물체의 한정된 감속을 제공하기 위해 특정된 압축 구배 강도와 건조 밀도를 갖는 제동 블록의 제조를 가능하게 하는 데 유효한 범위와 인자, 성분 및 공정 제어를 포함한다. 한정된 감속은 과잉의 감속비로 인해 파괴되는 결과를 피할 수 있다.

Description

차량 제동 유니트 및 그 제조 방법
활주로 끝을 이탈하는 항공기는 승객에게 상해를 입히고 항공기가 파손 또는 치명적으로 손상될 가능성을 증가시킨다. 상기 이탈은 80 노트의 속도로 이동되는 항공기가 착륙하는 동안 또는 이륙에 실패하는 경우 발생되곤 한다. 이탈 위험을 최소화하기 위해, 일반적으로 연방 항공 본부(FAA)는 활주로 끝 너머에 길이 1,000 피트의 안전 영역을 요구한다. 현재로, 상기 안전 영역이 FAA 규정일지라도, 지역을 가로지르는 많은 활주로는 FAA 규정의 채택 이전에 형성되었고, 해수, 도로 또는 다른 장애물이 1,000 피트 이탈 요구조건으로 인하여 경제적이지 못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활주로 밖에 존재하는 토양면을 포함하는 몇몇 물질은 항공기를 감속시킬 수 있는 능력이 부여되어 있다. 그 특질을 예측할 수 없으므로 토양면의 제동 능력은 매우 예측하기 어렵다. 예를 들면, 마른 진흙은 경질일 수 있고 거의 불침투성이며, 젖은 진흙은 항공기를 진흙으로 더럽히고, 랜딩 기어를 파괴시키며, 승객에게 상해를 입히고, 항공기를 파손시킨다.
1988 리포트에는 뉴욕 및 뉴저지의 공항 관제소에 의해 JFK 국제 공항에서 활주로용 플라스틱 폼 제동 장치의 발전 가능성에 대한 조사가 보고되었다. 리포트에는, 상기와 같은 제동 장치 설계가 80 노트까지의 출구 속도로 활주로를 이탈하는 100,000 파운드 항공기와 60 노트까지의 출구 속도로 활주로를 이탈하는 820,000 파운드 항공기를 편리하고 안전하게 제동시킬 수 있다는 분석 결과가 진술되어 있다. 리포트에는 적절한 플라스틱 폼 제동 장치 구성의 성능이 잠재적으로 "특히 제동이 효과적이지 않고 역추력이 활용되지 않을 때 포장된 1,000 피트 이탈 영역보다 우수하다"는 것이 도시되어 있다. 공지된 바와 같이, 제동의 효과는 젖거나 차가운 표면상태하에서 제한될 수 있다(데이톤 대학 리포트 UDR-TR-88-07, 1988년, 1월).
더욱 최근에, 항공기 제동 시스템은 랄렛 등에 의한 미국 특허 제 5,193,764호에 설명되어 있다. 상기 특허의 개시에 따라, 항공 제동 영역은 지지면에 부착된 폼의 최저층으로 서로에 대해 단단하고, 부서지기 쉬운, 내화성 석탄산 폼의 복수로 적층된 박층을 부착함으로써 형성된다. 적층된 층은 단단한 플라스틱 폼으로 된 혼합층의 압축 저항이 활주로로부터 제동 영역 내로 이동될 때 제동되게 되어 있는 임의의 형태의 항공기의 착륙 장치에 의해 가해지는 힘보다 작도록 설계되어 있으므로 폼은 항공기가 접촉될 때 파손된다. 양호한 재료는 라텍스 접착제와 같은 호환성 접착제로 사용된 석탄산 폼이다.
제동 장치 시스템의 기초부인 석탄산 폼의 테스트는 상기 시스템이 항공기를 제동시키는 기능을 할 수 있고, 폼 재료의 사용은 단점을 가진다. 주요 단점은 그 특성에 의존하는 폼이 통상적으로 반발 특성을 나타낼 수 있는 사실이다. 그러므로, 여러 방향으로의 추력이 폼 재료 자체의 반발의 결과로서 폼 물질을 통해 이동됨에 따라 항공기의 휠에 전달되는 석탄산 폼 제동 베드 테스트에 주목해야 한다.
제동 베드 시스템에 사용되는 물질인 폼 또는 다공질 콘크리트는 종래 기술 분야에서 제한된 분야로 테스트가 제안 및 실행되어 오고 있다. 석탄산 폼의 일부 단점을 배제한 상태에서 석탄산 폼과 동일한 많은 이점의 제공을 기초로 다공질 콘크리트가 제동 베드 시스템 사용하는데 양호한 잠재력을 가진다는 것을 상기 테스트가 지시하고 있다. 그러나, 정확하게 제어된 파손 강도와 제동 베드에 걸친 물질 균일성에 대한 필요치는 임계치이고, 공지되는 한, 적절한 특징 및 균일성의 다공질 콘크리트의 제조는 사전에 달성 또는 설명되어 있지 않다. 건물용 구조 콘크리트의 제조는 상대적으로 단순한 처리 단계를 포함하는 공지된 기술이다. 일반적으로 단순한 성분을 포함하는 다공질 콘크리트의 제조는 탄산 가스 포화, 혼합 및 수화 양태의 성질 및 효과에 의해 완성되고, 너무 강하지도 너무 약하지도 않은 균일한 단부 제품이 본 발명의 목적을 위해 제공될 경우, 다공질 콘크리트는 면밀히 특정되고 정확하게 제어되어야 한다. 보다 약한 그리고 보다 강한 다공질 콘크리트 영역을 포함하는 불연속성은 예를 들어, 감속력이 휠 지지 구조 강도를 초과하는 경우, 감속되는 차량을 실제로 손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불균일은 감속 성능과 전체 제동 거리를 정확하게 예견할 수 없게 한다. 상업적 용도의 다공질 콘크리트를 이용하는 최근의 한 가능성 테스트에서, 베드부와 부하 데이터를 통해 부과되는 테스트 데이터의 기록을 위해 설치된 항공기가 획득되었다. 제조 균일성을 제공하기 위해 여러 공정들이 시도되어 왔지만, 테스트 제동 베드로부터 취해진 견본과 부하 데이터는 파손 강도가 높게 초과되는 영역과 낮게 초과되는 영역 사이에서 명백한 편차를 나타냈다. 항공기가 주요 착륙 장치를 손상시키거나 파손시킬 수 있는 힘에 노출될 경우, 제동 장치의 잠재적인 이점은 명백하게 떨어진다.
명칭이 "Preliminary Soft Ground Arrestor Design for JFK International Airport"인 연방 항공 위원회에서 작성된 1995 리포트에는 제안된 비행기 제동장치에 대해 개시되어 있다. 이 리포트는 석탄산 폼 또는 다공질 콘크리트중 하나에 대한 사용 가능성을 논의한다. 석탄산 폼에 대해, 몇몇 에너지 추종 압축의 복귀를 야기하는 "반발"특성의 문제점에 대해 기술되어 있다. "폼크리트(foamcrete)"라고 불리우는 다공질 콘크리트에 대해서, 제조중 폼크리트의 일정 밀도(강도 인자)는 유지하기가 곤란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폼크리트가 일정한 밀도와 균일한 압축강도로 다량으로 제조될 수 있다면 폼크리트는 제동장치 구성을 위해 양호한 응축상태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평판 테스트가 설명되어 있고 5 내지 80퍼센트 변형 범위에 걸쳐 60 내지 80 psi의 균일한 압축강도치는 이 기술분에서 이용가능한 정보의 수준에 기초한 목적으로서 기술되어 있다. 따라서 이 리포트는 허용가능한 특성을 갖는 재료와 이와 같은 재료의 제조 방법 모두를 이용할 수 없는 것을 나타내고, 이와 같은 재료의 테스트와 다소 가정에 기초하여 있을 수 있는 특성을 제시한다면, 이들은 이용가능하다.
따라서, 제동 베드 시스템이 고려되고 있고, 그 시스템을 위해 다양한 물질의 실제 테스트가 실행되고 있지만, 활주로를 이탈하는 비행 속도로 이동하는 공지된 크기 및 무게의 항공기를 안전하게 정지시키는 특정 거리 내의 제동 베드 시스템 또는 그 시스템에 사용하기에 적합한 물질의 실제 제조 및 실행은 성취되지 않았다. 소정의 크기, 중량 및 속도의 차량에 대해 효과적인 제동 베드를 제공하기 위해 형성되는 물질의 양 및 기하학은 물질의 물리적 특성 특히, 베드를 통해 이동됨에 따라 물질을 변형 또는 파손시키는 차량에 적용되는 항력의 크기에 직접적으로 의존한다. 컴퓨터 프로그래밍 모델 또는 다른 기술은 상기 항공기를 위한 대응 착륙 장치에 관한 설명을 고려하여, 특정 크기 및 중량의 항공기를 위한 계산된 힘 및 에너지 흡수에 기초한 제동 베드를 위한 항력 또는 감속 목적을 개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그러나, 제동 베드가 베드를 통한 차량(활주로를 이탈한 후에 베드를 통해 이동하는 항공기의 휠)의 부하를 견디는 항공기(또는 다른 차량)의 부분에 의해 수축될 때 예측 가능한 양의 에너지 흡수(항력)를 균일하게 유지하기 위해 강도, 내구성 등과 같은 특성의 구역 대 구역 및 일괄 대 일괄 균일성을 갖는 물질로 구성되는 모델이 가정되어야만 한다.
제동 베드 시스템에서 기포형성 또는 다공질 콘크리트의 사용에 따른 잠재적인 이점중 하나는 그 물질 자체가 다수의 다양한 시동 물질을 사용하는 다양한 방법으로 제조될 수 있다는 것이다. 차량 감속과 무관한 종래 형태의 적용의 경우에는, 콘크리트는 다공질 콘크리트를 제조하기 위해 물, 기포 작용제, 및 공기가 혼합된 특정 형태의 시멘트(통상적으로 포틀랜드 시멘트)를 사용함으로써 제조된다. 그러나, 명백히 구별되는 필요 조건은 상기 종래 형태의 다공질 콘크리트를 제동 베드에 사용하기 적합한 제품의 제조와 구별한다. 종래의 적용에서는, 보다 양호한 강도를 갖는 소정의 최소 강도를 제공하는 상태에서 중량 또는 비용 또는 두가지 모두를 감소시키는 것이 목적이다. 종래의 적용에서는 통상적으로, 다공질 콘크리트가 최대 강도 및 최소 강도의 엄격한 기준하에서 제조되는 것은 불필요하다. 또한, 종래 적용에서는 기초 강도 목적이 충족되는 물질의 높은 균질도가 불필요하다. 다공질 콘크리트의 종래 적용에서 조차, 시멘트의 양 및 형태, 물/시멘트 비, 기포 작용제의 양 및 형태, 상기 물질들이 혼합되는 방법, 처리 조건 및 양생 조건은 모두 다공질 콘크리트의 결과 특성에 임계 효과를 나타낸다. 차량 제동 베드에 적합한 다공질 콘크리트를 제조하는데 필요한 수준으로 제품을 정제해야 하는 필요성은 종래 적용에서 설명되어지지 않는다.
따라서, 항공기 또는 다른 차량의 제동 베드 내로의 진입시 바람직한 감속을 획득하기에 적절한 기계적 특성의 물질이 상술한 목적중 하나이다. 그러나, 소정 강도 및 균질성의 필요한 특성을 실제로 구비하는 다공질 콘크리트 물질을 지속적으로 제조하는 능력은 이미 달성된 것으로 공지되어 있지 않다.
이 기술에서 하나의 실질적인 문제는, 기하학적으로 원하는 기계적 특성을 일관되게 가진 전체 제동 베드의 구성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매우 치밀한 허용오차로 균일한 형태로, 낮은 강도 범위에 다공질 콘크리트의 제조를 위한 확립된 기술이 부족하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다음과 같은 하나이상의 특성 및 능력을 제공하는 신규의 개선된 차량 제동 유니트 및 이들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 각종 응용에 적합한 크기의 블록 형태로 제조된 유니트,
- 소정의 압축 구배 강도 특성을 제공할 수 있도록 제조된 유니트,
- 차량 운동을 안전하게 제동하는 데 적합한 균일한 특성을 갖는 유니트,
- 소정 특성으로 반복 제조할 수 있는 방법,
- 설정된 인자 범위에 기초한 제조상 제어를 할 수 있는 방법,
- 각종 응용에 적합한 소정의 압축 구배 강도를 가진 다공질 큰크리트의 제조시 높은 수준의 품질 제어를 가능하게 하는 방법.
본 발명은 물체의 운동을 정지시키는 것에 관한 것으로, 특히 활주로의 끝에서 이탈하는 항공기를 안전하게 감속시키기 위한 제동 베드 시스템에 사용하기 적합한 다공질 콘크리트 유니트 및 이와 같은 유니트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 1a, 도 1b 및 도 1c는 각각 차량 제동 베드 시스템의 평면도, 종단면도 및 횡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을 사용한 다공질 콘크리트의 감속 블록 형태를 나타낸 도면.
도 3,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감속 블록의 다른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라 사용하기 위한 제어된 증발 경화 형태를 도시한 도면.
도 7 및 도 8은 시험결과를 2개의 상이한 강도의 다공질 콘크리트의 시료에 대해 압축력 대 침투의 백분율로 나타낸 도면.
(발명의 요약)
본 발명에 따르면, 차량 제동장치는 관련 휠 지지 구조에 고장을 일으키지 않고 차량 휠의 저속 주행에 효과적인 되튀지 않는 압축구배 강도를 제공하기 위해 제조되는 차량 제동 블록을 포함한다. 이 블록은 다공질 콘크리트로 제조되고, 바람직하게는 12 내지 22 파운드/입방 피트 범위의 건조 밀도를 가지며, 89℉를 초과하지 않는 온도를 가진 물과 시멘트의 슬러리의 조합, 물과 발포제로 제조된 폼 및 경화 폼으로 형성된다. 경화 폼은 슬러리가 그 초기 온도보다 높은 5 내지 12℉ 범위의 온도 상승이 있은 후 혼합된 슬러리와 폼의 혼합물에 대해 제어된 증발을 갖는 3차원 지지체를 제공하기 위해 배열된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차량 제동 블록은 소정의 압축구배강도(CGS)를 가진다. 블록 두께의 10 내지 66퍼센트의 침투 깊이에 걸쳐 평균을 구했을 때, 예를 들면 60/80CGS는 약 70psi와 같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제동재료 구역을 형성하는 방법은,
(a) 슬러리의 유도 고전단 혼합을 포함하고, 시멘트와 물 슬러리를 형성하는 단계와,
(b) 89℉를 초과하지 않는 슬러리의 온도에 도달할 수 있도록, 슬러리를 5 내지 12℉의 범위의 수화와 관련된 온도 상승을 겪도록 허용하는 단계와,
(c) 물과 발포제로부터 폼을 제조하는 단계와,
(d) 슬러리와 폼을 혼합하여 다공질 콘크리트를 제공하는 단계와,
(e) 다공질 콘크리트의 일부를 부채꼴 형상을 나타내는 형틀에 배치하는 단계와,
(f) 제어된 증발을 일으키는 조건하에서 다공질 콘크리트를 경화시켜 자력지지 3차원형상으로 및 12 내지 22pcf 범위의 건조 밀도를 가진 제동재료 구역을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예를 들면 비행기와 같은 이동하는 물체의 제한된 감속을 제공하는 데 효과적인 압축 구배 강도를 특징으로 한다.
제동 베드 응용에 다공질 콘크리트를 사용하는 것은 허용가능한 성능을 확보할 수 있도록 베드가 설계되고, 규격화되어 구성될 수 있도록 하고 감속될 수 있는 차량의 접촉 부재의 표면위에서 작용하는 저항력을 예견할 수 있는 능력이 있으므로 변형에 대한 저항력이 대략 균일한 재료를 필요로 한다. 이와 같은 균일성을 얻기 위해, 다공질 콘크리트를 제조하기 위해 사용되는 성분, 처리될 조건 및 그 경화 체제는 주의하여 선택 및 제어해야 한다.
다공질 콘크리트의 성분은 일반적으로 세멘트이고, 바람직하게는 포틀랜트 시멘트(Portland cement), 발포제 및 물이다. 비교적 미세한 모래 또는 다른 재료는 또한 몇몇 환경에서 응용될 수 있다는 것을 발견하였지만, 본 최선의 실시예에는 사용되지 않는다. 다양한 콘크리트 응용에 사용되는 재료의 공통 형태외에, 본 발명에 따르면 중공 글라스 또는 세라믹 구체(ceramic sphere), 또는 다른 부서지기 쉬운 재료가 다공질 콘크리트에 포함된다. 제동 베드 응용을 위한 현재의 최선 형태의 시멘트는 Type III 포틀랜드 시멘트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용어 "다공질 콘크리트(cellular concrete)"는 공기 등의 비교적 작은 내부 셀 또는 유체 방울을 갖는 콘크리트를 포함하고, 모래 또는 다른 재료, 뿐만 아니라 이와 같은 모래 또는 다른 재료가 들어있는 형성물을 포함하는 포괄적인 용어로 사용된다.
다공질 콘크리트 산업에서 공지 및 사용되는 다수의 발포제는 천연 또는 합성 폼중 어느 하나로서 분류된다. 천연 폼은 일반적으로 합성 폼만큼 빨리 붕괴되지 않는 관점에서 더욱 강한 것으로 여겨진다. 한편, 합성 폼은 일반적으로 양에 있어서 더욱 균일하므로 성능을 더욱 예측할 수 있다. 두가지 형태의 폼이 사용될 수 있지만, 얻어진 다공질 콘크리트의 경도 및 균질성이 제동 베드 응용에 있어서 일차적인 관심사항이기 때문에 적합한 발포 및 세팅 특성을 갖는 합성 폼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공질 콘크리트를 제조하는 많은 공지의 방법이 있다. 일반적으로 이 방법은 폼 농축액을 물과 혼합하고, 공기를 유도하여 폼을 발생시키고, 얻어진 폼을 시멘트 슬러리 또는 시멘트/골재 슬러리 혼합물에 첨가하고, 폼과 시멘트 슬러리를 다른 형태의 콘크리트에 비해 비교적 낮은 재료 밀도를 유지하는 많은 양의 빈공간 또는 "셀"을 갖는 균질의 혼합물을 생기게 하는 제어된 방식으로 폼과 시멘트 슬러리를 전체적으로 혼합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제동 베드 응용에의 다공질 콘크리트의 응용은 재료 특성의 일반적인 균질성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재료의 균일한 발포성, 혼합 및 세팅은 극히 중요하다.
다공질 콘크리트를 제조하는 최선의 방법은 정상 상태를 근사하는 공정, 가능한 한 가까운 연속 공정을 사용하는 것이다. 가능한 한 일정해야 되는, 압력, 혼합 속도, 원료의 온도 및 다른 공정 변수를 제어함으로써 다공질 콘크리트 제품의 더욱 높은 수준의 균질성이 얻어지고 일괄 처리과 통상적으로 관련되어 있는 변화가 회피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일괄 처리 또는 다른 방법에 있어서 어느 한 순간에 생성된 재료의 양은, 처리가 행해지고 "정상 상태"와 같은 동작에 대한 근사치에 가깝게 특정 제동 베드 설치를 위한 제조 환경하에서 실행되는 가를 나타낼 것이다.
최선의 공정은 세멘트 슬러리를 생성하고, 폼을 생성하고, 이후 시멘트 슬러리와 폼을 혼합하여 발포성 또는 다공질 콘크리트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 폼은 폼 농축물을 물과 혼합하여 발포 용액을 형성하여 제조된다. 예로서, 상기한 것과 같은 합성 폼 재료를 위한 폼 농축물에 대한 물의 바람직한 비율은 체적 기준으로 약 39:1이다. 다음에, 폼은 예를 들면 폼 용액이 조정가능한 공기 입구가 고정된 펌프를 통과하는 공기 트랩의 임의의 적합한 수단에 의해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이러한 공정 단계에 의해 생성되는 폼 밀도는 약 2.2 내지 약 2.6 lbs.ft./cu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2.3 내지 약 2.4 lbs./cu. ft.이다. 본 명세서에 사용될 때, 파운드/입방 피트는 "lbs./cu.ft." 또는 "pcf"중 하나로 줄여 사용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시멘트 슬러리는 물을 상품명 "Type III Portland 시멘트"와 혼합하여 생성된다. 물과 시멘트의 바람직한 비율은 약 0. 내지 0.7 범위에 있는 것을 발견하였고, 0.54의 비율은 우수한 결과를 제공하는 것을 발견하였다. 세멘트는 초기에 물과 혼합되고 시멘트는 슬러리에 대해 매우 높은 전단을 부여하는 특별한 이점이 있는 것을 발견하였다. 혼합물을 고전단 펌프로 통과시키는 것은 시멘트 슬러리에 고전단을 부여하는 현재의 최선의 방법이다. 다공질 콘크리트의 제조중 주위 온도는 적어도 약 65℉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명세서에 사용될 때, 화씨(Fahrenheit)는 "F"로 줄여 사용된다.
또한 최선의 공정은 발포 콘크리트를 형성하기 위해 폼과 슬러리를 혼합하기 전에 시멘트 슬러리에 대해 충분한 부분 수화 시간을 허용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으로 판정되었다. 부분 수화 시간은 주어진 상이한 시멘트와 시멘트/물 비율을 변하시키지만, 슬러리의 약간의 수화량은 예를 들면, 전단 부여 장치를 통해 순환되기 때문에 허용가능한 최종 제품을 얻는 데 도움이 되는 것을 발견하였다. 수화 작용은 열을 슬러리로 방출하므로, 수화의 하나의 척도는 온도 상승에 있다. 따라서, 수화 관련 온도 상승이 5 내지 12 ℉가 되도록 충분히 길게 물과 시멘트를 혼합하는 것이 특히 효과적인 것을 알았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약 4분의 기간이 사용되어 시멘트 슬러리에 폼을 도입하기 전에 6 내지 약 8℉ 범위내에서 수화 관련 온도 상승을 제공한다. 예를 들면, 고속 펌프는 온도 센서가 부착될 수 있고 시멘트 슬러리의 혼합은 상기 수화 관련 온도 상승( 및 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화의 적정 레벨)이 일어날 때까지 순환식으로 수행될 수 있다. 부분적으로 수화된 시멘트 슬러리는 이후 낮은 전단 또는 상대적으로 평온한 혼합 환경, 예를 들면 패들 믹서(paddle mixer)를 통과하고, 여기서 폼은 결합되어 다공질 콘크리트를 형성한다.
폼 콘크리트의 습윤 밀도는 제품의 필요한 균일성이 얻어진다면 매무 엄밀히 제어되어야 한다. 바람직한 습윤 밀도는 약 14 내지 약 23 lbs./cu.ft이다. 약 60/80 CGS의 특정 압축 구배 강도 또는 "CGS"(위에서 정의한 것과 같음)를 얻기 위해 사용되어 온 현재 최선의 습윤 밀도는 약 18 lbs./cu.ft이다.
폼 콘크리트는 물 손실율을 감소시킬 수 있는 식으로 경화를 허용되어야 한다. 바람직하게는, 단지 경화의 자체 건조효과는 대다수의 물손실에 응답할 것이다. 이것은 다공질 콘크리트이 상부위에서 또한 연장하는 플라스틱 시트 재료로 덧대어진 목재 형상으로 다공질 콘크리트부분을 주조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방법에 사용하기 적합한 개방 상부 목재 형틀(90)을 단순화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형틀(90)은 통상적으로 8x4의 내측 길이와 폭 치수 및 형틀을 사용하여 제조되는 블록의 특정 두께에 적합한 내측 높이를 가진다. 도시된 것과 같이, 내면을 덮고 형틀에 도입된 다공질 콘크리트의 상면을 덮기 위한 부분 또는 덮개 부분을 가진 플라스틱 라이너(92)는 형틀(90)내에 포함되어 위치된다. 형틀(90)과 플라스틱의 라이너(92)와 다른 적합한 재료의 조합은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제동 블록의 경화 기간중 제어된 증발 조건을 제공할 수 있다. 바람직한 경화 조건은 실온(약 70℉)에 가까운 주위 온도를 포함한다. 경화 과정은 재료에 의해 변화여 혼합되지만 통상적으로 약 21일에 완성된다.
제동 베드 시스템의 구성은 중앙 제조 설비에서 또는 베드설치 현장에서 다공질 콘크리트를 제조하고 시스템을 위한 원하는 기하학적 형상을 달성하기 위해 이 콘크리트를 적당한 치수로 부어서 완성될 수 있다. 그러나, 재료 특성의 균일성 및 전체 품질 제어의 관점에서, 적당한 치수의 형태를 사용하여 전체 베드 부분을 주조하고 이후 이 부분을 현장으로 운반하고 이들을 설치하여 전체 베드의 형상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으로 발견되었다. 후자의 경우에 있어서, 이와 같은 유니트 또는 부분은 소정 크기의 블록 형태로 제조되어 품질 제어 시험이 종료할 때까지 유지된다. 블록은 이후 현장에 설치되고, 안전 지역의 구성 재료에 따라서 아스팔트, 시멘트 그라우트(cement grout), 또는 다른 접착 재료를 사용하여 활주로 안전지역에 부착될 수 있다.
양자의 경우에 있어서, 하드코트 재료는 바람직하게는 유지보수가 메인 구조에 심각한 변형 손상을 가하지 않고 행해질 수 있도록, 베드 자체의 주요 구조가 용이하게 변형되지 않는 강한 표면을 제공하기 위해 조립된 제동 베드의 각 블록의 노출면에 부가된다. 바람직한 하드코트 재료는 발포 콘크리트를 포함하고 여기서 습윤 밀도는 다소 높은, 예를 들면 약 22 내지 약 26 lbs./cu.ft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제동 블록의 정황을 설명하기 위해, 이와 같은 블록을 이용하는 완전한 제동 베드 시스템의 일예가 도 1a, 도 1b 및 도 1c에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것과 같이, 제동 베드는 기본적으로 제 1 압축구배강도(예를 들면 60/80CGS)의 제동 블록이 횡열로 조립된 제 1 섹션(52)과 보다 높은 압축구배강도의 제동블록의 열로 조립된 섹션(54)을 포함한다. 도시된 실시예에 있어서 제동 블록의 최초 열은 9인치의 두께 또는 높이를 가지며, 후속 열은 3/4인치 증분만큼 높이가 증가한다. 섹션(54)에서 연속하는 어떤 제동 블록의 열은 3인치의 증분 높이차를 가진다. 증분으로 증가하는 높이와 상이한 CGS 의 조합은 제동베드로 들어오는 비행기를 감속시키기 위한 증가하는 제동 효과를 제공한다. 제동 베드에 대해서는 이하에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도 2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다공질 콘크리트로 만들어진 차량 제동 또는 감속 블록(70)의 예가 도시되어 있다. 블록(70)은 활주로 끝을 이탈하는 비행기의 주행을 제동시키기 위해 비행기 활주로의 끝에 설치된 차량 제동 베드 시트템과 같은 사용에 적합하고, 뿐만아니라 트럭 또는 다른 차량을 정지시키기 위한 유사한 형태의 설비에 사용하기 적합하다. 다른 응용으로서는, 다양한 크기 및 형상의 다공질 콘크리트 블록 또는 다른 유니트가 다양한 형태의 이동 발사체 및 다른 물체의 운동을 제동시키기 위해 사용가능하다.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일반적으로 차량 제동 블록(70)은 감속될 차량의 차량 본체 유극보다 작은 높이 또는 두께(72)를 가진다. 따라서 블록(70)은, 비행기 동체와 직접 접촉하지 않고, 비행의 랜딩 기어(즉, 휠)와 상호작용하는 물체와 함께 비행기 등의 차량의 경로에 위치된다. 위에서 제외한 것과 같이, 여기서 크고 작은 다양한 비행기에 사용되도록 하고, 동체 유극이 보다 큰 비행기에 대해 원하는 감속 능력을 제공해야 할 필요성 때문에 보다 작은 비행기에 대해 동체 유극을 확보하는 것이 불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블록(70)은 차량 휠의 감속 또는 저속 주행을 위해 효과적인 반발력이 없는 압축 구배 강도를 제공하기 위해 조립된다. 중요하지만 두 번째의 목적은 가능하다면 결합된 비행기 선단 휠 지지 구조의 고장을 일으키지 않고 달성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에 맞도록 하기 위해, 블록(70)은 12 내지 22pcf범위의 건조 밀도를 가진 콘크리트의 미리 경화된 프리 스탠딩 블록(pre-cured free-standing block)을 포함한다. 통상의 비행기 제동 베드조립에 사용하기 위해, 예를 들면 도 1a, 도 1b 및 도 1c에 도시된 것과 같이, 다공질 콘크리트 블록은 제동력에 소정의 점증적인 증가를 제공할 수 있는 후방으로 경사진 베드 형상으로 정면을 제공하기 위해 증분(통상 3/4 내지 3인치)으로 변하는 균일한 폭(74)(통상 4피트)과 길이(76)(통상 8피트)와 두께(72)(통상 9 내지 30인치)로 도 2에 도시된 형상으로 조립된다.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동 블록(70)은 블록의 취급 및 배치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구성된 2개의 횡방향 슬롯(78)을 포함한다. 본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길이가 4피트이고 각각 1.5인치 높이와 4인치 폭의 사각형 개구를 가진 2개의 플라스틱 슬리브는 다공질 콘크리트 슬러리가 형틀에 도입되기 전에 경화 물체의 내측 저면위에 위치된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 슬리브는 블록으로 몰드되고 경화가 완료된 후 형틀로부터 제거될 때 얻어진 제동 블록의 저부에 파묻혀 있다. 플라스틱 슬리브는 저렴하게 구성되고 형틀내에서 다공질 콘크리트의 경화 및 도입중 붕괴를 피할 수 있을 만큼의 강도일 필요가 있다. 경화될 때, 얻어진 제동 블록(70)은 블록내에 구조적으로 형성된 2개의 횡방향 슬롯(78, 80)을 포함한다. 4x8피트 x8인치 두께의 치수를 가지는 비교적 가벼운 중량의 다공질 콘크리트 블록은 블록를 취급, 이동 및 배치하는 한에 있어서는, 상대적으로 부서지기 쉬운 구조로 된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즉, 필요한 주의를 기울이지 않고 블록을 집어들려고 하면 블록의 균열 또는 파열을 일으키는 경향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파손 문제는 크게 감소되고 한편 블록은 제동 베드에 용이하게 이동되어 배치될 수 있게 한다. 슬롯(78, 80)은 각각 각 단부로부터 블록 길이의 약 1/6의 위치에 위치된다. 이후 2개의 대략 슬롯(78, 80)에 삽입될 수 있는 크기로 되고 이격되어 있는 돌출부를 갖는 2개의 포크리프트형 차량 또는 장치는 하나의 위치로부터 다른 위치로 블록을 들어올려 이동 및 운반하기 위해 쉽게 이용될 수 있다. 형틀에 남아있는 융기된 리지를 사용하는 것과 같은 다양한 다른 장치가 슬롯(78, 80)에 상당하는 적합한 횡방향 슬롯을 제공하기 위해 사용되어도 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블록(70)은,
- 통상적으로 0.5:1 내지 0.6:1범위 비율의 물과 시멘트 슬러리와,
- 통상적으로 2.2 내지 2.6 범위의 밀도를 가지는, 물과 발포제로 제조된 폼과,
- 14 내지 23 pcf범위의 습윤 밀도를 가진 슬러리와 폼 혼합물에 대해 증발을 제어할 수 있는 3차원 지지체를 제공하기 위해 배열된 경화 형틀을 구비하는 조합물로 형성되는 다공질 콘크리트를 포함한다.
이와 같은 조합물은 적어도 그 두께의 60퍼센트에 걸쳐 40 내지 140psi범위의 연속 압축 구배 강도를 가진 다공질 콘크리트의 감속 블록을 제공하는 데 유효하다. 특정 블록에 대한 특정 압축 구배 강도는 특정 응용에서 알 수 있는 것과 같이, 상기 범위내에서 특정 인자를 특히 지정함으로써 훨씬 협소한 범위내에서 선택되거나 특정된다.
특정 응용을 위해 특정되고 반복가능한 압축 구배 강도와 블록을 형성하는 다공질 콘크리트를 통해 이와 같은 강도의 고도의 균일성을 가진 차량 제동 블록의 제조를 가능하게 하기 위해, 감속 블록과 특히 차량 제동 블록은 다음과 같은 스펙에 부합하는 재료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과 시멘트 슬러리는 고전단 혼합이 행해지고 폼과 혼합하기 전에, 89℉를 초과하지 않는 온도에 도달하도록 5 내지 12도화씨(F) 범위의 수화와 관련된 온도 상승을 겪도록 허용한다. 본 최선의 방법에 있어서, 6 내지 8℉범위의 수화와 관련된 온도 상승은 87℉를 초과하지 않는 최대 예비 혼합 온도에 도달하는 데 이용된다.
도 3,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제동 베드 시스템에 사용할 수 있는 다공질 콘크리트 블록의 특정 실시예를 나타낸다. 도 3의 블록은 원하는 CGS를 갖는 다공질 콘크리트의 상부(100)와 특히 블록 운송 및 설치도중 증가된 강도를 부여하기 위해 보다 강한 다공질 콘크리트 또는 다른 재료의 얇은 하층(102)을 포함하는 복합 블록이다. 도 4는 적합한 섬유, 금속 또는 다른 재료의 강화 격자 형태로 도시된 하부 보강 부재내에 포함하는 다공질 콘크리트(104) 블록을 나타낸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는 와이어, 로드 또는 적절한 재료의 다른 구성이 이용될 수 있다. 도 5는 다른 재료의 조각 또는 물체를 블록내에 포함하는 다공질 콘크리트 블록(108)을 나타낸다. 다소 이상적인 형태로 나타낸 것과같이, 이와 같은 재료는 하나이상의 규칙 또는 불규칙적인 압축 재료편, 유리 또는 세라믹 구체, 선택된 재료 및 형상의 중공 물품, 또는 다른 적합한 편(piece)을 포함해도 된다. 차량 제동 블록에 포함되도록 하기 위해, 이들 블록의 형상은 물품을 주조 형틀에 또는 습윤한 다공질 콘크리트에 배치함으로써 제조된다. 블록에 부가되는 물품 또는 재료는 지면에 인하는 블록의 저부근방에 위치되거나(도 3 및 도 4) 전체에 걸쳐 분포되는(도 5)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이와 같은 물품 또는 재료는 판정 CGS 또는 양자를 고려하면, 차량 또는 다른 물체를 감속함에 있어 적은 역효과를 가질 것이다.
종래 기술은 예를 들면 폼 재료로 구성된 비행기 제동 베드의 잠재적인 이점을 인정하고 있지만, 다공질 콘크리트의 적합한 형성물은 이용할 수 없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다공질 콘크리트는 경량 및 적어도 재료 파괴전의 최소 강도 또는 붕괴를 요구하는 다양한 용도에 이용가능하지만, 강도의 균일한 특성 및 협소한 예측 범위내의 압축 파손 강도 및 두께 범위에 걸친 연속성은 필요로 되지도 달성가능하지도 않다.
본 발명에 따르면, 물체를 파괴시키지 않고 이동하는 물체의 운동을 정지시키는 데 유효한 압축 구배 강도에 특징이 있는 제동 재료 구역을 형성하는 방법은,
(a) 고전단 혼합을 유도하기 위해 높은 힘을 갖는 스트림에 슬러리를 투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시멘트와 물의 슬러리를 형성하는 단계와,
(b) 89℉의 최종 슬러리 온도를 초과하지 않고, 5 내지 12℉ 범위의 수화와 관련된 온도 상승을 슬러리가 받도록 허용하는 단계와,
(c) 2.2 내지 2.6pcf 범위의 밀도를 가진 발포제와 물로부터 폼을 제조하는 단계와,
(d) 다공질 콘크리트를 제공하기 위해 슬러리와 폼을 혼합하는 단계와,
(e) 원하는 구역의 3차원 형상을 나타내는 형틀에 이와 같은 다공질 콘크리트의 일부를 배치하는 단계와,
(f) 자력 지지 3차원 형상으로 및 12 내지 22 pcf 범위의 건조 밀도를 갖는 제동 재료 구역을 제공하기 위해 제어된 증발 조건하에서 다공질 콘크리트를 경화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결과가 달성된 베이스위에 미세 조정될 수 있는 관련 인자를 조정함으로써, 다공질 콘크리트 제동 블록과 다른 형상의 감속 블록은 비행기 제동 베드 시스템 및 다른 용도에 적합한 압축 구배 강도 및 균일성을 가지도록 제공될 수 있다. 통상적으로, 40 내지 140 psi 범위의 압축 구배 강도는 이와 같은 목적을 위해 적당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10 내지 25pcf범위의 건조 밀도를 가지도록 제조된 다공질 콘크리트가 이와 같은 목적에 적합한 것으로 결정되었다.
"압축 구배 강도" 즉 "CGS"의 정의
용어"압축 강도"(CGS가 아님)는 통상적으로 표준 시료의 표면에 수직인 벡터에 인가될 때, 시료에 파손을 야기하는 힘의 양(통상적으로 파운드/ 입방 인치로 측정됨)을 의미하는 것이다. 대부분의 종래의 시험 방법은 시험 장치, 시료 채취과정, 시험 표본 요건(사이즈, 성형 및 경화 요건), 적재 및 기록 유지 요건의 비율을 조건으로서 지정한다. 일예로서는 ASTM C495-86"Standard Method for Compressive Strength of Lightweight Insulating Concrete"이 있다. 이와 같은 종래의 시험 방법은 예상되는 부하 조건(즉 적어도 최소 강도를 가짐)하에서 구조적 영구성을 유지하기 위해 필요로 되는 구조를 설계할 때 유용하지만, 제동 베드 시스템의 목적은 예측가능한 소정 방식으로 파손되도록 하는 것에 있으므로, 차량이 다공질 콘크리트(즉 특정 압축 구배 강도)를 변형시키기 때문에 제어되고 예측가능한 저항력을 제공한다. 따라서, 이와 같은 시험은 압축 파손도중의 강도가 아닌 파손 지점까지의 강도를 판정하는 데 주안점을 두고 있다. 보다 단순히 말하면, 많은 힘은 다공질 콘크리트 재료의 표본을 산산이 부순다는 것을 아는 것으로는 제동 또는 감속량이 제동 베드 시스템을 통해 이동하는 차량에 의해 경험되는 중요한 질문에 대해 답하지 못한다. 종래 기술에서와 같은 "일회"분열 강도에 비해, 본 목적을 위해 시험은 표본의 일부가 그 원래 두께의 약 20퍼센트까지 연속적으로 압축되기 때문에 연속 압축 파손을 평가해야 한다. 본 목적을 위해 알 수 있는 것과 같이, 이와 같은 연속 시험에 적합한 장비 및 방법은 일반적으로 이전에는 이용할 수 없었다.
재료 및 다공질 콘크리트의 처리 및 크기 및 시험용 제동 베드의 구축 비용등이 이용가능한 넓은 범위의 변수 때문에, 소정 방법으로 처리되고 경화될 특히 다양한 다공질 콘크리트의 저향력의 양을 예측하기 위해 이용가능한 정확한 시험 정보는 제동 베드 시스템에 사용될 때 제공되어야 한다. 단순한 1회"압축 강도"대신에, 시료의 연속 압축 파손도중 일어나는 저항력의 측정시 얻어진 데이터를 모으기 위한 새로운 시험 방법론을 발전시킴으로써, 신규의 시험 방법 및 장치가 신뢰성 있는 시험 및 적합한 다공질 콘크리트 재료 및 처리 변수의 확인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발전되어 왔다.
그 결과, 다공질 콘크리트를 그 원래 두께의 20퍼센트로 파쇄하는 데 필요한 압축력은 침투 깊이와 함께 변하는 것으로 판명되었다. 본 발명자가 "압축 구배 강도" 또는 " CGS"라고 말하는 이러한 특징은 비행기의 속도를 안전하게 떨어뜨리기 위한 공지의 감속 특징을 가진 다공질 콘크리트 차량 제동 베드를 구성하기 위해 정확하게 명기되어야 한다. 따라서, 다공질 콘크리트 시료의 압축 강도는 시료를 파열시키는 힘을 인가함으로써가 아닌 특정 압축 접촉면을 가진 시험 탐침 헤드가 다공질 콘크리트의 체적을 통해 이동될 때 발생된 저항력에 대한 정보를 연속적으로 보고하는 침투 형태 시험 방법은 제동 베드 응용에 다공질 콘크리트를 공식으르나타내고 사용하는 데 필요한 데이터를 얻는 열쇠이다. 이렇게 측정될 때, CGS는 종래의 시험에서와 같이 단순한 단일의 파쇄치보다 기울기 값(예를 들면 60/80 CGS)을 생기게 하는 침투 깊이를 갖는 범위에 걸쳐 변화할 것이다.
본 목적을 위해, 용어 "압축 구배 강도"(또는 "CGS")는 표면으로부터 연속하여 통상 다공질 구역 두께의 66퍼센트의 내부 침투 깊이까지 연속하는 다공질 콘크리트 구역의 압축 강도를 말하는 것으로 사용된다. 정의된 것과 같이, CGS SMS 표준 ASTM시험 방법에 의해 판정되는 것과 같은 압축 강도에 대응하지 않는다.
시험에 의해 구해진, 도 1의 구역(52)으로부터의 블록을 나타낸 다공질 콘크리트 시료의 CGS특성을 도시한다. 도 7에 있어서, 아래쪽 눈금은 시료 두께 또는 높이의 1/10로 표현된 시험 탐침 침투의 백분율을 나타낸다. 수직 눈금은 psi(pound per square inch)로 표현된 시험 탐침 압축력을 나타낸다. 관심이 있는 시험 데이터는 통상적으로 시료 두께의 1 내지 66퍼센트의 침투 범위내에 있다. 이 범위 밖의 데이터는 약 70퍼센트 침투 밖에서 일어나는 부숴진 재료의 강화 효과에 의해 다수 신뢰성이 떨어진다.
도 7에 도시된 것과 같이, 다공질 콘크리트의 파손 강도는 침투 깊이에 따라 증가하는 압축력에 대한 저항력의 기울기를 나타낸다. 도 7의 점 A와 B를 지나는 선은 일반화된 60/80 CGS, 즉 10 내지 66퍼센트 침투 범위에 걸치 대략 60 psi 로부터 대략 80psi까지 변화는 압축 강도를 특징으로 하는 CGS를 나타낸다. 따라서 이러한 범위에 대한 평균은 통상적으로 중간점 C에서 70psi와 같다. 선 D와 E는 품질 제어 한계를 나타내고 선 F는 특정 시험 시료의 다공질 콘크리트에 대해 기록된 것과 같은 실제 시험 데이터를 나타낸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 10 내지 66퍼센트 침투 범위에 걸친 시험 데이터가 품질 제어 한계선 D와 E내에 있는 시험 시료는 허용가능한 허용오차내에서 제조된 제동 블록을 나타낸다. 도 8은 선택된 침투 깊이(예를 들면 10 내지 66퍼센트 침투 범위)에 대해 평균했을 때, 통상적으로 90psi와 같은 80/100CGS를 갖는 CGS특성의 감속 블록의 유사한 도면이다. 본 목적을 위해, "공칭" 또는 "공칭적으로"는 상기한 값 또는 관계의 ±15퍼센트내에 있는 값 또는 관계를 말하는 것으로 정의된다. CGS측정에 적합한 시험 방법 및 장치는 본 명세서에 참조되었으며, 공통 양수인을 가지며, 본 출원과 동시에 출원된 미국 출원 번호 제08/796,968호에 개시되어 있다.
도 1a, 도 1b 및 도 1c의 제동 베드
도 1(도 1a, 도 1b 및 도 1c를 모두 포함함)을 참조하면, 상기한 것과 같은 제동 유니트를 이용하는 차량 제동 베드 시스템의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기본적으로 도 1의 시스템은 비행장 활주로 끝에 설치하기 위해, 2개의 상이한 압축 구배 강도와 다양한 다른 두께를 가진 다공질 콘크리트의 예비성형(pre-cast) 블록으로 구성된다. 시스템을 지지하는 지표밑(50)은 통상적으로 비교적 평탄하고, 완만하고 같은 높이이고(땅위로 물을 흐르게 할 수 있는 조건에 적합한 경사를 가져야 함), 활주로를 벗어나는 비행기를 지지할 수 능력이 있어야 한다. 지표밑(50)은 양호한 조건 및 제동 베드 시스템의 배치 및 접착을 충족시킬 수 있을 만큼 깨끗해야 한다. 종방향의 상세를 보이기 위해, 도 1b 및 도 1c의 수직 치수는 도 1a의 치수에 비해 확대되어 있다(예를 들면 도 1a의 베드 폭은 통상 150피트이고, 반면 도 1b 및 도 1c의 베드 최대 두께는 통상적으로 30인치이다). 또한 소정 치수, 예를 들면 블록 크기는 설명을 명확히 하기 위해 왜곡되어 있다(즉, 실질적으로 통상의 제동 베드에 포함되는 수천개의 블록을 보이기 위한 것이다).
도시된 것과 같이, 도 1의 차량 제동 베드 시스템은 제 1 CGS와 제 1 건조 밀도를 가진 블록 조립체를 포함하는 제 1 구역(52)과 제 2 CGS와 제 2 건조 밀도를 갖는 블록 조립체를 포함하는 제 2 구역(54)을 포함한다. 도 1b의 측단면도에 도시된 것과 같이, 구역(52, 54)은 부분적으로 중첩(구역 52/54임)하며, 검은 선은 구역(52)의 어떤 블록이 과도 영역에서 구역(54)의 블록위에 놓이는 접합부를 나타낸다. 특정 실시예에 있어서, 구역(52/54)의 블록은 실질적으로 복합 블록(예를 들면 제 1 CGS를 갖는 52부분과 제 2 CGS를 갖는 54부분을 구획하는 단일 블록)이어도 된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상이한 CGS의 별도의 블록이 구역(52/54)에 대해 적층되어도 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도 1에 도시된 형태의 차량 제동 베드 시스템은 13 내지 18.5파운드/입방 피트(pcf) 범위의 제 1 건조 밀도를 갖는 다공질 콘크리트의 적어도 제 1 횡열의 블록(즉 열 52a)을 구비한다. 제 1 열(52a)의 각 블록은 제 1 높이를 가지며 압축된 높이(즉 통상 최초 두께의 약 80퍼센트)로 수직으로 압축가능하도록 제조된다. 이들 블록은 도 7에 나타낸 것과 같은 60/80 CGS특성을 나타내도록 제조된다. 도 1a 및 도 1b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 1 구역(52)은 열(52b) 내지 열(52n)로 도시되고, 열(52a)의 블록에서와 같은 동일한 기본 특성을 가지지만, 일부는 증가하는 높이 차만큼 모든 열이 상이한 다공질 콘크리트로 형성되는 복수의 추가적인 횡열을 포함한다. 또한, 중첩 구역(52/54)을 참조하여 기재된 것과 같이, 블록의 소정 열, 예를 들면 열(52n)은 복합 블록 또는 적층된 블록 기초위에서 열(54d)이 블록을 덮는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 두께에 있어서 연속 3/4인치 변화는 구역(52)에 이용되어 점진적으로 증가하는 차량 제동 능력을 생기게 하는 경사진 특성을 제공한다. 두께에 있어서 대응하는 3인치 변화는 이러한 특별한 설계에서 구역(54)에 이용된다.
또한 도시된 형태의 제동 베드 시스템은 구역(52)에서의 블록과 같은 동일 범위에서 보다 높은 레벨에 있는 제 2 건조 밀도를 갖는 다공질 콘크리트 블록의 적어도 하나의 횡열(54g)을 포함한다. 도시된 것과 같이, 횡열(54g)은 제 1 횡열(52a)과 평행하고 이 횡열의 후방에 위치된다. 열(54g) 다음에는 또한 증가하는 보다 큰 높이의 횡열(54h)이 있다. 구역(54)의 블록은 제 2 압축 구배 강도하에서 수직으로 압축가능하도록 제조되고, 구역(52) 블록의 CGS를 초과하도록 일반적으로 특정지어져 있다. 이들 블록은 도 8에 나타낸 것과 같은 80/100CGS와 16 내지 21.5pcf 범위의 건조 밀도를 나타내도록 제조된다. 도시된 실시예에 있어서, 구역(54)이 구역(52)밖의 제동 베드 구역(54)의 전체 높이에 도달할 때까지 블록(54a)의 제 1 열은 단지 단일 경로 또는 제 2 CGS의 층을 포함한다. 이 때 구역(54)의 연속하는 열은 최후열(54n)까지 연속하는 동일 두께의 열로 이루어진 후방 수평부분의 전체 높이에 도달하기 전에 3인치 증분만큼 두께가 증가한다. 예를 들면 열(54n)과 같은 증가된 높이의 열은 조립, 취급 및 현장 운송을 고려하여, 감소된 두께의 2 또는 3의 포개놓여진 블록 또는 단일의 상대적으로 두꺼운 블록으로 형성된다.
도시된 것과 같이, 도 1의 시스템은 또한 제 1 횡열(52a)의 차량 입구 전방측을 가로질러 위치된 경사진 입구 램프(56)를 포함한다. 아스팔트 혼합물 또는 다른 영구 형태의 재료로 형성되는 이 램프는 열(52a)의 블록에 인접한 높이까지 경사지고, 이 높이는 통상적으로 열(52a) 블록의 압축 높이보다 크다. 특정 실시예에 있어서, 3인치 램프 높이는 1.8인치의 측정된 최대 압축 높이를 갖는 9인치 블록에 인접하여 사용된다. 따라서 램프(56)는 일반적인 활주로 수평면위에서 비행기를 점진적으로 상승시키는 데 유효하므로, 비행기는 휠이 램프(56)를 벗어나 열(52a)의 블록을 압축하기 시작할 때 상대적으로 완만한 토대위에서 제동 베드로 들어갈 수 있다. 도한 도 1의 시스템에는 하드코트 층(62)이 구역(52)과 구역(54) 모두의 블록을 덮는, 다공질 콘크리트 재료가 비교적 얇은 보호 층 형태로 포함된다(도 1a에 베드의 최상측 경계로 나타냄).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하드코트 층(62)은 보다 높은 건조 밀도(예를 들면 제동 베드위를 걷는 사람을 지지할 수 있을 만큼 충분한)를 갖는 다공질 콘크리트의 비교적 얇은 층으로 이루어지고 내후성 페인트 또는 유사한 도료로 덮힌다. 층(62)은 구역(52, 54)의 모든 블록이 지지면(50)에 위치되어 적당히 부착된 후 제동 베드위에 도포된다.
도시된 것과 같이, 제동 베드 시스템은 또한 부스러기 차폐물(58)과 수리 차량 진입 램프(60)와 관련이 있다. 차폐물(58)은 제트 배출물 등에 의해 날린 입자를 편향시키기에 적당하고 비행기 타이어로 용이하게 산출될 수 있을 만큼 깨지기 쉽고 상대적으로 가벼운 중량의 알루미늄으로 형성된다. 램프(60)는 비행기 화재 또는 구난 차량이 제동 베드의 경계내에서 정지하게 되는 비행기 승객에게 도움을 주기 위해 제동 베드위로 달려갈 수 있도록 조화되어 구성된다. 램프(60)는 적당한 강도의 다공질 콘크리트 또는 다른 적합한 재료로 구성될 수 있다.
각종 비행기 형태의 제동 주행에 적합한 통상적인 제동 베드 설치에 있어서, 구역(52)의 블록은 통상적으로 8인치로부터 24인치까지 3/4인치 증분으로 변화하는 두께를 가지며, 상기한 것과 같이 침투 깊이에 대해 평균하여 70psi의 60/80 CGS를 제공한다. 이에 상응하여 구역(70)의 블록은 24인치로부터 30인치까지의 3인치 증분으로 변화하는 두께를 가지며, 침투 깊이에 대해 평균 90psi의 80/100CGS를 제공한다. 블록의 조립에 있어서, 구역(52)의 블록은 약 14 내지 23pcf 범위의 하부를 향해 습윤 밀도를 가진 다공질 콘크리트로부터 형성되고, 구역(54)의 블록은 이와 같은 범위의 상부를 향하는 습윤 밀도를 갖는 다공질 콘크리트로 조립된다. 이에 대응하여 구역(52/54)의 복합 블록은 일부는 60/80CGS 재료로, 일부는 80/100CGS재료로 구성된다. 전체 구역(52, 54)은 각각 총길이 400피트, 폭 150피트, 전방 단부 및 후방 단부 두께 9인치와 30인치를 가진다. 본 발명을 완성하기 위해 달성된 특성은 인식된 현장의 특정 성능 목적에 부합하도록 하기 위해 명기되고 조립된 것과 같은 재료의 특성 및 제동 시스템 설계에 의존한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임의 특정목적 실행을 위한 재료 또는 시스템과 관련된 인자는 본 발명의 목적 범위 밖에 있고 특정 값은 가능한 인자 크기의 일반적인 예로서만 논의된다.
다공질 콘크리트 제동 베드 시스템의 특성은 그 구성이 본질적으로 상당이 시간이 많이 걸리고 고가라는 것이다. 그러므로, 이 시스템을 설계하기 위해 사용되는 방법 및 정보는 실제 사용 조건과의 관련성 및 성능을 예측할 수 있을 만큼의 신뢰성이 있는 것이 중요하다. 본 발명은 비행기 제동 베드 시스템 및 자동차 도로 및 경주로 응용, 뿐만 아니라 각종의 다른 물체의 감속을 위해 적합한 감속 블록의 다른 형태 및 응용에 사용하기 적합한 차량 제동 블록의 제조를 가능하게 한다.
이상 본 발명의 현재 최선이라고 생각되는 실시예에 대해 기술하였으나, 이 기술분야에서 숙련된 사람은 다른 변경 및 또다른 변경이 본 발명을 이탈하지 않고 행해질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내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예 및 변형예를 청구하고자 하는 것임을 인식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28)

  1. 차량 휠의 한정된 감속을 효과적으로 제공하기 위해 침투 깊이에 대한 압축 구배 강도와 두께의 조합물을 갖는 다공질 콘크리트의 3차원 블록을 포함하고, 상기 블록은 12 내지 22pcf 범위의 건조 밀도를 갖는 다공질 콘크리트를 포함하는 차량 제동 유니트.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3차원 블록은:
    물과 시멘트 슬러리와,
    물과 발포제로 제조되는 폼과,
    경화 기간중 상기 슬러리와 상기 폼 혼합물의 증발을 제어할 수 있는 3차원 지지체를 제공하기 위해 배열된 경화 형틀을 구비하는 조합물로 형성되는 차량 제동 유니트.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3차원 블록은 상기 블록의 침투 깊이에 대해 평균하였을 때 70psi와 동일한 60/80압축 구배 강도를 갖는 차량 제동 유니트.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3차원 블록은 상기 블록의 침투 깊이에 대해 평균하였을 때 90psi와 동일한 80/100압축 구배 강도를 갖는 차량 제동 유니트.
  5. 제 1 항, 제 2 항, 제 3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3차원 블록은 상기 폼과 혼합하기 전에, 5 내지 12℉ 범위의 수화와 관련된 온도 상승이 있는 슬러리를 사용하여 형성되는 차량 제동 유니트.
  6. 제 1 항, 제 2 항, 제 3 항,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3차원 블록은 상기 폼과 혼합하기 전에, 6 내지 8℉ 범위의 수화와 관련된 온도 상승이 있는 슬러리를 사용하여 형성되는 차량 제동 유니트.
  7. 제 1 항 내지 제 6 항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3차원 블록은 상기 폼과 혼합하기 전에 87℉를 초과하지 않는 온도에 도달하도록 수화와 관련된 온도 상승이 있는 슬러리를 사용하여 형성되는 차량 제동 유니트.
  8. 제 1 항 내지 제 7 항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3차원 블록은 상기 폼과 혼합하기 전에 전단력을 발생하도록 스트림에 투입되는 슬러리를 사용하여 형성되는 차량 제동 유니트.
  9. 물체를 반발력이 없이 한정된 속도로 감속하기 위해 조립된 감속 블록을 포함하고, 상기 감속 블록은 다공질 콘크리트를 포함하고, 상기 물체의 최대 감속을 효과적으로 한정하기 위해 12 내지 22 pcf 범위의 건조 밀도와 강도를 가진 제동 유니트.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감속 블록은:
    물과 시멘트의 슬러리와,
    물과 발포제로 제조되는 폼과,
    경화 기간중 상기 슬러리와 상기 폼 혼합물의 증발을 제어할 수 있는 3차원 지지체를 제공하기 위해 배열된 경화 형틀을 구비하는 조합물로 형성되는 제동 유니트.
  11. 제 9 항 또는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감속 블록은 블록 두께의 10 내지 60 퍼센트 깊이에 대해 미리 정해진 압축 구배 강도를 가지는 제동 유니트.
  12. 제 9 항 또는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감속 블록은 제 1 압축 구배 강도를 갖는 다공질 콘크리트의 제 1 층과 보다 높은 압축 구배 강도를 갖는 다공질 콘크리트의 제 2 층을 구비하는 제동 유니트.
  13. 제 9 항, 제 10 항, 제 11 항 또는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감속 블록은 89℉의 최종 온도를 초과하지 않고 5 내지 12℉ 범위의 수화와 관련된 온도 상승이 있는 슬러리를 사용하여 형성되는 제동 유니트.
  14. 제 9 항, 제 10 항, 제 11 항, 제 12 항 또는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감속 블록은 상기 폼과 혼합하기 전에 전단력을 발생하도록 스트림에 투입되는 슬러리를 사용하여 형성되는 제동 유니트.
  15. 제 9 항, 제 10 항, 제 11 항, 제 12 항, 제 13 항 또는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블록은 상기 블록의 취급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2개 이상의 횡방향 슬롯을 부가로 구비하는 제동 유니트.
  16. 제 9 항, 제 10 항, 제 11 항, 제 12 항, 제 13 항, 제 14 항 또는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제동 유니트는 상기 블록에 포함된 다공질 콘크리트외에 부숴지기 쉬운 재료편을 부가로 포함하는 제동 유니트.
  17. 제 9 항, 제 10 항, 제 11 항, 제 12 항, 제 13 항, 제 14 항, 제 15 항 또는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제동 유니트는 상기 블록의 구조적 안정성을 증가시키기 위해 보다 높은 강도의 재료층을 부가로 포함하는 제동 유니트.
  18. 제 9 항, 제 10 항, 제 11 항, 제 12 항, 제 13 항, 제 14 항, 제 15 항 또는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제동 유니트는 상기 블록에 포함된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의 보강 부재를 부가로 포함하는 제동 유니트.
  19. 이동하는 물체를 효과적으로 한정된 속도로 감속시킬 수 있는 압축 구배 강도를 갖는 제동 재료 구역 형성 방법에 있어서,
    (a) 시멘트와 물의 슬러리를 형성하고,
    (b) 89℉를 초과하지 않는 슬러리 온도에 도달하도록, 5 내지 12℉ 범위의 수화와 관련된 온도 상승이 있도록 허용하는 단계와,
    (c) 물과 발포제로부터 폼을 제조하는 단계와,
    (d) 상기 슬러리와 상기 폼을 혼합하여 다공질 콘크리트를 제공하는 단계와,
    (e) 상기 다공질 콘크리트의 일부를 상기 부채꼴을 나타내는 형틀에 배치하는 단계와,
    (f) 이동하는 물체를 감속하는 데 적합한 자력 지지 3차원 형상으로 제동 재료의 상기 구역을 제공하기 위해 제어된 증발 조건하에서 상기 다공질 콘크리트를 경화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동 재료 구역 형성 방법.
  20. 제 19 항에 있어서, 단계(a)는 고전단 혼합을 유도하기 위해 상기 슬러리를 스트림에 투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동 재료 구역 형성 방법.
  21. 제 19 항 또는 제 20 항에 있어서, 단계(a)에 있어서 상기 슬러리는 0.5:1 내지 0.6:1의 범위에서 물과 시멘트로부터 형성되는 제동 재료 구역 형성 방법.
  22. 제 19 항, 제 20 항 또는 제 21 항에 있어서, 단계(b)에 있어서 상기 슬러리는 6 내지 8℉ 범위의 수화와 관련된 온도 상승이 있는 제동 재료 구역 형성 방법.
  23. 제 19 항, 제 20 항, 제 21 항 또는 제 22 항에 있어서, 단계(d)에서 상기 다공질 콘크리트는 14 내지 23pcf 범위의 습윤 밀도를 가지는 제동 재료 구역 형성 방법.
  24. 제 19 항, 제 20 항, 제 21 항, 제 22 항 또는 제 23 항에 있어서, 단계(f)에서 상기 다공질 콘크리트는 경화되었을 때 12 내지 22pcf의 건조 밀도를 가지는 제동 재료 구역 형성 방법.
  25. 이동하는 물체를 한정된 속도로 감속시키기 위해 사용가능한 감속 블록 형성 방법에 있어서,
    (a) 시멘트와 물의 슬러리를 형성하는 단계와,
    (b) 물과 발포제로부터 폼을 제조하는 단계와,
    (c) 상기 슬러리와 상기 폼을 혼합하여 다공질 콘크리트를 제공하는 단계와,
    (d) 이동하는 물체를 감속시키는 데 사용하기 적합한 형상 및 크기로 상기 감속 블록을 제공하는 데 적합한 형틀로 상기 다공질 콘크리트의 일부를 배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감속 블록 형성 방법.
  26. 제 25 항에 있어서, 다공질 콘크리트외의 부숴지기 쉬운 재료편을 상기 형틀내에 포함시키는 단계를 부가로 포함하는 감속 블록 형성 방법.
  27. 제 25 항 또는 제 26 항에 있어서, 경화후 상기 다공질 콘크리트가 가지는 강도보다 높은 강도의 재료층을 상기 형틀내에 포함시키는 단계를 부가로 포함하는 감속 블록 형성 방법.
  28. 제 25 항, 제 26 항 또는 제 27 항에 있어서, 하나 또는 하나이상의 보강부재를 상기 형틀내에 포함시키는 단계를 부가로 포함하는 감속 블록 형성 방법.
KR1019980707963A 1997-02-07 1998-02-06 차량제동유니트및그제조방법 KR10057457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08/796,969 1997-02-07
US08/796,969 US5902068A (en) 1997-02-07 1997-02-07 Vehicle arresting unit fabrication methods
US8/796,969 1997-02-07
PCT/US1998/002325 WO1998035098A1 (en) 1997-02-07 1998-02-06 Vehicle arresting units and fabrication method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64864A true KR20000064864A (ko) 2000-11-06
KR100574571B1 KR100574571B1 (ko) 2006-10-04

Family

ID=251695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707963A KR100574571B1 (ko) 1997-02-07 1998-02-06 차량제동유니트및그제조방법

Country Status (13)

Country Link
US (1) US5902068A (ko)
EP (1) EP0900302B1 (ko)
JP (1) JP3929077B2 (ko)
KR (1) KR100574571B1 (ko)
AT (1) ATE293187T1 (ko)
AU (1) AU741158B2 (ko)
CA (1) CA2250807C (ko)
DE (1) DE69829714T2 (ko)
ES (1) ES2241118T3 (ko)
NO (1) NO320925B1 (ko)
NZ (1) NZ332541A (ko)
TR (1) TR199802009T1 (ko)
WO (1) WO199803509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2103115A2 (en) 2000-11-30 2002-12-27 Avturf L.L.C. Artificial turf for an airport filed
US6826498B2 (en) * 2001-03-21 2004-11-30 Atser, Inc. Computerized laboratory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US6685387B2 (en) * 2001-09-13 2004-02-03 Engineered Arresting Systems Corporation Jet blast resistant vehicle arresting blocks, beds and methods
US8021074B2 (en) 2001-09-13 2011-09-20 Engineered Arresting Systems Corporation Capped and/or beveled jet blast resistant vehicle arresting units, bed and methods
US7527128B2 (en) * 2002-05-17 2009-05-05 Apm Terminals North America, Inc. Pinless wheel bumper block
US7371029B2 (en) * 2004-07-21 2008-05-13 Rock Twelve, Llc Vehicle barrier system
US7128496B2 (en) * 2004-07-21 2006-10-31 Rock Twelve, Llc Vehicle barrier system
US7396184B2 (en) * 2004-09-15 2008-07-08 Energy Absorption Systems, Inc. Crash cushion
EP1943388B1 (en) * 2005-10-03 2015-04-22 Engineered Arresting Systems Corporation Vehicle incursion inhibitors
US10435177B2 (en) 2006-02-17 2019-10-08 Earthstone International Llc Foamed glass composite arrestor beds having predetermined failure modes
US9637246B2 (en) 2006-02-17 2017-05-02 Earthstone International Llc Foamed glass composite arrestor beds and methods for making and using the same
US9382671B2 (en) 2006-02-17 2016-07-05 Andrew Ungerleider Foamed glass composite material and a method for using the same
US9376344B2 (en) 2006-02-17 2016-06-28 Earthstone International, Llc Foamed glass ceramic composite materials and a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US7744303B2 (en) * 2006-02-21 2010-06-29 Omnitek Partners Llc Collapsible concrete systems for runways
US8021075B2 (en) 2007-04-06 2011-09-20 Engineered Arresting Systems Corporation Capped and/or beveled jet blast resistant vehicle arresting units, bed and methods
DE202007005678U1 (de) * 2007-04-19 2008-05-29 Moosdorf, Heidi Plattenelement zur Bodenbefestigung von Reitplätzen
CN101480970B (zh) 2008-01-07 2013-03-27 能量吸收系统公司 碰撞衰减器
US7950870B1 (en) * 2008-03-28 2011-05-31 Energy Absorption Systems, Inc. Energy absorbing vehicle barrier
BRPI0919082A2 (pt) * 2008-09-25 2015-12-15 Engineered Arresting Sys Corp dispositivos e métodos de teste de resistência no campo para sistemas de detenção com material projetado instalado.
US8544715B2 (en) * 2009-01-06 2013-10-01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Repairing a friction stir welded assembly
IT1397955B1 (it) * 2009-12-23 2013-02-04 Capuano Dispositivo a decelerazione progressiva per aree di sicurezza e fuori pista.
GB2476944B (en) * 2010-01-13 2012-04-11 Norsk Glassgjenvinning As Vehicle arresting bed
KR101003986B1 (ko) 2010-04-19 2010-12-31 한국교통연구원 저강도 및 저밀도의 방수 펄라이트 콘크리트, 이를 이용한 항공기 과주방지 포장재 및 그 제조방법
US9802717B2 (en) * 2012-09-06 2017-10-31 Engineered Arresting Systems Corporation Stabilized aggregates and other materials and structures for energy absorption
EP3154860B1 (en) 2014-06-11 2021-06-30 Earthstone International, LLC Method of slowing an aircraft overrunning a runway, method of making an arresting system for airports and a runway safety area
CA2985374C (en) * 2015-05-18 2020-07-28 Engineered Arresting Systems Corporation Suspended layered energy absorbing material for vehicle arresting systems
ES2688054T3 (es) * 2015-12-07 2018-10-30 Airbus Defence and Space GmbH Dispositivo de aterrizaje para el aterrizaje de un avión cargado en el sentido de la envergadura
CN105503107B (zh) * 2015-12-10 2017-11-10 朱晓燕 一种石灰质飞机越界捕获材料及其制备工艺
WO2018158756A1 (en) * 2017-03-03 2018-09-07 Run Way Safe Ipr Ab Engineered material arresting system and methods for forming same
CN112924656B (zh) * 2021-03-17 2022-11-18 哈尔滨工业大学 一种可调温调压的泡沫轻质土气泡衰减测试装置及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78825A (en) * 1888-02-28 Paving-tile
DE1100064B (de) * 1957-02-11 1961-02-23 Erich O Riedel Bremsstrecke zum Abbremsen von Land- und Luftfahrzeugen auf Rollbahnen
US3066896A (en) * 1959-04-27 1962-12-04 Air Logistics Corp Method and means for decelerating aircraft on runways
GB1092255A (en) * 1964-11-10 1967-11-22 Pyrene Co Ltd Safety devices on runways
GB1122297A (en) * 1966-04-18 1968-08-07 John Fleetwood Baker Improvements in arrester pads for aircraft runways
GB1169415A (en) * 1967-05-22 1969-11-05 Mini Of Technology Arresting Means for Vehicles.
GB1282103A (en) * 1968-10-07 1972-07-19 British Industrial Plastics Vehicle decelerating means
US3967704A (en) * 1968-10-07 1976-07-06 British Industrial Plastics Limited Vehicle decelerating means
US3867159A (en) * 1970-10-22 1975-02-18 Stanley Works Foamed concrete structures
US4021258A (en) * 1972-09-25 1977-05-03 Teijin Limited Concrete structure and method of preparing same
GB1449824A (en) * 1973-03-23 1976-09-15 British Ind Plastics Ld Vehicle retardation
US3969851A (en) * 1975-07-11 1976-07-20 Structural Stoneware Incorporated Architectural paving system with individual control joint paving
US4168924A (en) * 1977-07-28 1979-09-25 Phillips Petroleum Company Plastic reinforcement of concrete
US4504320A (en) * 1983-09-26 1985-03-12 Research One Limited Partnership Light-weight cementitious product
JPH0223603Y2 (ko) * 1984-12-24 1990-06-27
US5241993A (en) * 1989-12-06 1993-09-07 Stephens Patrick J Method for grouting cavities using a pumpable cement grout
US5063967A (en) * 1989-12-06 1991-11-12 Stephens Patrick J Pumpable cement grout
US5154837A (en) * 1990-12-03 1992-10-13 Jones A Alan Flexible form
US5419632A (en) * 1991-04-02 1995-05-30 Stephens; Patrick J.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inuous mixing and injection of foamed cement grout
US5141363A (en) * 1991-04-02 1992-08-25 Stephens Patrick J Mobile train for backfilling tunnel liners with cement grout
US5193764A (en) * 1991-10-01 1993-03-16 Manville Corporation Aircraft arresting system
JPH0618409U (ja) * 1992-08-13 1994-03-11 松下電工株式会社 舗装床材の取り付け構造
JPH06146307A (ja) * 1992-11-11 1994-05-27 Jio Syst:Kk 建設構造物の施工方法
US5789681A (en) * 1997-02-07 1998-08-04 Datron Inc. Arresting material test apparatus and method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TE293187T1 (de) 2005-04-15
EP0900302A2 (en) 1999-03-10
CA2250807A1 (en) 1998-08-13
WO1998035098A1 (en) 1998-08-13
EP0900302B1 (en) 2005-04-13
NO984669D0 (no) 1998-10-06
CA2250807C (en) 2006-08-22
TR199802009T1 (xx) 1999-04-21
NO984669L (no) 1998-12-03
JP3929077B2 (ja) 2007-06-13
AU741158B2 (en) 2001-11-22
US5902068A (en) 1999-05-11
KR100574571B1 (ko) 2006-10-04
DE69829714T2 (de) 2006-03-02
NZ332541A (en) 2000-08-25
ES2241118T3 (es) 2005-10-16
JP2000511608A (ja) 2000-09-05
DE69829714D1 (de) 2005-05-19
AU6148398A (en) 1998-08-26
NO320925B1 (no) 2006-02-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74571B1 (ko) 차량제동유니트및그제조방법
KR100575379B1 (ko) 차량 제동층 시스템
US6726400B1 (en) Vehicle arresting bed systems
US3000276A (en) Construction of concrete rafts, roads, aircraft runways and the like
EP3233993B1 (en) Polymeric foam composite for vehicle arresting system
WO1998035098B1 (en) Vehicle arresting units and fabrication methods
EP0901619B1 (en) Arresting material test apparatus and methods
MX2012008127A (es) Lecho de detencion de vehiculo.
NZ503777A (en) Production of cellular concrete (foamcrete) units for use in arresting bed systems designed to decelerate large moving objects, e.g. aircraft
EP4373747A1 (en) Engineered material arresting system
MXPA98008248A (en) Vehicle arresting units and fabrication methods
CA2250544C (en) Vehicle arresting bed systems
MXPA98008247A (en) Vehicle arresting bed systems
NO20210933A1 (en) Engineered Material Arresting System
US20130025505A1 (en) Low-strength and low-density waterproof perlite concrete, an aircraft-arresting paving material using the same, and a production method for the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0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1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19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30

Year of fee payment: 12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