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61256A - 휴대형 유선전화기와 이를 이용한 전화서비스 방법 - Google Patents

휴대형 유선전화기와 이를 이용한 전화서비스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61256A
KR20000061256A KR1019990010174A KR19990010174A KR20000061256A KR 20000061256 A KR20000061256 A KR 20000061256A KR 1019990010174 A KR1019990010174 A KR 1019990010174A KR 19990010174 A KR19990010174 A KR 19990010174A KR 20000061256 A KR20000061256 A KR 2000006125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lephone
portable
wireline telephone
call
portable wirel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101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60545B1 (ko
Inventor
최정심
Original Assignee
최정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정심 filed Critical 최정심
Priority to KR10199900101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60545B1/ko
Publication of KR200000612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612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605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60545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5/00Arrangements for metering, time-control or time indication ; Metering, charging or billing arrangements for voice wireline or wireless communications, e.g. VoIP
    • H04M15/41Billing record details, i.e. parameters, identifiers, structure of call data record [CD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42Systems providing 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to subscribers
    • H04M3/42229Personal communication services, i.e. services related to one subscriber independent of his terminal and/or lo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3/00Aspects of 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2203/55Aspects of 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related to network data storage and management
    • H04M2203/558Databases

Abstract

고유의 ID를 가지고 있는 휴대형 유선전화기와, 곳곳에 설치된 접속장치에 이 휴대형 유선전화기를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전화서비스 방법이 개시된다. 휴대형 유선전화기 사용자의 등록 정보를 가지고 있으며 전화망에 연결되어 있는 데이터베이스와, 전화망에 연결된 다수의 교환기와, 교환기에 연결된 다수의 접속모듈과, 고유의 ID를 가진 휴대형 유선전화기를 사용한 전화서비스 방법으로서, 휴대형 유선전화기를 접속모듈중의 하나에 연결하는 단계와, 휴대형 유선전화기가 오프훅하는 단계와, 휴대형 유선전화기에 직류전류를 공급하는 단계와, 휴대형 유선전화기에서 고유의 ID 신호를 송출하는 단계와, 교환기에서 고유의 ID를 수신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ID 정보와 비교하는 단계와, 비교의 결과 수신된 고유의 ID가 유효한 ID인 경우에 교환기에서 휴대형 유선전화기에 다이얼톤을 송출하는 단계와, 휴대형 유선전화기에서 전화번호를 다이얼하고 통화하는 단계와, 휴대형 유선전화기에서 온훅하는 단계와, 교환기에서 휴대형 유선전화기의 통화요금과 관련된 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를 구비한다.

Description

휴대형 유선전화기와 이를 이용한 전화서비스 방법{PORTABLE TELEPHONE AND TELEPHONE SERVICE METHOD FOR THE SAME}
본 발명은 휴대형 유선전화기와 이를 이용한 전화서비스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고유의 ID(이하 ID라고 함)를 가지고 있는 휴대형 유선전화기와, 곳곳에 설치된 접속장치에 이 휴대형 유선전화기를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전화서비스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유선전화기를 가정에서만 사용하고 외출하여서 전화를 걸 때는 시티폰이나 휴대폰, 또는 공중전화를 사용하고 있었다.
그런데, 시티폰의 경우에는 설치비가 비싸고 휴대장치도 비교적 고가이며 무선방식을 사용하기 때문에 통화품질이 나쁠 수 있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휴대폰의 경우에는 휴대장치의 가격이 고가이고 무거우며, 사용료도 비싸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무선방식을 사용하기 때문에 통화품질이 나쁘거나 통화중에 접속이 단절되거나 하는 단점도 있다. 게다가 고출력의 무선방식을 사용하므로 휴대장치를 귀에 대고 통화할 때 건강에 안좋은 영향을 미칠 수도 있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휴대폰이나 시티폰의 경우 단말기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배터리가 항시 구비되어 있어야 한다.
공중전화의 경우에는 설치비가 비싸고 공간을 많이 차지하므로, 불편함이 없을 정도로 여러 장소에 많이 설치하는데에는 무리가 있으며, 동전을 사용하는 공중전화의 경우에는 동전 도난의 염려도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휴대가 용이하고 사용이 간편한 휴대용 유선전화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집안에서도 또한 외출하여서도 사용할 수 있는 휴대용 유선전화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전파에 의해 건강에 해를 끼칠 염려없이 사용할 수 있는 휴대용 유선전화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별도의 배터리가 필요없이 국선으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으로 전화통화를 할 수 있는 휴대용 유선전화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설치가 간편하고 비용이 적게 드는, 휴대용 유선전화기 사용을 위한 전화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휴대형 유선전화기의 일실시예로서 ID를 DTMF 신호로 송출하는 휴대형 유선전화기의 내부구성을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휴대형 유선전화기의 다른 실시예로서 ID를 별도의 ID 신호 송출기로 송출하는 휴대형 유선전화기의 내부구성을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휴대형 유선전화기의 다른 실시예로서 호출기를 내장한 휴대형 유선전화기의 내부구성을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휴대형 유선전화기의 외관의 예로서, (a)는 플립형 휴대형 유선전화기, (b)는 헤드폰형 휴대형 유선전화기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휴대형 유선전화기(100)를 사용한 전화서비스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구성도이다.
도 6의 (a)는 종래의 휴대전화를 사용한 모빌컴퓨팅 시의 연결상태를 보여주는 개략도이고, 도 6의 (b)는 본 발명의 휴대형 유선전화기를 모빌 컴퓨팅에 응용하는 경우의 연결상태를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유선전화기를 휴대하기 간편하게 만들고, 유선전화기마다 고유의 ID를 설정한다. 그리고, 열차 대합실, 호텔이나 여관의 객실, 커피숍이나 레스토랑의 각 테이블, 공중전화부스 등 곳곳에 이 유선전화기를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는 접속모듈을 설치한다. 이 접속모듈은 교환기에 연결되며, 교환기는 각 사용자의 ID에 대한 정보를 가지고 있는 데이터 베이스에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자신의 휴대형 유선전화기를 거리 곳곳에 있는 아무 접속모듈에나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교환기는 전화기에 내장된 고유의 ID에 의해 누가 전화를 사용하는지를 알 수 있으므로 통화요금을 그 사용자에게 부가할 수 있는 것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몇가지 예시적인 실시예를 참조로 하여 설명한다.
< 1. 전화기의 구성 >
< a. ID 송출을 DTMF로 하는 경우의 예 >
도 1은 본 발명의 휴대형 유선전화기의 일실시예로서 ID를 DTMF 신호로 송출하는 휴대형 유선전화기의 내부구성을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1에서 선로접속부(170)는 국선으로부터의 직류전류를 받아서 전화기(100)에서 필요한 전원으로 사용하며, 국선으로부터의 링 신호를 링발생부(150)로 보내어 링이 부저를 통해 울리도록 한다. 또한 선로접속부(170)는 국선으로부터의 음성신호를 음향부(140)로 보내거나, 음향부(140)로부터의 음성신호를 국선으로 보내는 하이브리드 회로(hybrid circuit)를 구비한다.
음향부(140)는 송화기로부터의 음성신호를 증폭하여 선로접속부(170)로 보내거나, 선로접속부(170)로부터의 음성신호를 증폭하여 수화기로 보내거나 한다. 송화기와 수화기는 일반적인 유선전화기의 송화기와 마찬가지로 코드선을 통해 전화기(100)에 연결되어 있어도 되고, 헤드폰이나 이어폰 등의 형태로 전화기(100)에 착탈가능한 형태로 되어 있어도 된다.
링발생부(150)는 전화기(100)를 가정에서도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에 필요한 것으로서, 휴대용으로만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 즉 착신기능이 필요없는 경우에는 없어도 된다.
DTMF 발생부(160)는 전화를 다이얼할 때 송출되는 DTMF(Dual Tone Multi-Frequency) 톤을 발생시키는데 사용되며,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전화번호를 다이얼하기 전에 전화기(100)의 ID를 송출할 때도 사용된다.
입력부(130)는 다이얼 버튼이나 기능 버튼 등이 눌려지는지를 감지하여 제어부(110)에 알리는 역할을 한다. 기능버튼으로는 훅플래시(hook flash) 버튼, 재다이얼 버튼, ID 송출버튼, 송화차단 버튼, 음악송출 버튼, 온오프 버튼 등 여러가지가 있을 수 있다.
ID 저장부(120)는 전화기(100)의 고유한 ID가 저장되어 있다. ID 저장부(120)에 저장된 데이터는 전원이 없는 상태에서도, 즉 전화기(100)가 국선에 연결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도 소거되지 않아야 하므로, 딥스위치 등의 스위치류나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 등의 불휘발성 메모리(Non-volatile memory)로 구성하는 것이 좋다.
ID 저장부(120)에 저장된 ID 데이터는 그 전화기(100)에 고유한 번호로서, 전화기(100)의 판매시에 서비스업체에서 설정하거나 또는 전화기(100)의 생산시에 제조업체에서 설정하도록 할 수 있다.
제어부(110)는 전화를 걸 때마다 ID 저장부(120)에 저장된 ID를 읽어내어 DTMF 발생부(160)를 통해 ID에 대응되는 DTMF 톤 시퀀스를 송출하도록 한다.
제어부가 ID를 송출하는 방법으로서는 전화기(100)에 별도의 ID 송출버튼을 마련하여두고, 사용자가 전화를 걸 때마다 이 버튼을 눌러서 ID를 송출하도록 하거나, 또는 전화기(100)가 국선에 연결되고 오프훅이 되면 ID를 자동으로 송출하도록 하거나 하는 방법이 있을 수 있다.
전화기로부터 ID를 수신하면, 교환기에서는 수신된 ID가 유효한 것인지를 체크한 다음, 유효한 ID인 경우에는 다이얼톤을 전화기에 송출함으로써 사용자가 다이얼을 시작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교환기는 유효한 ID인 경우에 그 ID에 대해서 전화통화의 과금을 행하며, 일정기간 동안의 통화요금을 적산하여 그 전화기(100)의 사용자에게 사용요금 청구를 하게 된다.
< b. 별도의 ID 송출기를 내장하는 경우의 예 >
도 2는 본 발명의 휴대형 유선전화기의 다른 실시예로서 ID를 별도의 ID 신호 송출기로 송출하는 휴대형 유선전화기의 내부구성을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본 실시예의 전화기(100)가 도 1의 실시예의 전화기와 다른 점은 ID 신호발생부(180)가 더 마련되어 있다는 점이다.
제어부(110)는 별도의 ID 송출버튼이 눌려지거나, 또는 자동으로 ID를 송출하여야 하는 경우에 ID 신호발생부(180)로 하여금 ID 신호를 발생하도록 한다. 다른 동작은 도 1의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ID 신호발생부의 구성으로서는 주파수 시프트 키잉(Frequency Shift Keying), 위상 시프트 키잉(Phase Shift Keying), QPSK(Quadrature Phase Shift Keying) 등과 같은 여러가지 변조방식이 사용될 수 있다.
< c. 호출기 내장형 >
본 발명의 휴대형 유선전화기는 소형경량이므로 호출기를 내장할 수도 있다. 도 3은 호출기를 내장한 휴대형 유선전화기의 내부 구성을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본 실시예의 전화기가 도 2의 전화기와 다른 점은 안테나(ANT)와 무선회로부(190)와 표시부(195) 등의 호출기 회로가 더 구비되어 있다는 점이다. 또한, 도면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호출기 내장형 유선전화기에는 배터리가 구비되어 있어서, 전화기(100)가 국선에 연결되어 있지 않은 상황에서도 무선회로부(190)와 제어부(110)와 표시부(195)가 동작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무선회로부(190)는 안테나(ANT)를 통해서 들어온 무선신호를 복조하여 제어부(110)에 보내고, 제어부(110)는 자신에게 온 호출인지를 체크하여 자신에게 온 호출인 경우에는 부저를 울리거나 진동을 울리며, 표시부(195)에 호출한 전화번호를 표시하게 된다.
이와 같이 휴대형 유선전화기에 호출기를 내장하면, 호출이 왔을 때 근처의 접속모듈에 호출기 내장형 유선전화기를 연결하고 호출을 한 사람에게 전화를 걸 수 있으므로, 무선방식의 휴대전화를 사용하는 것과 유사한 효과를 낼 수 있다.
또한, 호출이 온 전화번호를 저장하여 두었다가 전화를 걸 때 DTMF발생부(160)를 통해 자동으로 전화번호를 송출할 수 있으므로 편리하다는 장점이 있다.
< d. 전화기의 외관 >
본 발명의 유선전화기는 그 구성이 간단하고 별도의 배터리가 필요없으므로 매우 가볍고 또한 소형으로도 구현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유선전화기의 외관에는 제한이 없지만, 예를 들자면 도 4의 (a)에 도시한 것처럼 폴더형 휴대전화기와 유사한 형태나, 도 4의 (b)에 도시한 것처럼 일명 사오정 전화기라고 불리우는 헤드폰형 유선전화기의 형태를 가질 수도 있다.
< 2. 전화서비스 방법 >
도 5는 본 발명의 휴대형 유선전화기(100)를 사용한 전화서비스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구성도이다.
휴대형 유선전화기(100)의 사용자는 거리 곳곳에 설치된 접속모듈(200a, 200b,..) 중 아무 곳에나 휴대형 유선전화기(100)를 연결할 수 있다.
각 접속모듈(200a, 200b,..)은 휴대형 유선전화기(100)의 국선 연결 단자(101)와 연결될 수 있는 접속단자를 가지고 있어서, 휴대형 유선전화기(100)의 접속단자(101)를 접속모듈의 접속단자에 끼워넣으면 교환기(300)로부터의 국선에 연결되게 된다.
접속모듈(200a, 200b,..)은 단지 휴대형 유선전화기를 교환기에 연결하는 역할만을 하므로 그 구성이 간단하고 설치가 매우 편리하다. 따라서, 접속모듈(200a, 200b,..)이 설치될 수 있는 장소에는 그 제한이 없겠지만, 예를 들자면 열차 대합실, 호텔이나 여관의 객실, 커피숍이나 레스토랑의 각 테이블, 공중전화부스 등에 설치하면 사용자에게 편리함을 줄 수 있을 것이다. 특히 공중전화부스의 경우에는 기존의 공중전화부스를 그대로 사용하여 접속모듈만 설치하여 두면, 카드나 동전을 사용한 공중전화로도 사용이 가능하고, 휴대형 유선전화기를 위한 전화부스로도 사용이 가능하다.
각 접속모듈(200a,200b,..)은 각각 전화선을 통해 교환기(300)에 연결된다. 교환기(300)에는 직류 피딩 회로(DC feeding circuit), 루프감지회로, 링신호 발생기 등과 같은 일반 전화기 인터페이스 회로 이외에도 휴대형 유선전화기(100)로부터의 ID를 디코드할 수 있는 회로가 마련되어 있다. ID 디코더 회로는, 휴대형 유선전화기(100)로부터의 ID 신호가 DTMF 신호로 오는 경우에는 DTMF 디코더이며, FSK나 PSK 등과 같은 신호로 변조된 신호로 오는 경우에는 그러한 신호를 복조할 수 있는 복조회로이다.
각 교환기(300)는 전화망(400)을 통해 서로 연결되며, 또한, 각 휴대형 유선전화기(100)의 ID에 관한 데이터를 저장하고 있는 데이터베이스(500)에 연결된다.
휴대형 유선전화기(100)가 접속모듈(200a,200b,..) 중의 하나에 연결되고 오프훅이 되면, 교환기(300)로부터 직류 전류가 휴대형 유선전화기(100)로 공급되며, 교환기(300)는 루프감지회로를 통해 휴대형 유선전화기(100)가 오프훅하였음을 감지하고 휴대형 유선전화기(100)로부터 ID 신호가 오기를 기다린다.
휴대형 유선전화기(100)는 교환기(300)로부터 전원이 공급되면 저장된 ID를 읽어내어 ID 신호로 변환한 다음 교환기(300)로 전송한다. 교환기는 이 신호를 받아서 디코딩한 다음, 그 데이터를 전화망(400)을 통해 데이터베이스(500)에 조회를 하고, 조회한 결과 유효한 ID인 경우에는 다이얼톤을 유선전화기(100)로 보내게 된다. 만일 휴대형 유선전화기(100)로부터의 ID가 유효하지 않은 ID, 예를 들면 도난당한 휴대형 유선전화기(100)의 ID라든가 요금체납으로 인하여 정지된 휴대형 유선전화기(100)의 ID라든가 하는 경우에는 다이얼톤 대신 에러톤을 주고 전화를 걸 수 없도록 한다.
다이얼톤이 나오면 휴대형 유선전화기(100)에서는 원하는 전화번호를 다이얼하고 통화를 하게 된다. 통화를 마치고 휴대형 유선전화기(100)에서 온훅을 하면, 교환기(300)는 이 전화기(100)의 통화시간 및 통화번호를 데이터베이스(500)에 보고한다. 그러면, 데이터베이스(500)에는 이 휴대형 유선전화기(100)의 통화내역이 저장되게 되고, 이렇게 축적된 통화내역은 일정한 기간마다 요금으로 환산되어 해당 휴대형 유선전화기(100) 사용자에게 요금납부통지가 나가게 된다.
이와 같은 방법에 의해서, 저렴하고 경량이고 배터리 소모 염려가 없고 전자파에 의한 장해의 염려가 없는 휴대형 유선전화기를 사용할 수 있게 된다.
< 3. 가정에서의 사용 >
본 발명의 휴대형 유선전화기는 가정(또는 사무실)에서도 사용이 가능하다. 즉, 유선전화기(100)에 ID 송출 온/오프 선택 스위치를 마련해두고 ID 송출 온/오프 선택 스위치가 오프일 때에는 ID가 송출되지 않도록 하면, 가정에서 사용할 때에 ID 송출 온/오프 스위치를 오프로 해두면 전화를 걸 때 ID 송출단계가 생략되므로 일반적인 유선전화기를 사용할 때와 동일하게 동작이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하면, 사용법이 익숙해진 전화기를 가정과 사무실 그리고 외출하여서도 사용할 수 있으므로 매우 편리하다. 게다가 전화기에 단축 다이얼번호 등을 저장하여둔 경우에는 단축 다이얼 번호를 각 전화기마다 저장하여 두거나 하는 불편함이 없어지게 된다.
< 4. 모빌 컴퓨팅에의 응용 >
모빌 컴퓨팅(Mobile computing)이란 사무실이 아닌 곳에서 이동중에도 컴퓨터를 사용하여 데이터를 검색하고 처리하고 전송하는 등의 업무를 하는 것을 말한다. 모빌 컴퓨팅은 노트북 컴퓨터와 같은 휴대형 컴퓨터에 휴대전화를 연결하여 데이터 통신을 하도록 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즉, 도 6의 (a)에서 볼 수 있는 것처럼, 휴대전화기(700)의 데이터 통신단자에 케이블 어셈블리(710)를 사용하여 노트북 컴퓨터(600)의 예를 들면 직렬 포트에 연결한다. 그리고 휴대전화기(700)를 통해서 인터넷 등의 데이터 통신망에 연결된 서버에 접속하여 데이터 통신 등의 작업을 행하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방식은 차량으로 이동하는 도중에도 데이터 통신을 할 수 있다는 장점은 있지만, 무선으로 연결되므로 주위 환경의 영향을 많이 받을 수 있고 통화료가 비싸다는 단점이 있다.
도 6의 (b)에는 본 발명의 유선전화기를 사용한 모빌 컴퓨팅의 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 6의 (b)에서 노트북 컴퓨터(600)에는 본 발명의 휴대형 유선전화기 회로를 내장한 모뎀이 설치되어 있다. 모뎀은 노트북 컴퓨터에 내장되거나 또는 노트북컴퓨터의 PCMCIA 포트에 꽂아서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 모뎀의 국선 연결 단자에는 케이블 어셈블리(210)의 한쪽 커넥터가 연결되고, 케이블 어셈블리(210)의 다른쪽 커넥터는 접속모듈(200)에 연결된다.
즉, 노트북 컴퓨터(600) 사용자는 호텔의 객실, 레스토랑이나 커피숍의 테이블 등에 마련되어 있는 접속모듈(200)에 컴퓨터의 모뎀을 연결하고, 모뎀에서 오프훅을 한 다음 ID를 송출하면, 교환기(300)로부터 다이얼톤이 떨어지게 된다. 이후의 동작은 일반적인 노트북 컴퓨터(600)의 모뎀을 사용한 접속방법과 동일하다. 즉, 교환기(300)로부터 다이얼톤이 나오고 있는 도중에 노트북 컴퓨터(600)에 탑재되어 있는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여 데이터 통신망에 접속하기 위한 전화번호를 다이얼하고, 데이터 통신망에 접속되면 데이터 통신을 개시한다.
또 다른 방법으로는 본 발명의 유선전화기(100)와 노트북 컴퓨터(600)의 모뎀을 병렬로 접속모듈(200)에 연결하여 사용하는 방법이 있을 수 있다. 컴퓨터에 장착된 모뎀에 본 발명의 휴대형 유선전화기 회로가 내장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이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먼저, 데이터 통신망에 접속하기 위해서 전술한 것처럼 유선전화기를 오프훅하고 ID를 송출하면 교환기(300)로부터 다이얼톤이 떨어진다. 그러면, 병렬로 연결된 컴퓨터(600)의 모뎀을 사용하여 일반적인 방법으로 컴퓨터 통신을 하면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을 사용하면, 출장중이거나 외출중일 때에도 접속모듈을 이용하여 호텔이나 커피숍, 레스토랑, 심지어는 공중전화부스에서도 데이터 통신을 할 수 있으므로, 영업사원, 기자 등과 같이 바깥에서 일을 많이 하는 사람들에게 매우 편리하다.
이상 본 발명을 몇가지 실시예를 들어 상세히 설명하였지만, 이들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이며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사람이라면 본 발명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변형하거나 수정할 수 있음을 인식할 것이다.
이상 설명한 것처럼, 본 발명에 의하면 저렴하고 경량이고 배터리 소모 염려가 없고 전자파에 의한 장해의 염려가 없는 휴대형 유선전화기를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호출기를 내장한 휴대형 유선전화기를 사용하면 호출을 받고 바로 호출에 응답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호출한 사람의 전화번호를 자동으로 다이얼할 수 있으므로 매우 편리하다.
또한, 본 발명의 휴대형 유선전화기를 노트북 등을 이용한 컴퓨터 통신에 적용하면 저렴한 가격으로 외출중이나 출장중에도 컴퓨터 통신을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Claims (6)

  1. 국선과의 접속을 위한 선로접속부와, 통화를 위한 음향부와, 전화번호 다이얼을 위한 DTMF 발생부와, 버튼이 눌려지는 것을 감지하기 위한 입력부와, 이들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를 구비하는 휴대형 유선전화기에 있어서,
    전화기 고유의 ID를 저장하기 위한 ID 저장부를 더 구비하고,
    전화를 걸기 전에 상기 ID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는 ID를 국선으로 송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유선전화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ID는 DTMF 신호로 국선으로 송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유선전화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형 유선전화기는 별도의 ID 신호 발생기를 구비하고,
    상기 ID는 상기 ID 신호 발생기에서 변조된 신호로 송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유선전화기.
  4. 제1항 내지 제3항중 어느 한 한에 있어서, 상기 휴대형 유선전화기는
    무선호출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안테나,
    상기 안테나로부터의 무선호출신호를 처리하여 상기 제어부로 제공하기 위한 무선회로부,
    상기 무선회로부로부터의 호출신호를 사용자에게 보여주기 위한 표시부
    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유선전화기.
  5. 제1항 내지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형 유선전화기는 ID 송출 온오프 스위치를 더 구비하고 있고,
    상기 ID 송출 온오프 스위치가 오프일 때에는 ID를 송출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유선전화기.
  6. 휴대형 유선전화기 사용자의 등록 정보를 가지고 있으며 전화망에 연결되어 있는 데이터베이스와, 전화망에 연결된 다수의 교환기와, 상기 교환기에 연결된 다수의 접속모듈과, 고유의 ID를 가진 휴대형 유선전화기를 사용한 전화서비스 방법에 있어서,
    상기 휴대형 유선전화기를 상기 접속모듈중의 하나에 연결하는 단계와,
    상기 휴대형 유선전화기가 오프훅하는 단계와,
    상기 휴대형 유선전화기에 직류전류를 공급하는 단계와,
    상기 휴대형 유선전화기에서 상기 고유의 ID 신호를 송출하는 단계와,
    상기 교환기에서 상기 고유의 ID를 수신하여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ID 정보와 비교하는 단계와,
    상기 비교의 결과 상기 수신된 고유의 ID가 유효한 ID인 경우에 상기 교환기에서 상기 휴대형 유선전화기에 다이얼톤을 송출하는 단계와,
    상기 휴대형 유선전화기에서 전화번호를 다이얼하고 통화하는 단계와,
    상기 휴대형 유선전화기에서 온훅하는 단계와,
    상기 교환기에서 상기 휴대형 유선전화기의 통화요금과 관련된 데이터를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
    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화서비스 방법.
KR1019990010174A 1999-03-25 1999-03-25 휴대형 유선전화기와 이를 이용한 전화서비스 방법 KR1003605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10174A KR100360545B1 (ko) 1999-03-25 1999-03-25 휴대형 유선전화기와 이를 이용한 전화서비스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10174A KR100360545B1 (ko) 1999-03-25 1999-03-25 휴대형 유선전화기와 이를 이용한 전화서비스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61256A true KR20000061256A (ko) 2000-10-16
KR100360545B1 KR100360545B1 (ko) 2002-11-13

Family

ID=195776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10174A KR100360545B1 (ko) 1999-03-25 1999-03-25 휴대형 유선전화기와 이를 이용한 전화서비스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60545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06114B1 (ko) * 2001-09-06 2003-11-14 학교법인 동국학원 일반 공중 전화망을 이용한 디지털 유선 전화기
KR100427495B1 (ko) * 2001-09-12 2004-04-28 (주)아이넥스트커뮤니케이션즈 무선통신모듈을 이용한 유선전화기 통화시스템에서외부전화기와 통화를 이룬 유선전화기의 과금시스템 및 그방법
KR100661503B1 (ko) * 2004-12-29 2006-12-27 엘지노텔 주식회사 교환기의 발신번호 검증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00005741A (ko) * 1988-09-29 1990-04-14 강진구 전자식 사설교환기에서 사용자 고유등급 부여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06114B1 (ko) * 2001-09-06 2003-11-14 학교법인 동국학원 일반 공중 전화망을 이용한 디지털 유선 전화기
KR100427495B1 (ko) * 2001-09-12 2004-04-28 (주)아이넥스트커뮤니케이션즈 무선통신모듈을 이용한 유선전화기 통화시스템에서외부전화기와 통화를 이룬 유선전화기의 과금시스템 및 그방법
KR100661503B1 (ko) * 2004-12-29 2006-12-27 엘지노텔 주식회사 교환기의 발신번호 검증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360545B1 (ko) 2002-11-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635766A (zh) 车载蓝牙通讯终端装置及其实现方法
US20090098865A1 (en) Personal communications system and method
US7437148B1 (en) Personal communications system and method
US20050119014A1 (en) Home cellular phone system
KR100360545B1 (ko) 휴대형 유선전화기와 이를 이용한 전화서비스 방법
JP2966750B2 (ja) 電話装置
JPS5846106B2 (ja) 発着信制御方式
JPH10308975A (ja) 携帯電話機
CN201438716U (zh) 车载蓝牙通讯终端装置
JP3584248B2 (ja) 移動通信端末の受け台
KR100291350B1 (ko) 유무선전화기의연계운영장치
CN2395471Y (zh) 多座机无绳电话装置
JPH04196833A (ja) 移動通信システム
US20050250488A1 (en) Wireless interface that supports multiple remote station sets and devices
KR100678108B1 (ko) 유선망/무선망을 선택하여 통신할 수 있는 이동통신시스템및 그 동작 방법
JP3214359B2 (ja) 携帯無線電話装置
JPH11168546A (ja) 無線通信機器
JPH10224844A (ja) 無線通信システム
KR20020045927A (ko) 데이터통신과 음성통신을 지원해주는 블루투스 방식의전화기 세트와 이를 이용한 통신방법
JP4058851B2 (ja) コードレス電話装置
JP2992723B2 (ja) Phpにおける公衆電話回線への接続装置
JPH06311102A (ja) 移動機有線接続用アダプタシステム
JP3331959B2 (ja) 通信装置
JP3619787B2 (ja) 親子電話装置の親機
JPH1032631A (ja) 電話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