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58283A - 전자상거래 시스템 - Google Patents

전자상거래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58283A
KR20000058283A KR1020000011207A KR20000011207A KR20000058283A KR 20000058283 A KR20000058283 A KR 20000058283A KR 1020000011207 A KR1020000011207 A KR 1020000011207A KR 20000011207 A KR20000011207 A KR 20000011207A KR 20000058283 A KR20000058283 A KR 2000005828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lottery
purchase
customer
produ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112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75556B1 (ko
Inventor
김원석
Original Assignee
김원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19990045273A external-priority patent/KR20000012239A/ko
Application filed by 김원석 filed Critical 김원석
Priority to KR10-2000-00112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75556B1/ko
Publication of KR200000582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582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755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75556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07Discounts or incentives, e.g. coupons or rebat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객의 구매정보를 취합하여 상품별 판매량과 지역별 또는 업종(가맹점)별 거래고객의 유입량(수)을 집계하여 실시간으로 표시함으로써, 고객 자신이 선택(또는 구매)한 제품의 선호도(인지도) 및 그에 따른 정보를 추가로 얻을 수 있다. 이에 따라, 다양한 상품만큼이나 대량의 정보가 제공되는 현대사회에서 고객이 상품에 대한 구매 의사결정을 보다 빠르게 내릴 수 있고, 원하는 상품들을 쉽게 비교하여 상품을 구매할 수 있다는 매우 유용한 효과가 있다. 또, 판매량을 토대로 고객들의 쇼핑성향을 분석할 수 있는 데이터를 생성함으로써, 해당 기업이 고객의 쇼핑취향을 신속하게 파악할 수 있음은 물론이고 제품 개발시 고객의 쇼핑취향을 반영함으로써, 기획에서부터 제품의 생산 및 판매까지의 시간을 대폭적으로 단축시켜 시장의 선점 및 경쟁우위를 확보하는데 크게 기여한다는 뛰어난 효과가 있다. 또한, 제품 구입(판매)시마다 고객(가맹점)들에게 추첨권한을 부여하여 실시간 또는 일정주기마다 사이버 공간인 인터넷상에서 추첨하고 그 결과를 원스톱 처리함으로써, 구매가 일회성에 그치지 않고 계속적으로 순환되어 유통산업을 촉진시킬 뿐만 아니라, 유통구조의 단축에 따른 이익을 추첨방식을 빌어 사회에 재 환원시킴으로써 미래 지향적이고 가치경영에 일조(一助)하는 뛰어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전자상거래 시스템{Electron Commercial Transaction System}
본 발명은 전자상거래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각 고객의 구매정보를 취합하여 상품명별 판매량과 각 지역별 또는 업종(가맹점)별로 거래고객의 유입량(수)을 집계하여 표시하고, 판매량을 토대로 고객들의 쇼핑성향을 분석할 수 있는 데이터를 생성하며, 상품 구입시마다 추첨권한과 회수를 차등 부여하여 사이버 공간인 인터넷상에서 실시간 또는 일정주기마다 추첨하고 그 결과를 원스톱 처리할 수 있는 전자상거래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상거래는 '기업→도매상→소매상→소비자'라는 유통채널이 구축되고, 고객수요를 파악하기 위하여 다수의 영업사원이 필요하며, 상품을 진열하기 위한 판매공간이 필요하다.
그러나 이와 같은 상거래 방식은 거래지역이 일부지역으로 한정되고, 영업시간이 제한되며, 판매공간이 필요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따라, 근래 인터넷망을 이용한 쇼핑몰이 구축되어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어느 정도 해소하고 있다. 즉, 유통채널이 '기업→소비자'로 단축되고, 거래지역 및 거래시간에 제약을 받지 않으며, 판매거점이 가상공간(cyber space)으로 옮겨짐으로써 판매공간이 불필요하다는 잇점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쇼핑몰을 이용한 거래에서도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즉, 고객과 쇼핑몰간에 1대1로 판매가 이루어짐으로써 전체적인 상품별 구매도를 산출할 수 없었다. 이에 따라, 고객은 자신이 선택한 상품의 선호도(인지도) 및 그에 따른 정보를 추가로 얻을 수가 없었으며, 해당 기업은 고객의 쇼핑취향을 신속히 파악할 수 없어 고객의 쇼핑취향에 따른 제품을 개발하는데 어려움이 있었다.
또, 제공되는 상품정보는 다양한 상품만큼이나 대량의 정보가 제공되는데, 고객이 이러한 정보 속에서 정작 필요로 하는 정보를 찾아내기란 매우 어려울 뿐만 아니라, 고객 개개인의 쇼핑취향이 각기 달라 원하는 정보를 적절히 제공받기란 불가능하였다.
또한, 고객과 쇼핑몰간에 상품을 구매하고 대금을 지불함으로써 거래가 완료되는 1회성의 구매로, 유통을 촉진시키는데 한계가 있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각 고객의 구매정보를 취합하여 상품명별 판매량과 각 지역별 또는 각 업종(가맹점)별로 거래고객의 유입량(수)을 집계하여 실시간으로 표시하고, 판매량을 토대로 고객들의 쇼핑성향을 분석할 수 있는 데이터를 생성하며, 상품 구입(판매)시마다 고객(가맹점)들에게 추첨권과 그 회수를 차등 부여하여 사이버 공간인 인터넷상에서 실시간 또는 일정주기마다 추첨하고 그 결과를 원스톱 처리함으로써 유통을 보다 촉진시킬 수 있도록 한 전자상거래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자상거래 시스템의 전체 블록도,
도 2는 도 1의 통합관리센터의 상세 블록도,
도 3 및 도 4는 각 데이터 베이스의 구조를 보인 예시도,
도 5 내지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추첨속성을 보인도,
도 10은 일반가맹점과 통합관리센터간의 제어흐름도,
도 11은 전자상거래숍과 통합관리센터간의 제어흐름도,
도 12는 본 통합관리센터의 홈페이지,
도 13은 회원가입 화면,
도 14는 추첨내역 및 추첨결과 확인 화면,
도 15는 판매정보 검색시의 화면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일반고객회원1-N 2 :일반가맹점1-N
3 :PC고객회원1-N 4 :전자상거래숍1-N
5 :통합관리센타 6 :금융결재원
7 :상품발송처 8 :정보이용자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회원여부가 인증된 고객이 상품을 구매한 경우 구매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전송수단들과, 전송된 구매정보들을 수집하여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하고 이를 관리하기 위한 데이터 베이스 관리수단과, 상기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된 구매정보에 근거하여 추첨하기 위한 추첨관리서버와, 추첨결과에 따른 경품을 지급하기 위한 지급수단을 포함한다.
또, 상기 전송수단들은 회원카드를 소지한 일반고객이 상품을 구매한 경우 회원식별정보 및 상기 상품을 판매한 가맹점의 가맹회원식별정보를 포함하는 구매정보를 전송할 수 있도록 전송파일을 생성하며 상기 가맹점에 설치된 전송수단과, 회원여부가 인증된 PC고객이 상품을 구매한 경우 회원식별정보 및 상기 상품을 판매한 전자상거래숍의 가맹회원식별정보를 포함하는 구매정보를 전송할 수 있도록 전송파일을 생성하며 상기 전자상거래숍의 서버상에 설치된 전송수단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데이터 베이스 관리수단은 고객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고객정보 데이터 베이스와, 상품구매에 따른 회원식별정보 및 구입상품코드, 구입개수, 구입금액, 구입시간, 구입금액에 따른 포인트, 상품을 구매한 가맹회원식별정보 등을 포함하는 구매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구매정보 데이터 베이스와, 상기 포인트가 추첨조건에 합당할 경우 상기 추첨관리서버에 의해 생성된 추첨번호와 상기 추첨관리서버에 의해 추첨된 결과를 저장하기 위한 추첨정보 데이터 베이스를 포함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하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및 도 2는 발명에 따른 전자상거래 시스템의 전체적인 구성을 보인 제어블럭도이다. 도 1에 있어서, 1은 다수의 일반 고객이다. 이 일반 고객들(1)은 회원 고유의 식별정보가 저장된 회원카드를 소지한다. 이 회원카드는 회원식별정보를 저장할 수 있는 매체, 즉 바코드, 마그네틱, IC 및 전자칩 카드 등으로 양호하게 구현된다. 여기서, 일반 고객들(1)은 개인뿐만 아니라 회원카드가 발급된 기관, 단체, 회사 등도 포함한다.
2는 다수의 일반 가맹점이다. 이 일반 가맹점들(2)은 불특정다수의 일반 고객들(1)에게 상품을 판매한다. 또, 이 일반 가맹점들(2)에는 가맹점 고유의 식별정보가 부여된다. 회원카드를 소지한 일반 고객들(1)이 일반 가맹점(2)에서 상품을 구매할 경우 일반 가맹점(2)에서는 상품을 구매한 일반 고객들(1)의 회원식별정보 및 구매정보, 그리고 가맹점식별정보를 통신망을 통하여 후술하는 통합관리센타(5)로 전송한다. 여기서, 구매정보는 일반 고객들이 구매한 상품의 상품명(Brand name)에 해당하는 코드, 구입개수, 구입금액, 구입시간, 구입금액에 따른 포인트(현금성 포인트, 인터넷상에서 사용가능한 사이버 머니, 마일리지 등) 등을 포함한다. 상기의 전송을 위해 일반가맹점1-N(2)에는 일반고객(1)이 소지한 회원카드로부터 회원식별정보를 읽어들이기 위한 수단, 일례로 카드리더와, 일반 고객(1)이 구매(가맹점이 판매)한 상품명 및 구입개수를 읽어들이기 위한 수단, 일례로 바코더가 구비되며, 읽어들인 회원식별정보와 구매정보 및 미리 저장된 가맹점식별정보를 후술하는 통합관리센터(5)로 전송할 수 있도록 전송파일을 생성하며 통신망을 통해 접속된 전송수단, 일례로 컴퓨터와 단말기가 구비된다.
3은 다수의 PC고객이다. 이 PC고객들(3)에게는 회원 고유의 식별정보, 일례로 아이디(ID)가 부여된다. 그리고 이 PC고객들(3)의 통신수단, 일례로 컴퓨터는 후술하는 통합관리센타(5)와 금융결재원(인증기관, 은행권;6), 그리고 다수의 전자상거래숍(4)과 통신망을 통해 접속된다.
4는 다수의 전자상거래숍이다. 이 전자상거래숍들(4)은 불특정다수의 PC고객들(3)에게 상품을 판매한다. 또, 이 전자상거래숍들(4)에게는 전자상거래숍 고유의 식별정보가 부여된다. PC고객들(3)의 회원식별정보를 통해 회원여부가 인증된 상태에서 상품을 구매할 경우 전자상거래숍(4)에서는 상품을 구매한 PC고객(3)의 회원식별정보 및 구매정보, 그리고 전자상거래숍 고유의 식별정보를 통신망을 통해 후술하는 통합관리센타(5)로 전송한다. 여기서, 구매정보는 PC고객(3)이 구매한 상품의 코드, 구입개수, 구입금액, 구입시간, 구입금액에 따른 포인트 등을 포함한다. 상기의 전송을 위해 전자상거래숍들(4)에는 PC고객들의 회원식별정보와 구매정보 및 전자상거래숍식별정보를 후술하는 통합관리센타(5)로 전송할 수 있도록 전송파일을 생성하며 통신망을 통해 접속된 전송수단, 일례로 통신용 서버가 구비된다.
5는 통합관리센타이다. 이 통합관리센타(5)는 일반가맹점(2) 및 전자상거래숍(4)으로부터 전송된 파일을 취합하여, 상품코드별 판매량과 각 지역별 또는 각 업종(가맹점)별로 거래고객의 유입량(수)을 집계하여 실시간으로 표시하고, 판매량을 토대로 고객들의 쇼핑성향을 분석할 수 있는 데이터를 생성하며, 상품 구입(판매)시마다 고객(가맹점)들에게 추첨권과 그 회수를 차등 부여하여 실시간 또는 일정주기마다 추첨하고 그 결과를 처리한다.
이를 위하여, 통합관리센타(5)는 각종 데이터 베이스를 관리하기 위한 데이터 베이스 관리수단(51)과, 일반고객(1) 및 PC고객(3)의 구매정보를 토대로 추첨권과 그 회수를 차등 부여하여 실시간 또는 일정주기로 추첨하는 추첨관리서버(52)와, 수집된 구매정보를 토대로 상품명별 판매량과 각 지역별 또는 각 업종(가맹점)별로 거래고객의 유입량(수)을 집계하는 집계수단(54)과, 수집된 구매정보를 조건에 따라 생성하거나 정보이용자(8)가 제시한 조건에 따라 데이터를 가공하는 데이터 가공수단(53)과, 후술하는 데이터 베이스 관리수단(51)이 관리하는 고객정보 데이터 베이스(516)에 대응하여 정보이용자(8) 단말기로부터의 정보검색 요구시 정보이용자(8)가 회원인지 아닌지를 암호정보 등에 의해 인증하는 인증수단(514)과, 인증수단(514)에 의해 인증된 경우 데이터의 검색화면을 정보이용자(8) 단말기로 송신하고 특정의 검색조건에 따라 구매정보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된 데이터를 검색하도록 하는 정보검색수단(513)과, 구매정보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되어 있는 정보를 검색한 정보이용자(8)에게 이용요금을 부가하기 위한 과금정보관리수단(515)을 포함한다.
상기의 데이터 베이스 관리수단(51)은, 회원가입시 획득한 고객정보가 저장된 고객정보 데이터 베이스(516)를 포함한다. 다음(도 3참조)은 고객정보 데이터 베이스(516)의 예시이다. a)일반고객(1)의 경우 회원번호, 고객명, 주민등록번호, 연령, 성별, 전화번호, 주소, 우편물수신처, e-mail, 계좌번호 등. b)일반 가맹점(2)의 경우 가맹회원번호, 대표자, 대표자 주민등록번호, 전화번호, 소재지, 우편물수신처, e-mail, 계좌번호 등. c)PC고객(3)의 경우 고객ID, 패스워드, 고객명, 주민등록번호, 연령, 성별, 전화번호, 주소, 우편물수신처, e-mail, 계좌번호, 등. d)전자상거래숍(4)의 경우 가맹회원번호, 대표자, 대표자 주민등록번호, 전화번호, 소재지, 우편물수신처, e-mail, 계좌번호 등. e)정보이용자(8)의 경우 고객ID, 패스워드, 고객명, 주민등록번호, 전화번호, 주소, 우편물수신처, e-mail 등을 포함한다. 여기서, 고객ID는 본 통합관리센타(5)의 홈페이지를 통하여 회원가입을 하거나 본 통합관리센타(5)와 고객ID를 공유하도록 협정된 다수의 전자상거래숍(4) 홈페이지를 통하여 회원가입을 할 경우 부여된다.
또, 일반고객 및 PC고객이 상품을 구매함에 따라 일반가맹점(2) 및 전자상거래숍(4)으로부터 전송된 구매정보가 등록된 구매정보 데이터 베이스(517)를 포함한다. 다음(도 4참조)은 구매정보 데이터 베이스의 예시이다. f)일반가맹점(2)을 통해 상품을 구매한 경우 고객회원번호, 구매정보(상품코드, 개수, 구매금액, 구매시간, 구매금액에 따른 포인트), 가맹회원번호 등. g)전자상거래숍(4)을 통해 상품을 구매한 경우 고객ID, 구매정보(상품코드, 개수, 구매금액, 구매시간, 구매금액에 따른 포인트), 가맹회원번호 등을 포함한다. 여기서, 포인트는 상품을 구매함에 따라 일반가맹(2)점 또는 전자상거래숍(4)으로부터 제공되거나, 구매금액의 일정비율만큼 통합관리센타(5)에서 자동으로 생성, 제공된다. 제공된 포인트는 추첨에 사용(추첨포인트)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추첨에 사용되고 남은 포인트는 자동으로 누적(누적포인트)된다. 그리고 이와 같은 포인트는 상품의 구매뿐만 아니라 사은성 또는 이벤트성 경품 및 보너스로서 제공받을 수 도 있다.
또한, 일반고객(1) 및 PC고객(3)의 구매정보를 토대로 추첨대상 자격과 그 회수를 차등 부여한 추첨정보가 등록된 추첨정보 데이터 베이스(518)를 포함한다. 다음(도 4참조)은 추첨정보 데이터 베이스의 예시이다. h)추첨조건에 합당한 경우에 생성된 추첨번호, 추첨가중치, 고객회원번호 또는 고객ID, 구매정보에 따른 추첨내역, 당첨내역, 가맹회원번호 등을 포함한다. 여기서, 추첨번호는 구매정보가 추첨조건에 합당한 경우 추첨정보 데이터 베이스(518)에 액세스(access)될 때 자동적으로 부여된다. 추첨조건은 상품의 구매금액, 구입회수, 구입회수+구입금액 및 구매금액에 따른 포인트 및 이벤트 상품 구입 등이 될 수 있고, 추첨가중치는 일회의 상품구매에 있어 추첨조건을 다수 번 만족한 경우 추첨조건을 만족할 때마다 추첨기회가 일회씩 더 부여되는 것으로, 가중치가 높다는 의미는 그 만큼 당첨확률이 높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 누적된 포인트가 추첨조건을 만족할 경우 고객(1,3)은 추첨을 요구할 수 있으며, 이때 추첨가중치가 적용된다. 일례로, 추첨조건이 100포인트일 경우 누적된 포인트가 500이고, 이를 이용하여 추첨을 요구할 경우 가중치는 5가 된다. 한편 추첨대상인 추첨번호 이하에는 회원번호(또는 고객ID)와 가맹점회원번호가 포함되므로 상기의 추첨번호가 당첨될 경우 상품구매자 뿐만 아니라 판매처(일반 가맹점 또는 전자상거래숍;2,4)에도 당첨 혜택이 돌아간다.
또, 정보이용자(8)가 구매정보 데이터 베이스를 이용한 정보를 관리하기 위한 이용정보 데이터 베이스(519)를 포함한다. 다음(도 4참조)은 이용정보 데이터 베이스의 예시이다. i)정보이용자(8)의 단말기가 구매정보 데이터 베이스(517)에 액세스될 때 자동적으로 부여되는 정보이용번호와, 고객ID, 이용정보내역(연산자, 시퀀스번호 및 이용시간) 등이 포함된다. 여기서 시퀀스번호는 정보이용자(8)가 구매정보를 검색함에 따라 자동으로 부여된다.
또한, 정보이용자(8)가 구매정보 데이터 베이스(517)를 이용함에 따른 정보이용료의 처리를 위한 과금정보 데이터 베이스(520)를 포함한다. 다음(도 4참조)은 과금정보 데이터 베이스의 예시이다. j)(정보이용자(8)의)고객ID, 과금조건 등의 과금정보 등을 포함한다. 여기서, 과금조건은 본 통합관리센타(5)의 홈페이지를 통해 이용자등록을 할 때 정보이용자(8)의 선택에 의해 결정된다. 과금조건은 액세스(access) 시간에 따른 종량제, 이용 정보량에 따른 종량제나 정액제 등 임의의 과금방식을 채용할 수 있다.
6은 금융결재원(은행권 포함) 및 인증기관으로, PC고객(3)이 전자상거래숍1-N(4)에서 상품을 구매한 경우 결제수단의 인증 및 결제금액을 승인한다. 또, 통합관리센타(5)의 요구에 의해 추첨에 따른 당첨금을 고객계좌 및 가맹점(또는 전자상거래숍)계좌로 이체시킨다. 또한, 통합관리센타(5)의 배송요구에 의해 상품발송처(7)로부터 당첨자에게 배송된 상품의 대금결제를 위해 상품배송에 따른 대금을 통합관리센타(5)의 요구에 의해 상품배송처(7)의 계좌로 이체시킨다. 이를 위해 금융결제원(은행권 포함) 및 인증기관(6)은 통신망을 통해 통합관리센타(5)와 전자상거래숍(4) 및 PC고객들(3)과 접속된다.
그리고 7은 통합관리센타의 배송요구에 의해 당첨자에게 상품을 배송해주는 상품발송처로, 백화점, 여행사, 항공사, 택배회사 등이 포함된다. 상품발송처(7)는 통신망을 통해 통합관리센타(5)와 금융결재원(은행권 포함) 및 인증기관(6) 등과 접속된다.
다음은 도 5내지 도 9를 참조하여 전술한 추첨관리서버(52)의 추첨속성을 설명한다. 먼저, 도 5은 상품구매에 따른 포인트를 대상으로 한 추첨속성의 예시이다. 추첨조건이 50포인트이고 고객A의 적립 포인트가 500일 경우, 추첨조건에 합당하므로 적립된 포인트를 50포인트 단위로 세분화하고 그 때마다 추첨번호를 부여하여 추첨한다. 즉, 고객A의 포인트가 500일 경우 추첨기회는 50, 100, 150, 200단계에서 부여되며, 고객A가 상품을 또 다시 구매(상기의 구매시간과 동일하지 않은 것으로 가정한다)하여 새로이 100포인트가 정립되었다면 50단계에서 추첨기회가 재차 부여된다. 이때, 고객A 뿐만 아니라 고객A에게 상품을 판매한 가맹점에도 당첨기회가 주어진다.
도 6은 구매한 각 상품명에 따른 포인트를 대상으로 한 추첨속성의 예시이다. 추첨조건이 50포인트이고 고객A가 A커피, B커피, C커피를 구매하여 각각 100, 50, 200포인트가 정립된 경우, A커피를 대상으로 하는 추첨에서 2회, B커피를 대상으로 하는 추첨에서 1회, 그리고 C커피를 대상으로 하는 추첨에서 3회의 추첨기회가 부여된다. 이때 고객A 뿐만 아니라 고객A에게 상품을 판매한 가맹점에도 당첨기회가 주어진다.
도 7은 상품을 구매함에 따라 적립된 포인트를 실시간 및 소정주기로 추첨하기 위한 추첨속성의 예시이다. 즉, 고객A의 적립된 포인트에 대하여 실시간 및 3일, 일주일, 한달, 3개월, 6개월, 9개월, 12개월(… n)에 각각 추첨을 할 수 있도록 적립된 포인트를 1/n 로 나누어 추첨기회를 부여한다. 따라서, 고객A가 상품을 구매하였을 경우 전술한 추첨속성(바람직하게는 추첨속성1)에 따라 실시간 및 3일, 일주일, 한달, 3개월, 6개월, 9개월, 12개월마다 추첨기회를 부여한다. 이때, 고객A 뿐만 아니라 고객A에게 상품을 판매한 가맹점에도 당첨기회가 주어진다.
도 8은 상품구매 회수를 대상으로 한 추첨속성의 예시이다. 즉, 고객A가 일정시간동안(일례로 24시간동안) 상품을 5번 구매했다면 5라는 추첨가중치가 부여된다. 이에 따라, 추첨관리서버(52)는 구매가 이루어질 때마다 발생된 정보를 매회 추첨정보 데이터 베이스(518)에 저장함이 없이 구매회수에 따라 추첨가중치만을 저장함으로써 추첨정보 데이터 베이스(518)의 기억용량을 줄일 수 있다. 여기서, 추첨가중치가 5라는 의미는 전술한 바와 같이 구매회수가 1인 고객에 대비하여 당첨확률이 5배 높음을 의미한다.
도 9는 추첨가중치를 이용한 추첨속성의 예시이다. 추첨자료인 포인트가 추첨조건을 다수 번 만족할 경우 추첨조건을 만족할 때마다 추첨기회가 일회씩 더 부여된다. 즉, 고객A의 적립포인트가 200이고 추첨조건이 50포인트인 경우 4라는 추첨가중치가 부여된다. 이에 따라, 추첨관리서버(52)는 고객A의 추첨번호를 매회 생성하여 추첨하는 대신 고객A의 추첨가중치를 4으로 인식하여 추첨한다. 그 결과, 추첨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추첨조건이 만족될 때마다 발생된 정보를 매회 추첨정보 데이터 베이스(518)에 저장함이 없이 추첨가중치만을 저장함으로써 추첨정보 데이터 베이스(518)의 기억용량을 줄일 수 있다. 여기서, 추첨가중치가 4라는 의미는 전술한 바와 같이 구매회수가 1인 고객에 대비하여 당첨확률이 4배 높음을 의미한다.
그리고 전술한 추첨속성은 예시로서, 각 추첨속성을 조합하여 추첨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구매고객(일반고객 또는 PC고객;,3) 및 가맹점(일반 가맹점 또는 전자상거래숍;2,4)의 고객정보를 이용하여 지역별(특·광역시,시,군,구,동), 업종별, 품목별, 품명별, 나이별, 세대별, 직업별, 직장별 등으로 정보를 세분화하여 추첨할 수도 있다.
한편, 전술한 추첨속성 중 적립(누적)포인트가 추첨조건에 포함되지 못하는 경우, 일례로 추첨조건이 50포인트 일 때 적립포인트가 50미만인 경우에는 50미만의 포인트를 퍼센티지로 환산하여 추첨기회를 부여하거나 또는 적립시키거나 또는 낙전 처리 할 수 있다.
다음은, 가맹점 모집시의 상품군(商品群)의 예시이다. 식·음료; 농·수·축산물 판매점, 양주/전통주 등 각종 주류 판매점, 식사류·대중음식·간이음식 판매점, 햄등 가공류·과자류·빙과류·음료수 판매점, 커피 전문점, 제과점 등. 패션·액세서리; 의류(성인/아동/신사/숙녀/학생복) 판매점, 신발류 판매점, 금·은·보석류 판매점. 건강·미용; 이·미용실, 안마·목욕탕·사우나 등. 컴퓨터/SW/전기전자제품/통신기기; 컴퓨터 및 주변기기 판매점, 휴대전화 대리점 등. 선물·잡화; 철물 건자재 판매점, 문구점, 생활용품 판매점, 세탁소 등. 스포츠·레져; 골프장, 수영장, 볼링장, 공연장 등. 도서/CD/비디오; 대여점, 서점 등. 여행·티켓; 여행사, 이벤트사, 항공사, 연극·영화 공연장 등. 취미·자동차; 동호회, 자동차 판매·수리점, 주요소 등. 유아·아동; 유치원, 학원 등. 사무용품·가구; 가구점, 사무용품 판매점 등. 인테리어·주방; 등으로 구분되며, 고객정보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된다.
이에 따라, 상품군별로 추첨이 가능하고, 판매정보 데이터 검색시 상품군별로 검색이 가능하게 된다.
다음은 전술한 구성요소 및 추첨속성, 그리고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한다.
먼저, 도 10를 참조하여 일반가맹점1-N(2)과 통합관리센터(5)간의 데이터 흐름을 설명한다. 회원카드를 소지한 불특정 다수의 일반고객(1)이 일반가맹점(2)에서 상품을 구매한 경우(S51), 일반가맹점(2)에서는 상품을 구매한 일반고객의 회원식별정보를 읽어들이기 위한 수단, 일례로 카드리더를 사용하여 회원번호를 읽어들이고, 일반고객이 구매한 상품명(코드화 됨) 및 구입개수를 읽어들이기 위한 수단, 일례로 바코더를 사용하여 구입한 상품코드 및 구입개수를 전송수단, 일례로 컴퓨터에 입력한다(S52). 또, 회원식별정보를 읽어들이기 위한 수단 및 구매상품의 상품코드 및 구입개수를 읽어들이기 위한 수단과 통신가능하도록 접속된 전송수단은 읽어들인 정보와 그 내부의 메모리부에 저장된 가맹회원번호를 암호화하여 전송파일을 생성(S53)한 다음 이를 통신망을 통해 통합관리센타로 전송한다(S54).
통합관리센타의 인증수단(514)은 전송된 파일로부터 회원식별정보를 취득하여 고객정보 데이터 베이스(516)에 근거하여 회원여부를 확인하고, 확인처리된 경우 구매정보 데이터 베이스(517)에 저장하고, 회원여부의 확인이 불가능하거나 전송에러인 경우 에러메시지를 일반가맹점(2)의 전송수단으로 자동 전송한다. 또, 단계S55를 통해 구매정보 데이터 베이스(516)에 저장된 구매정보 중 포인트가 추첨조건을 만족할 경우 추첨관리서버(52) 자동으로 추첨번호 및 추첨가중치를 생성하여 추첨정보 데이터 베이스(518)에 저장한다(S56). 여기서, 포인트의 생성은 전술한 바와 같이 상품을 구매함에 따라 일반가맹점(2)의 전송수단에 의해 자동으로 생성되어 제공되거나, 구매금액의 일정비율만큼 통합관리센타(5)에서 자동으로 생성, 제공된다. 또, 추첨관리서버(52)는 추첨정보 데이터 베이스(518)에 저장된 추첨번호 및 추첨가중치에 근거하여 전술한 추첨속성에 따라 실시간으로 추첨처리하고 그 결과를 추첨정보 데이터 베이스(518)에 저장한다(S57). 한편, 집계수단(54)은 구매정보 데이터 베이스(517)에 저장된 정보에 근거하여 구매(판매)개수와 각 지역별 또는 업종(가맹점)별 거래고객의 유입량(수)를 실시간으로 집계하고 이를 통신망을 통해 공개한다. 일례로, 각 일반가맹점(2)에 설치된 전송수단의 단말기를 통해 공개하거나 본 통합관리센터(5)의 홈페이지를 통하여 공개하거나 또는 인터넷 방송국 및 일반 공중파 방송망을 통해서도 공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일반고객은 자신의 구매한 상품의 판매량을 통해 인지도 및 상품정보를 얻을 수 있어 효과적인 구매활동을 영위할 수 있다. 그리고 추첨관리서버(52)를 통하여 실시간으로 추첨된 결과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공개됨(S58)으로써 일반고객(1) 및 일반가맹점(2)은 당첨여부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다음은 도 11을 참조하여, 다수의 전자상거래숍(4)과 본 통합관리센터(5)간의 데이터 흐름을 설명한다. 본 통합관리센타(5) 및 본 통합관리센타의 협력업체인 전자상거래숍(4)을 이용하기 위해서는 고객ID가 필요하다. 고객ID는 본 통합관리센타의 홈페이지 또는 본 통합관리센타(5)와 고객ID를 공유하도록 협정된 다수의 전자상거래숍(4) 홈페이지를 통하여 등록가능하다.
일례로, 본 통합관리센타의 홈 페이지(도 12참조)를 통하여 고객ID를 등록하고자 하는 경우 다음과 같다. 먼저, PC이용자가 통신망을 통하여 본 통합관리센타의 홈페이지를 방문하고, 이어서 통합관리센타의 홈페이지 메뉴(일례로, 회사소개, 고객지원센터, 공지사항, 게시판, 협력업체, 회원가입, 추첨결과확인, 쇼핑몰, 판매정보검색 등) 중 회원가입을 클릭하면, 본 통합관리센타(5)는 PC이용자의 단말기로 회원가입 화면(도 13참조)을 전송한다. 이에 따라, PC이용자가 소정의 조건을 입력하고 홈페이지 약관에 동의 할 경우 고객ID가 부여되며, 고객정보 데이터 베이스에 등재된다. 상기의 소정조건은 PC이용자의 성명, 사용하고자 하는 ID, 패스워드, 생년월일, 연령, 성별, 주민등록번호, 주소, 우편물수신처, 입금은행, 입금계좌번호, e-메일, 전화번호 등이다. 이에 따라, PC이용자는 PC고객으로 등록된다.
이후, PC고객이 부여된 ID와 패스워드를 홈페이지의 고객ID 및 패스워드 입력창에 입력할 경우 로그인(login)되며, 다수의 협력업체인 전자상거래숍(4)을 통해 상품을 구매할 수 있다. 즉, 웹 브라우져를 사용하여 본 통합관리센타의 홈페이지를 통해 전자상거래숍에 접속하거나 또는 직접 전자상거래숍에 접속하고(S61), 상품을 검색하고(S62), 상품을 선택/주문하게 되면(S63), 회원여부를 확인하는 창이 PC고객의 단말기로 전송된다. 이때, 로그인 된 상태에서는 회원여부의 확인창의 전송이 생략되며, 로그인 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회원여부를 고객ID 및 패스워드를 통해 확인한 후 주문된 상품 및 회원정보를 저장하고(S66), 대금결재 방식을 묻는 창이 PC고객의 단말기로 전송된다.
고객ID 및 패스워드를 통하여 회원여부가 인증된 경우 구매상품의 대금결재가 이루어지는데, 일례로 PC고객이 신용카드 결재방식을 선택한 경우, 신용카드 결재여부를 확인(S67)하여 신용카드 정보를 입력(S68)받으며, 금융결재원 및 인증기관(6)을 통하여 신용카드를 조회(S69)하고 신용카드 승인여부를 판단한다(S70). 또, 기타의 결재방식, 일례로 이체인 경우 결재은행을 선택(S71)하도록 하여 온라인 결재를 수행한다. 단계S64에서 회원이 아닌 경우 회원등록단계(S65)를 수행하도록 유도한다.
구입상품의 주문이 체결된 경우, 전자상거래숍(4)의 전송수단은 PC고객이 주문체결내역을 알 수 있도록 고객의 e-메일을 통해 주문내역을 전송하고(S72), PC고객의 구매정보 및 가맹회원번호를 암호화하여 전송파일을 생성(S73)한 다음 이를 실시간으로 본 통합관리센터(5)에 전송한다(S74). 이에 따라, 본 통합관리센터(5)의 정보등록수단(512)은 고객정보 데이터 베이스(516)로부터 고객여부를 확인하고 전송받은 구매정보를 구매정보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한다. 또, 본 통합관리센타의 추첨관리서버(52)는 구매정보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된 PC고객의 구매정보(상품코드, 개수, 구매금액, 구매시간, 포인트) 중 포인트가 추첨조건을 만족할 경우 자동으로 추첨번호 및 추첨가중치를 생성(S75)하여 추첨정보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한다(S76). 여기서, 포인트의 생성은 전술한 바와 같이 상품을 구매함에 따라 전자상거래숍(4)의 전송수단에 의해 자동으로 생성되어 제공되거나, 구매금액의 일정비율만큼 통합관리센타(5)에서 자동으로 생성, 제공된다.
이후, 통합관리센터의 추첨관리서버(52)는 추첨정보 데이터 베이스(518)에 저장된 추첨번호 및 추첨가중치에 근거하여 전술한 추첨속성에 따라 실시간으로 추첨처리하고 그 결과를 추첨정보 데이터 베이스(518)에 저장한다. 이와 같이, 추첨된 결과는 고객의 e-메일을 통하여 실시간으로 안내되며, PC고객이 본 통합관리센터(5)의 홈페이지를 통하여 확인할 수 있다. 즉, 로그인 된 상태에서 PC고객이 본 홈페이지의 추첨결과확인 메뉴를 클릭할 경우, 본 통합관리센터(5)는 PC고객의 단말기로 추첨결과확인 화면을 전송한다. 이 추첨결과확인 화면(도 14참조)은 PC고객(3)의 포인트, 일례로 누적포인트와 추첨포인트를 안내한다. 여기서, 누적포인트는 상품을 구매함에 따라 누적된 포인트이고, 추첨포인트는 추첨에 활용된 포인트이다. 즉, 상품구매시 일정비율의 포인트만이 추첨되도록 프로그램화되어 있다면, 그 나머지 포인트는 계속적으로 누적된다. 따라서, PC고객은 누적포인트를 이용하여 추첨을 재차 요구할 수 있다. 일례로, 누적포인트를 추첨포인트로 사용하시겠습니까? 라는 질문에 PC고객이 예를 클릭하면, 추첨포인트를 입력할 수 있도록 창(121)이 뜨고, 이 창을 통하여 누적된 포인트 한도에서 추첨포인트를 입력하면, 추첨조건에 합당한 경우 새로이 추첨번호가 생성되어 추첨이 이루어지고, 그 결과가 추첨정보 데이터 베이스(518)에 저장된다.
또, 추첨결과확인 화면(도 14참조)에는 추첨내역 및 결과가 실시간으로 제공된다. 즉, △△상품의 구매(판매)금액에 대해 2%의 포인트 제공이 설정된 상태에서 PC고객이 일만원짜리 △△상품을 1999.10.10. 11:31:20에 3개 구매하였을 경우, 구매정보 데이터 베이스(517)에는 xxx123(고객회원번호), xxx12(△△상품코드), 3(구매개수), 30000(구매금액), 1999.10.20. 12:31:20(구매시간), 600(포인트), xx345(가맹회원번호) 등이 포함된 데이터가 자동으로 생성, 저장된다. 따라서, 추첨내역 및 결과에는 1999년 10월 10일 11시대의 추첨대상자에 포함되었음을 안내하고, 이어 추첨에 들어간 경우 당첨 대상자에 포함되었는지를 안내하고, 당첨 대상자에 포함된 경우 순위별 당첨 대상자에 포함되었음을 안내한다. 이후, 11시(11시 00분 01초∼11시 59분 59초)대에 참여한 추첨포인트의 합계가 이루어지면, 그에 상응하는 당첨금액 및 당첨상품이 정해지고 순위별 당첨자에게 경품이 안내된다. 즉, 특정시간대에 구매자가 많고 집계된 추첨포인트가 많을 경우 당첨확률은 낮아지지만 당첨금액은 커지고, 구매자가 적고 집계된 추첨포인트 또한 적을 경우 당첨확률은 높아지지만 당첨금액은 낮아지게 된다.
그리고 이러한 추첨결과는 구매정보 데이터 베이스(517)에 저장된 정보에 근거하여 구매(판매)개수와 각 지역별 또는 업종(가맹점)별 거래고객의 유입량(수)를 실시간으로 집계하는 집계수단(54)의 집계결과와 함께 통신망을 통해 공개된다(S78).
일례로, 각 전자상거래숍(4)의 홈페이지 및 고객의 e-메일을 통해 공개되거나 본 통합관리센터(5)의 홈페이지를 통하여 공개되거나 또는 인터넷 방송국 및 일반 공중파 방송망을 통해서도 공개된다. 이에 따라, PC고객(3)은 자신의 구매한 상품의 판매량을 통해 인지도 및 상품정보를 얻을 수 있어 효과적인 구매활동을 영위할 수 있고, 구매에 따른 추첨결과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게 된다.
한편, 경품 지급은 반품 및 부정한 결제 등을 제외한 정상적인 구매로 확인된 경우 후술하는 본 통합관리센터(5)와 금융결재원(은행권, 인증기관 포함;6) 및 상품발송처(7)와의 데이터 흐름을 통해 제공된다.
다음은 도 15를 참조하여 본 통합관리센터(5)와 다수의 정보이용자(8)간의 데이터 흐름을 설명한다. 정보이용자(8)가 본 통합관리센타(5)의 홈페이지에 접속하여 판매정보검색 메뉴를 클릭하면, 본 통합관리센터(5)는 정보이용자(8)의 단말기에 정보이용자 인증 화면(151)을 전송한다. 정보이용자가 정보이용자 인증 화면(151)에 기 등록한 정보이용자ID 및 패스워드를 입력하고 로그인을 클릭하면, 통합관리센타의 인증수단(514)은 고객정보 데이터 베이스(516)를 검색하여 인증여부를 판정한다. 정보이용자로 인증된 경우 정보검색수단(513)과 액세스되며 정보검색수단(513)은 검색조건입력화면(152)을 정보이용자(8) 단말기로 전송한다. 여기서, 검색조건입력화면(152)은 검색조건, 일례로 검색하고자 하는 상품명 또는 코드, 검색기간, 및 필요에 따라 상세 검색을 위한 지역, 구매연령 등을 포함한다. 그리고 정보이용자가 상품명을 찾고자 하는 경우 상품명검색을 클릭하면 상품명 안내창(153)이 뜬다.
이후, 정보이용자(8)가 검색조건을 입력하고 검색시작을 클릭하게 되면, 검색조건이 본 통합관리센터(5)로 전송되어 정보검색수단(513)에 액세스된다. 이에 따라, 정보검색수단(513)은 구매정보 데이터 베이스(517)를 검색하여 그 검색결과를 정보이용자의 단말기로 전송한다. 이때, 정보이용자가 전송한 검색식은 이용정보 데이터 베이스(519)에 저장되며 과금정보 데이터 베이스(520)에 과금정보가 등록된다. 따라서, 요금정산시 과금정보 관리수단(515)은 과금정보 데이터 베이스(520)에 저장된 고객ID의 검색하여 액세스 회수 및 검색시간 등을 통해 소정의 과금조건에 따라 과금하고 이를 정보이용자의 e-메일을 통해 정보이용료를 청구하게 된다.
한편, 정보이용자(8) 단말기에 송신된 검색결과 화면(154)은 입력된 검색조건에 따라 상품명, 검색기간 구매연령대 등의 정보를 제공하며, 그래프 보기를 클릭할 경우 구매연령에 따른 판매량을 도시한 그래프 창(155)이 뜬다. 이에 따라, 해당기업은 자사의 경쟁상품 및 고객의 쇼핑취향을 신속하게 파악할 수 있어 제품 개발시 고객의 쇼핑취향을 제품에 반영할 수 있게 된다.
다음은 통합관리센타(5)와 금융결재원(은행권포함 및 인증기관;6), 상품발송처(7)간의 작용효과를 설명한다.
추첨에 따른 경품지급에 있어, 반품 및 부정한 결제 등을 제외한 정상적인 구매로 확인된 경우 통합관리센터(5)와 금융결재원(은행권, 인증기관 포함;6) 및 상품발송처(7)를 통해 경품이 제공된다. 즉, 통합관리센타(5)에서는 금융결재원(은행권 포함 및 인증기관 포함;6)을 통하여 당첨금을 고객(또는 가맹점)의 계좌로 이체시키고, 상품발송처(7)를 통하여 경품을 고객(또는 가맹점) 주소로 발송(등기,우편,택배)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통합관리센타(5)에서 고객(또는 가맹점)계좌번호 및 이체금액, 그리고 암호를 포함시켜 전송파일을 생성하고, 이를 금융결재원(6)에 전송한다. 이에 따라, 금융결재원(6)은 전송파일을 열어 고객(또는 가맹점)의 계좌로 전송된 금액을 이체시킨다. 또, 통합관리센타(5)에서 고객(또는 가맹점)주소 및 경품명을 포함시켜 전송파일을 생성하고, 이를 상품발송처(6)로 전송하는 한편 상품발송에 따른 상품발송처(6)의 계좌번호 및 이체금액, 그리고 암호를 포함시켜 전송파일을 생성하고, 이를 금융결재원(6)에 전송한다. 이에 따라, 상품발송처(7;백화점,여행사,항공사,택배회사)는 온라인 결재여부를 확인한 후 해당 상품을 고객(또는 가맹점)의 주소로 발송한다.
그리고 전술한 일반가맹점1-N(2)과 통합관리센터(5)간의 작용과 전자상거래숍1-N(4)과 통합관리센터(5)간의 작용은 통합관리센타(5)에서 동시에 취합되어 이루지는 것으로, 편의상 분리하여 설명하였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고객의 구매정보를 취합하여 상품별 판매량과 지역별 또는 업종(가맹점)별 거래고객의 유입량(수)을 ARS집계를 통하여 실시간으로 표시함으로써, 고객 자신이 선택(또는 구매)한 제품의 선호도(인지도) 및 그에 따른 정보를 추가로 얻을 수 있다. 이에 따라, 다양한 상품만큼이나 대량의 정보가 제공되는 현대사회에서 고객이 상품에 대한 구매 의사결정을 보다 빠르게 내릴 수 있고, 원하는 상품들을 쉽게 비교하여 상품을 구매할 수 있다는 매우 유용한 효과가 있다.
또, 판매량을 토대로 고객들의 쇼핑성향을 분석할 수 있는 데이터를 생성함으로써, 해당 기업이 고객의 쇼핑취향을 신속하게 파악할 수 있음은 물론이고 제품 개발시 고객의 쇼핑취향을 반영함으로써, 기획에서부터 제품의 생산 및 판매까지의 시간을 대폭적으로 단축시켜 시장의 선점 및 경쟁우위를 확보하는데 크게 기여한다는 뛰어난 효과가 있다.
또한, 제품 구입(판매)시마다 고객(가맹점)들에게 추첨권한을 부여하여 실시간 또는 일정주기마다 사이버 공간인 인터넷상에서 추첨하고 그 결과를 원스톱 처리함으로써, 구매가 일회성에 그치지 않고 계속적으로 순환되어 유통산업을 촉진시킬 뿐만 아니라, 유통구조의 단축에 따른 이익을 추첨방식을 빌어 사회에 재 환원시킴으로써 미래 지향적이고 가치경영에 일조(一助)하는 뛰어난 효과가 있다.

Claims (12)

  1. 전자상거래 시스템에 있어서,
    회원여부가 인증된 고객이 상품을 구매한 경우 구매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전송수단들과;
    전송된 구매정보들을 수집하여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하고 이를 관리하기 위한 데이터 베이스 관리수단과,
    상기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된 구매정보에 근거하여 추첨하기 위한 추첨관리서버와,
    추첨결과에 따른 경품을 지급하기 위한 지급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상거래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수단들은 회원카드를 소지한 일반고객이 상품을 구매한 경우 회원식별정보 및 상기 상품을 판매한 가맹점의 가맹회원식별정보를 포함하는 구매정보를 전송할 수 있도록 전송파일을 생성하며 상기 가맹점에 설치된 전송수단과, 회원여부가 인증된 PC고객이 상품을 구매한 경우 회원식별정보 및 상기 상품을 판매한 전자상거래숍의 가맹회원식별정보를 포함하는 구매정보를 전송할 수 있도록 전송파일을 생성하며 상기 전자상거래숍의 서버상에 설치된 전송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상거래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베이스 관리수단은 고객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고객정보 데이터 베이스와, 상품구매에 따른 회원식별정보 및 구입상품코드, 구입개수, 구입금액, 구입시간, 구입금액에 따른 포인트, 상품을 구매한 가맹회원식별정보 등을 포함하는 구매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구매정보 데이터 베이스와, 상기 포인트가 추첨조건에 합당할 경우 상기 추첨관리서버에 의해 생성된 추첨번호와 상기 추첨관리서버에 의해 추첨된 결과를 저장하기 위한 추첨정보 데이터 베이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상거래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추첨관리서버의 추첨속성은, 상품을 구매한 고객회원의 회원식별정보 및 상기 상품을 판매한 가맹점의 가맹회원식별정보로 상품구매(판매)에 따른 포인트가 적립된 경우 상기 포인트가 추첨조건을 만족할 때마다 추첨기회를 일회씩 더 부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상거래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추첨관리서버의 추첨속성은, 상품을 구매한 고객회원의 회원식별정보 및 상기 상품을 판매한 가맹점의 가맹회원식별정보로 상품구매(판매)에 따른 포인트가 적립된 경우 적립된 포인트의 일정비율을 추첨에 사용하고 그 나머지 포인트는 적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상거래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추첨관리서버의 추첨속성은 상기 적립된 포인트를 고객회원이 추첨을 요구할 경우 상기 누적된 포인트가 추첨조건에 합당하면 추첨번호를 생성시켜 추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상거래 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추첨관리서버의 추첨속성은 상품을 구매한 고객회원의 회원식별정보 및 상기 상품을 판매한 가맹점의 가맹회원식별정보로 상품구매(판매)에 따른 포인트가 적립된 경우 실시간 및 매시간, 3일, 일주일, 한달, 3개월, 6개월, 9개월, 12개월에 각각 추첨할 수 있도록 적립된 포인트를 1/n로 나누어 추첨기회를 부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상거래 시스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급수단은 상기 추첨관리서버의 추첨결과를 처리할 수 있도록 추첨결과에 따른 상금을 당첨 고객회원의 계좌로 이체시킬 수 있도록 통신망을 통하여 접속된 인증기관 및 금융결재원과, 추첨결과에 따른 경품을 당첨 고객의 거주지로 발송할 수 있도록 통신망을 통해 접속된 상품발송처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상거래 시스템.
  9. 전자상거래 시스템에 있어서,
    회원여부가 인증된 고객이 상품을 구매한 경우 구매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전송수단들과,
    전송된 구매정보들을 수집하여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하고 저장된 상기 데이터를 특정 조건에 따라 검색하고자 할 경우 이를 관리하기 위한 데이터 베이스 관리수단과,
    상기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된 정보 검색을 요구할 경우 정보이용자의 인증여부를 수행하는 인증수단과,
    상기 정보이용자가 인증된 경우 상기 정보이용자에 의해 입력된 특정 조건에 따라 상기 데이터 베이스를 검색하는 정보검색수단과,
    상기 특정 조건에 따라 정보를 검색한 상기 정보이용자에게 정보이용료를 과금하기 위한 과금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상거래 시스템.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수단들은 회원카드를 소지한 일반고객이 상품을 구매한 경우 회원식별정보 및 상기 상품을 판매한 가맹점의 가맹회원식별정보를 포함하는 구매정보를 전송할 수 있도록 전송파일을 생성하며 상기 가맹점에 설치된 전송수단과, 회원여부가 인증된 PC고객이 상품을 구매한 경우 회원식별정보 및 상기 상품을 판매한 전자상거래숍의 가맹회원식별정보를 포함하는 구매정보를 전송할 수 있도록 전송파일을 생성하며 상기 전자상거래숍의 서버상에 설치된 전송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상거래 시스템.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베이스 관리수단은 상기 고객 및 정보이용자의 인증을 위해 고객정보가 저장된 고객정보 데이터 베이스와, 회원여부가 인증된 고객들이 상품을 구매한 경우 구매정보를 취합하여 저장하는 구매정보 데이터 베이스와, 상기 정보이용자가 특정 조건을 입력하여 구매정보를 검색할 경우 이용정보를 저장하는 이용정보 데이터 베이스와, 정보이용에 따른 과금내역을 저장하는 과금정보 데이터 베이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상거래 시스템.
  12. 제9항에 있어서, 정보검색수단은 상기 정보이용자가 인증된 경우 상기 데이터 베이스의 검색을 위한 특정 조건식을 입력할 수 있도록 상기 정보이용자의 단말기에 검색조건 입력화면을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상거래 시스템.
KR10-2000-0011207A 1999-10-19 2000-03-07 전자상거래 시스템 KR1003755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11207A KR100375556B1 (ko) 1999-10-19 2000-03-07 전자상거래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45273A KR20000012239A (ko) 1999-10-19 1999-10-19 전자상거래 시스템
KR1019990045273 1999-10-19
KR10-2000-0011207A KR100375556B1 (ko) 1999-10-19 2000-03-07 전자상거래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58283A true KR20000058283A (ko) 2000-10-05
KR100375556B1 KR100375556B1 (ko) 2003-03-10

Family

ID=266362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11207A KR100375556B1 (ko) 1999-10-19 2000-03-07 전자상거래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75556B1 (ko)

Cited B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25660A (ko) * 2001-01-15 2001-04-06 허재영 전자 상거래에서 소비자에 대한 환급방법 및 이를 위한환급시스템
KR20010025162A (ko) * 2000-06-03 2001-04-06 방건호 인터넷을 이용한 보상 마케팅 방법
KR20010104396A (ko) * 2001-09-12 2001-11-26 이창대 상품 구매 즉시 할인율 당첨을 알려주는 전자 상거래 방법및 장치
KR20020066594A (ko) * 2001-02-12 2002-08-21 주식회사 인넷컴 경품 서비스 시스템 및 이 시스템의 운영 방법
WO2002077897A1 (en) * 2001-03-13 2002-10-03 Minsoo Kang Digital map ranking system
KR20020076384A (ko) * 2001-03-28 2002-10-11 방연규 온라인 쇼핑몰에서의 결제와 동시에 복권을 발행하는 전자결제 방법
KR20030046242A (ko) * 2001-12-05 2003-06-12 김수용 판매상품에 대한 구매만족도 조사 제공 시스템 및구매정보를 이용한 선 구매자 어드밴티지 적용 추첨식환불 시스템
KR20030074015A (ko) * 2002-03-15 2003-09-19 주식회사 에어크로스 상품식별번호를 이용한 상품구매정보관리방법 및 그 시스템
KR100484437B1 (ko) * 2002-01-18 2005-04-20 (주)지아이스페이스 복권번호의 분할 부여 및 그 처리가 가능한 온라인 복권발매 시스템 및 그 처리방법
KR100552621B1 (ko) * 2002-12-12 2006-02-20 주식회사 윤익씨엔씨 네트워크망을 통한 자동 디브이디 타이틀 대여시스템
KR100627817B1 (ko) * 2004-04-16 2006-09-25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이동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판매 관리 방법 및 시스템
KR100787058B1 (ko) * 2007-03-20 2007-12-21 허민 추첨식 온라인 쇼핑몰 운영 방법 및 시스템
KR100826110B1 (ko) * 2006-01-27 2008-04-29 한국정보통신주식회사 고객 구매성향 정보 생성 시스템
US8214260B2 (en) 2007-03-20 2012-07-03 Min Hur On-line sales method and system
CN116433316A (zh) * 2022-11-30 2023-07-14 江苏源直达物联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互联共建及赋能商家的电商系统

Cited B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25162A (ko) * 2000-06-03 2001-04-06 방건호 인터넷을 이용한 보상 마케팅 방법
KR20010025660A (ko) * 2001-01-15 2001-04-06 허재영 전자 상거래에서 소비자에 대한 환급방법 및 이를 위한환급시스템
KR20020066594A (ko) * 2001-02-12 2002-08-21 주식회사 인넷컴 경품 서비스 시스템 및 이 시스템의 운영 방법
WO2002077897A1 (en) * 2001-03-13 2002-10-03 Minsoo Kang Digital map ranking system
KR20020076384A (ko) * 2001-03-28 2002-10-11 방연규 온라인 쇼핑몰에서의 결제와 동시에 복권을 발행하는 전자결제 방법
KR20010104396A (ko) * 2001-09-12 2001-11-26 이창대 상품 구매 즉시 할인율 당첨을 알려주는 전자 상거래 방법및 장치
KR20030046242A (ko) * 2001-12-05 2003-06-12 김수용 판매상품에 대한 구매만족도 조사 제공 시스템 및구매정보를 이용한 선 구매자 어드밴티지 적용 추첨식환불 시스템
KR100484437B1 (ko) * 2002-01-18 2005-04-20 (주)지아이스페이스 복권번호의 분할 부여 및 그 처리가 가능한 온라인 복권발매 시스템 및 그 처리방법
KR20030074015A (ko) * 2002-03-15 2003-09-19 주식회사 에어크로스 상품식별번호를 이용한 상품구매정보관리방법 및 그 시스템
KR100552621B1 (ko) * 2002-12-12 2006-02-20 주식회사 윤익씨엔씨 네트워크망을 통한 자동 디브이디 타이틀 대여시스템
KR100627817B1 (ko) * 2004-04-16 2006-09-25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이동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판매 관리 방법 및 시스템
KR100826110B1 (ko) * 2006-01-27 2008-04-29 한국정보통신주식회사 고객 구매성향 정보 생성 시스템
KR100787058B1 (ko) * 2007-03-20 2007-12-21 허민 추첨식 온라인 쇼핑몰 운영 방법 및 시스템
US8214260B2 (en) 2007-03-20 2012-07-03 Min Hur On-line sales method and system
CN116433316A (zh) * 2022-11-30 2023-07-14 江苏源直达物联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互联共建及赋能商家的电商系统
CN116433316B (zh) * 2022-11-30 2024-02-23 万咏仪 一种基于互联共建及赋能商家的电商系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375556B1 (ko) 2003-03-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996292B2 (en) Method and system for reserving future purchases of goods and services
US7865424B2 (en) Method and system for reserving future purchases of goods and services
US20080306790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generating and transmitting an order initiation offer to a wireless communications device
KR100375556B1 (ko) 전자상거래 시스템
CN101464983A (zh) 一种电子商务应用方法及其系统
US20080313122A1 (en) Method and system for generating an offer and transmitting the offer to a wireless communications device
KR20200118836A (ko) 인증된 샤리아 법 준수 복권, 스포츠 베팅 및 게이밍을 위한 시스템 및 방법
KR100361324B1 (ko) 추첨식 쇼핑몰 운영 시스템 및 그 방법
TWI407378B (zh) 用於管理抽獎類型之線上商場的方法與系統
KR20000012239A (ko) 전자상거래 시스템
JP2006313393A (ja) ネットシステムまたは値引き交渉システム
CN111861354A (zh) 一种新型的社团互助式共享福利的商业系统及方法
JP4970866B2 (ja) ネットシステム
JP2002222353A (ja) 分割化ポイントサービスシステム
KR20000037444A (ko) 인터넷상에서 회원의 직접 추첨에 의해 물품대금 전액을되돌려주는 확률의 실시간 고지를 이용한 물품판매 시스템
KR20000059231A (ko) 환급 당첨으로 무료쇼핑 기회를 제공하는 쇼핑시스템과 그운영방법
JP2012141997A (ja) ネットシステム
JP2006139653A (ja) ネットワークを用いた抽選システム
JP5252321B2 (ja) ネットシステム
US20230325863A1 (en) Incorporating digital tokens into multi-wave user structures
KR20020075134A (ko) 공동구매 방법 및 장치
JP7349006B1 (ja) 情報処理装置及び情報処理方法
JP2002140601A (ja) 割引販売システムおよび割引販売方法
KR100369621B1 (ko) 컴퓨터 통신망을 이용한 쌍방향 경매방법 및 장치
WO2017188777A1 (ko) 스타 추종 상품판매 시스템 및 그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J206 Request for trial to confirm the scope of a patent righ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AFFIRMATIVE REQUESTED 20051115

Effective date: 2006103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