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62881A - 아크릴 삼원중합체를 함유하는 수중유 에멀션 형태의조성물, 및 이의 용도, 특히 화장 용도 - Google Patents

아크릴 삼원중합체를 함유하는 수중유 에멀션 형태의조성물, 및 이의 용도, 특히 화장 용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62881A
KR20000062881A KR1020000012985A KR20000012985A KR20000062881A KR 20000062881 A KR20000062881 A KR 20000062881A KR 1020000012985 A KR1020000012985 A KR 1020000012985A KR 20000012985 A KR20000012985 A KR 20000012985A KR 20000062881 A KR20000062881 A KR 2000006288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sition
composition according
weight
terpolymer
o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129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시몽빠스깔
보르도도미니끄
Original Assignee
조지안느 플로
로레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지안느 플로, 로레알 filed Critical 조지안느 플로
Publication of KR200000628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62881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07Preparations for dry skin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NELECTRIC MACH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2N11/00Generators or motors not provided for elsewhere; Alleged perpetua mobilia obtained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H02N11/002Generat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91Graft copolyme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00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dynamo-electric machines, e.g. structural association with mechanical driving motors or auxiliary 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02Additional mass for increasing inertia, e.g. flywheels
    • H02K7/025Additional mass for increasing inertia, e.g. flywheels for power storag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00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dynamo-electric machines, e.g. structural association with mechanical driving motors or auxiliary 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18Structural association of electric generators with mechanical driving motors, e.g. with turbines
    • H02K7/1807Rotary generat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00Make-up preparations; Body powders; Preparations for removing make-up
    • A61Q1/14Preparations for removing make-up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Dermat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Cosmetics (AREA)
  • Macromonomer-Based Addition Polymer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생리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매질에 수성상에 분산된 오일상을 함유하는 수중유 에멀션 형태의 조성물에 있어서, 하기로부터 얻은 하나 이상의 아크릴 삼원중합체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a) α,β-에틸렌성 불포화를 포함하는 카르복실산;
(b) (a) 이외의 에틸렌 불포화를 포함하는 비(非)표면활성 단량체; 및
(c) 1가 비이온성 양쪽친매성 화합물과 이소시아네이트(모노에틸렌성 불포화를 포함함) 의 반응 생성물인 비이온성 우레탄 단량체;
삼원중합체/오일 상의 중량비는 1/50 내지 1/125 의 범위이다.
수득한 조성물은 O/W 에멀션에 통상적으로 사용된 어떤 계면활성제가 없는 것이 유익하다. 상기 조성물의 오일상의 함유 여부에 관계없이 아주 안정하다. 상기 조성물은 특히 화장용 및/또는 피부학적 용도로 사용된다.
본 발명은 피부, 입술 및/또는 모발을 케어, 처리 및/또는 세정하기 위한, 특히 건성 피부 및/또는 건성 입술을 케어하기 위한 상기 조성물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아크릴 삼원중합체를 함유하는 수중유 에멀션 형태의 조성물, 및 이의 용도, 특히 화장 용도 {COMPOSITION IN THE FORM OF AN OIL-IN-WATER EMULSION COMPRISING AN ACRYLIC TERPOLYMER AND ITS USES, IN PARTICULAR ITS COSMETIC USES}
본 발명은 하나 이상의 아크릴 삼원중합체를 함유하는 수중유 에멀션 형태의 조성물, 및 특히 신체 또는 얼굴의 피부, 모발 및/또는 입술을 보호하고/하거나 처리하기 위한, 특히 건성 피부 및/또는 건성 입술을 보호하기 위한 상기 조성물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특히 더 나은 사용의 편안함(부드러움, 연화성 등) 에 관한 각종 이유로, 현재의 화장 조성물은 연속 수성 분산상 및 비연속 오일성 분산상으로 이루어진 수중유(O/W)형 에멀션 형태, 또는 연속 오일 분산상 및 비연속 수성 분산상으로 이루어진 유중수(W/O) 의 에멀션 형태로 통상 제공된다. O/W 에멀션이 화장 분야에서 가장 수요가 많은 것은, 상기 에멀션은 외부상으로서 수성상을 함유하는데, 수성상은 피부에 적용하는 동안 W/O 에멀션 보다 신선하고, 덜 번들거리고 더 밝은 느낌을 O/W 에멀션에 제공하기 때문이다.
에멀션은 계면활성제를 알맞게 에멀션화함으로써 통상 안정되는데, 이 계면활성제는 친양쪽친매성 구조에 의해 오일/물의 경계면에 위치하여 분산된 작은 물방울을 안정화시킨다. 그러나, 상기 에멀션화제는 특히 민감성 피부를 갖는 대상에 대해 피부, 눈 및 두피에 파고들고 잠재적으로 자극성이 있는 불리한 점을 나타낸다.
또한, 그와 같은 에멀션은 부적당한 화장 및 물리화학적 성질(오랫 동안의 오일성 느낌, 불안정성) 을 가질 수 있다. 일반적으로 계면활성제 레벨을 증가시킴으로써,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필요한 안정성이 항상 달성되는 것은 아니고 화장 성질도 향상되지 않는다(창백하고 무거운 느낌 및 적용시의 신선감의 부족). 또한, 상기에 지적한 바와 같이, 무해(無害)함을 보장하기 위해 지나친 레벨의 계면활성제를 사용하는 것은 적합하지 않다.
O/W 에멀션의 불안정성(크리밍(creaming) 및 상 분리) 으로부터 자유로울 수 있는 하나의 해결책은 에멀션에 증점제를 첨가하는 것인데, 상기 증점제의 역할은 수성 상 내에 오일성 물방울을 고정하는데 도움이 되고 전체 에멀션의 기계적인 지속성에 필요한 겔화된 매트릭스를 만드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 해결책은 모든 원하는 구조, 특히 잔류 필름을 남기지 않고 피부에 쉽고 급속하게 적용되는 가벼운 유체성 구조를 얻을 수 없는 불리한 점이 있다.
또한, 지방성 사슬로 이루어진 친수성 부분 및 소수성 부분을 사슬에 포함하는 중합체, 예컨대 (C10- C30)알킬 아크릴레이트 및 아크릴산 또는 메타크릴산의 중합체("Pemulen TR2", Goodrich 사) 에 의한 계면활성제의 대체물을 고려하고 있었다. 그러나, 상기 중합체의 불리한 점은, 오일의 양이 너무 많거나 에멀션이 유체일 때, 즉 증점 에멀션을 가지지 않기 위해 중합체의 레벨을 최소화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경우에 오랫 동안 안정된 조성물을 만들 수 없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O/W 에멀션에 종래에 사용된 에멀션화 계면활성제를 임의로 함유하지 않고, 선행 기술의 불리한 점을 가지지 않은 우수한 화정 특성을 나타내며, 에멀션에 존재하는 오일의 양에 관계없는, 안정된 에멀션 수중유 에멀션을 제조하는 것이다.
출원인은 종래에 사용된 계면활성제가 임의로 없을 지라도 안정된 수중유 에멀션을 제조할 수 있는 중합체들을 발견했다.
본 발명은 생리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매질에 수성상에 분산된 오일상을 함유하는 수중유 에멀션 형태의 조성물에 관한 것인데, 상기 조성물은 하기로부터 얻은 하나 이상의 아크릴 삼원중합체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 α,β-에틸렌성 불포화를 포함하는 카르복실산;
(b) (a) 이외의 에틸렌 불포화를 포함하는 비(非)표면활성 단량체; 및
(c) 1가 비이온성 양쪽친매성 화합물과 이소시아네이트(모노에틸렌성 불포화를 포함함) 의 반응 생성물인 비이온성 우레탄 단량체;
삼원중합체/오일 상의 중량비는 1/50 내지 1/125 의 범위이다.
수득한 조성물은 적용시에 기분좋은 균질한 구조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에 사용된 아크릴 삼원중합체는 실온 또는 더 높은 온도에서 오랫 동안 안정된 수중유 에멀션을 제조할 수 있고 에멀션의 유동성 및 오일상의 함량에 관계없이 에멀션의 상기 특성을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고함량의 오일상을 갖는 증점 에멀션(이는 건성 피부의 처리에 효과적임), 또는 유동성이 큰 에멀션을 제조할 수 있다. 따라서, 에멀션의 점도는 크게 변할 수 있고 특히 0.05 내지 8 Paㆍs 의 범위일 수 있으며, 이러한 점도는 0.02 내지 0.7 Paㆍs 의 점도 범위를 갖는 2개의 회전자, 0.2 내지 4 Paㆍs 의 점도 범위를 갖는 3개의 회전자, 및 3 내지 23 Paㆍs 의 점도 범위를 갖는 4개의 회전자가 통상 설치되어 있는 "Rheomat 180"점도계를 사용해서 약 25 ℃에서 측정된다.
본 발명의 에멀션은 유익하게는 O/W 에멀션에 통상 사용된 계면활성제가 없고, 이러한 이유로, 이점은 민감성 피부에 자극적이지 않다는 것이다. 또한, 상기 에멀션은 중합체의 중화 단계 및 오일상의 분산 단계 모두에서 실온에서 제조된 바와 같은 열민감성 활성 성분의 혼입할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
본 발명에 따라 사용된 아크릴 삼원중합체는 알칼리성 물질에서 용해 또는 팽윤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삼원중합체는 삼원중합체의 총중량에 대해 하기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 α,β-모노에틸렌성 불포화를 포함하는 카르복실산 약 20 내지 70 중량 %, 바람직하게는 25 내지 55 중량 %;
(b) (a) 이외의 모노에틸렌성 불포화를 포함하는 비(非)표면활성 단량체 약 20 내지 80 중량 %, 바람직하게는 30 내지 65 중량 %; 및
(c) 1가 비이온성 양쪽친매성 화합물과 이소시아네이트(모노에틸렌성 불포화를 포함함) 의 반응 생성물인 비이온성 우레탄 단량체 약 0.5 내지 60 중량 %,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50 중량 %.
α,β-모노에틸렌성 불포화를 포함하는 카르복실산(a) 는 수많은 산, 특히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크로톤산 이타콘산 및 말레산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메타크릴산이 바람직하다. 큰 비(比)의 산이 알칼리 화합물, 예컨대 소듐 히드록시드, 알칸올아민, 아미노메틸프로판올 또는 아미노메틸프로판디올과의 반응에 의해 증점제를 용해시키고 제공하는 중합체 구조를 제공하기 위해 바람직하다.
삼원중합체는 상기에서 지적한 바와 같이 표면활성 특성을 갖지 않고 높은 비(比)로 존재하는 것이 바람직한 모노에틸렌성 불포화를 포함하는 단량체(b)를 함유한다. 바람직한 단량체는 단독중합될 때 물에 불용성인 중합체를 제공하는 것이고, 예를 들면, C1- C4알킬 아크릴레이트 및 메타크릴레이트, 예컨대 메틸 아크릴레이트, 에틸 아크릴레이트, 부틸 아크릴레이트 또는 상응하는 메타크릴레이트이다. 특히 바람직한 단량체는 메틸 아크릴레이트 및 에틸 아크릴레이트이다. 사용될 수 있는 다른 단량체는 스티렌, 비닐톨루엔, 비닐 아세테이트, 아크릴로니트릴 및 비닐리덴 클로라이드이다. 미반응 단량체가 바람직한데, 이들 단량체는 에틸렌 기만이 중합 조건 하에서 유일한 반응 기인 것이다. 그러나, 열의 영향 하에서 반응성이 있는 기를 포함하는 단량체, 예컨대 히드록시에틸 아크릴레이트를 임의로 사용할 수 있다.
비이온성 우레탄 단량체(c) 를 얻기 위해 사용된 1가 비이온성 양쪽친매성 화합물은 공지되어 있고 분자의 친수성 부분을 형성하는 알킬렌 옥시드를 포함하는 알콕실화된 소수성 화합물이다. 소수성 화합물은 지방족 알코올 또는 알킬페놀로 이루어지는데, 6개 이상의 탄소를 포함하는 탄소함유 사슬은 양쪽친매성 화합물의 소수성 부분을 구성한다.
바람직한 모노히드릭 비이온성 친양쪽친매성 화합물은 하기 화학식 1 을 갖는 화합물이다 :
R-(OCH2CHR')m-(OCH2CH2)n-OH
(식 중,
R 은 탄소수 6 내지 30 인 알킬기 및 알킬 라디칼이 탄소수 8 내지 30 일 때 아랄킬기로부터 선택되고,
R' 은 탄소수 1 내지 4 인 알킬기로부터 선택되고,
n 은 약 6 내지 150 인 평균수이고,
m 은 약 0 내지 50 인 평균수이고, 단, n 은 m 이상이고 n + m = 6 내지 150 이다).
바람직하게는, 화학식 1 의 화합물에서, R 기는 탄소수 18 내지 26 인 알킬기 및 알킬부가 탄소수 8 내지 13 일 때 알킬페닐기로부터 선택되고; R' 기는 메틸기이고; m = 0 및 n = 6 내지 150 이다. 화학식 1 의 화합물은 특히 옥시에틸렌화 유도체, 식물성 지방족 알콜 및 특히 베헤닐 알콜일 수 있으며, 화학식 1 에서 R 라디칼은 베헤닐 라디칼이다.
비이온성 우레탄 단량체 (c) 를 생성하는 데 사용된 모노에틸렌계 불포화물을 포함하는 이소시아네이트는 매우 다양한 화합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또는 알릴산 불포화물과 같이, 공중합성인 불포화물을 포함하는 어떤 화합물도 사용할 수 있다. 모노에틸렌계 불포화물을 포함하는 바람직한 이소시아네이트는 α,α-디메틸-m-이소프로페닐벤질 이소시아네이트이다.
상기 정의된 아크릴산 삼원중합체는 성분 (a), (b) 및 (c) 의 수성 분산액에서 공중합함으로써 수득되며, 상기 삼원중합체는 모두 공지이며 이는 특히 유럽 특허 제 A-0 173 109 호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에 사용될 수 있는 삼원중합체로서, 성분 (a) 로서 메타크릴산, 성분 (b) 로서 에틸 아크릴레이트, 및 성분 (c) 로서, 문헌 유럽 특허 제 A-0 173 109 호의 실시예 3 에 기술된 바인 하기 화학식 3 을 갖는 비이온성 우레탄 거대단량체를 반응시킨 것을 언급할 수 있다 :
(식 중,
p' 는 6 내지 150, 바람직하게는 30 이고,
R1 은 탄소수 8 내지 13 인 알킬 라디칼로부터 선택된다).
본 발명에 따라 사용된 바람직한 아크릴산 삼원중합체는 성분 (a) 로서 메타크릴산, 성분 (b) 로서 메틸 아크릴레이트, 및 성분 (c) 로서 하기 화학식 3 을 갖는 비이온성 우레탄 거대단량체로부터 수득할 수 있다 :
(식 중, p 는 6 내지 150 이고 R2 는 탄소수 18 내지 26 및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24 인 선형 알킬 라디칼로부터 선택된다). 화학식 3 의 화합물에서, R2 라디칼은 바람직하게는 베헤닐 라디칼과 같이, 식물성 라디칼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된 삼원중합체는 일반적으로 수성 분산액이다.
삼원중합체로서, 아크릴산, 메틸 아크릴레이트 및 화학식 3 (식 중, p 는 40 이고 R2 는 베헤닐 라디칼이다) 의 화합물로부터 선택된 삼원중합체를 언급할 수 있다. 상기는 40개의 옥시에틸렌 기를 포함하는, 40개의 EO 삼원중합체로 에톡시화된 베헤닐 알콜의 메타크릴산/메틸 아크릴레이트/디메틸-m-이소프로페닐벤질 이소시아네이트이다.
아크릴산 삼원중합체는 오일의 농도 및 원하는 점도에 따라 변할 수 있는 활성 물질로서 본 발명의 조성물에 존재한다. 삼원중합체의 활성 물질로서 상기 농도는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해 바람직하게는 0.01 내지 3 중량 %, 더욱 바람직하게는 0.05 내지 1 중량 %, 가장 바람직하게는 0.2 내지 0.5 중량 % 이다. 고유동성 에멀션의 제조에 대해, 활성 물질로서 삼원중합체의 양은 조성물의 총중량에 대해 바람직하게는 0.05 내지 1 중량 %, 더욱 바람직하게는 0.15 내지 0.5 중량 % 이고, 오일이 풍부한 조성물 (즉, 40 % 이상의 오일 함유) 의 제조에 대해, 활성 물질로서 삼원중합체의 양은 조성물의 총중량에 대해 바람직하게는 0.4 내지 1 중량 %, 더욱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0.7 중량 % 이다.
본 발명에 조성물 중에, 삼원중합체/오일상 비는 1/50 내지 1/125 이다. 고유동성 에멀션의 제조에 대해, 비는 바람직하게는 1/50 내지 1/100, 더욱 바람직하게는 1/60 내지 1/100 이다. 오일상의 양이 많을 때 (40 중량 % 이상), 비는 바람직하게는 1/75 내지 1/125 이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태양에 따라, 본 발명의 조성물은 삼원중합체 이외의 중합체를 포함하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의 오일상은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해 일반적으로 1 내지 80 중량 %,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60 중량 % 이다.
고유동성 에멀션의 제조에 대해, 오일상의 양은 조성물의 총중량에 대해 바람직하게는 1 내지 30 중량 %, 더욱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25 중량 % 이고, 오일이 풍부한 조성물의 제조에 대해, 오일상의 양은 조성물의 총중량에 대해 바람직하게는 40 중량 % 초과, 통상 40 내지 80 중량 %, 더욱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60 중량이다.
본 발명에 따른 에멀션의 오일상 성질은 중요하지 않는다. 따라서 상기 오일상은 어떤 지방 물질로도 구성될 수 있고 특히 화장용 또는 피부학적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된 오일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에멀션에 사용될 수 있는 오일의 예는 하기와 같다: 호호바 오일, 아보카도 오일, 스위트 아몬드 오일, 아프리코트 오일, 옥수수 열매 오일, 및 케라이트 버터의 액체 분획과 같은 식물성 오일; 2-에틸헥실 팔미테이트, 이소프로필 미리스테이트, 경화 이소파라핀, 이소노닐 이소노나노에이트 또는 세테아릴 옥타노에이트와 같은 합성 오일; 휘발성 또는 비휘발성 오일; 및 불화 오일과 같은 광물 오일. 오일상에 존재할 수 있는 다른 지방 물질은 예를 들어, 지방산, 지방 알콜, 왁스 및 에센셜 오일을 언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특정 구현예에 따라, 본 발명의 조성물은 하나이상의 실리콘 오일, 바람직하게는 휘발성 실리콘 오일을 포함하며, 이는 예를 들어, 시클릭 또는 선형 폴리디메틸실록산 및 그의 혼합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시클릭 폴리디메틸실록산 또는 시클로메티콘은 약 3 내지 9 개, 바람직하게는 4 내지 6 개의 실리콘 원자를 포함하며, 예를 들어, 시클로헥사디메틸실록산 및 시클로펜타디메틸실록산일 수 있다. 휘발성 선형 폴리디메틸실록산은 바람직하게는 약 3 내지 9 개의 실리콘 원자를 포함한다. 휘발성 선형 폴리디메틸실록산은 일반적으로 25 ℃ 에서 10 cSt 이하의 점도를 가진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생리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매질, 즉 피부, 입술, 두피, 눈 및/또는 모발과 혼화될 수 있는 것을 포함한다.
공지된 방식에서, 본 발명의 조성물은 고려된 분야에서 통상적인 보조제, 예컨대, 친수성 또는 친지성 활성 성분, 보존제, 항산화제, 방향제, 용매, 충전제, 차단제, 채색 물질, 염기성제 (트리에탄올아민, 수산화 나트륨), 산성제 및 지질 소포체를 포함한다. 상기 보조제는 예를 들어, 에멀션 총 중량의 0.01 내지 30 중량 % 로 화장용 분야에서 통상적인 비율로 사용되고, 이들은 수성상 또는 에멀션의 오일상 또는 소포체로 혼입된 그의 성질에 따른다. 상기 보조제 및 그의 농도는 본 발명의 에멀션에 대해 원하는 특성을 개질하지 않을 정도라야 한다.
용매로서, 예를 들어, 탄소수 1 내지 8 인 선형 또는 측쇄 모노알콜, 예컨대, 에탄올, 프로판올, 부탄올, 이소프로판올, 또는 이소부탄올; 6 내지 80 의 에틸렌 옥시드를갖는 폴리에틸렌 글리콜; 또는 폴리올 예컨대 프로필렌 글리콜, 이소프렌 글리콜 및 부틸렌 글리콜을 언급할 수 있다.
활성 성분으로서, 폴리올과 같은 습윤제, 예를 들어 글리세롤 및 소르비톨; 케라톨리트제(keratolytic agent); 탈색제; 슬리밍제(slimming agent) 및 조성물의 최종 목적을 위한 적절한 활성 성분을 언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특정 형태에 따라, 본 발명의 조성물은 금속 산화물 나노안료이 전혀없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사용된 삼원중합체와 혼화가능하고 피부에 친화성이 있는 pH 를 나타내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조성물의 pH 는 일반적으로 6.5 내지 8, 바람직하게는 7 내지 7.5 의 범위이다.
상기에서 지적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다소 유동성이 있고, 따라서, 세럼(serum), 밀크, 크림 또는 페이스트 형태로 제공된다. 이들 조성물은 통상의 방법으로 제조된다.
본 발명의 대상인 상기 조성물은 특히 피부, 입술 및 모발 (두피 포함)의 수많은 화장 처리, 특히 피부, 입술 및/또는 모발을 처리, 보호, 케어, 세정하고/하거나 메이크업을 제거하고/하거나, 피부 및/또는 입술을 메이크업하는데 적용한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충전제 또는 착색제를 혼입해서 크림 또는 밀크 형태로 얼굴용 케어, 메이크업 제거 및/또는 세정 제품으로서, 또는 (피부 및 입술의) 메이크업 제품으로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요지는 결과적으로 피부, 입술 및/또는 모발을 처리, 보호, 케어, 세정하고/하거나 메이크업을 제거하고/하거나, 피부 및/또는 입술을 메이크업하기 위한 상기의 조성물의 화장 용도이다.
본 발명의 다른 요지는 건성 피부 및/또는 건성 입술을 케어하기 위한 조성물의 제조에서 상기에서 정의한 바와 같은 조성물의 용도이다.
본 발명의 다른 요지는 피부 (두피 포함), 모발 및/또는 입술의 화장 처리 방법으로서, 이러한 방법은 상기에 정의한 바와 같은 조성물이 피부, 모발 및/또는 입술에 적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하기 실시예는 특성을 제한하지 않고 본 발명을 더 잘 이해할 수 있도록 설명한다. 나타난 양은 다른 언급이 없으면, 중량 % 이다.
실시예 1 : 신체 및 얼굴용 관리 밀크
상 A
24 % 수성 분산액으로서, 40개의 EO 삼원중합체로 에톡시화된 베헤닐 알콜의 메타크릴산/메틸 아크릴레이트/디메틸-m-이소프로페닐벤질 이소시아네이트 2.1 %
(즉, 0.5 % 의 활성 물질)
수산화 나트륨 0.09 %
방부제 0.15 %
탈이온수 q.s. 100 %
상 B
시클로메티콘 (시클로펜타실록산) 15 %
스위트 아몬드 오일 15 %
절차 :
교반하면서 수산화나트륨을 중합체에 첨가하고, 교반하면서 상 B 를 상 A 에부어서 에멀션을 제조한다. 그 후, 압력하(500 바)에서 균질화를 수행한다.
보습 제품으로서 특히 적합한 유동성 에멀션을 수득한다. 느낌은 매우 신선하고 끈적거리지 않는다.
실시예 2 : 메이커업 제거 에멀션
상 A
24 % 수성 분산액으로서, 40개의 EO 삼원중합체로 에톡시화된 베헤닐 알콜의 메타크릴산/메틸 아크릴레이트/디메틸-m-이소프로페닐벤질 이소시아네이트 1.25 %
(즉, 0.3 % 의 활성 물질)
수산화 나트륨 0.06 %
방부제 0.2 %
이소프렌 글리콜 5 %
탈이온수 q.s. 100 %
상 B
2-에틸헥실 팔미테이트 20 %
액체 바셀린 7 %
상기 절차는 실시예 1 과 동일하다.
얼굴 및 눈으로부터 메이크업을 제거하기에 적합한 에멀셜을 수득한다. 점도가 병 타입의 포장에 적합한 것은 그냥 두면 겔화된 외관을 가지지만 병을 흔들자마자 매우 쉽게 흐르기 때문이다. 그의 점도는 Rheomat 180 (2개의 회전자) 에서 0.25 Paㆍs (2.5 포아즈) 이다.
실시예 3 : 얼굴용 나이트 보습 크림
상 A
24 % 수성 분산액으로서, 40 EO 삼원중합체로 에톡시화된 베헤닐 알콜의 메타크릴산/메틸 아크릴레이트/디메틸-m-이소프로페닐벤질 이소시아네이트 1.68 %
(즉, 0.4 % 의 활성 물질)
수산화 나트륨 0.07 %
방부제 0.1 %
글리세롤 7 %
탈이온수 q.s. 100 %
상 B
카라이트 버터의 액체 분획 15 %
시클로메티콘 (시클로펜타실록산) 10 %
수소화 이소파라핀 15 %
상기 절차는 실시예 1 과 동일하다.
높은 % 의 오일에도 불구하고, 심지어 기름기가 있는 정상적인 피부상에서 아주 편안한 보습 크림을 얻는다.
실시예 4 : 건성 피부용 영양 및 보습 크림
상 A
24 % 수성 분산액으로서, 40개의 EO 삼원중합체로 에톡시화된 베헤닐 알콜의 메타크릴산/메틸 아크릴레이트/디메틸-m-이소프로페닐벤질 이소시아네이트 2.1 %
(즉, 0.5 % 의 활성 물질)
수산화 나트륨 0.09 %
방부제 0.2 %
글리세롤 2 %
탈이온수 q.s. 100 %
상 B
액체 바셀린 15 %
카라이트 버터의 액체 분획 20 %
시클로메티콘 (시클로펜타실록산) 15 %
방향제 0.4 %
상기 절차는 실시예 1 과 동일하다.
나이트 크림의 제조에 특히 적합한 에멀션을 얻는다. 높은 % 의 오일에도 불구하고 기름끼가 느켜지지 않는다.
실시예 5 : 메이크업 제거 크림
상 A
24 % 수성 분산액으로서, 40개의 EO 삼원중합체로 에톡시화된 베헤닐 알콜의 메타크릴산/메틸 아크릴레이트/디메틸-m-이소프로페닐벤질 이소시아네이트 2.1 %
(즉, 0.5 % 의 활성 물질)
수산화 나트륨 0.09 %
방부제 0.2 %
글리세롤 2 %
탈이온수 q.s. 100 %
상 B
액체 바셀린 25 %
실리콘 오일 (디메티콘 10 cSt) 15 %
이소노닐 이소노나노에이트 20 %
상기 절차는 실시예 1 과 동일하다.
방수성 마스카라 및 묻어나지 않는 메이크업 제품의 제거에 특히 효과적인 크림을 얻는다. 상기 크림은 헹구거나 간단히 닦아서도 제거된다.
비교예 1 및 2
본 발명에 따라 사용된 삼원중합체는 실시예 5 의 조성물에서 폴리아크릴아미드(Hostacerin AMPS; CTFA 명: 암모늄 폴리아크릴디메틸타우르아미드) (비교예 1), 또는 Pemulen TR2 (비교예 2) 에 의해 대체된다. 결과는 하기와 같다:
조성물 실시예 5 비교예 1 비교예 2
실온(20 ∼ 25 ℃)에서의 pH 7.05 7.25 6.7
안정성 미립 에멀션증점 구조모든 온도에서 안정 조(組) 에멀션*고(高)유동성 구조불안정(45℃에서 4주후) 조(組) 에멀션*고(高)유체성 구조표면에서의 물의 방출(20∼25℃에서 2개월후)
약 25℃에서의 점도(T0)(Rheomat 180 로 측정) 4.7 Paㆍs(4개의 회전자) 0.131 Paㆍs(2개의 회전자) 0.9 Paㆍs(3개의 회전자)
*: 조(組)에멀션은 다량의 오일성 소구체, 즉 평균 크기 20 마이크론 초과를 갖는 소구체를 함유하는 에멀션이다.
상기 표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폴리아크릴아미드 및 Peulen TR2 는 중성 근처의 pH 에서 안정된 고레벨의 오일을 포함하는 증점 크림 구조를 얻을 수 없다.
실시예 6: 마스크 (mask)
상 A
24 % 수성 분산액으로서, 40개의 EO 삼원중합체로 에톡시화된 베헤닐 알콜의 메타크릴산/메틸 아크릴레이트/디메틸-m-이소프로페닐벤질 이소시아네이트 1.67 %
(즉, 0.4 % 의 활성 물질)
수산화 나트륨 0.07 %
카올린 15 %
방부제 0.3 %
글리세롤 10 %
탈이온수 q.s. 100 %
상 B
옥수수 오일 15 %
시클로메티콘 (시클로펜타실록산) 10 %
세테아릴 옥타노에이트 10 %
상기 절차는 실시예 1 과 동일하다.
특히 민감성 피부에 내성이 있는 마스크를 얻는다. 상기 마스크는 몇 분 동안 피부 상에 남아 있은 후에 헹구어 지거나 닦아서 제거된다.
하나 이상의 아크릴 삼원중합체를 함유하는, 본 발명의 수중유 에멀션 형태의 조성물로, 신체 또는 얼굴의 피부, 모발 및/또는 입술을 보호하고/하거나 처리할 수 있다.

Claims (20)

  1. 생리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매질에 수성상에 분산된 오일상을 함유하는 수중유 에멀션 형태의 조성물에 있어서, 하기로부터 얻은 하나 이상의 아크릴 삼원중합체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a) α,β-에틸렌성 불포화를 포함하는 카르복실산;
    (b) (a) 이외의 에틸렌 불포화를 포함하는 비(非)표면활성 단량체; 및
    (c) 1가 비이온성 양쪽친매성 화합물과 이소시아네이트(모노에틸렌성 불포화를 포함함) 의 반응 생성물인 비이온성 우레탄 단량체;
    삼원중합체/오일 상의 중량비는 1/50 내지 1/125 의 범위이다.
  2. 제 1 항에 있어서, 계면활성제가 전혀 없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아크릴 삼원중합체가 삼원중합체의 총중량에 대해 하기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a) α,β-모노에틸렌성 불포화를 포함하는 카르복실산 약 20 내지 70 중량 %;
    (b) (a) 이외의 모노에틸렌성 불포화를 포함하는 비(非)표면활성 단량체 약 20 내지 80 중량 %; 및
    (c) 1가 비이온성 양쪽친매성 화합물과 이소시아네이트(모노에틸렌성 불포화를 포함함) 의 반응 생성물인 비이온성 우레탄 단량체 약 0.5 내지 60 중량 %.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α,β-모노에틸렌성 불포화를 포함하는 카르복실산(a)이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크로톤산, 이타콘산 및 말레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α,β-모노에틸렌성 불포화를 포함하는 카르복실산(a)이 메타크릴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6.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모노에틸렌성 불포화를 포함하는 비(非)표면활성 단량체(b)가 C1- C4알킬 아크릴레이트 및 메타크릴레이트, 스티렌, 비닐톨루엔, 비닐 아세테이트, 아크릴로니트릴 및 비닐리덴 클로라이드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7.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모노에틸렌성 불포화를 포함하는 비(非)표면활성 단량체(b)가 메틸 아크릴레이트 또는 에틸 아크릴레이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8.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비이온성 우레탄 단량체를 얻기 위해 사용된 1가 비이온성 양쪽친매성 화합물이 하기 화학식 1 을 갖는 화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
    [화학식 1]
    R-(OCH2CHR')m-(OCH2CH2)n-OH
    (식 중,
    R 은 탄소수 6 내지 30 인 알킬기 및 알킬 라디칼이 탄소수 8 내지 30 일 때 아랄킬기로부터 선택되고,
    R' 은 탄소수 1 내지 4 인 알킬기로부터 선택되고,
    n 은 약 6 내지 150 인 평균수이고,
    m 은 약 0 내지 50 인 평균수이고, 단, n 은 m 이상이고 n + m = 6 내지 150 이다).
  9. 제 8 항에 있어서, 화학식 1 의 화합물에서, R 은 탄소수 18 내지 26 인 알킬기 및 알킬페닐기 (알킬 부분은 8 내지 13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다) 로부터 선택되고, R' 은 메틸기이고, m 은 0 이고, n 은 6 내지 150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10.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비이온성 우레탄 단량체(c)를 형성하기 위해 사용된 에틸렌성 불포화를 포함하는 모노이소시아네이트가 α,α-디메틸-m-이소프로페닐벤질 이소시아네이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11.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아크릴산 삼원중합체가 성분 (a) 로서 메타크릴산, 성분 (b) 로서 메틸 아크릴레이트, 및 성분 (c) 로서 하기 화학식 3 을 갖는 비이온성 우레탄 거대단량체로부터 수성 분산액에서 공중합으로 얻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화학식 3]
    (식 중,
    p 는 6 내지 150 이고,
    R2 는 탄소수 18 내지 26 인 선형 알킬 라디칼로부터 선택된다).
  12.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삼원중합체가 조성물의 총중량에 대해 0.01 내지 3 중량 % 의 농도로 활성 물질로서 존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1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오일상이 조성물의 총중량에 대해 1 내지 80 중량 % 로 함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1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휘발성 실리콘 오일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1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pH 가 6.5 내지 8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16.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피부, 입술 및 모발을 처리, 보호, 케어, 세정하고/하거나 메이크업을 제거하고/하거나, 피부 및/또는 입술을 메이크업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17.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건성 피부 및/또는 건성 입술을 케어하기 위한 조성물의 제조에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18. 피부, 모발 및/또는 입술의 화장 처리 방법에 있어서,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따른 조성물이 피부, 모발 및/또는 입술에 적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 처리 방법.
  19. 제 3 항에 있어서, 아크릴 삼원중합체가 삼원중합체의 총중량에 대해 하기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a) α,β-모노에틸렌성 불포화를 포함하는 카르복실산 약 25 내지 55 중량 %;
    (b) (a) 이외의 모노에틸렌성 불포화를 포함하는 비(非)표면활성 단량체 약 30 내지 65 중량 %;
    (c) 1가 비이온성 양쪽친매성 화합물과 이소시아네이트(모노에틸렌성 불포화를 포함함) 의 반응 생성물인 비이온성 우레탄 단량체 약 10 내지 50 중량 %.
  20. 제 13 항에 있어서, 오일상이 조성물의 총중량에 대해 10 내지 60 중량 % 로 함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KR1020000012985A 1999-03-17 2000-03-15 아크릴 삼원중합체를 함유하는 수중유 에멀션 형태의조성물, 및 이의 용도, 특히 화장 용도 KR2000006288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9903320A FR2790952B1 (fr) 1999-03-17 1999-03-17 Composition sous forme d'emulsion huile-dans-eau contenant un terpolymere acrylique et ses utilisations notamment cosmetiques
FR9903320 1999-03-17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62881A true KR20000062881A (ko) 2000-10-25

Family

ID=95433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12985A KR20000062881A (ko) 1999-03-17 2000-03-15 아크릴 삼원중합체를 함유하는 수중유 에멀션 형태의조성물, 및 이의 용도, 특히 화장 용도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6228348B1 (ko)
EP (1) EP1036559A1 (ko)
JP (1) JP3712340B2 (ko)
KR (1) KR20000062881A (ko)
FR (1) FR279095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798848B1 (fr) * 1999-09-29 2001-12-28 Oreal Composition de traitement antipelliculaire des cheveux et du cuir chevelu, a base d'un sel de pyridinethione, d'un agent de conditionnement insoluble et d'un terpolymere acrylique
US6783766B2 (en) 2002-03-06 2004-08-31 Dow Global Technologies Inc. Process for preparing a cosmetic formulation
US7854925B2 (en) * 2002-04-04 2010-12-21 Akzo Nobel N.V. Use of solubilized, anionic polyurethanes in skin care compositions
DE602005020912D1 (de) * 2004-03-18 2010-06-10 Galderma Sa Ivermectin enthaltende creme
KR101323970B1 (ko) * 2005-03-18 2013-10-31 카오카부시키가이샤 속눈썹용 화장 재료
FR2927252B1 (fr) * 2008-02-12 2010-04-23 Oreal Emulsion huile-dans-eau contenant un polyere amphiphile
JP2010195739A (ja) * 2009-02-26 2010-09-09 Kose Corp 水中油型乳化組成物および該組成物を含有する皮膚外用剤又は化粧料
FR2951375B1 (fr) * 2009-10-16 2011-10-28 Oreal Composition cosmetique comprenant un compose d'acide jasmonique
DE102015222073A1 (de) 2015-11-10 2017-05-11 Beiersdorf Ag Kosmetischer Make-Up Entferner mit verbesserter Hautbefeuchtung
US11291621B2 (en) * 2019-10-04 2022-04-05 Johnson & Johnson Consumer Inc. Transparent sunscreen composition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514552A (en) * 1984-08-23 1985-04-30 Desoto, Inc. Alkali soluble latex thickeners
US4722962A (en) * 1986-06-12 1988-02-02 Desoto, Inc. Nonionic associative thickeners
US4735981A (en) * 1986-10-03 1988-04-05 Desoto, Inc. Combinations of associative thickeners and aqueous latex paints containing the same
KR880005918A (ko) * 1986-11-10 1988-07-21 원본미기재 안정하며 빨리 분해되는 국소피부조성물
US5061481A (en) * 1989-03-20 1991-10-29 Kobayashi Kose Co., Ltd. Cosmetic composition having acryl-silicone graft copolymer
FR2701843B1 (fr) * 1993-02-26 1995-05-19 Oreal Composition cosmétique ou dermopharmaceutique constituée d'une émulsion contenant au moins une gomme de silicone et son utilisation.
FR2767474B1 (fr) * 1997-08-19 2002-10-18 Oreal Composition cosmetique contenant une dispersion aqueuse de polymere et une emulsion de silicone disilanol et procede
FR2779637B1 (fr) * 1998-06-15 2000-09-01 Oreal Compositions cosmetiques photoprotectrices, contenant un nanopigment d'oxyde metallique et un terpolymere acrylique et utilisation de ces compositions pour proteger les matieres keratiniques contre le rayonnement ultraviolet
FR2779639B1 (fr) * 1998-06-15 2000-08-04 Oreal Composition cosmetique contenant un polyorganosiloxane et un terpolymere acrylique et utilisation de cette composition pour le traitement des matieres keratiniques
FR2779647B1 (fr) * 1998-06-15 2000-08-04 Oreal Composition cosmetique contenant un polymere anionique et un terpolymere acrylique et utilisation de cette composition pour le traitement des matieres keratiniques
FR2779640B1 (fr) * 1998-06-15 2000-08-04 Oreal Composition cosmetique contenant un polymere cationique et un terpolymere acrylique et utilisation de cette composition pour le traitement des matieres keratiniques
FR2779638B1 (fr) * 1998-06-15 2000-08-04 Oreal Composition cosmetique contenant un polysaccharide et un terpolymere acrylique et utilisation de cette composition pour le traitement des matieres keratiniqu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0290459A (ja) 2000-10-17
FR2790952A1 (fr) 2000-09-22
JP3712340B2 (ja) 2005-11-02
US6228348B1 (en) 2001-05-08
EP1036559A1 (fr) 2000-09-20
FR2790952B1 (fr) 2003-05-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60127344A1 (en) Novel cosmetic emulsions and emulsifiers exhibiting dilatant rheological properties
KR20000057965A (ko) 유중수 유화액 형태의 메이크업 제거 및/또는 클렌싱화장품 조성물
KR20040042876A (ko) 유중수형 에멀젼 화장용 조성물
JP2006282539A (ja) 化粧料用基剤およびそれを配合してなる化粧料
CN113056307A (zh) 包含两种聚甘油脂肪酸酯的组合物
US6242396B1 (en) Cosmetic composition for removing make-up from and/or for cleansing the skin, in the form of a water-in-oil emulsion
JP3712340B2 (ja) アクリルターポリマーを具備する水中油型エマルジョン形態の組成物、及びその使用、特にその化粧的使用
KR100406345B1 (ko) 알콜내유형유화조성물
JP2001220311A (ja) 高内水相油中水型乳化化粧料
JP3712339B2 (ja) アクリルターポリマーを具備する水中油型エマルジョン形態の流動性組成物、及びその使用、特にその化粧的使用
US6284718B1 (en) Composition for topical use containing an acetylenic diol, and use thereof for cleansing or removing make-up from the skin, mucous membranes and the hair
JPH11193213A (ja) クレンジング用組成物
JP4610115B2 (ja) クレンジング化粧料
EP1661550A1 (fr) Composition cosmétique et/ou dermatologique contenant un composé d'urée
JP2000178141A (ja) 毛髪化粧料
JP2000191438A (ja) クレンジング化粧料
JP7169047B2 (ja) 皮膚用乳化組成物
JP2001158715A (ja) 水中油型エマルジョンのための乳化システム及び、特に化粧品におけるその使用
JP6501151B2 (ja) 乳液状クレンジング料
KR100571895B1 (ko) 색조 화장 제거 조성물
JP3213869B2 (ja) 油中水型乳化化粧料
JP7414458B2 (ja) 水性化粧料
JPH11193214A (ja) クレンジング化粧料
JP5464818B2 (ja) 頭皮頭髪用化粧料
US20040042992A1 (en) Makeup removal compositions and method of us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