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53101A - 필터삽입물 - Google Patents

필터삽입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53101A
KR20000053101A KR1019990704025A KR19997004025A KR20000053101A KR 20000053101 A KR20000053101 A KR 20000053101A KR 1019990704025 A KR1019990704025 A KR 1019990704025A KR 19997004025 A KR19997004025 A KR 19997004025A KR 20000053101 A KR20000053101 A KR 2000005310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paration
gas
oil
filter insert
support mea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7040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스 에르드만스드뢰퍼
Original Assignee
게르하르트 보트
필터벨크 만 운트 훔멜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게르하르트 보트, 필터벨크 만 운트 훔멜 게엠베하 filed Critical 게르하르트 보트
Publication of KR200000531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53101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24Particle separators, e.g. dust precipitators, using rigid hollow filter bod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5/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by gravity, inertia, or centrifugal forces
    • B01D45/04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by gravity, inertia, or centrifugal forces by utilising inertia
    • B01D45/08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by gravity, inertia, or centrifugal forces by utilising inertia by impingement against baffle separator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Filtering Of Dispersed Particles In Gases (AREA)
  • Lubrication Details And Ventilation Of Internal Combustion Engines (AREA)
  • Filtering Materials (AREA)

Abstract

필터 삽입물(1)이 청정개스측부(2) 및 원래 개스측부(3) 그리고 또 지지수단(4)을 가지며 그리고 적어도 2개의 상이하게 미세한 분리영역들(5;6)을 거쳐서 마련되어지는 곳에서 개스류로 부터 오일을 분리하기 위한 필터 삽입물.

Description

필터삽입물{FILTER INSERT}
이 종류의 필터삽입물들은 예를들면 GB 988 692로부터 공지되어 있다. 최신의 폐개스 기준을 충족해야하며 그리고 동시에 용이하고 저렴하게 가공하고 제거할수 있어야 하는 그러한 필터삽입물들을 예를들면 내연기관에 사용하려고 한다면 복잡한 건조와 그리고 사용된 재료들의 다수로 인하여 이것은 실현가능하지 않은 것에서 불리하다.
본 발명은 개스류로부터 오일의 분리를 위한 필터삽입물에 관한 것이다.
제 1 도는 필터요소들의 단면도 이며
제 2 도는 오일운무분리를 위한 장치의 단면도임.
그래서 본 발명의 과제는 시초에서 언급된 종류의 오일운무분리를 위한 장치 및 필터삽입물을, 간단히 그리고 저렴하게 가공되고 제거할수 있는, 오일운무분리를 위한 확실히 작용하는 장치 그리고 또 필터요소가 창안되기까지 개선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라서 상기한 과제는 필터 삽입물이 청정개스-및 원래개스 측부 그리고 또 지지수단을 가지며 그리고 적어도 2개의 상이하게 미세한 분리영역들이 설치 되는 것에의하여 해결된다. 필요한 부품들의 감소로 인하여는 제조비용과 동시에 수명완료시에 필수적인 제거비용이 하강한다. 상이하게 큰 오일 방울들에 대하여는 상응하게 적합한 응집표면을 얻을수 있기 때문에 상이하게 미세한 분리영역들의 더 좋은 오일분리를 초래한다.
본 발명의 유리한 계속형성은 지지수단이 개스투과성인것으로 하고 있다. 상기한 방법으로 지지수단은 다수의 기능들을 떠맡는다. 한편으로 이것은 지지수단으로서, 다른 한편으로는 그의 투과성에 상응하여, 예를들면 큰 오일이미 소부품들에 대한 분리-내지 배출기능을 가지는 다소조대한 오일예비분리기로서 작용한다.
하나의 또다른 유리한 구성에서는 분리영역은 직조사로 되어있다. 적합한 방법으로 뜨게질 되어지고, 짜여지며 직조되어지며 또는 감겨져 있는 상기한 분리영역은 오일방울들의 분리에 소속되며, 이 오일방울들은 가장좋게는 밀리메터범위에 있는 분리요소들에서 응집한다. 그러한 분리수단 의사용은 충분한 오릴분리도의 경우에 낮은 압력손실들을 보증한다.
또 다른 유리한 계속되는 구성에서는 분리영역이 상호연관되는 섬유들 또는 기본사들로 되어 있으며 그래서 하나의 미세비율 부분을 가지는 것으로 되어있다. 이 미세비율 부분은 더 작은 오일 분활부의 영역에서의 오일분리를 떠 맡는다. 역시모피로서 표시된 상기한 영역은 개스중의 오일에 관련하여 그의 분리-및 배출작용에 추가하여, 특히 필터요소가 유리섬유들로 되어 있다면 기계적인 부하들에 대하여 대단히 민감할 그러한 필터요소의 감겨진 분리영역을 보호한다; 즉 추가적으로 이것은 또 다른 포장의 재피복을 없애기 위하여 하나의 케이싱의 방향에서 필터요소의 공간적인 차단을 형성한다.
또 다른 유리하 계속구성은 분리영역의 재료가 폴리에스터, 폴리아미드, 폴리아클릴 또는 아라미드와 같은 합성수지, 금속 혹은 금속산화물로 되어 있도록 하고 있다. 직조된 필라멘트사의 사용이 특히 유리하다. 근소한 필라멘트 직경과 높은 체적들의 직조사의 경우의 상기한 조합은 예를들면 에어로졸 영역에서 오일분리의 경우에 좋은 결과를 가져오는데 왜냐하면 폐개스중에 유해물질 부하에대한 끊임없이 상승하는 요구조건들을 충족시켜야 하는 바로 엔진들에서 개별섬유들이 바람직하게는 10㎛보다 더 작은 곳에서 더 작은 압력손실과 그리고 예를들면 매연입자에 의한 추가의 회피의 경우에 더높은 오일 분리도가 중요하기 때문이다.
바로 이 크기등급의 범위에서 에어로졸들로 부터 오일분리는 특히 효과적으로 이루어진다.
또 다른 유리한 계속되는 구성에서는 적어도 하나의 분리 영역의 재료는 오일분리의 과정을 개선하는것으로서 정전기적인 성질들을 갖도록 되어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유리한 계속적인 개발에서 적어도 하나의 분리영역이 친수성 또는 소수성의 성질을 가지도록 되어있다; 즉 이것은 필터요소에서 영향을 미칠수 있는 분리거동을 초래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유리한 계속되는 구성에서는 오일운무분리를 위한 장치에서 하나의 필터요소가 사용할수있게 되어있다. 이것은 이종류의 필터요소들이 예를들면 튜브횡단부 또는 그러나 거의 임의로 성형된 케이싱들 내에서 자유자재하게 삽입할수 있음을 분명하게 만든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유리한 계속형성에서는 특히 내연기관의 흡입관로에서 오일운무분리 장치가 사용할수 있도록 되어 있다. 특히 내연기관의 흡입관로에서의 그러한 장치의 사용은 내연기관내에서 방출-및 오염상황에 관련하여, 특히 예를들면 터빈식 과급기 또는 오일냉각기 및 유사한 부품들과 같은 작용소자들의 수명기간의 상황의 관점에서 앞서가는 특징을 가진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성에서는 내연기관의 블로우-바이-개스(Blow-by-gases)의 탈유(脫油)를 위한 오일운무분리장치가 사용할수있도록 되어있다. 예를들면 대체로 터빈식 과급기를 가지는 디젤엔진들에서는 손상들이나 추가적인 유해물질발생을 피하기 위하여 터빈휠의 그리고 다른 작용요소들을 오일을 함유한 개스들로 채우는 것을 피하여진다.
본 발명의 우선적인 계속적인 구성의 상기한 그리고 또 다른 특징들은 청구범위들과 그리고 또 명세서 그리고 도면들 이외에서 결과하며, 여기서 개별적인 특징들은 각각 그 자체가 단독으로 또는 다수로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서 그리고 다른 영역들에서 세부결합의 형태로 실현되어지며 그리고 여기서 보호가 청구되는 유리한 그리고 그 자체가 보호가능한 실시에 대하여 나타내어질수 있다.
도 1에서 표시된 바와같이 필터요소(1)는 청정개스측부(2)와 원래개스측부(3)를 가진다. 특히 이 필터요소(1)는 원래 개스측부의 지지수단(4)을 거쳐서 만들어 진다. 도 1에 표시된 지지수단(4)은 일부분으로 되고 튜브형상으로된 구멍 뚫린 강판으로되어 있으며 이 구멍 뚫린 강판은 제 1 분리영역(5)에 의하여 둘러쌓여져 있다. 이 분리영역(5)은 튜브형상으로 되어 있으며 구멍 뚫린 강판의 둘레에 감겨져 있는 유리섬유사로 되어 있으며 이 유리섬유사가 상기 지지수단을 형성한다. 제 1 분리영역(5)을 형성하는 상기한 유리섬유 감김의 둘레에는 제 2 분리영역(5)이 배열되어 있다. 이 제 2 분리영역(6)은 도 1에서 표시된 실시예에서는 동시에 필터요소(1)의 외측의 경계 피복을 나타내는 모피로 되어 있다. 이 필터요소(1)는 하나의 개스공급개구(8)를 가지며, 이 개스공급개구를 거쳐서는 탈유하고자 하는 개스혼합물이 공급되어 진다. 상기 개스공급개구(8)는 지지수단(4)의 전면측에 배열되어 있다.
이 개스공급개구(8)를 거쳐서 개스혼합물은 필터요소(1)의 내부에 도달하며 거기서 부터는 오일이 함유된 개스 혼합물은 지지수단(4)의 외피면에 존재하는 구멍들을 거쳐서 다음의 분리영역(5)에 도달한다. 이미 지지수단의 구멍뚫린 강판의 통과에 의해서 상기한 개스혼합물은 오일방울들이 개스 혼합물로 부터 분리하고 그다음에 이 오일방울들은 제 1 분리영역에서 유리섬유사 조직을 따라서 토지중심점까지 움직이는 그러한 방법으로 분리당한다. 개스 혼합물이 구멍뚫린 강판(4)을 둘러싼 후에 이것은 제 1 분리영역(5)에 도달하며 이 제 1 분리영역에서 더 큰 오일방울들은 유리섬유사 감김조직의 표면에 침전하며 이 오일방울들은 마찬가지로 중력에 의하여 개스류로 부터 떨어져 움직인다. 이것에 이어서 잔존하는 오일 부분을 가지는 개스류는 제 2 분리영역(6)에 도달하며, 이 제 2 분리영역에서는 더 작은 오일방울들이 기본사들로되어 있는 모피의 현저하게 더 미세한 조직의 표면에 침전한다.
오일운무분리를 장치(7)는 도 2에서 나타낸 바와같이 필터요소(1)를 수용하고 있는 케이싱(12)으로 되어 있다. 오일운무 분리를 위한 이 장치의 케이싱(12)은 개스공급개구(8)와 그리고 개스배출개구(9)에 의하여 만들어 진다. 도 2에서 나타낸 바와같이 개스공급개구(8)에는 하나의 필터요소(1)가 접합하고 있으며, 이 필터요소는 이 실시예에서는 청정개스측부(2)와 원래개스측부(3)를 가진다. 이 청전개스측부(2)는 케이싱(12) 내에서 2개의 밀봉부들에 의하여 원래개스측부와 분리되어 있다. 개스공급개구(8)의 범위에는 원래측부는 밀봉부(11)에 의하여 청정측부로 부터 분리되어 있다. 구멍뚫린 강판의 전면측에 반대로 놓여진 측방의 범위에는 원래 개스는 구멍뚫린 강판과 케이싱카버(13) 사이에 배열되어 있는 밀봉부(14)에 의하여 청정개스측부와 밀폐되어 있다. 이 케이싱카버(13)는 나사선(15)에 의하여 케이싱(12)과 연결 가능하다. 변형된 구성에서는 후크-, 스프링- 내지 나이프 엣지 잠금장치가 고려될 수 있다. 이 필터요소(1)는 원래개스측부의 지지수단(4)을 거쳐서 만들어 진다. 이 지지수단(4)는 일부분으로된, 튜브형상의, 구멍뚫린 강판으로 되어 있으며, 이 구멍뚫린 강판은 제 1 분리영역(5)에 의하여 둘러쌓여 있다. 이 분리영역(5)은 감겨진 유리섬유사로 되어 있다. 제 1 분리영역(5)을 형성하고 있는 유리섬유 감김의 둘레에는 제 2 분리영역(6)이 링형상으로 배열되어 있다. 이 제 2 분리영역(6)은 동시에 필터요소(1)의 외부의 경계피복을 나타내는 모피로 되어 있다.
상기한 개스공급은 지지수단(4)의 전면측에서 이루어 진다. 여기에 만들어진 개구를 거쳐서 개스혼합물은 필터요소(1)의 내부속으로 도달하며 거기로부터 오일함유된 개스 혼합물은 지지수단(4)의 외피면에 존재하는 구멍들을 거쳐서 반경방향으로 상기 지지수단에 뒤따르는 분리영역(5) 속에로 도달한다. 지지수단(4)의 구멍뚫린 강판의 통과에 의하여 이미 개스 혼합물은 오일방울들이 개스혼합물로 부터 분리되고 이 오일들은 그다음에 제 1분리영역(5)에서 유리섬유사 조직을 따라서 토지중심점에로 움직이는 방법으로 분리를 당한다. 개스 혼합물이 구멍뚫린 강판(4)을 둘러싼 후에 이 개스혼합물은 더 큰 오일방울들이 유리섬유사 감김조직의 표면에 침전되며 이 오일방울드이 마찬가지로 중력에 의하여 개스류로 부터 떨어져 움직이는 제 1 분리영역(5)에 도달한다. 이것에 이어서 잔류한 오일부분을 가지는 개스류가 제 2 분리영역(6)에 도달하며 여기에서 개스 혼합물의 더 작은 오일방울들은 기본사로 되어 잇는 모피의 현저하게 미세한 조직의 표면에 침전하며 그리고 마찬가지로 중력에 의하여 구축되어서 오일 귀환 개구에로의 길을 찾는다. 이러한 방법으로 오일이 없어진 개스는 개스배출개구(9)에 의하여 표시되지 않은 내연기관의 흡입순환로에 도달한다.
분리영역들(5) 및 (6)의 오일 분리요소들의하부에는 이들의 케이싱(12) 내에 오일운무분리를 위한 장치는 오일귀환개구(10)를 가지며, 이 오일귀환 개구는 오일을 함유한 개스가 충분한 거리를 필터요소에 의하여 찾이한 후에, 분리된 오일이, 표시되지는 않은 내연기관의순환로에 귀환한다. 케이싱(12) 내에 오일 귀환개구(10)의 배열이 도 2에 나타내어졌다.
대안이되는 구성에서는 분리영역에서 사용된 재료가 정전기적 특성들을 거쳐서 만들어 진다.
또다른 하나의 구성에서는 분리영역에서의 재료는 하나의 변형에서는 친수성으로 다른 변형에서는 소수성으로 거동한다.
개스류로부터 오일의 분리를 위한 필터삽입물에 적용가능하다.

Claims (10)

  1. 개스류로 부터 오일의 분리를 위한 필터 삽입물에 있어서,
    필터삽이물은 청전개스측부와 원래 개스측부 그리고 또 지지수단을 가지며 그리고 적어도 2개의 상이한 미세도의 분리영역들에 의하여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 삽입물.
  2. 제 1항에 있어서,
    지지수단은 개스 투과성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 삽입물.
  3. 전항들 중의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분리영역은 직조사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 삽입물.
  4. 전항들 중의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분리영역은 상호관련하는 섬유들 또는 기본사들로 부터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 삽입물.
  5. 제 3항 또는 제 4항에 있어서,
    분리영역의 재료는 합성수지, 금속 또는 금속산화물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 삽입물.
  6. 전항들 중의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분리영역의 재료는 정전기적 특성들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 삽입물.
  7. 전항들 중의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분리영역은 소수성 또는 친수성 특성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 삽입물.
  8. 하나의 개스공급개구(4)와 개스 배출개구(5) 그리고 또 오일귀환개구(6)를 가지는 하나의 케이싱을 가지며 오일운무분리를 위한 장치(1)에 있어서,
    필터삽입물은 특히 제 1항에 의하여 사용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9. 제 8항에 있어서,
    오일운무 분리를 위한 장치는 특히 내연기관의 흡입관로에 삽입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0. 제 8항 또는 제 9항에 있어서,
    오일운무 분리장치가 내연기관의 블로우-바이-개스의 탈유를 위하여 사용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KR1019990704025A 1996-11-06 1997-10-07 필터삽입물 KR2000005310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9645666A DE19645666A1 (de) 1996-11-06 1996-11-06 Filtereinsatz
DE19645666.5 1996-11-06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53101A true KR20000053101A (ko) 2000-08-25

Family

ID=78107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704025A KR20000053101A (ko) 1996-11-06 1997-10-07 필터삽입물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6235089B1 (ko)
EP (1) EP0946252B1 (ko)
JP (1) JP2001503323A (ko)
KR (1) KR20000053101A (ko)
BR (1) BR9712886A (ko)
CA (1) CA2271130A1 (ko)
CZ (1) CZ160799A3 (ko)
DE (2) DE19645666A1 (ko)
ES (1) ES2157562T3 (ko)
WO (1) WO199801977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9923093A1 (de) 1999-05-20 2000-11-23 Mann & Hummel Filter Flüssigkeitsabscheider, insbesondere für die Reinigung von Kurbelgehäusegasen mit Abscheidepatrone
FR2799389B1 (fr) * 1999-10-12 2001-12-07 Sofrance Sa Procede et dispositif de traitement de vapeurs emises lors du pompage de liquides renfermant des composes volatils au cours d'operations de nettoyage ou de remplissage.
DE10290271T1 (de) * 2001-01-16 2003-12-18 Toyo Roki Seizo Kk Ölnebelfilter
US6572685B2 (en) * 2001-08-27 2003-06-03 Carrier Corporation Air filter assembly having an electrostatically charged filter material with varying porosity
US6991112B2 (en) 2002-03-05 2006-01-31 Romanow Enterprises, Inc. Disposable filter cartridge
DE10239408A1 (de) 2002-08-28 2004-03-11 Robert Bosch Gmbh Vorrichtung zur Abscheidung von Flüssigkeit aus einem Gasstrom
JP2004195350A (ja) * 2002-12-18 2004-07-15 Wako Industrial Co Ltd エアフィルタ
DE10313192C5 (de) * 2003-03-25 2017-04-13 Volkswagen Ag Brennkraftmaschine und Verfahren zum Betreiben derselben
DE20312074U1 (de) * 2003-08-05 2004-12-23 Volkmann Gmbh Vakuumfördereinrichtung mit einem mehrstufigen Filtersystem
JP2005248926A (ja) * 2004-03-08 2005-09-15 Mitsubishi Fuso Truck & Bus Corp ブローバイガス還流システムのベンチレータ装置
DE102006048076A1 (de) * 2006-10-09 2008-04-10 Mann + Hummel Gmbh Filtereinrichtung, insbesondere zur Filtration von Verbrennungsluft in Brennkraftmaschinen
JP4970216B2 (ja) * 2007-11-07 2012-07-04 株式会社ケーヒン 気体用液体トラップ装置
JP2010144696A (ja) * 2008-12-22 2010-07-01 Toyota Industries Corp フィルタ式気液分離装置
JP5802414B2 (ja) * 2011-03-30 2015-10-28 アルバックテクノ株式会社 オイルミストトラップ
DE102011105482A1 (de) * 2011-06-24 2012-12-27 Hydac Filtertechnik Gmbh Abscheidevorrichtung
AT512506B1 (de) * 2012-08-24 2013-09-15 Ift Gmbh Filtereinrichtung
JP6341043B2 (ja) * 2014-10-02 2018-06-13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オイル除去装置
US10473010B2 (en) 2015-07-01 2019-11-12 Mann+Hummel Gmbh Separation element of liquid separator, separation medium, liquid separator, and method for producing separation element
DE202019104295U1 (de) * 2019-08-05 2020-11-11 Woco Industrietechnik Gmbh Strömungsleitelement, Strömungsleitstruktur und Partikelabscheider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988692A (en) * 1960-06-18 1965-04-07 Locker Ind Ltd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separators for removing liquid particles from air
US4069026A (en) * 1970-06-29 1978-01-17 Bayer Aktiengesellschaft Filter made of electrostatically spun fibres
DE2510225C2 (de) * 1974-03-11 1986-09-11 Pall Corp., Glen Cove, N.Y. Vorrichtung zum Abscheiden von in Gasen schwebenden Flüssigkeiten
US4233042A (en) * 1978-03-06 1980-11-11 Incom International Inc. Air-oil separator
JPS5676018U (ko) * 1979-11-13 1981-06-20
US4759782A (en) * 1985-07-05 1988-07-26 Pall Corporation Coalescing filter for removal of liquid aerosols from gaseous streams
DE3618499A1 (de) * 1986-06-02 1987-12-03 Boris Dipl Ing Koleff Geraet zur reinigung der luft in raeumen
DE8910579U1 (ko) * 1989-02-23 1989-10-26 Branofilter Gmbh, 8501 Dietenhofen, De
AU669420B2 (en) * 1993-03-26 1996-06-06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Oily mist resistant electret filter media
DE4342406C2 (de) * 1993-12-13 1998-02-05 Knecht Filterwerke Gmbh Ölabscheider
US5453116A (en) * 1994-06-13 1995-09-26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Self supporting hot gas filter assembly
DE4427753C2 (de) * 1994-08-05 2001-05-17 Mann & Hummel Filter Ölabscheider
DE19508815A1 (de) * 1995-03-11 1996-09-12 Mann & Hummel Filter Luftentölelement
US5849375A (en) * 1996-07-17 1998-12-15 Minnesota Mining & Manufacturing Company Candle filter
US5782941A (en) * 1996-09-23 1998-07-21 Sumitomo Electric Industries, Ltd. Particulate trap for diesel engin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Z160799A3 (cs) 1999-11-17
BR9712886A (pt) 2001-11-27
EP0946252B1 (de) 2001-03-14
DE19645666A1 (de) 1998-05-07
JP2001503323A (ja) 2001-03-13
US6235089B1 (en) 2001-05-22
CA2271130A1 (en) 1998-05-14
EP0946252A1 (de) 1999-10-06
WO1998019772A1 (de) 1998-05-14
DE59703157D1 (de) 2001-04-19
ES2157562T3 (es) 2001-08-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00053101A (ko) 필터삽입물
JP5308031B2 (ja) 換気フィルタおよび換気用ろ過アセンブリ
US6852148B2 (en) Aerosol separator and method
EP0810352B1 (en) Purifier device for a bleed circuit of an endothermal engine block and a bleed circuit provided with this device
US20110017649A1 (en) Two stage filter cartridge
US9359924B2 (en) Engine crankcase ventilation filter assembly; components; feature; and methods
CA2115954A1 (en) Oil separator for the gases of the crankcase of an internal-combustion engine
ZA985602B (en) Aerosol Separator; and method.
EP1798389B1 (en) Two-stage filtration assembly fo a diesel engine crankcase
JPH0857229A (ja) 油分離器
CN111246924B (zh) 聚结分离器、具体地用于曲轴箱通气系统的聚结分离器、曲轴箱通气系统和聚结分离器的使用
CN104415610B (zh) 过滤部件和具有过滤部件的过滤系统
CN107106945A (zh) 包括流罩的过滤器组件
CA1097161A (en) Pre-cleaner for combustion engines
KR100790815B1 (ko) 연료 여과기의 유수분리용 연료필터
US5837018A (en) Oil mist separating element
JP2000328923A (ja) 組立体
US20120159911A1 (en) Crankcase filter
DE102009005550A1 (de) Beheizbarer Flüssigkeitsabscheider, insbesondere zum Reinigen von Kurbelgehäusegasen
DE102016009487A1 (de) Abscheideelement, Vorrichtung sowie Verfahren zur Abscheidung von Flüssigkeit aus Rohgas oder aus Rohgasgemisch einer Kraftmaschine/Kompressors
US20030115842A1 (en) Air filter for engine
KR20050085943A (ko) 내연기관을 위한 장치
US7255722B2 (en) Gas filter
MXPA99004191A (en) Filter insert
US6596043B1 (en) Air/oil separator tank with permanent drain lay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