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62956A - 재생 장치, 기록 및 재생 시스템, 재생 방법, 및 기록 및재생 방법 - Google Patents

재생 장치, 기록 및 재생 시스템, 재생 방법, 및 기록 및재생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62956A
KR20000062956A KR1020000013839A KR20000013839A KR20000062956A KR 20000062956 A KR20000062956 A KR 20000062956A KR 1020000013839 A KR1020000013839 A KR 1020000013839A KR 20000013839 A KR20000013839 A KR 20000013839A KR 20000062956 A KR20000062956 A KR 2000006295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dentification information
program
recording
reproduction
reproduc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138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11681B1 (ko
Inventor
아라마끼준이찌
오바아끼라
Original Assignee
이데이 노부유끼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데이 노부유끼,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filed Critical 이데이 노부유끼
Publication of KR200000629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629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116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11681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00086Circuits for prevention of unauthorised reproduction or copying, e.g. piracy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00086Circuits for prevention of unauthorised reproduction or copying, e.g. piracy
    • G11B20/00731Circuits for prevention of unauthorised reproduction or copying, e.g. piracy involving a digital rights management system for enforcing a usage restriction
    • G11B20/00746Circuits for prevention of unauthorised reproduction or copying, e.g. piracy involving a digital rights management system for enforcing a usage restriction wherein the usage restriction can be expressed as a specific number
    • G11B20/00753Circuits for prevention of unauthorised reproduction or copying, e.g. piracy involving a digital rights management system for enforcing a usage restriction wherein the usage restriction can be expressed as a specific number wherein the usage restriction limits the number of copies that can be made, e.g. CGMS, SCMS, or CCI flags
    • G11B20/0076Circuits for prevention of unauthorised reproduction or copying, e.g. piracy involving a digital rights management system for enforcing a usage restriction wherein the usage restriction can be expressed as a specific number wherein the usage restriction limits the number of copies that can be made, e.g. CGMS, SCMS, or CCI flags wherein the copy frequency, i.e. the number of copies in a given time period, is limited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MCODING; DECODING; CODE CONVERSION IN GENERAL
    • H03M13/00Coding, decoding or code conversion, for error detection or error correction; Coding theory basic assumptions; Coding bounds; Error probability evaluation methods; Channel models; Simulation or testing of codes
    • H03M13/03Error detection or forward error correction by redundancy in data representation, i.e. code words containing more digits than the source word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MCODING; DECODING; CODE CONVERSION IN GENERAL
    • H03M13/00Coding, decoding or code conversion, for error detection or error correction; Coding theory basic assumptions; Coding bounds; Error probability evaluation methods; Channel models; Simulation or testing of codes
    • H03M13/03Error detection or forward error correction by redundancy in data representation, i.e. code words containing more digits than the source words
    • H03M13/05Error detection or forward error correction by redundancy in data representation, i.e. code words containing more digits than the source words using block codes, i.e. a predetermined number of check bits joined to a predetermined number of information bits
    • H03M13/09Error detection only, e.g. using cyclic redundancy check [CRC] codes or single parity bi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robability & Statistics with Application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ignal Processing For Digital Recording And Reproducing (AREA)
  • Management Or Editing Of Information On Record Carriers (AREA)

Abstract

개인의 사용 한도를 초과하는 유저에 의한 고속 더빙 기능의 사용이 저작권 보호를 위해 억제될 수 있는 기록 매체 상에 기록된 프로그램을 재생하는 재생 장치가 개시된다. 재생 장치는 기록 매체 상에 기록된 프로그램을 재생하는 재생 수단, 재생 수단의 동작에 응답하여 시간 카운팅 동작을 시작하는 시간 카운팅 수단, 기록 매체 또는 프로그램을 식별하기 위해 식별 정보를 검출하는 검출 수단, 시간 카운팅 수단에 대응하여 검출 수단에 의해 검출된 식별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 저장된 식별 정보와 검출된 식별 정보를 비교하는 비교 수단, 및 저장된 식별 정보와 검출된 식별 정보가 서로 동일하다는 것을 상기 비교 수단이 판정할 때,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시간 카운팅 수단의 시간 카운팅이 선정된 시간에 도달할 때까지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프로그램의 재생 수단에 의한 재생을 억제하는 제어 수단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재생 장치, 기록 및 재생 시스템, 재생 방법, 및 기록 및 재생 방법{REPRODUCTION APPARATUS, RECORDING AND REPRODUCTION SYSTEM, REPRODUCTION METHOD, AND RECORDING AND REPRODUCTION METHOD}
본 발명은 더빙 기록을 위한, 예를 들면 한 기록 매체로부터 재생된 음성 정보가 다른 기록 매체 상에 기록되는, 재생 장치, 기록 및 재생 시스템, 재생 방법, 및 기록 및 재생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음성 데이터가 기록되고 재생될 수 있는 디스크 매체, 예를 들어 미니 디스크(MD: 상표) 및 이러한 디스크 매체용으로 준비된 기록 및 재생 장치가 널리 보급되어 있다.
또한, 음성 시스템, 예를 들어 MD용으로 준비된 기록 및 재생 장치인 MD 레코더/플레이어와 CD 플레이어 등의 조합을 사용하는 음성 시스템이 널리 보급되어 있다.
그런데, 상술된 바와 같은 MD 레코더/플레이어와 CD 플레이어를 포함하는 이러한 시스템에 있어서, 음성 데이터는 "프로그램"이라는 단위로 관리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프로그램"이라는 용어는 디스크 상에서 하나의 단위로서 관리되고 기록되는 한 그룹의 데이터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하나의 튠(tune)(보통 "트랙"이라 함)에 대한 음성 데이터는 하나의 프로그램을 형성한다. 그러므로, 다음 설명에서 프로그램은 트랙으로서도 언급될 수 있다.
상술된 바와 같은 이러한 음성 시스템은 일반적으로 CD 플레이어에 의해 재생된 음성 데이터가 MD 레코더/플레이어에 의해 MD 상으로 기록되는 더빙 기록을 실행할 수 있다.
또한, 기록 시간을 최소화하기 위해 고속 더빙을 실행하도록 설계된 시스템이 이용 가능하다.
고속 더빙에 있어서, CD 플레이어의 디스크 회전 구동 제어 시스템 및 재생 신호 처리 시스템은 CD가 정상적인 재생 시의 표준 속도보다 빠르게 선정된 두배(여러배)의 속도로 재생되도록 제어된다. 또한, MD 레코더/플레이어측에서, 기록 회로 시스템은 CD의 재생 속도에 대응하는 두배(여러배)의 속도로 동작하여 CD 플레이어에 의해 재생된 음성 데이터를 MD 상으로 기록하도록 제어된다.
예를 들어, 재생 장치로서 기능하는 CD 플레이어와 기록 장치로서 기능하는 MD 레코더/플레이어가 일체로 내장된 장치에 있어서는, 상술된 바와 같은 고속 더빙을 실행하기 위해 선정된 두배(여러배)의 속도로 동시에 동작하도록 CD 플레이어와 MD 레코더/플레이어를 제어하는 것이 용이하다. 또한, 기록 장치와 재생 장치가 별개의 장치로 형성된 다른 시스템에 있어서는, 예를 들어 재생 장치와 기록 장치 사이의 통신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재생 장치와 기록 장치를 서로 접속하는데 데이터 제어용 케이블이 사용되면, 기록 장치와 재생 장치의 동작은 고속 더빙을 실현하기 위해 서로 동기하여 용이하게 제어될 수 있다.
그러나, 상술된 이러한 고속 더빙이 튠 형태 등의 작업의 보호 관점에서 고려되는 경우에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을 나타낸다.
기본적으로, 더빙 행위는 예를 들어 튠과 같은 작업의 데이터 중복이므로 저작권의 소유자에게는 덜 유리하기 때문에 가능하면 금지될 행위로 인식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고속 더빙이 실행된다. 이것은 표준 속도에서의 정상 더빙과 비교할 때 단위 시간 당 상당 수의 튠(트랙)이 더빙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여기에서, 예를 들어 어떤 유저가 다수의 복제품을 얻기 위해 상식적인 개인의 사용 한도를 초과하여 동일한 CD 또는 임의의 한 CD 상에 기록된 동일한 튠(트랙)을 다수의 MD 상에 카피하고, 이 동일한 내용들이 소정의 대상물에 카피된 MD를 사용하려 한다고 하자.
유저가 MD 상으로 튠을 카피하기 위해 고속 더빙 기능을 이용하면, 튠(트랙)이 카피된 MD는 표준 속도에서의 정상적인 더빙보다 짧은 시간에 효율적으로 생성될 수 있다. 요컨대, 고속 더빙은 저작권 침해를 조장하는 일면을 갖는다는 것이다.
상술된 저작권 문제에 대비하여, 예를 들어 고속 더빙 기능은 갖지 않고 표준 속도의 정상적인 더빙 기능만을 갖는 MD 레코더/플레이어와 같은 디지털 음성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 일반적인 대응책이다.
그러나, 단순히 고속 더빙을 금지하는 것은 짧은 시간에 더빙이 완료될 수 있는 장점을 일반 유저가 즐길 수 없기 때문에, 예를 들어 상식적인 개인의 사용 한도 내에서 더빙을 실행하는 일반 유저에게는 바람직하지 않다는 것을 알기 바란다.
본 발명의 목적은 개인의 사용 한도를 초과하는 유저에 의한 고속 더빙 기능의 사용이 저작권 보호를 위해 억제될 수 있는 재생 장치, 기록/재생 시스템, 재생 방법, 및 기록/재생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술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한 실시형태에 따르면, 기록 매체 상에 기록된 프로그램을 재생하는 재생 장치는 기록 매체 상에 기록된 프로그램을 재생하는 재생 수단, 상기 재생 수단의 동작에 응답하여 시간 카운팅 동작을 시작하는 시간 카운팅 수단, 기록 매체 또는 프로그램을 식별하기 위해 식별 정보를 검출하는 검출 수단, 상기 시간 카운팅 수단에 대응하여 상기 검출 수단에 의해 검출된 식별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 수단, 상기 저장 수단에 저장된 식별 정보와 상기 검출 수단에 의해 검출된 식별 정보를 비교하는 비교 수단, 및 상기 저장 수단에 저장된 식별 정보와 상기 검출 수단에 의해 검출된 식별 정보가 서로 동일하다고 비교 수단이 판정할 때,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시간 카운팅 수단의 시간 카운팅이 선정된 시간에 도달할 때까지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프로그램의 재생 수단에 의한 재생을 억제하는 제어 수단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따르면, 기록 및 재생 시스템은 제1 기록 매체 상에 기록된 프로그램을 재생하는 재생 장치, 및 재생된 프로그램을 제2 기록 매체 상에 기록하는 기록 장치를 포함하는데, 상기 재생 장치는 기록 매체 상에 기록된 프로그램을 재생하는 재생 수단, 상기 재생 수단의 동작에 응답하여 시간 카운팅 동작을 시작하는 시간 카운팅 수단, 기록 매체 또는 프로그램을 식별하기 위해 식별 정보를 검출하는 검출 수단, 상기 시간 카운팅 수단에 대응하여 상기 검출 수단에 의해 검출된 식별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 수단, 상기 저장 수단에 저장된 식별 정보와 상기 검출 수단에 의해 검출된 식별 정보를 비교하는 비교 수단, 및 상기 저장 수단에 저장된 식별 정보와 상기 검출 수단에 의해 검출된 식별 정보가 서로 동일하다고 비교 수단이 판정할 때,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시간 카운팅 수단의 시간 카운팅이 선정된 시간에 도달할 때까지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프로그램의 재생 수단에 의한 재생을 억제하는 제어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기록 장치는 상기 재생 수단에 의해 재생된 프로그램을 수신하는 입력 수단, 및 상기 입력 수단에 의해 수신된 프로그램을 제2 기록 매체 상으로 기록하는 기록 수단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형태에 따르면, 기록 매체 상에 기록된 프로그램을 재생하는 재생 방법은 기록 매체 상에 기록된 프로그램을 재생하는 재생 단계, 상기 재생에 응답하여 시간 카운팅 동작을 시작하는 시간 카운팅 단계, 기록 매체 또는 프로그램을 식별하기 위해 식별 정보를 검출하는 검출 단계, 상기 시간 카운팅 수단에 대응하여 검출된 식별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 단계, 저장된 식별 정보와 검출된 식별 정보를 비교하는 비교 단계, 및 저장된 식별 정보와 검출된 식별 정보가 서로 동일하다고 비교 단계에서 판정될 때,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시간 카운팅이 선정된 시간에 도달할 때까지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프로그램의 재생을 억제하는 제어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형태에 따르면, 제1 기록 매체 상에 기록된 프로그램을 재생하고, 재생된 프로그램을 제2 기록 매체 상으로 기록하는 기록/재생 방법은 기록 매체 상에 기록된 프로그램을 재생하는 재생 단계, 상기 재생에 응답하여 시간 카운팅 동작을 시작하는 시간 카운팅 단계, 제1 기록 매체 또는 프로그램을 식별하기 위해 식별 정보를 검출하는 검출 단계, 상기 시간 카운팅에 대응하여 검출된 식별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 단계, 저장된 식별 정보와 검출된 식별 정보를 비교하는 비교 단계, 저장된 식별 정보와 검출된 식별 정보가 서로 동일하다고 비교 단계에서 판정될 때,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시간 카운팅이 선정된 시간에 도달할 때까지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프로그램의 재생을 억제하는 제어 단계, 재생된 프로그램을 수신하는 입력 단계, 및 수신된 프로그램을 제2 기록 매체 상으로 기록하는 기록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과 그 밖의 다른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후속되는 설명과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명백해질 것이다. 또한, 도면 상의 동일 부호는 동일한 부품 또는 소자를 나타낸다.
도 1은 CD의 프레임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서브 코딩을 도시한 도면.
도 3a는 모드 1에서 CD의 Q 채널의 서브 포맷을 도시한 도면.
도 3b는 모드 2에서 CD의 Q 채널의 서브 포맷을 도시한 도면.
도 3c는 모드 3에서 CD의 Q 채널의 서브 포맷을 도시한 도면.
도 3d는 MD의 Q 채널의 서브 포맷을 도시한 도면.
도 4는 ISRC의 I1 내지 I5에서의 데이터 내에 배치된 값들의 명확한 내용을 나타낸 도면.
도 5의 (a)는 디지털 오디오 인터페이스의 I/O 포맷을 도시한 도면.
도 5의 (b)는 디지털 오디오 인터페이스의 서브 프레임을 도시한 도면.
도 6은 디지털 오디오 인터페이스의 U 비트 데이터를 도시한 도면.
도 7은 디지털 오디오 인터페이스의 C 비트 데이터를 도시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이 적용된 더빙 시스템을 포함하는 MD 레코더/플레이어 형태의 기록 장치의 내부 구성의 한 예를 도시한 블럭도.
도 9는 미니 디스크 시스템의 클러스터 포맷을 도시한 도면.
도 10은 미니 디스크 시스템의 U-TOC 섹터 0을 도시한 도면.
도 11은 미니 디스크 시스템의 U-TOC 섹터 0에 의해 제공된 링크의 한 형태를 도시한 도면.
도 12는 미니 디스크 시스템의 U-TOC 섹터 1을 도시한 도면.
도 13은 본 발명이 적용된 더빙 시스템을 포함하는 CD 플레이어 형태인 재생 장치의 내부 구성의 한 예를 도시한 블럭도.
도 14는 ISRC 관리 테이블 구성의 한 예를 도시한 도면.
도 15는 본 발명이 적용된 더빙 시스템의 고속 더빙 제어 동작을 실현하는 프로세싱 동작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
도 16은 도 15에 도시된 프로세싱 동작에 있어서 ISRC 대응 프로세싱을 도시한 플로우차트.
도 17은 도 15에 도시된 프로세싱 동작에 있어서 ISRC 관리 테이블의 관리 프로세싱을 도시한 플로우차트.
도 18은 본 발명이 적용된 더빙 시스템의 고속 더빙 제한 동작을 도시한 플로우차트.
도 19는 도 18에 도시된 프로세싱 동작에 있어서 ISRC 대응 프로세싱을 도시한 플로우차트.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MD 레코더/플레이어
3, 33 : 광학 헤드
6 : 자기 헤드 구동부
7 : RF 증폭기
8 : EFM/CIRC 인코더-디코더
9, 37 : 서보 회로
11, 41 : 시스템 제어기
12 : 메모리 제어기
13, 24 : RAM
14 : 음성 압축/신장 인코더-디코더
19, 47 : 조작부
20 : 표시부
22 : 무음 검출부
23 : 수광부
25, 40 : 디지털 I/F
27 : ROM
28 : 타이머
29, 45 : ISRC 관리 테이블
30 : CD 플레이어
38 : 신호 처리 회로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에 대해 설명하겠다. 양호한 실시예에 있어서, MD(미니 디스크) 레코더/플레이어는 기록 장치로서 사용되고, CD(컴팩트 디스크) 플레이어는 MD 레코더/플레이어에 의해 더빙이 실행될 때 프로그램 데이터를 공급하는 재생 장치로서 사용된다. 후술되는 MD 레코더/플레이어 및 CD 플레이어는 서로 별개의 장치로 형성되어 더빙 시에 서로 접속될 수 있고, 또한 하나의 단일 장치로서 형성될 수도 있다.
설명은 다음 순서로 진행된다.
1. 서브코드
2. 디지털 오디오 인터페이스
3. CD-MD 더빙 시스템
3-1. MD 레코더/플레이어의 구성
3-2. MD 트랙 포맷
3-3. U-TOC
3-4. CD 플레이어의 구성
4. 고속 더빙 시의 제한 동작
4-1. 제1 예
4-2. 제2 예
4-3. 제3 예
1. 서브 코드
먼저, CD(컴팩트 디스크) 및 MD(미니 디스크) 상에 기록된 서브 코드에 대해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겠다.
CD 시스템에 있어서, 종래 기술에 널리 공지되어 있는 바와 같이 기록될 데이터의 최소 단위는 1 프레임이고, 1 블럭은 98 프레임으로 구성된다.
1 프레임은 도 1에 도시된 구조를 갖는다. 특히, 도 1을 상세하게 참조하면, 1 프레임은 588 비트로 구성된다. 상부의 24 비트는 동기 데이터를 나타내고, 그 다음의 14 비트는 서브 코드 데이터 영역으로서 사용된다. 서브 코드 데이터 영역 다음 부분은 데이터 및 패리티 부분이다.
1 블럭은 상술된 구조를 갖는 98 프레임으로 구성되고, 98 프레임으로부터 추출된 서브 코드 데이터는 수집되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1 블럭의 서브 코드 데이터를 형성한다.
98 프레임 중의 제1 및 제2 프레임들(프레임 98n+1. 프레임 98n+2)로부터의 서브 코드 데이터는 동기화 패턴(S0, S1)을 나타낸다. 제3 내지 제98 프레임(프레임 98n+3 내지 프레임 98n+98)은 98 비트의 채널 데이터, 즉 P, Q, R, S, T, U, V 및 W 채널의 서브 코드 데이터를 형성한다.
서브 코드 데이터의 채널들 중에서, P 채널 및 Q 채널은 억세스 등의 관리에 사용된다. 그러나, P 채널은 단지 트랙들 사이의 중단 부분을 나타내고, Q 채널(Q1 내지 Q96)이 미세한 제어에 사용된다. CD의 경우, 98 비트의 Q 채널 데이터는 도 3a, 3b, 3c에 도시된 방식으로 구성된다.
널리 알려진 바와 같이, CD의 Q 채널 데이터는 서로 다른 모드, 즉 모드 1, 모드 2, 모드 3에서 내용이 서로 다르다.
먼저, 도 3a에 도시된 모드 1에서의 CD의 Q 채널 데이터에 대해 설명하겠다.
도 3a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상부 4개의 비트(Q1 내지 Q4)는 제어 데이터 CTL을 나타내고, 오디오 채널 번호, 엠파시스(강조), CD-ROM의 식별 등에 사용된다.
특히, 4 비트의 제어 데이터는 다음과 같은 방식으로 정의된다.
"0***"... 2-채널 오디오
"1***"... 4-채널 오디오
"*0**"... CD-DA(CD 디지털 오디오)
"*1**"... CD-ROM
"**0*"... 금지된 디지털 카피
"**1*"... 허용된 디지털 카피
"***0"... 프리-엠파시스 없음
"***1"... 프리-엠파시스 있음
제어 데이터 CTL의 경우, 요구된 값은 CD에 실제로 설정된 내용에 따라 배치된다. 이것은 이후 설명되는 모드 2 및 모드 3에서의 Q 채널 데이터의 데이터 CTL(Q1 내지 Q4)을 제어하는 데에도 유사하게 적용된다.
후속하는 4 비트(Q5 내지 Q8)는 어드레스 ADR을 나타내고, 비트(Q9 내지 Q80)의 데이터에 대한 제어 비트이다.
4 비트 어드레스가 "1"(십진수 "1")인 경우, 이것은 Q9 내지 Q80의 서브 Q 데이터가 모드 1의 오디오 CD의 Q 데이터인 것을 나타낸다.
Q9 내지 Q80의 72 비트는 서브 Q 데이터이고, 나머지 비트(Q81 내지 Q96)는 CRC를 나타낸다.
서브 코드의 내용으로서의 Q9 내지 Q80의 72 비트는 각각의 8 비트마다 도 3a에 도시된 정보를 나타낸다. 먼저, 트랙 번호(TNO)가 기록된다. 특히, 각각의 트랙(#1 내지 #n)은 값 "01"내지 "99"중의 한 값을 가진다. 독출 영역에서, 트랙 번호는 "AA"이다.
트랙 번호(TNO) 다음은 각각의 트랙이 더욱 미세하게 나누어질 수 있는 정보가 기록되는 인덱스(INDEX)이다.
트랙의 경과 시간에 따라, MIN(분), SEC(초) 및 FRAME(프레임 번호)가 표시된다.
또한, AMIN, ASEC 및 AFRAME에 있어서, 절대 시간 어드레스는 분(AMIN), 초(ASEC) 및 프레임 번호(AFRAME)로서 기록된다. 절대 시간 어드레스는 제1 트랙의 개시점에서 0분, 0초, 0프레임부터 시작하는 독출까지 연속적으로 인가된 시간 정보이다. 요컨대, 절대 시간 어드레스는 디스크 상의 모든 트랙의 관리를 위해 이루어진 절대 어드레스 정보이다.
도 3b는 모드 2에서의 Q 채널 데이터의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이 경우에 모드 2에서의 채널 데이터의 어드레스 ADR(Q5 내지 Q8)은 "10"(십진수 "2")이고, 이것은 Q9 내지 Q80의 후속 서브 Q 데이터가 모드 2에서 오디오 CD의 Q 데이터의 내용인 것을 나타낸다.
모드 2에서의 Q9 내지 Q80의 서브 Q 데이터에 있어서, 13개 숫자의 N1 내지 N13의 데이터(4 x 13 = 52 비트)가 배치된다. 또한, '0'의 데이터 부분은 데이터(N1 내지 N13) 다음에 배치되고, 그 다음에는 절대 시간의 프레임 번호(AFRAME) 및 CRC가 배치된다.
데이터(N1 내지 N13)는 CD의 제품 번호를 나타내는 식별 정보이고, 바 코딩에 사용된다.
도 3c는 모드 3에서의 Q 채널 데이터의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모드 3의 Q 채널 데이터는 연속적인 100개의 서브 코딩 블럭 내로 1회 이하 삽입되는 조건에 따라 CD의 설명서로서 삽입되는 것이 허용된다.
모드 3에서의 Q 채널 데이터의 어드레스 ADR(Q5 내지 Q8)은 "11"(십진수 "3")이고, 이것은 Q9 내지 Q80의 후속 서브 Q 데이터가 모드 3에서 오디오 CD의 Q 데이터의 내용인 것을 나타낸다.
모드 3에서의 Q9 내지 Q80의 서브 Q 데이터의 영역에 있어서, 60 비트의 I1 내지 I12로 구성된 ISRC(International Standard Recording Code)가 배치된다.
ISRC는 튠과 같은 트랙에 유일 번호(식별자)를 제공하는 정보이고, 예를 들어 저작권 관리를 위해 CD 상에 기록된 튠(트랙)을 상세 기입하기 위해 사용된 국제 표준 코드이다.
ISRC 다음에는 '0'의 비트 부분이 오고, 그 다음에는 절대 시간의 프레임 번호(AFRAME) 및 CRC가 차례로 온다.
ISRC를 구성하는 데이터 I1 내지 I12 중에서, 데이터(I1 내지 I5)는 각각 6비트로 형성되고, 그 값에 대응하는 문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포맷으로 규정된다. 데이터(I6 내지 I12)는 각각 4비트로 형성되고, BCD 표현으로 표시된다. 또한, 2비트 중 '0' 부분은 데이터(I1 내지 I5)와 데이터(I6 내지 I12) 사이에 삽입된다.
데이터(I1 내지 I2)의 12 비트는 컨트리(Country) 코드를 형성하고, 컨트리의 이름은 도 4에 설명된 정의의 내용에 따라 표현된 2개의 문자로 지정될 수 있다.
데이터(I3 내지 I5)의 18 비트는 오너(Owner) 코드를 형성하고, 24,480개의 서로 다른 오너는 도 4에 설명된 정의에 따라 표현된 2개의 알파벳과 2개의 문자- 숫자식 문자로 지정될 수 있다.
데이터(I6 내지 I7)의 8 비트는 BCD에 따라 4 비트의 데이터(I6 및 I7)로 숫자를 표시함으로써 기록 년도를 표시한다.
데이터(I8 내지 I12)의 20 비트는 BCD에 따라 4 비트의 데이터(I8 내지 I12)로 숫자를 표시함으로써 트랙의 일련 번호(기록의 일련 번호)를 표시한다.
상술된 바와 같은 정보를 포함하는 ISRC는 트랙(튠)을 지정할 수 있도록 각 트랙에 유일한 값을 갖는 서브 코드로서 삽입된다.
한편, 미니 디스크의 Q 채널 데이터의 구조는 도 3d에 도시된 바와 같다.
미니 디스크에 있어서, 트랙 번호(TNO), 인덱스 정보(INDEX) 및 CRC 코드는 제공되지만, 시간 정보는 추가되지 않는다.
또한, 제어 데이터 CTL(Q1 내지 Q4) 및 어드레스 ADR(Q5 내지 Q8)에 대응하는 미니 디스크의 이들 영역은 그 안에 "0"이 배치된다.
2. 디지털 오디오 인터페이스
그 다음에, 다수의 디지털 오디오 장치 사이의 디지털 오디오 인터페이스에 의한 데이터 전송에 사용된 포맷에 대해 설명하겠다.
도 5의 (a) 및 (b)는 디지털 오디오 인터페이스 포맷(이후, I/O 포맷이라 함)을 도시한 것이다.
I/O 포맷에 있어서, 하나의 프레임은 샘플링 기간(1/FS)에 의해 정해지고, 도 5의 (a)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기본 단위로서 사용된다. 한 프레임 내에서 좌측(L) 채널 및 우측(R) 채널의 디지털 출력 신호는 각각 LSB(least significant bit)로 시작하고 MSB(most significant bit)로 끝나는 좌측 채널에서 우측 채널로의 순서로 출력된다.
각각의 채널에 대응하는 데이터는 서브 프레임이라 칭해지고, 서브 프레임의 구성은 도 5의 (b)에 도시된다.
서브 프레임은 32 비트로 구성되고, 한 프레임은 좌측 및 우측 채널에 2개의 서브 프레임으로 구성된다.
서브 프레임의 상부 4 비트는 프리앰블을 나타내고, 서브 프레임의 식별 및 동기화에 사용된다.
다음 4 비트는 여분의 비트(AUX)이고, 그 다음에는 메인 데이터로서 20 비트의 음성 데이터 DA가 온다.
음성 데이터 DA 다음에는 1 비트의 V, U, C 및 P로 표시된 제어 데이터가 온다.
V 비트는 "0"일 때 서브 프레임 데이터가 유효(신뢰할 수 있음)하다는 것을 나타내고, "1"일 때 서브 프레임 데이터가 무효(신뢰할 수 없음)하다는 것을 나타내는 유효 플래그이다. 수신측 상의 장치는 유효 플래그에 기초하여 실행될 데이터 프로세싱 동작을 판정할 수 있다.
U 비트는 유저 데이터를 나타낸다. U 비트가 전송됨에 따라 서브 프레임으로부터 모아진 평균 1,176 비트의 데이터로서, 예를 들어 도 6에 도시된 제어 데이터, 즉 서브 코드가 표시된다.
먼저, 제0 및 제1 프레임에 대응하는 데이터로서, 도 2에 도시된 서브 코드 동기화 패턴이 배치된다. U 비트의 한 프레임이 도 6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12 비트로 형성되지만, 본 예에서 각 프레임의 최종 4 비트는 더미 비트라는 것을 알아야 한다.
후속하는 각각의 제2 내지 제97 프레임에 있어서, 개시 비트 "1"은 상부에 배치되고, 그 다음에 도 2에 도시된 서브 코드(Q 내지 W)의 데이터 및 4 비트의 더미 비트가 온다.
요컨대, 재생측 상의 CD, 미니 디스크 등의 서브 코드(Q 내지 W)의 데이터는 이들이 U 비트에 있는 것과 같이 배치된다. 도 6에서 2개의 연속적인 개시 비트들 사이의 거리가 12 비트이지만, 개시 비트들 사이의 거리는 더미 비트의 수를 변경시킴으로써 8 내지 16 비트 내에서 변경될 수 있다.
도 5의 (a) 및 (b)에 도시된 C 비트는 채널 상태 데이터를 나타낸다.
채널 상태에 있어서, 서브 프레임 내에 포함되고 서브 프레임으로부터 수집된 192개의 C 비트(1 워드)를 포함하는 데이터 포맷이 규정된다. 채널 상태의 포맷은 도 7에 도시된다.
전송측 장치가 가정용인지의 여부는 1 워드의 제1 비트(비트 0)에 기초하여 구별된다. 비트 1에서 비트 5까지의 다음 5 비트는 제어 정보를 나타낸다. 예를 들어, 비트 2는 저작권을 보호하기 위한 식별 비트이고, 비트 3은 엠파시스가 포함되어 있는 지에 관한 식별 비트이다.
그 다음의 비트 8에서 비트 15까지의 비트는 카테고리 코드 CC를 나타낸다. 비트 15는 L 비트라 칭해지고, 디지털 오디오 데이터의 생성을 나타낸다. 일반적으로, 비트 15는 시판중인 기록된 소프트웨어에서 "1"이다. 비트 8에서 비트 14까지의 비트는 전송측 장치에 따라 인가된 특정 코드를 나타낸다.
예를 들어, 전송측 장치가 미니 디스크 시스템이면, 카테고리 코드 CC는 "1001001l"이지만, 전송측 장치가 컴팩트 디스크 시스템이면, 카테고리 코드 CC는 "1000000L"이라고 규정되어 있다.
후속하는 비트 16에서 비트 19까지의 비트는 소스측의 번호를 나타내고, 동일한 카테고리의 다수의 장치가 접속되는 경우 각 장치를 식별하는데 사용된다.
비트 20에서 비트 23까지의 비트는 채널 번호, 따라서 디지털 오디오 인터페이스의 채널 형태를 나타낸다.
비트 24에서 비트 27까지의 비트는 샘플링 주파수의 식별 코드를 나타내고, 비트 28 및 비트 29는 샘플링 주파수의 정확도를 나타낸다.
비트 32 및 그 이후의 비트는 사용되지 않는다.
도 5의 (b)에 도시된 P 비트는 패리티 비트이다. 패리티 비트의 경우, 예를 들어 우수 패리티가 사용된다. 패리티 비트는 여분의 비트, 음성 데이터 DA 및 비트 V, U 및 C의 에러를 검출하는데 사용된다.
3. CD-MD 더빙 시스템
3-1. MD 레코더/플레이어의 구성
그 다음에,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의 CD-MD 더빙 시스템에 대해 설명하겠다. 먼저, 더빙 시스템에서 기록 장치로서 기능하는 MD 레코더/플레이어의 구성에 대해 설명하겠다.
도 8은 본 실시예의 MD 레코더/플레이어의 블럭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MD 레코더/플레이어는 전체적으로 참조번호 1로 표시되고, 광자기 디스크(MD)(90)상으로/광자기 디스크(90)로부터 음성 데이터의 기록/재생을 실행할 수 있다.
광자기 디스크(90)는 셔터 메카니즘이 구비된 카트리지 내에 수용된다. 기록 또는 재생 시에, 셔터 메카니즘은 열리거나 닫히는데, 셔터 메카니즘이 열린 경우, 광학 픽업 또는 광학 헤드(3)로부터의 광이 광자기 디스크(90) 상에 조사될 수 있고, 자기 헤드(6a)로부터의 자기장이 광자기 디스크(90)에 인가될 수 있다.
광자기 디스크(90)는 스핀들 모터(2)에 의해 CLV(contact linear velocity)로 회전되도록 제어된다.
광학 헤드(3)는 MD 레코더/플레이어(1) 내에 로드된 광자기 디스크(90)가 광학 헤드(3)와 자기 헤드(6a) 사이에 삽입되어 있는 동안에는 자기 헤드(6a)와 대향하는 관계로 위치된다. 광학 헤드(3)는 대물 렌즈(3a), 2축 메카니즘(4), 도시되지 않은 반도체 레이저, 및 반도체 레이저로부터 방출되어 광자기 디스크(90)의 표면으로부터 반사된 광을 수신하기 위한 도시되지 않은 수광부를 포함한다.
2축 메카니즘(4)은 광자기 디스크(90)를 향하는 방향과 광자기 디스크(9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대물 렌즈(3a)를 보내는 포커싱 코일, 및 광자기 디스크(90)의 방사상 방향으로 대물 렌즈(3a)를 보내는 트래킹 코일을 포함한다.
또한, MD 레코더/플레이어(1)는 전체 광학 헤드(3)를 원거리에 걸쳐 광자기 디스크(90)의 방사상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슬레드(sled) 메카니즘(5)을 포함한다.
광학 헤드(3) 내의 수광부에 의해 검출된 반사광 정보는 RF 증폭기(7)에 공급되는데, 이것은 RF 신호뿐만 아니라 포커싱 에러 신호 FE 및 트래킹 에러 신호 TE가 생성되도록 전류 대 전압 변환과 매트릭스 연산 프로세싱을 받게 된다.
재생 신호인 RF 신호는 기록시보다 낮은 레이저 전력으로 광자기 디스크(90) 상에 광을 조사함으로써 반사광의 자기적 커(Kerr) 효과를 사용하게 하여 검출된 자기 벡터에 기초하여 생성된다.
RF 증폭기(7)에 의해 생성된 포커싱 에러 신호 FE 및 트래킹 에러 신호 TE는 서보 회로(9)에 의해 위상 보상 및 이득 조정을 받게 되고, 그 다음에 구동 증폭기(도시되지 않음)를 통해 각각 2축 메카니즘(4)의 포커싱 코일 및 트래킹 코일에 인가된다.
또한, 트래킹 에러 신호 TE로부터, 슬레드 에러 신호는 서보 회로(9) 내의 LPF(low pass filter)에 의해 생성되고, 슬레드 구동 증폭기(도시되지 않음)를 통해 슬레드 메카니즘(5)에 공급된다.
RF 증폭기(7)에 의해 생성된 RF 신호는 EFM/CIRC 인코더-디코더(8)에 의해 2진화되어 EFM 복조(8비트에서 14비트로의 복조)된 다음에, CIRC(cross interleave Reed Solomon coding) 에러 정정 처리를 받게 되고, 그후 메모리 제어기(12)에 공급된다.
광자기 디스크(90)는 선정된 주파수(본 실시예에서는 22.05 KHz)로 곡류 관계로 미리 그 위에 형성된 그루브를 갖고 있고, FM 변조에 의해 그 위에 기록된 어드레스 데이터를 갖는다.
어드레스 데이터는 어드레스 디코더(10)에 의해 선정된 주파수만을 통과시키는 BPF(band pass filter)를 통해 FM 복조에 의해 추출된다.
EFM/CIRC 인코더-디코더(8)는 이진화된 EFM 신호 또는 어드레스 디코더(10)에 의해 추출된 어드레스 데이터에 기초하여 디스크의 회전을 제어하는 스핀들 에러 신호를 생성하여, 이 스핀들 에러 신호를 서보 회로(9)를 통해 스핀들 모터(2)에 인가한다.
또한, EFM/CIRC 인코더-디코더(8)는 프로세싱을 디코딩하는 재생 클럭 신호를 생성하기 위해 이진화 EFM 신호에 기초하여 PLL(phase locked loop)의 풀인(pull-in)동작을 제어한다.
에러 정정 후의 이진화 데이터는 메모리 제어기(12)에 의해 1.4 Mbit/sec의 전송 속도로 버퍼 메모리(13) 내로 기입된다.
선정된 양보다 많은 양의 데이터가 버퍼 메모리(13) 내에 저장되면, 메모리 제어기(12)는 기록 시의 전송 속도보다 충분히 느린 0.3 Mbit/sec의 전송 속도로 버퍼 메모리(13)로부터 저장된 데이터를 독출하고, 독출된 데이터를 오디오 데이터로서 출력한다.
데이터는 이러한 방식으로 일단 버퍼 메모리(13) 내로 저장된 후에 음성 데이터로서 출력되기 때문에, 부주의한 트랙 점핑 등이 예를 들어 진동과 같은 장애에 의해 야기되고 광학 헤드(13)로부터의 데이터의 연속적인 독출이 중단되더라도, MD 레코더/플레이어(1)에서 출력된 음성 사운드의 연속적인 출력(사운드의 중단이 없음)은 트랙 점핑이 발생된 어드레스로 광학 헤드(3)를 재설정하기 위해 요구된 시간에 대응하는 데이터가 미리 버퍼 메모리(13) 내에 저장되기 때문에 실현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4 Mbyte의 RAM이 버퍼 메모리(13)에 사용된 경우, 대략 10초에 음성 데이터가 버퍼 메모리(13) 내에 완전히 저장될 수 있다.
메모리 제어기(12)는 시스템 제어기(11)에 의해 제어된다는 것을 알기 바란다.
광자기 디스크(90)로부터 독출된 데이터는 레코딩 시에 선정된 압축 방법(본 실시예에서는, 예를 들어 ATRAC(acoustic transferred adapted coding) 방법)으로 압축되었다. 한편, 메모리 제어기(12)에 의해 버퍼 메모리(13)로부터 독출된 데이터는 음성오 압축 인코더-신장 디코더(14)에 의해 신장된 디지털 데이터이고, D/A 컨버터(15)에 인가된다.
D/A 컨버터(15)는 오디오 압축 인코더-신장 디코더(14)에 의해 신장된 디지털 데이터를 아날로그 음성 신호로 변환시킨다. 아날로그 음성 신호는 출력 단자(16)로부터, 재생 사운드로서 출력되는 스피커 또는 헤드폰 및 증폭기와 같은 도시되지 않은 재생 출력 시스템으로 공급된다.
상술된 바와 같은 이러한 재생 동작에 있어서, 시스템 제어기(11)는 조작부(19)의 조작에 응답하여 동작하고, 여러가지 서보잉(servoing) 커맨드를 서보 회로(9)에 전달하거나, 버퍼 메모리(13)에 대한 제어 명령을 메모리 제어기(12)에 제공한다. 또한, 시스템 제어기(11)는 표시부(20)를 제어하여, 플레이하기 위한 경과 시간의 문자 정보, 재생되고 있는 프로그램의 타이틀 등을 표시하거나, 스핀들 서보잉 제어 또는 디코딩 프로세싱 제어를 EFM/CIRC 인코더-디코더(8)에 의해 실행한다.
또한, 리모트 커맨더(100)는 유저가 여러가지 조작을 실행할 수 있도록 조작부(19)와 함께 구비된다. 리모트 커맨더(100)는 사용자의 조작에 대응하는 커맨드, 예를 들어 적외선 변조 신호로서 출력시킨다. 커맨드, 즉 조작 정보는 적외선 수신부(101)에 의해 전기 신호로 변환되고, 전기 신호는 시스템 제어기(11)에 공급된다. 시스템 제어기(11)는 적외선 수신부(101)로부터의 조작 정보에 응답하여 필요한 제어 프로세싱을 실행한다.
MD 레코더/플레이어(1)에서 튠 등의 사운드를 디스크(90) 상에 기록하기 위해, 사운드 신호는 입력 단자(17) 또는 다른 입력 단자(21)에 공급된다.
예를 들어 CD 플레이어와 같은 재생 장치의 아날로그 출력 단자로부터 출력된 아날로그 음성 신호는 입력 단자(17)로 인가되어 A/D 컨버터(18)에 의해 디지털 신호로 변환되고, 디지털 신호는 음성 압축 인코더-신장 디코더(14)에 공급된다.
한편, CD 플레이어와 같은 재생 장치의 디지털 출력 단자로부터 디지털 데이터 형태로 전송된 디지털 음성 신호는 입력 단자(21)로부터 입력된다. 이 경우에, 디지털 통신 포맷에 관한 디코딩, 제어 데이터 추출 등은 디지털 인터페이스부(25)에 의해 실행되고, 디지털 인터페이스부(25)에 의한 디코딩 프로세싱에 의해 추출된 디지털 음성 신호는 음성 압축 인코더-신장 디코더(14)에 공급된다.
본 실시예에서, 디지털 인터페이스부(25)는 IEEE(The 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s Engineers) 1394 인터페이스에 따른 구성을 갖는다.
IEEE 1394 인터페이스는 널리 공지된 바와 같이 서로 다른 장치들 사이의 상호 데이터 전송 및 원격 제어를 위한 커맨드/응답의 송/수신 등을 허용하는 시리얼 데이터 인터페이스의 형태를 갖는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MD 레코더/플레이어(1) 및 후술되는 재생 장치인 CD 플레이어는 IEEE 1394 인터페이스에 의해 상호 통신을 위해 서로 접속되므로, 디지털 더빙 동작이 허용되는데, CD 플레이어에 의해 재생된 디지털 음성 데이터는 디지털 신호 형태인 동안은 MD 레코더/플레이어(1)에 입력되어 MD 레코더/플레이어(1)에 의해 기록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더빙 기록시 등에 재생 또는 기록 개시 타이밍의 동기화를 설정할 수도 있고, MD 레코더/플레이어(1)와 CD 플레이어 사이의 고속 더빙의 동기화를 설정할 수도 있다.
음성 압축 인코더-신장 디코더(14)에 입력된 디지털 음성 신호는 ATRAC에 의해 압축 코딩되고, 압축된 디지털 음성 신호는 메모리 제어기(12)에 의해 0.3 Mbit/sec의 전송 속도로 버퍼 메모리(13) 내로 일단 저장된다.
메모리 제어기(12)는 선정된 양의 압축 데이터가 버퍼 메모리(13) 내에 저장된 것을 검출하고, 버퍼 메모리(13)로부터의 독출을 허용한다.
버퍼 메모리(13)로부터 독출된 압축 데이터는 EFM/CIRC 인코더-디코더(8)에 의해 CIRC 시스템, EFM 변조 등의 에러 정정 코드의 추가와 같은 프로세싱이 된 다음에, 자기 헤드 구동 회로(6)에 인가된다.
자기 헤드 구동 회로(6)는 공급된 데이터에 응답하여 N극 또는 S극의 자기장으로 자기 헤드(6a)의 인가 구동을 실행한다.
이러한 자기장의 인가와 관련된 기록 시에 있어서, 시스템 제어기(11)는 광 자기 디스크(90)의 표면 온도를 퀴리 온도로 상승시키기 위해 재생시보다 높은 선정된 레벨로 광학 헤드(3)의 도시되지 않은 반도체 레이저의 방출 전력을 제어한다. 따라서, 자기 헤드(6a)로부터 인가된 자기장 정보는 광자기 디스크(90)의 기록 표면에 고정된다. 요컨대, 데이터는 자기장 정보로서 기록된다.
기록 시에도 또한, 시스템 제어기(11)는 여러가지 서보잉 커맨드를 서보 회로(9)에 전송하거나, 버퍼 메모리에 대한 제어 정보를 메모리 제어기(12)에 공급한다. 또한, 시스템 제어기(11)는 표시부(20)를 제어하므로, 기록 경과 시간, 기록되고 있는 프로그램의 트랙 번호 등을 표시할 수 있고, 또는 EFM/CIRC 인코더-디코더(8)에 의해 스핀들 서보잉 제어, 인코딩 프로세싱 제어 등을 실행할 수 있다.
또한, 디지털 입력에 관한 프로세싱 시에, 시스템 제어기(11)는 디지털 인터페이스부(25)로부터 추출된 제어 데이터를 페치한다.
아날로그 신호 입력에 관한 프로세싱에 있어서, 입력 단자(17)로부터의 아날로그 음성 신호는 튠과 튠 사이의 시간동안 입력 음성 신호의 무음 상황이 관리되는 무음 검출부(22)에 또한 공급된다. 이러한 관리 정보는 시스템 제어기(11)에 공급된다.
RAM(24)은 요구된 프로세싱을 실행하기 위해 시스템 제어기(11)에 요구된 여러종류의 정보를 일시적으로 저장하는 메모리이다.
ROM(27)은 예를 들어 불휘발성 메모리로 형성된다. ROM(27) 내에 저장된 데이터의 내용은 시스템 제어기(11)의 제어 하에 재기입될 수 있지만, 전원 공급이 중단되더라도 보유될 수 있다. ROM(27) 내에는 실행될 여러가지 프로세스를 실현시키기 위해 시스템 제어기(11)에 필요한 프로그램 및 여러가지 데이터가 저장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후술되는 더빙 기록 시의 더빙 제한 동작을 구현시키기 위해, 타이머부(28) 및 ISRC 관리 테이블(29)이 구비된다. 또한, 타이머부(28) 및 ISRC 관리 테이블(29)의 구성에 대해서는 더빙 제한 동작의 설명과 함께 이하에 설명하겠다. 타이머부(28) 및 ISRC 관리 테이블(29)의 경우에는, 예를 들어 상술된 ROM(27)의 일부 영역이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알기 바란다.
조작부(19)는 요구된 동작을 실행시키기 위해 MD 레코더/플레이어(1)에게 지시하기 위한 여러가지 동작을 사용자가 실행할 수 있도록 제공된다. 예를 들어, 조작부(19)는 재생, 일시중지, 빨리감기, 되감기, 기록 및 정지 명령어, 트랙의 검출, 트랙의 접속 및 트랙의 분할을 위한 조작을 편집하는 명령어, 및 트랙 이름 또는 디스크 이름과 같은 문자 정보를 입력시키기 위한 조작 소자를 포함한다. 조작부(19)로 실행된 조작에 대응하는 커맨드 신호는 시스템 제어기(11)에 전송되고, 시스템 제어기(11)는 커맨드 신호에 응답하여 요구된 제어 프로세싱을 실행한다.
본 실시예에서 MD 레코더/플레이어(1)는 예를 들어 후술되는 CD 플레이어로부터 MD 레코더/플레이어(1)로 더빙 기록을 실행하는 동작이 MD 레코더/플레이어(1) 측의 조작부(19)를 사용하여 실행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는 것을 알기 바란다.
또한, 실제적으로 조작부(19)와 유사한 조작 기능을 갖고 있는 리모트 커맨더가 구비될 수 있으므로, MD 레코더/플레이어(1)는 리모트 커맨더로 실행된 조작에 응답하여 출력된 커맨드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단자(26)는, 아날로그 신호 형태의 재생 음성 신호가 출력되고 더빙 기록이 예를 들어 IEEE 1394 인터페이스를 사용하지 않고 MD 레코더/플레이어(1)에 의해 실행되는 경우에, 예를 들어 CD 플레이어와 MD 레코더/플레이어(1) 사이에 제어 신호의 통신을 실행하는데 사용된다. 단자(26)를 통한 통신에 의해, MD 레코더/플레이어(1)와 후술되는 CD 플레이어 사이에서, 예를 들어 아날로그 더빙 기록, 고속 더빙을 위한 동기시 등에, CD 플레이어측의 재생 개시/종료 타이밍과 MD 레코더/플레이어(1)의 기록 개시 타이밍 사이의 동기화를 설정할 수 있다.
3-2. MD 트랙 포맷
여기에서는 광자기 디스크(MD)(90)의 기록 데이터 트랙의 클러스터 포맷에 대해 설명하겠다.
미니 디스크 시스템에서의 기록 동작은 클럭스터라 칭해지는 유닛으로 실행된다. 클러스터의 포맷은 도 9에 도시되어 있다.
미니 디스크 시스템 내의 기록 트랙에 있어서, 클러스터 LC는 도 9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연속적으로 형성되고, 하나의 클러스터는 기록 시에 최소 유닛을 만든다. 하나의 클러스터는 2 내지 3개의 원주 트랙에 대응한다.
도 9를 참조하면, 하나의 클러스터 CL은 4개의 섹터(SFC 내지 SFF)의 서브 데이터 영역 및 32개 섹터(S00 내지 S1F)의 메인 데이터 영역을 포함한다. 메인 데이터는 음성 신호인 경우에 상술된 ATRAC 프로세싱에 의해 압축된 음성 데이터이다.
하나의 섹터는 2,352 바이트를 포함하는 데이터의 한 단위이다.
4개 섹터의 서브 데이터 영역은 서브 데이터에 사용되거나 또는 링킹 영역으로서 사용되고, TOC 데이터, 음성 데이터 등은 32개 섹터의 메인 데이터 영역 내로 기록된다. 에러 정정 프로세싱이 실행될 때 CIRC의 인터리브 길이가 CD 등에 의해 채택된 하나의 섹터 길이(13.3 msec)보다 길기 때문에, 링킹 영역의 섹터는 모순을 방지하기 위한 낭비 섹터가 구비되고, 기본적으로 예약 영역으로서 구비된다. 그러나, 섹터는 소정의 프로세싱을 위해 또는 소정의 제어 데이터를 위해 달리 사용될 수 있다.
어드레스는 하나의 섹터마다 기록된다는 것을 알기 바란다.
하나의 섹터는 또한 사운드 그룹이라는 유닛들로 분할된다. 더욱 상세하게 말하면, 2개의 섹터는 11개의 사운드 그룹으로 분할된다.
더욱 구체적으로, 도 9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섹터 S00과 같은 우수 번호 섹터 및 섹터 S01과 같은 기수 번호 섹터를 포함하는 2개의 연속적인 섹터는 사운드 그룹(SG00 내지 SG0A)을 포함한다. 하나의 사운드 그룹은 424 바이트로 형성되고, 11.61 msec의 시간에 대응하는 사운드 데이터량을 포함한다.
데이터는 하나의 사운드 그룹 SG 내에서 L 채널과 R 채널에 대해 따로 기록된다. 예를 들어, 사운드 그룹 SG00은 L 채널 데이터 L0과 R 채널 데이터 R0을 포함하고, 사운드 그룹 SG01은 L 채널 데이터 L1과 R 채널 데이터 R1을 포함한다.
L 채널 또는 R 채널에 대한 데이터 영역을 형성하는 212 바이트는 사운드 프레임이라 칭해진다는 것을 알기 바란다.
3-3. U-TOC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은 클러스터가 광자기 디스크(MD)(90)의 전체 영역에 걸쳐 형성되지만, 광자기 디스크(90)의 영역은 방사 방향으로 분할되고, 가장 안쪽의 원주측 영역은 프로그램 영역이 관리 영역 다음에 형성되는 한 관리 영역으로서 사용된다.
재생 전용 데이터가 기록되는 재생 전용 에리어가 광자기 디스크(90)의 가장 안쪽 원주 상에 구비되고, 광 자기적으로 기록되고 재생될 수 있는 광자기 영역이 재생 전용 영역 다음에 형성된다는 것을 알기 바란다. 관리 영역은 재생 전용 영역 및 광자기 영역의 가장 안쪽 원주부분을 포함한다.
광자기 영역의 관리 영역 다음에는 음성 데이터가 도 9의 메인 데이터 영역의 섹터 상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영역이 온다.
한편, 관리 영역으로서, 전체 디스크의 영역 관리 등에 사용될 P-TOC(pre-mastered TOC)가 재생 전용 영역 내에 구비된다. P-TOC 다음의 관리 영역 내에는 프로그램 영역 내에 기록된 프로그램(튠 등)을 관리하는데 사용될 카탈로그 정보(U-TOC: user table of contents)가 기록된다.
광자기 디스크(90)에 대한 기록/재생 동작을 실행시키기 위해, 광자기 디스크(90) 상에 기록된 관리 정보, 즉 P-TOC 및 U-TOC를 독출할 필요가 있다. 시스템 제어기(11)는 기록될 광자기 디스크(90) 영역의 어드레스 또는 재생될 광자기 디스크(90) 영역의 어드레스를 판별한다. 관리 정보는 버퍼 메모리(13) 내로 저장된다. 따라서, 버퍼 메모리(13)는 데이터 기록/데이터 재생을 위한 버퍼 영역 및 관리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다른 영역으로 분할된다.
시스템 제어기(11)는 광자기 디스크(90)가 MD 레코더/플레이어(1) 내로 로드될 때, 관리 정보가 기록되는 광자기 디스크(90)의 가장 안쪽 원주측의 재생 동작이 관리정보를 독출하도록 실행되게 제어하고, 관리 정보는 버퍼 메모리 내에 저장되므로, 그 후에 MD 레코더/플레이어(1)의 기록/재생 동작 시에 사용될 수 있다.
U-TOC가 데이터의 기록 또는 소거, 또는 정보의 입력과 같은 편집 조작에 응답하여 재기입되는 동안, 시스템 제어기(11)는 기록/소거/편집 조작이 실행될 때마다 버퍼 메모리(13) 내에 저장된 U-TOC 정보에 대해 갱신 프로세싱을 실행하고, 갱신 조작에 응답하여 선정된 타이밍에서 광자기 디스크(90)의 U-TOC 영역을 재기입한다.
여기에서는, 디스크(90) 상의 트랙(튠) 등의 기록 및 재생 동작을 관리하는데 사용될 관리 정보로서의 U-TOC 섹터에 대해 설명하겠다.
도 10은 U-TOC 섹터0의 포맷을 도시한 것이다.
U-TOC 섹터로서 섹터 0에서 섹터 31까지의 섹터가 구비될 수 있다는 것을 알기 바란다. 특히, 관리 영역 내의 한 클러스터의 섹터들(S00 내지 S1F)이 사용될 수 있다. 섹터 1 및 섹터 4는 문자 정보가 기록되는 영역으로서 사용될 수 있고, 섹터 2는 기록 날짜/시간이 기록되는 영역으로서 사용된다.
U-TOC 섹터 0은 주로 유저에 의해 기록된 튠에 관한 관리 정보, 및 튠이 새로 기록될 수 있는 프리(free) 영역이 기록되는 데이터 영역이다. 특히, 프로그램 영역 내에 기록된 각 프로그램의 개시점(개시 어드레스) 및 종료점(종료 어드레스) 및 프로그램의 문자(트랙 모드)로서 카피 보호 정보, 엠파시스 정보 등이 섹터 0에서 관리된다.
예를 들어, 유저가 소정의 튠을 디스크(90) 상에 기록하려고 하면, 시스템 제어기(11)는 U-TOC 섹터 0에서 디스크(90) 상의 프리 영역을 찾아내서, 이 프리 영역 내로 음성 데이터를 기록한다. 한편, 재생 시에, 재생될 튠이 기록되는 영역은 U-TOC 섹터 0으로부터 판별되고, 이 영역은 재생 동작을 실행하기 위해 억세스된다.
도 10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U-TOC 섹터 0에서, 12 바이트의 동기화 패턴이 형성되는 헤더 부분이 먼저 기록되고, 헤더부 다음에 섹터의 어드레스로서 3바이트의 데이터("Cluster H", "Cluster L"및 "SECTOR"), 디스크의 제작을 표시하는 메이커 코드("maker code") 및 모델 코드("model code"), 첫번째 프로그램 번호("First TNO"), 최종 프로그램 번호("Last TNO"), 섹터 사용 상황("사용된 섹터") 및 디스크 일련 번호("disc serial NO"), 디스크 ID 등이 기록된다.
또한, 대응 테이블 지시 데이터부가 기록되는데, 이것은 디스크 상에 나타난 결함의 위치 정보가 저장된 슬롯의 상부 위치를 나타내는 포인터 P-FDA(pointer for defective area), 슬롯의 사용 상태를 나타내는 포인터 P-EMPTY(pointer for empty slot), 기록가능 영역을 관리하는 슬롯의 상부 위치를 나타내는 포인터 P-FRA(pointer for free area), 개별 프로그램 번호에 대응하는 슬롯의 상부 위치를 개별적으로 나타내는 포인터들 P-TNO1, P-TNO2, ..., P-TNO255로 구성된다.
8바이트의 255 슬롯이 구비되는 관리 테이블부는 대응 테이블 지시 데이터부 다음에 구비된다. 각 슬롯 내에서는 개시 어드레스, 종료 어드레스, 트랙 모드 및 링크 정보가 관리된다.
본 실시예에서의 광자기 디스크(90)에 있어서, 데이터는 기록 매체 상에 반드시 연속적으로 기록될 필요는 없고, 일련의 데이터 열이 기록 매체 상에서 이산적으로(다수의 부분으로) 기록될 수 있다(한 부분은 연속적인 데이터가 물리적으로 연속적인 클러스터 내에 시기적절하게 기록된 일부분을 의미한다).
광자기 디스크(90)에 채택된 재생 장치(도 8의 MD 레코더/플레이어(1))에 있어서, 데이터는 일단 버퍼 메모리(13) 내로 저장되고, 버퍼 메모리(13)의 기록 속도 및 독출 속도는 상술된 바와 같이 서로 다르게 되어 있다. 그러므로, MD 레코더/플레이어(1)에서는 광자기 디스크(90) 상에 이산적으로 기록된 데이터가 광학 헤드(3)에 의해 연속적으로 억세스되고, 이렇게 억세스된 데이터는 버퍼 메모리(13) 내에 저장되므로, 데이터는 버퍼 메모리(13)로부터 일련의 데이터 스트링으로서 재생될 수 있다.
즉, MD 레코더/플레이어(1)에서는 재생 시의 버퍼 메모리(13) 내로의 기록 속도가 버퍼 메모리(13)로부터의 독출 속도보다 빠르기 때문에, 연속적인 사운드 재생이 중단되지 않는다.
또한, 이미 기록된 다른 프로그램보다 짧은 프로그램이 이미 기록된 프로그램 상에 중복 기록되더라도, MD 레코더/플레이어(1)는 그것을 소거하지 않고 기록가능한 영역(포인터 P-FRA로 개시하여 관리된 영역)으로서 중복 기록되지 않은, 기록된 프로그램의 나머지 부분을 나타냄으로써 효율적으로 디스크의 기록 용량을 사용할 수 있다.
이산적으로 존재하는 링킹 영역의 방법에 대해서는 한 예로서 기록 가능 영역의 관리를 위해 포인터 P-FRA를 사용하여 도 11를 참조하여 설명하겠다.
예를 들어, 값 03h(16진수)가 기록가능 영역의 관리를 위해 슬롯의 상부 위치를 나타내는 포인터 P-FRA 내에 기록되고, 그 다음에 이 값 "03h"에 대응하는 슬롯이 억세스된다고 하자. 즉, 관리 테이블부 내의 슬롯 03h의 데이터가 독입된다.
슬롯 03h 내에 기록된 개시 어드레스 및 종료 어드레스의 데이터는 디스크 상에 기록된 한 부분의 개시점과 종료점을 나타낸다.
슬롯 03h에 기록된 링크 정보는 슬롯 03h의 뒤에 오는 슬롯의 어드레스를 나타낸다. 도 11의 경우에, 18h는 슬롯 03h 내에 링크 정보로서 기록된다.
그 다음, 슬롯 18h 내에 기록된 링크 정보는 슬롯 2Bh를 억세스하도록 추적되고, 슬롯 2Bh 내에 기록된 개시 어드레스 및 종료 어드레스는 디스크의 한 부분의 개시점과 종료점으로서 파악된다.
또한, 링크 정보는 "00h"의 데이터가 링크 정보로서 나타날 때까지 연속적으로 추적된다. 따라서, 포인터 P-FRA로 시작하여 관리된 모든 부분의 어드레스가 파악될 수 있다.
널(=00h)의 링크 정보가 이러한 방식으로 포인터 P-FRA에 의해 표시된 슬롯으로 시작하여 검출될 때까지 슬롯을 연속적으로 추적함으로써, 디스크 상에 이산적으로 기록된 부분들은 메모리 상에 링크될 수 있다. 따라서, 광자기 디스크(90) 상의 기록가능한 영역으로서 모든 부분이 파악될 수 있다.
상술된 설명은 한 예로서 포인터 P-FRA로 설명되었지만, 포인터 P-DFA, P-EMPTY, P-TNO1, P-TNO2, ..., P-TNO255도 또한 디스크 상에 이산적으로 존재하는 링크 및 관리 부분들에 유사하게 사용된다.
도 12에는 U-TOC의 포맷이 도시되어 있다.
U-TOC 섹터 내에서는 프로그램 영역 내에 저장된 프로그램에 대응하는 문자 정보 및 전체 광자기 디스크(90)에 대응하는 문자 정보(예를 들어, 디스크 타이틀)가 관리된다.
기록된 프로그램이 음성 데이터인 경우, 디스크 타이틀은 앨범 타이틀 정보, 연주자의 이름 등이고, 이 프로그램에 대응하는 문자 정보는 예를 들어 튠의 타이틀이다. 이러한 문자 정보는 유저에 의해 임의로 설정된 문자로서 입력되고 등록된다.
각 프로그램의 문자 정보는 대응 테이블 지시 데이터의 포인터 P-TNA(x)(x는 1에서 255 중의 한 값)에 의해 지시된 문자 테이블 내의 슬롯 내에 기록된다. 7 바이트의 문자 정보가 한 슬롯 내에 기록될 수 있다. 그러나, 문자의 수가 너무 길면, 문자 정보는 링크 정보로 링크된 다수의 슬롯 내에 기록될 수 있다.
또한, U-TOC 섹터 2에서는 프로그램 영역 내에 기록된 개별 프로그램의 기록 날짜/시간이 유사한 형태로 관리된다.
또한, U-TOC 섹터 4에서는 가타까나(katakana) 문자와 간지(kanji) 문자가 도 12와 유사한 방식으로 관리되므로, 이들은 프로그램 영역 내에 프로그램의 타이틀, 전체 광자기 디스크의 타이틀 등의 문자 정보의 폰트로서 사용될 수 있다.
3-4. CD 플레이어의 구성
다음에, 본 실시예의 더빙 시스템의 재생측 장치로서 기능하는 CD 플레이어(30)의 구성에 대해 도 13을 참조하여 설명하겠다.
도 13에서는 본 실시예의 CD-MD 더빙 시스템의 구성으로서, 몇개 블럭의 MD 레코더/플레이어(1)가 MD 레코더/플레이어(1)와 CD 플레이어(30) 사이의 관계를 나타내기 위해 도시되어 있다. 또한, 도 8을 참조하여 상술된 소자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하겠다.
더빙 시스템에 있어서, CD 플레이어(30)에 의해 재생된 음성 데이터는 MD 레코더/플레이어(1)측 상의 디스크(MD)(90) 상으로 트랙(프로그램) 단위로 기록될 수 있다.
더빙 시스템은 CD 플레이어(30) 및 MD 레코더/플레이어(1)가 분리된 유닛으로 형성되는 이러한 형태를 가질 수 있고, 케이블 등을 통해 이들 사이에서 신호를 통신할 수 있거나, 또는 선택적으로 하나의 유닛 내에 CD 플레이어(30)로서의 구성부분과 MD 레코더/플레이어(1)로서의 구성부분을 갖는 복합 장치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재생측 장치로서의 CD 플레이어(30)에 있어서, 광 디스크(CD: 컴팩트 디스크)(91)는 스핀들 모터(32)에 의해 CLV(constant linear velocity)로 회전 구동되도록 제어된다.
광학 헤드(33)는 도시되지 않은 반도체 레이저 및 이 반도체 레이저로부터 방출되고 광 디스크(91)의 표면으로부터 반사된 광을 수신하기 위한 도시되지 않은 수광부뿐만 아니라 대물 렌즈(33a) 및 2축 메카니즘(34)을 포함한다.
2축 메카니즘(34)은 광 디스크(91)를 향하는 방향과 광 디스크(91)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대물 렌즈(33a)를 구동시키는 포커싱 코일, 및 광 디스크(91)의 방사상 방향으로 대물 렌즈(33a)를 구동시키는 트래킹 코일을 포함한다.
또한, 전체 광학 헤드(33)는 슬레드 메카니즘(35)에 의해 광 디스크(91)의 방사상 방향으로 먼 거리에 걸쳐 이동될 수 있다.
광학 헤드(33) 내의 수광부에 의해 검출된 반사광의 정보는 RF 증폭기(36)에 공급된다. RF 증폭기(36)는 반사광 정보에 전류-전압 변환 및 매트릭스 연산 프로세싱을 실행하여 RF 신호뿐만 아니라 포커싱 에러 신호 FE 및 트래킹 에러 신호 TE를 생성한다.
재생 신호로서의 RF 신호는 반도체 레이저가 광 디스크(91) 상의 레이저 빔을 조사할 때 광량 정보로서 추출된다.
RF 증폭기(36)에 의해 생성된 포커싱 에러 신호 FE 및 트래킹 에러 신호 TE는 서보 회로(37)에 의해 위상 보상 및 이득 조정을 받은 다음, 각각의 구동 증폭기(도시되지 않음)를 통해 2축 메카니즘(34)의 포커싱 코일과 트래킹 코일에 인가된다.
또한, 슬레드 에러 신호는 서보 회로(37) 내의 LPF에 의해 트래킹 에러 신호 TE로부터 생성되고, 슬레드 구동 증폭기(도시되지 않음)를 통해 슬레드 메카니즘(35)에 인가된다.
한편, RF 증폭기(36)에 의해 생성된 RF 신호는 신호 처리 회로(38)에 의해 이진화, EFM 변조 및 CIRC 에러 정정 처리가 된다. 그 결과, 재생 데이터로서 디지털 음성 신호가 RF 신호로부터 추출된다.
신호 처리 회로(38)는 또한 이진화된 EFM 신호에 기초하여 광 디스크(91)의 회전을 제어하는 스핀들 에러 신호를 생성하여, 이것을 스핀들 모터(32)에 인가한다.
또한, 신호 처리 회로(38) 내의 PLL(phase locked loop)은 이진화된 EFM 신호에 기초하여 동작해서 재생 클럭 신호를 발생시킨다.
서보 회로(37) 및 신호 처리 회로(38)의 동작은 시스템 제어기(41)에 의해 제어된다.
신호 처리 회로(38)로부터 출력된 디지털 음성 신호는 전송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제어 코드와 에러 정정 코드가 디지털 음성 신호에 추가되는 선정된 전송 포맷의 디지털 전송 데이터로 변환된다. 디지털 전송 데이터는 출력 단자(42)로부터 전송된다. 전송 데이터는 MD 레코더/플레이어(1)의 입력 단자(21)를 통해 MD 레코더/플레이어(1)의 디지털 인터페이스부(25)에 공급된다.
여기에서, CD 플레이어(30)측 상의 디지털 인터페이스부(40) 및 MD 레코더/플레이어(1)측 상의 디지털 인터페이스부(25)가 따르는 디지털 전송 포맷의 설명서가 본 발명에서 구체적으로 제한되지는 않지만, 상술된 바와 같이 IEEE 1394가 채택된다고 하자.
IEEE 1394 인터페이스가 채택되는 경우, 예를 들어 서로 다른 장치 간의 제어 신호가 CD 플레이어(30)측 상의 디지털 인터페이스부(40)와 MD 레코더/플레이어(1)측 상의 디지털 인터페이스부(25) 사이에서 디지털 인터페이스부(25)를 통해 전송될 수 있기 때문에, 단자(44)(CD 플레이어(30)측)와 단자(26)(MD 레코더/플레이어(1)측) 사이에서 제어 신호의 통신을 실행하는 구성부품은 생략될 수 있다.
한편, 예를 들어 디지털 데이터가 광 통신 케이블 등을 사용하여 디지털 오디오 인터페이스에 따라 광학 신호의 형태로 전송되는 대안적인 구성이 사용되는 경우, 단자(44)와 단자(26)를 통해 상호 통신을 하기 위한 구성부품이 제어 신호의 통신에 요구된다.
신호 처리 회로(38)로부터 출력된 디지털 음성 신호는 또한 D/A 컨버터(39)에 공급된다. D/A 컨버터(39)는 입력된 디지털 음성 신호를 아날로그 음성 신호로 변환시켜, 변환된 아날로그 음성 신호를 MD 레코더/플레이어(1)의 출력 단자(43)에서 입력 단자(17)로 공급한다.
조작부(47)는 유저가 여러가지 재생 동작과 같은 CD 플레이어(30)의 동작을 최소한 제어할 수 있게 여러가지 키가 잘 구비되어 있다. 조작부(47)는 키 조작에 대응하는 커맨드 신호를 시스템 제어기(41)에 출력한다.
시스템의 구성에 따라, MD 레코더/플레이어(1)를 제어할 수 있게 하는 선정된 조작부가 CD 플레이어(30) 상에 구비될 수 있다는 것을 알기 바란다. 조작이 MD 레코더/플레이어의 조작부로 실행되면, 커맨드 신호는 시스템 제어기(41)의 제어 하에 MD 레코더/플레이어(1)측의 시스템 제어기(11)에 전송된다.
CD 플레이어(30)의 시스템 제어기(41)는 CD 플레이어(30)가 여러가지 재생 동작을 할 수 있게 하기 위해 CD 플레이어(30) 내의 여러가지 회로부에 제어 처리를 실행한다. 또한, 실행될 조작부(47)로부터 수신된 커맨드에 따라 조작되게 하는 제어 프로세싱은 시스템 제어기(41)의 제어 프로세싱에 포함된다.
또한, 도 13에 도시된 CD 플레이어(30)에 있어서는 타이머부(46) 및 ISRC 관리 테이블(45)이 시스템 제어기(41)에 구비된다. 타이머부(46) 및 ISRC 관리 테이블(45)은 후술되는 본 실시예의 더빙 시스템의 고속 더빙 시에 튠(트랙)의 기록 제한에 사용되고, 도 8을 참조하여 상술된 MD 레코더/플레이어(1) 내에 구비된 타이머부(28) 및 ISRC 관리 테이블(29)의 기능과 유사한 기능을 갖고 있다.
그러나, 제1 예로서 후술되는 바와 같이, 고속 더빙 시에 튠(트랙)의 기록 제한이 MD 레코더/플레이어(1) 내에 구비된 타이머부(28) 및 ISRC 관리 테이블(29)을 사용하여 실행되는 경우, CD 플레이어(30)의 타이머부(46) 및 ISRC 관리 테이블(45)은 생략될 수 있다. 또한, 제2 예로서 후술되는 바와 같이, 재생 튠(트랙)의 제한이 CD 플레이어(30)측 상에서 실행되는 경우, 타이머부(46) 및 ISRC 관리 테이블(45)이 요구된다. 따라서, 제2 예에서는 MD 레코더/플레이어(1)의 타이머부(28) 및 ISRC 관리 테이블(29)이 생략될 수 있다.
또한, 더빙 동작 시에, 기록 장치측으로 기능하는 MD 레코더/플레이어(1)는 전송된 디지털 음성 신호 또는 아날로그 음성 신호를 CD 플레이어(30)로부터 광자기 디스크(90) 상으로 기록하는 처리를 실행한다.
입력 단자(17)에 공급된 아날로그 음성 신호를 광자기 디스크(90) 상으로 기록하기 위해, 아날로그 음성 신호는 A/D 컨버터(18)에 의해 디지털 음성 신호로 변환되고, 도 8을 참조하여 상술된 바와 같이 음성 압축 인코더-신장 디코더(14)로 입력된다. 그 다음, 도 8을 참조하여 설명된 바와 같은 기록 프로세싱이 실행된다.
이 경우에, 입력 단자(17)에 공급된 아날로그 음성 신호는 선정된 시간(예를 들어, 대략 2초)보다 더 긴 시간동안 음성 레벨로서 무음 조건이 실행되는 무음 검출부(22)에도 공급된다. 이렇게 얻어진 검출 신호는 공급된 아날로그 음성 신호 프로그램의 변화를 나타내는 정보로서 시스템 제어기(11)에 공급된다.
보통의 CD가 튠들 사이에 구비된 대략 3 내지 5초의 무음부를 갖고 있으면, 무음 검출부(22)는 방금 언급된 무음부를 검출하여 프로그램 번호의 변화를 검출한다.
한편, 디지털 전송 데이터가 입력 단자(21)에 공급되는 경우, 디지털 인터페이스부(25)는 디지털 전송 데이터를 처리한다.
여기에서, 상술된 IEEE 1394 인터페이스에 따르는 디지털 인터페이스부(25)는 예를 들어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IEEE 인코더/디코더 블럭(25d), 시간 코드 추출부(25a), U 비트 추출부(25b) 및 논리 회로(25c)를 포함한다.
IEEE 1394 인터페이스의 설명서에 따라 CD 플레이어(30)측의 디지털 인터페이스부(40)에 의해 인코드되고 CD 플레이어(30)로부터 전송된 재생 디지털 음성 데이터는 디지털 인터페이스부(25) 내의 IEEE 인코더/디코더 블럭(25d)에 의해 먼저 수신된다. IEEE 인코더/디코더 블럭(25d)은 서브 코드를 포함하는 디지털 음성 데이터 DAU를 추출하기 위해 수신된 데이터에 디코딩 프로세싱을 실행하고, 디지털 음성 데이터 DAU를 U 비트 추출부(25b) 및 시간 코드 추출부(25a)에 공급한다.
수신된 데이터가 원격 제어 등을 위한 커맨드의 디지털 데이터와 다른 요구된 데이터를 포함하면, IEEE 인코더/디코더 블럭(25d)은 데이터를 시스템 제어기(11)에 전송하도록 제어된다.
U 비트 추출부(25b)는 입력된 디지털 음성 신호로부터 프로그램의 변화(튠의 변화)를 나타내는 플래그인 U 비트 데이터를 추출한다. 한편, 시간 코드 추출부(25a)는 입력된 디지털 음성 신호로부터 재생 경과 시간을 나타내는 시간 코드 데이터를 추출한다.
논리 회로(25c)는 U 비트 추출부(25b) 및 시간 코드 추출부(25a)의 출력의 논리 연산을 실행한다. 논리 회로(25c)는 재생측으로부터 전송된 디지털 음성 신호의 프로그램의 변화를 나타내는 신호를 U 비트 추출부(25b) 및 시간 코드 추출부(25a)로부터 생성하여, 이렇게 생성된 신호를 시스템 제어기(11)에 공급한다.
각 프로그램의 플레이 경과 시간이 시간 코드 추출부(25a)에 의해 수신된 디지털 데이터로부터 추출되면, 논리 회로(25c)는 플레이 경과 시간이-00분 01초가 되는 실제의 논리 연산을 실행하고, 프로그램 변화 등의 검출 신호를 생성하기 위해 U 비트의 정보를 변화시킬 수 있다.
프로그램 변화의 검출 신호는 U 비트 추출부(25b)의 검출 결과만을 사용하여 검출되거나, 또는 U 비트의 변화 정보와 아날로그 기록에서와 같이 실행된 무음 검출 결과 사이의 논리적인 연산을 사용하여 생성될 수 있다.
전송된 디지털 음성 신호는 디지털 인터페이스부(25)로부터 음성 압축 인코더-신장 디코더(14)로 입력되고, 이것에 의해 도 8을 참조하여 설명된 기록 프로세싱이 실행된다.
도 13에 도시된 IEEE 1394 인터페이스에 따르는 디지털 인터페이스부(25)의 구성은 단지 예일 뿐이고, 그밖의 다른 구성도 가능하다는 것을 알기 바란다.
예를 들어, IEEE 1394 인터페이스가 채택되는 경우, 도 5의 (a), 도 5의 (b),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설명된 디지털 오디오 인터페이스의 포맷은 채택될 필요가 없고, 예를 들어 전송측 상에서 디코드된 서브 코드 정보를 IEEE 1394 인터페이스에 따르는 커맨드로 변환시켜 이 커맨드를 전송할 수 있으며, 수신측이 이 커맨드에 응답하여 처리할 수 있도록 수신측을 구성할 수 있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 5의 (a), 도 5의 (b),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설명된 디지털 오디오 인터페이스의 포맷에 따라 디지털 음성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해 IEEE 1394 인터페이스가 채택된 것이라는 것을 알기 바란다.
상술된 본 실시예의 CD-MD 더빙 시스템은 표준 속도의 더빙을 허용하고, 표준 속도로 CD 플레이어(30)측 상에서 재생된 음성 데이터는 MD 레코더/플레이어(1)측 상에서 기록된다.
또한, CD 플레이어(30)측 상의 표준 속도보다 빠른 선정된 여러배의 속도로 재생된 음성 데이터가 MD 레코더/플레이어(1)측 상에 기록되는 고속 더빙이 허용된다.
표준 속도의 더빙에 있어서, CD 플레이어(30)는 CD(91)로부터 데이터를 독출하기 위해 표준 속도의 CLV 제어에 의해 회전하도록 CD(91)를 구동하고, 표준 속도에 대응하는 프로세싱 속도(클럭 주파수)로 재생 신호 처리를 실행하며, 이렇게 얻어진 신호를 예를 들어 디지털 인터페이스를 통해 MD 레코더/플레이어(1)에 출력한다. 한편, 아날로그 음성 신호가 출력되어야 하는 경우, 디지털 음성 데이터는 D/A 컨버터(39)에 의해 표준 속도에 상당하는 프로세싱 속도로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되어, 아날로그 신호가 출력된다.
MD 레코더/플레이어(1)는 예를 들어 표준 속도에 대응하는 프로세싱 속도(클럭 주파수)로 압축 프로세싱과 같은 신호 처리(디지털 음성 신호가 아날로그 신호로서 입력되는 경우에 A/D 변환 프로세싱을 포함함)를 입력 신호에 실행한다. 또한, MD 레코더/플레이어(1)는 0.3 Mbit/sec의 전송 속도로 버퍼 메모리(13) 내로 데이터를 기록한다. 또한, MD 레코더/플레이어(1)는 버퍼 메모리(13) 내에 저장된 양에 응답하여 1.4 Mbit/sec의 다른 전송 속도로 버퍼 메모리로부터 독출하여, 예를 들어 각각 하나의 클러스터마다 데이터를 MD(90) 상으로 기록한다.
한편, 고속 더빙이 실행될 경우, CD 플레이어(30)는 표준 속도보다 빠른 선정된 여러배의 속도를 설정하고, 이렇게 설정된 여러배의 속도로 회전하도록 CD(91)를 구동시켜서 CD(91)로부터 데이터를 독출하며, 설정된 여러배의 속도에 대응하는 프로세싱 속도로 재생 신호 처리를 실행하고, 이렇게 얻어진 신호를 예를 들어 디지털 인터페이스를 통해 MD 레코더/플레이어(1)에 출력한다.
MD 레코더/플레이어(1)는 예를 들어 설정된 여러배의 속도에 대응하는 프로세싱 속도로 입력 신호에 대해 압축 프로세싱과 같은 신호 처리(아날로그 신호가 입력되는 경우에 A/D 변환 프로세싱을 포함함)를 실행한다. 그 다음, 여러배의 속도에서 여러배가 N배로 표시되는 경우, MD 레코더/플레이어(1)는 0.3 x N Mbit/sec의 전송 속도로 버퍼 메모리(13) 내로 데이터를 기록한다. 그 다음, MD 레코더/플레이어(1)는 버퍼 메모리(13)의 저장된 양에 응답하여 버퍼 메모리(13)로부터 독출되고, 이 경우에는 예를 들어 하나의 클러스터마다 MD(90) 상으로 데이터를 기록하도록 제어된다.
고속 더빙시 버퍼 메모리(13)로부터의 독출 속도는 설정된 여러배의 속도에 따라 다르다는 것을 알기 바란다.
특히, 여러배의 속도가 비교적 느리고, 독출 시의 전송 속도인 1.4 Mbit/sec가 0.3 x N Mbit/sec의 전송 속도에 비해 충분히 빠르면, 데이터의 독출 및 MD(90) 상으로의 기록은 1.4 Mbit/sec의 속도로 실행될 수 있다. 이와 반대로, 여러배의 속도가 비교적 빠르고, 독출 시의 전송 속도인 1.4 Mbit/sec가 0.3 x N Mbit/sec의 전송 속도에 비해 충분히 빠르지 않거나 느리면, 상기 독출 속도보다 빠른 버퍼 메모리(13)로부터의 독출 속도 및 이것에 대응하는 MD(90)의 회전 구동 속도가 설정되어야 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보통의 표준 속도 더빙 및 선정된 여러배의 속도에서의 고속 더빙이 이러한 방식으로 허용된다.
그러므로 제어를 하는데 있어서, CD 플레이어(30)의 시스템 제어기(41)는 CD 플레이어(30)의 디스크 회전 구동 속도 및 재생 신호 처리 시스템의 클럭 주파수의 설정을 가변적으로 제어하는 반면, MD 레코더/플레이어(1)의 시스템 제어기(11)는 MD 레코더/플레이어(1)의 재생 신호 처리 시스템의 클럭 주파수(필요하다면, 디스크 회전 구동 속도)의 설정을 가변적으로 제어한다. 또한, 시스템 제어기(41) 및 시스템 제어기(11)가 이들이, 예를 들어 디지털 인터페이스를 통한 더빙 속도를 명령하기 위한 커맨드/응답을 통신할 수 있도록 정해지면, 표준 속도 더빙과 고속 더빙 간의 설정의 전환, 동시성 재생 또는 기록과 같은 동작들이 또한 용이하게 실현될 수 있다.
4. 고속 더빙 시의 제한 동작
4-1. 제1 예
상기 설명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선정된 여러배의 속도로 고속 더빙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러나, 종래 기술과 관련하여 설명된 바와 같이, 유저가 동일한 CD 또는 동일한 튠(트랙)의 고속 더빙을 자주 실행하면, 이것은 개인의 사용 한도를 초과하여 저작권을 침해할 가능성이 있다.
그러므로, 본 실시예의 MD-CD 더빙 시스템에 있어서는 저작권을 보호하기 위해 후술되는 방식으로 기록 대상물의 튠(트랙)의 단위로 고속 더빙에 제한이 주어진다. 먼저, 이것의 개요에 대해 제1 예와 관련하여 설명하겠다.
제1 예의 동작의 개요는 다음과 같다.
제1 예에 있어서는 MD 레코더/플레이어(1) 내에 구비된 타이머부(28) 및 ISRC 관리 테이블(29)이 사용된다. 또한, 이 경우에 고속 더빙에서는 음성 정보가 디지털 및 아날로그 형태중의 어떤 형태로 CD 플레이어(30)로부터 MD 레코더/플레이어(1)로 출력될 수 있다. 그러나, 후술되는 바와 같이 MD 레코더/플레이어(1)측 상의 ISRC 검출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시스템은 최소한 서브 코딩 데이터가 디지털 음성 데이터의 재생 출력과 동기하여 디지털 인터페이스를 통해 MD 레코더/플레이어(1)로 입력되도록 구성된다고 하자.
도 3a, 3b 및 3c에 도시된 Q 채널 데이터는 CD로부터 재생된 음성 데이터 내에 서브 코딩되었지만, 고속 디지털 더빙이 본 실시예의 MD-CD 더빙 시스템에 의해 실행되는 경우, Q 채널 데이터가 음성 데이터와 함께 MD 레코더/플레이어(1)측에 전송되기 때문에, MD 레코더/플레이어(1)측은 Q 채널 데이터의 내용을 식별할 수 있다.
그러므로, MD 레코더/플레이어(1)는 소정 트랙의 튠의 고속 더빙이 개시되면, 도 3c에 도시된 모드 3의 ISRC가 그 다음 얻어질 Q 채널 데이터로서 검출되도록 구성된다.
MD 레코더/플레이어(1)의 시스템 제어기(11)가 ISRC를 검출한 경우, ISRC가 ISRC 관리 테이블(29) 내에 현재 저장된 ISRC들 중의 소정의 하나와 일치하지 않으면, 이 ISRC는 ISRC 관리 테이블(29) 내로 저장된다. ISRC 관리 테이블(29)은 예를 들어 도 14에 도시된 구성을 갖는다.
여기에서, 타이머부(28) 내에는 선정된 다수의 타이머가 구비되어 있다고 하자. 그 다음, 시스템 제어기(11)가 상술된 방식으로 ISRC 관리 테이블(29) 내로 새로 ISRC를 저장하면, 타이머부(28)는 사용되지 않는 타이머들 중 하나를 선택하고, 선택된 타이머를 활성화시킨다. 타이머부(28)의 타이머들은 그 안에서 균일하게 설정된 선정된 타이머 시간을 갖고 있고, 타이머들 중 하나가 시스템 제어기(11)의 제어 하에 활성화되면, 시간 카운트가 예를 들어 활성화 시점 후에 74분에서부터 연속적으로 감소될 수 있도록(또는 선택적으로 0분에서부터 74분까지 연속적으로 증가될 수 있도록), 타이머는 시간을 카운트하는 동작을 한다.
ISRC 관리 테이블(29)은 상술된 방식으로 새로 저장된 ISRC를 보유하고, 도 14에서 알수 있는 방식으로 대응관계가 있는 활성화된 타이머에 구비된 타이머 ID를 보유하므로, 새로 저장된 ISRC와 활성화된 타이머 사이의 대응관계가 얻어질 수 있다.
ISRC 관리 테이블(29)은 예를 들어 타이머부(28)의 타이머가 각 ISRC에 대응하는 관계로 제공되도록 ISRC 및 타이머 ID가 대응하는 관계로 저장되는 관리 테이블을 포함한다.
ISRC 관리 테이블(29)에 저장된 ISRC에 대응하는 타이머가 74분 시간이 경과된 결과로서 0으로 카운트하면, ISRC 및 이 ISRC에 대응하는 타이머 ID의 정보는 시스템 제어기(11)의 제어 하에 ISRC 관리 테이블(29)로부터 클리어되어 삭제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ISRC 관리 테이블(29)이 이러한 방식으로 생성된다.
여기에서, 소정 트랙의 고속 더빙이 진행중일 때, MD 레코더/플레이어(1)측에 의해 검출된 ISRC와 동일한 ISRC가 ISRC 관리 테이블(29) 내에 미리 배치된다고 하자.
이 경우에, MD 레코더/플레이어(1)는 ISRC가 삭제된 시점 후에 고속 더빙이 진행중인 트랙의 기록을 중지시킨다. 요컨대, MD 레코더/플레이어(1)는 ISRC 관리 테이블(29) 내에 배치된 ISRC들 중의 하나와 일치하는 ISRC를 갖는 트랙의 기록을 억제하도록 동작한다.
고속 더빙 시에는 ISRC가 MD 레코더/플레이어(1)측 상의 시스템 제어기(11)에 의해 검출될 때까지 소정의 튠(트랙)의 재생이 CD 플레이어측 상에서 개시된 후에 다음 시간이 요구된다. 특히, 예를 들어 모드 3의 Q 채널 데이터인 하나의 ISRC가 실패없이 100개의 서브 코딩 블럭 내에 포함된다고 하면, 표준 속도에서의 75개 서브 코딩 블럭이 거의 1초에 대응하기 때문에, 하나의 ISRC는 비록 이것이 실제 여러배 속도에 의존한다고 할지라도 1초 이내에 거의 확실하게 검출될 수 있다.
타이머 시간이 경과할 때, 대응하는 ISRC는 상술된 방식으로 ISRC 관리 테이블(29) 내에서 클리어되기 때문에, 타이머 시간이 경과한 후에, 레코딩은 억제되고, ISRC를 갖고있는 트랙의 고속 더빙이 실행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본 실시예에서는 트랙의 고속 더빙이 일단 실행되면, 상술된 타이머 시간(예를 들어, 74분) 이내에 다시 트랙의 고속 더빙을 실행하려고 해도, MD 레코더/플레이어(1)측 상의 기록은 ISRC가 시스템 제어기(11)에 의해 검출되는 시점에서 중지된다. 즉, 타이머 시간에 대응하는 선정된 시간 이내에, 이전에 고속 더빙이 실행된 트랙의 고속 더빙을 실행하는 동작은 억제된다. 따라서, 짧은 시간에 동일한 트랙을 다수 복사하여 저작권을 침해하는 것이 방지된다.
고속 더빙의 억제 시간에 대응하는 타이머 시간이 상기 설명에서 74분이었는데, 이것은 다음 설명에 근거한 것이다.
74분의 시간은 CD의 최대 기록 길이로서 잘 알려져 있다. 그러므로, 동일한 CD(즉, 하나의 CD 내에 포함된 모든 튠(트랙))의 복사는 표준 속도에서 하나의 CD를 더빙하는데 요구되는 단위 시간(최대로 74분) 이내에 고속 더빙에 의해 2번 이상 실행되는 것이 방지된다. 그 결과, CD의 더빙이 표준 속도에서 실행될 때와 동일한 효율적인 더빙만이 얻어진다.
예를 들어, 억제 시간이 방금 설명된 바와 같으면, 개인의 사용한도를 초과하여 고속 더빙을 함으로써 튠의 복사를 실행하는 유저에게는 효과적으로 기능하지만, 개인의 사용 한도를 초과하지 않고 더빙을 실행하는 보통의 유저에게는 심각한 불편을 느끼지 않게 해준다.
그러나, 실제로 타이머 시간(고속 더빙의 억제 시간)은 상술된 74분의 시간에 제한되지 않고, 실제 사용 조건, 저작권 보호 효력 등을 고려하여 이보다 길거나 짧은 시간이 설정될 수 있다. 한 트랙의 평균 플레이 시간이 대략 3분으로 간주되면, 예를 들어 한 트랙의 플레이 시간인 3분을 타이머 시간으로서 설정할 수도 있다.
또한, 타이머부(28) 내에 실제로 구비될 타이머의 수는 다음과 같은 방식으로 설정될 수 있다.
여기에서, 조건으로서 고속 더빙이 4배 속도로 실행되고, 한 튠(한 트랙)의 플레이 시간이 180초(3분)라고 하자.
이 경우에, 4배 속도의 고속 더빙에 의해 한 트랙을 기록하는데 요구된 시간은 다음과 같다:
180/4=45(초)
이때, 타이머 시간이 상술된 바와 같이 74분인 경우, 처음 활성화된 타이머가 억제를 삭제하도록 리셋될 때까지 74분의 실시간(=4,440초) 이내에 기록될 수 있는 트랙의 최대 수는 다음과 같이 98이다:
4,440/45=98
따라서, 약 98개의 타이머(예를 들어, 100개 타이머)가 타이머부(28) 내에 구비되면, 서로 다른 트랙이 고속으로 연속적으로 더빙되더라도, 몇개의 사용가능한 타이머는 항상 남아있고, 타이머의 부족과 같은 상황은 거의 확실하게 방지될 수 있다.
그러나, 예를 들어 제1 타이머의 활성화 이후 74분이 경과하기 전에 모든 타이머가 사용되어 버리고 사용되지 않은 타이머가 더 이상 남아있지 않을 정도로 한 트랙의 플레이 시간이 너무 짧으면, 본 실시예의 CD-MD 더빙 시스템은 나중의 고속 더빙 자체가 억제되도록 제어된다. 그 다음, 소정의 시간이 경과한 후에, 타이머 시간은 처음 활성화된 타이머부터 시작하여 타이머들로 만기되고, ISRC 관리 테이블(29)은 ISRC 관리 테이블(29) 내에 미사용된 타이머가 존재하는 상태로 돌아가도록 클리어된다. 따라서, 고속 더빙이 가능한 상태로 돌아간다.
그 다음에, 상술된 제1 예에서 고속 더빙 시에 트랙 기록 제한 동작을 실현하는 프로세싱 동작에 대해 도 15, 16 및 17의 플로우차트를 참조하여 설명하겠다. 프로세싱 동작은 MD 레코더/플레이어(1)의 시스템 제어기(11)에 의해 실행된다.
먼저, 도 15에 프로세싱이 설명된다. 도 15에 도시된 프로세싱은 예를 들어 MD 레코더/플레이어(1)가 동작하는 동안 끊임없이 실행된다.
도 15를 참조하면, 시스템 제어기(11)는 고속 더빙에 의해 MD(90) 상으로 기록이 개시되었는지, 또는 후술되는 스텝 S103에서 프로세싱이 완료된 후에 시스템 제어기(11)의 프로세싱이 스텝 S101로 복귀할 때의 동작 상태로서 고속 더빙 동작이 진행 중인지를 스텝 S101에서 판별한다.
여기에서 고속 더빙 동작이 진행 중이라고 판별되면, 스텝 S102 및 S103의 프로세싱이 실행된다. 한편, 예를 들어 표준 속도의 더빙 동작이 진행 중이거나 또는 중지 또는 재생과 같은 더빙 기록 동작 이외의 동작 중이면, 스텝 S101에서 부정(N)의 판별 결과가 얻어진다. 이 경우에, 스텝 S102의 프로세싱은 건너뛰고, 스텝 S103의 프로세싱이 바로 실행된다.
스텝 S102의 프로세싱은 고속 더빙 동작이 진행중인 동안에 실행되는 ISRC 검출 대응 프로세싱이다. 특히, 상술된 바와 같이 CD 플레이어(30)에 의해 재생되고 MD 레코더/플레이어(1)에 입력된 디지털 음성 데이터로부터 검출된 ISRC에 기초하여 ISRC 관리 테이블(29)을 생성하는 프로세싱(타이머의 활성화를 포함), 또는 트랙의 기록을 제한하는 제어 프로세싱이 실행된다.
스텝 S103의 프로세싱은 ISRC 테이블 관리 프로세싱이다. 특히, 스텝 S103의 프로세싱은 ISRC 관리 테이블(29) 내에 현재 저장되어 있고 타이머가 상술된 바와 같이 ISRC에 응답하여 활성화된 후에 카운트 다운을 실행한 결과 타이머 시간이 0이 되는 타이머에 대응하는 ISRC를 ISRC 관리 테이블(29)로부터 클리어하는 프로세싱이다.
상술된 스텝 S102의 ISRC 검출 대응 프로세싱은 구체적으로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다. 도 16에 도시된 프로세싱 동작은 MD 레코더/플레이어(1)의 시스템 제어기(11)에 의해 실행된다.
도 16을 참조하면, 먼저 스텝 S201에서는 고속으로 더빙될 기록 데이터로서 현재 입력된 기록 사운드 소스가 CD로부터 재생될 것인지의 여부를 판별한다.
판별하는데 있어서, 시스템 제어기(11)는 현재 입력되고 있는 디지털 음성 데이터 내에 포함된 Q 채널의 서브 코딩 데이터 내용으로서 도 3a, 3b, 3c에 도시된 제어 데이터 CTL(Q1 내지 Q4)의 제2 비트 Q2의 내용을 판별해야 한다. 요컨대, 시스템 제어기(11)는 제어 데이터 CTL(Q1 내지 Q4)이 "*0**"(CD-DA(CD 디지털 음성))인지의 여부를 판별하는데만 요구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스텝 S201에서 기록 소스가 CD가 아니라고 판별되면, 도 16에 도시된 이후의 프로세싱은 실행되지 않지만, 시스템 제어기(11)는 이것의 프로세싱을 도 15에 도시된 스텝 S103으로 진행시킨다. 한편, 기록 소스가 CD라고 판별되면, 프로세싱은 스텝 S202로 진행한다.
스텝 S202에서는 예를 들어 지금까지 재생된 트랙(현재 트랙)의 재생이 끝났는지를 판별한다. 이 판별 프로세싱은 예를 들어 입력되고 있는 디지털 음성 데이터 내에 삽입된 모드 1의 Q 채널 데이터 내에 있는 값 TNO의 변화를 검출함으로써(도 3a 참조) 실행될 수 있다.
여기에서, 현재 트랙의 재생이 끝났다고 판별되면, 프로세싱은 스텝 S103으로 진행한다. 그러나, 현재 트랙의 재생이 끝나지 않았다고 판별되면, 프로세싱은 스텝 S203으로 진행한다.
스텝 S203에서는 ISRC가 후술되는 스텝 S204 이하의 프로세싱에 의해 현재 재생되고 있는 트랙(현재 트랙)의 음성 데이터 중에서 이미 검출되었는 지를 판별한다. 이 때문에, 예를 들어 시스템 제어기(11)는 현재의 트랙내로부터 ISRC가 한번 검출될 때의 플래그를 설정하여 이 플래그를, 예를 들면 RAM(24) 내에 보유할 수 있다. 플래그는 상술된 스텝 S202에서 긍정의 결과가 얻어질 때 클리어된다.
그 다음, 스텝 S203에서 부정의 결과가 얻어지면, 프로세싱은 스텝 S204로 진행하고, 여기에서 시스템 제어기(11)는 ISRC(모드 3의 채널 데이터)를 검출하기 위해 현재 트랙의 음성 데이터 내에 삽입된 Q 채널의 서브 코딩 데이터의 내용을 감독한다. 여기에서 ISRC가 검출되지 않으면, 프로세싱은 단계 S103으로 진행한다. 그러나, ISRC가 검출되면, 예를 들어 검출된 ISRC는 저장되고, 프로세싱은 단계 S205로 진행한다.
단계 S205에서는 ISRC 관리 테이블(29) 내에 저장된 ISRC들 중의 하나가 검출된 ISRC와 일치하는 지를 판별하기 위해 단계 S204에서 검출된 ISRC와 현재 ISRC 관리 테이블(29)의 내용이 참조된다.
부정의 결과(현재 트랙과 동일한 트랙이 현재 시점으로부터 거슬러 올라가 타이머 시간(74분) 이내에 고속으로 더빙된 경우에 해당함)가 얻어지면, 프로세싱은 단계 S206으로 진행한다. 그러나, 긍정의 결과(현재 트랙과 동일한 트랙이 현재 시점으로부터 거슬러 올라가 타이머 시간(74분) 이내에 고속으로 더빙되지 않은 경우에 해당함)가 얻어지면, 프로세싱은 단계 S209로 진행하도록 제어된다.
단계 S206에서는 타이머부(28) 내에 현재 미사용된 타이머가 남아있는 지를 판별한다.
여기에서 현재 미사용된 타이머가 타이머부(28) 내에 남아 있으면, 프로세싱은 단계 S207로 진행한다.
이와 반대로, 현재 미사용된 타이머가 타이머부(28) 내에 남아 있지 않다고 판별되면, 프로세싱은 단계 S209로 진행한다.
단계 S207에서는 타이머부(28) 내에서 미사용된 타이머들 중의 하나가 선택되고, 이렇게 선택된 타이머의 타이머 ID 및 상술된 단계 S204에서 검출된 ISRC는 ISRC 관리 테이블의 미사용된 영역 내로 저장된다.
그 다음, 다음 단계 S208에서는 상술된 단계 S206에서 선택된 타이머가 활성화된다. 그후, 타이머는 예를 들어 후술되는 단계 S103을 프로세싱하여 타이머 시간 T=74분으로부터 카운트 다운 동작을 개시한다.
단계 S208에서 타이머의 활성 타이밍은 다음과 같은 방식으로 선택된다. 특히, 본 프로세싱 동작에 따라, 타이머는 재생 음성 데이터로부터 검출된 ISRC와 일치하는 ISRC가 ISRC 관리 테이블(29) 내에 저장되었다고 판별된 시점에 거의 대응하는 시간에 활성화된다. 방금 설명된 이러한 타이머의 활성 타이밍이 본 실시예에서 사용될 수 있지만, 이와 달리 타이머는, 예를 들어 현재 트랙의 기록이 끝나는 시점에 대응하는 타이밍에 활성화될 수 있다. 이 경우에, 그 결과로서 타이머 시간이 현재 트랙의 기록이 끝나는 시점 이후에 경과하지 않으면, 현재의 트랙과 동일한 트랙은 고속으로 더빙될 수 없다.
상술된 단계 S208의 프로세싱이 완료된 후에, 프로세싱은 단계 S103으로 진행한다.
한편, 단계 S205에서 긍정의 결과가 얻어지거나 또는 단계 S206에서 부정의 결과가 얻어지면, 프로세싱은 단계 S209로 진행한다. 단계 S209에서, 시스템 제어기(11)는 광자기 디스크(90) 상으로의 기록을 중지하는 제어 프로세싱을 실행한다. 특히, 현재의 트랙과 동일한 트랙이 74분 이내에 고속으로 더빙되었기 때문에, 시스템 제어기(11)는 현재 트랙의 기록을 억제하도록 제어한다.
단계 S209의 프로세싱이 끝나는 단계에서, 현재 트랙의 음성 데이터 부분이 MD(90) 상에 기록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불완전하게 기록된 트랙의 데이터는 예를 들어 일반 유저의 사용시의 편리성, 저작권 보호 등을 고려하여 삭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므로, 본 실시예에서는 그때까지 MD(90) 상에 기록된 현재 트랙의 기록된 부분을 소거하는 프로세싱이 다음 단계 S210에서 실행된다. 이것은 본 실시예에서 그때까지 기록된 현재 트랙의 기록 영역이 프리 영역으로서 관리될 수 있도록 현재 로드된 광자기 디스크(90)의 U-TOC 섹터 0을 기록하기 위한 것일 수 있다.
이 경우에, ISRC 관리 테이블(29)의 ISRC에 대응하고, 단계 S205에서 검출된 ISRC와 일치하게 검출된 타이머의 타이머 시간을 T=74분으로 리셋하는 프로세싱은 다음 단계 S211에서 실행된다. 단계 S211의 프로세싱은 74분 이내에 2번 이상 동일한 트랙의 고속 더빙을 실행하려고 하는 유저의 행동에 벌점과 같은 동작을 제공한다.
단계 S211의 프로세싱이 완료된 후에, 시스템 제어기(11)는 단계 S103으로 프로세싱을 진행한다.
미사용 타이머가 남아 있는 지를 판별하는 단계 S206의 프로세싱은 고속 더빙의 기록 및 재생이 실제로 시작되기 바로 이전 단계 또는 트랙이 변화되는 타이밍에서 실행될 수 있다는 것을 알기 바란다. 이 경우에, 긍정의 판별 결과가 얻어지면, 고속 더빙의 개시 이전 또는 새로운 트랙의 더빙 이전에 기록이 중지될 수 있다.
도 15에 도시된 단계 S103의 ISRC 테이블 관리 프로세싱은 도 17의 플로우차트에 도시된 것과 같은 방식으로 실제로 실행된다.
도 17에 도시된 프로세싱에 있어서, 타이머 시간의 카운트 다운(감소) 동작은 먼저 단계 S301에서 현재 동작중인(사용중인) 타이머부(28) 내에 구비된 모든 타이머들에게 실행된다.
그후, 프로세싱은 단계 S302로 진행하고, 여기에서 상술된 단계 S301에서 감소가 실행된 소정의 타이머가 타이머 시간 T=0을 나타내는지, 즉 타이머 시간이 만기된 타이머가 있는 지를 판별한다.
스텝 S302에서 타이머 시간 T가 T=0인 타이머가 없다고 판별되면, 도 17에 도시된 프로세싱(즉, 단계 S103의 프로세싱)은 바로 종료되고, 프로세싱은 도 15에 도시된 스텝 S101로 돌아간다.
한편, 스텝 S302에서 타이머 시간 T가 T=0인 타이머가 있다고 판별되면, 프로세싱은 스텝 S303으로 진행한다.
스텝 S303에서는 상술된 단계 S202에서 타이머 시간 T가 T=0으로 판별된 타이머의 타이머 ID에 대응하여 저장된 ISRC가 ISRC 관리 테이블로부터 클리어된다. 따라서, 고속 더빙이 이전에 실행된 트랙 중, 타이머 시간 T=74분이 경과된 것은 고속 더빙이 허용된다.
단계 S303의 프로세싱이 완료된 후, 프로세싱은 도 15의 스텝 S101로 돌아간다.
도 15, 16 및 17에 도시된 프로세싱이 상술된 방식으로 실행됨에 따라, 타이머 시간에 대응하는 선정된 시간 이내에 다시 동일한 트랙을 고속 더빙하는 행동을 억제하는 동작이 실현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MD 레코더/플레이어(1)가 도 15의 스텝 S101에서 제어되므로, 고속 더빙과 다른 소정의 동작에 있어서는 스텝 S102의 ISRC 검출 대응 프로세싱을 실행하지 않는다. 따라서, 예를 들어, 표준 속도의 더빙이 실행될 때에는 타이머 시간에 상관없이 동일한 트랙을 여러번 더빙하는 것이 허용된다.
이것은 동일한 트랙의 튠이 표준 더빙 속도보다 고속의 더빙에 의해 더욱 효율적으로 카피되는 것을 막기 위해 본 실시예의 고속 더빙 억제가 실행되기 때문이다. 이와 반대로 말하자면, 예를 들어 표준 속도 더빙이 선택되면, 동일한 트랙은 연속적으로 더빙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일반 유저에 대한 사용시 편리성이 저하되지 않도록 주의가 필요하다.
본 실시예는 동일한 트랙의 음성 데이터가 소정의 선정된 시간 이내에 고속 더빙에 의해 복제될 수 없게 구성되기 때문에, 고속 더빙을 억제하는 특정 방법은 도 16의 단계 S209와 관련하여 설명된 바와 같이 MD 상으로의 기록을 억제하는 이러한 방법에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는 것을 알기 바란다. 예를 들어, 광자기 디스크(90) 상으로의 기록 동작이 계속되더라도 기록 사운드 정보가 그 다음의 기록 신호 처리 시스템에 공급될 수 없도록 기록 사운드 정보의 입력단이 입력을 거부하게 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MD 레코더/플레이어(1)측 상의 디지털 인터페이스부(25)는 CD 플레이어(30)로부터 공급된 디지털 음성 데이터의 입력을 받아들이지 않거나, 또는 A/D 컨버터가 CD 플레이어(30)로부터 공급된 아날로그 음성 신호의 A/D 변환 프로세싱을 실행하지 않음으로써, 디지털 데이터는 다음 단계에서 디코더(14)에 공급될 수 없다. 또한, 한 변형예로서 실제 음성 데이터와 다른 더미 데이터같은 스트림 데이터를 생성하여 이러한 더미 데이터를 MD(90) 상으로 기록하는 것도 가능한 대응책이다.
4-2. 제2 예
그 다음에, 본 실시예의 고속 더빙 시의 트랙 카피를 제한하는 제2 예에 대해 설명하겠다.
제2 예에서는 트랙 재생에 대한 제한이 더빙 시스템의 재생 장치인 CD 플레이어(30)측 상에서 실행된다. 이 때문에, 제2 예에서 CD 플레이어(30)측은 상술된 바와 같이 타이머부(46) 및 ISRC 관리 테이블(45)을 포함할 필요가 있다. ISRC 관리 테이블(45)은 도 14에 도시된 것과 유사한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예에서의 동작은 제1 예와 많이 공통되고, 대체로 다음과 같다.
CD의 재생 동작이 예를 들어 고속 더빙을 위한 선정된 여러배의 속도로 CD 플레이어(30) 상에서 실행될 때, 시스템 제어기(41)는 CD로부터 재생된 트랙으로서 음성 데이터 내에 삽입된 ISRC를 검출한다. 그 다음, 제1 예에서와 마찬가지로, 검출된 ISRC가 ISRC 관리 테이블(45)에서 발견되지 않으면, 타이머부(46)의 타이머들 중 한 타이머가 활성화되고, 이 타이머의 타이머 ID 및 검출된 ISRC가 ISRC 관리 테이블(45) 내로 저장된다.
한편, 검출된 ISRC가 ISRC 관리 테이블(45) 내에 저장되면, 시스템 제어기(41)는 현재 트랙의 재생 정보가 MD 레코더/플레이어(1)에 입력될 수 없도록 제어한다. CD 플레이어(30)로부터의 재생 데이터가 이러한 방식으로 MD 레코더/플레이어(1)에 출력되지 않게 되는 경우에, 기록 동작이 MD 레코더/플레이어(1)측 상에서 실행되더라도, 트랙의 음성 데이터는 MD(90) 상으로 기록될 수 없다.
또한, 재생(CD 플레이어(30))측이 상술된 바와 같은 방식으로 구성되는 경우, 타이머 시간에 대응하는 선정된 시간 이내에 여러번 동일한 트랙의 고속 더빙은 제1 예와 유사한 방식으로 방지된다.
그 다음에, 제2 예에서의 동작을 실현하기 위해 CD 플레이어(30)의 시스템 제어기(41)에 의해 실행된 프로세싱 동작에 대해 설명하겠다.
도 18의 플로우차트는 고속 더빙 시의 트랙 재생에 대한 제한을 실현하기 위해 CD 플레이어(30)의 동작 중에 시스템 제어기(41)에 의해 끊임없이 실행되는 프로세싱을 도시한 것이다. 도 18에 도시된 프로세싱은 제1 예에서의 도 15에 도시된 프로세싱 동작에 대응한다.
도 18을 참조하면, 단계 S401에서 선정된 여러배 속도로 CD의 재생이 실행된다. 특히, 고속 재생 동작이 개시되었는지, 또는 시스템 제어기(41)가 스텝 S403의 프로세싱을 실행한 후에 시스템 제어기(41)의 프로세싱이 스텝 S401로 복귀할 때 CD 플레이어(30)의 동작 상태로서 고속 재생 동작이 진행중인 지의 여부를 판별한다.
고속 재생이 진행중이라고 판별되면, 시스템 제어기(41)는 단계 S402 및 S403을 순서대로 실행한다.
한편, 예를 들어 정상 표준 속도에서의 재생 동작이 진행중이거나 또는 CD 플레이어(30)가 중지, 빨리 감기, 되감기 등의 보통의 재생 동작 이외의 동작 모드 상태에 있으면, 단계 S401에서 부정의 결과가 얻어진다. 이 경우에, 시스템 제어기(41)의 프로세싱은 스텝 S403을 건너뛰고, 바로 스텝 S403의 프로세싱을 실행한다.
단계 S402의 프로세싱은 ISRC 검출 대응 프로세싱이고, 단계 S403의 프로세싱은 ISRC 테이블 관리 프로세싱이다.
단계 S402의 ISRC 검출 대응 프로세싱은 구체적으로 도 19의 플로우차트에 도시된 것과 같다. 프로세싱 동작은 시스템 제어기(41)에 의해 실행된다.
도 19에 도시된 프로세싱은 CD 플레이어(30)에 의해 재생되고 있는 현재의 트랙이 끝났는 지의 여부를 판별하는 단계 S501의 프로세싱에서부터 개시한다. 그러나, 단계 S501 내지 S507에서 실행된 프로세싱은 이 프로세싱이 CD 플레이어(30)측에 의해 실행된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도 16을 참조하여 상술된 제1 예에서의 ISRC 검출 대응 프로세싱에서 각각 단계 S202 내지 S208의 프로세싱과 유사하다. 그러나, 여기에서는 중복된 프로세싱에 대해서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겠다.
제2 예에 있어서는, 단계 S504에서 재생 음성 데이터로부터 검출된 ISRC와 일치하는 ISRC가 ISRC 관리 테이블(45) 내에 저장되었다고 판별될 때, 또는 단계 S505에서 타이머부(46) 내에 미사용된 타이머가 남아있지 않다고 판별될 때, 시스템 제어기(41)의 프로세싱은 단계 S508로 진행한다.
이 경우에, 단계 S508에서는 시스템 제어기(41)가 CD 플레이어(30)에 의해 재생되는 CD의 재생을 중지하는 제어 프로세싱을 실행한다. 그 다음, 다음 단계 S509에서는 시스템 제어기(41)가, 예를 들어 ISRC 관리 테이블(45) 내의 선행 단계 S503에서 검출된 ISRC와 일치하는 ISRC에 대응하는 타이머 ID의 타이머를 리셋하는(타이머 시간 T=74분으로부터의 카운트 다운을 다시 시작하는) 제어 프로세싱을 실행한다.
단계 S509의 프로세싱 후에, 시스템 제어기(41)의 프로세싱은 단계 S403으로 진행한다.
도 18의 단계 S403의 실제 프로세싱은 프로세싱이 CD 플레이어(30)에서 실행된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도 17을 참조하여 상술된 제1 예에서의 프로세싱 동작과 유사하다. 그러므로, 여기에서는 프로세싱의 중복된 설명은 생략하겠다.
도 18 및 도 19(및 도 17)에 도시된 프로세싱이 실행됨에 따라, CD 플레이어측 상의 동작에 의한 고속 더빙의 제한 동작이 실현된다.
여기에서는, 재생 음성 데이터가 MD 레코더/플레이어(1)에 공급되지 못하게 하기 위해 CD로부터의 정보 독출이 중지되도록 도 19의 단계 508의 프로세싱이 행해지지만, 고속 더빙이 실행되지 못하게 하려는 경우에는, CD의 재생 중지가 계속되는 동안에 디지털 인터페이스부(40)로부터의 음성 데이터의 전송 출력 및 아날로그 출력 단자(43)로부터의 음성 신호의 출력 중지(예를 들어, D/A 컨버터(39)로부터 아날로그 신호의 출력을 중지하거나 또는 D/A 컨버터(39)와 아날로그 출력 단자(43) 간의 통신이 개방되게 하는 것)가 실행될 수 있도록 제어하는 방법도 가능하다.
또한, 고속 더빙이 디지털 데이터 형태로 재생 음성 데이터의 출력만으로 실행되도록 CD-MD 더빙 시스템이 구성되면, 음성 신호가 아날로그 출력 단자(43)로부터 출력되는 동안에 디지털 인터페이스부(40)로부터의 음성 데이터의 전송 출력만을 중지시키는 것도 가능한 대응책이다.
이와 반대로, 고속 더빙이 아날로그 음성 신호만으로 실행되도록 CD-MD 더빙 시스템이 구성되면, 디지털 인터페이스부(40)로부터의 음성 데이터 출력이 여전히 유효한 상태인 동안에 아날로그 출력 단자(43)로부터의 음성 신호 출력만을 중지시키는 것도 가능한 대응책이다.
또한, 제2 예에서의 동작은 CD 플레이어(30)에 의한 타이머 시간에 대응하는 선정된 시간 이내에 여러번 재생된 동일한 트랙의 재생을 제한하는 동작이고, CD 플레이어 형태의 재생 장치측 상에서 완료되는 동작이다.
따라서, 제2 예의 동작은, 예를 들어 CD 플레이어에 의해 CD를 재생하는 행동 자체에 의한 고속 더빙 이외의 것이라도 저작권이 침해될 수 있는 가능성이 있는 경우에 또한 적용될 수 있다.
4-3. 제3 예
상술된 제1 및 제2 예에 있어서는 음성 데이터 내에 삽입된 ISRC가 검출되고, 고속 더빙이 이 검출된 ISRC에 기초하여 억제된다.
본 실시예의 목적은 동일한 트랙 또는 동일한 CD가 타이머 시간에 대응하는 선정된 시간 이내에 여러번 카피되지 않게 하기 위한 것이기 때문에, 고속 더빙은 식별 정보가 트랙 또는 CD의 설명서를 참작한다면 ISRC 이외에 식별 정보를 사용하게 하여 억제될 수 있다.
그러므로, 제3 예에서는 고속 더빙이 ISRC 이외에 식별 정보를 사용하여 억제된다.
이 때문에, 제3 예에서는 기록 사운드 소스로서 기능하는 CD를 식별하는 식별 정보(이후, 커스텀 파일(custom file)이라 함)가 생성되어 ISRC 대신에 이용된다. 그 다음, 커스텀 파일에 기초하여, 예를 들어 동일한 CD가 선정된 시간 내에 여러번 고속 더빙되는 것이 억제된다. ISRC가 이용되는 경우에는 고속 더빙이 트랙 단위로 억제될 수 있지만, 커스텀 파일은 CD 설명서용 식별 정보이기 때문에, 고속 더빙 억제 동작은 CD 단위로 실현된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
본 실시예에서 커스텀 파일을 사용하는 고속 더빙 억제 동작의 상세한 예는 다음과 같다.
예를 들어, 소정의 컴팩트 디스크 CD가 CD 플레이어(30) 내로 로드되면, 시스템 제어기(41)는 먼저 TOC 정보를 독입한다. 컴팩트 디스크 시스템에 있어서, 재생 동작에 필요한 TOC 정보는 상술된 미니 디스크 시스템의 TOC 구조와는 다른 구조이긴 하지만 CD의 리드-인(lead-in) 영역 내에 기록된다. CD가 로드된 후에, 시스템 제어기(41)는 먼저 광학 헤드(3)가 리드-인 영역의 재생 동작을 실행하게 하고, EFM 디코더를 포함하는 신호 처리 회로(38)에 의해 추출된 TOC 데이터를 페치한다. TOC 데이터가 독입됨에 따라, 로드된 CD 상의 트랙의 어드레스 정보가 파악될 수 있고, 재생 동작이 제어될 수 있다.
이러한 TOC 정보의 내용은 이것을 사용하게 하여 커스텀 파일을 생성함으로써 각 디스크에 유일하기 때문에, 각 디스크는 후술되는 더빙 동작 시에 식별될 수 있다.
커스텀 파일에 있어서, 예를 들어 한 CD에 유일한 디스크 ID가 사용될 수 있고, 이 값은 예를 들어 전체 플레이 시간 데이터와 TOC 정보 내의 최종 프레임 번호를 조합하여 생성될 수 있다.
유일한 디스크 ID가 이러한 방식으로 생성되어 저장되는 경우, 나중에 CD가 로드될 때, 디스크 ID가 이와 유사하게 생성되고 저장된 디스크 ID와 비교되어, 일치성이 검출되면 CD는 지정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CD 플레이어(30)측은 로드된 CD의 디스크 ID를 생성하고 활성화된 타이머의 타이머 ID와 함께 디스크 ID를 저장하여 디스크 ID 관리 테이블을 생성한다. 요컨대, 디스크 ID 관리 테이블은 제1 및 제2 예에서 사용된 ISRC 관리 테이블(45) 대신에 구비된다.
CD가 새로 로드될 때마다, 디스크 ID는 시스템 제어기(41)의 제어 하에 생성되고, 이렇게 생성된 디스크 ID와 일치하는 디스크 ID가 디스크 ID 관리 테이블 내에 존재하는 지를 판별하기 위해 디스크 ID 관리 테이블이 참조되도록 CD 플레이어(30)는 제어된다. 그 다음, 생성된 디스크 ID와 일치하는 디스크 ID가 디스크 ID 관리 테이블 내에서 발견되지 않으면, 생성된 디스크 ID는 새로 활성화된 타이머의 타이머 ID와 함께 디스크 ID 관리 테이블 내로 저장된다. 한편, 로드된 CD의 디스크 ID와 일치하는 디스크 ID가 디스크 ID 관리 테이블에서 발견되면, 예를 들어 고속 더빙을 위한 고속 재생을 실행하는 동작이 실행되었는 지를 판별하고, 시스템 제어기(41)는 로드된 CD의 재생 사운드의 출력이 실행될 수 없게 제어한다.
상기 설명에서 CD 플레이어(30)측 상의 재생 출력이 중지된다고 설명했지만, 예를 들어 CD 플레이어(30)의 시스템 제어기(41)와 MD 레코더/플레이어(1)의 시스템 제어기(11) 사이의 통신을 통해 로드된 CD의 디스크 ID와 일치하는 디스크 ID가 디스크 ID 관리 테이블에서 발견되었다고 판정되면, MD 레코더/플레이어(1)측 상의 음성 데이터의 기록이 억제되도록 CD-MD 더빙 시스템을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CD 플레이어(30) 내로 로드된 CD의 TOC 데이터가 디지털 데이터 인터페이스를 통해 MD 레코더/플레이어(1)측 내로 페치되고, 커스텀 파일(디스크 ID)과 디스크 ID 관리 테이블이 MD 레코더/플레이어(1)측 상에 생성된 다음, 디스크 ID 관리 테이블의 관리 및 디스크 ID 관리 테이블과 생성된 디스크 ID에 기초한 고속 더빙 억제 동작이 MD 레코더/플레이어(1)측 상에서 실행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은 상기 특정 실시예의 구성에 한정되지 않는다는 것을 알기 바란다. 예를 들어, ISRC 또는 커스텀 파일 이외에 트랙 또는 기록 매체 단위로 식별에 사용될 수 있는 정보가 이용가능하면, 그 정보를 사용하여 고속 더빙을 억제하는 더빙 시스템이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상술된 실시예에서는 MD 레코더/플레이어 및 CD 플레이어를 포함하는 더빙 시스템이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은 또한, 예를 들어 다수의 MD 레코더/플레이어를 포함하는 다른 더빙 시스템, 또한 예를 들어 DAT 또는 테이프 카세트 레코더와 같은 테이프 매체가 구비된 기록 또는 재생 장치를 포함하는 더빙 시스템, 또는 하드 디스크와 반도체 메모리 사이 또는 반도체 메모리들 사이에서 더빙을 실행하거나 자기 메모리 또는 광 메모리와 같은 차세대 메모리를 사용하여 더빙하는 더빙 시스템에도 적용될 수 있다.
상술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고속 더빙이 예를 들어 CD(제1 기록 매체, 재생용 기록 매체임)에서 MD(제2 기록 매체, 기록용 기록 매체임)로 실행될 때, 요구된 타이머 시간을 카운트하는 타이머는 CD로부터 재생된 음성 신호(재생 정보) 내에 삽입된 ISRC 또는 CD의 TOC 정보로부터 생성된 커스텀 파일(디스크 ID)과 같은 식별 정보에 대응하여 활성화된다. 그 다음, 대응하는 타이머 시간이 경과되지 않은 ISRC 또는 디스크 ID를 갖는 재생 정보의 고속 더빙이 억제된다.
요컨대, 본 발명에 있어서, 동일한 프로그램(트랙) 또는 동일한 CD의 재생 정보는 타이머 시간에 대응하는 선정된 시간 이내에 여러번 더빙될 수 없다.
상술된 구성에 따라, 동일한 튠(트랙) 또는 동일한 CD와 같은 기록 사운드 소스를 짧은 시간에 여러번 복제하는 것과 같이 개인의 사용 한도를 초과하는 것으로 간주되는 더빙 행위는 타이머 시간을 적절하게 고려하여 설정함으로써 억제될 수 있다. 따라서, 상술된 구성에 따르면, 고속 더빙 기능은 무력하게 되지만, 상술된 타이머 시간이 경과할 때는 동일한 트랙 또는 동일한 CD의 더빙이 허용되기 때문에, 보통의 개인 사용 한도 내에서 더빙을 실행하는 일반 유저에게는 사용시 편리성이 양호하게 유지된다.
또한, 기록 장치측 상에서 식별 정보 검출 및 타이머 프로세싱을 실행함으로써 기록에 관한 동작을 억제하는 기술 및 재생 장치측 상에서 식별 정보의 검출 및 타이머 프로세싱을 실행함으로써 재생에 관한 동작을 억제하는 기술 중의 소정의 한가지 기술이 본 발명의 더빙 억제 동작에 채택될 수 있지만, 더빙 억제 동작은 기록 장치와 재생 장치 중의 한가지 장치에 의해 완료될 수 있기 때문에, 더빙 시스템이 예를 들어 기록 장치 및 재생 장치를 포함하는 하나의 유닛으로 구성되더라도 고속 더빙 제한 기능은 더빙 시스템으로 간단하게 실현될 수 있다.
또한, 고속더빙을 실제로 억제하는 동작이 재생 장치측 상에서 실행되어야 하는 경우에, 더빙 시스템은 재생용 기록 매체로부터의 재생 정보 독출의 중지 또는 재생용 기록 매체로부터 독출된 정보의 재생 출력 중지가 실행되도록 구성되지만, 고속 더빙을 실제로 억제하는 동작이 기록 장치측 상에서 실행되어야 하는 경우에, 더빙 시스템은 기록용 기록 매체 상으로의 재생 정보 기록의 중지 또는 재생용 기록 매체로부터 독출된 재생 정보의 입력 수용을 거절하는 프로세싱이 실행되도록 구성된다.
요컨대, 본 발명에 따른 고속 억제 동작은 음성 신호가 복제되는 기록 매체가 결과적으로 얻어지지 않게 하는데에만 필요로 되고, 고속 더빙 억제 동작은 여러 동작들 중에서 선택될 수 있다. 따라서, 실제로 구현된 더빙 시스템에 적합한 고속 더빙 억제 동작은 시스템 설계시에 유리하게 선택될 수 있다.
또한, ISRC와 같은 재생 정보에 삽입된 프로그램을 식별하는데 사용될 수 있는 정보가 본 발명에서 식별 정보로서 이용되면, 고속 더빙 억제 동작은 프로그램 단위로 용이하게 달성될 수 있다. 또한, 고속 억제 동작이 기록 매체 단위로 요구되면, 커스텀 파일(디스크 ID)과 같은 디스크의 TOC 정보를 사용하게 하는 기록 매체로서 각각을 식별하는데 사용될 수 있는 정보가 이용될 수 있다. 요컨대, 본 발명에서는 더빙을 억제하는 대상으로서, 프로그램 단위의 더빙 억제 및 기록 매체 단위의 더빙 정보 중의 하나 또는 둘다가 실제 사용 상황 등에 따라 선택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더빙 억제 동작은 예를 들어 고속더빙 시에 억제되는 트랙 또는 기록 매체의 카피가 표준 속도 더빙 시에 허용되도록 표준 속도의 정상 더빙에서는 실행되지 않는다.
따라서, 예를 들어 일반 유저에 대한 더빙 기능의 사용시 편리성은 고속 더빙 억제 기능에 의해 저하되지 않고, 유저에게 표준 속도 더빙을 실행하게 함으로써 저작권 보호가 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유저가 고속 더빙에 의해 타이머 시간에 대응하는 선정된 시간 이내에 동일한 트랙 또는 동일한 기록 매체의 더빙을 실행하려고 하여, 트랙 또는 기록 매체의 더빙 억제 동작이 실행되면, 트랙 또는 기록 매체에 대응하는 타이머(트랙 또는 기록 매체의 식별 정보)는 리셋되어 처음부터 다시 시간을 카운트한다. 이 동작은 유저에게 벌점을 주는 것으로, 이러한 동작은 또한 유저가 개인 사용 한도를 초과하는 고속 더빙 기능을 사용하지 못하게 함으로써 저작권 보호를 달성할 수 있다.

Claims (26)

  1. 기록 매체 상에 기록된 프로그램을 재생하는 재생 장치에 있어서,
    상기 기록 매체 상에 기록된 프로그램을 재생하는 재생 수단,
    상기 재생 수단의 동작에 응답하여 시간 카운팅 동작을 시작하는 시간 카운팅 수단,
    상기 기록 매체 또는 프로그램을 식별하기 위해 식별 정보를 검출하는 검출 수단,
    상기 시간 카운팅 수단에 대응하여 상기 검출 수단에 의해 검출된 식별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 수단,
    상기 저장 수단에 저장된 식별 정보와 상기 검출 수단에 의해 검출된 식별 정보를 비교하는 비교 수단, 및
    상기 저장 수단에 저장된 식별 정보와 상기 검출 수단에 의해 검출된 식별 정보가 서로 동일하다는 것을 상기 비교 수단이 판정할 때, 상기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상기 시간 카운팅 수단의 시간 카운팅이 선정된 시간에 도달할 때까지 상기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프로그램의 상기 재생 수단에 의한 재생을 억제하는 제어 수단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생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재생 수단은 상기 기록 매체 상에 기록된 프로그램을 독출하는 독출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독출 수단에 의한 프로그램의 독출을 억제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생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재생 수단에 의한 프로그램의 재생 출력을 억제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생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재생 수단은 디지털 신호로서 프로그램을 재생할 수 있고, 상기 제어 수단은 디지털 신호의 재생을 억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생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재생 수단은 아날로그 신호로서 프로그램을 재생할 수 있고, 상기 제어 수단은 아날로그 신호의 재생을 억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생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 정보는 상기 기록 매체 상에 선정된 포맷으로 기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생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 정보는 상기 기록 매체의 관리 영역 내에 기록된 관리 정보에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생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 매체의 상기 관리 영역 내에 기록된 관리 정보는 저작권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생 장치.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 매체의 관리 영역 내에 기록된 관리 정보는 상기 기록 매체 상에 기록된 프로그램의 번호 및 기록 시간에 기초하여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생 장치.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 정보는 상기 기록 매체 상에 기록된 프로그램 단위의 정보 내에 각 프로그램 부분마다 선정된 포맷으로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생 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프로그램이 상기 재생 수단에 의해 선정된 전송 속도로 재생될 때 재생의 억제를 무효로 만드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생 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간 카운팅 수단은 상기 프로그램 재생의 억제가 상기 제어 수단에 의해 삭제되는 시점부터 상기 프로그램에 대응하는 식별 정보와 관련된 시간 카운팅을 시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생 장치.
  13. 기록 및 재생 시스템에 있어서,
    제1 기록 매체 상에 기록된 프로그램을 재생하는 재생 장치, 및
    재생된 프로그램을 제2 기록 매체 상에 기록하는 기록 장치
    를 포함하고,
    상기 재생 장치는 상기 기록 매체 상에 기록된 프로그램을 재생하는 재생 수단, 상기 재생 수단의 동작에 응답하여 시간 카운팅 동작을 시작하는 시간 카운팅 수단, 상기 기록 매체 또는 프로그램을 식별하기 위해 식별 정보를 검출하는 검출 수단, 상기 시간 카운팅 수단에 대응하여 상기 검출 수단에 의해 검출된 식별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 수단, 상기 저장 수단에 저장된 식별 정보와 상기 검출 수단에 의해 검출된 식별 정보를 비교하는 비교 수단, 및 상기 저장 수단에 저장된 식별 정보와 상기 검출 수단에 의해 검출된 식별 정보가 서로 동일하다는 것을 상기 비교 수단이 판정할 때, 상기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상기 시간 카운팅 수단의 시간 카운팅이 선정된 시간에 도달할 때까지 상기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프로그램의 상기 재생 수단에 의한 재생을 억제하는 제어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기록 장치는 상기 재생 수단에 의해 재생된 프로그램을 수신하는 입력 수단, 및 상기 입력 수단에 의해 수신된 프로그램을 제2 기록 매체 상으로 기록하는 기록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및 재생 시스템.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재생 수단은 상기 기록 매체 상에 기록된 프로그램을 독출하는 독출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독출 수단에 의한 프로그램의 독출을 억제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및 재생 시스템.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재생 수단에 의한 프로그램의 재생 출력을 억제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및 재생 시스템.
  16.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재생 수단은 디지털 신호로서 프로그램을 재생할 수 있고, 상기 제어 수단은 디지털 신호의 재생을 억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및 재생 시스템.
  17.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재생 수단은 아날로그 신호로서 프로그램을 재생할 수 있고, 상기 제어 수단은 아날로그 신호의 재생을 억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및 재생 시스템.
  18.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 정보는 상기 기록 매체 상에 선정된 포맷으로 기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및 재생 시스템.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 정보는 상기 기록 매체의 관리 영역 내에 기록된 관리 정보에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및 재생 시스템.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 매체의 상기 관리 영역 내에 기록된 관리 정보는 저작권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및 재생 시스템.
  21.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 매체의 관리 영역 내에 기록된 관리 정보는 상기 기록 매체 상에 기록된 프로그램의 번호 및 기록 시간에 기초하여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및 재생 시스템.
  22.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 정보는 상기 기록 매체 상에 기록된 프로그램 단위의 정보 내에 각 프로그램 부분마다 선정된 포맷으로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및 재생 시스템.
  23.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프로그램이 상기 재생 수단에 의해 선정된 전송 속도로 재생될 때 재생의 억제를 무효로 만드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및 재생 시스템.
  2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시간 카운팅 수단은 상기 프로그램 재생의 억제가 상기 제어 수단에 의해 삭제되는 시점부터 상기 프로그램에 대응하는 식별 정보와 관련된 시간 카운팅을 시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및 재생 시스템.
  25. 기록 매체 상에 기록된 프로그램을 재생하는 재생 방법에 있어서,
    상기 기록 매체 상에 기록된 프로그램을 재생하는 재생 단계,
    상기 재생에 응답하여 시간 카운팅 동작을 시작하는 시간 카운팅 단계,
    상기 기록 매체 또는 프로그램을 식별하기 위해 식별 정보를 검출하는 검출 단계,
    상기 시간 카운팅에 대응하여 검출된 식별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 단계,
    상기 저장된 식별 정보와 상기 검출된 식별 정보를 비교하는 비교 단계, 및
    상기 저장된 식별 정보와 상기 검출된 식별 정보가 서로 일치한다는 것이 상기 비교 단계에서 판정될 때, 상기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시간 카운팅이 선정된 시간에 도달할 때까지 상기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프로그램의 재생을 억제하는 제어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생 방법.
  26. 제1 기록 매체 상에 기록된 프로그램을 재생하고, 재생된 프로그램을 제2 기록 매체 상으로 기록하는 기록 및 재생 방법에 있어서,
    제1 기록 매체 상에 기록된 프로그램을 재생하는 재생 단계,
    상기 재생에 응답하여 시간 카운팅 동작을 시작하는 시간 카운팅 단계,
    상기 제1 기록 매체 또는 프로그램을 식별하기 위해 식별 정보를 검출하는 검출 단계,
    상기 시간 카운팅에 대응하여 검출된 상기 식별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 단계,
    상기 저장된 식별 정보와 상기 검출된 식별 정보를 비교하는 비교 단계,
    상기 저장된 식별 정보와 상기 검출된 식별 정보가 서로 일치한다는 것이 상기 비교 단계에서 판정될 때, 상기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시간 카운팅이 선정된 시간에 도달할 때까지 상기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프로그램의 재생을 억제하는 제어 단계,
    상기 재생된 프로그램을 수신하는 입력 단계, 및
    상기 수신된 프로그램을 제2 기록 매체 상으로 기록하는 기록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및 재생 방법.
KR1020000013839A 1999-03-19 2000-03-18 재생 장치, 기록 및 재생 시스템, 재생 방법, 및 기록 및재생 방법 KR10071168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1076599A JP2000276834A (ja) 1999-03-19 1999-03-19 記録装置、再生装置、記録再生システム、及びダビング動作管理方法
JP1999-076599 1999-03-1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62956A true KR20000062956A (ko) 2000-10-25
KR100711681B1 KR100711681B1 (ko) 2007-04-30

Family

ID=136097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13839A KR100711681B1 (ko) 1999-03-19 2000-03-18 재생 장치, 기록 및 재생 시스템, 재생 방법, 및 기록 및재생 방법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6298022B1 (ko)
EP (1) EP1039461A3 (ko)
JP (1) JP2000276834A (ko)
KR (1) KR100711681B1 (ko)
CN (1) CN1265375C (ko)
HK (1) HK1034138A1 (ko)
TW (1) TW526472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MY124066A (en) * 1998-12-25 2006-06-30 Sony Corp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and method, and program storage medium.
JP4304796B2 (ja) * 1999-11-30 2009-07-29 ソニー株式会社 ダビング装置
JP4304802B2 (ja) * 1999-12-17 2009-07-29 ソニー株式会社 ダビング装置
JP2001184785A (ja) * 1999-12-24 2001-07-06 Sony Corp ダビング装置
US7266590B2 (en) 2000-02-21 2007-09-04 Seiko Epson Corporation System for mediating printing on network
US7149156B2 (en) * 2001-07-11 2006-12-12 Sony Corporation Editing apparatus for optical reproducing device
JP2003030964A (ja) * 2001-07-11 2003-01-31 Sony Corp 再生装置および編集装置
JP2003228915A (ja) * 2002-02-01 2003-08-15 Sony Corp 再生制御方法、プログラム、記録媒体
EP2068563B1 (en) * 2003-06-30 2010-11-10 Panasonic Corporation Recording medium, reproduction device, recording method, program, and reproduction method
JPWO2005076261A1 (ja) * 2004-02-09 2007-10-18 パイオニア株式会社 情報記録媒体、情報再生装置及び方法
EP1729298A1 (en) * 2004-03-23 2006-12-06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Recording device, reproduction device, host device, drive device, recording method, reproduction method, program, and information recording medium
CN106297829A (zh) * 2016-08-28 2017-01-04 浙江传媒学院 一种恒线速胶木唱片的播放和/或记录方法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883641T2 (de) 1987-06-30 1993-12-16 Toshiba Kawasaki Kk Aufzeichnungssteuergerät.
DE4345611B4 (de) 1992-04-16 2011-06-16 Mitsubishi Denki K.K. Wiedergabe-Gerät
US5805551A (en) * 1994-04-18 1998-09-08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preventing illegal copy or illegal installation of information of optical recording medium
JPH103745A (ja) 1996-06-12 1998-01-06 Sony Corp 記録媒体、デジタルコピー管理方法、再生装置、及び記録装置
JP3361729B2 (ja) * 1997-08-05 2003-01-07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記録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6298022B1 (en) 2001-10-02
CN1267886A (zh) 2000-09-27
HK1034138A1 (en) 2001-10-12
EP1039461A3 (en) 2000-12-20
EP1039461A2 (en) 2000-09-27
KR100711681B1 (ko) 2007-04-30
CN1265375C (zh) 2006-07-19
TW526472B (en) 2003-04-01
JP2000276834A (ja) 2000-10-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199082B2 (ja) オーディオデータの区切り位置調整方法および装置
JPH0589601A (ja) デイスク記録装置、デイスク再生装置及びデイスク
KR100665722B1 (ko) 더빙장치 및 더빙방법
KR100278191B1 (ko) 기록 가능한 영역을 목록으로 관리하는 방법과 이 목록 정보에 기초하여 기록 동작을 행하는 기록 또는 기록 재생 장치
KR100665157B1 (ko) 더빙 장치 및 더빙 방법
KR100711681B1 (ko) 재생 장치, 기록 및 재생 시스템, 재생 방법, 및 기록 및재생 방법
KR100638773B1 (ko) 기록 및 재생 장치, 재생 장치, 기록 및 재생 방법, 및재생 방법
JP3750278B2 (ja) 記録装置、記録システム、及びダビング方法
US6631100B2 (en) Recording apparatus, recording method, and dubbing apparatus for recording or dubbing programs and character data
EP0587388B1 (en) Disc recording apparatus
US6493299B2 (en) Dubbing system and dubbing method
US5717671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recording constant interval of silence
JPH0589643A (ja) デイスク記録装置、デイスク再生装置及びデイスク
JP4110679B2 (ja) 記録装置
JP3787934B2 (ja) 再生装置
JP3021281B2 (ja) 情報記録再生装置
JP3799075B2 (ja) 記録装置
JP3797362B2 (ja) 記録装置、及び記録再生装置
JP3297936B2 (ja) 再生装置
JPH11126423A (ja) 記録装置及び記録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