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64089A - 아스팔트 실란트 조성물 - Google Patents

아스팔트 실란트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64089A
KR20000064089A KR1020000048303A KR20000048303A KR20000064089A KR 20000064089 A KR20000064089 A KR 20000064089A KR 1020000048303 A KR1020000048303 A KR 1020000048303A KR 20000048303 A KR20000048303 A KR 20000048303A KR 20000064089 A KR20000064089 A KR 2000006408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sphalt
sealant composition
weight
styrene
par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483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88810B1 (ko
Inventor
문영규
Original Assignee
문영규
화신종합건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문영규, 화신종합건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문영규
Priority to KR10-2000-00483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88810B1/ko
Publication of KR200000640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640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888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88810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95/00Compositions of bituminous materials, e.g. asphalt, tar, pitch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1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characterized by their specific function
    • C08K3/013Fillers, pigments or reinforcing additiv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17/00Compositions of reclaimed rubber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53/00Compositions of block copolymers containing at least one sequence of a polymer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53/02Compositions of block copolymers containing at least one sequence of a polymer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of vinyl-aromatic monomers and conjugated die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61/00Compositions of condensation polymers of aldehydes or ketone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61/04Condensation polymers of aldehydes or ketones with phenols only
    • C08L61/06Condensation polymers of aldehydes or ketones with phenols only of aldehydes with phenol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7/00Coherent pavings made in situ
    • E01C7/08Coherent pavings made in situ made of road-metal and binders
    • E01C7/18Coherent pavings made in situ made of road-metal and binders of road-metal and bituminous binders
    • E01C7/26Coherent pavings made in situ made of road-metal and binders of road-metal and bituminous binders mixed with other materials, e.g. cement, rubber, leather, fibre
    • E01C7/265Coherent pavings made in situ made of road-metal and binders of road-metal and bituminous binders mixed with other materials, e.g. cement, rubber, leather, fibre with rubber or synthetic resin, e.g. with rubber aggregate, with synthetic resin binder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7/00Properties characterising the ingredient of the composition
    • C08L2207/20Recycled plastic
    • C08L2207/24Recycled plastic recycling of old tyres and caoutchouc and addition of caoutchouc partic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91Use of waste materials as fillers for mortars or concret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 Sealing Material Composi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각종 포장도로, 건축물, 교량 및 구조물의 신설 및 보수에 균열 보수제, 줄눈재, 신축이음 밀봉재 또는 봉함재, 각종 채움재, 방수재 및 바인더 등으로 사용되는 아스팔트 실란트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아스팔트 40 내지 70 중량부, 폐타이어 고무분말 0.5 내지 40 중량부, 스티렌-공액디엔 블록 공중합체 2 내지 15 중량부 및 페놀 수지 0.02 내지 10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아스팔트 실란트 조성물은 폐타이어 분말을 이용하므로 친환경적일 뿐만 아니라 연화점, 접착강도, 저온 유연성, 탄성 및 접착성 등의 물성이 매우 우수하며 비교적 저렴한 비용으로 제조할 수 있다.

Description

아스팔트 실란트 조성물 {Asphalt Sealant Composition}
본 발명은 아스팔트 또는 콘크리트 포장도로, 건축물, 교량 및 구조물의 신설 및 보수에 균열 보수제(crack filler), 줄눈재(joint sealant), 신축이음 밀봉재 또는 채움재, 봉함재, 방수 실링재, 바인더, 방수막, 충격 흡수막 및 핫멜트 접착제 등으로 사용되는 아스팔트 실란트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아스팔트는 일반적으로 30 내지 70℃의 고온에서는 점성 거동을 보이고, -20 내지 0℃의 저온에서는 취성 구조를 가지므로 고온 및 저온 영역에서 심한 피로특성을 나타내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예를 들어, 아스팔트를 스티렌-부타디엔-스티렌(SBS) 블록 공중합체로 개질하여 아스팔트의 수명을 향상시키는 방법이 개발되었다.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소57-98559에는 아스팔트 개질용 고무 첨가제로서 방향족계 및/또는 나프텐계 오일(또는 광유) 및 열가소성 고무를 함유한 아스팔트를 개시하고 있다. 광유는 아스팔트에 가소 효과를 부여해 유연성을 주며, 열가소성 고무는 아스팔트 매트릭스내에 3차원 망상구조를 만들어 연화점을 상승시키며 강인성을 부여하나, 압축강도 및 인장강도 등의 기계적 강도와 원상 회복률을 높이기 위해서는 많은 양의 고무를 필요로 하는 단점이 있다.
또한,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소57-139143에는 역청(즉, 아스팔트)물질에 공액디엔 및 비닐방향족 탄화수소로 이루어진 블록 공중합체, 즉 SBS, SIS, SEBS 등과 분자중에 질소와 황원자를 포함하는 안정제 및 여러 가지 다른 안정제, 라디칼 중합방지제를 첨가한 아스팔트 조성물을 개시하고 있다. 또한, 미국 특허 제4,485,201호에는 아스팔트에 폐타이어 고무분말 및 스티렌-부타디엔-스티렌 블록 공중합체(선형 또는 가지형)를 주성분으로 하는 블렌드에 내열성을 주는 산화방지제, 접착성을 높이기 위한 수소화로진계 점착성 부여제(tackifying agent), 가소제 또는 연화제로서 공정유(processing oil)를 첨가하여 149oC에서 204oC 사이에서 혼합한 아스팔트 조성물을 개시하고 있다.
이들 조성물들은 고온에서 응집력과 접착력이 높고 고온 및 저온에서 유연성이 크며 우수한 탄성을 갖고 균열 채움제(crack filler), 콘크리트 조인트 실링재 또는 밀봉재(concrete joint sealer or filler) 및 건축물의 상부 도포 실런트로 사용할 수 있다고 기술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조성물로 제조된 제품은 오일 등의 연화제가 첨가되어 침입도가 높고 흐름성이 커서 줄눈재, 바인더 및 접착제 등에는 사용이 가능하나, 햇빛에 노출되는 건물의 옥상 방수재 및 도로 포장의 균열 보수제 등으로 사용시 하절기에 흐름, 표면 균열 및 소성변형이 일어나는 문제점이 있으며, 도로 보수제로 사용시 하절기에 차량의 바퀴 및 보행자의 신발에 묻어나거나 심하게 밀리는 단점이 있다. 특히, 우리나라의 하절기에 햇빛을 받는 도로 및 옥상의 표면 온도는 재질 및 색상에 따라 다소 차이가 있으나 60oC 이상 올라갈 수 있으므로 이러한 문제점은 더욱 심각하다.
이러한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무기 필러와 같은 증량제와 탄산칼슘, 실리카, 탈크, 석분 및 골재 등의 충진제를 첨가하여 사용되고 있다. 이 경우 경도, 침입도, 연화점 등은 상승하나 신도, 접착 특성은 저하되는 경향을 보인다.
상기 접착특성 저하를 막기 위하여 수소화로진에스터(헤라클레스 사의 포랄 85 또는 펜타린 H) 점착제를 사용하는 방법도 제안되어 있으나, 이 점착제는 가격이 비쌀 뿐만 아니라 높은 접착성을 요구하는 용도에서는 많은 양을 첨가해야 하므로 제조원가가 매우 높아지게 된다. 특히, 가소제의 양이 적거나 거의 없는 경우에는 기재에 대한 접착성이 떨어지므로 저가이면서도 접착성 향상 효과가 뛰어난 점착성 부여제 첨가가 절실히 필요하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고온 및 저온에서의 피로특성과 접착성 등의 물성이 양호할 뿐만 아니라, 저렴한 가격으로 제조할 수 있는 친환경적인 아스팔트 실란트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은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아스팔트 40 내지 70 중량부, 폐타이어 고무분말 0.5 내지 40 중량부, 스티렌-공액디엔 블록 공중합체 2 내지 15 중량부 및 페놀 수지 0.02 내지 10 중량부를 포함하는 아스팔트 실란트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아스팔트 실란트 조성물에 있어서, 페놀 수지로는 레졸 또는 노블락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페놀 수지의 함량은 0.5 내지 3 중량부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아스팔트 실란트 조성물에 있어서, 점착 부여제로서 사용되는 페놀 수지외에 로진, 수소화로진, 변성 로진, 쿠마론-인덴 수지, 쉘락, 코팔, 지방산 및 탄소수가 5 내지 9인 석유수지 등을 1종 이상 더 첨가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아스팔트 실란트 조성물의 침입도 및 저온 신율을 증대시키기 위하여 가소제 또는 연화제를 더 첨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아스팔트 실란트 조성물의 경도 및 연화점을 상승시키기 위하여 무기 충진제를 더 첨가할 수도 있으며, 이 외에 광안정제, 열안정제, 산화방지제, 강화제, 방부제, 착색제, 윤활제 또는 내마모제 등을 첨가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아스팔트 실란트 조성물에 대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아스팔트 실란트 조성물은 아스팔트 40 내지 70 중량부를 포함한다. 아스팔트로는 스트레이트 아스팔트, 컷백 아스팔트, 구스 아스팔트, 블로운 아스팔트, 유화 아스발트, 피지(PG) 등급 아스팔트 등 어떠한 아스팔트도 모두 사용 가능하나, 스트레이트 아스팔트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스트레이트 아스팔트 중에서는 연화점이 30 내지 100oC, 침입도가 30 내지 195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연화점이 40 내지 60oC, 침입도가 80 내지 180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스트레이트아스팔트로는 예를 들어 SK정유 또는 LG칼텍스정유사 등에서 제공하는 AP-5, AP-3, AP-2.5 등이 있다. 아스팔트 함량은 더욱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65 중량부가 사용된다.
본 발명의 아스팔트 실란트 조성물은 탄성율 및 강도를 증가시키기 위하여 스티렌-공액디엔 블록 공중합체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아스팔트 실란트 조성물에 포함되는 스티렌-공액디엔 블록 공중합체로는 스티렌-부타디엔-스티렌(SBS), 스티렌-이소프렌-스티렌(SIS), 스티렌-에틸렌-부타디엔-스티렌(SEBS), 스티렌-부타디엔
(SB) 등의 블록 공중합체를 사용할 수 있으며, 이들을 1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같은 종류의 블록 공중합체 사용시 각 블록의 분자량 및 스티렌 함량을 변화하여 혼합 사용할 수도 있다. 특히, 스티렌-부타디엔-스티렌 삼블록 공중합체가 가장 적합한데, 스티렌 함량이 20 내지 60 중량부인 삼블록 공중합체를 사용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며, 가장 바람직한 스티렌 함량은 25 내지 45 중량부이다.
블록 공중합체의 형태는 선형 또는 분기된 것 중 어느 것도 사용 가능하다. 블록 공중합체의 수평균 분자량은 5,000에서 1,000,000까지가 바람직한데, 더욱 바람직하게는 10,000에서 300,000 사이인 것이 사용된다.
SBS 삼블록(triblock) 공중합체는 펠릿, 플래이크, 분말 형태로 제공되는 열가소성 고무로서 예를 들어, 금호석유화학(주) 제품인 KOSYN KTR-101, 101P, 201, 401, 401P 등이 있으며, 수입 제품으로는 쉘사의 크레톤(Kraton) 제품이 있다.
블록 공중합체의 제품 형태는 분말 형태가 플래이크 보다 용해시간이 짧은 장점이 있어 선호된다. 열가소성 고무의 하나인 스티렌-부타디엔-스티렌 블록 공중합체는 고온에서(150oC에서 200oC 사이) 고전단 교반기(high shear mixer) 또는 일반 임펠러 혼합기 등에 의한 고속 혼합에 의해 아스팔트 매트릭스 내에서 완전 분산되어 특수한 형태의 그물망 구조를 형성하고 이의 함량이 증가할수록 탄성 및 기계적 강도가 증가하나, 아스팔트에 비해 상대적으로 고가인 단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아스팔트 실란트 조성물의 기계적 물성의 증가 및 가격을 고려할 때 스티렌-공액디엔 블록 공중합체의 함량은 2 내지 15 중량부 정도이며, 4 내지 10 중량부를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아스팔트 실란트 조성물은 경도, 연화점 및 원상 회복율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폐타이어 고무분말을 포함한다. 폐타이어 고무분말(crumb rubber)로는 폐기된 타이어를 상온 또는 저온에서 분쇄한 분말을 사용하며 스티렌-부타디엔고무(SBR) 및/또는 천연고무, 카본블랙이 주성분이다. 폐타이어 고무분말의 평균 입도는 200메쉬(mesh) 이하가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10 내지 60메쉬 사이가 더욱 바람직하다. 폐타이어 고무분말이 미세할 수록 신도, 접착성 등의 물성이 향상되므로 가능한 한 미세한 분말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폐타이어 고무분말은 본 발명의 조성물에서 유기 필러로 사용되며 원상회복률을 증가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본 발명의 아스팔트 실란트 조성물에 폐타이어 고무분말을 이용하므로써 제조원가를 낮출 수 있으며, 폐타이어 폐기 및 소각에 따른 환경오염의 문제점도 해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 있어서, 폐타이어 고무분말의 함량은 0.5 내지 40 중량부이며, 바람직하게는 2 내지 10중량부가 사용된다.
본 발명의 아스팔트 실란트 조성물에 포함되는 페놀 수지는 점착 부여제(tackifying agent) 역할을 하며, 레졸과 노블락과 같은 어떠한 폐놀 수지도 이 목적으로 사용이 가능하다. 특히 고체상태인 노블락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로진, 수소화 로진, 변성 로진, 쿠마론-인덴 수지, 쉘락, 코팔, 지방산, 탄소수가 5 내지 9인 석유수지 등을 1종 이상 페놀 수지와 병행하여 사용 할 수 있다. 이러한 페놀 수지는 특히, 고무 변성 아스팔트 조성물이 방수재, 실링재, 밀봉재, 도로 균열 보수제 또는 채움재로 사용 될 경우 아스팔트 또는 콘크리트 등의 기재에 잘 부착되도록 접착력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더욱 잘 수행하게 된다.
기존에 점착 부여제로 많이 사용된 수소화로진에스터는 미국 헤라클레스(Hercules)사의 제품을 수입 사용하므로 값이 매우 비싸고 공급이 어려운 점이 많으며, 높은 접착성을 요구하는 용도에서는 많은 양을 첨가해야 하므로 제조원가가 매우 높아지게 된다. 또한, 가소제의 양이 적거나 거의 없는 경우에는 기재에 대한 접착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페놀 수지를 첨가하게 되면 가소제의 양에 관계 없이 아스팔트 조성물에 양호한 접착성을 저가로 부여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아스팔트 실란트 조성물에 있어서, 페놀 수지의 함량은 0.02 내지 10 중량부가 바람직하나, 더욱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3 중량부이다.
본 발명에 따른 아스팔트 실란트 조성물에 있어서, 아스팔트 실란트 조성물의 침입도 및 저온 신율을 증대시키기 위하여 가소제 또는 연화제를 더 첨가할 수 있다.
가소제 또는 연화제로는 중유(벙커 A, B, C유), 윤활유, 각종 공정유(파라핀계, 나프텐계, 방향족계). 프탈레이트계 가소제(DOP, DINP, DBP, DIBP, DHP 등), 방향족카본산 에스터 가소제(TOTM, DEDB 등), 지방족 이염기산 에스터 가소제(DOS, DOA, DIDA, DOZ 등), 포스페이트(인산 에스터) 가소제(TCP, TOF, TPP 등), 에폭시계 가소제(epoxidized soy bean oil 또는 epoxidized linseed oil), 염소함유 가소제(chlorinated paraffin), 인-염소 함유 가소제(TCPP, TCEP 등) 중에서 선택된 1종 또는 2종 이상이 사용 가능하다. 아스팔트 조성물에 주로 사용되는 가소제로는 벙커-C유, 디옥틸프탈레이트(DOP), 트리크레질포스페이트(TCP), 나프텐계(naphthen
e) 또는 방향족계(aromatic) 공정유(process oil) 등이 있다. 이 중에서 특히 벙커-C유와 방향족계 공정유를 단독으로 또는 병행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벙커-C유 및 방향족계 공정유를 첨가하면 아스팔트 실란트 조성물의 신도는 크게 증가하나 연화점이 약간 감소하며, 침입도는 크게 증가하고 저온 유연성 및 접착성이 매우 우수해진다. 따라서, 특히 줄눈재, 밀봉재, 봉함재, 방수재 또는 채움재로 적합하다. 이와 달리, 도로의 균열 보수용 및 하중을 받는 경우 등의 용도로는 비교적 단단한 물성이 요구되므로 상기의 가소제를 소량 사용하거나 전혀 사용하지 않을 수도 있다.
본 발명에 적합한 공정유로는 미창석유에서 생산하는 나프텐계 공정유로 N-1, N-2 및 N-3, 방향족계 공정유로 A-2와 A-3가 있으며 이 중 A-3를 사용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한데, 이는 아스팔트 조성물에 함유되어 SBS 고무를 잘 용해시키며 아스팔트와 상용성이 좋아 유연성을 크게 증가시키기 때문이다.
본 발명에서 상기 가소제 또는 연화제 성분은 30중량부 이하를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벙커-C유와 공정유를 단독 또는 병용 사용하는 것이 좋으며, 이 때, 벙커-C유는 0 내지 15 중량부, 공정유는 0 내지 15 중량부가 더욱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아스팔트 실란트 조성물은 연화점을 상승시키기 위하여 무기 충진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무기 충진제(inorganic fillers)로는 탈크(활석), 실리카, 수산화마그네슘, 수산화알루미나, 카올린(백토), 마이카, 황산, 탄산칼슘, 석면, 골재, 석분, 제강슬래그 등을 단독 또는 병행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무기 충전제 중에서 탈크와 실리카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용도에 따라서 탈크 또는 실리카가 단독 사용되거나 두 개를 병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탈크나 실리카의 평균 입자크기는 작을수록 유리하나 20메쉬에서 2000메쉬 사이이면 적합하다. 무기 충진제는 50중량부 이하를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30중량부가 사용된다.
본 발명의 아스팔트 실란트 조성물에는 물성 저하를 방지하기 위하여 산화방지제, 광안정제(자외선흡수제 또는 HALS계 광안정제), 열안정제 등을 더 첨가할 수 있고 용도에 따라 염료 및 안료 등의 착색제, 항균제, 방부제, 내마모제 등을 첨가할 수도 있다. 이밖에도 유리섬유, 유리플레이크, 탄소섬유 및 탄화규소 섬유 등 각종 강화제를 함유할 수 있고 고무 또는 플라스틱 등의 고분자로 된 폐기물을 함유할 수도 있다. 고분자 폐기물로는 각종 분쇄된 고무 제품, 농업용 폐비닐, 스티렌계 폐플라스틱(예를들면, 고충격 폴리스티렌인 요구르트병) 분쇄물 등이 대표적이다.
본 발명의 아스팔트 실란트 조성물은 예를 들어, 다음과 같은 방법들 중 하나로 혼합될 수 있는데, 이에 한정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첫번째 방법으로서, 먼저 혼합반응기에 미리 용융된 아스팔트와 산화방지제, 폐타이어 고무분말 및 가소제(사용되는 경우)를 가하여 150oC 내지 200oC에서 일반 임펠러 믹서로 1시간 또는 고전단 믹서로 30분 이상 교반한다. 이어서, 점착 부여제, 무기 충전제 및 광안정제 등을 추가하여 160oC 내지 200oC에서 일반 임펠러 믹서로는 2시간 이상, 고전단 믹서(high shear mixer)로는 1시간 이상 교반하면 본 발명에 따른 아스팔트 실란트 조성물을 균일하게 얻을 수 있다.
두번째 방법으로는, 먼저 혼합반응기에 미리 용융된 아스팔트와 산화방지제, 스티렌-공액디엔 블록 공중합체, 폐타이어 고무분말 및 가소제(사용되는 경우)를 넣고 150oC 내지 200oC에서 일반 임펠러믹서로는 1시간 이상 고전단 믹서로 30분 이상 교반해 준 다음 나머지 성분들을 모두 넣고 160oC 내지 200oC에서 일반 임펠러 믹서로는 2시간 이상, 고전단 믹서로는 1시간 이상 교반하는 방법이다. 일반 임펠러 믹서보다는 고전단 또는 고점도 믹서가 빠른 시간에 보다 균일하게 분산시키므로 고전단 또는 고점도 믹서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특별히 영국의 실버슨사에서 제조한 믹서와 개질 아스팔트용 스터러/스테이터 교반세트를 사용하면 더욱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의 아스팔트 실란트 조성물에 대하여 상세히 기술하고자 하나, 본 발명이 하기 실시예로만 한정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실시예 1>
용융시킨 아스팔트(SK사의 AP-3, AP-5 중 AP-3), 송녹스 21B 산화방지제(송원산업), SBS 블록 공중합체(금호석유화학의 KOSYN KTR-101P), 평균 입경이 30 메쉬 내지 40 메쉬 사이인 폐타이어 고무분말(한국자원재생공사), A-3 공정유(미창석유) 및 벙커-C유(LG 칼텍스 정유)를 하기 표 1의 함량대로 혼합반응기에 넣고 150 내지 200℃를 유지하면서 고전단 믹서로 1시간 동안 교반한 후, 페놀 수지 A-1100S(코오롱유화), 탈크 KCN-6300(한중탈크사), HALS(Hindered Amine Light Stabilizer)계 광안정제와 자외선 흡수제 혼합물인 복합 광안정제를 하기 표 1의 함량대로 상기 혼합반응기에 넣고 1시간 이상 교반하여 아스팔트 실란트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 ~ 4>
하기 표 1과 같이 조성물의 종류 및 함량을 변화시킨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비교예 1 ~ 3>
페놀 수지 대신 상기 미국 헤라클레스사의 포랄(Foral) 85-E를 사용하고 하기 표 1과 같이 조성물의 종류 및 함량을 변화시킨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이상과 같은 방법으로 제조한 실시예 및 비교예의 아스팔트 실란트 조성물에 대하여 침입도, 연화점, 신도, 원상회복률 및 인장 점착 길이를 다음과 같이 측정하여 그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1) 침입도
KS M 2252(하중 150g)에 의하여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의 조성물의 침입도를 측정하였다.
(2) 연화점
KS M 2250에 의하여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의 조성물의 연화점을 측정하였다.
(3) 신도
KS F 4052에 의하여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의 조성물의 신도를 측정하였다.
(4) 원상회복율
KS F 2368에 의하여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의 조성물의 원상회복율을 측정하였다.
(5) 인장접착 길이
KS F 2368에 의하여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의 조성물의 인장접착 길이를 측정하였다.
구분 실시예1 실시예2 실시예3 실시예4 비교예1 비교예2 비교예3
조성물의구성(중량부) 아스팔트AP-3 60 57 - - 60 57 -
아스팔트AP-5 - - 61 61 - - 61
SBSKTR-101 9 9 8 8 9 9 8
폐타이어고무분말 3 5 8 8 3 5 8
벙커-C유 - 6 - - - 6 -
공정유A-3 5 7 2 - 5 7 2
페놀수지 2 2 2 1.5 - - -
포랄85-E - - - 0.5 2 2 2
탈 크 20 13 18 20 20 13 18
산화방지제 0.5 0.5 0.5 0.5 0.5 0.5 0.5
복합광안정제 0.5 0.5 0.5 0.5 0.5 0.5 0.5
물성 침입도(dmm) 65 86 47 40 67 88 45
연화점(oC) 105 97 109 117 104 96 110
신도(cm) 70 65 45 40 71 63 46
원상회복률(%) 60 65 58 50 61 65 57
인장 점착 길이(mm) 75 90 35 25 70 91 30
표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라 점착제로서 페놀 수지를 첨가한 조성물의 점착성이 포랄 85-E를 첨가한 비교예의 조성물의 점착성과 동등하거나 더 우수한 것을 알 수 있다. 가소제 또는 연화제인 벙커-C유 및 공정유가 많이 첨가될수록 인장 점착 길이는 증가하였으다(실시예 1 내지 4). 점착성 부여제로 저가의 페놀 수지를 사용한 것(실시예 1∼3)과 고가인 변성 로진인 포랄85-E를 사용한 것의 다른 물성은 거의 같거나 비슷하여 차이가 없었다. 또한, 실시예 1∼3으로 만든 조성물은 용융주입 방식의 콘크리트 조인트 실란트(신축이음 밀봉재)에 대한 규격인 미합중국 표준규격 ASTM D-1190을 만족하는 우수한 저온 접착성을 보여준다.
본 발명의 아스팔트 실란트 조성물은 상기한 바와 같이 폐타이어 분말을 이용하므로 친환경적일 뿐만 아니라 연화점, 접착강도, 저온 유연성, 탄성 및 접착성 등의 물성이 매우 우수하며 비교적 저가로 제조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아스팔트 실란트 조성물은 각종 제조장비 및 시공장비를 사용하여 다양한 시공방법에 따라 각종 포장도로, 건축물, 교량 및 구조물의 신설 및 보수시에 균열 보수제, 줄눈재, 신축이음 밀봉재 또는 채움재, 봉함재, 방수재, 방수막, 지수막, 지오멤브래인, 충격 흡수막의 중간층, 루핑막 구조물의 상부 도포제, 군용 차량 및 장비의 언더바디 코팅, 포장 보수막, 방진 재료 등으로 사용될 수 있으며 각종 골재 또는 강화제 등에 바인더로 섞어 교량 또는 구조물의 신축이음부를 시공하는 재료 등으로 매우 폭 넓게 이용될 수 있다.

Claims (16)

  1. 아스팔트 40 내지 70 중량부, 폐타이어 고무분말 0.5 내지 40 중량부, 스티렌-공액디엔 블록 공중합체 2 내지 15 중량부 및 페놀 수지 0.02 내지 10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스팔트 실란트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아스팔트는 연화점이 30oC 내지 100oC인 스트레이트 아스팔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스팔트 실란트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티렌-공액디엔 블록 공중합체는 스티렌-부타디엔-스티렌(SBS) 블록 공중합체, 스티렌-이소프렌-스티렌(SIS) 블록 공중합체, 스티렌-에틸렌-부타디엔-스티렌(SEBS) 블록 공중합체 및 스티렌-부타디엔(SB) 블록 공중합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을 하는 아스팔트 실란트 조성물.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스티렌-공액디엔 블록 공중합체의 수평균 분자량이 5,000 내지 1,000,00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스팔트 실란트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폐타이어 고무분말의 평균 입경이 10 내지 60 메쉬 사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스팔트 실란트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페놀 수지는 레졸 또는 노블락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스팔트 실란트 조성물.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페놀 수지의 함량이 0.5 내지 3 중량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스팔트 실란트 조성물.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페놀 수지에 로진, 수소화로진, 변성 로진, 쿠마론-인덴 수지, 쉘락, 코팔, 지방산 및 탄소수가 5 내지 9인 석유수지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을 더 첨가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스팔트 실란트 조성물.
  9. 제1항에 있어서, 가소제 또는 연화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스팔트 실란트 조성물.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가소제 또는 연화제의 함량은 30 중량부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스팔트 실란트 조성물.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가소제 또는 연화제는 중유, 윤활유, 공정유, 프탈레이트계 가소제, 방향족카본산 에스터 가소제, 지방족 이염기산 에스터 가소제, 포스페이트(인산 에스터) 가소제, 에폭시계 가소제, 염소함유 가소제 및 인-염소 함유 가소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스팔트 실란트 조성물.
  12. 제1항에 있어서, 무기 충진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스팔트 실란트 조성물.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무기 충진제가 탈크, 실리카, 탄산칼슘, 수산화마그네슘, 카오린, 마이카, 황산바륨, 석면, 석분, 골재, 유리섬유, 탄소섬유 및 탄화규소 섬유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스팔트 실란트 조성물.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무기 충진제의 함량이 50 중량부 이하인 것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스팔트 실란트 조성물.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무기 충진제의 함량이 10 내지 30 중량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스팔트 실란트 조성물.
  16. 제1항에 있어서, 광안정제, 열안정제, 산화방지제, 강화제, 방부제, 착색제, 윤활제 및 내마모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스팔트 실란트 조성물.
KR10-2000-0048303A 2000-08-21 2000-08-21 아스팔트 실란트 조성물 KR1003888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48303A KR100388810B1 (ko) 2000-08-21 2000-08-21 아스팔트 실란트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48303A KR100388810B1 (ko) 2000-08-21 2000-08-21 아스팔트 실란트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64089A true KR20000064089A (ko) 2000-11-06
KR100388810B1 KR100388810B1 (ko) 2003-06-25

Family

ID=196841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48303A KR100388810B1 (ko) 2000-08-21 2000-08-21 아스팔트 실란트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88810B1 (ko)

Cited B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67657A (ko) * 2001-03-02 2001-07-13 최명부 도로포장 아스팔트 발수제 제조방법
KR20020023743A (ko) * 2001-12-14 2002-03-29 강철구 칼라아스콘의 개질바인더
KR20020078688A (ko) * 2001-04-07 2002-10-19 유한회사 로드씰 저온 접착성이 우수한 아스팔트 실란트 조성물
KR20030083092A (ko) * 2002-04-19 2003-10-30 덕양산업주식회사 고강성 아스팔트 시트조성물
KR20040025057A (ko) * 2002-09-18 2004-03-24 주식회사 화신 폐식용유를 이용한 아스팔트 봉함재 조성물
KR100472925B1 (ko) * 2002-05-14 2005-03-08 김현준 아스콘 개질용 첨가재 및 그 제조방법
KR100472090B1 (ko) * 2002-09-18 2005-03-10 유한회사 로드씰 폐식용유를 이용한 골재 바인더용 고분자 조성물
WO2006049364A1 (en) * 2004-11-05 2006-05-11 Re-New System Co.,Ltd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an adhesivable asphalt water-proof agent using a melting liquified gum mixture thereof
KR100605003B1 (ko) * 2005-02-02 2006-08-01 한진석 도로균열 보수용 점착 조성물과 테이프와 조성물 및테이프 제조방법
KR100959564B1 (ko) * 2008-07-03 2010-05-27 주식회사 알. 브이 무용제형 냉공법 개질아스팔트 도막방수재 및 그 제조방법
CN102746679A (zh) * 2012-07-11 2012-10-24 武汉市迪睿道路科技有限公司 无损式路面裂缝修补材料、制备方法及修补工艺
KR101412256B1 (ko) * 2013-12-09 2014-06-25 주식회사 로드씰 맨홀 표층보수재의 시공 방법
KR101504556B1 (ko) * 2014-11-03 2015-03-31 성문산업 주식회사 도막방수재 및 이의 제조방법
CN106915974A (zh) * 2017-02-16 2017-07-04 任云 一种沥青、混凝土公路路面保护液及其制作方法
KR102005942B1 (ko) 2019-02-18 2019-10-08 주식회사 로드씰 응급보수용 상온형 개질아스팔트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CN116239972A (zh) * 2023-05-05 2023-06-09 衡水中裕铁信防水技术有限公司 一种沥青改性高分子胶料及其制备方法、一种防水卷材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43544A (ko) * 2001-11-28 2003-06-02 양상준 미세유리섬유를 함유한 건축물의 방수제 및 이의 제조방법
KR100566066B1 (ko) 2005-08-26 2006-03-30 (주)경보공영 도로 봉함용 조성물
KR101023894B1 (ko) 2010-02-09 2011-03-22 조명희 천매암 분말을 이용한 아스팔트 실란트 조성물
KR101258187B1 (ko) 2011-03-11 2013-04-25 조명희 접착력이 우수한 아스팔트 실란트 조성물
KR102188192B1 (ko) 2020-05-27 2020-12-08 주식회사 한수도로산업 도로용 자착식 탄성 테이프 및 그 조성물
KR102293278B1 (ko) 2021-04-07 2021-08-25 문지훈 나노 탄소재와 라텍스 수지재를 포함하는 복합형 방수시트 및 이를 이용한 방수공법
KR102603084B1 (ko) 2022-11-29 2023-11-20 (주)에이알앤씨 다양한 형태의 도로 파손을 보수할 수 있는 바인더 및 바인더의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85855A (en) * 1980-11-15 1982-05-28 Nippon Oil Co Ltd Asphalt-base water proofing composition
JPS57119953A (en) * 1980-11-27 1982-07-26 Idemitsu Kosan Co Ltd Bituminous vibration-proof sheet and preparation of same
JP2582708B2 (ja) * 1992-07-20 1997-02-19 日新工業株式会社 屋根の防水施工法及び防水施工体
JPH0925416A (ja) * 1995-07-11 1997-01-28 Daiyu Kensetsu Kk アスファルト改質材およびアスファルト組成物
KR20000009377A (ko) * 1998-07-23 2000-02-15 이희연 아스팔트 실란트 조성물
KR100332632B1 (ko) * 1999-08-02 2002-04-17 문영호 아스팔트 조인트 및 실란트 조성물

Cited B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67657A (ko) * 2001-03-02 2001-07-13 최명부 도로포장 아스팔트 발수제 제조방법
KR20020078688A (ko) * 2001-04-07 2002-10-19 유한회사 로드씰 저온 접착성이 우수한 아스팔트 실란트 조성물
KR20020023743A (ko) * 2001-12-14 2002-03-29 강철구 칼라아스콘의 개질바인더
KR20030083092A (ko) * 2002-04-19 2003-10-30 덕양산업주식회사 고강성 아스팔트 시트조성물
KR100472925B1 (ko) * 2002-05-14 2005-03-08 김현준 아스콘 개질용 첨가재 및 그 제조방법
KR20040025057A (ko) * 2002-09-18 2004-03-24 주식회사 화신 폐식용유를 이용한 아스팔트 봉함재 조성물
KR100472090B1 (ko) * 2002-09-18 2005-03-10 유한회사 로드씰 폐식용유를 이용한 골재 바인더용 고분자 조성물
WO2006049364A1 (en) * 2004-11-05 2006-05-11 Re-New System Co.,Ltd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an adhesivable asphalt water-proof agent using a melting liquified gum mixture thereof
KR100605003B1 (ko) * 2005-02-02 2006-08-01 한진석 도로균열 보수용 점착 조성물과 테이프와 조성물 및테이프 제조방법
KR100959564B1 (ko) * 2008-07-03 2010-05-27 주식회사 알. 브이 무용제형 냉공법 개질아스팔트 도막방수재 및 그 제조방법
CN102746679A (zh) * 2012-07-11 2012-10-24 武汉市迪睿道路科技有限公司 无损式路面裂缝修补材料、制备方法及修补工艺
CN102746679B (zh) * 2012-07-11 2014-10-08 武汉市迪睿道路科技有限公司 无损式路面裂缝修补材料、制备方法及修补工艺
KR101412256B1 (ko) * 2013-12-09 2014-06-25 주식회사 로드씰 맨홀 표층보수재의 시공 방법
KR101504556B1 (ko) * 2014-11-03 2015-03-31 성문산업 주식회사 도막방수재 및 이의 제조방법
CN106915974A (zh) * 2017-02-16 2017-07-04 任云 一种沥青、混凝土公路路面保护液及其制作方法
KR102005942B1 (ko) 2019-02-18 2019-10-08 주식회사 로드씰 응급보수용 상온형 개질아스팔트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CN116239972A (zh) * 2023-05-05 2023-06-09 衡水中裕铁信防水技术有限公司 一种沥青改性高分子胶料及其制备方法、一种防水卷材
CN116239972B (zh) * 2023-05-05 2023-07-11 衡水中裕铁信防水技术有限公司 一种沥青改性高分子胶料及其制备方法、一种防水卷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388810B1 (ko) 2003-06-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88810B1 (ko) 아스팔트 실란트 조성물
KR100332632B1 (ko) 아스팔트 조인트 및 실란트 조성물
KR20020078688A (ko) 저온 접착성이 우수한 아스팔트 실란트 조성물
KR101672823B1 (ko) 비휘발성 상온 개질 아스팔트 바인더 및 이를 이용한 비휘발성 상온 재생 아스팔트 혼합물
KR101258187B1 (ko) 접착력이 우수한 아스팔트 실란트 조성물
EP1737914B1 (en) A polymer modified bitumen composition to be used in asphalt binders or roofing compositions
EP1951817B1 (en) Asphalt binder for porous pavements
KR101820380B1 (ko) 아스팔트 및 시멘트 콘크리트 도로 균열 및 파손 보수재, 이를 이용한 부분보수 공법 및 아스팔트 콘크리트 포장 덧씌우기 공법
KR102119728B1 (ko) 라텍스 수지를 포함하는 방수아스팔트(lma) 콘크리트 조성물 및 이의 시공방법
KR102005934B1 (ko) 건축 및 토목구조물용 개질아스팔트 씰계 방수재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023894B1 (ko) 천매암 분말을 이용한 아스팔트 실란트 조성물
KR102119736B1 (ko) Sis, sebs, 재생아스팔트 순환골재 및 개선된 골재 입도의 미분말 골재를 포함하는 도로포장용 개질아스팔트 콘크리트 조성물 및 이의 시공방법
KR102011923B1 (ko) 숙성된 고무 분말을 포함하여 우수한 작업성을 갖는 고온 저점도 고등급 아스팔트 콘크리트 조성물 및 이의 시공방법
KR20040025057A (ko) 폐식용유를 이용한 아스팔트 봉함재 조성물
GB2164344A (en) Bituminous compositions and preparation thereof
US5393819A (en) Asphalt modifier
KR102005941B1 (ko) 개질 아스팔트계 실란트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WO2004076553A1 (ja) 舗装用樹脂組成物
US5399598A (en) Asphalt composition
KR100993406B1 (ko) 도로봉합제 및 그 제조방법
KR101019827B1 (ko) 기계적 강도, 내 노화 성능 및 균열저항성이 개선된 칼라아스팔트용 바인더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KR102077055B1 (ko) Sis 및 개선된 골재 입도의 미분말 골재를 이용한 중온 개질아스팔트 콘크리트 조성물 및 이의 시공방법
KR101996637B1 (ko) 우수한 점탄성 특성 및 빠른 용해속도를 갖는 신축 이음재 조성물, 그 제조방법, 이를 이용하여 시공된 신축 이음 구조 및 그 시공방법
KR100472090B1 (ko) 폐식용유를 이용한 골재 바인더용 고분자 조성물
KR102188192B1 (ko) 도로용 자착식 탄성 테이프 및 그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11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11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11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10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12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11

Year of fee payment: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11

Year of fee payment: 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