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49483A - 음성신호 비교를 이용한 외국어회화 학습장치 - Google Patents

음성신호 비교를 이용한 외국어회화 학습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49483A
KR20000049483A KR1020000015954A KR20000015954A KR20000049483A KR 20000049483 A KR20000049483 A KR 20000049483A KR 1020000015954 A KR1020000015954 A KR 1020000015954A KR 20000015954 A KR20000015954 A KR 20000015954A KR 20000049483 A KR20000049483 A KR 2000004948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arning
present
learner
foreign language
convers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159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헌
오세영
Original Assignee
이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헌 filed Critical 이헌
Priority to KR10200000159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00049483A/ko
Publication of KR200000494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49483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9/00Teaching not covered by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G09B19/06Foreign languag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0Education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17/00Speaker identification or verification techniqu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Electrically Operated Instructional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미리 준비된 표본 음성신호와 학습자가 음성으로 입력한 음성신호를 비교함으로써 학습자가 정해진 회화문의 문장을 정확하게 구사하였는지, 발음이 정확한지, 액센트가 정확한지를 평가하는 방법으로 외국어 학습을 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장치는 학습자가 외국어 회화를 익힘에 있어 가장 중요한 두 가지의 요소인 완결된 회화문의 구사와 딕션이 맞았는지 틀렸는지를 조력자의 도움이 없이도 스스로 확인을 해가면서 반복적으로 학습을 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장치는 학습자의 외국어 회화가 정확한 문장인지, 정확한 발음인지, 액센트가 정확한지 등을 즉시에 측정하여 평가하고 그 평가를 학습자에게 곧바로 제공한다. 본 발명의 학습자의 회화 평가는 미리 준비된 표준 음성신호와 학습자가 입력한 음성신호를 비교함으로써 이루어지는데 본 발명에 있어 비교되는 음성신호는 아날로그 신호일 수도 있고 디지털 신호일 수도 있다. 본 발명에 있어 표준 신호와 입력된 신호의 비교는 표본신호에 대한 음성신호의 비교값을 산출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지는데, 신호의 패턴이 비슷한가, 음의 고저가 비슷한가, 액센트가 동일한 위치에 있는가에 따라 각각의 사항에 대한 비교값이 산출이 되며 그 비교값에 따라 '귀하의 회화는 정확하였습니다', '귀하의 회화는 부정확하였습니다', '귀하는 틀린 문장을 구사하셨습니다' 또는 '귀하의 발음은 정확하였습니다', '귀하의 발음은 부정확하였습니다', '귀하의 발음은 틀렸습니다' 또는 '귀하의 액센트는 문제가 없습니다', '귀하의 액센트에 문제가 있습니다' 등의 평가가 내려지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는 두 가지 방법으로 이루어지는데 하나는 학습자가 미리 설정한 정보에 따라 학습자의 수준에 맞는 회화문을 일정한 시차를 두고 반복적으로 학습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장치가 자동으로 작동이 되어 실시가 되는 것이고 다른 하나는 학습자의 요청에 의해 학습이 실시되는 것이다. 앞의 방법은 학습자의 외국어 회화 수준이 향상되도록 미리 패턴 별·수준별로 분류가 되어 있는 프로그램에 의해 순차적으로 진행이 되는 것이고 뒤의 방법은 학습자가 당면하게 알고자 하는 회화문을 학습자가 숙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회화뿐만 아니라 용법이나 단어에 대하여서도 앞서의 방법으로 학습을 유도한다. 단어와 용법의 학습에는 테스트가 포함이 된다.
본 발명의 장치는 외부접속부를 통하여 PC와 연결이 될 수 있고 또 인터넷이나, 이동통신단말기와 결합이 되어 외부의 학습조력기관의 조력을 받을 수도 있다.
또 본 발명의 장치는 다른 목적을 가진 학습장치로 사용이 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장치는 골프학습이나 또는 요리학습, 다이어트프로그램, 증권기술 어드바이스, 역사학습, 시사학습 등을 가능하게 한다. 이와같은 주제학습에 관해서도 이용자들은 본 발명의 장치의 조언에 따라 학습을 하고 또 부지불식간에 조언을 요청하여 해당 질의에 대한 답변을 즉각적으로 받을 수 있다. 골프의 경우 이용자들은 필드에서 바람이나 라이에 어떻게 대처를 하여야 하는가, 계산을 어떻게 해야하는가에 대해 조언을 받을 수 있다. 요리의 경우 이용자들은 급작스럽게 만들어야 하는 요리를 어떻게 조리하여야 하는지에 대해 조언을 받을 수 있다. 다이어트의 경우 이용자들은 자신이 섭취한 음식과 자신의 운동량에 대한 계산을 제공받아 비만의 위험성이 있는 칼로리 초과 상태에 대처를 할 수 있다. 증권의 경우 이용자들은 거래소에서 이용자가 질의한 해당 주식에 대한 정보나 미래에 대한 전망과 가장 적절한 투자기법 등을 조언 받을 수 있다. 역사학습이나 시사학습의 경우 이용자들은 자신이 알고 싶어하는 문제들에 대한 자세한 답을 얻을 수 있다.

Description

음성신호 비교를 이용한 외국어회화 학습장치{Foreign language learning system using a method of voice signal. comparison}
본 발명은 외국어 회화를 학습하는 장치로서 학습자가 외국어 회화를 익힘에 있어 가장 중요한 두 가지의 요소인 완결된 회화문의 구사와 딕션이 맞았는지 틀렸는지를 조력자의 도움이 없이도 스스로 확인을 해가면서 반복적으로 학습을 하도록 하는 장치이다. 기존의 기술로는 단어테스트 기능을 가진 전자사전, 단어와 문장 테스트를 실행하는 영어학습 장치, 테이프를 통하여 회화를 반복 연습하도록 하는 장치 등이 있다. 그런데 이와 같은 장치들은 모두 외국어의 학습에 있어 치명적인 결함을 가지고 있다.
단어나 문장의 테스트 장치는 독해력이나 단어 학습에는 도움을 주지만 외국어 학습에 있어 가장 중요한 실전적인 회화문의 구사 및 청취 이해에는 거의 도움을 주지 못한다. 왜냐하면 외국어 학습 특히 회화에 있어서는 완결된 문장의 실전적 이해 및 구사가 중요하고 또 발음이 중요한데 앞의 방법은 그것에 전혀 도움이 되지 못하는 것이다.
테이프 또는 메모리 칩에 의한 회화의 반복 연습 방법 역시 한계가 있다. 도대체 자신이 구사한 외국어 회화가 맞는 것인지 발음과 액센트가 정확한지 평가할 방법이 실질적으로 없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극복하는 방법을 제시하고자 한다.
결국 외국어 회화를 잘하려면 완결된 하나의 회화문들을 외우는 것과 정확한 발음을 숙지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 두 가지의 요건을 충족시키는 것이 외국어를 학습하는 가장 옳은 방법이다. 본 발명은 앞의 두 가지 중요한 요건을 충족시키고자 한다. 또 외국어를 습득하는데 있어 간과해서는 안될 사항이 있는데 그것은 학습자가 회화문을 잊지 않고 기억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는 것이다. 인간의 기억력은 짧은 시간에 외운 것은 시간이 지나면 대부분 잊도록 되어 있다- 한번 암기한 것이 두뇌에 머무르는 시간은 약 3분이다. 그러므로 인간의 기억 속에 학습 내용을 잊지 못하게 각인을 시키려면 상당한 정도의 시차를 두고 반복적으로 학습내용을 주입시켜야 한다. 본 발명은 그 방법으로 하나의 독립된 문장을 아침, 점심, 저녁, 밤에 걸쳐 문자와 음성으로 4회 이상 학습자에게 주입을 시키고 일주일 후에 다시 한 번 반복을 함으로써 학습자가 완전하게 하나의 독립된 문장을 숙지하고 정확한 발음으로 구사를 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한다.
어쨌든 본 발명은 학습자가 완결된 회화문을 정확한 딕션으로 자유롭게 구사하고 또 다른 사람이 구사하는 외국어 회화를 완벽하게 이해하여 들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자동 또는 학습자의 요청에 의한 외국어의 딕션 평가 장치를 만들어 사용자들의 외국어 학습을 돕고자 한다. 본 발명의 평가장치는 우선 표본 신호를 본 발명의 장치에 준비해두고 학습자들의 해당 회화의 음성신호를 표본신호와 비교하여 학습자의 딕션이 맞는 문장인지, 발음은 정확한지, 액센트의 위치와 크기가 적절한지 등을 평가한다. 그리고 그러한 평가를 학습자에게 제공하여 반복 연습을 하게 함으로써 학습자들의 외국어 회화 능력을 배가시키고자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를 구현하는 FLL 시스템의 구성도를 나타낸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FLL 시스템의 전체처리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초기설정 처리 순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회화학습 처리 순서도(FLL에 의한 자동 학습)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각종 모드 처리 순서도(학습자의 요청에 의한 학습)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학습자와 FLL장치간의 데이터 처리 절차 흐름도(FLL장치 자동 시작)로 도 4의 신호를 중심으로 설명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학습자와 FLL 장치간의 데이터 처리 절차 흐름도(학습자의 요청에 의한)로 회화모드, 문법모드, 단어모드가 어떻게 시작 되는가를 나타낸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장치가 구현되는 FLL 장치의 외부도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에 있어 FLL 장치에 의한 학습 과정 예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에 있어 학습자의 요청에 의한 학습과정 예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음성신호 비교의 예
본 발명은 외국어 회화를 학습하는 장치로서 학습자가 외국어 회화를 익힘에 있어 가장 중요한 두 가지의 요소인 완결된 회화문의 구사와 딕션이 맞았는지 틀렸는지를 조력자의 도움이 없이도 스스로 확인을 해가면서 반복적으로 학습을 하도록 하는 장치이다. 본 발명의 장치는 학습자의 외국어 회화가 정확한 문장인지, 정확한 발음인지, 액센트가 정확한지 등을 즉시에 측정하여 평가하고 그 평가를 학습자에게 곧바로 제공한다. 본 발명의 학습자의 회화 평가는 미리 준비된 표준 음성신호와 학습자가 입력한 음성신호를 비교함으로써 이루어지는데 본 발명에 있어 비교되는 음성신호는 아날로그 신호일 수도 있고 디지털 신호일 수도 있다. 본 발명에 있어 표준 신호와 입력된 신호의 비교는 표준신호에 대한 음성신호의 비교값을 산출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지는데, 신호의 패턴이 비슷한가, 음의 고저가 비슷한가. 액센트가 동일한 위치에 있는가에 따라 각각의 사항에 대한 비교값이 산출이 되며 그 비교값에 따라 '귀하의 회화는 정확하였습니다', '귀하의 회화는 부정확하였습니다', '귀하는 틀린 문장을 구사하셨습니다' 또는 '귀하의 발음은 정확하였습니다', '귀하의 발음은 부정확하였습니다', '귀하의 발음은 틀렸습니다' 또는 '귀하의 액센트는 문제가 없습니다', '귀하의 액센트에 문제가 있습니다' 등의 평가가 내려지게 된다- 평가 안내문은 상품화의 시점에서 다시 조정이 된다.
본 발명의 실시는 두 가지 방법으로 이루어지는데 하나는 학습자가 미리 설정한 정보에 따라 학습자의 수준에 맞는 회화문을 일정한 시차를 두고 반복적으로 학습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장치가 자동으로 작동이 되어 실시가 되는 것이고 다른 하나는 학습자의 요청에 의해 학습이 실시되는 것이다. 앞의 방법은 학습자의 외국어 회화 수준이 향상되도록 미리 패턴별·수준별로 분류가 되어 있는 프로그램에 의해 순차적으로 진행이 되는 것이고 뒤의 방법은 학습자가 당면하게 알고자 하는 회화문을 학습자가 숙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어쨌든 본 발명의 장치가 자동으로 가동이 되어 학습이 진행이 되든, 학습자의 요청에 의해 학습이 진행이 되든 학습자가 최초로 학습한 내용은 하루에 4차례에 거쳐 학습자의 주의를 환기시키며 제공이 되고(선택 지정을 하면 회수의 조정이 가능하다) 일주일 후에 다시 복습이 진행이 되는데 이때 만약 학습자가 당면한 학습 내용을 시행하지 않거나 또는 현저하게 잘못된 학습을 하게 되면 본 발명의 장치는 해당 학습 내용이 미처리된 것으로 간주하여 반복적으로 학습자에게 고지를 시켜 학습자가 해당 학습내용을 반드시 숙지토록 한다. 이와 같은 방법은 학습자의 나태에 의한 학습의 지체를 막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장치가 시간차를 두고 학습자에게 학습내용을 고지하는 이유는 외국어 회화를 익힘에 있어 앞서 밝힌 정확한 문장의 구사와 정확한 발음 말고도 학습자의 기억에 해당 학습 내용이 완전하게 안착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인간의 뇌는 당장에 암기한 내용을 3분 이내에 거의 대부분 잊도록 프로그램이 되어 있다. 이때 눈으로 암기하는 것이 아니라 직접 발음을 하거나 또는 실전적으로 대화를 해보는 방식을 택한다면 학습자는 학습 내용의 50% 정도를 기억할 수 있다. 하지만 몇 시간 후면 다시 학습 내용은 20% 정도밖에 기억이 나지 않으며 하루가 지나면 거의 대부분 잊게 된다. 따라서 기억이 완전히 소실되지 않는 시점에 학습한 내용은 반복적으로 다시 기억되어야 한다. 본 발명은 앞서 밝힌 방법 즉 시차를 두고 기억의 소실을 막는 방법으로 학습자의 외국어 회화 학습을 돕고자 하고자 한다. 물론 현실적인 이유로 해서 본 발명의 지정학습은 하루에 4차례 그리고 일주일 후에 복습을 하도록 되어 있다- 일반인들의 경우 완전하게 기억을 하도록 하는 방식으로 프로그램을 짤 경우 일상생활에 문제가 발생함으로 본 발명의 지정학습은 대체로 하루에 4차례에 걸쳐 한가한 시간에 학습하도록 되어 있다- . 하지만 이와 같은 지정은 조정을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장치는 앞서 밝혔듯이 하루에 4차례에 걸쳐 학습하도록 되어 있는데 1지정은 직장인들을 위한 것으로 5시간마다 학습이 반복되도록 되어 있으며(7:00, 12:00, 17:00, 22:00), 2지정은 비교적 시간에 구애받지 않는 일반인들을 위한 것으로 3시간, 5시간, 6시간의 차를 두고 학습이 반복되도록 되어 있다(9:00, 12:00, 17:00, 23:00). 그리고 선택 지정을 할 수도 있는데 이 경우에는 횟수와 시간을 자유롭게 조정할 수 있다. 선택 지정은 학생들에게 적합할 것이다. 이와 같은 시차를 둔 반복적인 학습이 시행이 되면 학습자들은 학습을 시작한 회화문을 완벽한 발음과 문장으로 숙지하여 구사를 할 수 있게 될 것이다.
본 발명의 장치는 학습자들에게 외국어 회화 학습을 시행함에 있어 다음과 같은 방법을 채택하고 있다. 이와 같은 방식은 한번 학습을 시작한 해당 회화문을 학습자가 완전하게 숙지하고 또한 실전적으로 구사를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장치는 학습자에게 정해진 시간에,
가) 1차로 표시창과 알람음을 통하여 학습의 시작을 알리고 학습해야 할 내용을 표시창에 문자로 표시한다- 기본적으로는 영문이 제공이 되고 정해진 버튼(①버튼)을 누르면 번역문이 나타나도록 한다. 최초로 학습을 할 경우에는 번역문이 필요하겠지만 반복 학습을 할 경우에는 번역문을 보지 않는 것이 학습에 도움이 된다. 학습자들은 표시창에 나타난 회화문을 이용하여 정확한 문장을 숙지하고 반복적으로 암기하여 숙지를 한다. 1차 학습을 완료하였다고 판단이 되면 학습자는 완료 버튼(※버튼)을 눌러 2차 학습을 요구한다.
나) 2차로 제공이 되는 것은 용법이다. 본 발명의 장치는 학습자가 보다 정확하게 해당 학습 내용을 익히도록 하기 위해 용법을 표시창에 나타내고 해당 용법에 따른 다른 문항의 예를 추가로 표시창에 제시한다. 학습자는 표시창에 나타난 용법을 숙지하여 최초로 제시된 회화문을 다시금 이해하고 추가로 제시된 문항 역시 이해하여 숙지토록 한다. 2차 학습이 완료되었다고 판단이 되면 학습자는 완료 버튼(※버튼)을 눌러 3차 학습을 요구한다.
다) 3차로 제공이 되는 것은 정확한 발음이다. 본 발명의 장치는 미리 준비된 해당 학습 내용의 회화문을 정확한 발음으로 "따라 하십시오."라는 안내문과 함께 학습자에게 제공을 한다. 학습자는 본 발명의 장치가 제공하는 표준 발음을 흉내내어 반복적으로 연습을 한다. 어느 정도 정확한 회화의 구사가 가능해졌다고 판단이 되면 학습자는 3차 학습의 완료를 버튼(※버튼)을 눌러 알리며 4차 학습을 요구한다.
라) 4차 학습은 실전 회화이다. 본 발명의 장치는 도 9에 자세히 나와 있듯이 A항과 B항으로 나누어져 있는 회화문 중 먼저 A항에 해당하는 대화문을 "B의 대화를 말하세요."라는 음성 안내와 함께 음성으로 학습자에게 제공한다. 학습자는 본 발명의 장치가 제공하는 A항의 대화가 끝나면 B의 대화를 시행한다. 몇 차례의 반복 연습이 끝나면 이번에는 본 발명의 장치가 "A의 대화를 말하세요."라는 음성안내를 스피커로 내보내고 앞의 학습과정이 반대로 진행이 된다. 5차는 학습이 아니라 평가이다. 이때에는 학습자의 완료 신호가 없이 시행이 된다.
마) 본 발명의 장치는 라) 항의 학습이 끝나면 평가와 새로운 음성 안내를 학습자에게 고지한다. 예를 들어 아래와 같은 내용이 학습자에게 고지될 수 있다.
평가 : "귀하의 발음과 액센트가 틀렸습니다."
안내 : "반복 연습을 하시겠습니까?"
안내 : "반복을 하시려면 1번 버튼을 누르십시오."
이와 같은 방법은 본 발명의 장치가 자동으로 작동이 되어 시행하는 것이다.
그런데 본 발명의 장치가 자동으로 작동이 되어 시행하는 외국어 회화학습만으로는 학습자의 외국어 회화 능력이 효과적으로 향상될 수 없다. 왜냐하면 학습자의 당면한 필요에 의해 학습되어지는 외국어 회화 학습만큼 효과적인 것은 없기 때문이다. 본 발명의 장치는 학습자의 요청에 의한 학습 역시 본 발명의 장치가 구현하고자하는 학습의 과정에 포함시키고자 한다. 이 경우의 과정은 아래와 같다.
가) 선택 모드 중에 학습 모드를 선택한다.
나) 학습 모드 중에 회화모드를 선택한다.
다) 요청하는 회화문의 핵심 단어를 입력한다.
라) 요청된 회화문의 학습이 실행된다. - 라)의 과정은 앞서의 본 발명의 장치에 의한 학습의 과정과 동일하다. 즉 앞 페이지의 가)∼마)까지의 학습 과정 실행이 된다.
마) 요청된 회화문이 본 발명의 장치에 의한 학습의 진도에 포함된다. - 따라서 요청된 회화문은 본 발명의 장치에 의한 학습 진도와 마찬가지로 미리 입력된 지정에 따라 반복적으로 시차를 두고 학습자에게 고지되어 복습이 되게 된다.
본 발명의 장치는 외국어 회화 학습 말고도 다른 학습 방법의 수단을 가지고 있는데 그것은 바로 단어와 문법의 학습이다. 단어의 학습은 다음과 같은 과정을 통하여 이루어진다.
가) 선택 모드 중에 학습 모드를 누른다.
나) 학습 모드 중에 문법 모드를 누른다.
다) 해당 주제어를 입력한다.
라) 해당 주제어와 관련된 용법이 나타난다.
마) "숙지하였는가?"라는 안내문이 표시창에 나타난다. 이때 숙지를 하였으면 YES 버튼(※)을 누르고 숙지하지 못하였으면 NO 버튼(#)을 누른다. - YES 버튼(※)을 누르면 다음 단계가 시행이 되고 NO 버튼(#)을 누르면 라)항이 반복된다.
바) YES 버튼(※)을 누른다.
사) 테스트 문항이 나타난다. - 바다에 가고 싶다. / I ( ) ( ) go the beach.
아) 빈칸에 'want to'을 입력한다.
자) '맞습니다'가 표시창에 나타난다. - 틀렸을 경우에는 '틀렸습니다'가 나타난다. 이 경우에는 반드시 맞는 답을 입력하여야 하며 맞을 경우에는 다음 단계로 넘어 간다.
차) '반복하시겠습니까'가 표시창에 나타난다. NO 버튼을 누르면 종료되고 YES 버튼을 누르면 다음 학습이 진행이 된다. 만약 YES를 선택하였다면?
카) 다음 테스트 문항이 나타난다. - 쉬고 싶다. / I ( ) ( ) take rest.
타) 빈칸에 'want to'을 입력한다.
파) '맞습니다.'가 나타난다.
하) NO를 선택한다. - 종료가 된다. 이렇게 학습이 된 용법의 테스트 문항은 앞서의 외국어 회화 학습과 마찬가지로 시차를 두고 반복적으로 복습이 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장치가 구현하는 단어 학습은 다음과 같은 과정을 통하여 이루어진다.
가) 선택 모드 중에 학습 모드를 누른다.
나) 학습 모드 중에 단어 모드를 누른다.
다) 알고 싶은 단어를 한국어(또는 영어)로 입력한다.
라) 해당 질의 단어에 대한 영문 풀이(또는 한국어 풀이)가 나타난다.
마) "숙지하였는가?"라는 안내문이 표시창에 나타난다. 이때 숙지를 하였으면 YES 버튼(※)을 누르고 숙지하지 못하였으면 NO 버튼(#)을 누른다. - YES 버튼(※)을 누르면 다음 단계가 시행이 되고 NO 버튼(#)을 누르면 라)항이 반복된다.
바) YES 버튼(※)을 누른다.
사) 테스트 문항이 나타난다. - 대학은? / ( ) ( )
아) 빈칸에 'college'와 'university'를 입력한다.
자) '맞습니다'가 표시창에 나타난다. 틀렸을 경우에는 '틀렸습니다'가 나타난다. 이 경우에는 반드시 맞는 답을 입력하여야 하며 맞을 경우에는 다음 단계로 넘어 간다.
차) '반복하시겠습니까'가 표시창에 나타난다. NO 버튼을 누르면 종료되고 YES 버튼을 누르면 다음 학습이 진행이 된다. 만약 YES를 선택하였다면?
카) 대학과 관련이 된 다음 테스트 문항이 나타난다. - 대학 교수는? / ( ), 대학 교육은? / ( ) 순으로 계속 될 수 있다.
타) 빈칸에 'a university[college] professor', 'a university[college] education; college training' 따위를 입력한다.
파) '맞습니다.'가 나타난다.
하) NO를 선택한다. - 종료가 된다. 이렇게 학습이 단어 테스트 역시 앞서의 외국어 회화 학습과 마찬가지로 시차를 두고 반복적으로 복습이 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장치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학습자의 음성 신호를 평가하는 것이다.
도 11는 학습자의 아날로그 음성신호와 아날로그 표본신호를 비교하는 방법을 예시한 것이다.
도 11에서도 볼 수 있듯이 본 발명에 있어 학습자의 회화 평가는 표본 음성신호를 얼마나 정확하게 따라 하느냐에 의해 평가된다. 다시 말해서 본 발명의 장치는 가장 바람직한 딕션의 회화 표본을 제시하고 학습자가 그 회화 표본을 반복적으로 연습을 하여 보다 정확하고 수준이 높으며 품위가 있게 외국어를 구사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장치는 개성적인 회화 또는 특이점이 있는 회화는 인정하지 않는다. 물론 그와 같은 점들이 학습자의 회화가 옳지 않다는 것을 증명하는 것은 결코 아니지만 본 발명의 장치를 사용하여 외국어 회화 학습을 하고자 하는 사람들은 여기서 제시된 표본 회화와 다른 개성과 특이점을 가지고서 있지만 대단히 훌륭하게 해당 언어를 구사하고 있는 사람들이 전혀 아니므로 본 발명의 장치는 학습자들이 본 발명의 장치가 제시한 표본 회화의 딕션을 거의 똑같도록 발음해야만 학습자의 해당 회화문의 딕션이 맞는 것으로 간주를 한다. 또 본 발명의 장치는 음성인식 및 번역 장치를 이용하여 학습자의 딕션에 대한 평가를 내리지 않는데, 그 이유는 현재 음성인식 및 번역에 관한 프로그램 장치들의 인식률이 완벽하지 못하기 때문이다. 현재 음성인식 및 번역에 관한 프로그램 장치들은 모든 음성신호에 대해 반응을 하도록 되어 있고 그렇기 때문에 인식된 음성신호를 완벽하게 지금 현재까지는 인식을 하지 못하고 있다. 앞으로 음성인식 및 번역 프로그램 장치들이 거의 완벽에 가깝게 인식을 할 수 있게 된다면 본 발명의 장치는 학습자의 딕션에 대한 평가를 그러한 장치들을 사용할 것이다. 하지만 지금 현재로써는 본 발명의 장치는 학습자의 음성신호가 표본 신호와 얼마나 근사값을 가지고 있느냐로 학습자의 외국어 회화 딕션을 평가코자 한다.
평가 방법은 도 11에 나타난 바와 같이 학습자의 음성신호가 얼마나 표본 신호와 비슷한 패턴을 가지고 있느냐, 각 부분의 높낮이가 얼마나 근사값을 가지고 있느냐, 액센트의 위치가 맞느냐 틀리느냐로 결정을 한다. 이와 같은 방법은 대단히 위험성이 높아 보이기는 하지만 실제적으로는 대단히 효율적이고 경제적이다. 왜냐하면 학습자에게 요구된 사항이 표본 신호를 따라 하라는 것이었으므로 학습자가 표본신호를 정확하게 흉내를 내기만 한다면 본 발명의 장치는 대단히 정확하게 학습자의 딕션의 옳고 그름을 판별할 수 있다. 도 11에 예시가 되어 있듯이 (A)항은 표본 신호이다. 그리고 (B), (C), (D), (E) 항은 학습자가 입력한 신호이다. (B)항에 예시된 신호를 (A)항에 예시된 표본 신호와 비교해보면 학습자가 입력한 신호가 표본 신호와 완벽하게 같다고 할 수는 없지만 대체로 비슷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우선 전체의 패턴이 유사하고 각각의 부분의 유형도 비슷하며 각각의 유형의 연결성이 또한 비슷하다. 그리고 특이점에 해당하는 액센트의 위치와 크기 역시 비슷하다. 따라서 이 경우에 본 발명의 장치는 학습자의 발음과 액센트 그리고 문장이 요구한 답과 같다고 간주를 한다. (C)항에 예시된 신호는 (A)항에 예시된 신호와 대체로 비슷하고 특이점, 즉 액센트의 위치도 맞지만 각각의 부분의 높낮이가 표본 신호와 다르다. 그러므로 이 경우 본 발명의 장치는 학습자의 발음이 틀렸다고 평가를 한다. (D)항에 예시된 학습자의 입력신호는 (A)항에 예시된 표본 신호와 대체로 유사하지만 액센트가 있어야 할 곳에 액센트가 없다. 그러므로 이 경우 본 발명의 장치는 액센트가 틀렸다는 평가를 내린다. (E)항에 입력이 된 학습자의 음성신호는 (A)항에 예시된 표본신호와 어떤 유사점도 없다. 전체적으로 신호의 패턴이 다르며, 각각의 부분의 높낮이나 각각의 부분의 연결성 역시 다르며 액센트의 위치나 크기 또한 전혀 다르다. 그러므로 이 경우에 본 발명의 장치는 학습자가 마이크를 통해 입력한 회화가 완전히 틀린 문장이거나 혹은 완전히 엉터리로 발음을 하였다고 평가를 한다.
상기와 같은 측정방법에서 완전히 틀린 답을 옳은 답으로 잘못 평가할 위험성은 액센트 말고는 없다. 왜냐하면 하나의 문장에 대해 표본 음성 신호를 제시하여 놓은 상태에서 다른 문장을 어떤 방법으로 읽는다해도 표본 음성신호와 전체의 패턴을 갖게 하면서 각 부분의 높낮이마저 비슷하게 하면서 각각의 부분의 연결 패턴마저 유사하게 하기는 거의 불가능에 가깝기 때문이다. 본 발명의 장치는 오류를 줄이기 위하여 우선 전체의 패턴이 유사하고 연결성이 비슷해야 '문장이 맞다' '발음이 맞다' 등의 평가를 내릴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장치는 전체의 패턴과 연결성이 맞다는 전제가 먼저 충족이 되어야 발음을 판정할 수 있도록 조정이 된다. 따라서 앞의 조건이 충족이 되었다는 전제하에 각 부분의 높낮이와 패턴이 비슷하다면 '발음이 정확하다'로 판정을 내려지게 되며, 비슷하지 않다면 '발음이 틀렸다'로 판정을 내리게 된다. 액센트의 경우에도 마찬가지이다. 전체의 패턴과 각 부분의 연결성이 근사값을 가져야 액센트가 '맞다' '틀렸다'로 판정을 내리지 근사값을 가지지 않는다면 학습자가 전혀 다른 문장을 말하고 있거나 또는 엉터리로 문장을 발음하고 있다고 본 발명의 장치는 간주를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장치의 평가 방법은, 물론 학습자의 해당 음성신호가 해당 언어의 회화에 있어 비록 본 발명의 장치가 요구한 답은 아니지만 문법적으로나 또는 딕션에 있어 맞는 것에 해당한다는 사실을 알아낼 도리는 없다. 하지만 이제 해당 외국어 회화를 습득하려고 하는 초보 학습자에게 표본 음성신호를 제시하고 그것을 따라하도록 하며 따라한 딕션이 맞는지 그렇지 않은지를 판정하는 수단으로써는 본 발명의 장치가 제시한 측정 방법만큼 평가의 정확성을 가지는 것도 별로 없다. 왜냐하면 본 발명의 장치가 채택한 측정 방법이 어떻게 보면 대단히 조악한 방법 같지만, 사실인즉 현대에 와서 그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는 이른바 복잡성을 측량하는 수단들을 본 발명이 채택하고 있기 때문이다. 복잡성을 계산하는 방법으로 지금까지 제시된 최선의 계산법은 측정하고자 하는 극히 혼란스러운 문제의 각각의 요소들을 모두 계산하지 않고- 그것은 사실상 불가능하다- 계산하고자 하는 문제에 나타나 있는 전체의 패턴과 각 부분의 패턴 그리고 연결성, 특이성 등을 파악하는 것이다. 그러한 견지에서 본 발명이 채택하고 있는 음성신호의 비교값 산출을 통한 회화 딕션의 평가 방법은 지금 현재로써는 번역 장치가 아니라는 전제하에 가장 효과적인 방법이라고 할 수 있다.
이상 언급한 본 발명의 장치의 실시 예를 도면을 통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본 발명의 장치는 사용자가 간편하게 휴대를 하고 다닐 수 있을 정도의 크기와 형상으로 되어 있으며 본 체의 내부에는 컴퓨터를 이루는 제어부(CPU)(11) 등이 구비되며 본체의 외부에는 외부에 데이터를 송출하거나 또는 입력하는 수단인 외부접속부(21)가 구비된다. 이 외부접속부를 통하여 본 발명의 장치는 외부의 컴퓨터 (22)와 연결이 되어 본 발명의 장치에 수록되어 있는 학습자에 대한 데이터나 외부에 있는 학습자에 대한 데이터를 송수신하게 되며 또 본 발병의 장치를 업그레이드 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다운받을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장치는 상기의 외부접속부를 통하여 통신수단(MS)(23)과 연결을 함으로써 통신망에 연결이 된 외부의 학습조력기관으로부터 업그레이드된 학습 데이터나 혹은 프로그램 등을 제공받을 수 있으며 또 조력기관이 제공하는 특화된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 좀 더 자세히 설명을 한다면 본 발명의 장치가 외부접속부(21)를 통하여 이동통신의 단말기(23)와 결합이 되게 되면 보다 향상된 서비스가 가능하게 된다는 말이다. 왜냐하면 본 발명의 장치가 단독으로 존재를 하게 될 때에는 최초로 출시된 상품의 성능만을 가지게 되지만 현재 급속하게 발달하고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23)와 결합이 되게 된다면 움직이는 학습수단인 동시에 인터넷 또는 이동통신망과 연결이 된 학습조력기관으로부터 다양한 컨텐츠들, 예를 들어 MP3를 통한 외국어 음악 학습 서비스, 외국어 정보 컨텐츠 등을 추가로 받을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제어부(CPU)(11)는 키입력부(12)로부터 입력이 되는 키입력데이터나 위치검출회로(18)가 있을 경우에는 액정화면의 표시부(13)에 나타나도록 되어 있는 태블릿(14)을 통하여 입력이 되는 터치펜(P)에 의한 터치위치데이터에 따라 ROM(16)에 미리 기억되어 있는 시스템프로그램을 기동시키고, 또 기록매체(20)에 미리 기억되어 있는 음성신호 비교를 이용한 외국어 회화 학습 제어용 프로그램을 기동시키고 또 외부접속부(21)를 통하여 입력이 되는 데이터를 ROM(16)과 RAM(17)에 반영을 시켜 조정이 되거나 계산되도록 하고, 또 RAM(17)을 작업메모리로 회로의 각부의 동작제어를 실시한다.
이 제어부(CPU)(11)에는 키입력부(12) 표시구동회로(15) 태블릿(14) 위치검출회로(18) ROM(16) 기록매체판독부(19) 외부접속부(21)가 접속이 되어 있고, 액정표시부(13)와 기록매체(20)와도 간접적으로 연결이 되어 있다.
액정표시부는 제어부(CPU)(11)의 명령사랑을 표시구동회로(15)를 통하여 전달받아 액정화면에 각종 화상을 구현한다. 만약 본 발명의 장치가 보다 향상된 방식으로 구현이 된다면 본 발명의 장치가 구현하는 각종 화상에는 아이콘은 물론 각종의 상황을 설명하는 그림 및 캐릭터 등이 포함되어 질 수 있다. 만약 본 발명의 장치가 이동통신 단말기와 결합이 되어 있다면 본 발명의 장치의 액정표시부는 이동통신단말기의 액정표시부가 되게 된다. 키입력부(12)에는 전자수첩 또는 이동통신단말기의 키입력부와 같은 정도의 입력수단을 가지고 있는데 숫자와 문자를 입력할 수 있는 키와 메뉴, 저장, 검색, 한영변경키와 기능을 조정하거나 또는 YES를 나타내는 ※표의 키 그리고 삭제 또는 NO를 나타내는 #표의 키 등이 있을 수 있다. 각각의 키의 기능은 상품화의 과정에서 확정이 되는데 일반적인 경우와 거의 비슷하게 될 것이다. 태블릿(14)은 본 발명의 장치가 위치검출회로를 장착하고 있고 액정화면의 표시부에 위치감지전자평판이 설계되어 있을 때에 사용을 할 수 있다. 만약 본 발명의 장치가 각종 다양한 그림과 캐릭터를 표시부에 나타내는 정도로 기능이 향상이 되어 있다면 본 발명의 장치에 장착이 된 위치감지 전자평판에는 각종의 태블릿이 가능하게 되고 학습자들은 태블릿을 통하여 자신의 의사결정을 본 발명의 장치에 내릴 수 있고 또 학습하고자 하는 내용들을 보다 잘 이해할 수 있는 수단(즉, 터치펜을 통하여 화면에 나타나 있는 그림 부분을 터치함으로써 알고자 하는 데이터를 파악하는 등)을 가질 수 있다. ROM(16)에는 도 2의 전체처리를 담당하는 시스템프로그램과 각종 모드의 처리를 담당하는 서브 프로그램 데이터인 제어프로그램 데이터가 저장이 되어 있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의 장치에는 음성처리부(24)와 마이크로폰(25), 스피커 (26)를 구비하고 있는데 마이크로폰과 스피커는 일반적으로 알려진 정도의 기능을 담당한다. 음성처리부(24)의 기능은 본 발명의 장치가 어떻게 설계되느냐에 따라 조금씩 달라질 수 있다. 만약 본 발명의 장치에서 학습자의 음성신호를 아날로그 신호인 상태에서 표본 신호와 비교값을 산출하는 방법을 채택한다면 음성처리부는 아날로그 신호 데이터를 만들고 증폭하여 제어부에 보내 표본신호와 비교 되도록 하는 정도의 기능을 하게 될 것이다. 또 다른 장치들에 음성신호 비교값산출 기능이 부여되어 있지 않다면 음성처리부(24)는 제어부(CPU)(11)의 제어에 따라 미리 본 발명의 장치에 미리 프로그램되어 있는 비교값산출을 하는 검지장치의 수단기능을 할 수도 있다. 만약 본 발명의 장치가 아날로그 신호값을 비교하는 것이 아니라 디지털 신호값을 비교하게 된다면 상기의 음성처리부는 마이크폰으로부터 입력된 신호를 아날로그신호로 바꾸고 증폭하고 디지털 신호로 변환을 시키는 기능을 하게 된다. 또 음성처리부는 앞서의 기능들 말고도 본 발명의 장치가 음성으로 학습자에게 고지하고자 하는 정보들을 스피커에 송출이 될 수 있도록 하는 처리를 담당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시스템의 전체처리 예시도이다. 도면에서 볼 수 있듯이 본 발명에 있어 전체의 처리는 메뉴에서 초기화를 실행하든지 또는 학습모드를 선택하든지, 사전모드, 수첩모드, 통신모드를 선택하든지 함으로써 작동을 하게 된다. 만약 메뉴에서 최초로 초기화를 선택한다면 본 발명의 장치에는 학습자가 입력이 되어 그의 학습에 대한 정보가 비로소 기록되고 저장이 되게 된다(101→103). (도 3 참조) 본 발명의 장치는 두 명 이상의 학습자가 등록이 되도록 조정이 될 수도 있다. 이미 학습자가 등록이 되어 있다는 전제하에 학습자가 메뉴에서 학습모드를 선택한다면 본 장치는 학습모드로 전환이 되며 각종 학습모드가 지정을 기다리고 여기서 구체적인 학습의 종류가 정해지면 지정된 학습모드가 설정이 되어 설정된 학습모드의 초기화면이 나타나게 된다(104→108). 사전모드, 수첩모드, 통신모드 역시 선택을 하게 되면 해당 모드에 대한 처리가 실행이 되게 된다. 사전모드나 수첩모드 통신모드는 대체로 전자사전이나 전자수첩 그리고 그러한 것들에 부가된 통신모드의 일반적인 기능과 대체로 같다. 본 발명의 장치의 핵심적인 사항은 학습모드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초기설정 처리 순서도이다. 본 발명의 초기화 과정은 최초로 학습자가 본 발명의 장치를 사용하고자 할 때 거치는 과정일 수도 있고 또는 학습자가 새로운 학습방법을 설정하고자 할 때 거치는 과정일 수도 있다. 메뉴에서 초기화모드를 선택하면 본 장치는 초기화하시겠습니까라는 질의를 표시창에 나타낸다(또는 스피커를 통해 고지 될 수도 있다. 이하 모두 마찬가지이다). 이때 만약 학습자가 YES를 선택하면 본 장치는 데이터를 0으로 설정한다. 만약 NO를 선택한다면 본 장치는 새로운 학습방법을 추가하는 것으로 간주하여 기존의 데이터를 삭제하지 않고 새로운 기록 데이터 폴더를 내부에 만들고 기존의 학습과정에 새로 입력이 되는 학습 과정을 부가한다.(201→203) 초기화에는 주의가 필요하다. 또 본 장치는 학습자에게 학습을 고지하는 방식을 채택하고 있기 때문에 되도록 한 사람이 단독으로 사용하는 것이 좋다.
아무튼 앞의 과정이 끝나면 본 장치는 원하는 외국어를 선택하라고 표시하고 학습자가 원하는 해당 언어를 선택하면 학습방법을 선택하라고 표시하고, 다음에는 수준을 택하라고 표시하고, 다음에는 서비스 시간을 선택하라고 표시한다(204→ 217). 여기서 205의 언어 선택과정은 러시아어, 독일어, 스페인어, 프랑스어 등으로 얼마든지 추가될 수 있다. 하지만 많은 언어를 포함시키는 것보다는 대표적인 언어들을 목적에 따라 묶는 것이 바람직하다. ex) 영어·일어·중국어·러시아어, 영어·스페인어·프랑스어·이탈리아어, 또는 영어·독일어·프랑스어·스페인어) 209의 과정에 대한 세부 사항은 표 1에 나타난 바와 같다. 표 1의 각 단계는 단계별 학습의 내용을 나타내는 것일 수도 있고 또는 회화문의 패턴 유형을 나타내는 것일 수도 있다.
211 이하의 세부 사항은 표 2에 나타난 바와 같다. 선택의 하부 사항은 대체로 외국어 회화의 습득이 화급한 사람들을 위한 것이고, 1지정은 직장인들, 2지정은 자유롭게 시간을 활용할 수 있는 사람들을 위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회화학습 처리 순서도로서 본 발명의 장치에 의해 자동으로 기동이 되는 경우를 나타낸 것이다. FLL에 의해 기동이 되는 학습에 관한 설명은 이미 하였다. FLL DB에 저장된 사용자의 설정에 의해 FLL 제어부는 DB로부터 약정된 시간에 표시구동회로로 학습해야 할 회화문 문자 메시지를 전송토록 하고 표시구동회로는 이를 표시창에 표시한다(301, 302). 그리고 회화학습을 하겠는가?(303)를 질의하고 여기에 학습자가 동의를 하면 해당 학습문을 음성메시지로 전송하고 스피커에 해당 음성메시지가 송출된다(304, 305). 또 여기서 숙지하였는가를 묻고 NO를 선택하면 회화문 전송과 송출을 반복하고 YES를 선택하면 해당회화문의 용법을 서비스하여 표시부에 표시하고, 또 이어서 안내 메시지(B의 대화를 말하세요- 309)와 함께 회화문의 내용 중 A항에 해당하는 부분을 음성메시지로 나타낸다(306→310). 학습자가 이 때 B항을 말하면 본 발명의 장치의 음성신호 비교값 산출 프로그램은 학습자의 음성신호를 표본 음성의 신호와 비교하여 해당 답신을 평가하고 그 결과를 표시창에 나타낸다(311,312) 그런데 310과정에서 말을 하지 않거나 또는 현저하게 잘못된 답신을 계속할 경우에는 본 발명의 장치는 학습자가 해당 회화문을 처리하지 못한 것으로 기록하여 두고 다음 학습시간에 계속해서 학습자에게 학습을 주지한다. 303의 과정에서 회화학습을 중단하였을 경우에도 마찬가지이다. 아무튼 평가 및 전송이 끝나면 본 발명의 장치는 이상의 과정, 즉 회화학습을 반복하겠는가를 묻고(314) NO를 선택하면 종료를 YES를 선택하면 304→ 312의 과정을 반복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각종 모드 처리 순서도로 학습자의 요청에 의한 것이다. 약속되지 않은 시간에 메뉴에서 학습모드를 선택하고 회화모드를 다시 선택하면 요청문의 핵심 단어를 입력하라는 안내 메시지가 나타나고 이때 핵심단어를 입력하면 도 4의 과정이 시작되어 학습자의 회화 학습을 돕는다(401→404). 403의 과정에서 회화모드를 선택하지 아니하고 문법모드를 선택하면 요청 문법의 주제어를 입력하라는 메시지가 나타나고 요청문법의 주제어를 입력하면 해당 주제어의 용법이 전송되어 표시부에 나타나고 숙지하였는가를 묻고 숙지 사인을 보내면 본 발명의 장치는 테스트 문항을 전송하고 빈칸을 채우라는 안내 메시지를 다시 표시하고 학습자가 문자를 입력하여 빈칸을 채우면 도 4의 과정과 마찬가지로 본 발명의 비교값산출프로그램은 해당 답에 대해 평가를 하여 그 평가를 표시하고 반복하겠는가를 묻는다(405→414) 여기서 학습자가 NO를 선택하면 종료를, YES를 선택하면 학습을 반복하여 실행한다. 단어 모드를 선택하였을 때의 과정 즉 415→424의 과정 역시 문법모드와 마찬가지의 과정을 밟는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학습자와 FLL장치간의 데이터 처리 절차 흐름도로 본 발명의 장치에 의해 자동으로 시작되는 도 4의 과정을 학습자와 FLL 프로세서 그리고 FLL DB간의 신호의 흐름을 중심으로 설명한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학습자와 FLL 장치간의 데이터 처리 절차 흐름도로 학습자의 요청에 의한 회화와 문법 그리고 단어 모드가 어떻게 시작되는가를 나타낸 도면이다. 각각의 모드의 처리 절차는 이미 설명을 하였다. 여기서 A항은 회화모드가 시작되는 과정에서의 신호의 흐름도를 나타낸 것이고 B항은 문법모드가 시작되는 과정에서의 신호의 흐름도를 나타낸 것이며 C항은 단어모드가 시작되는 과정에서의 신호의 흐름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장치가 구현되는 FLL 장치의 외부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에 있어 FLL 장치에 의한 학습 과정 예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에 있어 학습자의 요청에 의한 학습과정 예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음성신호의 비교의 예이다.
도 8, 도 9, 도10, 도 11은 앞서 이미 설명한 바가 있다.
본 발명의 장치는 다른 목적을 가진 학습장치로 사용이 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장치는 골프학습이나 또는 요리학습, 다이어트프로그램, 증권기술 어드바이스, 역사학습, 시사학습 등을 가능하게 한다. 앞서 예를 든 이용방법에서 이용자들은 본 발명의 장치의 조언에 따라 학습을 하고 또 부지불식간에 조언을 요청하여 해당 질의에 대한 답변을 즉각적으로 받을 수 있다. 골프의 경우 이용자들은 필드에서 바람이나 라이에 어떻게 대처를 하여야 하는가, 계산을 어떻게 해야하는가에 대해 조언을 받을 수 있다. 요리의 경우 이용자들은 급작스럽게 만들어야 하는 요리를 어떻게 조리하여야 하는지에 대해 조언을 받을 수 있다. 다이어트의 경우 이용자들은 자신이 섭취한 음식과 자신의 운동량에 대한 계산을 제공받아 비만의 위험성이 있는 칼로리 초과 상태에 대처를 할 수 있다. 증권의 경우 이용자들은 거래소에서 이용자가 질의한 해당 주식에 대한 정보나 미래의 전망 가장 적절한 투자기법 등을 조언 받을 수 있다. 역사학습이나 시사학습의 경우 이용자들은 자신이 알고 싶어하는 문제들에 대한 자세한 답을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장치 및 수단은 통신의 기능을 가지고 있는 이동통신단말기가 가장 효과적인 외국어 학습의 수단이 될 수 있도록 하고 있으며 언어의 장벽 때문에 의사 소통을 할 수 없는 경우에도 언제 어디서든 통역을 매개해줌으로써 외국인과의 커뮤니케이션을 할 수 있는 수단이 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본 발명의 장치 및 수단은 특히 외국어 학습에 있어 뛰어난 효용성을 가지고 있는데, 그것은 외국어 학습에 있어 가장 중요한 요건인 회화문의 실전적 이해와 구사- 실전적인 하나의 질의문들과 하나의 답변들을 정확한 발음으로 말하도록 하고 듣고 이해하도록 하는- 가 가능하도록 한다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장치 및 수단은 이용자가 충분히 회화문을 숙지할 수 있도록 언제 어디서든 적절한 시차를 두고 반복적으로 학습을 할 수 있도록 하고 있으며 학습의 중단이 없이 서비스가 제공되도록 하는 수단 및 장치를 구비하고 있다.
본 발명의 장치 및 수단은 기존의 외국어 학습의 장치처럼 단어나 문장에 대한 테스트를 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이용자들의 외국어 학습을 돕는 것이 아니라, 하나의 완결된 회화 패턴을 이용자들에게 문자로 제시하고 다시 그것을 정확한 발음의 음성으로 반복적으로 이용자들에게 제시하고, 이용자의 요청이 있으면 역시 계속해서 문자 및 정확한 발음의 음성을 연속적으로 제시하는 방법을 통하여 이용자들의 외국어회화 학습을 돕는다. 또 이용자들이 그것을 충분히 숙지하였을 시점에 이미 학습이 된 회화 패턴을 본 발명의 장치와 이용자가 실전적으로 주고받도록 하고 또 반복을 하도록 함으로써 이용자들의 외국어 회화능력을 향상시킨다. 또 앞의 방법에서 이용자들이 구사한 이용자의 해당 회화의 음성신호를 본 발명의 장치가 평가하여 이용자들이 정확하게 문장을 구사하였는지 발음은 정확한지를 스스로 알 수 있도록 하고, 잘못되었을 때에는 반복적으로 학습을 하도록 하는 방법을 통하여 이용자의 외국어회화능력을 배가시킨다.
또한 본 발명의 장치는 이용자들이 부지불식간에 이해하고 싶은 회화패턴을 알고자 할 경우에도 이용자의 요청에 의해 앞서의 학습방법이 실행될 수 있도록 하여 외국어를 습득코자 하는 이용자들에게 외국어를 습득하는데 필요한 단계적 학습과 필요성이 대두된 사항에 대한 학습을 모두 가능하게 하고 있다. 또 본 발명의 장치는 PC나 혹은 통신망(이동통신망 포함)과 연결되는 수단을 만들어 둠으로로써 본 발명의 장치에 수록된 데이터와 외부의 데이터간에 호환을 가능하게 하고 프로그램 업데이트 역시 가능하도록 하고 있으며 외부의 조력기관의 도움을 받을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효과는 세계화의 물결 속에서 그 필요성이 극심하게 대두되고 있는 외국어 회화 능력 배가를 시간적 공간적 제약이 없이 가능하게 하는 수단이 될 수 있으며 또한 시간적 공간적 제약 없이 다른 언어를 사용하는 사람들간에 의사소통을 가능하게 하는 수단이 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장치는 다른 종류의 학습장치, 즉 분야별로 세분화 된 목적성을 가진 주제학습장치를 가능하게 한다.

Claims (8)

  1.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외국어 회화 학습 장치를 구현함에 있어 학습 회화문의 문자와 음성을 이용자들이 학습하고 또 테스트를 받아 반복적으로 해당 언어를 최선의 방법으로 습득하게 하기 위하여,
    가) 본 발명의 장치에 외국어 회화문에 대한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해두고 해당 외국어회화에 있어 단어 및 용법 그리고 문장과 딕션에 대한 테스트의 수단을 구축한 방법을 통하여 이용자가 외국어 회화를 습득함에 있어 실전적인 회화문을 정확한 문장과 발음으로 기억하고 구사할 수 있는 학습 시스템을 만든 방법
  2. 청구항 1항과 관련하여,
    가) 기존의 단어학습이나 문법학습 또는 그에 대한 테스트를 수행하는 방법등을 지양하고, 본 발명의 장치가 구현하는 외국어회화 데이터 베이스에 이용자들의 학습을 돕는 단계적인 외국어 학습 컨텐츠를 준비해두고 그것이 이용자들에게 순차적으로 제공이 될 수 있도록 한 방법과,
    나) 가)의 내용과 관련하여 외국어 학습 컨텐츠가 순차적으로 이용자들에게 제공이 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외국어회화 데이터 베이스에 이용자들의 학습 진도 진척에 관한 데이터를 기록하여 관리토록 한 방법과,
    다) 가)의 내용과 관련 이용자들의 태만이나 또는 이용자들의 불가항력적 상황에 의한 학습의 지체를 방지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외국어회화 데이터 베이스에 이용자들의 학습 진도에 관한 데이터를 상비해두어 항시적으로 학습이 진행될 수 있도록 한 방법을,
    통하여 이용자들이 학습의 중단이 없이 외국어회화 학습을 진전시킬 수 있도록 한 방법
  3. 청구항 1과 관련하여,
    가) 이용자들이 본 발명의 장치에 의한 학습 말고도 이용자들의 요청에 의한 학습이 가능하도록 한 방법과,
    나) 가)의 내용과 관련하여 이용자들의 요청에 의한 학습내용이 청구항 2항의 나)와 같은 방법으로 관리되도록 한 방법과,
    다) 가)의 내용과 관련하여 이용자들의 요청에 의한 학습내용이 청구항 2항 다)와 같은 방법으로 작동이 되도록 한 방법을,
    통하여 이용자들이 부지불식간에 알고자하는 외국어회화의 패턴이 이용자들에게 학습되도록 한 방법
  4. 청구항 1항과 관련하여,
    가) 이용자가 외국어를 습득하는데 있어 가장 중요한 사항인 외국어 회화의 정확한 문장 구사와 발음 구사(speaking), 그리고 청취(listening) 능력을 갖도록 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장치가 이용자에게 질의문을 전송하도록 하고 이용자가 그에 대한 답신을 하도록 한 방법과,
    나) 가)의 방법에 의한 이용자의 답신이 정확한 문장인지, 정확한 발음인지를 본 발명의 장치가 평가토록 하여 이용자에게 그 결과를 전송하도록 하는 방법을,
    통하여 이용자가 보다 정확한 외국어회화를 반복적으로 학습할 수 있도록 한 방법
  5. 청구항 4항과 관련하여,
    이용자의 답신을 평가함에 있어 이용자 음성을 복잡한 음성인식장치나 혹은 그와 결합된 번역장치를 사용하지 않고 아날로그 신호(또는 디지털 신호)의 패턴과 음의 고저와 강약 등을 비교하는 비교값산출장치(Comparative apparatus)를 이용하여 이용자의 음성신호를 본 발명의 장치가 구축한 FLL DB에 수록된 해당 답신에 대한 표본신호와 비교하는 방법을 통하여 이용자가 정확한 문장을 구사하였는지, 정확한 발음을 구사하였는지 액센트가 맞는지 등을 간편하게 평가할 수 있도록 한 방법
  6. 본 발명의 실시를 구현함에 있어 이용자들에게 먼저 회화문을 문자로 전송하고 숙지토록 하고, 이용자가 그 내용을 숙지하면 다시 해당 회화문에 대한 음성 데이터를 전송하여 숙지토록하고, 이용자가 그 내용을 숙지하면 이번에는 해당 회화문에 대한 실전적인 대화를 실행토록 하여 숙지하게 하고, 또 앞에서 이용자가 구사한 해당 회화문이 정확한 것인지를 평가하여 이용자에게 제공하는 방법을 통하여 이용자가 반복적으로 해당 회화문을 숙지토록 하며, 이상과 같은 과정을 이용자의 선택에 의해 반복적으로 실행할 수 있도록 하고, 해당 회화문이 미처리되거나 혹은 현저하게 잘못된 답신이 있을 경우에는 추후로 다시 학습되도록 만든 수단 및 방법.
  7. 본 발명의 장치가 구현됨에 있어 초기 설정과 관련하여,
    가) 이용자들이 항시적으로 본 발명의 장치가 구현하고자 하는 서비스를 받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원하는 서비스들을 분류하여 선택토록 하고, 외국어들을 분류하여 선택토록 하고, 서비스 수준을 단계로 분류하여 선택토록 하고, 서비스 제공 시간을 분류하여 선택토록 하는 방법을 통하여 효과적으로 본 발명이 구현하고자 하는 서비스가 본 발명의 장치를 통하여 자동으로 제공되어지고 관리되도록 한 방법과,
    나) 가)의 방법을 통하여 기록된 이용자들의 입력 정보가 본 발명의 장치를 통하여 관리됨으로써 이용자가 학습을 할 수 없는 불가항력적인 상황에 있거나 이용자의 태만에 의하여 학습이 지체되는 경우에 추후로 또는 이용자의 주의를 환기시킴으로써 종국적으로 본 발명이 구현하고자 하는 서비스가 이용자들에게 제공되어지도록 한 방법을,
    통하여 효과적이며 중단이 없는 외국어 회화 학습이 가능하도록 한 방법
  8. 본 발명의 장치가 이용될 수 있는 다른 주제학습 방법과 관련하여, 본 발명의 장치는 외국어회화학습서비스 장치 말고도 다른 주제를 학습하는 장치가 될 수 있는 바, 즉 본 발명의 장치는 다른 주제들 예를 들어 골프정보·요리정보·다이어트정보·증권정보·역사정보·시사정보 등의 다른 주제를 학습하는 장치가 될 수 있는 바,
    가) 청구항 1항과 관련하여, 본 발명의 장치에 각각의 주제를 다루는 여러 가지의 주제학습에 대한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해두고 여러 가지의 주제학습을 위한 테스트 수단을 준비해 둔 방법과,
    나) 가)와 관련하여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여러 가지의 주제학습을 가능케 하는 본 발명의 시스템을 외부와 연결할 수 있도록 하여 데이터 및 프로그램의 업그레이드가 가능토록 하고 외부의 조력기관의 도움을 받을 수 있도록 한 방법과,
    다) 청구항 2항과 관련하여 본 발명의 장치가 다른 주제학습 서비스를 구현함에 있어 학습 내용을 순차적으로 준비해두고 이용자들에게 순차적으로 제공될 수 있도록 한 방법과, 이용자들의 학습 진도에 대한 정보를 상비해 두어 항시적으로 학습이 진행 될 수 있도록 한 방법과,
    라) 청구항 3항 과 관련하여 이용자들의 요청에 의한 본 발명에 의한 여러 가지의 주제학습이 항시적으로 가능하도록 한 방법과 요청된 학습 역시 순차적으로 재학습될 수 있도록 한 방법을
    통하여 이용자가 여러 가지의 주제에 관련된 학습을 부지불식간에 요청하여 습득할 수 있는 방법을 구현한 방법. 즉 외국어회화 학습서비스장치에 관하여 청구된 청구항 1, 청구항 2, 청구항 3의 방법들이 본 발명의 장치가 구현할 수 있는, 다른 여러 가지의 주제의 학습을 가능하게 하는 주제학습장치에도 똑같이 적용이 될 수 있도록 한 방법
KR1020000015954A 2000-03-28 2000-03-28 음성신호 비교를 이용한 외국어회화 학습장치 KR2000004948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15954A KR20000049483A (ko) 2000-03-28 2000-03-28 음성신호 비교를 이용한 외국어회화 학습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15954A KR20000049483A (ko) 2000-03-28 2000-03-28 음성신호 비교를 이용한 외국어회화 학습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49483A true KR20000049483A (ko) 2000-08-05

Family

ID=196594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15954A KR20000049483A (ko) 2000-03-28 2000-03-28 음성신호 비교를 이용한 외국어회화 학습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00049483A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70631A (ko) * 2001-05-28 2001-07-27 최영빈 보이스 큐어 시스템
KR20020012154A (ko) * 2001-12-28 2002-02-15 백종관 음성인식기술을 이용한 스코어링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20014029A (ko) * 2000-08-14 2002-02-25 신승중 인터넷 상에서 음성인식을 이용한 교육방법
KR20030006444A (ko) * 2001-07-12 2003-01-23 설창우 음성인식을 이용한 어학 학습장치 및 어학 학습방법
KR20030065259A (ko) * 2002-01-31 2003-08-06 윤병원 음성인식을 이용한 어학학습장치, 어학학습 방법, 및 그저장매체
KR100703194B1 (ko) * 2004-09-08 2007-04-05 고경환 들으면서 말하는 능력을 평가하는 방법 및 그 시스템
WO2011013864A1 (ko) * 2009-07-30 2011-02-03 Choi Sun Hee 온라인 언어 학습 평가 방법, 온라인 언어 학습 시스템 및 학습 방법
KR20210103831A (ko) 2020-02-14 2021-08-24 김영섭 온라인 외국어 회화 학습 관리 장치 및 온라인 외국어 회화 학습 관리 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40891A (ja) * 1993-11-17 1995-06-02 Hitachi Ltd 教育支援システム
US5870709A (en) * 1995-12-04 1999-02-09 Ordinate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combining information from speech signals for adaptive interaction in teaching and testing
KR20000036769A (ko) * 2000-03-28 2000-07-05 이헌 이동통신 단말기(또는 pc 또는 고정단말기)를 이용한외국어 회화 학습 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40891A (ja) * 1993-11-17 1995-06-02 Hitachi Ltd 教育支援システム
US5870709A (en) * 1995-12-04 1999-02-09 Ordinate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combining information from speech signals for adaptive interaction in teaching and testing
KR20000036769A (ko) * 2000-03-28 2000-07-05 이헌 이동통신 단말기(또는 pc 또는 고정단말기)를 이용한외국어 회화 학습 시스템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14029A (ko) * 2000-08-14 2002-02-25 신승중 인터넷 상에서 음성인식을 이용한 교육방법
KR20010070631A (ko) * 2001-05-28 2001-07-27 최영빈 보이스 큐어 시스템
KR20030006444A (ko) * 2001-07-12 2003-01-23 설창우 음성인식을 이용한 어학 학습장치 및 어학 학습방법
KR20020012154A (ko) * 2001-12-28 2002-02-15 백종관 음성인식기술을 이용한 스코어링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30065259A (ko) * 2002-01-31 2003-08-06 윤병원 음성인식을 이용한 어학학습장치, 어학학습 방법, 및 그저장매체
KR100703194B1 (ko) * 2004-09-08 2007-04-05 고경환 들으면서 말하는 능력을 평가하는 방법 및 그 시스템
WO2011013864A1 (ko) * 2009-07-30 2011-02-03 Choi Sun Hee 온라인 언어 학습 평가 방법, 온라인 언어 학습 시스템 및 학습 방법
KR20210103831A (ko) 2020-02-14 2021-08-24 김영섭 온라인 외국어 회화 학습 관리 장치 및 온라인 외국어 회화 학습 관리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07384B2 (en) System, method and device for language education through a voice portal server
US7149690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nteractive language instruction
CN110489756B (zh) 会话式人机交互口语测评系统
WO2007062529A1 (en) Interactive language education system and method
WO2005099414A2 (en) Comprehensive spoken language learning system
JP6592657B2 (ja) 単語習得訓練システム
KR20000049483A (ko) 음성신호 비교를 이용한 외국어회화 학습장치
KR20000049703A (ko) 인터넷(피씨 네트웍)을 이용한 외국어 회화 학습 시스템
Cheung The role of phonological awareness in mediating between reading and listening to speech
KR20000036769A (ko) 이동통신 단말기(또는 pc 또는 고정단말기)를 이용한외국어 회화 학습 시스템
KR102651631B1 (ko) 온라인 기반 한국어 능숙도 평가 장치 및 방법
WO2006057896A2 (en) System and method for assisting language learning
JPH0344690A (ja) 会話マナー教育システム
ВОВК et al. Teaching Stylistic Grammar as a Methodological Issue
CN110444065A (zh) 辅助阅读方法、装置、存储介质及智能设备
KR20140060445A (ko) 비주얼기반 마인드맵 영어 학습 시스템
KR102460272B1 (ko) 모국어 문자기반 원 사이클 온라인 외국어 학습 시스템 및 그 방법
JP2004258231A (ja) 語学学習支援装置及び語学学習支援方法
Korslund NativeAccent
Hendry Using Translation Tools for L2-Learning in a Self-Regulated Environment
KR20030078493A (ko) 외국어 학습장치
Rahayu et al. The Use Of “Say Hey Google” For Pronunciation Accuracy To Present Dialogues In A Speaking Class
Brown The Effect of Attitude and Speaking Tasks on Heritage Spanish Speakers’ Production of Rhythm, Lexical Stress and Speech Rate
Delmonte Speech synthesis for language tutoring systems
KR20200129773A (ko) 자기주도학습이 가능한 영어 학습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