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57626A - 트랜스더멀 치료 시스템 - Google Patents

트랜스더멀 치료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57626A
KR20000057626A KR1019990705421A KR19997005421A KR20000057626A KR 20000057626 A KR20000057626 A KR 20000057626A KR 1019990705421 A KR1019990705421 A KR 1019990705421A KR 19997005421 A KR19997005421 A KR 19997005421A KR 20000057626 A KR20000057626 A KR 2000005762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ts
skin
contour
appearance
poi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7054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56753B1 (ko
Inventor
슈테판 브락트
Original Assignee
베어 프랑크, 베슬링 베르너
에르테에스 로만 테라피-시스테메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베어 프랑크, 베슬링 베르너, 에르테에스 로만 테라피-시스테메 게엠베하 filed Critical 베어 프랑크, 베슬링 베르너
Publication of KR200000576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576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567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56753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02Adhesive bandages or dressin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70Web, sheet or filament bases ; Films; Fibres of the matrix type containing drug
    • A61K9/7023Transdermal patches and similar drug-containing composite devices, e.g. cataplasms
    • A61K9/703Transdermal patches and similar drug-containing composite devices, e.g. cataplasms characterised by shape or structure; Details concerning release liner or backing; Refillable patches; User-activated patch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5/00Devices for applying media, e.g. remedies, on the human body
    • A61M35/003Portable hand-held applicators having means for dispensing or spreading integral media
    • A61M35/006Portable hand-held applicators having means for dispensing or spreading integral media using sponges, foams, absorbent pads or swabs as spreading mea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esthesi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Hemat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 Corsets Or Brassier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바깥 가장자리가 외형에 의해 한정되고, 피부에 비교적 영구적으로 접착하는 층을 가지며, 활성 화합물을 피부를 통해 또는 피부로 방출하기 위한 트랜스더멀 치료 시스템(TTS)에 있어서, TTS 표면에 대하여 오목부가 2개 이상 TTS 외형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랜스더멀 치료 시스템(TTS)을 제공한다.

Description

트랜스더멀 치료 시스템{Contour of a transdermal therapeutic system}
TTS의 개발에 있어서의 기술 과제는 7일 이상 24시간 동안 사용할 경우에 외형이 피부와 시일링 결합되는 것을 보증하는 것이다. 이와 관련하여 시일링 결합은 TTS의 바깥 가장자리와 피부가 분리되는 것이 충분히 방지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비교적 장기간 TTS와 피부의 접착결합상태를 보증하기 위해서는, 한편으로는 피부측에 접착층을 최적화하는 것이 필요하다. TTS의 구조에 따라, 상기 접착층은 활성 화합물 함유층일 수 있고, 또한 활성 화합물의 피부 침투를 촉진시키는 약제학적 보조제를 함유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접착층의 접착성은 함유된 활성 화합물 및 보조제의 성질 및 양에 의해 다소 영향을 받는다. 한편, 내구성에 대한 부가 효과는 TTS의 사이즈 및 인체의 투약 위치에 기인한다. 적어도 부분적으로 피부로부터 분리시킬 수 있는 TTS에 작용하는 기계적 힘(예: 인장력, 압축력 및 전단력)은 실제로 상기 2개의 파라미터로 인한 것이다.
최적 접착성을 확증하는 것은 임의로 활성 화합물을 함유하는 접착층으로 된 제형화제에 대한 목적이며, TTS의 내부 및 외부 구조에 크게 의존한다. 이와 관련된 변화 특성으로 인해, 대개 성공적인 제형화제의 보편화는 불가능하다. 따라서, 각 신규 TTS에 대해서는, 일반적으로 접착 특성의 최적화에 따른 노력이 다소 요구된다.
그러나, 피부에 대한 TTS의 장기간 외형 시일링 도포 상태는 이의 외형 변화과정 측면에서 TTS 외형에 의해 상당히 영향을 받으며, 이의 디자인 변화에 따라 피부에 사용한 때에 TTS의 바깥 가장자리가 분리되는 것을 기계적으로 방지할 수 있으므로, 유리하게도 이를 지연시킬 수 있다.
종래기술에 의하면, TTS의 외형 고착은 하기 기준에 따른다.
1. 최종 형태의 TTS의 제조방법은 통상적으로 얇은 층 스트립형 재료로부터 분리하여 행해진다. 예를 들면 플랫 펀칭 공구를 사용하여 규칙적인 간격으로 펀칭하거나 원통형 절삭 공구를 사용하여 연속 절단하는 문제가 있을 수 있다. 이 경우에는, TTS의 외형 제조방법은 바람직하게는 펀칭 또는 절단시에 가능한한 폐기량이 적게 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 방법은 특히 활성 화합물 함유 폐기물인 경우에 적용한다. 일반적으로, 출발물질이 다층 복합 구조를 갖고 있기 때문에, 폐기물의 재이용은 종종 불가능하거나 불리하다. 그리하여, 폐기물 감소는 TTS 제조시에 외형 제작 기준 중에서 큰 역할을 담당한다.
2. 피부에 접착되는 TTS의 감소된 분리 작용면에서, < 90。인 예각은 외형에서 피한다. 이러한 팁은 특히 피부와 분리하기 위한 노출지점이므로 피한다. 직각을 이룬 모서리를 둥글게 하며, 이는 실제로 모서리 분리를 줄이기 위한 적절한 방법인 것으로 판명되었고, 일반적으로 적용된다.
3. TTS 외형은 혐오감을 주지 않고 환자의 피부에 접착되도록 제작되어야 한다. 따라서, 사용이 간단하고 제거하기가 용이해야 한다. 단순한 기하학적 외형이 적합한 것으로 판명되었다. 종래에는 원형, 타원형, 직사각형, 정사각형 또는 기타 다각형의 형상으로 한정된 TTS 외형이 얻어졌다. 도 1은 전형적으로 선택되는 통상적인 형상을 도시한다.
미국 특허 제4,666,441호에는 외형이 오목부를 포함하는 TTS가 기재되어 있다. 이 공보에 인용된 것은 "에스트라콤비(Estracombi)"(Ciba 사제) 제품이다. 그러나, 기술용어 이외의 용어로서 "글래스 패치"로 불리우는 이 시스템의 형상은 피부와의 외형 시일링 결합을 향상시킨 본 발명과는 관계가 없다. 이와 반대로, 그 구조는 내장된 액체 저장기의 챔버링에 사용된다. TTS 외형의 전체 길이 중 오목부 외형부분의 비율은 10 퍼센트 미만이다.
TTS 그룹 이외에, 다른 피부 접착성 시스템은 몇몇 경우에 외형이 오목부를 포함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TTS와 대비하여, 실질적으로 하기와 같은 훨씬 더 가요성을 지닌 플라스터 또는 플라스터형 엘리먼트가 있다.
- 눈에 사용되는 상처용 플라스터 (예: 미국 특허 제4,709,695호).
- 눈 아래 부위에 사용하는 자외선 보호 플라스터 (예: 미국 특허 제4,719,909호).
- 눈 아래 부위의 피부 상태에 미용상 영향을 주는 피부 접착성 히드로겔 (예: 독일 특허 제44 46 380호).
- 엄지 발가락의 발톱 성장을 방지하는 플라스터 (예: 독일 특허 제38 23 889호).
- 비익(nasal wing)을 펼쳐서 코에 의한 호흡을 향상시키기 위한 플라스터 (예: Breath WrightTMin the USA).
이는 이들 중, 오목한 외형 코스가 도포 위치의 각 해부학적 구조상태에 의해 사전에 구체적으로 나타낸 이러한 모든 비교적 가요성을 지닌 피부 접착성 재료에 대하여 일반적이다. 이렇게 하여 형상화는 인체의 해부학적 구조에 맞춰진다.
본 발명은 바깥 가장자리가 외형(contour)에 의해 한정되고, 피부에 비교적 영구적으로 접착하는 층을 가지며, 활성 화합물을 피부를 통해 또는 피부로 방출하는 트랜스더멀 치료 시스템(TTS)에 관한 것이다. 하기에서, TTS는 일부면 또는 전체면에 접착되는 트랜스더멀 치료 시스템을 나타내는 것으로 간주된다.
도 1은 전형적으로 선택되는 통상적인 TTS 외형을 도시하고,
도 2는 TTS의 접착상태에 대한 전단력 작용에 관한 볼록부(a) 및 오목부(b)의 프로세스를 도시하며,
도 3은 TTS의 접착상태에 대한 전단력 작용에 관한 반원형 클리프(a) 및 반원형 베이(b)의 프로세스를 도시하고,
도 4는 웨이브로 이루어지거나 단순한 커브된 볼록한 외형에 대한 분리 프로세스를 도식적으로 도시하며,
도 5는 과장된 형태로 도시된 TTS 표면의 클리프형 신장부를 도시하고,
도 6은 본 발명의 신규한 외형 및 이의 바람직한 형상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피부와 TTS의 외형 시일링 결합을 향상시키고 연장시키는데 상당히 기여하도록 디자인된 TTS의 외형을 실현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은 2개 이상의 오목부가 외형에 존재한다는 점에서 본 발명의 청구항 1항의 공지부에 기재된 형태의 TTS로 달성된다. 종속항의 특징에 해당하는 유리한 다른 실시형태가 제시되어 있다.
의외로, 약 20년간 TTS를 개발하여 세계 시장에 다수의 제품을 선보인데도 불구하고, 이전에는 이러한 해결방안은 뒤따르지 않았다. 지금까지, TTS의 개발은 주요 초점으로서 활성 화합물 방출의 최적화 및 피부 접착성 제형화제의 접착 특성을 포함한다. 이전에는 외형 효과, 특히 장기간에 걸친 내구성에 대하여 거의 고려되지 않았다.
피부 부위와 자기 접착성 TTS 사이에 작용하는 기계적 힘은 주로 전단력이다. TTS 아래에 있는 피부는 각 경우에 가장 가까운 관절을 펴거나 구부림으로써 다소간 펴지거나 수축된다. 인체의 거의 전체 도포 부위에 존재하는 밑에 있는 골격근조직의 불규칙한 수축 및 이완작용도 마찬가지로 이러한 피부 부위의 펴짐이나 압박을 유도한다. 접착된 피부에 의해 전달되는 전단력 이외에도, 의복을 그 위에 착용한 경우에는 TTS에 대하여 추가의 전단력 및 박리력이 작용한다. 이러한 힘은 TTS의 외층 조성 및 커버하는 직물에 고도로 의존한다. 상기 박리력은 특히 TTS의 가장자리 중 작은 부분이 이미 피부에서 벗겨진 경우에 피부로부터 TTS를 분리하는데 큰 작용을 한다. 대개 점착성을 지닌 도드라진 부분은 직물과 함께 용이하게 떨어지므로, 전체 TTS의 박리가 가속화되기 시작한다. 환자가 자고 있을 때에는 TTS와 직물과의 상호작용에 대한 중요한 특수 경우가 발생된다. 거의 상술한 통상적인 도포 위치에서는, 수면 중인 환자가 TTS 자체에 압력을 가할 수 있다. 인체가 움직일 경우에는, 이는 넓은 부위에 걸쳐 상당한 전단력 또는 박리력을 TTS에 전달할 수 있다.
TTS의 접착상태에 대한 전단력 작용은 하기 모델로 단순화 형태로 나타낸다. 피부에 TTS가 도포된 부위에 가상 접착점 또는 점착점을 나타낸다. 홀딩점으로서 후술되는 이들 위치는 피부 표면과 TTS 사이의 실제 분자상호작용과 동등한 것이다. 명확히 나타내기 위해, 표면에 대해 규칙적으로 분포되어 배열되어 있으나(도 2a 및 도 2b), 실제 분포는 확률적인 것으로 추정된다. 홀딩점에 관해서는, 각 홀딩점이 직접적인 기계적 상호작용으로 바로 인접하는 홀딩점과 상호작용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종래의 TTS는 인체 피부보다 상당히 탄성이 낮다. 다수의 경우에, TTS는 피부와 비교하여 거의 비탄성인 것으로 간주될 수 있다. 따라서, 모델에 있어서, 접착된 TTS의 비교적 단단한 층에 대하여 상대운동을 행하는 피부 표면의 작용력은 전단 효과로서 나타내어진다. 이러한 상대운동은 전체 접착면에 관련되지 않아도 되지만, 대형 TTS의 경우에는 그 부분에 한정될 수 있다. 실재와 가까운 전단력 모델에 있어서, TTS로부터 분리되는 피부에 대한 상술한 사항은 피부에서 분리되는 TTS에 대하여 이해하기 쉬우나 부적당한 착상과 비교하여 타당하다.
모델은 볼록 및 오목 외형부(도 2a 및 도 2b)에 대한 프로세스를 고려하여 이용된다. 볼록 외형에 형성된 TTS 표면의 돌출부는 클리프로서 나타내고, 최초 홀딩점은 클리프점(Ⅰ)으로서 나타낸다(도 2a). 그러나, 오목 외형에 있어서, 베이가 나타나고 이 베이 뒤에서 가장 멀리 떨어진 홀딩점은 베이점(Ⅱ)으로서 나타낸다(도 2b).
작용하는 전단력은 접착된 피부(1) 평면에 놓여있는 벡터(2)로 나타낸다. 단순화한 형태에 있어서, TTS 표면(3)에서 떨어지거나(개방된 화살단), 그렇지 않으면 이를 향한다(폐쇄된 화살촉). 이러한 전단력의 작용하에, 홀딩점 상호간의 기계적 상호작용이 일어난다. 마찬가지로 이러한 전단력은 벡터(4)로 나타내고, 그 방향은 작용하는 전단력의 방향에 따르므로, 도면에서 해당하는 화살촉 표시를 갖는다. 도 2a의 클리프점(Ⅰ)은 다만 3개의 인접 홀딩점(B, C, D)과 상호작용하는데 반해, 도 2b의 베이점(Ⅱ)은 인접하는 홀딩점 중 5개와 상호작용한다. 그러나, 도 2a의 표면에 대한 바깥 가장자리에 위치하는 다른 홀딩점(B, D)과 도 2b의 C, D에 대한 상호작용 가능성 수는 베이 및 클리프에 있어서 동일하다.
클리프점(Ⅰ) 및 베이점(Ⅱ)에서의 상이한 조건은 동일한 전단하에서는 베이점(Ⅱ)과 비교하면 클리프점(Ⅰ)에서의 피부표면(1)에 대하여 바람직한 테어링이 일어난다. 이는 클리프점(Ⅰ)에서의 피부표면(1) 홀딩은 베이점(Ⅱ)에서 보다 인접하는 홀딩점이 더 적기 때문이다.
TTS의 오목한 베이형 외형부에는 단 하나의 베이점(Ⅱ), 또는 반대 경우의 볼록한 클리프형 외형부에는 단 하나의 클리점이 존재한다면, 이러한 결과로부터 얻어진 이점은 무시해도 된다. 그러나, 접착된 피부표면(1)에서의 전단력의 벡터장 방향에 따라, 실제로 매우 많으나 한정되어 있는 점들이 커브된 외형부에 존재한다. 도 3a 및 도 3b에 있어서, 이것은 반원형 클리프 또는 반원형 베이 상에 도시된다. 도 2a, 2b에 의하면, 전단력(3)의 방향에 따라, 클리프점 또는 베이점은 TTS(2)의 바깥 가장자리에 나타난다. 이러한 특정 홀딩점(6)은 도 3a 및 도 3b에서 둘러싸여 있다. 이들 위치는 원호의 중심(M)을 통해 배치되는 전단력 벡터(7)와 TTS 외형(11)의 교차점 가까이에 단순화된 상태로 나타나 있다. 이러한 교차점을 통한 원호(11)에 대한 접선에 의해, 다수의 컷아웃은 도 2a 및 도 2b에 도시된 것과 유사한 것으로 간주될 수 있다. 커브된 TTS 외형 내의 가능한 다수의 베이점 및 클리프점으로부터, 볼록한 외형과 비교하여 오목한 외형이 유리한 것으로 명백히 인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외형의 또 다른 이점은 피부(1)로부터의 TTS의 분리에 대한 전단력 효과에 관한 것이다.
TTS와 피부의 외형 시일링 결합상태가 존재하는 한, 박리력은 거의 작용할 수 없다. 그러나, 분리된 자리가 존재하면, 특히 직물과의 마찰접촉에 있어서는 박리에 의해 분리가 빠르게 진행될 수 있다. 분리된 층의 점착성은 접착하는 피부표면 성분이나, 피부에 대한 분리부분의 새로운 영구적인 접착이 불가능한 직물 섬유를 혼입함으로써 매우 크게 감소된다. 접착되어 있는 동안에 TTS가 부분적으로 분리된 것은 대개 다시 접착할 수 없으므로, 예방책이 특히 중요하다. 도 4에는 웨이브로 이루어지거나 단순한 커브된 볼록한 외형에 대한 분리 프로세스가 도식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각각의 경우에 부분(14)이 분리된 피부에 접착하는 TTS 표면부(12)가 도시되어 있다. 분리된 부분(14)은 TTS 내부를 향해 180。 각도로 뒤로 젖힌 상단부를 갖는 단순화된 형태로 도시되어 있다. 분리작용을 하는 박리력은 TTS 내부로 향한 벡터장에 일치한다. 예를 들면, 이는 분리된 TTS 표면부(14)에 접착하고 180。 박리각도에서 상당한 분리작용을 행하는 대개 피부에 편평하게 놓이는 직물 층의 작용에 가깝다. 이미 분리된 TTS 바깥 가장자리가 여전히 피부에 접착하는 TTS 바깥 가장자리와 만나는 점(P)은 이론상으로 특히 중요하다. 웨이브를 이루는 외형인 경우에는, 도 4에 도시된 상태에 있는 한, 단순한 볼록한 컷의 경우에서와 같이, 처음에는 분리가 크게 진행된다. 점(P)에서, 분리된 외형은 여전히 접착하는 외형과 동일한 평면 공간 방향을 갖는다. 이는 이에 상응하는 방향 벡터(15, 16)으로 나타낸다. 수학적 곡선도표 평가에서, 외형은 경사도가 0이다.
형성된 텅(tongue)에 대한 180。 박리각도에서, 견인력은 도 3a 및 도 3b에서 단면으로 도시된 TTS의 홀딩점 부위의 점(P)을 통해 웨이브를 이룬 외형에 작용한다. 피부에 여전히 접착하는 TTS의 다음 톱니형상부가 분리작용을 반대하는 홀딩점을 상당히 갖고 있음은 명백하다. 그러나, 단순한 볼록 외형인 경우에는, 이러한 상태는 어느 때라도 일어나지 않는다. 점(P)에서, 분리된 바깥 가장자리와 여전히 접착된 바깥 가장자리의 방향은 결코 공통 직선상에 놓여지지 않는다. 언제든지, 점(P)은 클리프점이므로, 상술한 설명에 따라 분리가 여전히 원활히 진행된다.
웨이브를 이룬 외형의 또 하나의 이점은 커브된 도포면에 TTS를 양호하게 맞춘다는데 있으며, 특히 큰 면적의 TTS에 관한 것이다. 커브된 도포면은 공간에서 적어도 한 방향으로 구부려지는 표면을 의미하는 것으로 간주된다. 공간에서 한 방향으로만 커브된 표면(예를 들면, 원통형 표면)은 편평한 시트재 중에서 펀칭된 TTS를 사용하여 접히지 않게 커버될 수 있다. 그러나, 공간에서 여러 방향으로 커브된 표면(예: 반구면)에 있어서는 이것이 적용되지 않는다. 반구체의 표면적이 이의 반경의 제 3 력에 따라 증가되는데 반해, 원형 TTS 부위는 반경의 제 2 력에 따라서만 증가된다. 편평한 면으로 형성된 TTS로 반구면을 접히지 않게 커버할 수 없음은 이때문이다. 이 문제는 인체의 특정 피부 부위의 접착에 전가될 수 있다. 그리하여, 예를 들면 어깨, 가슴, 복부 및 둔부 부위는 대략 반구면으로서 고려될 수 있고, 큰 TTS는 쉽게 접혀진다. 그러나, 이렇게 접혀진 결과, 피부에 대한 접촉면이 줄어들어, TTS로부터의 시간당 활성 화합물 방출량은 바람직하지 않게 감소된다. 또한, 접착 마찰 및 슬라이딩 마찰에 의해 피부로부터의 TTS의 분리가 몇 배로 가속화된다.
원칙적으로, 상기 문제는 TTS 제조시에 탄성 또는 플라스틱 재료를 사용하여 경감될 수 있다. 이러한 재료는 모두 편평한 표면과 비교하여, 반경에 비례하기보다는 탄성 또는 플라스틱 신장에 비례하는 구면을 형성할 수 있다. 그러나, 플라스틱 및 탄성 신장은 두께 감소와 동시에 원래의 부위가 증가된다. 이는 피부에 대한 방출면 증가 및 TTS의 층두께 감소가 인체로의 활성 화합물 방출을 제어할 수 없게 영향을 주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웨이브를 이룬 외형에 의해, 곡면의 접착상태에 대한 신장 및 중첩현상은 원칙적으로 명백히 피할 수 없으나, 의심할 여지없이 감소될 수 있다. 도 5에 과장된 형태로 도시된 TTS 표면의 클리프형 신장부는 특히 가장자리 부분에서 상술한 효과를 상쇄할 수 있다. 접착할 곡면의 비례 성장 이상의 결과로서, 형성된 신장부는 충분히 2개의 인접하는 클리프형 부분(19)의 스프레딩(18)에 의해 보상될 수 있다. 이렇게 하여, TTS의 플라스틱 또는 탄성 변형은 중간 베이점(20) 상의 작은 부위로 감소된다. 그리하여, 특히 가장자리 부분에서, 장기간 접착면에서 중요한 TTS와 피부의 외형 시일링 결합상태가 조장된다.
요약하면, 오목한 외형 부분을 포함하는 본 발명의 TTS는 피부와의 장기간 외형 시일링 결합상태에 관하여 다수의 이점을 갖고 있다. 동시에, 이는 대개 종래의 TTS 제조방법과 비교하여 기술 비용을 부가하지 않고서 제조될 수 있으며, 종래의 통상적인 TTS 외형보다 다만 극소한 표면을 이용한다는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신규한 외형 및 이의 바람직한 형상에 대한 전형적이나 완전한 형태가 아닌 개략도이다. 타입 A의 시스템은 외형에 2개의 대칭면이 존재한다는 점에 특징을 갖는다. 이러한 형태의 바람직한 변형체는 외형에 2개의 (A1), 4개의 (A2) 및 8개의 (A3) 오목부를 갖는다. 오목부가 훨씬 더 많은 경우에는, 예를 들면 외형은 큰 형태의 (A4) 또는 미세한 형태의 (A5) 웨이브 변화 형상이 나타난다. 타입 A의 시스템은 외형에 짝수개의 n=2∼n=50 오목부를 갖는다.
타입 B의 시스템은 외형에 4 개의 대칭면이 존재한다는 점에 특징을 갖는다. 바람직한 변형체는 외형에 4개의 (B1) 또는 8개의 (B2, B3) 오목부를 갖는다. 다수의 오목부가 가능하므로, 타입 A4및 A5의 2개의 대칭면을 갖는 외형과 유사한 외형이 얻어진다.
타입 C의 시스템은 외형에 짝수개의 n=4∼n=50 오목부를 갖는다. 타입 C의 시스템은 방사상으로 대칭적인 구조로 되어 있다. 방사상 대칭성은 모든 대칭면이 TTS의 표면내의 단일 공통점에서 시작된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 간주된다. 외형에 짝수개 또는 바람직하게는 홀수개의 n=5∼n=50개의 오목부를 갖는다.
타입 D의 시스템은 점대칭 외형을 갖는다. 오목부의 수는 n=3∼n=50이고 n은 짝수 또는 홀수로 가정한다.
도 6에서, 부위 이용률은 각 디자인 타입(A1, A2, A3, A4, A5, B1, B2, B3, C1, D1)에 대하여 퍼센트로 나타낸다. 부위 이용률은 외형을 제한하는 가장 작은 직사각형 부위에 대한 TTS 부위의 비율을 나타내는 것으로 간주된다. 값이 높다는 것은 편평한 전구체로부터 각각의 형상을 제조함에 있어서 수율이 높다는 것을 나타내므로, 낮은 값보다 훨씬 더 유리하다.

Claims (6)

  1. 바깥 가장자리가 외형에 의해 한정되고, 피부에 비교적 영구적으로 접착하는 층을 가지며, 활성 화합물을 피부를 통해 또는 피부로 방출하기 위한 트랜스더멀 치료 시스템(TTS)에 있어서, TTS 표면에 대하여 오목부가 2개 이상 TTS 외형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랜스더멀 치료 시스템(TTS).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외형 전체 길이 중 30% 이상이 전부 오목한 외형 부분으로 주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랜스더멀 치료 시스템(TTS).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외형이 2개의 대칭면(x-x;y-y)을 가지며, 상기 오목부의 수가 짝수개의 n=2∼n=5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랜스더멀 치료 시스템 (TTS).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외형이 4개의 대칭면(x-x;y-y;v-v;w-w)을 가지며, 상기 오목부의 수가 짝수개의 n=4∼n=5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랜스더멀 치료 시스템(TTS).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외형이 방사상으로 대칭적인 구조로 이루어지고, 상기 오목부의 수가 짝수개 또는 홀수개의 n=3∼n=5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랜스더멀 치료 시스템(TTS).
  6.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외형이 TTS 표면에 있는 점에 대하여 점대칭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오목부의 수가 짝수개 또는 홀수개의 n=3∼n=5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랜스더멀 치료 시스템(TTS).
KR10-1999-7005421A 1996-12-16 1997-11-20 트랜스더멀 치료 시스템 KR10045675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9652269.2 1996-12-16
DE19652269A DE19652269C2 (de) 1996-12-16 1996-12-16 Konturen -TT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57626A true KR20000057626A (ko) 2000-09-25
KR100456753B1 KR100456753B1 (ko) 2004-11-10

Family

ID=78148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7005421A KR100456753B1 (ko) 1996-12-16 1997-11-20 트랜스더멀 치료 시스템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1) US6238362B1 (ko)
EP (1) EP0961602B1 (ko)
JP (1) JP4015202B2 (ko)
KR (1) KR100456753B1 (ko)
AT (1) ATE213929T1 (ko)
AU (1) AU730510B2 (ko)
CA (1) CA2274895C (ko)
DE (2) DE19652269C2 (ko)
ES (1) ES2174318T3 (ko)
NO (1) NO992674L (ko)
WO (1) WO199802674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281757A1 (en) * 2004-06-17 2005-12-22 Sayed Ibrahim Oral care film
US9668922B2 (en) * 2007-08-03 2017-06-06 Neodyne Biosciences, Inc. Wound or skin treatment devices with variable edge geometries
US9241835B2 (en) * 2007-08-03 2016-01-26 Neodyne Biosciences, Inc. Wound or skin treatment devices with variable edge geometries
ES2350416T3 (es) * 2007-08-21 2011-01-21 Lts Lohmann Therapie-Systeme Ag Procedimiento para la confección de varias pistas de parches terapéuticos transdermales.
WO2014151143A1 (en) * 2013-03-15 2014-09-25 Neodyne Biosciences, Inc. Wound or skin treatment devices with variable edge geometries
USD783843S1 (en) 2013-07-05 2017-04-11 Mölnlycke Health Care Ab Wound filler
USD746478S1 (en) * 2013-07-05 2015-12-29 Mölnlycke Health Care Ab Wound filler
JP1563177S (ko) * 2016-03-22 2016-11-14
USD838374S1 (en) 2017-01-23 2019-01-15 Medela Holding Ag Wound dressing
USD878609S1 (en) * 2018-04-09 2020-03-17 Kci Licensing, Inc. Compressive layer for abdominal wound dressing
JP7057299B2 (ja) * 2019-02-21 2022-04-19 ニチバン株式会社 伸縮性パッドを用いた医療用貼付材
KR102651049B1 (ko) 2023-01-06 2024-03-28 주식회사 에스제이프린팅 톰슨 목형 하판의 접이선 제작 방법 및 그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7420413U (de) * 1975-04-03 Hertel I Plakatplakette
DE1819098U (de) * 1960-05-25 1960-10-06 William M Dr Scholl Medizinisches pflaster.
DE1957851C3 (de) * 1969-11-18 1974-12-19 Johnson & Johnson, New Brunswick, N.J. (V.St.A.) Wundverband
US4666441A (en) * 1985-12-17 1987-05-19 Ciba-Geigy Corporation Multicompartmentalized transdermal patches
US4709695A (en) 1986-03-27 1987-12-01 Roger Kohn Protective device
US4719909A (en) * 1986-04-14 1988-01-19 Micchia Ronald L Under-eye light absorbing device and method
DE4406976C1 (de) * 1994-03-03 1995-06-22 Lohmann Therapie Syst Lts Verfahren zur Übertragung von einseitig selbstklebenden Abschnitten von einer bewegbaren ersten Bahn auf eine bewegbare zweite Bahn sowie Verwendung des Verfahrens
WO1996001100A2 (de) * 1994-07-05 1996-01-18 Lts Lohmann Therapie-Systeme Gmbh Hydrogel für die applikation von therapeutischen und/oder kosmetischen wirkstoffen an die haut
DE19511976A1 (de) * 1995-04-02 1996-10-10 Thomas Von Roenn Pflast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730510B2 (en) 2001-03-08
CA2274895C (en) 2005-08-23
JP4015202B2 (ja) 2007-11-28
JP2001506150A (ja) 2001-05-15
DE19652269A1 (de) 1998-06-18
KR100456753B1 (ko) 2004-11-10
NO992674D0 (no) 1999-06-02
DE59706580D1 (de) 2002-04-11
NO992674L (no) 1999-06-02
AU5323398A (en) 1998-07-15
ATE213929T1 (de) 2002-03-15
US6238362B1 (en) 2001-05-29
WO1998026740A1 (de) 1998-06-25
EP0961602B1 (de) 2002-03-06
CA2274895A1 (en) 1998-06-25
ES2174318T3 (es) 2002-11-01
EP0961602A1 (de) 1999-12-08
DE19652269C2 (de) 2002-04-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56753B1 (ko) 트랜스더멀 치료 시스템
US5769089A (en) External nasal splint
JP4891547B2 (ja) 絆創膏
JP3616101B2 (ja) ヒト生体構造外壁組織用拡張器
US5022389A (en) Nasal splint device
JP5968909B2 (ja) 創傷または皮膚処置デバイスおよび方法
JP3819937B2 (ja) 剥離力減少拡張器
US6320094B1 (en) Disposable eye patch and method of manufacturing a disposable eye patch
JP2001517539A (ja) 包 帯
US4340040A (en) Nose splint
CN106176131B (zh) 治疗性皮肤提升装置和相关的系统和方法
US20140276323A1 (en) Wound or skin treatment devices with variable edge geometries
US9668922B2 (en) Wound or skin treatment devices with variable edge geometries
JP2016513536A (ja) 可変の縁の幾何学形状を有する創傷または皮膚治療デバイス
US10667597B2 (en) Anti-aging tapes
KR20180020224A (ko) 코 부목
EP0842646A1 (en) Improved nasal dilator
US10603221B1 (en) Noninvasive device and method for neck lift
US11633305B2 (en) Taping kit and method for attaching tape to be affixed to body
JP2002330991A (ja) 関節部位固定用粘着テープ及びその使用方法
EP4201383A1 (en) Improved patches and methods for delivering an active substance to the skin using the same
CN109688869B (zh) 片体
JPH09135860A (ja) 貼付剤
GB2378650A (en) Preventing skin wrinkles
MXPA99005109A (en) Contour of a transdermal therapeutic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1026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