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55724A - 베타-1,6-분지-베타-1,3-글루칸을 함유하는 보습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베타-1,6-분지-베타-1,3-글루칸을 함유하는 보습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55724A
KR20000055724A KR1019990004497A KR19990004497A KR20000055724A KR 20000055724 A KR20000055724 A KR 20000055724A KR 1019990004497 A KR1019990004497 A KR 1019990004497A KR 19990004497 A KR19990004497 A KR 19990004497A KR 20000055724 A KR20000055724 A KR 2000005572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ta
glucan
moisturizing
skin
branch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044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34185B1 (ko
Inventor
이승화
박경목
이성호
박명삼
Original Assignee
서경배
주식회사 태평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경배, 주식회사 태평양 filed Critical 서경배
Priority to KR10-1999-00044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34185B1/ko
Publication of KR200000557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557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341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34185B1/ko

Links

Abstract

본 발명은 치마버섯(Schizophyllum commune Fr.)의 액체배양에 의해 제조된 베타-1,6-분지-베타-1,3-글루칸(β-1,6-branched-β-1,3-glucan)을 함유하거나, 공지의 보습제인 히아루론산을 더 함유하는 보습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베타-1,6-분지-베타-1,3-글루칸을 함유하는 보습 화장료 조성물 {Moisturizing cosmetic compositions containing a beta-1,6-branched-beta-1,3-glucan}
본 발명은 피부보습 효과를 갖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치마버섯(Schizophyllum commune Fr.)의 액체 배양에 의해 제조된 베타-1,6-분지-베타-1,3-글루칸을 함유하거나, 공지의 보습제인 히아루론산을 더 함유하여 우수한 피부 보습효과를 제공할 수 있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피부학적으로 볼때, 피부의 가장 중요한 역활은 막기능으로, 물, 전해질 등의 생체성분의 손실을 방지하는 동시에 외부환경의 유해물질의 피부내 침입을 방지하는 것이다. 즉, 피부는 생체내에 비해 훨씬 건조한 외부환경에 노출되어 있으면서 생체를 외부환경으로부터 보호하는 막으로서 중요한 역활을 하는 것이다. 특히, 외부환경과 직접 접촉하는 피부 최외각층의 각질층은 기계적, 화학적으로 유해한 성분의 침입을 방지하고, 생체내보다 건조한 외부환경에서 내부수분이 손실되는 것을 막아주는 동시에 각질층 자신도 적당한 수분을 보유하여 유연성을 유지하고 있다.
그러나, 피부의 이러한 기능에도 불구하고, 피부는 혹독한 외부환경, 바람, 추운날씨, 햇빛, 세안, 면도 등과 더불어 노화라는 인자가 더해져서 쉽게 수분을 잃게되어 건조하고 거칠은 피부가 되기 쉽다.
따라서, 이러한 현상을 방지하여 매끄럽고 촉촉한 피부를 유지시켜 주는 것이 화장품을 사용하는 가장 중요한 목적이다. 즉, 피부에 화장품을 바르게 되면 피부에 인공막을 만들어 주어 외부의 자극을 막아주고 피부내로부터의 수분손실을 막아줄 뿐만 아니라 어느 정도의 수분을 피부에 공급하게 된다.
그러므로, 당업계에서는 화장료에 함유되어 피부에 보습을 부여할 수 있는 물질에 관한 연구가 많이 이루어져 왔고, 그 결과, 버섯 추출물을 화장품에 함유시킬 경우, 버섯세포벽 구성물질의 보습기능에 의해 보습효과를 갖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음을 알았다. 그 예로, 치마버섯의 배양물로부터 추출, 농축된 혼합물을 이용한 미백효과 및 보습효과를 갖는 화장료 조성물이 일본공개특허 평 05-286843호에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치마버섯 추출물 중 어떠한 물질이 화장료에서 미백효과나 보습효과를 나타내는지는 아직 규명된 바가 없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치마버섯의 성분 중 화장료에서의 활성을 나타내는 성분을 규명하고자 하였고, 그 결과, 치마버섯의 액체배양에 의해 생산된 베타-1,6-분지-베타-1,3-글루칸이 피부보습 효과를 갖는 다는 것을 발견하였으며, 더구나, 베타-1,6-분지-베타-1,3-글루칸이 히아루론산과 같은 다른 공지의 보습제보다 상승된 보습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는 것을 발견하고, 이를 함유하여 우수한 피부보습효과를 제공할 수 있는 보습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보습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베타-1,6-분지-베타-1,3-글루칸의 피부보습 효능 실험 결과이다.
도 2는 베타-1,6-분지-베타-1,3-글루칸을 함유하는 화장료의 인체를 대상으로 한 피부보습 효능 실험결과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보습 화장료 조성물은 치마버섯의 액체배양에 의해 제조된 베타-1,6-분지-베타-1,3-글루칸을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1∼10중량%의 양으로 함유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보습 화장료 조성물은 공지의 히아루론산을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1∼10중량%의 양으로 더 함유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적용은 하기 발명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분류학상 담자균류의 주름버섯목 송이과 치마버섯속에 속하는 치마버섯(Schizophyllum commune Fr.)의 액체배양에 의해 제조된 베타-1,6-분지-베타-1,3-글루칸(이하, "SC-글루칸"이라 한다.)은 베타-1,3 주당쇄의 매 3개의 잔기당 베타-1,6-잔기를 갖는 글루칸으로, 다른 버섯류의 베타-글루칸이 불균일한 당조성과 구조를 갖는데 비하여 분지된 균일하고 특유한 구조를 갖고, 세포외로 분비되는 안정한 중성 다당류의 특성을 가지며, 글루코오스로만으로 구성된 것이다. 그리고, SC-글루칸의 분자량(M.W.)은 200∼500만으로 다른 버섯류로 부터 생산된 베타-글루칸의 분자량이 수십만∼200만인데 비하여 상당히 크다.
이러한 SC-글루칸은 치마버섯을 액체배양하는 것에 의해 제공될 수 있는데, SC-글루칸을 치마버섯으로 부터 분리하기 위한 액체배양 방법 및 이것의 생산성을 높일 수 있는 방법은 본 출원인이 이미 개발하여 출원[특허출원 제 1998-49026호]한 바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보습 화장료 조성물은 상기 특허출원한 명세서에 기재된 방법으로 액체배양하여 얻은 SC-글루칸을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1∼10중량%의 양으로 함유한다.
한편, 본 발명의 보습 화장료 조성물은 공지의 보습제인 히아루론산을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1∼10중량%의 더 함유하여 보습효과를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보습 화장료 조성물은 그 제형에 있어서 특별히 한정되는 바가 없으며, 예를 들면, 크림 파운데이션, 리퀴드 파운데이션, 고형 파운데이션, 메이크업 로션, 메이크업 베이스, 에몰리언트 크림, 모이스처라이징 크림, 스킨로션의 제형을 갖는다.
또한, 각 제형의 화장료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한 SC-글루칸, 히아루론산 이외의 다른 성분들은 기타 화장료의 제형 또는 사용목적 등에 따라 당업자가 어려움없이 적의 선정하여 배합할 수 있다.
이하, 시험예 및 제형예를 들어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들 제형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시험예 1〉 보습효과 측정
코르네오메타(Corneometer) CM820을 이용한 커패시턴스 측정법을 사용하고, 시료는 베타-1,6-분지-베타-1,3-글루칸을 0.4중량%의 양으로 녹인것과, 대조구로서 보습효과가 있는 물질로 공지된 0.5%의 히아루론산을 녹인것, 그리고 상승효과의 측정을 알아보기 위하여 베타-1,6-분지-베타-1,3-글루칸 0.3중량%에 0.2%농도의 히아루론산을 함께 넣은 것을 사용하여 보습효과를 측정하였다. 즉, 남녀 각각 20명씩 전체 40명을 대상으로 하여, 시험 시작 직전에 하박 내측면을 항온항습실에서 20분동안 적응하게 하여 피부의 수분자체를 일정하게 유지시켰다. 그 다음, 코르네오메타 CM820을 사용하여 각 시료 도포부위의 초기 수분 보유량을 측정한 후, 시료를 도포하였다. 시료의 도포는, 시료 60㎕를 하박 부위에 따른 오차를 최소화하기 위하여 피검자마다 도포하는 시료의 위치를 달리하면서 도포하였다. 시표 도포 20분 후에 수분증감율을 1차 측정하고, 2시간 후에 다시 수분증감율을 측정하였다. 각 측정부위를 3번 반복 측정하고 그 평균값으로 하기 수학식 1에 따라 피부 수분 증감율을 계산한 다음, 그 결과를 표 1 및 도 1에 나타내었다.
식중,Tdi: 시료도포부위의 n번째 측정값
Tdo: 시료도포부위의 도포전 측정값
NTdi: 시료를 도포하지 않은 부위의 n번째 측정값
NTdo: 시료를 도포하지 않은 부위의 도포전 측정값
0.5% 히아루론산 0.4% 글루칸 0.2% 히아루론산+0.3% 글루칸
20분 32.82 43.79 54.56
120분 10.28 27.49 35.45
상기 표 1 및 도 1로부터, 치마버섯 유래의 베타-1,6-분지-베타-1,3-글루칸은 우수한 수분보유능을 갖는 물질임을 알 수 있다. 더구나, 베타-1,6-분지-베타- 1,3-글루칸은 공지의 보습제인 히아루론산과 함께 사용하는 경우 보습효과를 더욱 상승시킬 수 있다.
〈시험예 2〉 인체를 대상으로 한 피부보습 개선효과
하기 조성의 크림 파운데이션에 대하여 35∼45세의 피부가 건조한 40명의 피검자를 대상으로 피부보습 개선효과를 비교 평가하였다.
실시예 1 실시예 2 비교예 1 비교예 2
1. 베타-1,6-분지-베타-1,3-글루칸 4.0 3.0 0 0
2. 히아루론산 0 2.0 5.0 0
3. 세레신 1.0 1.0 1.0 1.0
4. 칸데릴라 왁스 2.0 2.0 2.0 2.0
5. 오조케라이트 2.0 2.0 2.0 2.0
6. 헥실라우레이트 3.0 3.0 3.0 3.0
7. 세스퀴올레인산소르비탄 1.0 1.0 1.0 1.0
8. 스쿠알란 3.0 3.0 3.0 3.0
9. 세틸디메치콘코폴리올 2.0 2.0 2.0 2.0
10. 디메치콘올 1.0 1.0 1.0 1.0
11. 실리콘겔 15.0 15.0 15.0 15.0
12. 사이크로메치콘 10.0 10.0 10.0 10.0
13. 색조제 15.0 15.0 15.0 15.0
14. 증류수 to 100 to 100 to 100 to 100
15. 글리세린 5.0 5.0 5.0 5.0
16. 방부제 적량 적량 적량 적량
17. 향 적량 적량 적량 적량
* 색조제: 인산화 티만 70.0%, 산화철 20.0%, 탈크 10.0%를 균일하게 혼합한 후, 2회 분쇄하여 사용한다.
즉, 그룹 1의 피검자의 안면 오른쪽 부위에는 실시예 1을, 왼쪽 분위에는 실시예 2를, 또 다른 그룹 2의 피검자의 안면 오른쪽 부위에는 비교예 1을, 왼쪽 분위에는 비교예 2를 남녀 각각 10명씩 전체 40명에게 도포한 후, 피부보습 상태 변화에 대한 보습력을 상기 시험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측정하여, 그 결과를 표 2 및 도 2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1 실시예 2 비교예 1 비교예 2
20분 21.59 28.65 14.55 4.56
120분 13.85 18.75 5.88 0.55
상기 표 2 및 도 2로부터, 치마버섯 유래의 베타-1,6-분지-베타-1,3-글루칸을 함유하는 실시예 1의 화장료가 비교예 1 및 비교예 2의 화장료보다 우수한 보습효과를 나타내며, 베타-1,6-분지-베타-1,3-글루칸에 히아루론산을 더 함유하는 실시예 2의 화장료는 실시예 1보다 보습효과가 상승됨을 알 수 있다.
이하, 제형예 1∼11을 들어 베타-1,6-분지-베타-1,3-글루칸을 함유하는 보습 화장료 조성물의 구성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조성물이 이들 제형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형예 1∼4〉 유중수형 유화 파운데이션
제형예 1 제형예 2 제형예 3 제형예 4
크림 파운데이션 리퀴드 파운데이션 메이크업로션 메이크업베이스
1. 베타-1,6-분지-베타-1,3-글루칸 1.0 1.0 1.0 1.0
2. 세레신 1.0 0.5 0.5 1.0
3. 칸데릴라 왁스 2.0 0.5 0.5 1.0
4. 오조케라이트 2.0 0.5 0.5 2.0
5. 헥실라우레이트 3.0 2.0 2.0 3.0
6. 세스퀴올레인산소르비탄 1.0 1.0 1.0 1.0
7. 스쿠알란 3.0 2.0 2.0 3.0
8. 세틸디메치콘코폴리올 2.0 2.0 2.0 2.0
9. 디메치콘올 1.0 0.5 0.5 1.0
10. 실리콘겔 15.0 5.0 5.0 10.0
11. 사이크로메치콘 10.0 5.0 5.0 10.0
12. 색조제 15.0 10.0 5.0 7.0
13. 증류수 to 100 to 100 to 100 to 100
14. 글리세린 5.0 7.0 10.0 10.0
15. 방부제 적량 적량 적량 적량
16. 향 적량 적량 적량 적량
* 색조제: 인산화 티만 70.0%, 산화철 20.0%, 탈크 10.0%를 균일하게 혼합한 후, 2회 분쇄하여 사용한다.
〈제형예 5∼8〉수중유형 유화 파운데이션
제형예 5 제형예 6 제형예 7 제형예 8
크림 파운데이션 리퀴드 파운데이션 메이크업 로션 메이크업베이스
1. 베타-1,6-분지-베타-1,3-글루칸 1.0 1.0 1.0 1.0
2. 밀납 1.0 0.5 0.5 1.0
3. 파라핀 왁스 1.0 0.5 0.5 1.0
4. 스테아린산 2.0 2.0 1.0 2.0
5. 글리세릴모노스테아린산 2.5 1.0 0.5 2.0
6. 세스퀴올레인산소르비탄 0.5 0.5 0.5 0.5
7. 모노스테아린산소르비탄 2.0 1.0 1.0 2.0
8. 스쿠알란 3.0 2.0 2.0 2.0
9. 트리(카프릴, 카프릴산)글리세린 3.0 2.0 2.0 3.0
10. 라놀린 5.0 3.0 2.0 4.0
11. 실리콘겔 5.0 3.0 3.0 4.0
12. 디메치콘올 1.0 0.5 0.5 1.0
13. 사이크로메치콘 5.0 2.0 2.0 5.0
14. 색조제 15.0 10.0 5.0 7.0
15. 증류수 to 100 to 100 to 100 to 100
16. 글리세린 5.0 5.0 5.0 5.0
17. 1,3 부틸렌글리콜 5.0 5.0 5.0 5.0
18. 트리에탄올아민 0.2 0.2 0.1 0.2
19. 방부제 적량 적량 적량 적량
20. 향 적량 적량 적량 적량
* 색조제: 인산화 티만 70.0%, 산화철 20.0%, 탈크 10.0%를 균일하게 혼합한 후, 2회 분쇄하여 사용한다.
〈제형예 9∼11〉
제형예 9 제형예 10 제형예 11
에몰리언트크림 모이스처라이징로션 스킨로션
1. 베타-1,6-분지-베타-1,3-글루칸 1.0 1.0 1.0
2. 세토스테아릴알코올 3.0 1.5 0
3. 글리세릴모노스테아린산 2.0 0.5 0
4. 스테아린산 2.0 0.5 0
5. 스쿠알란 10.0 5.0 0
6. 세스퀴올레인산소르비탄 0.5 0.3 0
7. 폴리소르베이트 1.5 1.0 0
8. 트리(카프릴,카프린산)글리세린 5.0 2.0 0
9. 디메치콘올 1.0 1.0 0
10. 폴리옥시에틸렌경화피마자유 0 0 0.5
11. 에틸알코올(95%) 0 0 10.0
12. 증류수 to 100 to 100 to 100
13. 카르복시비닐폴리머 0 0.2 0.2
14. 산탄검 0 0.1 0.1
15. 글리세린 7.0 5.0 10.0
16. 1,3 부틸렌글리콜 2.0 5.0 5.0
17. 트리에탄올아민 0.2 0.2 0.2
18. 방부제 적량 적량 적량
19. 향 적량 적량 적량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치마버섯(Schizophyllum commune Fr.)의 액체배양에 의해 제조된 베타-1,6-분지-베타-1,3-글루칸을 화장료 조성물에 함유시킴으로써, 우수한 피부보습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더구나, 베타-1,6-분지-베타-1,3-글루칸은 공지의 보습제와 함께 화장료에 사용될 경우, 더욱 상승된 보습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Claims (3)

  1. 치마버섯(Schizophyllum commune Fr.)의 액체배양에 의해 제조된 베타-1,6-분지-베타-1,3-글루칸(β-1,6-branched-β-1,3-glucan)을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1∼10중량%의 양으로 함유함을 특징으로 하는 보습 화장료 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히아루론산을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1∼10중량%의 양으로 더 함유함을 특징으로 하는 보습 화장료 조성물.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한 조성물은 크림 파운데이션, 리퀴드 파운데이션, 고형 파운데이션, 메이크업 로션, 에몰리언트 크림, 모이스쳐라이징 크림, 스킨로션의 제형을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보습 화장료 조성물.
KR10-1999-0004497A 1999-02-09 1999-02-09 베타-1,6-분지-베타-1,3-글루칸을 함유하는 보습 화장료 조성물 KR1005341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04497A KR100534185B1 (ko) 1999-02-09 1999-02-09 베타-1,6-분지-베타-1,3-글루칸을 함유하는 보습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04497A KR100534185B1 (ko) 1999-02-09 1999-02-09 베타-1,6-분지-베타-1,3-글루칸을 함유하는 보습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55724A true KR20000055724A (ko) 2000-09-15
KR100534185B1 KR100534185B1 (ko) 2005-12-07

Family

ID=195738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04497A KR100534185B1 (ko) 1999-02-09 1999-02-09 베타-1,6-분지-베타-1,3-글루칸을 함유하는 보습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34185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78268A (ko) * 2002-03-28 2003-10-08 주식회사 브리지이앤씨 노루궁뎅이 버섯 추출물을 함유하는 주름방지 보습제화장료 조성물
KR100461960B1 (ko) * 2002-10-10 2004-12-16 한불화장품주식회사 신규한 담자균류 그리폴라 프론도사 hb0071 kctc10337bp와 이 균주로부터 생산된 다량의 다당류의 제조방법과 이의 용도
KR100613422B1 (ko) * 2001-06-29 2006-08-17 (주)아모레퍼시픽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KR100669637B1 (ko) * 2000-09-28 2007-01-15 엔프라니 주식회사 수용성 겔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KR101521058B1 (ko) * 2014-12-08 2015-05-15 이노팜 주식회사 생체적합성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90112879A (ko) 2018-03-26 2019-10-08 (주) 비에스티 유자 씨앗 배아 발효 성분에 기초하는 천연미백제의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14944B1 (ko) 2006-03-03 2012-12-24 (주)아모레퍼시픽 사크로마이세스 폴리펩타이드 및 베타-1,3-글루칸을 함유한피부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205008A (ja) * 1986-03-05 1987-09-09 Bio Bai Daimaru:Kk 化粧品等の添加剤
JPH10310515A (ja) * 1997-05-10 1998-11-24 Tomoko Saegusa 入浴剤
KR100295623B1 (ko) * 1998-03-24 2001-09-06 서경배 치마버섯유래의베타-1,6-분지-베타-1,3-글루칸의제조방법및이방법에의해제조된베타-1,6-분지-베타-1,3-글루칸을함유하는화장료조성물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69637B1 (ko) * 2000-09-28 2007-01-15 엔프라니 주식회사 수용성 겔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KR100613422B1 (ko) * 2001-06-29 2006-08-17 (주)아모레퍼시픽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KR20030078268A (ko) * 2002-03-28 2003-10-08 주식회사 브리지이앤씨 노루궁뎅이 버섯 추출물을 함유하는 주름방지 보습제화장료 조성물
KR100461960B1 (ko) * 2002-10-10 2004-12-16 한불화장품주식회사 신규한 담자균류 그리폴라 프론도사 hb0071 kctc10337bp와 이 균주로부터 생산된 다량의 다당류의 제조방법과 이의 용도
KR101521058B1 (ko) * 2014-12-08 2015-05-15 이노팜 주식회사 생체적합성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WO2016093451A1 (ko) * 2014-12-08 2016-06-16 이노팜 주식회사 생체적합성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US10414833B2 (en) 2014-12-08 2019-09-17 Inno Pharm Co., Ltd. Biocompatible composition and method for preparing same
KR20190112879A (ko) 2018-03-26 2019-10-08 (주) 비에스티 유자 씨앗 배아 발효 성분에 기초하는 천연미백제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34185B1 (ko) 2005-1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561457B1 (en) Cosmetic compositions with long lasting skin moisturizing properties
KR101746843B1 (ko) 함수 또는 흡습 제제와 조합하여 항산화제로서 폴리페놀이 풍부한 식물 추출물의 용도
KR102165567B1 (ko) 피부 보습 효과가 우수한 화장료 조성물
EP1837013B1 (fr) Composition comprenant de l'hydroxyapatite et un sel de calcium pour renforcer la fonction barrière de la peau et/ou des semi-muqueuses.
JP2010504299A (ja) マトリプターゼ発現を刺激する活性剤の化粧上での使用
JP2000229834A (ja) 化粧料
US8216618B2 (en) Cosmetic use of an Ophiopogon japonicus active principle
KR100534185B1 (ko) 베타-1,6-분지-베타-1,3-글루칸을 함유하는 보습 화장료 조성물
AU2017202316B2 (en) Topical compositions containing cross-linked glycosaminoglycans
KR101502475B1 (ko) 오돈텔라 아우리타의 친지성 추출물의 피부 재구조화를위한 용도, 사용되는 조성물 및 상기 추출물을 사용하는화장 방법
JP2000344655A (ja) 皮膚化粧料
KR100340185B1 (ko) 눈꽃동충하초(paecilomyces japonica)추출물을 함유하는 주름 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KR101605324B1 (ko) 각질 제거 및 수분량 증가를 통한 건조 및 가려움 완화 효과를 가지는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JPH11100320A (ja) 皮膚外用剤
US20010012524A1 (en) Anti-aging agent
CN115869233A (zh) 一种美白抗皱的精华液及其制备方法
KR20170010499A (ko) 달팽이 점액 발효여과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피부장벽 개선 및 높은 피부 흡수율을 갖는 화장료 조성물과 기능성 화장품
KR102135551B1 (ko) 포름오노네틴을 지표성분으로 포함하는 레드 프로폴리스 추출물을 포함하는 안티에이징 효과가 우수한 화장료 조성물
KR20030005258A (ko) 케라틴 물질의 화장용 처리에 있어서의 알콜디하이드로게나아제 저해제의 용도
KR101154772B1 (ko) 대추 추출물 및 호두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보습용화장료 조성물
US20050019357A1 (en) (2S,3R,4S)-4-hydroxyisoleucine-containing cosmetic compositions and methods of application
KR100585613B1 (ko) 베타-1,3-글루칸과 인삼사포닌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조성물
JP3939857B2 (ja) 皮膚化粧料
JP2000264833A (ja) 皮膚化粧料
KR20050098583A (ko) 옥죽 파우더를 함유하는 피부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1006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