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63549A - 컴퓨터를 이용한 교육장치 - Google Patents

컴퓨터를 이용한 교육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63549A
KR20000063549A KR1020000042009A KR20000042009A KR20000063549A KR 20000063549 A KR20000063549 A KR 20000063549A KR 1020000042009 A KR1020000042009 A KR 1020000042009A KR 20000042009 A KR20000042009 A KR 20000042009A KR 20000063549 A KR20000063549 A KR 2000006354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textbook
learning
recording medium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420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의성
Original Assignee
조정진
나이트스톰미디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정진, 나이트스톰미디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조정진
Priority to KR10200000420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00063549A/ko
Publication of KR200000635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63549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5/00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 G09B5/02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with visual presentation of the material to be studied, e.g. using film strip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01Constructional details related to the housing of computer displays, e.g. of CRT monitors, of flat display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G06F3/04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using active external devices, e.g. active pens, for receiving changes in electrical potential transmitted by the digitiser, e.g. tablet driving signa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1/04 - G06F1/32
    • G06F2200/16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1/16 - G06F1/18
    • G06F2200/161Indexing scheme relating to 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monitor
    • G06F2200/1611CRT monit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Electrically Operated Instructional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CRT 디스플레이 등의 표시장치, 키보드 등의 입력장치, 카셋트테이프 등의 기록매체를 사용하여 대화형식으로 학습을 하는 컴퓨터를 이용한 교육장치에 관한 것이다.
근래, 소형 컴퓨터(소위 퍼스널 컴퓨터, 퍼스컴)를 사용한 학습시스템이 발표되어 있는데 모두 단체의 소프트웨어로서 제공되어 있다. 즉, 학습자가 사용하고 있는 교과서에 관계없이 예컨대, 학년별로 특정한 내용을 기록한 자기테이프 혹은 자기디스크를 준비하거나, 또는 교과서마다 따로 따로 독립한 자기테이프 혹은 자기디스크를 준비하고 있었다.
이러한 시스템에 의하면, 전자의 경우에는 학교교육에 부합되는 학습을 할 수 없게 될 우려가 있으며, 또한 후자의 경우에도 교과서가 변경되었을 경우에 대응할 수 없게 되는 불편이 있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공통의 교재로 각종 교과서에 부합된 학습을 할 수 있는 컴퓨터를 이용한 교육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Description

컴퓨터를 이용한 교육장치{education device for computer}
본 발명은 CRT 디스플레이 등의 표시장치, 키보드 등의 입력장치, 카셋트테이프 등의 기록매체를 사용하여 대화형식으로 학습을 하는 컴퓨터를 이용한 교육장치에 관한 것이다.
근래, 소형 컴퓨터(소위 퍼스널 컴퓨터, 퍼스컴)를 사용한 학습시스템이 발표되어 있는데 모두 단체의 소프트웨어로서 제공되어 있다. 즉, 학습자가 사용하고 있는 교과서에 관계없이 예컨대, 학년별로 특정한 내용을 기록한 자기테이프 혹은 자기디스크를 준비하거나, 또는 교과서마다 따로 따로 독립한 자기테이프 혹은 자기디스크를 준비하고 있었다.
이러한 시스템에 의하면, 전자의 경우에는 학교교육에 부합되는 학습을 할 수 없게 될 우려가 있으며, 또한 후자의 경우에도 교과서가 변경되었을 경우에 대응할 수 없게 되는 불편이 있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공통의 교재로 각종 교과서에 부합된 학습을 할 수 있는 컴퓨터를 이용한 교육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1 - 본 발명에 관한 컴퓨터를 이용한 교육장치의 외관도.
도2 - 본 발명에 있어 컴퓨터를 이용한 교육장치의 블록구성도.
도3 - 오버레이시이트의 구체 예를 표시한 설명도.
도4 - 본 발명에 관한 교육장치의 동작을 표시한 플로챠트.
도5 - 본 발명에 있어 컴퓨터를 이용한 교육장치에 더하여 교과용 데이터
처리 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한 IC 메모리카드 처리장치의 블록구성도.
* 도면 부호의 설명
1... 교과서데이터 읽어내기 수단 2... 교과서데이터 기록매체
3... 학습내용데이터 읽어내기 수단 4... 학습내용 기록매체
5... 학습결과 써넣기·읽어내기 수단 6... 학습결과 기록매체
11... 표시장치 12... 입력장치 20... 주제어수단
본 발명의 컴퓨터를 이용한 교육장치는,
(a) 문자, 화상 등을 표시하는 표시장치와,
(b) 표시장치에 표시된 내용에 따라서 학습자가 응답을 입력하는 입력장치와,
(c) 교과서의 종류에 관한 교과서데이터와 각 교과서의 단원에 관한 단원데이터와, 각 단원으로 학습할 내용을 지정하기 위한 학습내용 지정데이터를 서로 관려지어서 미리 기록한 교과서데이터 기록매체와,
(d) 교과서데이터 기록매체로부터 교과서데이터, 단원데이터, 학습내용 지정데이터를 읽어내는 교과서데이터 읽어내기 수단과,
(e) 복수의 교과서에 대하여 공통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미리 준비한 설명데이터, 출제데이터 등의 학습내용 데이터를 학습내용 지정데이터와 대응시켜서 미리 기록한 학습내용 기록매체와,
(f) 학습내용 기록매체로부터 학습내용 데이터를 읽어내는 학습내용 데이터 읽어내기 수단과,
(g) 교과서 데이터 기록매체로부터 읽어낸 교과서데이터에 의거하여 교과서의 선택을 촉구하는 표시를 표시장치에 표시시키며, 입력장치로부터의 교과서 지정입력에 의거하여 지정된 교과서의 어느 단원을 학습할 것인가의 선택을 촉구하는 표시를 표시장치에 표시시키며, 입력장치로부터 학습자가 소망하는 단위지정 입력이 주어지면, 지정된 단원에 대응하는 학습내용 지정데이터에 의거하여 그 단원으로 학습할 학습내용을 표시장치에 표시시키는 주제어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관한 컴퓨터를 이용한 교육장치는 교과서데이터 기록매체와 학습내용 기록매체의 두 종류의 매체를 사용하여 대화 형식으로 학습을 한다. 교과서데이터 기록매체에는 교과서의 종류에 관한 데이터(교과서데이터), 단원에 관한 데이터(단원데이터), 단원으로 학습할 내용을 지정하기 위한 데이터(학습내용 지정 데이터)가 각각 서로 관련지어져서 기록되어 있다.
학습내용 기록매체에는 복수의 교과서에 대하여 미리 준비한 설명데이터, 출제데이터 등의 학습내용 데이터와 학습내용 지정 데이터와의 대응이 붙여져서 기록되어 있다.
또한, 상기 두 종류의 매체는 물리적으로 하나의 매체 내에 기록되어 있어도 좋다. 주제어 수단은 교과서데이터 읽어내기 수단을 통하여 교과서 데이터 기록매체에 기록되어 있는 교과서데이터, 단원데이터, 학습내용 지정데이터를 읽어내며, 우선 교과서데이터에 의거하여 교과서의 선택을 촉구하는 표시를 표시장치에 표시시킨다. 학습자는 자기가 사용하고 있는 교과서의 종류를 지정하기 위한 응답입력을 입력장치로부터 입력한다.
교과서의 지정이 되면 주제어 수단은 지정된 교과서의 단원데이터에 의거하여 어느 단원을 학습하는 것인가의 선택을 촉구하는 표시를 표시장치에 표시시킨다.
학습자가 입력장치를 사용하여 단원의 지정을 하면, 주제어 수단은 단원의 지정으로 특정된 학습내용 지정데이터에 의거하여 학습내용 데이터를 읽어내기 수단을 통하여 학습내용 기록매체로부터 그 단원에 해당하는 학습내용 데이터를 읽어내서 표시장치에 표시시킨다.
또한, 학습내용 기록매체로부터 이미 읽어낸 RAM 등의 일시 기록수단에 격납되어 있는 학습내용 데이터 중에서 주제어 수단은 학습내용 지정 데이터에 의거하여 해당되는 학습내용 데이터를 읽어내서 그 학습내용을 표시장치에 표시시킨다.
학습내용 지정데이터에 의거하여 학습내용 매체로부터 학습내용 데이터를 읽어내어 출제하는 구성이므로, 학습할 내용을 기록한 학습내용 기록매체를 각 교과서에 대하여 공통으로 할 수 있으며, 또한, 각 교과서에서의 학습순서에 따라 설명이나 출제를 할 수가 있다.
실시예
이하, 첨부도면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다.
또한, 각 도에서 동일 부호는 똑같은 대상을 표시하는 것으로 한다.
도1은 본 발명에 관한 컴퓨터를 이용한 교육장치의 외관도이며, 도2는 본 발명에 있어 컴퓨터를 이용한 교육장치의 블록구성도이다.
도면부호 1은 교과서데이터 읽어내기 수단이며, 구체적으로는 CPU 등으로부터 공급되는 기록매체의 신호를 대응하는 소정의 가청 주파수 신호로 변환하여 카셋트테이프 등의 기록매체에 기록함과 동시에 재생한 주파수 신호를 대응하는 기록매체의 신호로 재변환하여 출력하는 데이터용 카셋트테이프 레코더를 사용하여 구성하고 있다.
도면부호 2는 교과서데이터 기록매체이며, 구체적으로는 카셋트테이프를 사용하고 있다. 이 교과서 데이터 기록매체(2)에는 교과서의 종류에 관한 교과서데이터와 각 교과서의 단원에 관한 데이터와 각 단원으로 학습할 내용을 지정하기 위한 학습내용 지정데이터가 서로 관련지어져서 미리 기록되어 있다.
또한, 교과서 데이터 기록매체(2)로서는 카셋트테이프 이외에 자기디스크나 ROM 카트리지 등을 사용하는 것도 할 수 있다. 이 경우 교과서데이터 읽어내기 수단(1)은 자기디스크 구동장치나 ROM 카트리지와의 인터페이스(Interface) 회로 등으로 구성한다.
도면부호 3은 학습내용 데이터 읽어내기 수단이며, 교과서데이터 읽어내기 수단(1)과 똑같이 데이터용 카셋트테이프 레코더로 구성되어 있다.
도면부호 4는 학습내용 기록매체이며, 교과서데이터 기록매체(2)와 똑같이 카셋트테이프를 사용하고 있다. 이 학습내용 기록매체(4)에는 복수의 교과서에 대하여 공통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미리 준비한 설명데이터, 출제데이터 등의 학습내용이 학습내용 지정데이터와의 대응조치가 되어서 미리 기록되어 있다.
또한, 도2에서는 교과서데이터 읽어내기 수단(1)을 구성하는 카셋트테이프 레코더와 학습내용 데이터 읽어내기 수단(3)을 구성하는 카셋트테이프 레코더와의 두 대의 카셋트테이프 레코더를 마련하는 구성을 표시하였는데 도1과 같이 부호(1)로 표시되는 카셋트테이프 레코더를 한 대만 구비하여 우선 교과서데이터 기록매체(2)인 교과서데이터 카셋트테이프로부터 교과서데이터, 단원데이터, 학습내용 지정데이터의 읽어내기를 한 후에 학습내용 기록매체(4)인 학습내용 카셋트테이프로 교환하여 학습내용 데이터를 읽어내도록 하여도 좋다.
또한, 교과서데이터 기록매체(2)의 기록데이터량과 학습내용 기록매체(4)의 기록데이터량과의 합계의 데이터량이 하나의 기록매체(한 개의 카셋트테이프)에 격납될 수 있는 경우에는 하나의 기록매체(한 개의 카셋트테이프)에 교과서데이터와 학습내용데이터의 쌍방의 데이터 기록한 교과서데이터, 학습내용데이터 기록매체를 사용하여도 좋다.
또한, 도2와 같이 교과서데이터 읽어내기 수단(1)과 학습내용데이터 읽어내기 수단(3)과의 두 계통의 읽어내기 수단(카셋트테이프레코더)을 마련하는 구성은 학습을 개시한 이후 교재인 기록매체(카셋트테이프)의 교환을 요구받는 일은 없으므로 학습을 순조롭게 진행시킬 수가 있다.
또한, 이 실시예에서는 학습내용 기록매체(4)에 카셋트 테이프를 사용할 경우를 표시하였는데 학습내용 기록매체(4)에 랜덤액세스(random access)가 가능한 예컨대, ROM 카트리지 등을 사용할 경우에는 학습내용 읽어내기 수단(3)은 ROM 카트리지 등과의 인터페이스 회로 등으로 구성된다.
도면부호 5는 학습결과 데이터 써넣기·읽어내기 수단이며, 도면부호 6은 학습결과 기록매체이다. 학습결과 기록매체(6)는 구체적으로는 1C 메모리카드를 사용하여 구성하고 있다. 학습결과 데이터 써넣기·읽어내기 수단(5)은 1C 메모리카드로부터 된 학습결과 기록매체(6)를 착탈 자재하게 접속하는 코넥터부와, 1C 메모리카드에 써넣기 및 1C 메모리카드로부터의 읽어내기를 하기 위한 회로 등을 구비한다.
도면부호 11은 문자, 화상 등을 표시하기 위한 표시장치이며, CRT 디스플레이 장치를 사용하여 구성하고 있다.
도면부호 12는 학습자가 각종 입력을 하기 위한 입력장치이며, 키보드를 사용하여 구성하고 있다. 이 입력장치(12)는 조작면에 플렉시블(flexible)시이트를 사용한 키레스보드(Keyless board)(예컨대, 단추돌기 등이 없이 해당부분과 손가락 등의 접촉에 의한 정전용량의 변화 등을 검출하여 입력조작신호를 발생한다)를 채용하고 있으며, 그 조작면상에 오버레이시이트(overlay sheet)를 올려 놓으므로서 예컨대, 도3과 같이 학습할 내용에 따라서 입력할 항목의 변경이 가능하게 되도록 구성하고 있다.
이 오버레이시이트(13)의 변경은 각종 방법이 고려된다.
예컨대, (가) 학습내용 기록매체(4)에 기록된 각 학습내용마다 어느 오버레이시이트(13)를 사용할 것인가의 지시정보를 미리 기록하여 두고, 그 지시정보를 표시장치(11)에 표시하는 방법과, (나) 학습내용 기록매체(4)의 종류에 따라서, 오버레이시이트(13)를 특정하는 방법(이 경우에는 학습내용 기록매체(4)와 오버레이시이트(13)를 조합하여 공급, 판매등 할 수가 있다.) 등이 있다.
또한, 도1과 같이 게임용 조작반(14)을 사용하여도 회답입력이나 선택입력이 행하여지도록 배려되어 있다. 도2와 같이 주제어수단(20)은 CPU (주연산제어장치) (21)와 이 대화형 학습장치의 제어프로그램을 미리 격납한 ROM (읽어내기 전용메모리)(22)와 각종 기록매체(2)(4)로부터 읽어낸 각종 데이터 및 학습의 결과 등을 일시 기록하기 위한 RAM (써넣기·읽어내기 메모리)(23)과를 구비한 마이크로 컴퓨터 시스템을 구성하고 있다.
다음에 본 발명에 관한 컴퓨터를 이용한 교육장치의 동작을 도2 도시한 블록구성도 및 도4 도시한 동작 플로챠트(flow-chart)를 참조하여 설명하겠다.
우선 도시 않는 전원스위치가 투입되면, 주제어수단(20) 내의 CPU(21)는 ROM(22)에 미리 격납된 초기설정 프로그램을 기동하며, 교과서데이터 기록매체(2) 및 학습내용 기록매체(4)의 장치를 촉구하는 메세지를 표시장치(11)에 표시시킴과 동시에 과거의 학습결과에 의거하여 다음의 학습을 할 경우에는 학습결과 기록매체(6)의 장치를 촉구하는 메세지를 표시장치(11)에 표시시키며, 또한, 필요로 하는 각 기록매체(2)(4)(6)의 장착이 완료하면 읽어내기를 개시시키기 위하여 어느 키를 조작하면 좋은가의 조작가이던스를 표시장치(11)에 표시시킨다.(도4의 스텝(41))
그리고, 읽어내기 개시를 위한 키 조작이 이루어지면 주제어수단(20) 내의 CPU(21)는 지령신호 CC1에 의거하여 교과서데이터 읽어내기 수단(1)을 가동시키며, 이 교과서데이터 읽어내기 수단(1)에 장착된 교과서데이터 기록매체(2)로부터 교과서의 종류에 관한 교과서데이터, 각 교과서의 단원에 관한 데이터, 각 단원으로 학습할 내용을 지정하기 위한 학습내용 지정데이터를 읽어내며, 읽어낸 각 데이터를 RAM(23)의 소정의 영역에 따로 따로 저장한다.
다음에 주제어수단(20)은 지령신호 CC2에 의거 학습내용 데이터를 읽어내기 수단(3)을 가동시키며, 이 학습내용 데이터 읽어내기 수단(3)에 장착된 학습내용 기록매체(4)로부터 학습내용 데이터를 읽어내며, 읽어낸 학습내용 데이터를 RAM(23)의 소정의 영역에 따로 따로 저장한다.
여기서, 교과서데이터 기록매체(2)로부터 읽어낸 각 데이터와 학습내용 기록매체(4)로부터 읽어낸 학습내용 데이터와는 RAM(23) 내의 각각 다른 영역에 따로 저장되도록 되어 있다. 특히, 학습내용 지정데이터와 관련지어져 있는 각 학습내용 데이터는 학습내용 지정데이터에 의거하여 결정되는 RAM 아드레스에 각각 따로 저장함으로서 학습내용 지정데이터에 의거하여 대응하는 학습내용 데이터가 특정되도록 하고 있다.
또한, 이러한 RAM(23)로의 어드레스 지정은 ROM(22)에 미리 따로 저장된 제어 프로그램에 의거하여 제어된다.
학습결과 기록매체(6)가 장착되어 있지 않을 경우 및 학습결과 기록매체(6)가 장착되어 있으나, 과거의 학습결과에 관한 기록이 되어 있지 않은 경우 주제어 수단(20)은 교과서 데이터에 기록매체(2) 혹은 학습내용 기록매체(4)에 미리 기록되어 있는 학습내용의 타이틀에 관계되는 데이터에 의거하여 학습내용의 타이틀을 표시장치(11)에 소정의 시간을 표시시킨다.(도4의 스텝(42))
계속하여 주제어수단(20)은 교과서데이터 기록매체(2)로부터 읽어낸 교과서데이터에 의거하여 교과서의 종류(예컨대, 어느 출판사의 교과서이냐)를 선택하기 위하여 메세지를 표시장치(11)에 표시시킨다.(도4의 스텝(43))
학습자가 교과서의 종류를 특정하기 위한 입력을 입력장치(12)로부터 부여하면, 주제어수단(20)은 지정된 교과서의 어느 단원을 학습할 것인가의 선택을 하는 메세지를 표시장치(11)에 표시시킨다.(도4의 스텝(44))
학습자가 학습을 희망하는 단원을 지정하는 입력을 하면, 주제어수단(20)은 지정된 단원으로 학습할 내용을 지정하기 위한 학습내용 지정데이터에 의거하여 RAM(23)에 격납한 학습내용 데이터를 읽어내며, 읽어낸 학습내용을 표시장치(11)에 표시함으로서 학습할 내용의 설명이나 출제를 한다.(도4의 스텝(45))
학습자가 출제에 대한 회답을 오버레이시이트(13)의 해당개소(도3 참조)를 손가락 등으로 입력하면, 주제어수단(20)은 학습내용 데이터내에 미리 기록되어 있는 정해 데이터 등과의 비교를 하여, 회답의 정오표시를 한다. 오회답의 경우에는 학습내용 데이터내에 미리 기록되어서 힌트 데이터에 의거 힌트의 표시를 한다. 또한, 주제어수단(20)은 득점표시 등의 처리를 실행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관한 대화형 학습장치는 교과서 데이터 기록매체(2)에 각 교과서의 각 단원으로 학습할 내용을 지정하기 위한 학습내용 지정데이터를 미리 기록하여 둠과 동시에 학습내용 기록매체(4)에는 학습내용 지정데이터와의 대응을 붙여서 학습내용을 미리 기록하여 두는 구성으로 하였으므로, 각 교과서의 어느 단원에 대해서 학습하느냐의 지정이 이루어지면, 그 단원으로 학습할 내용을 표시장치(11)에 표시시켜서 대화형식의 학습을 하게 할 수가 있다.
여기서, 학습내용 기록매체(4)는 각종 교과서에 공통으로 작성하여 두며, 각 교과서의 어느 단원으로 어떠한 내용을 학습할 것인가의 데이터는 교과서데이터 기록매체(4)를 준비할 필요는 없으며, 공통의 학습내용 기록매체(4)를 사용하여 각 학습자가 자기 교과서에 맞는 내용으로 학습할 수가 있다.
또한, 교과서 등의 개정이 이루어져도 교과서 데이터 기록매체(2)의 기록내용을 변경하는 것만으로 족하며, 학습내용 기록매체(4)는 그대로 사용할 수가 있다.
이 실시예에서는 학습결과 기록매체(6)가 장착되어 있으며, 학습결과의 기록요구가 부여되었을 경우에 주제어수단(20)은 선택된 교과서에 관한 데이터, 학습한 단원에 관한 데이터, 학습내용에 관한 데이터, 회답의 정도, 힌트제공의 유무, 득점 등의 학습결과에 관한 학습결과 데이터를 학습결과 써넣기·읽어내기 수단을 통하여 학습결과 기록매체(6)에 기록하도록 구성하고 있으며, 또한, 과거의 학습결과에 관한 기록이 이루어져 있는 학습결과 기록매체(6)가 장착되어 있는 경우 도4의 스텝(42)의 타이틀 표시를 한 후에 주제어수단(20)은 학습결과 기록매체(6)로부터 읽어낸 과거의 학습결과 데이터에 의거하여, 그 학습자가 사용하고 있는 교과서의 종류나 전회 학습한 단원이나 학습내용을 파악함과 동시에 ROM(22) 내에 미리 등록하고 있는 학습내용 변경 프로그램을 가동시키며, 파악한 전회의 학습내용에 의거하여 다음의 출제를 하거나, 전회의 출제에서 잘못 회답이였던 문제나 힌트를 준 문제에 재차 출제하여 복습을 시키거나, 과거의 성적에 의거하여 출제의 레벨을 변경하는 등의 학습내용의 변경을 하도록 구성하고 있다.
이와 같이 이 실시예의 컴퓨터를 이용한 교육장치는 ROM(22) 내에 미리 등록한 학습내용 변경 프로그램을 주체로 하여 학습내용 변경수단을 구성하고 있으며, 학습결과 기록매체(6)에 학습결과 데이터를 기록하며, 새로운 학습에 즈음하여 전회의 학습결과 데이터를 읽어냄으로서 그때까지의 학습결과에 따라서 다음의 출제를 자동적으로 선택하거나, 출제하는 내용을 변경할 수가 있는 구성으로 하였으므로 각 학습자의 진도나 이해정도에 따라서 효과적인 학습을 시킬 수가 있다.
또한, 학습결과 기록매체(6)를 1C 메모리카드로 구성하였을 경우 그 지참은 용이함으로 각 학습자의 학습결과 기록매체(6)를 학교나 교사 등이 모아서 각 학습자의 성적을 축적하며, 종합평가(클래스 또는 학년의 점수순위등)를 부여하며, 또한, 각 학습자에의 지도내용을 학습결과 기록매체(6)에 써넣어서 반환한다고 하는 학습방법이 가능하게 된다. 이러한 종합처리는 지역적 또는 전국적 규모로도 가능하다.
도5는 이러한 교육용데이터 처리 시스템에 적용되는 IC 메모리 카드 처리장치의 블록구성도이다. 이 IC 메모리 카드 처리장치(61)는 학습결과 기록매체를 구성하는 IC 메모리카드(60)로부터 데이터를 읽어내며, 또한, IC 메모리카드(60)에의 데이터의 써넣기를 하기 위한 IC 메모리 카드용 입력출력수단(50)과, 데이터 연산처리수단(51)과, 키보드(52)와, CRT 디스플레이(53)와, 제어수단(55)으로 형성된다. 제어수단(55)은 CPU(56)와, ROM(57)와, RAM(58)을 구비한 컴퓨터 시스템으로 구성되어 있다.
IC 메모리카드용 입력출력수단(50)은 IC 메모리카드를 착탈 가능하게 접속하는 코넥터부와, 학습결과 데이터를 읽어내기 위한 읽어내기 수단과, 키보드(52)로부터 직접 입력된 데이터나 지도내용 또는 키보드(52)로 부터의 지령입력에 의거하여 처리된 데이터나 지도내용을 IC 메모리카드(60)에 써넣기 위한 써넣기 수단을 구비한다.
IC 메모리카드(60)로부터 읽어내어진 각 학습자의 학습결과 데이터는 학습자를 특정짓는 학습자 코드 데이터등과의 대응조치가 이루어져서 RAM(58)에 써 넣어져서 축적된다.
데이터 연산처리수단(51)은 RAM(58)에 축적된 복수의 학습자의 학습결과에 관련된 데이터를 읽어내며, 평균치, 순위, 편차치 등을 구하는 연산 키보드(52)로부터의 조작에 의거하여 실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들 학습결과의 축적이나 각종 연산을 하는 제어 프로그램은 ROM(57)에 미리 등록되어 있다. 그리고, 도5 도시한 IC 카드 메모리처리장치와, 도1 내지 도2 도시한 컴퓨터를 이용한 교육장치와를 조합함으로서 교육용 데이터 처리 시스템을 구축할 수가 있다.
또한, 이 실시예의 컴퓨터를 이용한 교육장치는 학습결과 기록매체에 학습결과를 기록하며, 새로운 학습에 즈음하여 그 내용을 읽어냄으로서 그때까지의 학습결과에 따라서 다음의 출제를 자동적으로 선택하거나 출제할 내용을 변경할 수 있는 구성으로 하였으므로 각 학습자의 진도나 이해정도에 따라서 효과적인 학습을 할 수가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관한 컴퓨터를 이용한 대화형 학습장치는 교과서 데이터 기록매체에 각 교과서의 각 단원으로 학습할 내용을 지정하기 위한 학습내용 지정데이터를 미리 기록하여 둠과 동시에 학습내용 기록매체에는 학습내용 지정데이터와의 대응을 조치하여 학습내용 데이터를 미리 기록하여 두는 구성으로 하였으므로 각 교과서의 어느 단원에 관하여 학습하는가의 지정이 이루어지면, 그 단원으로 학습할 내용을 표시장치에 표시시켜서 대화형식의 학습을 시킬수가 있다.
여기서, 학습내용 지정데이터에 의거하여 학습내용 기록매체로부터 학습내용 데이터를 읽어내어 출제하는 구성으로 하고 있으므로 학습할 내용을 기록한 학습내용 기록매체를 각 교과서에 대하여 공통으로 할 수 있으며, 또한, 각 교과서에 있어서의 학습순서에 따라서, 설명이나 출제를 할 수가 있으며, 각종 교과서에 대하여 공통의 학습내용 기록매체를 사용하여 각 학습자가 자기의 교과서에 알맞는 내용으로 학습할 수가 있다.
또한, 교과서의 개정이 이루어져도 교과서 데이터 기록매체의 기록내용을 변경하는 것만으로 족하며, 학습내용 기록매체는 그대로 사용할 수가 있다. 예컨대, 국어교재에 관해서는 교과서에 따라 한자나 숙어의 학습순서는 다르나, 당해 학번에서 학습하는 한자 및 숙어는 거의 같은 것에 착목하여 당해 학년에서 학습하는 한자나 숙어 등에 관련된 문제를 작성하여 학습내용 기록매체에 미리 기록하여 두면 교과서의 종류나 그 단원을 지정함으로서 대응하는 문제를 출제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되며, 교과서마다 각각의 소프트를 준비하여 둘 필요가 없으며, 학습내용 기록매체의 공통화가 가능하게 된다.

Claims (1)

  1. 문자, 화상 등을 표시하는 표시장치와, 이 표시장치에 표시된 내용에 따라서 학습자가 응답입력을 주는 입력장치와, 교과서의 종류에 관한 교과서데이터와, 각 교과서의 단원에 관한 단원데이터와, 각 단원으로 학습할 내용을 지정하기 위한 학습내용 지정데이터와를 서로 관련지어서 미리 기록한 교과서데이터 기록매체와, 이 교과서데이터 기록매체로부터 상기 교과서데이터, 단원데이터, 학습내용 지정데이터를 읽어내는 교과서데이터 읽어내기 수단과, 상기 복수의 교과서에 대하여 공통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미리 준비한 설명데이터, 출제데이터 등의 학습내용 데이터를 상기 학습내용 지정 데이터와 대응시켜서 미리 기록한 학습내용 기록매체와, 이 학습내용 기록매체로부터 상기 학습내용 데이터를 읽어내는 학습내용 데이터 읽어내기 수단과, 상기 교과서 데이터 기록매체로부터 읽어낸 교과서 데이터에 의거하여 교과서의 선택을 촉구하는 표시를 상기 표시장치에 표시시키며, 입력장치로부터의 교과서 지정 입력에 의거하여 지정된 교과서의 어느 단원을 학습할 것인가의 선택을 촉구하는 표시를 상기 표시장치에 표시시키며, 입력장치로부터 학습자가 소망하는 단원지정 입력이 주어지면, 지정된 단원에 대응하는 상기 학습내용 지정 데이터에 의거하여 그 단원으로 학습할 내용을 상기 표시장치에 표시시키는 주제어 수단과를 구비할 것을 특징으로 한 컴퓨터를 이용한 교육장치.
KR1020000042009A 2000-07-21 2000-07-21 컴퓨터를 이용한 교육장치 KR2000006354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42009A KR20000063549A (ko) 2000-07-21 2000-07-21 컴퓨터를 이용한 교육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42009A KR20000063549A (ko) 2000-07-21 2000-07-21 컴퓨터를 이용한 교육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63549A true KR20000063549A (ko) 2000-11-06

Family

ID=196792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42009A KR20000063549A (ko) 2000-07-21 2000-07-21 컴퓨터를 이용한 교육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00063549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6839B1 (ko) * 1999-06-08 2007-08-09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데이터 처리 장치, 데이터 처리 방법, 학습 장치, 학습방법, 및 매체
CN109885132A (zh) * 2019-04-15 2019-06-14 重庆工商职业学院 一种嵌入式计算机网络教学平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6839B1 (ko) * 1999-06-08 2007-08-09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데이터 처리 장치, 데이터 처리 방법, 학습 장치, 학습방법, 및 매체
CN109885132A (zh) * 2019-04-15 2019-06-14 重庆工商职业学院 一种嵌入式计算机网络教学平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106220B2 (en) Tactile graphic-based interactive overlay assembly and computer system for the visually impaired
US8464152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instructional help, at multiple levels of sophistication, in a learning application
Wyatt Computers and ESL. Language in Education: Theory and Practice, No. 56.
Dunkel Computer-assisted instruction (CAI) and computer-assisted language learning (CALL): Past dilemmas and future prospects for audible CALL
Chapelle et al. Language lessons on the PLATO IV system
JP2516323B2 (ja) 対話型学習装置
JPH0679197B2 (ja) 対話型学習装置
WO2019246174A1 (en) Symbol manipulation educational system and method
Buck et al. Development of the IBM 1500 computer-assisted instructional system
KR20000063549A (ko) 컴퓨터를 이용한 교육장치
JPH065449B2 (ja) 対話型漢字学習装置
Boyle et al. Reading's SLiCK with new audio texts and strategies
Richards et al. A checklist for evaluation of courseware authoring systems
KR0148336B1 (ko) 다중 외국어 학습기
HOSIE et al. PILOTing courseware
JP2780893B2 (ja) 学習システム
Chapelle et al. Authoring System for Courseware Development: What Should Beginners Look For?
Allen The cybernetic centaur: Advances in computer-assisted instruction
Marty Computer-Aided Instruction: Language Teachers and the Man of the Year.
JPS63285576A (ja) 対話型学習装置
JPH0581905B2 (ko)
KR20020046080A (ko) 컴퓨터를 이용한 개별 학습용 수학 문제은행 시스템
JPS63137288A (ja) 教育用学習装置
Mitrevski Russian hyperTutor: Designing interactive multimedia for the macintosh
Kaplan et al. A design for an interactive videodisc training program for the Sun Work-st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