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63955A - 음료병 포장용 상자 폴딩장치 - Google Patents

음료병 포장용 상자 폴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63955A
KR20000063955A KR1020000046798A KR20000046798A KR20000063955A KR 20000063955 A KR20000063955 A KR 20000063955A KR 1020000046798 A KR1020000046798 A KR 1020000046798A KR 20000046798 A KR20000046798 A KR 20000046798A KR 20000063955 A KR20000063955 A KR 2000006395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lding
box
frame
trimming
convey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467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85704B1 (ko
Inventor
김경해
이철
Original Assignee
김경해
에이스기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경해, 에이스기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경해
Priority to KR10-2000-00467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85704B1/ko
Publication of KR200000639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639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857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85704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1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WORKING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MAKING CONTAINER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50/00Making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e.g. boxes or cartons
    • B31B50/26Folding sheets, blanks or webs
    • B31B50/44Folding sheets, blanks or webs by plungers moving through folding dies
    • B31B50/442Folding sheets, blanks or webs by plungers moving through folding dies having several cooperating plungers and dies fitted on a rotating table or on moving cha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1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WORKING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MAKING CONTAINER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50/00Making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e.g. boxes or cartons
    • B31B50/02Feeding or positioning sheets, blanks or webs
    • B31B50/04Feeding sheets or blan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1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WORKING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MAKING CONTAINER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50/00Making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e.g. boxes or cartons
    • B31B50/02Feeding or positioning sheets, blanks or webs
    • B31B50/10Feeding or positioning web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1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WORKING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MAKING CONTAINER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50/00Making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e.g. boxes or cartons
    • B31B50/14Cutting, e.g. perforating, punching, slitting or trimming
    • B31B50/20Cutting sheets or blanks
    • B31B50/22Notching; Trimming edges of fla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1/00Bundles of articles held together by packaging elements for convenience of storage or transport, e.g. portable segregating carrier for plural receptacles such as beer cans or pop bottles; Bales of material
    • B65D71/06Packaging elements holding or encircling completely or almost completely the bundle of articles, e.g. wrappers
    • B65D71/12Packaging elements holding or encircling completely or almost completely the bundle of articles, e.g. wrappers the packaging elements, e.g. wrappers being formed by folding a single blank
    • B65D71/14Packaging elements holding or encircling completely or almost completely the bundle of articles, e.g. wrappers the packaging elements, e.g. wrappers being formed by folding a single blank having a tubular shape, e.g. tubular wrappers without end walls
    • B65D71/24Packaging elements holding or encircling completely or almost completely the bundle of articles, e.g. wrappers the packaging elements, e.g. wrappers being formed by folding a single blank having a tubular shape, e.g. tubular wrappers without end walls with parti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1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WORKING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MAKING CONTAINER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2100/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made by folding single-piece sheets, blanks or webs
    • B31B2100/002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made by folding single-piece sheets, blanks or web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blank from which they are formed
    • B31B2100/0022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made by folding single-piece sheets, blanks or web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blank from which they are formed made from tubular webs or blanks, including by tube or bottom forming operations

Abstract

본 발명은 음료병 포장용 상자 폴딩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에 1개조 이상 다수개가 일렬로 설치되며, 작업될 상자원지를 이송하기 위한 컨베이어와; 상기 컨베이어의 일측 끝단부분의 프레임에 설치되며, 상자원지를 컨베이어 측으로 공급하는 공급 트레이와;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며, 이송되는 상자원지의 상, 하면 적정 부분마다 접착제를 도포하는 접착제 도포부와;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며, 이송되는 상자원지의 진행방향을 기준으로 상자원지의 이송력에 의해 그 전단부를 상측으로 폴딩하는 1차 폴딩부와;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며, 이송되는 상자원지 후단부를 복합적으로 폴딩하기 위해 목적하는 부분에 순차적으로 응력을 가해 폴딩될 방향을 지정하는 예비 폴딩부와;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며, 예비 폴딩부에 의해 방향이 지정된 상자원지의 부분을 후방에서 상측으로 폴딩하는 2차 폴딩부와;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며, 이송되는 상자원지의 이송력에 의해 상자원지의 양측이 상측으로 폴딩되도록 하는 3차 폴딩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병 포장용 상자 폴딩장치를 제공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자원지를 폴딩할 수 있는 장치와 그 장치를 제공하여 생산성의 향상과 수작업에 의해 발생되던 인건비의 지출을 해소하고, 제품의 불량률 감소에 따른 소비자의 신뢰도를 향상시키는 효과를 얻게 된다.

Description

음료병 포장용 상자 폴딩장치{FOLDING APPARATUS OF BOX THAT BOTTLE MAY PACK}
본 발명은 음료병 포장용 상자 폴딩장치(이하, 폴딩장치라 약칭함)에 관한 것으로써, 상세하게는 기존에 수작업의 방식으로만 의존되던 음료병 포장용 상자의 폴딩작업을 자동화작업에 의해 수행되도록 하여 생산성의 향상 및 제품의 불량률을 감소시키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주류나 음료 등(이하, 음료로 통칭함)은 적정형태의 병에 담겨져 판매되며, 이와 같이 음료가 저장된 병은 합성수지로 된 상자에 대략 16개 내지 24개 정도가 담겨져 보관되거나 이동된다.
상기와 같이 음료병이 합성수지로 제작된 상자에 담겨져 보관되는 형태는 주로 도, 소매점에서 보관되는 형태이며, 일반 소비자가 음료를 구입하게 될 때에는 주로 비닐봉지 등에 담아서 이동되기 때문에 대단히 불편할 뿐만 아니라 합성수지로 된 상자의 중량이 무거워 목적하는 위치로 이동시킬 때에도 대단히 불편한 문제점이 발생된다.
이에, 도 1 내지 도 2에서와 같이 종이재질로 제작되어 6개 정도의 음료병을 담아 보관하거나 이동할 수 있는 상자, 특히, 상기된 다수의 병을 포장하여 운반이 용이하게 손잡이가 형성되며, 병들간의 충돌을 방지하기 위해 종이 칸막이가 있는 통칭 파티션 박스라 호칭되는 포장상자가 제안되어, 최근 일반 음료판매 업소나 가정에서는 이와 같은 상자에 포장된 음료를 구입하는 경우가 점차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다.
상기된 도 1과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상자의 원지(P)는 도면상 상, 하측에 적정간격으로 형성되어 상자로 성형되었을 때 세워진 측벽이 되는 본체편(1)과, 상기 본체편(1)의 간격 사이에 형성된 손잡이편A, B(2, 3)과, 상기 양측의 본체편(1)에서 외측으로 연장형성된 바닥편(4)과, 상기 본체편(1)의 양측으로 연장형성된 접합편(5)으로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은 원지(P)는 도 1에서와 같이 우선 좌측의 접합편(5)이 폴딩되고, 우측의 손잡이편B(3)와 본체편(1)이 원내의 도면에서와 같이 폴딩된 후, 상측과 하측의 본체편(1)이 폴딩된 다음 바닥편(4)이 폴딩되면 폴딩과정이 완료된다.
여기서, 상기 접합편(5), 손잡이편 A, B, 바닥편(4)은 상호 접촉되는 면에 풀 등의 접착제(도면중 사선도시)가 도포되어 상호 합지되고, 상기와 같이 폴딩과정이 완료된 원지는 음료회사로 출하되어 음료회사에서는 이를 도 2와 같은 상자의 형태로 펼쳐 음료를 담아 시판, 출하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원지를 폴딩하는 과정은 현재까지 주로 주부들의 부업형태로 수작업되어 왔으며, 이는 수작업 방식의 공통적인 단점인 생산성의 저하 및 많은 인건비의 지출과 접착제 도포의 불균일 또는 작업자의 부주의에 의해 불량률이 높아지는 문제점을 노출시키게 된다.
이와 같은 단점은 나아가 음료회사의 제품 생산을 지연시키는 요인이 될 뿐만 아니라, 상기 상자의 대중화를 저해하는 요인이 되어 단위시간에 보다 많은 상자를 제작할 수 있도록 한 수단을 요구하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의 요구에 부응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써, 상기 수작업에 의존하는 상자의 폴딩작업을 자동화한 폴딩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음료 포장용 상자를 폴딩하는 과정을 나타낸 예시도.
도 2는 도 1의 폴딩과정을 통해 완성된 상자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폴딩장치의 개략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폴딩장치의 트리밍부를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폴딩장치의 트리밍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도 6과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폴딩장치의 접착제 도포부를 나타낸 개략도.
도 8 내지 도 11은 본 발명에 의한 폴딩장치의 킥커A, B의 구성과 이들의 예비폴딩과정을 나타낸 사시도와 정면도.
도 12은 본 발명에 의한 폴딩장치의 킥커C를 나타낸 사시도 예시도.
도 13는 본 발명에 의한 폴딩장치의 2차 폴딩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도 14은 본 발명에 의한 폴딩장치의 3차 폴딩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도 15는 본 발명에 의한 폴딩장치의 상자폴딩과정을 나타낸 순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6: 절취부 100: 프레임
110: 컨베이어 120: 공급트레이
10: 트리밍부 11: 트리밍 컨베이어
12: 설치브래킷 13: 트리밍 롤러
20, 60: 접착제 도포부 30, 50, 70: 1, 2, 3차 폴딩부
40: 예비 폴딩부 41, 51: 회전축
42, 46, 52: 킥커A, B, C 43, 47, 53: 허브
44, 48, 54: 레그 50: 2차 폴딩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하기와 같은 특징을 갖는다.
본 발명은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에 1개조 이상 다수개가 일렬로 설치되며, 작업될 상자원지를 이송하기 위한 컨베이어와; 상기 컨베이어의 일측 끝단부분의 프레임에 설치되며, 상자원지를 컨베이어 측으로 공급하는 공급 트레이와;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며, 이송되는 상자원지의 상, 하면 적정 부분마다 접착제를 도포하는 접착제 도포부와;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며, 이송되는 상자원지의 진행방향을 기준으로 상자원지의 이송력에 의해 그 전단부를 상측으로 폴딩하는 1차 폴딩부와;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며, 이송되는 상자원지 후단부를 복합적으로 폴딩하기 위해 목적하는 부분에 순차적으로 응력을 가해 폴딩될 방향을 지정하는 예비 폴딩부와;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며, 예비 폴딩부에 의해 방향이 지정된 상자원지의 부분을 후방에서 상측으로 폴딩하는 2차 폴딩부와;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며, 이송되는 상자원지의 이송력에 의해 상자원지의 양측이 상측으로 폴딩되도록 하는 3차 폴딩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상기와 같은 특징이 적용되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폴딩장치의 전체 구성을 나타낸 평면 개략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폴딩장치는 프레임(100)과, 상기 프레임(100)에 설치되는 컨베이어(110)와, 상기 컨베이어(110) 일측단부의 프레임에 설치된 공급 트레이(120)와, 상기 프레임(100)에 설치되어 상자원지(P)의 내측에 형성된 절취부(6)를 절단하기 위한 트리밍부(10)와, 상기 프레임(100)의 작업구간 내에 적정 개수(도면에서는 2개조)로 설치된 접착제 도포부(20, 60)와, 상기 프레임(100)에 설치되어 상자원지(P)를 폴딩하기 위한 1, 2, 3차 폴딩부(30, 50, 70)와, 상기 2차 폴딩과정을 수행하기 전에 상자원지(P)의 복합적인 폴딩을 위한 예비 폴딩부(40)와, 상기 3차 폴딩 후 폴딩된 상자원지(P)를 가압하여 접착상태를 유지시키기 위한 프레싱부(도시되지 않음)로 이루어진다.
상기 프레임(100)은 판형의 부재가 적정 간격을 두고 세워져 구비된 것이며, 그 사이에 상기 컨베이어(110)가 1이상 다수개조 정렬되어 설치된다.
상기 공급 트레이(120)는 도 1에 도시된 상자원지(P)가 적층되는 구성을 제공하며, 자동화기기의 공급부 중 최하측의 작업대상물을 연속적으로 컨베이어(110)에 이송시키는 일반적인 구성의 것이 선택된다.
여기서, 상기된 상자원지(P)는 도 1에 도시된 형태에서 손잡이편A(2)와 손잡이편B(3), 그리고 본체편(1)과 손잡이편B(3)에 원내의 도면에서와 같은 절취부(6)를 형성하여 손잡이편A, B(2, 3)와 본체편(1)이 일체화 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절취부(6)를 형성하여 손잡이편A, B(2, 3)와 본체편(1)을 일체화 하는 이유는 상자원지(P)의 보관 및 운반도중 만약 발생될지 모르는 상자원지(P)의 구김이나 휨에 의해 공급 트레이(120)에서 컨베이어(110)로 이동될 때, 걸림이나 찢김 등의 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도 4는 상기된 상자원지의 절취부를 절단하는 트리밍부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5는 상기 트리밍 부의 정면도이다.
상기 트리밍부(10)는 트리밍 컨베이어(11)와, 트리밍 컨베이어(11)의 상부에 설치된 설치 브래킷(12)과, 상기 설치 브래킷(12) 내에 설치된 구동수단인 실린더(19)와 결합되어 상, 하로 유동가능하게 설치된 트리밍 부재(18)와, 상기 트리밍 부재(18)의 양측으로 설치 브래킷(12)에 회전가능하게 다수개 설치된 가압롤러(14)로 이루어진다.
상기 트리밍 컨베이어(11)는 컨베이어 밸트(15)와, 컨베이어 밸트(15)를 동작시키기 위한 풀리(16)를 2개조로 분할하여 한 몸체(17) 내에 구비한 것이며, 이는 분할되어 동작되는 컨베이어 밸트(15)의 상호 간격이 트리밍 간격(L)으로 형성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된 설치 브래킷(12)은 프레임(100)에서 연장되어 설치된 것이며, 트리밍 부재(18)의 하단부에는 다수개의 트리밍 롤러(13)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설치 브래킷(12)과 트리밍 부재(18)의 사이에는 가이드블록과 가이드레일로 이루어진 가이드부(G)가 간섭되어 설치되어 트리밍 부재(18)의 유동을 안내한다.
도 6 및 도 7은 상기 이송되는 상자원지의 상, 하면에 풀 등의 접착제를 도포하기 위한 장치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우선 도 6에 나타낸 접착제 도포부(20)는 이송되는 상자원지(P)는 상자원지(P)의 상부에 구비된 호스(21)에서 접착제가 도포되도록 하는 일반적인 구성이며, 도 7은 접착제가 담겨진 적정 용기(61)에 회전구동되도록 설치된 휠(62)의 하단부가 담겨지도록 하여 휠(62)의 회전에 의해 이송되는 상자원지(P)의 저면에 접착제가 도포되도록 하는 접착제 도포부(60)를 나타낸 것이다.
도 8과 도 9는 상기 예비 폴딩부의 킥커A를 나타낸 사시도와 킥커A가 설치된 상태의 정면도이며, 도 10과 도 11은 상기 예비 폴딩부의 킥커B를 나타낸 사시도와 킥커B가 설치된 상태의 정면도이다.
도 3과 더불어 도 8 내지 도 11을 참조하면, 상기 예비 폴딩부(40)는 프레임(100)에 양단이 지지된 회전축(41)에 킥커A(42)와 킥커B(46)가 각각 다수개조 설치되어 이루어진 것이다.
여기서, 상기 킥커A(42)는 회전되며 상자원지(P)의 손잡이편B(3)에 일정방향의 응력을 제공하기 위해 회전축(41)의 대략 중앙에 3개조가 설치되며, 상기 킥커B(46)는 상자원지(P)의 양측 본체편(1)에 일정방향의 응력을 제공하기 위해 킥커A(42)가 설치된 양측으로 2개조 설치된다.
상기된 킥커A, B(42, 46)의 개수는 동일한 기능을 수행한다면 관계되지 않지만 동 도면에서는 손잡이편B(3)와 본체편(1)의 형태에 기인된 가장 바람직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상기 킥커A(42)는 회전축(41)과 고정결합되는 허브(43)와, 상기 허브(43)에서 방사상 외측으로 1개 이상 장착되며 회전되는 방향으로 적정각도 절곡된 레그(44)로 이루어지며, 상기 레그(44)의 상자원지(P)와의 접촉면에는 상자원지(P)의 파손을 방지하기 위한 만곡형 부재(45)가 장착된다.
상기 킥커B(46)는 회전축(41)과 고정결합되는 허브(47)와, 상기 허브(47)에서 방사상 외측으로 1개 이상 장착되며 회전되는 방향의 반대방향으로 적정각도 절곡된 레그(48)로 이루어지며, 상기 레그(48)에도 상자원지(P)와의 접촉면에 만곡형 부재(49)가 장착된다.
도 12와 도 13은 상기 2차 폴딩부의 킥커C를 나타낸 사시도와 킥커C가 프레임에 설치된 정면도이다.
도 3과 더불어 도 12와 도 13을 참조하면, 상기 2차 폴딩부(50)는 프레임(100)에 양단이 지지된 회전축(51)에 1개조 이상의 킥커C(52)가 장착되어 이루어진다.
상기 킥커C(52)는 회전축(51)과 고정결합되는 허브(53)와, 상기 허브(53)에서 방사상 외측으로 1개 이상 장착되며 회전되는 방향으로 적정각도 절곡된 레그(54)로 이루어진다.
도 14는 상기 3차 폴딩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과 더불어 도 14를 참조하면, 상기 3차 폴딩부(70)는 상자원지(P)가 컨베이어(110)에 의해 이송되어짐에 의해 양측이 절곡되도록 하는 1쌍의 가이더(71)로 이루어진 일반적인 구성이다.
상기된 1, 2, 3차 폴딩부(30, 50, 70) 중 1차와 3차 폴딩부(30, 70)는 이미 제작되어지고 있는 일반적인 여러상자의 폴딩장치 구성 중 기기의 특성에 맞는 구성을 선택하여 제작하고, 상기된 컨베이어(110)와 예비 폴딩부(40) 및 2차 폴딩부(50)는 도시되지 않은 외부의 모터 등의 동력발생수단에 의해 동력을 공급받아 구동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폴딩장치에서 상자원지를 폴딩하는 작업과정 및 이 때 발생되는 작용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5의 순서도를 참조하면, 우선 작업될 상자원지(P)를 도 1 및 도 3에서와 같은 형태로 재단하고, 재단된 상자원지(P)를 1개 이상 다수개 공급 트레이(120) 상에 적층되면, 상기된 구성의 기기를 구동시켜 컨베이어(110)가 동작되도록 한다.(S11)
상기와 같이 컨베이어(110)가 동작되면 공급 트레이(120)의 최하측에 위치된 상자원지(P)가 트리밍부(10)로 이송되어 트리밍 과정이 수행된다.(S2)
여기서, 상기 트리밍 과정은 도 5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자원지(P)가 트리밍 컨베이어(110)에 의해 진행되던 중 트리밍 간격(L)을 통과할 때, 트리밍부(10)의 설치브래킷(12)에 장착된 실린더(19)가 구동되어 트리밍 부재(18)가 도면의 하측으로 유동되고, 이로 인해 트리밍 롤러(13)가 상자원지(P)의 절취부(6)를 상측에서 가압절단하여 수행된다.
이 때, 상기된 작동상태는 이해의 편의를 위해 각 동작이 구분되는 상태로 기술되었지만, 사실상 장치 내에서 상기 상자원지(P)는 이송되는 중에 트리밍 과정이 수행되어 스테핑 방식이 아닌 연속작업방식이기 때문에 단위시간에 보다 많은 제품을 작업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된 연속작업방식이 보다 효과적으로 수행되기 위해 트리밍 롤러(13)가 트리밍 부재(18)와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이로 인해 상기 트리밍 과정이 수행된 상자원지(P)의 표면은 파손됨 없이 안정된 작업이 수행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트리밍 과정이 수행된 상자원지(P)는 컨베이어(110)에 의해 계속 진행되어 도 6에서와 같은 접착제 도포부(20)에 의해 손잡이편B(3) 상면의 적정부분(도 1의 사선으로 나타낸 부분)에 접착제가 도포되는 1차 접착제 도포과정이 수행된다.(S3)
상기 접착제가 도포된 상자원지(P)는 1차 폴딩부(30)로 이송되어져 진행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전방의 접합편(5)이 폴딩되는데, 상기 접합편(5)의 폴딩작업은 전술된 일반적인 폴딩수단에 의해 수행된다.(S4)
상기와 같이 1차 폴딩이 완료된 상자원지(P)는 예비 폴딩부(40)로 이송되어 본체편(1)과 손잡이편B(3)가 도 1에서와 같이 복합적으로 폴딩되도록 하기 위해 예비 폴딩과정이 수행된다.(S5)
상기 예비 폴딩과정(S5)은 도 9에서와 같이 킥커A(42)가 회전되어 손잡이편B(3)를 상측으로 응력을 가하여 밀어 올리고, 도 11에서와 같이 킥커B(46)가 회전되어 손잡이편B(3)의 양측 본체편(1)을 상측으로 응력을 가하여 밀어올린 후 컨베이어(110)의 계속된 구동에 의해 상자원지(P)가 통과되도록 한다.
이 때, 상기 킥커A(42)는 킥커B(46)보다 상자원지(P)에 먼저 접촉되어야 하는 데, 이는 복합적으로 폴딩되는 각 폴딩부분에 방향성을 지정하기 위함으로써, 이는 킥커A(42)의 레그(44)가 회전방향 측으로 절곡되어 있기 때문에 가능한 작용이다.
반대로, 킥커B(46)는 킥커A(42)에 비해 상자원지(P)에 늦게 접촉되는데, 이는 킥커B(46)의 레그(48)가 회전방향의 반대방향으로 절곡되어 있기 때문에 가능한 작용이다.
즉, 상기 킥커A, B(42, 46)의 상호 연관관계를 보면, 킥커A(42)와 킥커B(46)는 동축상에 장착되고, 상자원지(P)의 후방부분을 도 1에서와 같이 복합적으로 폴딩하기 위해 킥커A(42)가 킥커B(46) 보다 늦은 시간에 상자원지(P)를 예비폴딩해야 하기 때문에 상기와 같이 각각의 레그(44, 48)가 절곡된 방향에 대한 필연성을 갖게 된다.
또한, 예비폴딩이란 의미는 첫째로 후술되는 2차 폴딩과정에서의 본체편(1)과 손잡이편B(3)의 복합폴딩이 자연스럽게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해 본체편(1)과 손잡이편B(3)의 폴딩라인에 미리 응력을 가한 후 자연스럽게 놓아두어 폴딩될 방향에 대한 습관을 부여한다는 의미이다.
상기와 같이 예비 폴딩과정(S5)이 수행된 상자원지(P)의 후방에는 폴딩될 방향성이 지정된 폴딩부위가 형성되고, 이러한 상태에서 계속 진행되다 도 13에서와 같이 킥커C(52)가 회전됨에 의해 킥커C(52)의 레그(54)가 상기 예비폴딩과정이 수행되어 습관이 부여된 복합폴딩부위를 들어올려 폴딩함에 의해 2차 폴딩과정이 수행된다.(S60)
상기 2차 폴딩과정(S60)이 수행된 후, 상자원지(P)는 계속 진행되어 도 6 및 도 7에서 나타낸 것과 같은 접착제 도포부(60)에 의해 상, 하면의 적정부분에 접착제가 도포됨으로 인해 2차 접착제 도포과정(S7)이 수행된다.
상기 2차 접착제 도포과정(S7)이 수행된 상자원지(P)는 도 14에 도시된 것과 같이 3차 폴딩과정이 수행된 후,(S8) 프레싱되어 배출된다.(S9)
이 때, 상기 3차 폴딩과정(S8)은 양측의 가이더(71)에 안내되어 상자원지(P)의 양측이 폴딩되는 상태를 의미하며, 상기 프레싱과정(S9)은 예로써, 특정간격으로 상, 하의 건베이어 또는 가압부재를 설치하여 설치된 사이에서 상면과 하면을 가압한 상태를 유지시키거나, 상자원지(P)를 상, 하측 컨베이어의 사이로 통과시키는 등의 일반적인 동작에 의해 수행되는 것이다.
상기 전과정에 걸쳐 설명된 폴딩장치의 작동상태는 모두 특정부위에서 정지됨이 없는 연속동작에 의해 수행되는 것이며, 이는 단위시간당 제작되는 제품의 생산량을 대비할 때 스태핑동작에 의한 것보다 높은 생산량을 제공하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된 것과 같이 본 발명은, 상자원지를 폴딩할 수 있는 장치와 그 장치를 제공하여 생산성의 향상과 수작업에 의해 발생되던 인건비의 지출을 해소하고, 제품의 불량률 감소에 따른 소비자의 신뢰도를 향상시키는 효과를 얻게 된다.

Claims (5)

  1. 프레임(100)과;
    상기 프레임(100)에 1개조 이상 다수개가 일렬로 설치되며, 작업될 상자원지(P)를 이송하기 위한 컨베이어(110)와;
    상기 컨베이어(110)의 일측 끝단부분의 프레임(100)에 설치되며, 상자원지(P)를 컨베이어 측으로 공급하는 공급 트레이(120)와;
    상기 프레임(100)에 설치되며, 이송되는 상자원지(P)의 상, 하면에 접착제를 도포하는 접착제 도포부(20, 60)와;
    상기 프레임(100)에 설치되며, 이송되는 상자원지(P)의 진행방향을 기준으로 상자원지(P)의 이송력에 의해 그 전단부를 상측으로 폴딩하는 1차 폴딩부(30)와;
    상기 프레임(100)에 설치되며, 이송되는 상자원지(P) 후단부를 복합적으로 폴딩하기 위해 목적하는 부분에 순차적으로 응력을 가해 폴딩될 방향을 지정하는 예비 폴딩부(40)와;
    상기 프레임(100)에 설치되며, 예비 폴딩부(40)에 의해 방향이 지정된 상자원지(P)의 부분을 후방에서 상측으로 폴딩하는 2차 폴딩부(50)와;
    상기 프레임(100)에 설치되며, 이송되는 상자원지(P)의 이송력에 의해 상자원지(P)의 양측이 상측으로 폴딩되도록 하는 3차 폴딩부(70)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병 포장용 상자 폴딩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예비 폴딩부(40)는
    프레임(100)에 양단이 지지되어 외부의 동력발생수단에 의해 동력을 전달받아 컨베이어(110)의 진행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되는 회전축(41)과;
    상기 회전축(41)에 1개조 이상 고정설치되어 회전축(41)의 회전에 의해 회전되며, 복합적으로 폴딩될 상자원지(P)의 부분 중 최초로 폴딩되어져야 할 부분에 응력을 가하는 킥커A(42)와;
    상기 회전축(41)에 1개조 이상 고정설치되어 회전축(41)의 회전에 의해 회전되며, 킥커A(42)에 의해 폴딩된 부분보다 이후에 폴딩되어야 할 부분에 응력을 가하는 킥커B(46)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병 포장용 상자 폴딩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킥커A(42)는
    회전축(41)과 고정결합되는 허브(43)와;
    상기 허브(43)에서 방사상 외측으로 1개 이상 장착되며, 회전되는 방향으로 절곡된 레그(44)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병 포장용 상자 폴딩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킥커B(46)는
    회전축(41)과 고정결합되는 허브(47)와;
    상기 허브(47)에서 방사상 외측으로 1개 이상 장착되며, 회전되는 방향의 반대방향으로 절곡된 레그(48)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병 포장용 상자 폴딩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100)에 설치되며, 이송되는 상자원지(P)에서 손잡이 부분이 되는 위치에 형성된 절취부(6)를 상측에서 가압절단하기 위해, 2개조로 분리되어 동작되도록 하여 트리밍 공간(L)이 형성되도록 하는 트리밍 컨베이어(11)와;
    상기 트리밍 공간(L) 상부에 구비되도록 프레임(100)에 설치된 설치브래킷(12)과;
    상기 설치브래킷(12)에 설치된 구동수단(19)과 결합되며, 하단부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트리밍 롤러(13)가 컨베이어(11)의 상면보다 낮은 높이로 유동됨에 의해 상자원지(P)의 절취부(6)를 가압절단하는 트리밍 부재(18)와;
    상기 설치브래킷(12)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컨베이어(11)에서 이송되는 상자원지(P)의 상면을 가압하는 가압롤러(14)로 이루어진 트리밍부(10)를 더 갖추어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병 포장용 상자 폴딩장치.
KR10-2000-0046798A 2000-08-12 2000-08-12 음료병 포장용 상자 폴딩장치 KR1003857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46798A KR100385704B1 (ko) 2000-08-12 2000-08-12 음료병 포장용 상자 폴딩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46798A KR100385704B1 (ko) 2000-08-12 2000-08-12 음료병 포장용 상자 폴딩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63955A true KR20000063955A (ko) 2000-11-06
KR100385704B1 KR100385704B1 (ko) 2003-06-09

Family

ID=196829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46798A KR100385704B1 (ko) 2000-08-12 2000-08-12 음료병 포장용 상자 폴딩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8570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21355A (ko) * 2005-08-18 2007-02-23 에이스기계 주식회사 휴대폰 포장상자용 단말기 보관부 폴딩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98805B1 (ko) 2019-10-14 2021-01-05 박성엽 포장상자용 칸막이 자동 폴딩 및 조립장치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58095B2 (ja) * 1980-05-30 1985-12-18 大日本印刷株式会社 把手付カ−トンとその製造方法及び装置
JPS5832882A (ja) * 1981-07-18 1983-02-25 Kanebo Ltd 6−〔(ヘキサヒドロ−1h−アゼピン−1−イル)メチレンアミノ〕ペニシラン酸の新規エステルおよびその製造法
JPH0994895A (ja) * 1995-09-28 1997-04-08 San Eng Kk 4コーナー蓋付き内折り箱の製法
JPH1111401A (ja) * 1997-06-16 1999-01-19 Asia Haitetsukusu Kk ボトルケーサー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21355A (ko) * 2005-08-18 2007-02-23 에이스기계 주식회사 휴대폰 포장상자용 단말기 보관부 폴딩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385704B1 (ko) 2003-06-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456059A (en) Machine for and method of banding boxes
KR20130004390A (ko) 내용물 유지 웨브가 부착된 컨테이너 블랭크 및 컨테이너 블랭크로부터 형성된 컨테이너
US20240034496A1 (en) Packaging System
US11230396B2 (en) System and method for forming boxes from cardboard blanks
EP2287076B1 (en) Machine for cartoning products
MX2008015536A (es) Sistema de empacado de movimiento continuo.
JPH03148409A (ja) 寸法の異なる物品の包装装置
US20050079965A1 (en) Container forming machine
JPH04242503A (ja) 物品を包装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装置
JP7288685B2 (ja) 段ボール箱に物品を自動梱包する設備
KR20070095284A (ko) 부착되는 내용물 유지 웨브를 갖는 컨테이너 및 컨테이너블랭크 형성 장치 및 방법
KR100385704B1 (ko) 음료병 포장용 상자 폴딩장치
KR101530542B1 (ko) 용기를 복수로 포장하는 멀티 포장기
KR101539273B1 (ko) 용기를 한 개씩 포장하는 멀티 포장기
EP1047595B1 (en) Machine and method for loading a plurality of articles into a carton
EP1352834A3 (de) Vorrichtung zum Packen von flachen Gegenständen in Transportbehälter, insbesondere von flach gefalteten Faltschachteln in Umkartons
CN103068701A (zh) 制动装置
JPS58384B2 (ja) 箱形成装置
US7080493B2 (en) Machine for applying partly adhesive straps to relative products
JPH1111417A (ja) 物品仕分け装置
CN114313427B (zh) 一种肥皂包装机
US20210354416A1 (en) Combined machine to make laminar separators of products contained in boxes and crates
US20050079966A1 (en) Positioning apparatus for container forming machine
CN114313464B (zh) 包装设备上用于对包装盒的压膜装置
JP5964596B2 (ja) 搬送設備、及び、カートナー又は、段ボールケーサ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526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