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63215A - 종이모종포트 - Google Patents

종이모종포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63215A
KR20000063215A KR1020000027114A KR20000027114A KR20000063215A KR 20000063215 A KR20000063215 A KR 20000063215A KR 1020000027114 A KR1020000027114 A KR 1020000027114A KR 20000027114 A KR20000027114 A KR 20000027114A KR 20000063215 A KR20000063215 A KR 2000006321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per
pot
seedlings
seedling
seedling po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271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양철
Original Assignee
양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철 filed Critical 양철
Priority to KR10200000271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00063215A/ko
Publication of KR200000632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63215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9Receptacles for seedlings
    • A01G9/0291Planting receptacles specially adapted for remaining in the soil after planting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4/00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 A01G24/40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ir structur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9Receptacles for seedlings
    • A01G9/0293Seed or shoot recepta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5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living organisms, articles or materials sensitive to changes of environment or atmospheric conditions, e.g. land animals, birds, fish, water plants, non-aquatic plants, flower bulbs, cut flowers or foliage
    • B65D85/5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living organisms, articles or materials sensitive to changes of environment or atmospheric conditions, e.g. land animals, birds, fish, water plants, non-aquatic plants, flower bulbs, cut flowers or foliage for living plants; for growing bulb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Botan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volutionary B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Toxicology (AREA)
  • Zo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옮겨심기 위하여 기른 씨앗의 싹을 심는데 사용하는 모종포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모종포트를 양면에 썩는 비닐이 코팅된 종이재로서 제작하여 일정기간이 경과한 뒤에는 저절로 썩어 없어지도록 하면서 모종포트의 하부에는 배수구멍을 흙이 빠져나가지 않도록 "+"자형태의 절개부를 형성하며, 종이모종포트의 내주면에는 숯패드를 삽입시켜서 벌레들이 접근하지 못하게 함과 동시에 모종이나 묘목의 잔뿌리를 많게하고 생장을 촉진하도록 하는 종이모종포트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종이모종포트는, 종이재(2)의 양면에 썩는 비닐이 코팅된 옆지(4)의 하단부를 내향 절곡시켜 내향절곡부(5)를 형성한 뒤에, 내향절곡부(5)와 옆지(4)의 하단 내측면 사이로 종이재(2)의 양면에 썩는 비닐이 코팅되고 외주연이 하향 절곡된 밑지(6)의 절곡부(7)가 삽입된 상태로 밀봉 부착되고, 상기 밑지(6)에는 중앙에 3∼6mm 크기의 배수구멍(8)를 형성한 뒤에 배수구멍(8)에 방사상으로 "+"자 형태의 절개부(9)를 형성하며, 상기 종이모종포트(1)의 내주면에는 숯분말이 혼합되어 성형된 숯패드(10)가 삽입된 것으로서, 종이모종포트가 종이재로 만들어져 일정기간이 경과한 뒤에는 흙속에서 스스로 썩어 없어져 환경의 오염을 방지할 수 있게하고, 종이모종포트의 내측에 삽입 설치된 숯패드(10)에 의해 벌레의 접근을 막아 종이모종포트에서 길러지는 모종이 병충해를 입지 않도록 함과 동시에 모종이나 묘목의 잔뿌리를 많게하고 생장을 촉진하도록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종이모종포트{A paper seedling pot}
본 발명은 옮겨심기 위하여 기른 씨앗의 싹을 심는데 사용하는 모종포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모종포트를 양면에 썩는 비닐이 코팅된 종이재로서 제작하여 일정기간이 경과한 뒤에는 저절로 썩어 없어지도록 하면서 모종포트의 하부에는 배수구멍을 흙이 빠져나가지 않도록 "+"자형태의 절개부를 형성하며, 종이모종포트의 내주면에는 숯패드를 부착시켜서 벌레들이 접근하지 못하게 함과 동시에 모종이나 묘목의 잔뿌리를 많게하고 생장을 촉진하도록 하는 종이모종포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모종 또는 묘목의 포트는 플라스틱제로 화분 형태로 사출 성형하여 제작되며, 이렇게 제작된 플라스틱제의 포트에 모종이나 묘목(이하 모종과 묘목을 모종이라 통칭한다)을 심어서 기르게 되는데, 이러한 플라스틱제의 포트에서 모종을 일정크기로 키운 뒤에는 플라스틱제의 포트에서 성장한 모종을 뽑아서 논이나 밭으로 옮겨 심은 뒤에는 플라스틱제의 포트를 재사용하거나, 또는 논과 밭에 마구 버려지게 된다.
논과 밭에 버려지는 플라스틱제의 포트는 그 재질의 특성상 흙속에서 썩지 않아 토양환경을 오염시키게 되는 문제가 있고, 이러한 플라스틱제의 포트에서 모종을 키운 뒤 논이나 밭으로 옮겨 심고자할 경우에는 플라스틱제의 포트에서 일정크기로 키운 모종을 받드시 분리한 상태로 옮겨 심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고, 그로인하여 생산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모종포트를 종이재로 만들어 모종포트가 흙속에서 일정기간 이 경과하면 스스로 썩어서 환경을 오염시키지 않도록 하면서, 모종이 모종포트에서 일정한 크기로 커서 논이나 밭에 옮겨 심을 때 종이 모종포트에서 잘 키운 모종을 종이 모종포트에서 분리하지 않고 종이모종포트와 함께 옮겨 심을 수 있도록 하여 작업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종이모종포트의 내측에 숯패드를 삽입시켜서 벌레들이 접근하지 못하게 함과 동시에 모종이나 묘목의 잔뿌리를 많게하고 생장을 촉진하도록 한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종이모종포트는, 종이재의 양면에 썩는 비닐이 코팅된 옆지의 하단부를 내향 절곡시켜 내향절곡부를 형성하고, 내향절곡부와 옆지의 하단 내측면 사이로 종이재의 양면에 썩는 비닐이 코팅되고 외주연이 하향 절곡된 밑지의 절곡부가 삽입된 상태로 밀봉 부착되며, 상기 밑지에는 중앙에 소정크기의 배수구멍를 형성한 뒤에 배수구멍에 방사상으로 "+"자 형태의 절개부를 형성하며, 상기 종이모종포트의 내주면에는 숯분말이 혼합되어 성형된 숯패드가 삽입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종이모종포트의 단면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저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종이모종포트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종이모종포트 2 : 종이재 3 : 비닐코팅층
4 : 옆지 5 : 내향절곡부 6 : 밑지
7 : 절곡부 8 : 배수구멍 9 : 절개부
10 : 숯패드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 1 내지 도 3을 참고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종이모종포트의 단면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저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종이모종포트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먼저, 옆지(4)와 밑지(6)는 도 1 및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종이재(2)의 양면에 썩는 비닐이 코팅되어 종이재(2)의 양면에 비닐코팅층(3)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양면에 비닐코팅층(3)을 형성한 옆지(4)의 하단부를 내향 절곡시켜 내향절곡부(5)를 형성한 뒤에, 내향절곡부(5)와 옆지(4)의 하단 내측면 사이로 종이재(2)의 양면에 썩는 비닐이 코팅되고 외주연이 하향 절곡된 밑지(6)의 절곡부(7)가 삽입된 상태로 밀봉 부착되고, 상기 밑지(6)에는 중앙에 소정크기의 배수구멍(8)이 형성되며, 배수구멍(8)에는 방사상으로 "+"자 형태의 절개부(9)가 형성되어 있다.
도 3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이실시예는, 양면에 썩는 비닐이 코팅된 옆지(4)와 밑지(6)가 결합된 구성과, 밑지(6)에 배수구멍(8)과 절개부(9)를 형성한 구성은 일실시예와 동일하나, 단지 다른 점은 종이모종포트(1)의 내주면에 숯분말이 혼합되어 성형된 숯패드(10)가 삽입된 것이다.
상기 숯패드(10)는 종이재와 숯분말을 혼합하여 성형하거나, 썩는 비닐이나 직물지에 숯분말을 혼합하여 성형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어 있는 본 발명의 작용 관계를 도 1 내지 도 3을 참고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종이모종포트(1)에 모종을 기르기 위해서는 종이모종포트에 흙을 담으면 종이모종포트의 내측에 담겨지는 흙의 무게에 의해 배수구멍(8)에 "+"자 형태로 절개된 절개부(9) 사이의 (11) 도 1에서와 같이 아래로 처지면서 벌어져 절개부(9)의 틈새가 벌어지게 된다.
상기와 같이 (11)가 아래로 처질 때 밑지(6)가 옆지(4)의 하단으로부터 소정의 높이(h)만큼 간격을 두고 설치되어서 그 높이공간 한도내에서 (11)가 처질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종이모종포트에 흙을 담을 때 배수구멍(8)의 크기가 3∼6mm 정도로 작기 때문에 흙이 그 작은 배수구멍(8)으로 빠져 나가지 않게되며, 이렇게 종이모종포트에 흙을 담은 뒤에는 그 흙에 모종을 심어서 모종을 기를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종이모종포트에 모종을 심어서 기르는 과정에서 종이모종포트의 내주면에 삽입된 숯패드(10)의 숯성분에 의해 벌레들이 접근하는 것을 방지함과 아울러 모종의 잔뿌리를 많게하고 생장을 촉진시키게 된다.
이렇게 종이모종포트에서 모종을 기르는 과정에서 물을 주면 그 물은 종이모종포트 안에 담겨진 흙속으로 스면들면서 모종에 양분을 제공하게 하고, 흙속으로 스며들다 종이모종포트의 바닥까지 스며들며 내려간 물기는 배수구멍(8)과 절개부(9)의 벌어진 틈새를 통하여 하측으로 배수된다.
상기와 같이 종이모종포트에서 모종을 길러서 옮겨심을 만큼 성장하면, 종이모종포트에서 모종을 뽑아서 논이나 밭, 그 밖에 큰 화분으로 옮겨심는다. 이렇게 모종을 뽑아낸 종이모종포트는 모종을 기르는 동안 일정기간이 경과한 것이므로 썩는 등의 손상된 상태이다.
이렇게 손상된 종이모종포트의 처리는 한곳에 모아서 소각시키는 것이 보편적인 방법인데, 본 발명의 종이모종포트가 종이재로 만들어졌기 때문에 연소가 쉽게되고, 연소하는 과정에서 환경오염물질을 발생시키지도 않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사용을 마친 종이모종포트를 한곳에 모아서 소각시키는 경우도 있겠으나, 논이나 밭등에 마구 버려지는 경우도 있을텐데, 본 발명의 종이모종포트가 위에서도 언급한 바와 같이 썩는 비닐이 코팅된 종이재로 만들어져서 논과 밭등에 버린 경우에도 일정기간이 경과하면 땅속에서 썩어지면서 분해되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종이모종포트는, 모종포트를 종이재로 만들어 모종포트가 흙속에서 일정기간 이 경과하면 스스로 썩어서 환경을 오염시키지 않는 효과와, 모종이 모종포트에서 일정한 크기로 성장하여 논이나 밭에 옮겨 심을 때 종이 모종포트에서 잘 키운 모종을 종이 모종포트에서 분리하지 않고 종이모종포트와 함께 옮겨 심을 수 있어서 작업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종이모종포트의 내측에 숯패드를 삽입시켜서 벌레들이 접근하지 못하게 함과 동시에 모종이나 묘목의 잔뿌리를 많게하고 생장을 촉진시키는 등의 또 다른 효과를 아울러 지니고 있는 것이다.

Claims (2)

  1. 종이재(2)의 양면에 썩는 비닐이 코팅된 옆지(4)의 하단부를 소정의 높이(h)만큼 내향 절곡시켜 내향절곡부(5)를 형성하고, 내향절곡부(5)와 옆지(4)의 하단 내측면 사이로 종이재(2)의 양면에 썩는 비닐이 코팅되고 외주연이 하향 절곡된 밑지(6)의 절곡부(7)를 삽입시킨 상태로 밀봉 부착하며,
    상기 밑지(6)에는 중앙에 3∼6mm 크기로 배수구멍(8)를 형성한 뒤에 배수구멍(8)에 방사상으로 "+"자 형태의 절개부(9)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이모종포트.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종이모종포트의 내주면에는 숯분말이 혼합되어 성형된 숯패드(10)가 삽입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이모종포트.
KR1020000027114A 2000-05-19 2000-05-19 종이모종포트 KR2000006321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27114A KR20000063215A (ko) 2000-05-19 2000-05-19 종이모종포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27114A KR20000063215A (ko) 2000-05-19 2000-05-19 종이모종포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63215A true KR20000063215A (ko) 2000-11-06

Family

ID=196693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27114A KR20000063215A (ko) 2000-05-19 2000-05-19 종이모종포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00063215A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30001082U (ko) * 1981-09-04 1983-10-10 조진상 육묘용 폿트
JPH022303A (ja) * 1988-06-09 1990-01-08 Agency Of Ind Science & Technol 農業用シートの製造方法
EP0429050A1 (de) * 1989-11-23 1991-05-29 Ulrich Pfeffer Wegwerftopf zur Aufzucht von Pflanzen
JPH0591294U (ja) * 1992-05-19 1993-12-14 勝造商事株式会社 植木ポット
KR980000026U (ko) * 1996-06-24 1998-03-30 권혁중 화분
KR200170421Y1 (ko) * 1999-08-31 2000-02-15 박승근 양면이 비닐 코팅처리된 종이로 만들어진 화분
KR20000007132U (ko) * 1998-09-22 2000-04-25 송완근 시트형 보조 파종묘판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30001082U (ko) * 1981-09-04 1983-10-10 조진상 육묘용 폿트
JPH022303A (ja) * 1988-06-09 1990-01-08 Agency Of Ind Science & Technol 農業用シートの製造方法
EP0429050A1 (de) * 1989-11-23 1991-05-29 Ulrich Pfeffer Wegwerftopf zur Aufzucht von Pflanzen
JPH0591294U (ja) * 1992-05-19 1993-12-14 勝造商事株式会社 植木ポット
KR980000026U (ko) * 1996-06-24 1998-03-30 권혁중 화분
KR20000007132U (ko) * 1998-09-22 2000-04-25 송완근 시트형 보조 파종묘판
KR200170421Y1 (ko) * 1999-08-31 2000-02-15 박승근 양면이 비닐 코팅처리된 종이로 만들어진 화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70061053A (ko) 식물 발아용 폿트
JPH01225421A (ja) 苗木の植付方法
CN203057922U (zh) 一种园艺盆栽植物的花盆
WO2008114953A1 (en) Planting mat for tree
GB2287169A (en) Container for plants
JP2008206429A (ja) 植生用堆肥ブロックおよび堆肥ブロックを用いた栽培方法
KR101146786B1 (ko) 육묘 트레이를 이용한 식물 식재 및 이식방법 및 그 육묘 트레이
KR20000063215A (ko) 종이모종포트
US20080276526A1 (en) Nutrient supplying bag for plants
JP2001148944A (ja) 育苗セット及び育苗方法
KR20140022093A (ko) 주머니형 식물 재배기
JPH1118563A (ja) 長芋等の栽培箱と、それを使用する長芋等の栽培方法
CN212324903U (zh) 一种林业育苗箱
CN219660491U (zh) 一种园林地被种植用育苗穴盘
CN217905362U (zh) 一种可拆卸式植株种植盆
JPH09131137A (ja) プランター
CN213095113U (zh) 一种提高祁连圆柏幼苗成活率的育苗盘
CN209861750U (zh) 一种土培容器
JP2002070020A (ja) 生分解性プラスチック植栽容器、該容器を用いた植栽物の育苗方法、及び緑化工法
JP3038472U (ja) 植木ポット
KR200432606Y1 (ko) 육묘포트
KR200300147Y1 (ko) 젤라틴을 이용한 생분해성 육묘용 포트
RU2109439C1 (ru) Емкость для выращивания растений
KR100484066B1 (ko) 수목이식방법
JP2002027837A (ja) ネットプランタ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